KR20070007372A -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갖는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갖는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372A
KR20070007372A KR1020067024567A KR20067024567A KR20070007372A KR 20070007372 A KR20070007372 A KR 20070007372A KR 1020067024567 A KR1020067024567 A KR 1020067024567A KR 20067024567 A KR20067024567 A KR 20067024567A KR 20070007372 A KR20070007372 A KR 20070007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eawater
mineral component
containing composition
seawater mi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모리타니
가요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 유래 물질로부터 간편한 프로세스로 얻어지는,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혹은 무너진 항상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자율 신경에 작용하여, 자율 신경 활동의 조절 작용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해수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해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농도가 70㎎/L 이상이고, 나트륨 농도가 3㎎/L 이하이다.
자율 신경, 해수 미네랄, 음식물

Description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갖는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COMPOSITION HAVING EFFECT OF MODULATING AUTONOMIC NERV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음식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생체에는 자율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가 구비되어 있다. 그 중에서, 자율 신경계는 대뇌의 지배로부터 비교적 독립적으로, 특별히 의지와는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작용하므로 이 명칭이 주어져, 주로 내장의 기능을 조절하고 있다. 자율 신경계에는 교감 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의 2 계통이 있고, 양자의 밸런스에 의해 컨트롤되고 있다. 즉, 신체가 활동하고 있을 때에는 교감 신경의 활동이 우위가 되고, 전신이 긴장한 상태가 된다. 반대로, 부교감 신경의 활동이 우위인 때에는 신체의 긴장이 해소되어, 심신이 편안한 상태가 된다.
교감 신경의 활동이 전신적으로 항진되면, 그 결과로서 부신수질로부터의 호르몬 분비를 재촉하고, 심박수나 혈압의 상승, 세(細)기관지의 확장, 장관 운동과 장관 분비의 억제, 글루코오스 대사의 상승, 동공 산대, 입모(立毛), 피부나 내장 혈관의 수축, 또한 골격근의 혈관 확장이 일어난다 (이와나미 강좌 「현대 의학의 기초」 제 4 권, 하기와라 토시오, 타루이 세이이치로우 편, 생체의 조절 시스템, 1999년). 따라서, 교감 신경 활동이 항진된 경우에는, 고혈압, 고혈당, 피부 혈류 저하, 면역 기능 저하 등의 건강 장애가 일어난다. 한편, 부교감 신경이 항진된 경우에는, 만성적인 설사가 일어난다. 또, 부교감 신경 활동의 저하와 상대적인 교감 신경 활동의 항진이 허혈성 심질환이나 돌연사의 중요한 위험 인자인 것이 보고되어 있다 (Akselrod et al., Science 213:220-22(1981), Billman GE et al., Circulation 80:874-80(1989)). 자율 신경의 언밸런스는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생기고, 원인 불명의 컨디션 불량을 호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자율 신경 활동을 컨트롤하는 의약품 혹은 건강 식품이 요구되고 있고, 이미 많은 의약품이 시장에 나와 있다.
해수를 처리하여 얻어진 물에는, 미네랄이 풍부하게 유지되어 있고, 해수 유래의 미네랄 성분을 사용한 제품이 개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또, 그 적용에 대해서도 많은 개시가 이루어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9597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694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118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87762호 등). 그러나, 해수의 다채로운 작용이 보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 음료를 섭취한 경우의 건강에 관련되는 효과, 특히 자율 신경 활동에 대한 작용이나 그 조절 작용에 대해 조사된 것은 없고, 보고도 이루어져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95974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6942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11864호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87762호
비특허 문헌 1 : 이와나미 강좌 「현대 의학의 기초」 제 4 권, 하기와라 토시오, 타루이 세이이치로우 편, 생체의 조절 시스템, 1999년
비특허 문헌 2 : Akselrod et al., Science 213:220-22(1981)
비특허 문헌 3 : Billman GE et al., Circulation 80:874-80(1989)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 의약품의 경우, 자율 신경의 컨트롤과 낮은 부작용을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의약품의 합성에는 다른 단계의 프로세스를 거칠 필요가 있고, 또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정제 등의 형태로 가공할 필요가 있어, 고비용이 되는 것이 과제였다. 그래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 유래 물질로부터 간편한 프로세스로 얻을 수 있는 활성 물질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혹은 무너진 항상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자율 신경에 작용하여, 자율 신경 활동의 조절 작용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실시하여,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에, 이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작용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해수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해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농도가 70㎎/L 이상이며, 나트륨 농도가 6㎎/L 이하, 특히 3㎎/L 이하이다.
