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836A -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836A
KR20060134836A KR1020060056145A KR20060056145A KR20060134836A KR 20060134836 A KR20060134836 A KR 20060134836A KR 1020060056145 A KR1020060056145 A KR 1020060056145A KR 20060056145 A KR20060056145 A KR 20060056145A KR 20060134836 A KR20060134836 A KR 2006013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feeding
recovery
printing apparatus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352B1 (ko
Inventor
미노루 데시가와라
기이찌로 다까하시
데쯔야 에다무라
아끼꼬 마루
요시아끼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 저장 유닛에 저장된 기록 매체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동시에 토출 회복 작동 동안 인쇄 속도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이를 위한 잉크젯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 회복 작동은, 급지 유닛에 의해 먼저 공급된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말미에서부터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개시까지의 주기 동안에 수행된다. 이때, 회복 작동은 급지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급지 작동이 결정되는 급지 조건에 따라 제어된다.
잉크젯 인쇄 장치, 기록 매체, 급지 유닛, 토출 회복 작동, 급지 조건

Description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의 평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헤드 카트리지의 인쇄 헤드의 한 부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3은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회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4a 내지 도4e는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에서 수행되는 연속 급지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5a 내지 도5e는 현재의 기록 매체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 사이에 최소의 간격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연속 급지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6a는 급지 속도를 나타내는 본 실시예의 잉크젯 인쇄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급지 조건을 도시하는 도면.
도6b는 연속 급지 모드 스위치의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본 실시예의 잉크젯 인쇄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급지 조건을 도시하는 도면.
도7a는 본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연속 급지 작동에서 토출 회복 모드의 설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7b는 도7a에 도시된 개개의 토출 회복 모드의 항목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본 실시예에서 수행된 급지 작동과 같은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9는 도8에 도시된 초기 급지 루틴을 도시하는 상세한 플로우차트.
도10은 도8에 도시된 연속 급지 루틴을 도시하는 상세한 프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 카트리지
2 : 캐리지
8 : 기록 매체
9 : 이송 롤러
13 : 인쇄 헤드 유닛
30 : 홈 위치 센서
31 : 급지 롤러
32 : ASF
33 : 용지 센서
35 : 급지 모터
100 : 제어기
101 : CPU
120 : 작동 유닛
134 : 온도 센서
본 발명은 기록 매체를 기록 매체 저장 유닛에서 인쇄 헤드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미리 급지된 기록 매체를 인쇄하는 말미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를 인쇄하는 초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토출 회복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잉크젯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인쇄 장치에서, 잉크 용기와 같은 잉크 공급원에 의해 공급된 잉크는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액적으로서 잉크젯 인쇄 헤드의 토출 포트에서 토출된다. 따라서, 잉크젯 인쇄 헤드(이하에서는, 간단히 "인쇄 헤드"라 함)에서는, 개개의 포트와 연통되는 복수의 액체 통로가 형성되고, 이러한 액체 통로와 연통되는 공통 액체 챔버가 형성된다. 공통 액체 챔버는 또한 잉크 용기의 잉크 공급 포트에 연결되고, 잉크 용기로부터의 잉크는 공통 액체 챔버를 통해 개개의 액체 통로로 공급된다. 또한, 잉크 토출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하는 토출 에너지 발생 장치가 각각의 액체 통로를 따라 제공되고,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러한 토출 에너지 발생 장치가 구동될 때, 잉크 액적은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된다. 히터와 같은 전열 변환 장치, 또는 압전 소자와 같은 전기기계적 변환 장치가 토출 에너지 발생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토출 포트 및 액체 통로에 의해 구성되는 부분들은 노즐로 불린다.
이러한 잉크젯 인쇄 장치에서, 액체 통로가 잉크로 채워지는 시간을 지나 오 랜 시간 주기 동안 잉크가 토출되지 않으면, 액체 통로의 잉크는 점성을 갖거나 끈끈하게 되어, 토출되는 잉크의 양 및 잉크가 적층되는 낙하 정밀도가 변동하고, 토출 불량이 발생된다. 또한, 잉크가 매우 점성을 갖거나 끈끈하게 되면, 막힘이 발생하여 토출 포트를 통한 잉크의 토출이 방해받을 수 있다.
잉크의 사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이러한 불편을 없애기 위해, 잉크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인쇄 장치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장치가 잉크젯 인쇄 장치에 제공된다. 즉, 토출 회복 시스템이 잉크젯 인쇄 장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토출 회복 시스템은 토출 포트가 형성되는 면(이하에서 "토출 포트 형성면"이라 함)을 통해 인쇄 헤드의 액체 통로를 청소하고, 인쇄 헤드를 위한 적절한 토출 성능 상태를 유지한다.
토출 성능을 회복하기 위해 토출 회복 시스템에서 채택되는 한가지 방법으로서, 토출 포트를 통한 액체 통로에 대해 소정의 압력을 가하고 액체 통로 내로 새로운 잉크를 연속하여 유입함으로써 점성을 갖거나 끈끈하게 된 잉크의 강제 토출을 제공하는 소위 토출 회복 방법이 있다. 토출 회복 방법으로서, 잉크 공급 시스템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 회복 방법과, 잉크 토출 포트를 통해 잉크를 흡인하는 흡입 회복 방법이 있고, 이들은 모두 강제로 토출하여 점성을 갖거나 끈끈한 잉크를 제거한다. 또한, 와이핑 부재가 토출 포트 형성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되고, 토출 포트 형성면을 가로질러 와이핑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토출 포트 근처에 부착된 점성을 갖거나 끈끈한 잉크가 제거되는 와이핑 회복 방법이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잉크젯 인쇄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상술한 회복 방법에서는, 비교적 긴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회복 방법들 중 하나가 인쇄 또는 인쇄와 관련된 작동 동안 사용되면, 인쇄를 완료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증가되고, 전체적으로 인쇄 속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인쇄 속도를 상당히 저하시키지 않고 적절한 토출 상태에서 액체 통로의 잉크를 유지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예비 토출로 불리는 회복 방법이 또한 사용된다. 이러한 예비 토출 방법에 따르면, 인쇄에 직접 관련되지 않은 잉크가 소정의 잉크 수용 부재로 토출된다. 이러한 예비 회복이 토출 빈도가 낮은 토출 포트를 위해 수행되면, 액체 통로 내의 잉크는 적절한 토출 상태로 유지된다.
