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331A -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331A
KR20060129331A KR1020067015219A KR20067015219A KR20060129331A KR 20060129331 A KR20060129331 A KR 20060129331A KR 1020067015219 A KR1020067015219 A KR 1020067015219A KR 20067015219 A KR20067015219 A KR 20067015219A KR 20060129331 A KR20060129331 A KR 20060129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glare
film
coating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807B1 (ko
Inventor
히로마사 미나미노
세이지 야마미치
게이이치 오카지마
가즈유키 스가
히로유키 하시구치
마사시 오하타
아키라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침 현상, 백화 등이 개선된 방현 필름을 간단히 형성할 수 있는 방현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투명 기재 상에 도포되어 방현층을 형성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서, 이 방현성 코팅 조성물이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고, 이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한 후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물성 차이에 따라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으로 상분리되어 표면에 랜덤한 요철을 갖는 수지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ANTIDAZZLE COATING COMPOSITION, ANTIDAZZL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투명 플라스틱 필름, 투명 플라스틱 판 및 유리 등의 투명 기재에 대하여 방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및 이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현층을 갖는 방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액정 디스플레이)는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 등의 이점을 갖고 있어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텔레비전,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표면을 조면화하는 방현(AG: Anti Glare) 필름, 굴절률을 조정하는 저반사(LR: Low Reflection) 필름, 무반사 필름(AR: Anti Reflection)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외광의 반사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 및 디스플레이 표면에 배경이 반사하는 비침 등이라는 불량의 해소가 도모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성능을 개선하는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필름 제조시에 절삭, 압형 성형, 접합 등의 가공에 의해 그 표면을 조면 화하는 방법, 또는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층을 필름 상에 설치하여 필름의 표면을 조면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후자인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층을 필름 상에 설치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2-221610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투광성 수지와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이 적층된 방현 필름으로서, 투광성 수지와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률의 차이가 0.3 이하이고 투광성 수지가 방현층의 표면보다 0.1 내지 0.3㎛ 돌출된 방현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방현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예컨대 사용하는 미립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들 수 있다. 용액 중에 수지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예컨대 용액 점도를 제어·조정하는 등의 주의가 요구된다. 미립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고서 응집되면 표면 상의 요철 형상이 원하는 범위를 벗어나 투과 화상 선명성이 저하되거나, 이른바 백화가 일어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필름 제조시 절삭, 압형 성형, 접합 등의 가공에 의해 표면을 조면화하는 경우, 그 조면의 요철을 랜덤하게 설치하기 어렵고, 요철이 특정 규칙에 따라 형성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요철이 특정 규칙에 따르는 경우는, 요철면에서 반사되는 빛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 반사광을 강화하거나 무아레 모양이 발생하는 등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즉, 무아레 모양의 발생은 표시 장치의 화소의 배열방향에 대하여 방현층의 미세 요철 구조의 배열방향이 겹치는 것이 원인이다. 화소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대하여, 그 규칙에 겹치도록 미세 요철 구조가 위치한 경우에 무아레 모양의 발생이 일어나 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압형 성형에 의해 방현층을 형성하는 경우는 방현층의 압형 공정, 그리고 그의 압형에 이용되는 금형의 세정 등의 공정이 필요해져 번잡하다. 또한, 압형에 이용되는 금형의 성형 표면 상에 이물질이 부착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도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3-004917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방현 필름과 편광자를 구비하는 방현층 부착 편광판으로서, 상기 방현층의 미세 요철 구조의 배열방향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 또는 투과축 방향에 대하여 22.5°±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층 부착 편광판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공에 의해 미세 요철 구조를 설치하는 경우는 배열 방향의 각도 등을 미세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어 제조 공정이 번잡해진다. 또한, 표시 화면의 고세밀화 및 색채화에 의해 표시 소자의 화소가 보다 작아지면 무아레 모양의 발생 확률이 보다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 필요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0-267086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서로 상분리하기 쉬운 복수 종류의 수지를 혼합한 혼합 수지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용 전극 기판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2001-305316호 공보(특허문헌 4)에는 적어도 2종류의 수지부를 서로 분산 유지하는 구성에 의해 요철이 형성된 수지층을 갖는 반사판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판 또는 반사판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배경이 반사하는 비침 현상, 그리고 투과 화상 선명성, 백화라는 성능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 성능이 중요시되는 방현 필름과는 해결 과제가 상이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02-22161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3-00491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2000-267086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제2001-30531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침 현상, 백화 등이 개선된 방현 필름을 간단히 형성할 수 있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투명 기재 상에 도포된 방현층을 형성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서,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이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한 후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물성 차이에 의해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으로 상분리되어 표면에 랜덤한 요철을 갖는 수지층이 형성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각각 독립적으로 모노머, 올리고머 및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성분의 SP값와 제 2 성분의 SP값의 차이가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성분의 SP값(SP1), 제 2 성분의 SP값(SP2) 및 유기 용매의 SP값(SPsol)이
SP1 < SP2, 및
SP1과 SPsol의 차이가 2 이하
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성분이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상기 제 2 성분이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성분이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이고, 상기 제 2 성분이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성분이 실리콘 아크릴 블록공중합체이고, 상기 제 2 성분이 아크릴 공중합체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수지로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중 어느 하나가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보다 낮은 Tg를 갖고, 다른 하나가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보다 높은 Tg를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 제 1 성분 또는 제 2 성분 중 어느 하나가 모노머로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Tg의 차이가 20℃ 이상이고,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에 있어서 보다 높은 Tg를 갖는 성분의 Tg가 20℃ 이상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지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방현 필름도 제공한다. 