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157A -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157A
KR20180002157A KR1020160081259A KR20160081259A KR20180002157A KR 20180002157 A KR20180002157 A KR 20180002157A KR 1020160081259 A KR1020160081259 A KR 1020160081259A KR 20160081259 A KR20160081259 A KR 20160081259A KR 20180002157 A KR20180002157 A KR 2018000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iler
extract
composition
activity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280B1 (ko
Inventor
도재호
곽정원
이선정
이광승
김규일
노정진
Original Assignee
고려인삼제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인삼제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인삼제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2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육계, 계피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을 강하게 저해시키고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을 약하게 저해시키거나 거의 저해시키지 않음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억제시킨다.

Description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removing hangover comprising an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Presl and cinnamomi petiole}
본 발명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을 강하게 저해시키고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을 약하게 저해시키거나 거의 저해시키지 않음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최소화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체내에 섭취된 알코올은 위(胃)에서 20%, 소장(小腸)에서 80% 흡수되며, 흡수되는 속도는 술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알코올 농도가 높을수록 빠르고, 특히 장이 비어 있는 공복 시에 빠르다. 상기 위와 장에서 흡수된 알코올은 혈액을 따라 몸 전체로 퍼지게 되는데 도중에 간장을 통과하면서 분해된다.
상기 간에서의 알코올 대사 과정은 먼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로 산화되고,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 의하여 초산(아세트산, acetic acid, CH3COOH)으로 분해되어 간장 밖으로 배출되며, 체내를 돌며 다시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분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시키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로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외에 미크로솜에타놀산화계효소(MEOS)도 있다. 상기 알코올 탈수소효소(ADH)는 전체 알코올 처리의 약 80~90%를 담당하며, 상기 미크로솜에타놀산화계효소(MEOS)는 나머지 10~20%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와 미크로솜에타놀산화계효소(MEOS)에 의해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는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에 의하여 인체에 해를 미치지 않는 초산(아세트산, acetic acid)으로 바뀌어 간장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독성물질로서, 심장에서 대동맥을 거쳐 몸 구석구석으로 보내진다.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짜여진 혈관을 거쳐 인체 곳곳에 있는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아세트알데히드는 혈관에 충격을 주는데, 적당히 술을 마셨을 경우에는 이런 충격이 혈관을 확장시켜 피의 흐름을 도와주지만, 흡수한 알코올 양이 간의 능력을 초과해 미처 분해되지 못한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가 혈액을 타고 전신을 돌게 되면 인체의 여러 장기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게 된다.
특히,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미주신경, 교감신경 내의 구심성 신경섬유를 자극해 구토, 어지럼증, 동공확대, 심장박동 및 가쁜 호흡 등 알코올 영향(숙취)을 유발하게 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매우 독성이 강해 동물 실험의 경우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억제시켜 간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943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398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을 강하게 저해시키고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을 약하게 저해시키거나 거의 저해시키지 않음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최소화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숙취 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남알데하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육계와 육계나무 엽병이 1 : 0.05 내지 0.6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육계는 25년산으로 비나콘트롤(Vinacontrol, 정유성분) 오일의 함량이 5 내지 3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물을 1 : 5 내지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는 50 내지 1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은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신남알데하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을 강하게 저해시키고,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을 약하게 저해시키거나 거의 저해시키지 않음으로써 알코올 함량은 높게,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은 매우 낮게 생성된다. 즉,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일부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는 초산으로 대사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독성이 없으므로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을 강하게 저해시키고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을 약하게 저해시키거나 거의 저해시키지 않음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최소화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육계는 녹나무과의 육계나무(Cinnamomum cassia;肉桂)의 나무껍질을 의미한다. 육계는 맵고 단맛이 나며 성질이 뜨거워 우리 몸의 기혈 소통을 잘 시켜주는 약재로서, 중추억제, 진정, 진통, 해열,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피부진균 억제 작용을 하며, 허리와 무릎 연약증, 양기부족, 소변을 자주 묽게 보는 것, 설사, 구토,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어혈복통, 종기, 피부궤양, 사지마비동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상기 육계는 비나콘트롤(Vinacontrol) 오일의 함량에 따라 품질 등급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효과의 차이도 생긴다. 구체적으로, 비나콘트롤(Vinacontrol) 오일의 함량이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인 25년산 육계는 YB1이라 하고, 비나콘트롤(Vinacontrol) 오일의 함량이 4 중량% 이상 내지 5 중량% 미만인 20년산 육계는 YB2이라 하며, 비나콘트롤(Vinacontrol) 오일의 함량이 3 중량% 이상 내지 4 중량% 미만인 10 내지 15년산 육계는 YB3이라 하고, 비나콘트롤(Vinacontrol) 오일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9년산 미만의 육계는 YB4이라 한다. 상기 YB1은 YB2 내지 YB4에 비하여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을 강하게 저해시킨다.