일본 특개평 제2000-094659호에는,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작동 동안에 인쇄 헤드의 토출 성능을 회복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잉크젯 인쇄 장치에 따르면, 급지 작동이 시작되거나 또는 급지 작동이 수행되는 동안에 인쇄 헤드의 예비 작동이 개시되어, 기록 매체를 위한 급지 작동의 개시부터 인쇄 개시까지의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미국 특허 제6,702,274호에는 연속 인쇄에서 시트 공급 속도의 증가와 관련된 제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잉크젯 인쇄 장치는 급지 기구, 시트 이송 기구 및 운반 기구를 독립적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잉크젯 인쇄 장치에서, 기록 매체의 길이뿐만 아니라 용지 센서에 의해 얻어진 정보가 입력되고, 이러한 엔트리의 하나 또는 모두가 급지 작동의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공급을 개시하는 타이밍은 용지 센서에 의해 얻어진 임의의 정보에 관계없이 기록 매체의 길이에 따라 단순히 결정된다. 또는,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선단 에지가 용지 센서의 전방 위치에 도달한 후, 현재의 기록 매체의 후단 에지가 용지 센서를 통과하였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고, 얻어진 결과에 따라서 급지 작동이 계속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국 특허 제6,702,274호에 개시된 잉크젯 인쇄 장치에 따르면,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급지를 위한 타이밍이 진행되고 있는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제어되어, 후속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최소 거리가 지정된다. 또한, 크기가 다른 기록 매체가 사용되거나 또는 약간의 미끄러짐과 같은 급지 기구의 에러가 있을 때도, 기록 매체의 이중 공급 또는 검사 기능 정밀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속 인쇄 동안에도 빠른 연속 급지가 안정적으로 수행되어, 인쇄 속도가 증가된다.
또한, 최근에 인쇄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잉크 액적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따라서 더 높은 해상도를 갖는 화상 및 개선된 화질이 얻어진다. 그 결과, 잉크 액적의 크기 감소에 대해 직접적으로, 현재 생산되는 인쇄 헤드의 토출 포트의 직경이 비례하여 더 작아지고, 토출 회복 공정이 이러한 인쇄 헤드를 위한 안정적인 토출 상태의 유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잉크젯 인쇄 장치에서, 토출 회복 공정은 기록 매체의 인쇄가 시작되기 전의 시간을 사용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인쇄 작동이 처음의 기록 매체에서 수행될 때, 소정의 시간 주기가 급지 작동의 개시에서부터 인쇄 작동의 개시까지의 급지 공정에서 필요하다. 따라서, 인쇄 헤드를 위한 토출 회복 공정은 이러한 기간 동안 수행된다.
연속 인쇄가 연속 급지 작동과 함께 수행되는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잉크젯 인쇄 장치는 선행하는 기록 매체가 용지 센서를 통과한 후에만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급지를 시작한다. 따라서, 연속 인쇄 작동 동안,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가 시작되기 전에 토출 회복 공정의 수행을 위해 충분한 시간이 가능하다.
일본 특개평 제2000-094659호에 개시된 잉크젯 인쇄 장치에 따르면, 토출 회복 공정은 급지 작동 동안에 수행된다. 그러나,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말미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개시까지 긴 시간 주기가 요구된다. 따라서, 연속 인쇄가 수행될 때, 전체 인쇄 작동의 완료를 위한 주기가 연장되므로, 인쇄가 수행되는 속도가 증가되어야 한다.
한편, 미국 특허 제6,702,274호에 개시된 잉크젯 인쇄 장치에 의해 고속의 연속 인쇄가 수행될 때, 선행하는 기록 매체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급지를 위한 시간 주기가 감소된다. 그러나, 토출 회복 공정의 수행을 위한 시간 여유가 감소된다. 따라서, 토출 회복 작동의 수행을 위한 적절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토출 회복을 위해 필요한 시간에 따라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급지가 지연되어야 한다. 즉, 미국 특허 제6,702,274호 또는 일본 특개평 제2000-094659호에 개시된 잉크젯 인쇄 장치에서는, 전체적인 인쇄 속도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 저장 유닛으로부터 기록 매체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토출 회복 작동의 수행에 의한 인쇄 속도의 임의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잉크제 인쇄 장치는,
잉크 토출 노즐을 포함하는 인쇄 헤드와,
기록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저장 유닛으로부터 인쇄 헤드의 인쇄 위치로 기록 매체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급지 수단과,
급지 수단에 의해 먼저 공급된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말미에서부터 급지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개시까지의 시간 주기 내에서 잉크 토출 노즐의 토출 성능을 회복하기 위해 복수의 회복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회복 수단과,
기록 매체가 공급되는 다른 속도에 대한 복수의 급지 조건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제1 설정 수단과,
지정된 급지 조건에 기초하여 회복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회복 모드들 중 하나를 설정하는 제2 설정 수단과,
지정된 급지 조건에 따라 급지 수단을 제어하고, 설정된 회복 모드에 기초하여 회복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잉크 토출 노즐을 갖는 인쇄 헤드와, 기록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저장 유닛으로부터 인쇄 헤드의 인쇄 위치로 기록 매체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급지 수단과, 급지 수단에 의해 먼저 공급된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말미에서부터 급지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개시까 지의 시간 주기 내에서 잉크 토출 노즐의 토출 성능을 회복하기 위해 복수의 회복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회복 수단을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은,
급지 수단이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급지 조건을 지정하는 제1 설정 단계와,
회복 수단을 위한 회복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급지 조건을 사용하는 제2 설정 단계와,
지정된 급지 조건에 따라 급지 수단을 제어하고, 회복 모드에 기초하여 회복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지 수단이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동안의 급지 조건에 따라서, 적절한 토출 회복 작동이 수행되고, 동시에 불필요한 잉크 소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연속 급지에 의해 효율적인 급지 공정이 수행될 때, 잉크의 낭비적인 소비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비용이 증가되지 않고, 처리량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효과,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잉크젯 인쇄 장치)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1에서, 헤드 카트리지(1)가 캐리지(2) 상에 교환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헤드 카트리지(1)는 인쇄 헤드 유닛(13), 잉크 용기 유닛, 그리고 후술하는 제어 시스템과 인쇄 헤드 유닛(13)을 구동하는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를 포함한다.
