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901A -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반사 시이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반사 시이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901A
KR20060003901A KR1020057020379A KR20057020379A KR20060003901A KR 20060003901 A KR20060003901 A KR 20060003901A KR 1020057020379 A KR1020057020379 A KR 1020057020379A KR 20057020379 A KR20057020379 A KR 20057020379A KR 20060003901 A KR20060003901 A KR 20060003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heet
reflective sheet
hollow particle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아키 오토무라
마사유키 시라도
다케유키 츠네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02B5/085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at least one of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metal
    • G02B5/0858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at least one of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metal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a single metallic layer with one or more dielectric layers
    • G02B5/086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at least one of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metal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a single metallic layer with one or more dielectric layers incorporating one or more organic,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refl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휘도 불균일 및 휘선이 생기지 않고, 양호한 반사 특성을 가지며, 또한 시이트 전체의 두께가 얇아 소형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필름을 제공한다. 이 반사 필름은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과 금속 박막을 갖고, 전체 두께가 155μm 이하이다. 여기서,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은 또한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중공 입자의 함유량이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질량부 이상 800질량부 이하이다. 이 반사 필름은 파장 400nm 내지 5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이고, 또한 파장 400nm 내지 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 반사 시이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REFLECTIVE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BACKLIGHT UNIT USING SUCH REFLECTIVE SHEE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의 반사판, 각종의 조명 기구 등의 반사판 등에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에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냉음극관, 백색 LED 등의 광원이 도광판의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일부는 직접 도광판으로 인도되고, 나머지 광은 광원의 배후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반사재에서 반사되어 도광판으로 인도된다. 도광판에 인도된 광은 도광판의 이면에 망점 형상으로 인쇄된 광확산층에서 반사되어 도광판 표면(조광면)으로부터 액정 패널측으로 방출된다. 도광판의 이면에는 균일하게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도광판으로부터 누출된 광은 도광판의 이면측에 설치된 반사 시이트에서 반 사되어 도광판의 표면으로부터 나가게 되어 있다. 액정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많은 광을 액정 패널에 공급해야 한다. 전력을 절약하고, 또한 백라이트로부터 공급되는 광량을 가능한 한 많게 하기 위해서는 반사 시이트의 반사 효율이 높고, 높은 휘도가 수득되는 것이 요구된다. 지금까지도, 액정 패널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박형의 액정 디스플레이가 요망되고 있다. 예컨대, 반사 시이트로서 다공성의 백색 폴리에스터 필름이 알려져 있지만, 이 반사 시이트는 두께가 188μm이기 때문에, 소형 액정 디스플레이에 장착할 수 없었다. 이 반사 시이트의 두께를 얇게 하고자 하면, 반사 성능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이 반사 시이트를 소형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없었다.
금속 박막의 고반사 성능을 살린 시이트로서 일본 특허공개 제1993-162227호 공보에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에 금속 박막을 적층한 반사체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 반사체는 금속의 정반사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 휘선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반사체는 백색 LED의 발광 스펙트럼 중 상대 광 강도가 가장 높은 465nm 부근의 파장의 반사 특성이 부족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금속 박막에 확산 반사 성능을 가지게 함으로써, 일본 특허공고 제1996-18399호 공보에는 Ag 박막 위에 방지층을 통해서 산화티탄 등을 함유하는 백색 반사층이 설치된 반사 시이트가 개시되어 있고,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1993-301329호 공보에는 금속 박막을 적층한 플라스틱 필름의 다른 면에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수지를 도포한 광 반사 시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필름이나 시이트는 백색 안 료 자체가 특정 파장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고 있고, 특히 저파장측의 광, 예컨대 400nm 내지 500nm의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기 어려웠다.
