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729B1 - 디스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729B1
KR100614729B1 KR1020037010189A KR20037010189A KR100614729B1 KR 100614729 B1 KR100614729 B1 KR 100614729B1 KR 1020037010189 A KR1020037010189 A KR 1020037010189A KR 20037010189 A KR20037010189 A KR 20037010189A KR 100614729 B1 KR100614729 B1 KR 10061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cartridge
shutter
shu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2477A (ko
Inventor
오카자와히로노리
다키자와데루유키
사지요시토
나카타구니코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11B33/0422Single disc boxe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7Containers with interchangeabl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디스크 수납부와;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셔터와;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셔터와 연동되며, 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 지지부를 포함하는 회전 부재와;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헤드용 개구부내에 위치되는 노치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셔터는,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회전 부재의 노치가 위치되는 곳에서 디스크의 외측면이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디스크의 중심이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채로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는 디스크 홀더를 포함한다. 디스크 지지부가 디스크의 제 2 면과 접촉하는 영역의 내주는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에서 오프셋된 중심을 갖는 원을 규정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DISC CARTRIDGE}
본 발명은 광 디스크 또는 자기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저장 매체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저장 매체용 보호 케이스로서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공보 제 9-153264 호는, 단일 또는 이중의 신호기록면을 갖는 디스크 저장 매체(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히 "디스크"로 명칭될 것임)가 디스크 수납부에 완전히 봉입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개시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상반부 및 하반부로 구성된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에 규정된다. 카트리지 본체는 고정용 개구부와 헤드용 개구부(chucking openings and a head opening)를 포함한다. 삽입된 디스크는 고정용 개구부를 통해 스핀들 모터 턴테이블 및 클램퍼(clamper)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판독/기록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신호를 디스크로부터 판독 및/또는 디스크상에 기록한다. 고정 개구부중 하부의 개구부는 헤드용 개구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카트리지를 운반하는 중에, 먼지 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카트리지 내부로 들어가기 쉬우며 디스크 역시 손자국으로 얼룩지기 쉽다. 그러한 이유로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셔터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하기의 단점을 갖는다. 첫째,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그다지 얇을 수 없다. 이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수납되는 디스크로부터 신호(또는 정보)를 정확히 판독하거나 디스크상에 신호(또는 정보)를 정확히 기록할 수 있도록, 상반부와 하반부 사이에 규정된 디스크 수납 공간이 충분히 두꺼워야 하기 때문이다. 디스크 수납 공간이 상대적으로 두꺼워야 하는 이유로는, 회전되는 디스크에서 예상되는 디스크의 일탈 또는 요동, 그리고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 사전 결정된 위치에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치시키는 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상기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동시에 폐쇄하기 위한 셔터는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없고, 따라서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카트리지의 하반부에는 헤드용 개구부와, 스핀들 모터 턴테이블용으로 고정용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반부에는 클램퍼용으로 다른 고정용 개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3개의 개구부를 동시에 폐쇄하기 위해서는 셔터가 U 자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으나, 이는 제조하기에 그다지 저렴하지 않다.
셋째,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 내부에 수납되는 디스크는 많은 경우 위치 고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먼지 또는 미세 입자가 부착되고 손상이 생기는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 허브를 갖는 디스크는 불규칙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자기력을 통해 유인되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나, CD 또는 DVD와 같이 허브가 없는 광 디스크는 통상적으로 디스크 카트리지 내부에서 위치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에서 열려 있을 때, 개구부를 통해 카트리지로 먼지가 들어가 디스크상에 부착되기 쉬울 것이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내벽과 접촉할 정도로 디스크가 크게 흔들린 경우라면,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이 손상되거나 미세 입자가 휘저어져 디스크상에 부착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단순화되고 매우 저렴한 셔터를 구비하는 감소된 두께의 디스크 카트리지, 특히 단일면 디스크용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 카트리지 내부에 디스크를 단단히 위치 고정시켜 디스크의 불규칙 운동을 배제시킴으로써 디스크상에 부착되는 먼지를 현저하게 줄이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수납된 디스크의 라벨 면이 보이게 함으로써 양호한 디자인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및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제 1 및 제 2 셔터 위에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셔터의 개폐에 따라 회전한다. 회전 부재는 디스크 지지부와 노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지지부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힘으로써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는 동안 바람직하게는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부와 접촉한다. 노치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헤드용 개구부 안쪽에 위치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지지부에 제공된다. 디스크 수납부는 저부의 외주부를 따라 측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회전 부재의 노치가 위치되는 곳에서 디스크의 외측면이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디스크의 중심이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채로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는 디스크 홀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부재의 디스크 지지부가 디스크의 제 2 면과 접촉하는 영역의 내주부가,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중심을 갖는 원을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의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원의 중심에 대해 정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의 중심과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약 0.5 mm 내지 약 1.5 mm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크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디스크 수납부 측벽 일부는 디스크의 곡률 반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크의 외측면과 접촉하지 않는 디스크 수납부 측벽 타부는 디스크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곡률 반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및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 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제 1 및 제 2 셔터 위에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셔터의 개폐에 따라 회전한다. 회전 부재는 디스크 지지부와 노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지지부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힘으로써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는 동안 바람직하게는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와 접촉한다. 노치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헤드용 개구부 안쪽에 위치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지지부에 제공된다. 디스크 수납부는 저부의 외주부를 따라 측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중 하나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회전 부재의 노치가 위치되는 곳에서 디스크의 외측면이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디스크에 탄성력을 가하고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는 디스크 홀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홀더를 포함하는 제 1 또는 제 2 셔터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탄성력이 디스크에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본체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홀더를 포함하는 제 1 또는 제 2 셔터는 오목부를 규정하는 측벽의 근처에서 탄성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셔터와, 디스크 스토퍼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 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디스크 스토퍼는 아치형 오목 측면을 갖고, 디스크 수납부내에 수납된 디스크 위로 아치형 오목 측면이 돌출하는 제 1 위치에서 아치형 오목 측면이 디스크 위로 위치되지 않는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본체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 스토퍼의 아치형 오목 측면은 디스크 스토퍼의 장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디스크 스토퍼는 카트리지 본체에 대하여 장측면에 직각으로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서, 디스크 스토퍼의 아치형 오목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스토퍼의 장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디스크 스토퍼는 장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샤프트상에서 회전함으로써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 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디스크 스토퍼의 아치형 오목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스토퍼의 장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디스크 스토퍼는 디스크의 제 1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샤프트상에서 회전함으로써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스토퍼의 장측 일 단부 근처에 제공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스토퍼의 장측 타 단부는 카트리지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적어도 하나의 셔터, 연삭 가공 홀, 캡 부재 및 디스크 스토퍼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연삭 가공 홀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본체에 제공된다. 캡 부재 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삭 가공 홀을 폐쇄한다. 디스크 스토퍼는 디스크 수납부내에 수납된 디스크 위로 아치형 오목 측면이 돌출하는 제 1 위치에서 아치형 오목 측면이 디스크 위로 위치되지 않는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본체에 의해 지지된다.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디스크 스토퍼가 연삭 가공 홀로부터 캡 부재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 스토퍼는 디스크의 제 1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샤프트상에서 회전함으로써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스토퍼의 장측 일 단부 근처에 제공된다. 디스크 스토퍼의 회전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연삭 가공 홀의 중심에 대해 정렬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캡 부재는 원주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삭 가공 홀의 내부 측벽에 연결된 커넥터와, 디스크 스토퍼와 결합된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스토퍼는 캡 부재의 볼록부와 결합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상세하게는, 디스크 스토퍼 오목부의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스토퍼의 회전 중심에 대해 정렬된다. 디스크 스토퍼를 회전시킴으로써, 캡 부재가 회전되고, 커넥터는 연결 해제되며, 캡 부재가 연삭 가공 홀로부터 빠져나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회전 부재 및 디스크 홀더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 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제 1 및 제 2 셔터 위에 형성되고, 디스크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 셔터를 열거나 닫는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셔터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의 제 2 면상의 신호 기록 영역과 접촉하지 않도록 디스크 홀더가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디스크의 제 2 면상의 제 2 지점까지의 거리가 Rin이고;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디스크의 제 2 면상의 제 1 지점까지의 거리가 Rout이며; 높이가 S인 공간이 디스크의 제 2 면 아래에 제공될 필요가 있고; 반지름이 Rout인 제 1 원이 디스크의 제 2 면상에 규정되며; 반지름이 (Rout-1.2S)인 제 2 원이, 제 2 면에 평행이고 제 2 면으로부터 0.3S의 거리만큼 이격된 평면상에 규정되고; 반지름이 (Rout-16.2S)인 제 3 원이 제 2 면에 평행이고 제 2 면으로부터 S의 거리만큼 이격된 평면상에 규정된다면, 높이가 S이고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측정된 저부 반지름이 Rin인 원형 주면체(circular cylinder)를 제 1 및 제 2 절두 원추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제 2 지점은 신호 기록 영역의 내주 근처에 규정되고 상기 내주보다 디스크의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제 1 지점은 신호 기록 영역의 외주 근처에 규정되고 상기 외주보다 디스크의 외측 에지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제 1 절두 원추의 저부 및 상부는 제 1 및 제 2 원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반면, 제 2 절두 원추의 저부 및 상부는 제 2 및 제 3 원에 의해 각각 규정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간의 높이(S)는 바람직하게는 1mm이고, 원형 주면체의 저부 반지름(Rin)은 바람직하게는 20mm이며, 제 1 원의 반지름(Rout)은 바람직하게는 59mm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지지부와 노치를 포함한다. 디스크 지지부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힘으로써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는 동안 바람직하게는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와 접촉한다. 노치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헤드용 개구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지지부에 제공된다. 디스크 수납부는 저부의 외주부를 따라 측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홀더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회전 부재의 노치가 위치되는 곳에서 디스크의 외측면이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디스크의 중심이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채로 디스크 를 그 위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 부재의 디스크 지지부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공간을 막지 않는 곳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 부재의 디스크 지지부가 디스크의 제 2 면과 접촉하는 영역의 내주는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중심을 갖는 원을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상세하게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의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원의 중심에 대해 정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의 중심과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약 0.5 mm 내지 약 1.5 mm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회전 부재 및 디스크 홀더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제 1 및 제 2 셔터 위에 형성되고, 디스크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 셔터를 열거나 닫는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셔터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 홀더는 디스크의 제 2 면에 제공된 클램핑 영역과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홀더는 클램핑 영역 주변에 디스크의 제 2 면상에 제공된 돌출 링과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클램핑 영역과도, 클램핑 영역과 중심 홀 사이에 위치되고 중심 홀의 에지로부터 0.1mm 또는 그 이상으로 이격된 영역과도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또는 클램핑 영역과도, 클램핑 영역과 신호 기록 영역 사이에 위치되고 클램핑 영역의 에지로부터 2mm 또는 그 이하로 이격된 영역과도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디스크 홀더는 디스크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및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제 1 및 제 2 셔터 위에 형성되고, 디스크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 셔터를 열거나 닫는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셔터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2개의 분리된 영역에 제 1 및 제 2 쌍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쌍 각각의 접촉부는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고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쌍의 접촉부가 서로 중첩하는 순서는 제 2 쌍의 접촉부가 서로 중첩하는 순서와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셔터는 제 1 쌍의 접촉부 주변에 위치하는 측벽과, 제 3 쌍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쌍의 접촉부는 측벽부 위쪽에서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고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또는 제 2 셔터에 있어 제 3 쌍의 2개의 접촉부중 하나와 제 1 쌍의 2개의 접촉부중 하나는, 제 2 또는 제 1 셔터에 있어 제 3 쌍의 접촉부중 다른 하나 및 제 1 쌍의 접촉부중 다른 하나와 서로 접촉하고 샌드위치 구조가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및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 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제 1 및 제 2 셔터 위에 형성되고, 디스크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 셔터를 열거나 닫는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셔터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닫힌 제 1 및 제 2 셔터는 디스크의 중심 홀에 대응하는 영역에 홀을 규정하기 위해 서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중 한 셔터의 접촉부가 바람직하게는 홀 주위에 볼록부를 포함하는 반면, 다른 셔터의 접촉부는 바람직하게는 홀 주위에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및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 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제 1 및 제 2 셔터 위에 형성되고, 디스크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 셔터를 열거나 닫는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셔터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의 외측면 및 그 주변부와 접촉하고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는 다수의 디스크 홀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홀더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홀더와 접촉하는 측벽으로서,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홀더가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홀더와 접촉하는 측벽을 회전 부재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및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 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제 1 및 제 2 셔터 위에 형성되고, 디스크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 셔터를 열거나 닫는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셔터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림을 포함하는데, 상기 림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에 대향되는 그들의 배면상에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림을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및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제 1 및 제 2 셔터 위에 형성되고, 디스크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 셔터를 열거나 닫는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셔터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본체는, 제 1 및 제 2 디스크 스토퍼 각각이 카트리지 본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 1 또는 제 2 디스크 스토퍼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디스크 스토퍼는, 디스크 수납부 내부에 수납된 디스크 위로 제 1 디스크 스토퍼가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제 1 위치에서 제 1 디스크 스토퍼가 디스크 위로 돌출하지 않는 제 2 위치로, 혹은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디스크 스토퍼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제 1 셔터, 제 2 셔터 및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윈도우와 저부를 포함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디스크의 제 1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납한다. 고정용 개구부는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용 개구부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호를 디스크의 제 2 면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제 2 면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제 2 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의 저부상에 형성된다. 회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제 1 및 제 2 셔터 위에 형성되고, 디스크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 셔터를 열거나 닫는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셔터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셔터는 회전 부재와 디스크 수납부 저부 사이에 샌드위치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본체는 디스크 수납부 저부상에 제 1 및 제 2 셔터의 두께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융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전술된 모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로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신호를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로부터 판독 및/또는 디스크상에 기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수단, 헤드, 지지 구조체 및 셔터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구동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디스크를 회전시킨다. 헤드는 신호를 디스크로부터 판독 및/또는 디스크상에 기록한다. 지지 구조체는 그 내부에 디스크를 수납하는 전술된 모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동 수단에 대해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 개폐 장치는 디스크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열고 디스크 홀더로부터 디스크가 해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 드라이브는 구동 수단에 디스크를 적재하기 위한 클램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전 결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결정 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타 형상, 구성 요소, 공정, 단계,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 및 주변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디스크 홀더 및 주변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려 있고 위치결정 핀이 위치결정 홀내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 및 주변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디스크 홀더 및 주변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로부터 디스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로부터 디스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로부터 디스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의 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에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에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에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상부 쉘과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상부 쉘과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은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9는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부분 단면도,
도 30은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1은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내의 셔터 개폐 장치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32는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스토퍼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3은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부 면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7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부분 단면도,
도 39는 도 3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부분 단면도,
도 40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디스크 외주 둘레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1은 도 3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디스크 외주 둘레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0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44는 도 4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5는 도 4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6은 도 4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디스크 외주 둘레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7은 도 4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디스크 외주 둘레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8은 도 4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디스크 외주 둘레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9는 도 4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디스크 외주 둘레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1은 도 50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52는 도 50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3은 도 50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4는 도 50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디스크 외주 둘레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5는 도 50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디스크 외주 둘레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 분 단면도,
도 56은 도 50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7은 도 50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내의 셔터 개폐 장치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5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9는 도 5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부분 단면도,
도 60은 도 5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1은 도 5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본 부분 단면도,
도 62는 셔터가 닫힌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도 5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3은 셔터가 열린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가 제거된, 도 5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4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5는 도 6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66은 도 6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개 략 평면도,
도 67은 도 6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8은 도 6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 록 장치의 상세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9는 도 6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의 상세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0은 도 6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2개의 셔터 사이의 1쌍의 접촉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1은 도 6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2개의 셔터 사이의 다른 1쌍의 접촉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2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3은 도 7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4는 도 7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 및 그 주변 부재를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75는 도 7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 및 그 주변부를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76은 도 7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 및 그 주변 부재를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77은 도 7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78은 도 7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79는 도 7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 78의 B-B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0은 도 7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 78의 C-C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1은 도 7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 77의 A-A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2는 디스크 지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3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84는 도 8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85는 도 8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86은 도 8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 84의 D-D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7은 도 8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 85의 E-E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9는 도 8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90은 도 8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1은 도 8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2는 도 8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에 있어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3은 도 9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7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5는 도 9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96은 도 9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7은 도 9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8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9는 도 9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100은 도 9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01은 도 98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0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9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103은 도 10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 및 그 주변 부재를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0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105는 상부 쉘이 제거된, 도 10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6은 도 10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 105의 F-F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7은 도 10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셔터 및 회전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8은 도 10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 107의 G-G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9는 도 10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열린 상태에서의 셔터 및 회전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0은 도 10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 109의 H-H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1은 도 10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보호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2는 도 111에 도시된 보호 부재가 상부 쉘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3은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보호 부재의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4는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보호 부재의 중심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5는 셔터가 열린 상태에서의 보호 부재의 중심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6은 셔터가 열린 상태에서의 보호 부재의 중심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7은 도 10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18은 도 10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120은 도 1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연삭 가공 홀 및 그 주변 부재를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1은 도 1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122는 도 1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 디스크 스토퍼의 샤프트 주변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121의 J-J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3은 도 1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 디스크 스토퍼의 걸쇠부 주변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121의 J-J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4는 도 1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121의 K-K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5는 도 1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스토퍼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6은 도 1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 디스크 스토퍼의 샤프트 주변의 각 부분을 도시하는, 도 125의 J-J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7은 도 1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 디스크 스토퍼의 걸쇠부 주변의 각 부분을 도시하는, 도 125의 J-J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8 및 도 129는 도 1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0 및 도 131은 도 119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또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133은 도 132의 L-L 선에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34는 도 132의 L-L 선에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부를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5는 도 13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부를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36 및 도 137은 도 132의 L-L 선에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또 다른 일부를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용의 디스크 아래에 제공되는 공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9는 디스크의 휨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0은 디스크 아래 제공되는 다른 예시적 공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1은 디스크 아래 제공되는 또 다른 예시적 공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3은 도 142에 도시된 P-P 선에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44는 도 14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145는 도 14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146A 및 도 146B는 도 145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1 및 제 2 셔터를 도시하는, 각각 N-N 선 및 O-O 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7은 도 145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1 및 제 2 셔터의 각 부분을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8은 도 145에 도시된 M-M 선에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49는 도 145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1 및 제 2 셔터의 각 부분 을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0은 도 145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4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주요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
실시예 1
이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1)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수납된 디스크(100)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301)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카트리지(301)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아래에서 본 디스크 카트리지(30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디스크 카트리지(301)의 각 부품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크(100)는 제 1 및 제 2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방법으로 라벨이 인쇄된 디스크(100)의 제 1 면은 도 1에 도시되며, 제 2 면, 즉 신호기록면(100A)은 도 3에 배면으로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1)는 하부 쉘(11), 상부 쉘(12), 디스크 홀더(13, 14) 및 셔터(21)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쉘(11)은 고정용 개구부(11c)와 헤드용 개구부(11h)를 포함한다. 고정용 개구부(11c)를 통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가 외부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301)에 들어간다. 신호를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신호기록면(100A)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11h)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01)에 들어가 디스크(100)상의 목표 위치를 액세스한다. 하부 쉘(11)은 또한 2개의 위치결정 홀(11w)을 포함하는데, 상기 위치결정 홀(11w)은 디스크 드라이브(도시하지 않음)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핀(210)과 결합함으로써 디스크 카트리지(301)를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 사전 결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하부 쉘(11)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대면한다.
상부 쉘(12)은 원형 디스크 윈도우(12w)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01)내로 인입되고 디스크 카트리지(30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윈도우(12w)는 디스크(100)의 상부 면을 드러내도록 디스크(100)의 전체 투영 영역 위로 확장된다. 상부 및 하부 쉘(12, 11)은 외주에서 서로 점착되거나 용착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10)를 형성한다.
디스크(100)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수납부(10d)(도 1 참조)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 및 내측면(12i)에 의해 규정된다. 내하면(11u)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대향되는 반면, 내측면(12i)은 실질적으로 주면체(cylinder) 형상이고 안쪽에 디스크 윈도우(12w)를 규정한다. 즉, 내하면(11u)은 디스크 수납부(10d)의 저부이다. 디스크(100) 신호기록면(100A)의 손상 또는 먼지 부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내하면(11u)은 보호층(11p)으로 덮여 있다.
보호층(11p)은 손상 방지용 부직포, 방진용 부직포, 손상 방지용 코팅층 및 방진용 코팅층중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호층(11p)으로서 방진용 부직포 시트를 내하면(11u)에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시키고 있다.
디스크 수납부(10d)에서, 내측면(12i)과 디스크(100)의 외주 사이에는 디스크(1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정도로 넓은 간극이 제공된다. 또한, 디스크 수납부(10d)의 상부는 디스크 윈도우(12w)이고, 이로써 디스크 수납부(10d)에 수납된 디스크(100)의 면중 하나가 디스크 윈도우(12w)내에서 노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1)는 동일 형상을 갖는 2개의 디스크 홀더(13)를 포함한다. 각 디스크 홀더(13)는 1쌍의 탄성부(13d)와, 디스크 홀더(13)를 비스듬하게 관통하는 홀(13w)을 포함한다. 디스크 홀더(13)의 탄성부(13d)가 상부 및 하부 쉘(12, 11) 사이에 샌드위치 구조로 개재될 때, 도 3의 화살표(13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 홀더(13)의 각 안쪽 단부에 탄성력이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는 내하면(11u)에 대해 가압된다. 또한, 이러한 2개의 디스크 홀더(13)는 포함하는 홀(13w)이 실질적으로 위치결정 홀(11w) 위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다른 디스크 홀더(14)는 샤프트(14s)와 2개의 탄성부(14d)를 포함한다. 디스크 홀더(14)는 샤프트(14s)상에서 회전하도록 카트리지 본체(10)에 고정된다. 디스크 홀더(14)의 탄성부(14d)가 상부 및 하부 쉘(12, 11) 사이에 샌드위치 구조로 개재될 때, 도 1의 화살표(14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 홀더(13)의 각 안 쪽 단부에 탄성력이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는 내하면(11u)에 대해 가압된다.
셔터(21)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대면하도록 바깥쪽에서 하부 쉘(11)과 정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가 화살표(21A 또는 21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될 때, 고정용 개구부(11c)와 헤드용 개구부(11h)가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셔터(21)가 닫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셔터(21)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셔터 스프링(31)이 셔터(21)와 카트리지 본체(10) 사이에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된 디스크(100)의 내용이 적힐 수 있는 라벨 면 또는 오목부(10f)는 카트리지 본체(10)의 저부[즉, 하부 쉘(11)]상에 제공된다. 역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우측 및 좌측상에 제공되는 1쌍의 오목부(10c)는, 디스크 카트리지(301)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인입되어 로딩될 때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301)가 교환기내에 수납될 때, 인입 노치 또는 위치결정 오목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오목부(10g)는 오목부(10c)중 하나의 근처에 제공된다. 이 오목부(10g)는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301)를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이 오목부(10g)는 디스크 카트리지(301)가 올바른 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만 디스크 드라이브용 볼록부와 정확히 정합된다.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301)를 디스크 드라이브에 뒤집어서 혹은 틀린 쪽으로 돌려 삽입하려 한다면, 이러한 오목부와 볼록부는 절대로 상호 정합되지 않고, 이로써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301)를 틀린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디스크 홀더(13, 14)가 그 위에 디스크(100)를 유지하는 방식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100)가 디스크 홀더(13)상에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디스크 (100)가 디스크 홀더(14)상에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모두 디스크의 반경 방향을 따라 취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13, 14)는 그 각 단부에,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일부 위로[즉, 디스크(100)의 외주 위로] 확장된 경사면(13', 14')을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화살표(13B 또는 14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탄성부(13d 또는 14d)로부터 디스크 홀더(13 또는 14)로 탄성력이 가해진다. 그런 상황에서, 경사면(13' 또는 14')은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100c)와 접촉하고, 이로써 디스크(100)를 파지하고 디스크의 두께 방향(100t)으로 디스크(100)에 압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이 시트(11p)와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크(100)가 카트리지 본체(10) 내부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100) 신호기록면(100A)의 외주는 시트(11p)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신호기록면(100A)상에는 먼지가 부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디스크 홀더(13, 14)로부터 디스크(100)가 해제되는 방식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상부 쉘(12)과 디스크(100)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301)의 하부 쉘(1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는 화살표(21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 드라이브의 셔터 열림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압되는 L자 형상부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이제 고정용 개구부(11c)와 헤드용 개구부(11h)가 개방된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핀(210)이 카트리지 본체(10)의 위치결정 홀(11w)과 결합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태의 디스크 홀더(13)를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상태의 디스크 홀더(14) 및 셔터(21)를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드라이브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핀(210)이 하부 쉘(11)의 위치결정 홀(11w)내로 삽입될 때, 카트리지 위치결정 핀(210)은 디스크 홀더(13)의 경사진 홀(13w)과 결합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홀더(13)가 화살표(13A)로 표시된 방향으로 상승되고, 디스크(100)는 경사면(13')의 파지로부터 해제되어 이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이 때, 디스크 홀더(13)의 림(13e)은 여전히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일부 위에[즉, 디스크(100)의 외주 위에] 걸쳐 있다. 따라서, 수직 로딩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에 로딩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01)내에서 디스크(100)가 해제되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301)로부터 디스크(100)가 빠져 낙하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셔터(21)가 열릴 때에는 셔터(21)에 제공된 가이드 림(21x)이 디스크 홀더(14)의 오목부(14w)로 들어가고, 이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4w) 의 바닥을 들어올린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홀더(14)는 화살표(14A)로 표시된 방향으로 상승되고, 디스크(100)는 경사면(14')으로부터 해제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때, 디스크 홀더(14)의 림(14e)은 여전히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일부 위에[즉, 디스크(100)의 외주 위에] 걸쳐 있다. 따라서, 수직 로딩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에 로딩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01)내에서 디스크(100)가 해제되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301)로부터 디스크(100)가 빠져 낙하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의도적으로 디스크(100)를 제거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디스크(100)를 3개의 홀더(13, 14)로부터 동시에 해제되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100)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셔터(21)가 닫힐 때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대향되는 셔터(21)의 단부(21r)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또는 먼지 청소기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로써 셔터(21)가 열리거나 닫힐 때마다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으로부터 먼지가 제거된다. 선택 사항으로, 디스크 카트리지(301)는,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13, 14)상에 실릴 때 디스크 홀더(13, 14)를 카트리지 본체(10)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2)가 설명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에 의해 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302)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로부터 해제된 디스크 카트리지(302)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2)는 디스크 홀더의 구조 및 기능에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1)와 구별된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15A 또는 15B) 방향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2쌍의 디스크 홀더(15, 16)를 포함한다.
디스크 홀더(15) 각각은 탄성부(15d)를 포함하는데, 상기 탄성부(15d)는 화살표(15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 홀더(15)에 탄성력을 가한다.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디스크 홀더(13, 14)에서처럼, 각 디스크 홀더(15)의 단부에 제공된 경사면(15')이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대해 가압하고 고정시킨다.
디스크 홀더(16) 각각은 샤프트(16c)를 포함한다. 즉, 디스크 홀더(16)는 샤프트(16c)상에서 회전하도록 카트리지 본체(10)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디스크 홀더(13, 14)에서처럼, 각 디스크 홀더(16)의 단부에 제공된 경사면(16')이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대해 가압하고 고정시킨다. 디스크 홀더(15) 각각은 결합 핀(15p)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결합 핀(15p)은 대응되는 디스크 홀더(16)의 홈(16g)과 결합되고 연동된다.