헤드 카트리지(1)는 캐리지(2)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구동 신호를 커넥터를 통해 헤드 카트리지(1)로 전달하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홀더(전기 커넥터)가 캐리지(2)를 위해 제공된다. 가이드 샤프트(3)가 잉크젯 인쇄 장치의 본체에 제공되어 주 스캔 방향으로 연장되고, 캐리지(2)는 가이드 샤프트(3)에 의해 지지되어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왕복식으로 이동된다. 캐리지(2)는 모터 풀리(5), 결합 풀리(6), 타이밍 벨트(7)를 포함하는 구동 기구에 의해 주 스캔 모터(4)에 의해 구동된다. 캐리지(2)의 위치 및 이동은 캐리지(2)를 위해 제공되는 홈 위치 센서(30) 및 선형 엔코더에 의해 얻어지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캐리지(2)가 차폐판(36)을 통과하면, 홈 위치 센서(30)는 소정의 홈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급지 롤러(31)가 기어를 통해 급지 모터(35)에 의해 회전되면, 인쇄 용지 시트 또는 얇은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기록 매체(8)는 하나씩 자동 시트 공급기(이하에서 "ASF"라 함)에 의해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이송 롤러(9)가 회전하면, 기록 매체(8)가 이송되어, 헤드 카트리지(1)의 토출 포트 면(부 스캔 방향)에 대향되는 위치(인쇄부)를 통과한다. 이송 롤러(9)의 회전은 기어를 거쳐 LF 모터(34)의 회전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기록 매체(8)가 공급되었는지에 대한 결정은 기록 매체(8)가 용지 센서(에지 검출 수단)(33)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수행된다. 또한, 기록 매체(8)의 인쇄 개시 위치는 기록 매체(8)가 용지 센서(33)를 통과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사용하여 설정된다. 용지 센서(33)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의 실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고,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의 위치는 현재의 인쇄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기록 매체(8)의 뒷면은 (도시되지 않은) 플래튼에 의해 지지되어, 인쇄부는 편평한 인쇄면을 형성한다. 캐리지(2) 상에 장착된 헤드 카트리지(1)는, 토출 포트 면이 상류의 이송 롤러 쌍과 하류의 이송 롤러 쌍 사이의 기록 매체(8)에 평행하게 캐리지(2)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유지된다.
헤드 카트리지(1)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해 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잉크젯 헤드 카트리지이고,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열 변환 소자를 포함한다. 즉,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헤드 카트리지(1)의 인쇄 헤드 유닛(13)은 전열 변환 소자에 인가된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잉크 버블을 발생시키고 버블에 의해 제공되는 압력을 사용하여 토출 포트를 통해 잉크 액적을 토출한다.
도2는 헤드 카트리지(1)의 인쇄 헤드 유닛(13)의 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에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토출 포트(22)가 소정의 간극(예를 들어, 약 0.5 내지 2.0mm)을 거쳐 기록 매체와 대면하는 토출 포트 면(21)에 형성된다. 복수의 액체 통로(24)는 개개의 토출 포트(22)와 연통되고, 공통 액체 챔버는 액체 통로의 단부(내부 단부)와 연통된다. 잉크 토출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하는 전열 변환 소자(전기 히터)(25)는 개개의 액체 통로(24)의 내부 벽을 따라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인쇄 헤드 유닛(13)은 캐리지(2) 상에 장착되어, 토출 포트(22)가 배열되는 방향이 캐리지(2)의 스캔 방향과 교차한다.
이러한 헤드 카트리지(1)에서, 화상 신호 또는 토출 신호에 따라서, 대응하는 전열 변환 소자(이하에서, "토출 히터"라 함)(25)가 구동되고(통전되고), 막비등이 액체 통로(24)의 잉크에 발생하고, 이런 식으로 발생된 버블에 의해 생성된 압력이 토출 포트(22)를 통해 잉크를 가압하여 잉크를 토출한다.
이제, 도3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회로의 전체적인 구성이 설명된다.
도3에서, 제어기(100)는 주 제어 유닛(제어 수단 및 회복 조건 설정 수단)이다. 제어기(100)는 마이크로컴퓨터와 같은 형태의 CPU(101)와, 프로그램, 필요한 테이블, 다른 정해진 데이터가 저장되는 ROM(103)과, 화상 데이터를 현상하기 위한 영역과 작업 영역이 제공되는 RAM(105)을 포함한다. 제어기(100)는 인터페이스(I/F)(112)를 통해 화상 데이터 공급원인 호스트(110)에 연결된다. 호스트(110)는 인쇄와 관련된 화상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마련하여 처리하고, 인쇄와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프린터 구동기(급지 조건을 지정하는 수단)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호스트는 컴퓨터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화상 판독기와 같은 다른 형태가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명령 신호 및 상 태 신호와 같은 화상 데이터 및 다른 신호는 인터페이스(I/F)(112)를 통해 호스트(110) 및 제어기(100)에 의해 교환된다.
