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7263A - 조명용 반사판 및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용 반사판 및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263A
KR20070007263A KR1020067013124A KR20067013124A KR20070007263A KR 20070007263 A KR20070007263 A KR 20070007263A KR 1020067013124 A KR1020067013124 A KR 1020067013124A KR 20067013124 A KR20067013124 A KR 20067013124A KR 20070007263 A KR20070007263 A KR 2007000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plate
reflecting
reflective material
illumination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096B1 (ko
Inventor
유키히로 마에다
코조 타카하시
타다미 마츠야마
Original Assignee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유지성과 유연성·경량성을 겸비한 조명용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한쪽의 면측의, 파장 400~700㎚에 대한 평균반사율이 85%이상인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로서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을 갖는 반사재료1과, 가요성을 갖는 보강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보강재료가 반사재료1의 상기 한쪽의 면측의 이면측으로부터 오목부의 저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요철형상을 보강하는 조명용 반사판이다.

Description

조명용 반사판 및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LIGHTING REFLECTION PLATE AND INFORMATION DISPLAYING BACKLIGHT DEVICE}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 분배하는 조명용 반사판에 관한 것이다.
조명용 반사판의 반사재료로서는 경면처리된 금속이나, 보이드 등에서 생기는 계면이나 투명 유전체의 적층구조를 반사에 이용한 고분자막 등이 알려져 있다. 고분자막은 온도나 습기의 영향 등에 의한 열화의 영향이 작고, 경량이며 반사효율이 좋은 반사재료를 얻을 수 있고, 보이드에서 생긴 계면을 이용한 고분자막 등에서는 확산 반사로 함으로써 균일하게 빛을 공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등 뛰어난 특성을 가지므로,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등 큰 면적에서 균일하게 빛을 낼 필요가 있는 조명용 반사재료로서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고분자막재를 사용한 입체구조재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조명용 반사판으로서 알루미늄판에 고분자막을 부착하여 절곡가공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구조재는 튼튼하고 형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가공공정이나 수송 중 등에 제품이 외력을 받으면 제품형상에 변형이 남기 쉬워 설계시의 광학성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프레임으로의 설치도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량이 무겁고, 깊게 구부리거나 여러 가지 형상이 복합된 복잡한 형상을 실현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2에는, 1㎜두께정도의 백색 고분자막을 구부림 가공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구조재에는 가공공정이나 설치시에 절곡부를 깊게 구부리거나 펼치거나 하면 소재가 파단되기 쉽고, 막재에 응력변형이 잔존하기 쉬워 고정밀도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평11-198284호 공보([0022]~[0045]단락)>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개 2003-22701호 공보([0012]~[0018]단락)>
본 발명은, 형상유지성과 유연성·경량성을 겸비한 조명용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적어도 한쪽의 면측의, 파장 400~700㎚에 대한 평균반사율이 85%이상인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로서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을 갖는 반사재료1과, 가요성을 갖는 보강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보강재료가 반사재료1의 상기 한쪽의 면측의 이면측으로부터 오목부의 저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요철형상을 보강하는 조명용 반사판(제1의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
[2] 반사재료1 및 보강재료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에 기재된 조명용 반사판.
[3] 반사재료1이, 그 적어도 볼록부의 능선부분의 이면측에 홈을 갖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조명용 반사판.
[4] 복수의 반사재료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용 반사판.
[5] 복수의 반사재료1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4]에 기재된 조명용 반사판.
[6] 적어도 한쪽의 면측의 파장 400~700㎚에 대한 평균반사율이 85%이상인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로서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을 갖지 않는 반사재료2를 더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조명용 반사판.
[7] 복수의 반사재료를 연결하는 연결재료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4]~[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용 반사판.
[8] 반사재료1, 보강재료 및 연결재료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7]에 기재된 조명용 반사판.
[9] 적어도 한쪽의 면측의, 파장 400~700㎚에 대한 평균반사율이 85%이상인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가 반사판의 저부와 연속하는 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부와 상기 측부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면측의 이면측에 홈을 갖는,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용 반사판.
[10] 적어도 한쪽의 면측의 반사율이 85%이상인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가 반사판의 저부와 연속하는 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부와 상기 측부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면측의 이면측에 홈을 갖는 조명용 반사판(제2의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
[11] 상기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용 반사판을 이용해서 이루어지는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형상유지성과 유연성·경량성을 겸비한 조명용 반사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광학적 설계를 충실하게 재현하고, 또한 프레임 등으로의 실장작업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등, 설치시나 반송시의 취급성이 뛰어난 조명용 반사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조명용 반사판의 개념도이다.
도 2는, 테이프형상의 보강재료에 의한 조명용 반사판의 이면개념도이다.
도 3은, 반사재료1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절곡가공에 의한 이랑형상 돌기를 갖는 반사재료의 개념도이다.
도 5는, 가로대형상 부재의 부착에 의한 이랑형상 돌기를 갖는 반사재료의 개념도이다.
도 6은, 조명용 반사판의 단면개념도이다.
도 7은, 정상부의 정점부분의 단면개념도이다.
도 8은, 반사재료가 접혀 구부러지는 부분을 전개했을 때의 홈부분의 단면개념도 예1이다.
도 9는, 반사재료가 접혀 구부러지는 부분을 전개했을 때의 홈부분의 단면개념도 예2이다.
도 10은, 반사재료가 접혀 구부러지는 부분을 전개했을 때의 홈부분의 단면개념도 예3이다.
도 11은, 복수의 반사재료1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조명용 반사판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테이프형상의 연결재료에 의해 일체화된 조명용 반사판의 이면개념도이다.
도 13은, 반사재료1과 평면형상의 반사재료로 이루어지는 조명용 반사판예의 개념도이다.
도 14는, 우물정(井)자상의 형상을 갖는 조명용 반사판예의 개념도이다.
도 15는, 반사재료2의 예의 개념도이다.
도 16은, 우물정자상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반사재료1에 내는 노치예의 개념도이다.
도 17은, 표면형상의 차이부분을 특별히 처리하고 있지 않은 예의 개념도이다.
도 18은, 표면형상의 차이부분을 막은 예의 개념도1이다.
도 19는, 표면형상의 차이부분을 막은 예의 개념도2이다.
도 20은, 표면형상의 차이부분의 소재를 겹친 예의 개념도1이다.
도 21은, 표면형상의 차이부분의 소재를 겹친 예의 개념도2이다.
도 22는, 연결재료에 밀봉재의 기능을 갖게 한 예의 개념도이다.
도 23은, 반사재료의 재단형상예의 개념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재단형상으로 재단한 반사재료에 이랑형상의 요철을 부여해서 반사재료1로 한 것의 개념도이다.
도 25는, 실시예6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실시예6의 설치성 자유도를 평가했을 때의 개념도이다.
도 27은, 실시예6에 구멍을 뚫은 설치안정성 평가용 샘플의 개념도이다.
도 28은, 설치안정성 평가대를 옆에서 본 개념도이다.
도 29는, 백라이트 정면 휘도평가시의 냉음극관과 샘플의 횡단면 개념도 및 정면 휘도분포 개념도를 겹쳐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0은, 실시예8의 반사재료1의 전개 개략도이다.
도 31은, 실시예8의 반사재료2의 전개 개략도이다.
도 32는, 실시예9의 반사재료1의 전개 개략도이다.
도 33은, 실시예9의 반사재료1의 단면개략도이다.
도 34는, 실시예9의 조명용 반사판 샘플의 단면개략도이다.
도 35는, 백라이트 정면 휘도평가2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설정의 개념도이다.
도 36은, 백라이트 정면 휘도평가2에 있어서의 휘도측정범위의 개념도이다.
도 37은, 반사판의 저부와 연속하는 측부를 형성하는 조명용 반사판의 단면개념도이다.
도 38은, 반사판의 저부와 연속하는 측부를 형성하는 조명용 반사판에 있어서의 측부 개폐에 관한 단면개념도이다.
도 39는, 반사판의 저부와 연속하는 측부를 형성하는 조명용 반사판예의 개 념도이다.
