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423A - 디스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423A
KR20060126423A KR1020067003469A KR20067003469A KR20060126423A KR 20060126423 A KR20060126423 A KR 20060126423A KR 1020067003469 A KR1020067003469 A KR 1020067003469A KR 20067003469 A KR20067003469 A KR 20067003469A KR 20060126423 A KR20060126423 A KR 20060126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cartridge
disk
opening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노리 오카자와
데루유키 다키자와
구니코 나카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7Containers with interchangeabl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11, 12), 셔터(21, 22), 디스크 보유 지지부 및 탈락 방지 부재(23)를 구비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디스크 개구부(12w) 및 바닥부(11u)를 갖고, 디스크(100)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디스크 개구부로부터 디스크(100)의 일면을 외부에 노출되도록 수납한다. 바닥부에는, 디스크를 척킹하고, 헤드가 접근하기 위한 바닥부 개구부(11c, 11h)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21, 22)는 바닥부 개구부(11c, 11h)를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색한다. 회전 부재(25)는 카트리지 본체(11, 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회전함으로써 셔터(21, 22)가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셔터(21, 22)와 결합하고 있다.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22c, 22d)는 셔터(21, 22)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디스크(100)를 고정하거나 또는 해방한다. 탈락 방지 부재(23)는 디스크 개구부(12w) 내로 돌출된 상태 및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하도록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22c, 22d)는 탈락 방지 부재(23)에 연동하여, 탈락 방지 부재(23)가 디스크 개구부(12w) 내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하도록 이동했을 때, 디스크(100)의 해방을 행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DISC CARTRIDGE}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 형상의 정보 기록 매체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수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디스크 형상의 정보 기록 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문헌 1은 한쪽 면 혹은 양면에 정보 기록면을 갖는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이하 디스크라 칭함)가, 상부 절반 및 하부 절반으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에 설치한 디스크 수납부 안에, 완전히 덮인 형태로 수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 본체에는 스핀들 모터의 턴 테이블 및 클램퍼가 디스크를 척킹(chucking)하기 위한 척킹 개구부와, 헤드가 디스크에 대해 정보의 재생 및 기록을 행하기 위한 헤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는 연결된 1개의 개구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카트리지 본체 내로 먼지가 침입하거나, 디스크에 지문이 남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에는 셔터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1997-153264 호 공보
특허 문헌 2 : 국제 공개 WO97/11463 호 팸플릿
그러나 이 구조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태의 디스크를 디스크 장치에 삽입하고, 기록 재생을 행하기 위해 디스크 회전 시의 면 흔들림, 디스크의 휨, 및 카트리지의 디스크 장치에의 위치 결정 오차를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상부 절반과 하부 절반 사이에 형성되는 디스크 수납부에 확보할 필요가 생긴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 본체의 두께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 절반에는 스핀들 모터의 턴 테이블용의 개구부와 헤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부 절반에는 클램퍼용의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동시에 폐색하기 위한 셔터는 상부 절반으로부터 하부 절반에 걸쳐 이어지는 역 ㄷ자 형상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의 셔터는 고가이므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카트리지에 CD나 DVD 등의 허브(hub)가 없는 광 디스크가 수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디스크는 카트리지 내에서 고정되지 않아 자유로운 상태에 있다. 이로 인해, 디스크의 덜걱거림에 의해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이 손상되거나, 디스크와 카트리지 내벽과의 충돌에 의해, 먼지가 발생하게 되어 그 먼지가 디스크에 부착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일본 특허 문헌 2도, 카트리지 본체에 디스크를 수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에서는, 개폐 덮개를 회전함으로써 디스크 탈 착구가 개방되어, 디스크를 꺼낼 수 있다. 그러나 개폐 덮개를 열기 위한 로그 해제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나, 디스크 탈착구가 좁기 때문에 디스크 착탈 시에 디스크가 탈착구 주변에 닿아 디스크에 흠집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디스크가 이동하지 않도록 보유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크가 손상되는 일없이 쉽게 꺼낼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면을 외부에 노출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척킹하고, 또한 정보의 기록 및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바닥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 개구부를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색하기 위한 셔터와, 카트리지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셔터가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셔터와 결합하고 있는 회전 부재와, 상기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셔터가 바닥부 개구부를 폐색할 때, 상기 셔터 혹은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상기 디스크를 고정하고, 상기 셔터가 바닥부 개구부를 개방할 때, 상기 디스크를 해방하는 디스크 보유 지지부, 및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된 상태 및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의 해방을 행한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가 연동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연동한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를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한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 1 및 제 2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여 결합한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제 1 