발명의 효과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교감 신경 활동의 항진을 억제하고, 부교감 신경 활동의 저하를 항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은, 자율 신경계의 언밸런스를 예방·완화시키는 점에 있어서, 매우 유용할 뿐만이 아니라, 교감 신경 활동이 우위인 상태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질환에 대해서도 매우 유용하다.
도 1 은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섭취에 의한 교감 신경 활동 지표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섭취에 의한 부교감 신경 활동의 항진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섭취에 의한 RT 의 연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004-065196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 원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 해수는, 표층수, 중층수, 심층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심층수, 특히 200m 이상 깊은 해수는, 환경 오염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청정성이 높고, 또한 해양 생물에 의한 미네랄 이용이 적기 때문에 미네랄이 풍부하게 유지되어 있어, 본 발명으로의 이용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미네랄 성분량으로는, 마그네슘, 칼슘 등의 건강 효능을 갖는 미네랄 성분의 비율이 높고, 또한, 나트륨 농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 농도로는, 70㎎/L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트륨 농도로는 6㎎/L 이하, 특히 3㎎/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 해수를 1 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을 사용하여 전기 투석을 실시하여 전기 투석 처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1 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으로는, AC120 (아사히 가세이 (주) 제조)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 투석 처리는, 통상의 전기 투석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고, 전기 투석 종료시의 전기 전도도가 저(低)전도도, 예를 들어 10mS/cm 미만이 되도록 투석 처리함으로써, 나트륨 농도를 감소시키고, 또한, 마그네슘 농도를 증대시켜 안정된 미네랄 조성을 갖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저전도도로는, 사용수나 사용 전력의 비용을 감안하여 전기 투석 종료시 8mS/cm 이하, 특히 6mS/cm 가 바람직하다. 전기 투석 종료시의 전기 전도도를 저전도도, 예를 들어 6mS/cm 로 하면, 이 전기 투석 후의 액을 경도 100 (EDTA 법) 의 수용액으로 조정했을 때에, 나트륨 농도가 4㎎/L 이하, 마그네슘 농도가 20㎎/L 이상, 마 그네슘과 칼슘의 중량비가 4 이상인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마그네슘과 칼슘의 중량비가 4 이상인 것의 이점은, 현대인에게 부족한 마그네슘을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충분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 마그네슘 농도 70㎎/L 이상, 나트륨 농도 3㎎/L 이하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복수 단계 전기 투석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1 차 전기 투석으로서, 해수를 1 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을 사용하여, 통상의 제염법에서 사용되는 전기 전도도 (12mS/cm) 또는 그 이하의 전기 전도도까지 해수를 전기 투석한다. 이 때, 마그네슘 농도가 1300㎎/L 정도, 나트륨 농도가 640㎎/L 정도로 되어 있다. 이 1 차 전기 투석으로부터의 미네랄수를, 다시 1 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을 사용하여, 전기 전도도가 6mS/cm 또는 그것 이하가 될 때까지 2 차 전기 투석한다. 2 차 전기 투석 후의 미네랄수는, 마그네슘 농도가 740㎎/L 정도, 나트륨 농도가 2㎎/L 정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을 나트륨 함유량을 저하시킨 물, 예를 들어 RO (역침투) 처리 해수로 적절하게 희석하여, 경도 약 330 (EDTA 법) 의 미네랄수로 하면, 바람직한 마그네슘 및 나트륨 농도의,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혹은 또, 바람직한 마그네슘 및 나트륨 농도의,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전기 투석 장치에 있어서의 농축실측의 나트륨 농도를 낮게 억제하는 것에 의해, 나트륨의 역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나트륨, 칼륨 등의 1 가 이온을 무한정 제거할 수 있다. 