작동 유닛(120)은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지시를 받는 스위치 그룹이다. 스위치 그룹은 전원 스위치(122), 흡입 회복을 개시하는 지시를 내리기 위한 회복 스위치(126), 연속 급지 및 인쇄 스위치(127)를 포함한다. 연속 급지 및 인쇄 스위치(127)는, ASF(32)의 공급 트레이(32a) 상에 적층된 기록 매체(8)가 연속 인쇄를 수행하도록 하나씩 개별적으로 공급될 때 사용된다. 제어기(100)는, 용지 센서(33)가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를 검출하기 전에 후속하는 기록 매체(8)가 공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연속 급지 절환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급지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속 급지 및 인쇄 스위치(127)를 사용하는 대신에, 급지 조건은 호스트(프린터 구동기)에 의해 지정될 수 있고, 대응하는 명령은 인쇄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센서 그룹(130)은 인쇄 장치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의 그룹이다. 센서 그룹(130)은 상술한 홈 위치 센서(30), 기록 매체의 존재/부재를 검출하는 용지 센서(33), 외부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적절하게 위치되는 온도 센서(134)를 포함한다.
헤드 구동기(140)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 헤드(1)의 토출 히터(2)를 구동하는 구동기이다. 헤드 구동기(140)는 토출 히터(2)의 위치에 대해 인쇄 데이터를 배열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적절한 타이밍에 데이터를 래치하는 래치 회로, 구동 타이밍 신호와 동기하여 토출 히터(2)를 시동하는 논리 회로 소자, 도트 형성 위치를 맞추기 위해 적절한 구동 타이밍(토출 타이밍)을 지정하는 타이밍 설정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잉크 토출 특성을 안정화시키도록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보조 히터(142)가 인쇄 헤드(1)를 위해 제공된다. 보조 히터(142)는 토출 히터(2)로서 마찬가지로 인쇄 헤드 기판 상에 장착되고 그리고/또는 인쇄 헤드 또는 헤드 카트리지의 본체 상에 장착된다. 도2에서, 보조 히터(142)는 도시되지 않는다.
주 스캔 모터(4)는 캐리지(2)를 구동시키는 모터이고, 모터 구동기(150)에 의해 구동된다. LF 부 스캔 모터(34)는 기록 매체(8)를 이송(부 스캔)하는 모터이고, 모터 구동기(170)에 의해 구동된다. 급지 모터(35)는 ASF(32)의 급지 롤러(31)를 구동하는 모터이고, 모터 구동기(160)에 의해 구동된다.
이제, 본 실시예의 잉크젯 인쇄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 즉 급지에서 인쇄 그리고 기록 매체를 배출하면서 진행되는 처리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동안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공급 및 급지를 시작하기 위해, 잉크젯 인쇄 장치는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가장 최근의 위치를 계산하여, 선행하는 기록 매체가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급지를 시작한다. 이러한 경우,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가 계속되고, 따라서 캐리지의 왕복 이동(주 스캔) 및 인쇄 헤드의 이동이 또한 계속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 적절한 순서로 급지 처리 과정이 기술된다.
(비교예에서의 연속 급지)
먼저,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효과를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가 설명된다. 이러한 비교예에서, 도4a 내지 도4e를 참조하여 종래에 수행된 연속 급지 작동이 설명된다.
비교예에 따르면, 급지 작동이 도4a의 상태에서 도4e의 상태로 진행된다. 도4a의 상태에서, 먼저 공급된 기록 매체(8)가 이송 롤러(9) 및 이에 대향하여 배열된 핀치 롤러(50) 사이에 끼워지고 이러한 롤러들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부 스캔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록 매체(8)의 존재(용지 존재 상태)는 용지 센서(33)에 의해 검출된다.
비교예에서, 선행하는 기록 매체(8)가 용지 센서(33)를 지나 이동하기 전에, 후속하는 기록 매체(40)를 위한 인쇄 데이터를 현상하기 위한 공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공급은, 용지 센서(33)가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를 검출할 때까지 지연된다. 따라서, 선행하는 기록 매체(8)가 용지 센서(33)를 통과한 후, 항상 시간 간격(L1)이 존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교예에서는, 도4c에 도시된 상태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공급이 시작된다. 이때, 선행하는 기록 매체(8)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40) 사이에는 상당한 거리(L1)가 있다. 다음으로, 도4d는 후속하는 기록 매체가 용지 센서(33)를 통과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센서는 기록 매체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선단 에지가 검출될 때, 후속하는 기록 매체(40)를 위한 인쇄 개시 위치의 계산이 시작된다.
도4e의 상태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를 위한 인쇄 개시 위치의 계산이 완료되면, 이송 롤러(9)는 멈추고, 헤드 카트리지(1)는 주 스캔 방향(인쇄 개시 상태)으로 구동된다.
상술한 급지 처리 순서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를 위한 데이터 현상 공정과 같은 모든 공정들은 기록 매체(40)의 공급 전에 수행되어, 연속 급지 작동의 속도가 증가된다. 또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공급은 용지 센서(33)가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를 검출한 후 시작되므로, 이중 급지 또는 잼이 발생되지 않고, 시트 공급이 안정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상술한 비교예의 급지 작동에 따르면, 선행하는 기록 매체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 사이에 상당한 간격(L1)이 존재한다. 따라서, 연속 급지를 위해 긴 주기가 필요하고, 전체 인쇄 작동의 길이가 증가된다. 간격(L1)을 줄이기 위해, 용지 센서(33)는 급지 롤러(31)에 더 가까이 위치된다. 그러나, 급지 롤러(31)에서, 기록 매체의 표면 상의 미끄럼에 의해 이송 에러가 발생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기록 매체가 용지 센서(33)를 통과하는 위치와 기록 매체가 이송 롤러(9)에 도달하는 위치 사이의 거리가 길 때, 계산된 급지 거리와 실제의 급지 거리 사이에는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인쇄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급지 작동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의 연속 급지 작동)
도5a 내지 도5e는 선행하는 기록 매체(8)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4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연속 급지가 가능한 본 실시예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a의 상태에서, 먼저 공급된 기록 매체(8)를 위한 인쇄가 수행된다. 도5b 의 상태에서,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선단 에지 사이에 소정의 간격(최소 간격)(L2)이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급지 롤러(31)가 회전하고, ASF(32)의 급지 트레이(32a)로부터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급지가 시작된다.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의 위치는,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길이와 선행하는 기록 매체가 용지 센서(33)를 통과한 후 이송된 거리에 관한 미리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기(100)의 CPU(101)에 의해 계산된다.