한편,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설치함으로써 반사 성능을 부여한 것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제1997-63329호 공보에, (메트)아크릴산에스터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바인더 중에 중공 입자를 혼합한 반사 도료를 수지 필름 등의 지지체에 적층한 반사재가 개시되어 있지만, 충분한 반사 성능을 갖지 못했다. 일본 특허공개 제1992-296838호 공보에는 기재 상에 접착제를 통해서 중공 폴리머 입자가 표면 위치에 나란히 배열되고, 최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광반사층이 설치된 반사형 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 불균일 및 휘선이 생기지 않고, 양호한 반사 특성을 갖고, 또한 시이트 전체의 두께가 얇아 소형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반사 시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는 바인더 수지 중에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과 금속 박막을 갖고, 상기 중공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질량부 이상 800질량부 이하이며, 또한 시이트 전체의 두께가 15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파장 400nm 내지 5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이고, 또한 파 장 400nm 내지 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 시이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의 투과율이, 두께 50μm의 필름으로 제막한 것을 23℃에서 측정할 때 파장 400nm 내지 800nm의 광의 평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이다.
상기 금속 박막은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의 제조 방법은, 투명 수지 시이트의 한쪽 면에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중공 입자를 100질량부 이상, 800질량부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는 층을 형성하여 기재 A를 제작하고, 지지체의 한쪽 면에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기재상을 제작한 후, 상기 기재 A와 상기 기재 B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수득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가, 파장 400nm 내지 5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이고, 또한 파장 400nm 내지 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 불균일 및 휘선이 생기지 않고, 양호한 반사 특성을 가지며, 또한 시이트 전체의 두께가 얇아 소형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반사 시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사 시이트의 실시양태의 일례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의 실시양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TFT 액정 모니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반사 시이트는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과 금속 박막을 갖는다.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은 바인더 수지 중에 중공 입자를 함유한 것이고, 중공 입자로서는 입자 외경이 약 0.05μm 내지 약 1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입자의 입자 외경이 약 0.05μm 보다 작은 입자를 유화 중합법으로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며, 또한 입자 외경이 약 0.05μm 보다 작은 중공 입자를 이용하면, 광산란이 낮고 휘도가 낮아지기 쉽다. 입자 외경이 약 10μm 보다 큰 중공 입자를 이용하면, 입자 내에 작은 빈 구멍이 다수 존재하는 형상(하나의 구 형상의 중공 구멍이 아닌 경우)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광 산란능이 저하되어 휘도가 낮아지기 쉽다.
또한, 중공 입자의 입자 내경의 입자 외경에 대한 비율은 0.2 내지 0.9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0.2 미만이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 내의 빈 구멍의 비율이 작아지기 때문에 휘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비율이 0.9보다 크면, 중공 입자의 강도가 저하되고, 건조했을 때에는 중공 입자의 구상을 유지할 수 없어서 비뚤어진 형상을 보이거나, 중공 입자가 깨어지는 경우가 있어, 휘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중공 입자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중공 입자로서는 아크릴계 모노머나 스타이렌계 모노머를 유화 중합 또는 현탁 중합하여 수득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기계 중공 입자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데,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제1987-127336호 공보, 일본 특허공고 제1991-9124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와 중공 입자와의 배합 비율도 휘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점을 고려하면, 중공 입자의 첨가량은 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800질량부인 것이 필요하고, 100 내지 5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내지 50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공 입자의 첨가량이 100질량부보다 적으면 휘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고, 800질량부 보다 많으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제막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무른 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폴리아세트산바이닐,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투명성, 내 UV(자외선)성, 내습열성 등이 양호하고 경시적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 관점에서는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0℃ 보다 크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이 물러지는 경우가 있고, 외력 등에 의해서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에 잔금 등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바인더 수지의 투과율은 휘도에 대하여 영향을 준다. 예컨대, 두께 50μm의 필름으로 제막한 것을 23℃에서 측정할 때, 파장 영역 400nm 내지 800nm의 광의 평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투과율이 80% 미만에서는 휘도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제막성이 우수한 것, 적층되는 피적층물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두께는 5μm 내지 100μ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60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20 내지 5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5μm 보다 얇으면 반사 성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고, 100μm 보다 두꺼우면 층의 형성에 있어서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도공한 후의 건조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형성된 층에 균열이 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반사 시이트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한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된다.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은, 예컨대 투명 수지 시이트 위에 설치되어 기재 A를 이루고, 이 기재 A로서 반사 시이트에 포함될 수 있다.