결합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결합부가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 부재는 위치하고 있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2 결합부에 설치된 핀부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핀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홈부를 갖는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된 취출 이력 홀과, 상기 취출 이력 홀 중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이탈 가능하도록 부착된 기둥 형상의 덮개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덮개 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을 갖는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기 셔터가 바닥부 개구부를 폐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를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고정하는 로크 부재를 더 구비한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는 연동하여, 상기 탈락 방지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에 의한 상기 회전 부재의 고정을 해제한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가 연동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에 연동한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를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한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 1 및 제 2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여 결합한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제 1 결합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결합부가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 부재는 위치하고 있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2 결합부에 설치된 핀부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핀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홈부를 갖는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도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되지 않는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회전 혹은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된 상태와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기 셔터를 2개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2개의 셔터의 일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상기 디스크 제 2 면 중, 적어도 외주부 근방을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 측으로 밀어붙여 보유 지지한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어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보유 지지부에 의해 디스크를 덜걱거림 없이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크를 디스크 카트리지에 삽입하는 경우에도 디스크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탈락 방지 부재가 디스크 보유 지지부와 연동하고, 탈락 방지 부재를 디스크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디스크 보유 지지부가 디스크를 해방한다. 이로 인해, 디스크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디스크 개구부로부터 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취출 이력 홀 근방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탈락 방지 부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탈락 방지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수납되고, 탈락 방지 부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수납되고, 탈락 방지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수납되고, 탈락 방지 부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수납되고, 탈락 방지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카트리지 하부 부재 11m : 홈부
11d : 걸림 고정 벽 11n : 덮개 부재
11k : 취출 이력 홀 12 : 카트리지 상부 부재
12s : 탈락 방지 부재 12w : 디스크 개구부
21 : 제 1 셔터 22 : 제 2 셔터
21d, 22d, 22c : 디스크 보유 지지부 23, 33 : 탈락 방지 부재
23d : 걸림 고정부 24 : 로크 부재
24k : 로크 선단부 24s : 해제부
25 : 회전 부재 25k : 결합 창
25m : 오목부 26 : 연결 부재
26a : 볼록부 26p : 핀부
33 : 탈락 방지 부재 33p : 볼록부
100 : 디스크 100h : 센터 홀
301, 302 : 디스크 카트리지
(제 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01)의 전체 구조를 설명한다.
디스크 카트리지(301)는 카트리지 하부 부재(11) 및 카트리지 상부 부재(12), 제 1 셔터(21), 제 2 셔터(22), 탈락 방지 부재(23), 로크 부재(24), 회전 부재(25) 및 연결 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적합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들 부재는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각 부재에 요구되는 강도나 외관 등을 고려하여, 각 부재에 적합한 재료가 결정된다.
카트리지 하부 부재(11)는, 내측 하면(11u)을 갖고 있다. 내측 하면(11u)에는 외부로부터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등의 척킹 부재가 침입 가능하도록 개구한 척킹 개구부(11c)와, 정보의 기록 및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는 헤드가 침입하여, 디스크(1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구한 헤드 개구부(11h)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 개구부(11h)와 척킹 개구부(11c)는 연통하여, 바닥부 개구부를 구성하고 있다. 헤드 개구부(11h)는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의 측면에 달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헤드 개구부(11h)가 설치된 측면에 인접하는 측면에는 오목부(11r)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내측 하면(11u)에는 회전 부재(25)에 설치된 볼록부(25e 및 25f)의 선단부를 받치는 홈(11e 및 11f)이 마련되어 있다. 홈(11e 및 11f)은 내측 하면(11u)을 관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하면(11u)에는 연결 부재(26)의 핀부(26p)를 받치는 홈부(11m)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도 내측 하면(11u)을 관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각각 마련된 회전 구멍(21a 및 22a)을 받치는 한 쌍의 회전축(11p)이 내측 하면(11u)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회전 구멍(21a 및 22a)을 마련하고, 카트리지 하부 부재에 회전축(11p)을 설치하고 있지만,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회전축을 설치하고,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에 회전 구멍을 마련해도 좋다. 또한, 내측 하면(11u)에는 디스크의 취출을 판별하기 위한 취출 이력 홀(11k)과, 취출 이력 홀(11k)을 덮는 덮개 부재(11n)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11n)는 취출 이력 홀(11k)에 대해, 이탈 가능한 강도로 연결되어 있다.