이 방현 필름은 투명 기재 및 방현층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방현층은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방현 필름의 헤이즈가 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현 필름의 Rz JIS94(십점 평균조도)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현 필름의 표면의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Sm)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현 필름의 산란각에 대한 산란광 강도가 극대치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제조방법의 일례로서, 투명 기재에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 및 수득된 도막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조방법의 다른 예로서, 투명 기재에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 수득된 도막을 건조시켜 상분리시키는 건조 공정, 및 건조시킨 도막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또한, 제조방법의 다른 예로서, 투명 기재에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 및 수득된 도막에 광을 조사하여 상분리 및 경화시키는 광조사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방현 필름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현 필름과 편광 소자를 갖는 편광판으로서, 투명 기재에 설치된 방현층과는 반대면에 존재하는 방현 필름 표면과 편광 소자 표면이 대향하여 적층되어 있는 편광판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평면 형상의 투광성 표시체, 이 투광성 표시체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원 장치, 및 상기 투광성 표시체의 표면에 적층된 상기 방현 필름을 갖는 투과형 표시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현 필름이 디스플레이의 최표층에 사용된 액정 표시 장치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기재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 후에 경화시키는 것만으로 표면에 요철을 갖는 수지층인 방현층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층을 형성한 다음 요철의 하지(下地)가 되는 돌기물을 형성하는 등 두 공정을 거치는 방법과 비교하면, 표면에 요철을 갖는 방현층을 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방현층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경우, 자연발생적으로 요철 배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방현층의 표면에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요철 배치의 규칙성에 기인하는 무아레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표면에 요철을 갖는 방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것을 이용하여 방현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수득되는 방현 필름은, 비침 현상이 없고 헤이즈(흐림도)가 낮으며 전광선 투과율이 높다는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헤이즈란 전광선 투과량에 대한 산란광 투과량의 비를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는 파라미터 Rz JIS94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전광선 투과율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이용한 투과형 표시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방현 필름의 방현층 표면 상의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 의한 3차원 화상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방현 필름의 방현층 표면 상의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 의한 3차원 화상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방현 필름의 방현층 표면 상의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 에 의한 3차원 화상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방현 필름 3: 방현층 5: 투명 기재
10: 편광판 12: 편광층 14: 투명 기재
20: 액정 표시 장치 22: 편광판 24: 액정 패널
26: 편광판 28: 백라이트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투명 기재 상에 도포되는 방현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방현성 코팅 조성물에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2종류의 성분이 적어도 포함된다. 이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은 방현성 코팅 조성물이 기재 상에 도포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각각의 물성 차이에 따라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으로 상분리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예로서, 각각 독립적으로 모노머, 올리고머 및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서, 예컨대 다작용성 모노머 등의 모노머, (메트)아크릴 수지, 올레핀 수지, 폴리에터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실록세인 수지, 폴리실레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불소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저분자량인 이른바 올리고머일 수도 있다. 다작용성 모노머로서, 예컨대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탈알코올 반응물, 구체적으로는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로서,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수지, (메트)아크릴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염화바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터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는 분자쇄 중에 에터 결합을 포함하는 수지이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터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는 분자쇄 중에 에스터 결합을 포함하는 수지이며, 예컨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알카이드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는 분자쇄 중에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수지이다. 폴리실록세인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는 분자쇄 중에 실록세인 결합을 포함하는 수지이다. 폴리실레인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는 분자쇄 중에 실레인 결합을 포함하는 수지이다. 폴리이미드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는 분자쇄 중에 이미드 결합을 포함하는 수지이다. 불소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는 폴리에틸렌의 수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불소로 치환한 구조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올리고머 및 수지로서, 상기 골격 구조의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상기 골격 구조와 그 이외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은 동종의 골격 구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서로 다른 골격 구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중 어느 하나가 모노머이고 다른 하나가 올리고머 또는 수지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은 각각 서로 반응하는 작용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용기를 서로 반응시킴으로써 코팅 조성물에 의해 수득되는 방현층의 내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작용기의 조합으로서는, 예컨대 활성 수소를 갖는 작용기(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싸이올기, 카복실기 등)와 에폭시기, 활성 수소를 갖는 작용기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에틸렌성 불포화기(에틸렌성 불포화기의 중합이 발생함), 실란올기와 실란올기(실란올기의 축중합이 발생함), 실란올기와 에폭시기, 활성 수소를 갖는 작용기와 활성 수소를 갖는 작용기, 활성 메틸렌과 아크릴로일기, 옥사졸린기와 카복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서로 반응하는 작용기」란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만을 혼합한 것만으로는 반응이 진행되지 않지만 촉매 또는 경화제를 더불어 혼합함으로써 서로 반응하는 것도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촉매로서, 예컨대 광 개시제, 라디칼 개시제, 산·염기 촉매, 금속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경화제로서, 예컨대 멜라민 경화제, (블록)아이소사이아네이트 경화제, 에폭시 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각각이 서로 반응하는 작용기를 갖는 경우,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혼합물은 열경화성, 광경화성(자외선 경화성, 가시광 경화성, 적외선 경화성 등)이라는 경화성을 갖는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분자량은 분자량(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수지인 경우는 중량평균분자량)으로 1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상분리를 가져오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각각의 물성 차이로서, 예컨대 각각의 수지의 SP값, 유리전이온도(Tg), 표면장력, 수평균분자량 등이 일정한 차이를 갖는 경우를 들 수 있다.
SP값이란 용해성 파라미터(solubility parameter)의 약기이며, 용해성의 척도가 되는 것이다. SP값은 수치가 클수록 극성이 높고 반대로 수치가 작을수록 극성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예컨대, SP값은 다음 방법에 의해 실측할 수 있다[참고문헌: SUH, CLARKE, J.P.S.A-1, 5, 1671-1681(1967)].
측정 온도: 20℃
샘플: 수지 0.5g을 100㎖ 비이커에 칭량하고, 양용매 10㎖를 홀 피펫을 이용하여 가하여, 마그네틱 교반자에 의해 용해시킨다.
용매: 양용매…다이옥세인, 아세톤 등
빈용매…n-헥세인, 이온 교환물 등
탁점 측정: 50㎖ 뷰렛을 이용하여 빈용매를 적하하고, 탁해지는 지점을 적하량으로 한다.
수지의 SP값 δ는 하기 수학식 1 내지 3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112006054226896-PCT00001
Figure 112006054226896-PCT00002
Figure 112006054226896-PCT00003
상기 식에서,
Vi는 용매의 분자 부피(㎖/mol)이고,
φi는 탁점에서의 각 용매의 부피 분률이고,
δi는 용매의 SP값이고,
ml는 저 SP 빈용매 혼합계이고,
mh는 고 SP 빈용매 혼합계이다.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상분리를 가져오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각각의 물성 차이가 SP값의 차이인 경우, 제 1 성분의 SP값과 제 2 성분의 SP값의 차이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SP값의 차이가 0.8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 다. 이 SP값의 차이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15 이하이다. 제 1 성분의 SP값과 제 2 성분의 SP값의 차이가 0.5 이상인 경우는, 서로 간의 수지의 상용성이 낮고, 그에 의해 코팅 조성물의 도포 후에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상분리가 초래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현성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 1 성분, 제 2 성분 및 유기 용매에 대하여, 제 1 성분의 SP값(SP1), 제 2 성분의 SP값(SP2) 및 유기 용매의 SP값(SPsol)이 SP1 < SP2, 및 SP1과 SPsol의 차이가 2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P1과 SPsol의 차이가 2 이하인 것에 의해 저 헤이즈이고 방현 성능이 우수한 방현 필름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SP1과 SPsol의 차이는 1 이하, 즉 0 내지 1의 범위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SP1 및 SPsol은 이들의 차이가 2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SP1 < SPsol일 수도 있고 SP1 > SPsol일 수도 있다.