디스크 드라이브의 2개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핀(210)이 카트리지 본체(10)의 위치결정 홀(11w)과 결합될 때, 디스크 홀더(15)의 각 돌기부(15s)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핀(210)에 의해 밀려 상승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홀더(15)는 화살표(15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디스크(100)가 경사면(15')의 파지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이 동안, 디스크 홀더(15)는 화살표(15A) 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화살표(16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는 경사면(16')의 파지로부터도 해제되게 된다.
실시예 3
이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3)가 설명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에 의해 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303)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로부터 해제된 디스크 카트리지(303)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3)는 디스크 홀더의 구조 및 기능에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1)와 구별된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17A 및 17B)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받는 2쌍의 디스크 홀더(17, 18)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크 홀더(17, 18)는 카트리지 본체(10)와 함께 성형됨으로써 카 트리지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된다.
디스크 홀더(17) 각각은 탄성부(17d)를 포함하는데, 상기 탄성부(17d)는 화살표(17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 홀더(17)에 탄성력을 가한다.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디스크 홀더(13, 14)에서처럼, 각 디스크 홀더(17)의 단부에 제공된 경사면(17')이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대해 가압하고 고정시킨다.
디스크 홀더(18) 각각 역시 탄성부(18d)를 포함하는데, 상기 탄성부(18d)는 화살표(18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 홀더(18)에 탄성력을 가한다. 각 디스크 홀더(18)의 단부에 제공된 경사면(18') 역시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대해 가압하고 고정시킨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303)가 디스크 드라이브(200)내로 삽입될 때, 디스크 드라이브(200)에 제공된 1쌍의 디스크 해제 핀(217)이 디스크 홀더(17)의 돌기부(17s)에 압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17)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동시에, 역시 디스크 드라이브(200)에 제공된 다른 1쌍의 디스크 해제 핀(218)이 디스크 홀더(18)의 측면(18s)과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18)로부터도 해제된다.
실시예 4
이후,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4)가 설명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에 의해 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304)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로부터 해제된 디스크 카트리지(304)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4)는 디스크 홀더의 구조 및 기능에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1)와 구별된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4)는 링 형상 디스크 홀더(19)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19)는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인 링 형상 탄성 부재이고 그 형상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힘이 전혀 가해지지 않을 때, 디스크 홀더(19)는 타원형 평면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외력을 가함으로써, 디스크 홀더(19)가 실질적으로 완전한 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 홀더(19)의 내경은 디스크(100)의 직경보다 크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디스크 홀더(19)는 디스크(100)와 다수의 지점에서 접촉하고, 이로써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상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 디스크 카트리지(304)가 디스크 드라이브(200)내로 삽입될 때, 디스크 드라이브(200)에 제공된 볼록부(219)가 타원형 디스크 홀더(19)의 주요 축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19)를 변형시킨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홀더(19)는 대략 완전한 원형으로 변형되어 더 이상 디스크(100)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19)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디스크 홀더(19)로부터 디스크(100)가 해제되게 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홀더(19)를 변형시키는 힘이 디스크 드라이브(200)의 볼록부로부터 디스크 홀더(19)에 가해질 수도 있는데, 상기 볼록부는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를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오목부(10g)(도 2 참조)와 결합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힘은 디스크 드라이브(200)의 1쌍의 볼록부로부터 디스크 홀더(19)에 가해질 수도 있는데, 상기 1쌍의 볼록부는 디스크 카트리지(304)를 인입시키기 위해 디스크 카트리지(304)의 우측 및 좌측상에 제공되는 오목부(10c)(도 2 참조)와 결합한다.
실시예 5
이후,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5)가 설명될 것이다. 도 15와 도 17은 상부 쉘이 제거된 상태인,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5)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셔터(21)가 개구부(11h, 11c)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7은 셔터(21)가 개구부(11h, 11c)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8은 셔터(21)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15 내지 도 18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5)는, 디스크 유지 및 해제 작용과 개방 및 폐쇄 작용이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를 통해 각각 디스크 홀더(43) 및 셔터(21)에 의해 동기에 수행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는, 도 15 및 도 17에 화살표(44A)로 표시된 것처럼 하부 쉘(11)의 고정용 개구부(11c) 둘레로 회전 및 미끄럼 운동하도록 내하면(11u) 위에 제공된다.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는 부채꼴(fan) 형상, 또는 고정용 개구부(11c)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부분적으로 노치된 링의 형상을 갖는다.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는 하부 쉘(11)을 향해(즉, 도 15 및 도 17의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47)을 포함한다. 하부 쉘(11)과 셔터(21)에는 핀(47)과 모두 결합하는 가이드 홈(11m, 21m)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외측 상방으로(즉, 도 15 및 도 17의 지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기부(45)가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의 외주상에 제공된다. 또한,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의 상면은 디스크(100) 신호기록면(100A)의 손상 또는 먼지 부착을 방지하도록 부직포 또는 코팅층으로 덮인다.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05)에 수납될 때 디스크를 그 위에 유지하도록 다수의 디스크 홀더(43)가 내하면(11u)상에 사전 결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디스크 홀더(43)가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2개, 4개, 도는 그 이상의 디스크 홀더(43)가 제공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던지, 그러한 디스크 홀더(43) 각각은 샤프트(43A)상에서 회전하도록 하부 쉘(11)에 고정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43) 각각은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의 외주와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탄성부(14d)와 같은 탄성부(도 16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각 디스크 홀더(43)에 하방으로[즉, 하부 쉘(11)을 향해] 힘을 가한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43)의 경사면(43')은,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와 접촉하는 동안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와 접촉하게 되도록 도 16에서 화살표(43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100)에 압력을 가할 뿐만 아니라, 그 위에 디스크(100)를 유지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305)가 화살표(1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 드라이브(200)내로 삽입될 때, 디스크 드라이브(200)에 제공된 셔터 개폐기(도시하지 않음)가 화살표(21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셔터(21)를 움직임으로써 셔터(21)를 연다. 셔터(21)가 화살표(21A)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때, 셔터(21)의 가이드 홈(21m)과 결합된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의 핀(47)에 화살표(21A) 방향으로 역시 힘이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핀(47)은 하부 쉘(11)의 가이드 홈(11m)을 따라 이동되고,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는 고정용 개구부(11c) 둘레를 화살표(44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가이드 홈(11m)은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가 셔터(21)와 함께 움직이도록 대략 셔터(21)가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21)가 완전히 열리면,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의 외주상의 돌기부(45)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43)의 아래에 위치된다. 이어 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43)가 돌기부(45)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디스크 홀더(43)의 경사면(43')은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로부터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화살표(43B)에 의해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100)에 가해지던 힘이 디스크(100)로부터 제거되어 디스크(100)는 이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이 때, 디스크 홀더(43) 단부의 림(43e)은 여전히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일부 위에[즉, 디스크(100)의 외주 위에] 걸쳐 있다. 따라서, 수직 로딩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에 로딩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05)내에서 디스크(100)가 해제되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305)로부터 디스크(100)가 빠져 낙하하지는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5)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305)가 디스크 드라이브(200)내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디스크(100)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21)가 수동으로 열린다면, 디스크 홀더(43)는 셔터(21)의 움직임과 동기에 디스크(100)를 해제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라도 원하지 않는 디스크를 카트리지(305)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디스크를 카트리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이후,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6)가 설명될 것이다. 도 19와 도 20은 상부 쉘이 제거된 상태인,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6)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9는 셔터가 헤드용 개구부(11h)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0은 셔터(21)가 개구부(11h)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9 및 도 20 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 또는 제 5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6)는, 셔터(46)가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5)의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44) 및 셔터(21)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셔터(46)는, 도 19 및 도 20에 화살표(46B)로 표시된 것처럼 하부 쉘(11)의 고정용 개구부(11c) 둘레로 회전 및 미끄럼 운동하도록 내하면(11u) 위에 제공된다. 셔터(46)는 부채꼴(fan) 형상, 또는 고정용 개구부(11c)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부분적으로 노치된 링의 형상을 갖는다.
셔터(46)는 하부 쉘(11)을 향해(즉, 도 19 및 도 20의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46p)을 포함한다. 하부 쉘(11)에는 핀(46p)과 결합하는 가이드 홈(11m)이 구비된다. 핀(46p)이 가이드 홈(11m)의 한 쪽 단부에 배치될 때, 헤드용 개구부(11h)가 셔터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핀(46p)이 가이드 홈(11m)의 다른 쪽 단부에 배치될 때, 헤드용 개구부(11h)가 셔터에 의해 개방된다. 가이드 홈(11m)은 고정용 개구부(11c)와 동심인 원호의 일부를 따라 제공된다. 가이드 홈(11m)은 대략 디스크 카트리지(306)가 디스크 드라이브(200)내로 삽입되는 방향(1A)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디스크 카트리지(306)가 디스크 드라이브(200)내로 삽입됨에 따라 셔터(46)가 열린다.
외측 상방으로(즉, 도 19 및 도 20의 지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기부(46c)가 셔터(46)의 외주상에 제공된다. 또한, 셔터(46)의 상면 은 디스크(100) 신호기록면(100A)의 손상 또는 먼지 부착을 방지하도록 부직포 또는 코팅층으로 덮인다.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의 디스크 홀더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다수의 디스크 홀더(43)가 내하면(11u)상에 사전 결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셔터(46)의 돌기부(46c)와 디스크 홀더(43)는 함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셔터(46)의 움직임과 동기에 디스크를 유지하거나 해제한다.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6)가 도 19에서 화살표(1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 드라이브(200)내로 삽입될 때, 셔터(46)의 핀(46p)이 곧 디스크 드라이브(200)에 제공된 접촉 부재(201)와 접촉할 것이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306)가 디스크 드라이브(200)내로 좀더 깊게 삽입되면, 핀(46p)은 접촉 부재(401)에 의해 가압되어 가이드 홈(11m)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어서, 셔터(46)가 도 19에서 화살표(46B)로 표시된 방향으로 하부 쉘(11)의 고정용 개구부(11c) 둘레를 회전하기 시작한다. 셔터(46)가 상기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헤드용 개구부(11h)가 조금씩 개방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6)가 디스크 드라이브(200)내로 완전히 삽입되었다면, 핀(46p)이 가이드 홈(11m)의 다른 쪽 단부에 도달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헤드용 개구부(11h)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 때,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셔터(46)의 외주상의 돌기부(46c)는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 홀더(43)의 아래에 위치된다. 이어서, 돌기부(46c)에 의해 디스크 홀더(43)가 상부 쉘(12)을 향해(즉, 도 20의 지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을 따라) 밀어 올려진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홀더(43)에 의해 유지되던 디스크(100)는 해제되어 이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6)에서는 디스크 홀더/셔터 연동 부재가 필요 없다. 따라서,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5)에 비해, 디스크 카트리지(306)가 좀더 얇을 수 있다. 또한, 핀(46p)이 가이드 홈(11m)을 따라 수동에 의해 이동된다면, 셔터(46)가 열릴 수 있고 디스크가 디스크 홀더(43)로부터 해제되어 제거될 수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서, 셔터(46)는 카트리지(306)의 상부 쉘 위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가이드 홈(11m)이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면 셔터(406)는 반시계 방향으로도 회전될 수 있다.
실시예 7
이후,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7)가 설명될 것이다. 도 21과 도 22는 상부 쉘이 제거된 상태인,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7)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1은 셔터가 헤드용 개구부(11h)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2는 셔터(21)가 개구부(11h)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1 및 도 22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3 실시예 또는 제 6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7)는 디스크 홀더의 구조에서 바 람직한 제 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6)와 구별된다. 구체적으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7)는 다수의 디스크 홀더(17)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의 디스크 홀더처럼, 이러한 디스크 홀더(17) 각각 역시 탄성부(17d)를 포함한다. 셔터(46)가 닫히려는 동안, 탄성부(17d)는 적재된 디스크(100)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도 21에서 화살표(17R)로 표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를 그 중심을 향해 가압하고 유지한다. 대안적으로, 디스크 홀더(17)는 하부 쉘(11)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반경 방향으로 취한 경우, 이러한 디스크 홀더(17) 각각 역시 도 18에 도시된 디스크 홀더(43)처럼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일부 위로[즉, 디스크(100)의 외주 위에] 확장된 경사면을 갖는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가 디스크 홀더(17)의 각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디스크 홀더(17)에 의해 디스크(100)가 유지되게 한다면, 디스크(100)는 셔터(46)에 대해 가압될 것이다.
셔터(46)는 그 외주상에 다수의 돌기부(46c)를 포함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부(46c)는 외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돌기부(46c)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6)가 열릴 때 디스크 홀더(17)의 탄성부(17d)와 접촉하도록 셔터(46)의 외주 상에 위치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6)가 열릴 때, 돌기부(46c)는 탄성부(17d)가 가하는 안쪽 방향 탄성력을 제압함으로써 화살표(17S)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7d)를 외측으로 민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는 해제된다. 한편, 디스크 홀더(17) 각각 역시 그 단부에 림(17e)을 포함한다. 디스크(100)가 해제된 후라도, 림(17e)은 여전히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위에 걸쳐 있다. 따라서, 수직 로딩 디스크 드라이브(200) 내부에 로딩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05)내에서 디스크(100)가 해제되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307)로부터 디스크(100)가 빠져 낙하하지는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7)는 전술된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의 모든 효과를 획득한다. 또한, 본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홀더(17)는 하부 쉘(11)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는 단순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낮은 제조 비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8
이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8)가 설명될 것이다.
먼저, 디스크 카트리지(308)의 구조가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될 것이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처럼,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디스크(100) 역시 제 1 및 제 2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방법으로 라벨이 인쇄된 디스크(100)의 제 1 면은 도 23에 도시되며, 제 2 면, 즉 신호기록면(100A)은 도 24에 배면으로 도시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8)는 하부 쉘(11), 상부 쉘(12), 한 쌍의 셔터(21) 및 디스크 스토퍼(23)를 포함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쉘(11)은 고정용 개구부(11c)와 헤드용 개구부(11h)를 포함한다. 고정용 개구부(11c)를 통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가 외부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308)에 들어간다. 신호를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신호기록면(100A)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11h)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08)에 들어가 디스크(100)상의 목표 위치를 액세스한다. 하부 쉘(11)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대면한다. 또한, 헤드용 개구부(11h)는 하부 쉘(11)의 일 측면까지 도달한다.
상부 쉘(12)은 원형 디스크 윈도우(12w)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08)내로 인입되고 디스크 카트리지(30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윈도우(12w)는 디스크(100)의 상부 면을 드러내도록 디스크(100)의 전체 투영 영역 위로 확장된다. 상부 및 하부 쉘(12, 11)은 외주에서 서로 점착되거나 용착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10)를 형성한다.
디스크(100)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수납부(10d)(도 1 참조)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 및 내측면(12i)에 의해 규정된다. 내하면(11u)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대향되는 반면, 내측면(12i)은 실질적으로 주면체(cylinder) 형상이고 안쪽에 디스크 윈도우(12w)를 규정한다. 즉, 내하면(11u)은 디스크 수납부(10d)의 저부이다.
디스크 수납부(10d)에서, 내측면(12i)과 디스크(100)의 외주 사이에는 디스크(1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정도로 넓은 간극이 제공된다. 또한, 내측면(12i)은 디스크(100)가 회전되는 동안 디스크(100)의 모든 부분이 디스크 수납부(10d)내에 수납될 정도로 높다. 디스크 수납부(10d)의 상부는 디스크 윈도우(12w)이고, 이로 써 디스크 수납부(10d)에 수납된 디스크(100)의 면중 하나가 디스크 윈도우(12w)내에서 노출된다.
2개의 탈착 가능한 디스크 스토퍼(23)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상부 쉘(12)에 제공된다. 제 3 디스크 스토퍼(12s)가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상부 쉘(12)에 더 제공된다. 그러나 제 3 디스크 스토퍼(12s)는 상부 쉘(12)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3개의 디스크 스토퍼(23, 12s)는 셔터(21, 22)가 개폐되는 동안 디스크(100)가 디스크 윈도우(12w)로부터 떨어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디스크 윈도우(12w) 원주 둘레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디스크 스토퍼(23, 12s)는 디스크 카트리지(308)가 수직 로딩 디스크 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경우 특히 효과적이다.
셔터(21, 22)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 사이에 위치된다. 셔터(21, 22)는 각각 샤프트 홀(21u, 22u)을 포함한다. 이러한 샤프트 홀(21u, 22u)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샤프트(11s)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1s)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디스크 수납부(10d) 바깥쪽에, 헤드용 개구부(11h)에 대향하는 카트리지 본체(10) 깊숙한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셔터(21, 22)는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방식으로 샤프트(11s)상에서 회전한다.
캠(21c)과 종동부(22c)가 셔터(21, 22)의 샤프트 홀(21u, 22u) 근처에 각각 제공된다. 캠(21c)과 종동부(22c)는 상호 결합하는 형상을 가지며, 셔터(21, 22) 를 상호 연동시킨 채 닫거나 열기 위한 연동 장치(20c)를 함께 구성한다.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대향하는 셔터(21, 22)의 각 상면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의 손상 또는 먼지 부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보호층(21p, 22p)에 의해 덮여 있다.
보호층(11p)은 손상 방지용 부직포, 방진용 부직포, 손상 방지용 코팅층 및 방진용 코팅층중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호층(21p, 22p)으로서 방진용 부직포 시트를 각각 셔터(21, 22)에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시키고 있다.
셔터 스프링(31, 32)이 셔터(21, 22)용으로 디스크 수납부(10d) 바깥쪽에 각각 제공된다. 이러한 스프링(31, 32)은 셔터(21, 22)가 닫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셔터(21, 22)에 탄성력을 가한다. 선택적으로, 탄성력은 다른 형태의 탄성 부재로부터 상기 방향으로 셔터(21, 22)에 가해질 수도 있다.
도 24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308)에서, 셔터(21, 22)는 그 양쪽 단부에 2개의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를 각각 포함한다.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 각각은 셔터(21, 22)가 닫혀진 동안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를 파지하도록 하방으로 테이퍼진 단면 형상(혹은 경사면)을 갖는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또는 상부 쉘(12)]의 상면은 수납된 디스크(100)의 내용이 적힐 수 있는 라벨 평면(10f)과, 디스크 카트리지(308)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삽입되어야 할 방향[화살표(1A)]을 표시하는 엠보싱된 화살표 마크(또는 오목부)(10a)를 갖는다. 카트리지 본체(10)는 디스크 카트리지(308)가 삽입되는 화살표(1A) 방향과 평행한 2개의 측면상에 2개의 오목부(10c)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오목부(10c)는, 디스크 카트리지(308)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인입되어 로딩될 때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308)가 디스크 교환기내에 수납될 때, 인입 노치 또는 위치결정 오목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5는 셔터(21, 2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폐쇄한 상태를 보이기 위해 상부 쉘(12) 및 디스크(100)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308)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에서, 셔터(21, 22)의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는 디스크(100)(도 25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의 외측 에지를 파지하는 지점에 위치된다.
도 26은 셔터(21, 2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개방한 상태를 보이기 위해 상부 쉘(12) 및 디스크(100)가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308)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셔터(21, 22)가 샤프트 홀(21u, 22u)상에서 각각 회전한 결과로, 이제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가 개방된다. 또한, 셔터(21, 22)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 역시 샤프트 홀(21u, 22u)상에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가 이제 디스크(100)(도 26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의 외측 에지로부터 분리된다.
도 27은 셔터(21, 2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폐쇄한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100)가 아직 적재되지 않은 디스크 카트리지(308)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는 디스크 수납부(10d)내로 돌출한다. 따라서, 디스크(100)는 디스크 카트리지(308) 에 수납될 때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에 의해 유지된다. 한편, 도 28은 셔터(21, 2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개방한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100)가 아직 적재되지 않은 디스크 카트리지(308)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열려 있는 동안,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디스크 수납부(10d)의 외측에 수납된다.
다음으로,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셔터(21, 22)의 구조 및 작용이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9는 디스크(100)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08)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내측면(12i)은 셔터(21, 22)의 열림 및 닫힘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노치부(10w)를 구비한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10)는 열린 상태의 셔터(21, 22) 일부를 수납하기 위한 셔터 수납부(10s)를 더 포함한다. 또한,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 위에서 상호 접촉하는, 셔터(21, 22)의 에지부(21f, 22f)만이라도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즉, 디스크(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한다.
한편,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 각각은,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위에 걸치며 디스크(100)의 외주와 중첩하는 경사면(21a, 21b')(22a', 22b')을 포함한다. 즉, 경사면(21a, 21b')(22a', 22b')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테이퍼진 단면을 갖고 디스크(100)를 향해 기울어진다.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가 셔터(21, 22)에 의해 폐쇄된 동안, 경사면(21a, 21b')(22a', 22b')은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100c)와 접촉하도록 허 용됨으로써 그 위에 디스크(100)를 파지하고 두께 방향(100t)을 따라 디스크(100)에 압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셔터(21, 22)의 시트(21p, 22p)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접촉하고, 디스크(100)는 카트리지 본체(10)내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은 시트(21p, 22p)와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기록면(100A)상에는 먼지가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크(100)의 노출된 쪽이 수동으로 회전되거나, 셔터(21, 22)가 의도적으로 열리거나 닫힌다면,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상에 붙어 있던 먼지, 손자국, 또는 기타 모든 오염물이 닦여 제거될 것이다.
또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는 셔터 개폐 장치(21t), 탄성부(21v) 및 록 돌기부(21k)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21t, 21v, 21k)은 셔터(21)에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셔터 개폐기(21t)는 셔터(21)를 외부에서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록 돌기부(21k)는 탄성부(21v)를 통해 셔터(21)에 연결된다. 셔터(21)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폐쇄하고 있는 동안, 탄성부(21v)로부터 탄성력을 받는 록 돌기부(21k)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록 홀(10k)과 결합함으로써,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의 회전을 방지하고 셔터(21)를 카트리지 본체(10)에 고정시킨다. 셔터(21)가 고정되면, 연동 장치(21c)를 통해 셔터(21)와 연동하는 다른 쪽 셔터(22) 역시 고정된다.
따라서, 화살표(20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개폐 장치(21t)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록 돌기부(21k)가 돌기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예를 들어 화살표(20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가압되고 록 홀(10k)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만, 셔터(21, 2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개방하도록 회전될 수 있고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100)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 및 도 32를 참조하여 디스크 스토퍼(23)의 구조 및 작용이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2는 탈착 가능한 디스크 스토퍼(23)를 뒤집어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디스크 스토퍼(23)의 볼록부(23a, 23b, 23c)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윈도우(12w) 근처에서 상부 쉘(12)에 제공된 오목부(12a, 12b, 12c)와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이 볼록부(23a, 23b, 23c)가 오목부(12a, 12b, 12c)로부터 분리된다면, 디스크 스토퍼(23)가 상부 쉘(1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3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틀린 방향으로 디스크 카트리지(308)를 디스크 드라이브내에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33은 도 23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308)의 삽입부 면을 도시하는, 화살표(1B)(도 23 참조) 방향으로 본 정면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는 일 측면에 오목부(10g)를 포함하고, 디스크 카트리지(308)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삽입되는 방향(1A)(도 23 참조)을 따라 비대칭이다. 오목부(10g)는 카트리지 본체(10) 두께의 중앙에 위치되지 않는다. 디스크 카트리지(30)에 이러한 오목부(10g)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에 제공된 대응하는 볼록부가 이 오목부(10g)와 정합될 때만, 디스크 카트리지(308)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바르게 삽입될 수 있고 디스크 드라이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바꿔 말하자면,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 카트리지(308)를 뒤집어서 디스크 드라이브에 삽입하려 하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308)는 삽입되지 않는다. 이것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응하는 볼록부가 오목부(10g)가 없는 디스크 카트리지(308)의 다른 쪽 면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 카트리지(308)를 뒤집어서 틀린 방향으로 디스크 드라이브에 삽입하려 하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308)는 역시 삽입되지 않는다. 이것은 역시 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응하는 볼록부가 오목부(10g)를 갖는 측면의 비만곡부와 충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308)를 잘못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8)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본체(10)의 두께는,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 스토퍼(23)가 상부 쉘(12)의 상면(12f)에서 돌출하지 않는 정도(도 24 참조)로 더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21, 22)가 열리려 하는 동안, 디스크 홀더(21a, 22a)는 디스크 스토퍼(23)의 각 볼록부(23a)를 디스크 스토퍼(23)의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밀 수 있고, 이로써 디스크 스토퍼(23)를 상부 쉘(12)의 상면(12f)에서 돌출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디스크 수납부(104) 내부에 디스크(100)가 회전하기에 충분히 넓은 공간이 허용될 수 있고 그럼에도 디스크 카트리지(308)는 더 감소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스토퍼(23)는 카트리지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재된 디스크(100)가 제거될 수 있도록 디스크 스토퍼(23)는 거의 수직 으로 굽혀지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셔터 스프링(31, 32)은 셔터(21, 22)가 열리도록 하는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만약 셔터(21, 22)가 연동 장치를 통해 거의 완전히 동기에 작동할 수 있다면, 셔터 스프링(31, 32)중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록 돌기부(21k)는 셔터(21)에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단부에 록 돌기부와 볼록부를 포함하는 로킹 레버가 탄성부를 통해 카트리지 본체(10)에 연결될 수 있고, 대응하는 오목부가 볼록부와 상호 결합하도록 셔터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본체의 록 홀을 통해 록 돌기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셔터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이 볼록부 및 오목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셔터 스프링(즉, 탄성 부재)뿐만 아니라 로킹 레버도 카트리지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지 스프링일 수 있다.
실시예 9
이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9)가 설명될 것이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9)는 하부 쉘(41), 상부 쉘(42), 디스크 스토퍼(42a, 42b, 42c, 42d) 및 1쌍의 셔터(51, 52)를 포함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쉘(41)은 고정용 개구부(41c)와 헤드용 개구부(41h)를 포함한다. 고정용 개구부(41c)를 통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가 외부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309)에 들어간다. 신호를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신호기록면(100A)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41h)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09)에 들어가 디스크(100)상의 목표 위치를 액세스한다. 하부 쉘(41)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대면한다. 또한, 헤드용 개구부(41h)는 하부 쉘(41)의 일 측면까지 도달한다.
상부 쉘(42)은 원형 디스크 윈도우(42w)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09)내로 인입되고 디스크 카트리지(309)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윈도우(42w)는 디스크(100)의 상부 면을 드러내도록 디스크(100)의 전체 투영 영역 위로 확장된다. 상부 및 하부 쉘(42, 41)은 외주에서 서로 점착되거나 용착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40)를 형성한다.
디스크(100)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수납부(40d)는 카트리지 본체(40)의 내하면(41u) 및 내측면(42i)에 의해 규정된다. 내하면(41u)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대향되는 반면, 내측면(42i)은 실질적으로 주면체(cylinder) 형상이고 안쪽에 디스크 윈도우(42w)를 규정한다. 즉, 내하면(41u)은 디스크 수납부(40d)의 저부이다.