그 경우, 농축실측의 나트륨 농도를 20㎎/L 이하, 바람직하게는 2㎎/L 이하로 유지하면서 전기 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향미가 우수하고, 나트륨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로의 적용에 있어서는, 폭넓게 각종 제품에 음식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음식물 중의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의 미네랄 성분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사용량은, 제공하는 음식물의 형상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그네슘의 섭취량을 지표로서 제품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마그네슘의 1 회의 섭취량을 1㎎ 에서 700㎎ 함유시키도록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에 의한 마그네슘의 1 일의 섭취량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마그네슘을 70㎎/L 이상 함유하므로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은 조성물로서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에,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그 자체에 대해서, 혹은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음식물로의 적용에 있어서, 가열, 냉각, 냉동 등의 처리를 행해도 상관없다. 형태로는, 미네랄수 그대로의 형태로 하여 사용해도 되고, 또, 이것의 건조물, 농축물, 희석물 등의 형태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음료수, 캅셀, 정제, 분제, 젤리 등의 서플리먼트의 형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과즙 음료, 청량 음료, 유산 음료, 탄산 음료, 커피 음료, 차 음료, 야채 음료, 리큐어, 츄하이, 소주, 와인, 맥주, 타블렛, 캔디, 구미, 쿠키, 젤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에 비 타민류, 폴리페놀류,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질, 당류, 유기산 등의 첨가물을 첨가한 형태로 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자율 신경 활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처리를 한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심박 변동 파워 스펙트럼 해석법을 사용한 자율 신경 활동 평가에 의해, 교감 신경 활동의 억제, 부교감 신경 활동의 항진을 나타내고, 또, 심전도의 해석에 의해 심장 탈(脫)분극·재(再)분극 시간 (Recovery Time : RT) 의 단축을 나타내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자율 신경 활동의 조절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자율 신경 활동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심전계, 혈압계, 피부 전기 반사, 동공 직경 측정 등의 생물리학적 측정법이나, 혈중 카테콜아민 농도 측정 등의 생화학적 측정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심박 변동은 자율 신경이 심장에 작용하는 것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이 심박 변동을 봄으로써 자율 신경의 활동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심박 변동 파워 스펙트럼 해석과 RT 를 지표로 자율 신경 활동의 혼란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심전도 R-R 간격 (심장 박동의 리듬 즉 심장 박동간의 간격 (R-R 간격) 은 항상 변화되고 있고, 이 R-R 간격의 변동을 심박 변동이라고 부른다) 을 고속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여 파워 스펙트럼으로서 구하고, 주파수 0.03∼0.15Hz 의 저주파 성분의 파워 (LOW) 와 주파수 0.15∼0.4Hz 의 고주파 성분의 파워 (HIGH) 및 그 총합 (TOTAL) 의 스펙트럼 적분치를 구하여, LOW/HIGH 를 교감 신경 활동 지표로, HIGH/TOTAL 를 부교감 신경 활동 지표로서 자율 신경 활동을 평가할 수 있다. 즉, 심장 교감 신경 활동이 억제되면 LOW/HIGH 의 값은 저하되고, 부교감 신경 활동이 항진되면 HIGH/TOTAL 의 값이 상승한다.
또, 심전도의 해석으로부터 얻어지는 RT 는, 심실근의 재분극, 즉 세포 내 활동 전위의 지속 시간을 반영하고 있어, 심실근의 불응기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이기도 하다. 심근의 재분극상(相)은 심박수, 자율 신경 활동, 혈청 전해질, 허혈, 약물 투여 등, 일상 생활의 여러 가지의 병태 인자에 대해서 예민하게 반응한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조정예 1
심도 330m 의 해수 (일본, 시즈오카현, 미우라 반도 미사키의 앞바다) 를 아사히 가세이 전기 투석 장치 (SV1/2 타입) 를 사용하여 전기 투석 종료시의 전기 전도도가 12mS/cm 가 될 때까지 전기 투석 처리를 실시하여, 1 차 미네랄수를 얻었다.
