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910A -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910A
KR20060122910A KR1020067015841A KR20067015841A KR20060122910A KR 20060122910 A KR20060122910 A KR 20060122910A KR 1020067015841 A KR1020067015841 A KR 1020067015841A KR 20067015841 A KR20067015841 A KR 20067015841A KR 20060122910 A KR20060122910 A KR 20060122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tether
inflatable cushion
housing
deploy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0407B1 (ko
Inventor
로우라 에이. 호돈
마크 티. 윈터즈
제이슨 더블유. 브라운
라이언 티. 핀센샤움
제임스 엘. 웨버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2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to vent the inflation fluid source, e.g. in case of over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접힌 채로 저장된 팽창 가능한 쿠션; 팽창 가능한 쿠션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과 유체 유동을 하고, 팽창 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팽창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팽창 개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와 유체 유동을 하는 팽창기; 및 일단은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에어백 모듈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전개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전개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로 팽창할 때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에 의해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Description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관련 출원 참고 사항
본 출원은 2004년 2월 4일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 제 60/541,793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출원의 일부로서 참조한다.
본 출원은 2002년 2월 20일에 출원한 미국 부분 연속 출원 제 10/078,961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출원의 일부로서 참조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 또는 팽창 가능한 쿠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의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전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모듈은 현대식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에어백 모듈은 일반적으로 팽창 가능한 쿠션과 하우징 내부의 팽창기를 포함한다. 모듈은 스티어링 휠, 계기판, 시트, 차량의 문, 에이(A) 필러 및 다른 장소와 같은 차량 내부의 적절한 장소에 설치된다. 팽창 가능한 쿠션은 팽창기와 유체가 소통하는 하우징 내부에 접혀서 보관된다. 활성화 사건 또는 발생에 반응하여 센서는 팽창기를 활성화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팽창기는 쿠션이 팽창하도록 쿠션으로 팽창하는 가스를 공급하여, 쿠션이 하우징에서 차량 내부로 전개하도록 한다.
팽창 가능한 쿠션이 특정한 조건에 따른 팽창 수준을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2 단계 팽창기(dual stage inflator)가 팽창 가능한 쿠션의 팽창 수준을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발생된 팽창 가능한 기체의 일부를 쿠션에서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배출 기법(venting scheme)이 사용된다. 게다가 다양한 테더링 시스템(tethering system)이 전반적인 쿠션의 부피를 제한하거나 변화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하우징에서의 거리에 따라 팽창 가능한 쿠션에 가해지는 팽창력의 양을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는 테더 또는 테더링 시스템이 있는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는 에어백 모듈의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전개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와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일단(one end)은 쿠션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고, 쿠션이 팽창할 때 통과하는 미리 정해진 지점인 타단(the other end)인 에어백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테더를 갖는 장치는 테더가 에어백 모듈의 배출 개구(vent opening)를 덮도록 한다.
차량에는 에어백 벤팅 제어 시스템이 사용된다. 시스템은 하우징, 팽창 가능한 쿠션 및 팽창기와 쿠션이 팽창함에 따라 개구를 덮는 그리고/또는 여는 수단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차량의 좌석 구조(seating structure)에 따른 선별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쿠션은 하우징에 접힌 채로 배치되므로, 좌석 구조를 향하여 전개될 수 있다.
에어백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있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접힌 채로 배치된 팽창 가능한 쿠션, 팽창 가능한 쿠션에 유체를 전달시키고 팽창 가능한 쿠션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덮는 구조이며, 일단은 팽창 가능한 쿠션에 고정되고 타단은 에어백 모듈의 일부에 고정되어,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쿠션이 미리 정해진 팽창에 이르기까지 하우징의 외부로 유체를 전달시키도록 하는 전개 가능한 부재(deployable member)를 가지게 된다.
에어백 모듈의 팽창 가능한 쿠션의 배출을 다양하게 하는 방법은 하우징의 개구를 전개 가능한 부재로 덮는 것이다. 전개 가능한 부재는 에어백 모듈의 팽창 가능한 쿠션이 제 1 방향으로 완전히 전개될 때 에어백 모듈의 배출구를 덮도록 하는 구조를 띈다.