디스크 수납부(40d)에서, 내측면(42i)과 디스크(100)의 외주 사이에는 디스크(1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정도로 넓은 간극이 제공된다. 또한, 내측면(42i)은 디스크(100)가 회전되는 동안 디스크(100)의 모든 부분이 디스크 수납부(40d)내에 수납될 정도로 높다. 디스크 수납부(40d)의 상부는 디스크 윈도우(42w)이고, 이로 써 디스크 수납부(40d)에 수납된 디스크(100)의 면중 하나가 디스크 윈도우(42w)내에서 노출된다.
디스크 스토퍼(42a, 42b, 42c, 42d)는 디스크 윈도우(42w)내로 평행하게 돌출하도록 상부 쉘(42)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디스크 스토퍼(42a, 42b, 42c, 42d) 각각은 슬릿을 통해 상부 쉘(42)로부터 분리된다. 이 디스크 스토퍼(42a, 42b, 42c, 42d)는 디스크(100)가 디스크 윈도우(42w)로부터 떨어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디스크 스토퍼(42a, 42b, 42c, 42d)는 디스크 카트리지(309)가 수직 로딩 디스크 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경우 특히 효과적이다. 선택적으로, 이 디스크 스토퍼(42a, 42b, 42c, 42d)는 탄성 부재를 통해 상부 쉘(4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셔터(51, 52)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카트리지 본체(40)의 제 1 내면(41u) 사이에 위치된다. 셔터(51, 52)는 샤프트 홀(51u, 52u)을 각각 포함한다. 이 샤프트 홀(51u, 52u)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샤프트(41s)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41s)는 카트리지 본체(40)의 디스크 수납부(40d) 바깥쪽에, 헤드용 개구부(41h)에 대향하는 카트리지 본체(40) 깊숙한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셔터(51, 52)는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41c, 41h)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방식으로 샤프트(41s)상에서 회전한다.
캠(51c)과 종동부(52c)가 셔터(51, 52)의 샤프트 홀(51u, 52u) 근처에 각각 제공된다. 캠(51c)과 종동부(52c)는 상호 결합하는 형상을 가지며, 셔터(51, 52)를 상호 연동시킨 채 닫거나 열기 위한 연동 장치(50c)를 함께 구성한다.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대향하는 셔터(51, 52)의 각 상면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의 손상 또는 먼지 부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보호층(51p, 52p)에 의해 덮여 있다.
보호층(51p, 52p)은 손상 방지용 부직포, 방진용 부직포, 손상 방지용 코팅층 및 방진용 코팅층중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호층(51p, 52p)으로서 방진용 부직포 시트를 각각 셔터(51, 52)에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시키고 있다.
셔터 스프링(61, 62)이 셔터(51, 52)용으로 디스크 수납부(40d) 바깥쪽에 각각 제공된다. 이러한 스프링(61, 62)은 셔터(51, 52)가 닫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셔터(51, 52)에 탄성력을 가한다. 대안적으로, 셔터 스프링(61, 62)은 셔터(51, 52)가 열리도록 하는 방향으로 셔터(51, 52)에 탄성력을 가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셔터(21, 22)가 연동 장치를 통해 거의 완전히 동기에 작동할 수 있다면, 셔터 스프링(31, 32)중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서처럼, 셔터(51, 52)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쪽 단부에 2개의 디스크 홀더(51a, 51b)(52a, 52b)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뒤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셔터(51, 52)상에는 볼록부(51e, 52e)가, 셔터(51, 5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100)의 중심 홀 아래에 위치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40)[또는 상부 쉘(42)]의 상면은 디스크 카트리지(309)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삽입되어야 할 방향[화살표(1A)]을 표시하는 엠보싱된 화살표 마크(또는 오목부)(40a)를 갖는다. 카트리지 본체(40)는 디스크 카트리지(309)가 삽입되는 화살표(1A) 방향과 평행한 2개의 측면상에 2개의 오목부(40c)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오목부(40c)는, 디스크 카트리지(309)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인입되어 로딩될 때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309)가 디스크 교환기내에 수납될 때, 인입 노치 또는 위치결정 오목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스크 카트리지(309)의 측면중 하나만이 오목부(40c)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목부(40c)는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 카트리지(309)를 뒤집어 디스크 드라이브에 삽입하거나 로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40)의 상면은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309)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파지부(40e)를 더 포함한다.
도 36은 셔터(51, 5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41c, 41h)를 폐쇄한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100)가 아직 수납되지 않은 디스크 카트리지(309)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셔터(51, 5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41c, 41h)를 개방한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100)가 아직 수납되지 않은 디스크 카트리지(309)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후, 셔터(51, 52)의 구조 및 작용이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51, 52)의 디스크 홀더(51a, 51b)(52a, 52b) 역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서처럼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위에 걸치며 디스크(100)의 외주를 중첩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단면을 갖는다. 즉, 경사면은 하방으로 테이퍼진 단면을 갖고 디스크(100)를 향해 기울어진다. 따라 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의 모든 효과는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9)에 의해서도 획득된다.
또한, 셔터(52)는 셔터(52)를 외부적으로 열거나 닫기 위해 사용되는 개폐기(52t)를 포함하고, 셔터(51)는 탄성부(51v)와 록 돌기부(51k)를 일체 부품으로서 포함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 돌기부(51k)는 셔터(51)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41c, 41h)가 셔터(51, 52)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동안, 탄성부(51v)로부터 탄성력을 받는 록 돌기부(51k)는 카트리지 본체(40)[또는 하부 쉘(41)]의 록 홀(40k)과 결합함으로써, 셔터(51)를 비회전 상태에서 카트리지 본체(40)에 고정시킨다. 셔터(51)가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될 때, 연동 장치(50c)를 통해 셔터(51)와 연동하는 다른 쪽 셔터(52) 역시 고정된다.
따라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50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개폐 장치(52t)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록 돌기부(51k)가 돌기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예를 들어 화살표(50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가압되고 록 홀(40k)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만, 셔터(51, 5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41c, 41h)를 개방하도록 회전될 수 있고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51a, 51b)(52a, 52b)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100)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와 달리,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록 돌기부(51k)와 개폐기(52t)가 2개의 서로 다른 셔터(51, 52)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는 소형 디스크용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 특히 효과적이다. 이것은 소형 디스크용 디스크 카트리지와 그것의 셔터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이어야 하고, 디자 인 고려 사항에서 벗어나 하나의 셔터에 록 돌기부와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하나의 셔터가 록 돌기부와 개폐기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드라이브측상 셔터 개폐 장치와 해제 장치 사이에 매우 작은 간극만이 허용되거나, 이 2개의 장치가 매우 제한된 공간내에 형성되어야 하고,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를 의도된 바와 같이 디자인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록 돌기부(51k)는 셔터(51)에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단부에 록 돌기부와 볼록부를 포함하는 로킹 레버가 탄성부를 통해 카트리지 본체(40)에 연결될 수 있고, 대응하는 오목부가 볼록부와 상호 결합하도록 셔터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본체의 록 홀을 통해 록 돌기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셔터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이 볼록부 및 오목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셔터 스프링(즉, 탄성 부재)뿐만 아니라 로킹 레버도 카트리지 본체(40)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지 스프링일 수 있다.
다음에, 셔터(51, 52)상의 볼록부(51e, 52e)가 작용하는 방식이 설명될 것이다. 도 38은 디스크(100)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09)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51, 52)가 닫혀 있는 동안, 볼록부(51e, 52e)가 디스크(100)의 중심 홀(100h)내로 돌출하며 이제 디스크(100)는 셔터(51, 52)와 접촉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51, 52)가 열리려 하는 동안, 볼록부(51e, 52e)가 중심 홀(100h)내부로부터 디스크(100)의 하측 아래내로 미끄럼 운동함으로 써 디스크(100)를 셔터(51, 52)로부터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셔터(51, 52)가 열리려 하거나 닫히려 하는 동안,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은 셔터(51, 52)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신호기록면(100A)의 신호 기록 영역내에서, 볼록부(51e, 52e)는 열리거나 닫히는 셔터(51, 52)와 함께 움직인다. 따라서, 볼록부(51e, 52e)는 신호 기록 영역을 접촉하거나 손상시키지 않을 것이다.
다음에,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여 디스크 스토퍼의 구조 및 작용이 설명될 것이다. 도 40은 디스크 외주 둘레의 디스크 카트리지(309)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로서, 디스크(100)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라 취한 것이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42a', 42b', 42c', 또는 42d')는 디스크 스토퍼(42a, 42b, 42c, 42d)의 저부상에 형성되어 있다. 셔터(51, 52)가 닫혀 있는 동안,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42a, 42b, 42c, 42d)는 디스크(100)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카트리지(309)의 두께내에 들어온다. 이러한 상태에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09)의 외관이 도 36에 도시된다.
한편, 셔터(51, 52)가 열려 있는 동안, 셔터(51, 52)의 경사면(51d, 51f, 52d, 52f)은 각각 볼록부(42a', 42b', 42c', 또는 42d')와 접촉함으로써,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42a, 42b, 42c, 42d)를 디스크(100)위로 들어올린다. 이러한 상태에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09)의 외관이 도 37에 도시된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309)가 디스크 드리이브내에 수직으로 로딩되고 나서 디스크(100)가 고정되기 전에, 디스크가 카트리지(309)로부터 떨어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00)는 고정되는 동안 좀더 넓은 공간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이 구조는 카트리지의 두께를 더 줄이는 데 기여한다.
셔터(51, 52)를 일시적으로 잠시 동안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경사면(51d, 51f, 52d, 52f)은 볼록부(42a', 42b', 42c', 42d')와 결합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주지되어야 한다.
실시예 10
이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0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10)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0)는 디스크 스토퍼가 셔터에 제공된다는 점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0)는 하부 쉘(71), 상부 쉘(72), 디스크 스토퍼(81d, 81f, 82d) 및 1쌍의 셔터(81, 82)를 포함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쉘(71)은 고정용 개구부(71c)와 헤드용 개구부(71h)를 포함한다. 고정용 개구부(71c)를 통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가 외부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310)에 들어간다. 신호를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신호기록면(100A)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71h)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10)에 들어가 디스크(100)상의 목표 위치를 액세스한다. 하부 쉘(71)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대면한다. 또한, 헤드용 개구부(71h)는 하부 쉘(71)의 일 측면까지 도달한다.
상부 쉘(72)은 원형 디스크 윈도우(72w)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10)내로 인입되고 디스크 카트리지(3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윈도우(72w)는 디스크(100)의 상부 면을 드러내도록 디스크(100)의 전체 투영 영역 위로 확장된다. 상부 및 하부 쉘(72, 71)은 외주에서 서로 점착되거나 용착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70)를 형성한다.
디스크(100)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수납부(70d)는 카트리지 본체(70)의 제 1 내면(71u) 및 제 2 내면(72i)에 의해 규정된다. 제 1 내면(71u)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대향되는 반면, 제 2 내면(72i)은 실질적으로 주면체(cylinder) 형상이고 안쪽에 디스크 윈도우(72w)를 규정한다. 즉, 제 1 내면(71u)은 디스크 수납부(70d)의 저부이다.
디스크 수납부(70d)에서, 제 1 내면(72i)과 디스크(100)의 외주 사이에는 디스크(1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정도로 넓은 간극이 제공된다. 또한, 디스크 수납부(70d)의 상부는 디스크 윈도우(72w)이고, 이로써 디스크 수납부(70d)에 수납된 디스크(100)의 면중 하나가 디스크 윈도우(72w)내에서 노출된다.
셔터(81, 82)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카트리지 본체(70)의 제 1 내면(71u) 사이에 위치된다. 셔터(81, 82)는 각각 샤프트 홀(81u, 82u)을 포함한다. 이러한 샤프트 홀(81u, 82u)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샤프트(71s)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71s)는 카트리지 본체(70)의 디스크 수납부(70d) 바깥쪽에, 헤드용 개구부(71h)에 대향하는 카트리지 본체(70) 깊숙한 곳에 위치된다. 따라 서, 셔터(81, 82)는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71c, 71h)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방식으로 샤프트(71s)상에서 회전한다.
캠(81c)과 종동부(82c)가 셔터(81, 82)의 샤프트 홀(81u, 82u) 근처에 각각 제공된다. 캠(81c)과 종동부(82c)는 상호 결합하는 형상을 가지며, 셔터(81, 82)를 상호 연동시킨 채 닫거나 열기 위한 연동 장치(80c)를 함께 구성한다.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대향하는 셔터(81, 82)의 각 상면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의 손상 또는 먼지 부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보호층(81p, 82p)에 의해 덮여 있다.
보호층(81p, 82p)은 손상 방지용 부직포, 방진용 부직포, 손상 방지용 코팅층 및 방진용 코팅층중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호층(81p, 82p)으로서 방진용 부직포 시트를 각각 셔터(81, 82)에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시키고 있다.
셔터 스프링(91, 92)이 셔터(81, 82)용으로 디스크 수납부(70d) 바깥쪽에 각각 제공된다. 이러한 스프링(91, 92)은 셔터(81, 82)가 닫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셔터(81, 82)에 탄성력을 가한다. 대안적으로, 셔터 스프링(91, 92)은 셔터(81, 82)가 열리도록 하는 방향으로 셔터(81, 82)에 탄성력을 가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셔터(81, 82)가 연동 장치(80c)를 통해 거의 완전히 동기에 작동할 수 있다면, 셔터 스프링(91, 92)중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서처럼, 셔터(81, 82)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쪽 단부에 2개의 디스크 홀더(81a, 81b)(82a, 82b)를 각각 포함한다.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서처럼, 셔터(81, 82)상에 볼록부(81e, 82e)가 역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뒤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디스크 스토퍼(81f, 82d, 82d)는 각각 디스크 홀더(81a, 81b, 82a) 근처에 셔터(81, 82)의 일체 부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디스크 스토퍼(81f, 82d, 82d)는 탄성 부재를 통해 셔터(81, 8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70)[또는 상부 쉘(72)]의 상면은 디스크 카트리지(310)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삽입되어야 할 방향[화살표(1A)]을 표시하는 엠보싱된 화살표 마크(또는 오목부)(70a)를 갖는다. 카트리지 본체(70)는 디스크 카트리지(310)가 삽입되는 화살표(1A) 방향과 평행한 2개의 측면상에 2개의 오목부(70c)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오목부(70c)는, 디스크 카트리지(310)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인입되어 로딩될 때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310)가 디스크 교환기내에 수납될 때, 인입 노치 또는 위치결정 오목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스크 카트리지(310)의 측면중 하나만이 오목부(70c)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목부(70c)는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 카트리지(310)를 뒤집어 디스크 드라이브에 삽입하거나 로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70)의 상면은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310)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파지부(70e)를 더 포함한다. 파지부(70e)는 미끄럼 방지용 엠보싱 형상을 갖는다.
도 44는 셔터(81, 8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71c, 71h)를 폐쇄한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100)가 아직 수납되지 않은 디스크 카트리지(310)를 도시하 는 사시도이다. 도 45는 셔터(81, 8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71c, 71h)를 개방한 상태를 보이기 위해 디스크(100)가 아직 수납되지 않은 디스크 카트리지(3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후, 셔터(81, 82)의 구조 및 작용이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81, 82)의 디스크 홀더(81a, 81b)(82a, 82b) 역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서처럼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위에 걸치며 디스크(100)의 외주를 중첩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단면을 갖는다. 즉, 경사면은 하방으로 테이퍼진 단면을 갖고 디스크(100)를 향해 기울어진다. 따라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의 모든 효과는 바람직한 제 10 실시예에 의해서도 획득된다.
또한, 셔터(82)는 셔터(82)를 외부적으로 열거나 닫기 위해 사용되는 개폐기(82t)와, 탄성부(82v)와, 록 돌기부(82k)를 일체 부품으로서 포함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 돌기부(82k)는 탄성부(82v)를 통해 셔터(82)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71c, 71h)가 셔터(81, 82)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동안, 탄성부(82v)로부터 탄성력을 받는 록 돌기부(82k)는 카트리지 본체(70)[또는 하부 쉘(71)]의 록 홀(70k)과 결합함으로써, 셔터(82)를 비회전 상태에서 카트리지 본체(70)에 고정시킨다. 셔터(82)가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될 때, 연동 장치(80c)를 통해 셔터(82)와 연동하는 다른 쪽 셔터(81) 역시 고정된다.
따라서,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70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개폐 장치(82t)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록 돌기부(82k)가 돌기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예 를 들어 화살표(70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가압되고 록 홀(70k)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만, 셔터(81, 8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71c, 71h)를 개방하도록 회전될 수 있고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81a, 81b)(82a, 82b)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100)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록 돌기부(82k)는 셔터(82)에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단부에 록 돌기부와 볼록부를 포함하는 로킹 레버가 탄성부를 통해 카트리지 본체(70)에 연결될 수 있고, 대응하는 오목부가 볼록부와 상호 결합하도록 셔터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본체의 록 홀을 통해 록 돌기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셔터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이 볼록부 및 오목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셔터 스프링(즉, 탄성 부재)뿐만 아니라 로킹 레버도 카트리지 본체(70)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지 스프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크 스토퍼(81f, 81d, 82d)의 구조 및 작용이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셔터(81, 8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 스토퍼(81f, 81d, 82d)는 디스크(100)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여 도 46 및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0)의 상면에서 돌출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10)의 외관이 도 44에 도시된다.
한편, 셔터(81, 82)가 열리려 하는 동안, 디스크 스토퍼(81f, 81d, 82d)는 도 47 및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 위로 들어올려지도록 카트리지 본체(70)의 경사면(72s)과 슬릿(70s)에 의해 유도된다. 슬릿(70s)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70)의 내측벽에 형성되고, 경사면(72s)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70)의 내상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부 쉘(72)은 들어올려진 디스크 스토퍼(81f, 81d, 82d)와 충돌하지 않도록 노치부(72a, 72b, 72c)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10)의 외관이 도 45에 도시된다.
셔터(81, 8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 스토퍼(81f, 81d, 82d)는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위에 걸치며 디스크(100)의 외주와 중첩한다. 따라서, 디스크 스토퍼(81f, 81d, 82d)는 디스크(100)를 셔터(81, 82)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그 위에 유지한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81a, 81b)(82a, 82b)는 셔터(81, 82)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310)가 디스크 드리이브내에 수직으로 로딩되고 나서 디스크(100)가 고정되기 전에, 디스크가 카트리지(310)로부터 떨어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00)는 고정되는 동안 좀더 넓은 공간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이 구조는 카트리지의 두께를 더 줄이는 데 기여한다.
실시예 11
이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11)가 설명될 것이다.
도 50 및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1)는 하부 쉘(11), 상부 쉘(12), 1쌍의 셔터(21, 22) 및 디스크 스토퍼(23)를 포함한다. 도 52 내지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부재의 구조와 기능은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8)와 달리, 바람직한 제 1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1)의 셔터(21, 22)는 도 50 및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20h)을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디스크 카트리지(311)의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셔터(21, 22)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중심 홀(20h) 바로 아래에 홀(20h)을 규정한다. 도 5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홀(20h)은 셔터(21, 22)의 2개의 노치(21h, 22h)로 형성된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1)가 디스크(100)의 상부 면이 드러난 상태로 있게 되면, 먼지가 디스크(100)의 중심 홀(100h)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이 구조에서 있어 먼지는 카트리지(311)에 잔류하지 않은 채 혹은 셔터(21, 22)상에 부착되지 않은 채 셔터(21, 22)의 홀(20h)을 통해 외부로 나가야 한다. 따라서, 셔터(21, 22)가 이후에 열릴 때[즉, 디스크 카트리지(311)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로딩될 때]는 먼지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상에 부착되지 않을 것이다.
디스크 카트리지(311)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위로 놓이거나, 혹은 상면이 아래로[즉, 하부 쉘(11)이 상방을 대면하게] 놓인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상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볼 때, 홀(20h)은 중심 홀(100h)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홀(20h)과 홀(100h)이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질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311)의 상면이 위로 놓일 때 먼지가 셔터(21, 22)상에 부착되지 않으며, 상면이 아래로 놓일 때도 먼지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상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디스크 카트리지(311)에서는,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와 달리, 셔터(21, 22)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폐기(21t)가 셔터(22)에 제공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51 및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2v)와 록 돌기부(22k)가 셔터(22)의 일체 부품으로서 제공된다. 록 돌기부(22k)는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2v)를 통해 셔터(22)에 연결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와 달리, 개폐기(21t)는 디스크(100)에 대해 헤드용 개구부(11h)의 오른쪽에 위치된다. 개폐기(21t)는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실시예 12
이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12)가 설명될 것이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1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1)와 달리, 바람직한 제 12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2)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내측면(12i) 둘레에 림(12t)을 포함하고, 셔터(21, 22)에 의해 규정된 홀(20h) 둘레에 링(20w)을 포함한다. 상기 형상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2t)은 상부 쉘(12)의 내측면(12i)으로부터 디스크(100)의 내주를 향해 돌출하고 실질적으로 디스크 수납부(10d)의 외주를 감 싼다. 도 59는 디스크(100)가 디스크 수납부(10d)에 수납된 상태에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1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100) 신호기록면(100A)의 외측 에지는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2t)과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의 외주와 카트리지 본체(10) 사이의 간극이 닫힘으로써 먼지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10)의 림(12t)과 하부 쉘(11) 사이에는 간극(10w)이 제공된다. 따라서, 셔터(21, 22)가 열려 있을 때, 셔터(21, 22)의 각 부분이 도 60 및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10w)에 들어감으로써, 셔터(21, 22)가 카트리지 본체(10)와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는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외부로 통하는 다른 간극(10z)이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와 셔터(21, 22) 사이에 생성된다. 이 간극(10z)을 닫기 위해, 셔터(21, 22)는 디스크(100)의 중심 홀(100h) 둘레에 볼록부(21w, 22w)를 각각 포함한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닫힐 때, 이 2개의 볼록부(21w, 22w)가 상호 밀착함으로써, 디스크 중심 홀(100h) 둘레의 간극(10z)을 닫는 링(20w)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중심 홀(100h)을 통해서는 먼지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도달하지 않는다.
한편, 이 볼록부(21w, 22w)의 상부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볼록부(21w, 22w)의 에지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둥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볼록부(21w, 22w)는 각각 셔터(21, 2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상 방지용 부직포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접촉하는 링(20w) 부분에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되거나, 손상 방지용 코팅층이 그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볼록부(21w, 22w)는 그 자체로 각각 셔터(21, 22)에 직접 점착되거나 초음파 용착된 손상 방지용 부직포 또는 손상 방지용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100)는 링(20w)과 림(12t)에 의해 셔터(21, 22) 위로 간극(10z)이 있는 채 들어올려진다. 즉,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의 대부분이 셔터(21, 22)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셔터(21, 22)의 표면이 예를 들어 손상 방지용 부직포에 의해 덮여 있지 않더라도, 신호기록면(100A)은 여전히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도 62 및 도 63은 디스크(100)의 외주를 향해 확장된 대안적 볼록부(21w', 22w')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2는 셔터(21, 22)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63은 셔터(21, 22)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62 및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열려 있는 동안, 볼록부(21w', 22w')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수납부(10d)의 림(12t) 내부[즉 디스크 수납부(10d)에 더 가깝게]에 위치된다. 따라서, 볼록부(21w', 22w')는 림(12t) 접촉 또는 충돌하지 않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볼록부(21w', 22w')는 각각 셔터(21, 2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볼록부(21w', 22w')의 부분에는 손상 방 지용 부직포가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되거나, 손상 방지용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볼록부(21w', 22w')는 그 자체로 각각 셔터(21, 22)에 직접 점착되거나 초음파 용착된 손상 방지용 부직포 또는 손상 방지용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13
이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설명될 것이다.
먼저,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구조가 도 64 및 도 65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될 것이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서처럼, 도 64 및 도 65에 도시된 디스크(100) 역시 제 1 및 제 2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방법으로 라벨이 인쇄된 디스크(100)의 제 1 면은 도 64에 도시되며, 제 2 면, 즉 신호기록면(100A)은 도 65에 배면으로 도시된다.
도 64 및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3)는 하부 쉘(11), 상부 쉘(12), 한 쌍의 셔터(21) 및 디스크 스토퍼(23)를 포함한다.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쉘(11)은 고정용 개구부(11c)와 헤드용 개구부(11h)를 포함한다. 고정용 개구부(11c)를 통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가 외부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313)에 들어간다. 신호를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신호기록면(100A)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11h)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13)에 들어가 디스크(100)상의 목표 위치를 액세스한다. 하부 쉘(11)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대면한다. 하부 쉘(11)은 합성 수지를 사전 결정된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헤드용 개구부(11h)는 하부 쉘(11)의 일 측면까지 도달한다. 헤드용 개구부(11h)에 의해 하부 쉘(11)의 강성이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부 쉘(11)은 헤드용 개구부(11h)의 양쪽 단부를 연결시키는 브릿지(11b)를 포함한다. 하부 쉘(11)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핀(도시하지 않음)과 결합하는 2개의 위치결정 홀(11w)을 더 포함한다.
상부 쉘(12)은 원형 디스크 윈도우(12w)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13)내로 인입되고 디스크 카트리지(313)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윈도우(12w)는 디스크(100)의 상부 면을 드러내도록 디스크(100)의 전체 투영 영역 위로 확장된다. 상부 및 하부 쉘(12, 11)은 외주에서 서로 점착되거나 용착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10)를 형성한다. 상부 쉘(12) 역시 합성 수지로써 형성된다.
디스크(100)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수납부(10d)(도 1 참조)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 및 내측면(12i)에 의해 규정된다. 내하면(11u)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대향되는 반면, 내측면(12i)은 실질적으로 주면체(cylinder) 형상이고 안쪽에 디스크 윈도우(12w)를 규정한다. 즉, 내하면(11u)은 디스크 수납부(10d)의 저부이다.
디스크 수납부(10d)에서, 내측면(12i)과 디스크(100)의 외주 사이에는 디스크(1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정도로 넓은 간극이 제공된다. 또한, 디스크 수납부(10d)의 상부는 디스크 윈도우(12w)이고, 이로써 디스크 수납부(10d)에 수납된 디스크(100)의 면중 하나가 디스크 윈도우(12w)내에서 노출된다.
2개의 탈착 가능한 디스크 스토퍼(23)가 도 64 및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상부 쉘(12)에 제공된다. 제 3 디스크 스토퍼(12s)가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상부 쉘(12)에 더 제공된다. 제 3 디스크 스토퍼(12s)는 상부 쉘(12)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3개의 디스크 스토퍼(23, 12s)는 디스크(100)가 디스크 윈도우(12w)로부터 떨어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디스크 윈도우(12w) 원주 둘레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2개의 볼록한 디스크 접촉부(12s')가 디스크 스토퍼(12s)상에 형성된다. 디스크(100)에 대해 이 디스크 접촉부(12s')는 디스크 스토퍼(23)의 디스크 접촉부(23a)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카트리지(313)는 수직으로 또는 뒤집혀 로딩되더라도 디스크(100)를 떨어뜨리는 일 없이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313)는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수직으로 혹은 뒤집혀 삽입될 때 디스크(100)가 떨어져 낙하하는 것을 특히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 스토퍼(23)가 카트리지 본체(10)에서 제거 가능해야만 할 필요는 없다는 점이 주지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스토퍼(23)는 사용자가 카트리지 본체(10)에서 디스크(100)를 제거할 수 있는 정도로만 디스크 수납부(10d)내에서 회전될 수 있거나 굽혀질 수 있는 한 상부 쉘(1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셔터(21, 22)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카트리지 본체(10)의 내 하면(11u) 사이의 단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셔터(21, 22)는 각각 샤프트 홀(21u, 22u)을 포함한다. 이러한 샤프트 홀(21u, 22u)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샤프트(11s)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1s)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디스크 수납부(10d) 바깥쪽에, 헤드용 개구부(11h)에 대향하는 카트리지 본체(10) 깊숙한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셔터(21, 22)는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방식으로 샤프트(11s)상에서 회전한다. 셔터(21, 22) 역시 합성 수지로써 형성된다.