1 차 미네랄수를 아사히 가세이 전기 투석 장치 (S3 타입) 를 사용하여 전기 전도도가 6mS/cm 가 될 때까지 전기 투석 처리를 실시하여, 2 차 미네랄수를 제조하였다. 전기 투석막은 1 차 미네랄수 제조시, 2 차 미네랄수 제조시 모두 아사히 가세이 AC120 타입을 사용하였다. 또한, 개시시의 설정 온도는 15℃, 농축실측 전기 전도도는 1.5mS/cm, 순환 유량 1.4L/min, 전압 12.5V 의 일정 전압에서 전기 투석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2 차 미네랄수를, 심도 330m 의 해수를 다우 케미컬사 제조의 역침투막 SW30HR-380 (고압) SWLE-440 (저압) 2 단계로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탈염수 (나트륨 농도 = 1.8㎎/L) 로 희석하여 경도 330 (EDTA 법) 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성분을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1L 당) (경도 330 (EDTA 법))
에너지, 단백질 0
지질, 탄수화물 0
나트륨 2.6㎎
마그네슘 75.2㎎
칼슘 11.0㎎
칼륨 58.6㎍
요오드 0.84㎍
5.26㎍
구리 0.18㎍
셀렌 1.40㎍
아연 0.54㎍
몰리브덴 0.08㎍
실시예 2
자율 신경 활동에 대한 조절 작용
시험은 성인 남성 21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요컨대, 실시예 1 에서 얻은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경도 330㎎/L) 을 1 일 1.5L, 5 주간 섭취시키고, 그 섭취 개시시와 종료시에 안정시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Ue, H. 들의 방법 (Ue, H. et al., Ann. Noninvasive Electrocardiol., 5:336-345(2000)) 에 준하여, 심박 변동 파워 스펙트럼법에 의해 자율 신경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심전도의 1 차 미분해석에 의해 심근 탈분극·재분극 시간 (RT)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심전도는 14 비트의 A/D 변환을 사용하여 1024Hz 에서 샘플링하였다. 심전도로부터 얻어진 심박 변동을 고속 푸리에 변환으로 처리하여 주파수 해석을 실시하여, 심박 변동 파워 스펙트럼를 얻었다. 심박 변동 스펙트럼을 분리·정량화하기 위해, 주파수 0.03∼0.15Hz 의 저주파 성분의 파워 (LOW) 와 주파수 0.15∼0.4Hz 의 고주파 성분의 파워 (HIGH) 및 그 총합 (TOTAL) 의 스펙트럼 적분치를 구하고, LOW/HIGH 를 교감 신경 활동 지표로, HIGH/TOTAL 을 부교감 신경 활동 지표로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1, 2 에 나타낸다. 또한, 심장 탈분극·재분극 시간을 RT 에 의해 검토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Claims (9)

  1. 해수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해수 미네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갖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농도가 70㎎/L 이상이고, 나트륨 농도가 6㎎/L 이하인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해수가 해양 심층수이고, 또한 1 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에 의해 처리하여 얻어지는 전기 전도도 10mS/㎝ 미만인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율 신경의 혼란 및 그것에 기인하는 증상을 예방, 개선, 완화시키는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갖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교감 신경 활동의 항진을 억제하는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부교감 신경 활동을 항진시키는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심장 탈(脫)분극·재(再)분극 시간을 단축시키는 조성물.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그네슘을 1 일당 100㎎ 이상 섭취하기 위해서 적합한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음식물 또는 그 성분인 조성물.