도 40은, 반사판의 저부와 연속하는 측부를 형성하는 조명용 반사판예의 이면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반사재료1 2 보강재료
3 볼록부의 능선부분 4 반사재료
5 이랑형상 돌기 6 정점사이의 간격(D)
7 높이(H) 8 정점의 곡률반경(R)을 구하기 위한 원
9 홈 10 반사재료에 복합한 재료
11 연결재료 12 평면형상의 반사재료
13 U자형 냉음극관
14 표면형상의 차이를 막는 형상으로 가공한 반사재료
15 밀봉재의 기능을 갖게 한 연결재료
16 반사재료2 17 반사재료1
18 보강재료·연결재료 19 정면 휘도평가용의 조명용 반사판 샘플
20 냉음극관 21 정면 휘도 분포 곡선
22 U자형 냉음극관을 상정한 철사모델
23 6㎜φ의 구멍 24 알루미늄판
25 금속핀 26 설치각도
27 흑테이프
28 사방 100㎜×100㎜의 통형상으로 가공한 재료a
29 피크 위치 30 유효 데이터 범위
31 휘도 데이터 측정범위 32 저부
33 측부 34 저부와 측부의 경계
35 절곡각도(A) 36 가장자리부
37 가장 접힌 상태의 절곡각도(AcMAX)
38 가장 열린 상태의 절곡각도도(AoMAX)
39 절곡각도 차(ΔA(=AoMAX-AcMAX))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은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를 갖는다. 상기 고분자막으로서,
(1)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유기, 무기의 염료, 미립자 등을 첨가한 것
(2) 구성하는 수지성분에 상기 수지성분과는 비상용성의 수지, 및/또는 유기 혹은 무기의 입자를 혼합해서 용융 압출한 후,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신하여, 내부에 미세한 보이드를 형성시킨 것
(3) 발포성 입자를 첨가하고, 용융 압출함으로써 발포시킨 것
(4) 탄산가스 등의 기체를 주입해서 압출 발포시킨 것
등, 겉보기상 백색성을 갖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특히, 반사율·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서 상기 (2)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2)의 입자의 입경이나 종류, 수지성분 조성의 차이 등에 의해 각 층에 있어 서의 보이드의 크기를 제어하고, 표층의 보이드의 사이즈를 내층의 그것보다 작게 한 것도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막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용융 압출에 의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치수안정성이나 기계적 특성이 양호하고, 가시광선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가 거의 없거나 하는 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호모 폴리머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코폴리머로서 사용해도 된다. 코폴리머로서 사용할 경우의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탄소수2~15의 디올성분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프탈산, 술폰산염기함유 이소프탈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화합물,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수평균 분자량 400~20,000의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반사재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내열안정제, 내산화 안정제, 윤활제, 유기, 무기의 미립자, 내광제, 대전방지제, 핵제, 커플링제 등이 혼련이나 도포 등에 의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되게 광학특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내광제를 함유하는 것은 바람직하고, 최표면측에 내광제를 함유하는 보호층을 갖는 것은 보다 바람직하다. 내광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트리아진계, 벤조에이트계, 옥살산아닐리드계 등의 유기계의 광안정제나 그들의 광안정화 구조를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머, 혹은 졸겔 등의 무기계의 광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내광제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힌더드아민계: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숙신산디메틸·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축합물.
살리실산계:p-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벤조페논계: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비스(2-메톡시-4-히드록시-5-벤조일페닐)메탄.
벤조트리아졸계: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놀)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5'- 메타아크릴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도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아크릴로일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상기 이외:니켈비스(옥틸페닐)설파이드, [2,2'-티오비스(4-t-옥틸페놀레이트)]-n-부틸아민니켈, 니켈 착물-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인산모노에틸레이트, 니켈·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2,4-디-t-부틸페닐-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디·t-부틸페닐-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에톡시-2'-에틸옥살산비스어닐리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에 있어서, 반사재료의 반사특성은 그 적어도 한쪽면측의, 파장 400~700㎚에 대한 평균반사율이 85%이상인 것으로 정의된다. 파장 400~700㎚에 대한 평균반사율이란, JIS Z 8722에 준해서 400~700㎚의 파장범위의 분광반사율을 10㎚간격으로 측정하여, 각 측정값의 산술평균값를 취한 것이다.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평균반사율로서는 87%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이상이다.
또한, 조명용 반사판이 광학특성을 발휘하도록 주어져 있는 입체구조가 제조과정이나 사용 중에 간단하게 변화되는 일이 없도록, 반사재료로서 150℃×30분의 폭로조건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이 1.8%이하인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고, 상기 열수축률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하이다.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에 사용되는 반사재료는, 용도에 맞춰서 복합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반사특성이 다른 재료를 2장 붙여서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또, 조명용 반사판의 이면으로 빛이 새는 것을 피하는 용도에 있어서는, 흑색 등의 착색필름이나 금속박과 접합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복합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복합 상대소재: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필름, 알루미늄박, 철박, 동박.
복합방법:점착, 접착, 열융착.
또한, 반사재료를 구성하는 재료의 이면측에, 인쇄나 증착에 의해 차광층이나 전열층, 도전층,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복합되는 부분으로서는, 구성재 전체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혹은 부분마다 따로 따로의 복합형태를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에 있어서, 반사재료의 표면형상으로서는 광학특성이나 설치용이성이나 취급성 향상 등의 요구에 맞추어 평면형상, 이랑형상이나 파도형상, 톱니형상, 거친살갗형상, 우물정자형상, 체크무늬형상이나 딤플형상 등의 요철형상이나 각각의 조합 등, 적절히 설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 을 조명용 반사판의 이면측에 형성하는 것도, 조명용 반사판 표면의 광학적인 영향이나 물리적인 제약을 작게 하면서, 설치용이성이나 취급성 향상 등의 요구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형태이다. 특히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형상을 형성할 경우, 반사판 표면으로의 광학적인 영향이 작기 때문에, 붙이는 부재 소재나 크기, 형상을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므로 바람직한 형태이다. 같은 이유에서, 복합된 재료를 이용한 반사재료에 있어서는, 상기 형상을 조명용 반사판의 이면측에 맞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반사재료는 다음에 서술하는 반사재료1의 이랑형상의 요철형상 외, 후술하는 보강재료에 의해 보강되지 않는, 보다 세밀한 이랑형상 돌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이랑형상 돌기는, 경량이고 또한 얇은 두께의 반사판을 취급할 때에 접혀 구부러지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랑형상 돌기의 형상이나 배치, 조합은 조명용 반사판의 취급성이나 설계상 필요로 하는 구조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랑형상 돌기에 의한 광학적인 영향이나 물리적인 제약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랑형상 돌기를 광원의 아래에 배치하는 구성은 바람직한 형태이며, 상기 이랑형상 돌기의 치수로서는 폭 0.5~10㎜, 높이 0.5~10㎜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폭 0.5~5㎜, 높이 0.5~5㎜, 더욱 바람직하게는 폭 1~3㎜, 높이 1~3㎜이다. 상기 이랑형상 돌기를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절곡가공, 열 프레스, 가로대형상 부재의 접합 등으로부터, 조명용 반사판의 요구특성이나 제작공정에 맞춰서 선택할 수 있다.
제1의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은, 적어도 한쪽의 면측의 반사율이 85%이상 인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로서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을 갖는 반사재료1을 갖는다.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을 갖는 반사재료1을 설치해서 이루어짐으로써, 형광등이나 냉음극관 등의 선형상 광원끼리의 빛의 혼합을 막음과 아울러, 선형상 광원을 효율적으로 면광원으로 하고, 선명한 표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반사재료1이 갖는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으로서는 선형상 광원의 형상 등, 용도에 맞춰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형광등이나 냉음극관 등의 선형상 광원을 면광원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조명용 반사판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정상부의 정점사이의 간격(D)은 0.5~5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부로부터 정상부의 정점까지의 높이(H)는 0.5~5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름 2~6㎜의 냉음극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D는 10~50㎜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H는 3~15㎜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밀도로 배치된 광원에 대응하는 경우 등 볼록부를 예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사재료1의 볼록부의 능선부분을 이루는 직선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형상에 있어서, 능선부분의 정점의 곡률반경(R)이 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이하이다.
반사재료1은, 그 적어도 볼록부의 능선부분의 이면측에 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을 갖는 것에 의해, 접어 구부림에 의한 스트레스를 경감해서 주름이나 파단 등의 표면형상이나 재질의 현저한 열화를 막으면서 광학설계를 따른 볼록부 형상을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다.