도5c의 상태에서, 먼저 급지된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가 용지 센서(33)를 통과했을 때, 이 위치에는 용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본 예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가 용지 센서(33) 바로 앞의 지점으로 진행되면,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선단 에지의 위치는 급지 롤러(31)가 회전한 거리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또한, 용지 센서(33)에 의해 출력된 신호는,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가 용지 센서(33)를 통과하여 작동 상태가 용지 부재 상태인지를 결정하도록 검사된다.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40) 사이에는 최소 간격(L2)이 제공되면서, 인쇄 작동이 상술한 방법으로 수행되므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는 급지 과정이 멈추지 않고 이송 롤러(9)로 연속하여 공급된다.
따라서, 연속 급지 작동에서, 이중 급지와 같은 임의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최소 간격(L2)이 유지되면서 빠른 급지가 가능하다. 또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를 위한 인쇄 개시 위치는 인쇄 작동 동안에 정확히 제어된다.
도5d의 상태에서, 선행하는 기록 매체(8)는 배출되고(도시되지 않음), 후속 하는 기록 매체(40)가 이송 롤러(9)의 위치로 이송된다. 도5e의 상태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공급은 완료되고, 인쇄가 시작된다.
(본 실시예의 연속 급지 작동의 예시적인 적용)
일반적인 잉크젯 인쇄 장치는 기록 매체의 형태 또는 인쇄 경로의 수와 관련된 인쇄 조건에 따라 고속 인쇄 모드 및 고품질 화상 인쇄 모드를 포함하여 복수의 인쇄 모드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최적의 급지 조건은 기록 매체 형태 및 인쇄 모드에 따라 지정된다.
예를 들어, 잉크 수용 층이 적층되는 사진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진 시트와 같은 기록 매체에서, 그 회전 속도가 높을 때 ASF(32)의 급지 롤러(31)에의해 표면은 용이하게 기록된다. 따라서, 급지 속도는 기록 매체 형태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특정 고품질 화상 인쇄 모드에서, 기록 매체 상으로 토출되는 잉크의 양은 증가되어, 연무형 잉크 액적의 상당한 양이 용지 면에 도달하지 않고 토출 포트 면에 부착된다. 토출 포트 면에 부착된 잉크 액적을 제거하기 위해, 시트가 배출되는 매 시간마다 유지보수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경우 연속 인쇄 동안, 도4a 내지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되는 선행하는 기록 매체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 사이에는 큰 간격(L1)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6a 및 도6b는 본 실시예의 잉크젯 인쇄 장치를 위한 예시적인 급지 조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a에는, 기록 매체의 형태 및 형성되는 화상의 인쇄 품질의 조합(인쇄 조 건)에 따라 정해지는 급지 속도가 도시된다. 도6b에는, 기록 매체의 형태 및 인쇄 품질의 조합에 따라 정해지는 연속 급지 설정 스위치의 온 및 오프 상태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잉크젯 인쇄 장치에 따르면, 고속 인쇄에서 고품질 인쇄로의 인쇄를 제공하기 위한 3가지 인쇄 모드(품질 1, 품질 2, 품질 3)가 개개의 기록 매체를 위해 정해진다.
도6a에서, 보통의 용지가 사용되고 인쇄 속도가 가장 빠른 품질 3 모드를 위해 38.1cm(15인치)/초의 급지 속도가 지정된다. 16cm(6.33인치)/초의 급지 속도는 품질 1 및 품질 2 모드를 위해 지정된다. 도6b에서, 보통의 용지를 사용하여 연속 인쇄가 수행될 때, 연속 급지 설정 스위치는 품질 3 및 품질 2 모드에서 "온"으로 설정되고, 품질 1 모드에서는 "오프"로 설정된다. 기록 매체의 형태 및 품질에 관한 정보가 잉크젯 인쇄 장치로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위해 추가로 제공된다. 이러한 정보에 따라, 잉크젯 인쇄 장치를 위한 급지 기구 및 인쇄를 위한 기구의 작동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는 그 선단 에지가 용지 센서(33) 전의 15mm 지점에 도달하는 거리에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른 토출 회복 조건이 개개의 급지 조건에서 지정되어, 급지 작동 동안 수행되는 토출 회복 공정이 각각의 급지 조건을 위해 최적화된다(도7a 및 도7b 참조).
예를 들어, 토출 회복 모드 3(모드 3)이 품질 1 모드를 위해 지정되고, 그동안 보통의 용지에서의 급지 설정 스위치를 위해 "오프" 상태가 지정된다(도7a 참조). 따라서, 이 경우 연속 인쇄 동안에도,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공급은 현재의 기록 매체의 후단 에지가 용지 센서(33)를 통과될 때까지 시작되지 않는다. 이러한 공정은 도4a 내지 도4e에 도시된 급지 작동과 동일하다(초기 급지 작동). 처음의 시트뿐만 아니라 제2 및 다음의 시트를 위해, 도4a 내지 도4e에 도시된 초기의 급지 작동이 수행된다. 이러한 공정 동안, 토출 회복 모드 3이 또한 설정된다. 이 때 수행된 토출 회복 공정 동안, 구동 주파수는 10 [kHz] 이고, 하나의 노즐로부터 400 도트가 토출되고, 180 [msec]의 처리 주기가 필요하다. 물론, 잉크젯 인쇄 장치, 인쇄 헤드, 잉크의 형태 및 잉크 액적의 크기에 따라서 이러한 토출 회복 조건은 변화되어야 한다. 또한, 잉크젯 인쇄 장치에서, 전원의 제한된 용량에 의해 잉크가 모든 노즐을 통해 동시에 토출되지 않는 것 또는 다수 색상의 잉크가 대응하는 인쇄 헤드로부터 토출되어야 하는 것과 같은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동시에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은 제한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을 고려하여 토출 회복 조건이 지정되어야 한다.