상기 식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일례로서는, 제 1 성분이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상기 제 2 성분이 모노머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제 1 성분의 올리고머 또는 수지로서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성분의 모노머로서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올리고머」란 반복단위 를 갖는 중합체로서 이 반복단위 수가 3 내지 10인 것을 말한다.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는, 예컨대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수지, (메트)아크릴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 (메트)아크릴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 및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를 반응시킨 수지, (메트)아크릴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 및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반응시킨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로서 상기 다작용성 모노머, 예컨대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탈알코올 반응물, 구체적으로는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 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트라이메틸올 프로페인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200 다이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화학(주)사 제품) 등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골격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다른 일례로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동시에 올리고머 또는 수지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 수지를 골격 구조에 포함하는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1 성분은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제 2 성분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상기 조합인 경우에 바람직한 유기 용매로서, 예컨대 메틸 에틸 케톤, 아세톤,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사이클로헥산온 등의 케톤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뷰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니솔, 페네톨 프로필렌 클라이콜 모노메틸에터,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에터,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에터 등의 에터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유기 용매를 이용하는 경우는, 사용되는 유기 용매 중 1종 이상이 상기 SP1과 SPsol의 차이가 2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면 바람직하고, 사용하는 모든 유기 용매가 상기 조건을 만족할 필요는 없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수지인 경우, 유리전이온도(Tg)는 통상의 동적점탄성에 의한 Tg의 측정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Tg는 예컨대 레오비브론 모델 레오2000, 3000(RHEOVIBRON MODEL RHEO2000, 3000)(상품명, 오리엔테크사 제품)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수지인 경우에 있어서,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상분리를 가져오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각각의 물성 차이가 Tg의 차이인 경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중 어느 하나가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보다 낮은 Tg를 갖고 다른 하나가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보다 높은 Tg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경 온도보다 높은 Tg를 갖는 수지는 그 환경 온도에서는 분자 운동이 제어된 유리 상태이기 때문에, 도포 후에 코팅 조성물 중에서 응집하여, 그에 의해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상분리가 초래된다고 생각된다.
예로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수지인 경우에 있어서,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가 20 내지 150℃이고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보다 낮은 Tg를 갖는 수지의 Tg가 -70 내지 120℃, 그리고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보다 높은 Tg를 갖는 수지의 Tg가 90 내지 200℃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상기 환경 온도는 4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환경 온도보다 낮은 Tg를 갖는 수지의 Tg는 -6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환경 온도보다 높은 Tg를 갖는 수지의 Tg는 10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보다 낮은 Tg를 갖는 수지가 제 1 성분이고,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보다 높은 Tg를 갖는 수지가 제 2 성분일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 성분 또는 제 2 성분 중 어느 하나가 모노머인 경우, 이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Tg의 차이가 20℃ 이상이고,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에 있어서 보다 높은 Tg를 갖는 성분의 Tg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Tg의 차이는 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Tg의 차이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100℃ 이하인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는 보다 높은 Tg 를 갖는 성분은 분자 운동이 더욱 제어되기 때문에, 도포 후에 코팅 조성물 중에서 응집하며, 그에 의해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상분리가 초래된다고 생각된다.
예로서, 제 1 성분 또는 제 2 성분 중 어느 하나가 모노머인 경우에 있어서, 보다 낮은 Tg를 갖는 성분, 즉 모노머의 Tg가 -70 내지 0℃이고 보다 높은 Tg를 갖는 수지의 Tg가 20 내지 200℃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로서, 예컨대 20 내지 120℃인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예 로서, 보다 낮은 Tg를 갖는 모노머 성분의 Tg가 -60 내지 0℃이고 보다 높은 Tg를 갖는 수지의 Tg는 30 내지 150℃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로서, 예컨대 20 내지 120℃인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모노머가 제 1 성분일 수도 있고 또한 제 2 성분일 수도 있다.
한편, 제 1 성분 또는 제 2 성분이 모노머인 경우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모노머의 유리전이온도는 그 모노머의 융점과 거의 같다고 생각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 1 성분 또는 제 2 성분이 모노머인 경우 이 모노머의 Tg는 모노머의 융점과 같은 것으로 한다.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상분리를 가져오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각각의 물성 차이가 표면장력의 차이인 경우, 제 1 성분의 표면장력과 제 2 성분의 표면장력의 차이가 1 내지 70dyn/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차이가 5 내지 30dyn/c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성분의 표면장력과 제 2 성분의 표면장력의 차이가 1 내지 70dyn/cm인 경우는, 보다 높은 표면장력을 갖는 수지가 응집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의해 조성물의 도포 후에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상분리가 초래된다고 생각된다.
표면장력은 빅케미사제 다이노미터를 이용하여 윤환법(輪環法)으로 측정한 정적 표면장력을 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는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이외에 통상 사용되는 수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수지 입자 등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요철을 갖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수지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을 필요에 따라 용매, 촉매, 경화제와 더불어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코팅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비율은 1:99 내지 99:1이 바람직하고, 1:99 내지 50:50이 보다 바람직하고, 1:99 내지 20:80이 더욱 바람직하다. 촉매를 이용하는 경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다른 수지(이들을 합쳐서 「수지 성분」이라 함)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경화제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용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99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900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중의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도장의 하지가 되는 부분의 재질 및 조성물의 도장 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사용되는 용매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용매 메틸 에틸 케톤, 아세톤,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사이클로헥산온 등의 케톤계 용매; 다이에틸에터, 아이소프로필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세인,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에터,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에터,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아니솔, 페네톨 등의 에터계 용매;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뷰틸,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터계 용매; 다이메틸 폼아마이드, 다이에틸 폼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마이드계 용매; 메틸 셀로솔브, 에틸 셀로솔브, 뷰틸 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다이클로로메테인, 클로로폼 등의 할로젠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용매 중, 에스터계 용매, 에터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및 케톤계 용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첨가제로서, 대전방지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흡수제 등의 상용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방현 필름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기재와 방현층을 갖는다. 이 방현층은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투명 기재로서는 각종 투명 플라스틱 필름, 투명 플라스틱 판 및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예컨대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TAC)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다이아세틸렌 셀룰로스 필름,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셀룰로스 필름, 폴리에터설폰 필름, 폴리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에터 필름, 폴리메틸 펜텐 필름, 폴리에터 케톤 필름, (메트)아크릴나이트릴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기재로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의 굴절률은 1.48 정도이다.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는 편광판의 편광층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으로서 범용되고 있기 때문에, 투명 기재로서 사용함으로써, 수득되는 방현 필름을 그대로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투명 기재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5 내지 1000㎛ 정도로 이용된다.
방현층은 투명 기재 상에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코팅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코팅 조성물 및 도장 공정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딥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커텐 코팅법, 롤러 코팅법, 와이어바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이나 압출 코팅법(미국특허 제2681294호 명세서)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방현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건조막 두께가 0.01 내지 20㎛가 되도록 코팅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다.