홈은 예를 들면 다음에 나타내는 구체예로부터 반사재료1의 재질이나 두께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홈형상:V자형, U자형, コ자형, 직선형
홈구성: 눌러 찌부러뜨리기, 뚫어 관통하기, 일부 절단
예를 들면, 반사재료의 두께가 그다지 두껍지 않고 내부에 공극을 갖는 소재일 경우에는, 눌러 찌부러뜨리기에 의해 V자형이나 U자형의 홈을 형성하는 것은 소재강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일이 아니므로 바람직한 형태이다. 한편 내부의 공극에 의한 계면반사에 의해 반사율을 높리고 있는 타입의 반사재료에 있어서는, 내부의 공극을 찌부러뜨려 버림으로써 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반사재료의 표층을 일부 절단해서 홈을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도 8, 도 9, 도 10에 반사재료가 접혀 구부러지는 부분을 전개했을 때의, 홈부분(9)의 단면의 예를 나타낸다.
단 반사재료1은, 볼록부의 능선부분에 실질적으로 관통부를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관통부란, 점선의 절단부와 같이 반사재료의 표면측에서 이면측까지 소재를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부를 가지지 않음으로써 그곳에서부터 빛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에 있어서, 복수의 반사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광학설계에 충실한 반사판 형상을 공업적으로 실현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반사재료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복잡한 배광 패턴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반사재료1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반사재료로서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을 갖지 않는 반사재료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광원형상이나 배치에 대응한 복잡한 표면형상을 갖는 조명용 반사판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이다. 예를 들면, U자형 냉음극관을 복수 사용한 조명에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을 사용할 경우, 도 13에 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음극관의 직선부를 사이에 두도록 이랑형상의 요철을 갖는 반사재료1을 배치하고, 냉음극관이 구부러져 있는 부분에 평면형상의 반사재료를 배치하도록 조합하는 것은, 광학설계와 물리적 한정조건을 양립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또한, 대형 액정TV용 백라이트 장치 등과 같이 조명용 반사판의 위에 광원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 광원을 지지하는 부재를 설치하는 부분은 반사판이 평면형상으로 되는 면적을 크게 하고, 상기 지지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부분은 입체구조로 되는 면적을 크게 하는 것도 광학설계와 물리적 한정조건을 양립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또한, 반사재료1과 반사재료2를 조합하는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로서, 도 14에 예를 나타내는 우물정자형상(parallel crosses)이 있다. 상기 형상의 요철을 갖는 형태로 함으로써, 빛의 확산범위와 분리범위를 조정할 수 있게 되고, 반사판의 부분 부분에 있어서의 빛의 색성분이나 조도를 센서로 감지해서 제어할 경우 등에, 제어성과 조명으로서의 요구특성의 밸런스에 따른 조명용 반사판 형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우물정자형상의 요철은 예를 들면, 반사재료1의 이랑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노치를 내고, 상기 노치부분에 도 15에 나타내어지는 형상의 반사 재료2를 삽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노치형상이나 그 노치에 삽입하는 반사재료의 형상은, 원하는 광학적인 설계에 맞춰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반사재료2에는 상술과 같은, 반사재료1이 갖는 이랑형상의 요철형상보다 세밀한, 보강재료에 의해 보강되지 않는 이랑형상 돌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에 있어서, 반사재료끼리의 경계의 형상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재료끼리의 표면연속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조합되는 반사재료끼리의 표면형상이 다를 경우에, 한쪽의 반사재료로 차이부분을 커버하는 것이나 차이부분을 밀봉재로 막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특히 표면형상의 차이를 처리하고 있지 않은 예를 도 17에 나타내고, 표면형상의 차이부분을 막은 것의 예를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다. 또, 차이부분에 있어서의 기능면의 연속성을 얻기 위해, 조합되는 반사재료를 겹쳐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겹쳐서 사용한 것의 예를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다.
제1의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은, 상기 반사재료1 외에 가요성을 갖는 보강재료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재료가 반사재료1의 상기 한쪽의 면측의 이면측으로부터 오목부의 저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요철형상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구성을 가짐으로써, 고분자재료로서의 유연성·경량성을 가지면서 형상유지성도 갖춘 조명용 반사판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보강재료의 소재는 용도에 맞춰서 고분자막, 천, 부직포 등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용도에 맞춰서 보강재료에 반사, 차광, 전열, 방열, 도전, 절연 등의 기능성 을 부여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예를 들면, 보강재료도 반사재료로서의 반사성능을 만족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재료의 소재로서, 상술과 같은 반사재료의 소재도 바람직하게 원용할 수 있다.
폐기성이나 리사이클성을 고려했을 경우, 보강재료에 반사재료와 같은 계열의 고분자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예를 들면, 반사재료1 및 보강재료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폐기성이나 리사이클성이 뛰어난 것 외에, 반사판의 경량화나 소재물성의 안정성도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재료에 반사재료와 같은 주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보강의 형태로서, 하나의 보강재료가 반사재료 전체를 보강할 것인지 혹은 부분적으로 보강할 것인지는 용도에 맞춰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량화나 사용량의 절감을 위해 테이프형상의 보강재료로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또, 생산공정의 간략화를 의도하는 경우나 조명용 반사판에 높은 형상유지성을 요구하는 용도에 있어서는, 전체를 보강재료로 일체화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반사재료와 보강재료의 전체 접촉면을 일체화시킬지, 부분적으로 일체화시킬지는 용도나 구성소재에 맞춰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반사재료와 보강재료의 전체 접촉면을 일체화시키는 것은 강고하게 일체화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형태이며, 부분적으로 일체화시키는 것은, 열수축률차나 열팽창율차를 흡수하여 조명 용 반사판 전체로서 구조의 변형이 발생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반사재료와 보강재료를 일체화시키는 수단은, 용도에 맞춰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예를 들면 점착제, 접착제, 열융착, 갈고리 고정, 나사 고정, 스티칭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2축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료를 점착제에 의해 반사재료와 일체화시키는 것은, 반사재료를 열적 혹은 물리적인 데미지에 의해 열화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에 있어서, 상술과 같이 복수의 반사재료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의 경우,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반사재료의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원하는 광학특성이 손상되는 것을 막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연결재료 소재는 용도에 맞춰서 고분자막, 천, 부직포, FRP, 금속박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수송 중이나 작업 중에 받는 충격 등에 의한 변형의 발생을 막고, 바람직한 형상을 따를 수 있도록 조명용 반사판이 변형에 대하여 추종할 수 있게 되므로 연결재료가 가요성을 나타내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용도에 맞춰서 연결재료에 반사, 차광, 전열, 방열, 도전, 절연 등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예를 들면, 연결재료도 반사재료로서의 반사성능을 만족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재료의 소재로서 상술과 같은 반사재료의 소재도 바람직하게 원용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료가 연결재료의 역할을 겸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은, 반사판의 구성을 단순하게 함으로써 신뢰성의 향상이나 경량화나 비용절감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폐기성이나 리사이클성을 고려한 경우, 연결재료에 반사재료와 같은 열의 고분자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예를 들면 반사재료1, 보강재료 및 연결재료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폐기성이나 리사이클성이 뛰어난 것 외에, 