투명 수지 시이트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설폰,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터설폰, 폴리에스터,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이트를 들 수 있고,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 시이트는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2축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내열성, 투명성, 비용의 관점에서, 기재 A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시이트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명성이 높고, 광의 흡수가 적은 시이트가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시이트에 광 안정제를 첨가하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경시적 안정성이 더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시이트의 두께는 10μm 이상 1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0μm 미만에서는 취급시에 주름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한편, 100μm를 초과하면, 박막화가 곤란해지거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사 시이트는 금속 박막을 갖는다. 금속 박막으로서는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은 단독의 박막, 은을 주성분으로 하고 다른 금속과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박막, 은과 다른 금속을 적층한 박막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박막의 두께는 투과 광의 저하를 고려하면 300Å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반사 성능 및 비용의 관점에서 3000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박막은, 예컨대 플라스틱 시이트 등의 지지체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플라스틱 시이트 등의 지지체상에 금속 박막을 형성한 기재 B로서 반사 시이트에 포함될 수도 있다.
금속 박막은 스퍼터링, 진공 증착, 이온 플레이팅, 이온화 증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시이트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시이트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터설폰, 폴리에스터,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시이트상에 직접 금속 박막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언더 코팅층을 형성해 두고, 그 위에 증착 등에 의해 금속 박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박막은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받기 쉽고, 또한 변색이나 부식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금속 박막을 보호하기 위해 금속 박막 위에 보호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사 시이트는 예컨대, 투명 수지 시이트 상에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코팅 등에 의해서 설치하여 기재 A를 제작하고, 또한 플라스틱 시이트 등의 지지체상에 증착 등에 의해서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기재 B를 제작해 두고, 이 기재 A와 기재 B를 접합하여 제조된다. 예컨대,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과 금속 박막이 내측이 되도록 중첩하여 접합할 수도 있고,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과 플라스틱 시이트가 내측이 되도록 중첩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기재 A와 기재 B를, 예컨대 접착층 등을 통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접합할 수도 있다. 접착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상기 수지 바인더로서 열거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코팅의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콤마 코터 등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라미네이터, 교반기 등은 공지된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소형의 액정 디스플레이나 박형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편입될 수 있도록, 반사 시이트의 두께는 시이트 전체로 155μ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μm 내지 120μm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특히 50μm 내지 8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박형화, 소형화의 경향이 진행하고 있어, 백라이트 유닛에 편입되는 스페이스의 관계로부터 반사 시이트의 두께를 155μm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의 하나인 백색 LED의 발광 스펙트럼 중, 가장 상대 광 강도가 높은 파장은 465nm 부근이며, 반사 시이트는 파장이 450 내지 48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파장이 400 내지 5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역 400nm 내지 500nm에서의 반사율이 높으면 화면의 휘도 향상에 유효하고, 예컨대 반사율이 1%만 높아도 휘도 향상에 매우 유효하게 작용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파장이 400nm 내지 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반사 시이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미만이면, 화면의 충분한 밝기가 수득되지 않는다.