링부(21c)와 핀부(22c)가 각각 셔터(21, 22)의 샤프트 홀(21u, 22u) 근처에 제공된다. 링부(21c)와 핀부(22c)는 상호 결합하는 형상을 가지며, 셔터(21, 22)를 상호 연동시킨 채 닫거나 열기 위한 연동 장치(20c)를 함께 구성한다. 연동 장치(20c)는 캠 장치 혹은 기어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변(100A)에 대향하는 셔터(21, 22)의 각 상면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의 손상 또는 먼지 부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보호층(21p, 22p)에 의해 덮여 있다.
보호층(11p)은 손상 방지용 부직포, 방진용 부직포, 손상 방지용 코팅층 및 방진용 코팅층중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호층(21p, 22p)으로서 방진용 부직포 시트를 각각 셔터(21, 22)에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시키고 있다.
셔터(21)에는 록 돌기부(21k)가 제공되고, 셔터(22)에는 록 돌기부(21k)와 결합하는 록 결합부(22k)가 제공된다. 록 돌기부(21k)와 록 결합부(22k)는 셔터(21, 22)를 서로에 대해 록하거나 록 해제하기 위한 록 장치(20k)를 함께 구성한다. 이 장치(20k)를 사용함으로써, 셔터(21, 22)는 자동으로 록되거나 록 해제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셔터(21, 22)를 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이 먼지, 손자국, 또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록 돌기부(21k)와 록 결합부(22k)는 각각 셔터(21, 22)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셔터(21, 22)에는 각각 노치(21h, 22h)가 제공된다. 셔터(21, 22)가 닫혀 있을 때, 이 노치(21h, 22h)는 디스크(100)의 중심 홀(100h) 바로 아래에 홀(20h)을 형성하도록 상호 접촉한다. 이 경우, 홀(20h)의 직경은 디스크(100) 중심 홀(100h)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100)의 상부 면이 상방으로 드러난 상태에 있게 되더라도, 먼지가 셔터(21, 22)상에 부착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뒤집힌 상태에 있더라도, 역시 먼지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 상에 부착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셔터(21, 22)는 그 양쪽 단부에 2개의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를 각각 포함한다. 이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는 디스크(100)의 외주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는 셔터(21, 22)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 각각은 셔터(21, 22)가 닫힐 때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를 그 위에 파지하도록 하방으로 테이퍼진 단면 형상(혹은 경사면)을 갖는다. 이 경사면을 제공함으로써,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100)가 셔터(21, 22)에 대해 가압되고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홀더(21b)만이 셔터(21)에 고정되지 않고 탄성부(21d)를 통해 셔터(21)에 연결되어 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으로[즉, 디스크(100)의 중심을 향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는 다양한 직경 또는 두께를 갖는 어떠한 디스크(100)라도 일정하지 않은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은 채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
셔터(22)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개폐기(21t)가 샤프트 홀(22u)에 대향하는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앞면상, 즉 디스크 홀더(22a) 근처에서 셔터(22)에 일체로 형성된다. 셔터(21, 22)가 카트리지 본체(10)에 부착될 때, 셔터 개폐기(22t)는 브릿지(11b) 아래, 헤드용 개구부(11h)내에 위치된다. 셔터(21)를 열거나 닫을 때, 셔터 개폐기(21t)는 헤드용 개구부(11h)내에서 브릿지(11b)를 따라 이동된다. 본 구조에서는, 셔터 개폐기(21t)가 그 안에서 움직이도록 허용하기 위한 간극을 카트리지 본체(10)에 제공할 필요가 없다. 바꿔 말하면, 카트리지 본체(10)에 별도의 간극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쓸데없이 먼지가 카트리지 본체(10)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다. 또한, 셔터 개폐기(21t)는 카트리지 본체(10)의 헤드용 개구부(11h)내에 위치될 수 있고, 이로써 단순화된 양호한 디자인의 카트리지를 제공된다.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는 닫혔을 때 선을 따라 완전히 상호 접촉하는 대신, 선에 정렬되지 않은 다수의 접촉부를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셔터(21, 22)는 고정용 개구부(11c) 위의 제 1 쌍의 접촉부(21f, 22f)와, 헤드용 개구부(11h) 위의 제 2 쌍의 접촉부(21g, 22g)를 각각 갖는다. 본 바람직한 실 시예에서, 접촉부(21f, 22f)는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중심선과 사전 결정된 각도(예를 들어, 약 15도 내지 약 16도)를 규정하는 선을 따라 상호 접촉한다. 셔터(21, 22)가 이러한 형상을 가질 때, 셔터(22)는 셔터 개폐기(22t) 주위에서 일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충분히 높은 강성을 보일 수 있다.
셔터 스프링(31, 32)이 셔터(21, 22)용으로 디스크 수납부(10d) 바깥쪽에 각각 제공된다. 이러한 스프링(31, 32)은 셔터(21, 22)가 닫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셔터(21, 22)에 탄성력을 가한다. 셔터 스프링(31, 32)은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상의 2개의 스프링 폴(11t)내로 삽입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셔터 스프링(31, 32)으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1, 32)은 비용을 줄이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 스프링(31, 32)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탄성 부재의 예로는 압축 스프링, 판 스프링 및 탄성 수지 스프링 등을 들 수 있다.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3)는 하부 쉘(11)의 홈(11v)내로 홈(11v)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삽입되는 기록 보호부(40)를 포함한다. 기록 보호부(40)를 미끄럼 운동시킴으로써 볼록부(40t)가 이동될 수 있고, 이로써 디스크 드라이브에 제공된 센서 스위치가 켜지거나 꺼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크(100)상에 기록하는 것이 금지되거나 허용된다.
즉, 본 디스크 카트리지(313)는, 하부 및 상부 쉘(11, 12), 디스크 스토퍼(23), 셔터(21, 22), 셔터 스프링(31, 32) 및 기록 보호부(40)로 구성되는 카트리지 본체(10)로 형성된다.
하부 및 상부 쉘(11, 12)이 서로 조립될 때, 하부 쉘(11)의 2개의 샤프트(11s)는 상부 쉘(12)의 2개의 오목부(12h)와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샤프트(11s)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21, 22)가 열려 있을 때라도, 셔터 스프링(31, 32)으로부터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서 셔터(21, 22)의 각 회전 중심에는 감소된 비틀림이 생성된다. 따라서, 셔터(21, 22)가 의도된 각도까지 열릴 수 있다.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또는 상부 쉘(12)]의 상면은 수납된 디스크(100)의 내용이 적힐 수 있는 라벨 평면(10f)과,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삽입되어야 할 방향[화살표(1A)]을 표시하는 엠보싱된 화살표 마크(또는 오목부)(10a)를 갖는다.
카트리지 본체(10)는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삽입되는 화살표(1A) 방향과 평행한 2개의 측면상에 2쌍의 오목부(10c, 10e)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오목부(10c, 10e)는,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인입되어 로딩될 때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 교환기내에 수납될 때, 인입 노치 또는 위치결정 오목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10)는 그 측면중 하나에 슬릿(10b)을 더 포함한다. 슬릿(10b)은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삽입될 때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상면과 하면을 구분하는 오목부로서 사용된다.
이후, 도 66 내지 도 69를 참조하여 본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작동하는 방식이 설명될 것이다. 도 66 및 도 67은 셔터(21, 22)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 서의 디스크 카트리지(313)를 각각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8은 셔터 록 장치(20k)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9는 셔터(22)의 디스크 홀더(22a)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보관 상태, 즉 디스크 드라이브에 아직 로딩되지 않은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상태가 설명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셔터(21, 22)는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 있다. 또한,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2)의 디스크 홀더(22a)의 경사면(22a')은 디스크(100)의 외주와 접촉함으로써,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하고 디스크(100)에 두께 방향(100t)을 따라 압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이 셔터(22)의 시트(22p)와 접촉하게 되고 디스크(100)는 카트리지 본체(10)내에 고정된다. 3개의 다른 디스크 홀더(21a, 21b, 22b) 역시 대응하는 경사면(21a', 21b', 22b')을 각각 갖는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22a)와 마찬가지로, 이 디스크 홀더(21a, 21b, 22b) 역시 카트리지 본체(10)내에 디스크(10)를 유지 및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은 시트(21p, 22p)와 밀착한다. 따라서, 신호기록면(100A)상에는 먼지가 부착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디스크(100)의 노출된 쪽이 수동으로 회전되거나, 셔터(21, 22)가 의도적으로 열리거나 닫힌다면,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상에 붙어 있던 먼지, 손자국, 또는 기타 모든 오염물이 닦여 제거될 것이다.
또한, 셔터(21, 22)는 록 장치(20k)에 의해 록되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셔터(21, 22)를 열 수 없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이 먼지 , 손자국, 또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셔터(21, 22)에는 노치(21h, 22h)가 각각 제공된다. 셔터(21, 22)가 닫혀 있을 때, 이 노치(21, 22)는 디스크(100)의 중심 홀(100h) 바로 아래에 홀(20h)을 형성하도록 상호 접촉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100)의 상부 면이 상방으로 드러난 상태에 있게 되더라도, 중심 홀(100h)을 통과한 먼지가 셔터(21, 22)상에 부착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각각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h, 11c) 위에서 상호 접촉하는 셔터(21, 22)의 접촉부(21f, 22f)(21g, 22g)중 적어도 2쌍은 각각 도 70 및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한다. 따라서, 규격 외 직경을 갖는 디스크(100)가 본 디스크 카트리지(313)상에 실려서 혹은 셔터(21, 22)가 완전하게 록되지 않아서 셔터(21, 22)가 불완전하게 닫혔더라도, 셔터(21, 22)의 접촉부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 있더라도 역시 디스크(100)는 먼지, 손자국, 또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는 셔터(22)의 접촉부(22g)가 셔터(21)의 접촉부(21g) 위에 위치되도록 헤드용 개구부(11h) 둘레에서 상호 접촉한다. 한편,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는 셔터(21)의 접촉부(21f)가 셔터(22)의 접촉부(22f) 위에 위치되도록 고정용 개구부(11c) 둘레에서 상호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셔터(21 또는 22)의 다중 접촉부(21f, 21g, 22f, 또는 22g)중 하나에 의해 규정되는 각도는 셔터(21 또는 22)의 다중 접촉부(21f, 21g, 22f, 또는 22g)중 다른 하나에 의해 규정되는 각도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2개의 셔터(21, 22)는 디스크(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21) 또는 셔터(22)의 어느 것도 실수로 들어올려지지 않을 것이다. 또한,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셔터(21, 22)의 접촉부는 증가된 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셔터(21, 22)는 도 70 및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1f, 21g, 22f 및 22g)를 갖는다. 그러나, 셔터(21, 22)는 다른 위치에 접촉부를 더 갖거나 다른 방식으로 상호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0에 도시된 접촉부(21g, 22g)는 헤드용 개구부(11h) 둘레의 위치로 옮겨지거나 고정용 개구부(11c) 둘레의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이 경우, 셔터(21, 22)는 닫혔을 때 더 높은 강성을 나타낼 수 있고, 접촉부 사이의 간극이 더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먼지가 카트리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에 제공된 볼록부(21j, 22j)는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쉘(12)에 제공된 2개의 셔터 스토퍼(12f)와 접촉한다. 따라서, 셔터(21, 22)는 그 회전이 통제되어 록된 위치에서 움직일 수 없다. 결과적으로, 셔터(21, 22)는 장긴 상태에서 일정하지 않게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셔터(21, 22)를 파괴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셔터(21, 22)의 회전이 통제되므로, 셔터 개폐기(22t)가 위치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 드라이브에 로딩될 때, 셔터 개폐기(22t)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셔터 개폐 장치와 의 도된 것처럼 결합될 수 있다.
이후, 본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로딩되는 방식이 설명될 것이다.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화살표(1A) 방향을 따라 삽입될 때, 디스크 드라이브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핀이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위치결정 홀(11w)과 결합함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내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갖는 수평 및 수직 위치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디스크 드라이브내에 제공된 셔터 개폐 장치의 셔터 개폐기는 도 68에 도시된 셔터 개폐기(22t)와 결합한다. 동시에, 셔터 개폐 장치의 록 해제 부재가 화살표(20A) 방향을 따라 록 해제부(21y)에 압력을 가하는데, 상기 록 해제부(21y)는 탄성부를 통해 셔터(21)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록 장치(20k)의 록 돌기부(21k)가 록 결합부(22k)로부터 결합 해제됨으로써, 셔터(21, 22)가 상호 결합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셔터 개폐 장치의 셔터 개폐기는 화살표(20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셔터 개폐기(22t)를 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셔터(21)는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스프링(31)으로부터 가해진 탄성력을 이기면서 샤프트(11s)상에서 회전한다. 셔터(21)의 움직임과 동기에, 연동 장치(20c)를 통해 셔터(21)와 연동되는 다른 쪽 셔터(22) 역시 셔터 스프링(31)으로부터 가해진 탄성력을 이기면서 회전한다. 따라서, 셔터(21)가 열려 있을 때, 셔터(22) 역시 열려 있을 것이다.
셔터(21, 22)가 완전히 열리기 전에, 록 돌기부(21k)와 록 해제부(21y)는 탄성부(21e)를 따라 원위치로 되돌아올 것이다. 따라서, 수지로 형성된 탄성부(21e) 는 탄성 변형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에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통해 노출된다. 또한,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에 의해 유지되던 디스크(100)는 셔터(21, 22)의 회전에 따라 디스크 홀더로부터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는 이제 디스크 수납부(10d)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이어서, 디스크 드라이브의 스핀들 모터와 턴테이블이 고정용 개구부(11c)로 들어가고 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는 헤드용 개구부(11h)로 들어간다. 결과적으로, 이제 디스크 드라이브는 적재된 디스크(100)상에 기록 또는 판독 작용을 수행할 준비가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화살표(20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개폐 장치(21t)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록 돌기부(21k)가 돌기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예를 들어 화살표(20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가압되고 록 홀(10k)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만, 셔터(21, 22)가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개방하도록 회전될 수 있고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100)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는 먼지, 손자국, 또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후,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배출되는 방식이 설명될 것이다. 디스크 드라이브의 배출 장치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셔터 개폐기(22t)와 결합되어 있던, 디스크 드라이브의 셔터 개폐기(22t)가 셔터 개폐기(22t)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셔터(21, 22)는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없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즉, 셔터(21, 22)를 닫게 하는 방향으로 셔터 스프링(31, 32)으로부터 탄성력을 받고 있는 셔터(21, 22)가 닫히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셔터(21, 22)는 헤드용 및 고정용 개구부(11h, 11c)를 폐쇄시킨다. 이 경우, 셔터(21, 22)는 록 장치(20k)에 의해 상호 록된다. 그 동안, 디스크(100)는 원상태로 되돌아가도록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에 의해 다시 유지된다. 그 다음에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배출된다.
디스크 카트리지(313)에서, 카트리지 본체(10)에 제공된 디스크 스토퍼(23)의 디스크 접촉부(23a)와, 상부 쉘(12)의 디스크 접촉부(12s')는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수직 레벨에 위치된다. 또한, 셔터(21, 22)의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의 경사면(21a', 21b')(22a', 22b')의 상부는 디스크(100)가 움직일 수 있는 방향(100u)에서 디스크 접촉부(23a, 12s')의 저부보다 높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수직하게 혹은 뒤집혀 로딩되더라도, 셔터(21, 22)는 여전히 그 위에 디스크(100)를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뒤집혀서 디스크 드라이브내에 로딩된다면, 더 이상 고정 상태가 아닌 디스크(100)는 디스크 접촉부(23a, 12s')와 접촉하고 그 수평 위치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셔터(21, 22)가 닫힐 때, 디스크(100)는 이번에는 경사면(21a', 21b')(22a', 22b')과 접촉한다. 그 다음에, 디스크(100)는 디스크 홀더(21a, 21b)(22a, 22b)에 의해 단단히 유지되도록 경사면(21a', 21b')(22a', 22b')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럼 운동할 것이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에서, 카트리지 본체는 디 스크 윈도우를 갖고 디스크의 일 면만을 덮는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의 헤드용 개구부내에 셔터 개폐기를 포함하고, 따라서 카트리지 본체에 불필요한 간극을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결과적으로, 카트리지 본체내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을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에서, 2개의 셔터는 고정용 개구부 위에서는 디스크의 중심선을 따라, 헤드용 개구부 위에서는 상기 중심선과 사전 결정된 각도를 규정하는 선을 따라 상호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셔터는 셔터 개폐기의 주위에서 일체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충분히 높은 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2개의 셔터는 상호 록되거나 상호 록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수로 셔터를 열거나 닫을 수 없다. 따라서, 디스크는 먼지, 손자국, 또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디스크 홀더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되는 셔터에 고정되지 않고 그 대신 탄성부를 통해 셔터에 단지 고정된다. 셔터 스프링으로부터 상기 디스크 홀더에 탄성력이 역시 가해짐에 따라, 디스크 홀더는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충분히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이유로, 규격 외 크기의 디스크가 본 디스크 카트리지상에 적재되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는 이러한 디스크를 일정하지 않은 움직임 없이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14
이후, 도 72 내지 도 8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에 따 른 디스크 카트리지(314)가 설명될 것이다. 도 72 내지 도 81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의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는 카트리지 본체(10)(도 79 참조)의 내상면(12u),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도 72 내지 도 79 참조) 및 디스크 스토퍼(53)(도 72, 도 77 및 도 78 참조)의 각 형상면에 있어서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와 구별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314)는 디스크 지지부(60)(도 72 및 도 81 참조)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에 대한 아래의 설명은 이러한 차이점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에서,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의 각 상부는 디스크(100)의 외주 둘레를 따라 거의 동일한 수직 레벨로 위치된다. 반대로,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에서는, 도 73 및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21b, 22a, 22b)의 사전 결정된 영역상에 돌기부가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디스크 홀더(21b, 22a, 22b) 각각은, 돌기부를 그 위에 갖는 제 1 부분으로서, 셔터(21, 22)의 상면에서 측정될 때 제 1 높이(h1)를 갖는, 제 1 부분(121b, 122a, 또는 122b)과; 셔터(21, 22)의 상면에서 측정될 때 제 2 높이(h2)를 갖는, 제 2 부분221b, 222a, 또는 222b)을 포함한다. 나머지 하나의 디스크 홀 더(21a)는 제 2 높이(h2)를 갖는 제 2 부분(221a)으로 구성된다.
제 1 높이(h1)는 제 2 높이(h2)보다 크고, 전술된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의 높이(즉, 상면의 수직 레벨)와 대략 동일하다. 즉, 본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는 제 1 부분(121a, 122a, 122b)을 제외하면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대응 부품보다 높이가 낮다.
또한, 도 74 및 도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223)가 디스크 홀더(22a)의 제 1 부분(122a)의 상면상에 형성된다. 단차부(223)는 2개의 수직 레벨을 갖는데, 그 중 더 높은 쪽이 적재된 디스크(100)에 더 가깝다. 또한, 유사한 단차부가 디스크 홀더(21b)의 제 1 부분(121b)의 상면상 및 디스크 홀더(22b)의 제 1 부분(122b)의 상면상에 형성된다.
셔터(21 또는 22)가 닫혀지고 있을 때, 디스크 홀더(21b, 22a, 또는 22b)의 제 1 부분(121b, 122a, 또는 122b)은 디스크(11)와 가장 먼저[즉, 제 2 부분(221b, 222a, 또는 222b)보다 먼저] 접촉한다.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는 셔터(21, 22)의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움직인다. 도 77은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에서의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의 각 위치를 도시한다. 한편, 도 78은 셔터(21, 22)가 열려 있는 동안에서의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의 각 위치를 도시한다. 도 79 및 도 80은 도 78의 B-B 선 및 C-C 선에 따라 각각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14)의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7, 도 78 및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내상면(12u)상의 영역(12y, 12x, 12z)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셔터(21, 22)의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디스크 홀더(21b, 22a, 22b)의 제 1 부분(121b, 122a, 122b)이 이를 통과한다. 한편, 제 2 부분(221b, 222a, 222b)이 통과하는 영역(12y', 12x', 12z')은 오목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쉘(12)은 영역(12y', 12x', 12z')에서보다 영역(12y, 12x, 12z)에서 더 얇다.
도 76 및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22a)의 제 1 부분(122a)의 상부는 디스크 스토퍼(53)의 저부보다 높은 수직 레벨에 위치된다. 또한, 디스크 홀더(22a)의 제 1 부분(122a)의 상부는 내상면(12u)상의 오목한 제 1 영역(12x)에 의해 수용된다. 제 1 부분(122a)에 단차부(223)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부분(122a)의 상면의 일부만이 내상면(12u)과 접촉한다. 한편, 디스크 홀더(22a)의 제 2 부분(222a)은 내상면(12u)과 접촉하지 않는다.
셔터(21, 22)를 부드럽게 개폐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홀더(22a)의 제 1 부분(122a)의 상부와 내상면(12u) 사이의 마찰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디스크 홀더(22a)의 제 1 부분(122a)의 상부는 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취할 때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 단차부(223)는 제 1 부분(122a)의 뾰족한 상부에 의해 초래되는 기계적 응력의 부족을 보상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상부가 좀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22b)의 제 1 부분(122b)의 상부 역 시 디스크 스토퍼(53)의 저부보다 높은 수직 레벨에 위치된다. 그리고 디스크 홀더(22b)의 제 1 부분(122b)의 상부는 내상면(12u)상의 오목한 제 1 영역(12z)에 의해 수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크 홀더(21b)의 제 1 부분(121b)의 상부 역시 디스크 스토퍼(53)의 저부보다 높은 수직 레벨에 위치되고, 내상면(12u)상의 오목한 제 1 영역(12y)에 의해 수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에서, 내상면(12u)의 영역(12x, 12y, 12z)은 각각 디스크 홀더(22a, 21b, 22b)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14)의 두께는 이 오목한 영역(12x, 12y, 12z)의 깊이만큼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314)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수직적으로 또는 뒤집혀 로딩되더라도, 더 이상 고정 상태가 아닌 디스크(100)는 셔터(21, 22)의 닫힘에 따라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22a)의 제 1 부분(122a)의 경사면(122a')과 반드시 접촉한다. 그 후, 디스크(100)는 디스크 홀더(22a)의 제 2 부분(222a)의 경사면(222a')과 접촉하도록 부드럽게 미끄럼 운동할 것이다(도 74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크 홀더(21a, 22a)는 협동하여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한다. 다른 2개의 디스크 홀더(21b, 22b) 역시 유사한 작용을 통해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14)는 감소된 두께를 갖더라도 모든 위치에서 셔터(21, 22)를 닫을 수 있고, 의도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가 디스크 홀더 형상의 변화 없이(또는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홀더를 사용하여) 감소된다면, 디스크 홀더(22a, 21b, 22b)가 통과하는 내상면(12u)상의 영역(12x, 12x', 12y, 12y', 12z, 12z')은 도 7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두 오목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부 쉘(12)은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두께가 감소될 것이고,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기계적 강도가 감소될 것이다. 반대로, 본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영역(12x, 12y. 12z)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의 감소 없이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4개의 디스크 홀더중 3개에 3개의 돌기부가 제공된다. 그러나, 제공되는 돌기부의 수는 디스크 홀더의 수 또는 셔터의 형상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는 디스크 스토퍼(53)의 형상에 있어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와 구별된다.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53)는 노치된 원형 판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스토퍼(5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노치(54)가 상부 쉘(12)의 디스크 윈도우(12w)를 따라 제공되고, 디스크 스토퍼(53)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노치(54)와 결합된다.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53)는 회전시 상부 쉘(12)의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유지된다. 또한,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53)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스토퍼(53)는 상부 쉘(12)내에 수납되나 디스크 윈도우(12w)내로는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만약 디스크 스토퍼(53)가 노치(54)로부 터 결합 해제되기 쉬운 상태라면, 상부 쉘(12)의 노치와 디스크 스토퍼(53)는 예를 들어 상호 결합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디스크 스토퍼(53)의 두께는 상부 쉘(12)의 상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14)는 전체적으로 감소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는 디스크 수납부의 내주의 저부에 디스크 지지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크 지지부(60)는 도 72, 도 77, 도 78 및 도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과 내측면(11i) 사이에 위치된다. 도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부(60)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에 평행한 상면(60a)을 갖는다.
도 81에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닫혀 있고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의 외주 및 그 주변부는 디스크 지지부(60)의 상면(60a)과 접촉한다. 따라서, 먼지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상에 부착되거나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상에 쌓이지 않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디스크 지지부(60)는 도 81에 도시된 것 외에 다른 어떤 형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테이퍼진 단면을 갖는 디스크 지지부(76)가 카트리지 본체(10)의 내측면(11i)과 내하면(11u)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21, 22)가 닫혀 있고 디스크(100)가 디스 크 홀더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의 외주 및 그 주변부는 디스크 지지부(76)와 접촉한다.
실시예 15
이후, 도 83 내지 도 8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5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15)가 설명될 것이다. 도 83 내지 도 87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바람직한 제 15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5)의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도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와는 달리, 본 바람직한 제 15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5)는 4가지 종류의 오목부(85, 86, 87 및 88a 내지 88c)를 포함한다. 오목부(85)는 셔터(21, 22)의 각 하면(21v, 22v)상에 형성된다. 다른 3가지 종류의 오목부(86, 87 및 88a 내지 88c)는 셔터(21, 22)와 접촉하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상에 형성된다. 이 4가지 종류의 오목부는 아래에서 하나씩 설명될 것이다. 디스크 카트리지(315)가 약 12cm의 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유지한다고 할 때, 이 오목부는 예를 들어 약 0.1mm 내지 약 0.3mm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셔터(21, 22)가 닫히고 열린 디스크 카트리지(315)의 2가지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 84 및 도 85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 종 오목부(86)는 셔터(21, 22)가 열리거나 닫힐 때 셔터(21, 22)의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와 접촉하는 내하면(11u)의 각 영역에 형성된다.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는 상부 및 하부 쉘(12, 11)의 사이에 거의 간극 없이 샌드위치 구조로 개재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15)의 각 부재가 함께 조립될 때 혹은 디스크 카트리지(315)의 부재중 어느 것이라도 디자인된 것과 매우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경우에는,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는 상부 및 하부 쉘(11, 12)과 접촉할 것이다. 이 경우,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와 상부 또는 하부 쉘(12 또는 11) 사이에는 과도한 마찰이 생성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셔터(21, 22)의 열림 또는 닫힘이 그다지 용이하게 되지 않거나, 과도한 마찰에 의해 먼지가 휘저어질 것이다.
그러나, 제 1 종 오목부(86)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 아래에 간극이 제공되고, 따라서 상기 마찰이 감소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셔터(21, 22)가 항상 부드럽게 열리거나 닫힐 수 있고, 마찰에 의해 먼지가 휘저어지지 않을 것이다.