급지 속도는 품질 2 및 품질 1 모드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품질 2 모드의 보통의 용지의 인쇄에서, 연속 급지 설정 스위치는 "온" 상태로 설정되므로, 선행하는 기록 매체(보통의 용지)(8)의 인쇄의 종료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보통의 용지)(40)의 인쇄의 개시까지 단지 짧은 시간 간격만 있다. 또한, 품질 3 모드에서 급지 속도는 다른 것보다 빠르므로, 후속하는 기록 매체(보통의 용지)(40)의 인쇄 개시를 위한 타이밍은 더 짧아진다. 시간 간격은 인쇄 헤드의 비토출 시간에 직접 관련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급지 작동 동안의 토출 회복 공정은 시간 간격에 따라 다른 조건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토출 회복 공정동안 토출되는 도트의 수는 비토출 시간을 고려하여 최적화된다. 예를 들어, 후속하는 기록 매체를 위한 시간 간격이 짧을 때 토출 회복을 위해 더 작은 수의 도트가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진 시트 및 우편 엽서를 위해 지정된 모든 모드에서, 연속 급지 설정 스위치의 상태는 "오프"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연속 급지에서도,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공급은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후단 에지가 용지 센서(33)를 통과할 때까지 시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처음의 시트뿐만 아니라 제2 및 다음의 시트를 위해 초기의 급지 작동이 수행되고, 토출 회복 조건 모드 3이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토출되는 도트의 수, 필요한 처리 시간과 같은 토출 회복 조건들은 연속/비연속 급지 작동 및 급지 속도와 같은 급지 조건에 따라서 토출 회복 작동을 위해 지정된다. 따라서, 급지 작동 속도의 증가 및 토출 회복 작동 시간의 최적화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속도가 저하되지 않고 안정적인 인쇄 작동이 수행된다. 또한, 인쇄 작동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토출 회복 공정 동안 소비되는 잉크의 양은 감소되고, 또한 운전 비용이 감소된다.
이제, 도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급지 작동 및 토출 회복 작동이 설명된다.
먼저, 단계 10에서, 급지 지시를 수신함으로써 급지 모드가 시작되고, 단계 20에서, 공급되는 기록 매체의 길이 정보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페이지 길이 정보)는 호스트 컴퓨터의 프린터 구동기에 의 해 전송되는 인쇄 정보가 포함된 기록 매체 설정 관련 정보로부터 얻어지고, 페이지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이하의 작동이 수행된다. 또한, 페이지 길이 정보는, 기록 매체 설정 관련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대신에 용지 카세트의 크기, 형상 또는 형태와 관련된 정보, 또는 기록 매체의 폭과 관련된 정보와 같이 기록 매체의 길이가 특정되는 다른 정보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단계 30에서, 먼저 공급된 기록 매체가 현재 인쇄되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체크가 수행된다. 기록 매체(8)가 인쇄되지 않을 때는, 단계 40에서, 용지 센서(33)는 기록 매체(8)가 여전히 인쇄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록 매체(8)가 여전히 인쇄 영역에 존재할 때는, 단계 50에서, LF 모터(34)가 작동되어 기록 매체(8)를 배출한다. 배출이 수행된 후, 단계 60에서, 처음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루틴인 초기 급지 루틴으로 프로그램 제어가 진행된다. 급지가 완료된 때, 프로그램 제어는 단계 110으로 진행되어, 급지 모드가 종료되고, 실질적인 인쇄가 시작된다.
단계 30에서 기록 매체(8)가 인쇄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그램 제어는 단계 70으로 진행된다. 그 후, 추가로 인쇄 데이터를 위해 제공되는 기록 매체의 형태 및 인쇄 품질에 관한 정보는 연속 급지 모드가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속 급지 모드가 수행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 40에서 용지 센서(33)는 기록 매체(8)가 여전히 인쇄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기록 매체(8)가 여전히 인쇄 영역에 존재할 때는, 단계 50에서 LF 모터(34)가 구동되어 기록 매체(8)를 배출한다. 그후, 배출이 완료되면, 단계 60 에서, 급지 작동 및 후술되는 토출 회복 공정을 수행하도록 초기 급지 루틴(도9 참조)이 시작된다. 그후, 프로그램 제어는 단계 110으로 진행하여, 급지 모드가 종료되고, 후속하는 기록 매체를 위한 인쇄가 시작된다.
단계 70에서 연속 급지 모드가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 80에서, 현재의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의 위치가 계산된다. 단계 90에서, ASF(32)가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급지를 시작하는 타이밍이 현재의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에서 얻어진 위치를 참조하여 결정된다. 급지 타이밍이 된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 100에서 연속 급지 루틴(도10 참조)이 연속 급지 및 후술하는 토출 회복 공정을 수행하도록 개시된다. 그 후, 프로그램 제어는 단계 110으로 진행되고, 급지 모드가 종료된다.
이제, 도9를 참조하여 초기 급지 루틴이 설명된다.
단계 200에서, 초기 급지 루틴이 시작되면, 단계 210에서, 공급되는 기록 매체를 위한 인쇄 개시 위치의 계산이 시작된다. 그후, 단계 220에서, ASF(32)에서 급지 롤러(31)의 회전이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직렬 프린터의 경우, 인쇄가 개시되면, 기록 매체는 LF 모터(34)의 회전에 의해 부 스캔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된다. 간헐적인 이송 작동 동안, 급지 롤러(31)에 의해 기록 매체에 압력이 인가되면, 압력은 하중을 부여하고, 이송 정밀도는 저하된다. 따라서, 이송 롤러(31)로서 반원 롤러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급지 작동은 급지 롤러(31)가 1회전 할 때 완료되어 멈추도록 제어된다.
단계 220에서, 급지 롤러(31)의 회전을 시작하라는 지시가 내려지고, 단계 230에서 급지 롤러(31)가 1회전 하였는지를 결정하는 체크가 수행된다. 급지 개시 시점에서, 급지 롤러(31)는 통상 아직 1회전을 하지 않았고, 프로그램 제어는 단계 250으로 진행되고, 여기서 기록 매체는 용지 센서(33)에 도달된다. 기록 매체가 용지 센서(33)에 도달되기 전에 급지 롤러(31)가 1회전을 하면, 기록 매체의 미끄러짐이 있어 급지 실패가 있거나, 또는 원래부터 기록 매체가 ASF(32)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이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단계 240으로 이동하고, 에러 메시지가 표시된다.