카트리지 상부 부재(12)는 디스크(100)의 전 투영 영역을 개구하는 원형의 디스크 개구부(12w)를 갖고 있으며, 디스크 개구부(12w)는 원통형의 측면(12i)에 의해 규정된다. 이 디스크 개구부(12w)를 통해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01)에 삽입하거나, 끄집어내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트리지 상부 부재(12)와 카트리지 하부 부재(11)는 외연부에 의해 접착 혹은 초음파 용착되거나 혹은 나사 등의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의 내측 하면(11u)과 카트리지 상부 부재(12)의 측면(12i)은 디스크(100)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수납부에 있어서, 측면(12i)이 규정하는 공간은 디스크(100)가 회전해도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디스크(100)보다도 커 디스크(100)는 수납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크 수납부의 상부는 디스크 개구부(12w)로서 개방되어 있으며, 디스크 수납부에 세트된 디스크(100)의 제 1 면(100A)의 전면이 디스크 개구부(12w)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인 제 2 면(100B)은 내측 하면(11u)에 면하고 있다.
카트리지 상부 부재(12)의 상면(12d)에는 상면(12d)과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12w)로 튀어나와 있는 탈락 방지 부재(12s)가 형성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12s) 및 후술하는 탈락 방지 부재(23)는 카트리지 본체의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100)가 디스크 개구부(12w)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를 드라이브 장치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탈락 방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탈락 방지 부재의 수는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것 이외의 다른 형상을 갖는 탈락 방지 부재를 설치해도 좋으며, 탈락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도 도 1에 도시된 이외의 장소라도 좋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디스크의 양면을 덮는 종래의 카트리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카트리지(301)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개구부(12w)로부터 디스크의 라벨면을 노출할 수 있으므로, 라벨면(제 1 면)(100A)에 쓰인 디스크의 콘텐츠 등을 확인하는 것이 쉬워진다. 또한, 라벨면의 디자인을 노출함으로써, 디스크가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 전체의 디자인도 우수한 것이 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의 내측 하면(11u) 상에 설치되어,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01)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제 2 면)(100B)과 내측 하면(11u)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회전 구멍(21a 및 22a)을 각각 갖고 있으며, 회전 구멍(21a 및 22a)은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의 한 쌍의 회전축(11p)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한 쌍의 회전축(11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헤드 개구부(11h) 및 척킹 개구부(11c)를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색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디스크(100)의 제 2 면(100B)의 일부는 헤드 개구부(100h)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바닥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태에 있을 때,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된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과 포개어지는 영역에 있어서, 구멍(20h)이 형성되도록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는 절결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절결부의 주연에는 볼록부(21w 및 22w)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색 상태에 있을 때, 볼록부(21w 및 22w)는 밀접하여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 근방의 전 주위에 접촉하는 볼록부(20w)를 구성한다. 볼록부(20w)는 센터 홀(100h)로부터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100B) 측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막는다. 볼록부(21w 및 22w)의 구멍(20h) 측에는 3개의 돌기(20p)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0p)의 상면은 볼록부(21w 및 22w)의 상면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돌기(20p)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폐될 때에,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인 제 1 면(100B)의 정보 기록 영역 밖에 접촉하여 디스크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에 의해, 개폐 시에 볼록부(20w)가 제 2 면(100B)의 정보 기록 영역에 접촉하여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1 셔터(21)는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를 갖고, 제 2 셔터(22)는 디스크 보유 지지부(22c 및 22d)를 갖고 있다. 이들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디스크 받침부의 바닥면에 면한 역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이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색 상태에 있을 때,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22c, 22d)는 디스크 받침부 내로 돌출되어, 경사면이 디스크(100)의 제 1 면(100A)의 외연부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적어도 디스크(100)의 제 2 면(100B)의 외주 근방을 디스크 보유 지지부의 바닥부 측으로 밀어붙여 디스크(100)를 덜걱거리지 않게 보유 지지, 즉 고정한다.
제 1 셔터(21)의 선단부에는 볼록부(21c)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21c)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색 상태에 있을 때,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의 측면에 달한 척킹 개구부(11h)로부터 디스크(100)의 측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 및 25f)에 결합하는 안내 홈(21s 및 22s)을 갖고 있다.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 및 25f)가 통과하는 안내 홈(21s 및 22s)은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관통하고 있다.