도 1에 본 발명의 반사 시이트의 실시양태의 일례의 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반사 시이트(1)는 투명 수지 시이트(2) 아래에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3)을 갖는 기재 A(도 1에 있어서 부호 7로 나타낸다)와 플라스틱 시이트(6) 위에 금속 박막(5)을 갖는 기재 B(도 1에 있어서 부호 8로 나타낸다)가, 접착층(4)을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반사 시이트는 도광판, 확산판 및 백색 LED, 냉음극관 등의 광원 등과 함께 편입되어, 백라이트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의 실시양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에 있어서, 도체판(12) 아래에는 본 발명의 반사 시이트(11)가 배치되어 있고, 도체판(12) 위에는 확산판(1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 시이트(11)의 에지를 따라 광원(14)이 배치되어 있고, 광원(14)의 후방을 감싸도록 광원용 반사판(15)이 편입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시이트란, JIS에서의 정의상, 얇고,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서 비교적 작고 편평한 제품을 말한다. 그러나, 필름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고,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고 편평한 제품으로, 보통 롤 모양으로 공급되는 것을 말한다(JIS K 6900). 따라서, 시이트 중에서도 두께가 특히 얇은 것을 필름이라고 할 수 있으나, 시이트와 필름의 경계가 정해지지 않아 명확히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원에 있어서는 「시이트」라고 칭하는 경우에는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는 「시이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열 안정제, 윤활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백색 안료, 형광 증백제,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폐효과가 높은 은 증착 필름과, 높은 확산 반사성을 갖는 중공 입자층을 갖기 때문에, 우수한 반사 성능을 갖고, 또한 저파장측의 광, 예컨대 400nm 내지 500nm의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개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에 나타내는 측정치 및 평가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실시했다.
(측정 및 평가 방법)
(1) 반사율의 측정
황산 바륨을 적분구(積分球)로 한 분광 광도계(히타치제작소 제품, 「U-4000」)를 이용하여, 황산바륨 백판을 100%로 했을 때의 반사율을 파장 240nm 내지 800nm에 걸쳐 1nm 간격으로 측정한다. 수득된 1nm 마다의 측정치로부터 파장이 400nm 내지 500nm의 평균치를 구하여 이 값을 파장 400nm 내지 500nm의 평균 반사율로 하고, 파장이 450nm 내지 480nm의 평균치를 구하여 이 값을 파장 450nm 내지 480nm의 평균 반사율로 하고, 또한 파장이 400nm 내지 700nm의 평균치를 구하여 이 값을 파장 400nm 내지 700nm의 평균 반사율로 했다.
(2) 휘선, 휘도 불균일의 확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슨(주) 제품의 장치「TFT 액정 모니터 171nm」에 반사 시이트를 세팅하고 한쪽 단면으로부터 조명을 실시하여, 육안에 의해 휘선 및 휘도 불균일 유무를 확인했다. 한편, 도 3에 있어서, 도체판(22) 위에는 확산판(23)이 배치되어 있고, 그 위에는 액정 패널(2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체판(22)의 아래측에는 반사 시이트(21)가 세팅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도체판(22)의 에지부에 배치된 광원(24)으로부터 광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실시예에 나타낸 중공 입자, 바인더 수지, 투명 수지 시이트 및 은 증착 시이트는 하기에 나타내는 것이 사용되었다.
<중공 입자>
a: 아크릴-스타이렌 중공 입자의 에멀젼「MH-5055」(니폰 제온 주식회사 제품, 외경 0.5μm)
b: 아크릴-스타이렌 중공 입자의 에멀젼「SX866B」(JSR 주식회사 제품, 외경 0.3μm)
c: 아크릴-스타이렌 중공 입자의 에멀젼「HP-433J」(롬&하스 재팬 주식회사 제품, 외경 0.4μm)
<바인더 수지>
A: 아크릴「TT-313C」(다이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품)
B: 아크릴「TT-362」(다이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품)
C: 아크릴-스타이렌「AN-49B」(소켄 화학 주식회사 제품)
D: 아크릴「E-30V」(소켄 화학 주식회사 제품)
E: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네오 스티커 400」(닛카 화학 주식회사 제품)
F: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S-200」(스미토모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품)
G: 에틸렌-특수 에스터「S-950」(스미토모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품)
H: 변성 아세트산 바이닐「4485LL」(닛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품)
<투명 수지 시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T600E50」(미쓰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 주식회사 제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T600E25」(미쓰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 주식회사 제품)
<증착 시이트>
은 증착 시이트「BL 필름」(오치 공업 주식회사 제품)
실시예 1
<기재 A의 제작>
아크릴-스타이렌 중공 입자의 에멀젼「MH-5055」(니폰 제온(주) 제품)와, 바인더 수지로서 아크릴「AN-49B」(소켄 화학(주) 제품)을, 중공 입자 고형분이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200질량부가 되도록 배합하고, 5분간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했다. 이것을 두께 50μm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600E50」(미쓰비시 화학 폴리에스터 필름(주) 제품)의 한쪽 면에,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건조후의 두께가 10μm이 되도록 도공하여 온도 80℃에서 건조시킨 후, 롤 형상으로 권취해 두었다.