상기 육계나무의 엽병은 육계나무 잎에서 잎몸 하측에 위치한 잎자루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득되는 양이 극히 소량이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각각 물에 세척하고 건조한다.
상기 혼합물은 육계와 육계나무 엽병이 1 : 0.05 내지 0.6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2 내지 0.5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육계를 기준으로 육계나무 엽병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월등히 우수한 숙취해소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독성이 유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각각의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물을 1 : 5 내지 10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추출용매로 물이 아니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저급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후에 저급알코올을 제거하기 위하여 감압농축을 하는 경우 신남알데히드(cinnamaldehyde) 등의 유효물질도 같이 제거되므로 추출용매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추출시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물의 중량비가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은 추출물 자체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화하기 위하여 감압농축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세트알데히드 생성을 억제시켜 우수한 숙취해소가 가능한 조성물은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또한, 육계에서 유래된 신남알데하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을 저해시키고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을 약하게 저해시키거나 거의 저해시키지 않는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 디- 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지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의 무게 1 kg 당 300 mg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mg을 1일 1-4회 투여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각각 0.01 내지 8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식사에서 부족할 수 있는 영양소를 보충하거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원료를 보충할 목적으로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1회 섭취가 용이하게 제조 및 가동된 것이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제형에 따라 포도당, 구연산, 액상 올리고당, 옥수수 시럽(corn syrup), 대두 레시틴, 버터, 식물성 경화류, 탈지우유, 설탕, 마가린, 식염, 전분, 밀가루, 물엿, 맥아당, 중조 및 당 에스테르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간 손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지구자(헛개나무) 및/또는 실리마린(밀크씨슬) 등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_1>
대조군 1.
물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 육계 물 추출물
0.5 내지 1 cm의 크기로 절단한 육계 YB4(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육계) 5 g과 정제수 100 ml를 혼합하여 알루미늄호일로 덮고 80 ℃에서 8시간 동안 상압에서 열수추출하여 육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육계 물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육계 YB4 대신 YB1의 육계를 사용하여 육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육계 물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육계 YB4 대신 YB2의 육계를 사용하여 육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육계나무 엽병 물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육계 대신 육계나무의 엽병을 이용하여 육계나무 엽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육계 + 육계나무 엽병 물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육계 단독 대신 육계와 육계나무 엽병이 1 : 0.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계지 물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육계 대신 계지를 이용하여 계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계지는 육계나무의 작은 가지(직경 0.5 cm 내외)를 의미한다.
비교예 2. 계지 + 육계나무 엽병 물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육계 대신 계지와 육계나무 엽병을 1 : 0.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_1>
시험예 1.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 저해활성 측정
시험관에 증류수, 완충액(0.1M-phosphate buffer, pH 7.0), NAD+(6.25 mg/mL buffer soln.), ADH(3 mg/mL buffer soln.) 및 추출물을 30 ℃에서 5분 동안 Preincubation시킨 후 에탄올을 투입하여 30 ℃에서 5분 동안 반응을 수행한 다음 반응을 종료시키고 아이스워터로 냉각시킨 다음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표 2]의 저해활성(%)은 대조구에 대한 상대 저해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저해활성 측정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ADH 저해활성을 자세히 측정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2배 희석하여 조사하였다.