반사판의 경량화나 소재물성의 안정성도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재료에 반사재료와 같은 주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연결의 형태로서, 하나의 연결재료가 복수의 반사재료 전체를 연결할지 혹은 부분적으로 연결할지에 대해서는, 연결재료가 가요성을 갖고 보강재료의 역할을 겸할 경우에는, 상술의 보강재료와 같이 용도에 맞춰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연결재료가 가요성을 갖지 않는 것일 경우에는 반사판으로서의 유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재료와 연결재료의 전체 접촉면을 일체화시킬지, 부분적으로 일체화시킬지는 용도나 구성소재에 맞춰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반사재료와 연결재료의 전체 접촉면을 일체화시키는 것은 강고하게 일체화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형태이며, 부분적으로 일체화시키는 것은, 열수축률차나 열팽창율차를 흡수하여 조명용 반사판 전체로서 구조의 변형이 발생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반사재료와 연결재료를 일체화시키는 수단은 용도에 맞춰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고, 예를 들면 점착제, 접착제, 열융착, 갈고리 고정, 나사 고정, 스티칭 등 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2축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재료를 점착제에 의해 반사재료와 일체화시키는 것은, 반사재료를 열적 혹은 물리적인 데미지에 의해 열화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또한, 연결재료에 상술의 밀봉재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연결재료에 밀봉재의 기능을 갖게 한 예를 도 22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23과 같은 형상으로 재단한 반사재료1에 도 24와 같이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을 부여한 후에 보강재료로 보강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을 한 조명용 반사판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제2의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은 반사재료가 반사판의 저부와 연속 하는 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부와 상기 측부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면측의 이면측에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품은, 상기 저부와 상기 측부의 경계에 있어서 통상, 관통부를 갖는 점선을 채용하고 있었지만, 홈을 채용함으로써 조명 케이스체의 내부형상에 추종하는 양호한 설치성을 가지면서, 반사판의 설치시나 잘못된 설치를 수정할 때에 상기 저부와 상기 측부의 경계로부터 파손되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저부와 측부의 경계에 있어서 파단 등의 표면형상이나 재질의 현저한 열화를 막고 광학설계를 충실하게 재현하기 위해서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 저부와 측부의 경계가 실질적으로 관통부를 가지지 않는 것은, 관통부로부터 빛이 새는 것을 막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제2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홈이나 반사재료에 대해서는, 상술의 제1의 본 발명에서의 것을 원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본 발명과 제2의 본 발명을 조합한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에서, 설계시의 광학특성을 유지하는데 있어, 70℃, 9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폭로 전·후의 저변 장변측 치수와 저변 단변측 치수를 각각 W0, W, L0, L로 하고, 상기 폭로 전후의 치수변화량의 차의 절대값을 ΔW(=|W0-W|),ΔL(=|L0-L|)로 했을 때,
ΔW/W0≤0.02 또한 ΔL/L0≤0.02
인 것이 바람직하고,
ΔW/W0≤0.01 또한 ΔL/L0≤0.01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ΔW/W0≤0.007 또한 ΔL/L0≤0.00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치수안정성을 얻는데 있어서, 구성재료가 열가소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할 경우에는 사용온도이상, 바람직하게는 70℃이상의 온도에서 반사판의 형상으로의 열고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은, 여러 가지 광원형상에 대응한 임의의 광학설계를 반영하는 입체구조를 얻기 쉬우므로, 간판용 광원이나 액정TV용 백라이트 등의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측정·평가방법]
(1)평균반사율
분광식 색차계로서 니혼덴쇼쿠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SE-2000형을 사용하고, JIS Z 8722에 준해서 400~700㎚의 파장범위의 분광반사율을 10㎚간격으로 측정하여, 각 측정값의 산술평균값를 얻었다.
(2)반사재료 등의 열수축률
150℃의 건열하에서 30분간 열처리를 행하고, 열처리 전의 원래 길이에 대한 수축률을 산출했다. 시료수는 n=5로 했다.
(3)정상부의 정점의 곡률반경(R)
반사재료1에 있어서의 이랑의 단면을 직척(直尺)(신와소쿠테이 가부시끼가이샤제 C형 JIS 1급 150㎜)의 눈금과 함께, 디지털 카메라(캐논 가부시끼가이샤제 IXY DIGITAL 400)로 촬영하여, 10배로 확대한 사진으로부터 정점부의 곡률을 따른 원(도 7 참조)의 지름(φ)을 캘리퍼스로 계측하고, 마찬가지로 측정한 직척의 눈금으로부터 배율(X)을 계산해서 실제의 곡률반경(R)(=φ/2X)을 구했다. 또한, 점선에 의해 소재가 관통되어 있는 부분과 연속하고 있는 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소재가 연속하고 있는 부분을 바탕으로 곡률반경을 구했다. 구한 곡률반경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R≤0.7㎜
B:0.7㎜<R≤1.0㎜
C:1.0㎜<R
(4)접은 금의 외관(실시예1~5, 비교예1,2)
반사재료1에 가능한 모든 접은 금에 대해서, 개관관찰 및 확대관찰(토우카이산교 가부시끼가이샤제 피크·루페 22×를 사용)을 행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개관관찰)
A:어떤 접은 금에도 현저한 주름은 관찰되지 않고, 접은 금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B:적어도 일부의 접은 금에 주름은 있지만, 접은 금은 대부분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C:적어도 일부의 접은 금에 큰 주름에 의해, 접은 금이 지그재그로 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
(확대관찰)
A:어떤 접은 금에도 현저한 주름은 관찰되지 않는다.
B:적어도 일부의 접은 금에 주름이 발생되어 있다.
C:적어도 일부의 접은 금에 균열이 발생되어 있다.
(5)접은 금의 외관(실시예10,11, 비교예8~10)
반사판의 저부 및 그것과 연속하는 측부를 형성하는 반사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저부와 상기 측부의 경계부에 대해서 개관관찰 및 확대관찰(토우카이산교 가부시끼가이샤제 피크·루페 22×를 사용)을 행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현저한 주름은 관찰되지 않고, 경계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B:주름은 있지만, 경계는 대부분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C:큰 주름에 의해, 경계가 지그재그로 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
(6)광누설(실시예10,11, 비교예8~10)
상기 (5)의 경계부분을 형광등에 비추어 눈으로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경계에 광누설은 관찰되지 않는다.
B:경계에 랜덤한 광누설은 관찰되지 않지만, 같은 피치의 광누설이 관찰된다.
C:경계에 랜덤으로 현저한 광누설이 관찰된다.
(7)측부의 개폐성(실시예10,11, 비교예8~10)
상기 (5)의 경계부분에 대하여 하기의 범위에서 개폐를 행했다. 경계부분의 관찰은 반사재료의 표리 양측으로부터 개관관찰이나 확대관찰(토우카이산교 가부시끼가이샤제 피크·루페 22×를 사용)을 행하여, 균열이나 접은 금 이외의 부분까지 미치는 주름의 발생·성장 등을 가지고 현저한 손상으로 했다. 또한, 하기 조건에 있어서의 각도는 저부와 측부의 경계부분에 있어서의 각도로 한다.
C:70 °~100°의 범위에서 10회 개폐를 행한 후에, 경계부분의 접은 금에 현저한 손상이 관찰된다.
B:상기 C의 개폐에서는 현저한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50°~110°의 범위에서 10회 개폐를 더 행한 후에, 경계부분의 접은 금에 현저한 손상이 관찰된다.
A:상기 C,B의 개폐에서는 현저한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8)치수변화(ΔD,ΔH)(실시예1~5, 비교예1,2)
70℃, 9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폭로하고, 폭로 전·후의 인접하는 정상부의 정점 사이의 간격을 D0, D, 폭로 전·후의 저부로부터 정상부의 정점까지의 높이를 H0, H로 해서 캘리퍼스로 측정하고, 상기 폭로 전후의 치수의 차의 절대값 ΔD(=|D0-D|), ΔH(=|H0-H|)가 취하는 값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C:1.0㎜를 넘는다.
B:1.0㎜이하이지만, 0.5㎜를 넘는다.
A:0.5㎜이하이다.
(9)치수변화(ΔW/W0, ΔL/L0)(실시예10,11, 비교예8)
70℃, 9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폭로하고, 폭로 전·후의 저부의 장변측 치수를 W0,W, 폭로 전·후의 저부의 단변측 치수를 L0,L로 하며, 상기 폭로 전후의 치수의 차의 절대값 ΔW(=|W0-W|),ΔL(=|L0-L|)로 했을 때, ΔW/W0와 ΔL/L0가 취하는 값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C:ΔW/W0와 ΔL/L0 중 어느 하나가 0.2를 넘는다.
B:ΔW/W0 모두 0.2이하이지만, 그들 중 어느 하나가 0.007을 넘는다.
A:ΔW/W0와 ΔL/L0 모두 0.007이하이다.
(10)설치성 자유도(실시예6,7, 비교예3~6)
램프 간격 26㎜, 만곡부의 반경 13㎜, 직관부의 길이 132㎜, 2㎜φ의 U자형 냉음극관을 상정한 철사모델을 준비하고, 샘플의 150㎜의 변과 수평으로 되도록 램프 모델의 직관부가 오도록 해서, 샘플 저면으로부터 램프까지의 거리 3㎜의 위치에 평가대상을 설치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했다.