제 2 종 오목부(87)는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셔터(21, 22)의 각 외측 에지가 위치되는 내하면(11u)의 영역에 형성된다. 도 84 및 도 8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오목부(87)는 내하면(11u)상에 셔터(21, 22)의 외측 에지를 규정하는 경계부를 따라 연장되고 경계부의 내부와 외부 모두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디스크 카트리지(315)는 디스크를 일 면이 드러난 채로 내부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사용자는 도 86에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디스크(100)를 가압할 수 있다.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보호하기 위해, 셔터(21, 22)의 각 상면은 부직포(21s, 22s)로써 덮이나, 그 외측 에지는 부직포(21s, 22s)로써 완전히 덮이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크(100)가 화살표(A) 방향을 따라 가압되면, 셔터(21, 22)의 외측 에지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접촉함으로써 도 8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기록면(100A)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종 오목부(87)가 제공되면, 셔터(21, 22)는 그 외측 에지가 부분적으로 제 2 종 오목부(87)내로 밀어 넣어지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가압력이 분산될 수 있어 셔터(21, 22)의 외측 에지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대해 지나치게 강하게 가압되지 않을 것이다.
제 3 종 오목부는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둘러싸도록 내하면(11u)상에 형성되는 오목부(88a)와; 셔터(21, 22)가 닫힐 때 셔터(21, 22)에 의해 중첩되지 않는 내하면(11u)의 영역에 형성되는 오목부(88b)와; 셔터(21, 22)가 닫힐 때 셔터(21, 22)에 의해 중첩되는 내하면(11u)의 영역에 형성되는 오목부(88c)를 포함한다. 오목부(88b, 88c)는 디스크 수납부(10d)의 원주를 따라 원을 그리도록 제공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3 종 오목부(88a)가 3개 있다.
본 디스크 카트리지(315) 역시 먼지가 디스크 카트리지(315)에 들어가거나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상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예를 들어, 디스크 지지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디스크 카트리지(315)에 들어가거나 신호기록면(100A)상에 부착된 먼지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제 3 종 오목부(88a, 88b, 88c)는 디스크 카트리지(315)에 들어간 먼지를 축적하기 위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셔터(21, 22)의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먼지가 이러한 제 3 종 오목부(88a, 88b, 88c)내에 수집된다. 일단 오목부(88a, 88b, 88c)내에 수집되면 먼지는 절대 셔터(21, 22)와 접촉하지 않으며, 오목부(88a, 88b, 88c) 밖으로 나가는 것 없이 오목부(88a, 88b, 88c)내에 잔류한다. 따라서, 이런 방식으로 먼지를 제 3 종 오목부(88a, 88b, 88c) 축적함으로써, 먼지가 셔터(21, 22)의 열림 또는 닫힘을 방해하지 않거나 과도한 마찰에 의해 휘저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제 1 종 오목부(86) 또는 제 2 종 오목부(87)에 의해서도 얻어진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15)는 이러한 오목부(86, 87, 88a, 88b, 88c)를 모두 포함해야할 필요가 없고 단지 한 종의 오목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렇더라도, 셔터(21, 22)는 먼지에 의해 그 열림 또는 닫힘이 방해되지 않을 것이고, 마찰로 인한 먼지 휘저음이 거의 없을 것이다. 또한, 셔터(21, 22)와 내하면(11u)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하여 예를 들어 제 2 종 오목부(87)내에 좀더 효과적으로 축적하기 위해서는, 셔터(21, 22)의 각 하면(21v, 22v)에 그 외측 에지를 따라 오목부(85)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21, 22)가 닫힐 때, 이 오목부(85)는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종 오목부(87) 내부에[즉, 카트리지(315)의 중심선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닫힐 때, 셔터(21, 22)의 오목부(85)는 내하면(11u)상의 제 2 종 오목부(87)와 불연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21, 22)가 오목부(85)를 가질 때, 셔터(21, 22)의 외측 에지는 좀더 용 이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화살표(A) 방향을 따라 외부에서 디스크(100)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셔터(21, 22)의 외측 에지는 용이하게 변형되며, 손상을 입힐 정도로 강하게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가압하는 경우가 훨씬 덜 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이 오목부(86, 87, 88a, 88b, 88c)는 그 내면이 점착 또는 용착에 의해 부직포로 덮일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이 오목부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내에 생성되는 간극이 충진될 수 있고, 먼지는 훨씬 덜 용이하게 디스크 카트리지(315)로 들어갈 것이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15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오목부가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이 오목부는 전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내지 제 13 실시예중 어느 것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에도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16
이후, 도 88 내지 도 9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16)가 설명될 것이다. 도 88 내지 도 93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도 8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6)는 카트리지 본체(10)의 제 1 및 제 2 측면(10p, 10q)상에 제 1 및 제 2 개폐기(22t, 93)를 각각 포함한다. 제 1 개폐기(22t)는 본 디스크 카트리지(316)가 디스크 드 라이브내로 삽입되는 방향(1A)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측면(10p)상에 형성되고, 제 2 개폐기(93)는 방향(1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측면(10q)상에 형성된다. 제 1 개폐기(22t)는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셔터 개폐기(22t)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개폐기(93)는 하부 쉘(11)에 제공된 샤프트(11q)에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갖는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쉘(11)의 측면은, 제 2 개폐기(93)가 샤프트(11q)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 본체(10)의 제 2 측면(10q)을 통해 제 2 개폐기(93)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개구부(11r)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샤프트(11q)는 상부 쉘(12)에 제공될 수 있다.
셔터(21, 22) 역시 하부 쉘(11)의 고정용 및 잠금용 개구부(11h, 11c)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제공된다. 셔터(21, 22)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셔터와 동일하다. 제 1 개폐기(22t)는 셔터(22)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제 2 개폐기(93)와 결합하는 섹터 기어(21m)가 셔터(21)의 외측면상에 형성되고, 디스크 홀더(21b) 근처에 위치된다. 섹터 기어(21m)의 회전 중심은 셔터(21)의 샤프트 홀(21u)이다. 셔터(21)의 외측면 역시 섹터 기어(21m)에 인접한 오목부(21n)를 갖는다. 이 오목부(21n)는 제 2 개폐기(93)가 섹터 기어(21m)와 결합하는 공간을 규정하도록 형성된다.
셔터(21, 22)는 제 1 개폐기(22t)를 사용함으로써 다음의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먼저, 도 9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잠금 장치(20k)를 구성하는 잠금 돌기부(21k) 및 잠금 결합부(22k)가 상호 결합 해제된다. 이어서, 제 1 개폐 기(22t)가 도 90에서 화살표(22W)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제 1 측면(10p)을 따라 미끄럼 운동된다. 결과적으로, 다른 쪽 셔터(21) 역시 연동 장치(20c)를 통해 셔터(22)와 동기에 움직이게 되고, 이 2개의 셔터(21, 22)는 도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용 및 고정용 개구부(11h, 11c)를 개방시킨다.
셔터(21, 22)는 또한 제 2 개폐기(93)를 사용함으로써 다음의 방식으로 열릴 수 있다. 먼저, 잠금 장치(20k)가 도 9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 해제된다. 다음에, 제 2 개폐기(93)가 화살표(93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섹터 기어(21m)가 제 2 개폐기(93)와 결합되고 샤프트 홀(21u)상에서 회전하기 시작함으로써 셔터(21)를 연다. 다른 쪽 셔터(22) 역시 연동 장치(20c)를 통해 셔터(21)와 동기에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이 2개의 셔터(21, 22)는 헤드용 및 고정용 개구부(11h, 11c)를 개방시킨다. 헤드용 및 고정용 개구부(11h, 11c)가 도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에 의해 완전히 개방될 때, 제 2 개폐기(93)의 일부가 셔터(21)의 오목부(21n)내에 위치된다.
셔터(21, 22)를 닫기 위해서는 제 1 개폐기(22t)가 화살표(22w)의 반대 방향을 따라 미끄럼 운동되거나, 제 2 개폐기(93)가 화살표(93A)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16)는 셔터(21, 22)가 닫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셔터(21, 22)에 탄성력을 가하는 셔터 스프링(31, 32)을 포함한다. 따라서, 셔터 스프링(31, 3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셔터(21, 22)를 열기에 충분하거나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이 제 1 또는 제 2 개폐기(22t, 93)에 가해지지 않는다면, 셔터(21, 22)는 자동으로 닫힌다.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에서, 개폐기는 본 디스크 카트리지(316)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측면과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과 평행한 측면 모두에서 셔터(21, 22)에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된 디스크 드라이브가,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면상에서 셔터 개폐기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하고만 호환 가능한지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면상에서 셔터 개폐기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하고만 호환 가능한지에 상관없이, 항상 디스크 드라이브가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수납된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판독하거나 디스크상에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16)가 삽입되는 방향에 평행한 측면에 제공되는 제 2 개폐기(93)는 기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제공될 셔터 개폐 장치 역시 제 2 개폐기(93)와 결합할 수 있는 모든 기어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 카트리지(316)는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셔터(21, 22)를 열거나 닫기 위해 상대적으로 간단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섹터 기어(21m)는 디스크 홀더(21b) 근처에 제공된다. 이것은 이러한 위치의 섹터 기어(21m)와 셔터(21)의 샤프트 홀(21u)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고, 섹터 기어(21m)는 셔터(21)를 완전히 열기 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섹터 기어(21m)가 상기 위치에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섹터 기어(21m)와 제 2 개폐기(93)는 도 92 및 도 9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2 및 도 93에 도시된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섹터 기어(21m)는 연장될 때 섹터 기어(21m)에 의해 그려지는 원형 자취가 실질적으로 디스크(100)의 중심과 교차하도록 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 2 개폐기(93)는 섹터 기어(21m)와 결합하도록 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개폐기(93)가 상기 위치에 제공될 때, 섹터 기어(21m)는 셔터(21)를 열기 위해 상대적으로 길어야 하나, 섹터 기어(21m)와 샤프트 홀(21u) 사이의 거리 역시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받침 점과 작용점 사이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좀더 약한 힘으로도 제 2 개폐기(93)를 회전시키고 셔터(21, 22)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실시예 17
이후, 도 94 내지 도 9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7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17)가 설명될 것이다. 도 94 내지 도 97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바람직한 제 17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7)의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도 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바람직한 제 17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7)는 전술된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제 2 개폐기(93) 대신 제 2 측면(10q)상에 제 2 개폐기(94)를 포함한다.
도 9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개폐기(94)는, 하부 쉘(11)의 개구부(11r)를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고 대략 그 중심에서 굽혀진 링크 부재이 다. 또한, 제 2 개폐기(94)는 그 일 단부에 돌기부(94a)를 포함한다. 이 돌기부(94a)는 디스크 홀더(21b) 근처에서 셔터(21)의 상면상에 제공되는 홈(21i)과 결합한다.
도 96 및 도 97은 셔터(21, 22)가 닫히고 열린 디스크 카트리지(317)의 2가지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바람직한 제 13 및 제 16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셔터(21, 22)는 제 1 개폐기(22t)를 화살표(22W)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시킴으로써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셔터(21, 22)는 또한 제 2 개폐기(94)를 사용함으로써 다음의 방식으로 열릴 수 있다. 먼저, 잠금 장치(20k)가 도 9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 해제된다. 다음에, 제 2 개폐기(93)가 화살표(94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미끄럼 운동된다. 본 작용의 결과로, 제 2 개폐기(94)의 돌기부(94a)를 화살표(94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 2 개폐기(94)에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셔터(21)가 샤프트 홀(21u)상에서 회전되고 열린다. 다른 쪽 셔터(22) 역시 연동 장치(20c)를 통해 셔터(21)와 동기에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이 2개의 셔터(21, 22)는 헤드용 및 고정용 개구부(11h, 11c)를 개방시킨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개폐기(94)의 화살표(94B) 반대 방향 미끄럼 운동에 의해서도 셔터(21, 22)가 닫힐 수 있고, 셔터 스프링(31, 32) 역시 셔터(21, 22)를 닫도록 하는 방향으로 셔터(21, 22)에 탄성력을 가한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처럼, 사용된 디스크 드라이브가,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면상에서 셔터 개 폐기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하고만 호환 가능한지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면상에서 셔터 개폐기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하고만 호환 가능한지에 상관없이, 항상 디스크 드라이브는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내(317)에 수납된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판독하거나 디스크상에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도 96 및 도 9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 22)를 열기 위해 제 2 개폐기(94)가 미끄럼 운동되는 화살표(94B) 방향은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1A)과 역평행하다. 따라서, 제 2 개폐기(94)와 결합하는 돌기부가 디스크 드라이브에 제공된다면, 본 디스크 카트리지(317)가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삽입되려는 동안 그 돌기부는 제 2 개폐기(94)와 결합하고 디스크 카트리지(317)의 셔터(21, 22)를 연다. 따라서, 단순화된 셔터 개폐 장치가 디스크 드라이브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18
이후, 도 98 내지 도 10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8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18)가 설명될 것이다. 도 98 내지 도 101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바람직한 제 18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8)의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도 9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바람직한 제 18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8)는 전술된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제 2 개폐기(93) 대신 제 2 측면(10q)상에 제 2 개폐기(96)를 포함한다.
도 9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개폐기(96)는 셔터(21)의 디스크 홀더(21a)에 연결된 벨트 부재이다. 본 벨트 부재(96)는 그 일 단부에 돌기부(96a)를 갖는다. 그리고, 돌기부(96a)는 하부 쉘(11)의 개구부(11r)를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개폐기(96)는 셔터(2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0 및 도 101은 셔터(21, 22)가 닫히고 열린 디스크 카트리지(318)의 2가지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바람직한 제 16 및 제 17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셔터(21, 22)는 제 1 개폐기(22t)를 화살표(22W)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시킴으로써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셔터(21, 22)는 또한 제 2 개폐기(96)를 사용함으로써 다음의 방식으로 열릴 수 있다. 먼저, 잠금 장치(20k)가 도 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 해제된다. 다음에, 제 2 개폐기(96)의 돌기부(96a)가 화살표(94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미끄럼 운동된다. 본 작용의 결과로, 셔터(21)의 단부를 샤프트 홀(21u)상에서 회전시키는 방향, 즉 화살표(96C)로 표시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다른 쪽 셔터(22) 역시 연동 장치(20c)를 통해 셔터(21)와 동기에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이 2개의 셔터(21, 22)는 헤드용 및 고정용 개구부(11h, 11c)를 개방시킨다. 셔터(21, 22)를 닫기 위해, 제 2 개폐기(96)의 돌기부(96a)는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될 수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처럼, 사용된 디스크 드라이브가,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면상에서 셔터 개 폐기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하고만 호환 가능한지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면상에서 셔터 개폐기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하고만 호환 가능한지에 상관없이, 항상 디스크 드라이브는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내(318)에 수납된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판독하거나 디스크상에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제 2 개폐기(96)가 셔터(2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318)를 구성하는 부재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카트리지가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그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6 내지 제 18 실시예에서, 제 2 개폐기는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해 좌측에 제공된다. 그러나, 제 2 개폐기의 위치는 좌측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제 2 개폐기는 도 8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해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우측(10r)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제 2 개폐기는 도 8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배면(10t)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바람직한 제 18 실시예의 벨트 형상의 제 2 개폐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디스크 카트리지(318)가 그 세부 사항이 변경되지 않은 채 그 배면에 제 2 개폐기(96)의 돌기부(96a)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19
이후, 도 102 및 도 10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9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19)가 설명될 것이다. 도 102 및 도 103에서, 전술된 바람직 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바람직한 제 19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9)의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19)는 디스크 홀더(21b, 22a, 22b)에 회전 스토퍼(97)가 제공되고, 셔터(21, 22)에 오목부(89)가 제공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오목부(89)는 부직포를 셔터(21, 22)에 초음파 용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디스크 홀더(21b, 22a, 22b)는 회전 스토퍼(97)와 결합하는 홀(21q, 22r, 22q)을 포함한다. 도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토퍼(97)는 디스크 홀더(21b, 22a, 22b)의 경사면(21b', 22a', 22b')에서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와 접촉한다. 회전 스토퍼(97)는 마찰 계수가 큰 탄성 재료, 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크(100)의 원하지 않는 회전을 충분히 정지시키기 위해 회전 스토퍼(97)를 포함하여야 한다는 점이 주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디스크(100)의 의도하지 않는 회전을 좀더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회전 스토퍼(97)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조에서는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21a, 21b, 22a, 22b)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 디스크(100)와 밀착한 회전 스토퍼(97) 때문에 사용자가 디스크(100)를 그다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크(100)를 셔터(21, 22)에 대해 가압하면서 의도적으로 디스크(100)를 회전시키려 하더라도, 디스크(100)는 그다지 용이하게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착된 먼지가 셔터(21, 22)를 덮는 부직포에 부착되었더라도, 사용자가 디스크(100)를 실수로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디스크(100)는 그러한 먼지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회전 스토퍼(97)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크(100)가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일정하지 않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접촉하는 셔터 표면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부직포가 초음파 용착되는 오목부(89)를 셔터(21, 22)가 포함한다. 도 10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목부(89)는 신호기록면(100A)과 접촉하는 셔터(21, 22) 부분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오목부(89)는 외주내에도 형성된다. 그러나, 부직포가 의도된 바와 같이 셔터(21, 22)에 점착될 수 있는 한, 오목부(89)는 도 102에 도시된 영역 외의 다른 곳 어디에라도 형성될 수 있다. 이 오목부(89)에서 부직포가 셔터(21, 22)에 초음파 용착된다. 부직포가 셔터(21, 22)에 초음파 용착될 때, 부직포가 부분적으로 경화될 수 있거나 셔터(21, 22)의 수지 재질이 부직포에서 부분적으로 돌출할 수 있다. 그렇더라도, 이렇게 경화되거나 돌출한 부분은 오목부(89)에 의해 수용되고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부직포가 셔터(21, 22)에 부착될 때, 전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18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중 어느 것에서도 이 오목부(89)는 바람직하게는 셔터(21, 22)상에 형성된 다.
실시예 20
이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0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20)가 설명될 것이다.
먼저,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전체적 구조가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될 것이다. 디스크 카트리지(320)는 하부 쉘(11), 상부 쉘(12), 제 1 셔터(21), 제 2 셔터(22), 디스크 스토퍼(23), 보호 부재(24) 및 회전 부재(25)를 포함한다. 이 부재들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부재들을 모두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대신에, 기계적 강도 또는 요구되는 외관의 관점에서 이 부재들에 가장 좋은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는 내하면(11u)을 갖는다. 내하면(11u)은 고정용 개구부(11c)와 헤드용 개구부(11h)를 갖는다. 고정용 개구부(11c)를 통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가 외부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320)에 들어간다. 신호를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으로부터 판독 및/또는 신호기록면(100A)상에 기록하는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11h)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20)에 들어가 디스크(100)상의 목표 위치를 액세스한다. 헤드용 개구부(11h)는 고정용 개구부(11c)와 연속적이고 하부 쉘(11)의 일 측면에 도달한다. 또한, 다른 개구부(11r)가 하부 쉘(11)의 다른 쪽 측면상에 제공되는데, 이 다른 쪽 측면은 헤드용 개구부(11h)를 갖는 측면에 이웃한다.
나중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내하면(11)은 회전 부재(25)에 제공된 볼록부(25e, 25f)의 각 단부를 수용하는 2개의 홈(11e, 11f)을 갖는다. 홈(11e, 11f)은 내하면(11u)의 저부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하면(11u)은 제 1 및 제 2 셔터(21, 22)에 각각 제공되는 샤프트(37, 38)를 수용하는 샤프트 홀(39)을 더 포함한다. 이 샤프트 홀(39) 역시 내하면(11u)의 저부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샤프트(37, 38)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상에 형성되고, 샤프트 홀(39)은 하부 쉘(11)상에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샤프트 홀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상에 형성되고, 샤프트가 하부 쉘(11)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쉘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카트리지 위치결정 핀이 삽입되는 2개의 위치결정 홀(11w)을 더 포함한다.
상부 쉘(12)은 원형 디스크 윈도우(12w)를 포함하는데, 이 디스크 윈도우(12w)는 디스크(100)의 전체 투영 영역에 걸쳐 확장된다. 디스크 윈도우(12w)는 카트리지 본체(10)의 주면체 형상 내측면(12i)에 의해 규정된다. 디스크(100)는 이 디스크 윈도우(12w)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20)내로 삽입될 수 있다. 내측면(12i)은 노치(12g)를 갖는다.
상부 쉘(12)의 상면(12d) 역시 노치(12j)를 갖는데, 이 노치(12j)는 디스크 스토퍼(23)와 결합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쉘(12)의 상면(12d)과 디스크 스토퍼(23)는 디스크 스토퍼(23)가 상부 쉘(12)로부터 그다지 용이하게 결합 해제되지 않도록 상호 결합하는 오목부/볼록부를 구비한다. 디스크 스토퍼(23)가 상부 쉘(12)에 정합될 때, 디스크 스토퍼(23)의 일부가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돌출한 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본체의 전체 두께를 가능한 한 감소시키기 위해, 상부 쉘(12)의 일부를 남김없이 제거함으로써 노치(12j)가 형성된다. 그러나, 디스크 카트리지가 도시된 것의 두께보다 어느 정도 더 큰 두께를 가진다면, 상부 쉘(12)의 일부를 남겨 제거함으로써 노치(12j) 대신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오목부와 결합하는 디스크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8)의 디스크 스토퍼(23) 및 노치가 본 바람직한 제 20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0)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디스크 스토퍼(12s)가 윈도우(12w)내로 확장하도록 상부 쉘(12)에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크 스토퍼(12s, 23)는 적재된 디스크(100)가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폐되는 동안 떨어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디스크 스토퍼(12s, 23)는 디스크 카트리지(320)가 수직 로딩 디스크 드라이브에 로딩되는 경우 특히 효과적이다. 본 디스크 카트리지(320)로부터 디스크(10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스토퍼(23)가 상부 쉘(12)로부터 결합 해제 및 제거되어야 하고, 디스크(100)가 예를 들어 노치(12j) 둘레로부터 들어올려져야 한다. 선택적으로, 3개 또는 그 이상의 디스크 스토퍼가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디스크 스토퍼 각각은 다른 모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104에 도시된 것 외에 어느 곳에라도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쉘(12, 11)은 그 외주 둘레에서 함께 점착, 용착, 또는 결합(예를 들어 스크류 체결)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10)를 형성한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10)의 내측면(12j)과 내하면(11u)은 디스크(100)를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수 납부를 함께 구성한다.
디스크 수납부에서, 내측면(12i)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은 디스크(100)가 내측면(12i)과의 접촉 없이 자유롭게 회전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넓다. 디스크 수납부의 상부는 디스크 윈도우(12w)로서 열려 있고, 디스크 수납부내에 수납되는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은 디스크 윈도우(12w)내에서 완전히 노출된다. 한편, 디스크(100)의 제 2 면, 즉 신호기록면(100A)은 내하면(11u)을 대면한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카트리지(320)는 디스크의 양면이 덮이는 종래의 카트리지보다 더 얇을 수 있다. 또한, 디스크(100)의 라벨 면이 디스크 윈도우(12w)내에서 표시될 수 있어, 사용자가 라벨 면(100B)(즉 제 1 면)상에 프린트된 디스크(100)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라벨 면의 디자인을 표시함으로써, 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역시 양호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상에 제공된다.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20)내에 수납될 때,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내하면(11u) 사이에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각각 샤프트(37, 38)를 갖는데, 이 샤프트는 하부 쉘(11)의 샤프트 홀(39)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샤프트(37, 38)상에서 회전함으로써, 헤드용 및 고정용 개구부(11h, 11c)를 폐쇄 또는 개방시킨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열릴 때, 디스크(100)의 제 2 면(100A)은 헤드용 개구부(11h)내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힐 때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100) 의 중심 홀(100h)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홀(20h)을 규정하도록 제 1 및 제 2 셔터(21, 22)에 노치가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노치는 각각 볼록부(21w, 22w)로써 둘러싸인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힐 때, 이 볼록부(21w, 22w)는 상호 밀착함으로써 디스크(100)의 중심 홀(100h)의 내주에 인접한 링(20w)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제 12 실시예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링(20w)은 먼지가 중앙 홀(100h)을 통해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볼록부(21w, 22w)는 각각 돌기부(35, 36)를 갖는다. 즉, 돌기부(35, 36)의 상부는 볼록부(21w, 22w)의 상부보다 높다.
또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100)를 디스크 수납부내에 유지하기 위해, 제 1 셔터(21)는 디스크 홀더(21b)를 포함하고 제 2 셔터(22)는 디스크 홀더(22a, 22b)를 포함한다. 이 디스크 홀더(21b, 22a, 22b)는 전술된 바람직한 제 8 내지 제 19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디스크 홀더처럼 작용한다. 바람직한 제 8 내지 제 19 실시예에서는 제 1 셔터가 디스크 홀더(21a)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바람직한 제 20 실시예에서는 제 1 셔터(21)가 디스크 홀더(21a) 대신에 볼록부(27a)를 포함한다. 볼록부(27a)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힐 때 디스크(100)의 측면이 하부 쉘(11)의 일 측면에 도달하는 헤드용 개구부(11h)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닫혔을 때 선을 따라 완전히 상호 접촉하는 대신, 선에 정렬되지 않은 다수의 접촉부를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셔터(21, 22)는 제 1 쌍의 접촉부(21f, 22f)와 제 2 쌍의 접촉부(21g, 22g)를 각각 갖는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촉부(21f, 22f)는 대략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중심선을 따라 상호 접촉한다. 한편, 접촉부(21g, 22g)는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중심선과 사전 결정된 각도(예를 들어, 약 15도 내지 약 18도)를 규정하는 선을 따라 상호 접촉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효과는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되었다. 역시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접촉부(21g, 22g)는 디스크(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상호 중첩한다.
나중에 자세히 설명될 것이나,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 25f)와 각각 결합하는 가이드 홈(27e, 28f)을 포함한다. 가이드 홈(27e, 28f)은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 25f)가 홈(11e, 11f)에 각각 도달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셔터(21, 22)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회전 부재(25)는 측벽(25i)과, 측벽(25i)의 저부에 연결되는 디스크 지지부(25a)를 포함한다. 측벽(25i)은 주면체 형상이고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100)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측벽(25i)은 3개의 노치(25d, 25g, 25h)에 의해 불연속적이다. 디스크 지지부(25a)는 노치(25c)를 포함하는 평면 링 형상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열림에 따라, 회전 부재(25)가 회전됨으로써 헤드용 개구부(11h)로 노치(25c)를 중첩한다. 보호 부재(24)를 움직이기 위한 돌기부(25m)가 노치(25d) 근처에 제공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부 쉘(11)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25e, 25f)는 디스크 지지부(25a)의 하면상에 제공된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셔터 개폐 장치와 결합하는 개폐기(25j)가 측벽(25i)의 외측면상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디스크 드 라이브의 셔터 개폐 장치가 기어 형상을 가진다면, 측벽(25i)의 외측면상에는 개폐기(25j) 대신 기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보호 부재(24)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내측면(12i)의 노치(12g)내에 위치된다. 보호 부재(24)의 구조 및 작용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각 부재는 도 104에 도시된 수직 위치 관계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결과적으로, 하부 및 상부 쉘(11, 12)은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하부 쉘(11)상에 위치되고 회전 부재(25)가 셔터(21, 22) 위에 위치되도록 함께 결합된다.
도 105는 상부 쉘(12)이 제거된 디스크 카트리지(32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6은 도 105에 도시된 F-F 선에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셔터는 닫혀 있다.