현재 공개된 상기 또는 다른 특징들은 해당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앞으로 기술될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첨부된 청구항을 통해 인식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에어백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차량의 탑승자와의 작동 관계(operational relationship)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정면 에어백 시스템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 에어백 시스템의 제 1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 에어백 시스템의 제 2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정면 에어백 시스템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제 1 동작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정면 에어백 시스템의 제 2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 5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정면 에어백 시스템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제 1 및 제 2 동작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에어백 쿠션이 보관된 또는 접힌 상태를 도시하는 차량 내부의 부분 투영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에어백 모듈의 구성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에어백 모듈의 팽창기와 함께 도시된 도 10의 구성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부분적으로 조립된 에어백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부분적으로 조립된 에어백 모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닫힌 상태의 하우징 개구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에어백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열린 상태의 하우징 개구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에어백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전개 상태의 에어백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6A는 도 16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제 2 전개 상태의 에어백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7A는 도 17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닫힌 상태의 하우징 개구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에어백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19-19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의 센서 테더(sensor tether)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센서 테더의 평면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팽창 가능한 쿠션과 테더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25A 내지 도 25F는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테더와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전개 순서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센서 장치 또는 요소의 개략도이다.
공동 소유 및 양도된 아래 사건의 내용을 본 출원의 일부로서 참조한다. 해당 사건은 2002년 11월 15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 10/295,932 호(대리인 사건번호 DP-306604), 2003년 12월 13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 10/318,913 호(대리인 사건번호 DP-305523), 2003년 1월 29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 10/353,661 호(대리인 사건번호 DP-306643), 2002년 2월 20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 10/078,961 호, 그리고 미국 특허 제 6,545,300 호, 제 6,422,597 호, 제 6,561,545 호 및 제 6,390,501 호이다.