<기재 B의 제작 및 기재 A와 기재 B의 접합>
기재 B로서 오치 공업(주) 제품의 은 증착 시이트「BL 필름」(두께 25μm)을 이용했다. 이 은 증착 시이트의 금속 광택면상에,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아크릴-스타이렌「AN-49B」(소켄 화학(주) 제품)을 건조한 후의 두께가 10μm가 되도록 도공하여, 온도 80℃에서 건조시켜 접착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이 접착층 위에, 기재 A의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이 접촉하도록 중첩하여, 온도 40℃에서 접합했다. 이렇게 하여, 전체 두께 95μm의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반사율의 측정과, 휘선 및 휘도의 확인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두께를 10μm로부터 20μm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체 두께 105μm의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두께를 10μm로부터 50μm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체 두께 135μm의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의 함유량을 200질량부로부터 100질량부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를 함유량을 200질량부로부터 300질량부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의 종류를「MH-5055」로부터 JSR 제품인 「SX866B」(외경 0.3μm)으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와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의 종류를 「MH-5055」로부터 롬&하스 재팬 주식회사 제품인 「HP-433J」( 외경 0.4μm)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바인더 수지의 종류를「AN-49B」로부터 닛카 화학(주) 제품인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네오 스티커 400」으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아크릴-스타이렌 중공 입자 에멀젼「MH-5055」(니폰 제온 (주)제품)와, 바인더 수지로서 아크릴-스타이렌「AN-49B」(소켄 화학(주) 제품)을, 중공 입자 고형분이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200질량부가 되도록 배합하여, 5분간 교반기에 의해서 혼합해 두었다.
기재 B로서 오치 공업(주) 제품인 은 증착 시이트「BL 필름」(두께 25μm)을 이용했다. 이 은 증착 시이트의 금속 광택면상에,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조정해 둔 중공 입자층 형성용 혼합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μm가 되도록 도공하여, 온도 80℃에서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전체 두께 45μm의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9에 있어서, 중공 입자 고형분의 배합량을 400질량부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실시예 9에 있어서, 중공 입자 고형분의 배합량을 400질량부로 변경하여, 중공 입자층의 두께를 40μm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바인더 수지의 종류를「AN-49B」로부터 스미토모 화학 공업(주) 제품인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S-200」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전체 두께 105μm의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바인더 수지의 종류를「AN-49B」로부터 스미토모 화학 공업(주) 제품인 에틸렌-특수 에스터 「S-950」으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바인더 수지의 종류를「AN-49B」로부터 닛신 화학 공업(주) 제품인 변성 아세트산바이닐「4485LL」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으로서 중공 입자를 첨가하지 않고 층을 형성한 점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체 두께 95μm의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의 함유량을 50질량부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체 두께 95μm의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한편, 실시예 9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중공 입자의 함유량을 900질량부로 변경한 점 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시이트를 제작한 결과, 소정의 크기로 재단할 때 가루가 떨어지게 되어, 반사 시이트로서 실용에 제공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기재 A의 제작에 있어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설치하지 않은 점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체 두께 85μm의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반사 시이트로서 오치 공업(주) 제품인 은 증착 시이트「BL 필름」(두께 25μm)을 이용했다.