A:물리적 간섭이 없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
B:물리적 간섭이 있어 설치할 수 없음.
실시예6의 설치의 개념도를 도 26에 나타낸다.
(11)설치안정성(실시예6,7, 비교예3~6)
1㎜두께로 170㎜×190㎜의 알루미늄판을 준비하고, 각 변으로부터 20㎜ 내측에 위치하는 130㎜×150㎜의 직사각형의 대각에 해당하는 2개소에 5㎜φ이고 길이 20㎜의 금속핀을 세웠다. 장변이 상측, 금속핀측이 표측으로 되도록 70°의 각도에서 알루미늄판을 설치하고, 설치안정성 평가대로 했다. 설치안정성 평가대를 옆에서 본 개략도를 도 28에 나타낸다.
평가대상에 대해서, 각 변으로부터 10㎜ 내측에 위치하는 130㎜×150㎜의 직사각형의 대각에 해당하여 설치안정성 평가대의 핀의 위치와 같아지는 2개소에 6㎜φ 구멍을 뚫고, 설치안정성 평가용 샘플로 했다.
각 샘플의 구멍을 금속핀에 통과시키도록 설치안정성 평가대에 세트한 후, 설치안정성 평가대를 가볍게 흔들어서 샘플이 어긋나지 않는지의 여부를 봄으로써 설치안정성을 평가했다.
A: 안정적으로 세트할 수 있었다.
B: 샘플이 어긋났다.
구멍을 뚫어 설치안정성 평가용 샘플로 한 실시예6의 조명용 반사판의 개념도를 도 27에 나타낸다.
(12)설치적응성(실시예6,7, 비교예3~5)
지름 20cm의 강관을 사용하여, 샘플의 단변이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강관의 표면에 5분간 눌러붙여서 변형시킨 후, 즉시 샘플의 이면(보강재측)을 유리측으로 해서 평면유리판상에 각 샘플을 두었다. 두고나서 10분 후에 평면유리상의 샘플형상을 관찰하여, 다음 기준으로 설치적응성을 평가했다.
A:샘플이 유리면 형상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B:샘플 장변의 중앙이 유리로부터 떠올라 있다.
(13)백라이트 정면휘도(실시예6,7, 비교예3~6)
직하형 백라이트로서, 타마덴키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201BLM02(냉음극관의 간격:26㎜)를 사용해서 측정을 행했다. 상기 백라이트 내에 접합되어 있던 이미 만들어진 제품의 필름을 벗기고, 냉음극관의 지지부재와 간섭하지 않도록 중앙부근에 150㎜×170㎜의 공간을 둔 후술의 재료a를 붙였다. 공간의 150㎜의 변은 냉음극관과 평행하고, 한쪽의 단부가 내측의 가장 가까운 냉음극관의 중심선을 설치 평면에 내린 장소로부터 7㎜로 되도록 했다. 공간 속에 한쪽의 170㎜의 변에 맞춰서 측정대상의 조명용 반사판을 양면 테이프로 붙였다. 실시예6,7, 비교예3,5,6에 있어서는,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의 볼록부의 능선부분이 인접하는 냉음극관끼리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세트했다. 또한, 비교예4의 반사재료1과 반사재료2는, 실시예6의 반사재료1과 반사재료2의 배치와 같은 배치로 되도록 붙였다. 그 상태에서 투명 PMMA판을 부착하고, 냉음극선관을 1시간 점등해서 광원을 안정시킨 후에, 투명 PMMA판측 정면으로부터, 휘도편차 측정기로서 유겐가이샤 이마이즈미쇼카이제 EYESCALE-3을 사용하고, 카메라와 백라이트 유닛 표면까지의 거리 1m, 카메라 렌즈 조리개 f16, 셔터 스피드 1/250초의 설정으로 휘도(cd/㎡)를 측정했다. 유효한 휘도 데이터 범위는, 냉음극관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170㎜의 중앙 78㎜, 냉음극관과 평행인 방향으로는 150㎜의 중앙 80㎜로 둘러싸인 4각형 부분으로 했다.
얻어진 휘도 데이터를 냉음극관에 수평인 방향을 열, 냉음극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행으로 하는 표로 해서 해석을 행했다. 냉음극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휘도분포를 평가하기 위해 각 행의 휘도 데이터를 해석하면, 냉음극관의 위치와 일치하는 부분에서 휘도가 극대값으로 되는 휘도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 휘도의 극대값을 피크(Px1~Pxn, n은 피크의 수, x는 x행째를 나타냄)로 하고, 인접하는 피크 사이에서 가장 휘도가 낮아지는 극소값을 보톰(Qx1~Qxm, m은 보톰의 수, x는 x행째를 나타냄, Qx1은 Px1과 Px2 사이에 있어서의 최저휘도의 값으로 함)으로 했다. 냉음극관과 수평인 방향의 행 피크 휘도평균값(PxA), 행 보톰 휘도평균값(QxA)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했다.
PxA=(Px1+Px2+···+Pxn)/n
QxA=(Qx1+Qx2+···+Qxm)/m
피크를 중심으로 하는 26㎜분을 1사이클로 하고, S사이클분(S는 정수)의 휘도의 평균을 가지고 행 평균휘도(SxA)로 했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는, n=m=S=3이 78㎜폭에 상당했다. 다음에 유효휘도 데이터 범위에 있어서, 각 행의 PxA, QxA, SxA의 값의 평균값를 구함으로써 피크 휘도평균값, 보톰 휘도평균값, 평균휘도를 얻었다. 표 3에 나타내는 정면휘도특성의 각 수치는 클수록 바람직한 것이다.
도 29에, 샘플을 평가할 때의 냉음극관 및 샘플의 횡단면과, 대응하는 휘도분포를 겹친 개념도를 나타낸다.
(14)광학적 분리성(실시예8,9, 비교예7)
직하형 백라이트로서, 타마덴키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201BLM02(냉음극관의 간격:26㎜)를 사용해서 측정을 행했다. 상기 백라이트 내에 접합되어 있던 이미 만들어진 제품의 필름을 벗기고, 냉음극관의 지지부재와 간섭하지 않도록 중앙부근에 100㎜×100㎜의 공간을 둔 후술의 재료a를 붙였다. 공간은 냉음극관 4개가 들어가는 위치로 하고, 중앙의 냉음극관 2개 사이의 정중앙이, 공간의 한쪽의 변의 중앙에 오도록 하며, 냉음극관과 공간의 다른 쪽의 변이 평행해지도록 설정했다. 공간 속에 측정대상의 조명용 반사판을 양면 테이프로 붙였다. 실시예8,9에 있어서는,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의 볼록부의 능선부분이 인접하는 냉음극관끼리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세트했다. 100㎜×100㎜의 공간 중앙 26㎜×15㎜의 직사각형의 대각으로 되도록, 2개의 냉음극관에 폭 5㎜의 흑색 테이프를 감았다. 백라이트의 반사재료면으로부터 상부에 부착하는 투명 PMMA판을 막도록 도 35에 개략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음극관의 위치에 노치를 낸 후술의 재료a를 사방 100㎜×100㎜의 통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정확히 조명용 반사판 샘플을 둘러싸도록 세트하고, 그 상태에서 투명 PMMA판을 부착하여, 냉음극선관을 1시간 점등해서 광원을 안정시킨 후에, 투명 PMMA판측 정면으로부터, 휘도편차 측정기로서 유겐가이샤 이마이즈미쇼카이제 EYESCALE-3를 사용하여, 카메라와 백라이트 유닛 표면까지의 거리 1m, 카메라의 렌즈 조리개 f16, 셔터 스피드 1/250초의 설정으로 휘도(cd/㎡)를 측정했다.