회전 부재(25)는 측벽(25i)과 측벽(25i)의 바닥부에 설치된 디스크 받침부(25a)를 포함한다. 측벽(25i)은 수납된 디스크(100)의 측면을 둘러싸는 사이즈와 형상을 구비한 원통형을 갖고, 절결부(25d, 25g 및 25h)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 디스크 받침부(25a)는 납작한 링 형상을 가지며, 그 일부에 절결부(25c)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부재(25)가 회전함으로써,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개방 상태가 된다. 이때, 회전 부재(25)는 절결부(25c)가 헤드 개구부(11h)와 포개어지는 회전 각도를 취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색 상태에 있을 때에는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22d, 21c, 22c)가 각각 절결부(25g, 25h, 25d)로부터 디스크 받침부(25a) 측으로 돌출되어, 디스크(100)를 보유 지지한다. 디스크 받침부(25a)의 하면에는 디스크 하부 부재(11) 측으로 돌출된 보록부(25e 및 25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벽(25i)의 외측에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셔터 개폐 기구와 결합하는 오목부(25s) 및 기어(25j)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5s) 및 기어(25j)는 회전 부재(25)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측면 오목부(11r) 바닥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측벽(25i)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로크(24)의 로크 선단부(24k)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창(25k)과, 후술하는 연결 부재(26)의 볼록부(26a)와 결합하기 위한 오목부(25m)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부재(24)는 회전 부재(25)의 회전을 로크하는 작용을 한다. 로크 부재(24)의 회전 구멍(24h)은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에 설치된 회전축(11s)에 삽입되고, 로크 부재(24)는 회전축(11s)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스프링부(24b)는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의 내측 측면에 접촉하여, 로크 선단부(24k)가 회전 부재(25)의 결합 창(25k)으로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해제부(24s)는 디스크 카트리지(301)의 측면에 노출되어 있다. 회전 부재(25)의 회전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브 메커니즘에 의해 해제부(24s)를 압박하면 된다. 해제부(24s)를 압박함으로써 로크 부재(24)는 회전 구멍(24h)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크 선단부(24k)는 결합 창(25k)으로부터 벗겨져 로크 해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로크 부재(24)에 의해 회전 부재(25)는 회전하지 않도록 로크된다. 이에 의해 회전 부재(25)에 결합한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폐색된 상태에서 로크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부재(24)는 회전 부재(25)의 회전을 로크하지만, 로크 부재(24)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 중 한쪽 혹은 양쪽의 회전을 로크해도 좋다. 또한, 로크 부재를 착탈 가능한 구조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본체(301)에 설치하고, 로크 부재를 이탈시킴으로써, 회전 부재(25), 제 1 셔터(21) 혹은 제 2 셔터(22)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해도 좋다.
탈락 방지 부재(23)는 카트리지 상부 부재(12) 및 카트리지 하부 부재(11)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본체의 헤드 개구부(11h)가 설치된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23)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근방에는 회전축(23a)이 설치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는 스프링부(23e)를 갖는 걸림 고정부(23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11n)가 삽입되는 구멍(23h)이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 상부 부재(12)에는 탈락 방지 부재(23)의 회전축(23a)을 받치는 회전 구멍(12m)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축(23a)을 회전 구멍(12m)에 삽입하면 회전축(23a)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림 고정부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결합된다. 또한,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에는 걸림 고정부(23d)를 받치는 걸림 고정 벽(11d)이 설치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23)가 카트리지 상부 부재(12)에 부착되었을 때, 탈락 방지 부재(23)의 상면이 카트리지 상부 부재(12)의 상면(12d)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회전 구멍(12m)을 포함하는 영역에 오목부(12k)가 마련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23)가 디스크 개구부(12w)로 튀어나와, 디스크(10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을 때, 걸림 고정부(23d)는 걸림 고정 벽(11d)에 결합되어, 탈락 방지 부재(23)가 카트리지 본체에 고정된다.
도 2는 카트리지 본체의 취출 이력 홀(11k)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의 취출 이력 홀(11k)의 일부는 덮개 부재(11n)로 덮여 있다. 덮개 부재(11n)는 기둥 형상을 갖고,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에 있어서 취출 이력 홀(11k)의 주위로부터 늘어나는 가는 접속부(11q)와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11q)는 얇고, 또한 폭도 작다. 이로 인해, 덮개 부재(11n)를 화살표 C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강하게 누름으로써, 접속부(11q)가 끊기어 덮개 부재(11n)가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이탈한다. 즉, 접속부(11q)에 의해 덮개 부재(11n)는 이탈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본체에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 이력 홀(11k)의 중심은 탈락 방지 부재(23)의 구멍(23h)의 중심과 일치하여, 덮개 부재(11n)의 일부는 구멍(23h)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덮개 부재(11n)가 카트리지 본체의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와 접속부(11q)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덮개 부재(11n)가 탈락 방지 부재(23)의 이동을 방지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한다. 연결 부재(26)는 탈락 방지 부재(23)와 카트리지 하부 부재(11)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결합부가 되는 연결 부재(26)의 일단부에는 회전 구멍(26h)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 구멍(26h)을 탈락 방지 부재(23)의 이면에 설치된 회전축(23n)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연결 부재(26)는 탈락 방지 부재에 대해 떨어지는 일없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제 2 결합부가 되는 연결 부재(26)의 타단부에는 볼록부(26a)와 핀(26p)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26a)는 회전 부재(25)의 측면에 설치된 오목부(25m)와 결합하여, 회전 부재(2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핀부(26p)는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에 설치된 홈부(11m)와 결합하여 홈부(11m)를 따라 이동한다.