팽창 가능한 쿠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팽창기 및 팽창 가능한 쿠션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개구 및 팽창기의 일부분 근처에 배치된 테더 또는 전개 가능한 부재의 사용을 통하여 에어백 모듈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가 본 명세서에 제시되어 있다. 테더는 일단이 팽창 가능한 쿠션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으며, 테더의 일부분은 에어백 모듈 하우징의 배출구(vent aperture)를 닫고 여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구는 팽창기의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개구(inflation opening)에 직접 정렬된다. 한 용례로서 배출구와 팽창 개구는 어긋날 수 있거나, 복수의 배출구가 하우징과 팽창기 양쪽에 제공되고 배출구의 상당수는 팽창 개구에 직접 정렬되고 다른 복수는 어긋나게 된다.
도면들과 특히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를 때 도면부호 (12)로 지시되는 차량(부분적으로 도시됨)에 사용되는 정면 에어백 시스템(10)의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차량(12)의 탑승자 구역(16)에는 좌석(14)이 존재하며, 이는 적절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량 구조(도시되지 않음)에 탑재된다. 또한 차량(12)은 좌석(14)에 인접하고 통상적으로 그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문(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문은 적절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량 구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탑승자(18)는 통상적으로 문에 인접한 좌석(14)에 착석한다. 나아가 차량(12)은, 좌석(14)에서 앞쪽에 위치하여 탑승자 구역(16)을 횡방향으로 가 로질러 뻗은 계기판(19)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면 에어백 시스템(10)은, 계기판(19)에 탑재되고, 탑승자 구역(16)의 조수석 쪽의 탑승자(18)를 위한 정면의 구속작용을 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정면 에어백 시스템(10)은 운전자, 조수석 탑승자 또는 측면 에어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나아가 정면 에어백 시스템(10)을 제외하고, 차량(12)은 종래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이며 알려져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에어백 시스템(10)은, 도면부호 (20)으로 지시되고 계기판(19)에 탑재되는 에어백 모듈을 포함하며, 탑승자(18)를 향해 뒤쪽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모듈(20) 내부에 배치된 에어백(22)을 포함한다. 에어백(22)은 통상적으로 사각형 모양의 단일한 패널이다. 에어백(22)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이 종래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직물 소재(fabric material)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20)은, 파스너(fastener, 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계기판(19)에 탑재된 외부 하우징(24)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24)은 통상적으로 사각형 모양이고, 플라스틱과 같은 강체(rigid material)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하우징(24)은 그 내부에 챔버(30)를 형성하기 위해 옆으로 뻗는 바닥벽(26)과 이 바닥벽(26)에 대체로 수직으로 뻗는 복수의 측벽(28)을 갖는다. 바닥벽(26)은 또한 챔버(30)에서 뻗으며 팽창기 공동(34)을 형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U"자 모 양을 갖는 오목부(32)를 갖는다. 측벽(28)은 기술될 기능을 위해 복수의 관통형 개구(aperture) 또는 벤트(36)를 갖는다. 또한 측벽(28)은, 횡방향 바깥으로 뻗으며 통상적으로 자유단에서 측벽(28)에 수직인 외부 플랜지(38)를 갖는다. 에어백(22)은 파스너(40)와 같이 적절한 수단에 의해 외부 플랜지(38)에 고정되는 모서리를 갖는다. 또한 측벽(28)은 횡방향 바깥으로 뻗으면서 측벽(28)에 대체로 수직인 내부 플랜지(41)를 가질 수도 있고, 이 내부 플랜지(41)에는 기술될 기능을 위해 관통형 개구(41a)가 있다. 외부 하우징(24)은 일체형, 통합 및 단일 부분의 모놀리식 구조(monolithic structure)이다. 측벽(28)은 벤트(36)가 열을 이루어 구멍 뚫리게 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나아가 문 또는 덮개(도시되지 않음)는 외부 하우징(24)의 개방단을 닫는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에어백 모듈(20)은, 팽창기 공동(34)을 가로질러 뻗으며, 파스너(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바닥벽(26)의 오목부(32)에 고정되는 팽창기 또는 확산기 패널(42)을 포함한다. 팽창기 패널(42)은 기술될 기능을 위해 통과하여 뻗는 복수의 개구(44)를 갖는다. 팽창기 패널(42)은 플라스틱과 같은 강체로 구성된다.