투명 기재에 도포된 도막을 그대로 경화시킬 수 있고, 또한 경화시키기 전에 도막을 건조시켜 경화 전에 미리 상분리시켜 둘 수도 있다. 도막을 경화시키기 전에 건조시키는 경우는 3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0℃에서 0.1 내지 60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미리 상분리시킬 수 있다.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혼합물이 광경화성인 경우, 경화 전에 건조시켜 미리 상분리시켜 두는 것은 방현층 중의 용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크기의 요철을 설치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경화시키기 전에 상분리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 도막에 광을 조사하여 상분리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조사하는 광으로서, 예컨대 노광량 0.1 내지 1.5J/cm2의 광,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J/cm2의 광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사광의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컨대 360㎚ 이하의 파장을 갖는 조사광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광 개시제로서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린프로페인-1-온 등을 이용하는 경우, 조사광은 310㎚ 부근의 파장을 갖는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60㎚ 부근의 파장을 갖는 빛을 조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빛은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등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 이와 같이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분리 및 경화가 발생하게 된다. 빛을 조사하여 상분리시킴으로써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의 건조 불균일에 기인하는 표면 형상의 불균일을 회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코팅 조성물의 도포에 의해 수득된 도막 또는 건조시킨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방현층이 형성된다.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혼합물이 열경화성인 경우, 40 내지 28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50℃에서 0.1 내지 180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분간 가열함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다.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혼합물이 광경화성인 경우, 필요에 따른 파장의 빛을 발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다. 한편, 광조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분리시킬 목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형성되는 방현 필름의 단면 개략도를 도 1에 나타낸다. 방현 필름(1)은 방현층(3)과 투명 기재(5)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 표면의 요철은 자연발생적으로 요철 배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수지층의 표면에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방현층 표면의 요철 형상은 Rz JIS94(십점 평균조도)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Rz JIS94는 JIS B0601의 부속서 1 표 1에서 규격화된 파라미터이다. 이 Rz JIS94는 표면 상의 요철의 높이 조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도 2는 파라미터 Rz JIS94의 설명도이다. 이 도면 중에서, 실선 곡선은 방현층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십점 평균조도(Rz JIS94)는, 예컨대 (주)기엔스제의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JIS B0601의 부속서 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JIS B0601은 ISO 4287을 번역하고, 기술적 내용 및 규격표의 양식을 변경하지 않고 작성한 일본 공업 규격이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Rz JIS94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z JIS94가 1.0㎛를 초과하는 경우는 헤이즈가 높아지고 백화가 발생하는 등 방현 용도로서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Rz JIS94는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한은 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지 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은 전광선 투과율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광선 투과율(Tt(%))은 방현 필름에 대한 입사광 강도(T0)와 방현 필름을 투과한 전투과광 강도(T1)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된다. 전광선 투과율의 개략 설명도를 도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54226896-PCT00004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은 예컨대 헤이즈미터(스가시험기사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헤이즈가 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와 같이 헤이즈가 낮고 방현성이 우수하다는 우수한 성능을 갖는 방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헤이즈가 낮다는 이점으로서 방현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설치한 경우 표시되는 화상의 선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 백화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헤이즈가 낮은 방현 필름은 특히 고상세(高詳細) 액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의 선명성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헤이즈는 JIS K7105에 준거하여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6054226896-PCT00005
상기 식에서,
H는 헤이즈(흐림도)(%)이고,
Td는 확산 투과율(%)이고,
Tt는 전광선 투과율(%)이다.
헤이즈의 측정은 예컨대 헤이즈미터(스가시험기사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RZ JIS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RZ JlS란 조도 곡선의 최대 높이 조도이며, JIS B0601-2001에 있어서 규정되는 파라미터이다. RZ JIS가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한은 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수지 입자 등의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지 입자 등을 이용하여 방현 필름 상에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는 방현 필름의 제조 중에 수지 입 자의 응집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 응집에 의해 RZ JIS(최대 높이 조도)의 값이 1.5㎛를 초과하는 경우 방현 필름을 투과하는 화상의 선명성이 저하되거나, 백화가 발생하는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Sm이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한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Sm이란 표면의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이며, 일반적으로 조도 곡선의 마루(山)골(容) 평균 간격 또는 요철의 평균 간격을 말하는 것이다. Sm은 예컨대 (주)기엔스제의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JIS B0633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JIS B0633은 ISO 4288을 번역하고, 기술적 내용 및 규격표의 양식을 변경하지 않고 작성한 일본 공업 규격이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방현층의 표면이 불규칙한 요철 형상의 배치가 자연발생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산란각에 대한 산란광 강도가 극대치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현 필름의 면에 대하여 법선 방향, 즉 필름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 경우, 투과광은 이 조사광이 그대로 진행하는 방향, 즉 산란각이 0°인 방향이 최대이다. 그리고, 조사광이 방현 필름에 의해 산란함으로써, 이 법선 방향으로부터 각도가 어긋난 방향으로도 빛이 투과하게 된다. 이 산란한 광이 산란광(투과 산란광)이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이 산란각에 대한 산란광 강도가 극대치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산란광이 극대치를 갖는 경우는 특정한 각도에 대하여 산란광이 모이게 되고, 이에 의해 빛의 간섭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빛의 간섭의 발생은 방현 필름을 투과하는 화상의 선명성의 저하를 가져올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추가로 저굴절률층을 가질 수 있다. 저굴절률층은 저굴절률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저굴절률층을 방현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함으로써 광학 부재 등에 있어서, 저굴절률층을 최표면이 되도록 설치한 경우 등에 외부에서의 빛(외부 광원 등)이 방현성 필름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굴절률층을 최표면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방현 필름의 헤이즈를 더욱 낮출 수 있다. 저굴절률층을 최표면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즉 투명 기재 상에 방현층을 형성하고 이 방현층 상에 추가로 저굴절률층을 형성함으로써, 수득되는 방현 필름의 헤이즈를 추가로 저하시킬 수 있다.
저굴절률 수지의 굴절률은 예컨대 1.35 내지 1.39, 바람직하게는 1.36 내지 1.39, 더욱 바람직하게는 1.38 내지 1.39 정도이다.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예컨대 0.05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예컨대, 0.1 내지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정도이다.
저굴절률 수지로서는 예컨대 메틸 펜텐 수지,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바이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바이닐 플루오라이드(PVF) 등의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굴절률층은 보통 불소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함유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을 소망에 따라 저감시킬 수 있다.