디스크 카트리지(30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부품의 상하 관계를 유지하여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에 배치되고, 이들 위에 회전 부재(25)가 위치하도록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와 카트리지 상부 부재(12)가 접합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100)를 디스크 개구부(12w)로부터 삽입하고, 마지막으로 탈락 방지 부재(23)를 끼워 넣음으로써, 디스크 카트리지(301)가 완성된다.
이하에, 디스크 카트리지(301)로부터 디스크(100)를 탈착하는 조작을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3 및 도 5는 탈락 방지 부재(23)의 일부가 디스크 개구부(12) 위로 돌출되어, 디스크 개구부(12w)로부터 디스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은 탈락 방지 부재(23)가 디스크 개구부(12) 위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 중, 도 3 및 도 4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301)의 구조를 잘 도시하기 위해, 디스크(100)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에 있어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폐색 상태에 있으며, 회전 부재(25)와 로크 부재(24)에 의해 폐색 상태는 유지된 상태에 있다. 이때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는 디스크 수납부 내로 돌출된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및 22d, 22c)에 의해 보유 지지 고정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및 22d, 22c)의 경사면과 디스크(100)의 외주 부분이 접촉함으로써,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색된 상태에 있을 때, 회전 부재(25)의 절결부(25c)가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12i)에 디스크(100)의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및 22d, 22c)가 디스크(100)의 중심을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시켜 디스크(100)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동시에,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및 22d, 22c)의 경사면과 디스크(100)의 외주 부분이 접촉함으로써, 디스크(100)를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 측으로 압박한다. 이로써, 제 1 셔터(21)와 제 2 셔터(22) 및 디스크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디스크(100)를 고정한다. 또한,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100B)의 외주 부분 및 내주 부분을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침부(25a) 및 셔터의 볼록부(20w)에 접촉시켜, 이들에 의해 정보 기록면(100B)의 정보 기록 영역을 밀폐하여, 정보 기록 영역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탈락 방지 부재(23)의 일부는 디스크 개구부(12w) 내로 돌출되어, 디스크(10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디스크(100)가 보유 지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및 22d, 22c)를 갖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색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셔터(21)의 회전은 안내 홈(21s)과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와의 결합을 거쳐서 회전 부재(25)에 의해 규제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셔터(22)의 회전은 안내 홈(22s)과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f)와의 결합을 거쳐서 회전 부재(25)에 의해 규제된다. 한편, 회전 부재(25)는 로크 부재(24)의 로크 선단부(24k)가 회전 부재(25)의 결합 창(25k)에 결합하고 있으므로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로크 선단부(24k)가 결합 창(25k)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3)는 폐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탈락 방지 부재(23)가 디스크(10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를 마찬가지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탈락 방지 부재(23)는 일단부에 회전축(23a)을 구비하고 있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형태이지만, 타단부의 걸림 고정부(23d)가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의 걸림 고정 벽(11d)에 걸림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의 덮개 부재(11n)가 탈락 방지 부재(23)의 구멍(23h)에 결합하고 있으므로, 탈락 방지 부재(23)는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걸림 고정부(23d)와 걸림 고정 벽(11d)이 결합 또한 덮개 부재(11n)와 구멍(23h)이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23)는 디스크(10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탈락 방지 부재(23)가 디스크(10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26)의 선단부의 볼록부(26a)와 회전 부재(25)의 오목부(25m)는 접촉하지 않아, 결합 상태는 아니다. 이로 인해, 디스크 카트리지(301)를 디스크 장치에 삽입하고, 디스크 장치가 셔터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 부재(25)를 회전시켜도, 회전 부재(25)의 회전 동작에 연결 부재(26)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음에, 디스크 카트리지(301)로부터 디스크(100)를 꺼내는 조작을 설명한다. 우선 조작자가 덮개 부재(11n)를 펜 끝 등으로 압박하여 카트리지 하부 부재(11)로부터 이탈한다(도 2). 이에 의해, 취출 이력 홀(11k)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덮개 부재(11n)가 탈락 방지 부재(23)의 구멍(23h)으로부터 통과한다.