에어백 모듈(20)은 외부 하우징(24)의 챔버(30)에 배치된 내부 하우징(46)을 포함한다. 내부 하우징(46)은, 측벽(28)의 내부 플랜지(41)에 있는 개구(41a)를 통하여 뻗으며 통상적으로 개방단부와 사각형 모양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48)을 갖 는다. 측벽(48)은, 내부 하우징(46)이 외부 하우징(24)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을 때, 외부 하우징(24)에 있는 벤트(36)와 원래 정렬되어 있는 통과하여 뻗는 복수의 개구 또는 벤트(50)를 갖는다. 측벽(48)은, 횡방향 내부로 뻗으며 기술될 기능을 위한 외부 하우징(24)의 개방단부에 인접한 한쪽 단부(end)에 위치하여 통상적으로 측벽(48)에 수직인 플랜지(52)를 갖는다. 측벽(48)은 벤트(50)가 열을 이루어 구멍 뚫리게 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정면 에어백 시스템(10)은 에어백(22) 및 내부 하우징(46)과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테더(54)를 포함한다. 각각의 테더(54)는 파스너(58)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측벽(48)의 플랜지(52) 중의 하나와 연결된 제 1 단부(56)를 갖는다. 각각의 테더(54)는 파스너(62)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에어백(22)의 중간 부분과 연결된 제 2 단부(60)를 갖는다. 에어백(22)의 팽창은 테더(54)를 당겨서 외부 하우징(20)에 관련하여 내부 하우징(46)을 움직이도록 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정면 에어백 시스템(10)은, 에어백(20)의 팽창을 위해 바닥벽(26)의 오목부(32) 및 팽창기 패널(42) 사이의 팽창기 공동(34)에 배치된 팽창기(64)를 더 포함한다. 팽창기(64)는 팽창기 공동(34)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으며, 통상적으로 실린더 모양이다. 팽창기(64)는, 파스너(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외부 하우징(20)의 바닥벽(26)에 팽창기(64)를 탑재하기 위한 팽창기 브래킷(도시 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64)는 중앙 불꽃점화기(central pyrotechnic unit)를 포함하며, 가스가 통과하도록 하는 복수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파열 디스크(rupture disk) 또는 확산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64)는 중앙 불꽃점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팽창기(64)의 중앙 불꽃점화기는, 팽창기 공동(34)으로 가스를 뿜어서 팽창기 패널(42)의 개구(44)를 통해서 에어백(22)을 팽창시키도록 하는 동력원에 의해 작동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작동상 정면 에어백 시스템(10)은 계기판(19)에 탑재되며, 에어백(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서 넣어진 상태이다. 내부 하우징(46)의 벤트(50)는 외부 하우징(24)의 벤트(36)와 정렬되어 있다. 차량(12)이 예정된 임계수준(threshold level) 이상의 조건을 나타내는 충돌을 겪는 경우, 전기신호가 팽창기(64)로 보내진다. 팽창기(64)가 작동하고, 가스가 중앙 불꽃점화기에 의해 팽창기 공동(34)으로 배출되고, 팽창기 패널(42)의 개구(44)를 통해 도 3의 화살표가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22)으로 들어간다. 가스는 에어백(22)으로 들어가고, 처음에는 에어백(22)의 소재와 벤트(36, 50) 사이의 간섭으로 인하여 벤트(36, 50)를 통해 유출되지 않는다. 에어백(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워져서 탑승자(18)와 계기판(19) 사이의 차량(12)의 탑승자 구역(16)으로 팽창하면서 전개한다. 테더(54)는 슬랙(slack) 즉 느슨한 부분을 가지며, 벤트(36, 50)는 정렬되어 가스가 대기중으로 유출된다. 도 3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난 것과 같이, 일단 에어 백(22)이 부분적으로 전개되면 가스는 벤트(50, 36)를 통하여 유출되거나 배출되며, 벤트는 여전히 정렬되어 있다.