[수학식 1]
저해활성(%) = {1-[(T-CC) - (T-TC)/C-CC]} x 100
T : 시료구의 흡광도, TC : 시료 대조구의 흡광도
C : 효소 반응구의 흡광도, CC : 시료 및 효소 반응 대조구의 흡광도
구분 T TC C CC
증류수 (ml) 0.5 0.5 0.5 0.6
완충액 0.5 0.6 0.6 0.6
NAD 0.15 0.15 0.15 0.15
ADH 0.1 - 0.1 -
추출물 0.10 0.10 - -
에탄올(99.9%) 0.15 0.15 0.15 0.15
구분 대조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ADH
저해활성
(%)
(실험값)
0.0 100.0
(67.5)
122.6
(82.7)
120.5
(81.3)
148.2
(100.0)
129.6
(87.4)
40.5
(27.3)
70.1
(47.3)
위 표 2의 수치는 실시예 1의 저해활성을 기준으로 한 상대활성(%) 및 실험값(괄호 값)으로 나타내었다.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ADH 저해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육계의 품질이 우수한 실시예 2 및 3이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실시예 1(저급의 육계, YB4)보다 약 20% 이상 더 저해하였고, 육계 엽병인 실시예 5는 실시예 1보다 약 50% 정도 더 ADH 활성을 저해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육계나무 엽병 추출물의 ADH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육계와 육계나무 엽병의 혼합 추출물의 ADH 저해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 측정
시험관에 증류수, 완충액(1M-Tris-HCl, pH 8.0), 3M-KCl, 0.33M-2-Mercaptoethanol, NAD+(20 mM, 6.75 mg/ml in buffer), ALDH(2.5 mg/mL buffer soln.) 및 추출물을 25 ℃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아세트알데히드(1 M)를 투입하여 25 에서 5분 동안 반응을 수행한 다음 반응을 종료시키고 아이스워터로 냉각시킨 다음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표 4]의 활성(%)은 대조구에 대한 상대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활성 측정 조건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활성(%) = {[(T-CC) - (T-TC)/C-CC]} x 100
T : 시료구의 흡광도, TC : 시료 대조구의 흡광도
C : 효소 반응구의 흡광도, CC : 시료 및 효소 반응 대조구의 흡광도
구분 T TC C CC
증류수 (ml) 0.5 0.5 0.5 0.55
완충액 0.5 0.55 0.55 0.55
3M-KCl 0.1 0.1 0.1 0.1
0.33M-2-머캅토에탄올 0.1 0.1 0.1 0.1
NAD 0.1 0.1 0.1 0.1
ALDH 0.05 - 0.05 -
추출물 0.05 0.05 - -
아세트알데히드 0.1 0.1 0.1 0.1
구분 대조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ALDH
활성(%)
100.0 94.9 93.6 94.3 91.8 93.6 69.6 73.1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는 대조구에 비해서 ALDH 활성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비교예 1 및 2에 비해서는 ALDH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은 ADH 활성을 강하게 저해시키면서 한편으로는 ALDH 활성을 적게 저해시키거나 거의 저해시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계지가 함유된 비교예 1 및 2는 ALDH 활성이 많이 저해되었다.
시험예 3. 알코올분해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알코올분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동물에 상기 추출물을 알코올과 함께 투여한 다음 1, 3, 5시간 후의 혈중 알코올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여 체내에서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평가하였다.
6주령 SD 랫트에 체중 kg당 3 mL의 알코올을 투여하였고, 시험제품은 알코올 투여 전후 30분에 2회 투여하였다. 알코올을 투여한 시간을 0 hr 보고 1, 3, 5 hr후의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 알코올 농도(%알코올) 아세트알데히드 농도(mg/L)
1 hr 3 hr 5 hr 1 hr 3 hr 5 hr
대조구 0.032 0.035 0.029 8.7 6.8 5.5
실시예 1 0.064 0.048 0.035 0.8 2.1 1.3
실시예 2 0.067 0.052 0.039 0.7 2.3 1.6
실시예 3 0.067 0.051 0.038 0.7 2.2 1.5
실시예 4 0.074 0.055 0.042 0.6 2.3 1.4
실시예 5 0.070 0.053 0.038 0.7 2.0 1.3
비교예 1 0.048 0.040 0.033 1.9 2.9 1.9
비교예 2 0.051 0.042 0.036 1.5 2.6 1.8
위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추출물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되기는 하지만 대조구에 비하여 알코올 함량이 2.0 내지 2.3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1시간 기준).