얻어진 휘도 데이터를 냉음극관에 수평인 방향을 열, 냉음극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행으로 하는 표로 해서 해석을 행했다. 냉음극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휘도분포를 평가하기 위해 각 행의 휘도 데이터를 해석하면, 냉음극관의 위치와 일치하는 부분에서 휘도가 극대값으로 되는 휘도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 휘도의 극대값을 피크(Px1~Pxn, n은 피크의 수, x는 x행째를 나타냄)로 했다. 휘도의 샘플링 개소는 피크 사이에서 15열이었다. 또한, 냉음극관과 평행인 방향에서 휘도를 샘플링한 개소는 54행이었다. 피크 사이의 15열 및 54행의 데이터 중, 15열의 중앙 9열 및 54행의 중앙 24행의 휘도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 범위로 했다. 측정범위에 있어서의 유효 데이터 범위로서 사용한 것은 도 36에 나타내는 2개소이며, 각각의 평균을 가지고 평가에 사용했다. 유효 데이터 범위에서 열방향의 최대휘도와 최소휘도의 차를 평균휘도로 나눈 값을 Z로 해서 평가를 행했다. Z의 값이 클수록 빛의 분리라는 면에서는 바람직한 것이다.
[재료]
각 실시예·비교예에서 사용한 재료를 이하에 정리한다.
(재료a)
2축연신 PET필름에 내광제의 코팅을 실시한,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제 193E60V를 재료a로 했다. 재료a의 막두께는 193㎛, 평균반사율은 98%, 필름 길이방향의 열수축률은 0.7%였다.
(재료b)
2축연신 PET필름인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제 188E60L을 재료b로 했다. 재료b 의 막두께는 188㎛, 평균반사율은 98%, 필름 길이방향의 열수축률은 1.1%였다.
(재료c)
재료b에 대하여 200℃에서 어닐가공를 실시하여 재료c로 했다. 재료c의 필름 길이방향의 열수축률은 0.6%였다.
(재료d)
2축연신 PET필름인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제 188S10을 재료d로 했다. 재료d의 막두께는 188㎛, 필름 길이방향의 열수축률은 1%였다.
(재료e)
재료d에 대하여 200℃에서 어닐가공을 실시하여 재료e로 했다. 재료e의 필름 길이방향의 열수축률은 0.5%였다.
[실시예1]
(반사재료1)
재료a의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으로부터 접은 금부분에 볼지름 0.5㎜의 볼펜으로 직선형상으로 눌러 자국을 내서 홈을 형성한 후, 정상부의 간격(W)이 33㎜, 정상부의 접은 금 각도가 90°, 높이(H)가 8㎜이고 각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는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으로 되도록 접어 구부려 반사재료1로 했다.
(보강재료)
재료d의 한쪽의 면의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붙여 보강재료로 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보강재료를, 반사재료1의 오목부의 저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그 저면 전체에 붙여 보강했다.
얻어진 반사판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우 뛰어난 특성이었다.
[실시예2]
(반사재료1)
실시예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반사재료1을 사용했다.
(보강재료)
재료e의 한쪽의 면의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붙여 보강재료로 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상기 보강재료를, 상기 반사재료1의 오목부의 저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그 저면 전체에 붙여 보강했다.
얻어진 반사판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우 뛰어난 특성이었다.
[실시예3]
(반사재료1)
재료a에 대하여,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에, 그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개재하여 재료e를 붙여서 복합시켰다. 상기 복합필름에 대하여,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에 있어서 접은 금으로 하는 부분의 양옆 5㎜씩, 즉 1㎜폭의 재료e의 부착부분을 제거해서, 반사재료a의 이면측을 떼어내게 했다. 이후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반사재료1을 형성했다.
(보강재료)
재료e의 한쪽의 면의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붙여 보강재료로 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상기 보강재료를, 상기 반사재료1의 오목부의 저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그 저면 전체에 붙여 보강했다.
얻어진 반사판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우 뛰어난 특성이었다.
[실시예4]
(반사재료1)
재료a의 내광제 함유층이 표측으로 되도록 해서, 정상부의 간격·접은 금 각도·높이 등, 이랑의 형상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되도록 접어 구부려서 반사재료1로 했다.
(보강재료)
재료e의 한쪽의 면의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붙여 보강재료로 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상기 보강재료를, 상기 반사재료1의 오목부의 저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그 저면 전체에 붙여 보강했다.
얻어진 반사판은, 실시예2에 비하면 접은 금에 주름이 생겨서 직선성이 악화되어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5]
(반사재료1)
재료a에 대하여,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에, 그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개재해서 재료e를 붙여 복합시켰다. 상기 복합필름에 대하여 접은 금으로 하는 부분에 점선을 내고, 정상부의 간격·접은 금 각도·높이 등, 이랑의 형상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되도록 접어 구부려서 반사재료1로 했다.
(보강재료)
재료e의 한쪽의 면의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붙여 보강재료로 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상기 보강재료를, 상기 반사재료1의 오목부의 저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그 저면 전체에 붙여 보강했다.
얻어진 반사판은, 실시예2에 비하면 정상부의 정점의 곡률반경(R)이 점선의 관통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 크고, 또 점선과의 경계선에 균열이 관찰되어 품위는 저하되어 있었다.
[비교예1]
(반사재료1)
재료a의 내광제 함유층이 표측으로 되도록 해서, 접은 금으로 하는 부분에 점선을 내고, 정상부의 간격·접은 금 각도·높이 등, 이랑의 형상은 실시예1과 마 찬가지로 되도록 접어 구부려서 반사재료1로 했다.
(보강재료)
보강재료는 사용하지 않았다.
얻어진 반사판은, 습열하에 있어서 크게 치수가 변화되어버리는 불안정한 것이었다.
[비교예2]
(반사재료1)
재료a에 대하여,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에, 그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개재해서 0.5㎜두께의 알루미늄판을 붙여 복합시켰다. 상기 복합재료에 대하여, 프레스기를 이용해서 프레스를 가하고, 재료a의 내광제 함유층이 표측으로 되도록 해서, 정상부의 간격·접은 금 각도·높이 등, 이랑의 형상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되도록 접어 구부렸다.
(보강재료)
보강재료는 사용하지 않았다.
얻어진 반사판은, 정상부의 정점의 곡률반경(R)이 큰 것이었다.
접은금 부분 보강재료 보강재료로의 접합복합재 R 치수변화 외관평가
ΔD ΔH 접은 금 접은 금 표면
실시예1 있음 없음 A A A A A
실시예2 있음 없음 A A A A A
실시예3 있음 재료e A A A A A
실시예4 - 있음 없음 미평가 미평가 미평가 C B
실시예5 점선 있음 재료e C A A B C
비교예1 점선 없음 없음 A C C B A
비교예2 - 없음 알루미늄판 C A A A A
[실시예6]
(반사재료1)
재료a를 90㎜×206㎜로 잘라내고, 그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으로부터, 단변끝으로부터 14㎜,(9㎜,9㎜,14㎜)6(아래에 붙인 숫자는 반복수를 나타냄)의 위치에, 볼지름 0.5㎜의 볼펜으로 장변과 평행인 직선형상으로 되도록 누름 자국을 내서 홈을 형성했다. 이어서, 그 단면형상이 저변 12㎜와 각각의 이등변 9㎜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되는 이랑을 형성하도록 접어 구부려서 90㎜×170㎜의 반사재료1로 했다.
(반사재료2)
재료a를 60㎜×170㎜로 잘라내고, 평면형상의 반사재료2로 했다.
(보강재료·연결재료)
재료c를 150㎜×170㎜로 잘라내고, 그 한쪽의 면의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붙여, 연결재료의 역할도 겸하는 보강재료로 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보강재료상에 반사재료1과 반사재료2를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늘어놓아서 양면접착 테이프를 개재하여 붙여 150㎜×170㎜의 조명용 반사판을 얻었다.
얻어진 조명용 반사판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우 뛰어난 특성이었다.
[실시예7]
보강재료·연결재료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재료c 대신에 재료d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6과 마찬가지로 해서 조명용 반사판을 얻었다.
얻어진 조명용 반사판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우 뛰어난 특성이었다.
[비교예3]
보강재료·연결재료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재료c 대신에 1㎜두께의 알루미늄판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6과 마찬가지로 해서 조명용 반사판을 얻었다.
얻어진 조명용 반사판은 실시예6,7에 비해 설치적응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4]
(반사재료1)
반사재료1은 사용하지 않았다.
(반사재료2)
재료a를 150㎜×170㎜로 잘라내고, 평면형상의 반사재료2로 했다.
(보강재료)
실시예6과 같은 보강재료를 사용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보강재료상에 양면접착 테이프를 개재해서 반사재료2를 붙여 150㎜×170㎜의 조명용 반사판을 얻었다.