벤트(36, 50)는, 탑승자(18)가 근접하여 좌석(14)에 앉아 있는 경우 초기의 전개과정에서 에어백(22)의 증가하는 압력을 회피하기 위하여 가스를 배출 또는 발산한다. 다른 경우라면 탑승자가 정상적으로 좌석(14)에 앉아 있는 경우 테더(54)가 당겨질 때까지 수 밀리초(milliseconds)동안 벤트(36, 50)가 배출한다. 일단 당겨진 경우 그 이후 에어백(22)의 팽창과 전개 과정에서, 테더(54)는 내부 하우징(46)을 위로 조금 당겨서 외부 하우징(24)에 비하여 닫힌 상태가 되며, 벤트(36, 50)는 정렬되지 않고 가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24)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다. 탑승자(18)은 통상적으로 전개된 에어백(22)에 부딪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에어백 시스템(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정면 에어백 시스템(10)과 유사한 부분은 100 만큼 증가된 유사한 식별번호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정면 에어백 시스템(110)은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124)의 오목부를 제거한다. 외부 하우징(124)은 바닥벽(126)과 측벽(128)을 갖고 그들 사이에 활모양으로 굽은 모서리부(127)가 형성된다. 모서리부(127)은 관통형 벤트(136)를 갖는다. 외부 하우징(124)은 챔버(130) 내부로 튀어나온 리브(rib) 또는 돌출부(170)를 갖는다. 정면 에어백 시스템(110)은, 모서리부(127) 근처에 배치되고 외부 하우징(124)의 리브(170)와 함께 작용하기 위해 외부로 튀어 나온 리브 또는 돌출부(165)를 포함하는 팽창기(164)를 갖는다. 정면 에어백 시스템(110)에서, 테더(154)의 제 1 단부(156)는 파스너(158)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팽창기(164)에 연결되고, 제 2 단부는 에어백에 연결된다. 또한 정면 에어백 시스템(110)은 기술될 기능을 위해 테더(154)의 하나 이상의 파열 봉합부(break-away stitches, 17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상 정면 에어백 시스템(110)은 계기판(19)에 탑재되며, 에어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서 넣어진 상태이다. 차량(12)이 미리 정해진 임계수준 이상의 조건을 나타내는 충돌을 겪는 경우, 전기신호가 팽창기(64)로 보내진다. 팽창기(64)가 작동하고, 가스가 중앙 불꽃점화기에 의해 챔버(130)로 배출되고 도 5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으로 들어간다. 가스는 에어백으로 들어가 에어백을 전개하기 위해 가득 차게 된다. 에어백은 가득 차서 탑승자(18)와 계기판(19) 사이에 있는 차량(12)의 탑승자 구역(16)으로 팽창하여 전개된다. 탑승자가 정상적으로 좌석(14)에 앉아 있는 경우, 에어백의 정상적인 전개는 외부 하우징(124)의 모서리부(127)에 있는 벤트(136)와 팽창기(164)를 정렬하기 위해서 팽창기(164)를 회전시키는 테더(154)를 당긴다. 가스는 돌출부(165)가 돌출부(170)와 닿을 때까지 벤트(136)를 통해서 수 밀리초 동안 배출되며, 테더(154)가 초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겨진다. 일단 초기에 당겨진 뒤 그 이후 에어백의 팽창과 전개에 있어서, 테더(154)는 잡아 찢거나 파열 봉합부(172) 부분이 파손되고, 테더(154)를 완전히 당기게 된다. 일단 완전히 당기는 경우 테더(154)는 당겨지거 나 팽창기(164)의 돌출부(165)를 회전시켜 외부 하우징(124)의 돌출부(170)를 지나게 하고, 가스는 외부 하우징(124)을 통해 배출될 수 없으나 완전히 전개될 때까지 에어백을 계속해서 팽창시키게 된다. 탑승자(18)는 전개된 에어백에 부딪히게 된다. 모서리부(127)는 벤트(136)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팽창기 패널 또는 테더(154) 그 자체는 벤트(136)를 포함할 수 있고 팽창기(164)가 회전하기 전에 초기 위치에서 가스를 배출하도록 팽창기(164)를 덮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에어백 시스템(10)의 또 다른 실시예(210)가 도시되어 있다. 정면 에어백 시스템(10)과 유사한 부분은 200 만큼 증가된 유사한 식별번호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정면 에어백 시스템(210)은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224)의 오목부를 제거한다. 외부 하우징(224)은 그곳을 통과하여 뻗는 벤트(236)가 있는 바닥벽(226)을 갖는다. 정면 에어백 시스템(210)은 하우징(224)의 인접한 모서리에 배치된 팽창기(264)를 갖고, 팽창기 패널(242)은 팽창기(264)의 가스 배출에 정렬된 개구(244)를 갖는다. 정면 에어백 시스템(210)에서, 테더(254)의 제 1 단부(256)는 파스너(258)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우징(224)의 바닥벽(226)에 연결되며, 제 2 단부는 에어백(222)에 연결된다. 테더(254)는 하나 이상의 벤트 또는 그것의 부분을 관통하여 뻗는 개구(280)를 갖는다. 정면 에어백 시스템(210)은, 또한 기술될 기능을 위해 초기 위치에서 테더(254)의 벤트(280)와 하우징(224)의 벤트(236)를 정렬하기 위하여 테더(254)가 있는 하나 이상의 파열 봉합부(272)를 포함한다. 정면 에어백 시스템(210)은 초기 위치에서 테더(254)를 보유하기 위하여 하우징(226)에 연결되는 리테이너(retainer, 282)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282)는 벤트(280, 236)에 정렬된 복수의 개구(284)를 갖는다.