반면, 실시예 1 내지 5의 추출물은 모든 시간에서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실시예 1 내지 5의 추출물이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간 손상을 최대한 줄여 간이나 뇌 조직을 보호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시험예 4. 호흡 알코올 농도 측정
20 내지 25세 남녀 각각 9명에게 20도 증류수 2 ml/kg_body weigh을 1분 내에 섭취하도록 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100 ml씩 섭취하여 호기성 음주측정기로 알코올 섭취 후 10, 60 및 120분 후에 호흡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대조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호흡 알코올 농도(%) 10분 0.016 0.022 0.024 0.024 0.029 0.023 0.018 0.020
60분 0.018 0.030 0.032 0.032 0.035 0.032 0.020 0.024
120분 0.006 0.012 0.014 0.015 0.018 0.013 0.007 0.010
위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군에서 60분까지는 높은 호흡 알코올 농도를 보였지만, 90분 경과 후부터는 호흡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은 대조구,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호흡 알코올 농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시험예 3 및 4의 결과로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은 알코올 함량은 높게 나타나고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은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pH 2에서 안정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35% HCl을 이용하여 pH 2로 조정한 뒤 37 ℃에서 0.5~4시간까지 처리한 후(위장내 조건) 36% NaOH을 이용하여 pH 7.0으로 조정하여 시험예 1의 방법에 따라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7]의 저해활성(%)은 대조구에 대한 상대 저해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ADH저해활성(%) 0.5 hr 98.0 98.5 97.8 98.4 98.1 40.5 70.1
1 hr 97.3 98.8 97.1 98.1 98.0 39.6 70.5
2 hr 98.0 99.2 98.0 98.6 98.3 40.2 69.2
4 hr 100.0 99.5 99.2 100.0 100.0 39.0 70.0
위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장내의 조건인 pH 2.0, 37 에서 4시간까지 처리한 경우 실시예 1 내지 5의 추출물은 ADH 저해활성에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1 및 2의 추출물은 원래 ADH 저해활성이 낮았지만 pH 2.0에서 4시간까지 그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 실시예 _2>
실시예 6 및 7.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온도를 각각 40 ℃ 및 60 ℃로 수행하여 육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내지 12.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시간을 각각 0.5시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으로 수행하여 육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_2>
시험예 6.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 저해활성 측정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8]의 저해활성(%)은 실시예 1의 저해활성을 기준으로 한 상대활성으로 표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ADH
저해활성
(%)
100.0 49.4 97.8 55.1 97.1 100.0 100.0 100.0
위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온도가 40 ℃인 경우 및 추출시간이 0.5 시간인 경우에는 ADH 저해활성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7.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 측정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9]의 활성(%)은 대조구(0%)에 대한 상대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ALDH
활성(%)
94.9 99.8 94.5 99.5 95.3 95.5 94.6 95.4
위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온도가 40 ℃인 경우 및 추출시간이 0.5 시간인 경우에는 추출물이 적게 추출되어 ALDH 활성이 상대적으로 실시예 1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비교예 _3>
실시예 13. 육계 물 추출물 냉동 건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육계 물 추출물을 냉동건조용 플라스크에 넣고 -40 ℃에서 동결시키고 8 mmHg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10 ℃에서 48시간동안 건조시켜 일정량의 정제수에 용해하였다.
비교예 3. 육계 물 추출물 감압농축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육계 물 추출물을 50 ℃에서 감압농축한 뒤 일정량의 정제수에 용해하였다.
비교예 4. 육계 에탄올 추출물
육계(YB4) 5 g과 80% 에탄올 100 ml를 혼합하여 80 ℃에서 8시간 동안 상압에서 환류냉각 상태로 추출하여 육계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기 위하여 50 ℃에서 감압농축한 뒤 일정량의 정제수에 용해하였다.
< 시험예 _3>
시험예 8.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 저해활성 측정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10]의 저해활성(%)은 실시예 1의 저해활성을 기준으로 한 상대활성으로 표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13 비교예 3 비교예 4
ADH저해활성
(%)
100.0 85.5 1.2 1.8
위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13의 육계 물 추출물은 ADH 저해활성이 높았지만, 감압농축을 수행한 비교예 3 및 에탄올로 추출 후 감압농축을 수행한 비교예 4는 ADH 저해활성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9. 건조량에 따른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 측정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11]의 활성(%)은 대조구(0%)에 대한 상대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13 비교예 3 비교예 4
ALDH
활성(%)
84.9 84.0 98.4 96.4
위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13의 육계 물 추출물은 대조구에 비해 85% 정도의 ALDH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감압농축을 수행한 비교예 3 및 에탄올로 추출 후 감압농축을 수행한 비교예 4는 ALDH 활성이 거의 대조구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 실시예 비교예 _4>
실시예 14. 육계 추출물
육계(YB4)를 균질하게 분쇄(100 mesh)한 분말 1.0 g을 플라스크에 넣고 메탄올 50 ml를 넣어 1시간 동안 실온에서 초음파 추출한 다음 침전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액을 메탄올에 넣어 50 ml로 정용한 후 Agilent 1200 series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시험예 _4>
시험예 10. 주요성분에 대한 알코올 탈수소효소( ADH )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4의 여액으로부터 신남산(cinnamic acid), 신남알데하이드(cinnamaldehyde), 유게놀(eugenol)을 분리하였으며, 상기 물질에 대한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저해활성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되,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농도는 물 1.5 ml내에 용해된 물질의 농도를 의미한다.