얻어진 조명용 반사판은, 실시예6에 비하면 휘도특성이 떨어져 있었다.
[비교예5]
(반사재료1)
재료a를 150㎜×206㎜로 잘라내고, 그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으로부터, 단변끝으로부터 14㎜,(9㎜,9㎜,14㎜)6(아래에 붙인 숫자는 반복수를 나타냄)의 위치에 볼지름 0.5㎜의 볼펜으로 장변과 평행인 직선형상으로 되도록 눌린 자국을 내서 홈을 형성했다. 이어서, 그 단면형상이 저변 12㎜와 각각의 이등변 9㎜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되는 이랑을 형성하도록 접어 구부려서 150㎜×170㎜의 반사재료1로 했다.
(반사재료2)
반사재료2는 사용하지 않았다.
(보강재료)
1㎜두께 알루미늄판을 150㎜×170㎜로 잘라내고, 그 한쪽의 면의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붙여 보강재료로 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보강재료상에 양면접착 테이프를 개재해서 반사재료1을 붙여 150㎜×170㎜의 조명용 반사판을 얻었다.
얻어진 조명용 반사판은, 설치성 자유도 및 설치적응성이 약간 떨어져 있었지만, 휘도특성은 뛰어났다.
[비교예6]
(반사재료1)
실시예6과 같은 반사재료1을 사용했다.
(반사재료2)
실시예6과 같은 반사재료2를 사용했다.
(보강재료)
보강재료는 사용하지 않았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보강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반사재료1과 반사재료2를 늘어놓아서 조명용 반사판으로서 평가했다.
반사재료1과 반사재료2를 늘어놓은 것은, 뛰어난 휘도특성과 설치성 자유도를 갖고 있었지만, 설치안정성에 떨어지는 것이었다.
정면휘도특성(%) 설치성 자유도 설치안정성 설치적응성
보톰휘도평균값/ 피크휘도평균값 평균휘도/ 피크휘도평균값
실시예6 12 30 A A A
실시예7 11 28 A A A
비교예3 11 29 A A B
비교예4 10 27 A A A
비교예5 11 30 B A B
비교예6 11 29 A B -
[실시예8]
(반사재료1)
재료a를 100㎜×124㎜로 잘라내고, 그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으로부터, 단변끝으로부터 20㎜,(8㎜,8㎜,18㎜)2,8㎜,8㎜,20㎜(아래에 붙인 숫자는 반복수를 나타냄)의 위치에 볼지름 0.5㎜의 볼펜으로 장변과 평행인 직선형상으로 되도록 눌린 자국을 내서 홈을 형성했다. 또한, 도 30과 같이, 높이 3㎜ 저변 2㎜의 이등변 삼각형상의 구멍과,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저변의 중앙으로부터 저변에 수직인 방향으로 칼집을 냈다. 상기 재료를, 단면형상이 저변 8㎜이고 2등변의 길이도 8㎜인 정삼각형으로 되는 이랑을 형성하도록 접어 구부려서, 100㎜×100㎜의 반사재료1로 했다.
(기타 반사재료)
재료a를 100㎜×4㎜로 잘라내고, 그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으로부터, 마주 보는 단변 중앙부끼리를 연결하도록, 볼지름 0.5㎜의 볼펜으로 장변과 평행인 직선형상으로 되도록 눌린 자국을 내서 홈을 형성했다(도 31 참조). 이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서 기타 반사재료로 했다. 이것을 본 실시예를 위해 5개 준비했다.
(보강재료)
재료b를 100㎜×100㎜로 잘라내고, 그 한쪽의 면의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붙여 보강재료로 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반사재료1의 커팅부에 상기 기타 반사재료를 삽입한 후, 보강재료상에 반사재료1과 기타 반사재료를 조합한 것을 양면접착 테이프를 개재해서 붙이고, 100㎜×100㎜의 조명용 반사판을 얻었다.
얻어진 조명용 반사판은,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적 분리성이 뛰어난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9]
(반사재료1)
재료a를 100㎜×124㎜로 잘라내고, 그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으로부터 단변끝으로부터 20㎜,(8㎜,8㎜,18㎜)2,8㎜,8㎜,20㎜(아래에 붙인 숫자는 반복수를 나타냄)의 위치에 볼지름 0.5㎜의 볼펜으로 장변과 평행인 직선형상으로 되도록 눌린 자국을 내서 홈을 형성했다(도 32 참조). 이어서, 그 단면형상이 저변 8㎜와 2등변 8㎜의 정삼각형으로 되는 이랑을 형성하도록 접어 구부려서, 도 33에 나타내는 100㎜×100㎜의 반사재료1을 얻었다.
(보강재료)
실시예8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보강재료상에 양면접착 테이프를 개재해서 반사재료1을 붙이고, 100㎜×100㎜의 조명용 반사판을 얻었다.
얻어진 조명용 반사판은,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적 분리성이 뛰어난 특성을 나타냈다.
[비교예7]
(반사재료1)
반사재료1은 사용하지 않았다.
(반사재료2)
재료a를 100㎜×100㎜로 잘라내고, 평면형상의 반사재료2로 했다.
(보강재료)
실시예8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조명용 반사판의 조립)
보강재료상에 양면접착 테이프를 개재해서 반사재료2를 붙이고, 100㎜×100㎜의 조명용 반사판을 얻었다.
얻어진 조명용 반사판은,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적 분리성에 있어서 떨어진 특성을 나타냈다.
Z
실시예8 0.28
실시예9 0.21
비교예7 0.15
[실시예10]
재료a를 장변 570㎜×단변 450㎜로 잘라내고, 그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으로부터, 단변끝으로부터 10㎜ 및 60㎜의 위치에, 볼지름 0.5㎜의 볼펜으로 장변과 평행인 직선형상으로 되도록 눌린 자국을 내서 홈을 형성했다.
도 3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 양끝으로부터 60㎜의 홈을 따라 150°내측에 접어 구부림 측부를 형성하고, 이어서 단변 양끝으로부터 10㎜의 홈을 따라 150°외측에 접어 구부림 가장자리부를 형성해서 반사판을 형성했다.
얻어진 반사판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우 뛰어난 특성이었다.
[실시예11]
재료a의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에, 그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개재해서 재료d를 붙여 복합시켰다.
상기 복합필름을 장변 570㎜×단변 450㎜로 잘라냈다. 이어서, 단변 양끝으로부터 10㎜ 및 60㎜의 위치의 장변과 평행인 직선을 접은 금으로 하는 부분으로 해서, 그 양옆 5㎜씩, 즉 1㎜폭의 재료d의 부착부분을 제거해서, 재료a의 이면측을 떼어내게 한 뒤, 상기 접은 금 부분을 따라 0.05㎜깊이의 절개선형상의 홈을 냈다.
실시예10과 마찬가지로 접어 구부려서 반사판을 얻었다.
얻어진 반사판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우 뛰어난 특성이었다.
[비교예8]
재료b를 장변 570㎜×단변 450㎜로 잘라냈다. 이어서, 단변 양끝으로부터 10㎜ 및 60㎜의 위치의 장변과 평행인 직선을 접은 금으로 하는 부분으로 해서, 상기 직선상에 점선을 냈다. 이어서, 실시예10과 마찬가지로 해서 접어 구부려 반사판을 형성했다.
얻어진 반사판은, 경계부분으로부터 같은 피치로 빛이 새는 것이었다. 또, 습열하에 있어서 약간의 치수변화가 있었다.
[비교예9]
볼펜의 눌린 자국에 의한 홈을 부여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10과 마찬가지로 해서 반사판을 형성했다.
얻어진 반사판은, 경계에 주름이 생겨서 직선성이 나쁜 것이었다.
[비교예10]
재료a의 내광제 함유층의 반대측에, 그 전체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니토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 #500)를 개재해서 재료c를 붙여 복합시켰다.
상기 복합필름을 장변 570㎜×단변 450㎜로 잘라냈다. 이어서, 단변 양끝으로부터 10㎜ 및 60㎜의 위치의 장변과 평행인 직선을 접은 금으로 하는 부분으로 해서, 상기 직선상에 점선을 냈다. 이어서, 실시예10과 같은 방향으로 경계에 큰 손상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접어 구부려 반사판을 형성했다.