불소함유 화합물로서는 불소원자 및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자외선이나 전자 선 등) 등에 의해 반응하는 작용기(가교성기 또는 중합성기 등의 경화성기 등)를 갖고,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 등에 의해 경화 또는 가교하여 불소함유 수지(특히 경화 또는 가교 수지)를 형성가능한 불소함유 수지 전구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불소함유 수지 전구체로서는, 예컨대 불소원자 함유 열경화성 화합물 또는 수지[불소원자와 함께 반응성기(에폭시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등), 중합성기(바이닐기, 알릴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등) 등을 갖는 저분자량 화합물], 활성광선(자외선 등)에 의해 경화가능한 불소원자 함유 광경화성 화합물 또는 수지(광경화성 불소함유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등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불소원자 함유 열경화성 화합물 또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적어도 불소함유 모노머를 이용하여 수득되는 저분자량 수지, 예컨대 구성 모노머로서의 폴리올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불소함유 폴리올(특히 다이올)을 이용하여 수득되는 에폭시계 불소함유 수지; 마찬가지로, 폴리올 및/또는 폴리카복실산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불소원자 함유 폴리올 및/또는 불소원자 함유 폴리카복실산 성분을 이용하여 수득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계 불소함유 수지; 폴리올 및/또는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불소원자 함유 폴리올 및/또는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을 이용하여 수득되는 우레탄계 불소함유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열경화성 화합물 또는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소원자 함유 광경화성 화합물에는 예컨대 단량체, 올리고머(또는 수지, 특 히 저분자량 수지)가 포함되며,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상기 방현층의 항목에서 예시한 단작용성 단량체 및 다작용성 단량체에 대응하는 불소원자 함유 단량체[(메트)아크릴산의 불화 알킬에스터 등의 불소원자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플루오로올레핀류 등의 바이닐계 단량체 등의 단작용성 단량체; 1-플루오로-1,2-다이(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렌 등의 불화 알킬렌 글라이콜의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올리고머 또는 수지로서는 상기 방현층의 항목에서 예시한 올리고머 또는 수지에 대응하는 불소원자 함유 올리고머 또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광경화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소함유 수지의 경화성 전구체는 예컨대 용액(코팅액) 상의 형태로 입수할 수 있고, 이러한 코팅액은 예컨대 니혼합성고무(주)제 「TT1006A」 및 「JN7215」이나 다이닛폰잉크화학공업(주)제 「디펜서 TR-330」등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투명 기재로서 저굴절률층을 이용하여 방현층 및 저굴절률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또한 투명 기재와 이 투명 기재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방현층 및 저굴절률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편광판
본 발명의 방현성 반사방지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액정 디스플레이)의 편광판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의 단면 개략도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예시되는 편광판(10)은 편광층(편광 소자)(12)의 한편의 면(도 4에 있어서 상면측)에 상기 방현 필름(1)이 설치된 구성이다.
편광층(12)은 2층의 투명 기재(5, 14) 사이에 적층되어 있다. 투명 기재(5, 14)로서 TAC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편광층(12)은 3층 구조이며, 제 1 층 및 제 3 층이 폴리바이닐 알코올(PVA)에 요오드를 가한 필름, 중간의 제 2 층이 PVA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방현 필름(1)은 투명 기재(5)에 방현층(3)을 적층한 구성이다.
상기 편광층(12)의 양쪽 외측에 설치되는 투명 기재로서 TAC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복굴절이 없이 편광이 흩어지지 않기 때문에 편광 소자가 되는 PVA 및 PVA+요오드 필름과 적층하더라도 편광이 흩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편광판(10)을 이용하여 표시 품위가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편광판(10)에 있어서의 편광층(12)을 구성하는 편광 소자로서는, 요오드 또는 염료에 의해 염색되고 연신된 PVA 필름에 폴리바이닐 포르말 필름, 폴리바이닐 아세탈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계 비누화 필름 등이 있다.
한편, 편광층(12)을 구성하는 각 필름을 적층하는 데 있어서는, 접착성의 증가 및 정전 방지를 위해 상기 투명 기재에 비누화 처리를 행하면 좋다.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의 방현성 반사방지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액정 디스플레이)에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이용한 투과형 표시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20)는 상기 편광판(10)과 동일한 편광판(22), 액정 패널(26) 및 편광판(26)을 순서대로 적층하는 동시에 편광판(26) 측의 배면에 백라이트(28)를 배치한 투명형 액정 표시 장치이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20)에서의 액정 패널(24)에 사용되는 액정 모드로서는, 비틀림 네마틱형(TN), 초비틀림 네마틱형(STN), 상전이형(PC), 고분자 분산형(PDLC) 등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액정의 구동 모드로서는, 단순 매트릭스형, 액티브 매트릭스형 중 어느 것이나 좋고,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경우에는 TFT, MIM 등의 구동 방식이 취해진다. 액정 패널(24)은 컬러형 또는 흑백형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방사방지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전기 발광 디스플레이(ELD)나 음극관 표시 장치(CRT)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 방현층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투명 기재 표면 상에 점착층을 설치하는 등 하여 디스플레이의 최표면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의 방현층 상에 추가로 반사방지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제조예 1 실리콘 아크릴 블록공중합체의 제조
VPS-1001N(아조기 함유 폴리실록세인 화합물, 와코쥰야쿠공업사 제품, 폴리 실록세인 쇄의 분자량 10,000, 고형분 50%) 243.9g,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144.0g, 스타이렌 43.7g, 하이드록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52.3g 및 아세트산 뷰틸 343.3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혼합했다. 이 혼합 용액을 교반 날개,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적하 깔때기를 갖춘 1000㎖ 반응 용기 중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0℃로 가열한 아세트산 뷰틸 270.0g에 3시간에 걸쳐 등속으로 적하하고, 그 후 120℃에서 30분간 혼합하고, 반응시켰다.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60g를 포함하는 아세트산 뷰틸 15.0g 용액을 30분에 걸쳐 등속 적하한 다음, 추가로 120℃에서 1분간 혼합하여 반응시켜 수평균분자량 34,000 및 중량평균분자량 125,000의 실리콘 아크릴 블록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이 수지는 Sp값: 10.8, Tg: 69℃, 표면장력: 16dyn/cm이었다.
제조예 2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실리콘 아크릴 블록공중합체의 제조
VPS-1001N(아조기 함유 폴리실록세인 화합물, 와코쥰야쿠공업사 제품, 폴리실록세인 쇄의 분자량 10,000, 고형분 50%) 243.9g,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68.2g, 스타이렌 103.9g,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44.3g 및 아세트산 뷰틸 343.3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혼합했다. 이 혼합 용액을 교반 날개,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적하 깔때기를 갖춘 1000㎖ 반응 용기 중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0℃로 가열한 아세트산 뷰틸 270.0g에 3시간에 걸쳐 등속으로 적하하고, 그 후 12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60g을 포함하는 아세트산 뷰틸 15.0g 용액을 30분간에 걸쳐 등속 적하한 다음, 추가로 12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에 t-뷰틸암모늄 브로마이드 3.12g과 하이드로퀴논 0.2g을 포함하는 아세트산 뷰틸 10g 용액을 적하하고, 공기 버블링하면서 아크릴산 23.6g을 120℃에서 5시간에 걸쳐 등속 적하하였다. 추가로 120℃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수평균분자량 19,000 및 중량평균분자량 83,000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실리콘 아크릴 블록공중합체를 수득했다. 이 수지는 Sp값: 10.6, Tg: 76℃, 표면장력: 18dyn/cm이었다.
제조예 3 아크릴 공중합체의 제조
아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280.8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2g, 메타크릴산 15.0g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340.0g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혼합했다. 이 혼합액을 교반 날개,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적하 깔때기를 갖춘 1000㎖ 반응 용기 중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110℃로 가열한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200g에 3시간에 걸쳐 등속으로 적하하고, 그 후 11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3.0g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120g의 용액을 30분에 걸쳐 등속 적하한 다음, 추가로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3g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의 25.5g 용액을 30분간 적하하고, 수평균분자량 6,400 및 중량평균분자량 14,800의 아크릴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이 수지는 Sp값: 9.9, Tg: 113℃, 표면장력: 29dyn/cm이었다.