이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반사율의 측정과, 휘선 및 휘도의 확인 평가를 실 시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반사 시이트로서 도오레(주) 제품인 백색 다공성 시이트「E60L」(두께 188μm)를 이용했다.
이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반사율의 측정과, 휘선 및 휘도의 확인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6
<기재 A의 제작>
산화티탄(사카이 화학(주) 제품인 「R-21」)과, 바인더 수지로서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네오 스티커 400」(닛카 화학(주) 제품)을, 산화티탄이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50질량부가 되도록 배합하여, 5분간 교반기에 의해서 혼합해 두었다. 이것을 두께 50μm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600E50」(미쓰비시 화학 폴리에스터 필름(주) 제품)의 한쪽 면에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20μm가 되도록 도공하여 온도 80℃에서 건조시킨 후, 롤 형상으로 권취해 두었다.
<기재 B의 제작 및 기재 A와 기재 B의 접합>
기재 B로서 오치 공업(주) 제품인 은 증착 시이트「BL 필름」(두께 25μm)을 이용했다. 상기 은 증착 시이트의 금속 광택면 상에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아크릴-스타이렌「AN-49B」(소켄 화학(주) 제품)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μm가 되도록 도공하여, 온도 80℃에서 건조시켜 접착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이 접착층 위에, 기재 A의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층이 접촉하도록 중첩하고, 온도 40℃에서 접합했다. 이렇게 하여, 전체 두께 105μm의 반사 시이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반사 시이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61157032-PCT00001
Figure 112005061157032-PCT00002
Figure 112005061157032-PCT00003
표 1, 표 2 및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4의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필름은 파장 400nm 내지 500nm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이고, 파장 450nm 내지 480nm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이며, 또한 파장 400nm 내지 700nm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휘선 및 휘도 불균일도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설치하지 않은 비교예 1, 3 및 4는 파장 400nm 내지 500nm의 평균 반사율이 90% 미만이고, 파장 450nm 내지 480nm의 평균 반사율이 90% 미만이며, 또한 휘선 및 휘도 불균일이 관찰되었다. 또한, 비교예 2는 파장 400nm 내지 500nm, 및 파장 450nm 내지 480nm 평균 반사율이 90% 미만인 것이 인정되었다. 기존의 반사 시이트인 백색 다공성 시이트는 두께가 155μm 이상이기 때문에, 박형의 액정 디스플레이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중공 입자 대신에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층을 설치한 비교예 6은 파장 400nm 내지 500nm의 평균 반사율이 90% 미만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 기기나 컴퓨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바인더 수지 중에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중공 입자층과 금속 박막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로서, 상기 중공 입자층에 있어서의 중공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질량부 이상 800질량부 이하이고, 시이트 전체의 두께가 15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파장 400nm 내지 5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이고, 파장 400nm 내지 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 시이트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의 투과율이, 두께 50μm의 필름으로 제막한 것을 23℃에서 측정할 때 파장 400nm 내지 800nm의 광의 평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입자층의 두께가 5μm 내지 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입자의 외형이 0.05μm 이상 1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이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8. 제 2 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 시이트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의 투과율이 두께 50μm의 필름으로 제막한 것을 23℃에서 측정할 때 파장 400nm 내지 800nm의 광의 평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입자층의 두께가 5μm 내지 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입자의 외형이 0.05μm 이상 1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이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13. 투명 수지 시이트의 한쪽 면에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중공 입자를 100질량부 이상 800질량부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는 층을 형성하여 기재 A를 제작하고, 지지체의 한쪽 면에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기재 B를 제작한 후, 상기 기재 A와 상기 기재 B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의 제조 방법.