얻어진 반사판은 경계부분으로부터 같은 피치로 빛이 새는 것이며, 또 측부의 개폐성도 나빴다.
경계부분 반사재료 측부의 개폐성 외관평가 치수변화
접은 금 형상 광누설 ΔW/WO ΔL/LO
실시예10 1장품 A A A A A
실시예11 복합품 A A A A A
비교예8 점선 1장품 A B B B B
비교예9 - 1장품 B C A - -
비교예10 점선 복합품 C B B - -
본 발명의 조명용 반사판은, 여러 가지 광원형상에 대응한 임의의 광학설계를 반영하는 입체구조를 얻기 쉬우므로, 간판용 광원이나 액정TV용 백라이트 등의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로서 특히 바람직한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한쪽의 면측의, 파장 400~700㎚에 대한 평균반사율이 85%이상인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로서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을 갖는 반사재료1과, 가요성을 갖는 보강재료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보강재료가 반사재료1의 상기 한쪽의 면측의 이면측으로부터 오목부의 저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요철형상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반사판.
  2. 제1항에 있어서, 반사재료1 및 보강재료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반사판.
  3. 제1항에 있어서, 반사재료1이 그 적어도 볼록부의 능선부분의 이면측에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반사판.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반사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반사판.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반사재료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반사판.
  6.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면측의, 파장 400~700㎚에 대한 평균반사율이 85%이상인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로서 이랑형상의 요철형상을 갖지 않는 반사재료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반사판.
  7.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반사재료를 연결하는 연결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반사판.
  8. 제7항에 있어서, 반사재료1, 보강재료 및 연결재료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반사판.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면측의, 파장 400~700㎚에 대한 평균반사율이 85%이상인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가 반사판의 저부와 연속하는 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부와 상기 측부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면측의 이면측에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반사판.
  10. 적어도 한쪽의 면측의, 파장 400~700㎚에 대한 평균반사율이 85%이상인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재료가 반사판의 저부와 연속하는 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부와 상기 측부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면측의 이면측에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반사판.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조명용 반사판을 사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KR1020067013124A 2004-01-13 2005-01-12 조명용 반사판 및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KR101085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5367 2004-01-13
JP2004005367 2004-01-13
JPJP-P-2004-00017975 2004-01-27
JP2004017975 2004-01-27
PCT/JP2005/000217 WO2005068899A1 (ja) 2004-01-13 2005-01-12 照明用反射板および情報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263A true KR20070007263A (ko) 2007-01-15
KR101085096B1 KR101085096B1 (ko) 2011-11-18

Family

ID=3479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124A KR101085096B1 (ko) 2004-01-13 2005-01-12 조명용 반사판 및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62990B2 (ko)
EP (1) EP1712834A4 (ko)
JP (2) JP4946053B2 (ko)
KR (1) KR101085096B1 (ko)
TW (1) TWI368049B (ko)
WO (1) WO200506889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397B1 (ko) * 2007-07-31 2010-03-19 주식회사 옵토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면발광 조명장치
KR101049734B1 (ko) * 2009-04-07 2011-07-19 최종석 등기구용 엘이디 조립체
KR101304873B1 (ko) * 2011-08-24 2013-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광학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62807A1 (en) * 2004-04-12 2005-10-27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Light reflecting plate
KR101553729B1 (ko) * 2008-03-05 2015-09-1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열부형 광학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486275B2 (ja) * 2009-11-25 2014-05-07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D623340S1 (en) 2010-03-26 2010-09-07 Orion Energy Systems, Inc. Reflector for a lighting fixture
US8696154B2 (en) 2011-08-19 2014-04-15 Lsi Industries, Inc. Luminaires and lighting structures
JP2014021224A (ja) 2012-07-17 2014-02-0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4344280A (zh) 2013-07-31 2015-02-11 扬升照明股份有限公司 光源模块
WO2015019960A1 (ja) * 2013-08-05 2015-02-12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可視光反射材用アルミニウム箔とその製造方法
KR102212067B1 (ko) 2014-06-20 2021-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TWI657293B (zh) 2016-03-29 2019-04-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
JP2019035934A (ja) * 2016-12-26 2019-03-07 東レ株式会社 突起を有する反射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351A (en) * 1977-08-04 1978-12-19 Luboshez Sergius N F Radio-chromic combined absorbing reflecting and transmitting panel
JPS6269423A (ja) * 1985-09-20 1987-03-30 Toshiba Corp 電子管用金属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15154Y2 (ko) * 1985-10-18 1988-04-27
JPH0741855Y2 (ja) * 1989-09-05 1995-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pcv装置
JPH04323687A (ja) * 1991-04-23 1992-11-12 Kuraray Co Ltd 面照明装置
JP3355204B2 (ja) * 1992-08-18 2002-12-09 株式会社きもと ランプリフレクタ
JPH0890989A (ja) * 1994-09-22 1996-04-09 Roland D G Kk 組立用シート体の折り曲げ方法
JPH10125119A (ja) * 1996-10-21 1998-05-15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
JP3043515U (ja) * 1997-05-19 1997-11-28 弘栄貿易株式会社 波形状光反射部材
JP3808992B2 (ja) * 1997-11-21 2006-08-16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パネルモジュール
JP3732641B2 (ja) 1998-01-19 2006-01-05 三菱樹脂株式会社 プレス加工性に優れた光反射体
JP2002040214A (ja) * 2000-07-25 2002-02-06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JP4547783B2 (ja) * 2000-08-04 2010-09-22 東レ株式会社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JP4368075B2 (ja) * 2000-11-06 2009-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面型照明装置
WO2002048756A1 (en) * 2000-12-14 2002-06-20 Mitsui Chemicals Inc. Reflector, sidelight type backlighting apparatus and reflector substrate
JP2002372933A (ja) * 2001-06-15 2002-12-26 Koichi Matsui 直下型照明装置
JP2003022701A (ja) 2001-07-09 2003-01-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ライトボック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397B1 (ko) * 2007-07-31 2010-03-19 주식회사 옵토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면발광 조명장치
KR101049734B1 (ko) * 2009-04-07 2011-07-19 최종석 등기구용 엘이디 조립체
KR101304873B1 (ko) * 2011-08-24 2013-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광학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2834A4 (en) 2009-12-02
JP2012078838A (ja) 2012-04-19
JP5528412B2 (ja) 2014-06-25
TW200528765A (en) 2005-09-01
US7562990B2 (en) 2009-07-21
EP1712834A1 (en) 2006-10-18
KR101085096B1 (ko) 2011-11-18
US20080123352A1 (en) 2008-05-29
JP4946053B2 (ja) 2012-06-06
WO2005068899A1 (ja) 2005-07-28
JPWO2005068899A1 (ja) 2007-12-27
TWI368049B (en)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096B1 (ko) 조명용 반사판 및 정보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EP0534140B1 (en) Backlighting device
JP3297846B2 (ja) 透過型面状照明装置
CN101365968B (zh) 用在太阳反射镜中的改进的抗紫外线银镜
US8852470B2 (en) Diffuser-integrated prism sheet for backlight uni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693102B1 (en) White-colored reflection film for edge-light type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using same
CN101660721B (zh) 光学元件层压体、背光件和液晶显示装置
US20010021110A1 (en) Reflector,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eflector, and internal-lighting display device
JP2009521720A (ja) バックリット(字光式)ナンバープレート作成のための半透明の再帰反射シート及びその使用
WO1995035515A2 (en) A composite used for light control or privacy
US5991080A (en) Light reflecting material
JP2002530725A (ja) 反射フィルムを備えた標示板およびその使用法
US6505946B2 (en) Spread illumination apparatus
US20010050816A1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JP4622664B2 (ja) 面状発光体
JPH08146224A (ja) 液晶表示装置
JP3784849B2 (ja) 光反射材料
JP2003222714A (ja) 光反射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光源装置
US6929377B2 (en) Light-reflective material and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same
JP3421601B2 (ja) 導光板、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6051669A (ja) 高分子膜立体構造材
JP2747413B2 (ja) 薄型面発光装置
JP2003107222A (ja) 光反射板用材料
JPH11273434A (ja) 面光源素子
JP2006244851A (ja) 反射板、反射板の製造方法、及び、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