제조예 4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의 제조
아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187.2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8g, 메타크릴산 10.0g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160.0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혼합했다. 이 혼합액을 교반 날개,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적하 깔때기를 갖춘 1000㎖ 반응 용기 중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로 가열한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200.0g에,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의 80.0g 용액과 함께 3시간에 걸쳐 등속으로 적하하고, 그 후 1시간 100℃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2g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용액을 적하하여 10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에 테트라뷰틸암모늄 브로마이드 1.5g과 하이드로퀴논 0.2g을 포함하는 5.0g의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용액을 가하여, 공기 버블링하면서 추가로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7.3g과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5g의 용액을 1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그 후 5시간에 걸쳐 추가로 반응시켰다. 수평균분자량 8,800 및 중량평균분자량 18,000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이 수지는 Sp값: 9.8, Tg: 113℃, 표면장력: 31dyn/cm이었다.
제조예 5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의 제조
아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147.2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8g, 에틸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4.0g, 메틸 아크릴산 10.0g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160.0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혼합했다. 이 혼합액을 교반 날개,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적하 깔때기를 갖춘 1000㎖ 반응 용기 중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110℃로 가열한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200.0g에,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2g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의 80.0g 용액과 함께 3시간에 걸쳐 등속으로 적하하고, 그 후 110℃에 걸쳐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2g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17g 의 용액을 적하하여 11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반응 용액에 테트라뷰틸암모늄 브로마이드 1.5g과 하이드로퀴논 0.1g을 포함하는 5.0g의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용액을 가하여, 공기 버블링하면서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7.3g과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5g의 용액을 1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그 후 5시간에 걸쳐 추가로 반응시켰다. 수평균분자량 8,800 및 중량평균분자량 18,000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이 수지는 Sp값: 9.9, Tg: 55℃, 표면장력: 27dyn/cm이었다.
제조예 6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의 제조
아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171.6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6g 및 메틸 아크릴산 9.2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혼합했다. 이 혼합액을 교반 날개,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적하 깔때기를 갖춘 1000㎖ 반응 용기 중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110℃로 가열한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330.0g에,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1.8g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80.0g 용액과 함께 3시간에 걸쳐 등속으로 적하하고, 그 후 11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2g을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17.0g의 용액을 적하하여 테트라뷰틸암모늄 브로마이드 1.4g와 하이드로퀴논 0.1g을 포함하는 5.0g의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용액을 가하여, 공기 버블링하면서 4-하이드록시뷰틸 아크릴레이트 글라이시딜에터 22.4g과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5.0g의 용액을 2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그 후 5시간에 걸쳐 추가로 반응시켰다. 수평균분자량 5,500 및 중량평균분자량 18,000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 중합체를 수득했다. 이 수지는 Sp값: 10.0, Tg: 92℃, 표면장력: 31dyn/cm이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의 실리콘 아크릴 블록공중합체(이 수지의 Sp값: 0.8, Tg: 69℃) 32중량부, 제조예 3의 아크릴 공중합체 48중량부(이 수지의 Sp값: 9.9, Tg: 113℃), 또한 열경화제인 멜라민 경화제 20중량부, 열경화 촉매인 파라톨루엔 설폰산 6중량부 및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올리고머 0.1중량부를 용매인 아니솔(Sp값: 9.5)에 혼합하여 비휘발분률이 23중량%가 되도록 용액을 작성했다. 수득된 용액을 환경 온도 23℃에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 기판에 스핀 코터로써 800rpm의 회전수로 10초간 박막 도포했다. 막 두께 5㎛의 도포막을 100℃에서 10분간 가열 경화하여 방현 필름을 수득했다.
수득된 방현 필름의 평가 및 방현층 표면의 요철의 평가를 하기 기재와 같이 실시했다. 한편, 이들 평가방법에 의해 수득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십점 평균조도(R z JIS94 )
표면 상의 요철의 십점 평균조도를 기엔스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을 이용하여 JIS-B0601의 부속서 1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Rz JIS94값을 수득했다.
조도 곡선의 최대 높이 조도(R z JIS )
표면 상의 요철의 조도 곡선의 최대 높이 조도(Rz JIS)를 기엔스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을 이용하여 JIS-B0601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Rz JIS값을 수득했다. 한편, 이 조도 곡선의 최대 높이 조도(Rz JIS)는 실시예 4 및 5만 측정했다.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미터(스가시험기사 제품)를 이용하여 방현 필름에 대한 입사광 강도(T0)와 방현 필름을 투과한 전투과광 강도(T1)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전광선 투과율(Tt(%))을 산출했다.
수학식 4
Figure 112006054226896-PCT00006
백화
방현층 표면의 요철에 의해 외광이 확산 반사되어 시각적으로 백탁감을 주는 것을 육안으로 판단했다. 육안 판단에 의해 백탁감이 없는 경우를 ○, 조금 백탁감이 있는 경우를 △, 백탁감을 육안으로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경우를 ×로 평가했다.
표면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Sm)
표면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Sm)를 기엔스제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을 이용하여 JIS-B0633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Sm값을 수득했다.
헤이즈(흐림도)
헤이즈미터(스가시험기사 제품)를 이용하여 방현 필름의 확산 투과율(Td(%)) 및 상기 전광선 투과율(Tt(%))을 측정하여 헤이즈를 산출했다.
수학식 5
Figure 112006054226896-PCT00007
상기 식에서,
H는 헤이즈(흐림도)(%)이고,
Td는 확산 투과율(%)이고,
Tt는 전광선 투과율(%)이다.