로크 부재(24)의 해제부(24s)를 손가락 끝 등으로 누르면, 로크 부재(24)는 회전 구멍(24h)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크 선단부(24k)가 회전 부재(25)의 결합 창(25k)으로부터 분리된다. 탈락 방지 부재(23)의 걸림 고정부(23d) 근방을 도 3의 A 방향으로 휘게 하면서 B 방향으로 인장한다. 이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23)의 고정은 해제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탈락 방지 부재(23)의 이 회전을 따라, 연결 부재(26)는 회전 구멍(26h)을 중심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동시에 연결 부재(26) 선단부의 핀부(26p)는 카트리지 하부 부재(11)의 홈부(11m)를 따라 A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탈락 방지 부재(23)의 회전이 진행되면, 연결 부재(26)의 회전도 진행되고, 또한 핀부(26p)도 A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에 의해 핀부(26p) 주변의 볼록부(26a)는 회전 부재(25)의 오목부(25m)에 결합한다. 볼록부(26a)가 오목부(25m)에 결합한 후는 탈락 방지 부재(23)의 회전에 수반하여 연결 부재(26)의 핀부(26p)는 회전 부재(25)의 회전 궤도와 대략 동일한 홈부(11m)를 따라 이동하고, 볼록부(26a)와 오목부(25m)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부재(2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 및 도 6은 탈락 방지 부재(23)의 회전이 종료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탈락 방지 부재(23)의 회전에 의해 연결 부재(26)를 거쳐서 회전 부재(25)가 회전하고, 또한 회전 부재(25)를 거쳐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조금 개방된 상태를 취한다. 이때,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22d)는 디스크 개구부(12w) 내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하도록 이동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23)는 디스크(100)의 상방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또한,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22d)도 디스크 개구부(12w)에는 돌출되지 않는 상태이고 또한 디스크(100)는 보유 지지로부터 개방된 상태에 있다.
이때, 조작자는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에 손가락을 넣어, 탈락 방지 부재(23) 근방에 있어서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상부 부재(12)로부터 뜨게 하여,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01)로부터 꺼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1n)를 이탈시키지 않으면, 탈락 방지 부재(23)는 회전할 수 없어, 디스크(100)도 꺼낼 수 없다. 디스크(100)를 꺼내기 위해, 덮개 부재(11n)를 이탈시키면, 취출 이력 홀(11k)이 개방된다. 따라서, 취출 이력 홀(11k)이 폐쇄되어 있는 한, 디스크(100)는 꺼내어져 있지 않아 디스크 카트리지(301)를 제조하였을 때에 장전된 디스크(100)가 그대로 수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01)를 장착하는 디스크 장치는 이 취출 이력 홀(11k)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기록 및 재생 동작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 규격으로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디스크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301)가 제조된 경우를 고려한다. 디스크 장치는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301)의 취출 이력 홀의 상태를 검출한다. 취출 이력 홀(11k)이 폐쇄되어 있으면,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소정 규격으로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디스크를 수납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바로 그 규격으로 기록 또는 재생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취출 이력 홀(11k)이 개방되어 있으면,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의 종류가 이미 알려진 것은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 카트리지 내의 디스크가 어떠한 종류의 디스크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빛을 디스크에 조사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우선 행한다. 계속해서, 확인 결과를 기초로 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한다.
다음에, 끄집어낸 디스크(100)를 다시 카트리지(301)에 수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조작자는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에 손가락을 넣어 디스크(100)를 쥐고, 탈락 방지 부재(12s)의 하방으로 잠입시키면서 디스크 개구부(12w) 내에 설치한다. 그 후, 탈락 방지 부재(23)를 회전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걸림 고정부(23d)와 걸림 고정 벽(11d)을 결합시킨다. 이 동작에 연동하여, 연결 부재(26)는 회전 부재(2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부재(25)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를 폐색시킨다. 동시에, 로크 부재(24)는 스프링부(24b)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결합 창(25k)과 로크 선단부(24k)는 결합하여, 회전 부재(25)의 회전은 규제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색되면,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22d)가 디스크(100)를 보유 지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스크 카트리지(301)로부터 디스크(100)를 꺼내기 위해서는 로크 부재(24)의 압박 조작과 탈락 방지 부재(23)의 회전 조작만으로 가능하다. 이때 탈락 방지 부재(23)와 셔터에 설치된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연결 부재(26) 및 회전 부재(25)를 거쳐서 연동하고, 탈락 방지 부재(23)를 디스크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디스크 보유 지지부가 디스크를 해방한다. 이로 인해, 디스크(100)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개구부(12w)로부터 꺼낼 수 있다.