도 1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셔터(22)의 디스크 홀더(22a)는 회전 부재(25)의 노치(25d)내에서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한다. 디스크(100)는 또한 회전 부재의 노치(25g, 25h)내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디스크 홀더(21b, 22b)에 의해 유지된다.
회전 부재(25)의 개폐기(25j)는 하부 쉘(11)의 개구부(11r)내에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돌기부(35, 36)는 디스크(100)의 중심 홀(100h)내로 돌출한다. 회전 부재(25)의 회전 중심은 실질적으로 디스크(100)의 중심에 정렬된다. 즉, 회전 부재(25)는 실질적으로 디스크(100)의 중심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디스크 수납부내에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샤프트(37, 38)는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지지부(25a) 아래에 위치된다. 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의 상부와 상부 쉘(12)의 상면(12d)의 저부 사이에는 간극이 거의 없고, 따라서, 회전 부재(25)의 수직 움직임이 규제된다. 따라서, 회전 부재(25)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샤프트(37, 38)가 하부 쉘(11)의 샤프트 홀(39)로부터 들어올려져 결합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지지부(25a)는 경사진 상면(25k)을 갖고, 따라서 디스크(100)는 측벽(25i) 근처에서 디스크 지지부(25a)의 상면(25k)의 일부하고만 접촉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회전 부재(25)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링 형상의 디스크 지지부(25a)의 폭이 증가되더라도, 상면(25k)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의 일부하고만 그 외주에서 접촉한다. 따라서, 신호 기록 영역은 디스크 지지부(25a)와 거의 접촉하지 않는다.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디스크 지지부(25a) 일부의 상부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볼록부(21w, 22w)의 상부와 동일한 수직 레벨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닫히려 하거나 열리려 하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디스크(100)를 그 위에/그로부터 적재하거나 내리는 방식이 설명될 것이다. 도 107은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와 회전 부재(25)의 각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8은 도 107의 G-G 선에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단면도이다. 도 109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와 회전 부재(25)의 각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0은 도 109의 H-H 선에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단면도이다. 도 107 및 도 109에서, 디스크(100)는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다.
도 1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 홀더(21b, 22a, 22b)는 디스크(100)의 중심을 향해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의 노치(25g, 25d, 25h)를 통해 돌출함으로써,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한다. 도 1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22a, 22b)는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의 외측 에지와 접촉하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면(22a', 22b')을 갖는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22a, 22b)는 디스크(100)를 그 중심을 향해서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셔터(21, 22)를 향해서도 가압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디스크 홀더(21b) 역시 동일한 상태에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의 외주 둘레 일부는 디스크 지지부(25a)와 접촉한다. 또한, 바람직한 제 12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볼록부(21w, 22w)는 디스크(100) 신호기록면(100A)의, 중심 홀(100h)(도시하지 않음) 근처의 일부와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신호 기록 영역상에는 먼지 또는 미세 입자가 부착되지 않고 손상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에 의해 규정된 홀(20h)은 디스크(100)의 중심 홀(100h)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본 디스크 카트리지(320)가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진 채로 뒤집혀 놓이더라도,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상의 어느 부분도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홀(20h)내에서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이유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상에는 먼지가 부착되지 않을 것이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를 열기 위해, 개폐기(25j)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셔터 개폐 장치와 결합되고, 화살표(25A)로 표시된 방향으로 돌려진다. 이어서, 회전 부재(25)가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회전하기 시작하고 돌기부(25e, 25f) 역시 디스크(100)의 중심 둘레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돌기부(25e, 25f)는 각각 가이드 홈(27e, 28f)과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하는 돌기부(25e, 25f)는 가이드 홈(27e, 28f)의 측벽을 가압하면서 각각 화살표(27E, 27F)에 의해 표시된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27e, 28f)내로 들어간다. 가이드 홈(27e, 28f)의 측벽이 돌기부(25e, 25f)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화살표(21A, 22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샤프트(37, 38)상에서 각각 회전한다.
디스크 홀더(21b) 역시 화살표(21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샤프트(37)상에서 회전하기 시작하고, 디스크 홀더(22a, 22b)는 화살표(22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샤프트(38)상에서 회전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21b, 22a, 22b)는 디스크(100)에서 멀어져 디스크(100)를 해제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열림에 따라, 제 1 및 제 2 셔터(21, 22)상의 돌기부(35, 36) 역시 각각 화살표(21A, 22A)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동안, 디스크(100)는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돌기부(35, 36)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상의 비신호기록 영역(100e)(anti-signal recording area)과 접촉한다. 돌기부(35, 36)는 볼록부(21w, 22w)의 수직 레벨보다 높은 수직 레벨에 위치된다. 따라서, 돌기부(35, 36)가 신호기록면(100A)과 접촉하는 동안, 볼록부(21w, 22w)는 신호기록면(100A)과 접촉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볼록부(21w, 22w)가 신호기록면(100A), 또는 특히 그 신호기록 영역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부재(25)가 사전 결정된 각도까지 회전되면, 돌기부(25e, 25f)는 도 1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가이드 홈(27e, 28f)의 단부에 곧 도달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헤드용 및 고정용 개구부(11h, 11c)를 전체 개방시키도록 완전히 열릴 것이다.
이 때,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지지부(25a)의 노치(25c)는 헤드용 개구부(11h)에 정렬되고, 디스크 지지부(25a)의 어느 부분도 헤드용 개구부(11h)내에서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완전히 열렸을 때, 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가 용이하게 디스크(100)를 액세스할 수 있고 회전 부재(25)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도 109 및 도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열리더라도,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돌기부(35, 36)는 여전히 디스크(100) 신호기록면(100A)상의 비신호기록 영역(100e)과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신호기록 영역은 돌기부(35, 36)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셔터(21, 22)를 닫기 위해, 각 부재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즉,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힘에 따라, 디스크 홀더(21b, 22a, 22b)는 디스크(100)에 접근하고 점차적으로 그 위에 디스크(100)를 유지한다. 이 작용은 바람직한 제 8 내지 제 13 실시예에서 이미 자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다음에, 보호 부재(24)의 구조와 작용이 설명될 것이다. 도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부재(24)는 측벽(24d)과, 측벽(24d)의 단부에 제공되는 1쌍의 샤프트(24b)를 포함한다. 측벽(24d)의 저부에는 제 1 접촉부(24a)가 제공된다. 제 1 접촉부(24a)는 디스크(100)의 외측면과 접촉하여야 하며, 디스크(100)의 외측면과 곡률 반지름이 동일한 곡면을 갖는다. 측벽(24d)의 배면은 제 2 접촉부(24f)이다. 암(24c)이 샤프트(24b) 각각의 근처에 제공되며 그 단부에 제 3 접촉부(24e)를 갖는다.
도 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부재(24)는 상부 쉘(12)의 상면(12d)과 회전 부재(25)의 측벽(25i) 사이에 샤프트(24b)가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화살표(24a)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보호 부재(24)는 샤프트(24b)상에서 진동 운동할 수 있다. 샤프트(24b)의 각 중심을 함께 연결하는 선은 디스크(100)에 대해 규정되는 접선에 평행하며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보다 높은 수직 레벨에 위치된다.
도 113 및 도 114는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의 보호 부재(24) 일 단부 및 중심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13 및 도 1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4d)은 디스크(100)의 중심을 향해 가압되는데, 이로써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m)가 보호 부재(24)의 제 2 접촉부(24f)와 접촉하고, 제 1 접촉부(24a)는 디스크(100)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디스크 지지부(25a)(도 104 참조)의 노 치(25c)를 통해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도달하는 먼지나 오염물이 없을 것이다. 이 방식에서, 디스크 지지부(25a)와 보호 부재(24)는 디스크(100)의 외주와 계속 접촉함으로써, 먼지 또는 오염물이 신호기록면(100A)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를 열기 위해 회전 부재(25)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m)가 보호 부재(24)로부터 멀어진다. 결과적으로, 보호 부재(24)에는 더 이상 디스크(100)를 향하여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더 열림에 따라, 그리고 회전 부재(25)가 더 회전함에 따라, 회전 부재(25) 측벽(25i)의 외측면이 곧 보호 부재(24)의 제 3 접촉부(24e)와 접촉할 것이고, 이로써 측벽(24d)을 외측으로 가압할 것이다. 도 115 및 도 116은 보호 부재(24)의 일 단부 및 중심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외측면은 보호 부재(24)의 제 1 접촉부(24a)와 접촉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는 이제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에서, 보호 부재(24)는 회전 부재(25)가 회전됨에 따라 선회 운동함으로써, 디스크(100)의 외측면과의 접촉과, 디스크(100)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디스크(100)의 외측면과의 비접촉을 번갈아 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크(100)의 라벨 면(100B)은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내부에서 표시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20)는 양호한 디자인 및 감소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회전 부재(25)를 회전시킴으로써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100)는 디스크 홀더(21b, 22a, 22b)에 의해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00)가 디스크 수납부내에 유지된 동안, 디스크(100)의 라벨 면(100B)이 노출된다. 그렇더라도,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지지부(25a),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돌기부(21w, 22w), 그리고 회전 부재(25)와 연동되는 보호 부재(24)는 함께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을 먼지, 오염물 및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20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1r)가 하부 쉘(11)의 일 측면상에 제공됨으로써, 회전 부재(25)를 회전시키기 위한 개폐기(25j)가, 헤드용 개구부(11h)를 포함하는 하부 쉘(11)의 타 측면에 인접한 상기 일 측면상에서, 작동된다. 대안적으로, 개폐기(25j)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다른 모든 측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다수의 개폐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폐기(25j)는 제 1 개폐기로 사용되고,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용 제 2 개폐기로서 돌기부가 헤드용 개구부(11h)내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9)가 제 2 셔터(22)의 디스크 홀더(22a) 근처의 제 2 개폐기로서 제공됨으로써, 제 2 셔터(22)가 직접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셔터(22)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부재(25)가 회전함으로써, 제 1 셔터(21)를 동기에 움직이게 한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20 실시예에서는, 먼지가 디스크 지지부(25a)의 노치(25c)를 통해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도달하는 것을 보호 부재(24)가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먼지가 노치(25c)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20)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모든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내측면(12i)의 노치(12g)는 내측면(12i)을 연장시킴으로써 폐쇄될 수 있고, 제 2 셔터(22)(도시하지 않음)의 디스크 홀더(22b)는 디스크(100)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13 실시예의 디스크 홀더처럼, 디스크 홀더(22b)는 디스크(100)의 중심을 향해 움직일 수 있어야 하고, 탄성력이 역시 디스크(100)의 중심을 향해 디스크 홀더(22b)에 가해져야 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9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 부재가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디스크 홀더(22b) 일부에 제공됨으로써, 도 1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로부터의 탄성력이 디스크(100)를 그 중심을 향해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디스크 홀더(22b)는 디스크(100)와 접촉하고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함으로써, 디스크(100)의 외측면을 카트리지 본체(10) 내측면(12i)의 노치(25c)를 향해 가압한다. 디스크 수납부 및 디스크(100)의 크기는 서로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내측면(12i)의 곡률 반지름은 대략 디스크(100) 외측면의 곡률 반지름과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의 외측면은 카트리지 본체(10)의 내측면(12i)과 밀착한다. 따라서, 내측면(12i)과 디스크 지지부(25a)는 함께 먼지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보호 부재(24)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 지의 구조를 단순화시킨다.
실시예 21
이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21)가 설명될 것이다.
도 119는 바람직한 제 2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바람직한 제 2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1)는 다른 형상의 디스크 스토퍼(55)와 하부 쉘(11)상의 연삭 가공 홀(11n)(removal history hole)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04에 도시된 바람직한 제 20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0)와 구별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제 21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디스크 스토퍼(55) 및 연삭 가공 홀(11n)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
도 1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55)가 상부 및 하부 쉘(12, 11)로 구성된 카트리지 본체의 측면 근처에, 헤드용 개구부(11h)를 갖는 카트리지 본체의 다른 측면을 대향하도록, 제공된다. 샤프트(55a)가 디스크 스토퍼(55)의 장측면의 일 단부 근처에 제공되고, 그 타 단부는 돌기부(55e)를 갖는 걸쇠부(55d)를 포함한다.
상부 쉘(12)은 디스크 스토퍼(55)의 샤프트(55a)를 수용하기 위한 샤프트 홀(12m)과, 걸쇠부(55d)가 삽입되는 개구부(12p)와, 걸쇠부(55d)의 돌기부(55e)를 수용하기 위한 다른 홀을 포함한다. 상부 쉘(12)은 또한 오목부(12k)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크 스토퍼(55)가 상부 쉘(12)에 부착될 때 디스크 스토퍼(55)의 상면이 상부 쉘(12)의 상면(12d)과 같은 높이가 된다. 샤프트 홀(12m)과 개구부(12p)는 오목부(12k)에 형성된다. 디스크 스토퍼(55)가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그리고 수납된 디스크(100) 위로 돌출하는 동안, 걸쇠부(55d)의 돌기부(55e)가 홀(12n)내로 삽입됨으로써, 디스크 스토퍼(55)를 상부 쉘(12)상에 고정시킨다.
하부 쉘(11)은 연삭 가공 홀(11n)을 포함한다. 도 120은 연삭 가공 홀(11n) 및 그 주변 부재를 좀더 큰 축척으로 도시한다. 도 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 가공 홀(11n)은 캡 부재(56)로써 거의 덮인다. 구체적으로, 캡 부재(56)는 커넥터(56a)를 통해 연삭 가공 홀(11n)의 내측벽에 연결된다. 캡 부재(56)는 기둥(또는 핀) 형상이고 그 상부에 돌기부(56b)를 포함한다.
연삭 가공 홀(11n)의 중심은 상부 쉘(12)의 샤프트 홀(12m)의 중심 및 디스크 스토퍼(55)의 샤프트(55a)의 중심에 정렬된다. 나중에 상세히 되겠지만, 캡 부재(56)는 디스크 스토퍼(55)와 결합된다. 따라서, 디스크 스토퍼(55)가 샤프트(55a)상에서 회전될 때, 회전력이 캡 부재(56)를 그 축(56c) 둘레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캡 부재(56)에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커넥터(56a)가 연결 해제되고, 캡 부재(56)는 하부 쉘(11)로부터 떨어져 낙하하며, 연삭 가공 홀(11n)이 완전히 열린다.
디스크 카트리지(321)가 제조될 때, 디스크(100)는 상부 쉘(12)의 내측면(12i)에 의해 규정되는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된다. 그 후,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321)에서 디스크(100)를 제거하기 위해 디스크 스토퍼(55)를 회전시키면, 캡 부재(56)가 떨어져 낙하하고 연삭 가공 홀(11n)이 열릴 것이다. 일단 캡 부재(56)가 제거되고 나면, 디스크 스토퍼(55)를 작동시킴으로써 다른 디스크(100) 가 디스크 카트리지(321)에 수납되더라도 연삭 가공 홀(11n)은 열린 채로 남아 있다. 바꿔 말하면, 연삭 가공 홀(11n)이 캡 부재(56)로써 닫혀 있는 한, 디스크 카트리지(321)에 수납된 디스크(100)는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제조 공정중에 원래 수납되었던 디스크임에 틀림없다. 한편, 연삭 가공 홀(11n)이 열린 경우라면, 디스크 카트리지(321)에 수납된 디스크(100)는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제조 공정중에 수납되었던 원래의 디스크와 다를 수 있다.
본 디스크 카트리지(321)가 로딩될 디스크 드라이브는 상기 연삭 가공 홀(11n)의 열리거나 닫힌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그 결과에 따라 판독 또는 기록 작용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조된 디스크 카트리지(321)가, 단지 사전 결정된 기준에 맞춰 판독되거나 기록되는 디스크를 수납하여야 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연삭 가공 홀(11n)이 닫힌 것을 감지한다면 디스크 카트리지(321)에 수납된 디스크를 사전 결정된 기준에 맞춰 판독 또는 기록 가능한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면, 디스크 드라이브는 재빨리 상기 기준에 맞춰 디스크상에 판독 또는 기록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연삭 가공 홀(11n)이 열린 것을 감지한다면 디스크 카트리지(321)에 수납된 디스크를 미지의 종류로 인식한다. 이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321)에 수납된 디스크의 종류를 알아내기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는 먼저 다양한 시험 신호를 디스크에 가한다. 이어서, 테스트 결과에 따라 디스크 드라이브는 최적화된 조건하에서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판독하거나 디스크상에 신호를 기록한다.
이후, 디스크 스토퍼(55)의 구조와, 원래의 디스크(100)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작용이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21은 디스크(100)가 상부 쉘(12)의 디스크 윈도우(12w)를 통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 스토퍼(55)가 디스크(100) 위로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것은 디스크 카트리지(321)가 디스크 드라이브에 수납되거나 삽입된 상태에서이다. 도 122 및 도 123은 도 121에 도시된 J-J 선에 따라 취한, 각각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샤프트(55a) 및 걸쇠부(55a) 둘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4는 도 121에 도시된 K-K 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55)는 디스크 윈도우(12w)를 향해 상부 쉘(12)에서 돌출하는 다른 디스크 스토퍼(12s)에 대향된다. 디스크 스토퍼(55)는 그 길이를 따라 아치형 오목 측면(55f)을 갖는다.
도 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쉘(12)은 주면체형 보스(12q)를 포함하는데, 주면체형 보스(12q)내에는 샤프트 홀(12m)이 규정된다. 디스크 스토퍼(55)의 샤프트(55a)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샤프트 홀(12m)에 삽입된다. 샤프트(55a)는 샤프트 홀(12m)로부터의 결합 해제가 용이하지 않도록 그 저부에 돌기부(55p)를 포함한다. 또한, 샤프트(55a)내에는 연삭 가공 홀(11n)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갖는 내부 공간이 규정된다. 캡 부재(56)는 상기 내부 공간내에 수납된다. 캡 부재(56)의 돌기부(56b)는 디스크 스토퍼(55)의 오목부(55b)와 정합된다. 디스크 스토퍼(55)의 샤프트(55a)는 캡 부재(56)의 회전축에 정렬된다. 또한, 전술된 바 와 같이, 캡 부재(56)는 커넥터(56a)를 통해 연삭 가공 홀(11n)의 내측벽에 연결된다. 커넥터(56a)는 하부 쉘(11)의 저부보다 얇다.
도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55)의 다른 쪽 단부에 위치된 걸쇠부(55d)는 상부 쉘(12)의 개구부(12p)내로 삽입되고 상부 쉘(12)의 배면과 접촉한다. 걸쇠부(55d)의 단부에 제공된 돌기부(55e)는 상부 쉘(12)의 홀(12n)과 정합된다. 디스크 스토퍼(55)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브릿지부(55f)를 더 포함함으로써, 돌기부(55e)가 도 123의 화살표(55A)에 의해 표시된 방향을 따라 눌려질 때, 걸쇠부(55d)가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또한, 디스크 스토퍼(55)의 걸쇠부(55d) 및 그와 대응하는 상부 쉘(12)의 접촉면은 상호 결합하는 단차부(55g, 12o)를 각각 포함한다. 이 단차부(55g, 12o)는 디스크 스토퍼(55)의 회전시 걸쇠부(55d) 및 그 주변부가 상부 쉘(12) 위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디스크 카트리지(321)에서 디스크(100)를 제거하기 위해, 상부 쉘(12)의 홀(12n)과 결합된 돌기부(55e)는 도 123 및 도 124에 도시된 화살표(55A) 방향을 따라 눌려지고, 동시에 디스크 스토퍼(55)는 도 121에 도시된 화살표(55B)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도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55e)의 상부가 상부 쉘(12)의 배면상의 경사면(12v)과 접촉을 유지한 채, 걸쇠부(55d)의 브릿지부(55f)가 탄성 변형되고 걸쇠부(55d)는 미끄럼 운동한다. 경사면(12v)이 상부 쉘(12)의 배면상에 제공되므로, 경사면(12v)을 따라 걸쇠부(55d)에 큰 힘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걸쇠부(55d)는 도 124에 도시된 이점 쇄선 위치에 용이하게 도달한다. 걸쇠부(55d)의 탄성 변형된 브릿지부(55f)를 원래 형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걸쇠부(55d)가 상기 위치에 도달하면, 돌기부(55e)의 상부는 홀(12n)과 결합되었을 때와 동일한 수직 레벨에 위치된다.
그 동안, 디스크 스토퍼(55)는 도 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55B) 방향으로 샤프트(55a)의 중심(55c) 둘레를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캡 부재(56)를 화살표(55B) 방향으로 그 회전축(55c) 둘레를 회전시키는 힘이 캡 부재(56)에 가해짐으로써, 커넥터(56a)를 연결 해제시키고 캡 부재(56)를 떨어뜨린다.
도 125는 사용자가 디스크 카트리지(321)에서 디스크(10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까지 디스크 스토퍼(55)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걸쇠부(55d)는 도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쉘(12)의 내측면과 이미 접촉하고 있고, 따라서 디스크 스토퍼(55)는 더 이상 화살표(55B)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다.
도 1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55)의 일부만이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여전히 돌출하고 있다. 그러나, 디스크(100)가 디스크 스토퍼(12s) 쪽으로 약간 움직이면, 디스크 스토퍼(55)는 더 이상 디스크(100) 위에 위치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디스크(100)의 중심 홀(100h)상에 눕혀 디스크(100)를 파지하고, 상부 쉘(12)상의 디스크 스토퍼(55) 둘레에서 디스크(100)의 에지를 들어올림으로써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21)에서 제거할 수 있다.
도 126 및 도 127은 도 125의 J-J 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샤프트(55a) 및 걸쇠부(55d)의 둘레 부분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전술된 바 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55)가 회전되는 동안, 캡 부재(56)가 떨어진다. 따라서, 디스크 스토퍼(55)가 한계점까지 움직이면, 연삭 가공 홀(11n)은 도 1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열릴 것이다. 또한, 걸쇠부(55d)의 돌기부(55e)는 도 1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쉘(12)의 오목부(12r)와 결합한다. 따라서, 걸쇠부(55d)의 탄성 변형된 브릿지부(55f)는 원래의 형상을 회복한다.
원래 수납되어 있던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21)에서 제거된 후, 다른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21)에 수납되고 이어서 디스크 스토퍼(55)가 화살표(55B) 반대 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디스크 스토퍼(55)가 도 121에 도시된 원래 위치로 가면, 걸쇠부(55d)의 돌기부(55e)는 상부 쉘(12)의 홀(12n)과 다시 결합되고, 디스크 스토퍼(55)는 상부 쉘(12)상에 다시 고정된다.
디스크(100)를 다른 디스크로 교체하기 위해서 디스크 스토퍼(55)는 전술된 바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캡 부재(56)가 이미 제거되었으므로, 디스크 스토퍼(55)의 회전에 의해 떨어져나가는 캡 부재(56)는 없다.
본 바람직한 제 2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1)에서, 디스크 스토퍼(55)는 아치형 오목 측면(55f)을 갖는다. 따라서, 디스크 스토퍼(55)는 그다지 많이 회전되지 않더라도 디스크(100) 위로 돌출하는 것을 곧 멈출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스토퍼(55)가 단지 작은 각도까지만 회전되므로, 디스크 스토퍼(55)의 걸쇠부(55d)는 상부 쉘(12)과의 접촉 및 결합을 지속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21)에서 제거되더라도, 디스크 스토퍼(55)의 양쪽 단부는 여전히 상부 쉘(12)과의 접촉을 지속할 수 있어 디스크 스토퍼(55)는 충분 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 카트리지(321)를 떨어뜨렸거나 디스크(100)를 제거하는 데 있어 디스크 스토퍼(55)를 지나치게 강하게 가압하더라도, 디스크 스토퍼(55)가 부서지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스토퍼(55)가 회전되면, 연삭 가공 홀(11n)이 열린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달리, 사용자가 가공 홀의 탭을 빼내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캡 부재(56)는 기둥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캡 부재(56)는, 연삭 가공 홀(11n)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방식으로 하부 쉘(11)에 연결될 수 있고 디스크 스토퍼(55)의 회전에 따라 제거될 수 있는 한, 다른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부재는, 연삭 가공 홀(11n)에 제공되는 탭과; 디스크 스토퍼(55)와 탭 사이에 제공되어 디스크 스토퍼(55)의 회전에 따라 탭을 빼내는 보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스토퍼(55)는 디스크(100)에 평행하게 회전함으로써,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21)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되는 제 1 위치에서,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21)에서 제거될 준비가 된 제 2 위치로, 혹은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된다. 대안적으로, 디스크 스토퍼(55)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8 및 도 129는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측면에 평행하게 미끄럼 운동하는 대안적인 디스크 스토퍼(57)를 도시한다. 디스크 스토퍼(57) 역시 그 길이를 따라 아치형 오목 측면(57f)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128은 디스크(100)가 디스 크 스토퍼(57)에 의해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 스토퍼(57)는 디스크(100) 위로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디스크(100)를 제거하기 위해, 디스크 스토퍼(57)는 도 1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57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즉, 디스크 스토퍼(57)의 장측에 수직하게) 이동된다. 디스크 스토퍼(57)의 측면(57a)은, 디스크 스토퍼(57)가 상부 쉘(12)에서 그다지 용이하게 결합 해제되지 않도록, 상부 쉘(12)과 결합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스토퍼(57)의 측면(57f) 역시 아치형으로 오목하다. 따라서, 디스크 스토퍼(57)는 단지 조금만 이동하여도 디스크(100) 위로 돌출하는 것을 곧 멈출 수 있다. 상기 이유로, 디스크(100)는 디스크 스토퍼(57)의 대부분이 상부 쉘(12)과의 접촉을 지속하는 채로 디스크 카트리지(321)에서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가 교체되더라도, 디스크 스토퍼(57)는 그 기계적 강도를 전혀 잃지 않는다.
도 130 및 도 131은 다른 대안적인 디스크 스토퍼(58)를 도시하는데, 이 디스크 스토퍼(58)는 그 장측의 양쪽 단부에서 상부 쉘(12)에 고착되는 샤프트(58a)상에서 회전한다. 본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58)가 상부 쉘(12)과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이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부터 디스크 스토퍼(58)에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디스크 스토퍼(58)는 도 131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크 스토퍼(58) 역시 그 길이를 따라 아치형 오목 측면(58f)을 가지므로, 디스크 스토퍼(58)를 도 130에 도시된 위치에서 단지 조금만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100) 가 제거될 수 있다.
디스크 스토퍼(57 또는 58)가 디스크 카트리지(321)에 제공된다면, 디스크 스토퍼(57 또는 58)의 미끄럼 운동 또는 회전에 따라 캡 부재를 제거하는 장치를 디스크 카트리지(321)가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삭 가공 홀을 덮는 캡 부재는 디스크 스토퍼(57 또는 58)와 연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캡 부재를 제거한 후에야 디스크 스토퍼(57 또는 58)의 미끄럼 운동 또는 회전을 허용하는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22
이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22)가 설명될 것이다.