  14. 바인더 수지 중에 중공 입자를 함유하는 중공 입자층과 금속 박막을 갖고, 상기 중공 입자층에 있어서의 중공 입자의 함유량이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질량부 이상 800질량부 이하이고, 시이트 전체의 두께가 155μm 이하인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가, 파장 400nm 내지 5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이고, 파장 400nm 내지 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6. 투명 수지 시이트의 한쪽 면에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중공 입자를 100질량부 이상 800질량부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는 층을 형성하여 기재 A를 제작하고, 지지체의 한쪽 면에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기재 B를 제작한 후, 상기 기재 A와 상기 기재 B를 적층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057020379A 2003-04-28 2004-04-27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반사 시이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060003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3525 2003-04-28
JP2003123525 2003-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901A true KR20060003901A (ko) 2006-01-11

Family

ID=3341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379A KR20060003901A (ko) 2003-04-28 2004-04-27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반사 시이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4097468A1 (ko)
KR (1) KR20060003901A (ko)
CN (1) CN1781035A (ko)
TW (1) TW200502091A (ko)
WO (1) WO2004097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231A (ko) * 2005-09-29 2008-07-03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반사재 및 발광 다이오드용 반사체
EP2077458A4 (en) * 2006-10-27 2012-03-28 Toray Industries WHITE POLYESTER FILM FOR A LIGHT REFLECTION PLATE
JP5080114B2 (ja) * 2007-03-20 2012-11-21 出光興産株式会社 光半導体用反射材
JP4892380B2 (ja) * 2007-03-26 2012-03-07 出光興産株式会社 光半導体用反射材
CN101295043A (zh) * 2007-04-25 2008-10-2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散光板结构及其制造方法
JP2010128087A (ja) * 2008-11-26 2010-06-10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積層金属体
TWI596385B (zh) * 2012-02-13 2017-08-21 東麗股份有限公司 反射膜
CN103018804B (zh) * 2012-12-28 2016-01-20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反射膜
CN103323895B (zh) * 2013-05-22 2015-06-17 宁波长阳科技有限公司 一种镀银型反射膜的制备方法
KR102224832B1 (ko) * 2020-07-07 2021-03-0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면조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6838A (ja) * 1991-03-27 1992-10-21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04960Y2 (ja) * 1992-04-10 2000-06-12 株式会社きもと ランプリフレクタ
JPH0963329A (ja) * 1995-08-30 1997-03-07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液晶バックライト用反射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2091A (en) 2005-01-16
JPWO2004097468A1 (ja) 2006-07-13
TWI306808B (ko) 2009-03-01
WO2004097468A1 (ja) 2004-11-11
CN1781035A (zh)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0110B2 (en) Wavelength conversion sheet, backlight unit, and phosphor protective film
KR101558885B1 (ko) 단일의 다층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어셈블리
WO2015190202A1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該シートを含むバックライト装置
JP4962768B2 (ja) 光拡散シート
KR20060003901A (ko)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반사 시이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CN1309753A (zh) 光反射薄膜和发光装置
WO2019227897A1 (zh) 反射结构及其应用
JP4441904B2 (ja) バックライト用反射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
JP5532799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WO2011122380A1 (ja) Led照明用光拡散フィルム
JP2008286907A (ja) 反射用積層体
KR20140003855A (ko) 합지형 광학시트
JP2003177236A (ja) 干渉型半透過反射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干渉型半透過反射板付き偏光板、半透過反射液晶基板、ならびに半透過反射液晶表示装置
TWI490605B (zh) 直下型背光裝置
WO2006030710A1 (ja) 反射型スクリーン
KR20130053489A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80068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JP6880521B2 (ja)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
JP2006330535A (ja) 反射板及びこの反射板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
CN109459884A (zh) 背光结构及其制备方法
JP7467881B2 (ja) 量子ドット保護フィルム
JPH08278415A (ja) 液晶パネル用バックライト及び反射シート
JP2006284689A (ja) 面光源反射部材用フィルム
JP2008250109A (ja) 光拡散反射シート
JP4473618B2 (ja) 反射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面光源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