이 방현층 표면의 요철 상태의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 의한 3차원 화상은 도 6과 같은 해도(海島) 구조를 나타내었다. 수득된 방현 필름은 형광등 하에서 형광등의 비침 현상이 없으며 방현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
제조예 2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실리콘 아크릴 블록공중합체(이 수지의 Sp값: 10.6, Tg: 76℃) 40중량부, 제조예 4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이 수지의 Sp값: 9.8, Tg: 113℃) 60중량부, 광 개시제인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옥사이드 5중량부,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올리고머 0.1중량부를 용매인 아니솔에 혼합하여 비휘발분률이 20중량%가 되도록 용액을 제조했다. 이 용액을 환경 온도 23℃에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 기판에 스핀 코터로써 1000rpm의 회전수로 10초간 도포하고, 이어서 12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휘분시켜 막 두께를 8㎛로 했다. 이 필름막을 초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 여 자외선 에너지가 1J/cm2가 되도록 노광했다. 수득된 방현 필름 및 방현층 표면의 요철을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이 방현층 표면의 요철 상태를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으로 측정한 3차원 화상은 도 7과 같이 해도 구조를 나타내었다. 수득된 방현 필름은 형광등 하에서 형광등의 비침 현상이 없으며 방현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이 모노머의 Sp값: 12.1) 75중량부와 제조예 5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이 수지의 Sp값: 9.9, Tg: 55℃), 광 개시제인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옥사이드 5중량부,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올리고머 0.1중량부에,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SP값: 10.1)를 용매로서 비휘발분률이 23중량%가 되도록 조정했다. 이 용액을 환경 온도 23℃에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 기판에 바 코터(No. 18)로써 바 코팅 도포하여, 막 두께가 6㎛가 되도록 5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 건조했다. 이 후, 이 막을 초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J/cm2의 에너지가 되도록 노광하여 방현층을 형성했다. 수득된 방현 필름 및 방현층 표면의 요철을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이 방현층 표면의 요철 상태의 초심도 형상 측정 현미경에 의한 3차원 화상은 도 8과 같이 해도 구조를 나타내었다. 수득된 방현 필름은 형광등 하에서 형광등의 비침 현상이 없으며 방현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4
제조예 6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이 수지의 Sp값: 10.0, Tg: 92℃) 20중량부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이 모노머의 Sp값: 12.7) 90중량부, 광 개시제인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린프로페인-1-온 7중량부를 용매인 아이소뷰틸 알코올(SP값: 11.3)에 혼합하여 비휘발분률이 40중량%가 되도록 용액을 제조했다. 이 용액을 환경 온도 23℃에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 기판에 바 코터(No. 12)로써 바 코팅 도포하여 막 두께가 6㎛가 되도록 60℃에서 1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 건조하여, 방현층을 형성했다. 그 후, 이 막을 초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J/cm2의 에너지가 되도록 노광하여 경화시켰다. 수득된 방현 필름 및 방현층 표면의 요철을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제조예 6의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이 수지의 Sp값: 10.0, Tg: 92℃) 5중량부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이 모노머의 Sp값: 12.7) 50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200 다이아크릴레이트(이 모노머의 Sp값: 13.6) 50중량부, 광 개시제인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린프로페인-1-온 13중량부를 용매인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SP값: 8.3)에 혼합하여 비휘발분이 60중량%가 되도록 용액을 제조했다. 이 용액을 환경 온도 23℃에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 기판에 바 코터(No. 5)로써 바 코팅 도포하여, 막 두께가 4㎛가 되도록 80℃에서 3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 건조했다. 그 후, 이 막을 초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1J/cm2의 에너지가 되도록 노광하여 방현층을 형성하고, 경화시켰다. 수득된 방현 필름 및 방현층 표면의 요철을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특허문헌 1에 기초한 참고예)
자외선 경화성 수지(니혼카야쿠제 PETA) 100부,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바이엘사 제품) 1.7중량부, 광경화 개시제(치바가이기사 제품, 이르가큐어 184) 5중량부 및 스타이렌비드(소켄화학제, 입경 2.5㎛) 20중량부를 혼합했다. 톨루엔을 이용하여 고형분 40%로 조정하고, 환경 온도 23℃에서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 기판 상에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건조 막 두께 3.5㎛가 되도록 도포했다. 80℃에서 10분간 용제 건조하고, 이어서 자외선을 200mJ/cm(superscript: 2) 조사하여 방현층을 형성했다. 수득된 방현 필름 및 방현층을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특허문헌 3에 기초한 참고예)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필름 기판 상에 불소기를 도입한 에폭시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2:1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을, 환경 온도 23℃에서 스핀 코터로써 도포했다. 온도 80℃에서 90분간 가열처리하여 도포한 수지를 경화시켜 요철 표면 형상의 방현층을 형성했다. 수득된 방현 필름 및 방현층을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이 방현층 표면은 해도 구조를 나타내었다. 수득된 방현 필름은 형광등 하에서의 비침 현상이 없지만 전광선 투과율은 80%로 낮고 백탁 평가는 ×였다.
Figure 112006054226896-PCT00008
Figure 112006054226896-PCT00009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현 필름은 비교예에 의한 것과 비교하여 전광선 투과율이 높으며 백화도 없는 등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4 및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헤이즈가 낮고 전광선 투과율이 높으며 백화도 없는 우수한 성능을 갖는 방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23)

  1. 투명 기재 상에 도포된 방현층을 형성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서,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이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한 후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물성 차이에 따라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이 상분리되어 표면에 랜덤한 요철을 갖는 수지층이 형성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각각 독립적으로 모노머, 올리고머 및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인 방현성 코팅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성분의 SP값과 제 2 성분의 SP값의 차이가 0.5 이상인 방현성 코팅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서,
    제 1 성분의 SP값(SP1), 제 2 성분의 SP값(SP2) 및 유기 용매의 SP값(SPsol)이
    SP1 < SP2, 및
    SP1과 SPsol의 차이가 2 이하
    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관계에 있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이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상기 제 2 성분이 모노머인 방현성 코팅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이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이고, 상기 제 2 성분이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결합 함유 모노머인 방현성 코팅 조성물.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이 실리콘 아크릴 블록공중합체이고, 상기 제 2 성분이 아크릴 공중합체인 방현성 코팅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수지로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중 어느 하나가 조성물 도포시의 환경 온도보다 낮은 Tg를 갖고, 다른 하나가 조성물 도포시의 환 경 온도보다 높은 Tg를 갖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중 어느 하나가 모노머로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Tg의 차이가 20℃ 이상이고,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에 있어서 보다 높은 Tg를 갖는 성분의 Tg가 20℃ 이상인 방현성 코팅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12. 투명 기재 및 방현층을 갖는 방현 필름으로서, 상기 방현층이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방현 필름.
  13. 제 12 항에 있어서,
    방현 필름의 헤이즈가 20% 미만인 방현 필름.
  14. 제 12 항에 있어서,
    방현 필름의 Rz JIS94(십점 평균조도)가 1.0㎛ 이하인 방현 필름.
  15. 제 12 항에 있어서,
    방현 필름의 표면의 조도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Sm)가 100㎛ 이하인 방현 필름.
  16. 제 12 항에 있어서,
    방현 필름의 산란각에 대한 산란광 강도가 극대치를 갖지 않는 방현 필름.
  17. 투명 기재에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 및
    수득된 도막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
    을 포함하는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
  18. 투명 기재에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
    수득된 도막을 건조시켜 상분리시키는 건조 공정, 및
    건조시킨 도막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
    을 포함하는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
  19. 투명 기재에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 및
    수득된 도막에 빛을 조사하여 상분리 및 경화시키는 광조사 공정
    을 포함하는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방현 필름.
  21.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 필름과 편광 소자를 갖는 편광판으로서, 투명 기재에 설치된 방현층과는 반대면인 방현 필름 표면과 편광 소자 표면이 대향하여 적층되어 있는 편광판.
  22. 평면 형상의 투광성 표시체, 상기 투광성 표시체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원 장치, 및 상기 투광성 표시체의 표면에 적층된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 필름을 갖는 투과형 표시 장치.