작동상 정면 에어백 시스템(210)은 계기판(19)에 탑재되며, 에어백(222)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혀서 넣어진 상태이다. 테더(254)의 벤트(280)는 외부 하우징(224)의 벤트(236)와 정렬된다. 차량(12)이 미리 정해진 임계수준 이상의 조건을 나타내는 충돌을 겪는 경우, 전기신호가 팽창기(264)로 보내진다. 팽창기(264)가 작동되고 가스는 도 7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는 것과 같이 중앙 불꽃점화기에 의해 팽창기 패널(242)의 개구(244)를 통해 챔버(230)로 배출되고 에어백(22)으로 들어간다. 가스는 에어백(222)으로 들어가서 에어백(222)을 전개하기 위해 가득 차게 된다. 에어백(222)은 가득 차서 탑승자(18)와 계기판(19) 사이에 있는 차량(12)의 탑승자 구역(16)으로 팽창하여 전개된다. 테더(254)는 슬랙 즉 느슨한 부분을 가지고, 벤트(236, 280)는 리테이너(282)의 개구(284)와 정렬되어 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7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일단 에어백(222)이 부분적으로 전개되면, 가스는 벤트(280, 236)를 통해 유출 또는 방출되며, 벤트는 여전히 정렬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벤트(236, 280)는, 탑승자(18)가 근접하여 좌석(14)에 앉아 있는 경우 초기의 전개과정에서 에어백(222)의 증가하는 압력을 회피하기 위하여 가스를 배출 또 는 발산한다. 다른 경우라면 탑승자(18)가 정상적으로 좌석(14)에 앉아 있는 경우 테더(254)가 당겨질 때까지 수 밀리초동안 벤트(236, 238)가 배출한다. 일단 당겨진 경우 그 이후 에어백(222)의 팽창과 전개 과정에서, 테더(254)는 잡아 찢거나 파열 봉합부(272) 부분이 파손되고, 테더(154)를 완전히 당기게 되며, 벤트(236, 280)는 정렬되지 않고 가스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224)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다. 탑승자(18)은 통상적으로 전개된 에어백(222)에 부딪히게 된다.
이제 도 9 내지 도 25F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특히 도 9에는 차량(310)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좌석구조(312) 및 에어백 모듈(314)이 차량(310)의 내부 격실(interior compartment)에 포함되며, 에어백 모듈(314)은 좌석 구조(312)에 관하여 선택적인 공간 관계로 배치된다. 에어백 모듈(314)은 하우징(316), 팽창기(318) 및 팽창 가능한 에어백 또는 쿠션(320)을 포함한다. 모듈(314)은 쿠션(320)이 좌석 구조(312)를 향하여 전개되도록 차량(310)에 배치된다.
센서 또는 감지-진단 모듈(322)은 활성화를 탐지하기 위해 채택되며, 임계 상황(threshold event)의 발생은 팽창기(318)에 의해 발생되고 받아드려지는 활성화 신호(324)를 야기하며, 그에 의해 팽창기는 팽창 출력(inflation output)을 제공하여 팽창 가능한 쿠션을 팽창시킨다. 임계 상황의 탐지는 알려진 기술에 따른 차량 주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활성화 신호(324) 는 에어백 모듈(314)의 활성화를 통제한다.
팽창 가능한 쿠션은 하우징(316)에 접힌 또는 펼쳐지지 않은 상태로 보관된다. 쿠션은 팽창기(318)와 유체의 유통이 되도록 배치되며, 팽창 출력 또는 팽창 가능한 기체가 발생되어 쿠션이 팽창하도록 한다. 감지-진단 모듈(322)에 의한 활성화의 탐지시 팽창기(318)는 신호(324)를 통해 활성화되어 팽창 가스를 발생하게 된다. 팽창 가스는 쿠션(320)이 팽창하여 하우징(316)에서 차량의 내부로 확장되도록 한다. 모듈(314)은 오직 차량 계기판에 포함된 상태로써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물론 모듈(314)이 스티어링 휠에 한정되지 않고 좌석, A 필러, 지붕 및 다른 장소 뿐만이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다른 각 또는 위치 관계와 같은 차량의 다른 지역에도 전개를 위해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차량 인테리어, 계기판, 에어백 모듈 및 그와 같은 것에 대한 관계의 특정 구성은 예를 든 바와 같이 제공되며, 물론 이러한 구성은 도 9에 도시된 특정 구성과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더구나 본 설명은 다양한 타입의 팽창 가능한 쿠션과 팽창기의 사용에 대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쿠션은 다양한 전개 구성과 다양한 타입의 팽창기(예를 들면 2 단계 팽창기)를 달성하기 위하여 특정한 방법으로 접힌다.