도 132는 바람직한 제 22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2)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3은 도 132의 L-L 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22)의 단면도이다. 도 117 및 도 118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람직한 제 20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처럼, 디스크 카트리지(322) 역시 보호 부재의 사용 없이 먼지가 디스크 지지부(25a)의 노치(25c)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22)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2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크 카트리지(322) 역시 바람직한 제 20 및 제 2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 회전 부재(25) 및 디스크 스토퍼(55)를 포함한다. 이 부재들 각각은 전술된 바람직한 제 20 및 제 21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4 및 도 119에 각각 도시된 바람직한 제 20 및 제 2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0, 321)에서, 상부 쉘(12)의 측벽(12i)은 노치(12g)를 포함하는데, 이 노치(12g)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 지지부(25a)의 노치(25c)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바람직한 제 22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2)에서, 측벽(12i)은 노치(12g)를 갖지 않고 디스크(10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연속적이다. 또한, 도 1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측벽(12i')이 디스크(100)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측벽(12i) 아래에 제공된다. 연장 측벽(12i')은 노치(12g)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측벽(12i)은 디스크 윈도우(12w)를 규정하고, 따라서 디스크(100)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곡률 반지름을 갖는다. 한편, 연장 측벽(12i')은 도 1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와 동일한 곡률 반지름을 갖는다. 도 1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2i)에 의해 규정된 주면체의 중심은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C1)에 정렬된다. 한편, 연장 측벽(12i')에 의해 규정된 곡률 중심은 지점(C2)에 정렬된다. 즉, 지점(C2)은 지점(C1)에서 오프셋된다.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은 중심이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C1)에 정렬된 주면체를 규정하고 지점(C1) 둘레를 회전한다는 점이 주지되어야 한다.
또한, 디스크 홀더(22b)는 디스크(100)의 중심이 지점(C2)에 정렬되도록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한다. 도 132에는 단지 하나의 디스크 홀더(22b)만이 도시되나, 2개의 다른 디스크 홀더(21b, 22a)(도시하지 않음) 역시 디스크(100)의 중심이 지점(C2)에 정렬되도록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 지지부(25a)는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즉, 배면)과 접촉하지 않은 채 디스크(100)를 그 위에 지지한다. 따라서, 디스크 지지부(25a)의 중심 역시 지점(C1)에서 오프셋된다. 지점(C1, C2) 사이의 거리는 측벽(12i)에 의해 규정된 주면체의 반지름과, 디스크(100)의 반지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100)가 5인치의 직경을 갖는다면, 지점(C1, C2) 사이의 거리는 약 0.5mm 내지 약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가 약 0.5mm보다 작다면 회전하는 디스크(100)가 측벽(12i)과 접촉할 수 있는데, 이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로딩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22)내에서 디스크(100)가 회전시 요동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점(C1, C2) 사이의 거리가 약 1.5mm보다 크다면, 디스크(100)와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12i) 사이의 간극이 너무 넓어 많은 양의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이 간극을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22)에 들어갈 수 있다.
도 137은 도 132의 L-L 선에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22)의 디스크 홀더(22b)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제 20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크 수납부(25a)의 상면(25k)은 경사지고, 디스크(100)는 회전 부재(25)의 측벽(25i)(도 137에는 도시되지 않음) 근처에서 디스크 지지부(25a) 상면(25k)의 단지 일부하고만 접촉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벽(25i) 둘레의 디스크 지지부(25a) 상면의 상기 일부는 하부 쉘(11)의 저부에 평행하다. 따라서,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21b, 22a(도시되지 않음), 22b]에 의해 유지되도록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100)는 영역(25b)에서 디스 크 지지부(25a)와 접촉한다. 디스크 지지부(25a)가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영역(25b)의 내주는 도 1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 원(25n)에 의해 규정된다.
도 1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부(25a)의 영역(25b)은 거의 디스크(100)의 외주 둘레에 위치되나 노치(25)에 의해 불연속적이게 된다. 또한, 영역(25b)의 내주(25n)는 중심이 지점(C2)에 정렬되는 원을 규정한다. 한편, 영역(25b)의 외주는 디스크(100)의 외주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영역(25b)은, 중심이 지점(C2)에 정렬된 2개의 동심원에 의해 규정되고, 노치(25c)에 의해 불연속적이게 된 노치된 링 형상의 영역이다.
디스크(100)가 디스크 홀더[21b, 22a(도시되지 않음), 22b]에 의해 유지되도록 제 1 및 제 2 셔터(21, 22)(도 132에 도시되지 않음)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100)의 중심은 지점(C2)에 정렬된다. 또한, 디스크(100)의 곡률 반지름이 연장 측벽(12i')의 곡률 반지름과 동일하므로, 디스크(100)의 외측면은 다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경우에는 노치(12g)가 존재하는 위치에서 연장 측벽(12i')과 접촉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 홀더(21b, 22a, 22b)에 의해 유지된 디스크(100)의 중심은, 디스크(100)의 외측면이 연장 측벽(12i')과 접촉하게 되고 연장 측벽(12i')에 의해 유지되도록,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에서 오프셋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셔터(21, 22)(도 132에 도시되지 않음)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 지지부(25a)와 디스크(100)가 상호 접촉하고 있는 노치된 링 형상 영역(25b)의 중심 역시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에서 오프셋된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즉, 배면)이 디스크 지지부(25a)와 그 외주에서 접촉하 고, 디스크(100)의 외측면은 디스크 지지부(25a)가 노치(25c)에 의해 불연속적이게 된 연장 측벽(12i')과 밀착한다.
한편, 중심 홀(100h) 둘레에서, 디스크(100)는 바람직한 제 20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볼록부(21w, 22w)와 접촉한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이 공기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상에 부착되는 먼지가 없을 것이다.
또한, 도 136 및 도 1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22)의 제 2 셔터의 디스크 홀더(22b)는 테이퍼진 저부(26c)를 갖고, 디스크 홀더(22b)의 저부(26c)를 수용하기 위해 하부 쉘(11)에는 오목부(11x)가 제공된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두께 또는 직경이 표준과 거의 동일한 대신 표준보다 약간 크다면, 제 2 셔터(22)의 일부(26b)가 도 1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쉘(11)의 오목부(11x)의 단부 근처에서 탄성 변형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홀더(22b)의 경사부(22b')는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와 접촉하고,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디스크(100)의 일정하지 않은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은 채 그 위에 디스크(100)를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셔터(22)의 탄성 변형에 따라, 디스크 홀더(22b)가 디스크(100)에 그 중심을 향해 탄성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도 132 및 도 1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는 연장 측벽(12i')에 대해 가압되고 연장 측벽(12i')과 밀착하게 된다. 그러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상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이 좀더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디스크(100) 두께 또는 직경의 변화에 상관없이 디스크(100)가 의도된 바와 같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지되어야 할 디스크(100)의 두께 또는 직경이 표준 범위의 중심 값과 거의 동일할 때 제 2 셔터(22)가 도 1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탄성 변형되도록, 그리고 유지되어야 할 디스크(100)의 두께 또는 직경이 표준 범위의 하한과 거의 동일할 때 제 2 셔터(22)가 도 1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탄성 변형되지 않도록, 디스크 카트리지(322)가 디자인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부재(24)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상에 먼지가 부착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즉, 보호 부재(24)나, 보호 부재(24)를 회전 부재(25)와 연동시키는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조가 현저히 단순화된다.
실시예 23
이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23)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된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중 어느 것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라도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와는 달리 디스크의 한쪽 면이 노출된 채 디스크를 내부에 수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종래의 것보다 얇을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라벨 면이 표시되므로, 디스크 카트리지는 전체적으로 양호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디스크의 한쪽 면이 디스크 카트리지 내부에서 노출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디스크의 라벨 면을 만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부주의한 사용자는 디스크의 라벨 면을 지나치게 강하게 가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혹은 그러한 상황에서도 디스크 자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디스크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런 잠재적인 비선호 상황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을 예를 들어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디스크를 어떻게 유지해야 하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었다.
도 138은 디스크(100)를 위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구조체(59)[예를 들어, 디스크 지지부(25a)]와, 디스크(100)가 사용자에 의해 지나치게 강하게 가압되더라도 유지 구조체(59)에 의해 신호 기록 영역(100d)이 손상되지 않도록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100d) 아래에 제공되어야 하는 공간을 도시한다. 공간을 규정하는 지지 구조체(59)의 형상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38에서는 지지 구조체(59) 일부의 크기가 축척에 맞지 않게 그려졌다는 점이 주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38에 도시된 종횡비는 실제와 다르다.
디스크(100) 아래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려 한다면, 공간의 높이가 디스크(100)의 최대 휨보다 약간 크기만 하면 될 것이다. 이는 상기 경우에는 디스크(100)가 아무리 많이 휘더라도 유지 구조체(59)를 접촉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넉넉한 공간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는 지나치게 두꺼울 것이다. 그래서 디스크(100) 아래의 공간은 실제로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공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크(100)가 가능한 한 작은 휨을 갖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유지 구조체(59)에 의해 유지되어야 할 디스크(100)의 부분이 가능한 한 디스크(100) 신호 기록 영역(100d)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이 지지되는 유지 구조체(59)의 부분은 내측 반지름(Rin)과 외측 반지름(Rout)에 의해 규정된다. 즉, 내측 반지름(Rin) 안에 위치되는 유지 구조체(59)의 내측 부분뿐만 아니라, 외측 반지름(Rin) 밖에 위치되는 유지 구조체(59)의 외측 부분에 의해서도 디스크(100)는 유지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내측 반지름(Rin)"은, 디스크(100)의 중심으로부터, 신호 기록 영역(100d)의 내주보다 디스크(100)의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내주 근처에 규정된 지점까지의 거리가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외측 반지름(Rout)"은 디스크(100)의 중심으로부터, 신호 기록 영역(100d)의 외주보다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외주에 규정된 지점까지의 거리가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내측 및 외측 반지름(Rin, Rout)을 규정하는 이 2개의 지점은 가능한 한 신호 기록 영역(100d)에 가깝다. 예를 들어, 디스크(100)가 약 5인치의 직경(즉, 약 60mm의 반지름)을 갖는다면, 내측 반지름(Rin)은 약 20mm이고 외측 반지름(Rout)은 약 59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기록 영역(100d)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100) 아래에 제공되는 공간(69b)은 다음의 방식으로 규정된다. 먼저, 공간(69b)의 높이(또는 깊이)[S(mm)]가 규정된다. 다음에, 3개의 원(69d, 69e, 69f)이 규정된다. 구체적으로, 원(69d)은 외측 반지름(Rout)과 동일한, 신호기록면(100A)상에 규정되는 반지름을 가지고; 원(69e)은 (Rout-1.2S)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기록면(100A)에 평행하고 신호기록면(100A)으로부터 0.3Smm 이격된 반지름을 가지며; 원(69f)은 (Rout-16.2S)에 의해 얻어지고, 신호기록면(100A)에 평행하고 신호기록면(100A)으로부터 Smm 이격된 반지름을 갖는다. 그 상부와 저부가 각각 원(69d, 69e)에 의해 규정되는 절두 원추는 측면(59a)을 가지고, 그 상부와 저부가 각각 원(69e, 69f)에 의해 규정되는 절두 원추는 측면(59b)을 갖는다.
원형 주면체는 또한 디스크(100)의 중심에서 측정시 반지름(Rin)을 갖는 원형 저부와, 신호기록면(100A)에서 측정시 높이(또는 깊이)(S)를 갖는 측면(59d)을 갖도록 규정된다. 신호 기록 영역(100d) 아래에 제공되어야 할 공간은, 측면(59d)에 의해 규정되는 원형 주면체를 측면(59s, 59b)에 의해 규정되는 이단 절두 원추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S 값이 공간(69b)의 높이를 규정한다. 따라서, S 값이 크면 클수록, 디스크(100)가 변형되더라도 신호 기록 영역(100d)이 손상될 가능성은 줄어든다. 그러나, S 값의 증가에 따라,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가 증가된다. 따라서, 얇은 디스크 카트리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S값이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 디스크(100)의 휨이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기인하는 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100d)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에는 약 1mm의 S 값이라도 충분히 컸다는 것을 발견 및 확인하였다.
한편, 내측 반지름(Rin)에 의해 규정된 영역내에서는 디스크(100)의 클램핑 영역(100e')이 유지 구조체(59)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디스크(100)로부터 신호를 판독 및/또는 디스크(100)상에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디스크 카트리지(323)가 디스크 드라이브에 로딩될 때, 클램핑 영역(100e')은 턴테이블 또는 클램퍼와 접촉할 것이다. 따라서, 이 영역(100e')이 손상되었거나 부분적으로 먼지에 덮였다면, 디스크(100)는 의도된 바와 같이 고정될 수 없다. 클램핑 영역(100e')은 약 22mm 및 약 33mm의 직경을 각각 갖는 2개의 동심원에 의해 규정되고, 그 중심이 디스크(100)의 중심에 정렬된다. 클램핑 영역(100e')은 디스크(100) 전체 영역에서 단지 작은 퍼센티지만을 차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크(100)를 클램핑 영역(100e') 위에서 디스크(100)를 누르더라도, 디스크(100)는 거의 굽혀지지 않을 것이다. 상기 이유로, 공간(69a)은 전체 클램핑 영역(100e')과 접촉하도록 제공되기만 하면 어떠한 높이(또는 깊이)라도 가질 수 있다.
도 139는, S 값이 1mm에 맞춰진 채 공간(69a)이 디스크(100) 아래에 제공되고 압력이 공간(69b)을 향해 디스크(100)상에 가해질 때 디스크(100)가 변형되는 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디스크(100)상에 손으로 가해지는 압력은 3kg을 절대 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 및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는 또한, 최대 압력 3kg이 가해졌을 때라도, 디스크(100)는 공간(69b)내에서 완전히 굽혀졌으나 측면(59a 또는 59b)과는 절대 접촉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 및 확인하였다.
상기의 경우는 규정된 공간(69b)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100d)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규격을 가질 때이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100d) 아래에는 좀더 큰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140 및 도 1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59a, 59b) 너머까지 공간(69b)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유지 구조체(59) 외측부의 기계적 강도를 디스크(100)의 외 주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도록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보강부(59', 59")가 외측부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59a, 59b)은 이러한 보강부(59', 59")의 적당한 형태를 결정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고려 사항의 관점에서 디자인된 디스크 카트리지가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42는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평면도이다. 도 143은 도 142의 P-P 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제 2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3)에서, 전술된 바람직한 제 20, 제 21, 또는 제 22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각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22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2)처럼,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보호 부재를 갖지 않는 대신 디스크(100)의 외측면을 상부 쉘(12)의 측벽(12i)과 접촉시킴으로써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도 142 및 도 1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디스크(100)가 제 1 셔터(21)의 디스크 홀더(21b) 및 제 2 셔터(22)의 디스크 홀더(22a)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디스크(100)의 외측면은 회전 부재(25)의 노치(25c)가 위치된 상부 쉘(12)의 측벽(12i)과 접촉한다. 또한, 디스크(100)의 중심은 지점(C2)에 정렬된다.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지지부(25a)가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영역의 내주는 상기 영역이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과 동일하게 접촉하도록 그 중심이 지점(C2)에 정렬된다. 한편,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의 중심은 지점(C1)에 정 렬된다.
도 142 및 도 1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21w, 22w)로 구성된 링(20w)이,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제 1 및 제 2 셔터(21, 22)에 의해 규정된 홀(20h) 둘레에 제공된다. 홀(20h)은 디스크(100)의 중심 홀(100h)에 대응한다. 다른 1쌍의 볼록부(35d, 36d)가 링(20w)에서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공된다. 볼록부(35d, 36d)의 상면은 볼록부(21w, 22w)의 상면과 같은 높이에 있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힐 때, 볼록부(35d, 36d)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 근처 일부를 유지하는 연속적인 링(20d)을 규정한다. 이 2개의 링(20w, 20d) 사이에 생성된 오목부가 공간(69a)을 규정한다. 디스크(100)가 그 위에 유지될 때, 디스크(100)의 클램핑 영역이 공간(69a) 바로 위에 위치된다.
또한, 도 1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지지부(25a), 제 2 셔터(22) 및 볼록부(36d)는, 디스크(100)가 본 디스크 카트리지(323)상에 유지될 때 도 138에 도시된 공간이 디스크(100) 아래에 제공되도록 디자인된다. 도 14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볼록부(35d) 및 제 1 셔터(21) 역시 동일한 목적으로 디자인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323) 역시 적재된 디스크(100)와 제 1 및 제 2 셔터(21, 22) 사이에 1mm 또는 그 이상의 간극이 제공되도록 디자인된다. 또한, 디스크 지지부(25a)는 도 138에 도시된 공간(69b)의 외측에[즉, 공간(69b)을 규정하는 측면(59a, 59b) 아래에] 위치되어 공간(69b)을 전혀 막지 않는다.
본 방식으로 디스크(100) 아래에 도 138에 도시된 공간(69b)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디스크(100)가 지나치게 강하게 가압되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수납된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은 의도된 대로 보호될 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클램핑 영역(100e') 부근에 소위 "스택 링" 또는 스태킹 링"을 갖는 디스크(100)에 적합할 수 있다는 점이 주지되어야 한다. 도 1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 링은 디스크(100)의 신호기록면(100A)상에 제공된 돌출 링(100p)이다. 돌출 링(100p)은 중심 홀(100h)과 동심으로 형성된 원형 형상을 갖는다. 돌출 링(100p)은 디스크가 신호기록면(100A)을 아래로 하여 평탄면상에 제공되는 경우 신호 기록 영역(100d)이 평탄한 평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 링(100p)은 클램핑 영역(100e')과 중심 홀(100h) 사이에 위치되고 중심 홀(100h)에서 0.1mm 또는 그 이상 이격된다. 돌출 링(100p)은 반경 방향으로 약 1mm의 폭을 갖고, 신호 기록 영역(100d)의 표면으로부터 0.05 내지 0.5mm의 높이를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디스크(100)의 한 종류에서는, 중심 홀(100h)의 직경이 15mm이고, 클램핑 영역(100e')이 직경 22mm의 원과 직경 33mm의 원 사이에 규정되며, 돌출 링(100p)이 직경 17.5mm의 원과 직경 22mm의 원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에 위치되고, 돌출 링(100p)의 폭은 약 1mm이며 높이는 0.3mm 또는 그 이하이다. 대안적으로, 돌출 링(100p)은 클램핑 영역(100e')과 신호 기록 영역(100d)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클램핑 영역(100e')의 에지에서 2mm 또는 그 이하만큼 이격된다.
이 경우, 제 1 셔터(21)의 디스크 홀더(21b) 및 제 2 셔터(22)의 디스크 홀더(22a, 22b)는 클램핑 영역(100e')도 돌출 링(100p)도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디스크(100)를 유지한다. 따라서, 링(20w, 20d)에 의해 규정된 공간(69a)은 돌출 링(100p)을 포함하기에 충분히 크도록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 있을 때, 제 1 셔터(21)의 디스크 홀더(21b) 및 제 2 셔터(22)의 디스크 홀더(22a, 22b)는, 클램핑 영역(100e')과도 접촉하지 않고, 클램핑 영역(100e')과 중심 홀(100h) 사이에 위치되고 중심 홀(100h)의 에지에서 0.1mm 또는 그 이상만큼 이격된 영역과도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혹은 클램핑 영역(100e')과 신호 기록 영역(100d) 사이에 위치되고 클램핑 영역(100e')의 에지에서 2mm 또는 그 이하만큼 이격된 영역과도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디스크(100)를 유지한다. 전술된 종류의 디스크(100)의 경우에, 공간(69a)은 17.5mm 직경의 제 1 원 및 제 1 원보다 0.1 내지 0.3mm만큼 더 작은 원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을 포함하여야 한다. 공간(69a)은 클램핑 영역(100e')과 돌출 링(100p)을 위한 연속적인 하나의 영역이거나 클램핑 영역(100e')과 돌출 링(100p)을 위한 분리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본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부재들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2종류의 디스크 스토퍼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부착시켜며, 방진성을 증가시키도록 디자인된 각각의 다른 구조체들을 더 포함한다. 이 후, 이러한 구조체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첫째로, 디스크 카트리지(323) 부재들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체가 설명될 것이다. 도 142 및 도 1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 홀더(21b, 22a, 22b)가 디스크(100)에 그 중심을 향해 탄성력을 가한다. 이는 제 1 셔터(21)와 디스크 홀더(21b) 사이의 연결부와, 제 2 셔터와 디스크 홀더(22a, 22b) 사이의 연결부가 디스크(100)에 의해 탄성 변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떨어뜨리거나, 디스크(100)의 노출면(100B)상에 힘을 가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23)내에서 디스크(100)를 강제로 회전시키려 한다면, 디스크(100)의 중심에서 디스크 홀더(21b, 22a, 22b)로 외측을 향해 힘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런 힘이 충분히 크다면, 제 1 셔터(21)와 디스크 홀더(21b) 사이의 연결부와, 제 2 셔터와 디스크 홀더(22a, 22b) 사이의 연결부가 꺽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디스크 홀더(21b)를 제 1 셔터(21)에 연결시키는 부분과, 디스크 홀더(22b)를 제 2 셔터(22)에 연결시키는 부분이, 도 142에서 화살표(21B, 22B)로 각각 표시되는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힘에 충분히 견디기에는 너무 좁다.
이 연결부의 잠재적 부러짐의 관점에서, 본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은, 노치(25g, 25h)의 단면(65a, 65b)이 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즉, 화살표(21B, 22B) 방향]에 평행하지 않으나 디스크 수납부(10d)를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디스크 홀더(21b, 22b)의 화살표(21B, 22B) 방향 변위는 사전 결정된 한계를 넘지 않도록 각각 단면(65a, 65b)에 의해 규제된다.
이 단면(65a, 65b)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떨어뜨리거나 의도적으로 디스크 홀더(21b, 22b)를 외측으로 움직이려 하더라도 디스크 홀더(21b, 22b)는 꺽이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셔터가 닫히도록 된 와중에 제 1 및 제 2 셔터(21, 22)를 여는 방향으로 우연히 힘이 가해지더라 도, 열리는 셔터(21, 22)와 함께 움직이려는 디스크 홀더(21b, 22b)는 곧 단면(65a, 65b)과 각각 접촉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의도하지 않았는데 제 1 및 제 2 셔터가 열리는 일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닫히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의도되지 않은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고의로 제 1 및 제 2 셔터(21, 22)를 열려 한다면,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도 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샤프트 홀(37, 38) 둘레로 회전할 것이다. 그러면,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각 가이드 홈(27e, 28f)의 내측벽이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 25f)를 도 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홀(37, 38) 둘레를 따라 화살표(25E, 25F)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킬 것이다.
이 경우, 가이드 홈(27e, 28f)의 단부가 화살표 방향(25E, 25F)을 따라 연장 형성되거나, 가이드 홈(27e, 28f)을 통해 볼록부(25e, 25f)가 화살표 방향(25E, 25F)을 따라 각각 이동된다면,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일정하지 않게 움직이려 할 것이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일정하지 않은 움직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볼록부(25e, 25f)가 위치되는 가이드 홈(27e, 28f)의 상기 단부가 화살표(27E, 28F)로 표시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야 한다. 상기 화살표(27E, 28F)는 화살표(25E, 25F)와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도 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27E, 28F)은 볼록부(25e, 25f)를 샤프트 홀(37, 38)에 각각 연결시키는 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또한, 도 1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쉘(11)에는 융기부(33b)가 제공되 고, 회전 부재(25)에는 융기부(25w)가 제공된다. 이 융기부(33b, 25w)의 높이는 대략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두께와 동일하다. 융기부(33b)는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지지부(25a)의 배면과 접촉한다. 융기부(25w)는 카트리지 본체(10)의 내하면(11u)상에 제공된 오목부(33c)와 결합한다. 이 융기부(33b, 25w)는 회전 부재(25)의 제 1 또는 제 2 셔터(21, 22)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회전 부재(25)의 제 1 또는 제 2 셔터(21, 22)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라도 변형되거나, 디스크(100)와의 접촉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22a)는 제 1 및 제 2 부분(122a, 222a)을 포함하고, 제 1 부분(122a)의 상면은 제 2 부분(222a)의 상면보다 높다. 또한, 제 1 부분(122a)의 상부는 상부 쉘(12)의 배면상에 제공된 오목부(12x)에 삽입된다. 오목부(12x)는 셔터가 열리거나 닫히려 할 때 제 1 부분(122a)의 상부가 지나가는 영역을 따라 제공된다.
도 142 및 도 1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용 개구부(11h)는 셔터가 열리거나 닫히려 할 때 디스크 홀더(22a)가 지나가는 곳에 제공되고, 하부 쉘(11)의 측면에 도달한다. 따라서, 하부 및 상부 쉘(11, 12)을 조립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가 형성될 때, 헤드용 개구부(11h) 둘레에서의 카트리지 본체의 기계적 강도는 상부 쉘(12)에 의해서만 보장될 수밖에 없다.
디스크 카트리지(323)에서, 셔터가 닫히려 함에 따라,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더(22a)의 제 1 부분(122a)은 의도한 대로 디스크(100)를 그 위에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홀더(22a) 제 2 부분(222a)의 상면이 낮은 수직 레벨에 위치되므로, 상부 쉘(12)이 제 2 부분(222a) 위에서 감소된 두께를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셔터가 열리거나 닫히려 함에 따라 디스크 홀더(22a)의 제 1 부분(122a)이 지나가는 상부 쉘(12)의 오목부(12x)가 감소된 두께를 가져야 하나, 이 오목부(12x)는 상부 쉘(12)의 단지 작은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카트리지 본체의 기계적 강도가 헤드용 개구부(11h) 둘레에서 과도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제 14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강성이 증가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145 및 도 1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2쌍의 접촉부(21f', 22f', 21g', 22g')를 갖는데, 이 접촉부(21f', 22f', 21g', 22g')는 홀(20h)에 의해 상호 분리되고 불연속적이며, 그 각 쌍은 서로를 수직으로 중첩한다. 즉, 제 1 셔터(21)는 접촉부(21g', 21f')를 포함하고, 제 2 셔터(22)는 접촉부(22g', 22f')를 포함한다. 도 146A 및 도 146B는 각각 도 145의 N-N 선 및 O-O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6A에 도시된 1쌍의 접촉부(21g', 22g')에 있어,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제 1 셔터(21)의 접촉부(21g')는 제 2 셔터(22)의 접촉부(22g') 위로 셔터(21, 2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도 146B에 도시된 다른 1쌍의 접촉부(21f', 22f')에 있어, 제 1 셔터(21)의 접촉부(21f')는 제 2 셔터(22)의 접촉부(22f') 위로 셔터(21, 2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또한, 도 14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셔터(22) 접촉부(22g')의 에지는 접촉부(22g')를 따라 연장되는 볼록부(38c)를 포함한다. 한편, 제 1 셔터(21)는 셔터(21, 22)가 닫혀 있는 동안 볼록부(38c)와 결합하는 오목부(37c)를 포함한다.