또한, 끄집어낸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01)로 복귀시키는 경우, 디스크 개구부(12w)로부터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하여, 탈락 방지 부재(23)를 회전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디스크(100)의 디스크 카트리지(301)에의 삽입이 완료된다. 이때, 탈락 방지 부재(23)를 디스크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디스크 보유 지지부가 디스크(100)를 고정한다. 이로 인해, 디스크를 디스크 카트리지에 삽입하는 경우에도 디스크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디스크는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서 고정되므로, 카트리지 내에서 덜걱거려 먼지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제 2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도, 디스크의 꺼냄을 향상시킴으로써, 실용성을 높이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실시 형태와 크게 다른 점은 탈락 방지 부재의 위치 및 디스크를 꺼내는 조작 중, 로크 부재를 압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이들의 특징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을 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2)에 디스크(100)가 보유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디스크(100)를 꺼낼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탈락 방지 부재(33)는 로크 부재(24)의 회전 구멍(24h)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제 1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탈락 방지 부재(23) 대신에, 디스크 개구부로 돌출된 상태와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할 수 있는 탈락 방지 부재(33)가 헤드 개구부(11h)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디스크(100)를 꺼내는 방법을 설명한다. 조작자는 탈락 방지 부재(33)의 결합부(33d)를 디스크 카트리지(302)로부터 해제한다. 다시 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탈락 방지 부재(33)는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탈락 방지 부재(33)에 설치된 볼록부(33p)가 로크 부재(24)와 접촉하여, 로크 부재(24)를 로크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탈락 방지 부재(33)와 로크 부재(24)는 연동한다. 로크 부재(24)의 회전에 의해, 회전 부재(25)의 로크가 해제된다.
동시에,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탈락 방지 부재(33)의 회전에 연동하여, 연결 부재(26)에 의해 회전 부재(2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회전 부재(25)의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 동작을 개시한다. 연결 부재(26)가 설치되는 위치는 제 1 실시 형태와 다르지만, 연결 부재(26)의 구조나 연결 부재(26)와 결합하기 위해, 탈락 방지 부재(33) 및 회전 부재(25)에 설치되는 구조는 제 1 실시 형태가 대응하는 구조와 동일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33)가 회전이 종료되면, 디스크(100)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22d)는 디스크 개구부(12w)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있으며, 디스크 개구부(12w)로부터 회피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100)가 해방된다. 따라서,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자는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에 손가락을 넣어, 탈락 방지 부재(33) 근방에 있어서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상부 부재(12)로부터 뜨게 되어,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02)로부터 꺼낼 수 있다.
다음에, 끄집어낸 디스크(100)를 다시 카트리지(302)에 수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조작자는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에 손가락을 넣어 디스크(100)를 쥐고, 탈락 방지 부재(12s)에 잠입시키면서 디스크 개구부(12w)로부터 수납부 내에 삽입한다. 그 후, 탈락 방지 부재(23)를 회전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걸림 고정부(33d)에 의해 고정된다. 이 동작에 연동하여, 연결 부재(26)는 회전 부재(2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부재(25)가 제 1 및 제 2 셔터(21, 22)를 폐색시킨다. 동시에, 로크 부재(24)는 스프링부(24b)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색된 상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24)가 회전 부재(25)와 결합함으로써, 회전 부재(25)의 회전이 규제된다. 회전 부재(25)의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색될 때, 디스크 보유 지지부(21d, 22d, 22c)가 디스크 수납부 내로 돌출된다. 그리고 디스크 보유 지지부 내에 있어서, 디스크(100)의 제 2 면(100B)의 외주 근방을 디스크 보유 지지부의 바닥부 측으로 밀어붙여 디스크(100)를 보유 지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탈락 방지 부재(33)만을 조작함으로써, 디스크 카트리지(302)로부터 디스크(100)를 꺼낼 수 있다. 또한, 끄집어낸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02)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도, 탈락 방지 부재(33)를 회전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만으로 좋다. 이로 인해, 더욱 쉽게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디스크를 꺼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는 디스크에 대해 대략 수평인 면 내에 있어서 회전한다. 그러나 예컨대 디스크에 대해 대략 수직인 면에서 회전하는 구조 혹은 디스크에 대해 대략 수평인 면에서 미끄러지는 구조를 채용해도 좋으며,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탈락 방지 부재가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조를 구비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와 회전 부재가 연동하고,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와 회전 부재 및 로크 부재가 연동하고 있었다. 이들의 부재를 연동시키는 구조는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를 연동시키는 공지의 연동 구조나 회전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를 연동시키는 공지의 연동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디스크(100)의 크기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12 ㎝의 디스크나 그 밖의 사이즈의 디스크 등, 다양한 크기의 디스크를 수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로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형은 디스크보다 약간 큰 정도로 도시되어 있었지만, 디스크와 디스크 카트리지의 크기는 도시되는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형은 12 ㎝의 디스크를 수납할 수 있을 정도로 크지만, 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치된 디스크 수납부나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8 ㎝의 디스크를 수납하는 데 적합한 크기 및 구조라도 좋다.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12 ㎝ 디스크용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8 ㎝의 디스크에 대해 기록/재생하기 위한 어댑터로서도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회전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셔터를 개폐시키는 다양한 규격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광 디스크뿐만 아니라, 자기나 광자기 등 다른 기록 방식의 디스크를 수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도 적합하게 이용된다.