KR1020067024567A 2004-05-07 2005-05-06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갖는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KR20070007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39245A JP2005320278A (ja) 2004-05-07 2004-05-07 自律神経調節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JP-P-2004-00139245 2004-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372A true KR20070007372A (ko) 2007-01-15

Family

ID=3532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567A KR20070007372A (ko) 2004-05-07 2005-05-06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갖는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18577A1 (ko)
EP (1) EP1752153A1 (ko)
JP (1) JP2005320278A (ko)
KR (1) KR20070007372A (ko)
CN (1) CN1950099A (ko)
TW (1) TW200603745A (ko)
WO (1) WO2005107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5072B2 (en) 2006-09-26 2015-12-08 Georgy Viktorovich Tets Weight reducing composition
JP6371750B2 (ja) * 2015-10-07 2018-08-08 株式会社クラフトマン 免疫活性剤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EP3813555A4 (en) * 2018-06-29 2022-03-30 Tets, Viktor, Veniaminovich COMPOSITIONS FOR MODULATION OF INTESTINAL FLORA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727A (ja) * 1996-10-16 1998-05-12 Snow Brand Milk Prod Co Ltd ミネラ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DK1161886T3 (da) * 1999-02-15 2006-03-27 Ako Kasei Co Ltd Drikkevarer baseret på havvand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deraf
JP2002192169A (ja) * 2000-12-27 2002-07-10 Ako Kasei Co Ltd 海水を原料とした飲料及びその原料水
JP2002332236A (ja) * 2001-05-09 2002-11-22 Shinbijumu:Kk ミネラル含有組成物
JP2003246738A (ja) * 2001-07-02 2003-09-02 Meiteia:Kk マグネシウム強化液並びにそれを用いた保湿剤、化粧品及び飲料
JP2003063969A (ja) * 2001-08-24 2003-03-05 Goshu Yakuhin Kk 海洋深層水より分離したミネラル濃縮液を用いた機能性商品
JP2004065196A (ja) * 2002-08-09 2004-03-04 Suntory Ltd 海水を利用したミネラル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0099A (zh) 2007-04-18
TW200603745A (en) 2006-02-01
JP2005320278A (ja) 2005-11-17
EP1752153A1 (en) 2007-02-14
WO2005107775A1 (ja) 2005-11-17
US20080118577A1 (en)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2442B2 (en) Medicinal composition, food or drink having effect of enhancing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y
US10485836B2 (en) Anti-fatigue composition used for increasing endurance performance, and use of the same
JP2019172642A (ja) 睡眠の質改善剤
JP2006298802A (ja) 血管弛緩作用を呈するクロロゲン酸誘導体とアルギニンとのエステル結合体、それを含有する食品製剤及び化粧品
CN103211141A (zh) 一种口服抗缺氧耐疲劳组合物在保健品中的应用
KR20070007372A (ko) 자율 신경 조절 작용을 갖는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ES2260414T3 (es) Agentes reguladores del sistema autonomo y bebidas y alimentos dieteticos.
JP2013535415A (ja) インスリン抵抗性の治療のための重水素減少水の使用
KR20180002158A (ko) 인삼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JP2012062275A (ja) 脂質燃焼促進剤
US10835567B2 (en) Method for regulating expressions of TPH1 gene, DDC gene, and/or AANAT gene by using banana peel extract
KR20180002157A (ko)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JP2007045750A (ja) 抗疲労剤
KR102607681B1 (ko) 산소수를 포함하는 뇌전증성 발작 또는 경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043857A (ja) ApoA1又はTTR産生促進剤
RU2464996C1 (ru)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тонизирующим, общеукрепляющим и антидепрессантным действием
KR20180044793A (ko) 항피로 식품 조성물 및 항피로제
JP2006022036A (ja) 脳の処理機能を効率化させる作用を有する香気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JP7011400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JP2024069950A (ja) 自律神経調節剤、自律神経調節用飲料及び自律神経調節方法
JP2006348001A (ja) 冷え症改善剤および機能性食品
US20150086654A1 (en) Nutritional energy and focus supplement
KR20160088840A (ko) 부티로락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타메이트 독성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6104067A (ja) 自律神経機能を調節する作用を有する香気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US20190388491A1 (en) Anti-fatigue food composition and anti-fatigue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