추가로 본 설명에서 감지-진단 모듈은 하나 이상의 좌석 구조의 상태를 탐지 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진단 모듈(322)은, 좌석 구조(312)의 무게 또는 중량(예를 들면 탑승자의 무게), 좌석 구조의 위치, 다른 부분에 비한 좌석 구조 부분의 각도, 에어백 모듈(314)에서 좌석구조까지의 거리 및 차량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에서 수신한 입력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에 관련된 다른 데이터와 같은 것을 하나 이상 탐지하기 위하여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진단 모듈은 좌석 위치 센서(326), 광학 스캐너(328), 중량 센서(330), 좌석 기울기 센서(332), 좌석 벨트 사용 탐지 센서(334) 및 벨트 장력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센서는 하나 이상의 좌석 상태를 나타내도록 모듈(322)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탑승자의 크기(예를 들어 센서에 의해 결정되는 무게)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좌석 상태는 팽창 가능한 쿠션의 바람직한 전개 계획을 결정하기 위하여 감지-진단 모듈 내부에 배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재된 제어 알고리즘에 입력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 또는 다른 판독가능한 형식의 기기에 저장된 검색표(look up table)와 비교할 때, 데이타 입력은 알고리즘이 에어백의 완전한 전개 또는 부분적인 전개 중에 어느 것이 바람직한지를 결정하게 해준다.(예를 들면 쿠션의 전개 특성을 변화시키도록 디자인된 시스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의한 에어백 모듈의 맞춤)
다양한 센서의 연속적인 샘플링(sampling)은, 감지-진단 모듈이 활성화(전 개)가 발생하기 전에 다양한 입력을 제공받게 해준다. 본 설명의 배출 시스템은 전술한 센서의 어떠한 조합과도 함께 사용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며, 전술한 특정한 타입의 센서에 의해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주목한다.
좌석 위치 센서는 에어백 모듈(314)에 비하여 좌석 구조(312)의 위치 또는 거리를 탐지한다. 비슷하게 광학 스캐너(328)는 좌석 구조(312)의 위치를 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중량 센서(330)는 좌석 구조(312) 내부에 배치되고, 좌석 구조의 중량을 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센서(330)는 좌석 구조(312)의 한 부분에 가해진 특정 무게 또는 중량을 탐지할 수 있다. 좌석 기울기 센서(332)는 좌석 구조(312)의 아래쪽 또는 좌석부분에 비하여 좌석 구조(312)의 위쪽 또는 뒷 부분이 어느 정도 또는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위치했는지를 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좌석 벨트 사용 탐지 센서(334)는 좌석 벨트(336)가 고정되었는지(예를 들어 버클이 그에 대응되는 걸쇠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좌석 벨트 장력 센서는 홀로 또는 중량 센서(330)와 결합하여 좌석 구조(312)의 중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에 주입되는 팽창 에너지 또는 가스 입력은 일단이 팽창 가능한 쿠션에 고정되고 타단은 에어백의 부분에 고정되는 테더에 의해 제어된다. 테더는 하우징과 팽창 가능한 쿠션과 함께 접혀진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다. 전개의 초기 단계 동안에 하우징의 배출 개구가 열리고, 쿠션 이 제 1 방향으로 완전히 전개됨에 따라 테더의 부분은 배출 개구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테더가 개구 근처에 배치되었기 때문이며, 테더의 미리 정해진 양이 팽창하는 쿠션에 의해 펼쳐질 때까지 테더가 배출 개구를 막지 않도록 접혔기 때문이다. 테더의 움직임 또는 풀어짐은 팽창하는 쿠션에 의해 촉진된다. 그래서 제 2 방향으로의 쿠션의 팽창이 차단된다면, 팽창기의 출력은 하우징의 배출 개구 밖으로 배출되도록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벤트와 직접 정렬된 하우징의 개구를 막는 테더에 의해 팽창기 가스의 배출 또는 직접적인 배출을 차단하거나 막도록 한다.