Claims (22)

  1.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면을 외부에 노출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척킹하고, 또한 정보의 기록 및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바닥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 개구부를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색하기 위한 셔터와,
    카트리지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셔터가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셔터와 결합하고 있는 회전 부재와,
    상기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셔터가 바닥부 개구부를 폐색할 때, 상기 셔터 혹은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상기 디스크를 고정하고, 상기 셔터가 바닥부 개구부를 개방할 때, 상기 디스크를 해방하는 디스크 보유 지지부, 및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된 상태 및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의 해방을 행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가 연동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연동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를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 1 및 제 2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여 결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제 1 결합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결합부가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 부재는 위치하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2 결합부에 설치된 핀부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핀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홈부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된 취출 이력 홀과, 상기 취출 이력 홀 중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이탈 가능하도록 부착된 기둥 형상의 덮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덮개 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바닥부 개구부를 폐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를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고정하는 로크 부재를 더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는 연동하여, 상기 탈락 방지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에 의한 상기 회전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가 연동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에 연동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를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 1 및 제 2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고 결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제 1 결합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결합부가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 부재는 위치하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2 결합부에 설치된 핀부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핀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홈부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가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도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되지 않는
    디스크 카트리지.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회전 혹은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된 상태와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를 2개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2개의 셔터의 일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보유 지지부는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 중, 적어도 외주부 근방을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 측으로 밀어붙여 보유 지지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KR1020067003469A 2003-11-10 2004-11-08 디스크 카트리지 KR200601264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9304 2003-11-10
JP2003379304 2003-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423A true KR20060126423A (ko) 2006-12-07

Family

ID=3456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469A KR20060126423A (ko) 2003-11-10 2004-11-08 디스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48056B2 (ko)
EP (1) EP1684294A4 (ko)
JP (1) JPWO2005045839A1 (ko)
KR (1) KR20060126423A (ko)
CN (1) CN1867996A (ko)
WO (1) WO2005045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71133A1 (en) * 2002-10-10 2004-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JP2005276338A (ja) * 2004-03-25 2005-10-0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572A (en) * 1987-07-15 1989-01-23 Nec Corp Optical disk cartridge
JPS6419572U (ko) 1987-07-28 1989-01-31
JP3594314B2 (ja) * 1995-09-21 2004-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取り出し可能な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9153264A (ja) 1995-11-29 1997-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481040B2 (ja) * 1996-04-15 2003-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168800A (ja) * 1999-12-08 2001-06-22 Kddi Corp 4ファイバリングネットワーク光スイッチング回路
HUP0400599A2 (en) * 2001-01-12 2004-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c cartridge
US6910219B2 (en) * 2001-07-06 2005-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JP3809786B2 (ja) * 2001-10-01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3891984B2 (ja) * 2001-11-09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242740A (ja) * 2002-02-15 2003-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91906B2 (ja) * 2002-03-08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592684B2 (ja) * 2003-04-09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659585B1 (en) * 2003-08-28 2010-02-17 Sony Corporation Disk cartridge
JP2005116074A (ja) * 2003-10-08 2005-04-28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575050A3 (en) * 2004-03-11 2008-05-28 FUJIFILM Corporation Disk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4294A4 (en) 2007-09-19
WO2005045839A1 (ja) 2005-05-19
US20070074239A1 (en) 2007-03-29
EP1684294A1 (en) 2006-07-26
CN1867996A (zh) 2006-11-22
US7448056B2 (en) 2008-11-04
JPWO2005045839A1 (ja)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3108A1 (en) Disc cartridge
JPWO2002056313A1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917484B1 (ko) 기록 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카트리지
TWI224315B (en) Cassette capable of accepting a disc exchangeably
JP2000090627A (ja) ディスクカ―トリッジ
KR100362369B1 (ko) 디스크카트리지어댑터및그구동장치
KR20060126423A (ko) 디스크 카트리지
KR20030005060A (ko)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377638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9190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WO2004042726A1 (ja) 記録再生装置
JP200118906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7026561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303554B1 (ko) 디스크 수납용 카트리지 어댑터의 인식홀 변환장치
JP3809795B2 (ja) カートリッジ
JP377644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44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44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223948B2 (ko)
JPH02123580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928282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525138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928282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141843A (ja) カートリッジ
KR20070062453A (ko) 디스크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