  23.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 필름이 디스플레이의 최표층에 사용된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7015219A 2004-01-29 2005-01-28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4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1805 2004-01-29
JPJP-P-2004-00021805 2004-01-29
PCT/JP2005/001217 WO2005073763A1 (ja) 2004-01-29 2005-01-28 防眩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331A true KR20060129331A (ko) 2006-12-15
KR101154807B1 KR101154807B1 (ko) 2012-06-18

Family

ID=3482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219A KR101154807B1 (ko) 2004-01-29 2005-01-28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998697B2 (ko)
KR (1) KR101154807B1 (ko)
CN (1) CN1914523A (ko)
TW (1) TW200537127A (ko)
WO (1) WO20050737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648B1 (ko) * 2008-12-26 2016-04-11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투명 터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6845B2 (ja) * 2004-04-14 2011-08-10 株式会社ニッコー化学研究所 重合体溶液、艶消し塗料及び化粧シート
JP2007062102A (ja) * 2005-08-30 2007-03-15 Nippon Zeon Co Ltd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82519A (ja) * 2006-01-10 2007-07-19 Nippon Paint Co Ltd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光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基材上に被覆硬化した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構造体およびその製法
JP2007217606A (ja) * 2006-02-17 2007-08-30 Fujifilm Corp 機能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7246714A (ja) * 2006-03-16 2007-09-27 Nippon Paint Co Ltd 表面に微細凹凸を形成する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その応用
JP5103824B2 (ja) * 2006-08-18 2012-1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103825B2 (ja) * 2006-08-18 2012-1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8062538A (ja) * 2006-09-08 2008-03-21 Nakajima Kogyo Kk 防眩フィルム
JP5037110B2 (ja) * 2006-12-22 2012-09-26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帯電防止塗料の製造方法及び帯電防止塗膜の製造方法
ATE555483T1 (de) 2007-01-16 2012-05-15 Teijin Ltd Transparenter leitfähiger mehrschichtiger körper und daraus hergestellter berührungsschirm
JP5038748B2 (ja) * 2007-03-14 2012-10-03 株式会社ダイセル 防眩性膜及びその製造方法
EP2137242B1 (en) * 2007-04-13 2012-10-31 LG Chem, Ltd. Optical films, retardation films,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s
KR100964787B1 (ko) * 2007-04-16 2010-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5375603B2 (ja) * 2007-04-18 2013-12-25 凸版印刷株式会社 真偽判定方法及び識別器
EP1990659A1 (en) 2007-05-05 2008-11-12 LG Display Co., Ltd. Optical film, and polarizer, prism sheet,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optical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50040380A (ko) * 2007-10-26 2015-04-14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투명 터치 패널
JP5237745B2 (ja) * 2007-10-26 2013-07-17 日本ビー・ケミカル株式会社 耐候性防眩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耐候性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33740B2 (ja) 2007-10-26 2012-09-26 帝人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
TWI453120B (zh) * 2007-11-15 2014-09-21 Jsr Corp A raw film of a raw ice sheet having a hard coat lay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raw ethylidene resin film having a hard coat layer
WO2010073781A1 (ja) 2008-12-26 2010-07-01 帝人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タッチパネル
JP5618520B2 (ja) * 2008-12-26 2014-11-05 帝人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透明タッチパネル
JP2010191370A (ja) 2009-02-20 2010-09-02 Nippon Bee Chemical Co Ltd 防眩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77822B (zh) * 2009-03-25 2015-03-21 Sumitomo Chemical Co 防眩膜
WO2010113827A1 (ja) * 2009-03-30 2010-10-07 日本製紙ケミカル株式会社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01749644B (zh) * 2009-12-31 2013-02-27 长兴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扩散膜及其制造方法
JP6004603B2 (ja) * 2010-07-15 2016-10-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02676064B (zh) * 2012-04-28 2013-09-04 烟台德邦科技有限公司 一种亚光胶黏剂及其制备方法
JP6171226B2 (ja) * 2012-06-27 2017-08-02 ゼネラル株式会社 ボード用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ホワイトボード
CN103323902B (zh) * 2013-06-21 2016-03-16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防炫目光学薄膜及其制造方法
WO2015199796A2 (en) * 2014-04-25 2015-12-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xtured coating for optical products
JP6409422B2 (ja) * 2014-09-02 2018-10-24 日油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用防眩性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成形品
JP6651940B2 (ja) * 2016-03-29 2020-02-19 日油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用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成形品
CN106707605A (zh) * 2017-02-28 2017-05-24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含有其的显示设备
US20240027357A1 (en) * 2020-10-02 2024-01-25 Dai Nippon Printing Co., Ltd. Sparkle contrast correcting method, comparing method, comparing apparatus, electronic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and anti-glare layer manufacturing method
CN112433278B (zh) * 2020-11-27 2022-07-29 宁波东旭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光扩散膜的制备方法
CN114231158A (zh) * 2021-12-24 2022-03-25 惠州合益创光学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高精细防眩涂层的组合物及其高精细防眩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9798A (ja) * 1998-01-19 1999-07-27 Nikko Kagaku Kenkyusho:Kk 多相構造形成性コーティング剤、多相構造膜形成方法及び光路変更フィルム
JP2000193808A (ja) * 1998-12-25 2000-07-14 Asahi Glass Co Ltd 表側基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反射型表示素子
KR100805161B1 (ko) * 1999-03-15 2008-02-21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용 전극기판 및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TWI300150B (en) * 2000-02-16 2008-08-2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 Reflective-type display element, refl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949870B1 (ko) * 2001-12-17 2010-03-25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방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JP2004008840A (ja) * 2002-06-04 2004-01-15 Nitto Denko Corp 被膜シートの製造方法、反射防止シートの製造方法、反射防止シート、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217097B2 (ja) * 2003-04-03 2009-01-2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648B1 (ko) * 2008-12-26 2016-04-11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투명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807B1 (ko) 2012-06-18
JP3998697B2 (ja) 2007-10-31
TW200537127A (en) 2005-11-16
CN1914523A (zh) 2007-02-14
TWI350387B (ko) 2011-10-11
WO2005073763A1 (ja) 2005-08-11
JPWO2005073763A1 (ja)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807B1 (ko)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75787A (ko)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720333B1 (ko)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8533067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8533065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1056475A2 (en) Optical film with anti-warp surface
JP2010163535A (ja)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硬化性樹脂組成物、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を含む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80070494A (ko) 광학 필름 형성용 조성물,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21515273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258214A (ja) 表示装置
TW202032161A (zh) 防眩性薄膜、防眩性薄膜的製造方法、光學構件及影像顯示裝置
KR20060051875A (ko) 광학적층체 및 광학소자
KR20070094519A (ko) 표면에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 및 그의 응용
JP5490487B2 (ja) 光学積層体
JP5753285B2 (ja) 光学積層体
JP5449760B2 (ja) 塗布組成物、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TW202040166A (zh) 防眩性薄膜、防眩性薄膜之製造方法、光學構件及影像顯示裝置
JP2004240087A (ja) 積層偏光フィルム
KR20120038701A (ko) 광학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장치
TW201111332A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its uses
KR101148305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TWI834758B (zh) 防眩性薄膜、防眩性薄膜之製造方法、光學構件及影像顯示裝置
KR20130141967A (ko) 방현성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현성 필름
JP5426329B2 (ja) 光学積層体
KR100671105B1 (ko) 전도성 광확산 필름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광확산 필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