단계 250에서, 기록 매체가 용지 센서(33)에 도달된 것으로 결정되면, 급지 롤러(31)의 회전은 1회전이 완료할 때까지 계속된다. 1회전이 완료되면, 급지 롤러(31)는 정지하고, ASF(32)로부터의 급지가 중지된다. 그후, 프로그램 제어는 단계 260으로 진행하고, 이송 롤러(9)의 회전이 개시된다. 이때, 용지 센서(33)가 기록 매체의 존재를 검출하면, 공급되는 기록 매체의 거리가 계산되고, 인쇄 개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송 롤러(9)가 구동된다. 그후, 단계 280에서, 토출 회복 공정이 소정의 조건하에서 수행되고, 그 후 초기 급지 루틴이 종료된다.
이제, 도10을 참조하여 연속 급지 루틴이 설명된다.
단계 300에서, 연속 급지 루틴이 개시되고, 단계 310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를 위한 인쇄 개시 위치의 계산이 시작된다. 그후, 단계 320에서,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선단 에지의 위치 정보 및 이전에 얻어진 기록 매체 길이 정보를 사용하여,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의 위치가 계산된다. 그후,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의 위치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선단 에지의 위 치 사이의 차이가 계산되어 두 개의 에지 위치 사이의 위치 차이(간격)로 사용된다. 그후, 단계 330에서, 위치 차이 정보는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공급이 ASF(32)의 급지 롤러(31)의 회전에 의해 개시되는 지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위치 차이 정보는 양의 값 또는 음의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양의 값은 중첩이 없는 상태로 정의되고, 음의 값은 중첩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즉, 급지 롤러(31)가 회전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되고, 이는 현재의 기록 매체(8)가 급지 롤러(31) 하부로부터 통과되어 후속하는 기록 매체(40)로부터 분리되는 조건이 만족되는지에 달려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재의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선단 에지 사이의 간격이 위치 정보로서 정의된다. 그러나, 급지 롤러(31)의 회전은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와 급지 롤러(31)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단계 340에서 ASF(32)의 급지 롤러(31)의 회전이 개시되면, 단계 342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선단 에지의 위치가 계산되고, 얻어진 위치는 기록 매체(40)의 선단 에지가 용지 센서(33)의 전방 위치에 도달되었는지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단계 344). 단계 320 및 340의 과정은,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선단 에지가 용지 센서(33)의 전방 위치에 도달한 것이 결정될 때까지 반복된다.
단계 344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선단 에지가 용지 센서(33)의 전방 위치에 도달된 것이 결정되면, 단계 350에서, 선행하는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가 용지 센서(33)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 즉 용지 센서(33)의 상태가 용지 부재 상태인지를 결정하도록 수행된다.
용지 부재 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 360에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공급이 중지된다. 이 경우, 선행하는 기록 매체(8)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40)가 중첩되어 공급되거나, 또는 이러한 두 개의 매체가 사이의 간격이 거의 없이 공급된 것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의 공급은 일시적으로 중지되고, 선행하는 기록 매체가 부 스캔 기구인 이송 롤러(9)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송된다. 그후, 특정 시간에, 용지 센서(33)는 용지 부재 상태, 즉 현재의 기록 매체(8)의 후단 에지를 검출한다. 이때, 현재의 기록 매체(8)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40) 사이에는 최소의 간격이 유지된다.
그후, 단계 370에서, ASF(32)의 작동이 다시 시작되고, 급지 작동이 재개된다. 단계 380에서, 이송 롤러(9)는 급지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고, 단계 390에서, 요구되는 인쇄 개시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인쇄 개시 OK), 부 스캔 방향으로 후속하는 기록 매체(40)를 이송한다. 그후, 기록 매체의 선단 에지가 정해진 개시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 392에서, 상술한 방법으로 정해진 회복 조건에 따라 토출 회복 공정이 수행된다. 단계 400에서, 연속 급지 루틴은 종료된다.
본 실시예의 단계 360에서, 급지 작동이 중지되지만, 대신에 급지 롤러(31)의 회전 속도가 감소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기술되었고, 이제 더 넓은 태양의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것이 본 발명인 것은 상기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하고,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 정한 기술사상 내에서 모든 이러한 변화 및 변경을 포함하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 저장 유닛으로부터 기록 매체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토출 회복 작동의 수행에 의한 인쇄 속도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잉크젯 인쇄 장치이며,
    잉크 토출 노즐을 포함하는 인쇄 헤드와,
    기록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저장 유닛으로부터 인쇄 헤드의 인쇄 위치로 기록 매체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급지 수단과,
    급지 수단에 의해 먼저 공급된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말미에서부터 급지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개시까지의 시간 주기 내에서 잉크 토출 노즐의 토출 성능을 회복하기 위해 복수의 회복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회복 수단과,
    기록 매체가 공급되는 다른 속도에 대한 복수의 급지 조건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제1 설정 수단과,
    지정된 급지 조건에 기초하여 회복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회복 모드들 중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설정 수단과,
    지정된 급지 조건에 따라 급지 수단을 제어하고, 설정된 회복 모드에 기초하여 회복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급지 조건에 따라서 제2 설정 수단은 회복 수단의 회복 모드를 위해 필요한 시간 주기를 변화시키는 잉크젯 인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설정 수단은, 선행하는 기록 매체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 사이의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과 같거나 또는 더 길도록 지정되는 제1 급지 모드와, 선행하는 기록 매체와 후속하는 기록 매체 사이의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도록 지정되는 제2 급지 모드를 급지 조건으로서 선택적으로 지정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2 설정 수단은, 제1 급지 모드에서는 소정의 시간과 같거나 또는 더 긴 회복 작동 주기를 회복 작동 조건으로서 지정하고, 제2 급지 모드에서는 소정의 시간보다 더 짧은 회복 작동 주기를 회복 작동 조건으로서 지정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급지 수단에 의해 공급된 기록 매체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에지 검출 수단이 매체 저장 유닛과 인쇄 위치 사이에 배열되고,
    제1 설정 수단은, 현재의 기록 매체의 후단 에지가 에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후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공급이 시작될 때는 제1 급지 모드로 지정하고,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후단 에지가 에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기 전에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공급이 시작될 때는 제2 급지 모드로 지정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를 위한 급지 조건은 급지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급지 타이밍, 급지 거리 및 급지 속도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파라미 터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설정 수단은 인쇄 작동을 위한 인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급지 수단을 위한 구동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인쇄 관련 정보는 인쇄 데이터에 추가되는 정보인 잉크젯 인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인쇄 관련 정보는 적어도 기록 매체 형태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인쇄 품질을 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토출 주파수, 토출되는 도트의 수, 토출 회복 작동을 위해 필요한 공정 주기 중에서, 필요한 공정 주기는 적어도 토출 회복 조건에 포함되는 잉크젯 인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급지 속도의 증가에 따라, 제2 설정 수단은 토출 회복을 위해 필요한 주기와 토출 회복을 위해 소비되는 잉크를 감소시키는 잉크젯 인쇄 장치.