[수학식 3]
활성(%) = {[(T-CC) - (T-TC)/C-CC]} x 100
T : 시료구의 흡광도, TC : 시료 대조구의 흡광도
C : 효소 반응구의 흡광도, CC : 시료 및 효소 반응 대도구의 흡광도
농도(ug/1.5ml) ADH활성(%)
신남산 신남알데하이드 유게놀
6.25 112.6 105.5 118.8
12.5 116.2 96.4 119.7
25.0 118.8 75.7 122.7
50.0 118.8 42.7 127.2
위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남알데하이드는 12.5 ug/1.5ml 이상의 농도부터 신남산 및 유게놀과 달리 ADH 활성을 저해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1. 주요성분에 대한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저해활성 측정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농도(ug/1.5ml) ALDH활성(%)
신남산 신남알데하이드 유게놀
6.25 90.4 93.2 92.4
12.5 92.7 99.3 96.8
25.0 95.9 99.7 97.1
50.0 98.9 102.9 90.4
위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남알데하이드, 신남산 및 유게놀 모두 ALDH 활성이 100%에 약간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 ,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u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u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u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u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육계와 육계나무 엽병이 1 : 0.05 내지 0.6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물을 1 : 5 내지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온도는 50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5. 육계, 육계나무의 엽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기능식품.
  7. 신남알데하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160081259A 2016-06-29 2016-06-29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870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259A KR101870280B1 (ko) 2016-06-29 2016-06-29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259A KR101870280B1 (ko) 2016-06-29 2016-06-29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57A true KR20180002157A (ko) 2018-01-08
KR101870280B1 KR101870280B1 (ko) 2018-06-22

Family

ID=6100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59A KR101870280B1 (ko) 2016-06-29 2016-06-29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123A1 (en) * 2018-04-27 2019-10-31 Remedius Biotech Limited Diagnosis, risk reduction and treatment of conditions associated with elevated aldehyde leve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729B1 (ko) 2019-11-27 2021-06-17 한국한의약진흥원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488A (ko) * 2005-03-17 2006-09-21 김문창 숙취해소용 음료
KR101394358B1 (ko) 2013-10-08 2014-05-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539864B1 (ko) 2013-01-30 2015-07-28 이항종 숙취해소 음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488A (ko) * 2005-03-17 2006-09-21 김문창 숙취해소용 음료
KR101539864B1 (ko) 2013-01-30 2015-07-28 이항종 숙취해소 음료
KR101394358B1 (ko) 2013-10-08 2014-05-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숙취 해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야(Yinya) - 육계(Rou Gui), 네이버 블로그 (2012.10.31.), (출처> https://blog.naver.com/winner2004/2017004170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123A1 (en) * 2018-04-27 2019-10-31 Remedius Biotech Limited Diagnosis, risk reduction and treatment of conditions associated with elevated aldehyde lev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280B1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7324A2 (en) Agen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ypertension
KR101974442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US10485836B2 (en) Anti-fatigue composition used for increasing endurance performance, and use of the same
JPH08225453A (ja) リポプロテイン(a)低下剤及び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医薬
KR101859166B1 (ko) 인삼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870280B1 (ko)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JP5281268B2 (ja) 筋力向上剤
DE60212015T2 (de) Autonomsystem kontrollagentien und gesundheitsgetränke und -nahrungsmittel
JP2009196931A (ja) 抗肥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飲食品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US20070053929A1 (en) Marine algae extract and lipase inhibitor containing the same
JP5187935B2 (ja) 羅漢果エキスを含有する創傷治癒促進組成物と適用方法
KR101142759B1 (ko) 염증성 장 질환 개선제 조성물
RU2670612C9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ожир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α-липоевую кислоту и N-ацетилцистеин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ых ингредиентов
JP2008074734A (ja) 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剤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JP6677775B2 (ja) 筋肉増強剤
JP2010037334A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及び尿酸生成阻害剤
WO2018151334A1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02156A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1886802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JP2006348001A (ja) 冷え症改善剤および機能性食品
KR20170055366A (ko)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2815756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