또한, 도 1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셔터(22)의 디스크 홀더(22a)가 제 1 셔터(21)의 볼록부(27a)를 접촉하는 곳에서, 볼록부(27a)는 돌기부(37a)를 포함하고 디스크 홀더(22a)는 돌기부(37a)와 결합하는 오목부(38a)를 포함한다. 다른 오목부(37b)가 돌기부(37a)위에 제공된다. 오목부(37b)와 결합하는 다른 돌기부(38b)가 오목부(38a) 위에 제공된다. 돌기부(37a)와 오목부(37b)는 제 1 셔터(21)의 다른 접촉부(37e)를 규정한다. 한편, 오목부(38a)와 돌기부(38b)는 제 2 셔터(22)의 다른 접촉부(38e)를 규정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상기 접촉부(37e, 38e)는 본 명세서에서 "제 3 쌍의 접촉부"로 명칭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제 2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에서, 분리된 2쌍의 접촉부(21g', 22g', 21f', 22f')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에 제공되고,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접촉부 각 쌍은 셔터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한다. 또한, 제 1 쌍의 접촉부(21g', 22g')가 상호 중첩하는 순서는 제 2 쌍의 중첩부(21f', 22f')가 상호 중첩하는 순서의 반대이다. 이러한 구조를 활용함으로써, 닫혀진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의도하지 않았는데 들어올려지지 않을 것이고, 접촉부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접촉부(21g', 22g')에 오목부(37c)와 볼록부(38c)를 각각 제공함으로써, 닫혀진 셔터(21, 22)의 접촉부(21g', 22g')가 예 를 들어 일정하지 않은 움직임 등의 이유로는 쉽사리 상호 결합해제되지 않을 것이다. 이 방식에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좀더 상호 밀착함으로써 셔터의 접촉부 둘레에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방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 1 및 제 2 셔터(21, 22)에 각각 제 3 쌍의 접촉부(37e, 38e)를 제공함으로써, 닫혀진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접촉부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셔터(21)의 접촉부(21g')와 돌기부(37a)는 제 2 셔터(22)의 돌기부(38b)와 접촉부(22g') 사이에 샌드위치 구조로 개재된다. 결과적으로, 닫혀진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접촉부의 강성이 좀더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2종류의 디스크 스토퍼중 하나를 디스크 카트리지에 선택적으로 부착하도록 디자인된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 1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상부 쉘(12)은 샤프트 홀(12m)과 다른 홀(12m')을 포함한다. 디스크 스토퍼(55) 또는 디스크 스토퍼(59)는, 디스크(100)가 디스크 윈도우(12w)를 통해 떨어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홀(12m, 12m')에 정합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제 2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디스크 스토퍼(55)는 전술된 바람직한 제 2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디스크 스토퍼(55)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샤프트(55a)를 상부 쉘(12)의 샤프트 홀(12m)에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디스크 스토퍼(55)는 샤프트(55a)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바람직한 제 2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토퍼(55)의 일부가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돌출할 수 있고, 이로써 부주의로 디스크(100)가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대안적으로, 디스크 스토퍼(55)가 도 125에 도시된 위치까 지 회전된다면,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23)로부터 제거될 수 잇다.
한편, 디스크 스토퍼(59)는 돌기부(59a, 59b)를 포함한다. 디스크 스토퍼(59)가 상부 쉘(12)에 부착될 때, 디스크 스토퍼(59)의 돌기부(59a, 59b)는 홀(12m, 12m')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디스크 스토퍼(59)는 이 2개의 지점에서 상부 쉘(12)상에 고정되므로, 회전 가능하지는 않으나 항상 디스크 윈도우(12w)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즉, 디스크 스토퍼(59)가 상부 쉘(12)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수납된 디스크(100)는 제거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방식에서, 디스크 스토퍼(55) 또는 디스크 스토퍼(59)와 결합될 수 있는 샤프트 홀(12m) 및 홀(12m')을 상부 쉘(12)용 결합 수단으로서 제공함으로써, 이 2개의 디스크 스토퍼(55, 59)중 하나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카트리지 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이 2개의 디스크 스토퍼(55, 59)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택함으로써, 결과적인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일단 수납되었던 디스크(100)를 제거하도록 허용 또는 불허할 수 있다.
도 144에 보이는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본 바람직한 제 2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캡 부재(56) 또는 연삭 가공 홀(11n)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연삭 가공 홀(11n) 및 캡 부재(56)가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제공될 수 있다. 연삭 가공 홀(11N), 캡 부재(56) 및 디스크 스토퍼(55)가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제공된다면, 디스크 스토퍼(55)가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23)에서 제거하기 위해 회전됨에 따라 바람직한 제 2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캡 부재(56)가 떨어져나갈 것이다. 그러면, 연삭 가공 홀(11n)이 완전히 개방될 것이다. 한편, 디스크 스토퍼(55) 대신 디스크 스토퍼(59)가 상부 쉘(12)에 부착된다면, 디스크 스토퍼(59)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100)가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연삭 가공 홀(11N)이 캡 부재(56)에 의해 덮인 채로 유지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 144, 145, 148 및 149를 참조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방진성을 향상시키는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 1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쉘(11)의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는 도 14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림(33a)으로 둘러싸인다. 도 148은 도 145의 M-M 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단면도이다. 도 1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배면은 림(33a)과 결합하는 오목부(37d, 38d)를 각각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하부 쉘(11)상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와 하부 쉘(11) 사이에 간극이 있다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배면상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가 카트리지 본체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본 구조로 간극을 충전함으로써, 고정용 및 헤드용 개구부(11c, 11h)를 통해 먼지가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들어가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또한, 도 1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20h) 둘레의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접촉부는 닫혀진 제 1 및 제 2 셔터(21, 22)에 의해 규정되는데, 상호 결합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35a, 36a)(35b, 36b)를 구비한다. 즉, 제 1 셔터는 오목부(35a, 35b)를 포함하고, 제 2 셔터(22)는 볼록부(36a, 36b)를 포함한다. 제 2 셔터(22)의 볼록부(36a, 36b)는 닫혀진 제 1 및 제 2 셔터(21, 22)에 의해 규정되는 접촉 평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 사이의 접촉 평면을 관통하여 홀(20h)을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들어가는 먼지는 없을 것이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23 실시예에서,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하기 위한 디스크 지지부(25a)는 도 138에 도시된 공간(69b)을 디스크(100) 아래에 규정하도록 회전 부재(25)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도 138에 도시된 공간(69b)을 디스크(100) 아래에 규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어떤 구조라도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외측 에지를 유지하기 위한 디스크 지지부(25a')가 대안적인 상부 쉘(12')에 제공될 수 있다. 그렇더라도, 도 138에 도시된 공간(69b)을 디스크(100) 아래에 규정하는 형상으로 디스크 지지부(25a')와 제 1 및 제 2 셔터(21, 22)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디스크(100)가 지나치게 강하게 가압되더라도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은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 또는 디스크 지지부와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24
이 후, 도 15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4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가 설명될 것이다.
도 151은 바람직한 제 24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900)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전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23 실 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01 내지 323)중 어느 것이라도 본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로딩될 수 있다. 도 151에 도시된 구체적 예에서는 바람직한 제 2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323)가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로딩된다. 도 151에서, 디스크(100)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도 1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드라이브(900)는, 디스크 카트리지(323)내에 수납된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드라이버(902)와; 디스크(100)로부터/에 신호(또는 정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기 위한 헤드(908)를 포함한다.
드라이버(902)는 스핀들 모터(904)와, 스핀들 모터(904)의 샤프트와 정합되는 턴테이블(906)을 포함한다. 스핀들 모터(904)는 베이스(910)상에 지지된다. 헤드(908)는 가이드 샤프트(912)를 따라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동된다.
디스크 드라이브(900)는 암(914)에 의해 지지되는 클램퍼(916)를 포함한다. 턴테이블(906) 및 클램퍼(916) 각각은 예를 들어 자석과 자석 본체를 포함한다. 나중에 설명되겠지만, 디스크(100)는 자석 사이의 인력에 의해 클램퍼(916)와 턴테이블(906) 사이에 개재 및 유지됨으로써, 턴테이블(906)상에 적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핀들 모터(904)의 구동력은 의도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에 전달될 수 있고, 디스크(100)는 요동 없이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25j)를 디스크 카트리지(323)가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삽입되는 방향(1A)에 평행한 측면(10r)상에 포함한다. 개폐기(25j)를 작동시키기 위해, 디스크 드라 이브(900)는 셔터(21, 22)를 개폐하기 위해 개폐기와 결합하는 셔터 개폐 장치(918)를 포함한다. 셔터 개폐 장치(918)는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로딩돼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측면(10r) 근처에 제공된다. 도 151에서는 개폐기(25j)를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셔터 개폐 장치(918)가 개폐기(25j)에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셔터 개폐 장치(918)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액추에이터는 도 151에 도시되지 않는다.
셔터 개폐 장치(918)는 본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삽입될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 개폐기 옆에 위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또는 제 10 실시예에서처럼 로딩될 디스크 카트리지가 헤드용 개구부(11h)를 포함하는 측면(10p)상에 셔터 개폐기를 갖는다면, 셔터 개폐 장치(918)는 측면(10p) 근처에 제공되어야 한다. 한편, 전술된 바람직한 제 6 내지 제 18 실시예중 어느 것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로딩되는 경우라도 셔터 개폐 장치(918)는 측면(10q)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2개 또는 그 이상의 셔터 개폐 장치(918)가 본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셔터 개폐 장치(918)가 도 151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측면(10p)상에 추가로 제공됨으로써,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01) 또는 바람직한 제 23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323)가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로딩될 수 있다.
셔터 개폐 장치(918)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개폐기(25j)와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디스크 카트리지(323)에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개폐기(25j)를 미끄럼 운동시킴으로써 열리거나 닫힌다. 따라서, 셔터 개폐 장치(918)는 개폐기(25j)와 결합하여야 하고, 화살표(1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여야 한다. 개폐기(25j)가 기어 형상(즉,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에서처럼 기어 개폐기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로딩될 때)을 갖는다면, 셔터 개폐 장치(918) 역시 기어 형상을 가져야 한다.
디스크 카트리지(323)가 지지되는 수직 레벨을 규정하도록 포스트(920)가 베이스(910)상에 제공된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포스트(920)의 상부상에 지지된다. 또한, 위치결정 핀(922)이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위치결정 홀(11w)과 결합하도록 베이스(910)상에 더 제공된다.
이 포스트(920) 및 위치결정 핀(922)은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드라이버(902)에 대해 사전 결정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작용한다. 선택적으로, 포스트(920)와 위치결정 핀(922) 대신에 디스크 드라이브(900)의 대안적인 지지체로서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는 그 위에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로딩하도록 끌어내진 후, 디스크(100)를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로딩하기 위해,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드라이버(902) 및 헤드(908)에 대해 사전 결정된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90)내로 삽입된다. 다른 대안으로, 트레이와 위치결정 핀(922)이 조합되어 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후, 본 디스크 드라이브(900)가 작동하는 방식이 설명될 것이다.
먼저, 디스크(100)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323)가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로딩된다.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혹은 로딩 장치(도 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동으로 로딩된다. 후자의 경우, 로딩 장치는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디스크 드라이브(900)의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슬롯(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도 151에 도시된 위치까지 운반할 수 있다. 그러면, 바람직한 제 1 또는 제 16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오목부(10c 또는 10e)가 도 151에서 화살표(926)에 의해 표시된 위치에 제공되어 로딩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트레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방법중 하나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드라이버(902)와 헤드(908)에 대해 사전 결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다른 대안으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오목부(10g) 혹은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슬릿(10b)이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도 151에서 화살표(928 또는 930)로 표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 드라이브(900)는 오목부(10g) 또는 슬릿(10b)과 결합하는 볼록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뒤집거나 틀린 방향으로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삽입하려 하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323)와 디스크 드라이브(90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323)가 밀려나온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디스크 드라이브(900)에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잘못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3)가 도 151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셔터 개폐 장치(918)는 개폐기(25j)와 결합함으로써 개폐기(25j)를 화살표(1A) 반대 방향을 따라 미끄럼 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셔터(21, 22)는 열리기 시작하여 결국 헤드용 및 고정용 개구부(11h, 11c)를 개방시킬 것이다. 또한, 바람직 한 제 20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셔터 개폐 장치(918)는 셔터(21, 22)를 통해 디스크 홀더(21b, 22a, 22b)가 디스크(100)를 해제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크 홀더(21b, 22a, 22b)에서 디스크(100)가 해제된다. 이어서, 클램퍼(916)를 그 위에 유지하는 암(914)이 낮춰짐으로써 클램퍼(916)와 턴테이블(906) 사이에 디스크(100)를 개재 및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0)는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턴테이블(906)상에 장착된다.
다음에, 스핀들 모터(904)에 의해 디스크(100)가 회전되기 시작한다. 그러면, 헤드(908)가 디스크(100)로부터/에 신호를 판독 또는 기록하기 위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을 액세스한다.
디스크 드라이브(900)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내리기 위해서는, 먼저 암(914)이 들어올려짐으로써 디스크(100)로부터 클램퍼(916)를 분리시킨다. 다음에, 셔터 개폐 장치(918)가 개폐기(25j)를 미끄럼 운동시키기 위해 화살표(1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힌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닫혀지려 함에 따라, 디스크 홀더가 디스크(100)를 그 위에 파지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완전히 닫혔을 때, 디스크 홀더는 디스크(100)를 그 위에 유지한다. 이 후, 언로딩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디스크 드라이브(900)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밀어낸다.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도 151에 도시된 디스크 드라이브내로 수평 로딩된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한 제 1 또는 제 8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디 스크 드라이브(900) 역시 디스크 카트리지가 수직 로딩되도록 수직 장착될 수 있다. 이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드라이브(900)내로 수직 로딩되더라도,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디스크 스토퍼가 여전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23 실시예에서는 부직포가 셔터에 초음파 용착되거나 점착된다. 그러나, 디스크가 어느 정도의 손상 방지용 구조를 갖는다면(예를 들어,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이 견고한 하드 코팅으로 덮여 있다면), 셔터는 부직포가 부착되지 않은 채 디스크와 직접 접촉해도 된다. 또한, 셔터는 모든 표면이 디스크의 신호기록면과 접촉해야할 필요는 없고, 대신에 적어도 일부만이 디스크의 신호기록면과 접촉하는 구조를 가져도 된다. 즉, 셔터의 표면 전체뿐만 아니라 단지 일부만이 디스크와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정도의 손상 방지용 구조체(예를 들어, 부직포)가 디스크와 접촉하는 부분에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24 실시예에서,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될 디스크(100)는 단일의 신호기록면(100A)만을 갖는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단일면 디스크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채택된다. 이는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가 수납 디스크의 일 면을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이고, 또한 단일면 디스크가 이러한 종류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즉, 이중의 신호기록면(즉, 이중면 디스크)을 갖는 디스크라도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적절히 수납될 수 있고, 신호의 판독 또는 기록을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내에 적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이중면 디스크가 수 납되는 경우에는 2개의 신호기록면중 노출된 하나에 먼지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먼지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디스크 카트리지에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24 실시예에서, 디스크(100)의 크기는 특별히 명기되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가 12cm 크기 또는 다른 다양한 크기를 갖는 디스크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된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24 실시예에서,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크기보다 약간 큰 외부 규격을 갖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디스크와 디스크 카트리지 사이의 크기 관계는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크 카트리지가 12cm 디스크를 수납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외부 규격을 갖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수납부 및 디스크 홀더의 크기 및 구조는 8cm 디스크를 수납하는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12cm 디스크용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8cm 디스크에 판독 및 기록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24 실시예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제 19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회전 스토퍼가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제 15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먼지를 수집하기 위한 오목부가 바람직한 제 16 실시예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제공될 수 있다.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24 실시예는 다른 많은 형태로 변형 또는 조합될 수 있으나, 가능한 조합 또는 변형중 일부만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이러한 다양한 변형 또는 조합을 인지 및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은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내에 들어오는 변형 및 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전술된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단일의 신호기록면만을 갖는 디스크를 수납하는 데 특히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본체는 디스크의 신호기록면만을 덮고 다른 면은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는 감소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 면에만 위치된 개구부를 폐쇄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셔터는 단순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좀더 작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홀더는 디스크를 셔터 또는 카트리지 본체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디스크를 유지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본체내에서 디스크가 일정하지 않게 움직이지 않을 것이고,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상에 먼지가 부착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디스크의 라벨 면이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표시되므로, 디스크 카트리지는 양호한 디자인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할 수 있는, 좀더 얇고 방진성이 높은, 양호한 디자인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앞서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안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 들어오는 이러한 모든 변형, 변경 및 변화를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4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디스크 수납부, 고정용 개구부 및 헤드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로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는 디스크 윈도우 및 저부를 구비하고,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상기 제 1 면이 상기 디스크 윈도우내에서 노출되도록 수납하고; 상기 고정용 개구부는 상기 디스크가 외부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상기 저부상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용 개구부는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제 2 면으로부터/제 2 면에 신호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제 2 면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역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상기 저부상에 형성되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헤드용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상기 저부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상기 셔터 위에 제공되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셔터를 열거나 닫는 방식으로 상기 셔터와 연동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제 2 면상의 신호 기록 영역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홀더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제 2 및 제 3 원이 반지름(R1, R2 및 R3)을 각각 갖도록 규정된다면, R1, R2 및 R3은 부등식 R1>R2>R3을 만족하고,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는 제 1 절두 원추 및 제 2 절두 원추내에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1 절두 원추의 저부 및 상부는 제 1 및 제 2 원에 의해 각각 규정되고, 상기 제 2 절두 원추의 저부 및 상부는 제 2 및 제 3 원에 의해 각각 규정되며,
    상기 제 1 원의 반지름(R1)은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디스크의 제 1 측면상의 제 1 지점까지의 거리로서 규정되며,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신호 기록 영역의 외주 근처에 규정되고 상기 외주보다 디스크의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원의 중심은 제 1 면상에 위치되고 디스크의 중심에 수직으로 규정된 축과 정렬되며, 상기 제 1 면은 상기 제 2 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 2 면 아래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 3 원의 중심은 제 2 면상에 위치되고 디스크의 중심에 수직으로 규정된 축과 정렬되며,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2 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 1 면 아래로부터 또다른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더 이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제 2 면상의 제 2 지점까지의 거리를 Rin이라고 하고, 여기서의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상기 신호 기록 영역의 내주보다 상기 디스크의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내주 근처에 규정되며;
    상기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제 2 면상의 제 1 지점까지의 거리를 Rout이라고 하고, 여기서의 제 1 지점은 상기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상기 신호 기록 영역의 외주보다 상기 디스크의 외측 에지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외측 에지 근처에 규정되며;
    높이 S를 갖는 공간이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제 2 면 아래에 제공되어야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면은 0.3S의 거리 및 거리 S만큼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각각 규정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원의 반지름(R1, R2 및 R3)은 Rout, (Rout-1.2S) 및 (Rout-16.2S)와 동일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측정할 때의 저부 반지름이 Rin이고 높이가 S인 원형 주면체를 제 1 및 제 2 절두 원추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확보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절두 원추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에 의해 각각 규정되며, 상기 제 2 절두 원추의 저부 및 상부는 상기 제 2 및 제 3 원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높이 S는 1mm이고, 상기 원형 주면체의 상기 저부의 반지름 Rin은 20mm이며, 상기 제 1 원의 반지름 Rout은 59mm인
    디스크 카트리지.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제 2 면의 외주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지지부와;
    상기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상기 헤드용 개구부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디스크 지지부에 제공되는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는 상기 저부의 외주를 따라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노치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디스크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상기 측벽과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크의 중심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채 상기 디스크 홀더가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디스크 지지부는 상기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상기 공간을 막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디스크 지지부가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제 2 면과 접촉하는 영역의 내주가,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으로부터 중심이 오프셋된 원을 규정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상기 디스크의 중심이 상기 원의 중심에 정렬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 상기 디스크의 중심과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약 0.5mm 내지 약 1.5mm인
    디스크 카트리지.
KR1020037010189A 2001-11-09 2002-11-07 디스크 카트리지 KR100614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44030 2001-11-09
JPJP-P-2001-00344030 2001-11-09
JP2001364438 2001-11-29
JP2001364463 2001-11-29
JPJP-P-2001-00364463 2001-11-29
JPJP-P-2001-00364438 2001-11-29
JP2002118208 2002-04-19
JPJP-P-2002-00118208 2002-04-19
JP2002150806 2002-05-24
JPJP-P-2002-00150806 2002-05-24
JPJP-P-2002-00196472 2002-07-04
JP2002196472 2002-07-04
PCT/JP2002/011630 WO2003041076A1 (en) 2001-11-09 2002-11-07 Disc cartrid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945A Division KR100852052B1 (ko) 2001-11-09 2002-11-07 디스크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477A KR20040052477A (ko) 2004-06-23
KR100614729B1 true KR100614729B1 (ko) 2006-08-21

Family

ID=275550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945A KR100852052B1 (ko) 2001-11-09 2002-11-07 디스크 카트리지
KR1020037010189A KR100614729B1 (ko) 2001-11-09 2002-11-07 디스크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945A KR100852052B1 (ko) 2001-11-09 2002-11-07 디스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6971117B2 (ko)
EP (1) EP1442460B1 (ko)
JP (1) JP3891984B2 (ko)
KR (2) KR100852052B1 (ko)
CN (1) CN100466092C (ko)
BR (1) BR0206265A (ko)
DE (1) DE60220697T2 (ko)
WO (1) WO2003041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219B2 (en) * 2001-07-06 2005-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JP3891906B2 (ja) * 2002-03-08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283770B2 (ja) * 2002-07-26 2009-06-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AU2003281733A1 (en) * 2002-07-30 2004-02-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US7673311B2 (en) * 2002-10-10 2010-03-02 Panasonic Corporation Disc cartridge for storage of a disc
US7278151B2 (en) * 2002-12-25 2007-10-02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US6944875B2 (en) * 2003-02-14 2005-09-13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with shutter overlapping gap having labyrinth shaped portion spaced to have a recessed dust deposition portion
CA2484524C (en) * 2003-04-09 2007-10-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JP3969349B2 (ja) * 2003-04-18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センターリング装置
US7603681B2 (en) * 2003-04-25 2009-10-13 Vmedia Research, Inc. Cartridge for miniature optical data storage disc
US7013476B2 (en) 2003-04-25 2006-03-14 Vmedia Research, Inc. Cartridge for miniature optical data storage disc
KR101006604B1 (ko) * 2003-09-15 201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카트리지
TW200515378A (en) * 2003-09-15 2005-05-01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cartridge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therein/therefrom
EP1668644B1 (en) * 2003-09-16 2010-12-08 LG Electronics Inc. Disc cartridge
WO2005027128A1 (en) * 2003-09-16 2005-03-24 Lg Electronics Inc. Disc cartridge
CN100593818C (zh) * 2003-10-28 2010-03-10 Lg电子株式会社 盘片盒组件
KR20050042706A (ko) * 2003-11-04 2005-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US7448056B2 (en) * 2003-11-10 2008-1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JPWO2005073970A1 (ja) * 2004-01-30 2008-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
EP1577893A3 (en) * 2004-03-16 2008-05-28 FUJIFILM Corporation Disk cartridge
JP2005276338A (ja) * 2004-03-25 2005-10-0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8315144B2 (en) * 2004-05-13 2012-11-20 VMO Systems Inc. Small form factor optical disc drive for use in mobile electronic device
US7983139B2 (en) * 2007-11-30 2011-07-19 Vmedia Research, Inc. Small form factor optical data storage disc and cartridge
CN102054512B (zh) * 2009-10-27 2012-09-05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光盘机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9504A (en) * 1930-07-01 1931-10-27 Charles J Carlotti Hangar
US4433410A (en) * 1982-06-30 1984-02-21 Rca Corporation Protective cartridge for optical discs
JPS5956681U (ja) * 1982-10-06 1984-04-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S61104381A (ja) 1984-10-22 1986-05-22 Fuji Photo Film Co Ltd 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S61170172U (ko) 1985-04-11 1986-10-22
JPS6329278U (ko) * 1986-08-07 1988-02-26
JPH0348765Y2 (ko) * 1986-10-13 1991-10-17
US4773061A (en) * 1986-10-27 1988-09-20 Eastman Kodak Company Carrier for data storage disk
JPS63164863U (ko) 1987-04-14 1988-10-27
JPS6419572U (ko) 1987-07-28 1989-01-31
JPH0544923Y2 (ko) 1988-10-26 1993-11-16
JPH0371465U (ko) 1989-11-14 1991-07-19
DE4116344A1 (de) * 1990-05-23 1991-11-28 Tdk Corp Diskettenkassette
JP2766384B2 (ja) 1990-07-06 1998-06-18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901439B2 (ja) 1992-11-10 1999-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10860U (ja) 1993-07-19 1995-02-1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再生装置
US5499233A (en) * 1994-06-20 1996-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disk carrier with write-protect mechanism
WO1997011463A1 (fr) * 1995-09-21 1997-03-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rtouche a disquette amovible
JP3490554B2 (ja) * 1995-10-13 2004-01-26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JPH09153264A (ja) 1995-11-29 1997-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5931296A (en) * 1995-12-15 1999-08-03 Sony Corporation Accomodating case for disc cartridge
US6324158B1 (en) * 1996-02-28 2001-11-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k cartridge
TW396334B (en) * 1996-07-12 2000-07-01 Sony Corp Disk tray and tray allocation box
JPH1031856A (ja) * 1996-07-15 1998-02-03 Ak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保持装置
CN1187753C (zh) * 1997-12-16 2005-02-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盘盒
JPH11238335A (ja) 1998-02-19 1999-08-31 Sony Corp リムーバブル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449242B2 (en) * 1998-04-28 2002-09-10 Hitachi, Ltd. Disk cartridge
JPH11339424A (ja) * 1998-05-22 1999-12-10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9990086978A (ko) * 1998-05-23 1999-12-15 윤종용 인식홀개페수단을가지는기록매체용카트리지
JP3997607B2 (ja) * 1998-05-29 2007-10-2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090628A (ja) 1998-07-13 2000-03-31 Sony Corp ディスクカ―トリッジ
JP3042507B2 (ja) 1998-07-31 2000-05-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113630A (ja) * 1998-10-05 2000-04-21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123521A (ja) * 1998-10-20 2000-04-28 Hitachi Maxell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843333B2 (en) 1999-11-29 2005-01-18 Baker Hughes Incorporated Impregnated rotary drag bit
JP2001283556A (ja) * 2000-03-31 2001-10-12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296683B2 (ja) 2000-03-31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83557A (ja) * 2000-03-31 2001-10-12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83555A (ja) 2000-03-31 2001-10-12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330102B2 (ja) 2000-05-08 2009-09-16 日本紙パック株式会社 記録用媒体の収納ケース
TW522385B (en) * 2000-05-17 2003-03-01 Sony Corp Disk cartridge
US6700863B2 (en) * 2000-05-17 2004-03-02 Sony Corporation Disk cartridge
JP4089140B2 (ja) * 2000-07-28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666646B2 (ja) * 2000-12-08 2005-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
EP1363288B8 (en) * 2001-01-12 2009-08-12 Panasonic Corporation Disc cartridge
US6910219B2 (en) * 2001-07-06 2005-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JP3991642B2 (ja) * 2001-09-27 2007-10-1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052B1 (ko) 2008-08-13
DE60220697D1 (de) 2007-07-26
US6971117B2 (en) 2005-11-29
US20040052204A1 (en) 2004-03-18
CN100466092C (zh) 2009-03-04
US20050160446A1 (en) 2005-07-21
JP2005509239A (ja) 2005-04-07
WO2003041076A1 (en) 2003-05-15
EP1442460A1 (en) 2004-08-04
DE60220697T2 (de) 2007-10-04
CN1486494A (zh) 2004-03-31
JP3891984B2 (ja) 2007-03-14
US7290273B2 (en) 2007-10-30
US20050257233A1 (en) 2005-11-17
EP1442460B1 (en) 2007-06-13
BR0206265A (pt) 2003-12-23
KR20040052477A (ko) 2004-06-23
KR20060064029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729B1 (ko) 디스크 카트리지
AU2002225396B2 (en) Disc cartridge
EP1551025B1 (en) Disc cartridge
EP1274082B1 (en) Disc cartridge
KR100944316B1 (ko) 디스크 카트리지
JP377638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9202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9202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9202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9202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44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44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44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609273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609273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525138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