  12. 잉크 토출 노즐을 갖는 인쇄 헤드와, 기록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저장 유닛 으로부터 인쇄 헤드의 인쇄 위치로 기록 매체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급지 수단과, 급지 수단에 의해 먼저 공급된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말미에서부터 급지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후속하는 기록 매체의 인쇄 개시까지의 시간 주기 내에서 잉크 토출 노즐의 토출 성능을 회복하기 위해 복수의 회복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회복 수단을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급지 수단이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급지 조건을 지정하는 제1 설정 단계와,
    회복 수단을 위한 회복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급지 조건을 사용하는 제2 설정 단계와,
    지정된 급지 조건에 따라 급지 수단을 제어하고, 회복 모드에 기초하여 회복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60056145A 2005-06-23 2006-06-22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833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3983A JP4845429B2 (ja) 2005-06-23 2005-06-23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JP-P-2005-00183983 2005-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836A true KR20060134836A (ko) 2006-12-28
KR100833352B1 KR100833352B1 (ko) 2008-05-28

Family

ID=3756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145A KR100833352B1 (ko) 2005-06-23 2006-06-22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99046B2 (ko)
JP (1) JP4845429B2 (ko)
KR (1) KR100833352B1 (ko)
CN (1) CN10050939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3168B2 (en) 2007-12-20 2010-12-14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3350A (ja) * 2007-10-01 2009-04-23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724131B2 (en) * 2009-03-04 2014-05-1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use in inkjet printing
TWI398362B (zh) * 2009-06-19 2013-06-11 Primax Electronics Ltd 一種噴墨頭維護方法
JP5328630B2 (ja) * 2009-12-18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予備吐出発数の決定方法
JP5653088B2 (ja) 2010-06-29 2015-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884326B2 (ja) * 2011-07-25 2016-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制御装置、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55053B2 (ja) 2012-03-28 2016-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CN102678975A (zh) * 2012-05-22 2012-09-19 郭华炎 一种拉帽式水龙头
KR101733904B1 (ko) 2012-12-27 2017-05-08 카티바, 인크. 정밀 공차 내로 유체를 증착하기 위한 인쇄 잉크 부피 제어를 위한 기법
CN107878058B (zh) 2013-12-12 2020-04-24 科迪华公司 形成电子产品层的方法和设备
JP6256091B2 (ja) * 2014-02-21 2018-0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6452345B2 (ja) * 2014-08-19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6687297B (zh) * 2014-09-02 2019-08-13 科迪华公司 工业打印系统的液滴参数的快速测量
JP2018012246A (ja) 2016-07-20 2018-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回復処理方法
JP6929637B2 (ja) 2016-12-01 2021-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6814757B2 (ja) * 2017-02-24 2021-01-20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回復方法
CN110382241A (zh) * 2017-03-23 2019-10-2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使用喷嘴空闲时间来确定维护打印流体喷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2356B2 (ja) * 1992-01-17 2002-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H0880609A (ja) * 1994-09-12 1996-03-2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手段および記録装置
JPH11171370A (ja) * 1997-12-10 1999-06-29 Canon Aptex Inc 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0037915A (ja) * 1998-07-22 2000-02-08 Canon Inc 記録装置
JP2000094659A (ja) 1998-09-25 2000-04-04 Canon Inc 記録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装置
US6631976B2 (en) * 1999-04-14 2003-10-14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of ink jet nozzle prefiring
JP3715842B2 (ja) * 1999-07-30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および当該プリント装置におけるプリント媒体の給送方法
JP3405410B2 (ja) * 1999-12-07 2003-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2002113851A (ja) * 2000-10-06 2002-04-1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該記録装置の回復処理制御方法
JP2004314540A (ja) * 2003-04-18 2004-11-1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5131873A (ja) * 2003-10-29 2005-05-2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該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3168B2 (en) 2007-12-20 2010-12-14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KR101024776B1 (ko) * 2007-12-20 2011-03-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99046B2 (en) 2008-07-15
US20060290730A1 (en) 2006-12-28
CN1895895A (zh) 2007-01-17
KR100833352B1 (ko) 2008-05-28
CN100509399C (zh) 2009-07-08
JP4845429B2 (ja) 2011-12-28
JP2007001147A (ja)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352B1 (ko)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잉크젯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US6978992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EP2251203B1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US885797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901415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216642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ヘッドの回復方法
JP200714479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756599B2 (ja) 記録装置のシート搬送装置
JP2010012660A (ja) 記録装置
JP201017322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147340A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404572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62249A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190219A1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very control method
JP200808057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定着方法
JP2002137371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0415495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423084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8173835A (ja) 液体吐出装置
US6341909B1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medium supply apparatus
JP533540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01193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41226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0059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748750B2 (ja) 画像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