이와 달리, 개구는 팽창기의 벤트에서 한쪽으로 치우칠 수도 있거나, 복수의 오프닝이 하우징에서 다소는 확산기의 벤트와 정렬되고 다소는 그렇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전개가 진행됨에 따라 벤트가 열릴 것이다. 또는 전개 과정에서 문의 개방을 돕기 위해 최소한의 쿠션의 이동(예를 들면, 큰 도어 개방력(opening force)을 제공하기 위해 전개 초기의 펀치아웃 페이즈 동안에 배출이 없는 것) 후에 팽창기로부터 팽창 가스는 팽창기의 벤트를 경유해 하우징을 통과해 나오게 된다. 이것은 쿠션이 차량의 내부를 향해 팽창하고, 테더가 벤트를 닫도록 당길 때까지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한다. 그러한 구성을 요구하는 응용의 비한정적인 예는 더 큰 개방력, 예를 들어 어떤 보이지 않는(예를 들어 바깥에서 티어심이 보이지 않는) 파열 봉합부 또는 파열심(tear seam) 도어 패널을 요구할 수도 있는 에어백 도어 패널이다. 이러한 구성은 때때로 보이는 심이 있는 도어 패널보다 더 큰 개방력을 요구한다. 또 다른 비한정적인 예는 문이 열릴 때 전개 가능한 문 근처에 탑승자가 있을 것 같지 않은 지역의 도어 패널이 움직이거나 회전하게 되는 차량 내부에 배치된 에어백 모듈이다. 그와 반대로, 팽창 가능한 쿠션이 탑승자를 향해 팽창함에 따라 처음에는 배출시키고, 그 후 벤트를 덮도록 테더가 배치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탑승자에 관하여 마주보는 공간관계에 위치한 문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테더가 충분히 확장되지 않으면, 벤트는 열린 채로 있고, 팽창 에너지의 많은 부분은 팽창하는 쿠션에서 멀리 떨어진 모듈의 뒷면 또는 옆면으로 배출된다. 만약 다른 한편에서 테더가 완전히 확장된다면, 벤트를 통하여 잃는 가스는 줄어들고 팽창기의 제 2 단계에 의해 보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에 있어서, 에어백 모듈은 직접 배출을 활용한다.(예를 들어 팽창기의 벤트와 하우징의 개구의 정렬) 따라서 모듈은 배출을 시작하기 전에 압력을 높일 필요가 없다. 전개 도어에 직접 닿은 것으로 도시된 초기 펀치아웃(punchout)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기 입력 또는 부가된 착화 루프(firing loop) 또는 추가적인 부분이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모듈을 덜컥대거나 이에 상당한 중량을 가할 수 있는 추가 부분을 부가하지 않는다.
도면들 및 특히 도 10 내지 도 17에 있어서, 에어백 모듈(314)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은 파스너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차량의 계기판 또는 내부 표면에 또는 그 근처에 탑재하기 위한 외부 하우징(316)을 포함한다. 물론 모듈은 차량의 다른 구조에 탑재하는 것도 고려된다. 하우징은 플라스틱, 스틸, 알루미늄 등과 같은 쉽게 몰딩 또는 압출되는 강체로 만들어진다.
이하에 자세히 기술될 것처럼, 에어백 모듈(314)은 팽창 수준 및 팽창 가능한 쿠션의 배출을 정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팽창 수준은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전개 범위에 상응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팽창 가스의 배출 또는 결여는 완전히 팽창된 쿠션(320) 또는 부분적으로 억제된 쿠션(320)에 의해 결정된다. 팽창 가능한 쿠션은 종래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직물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팽창 가능한 쿠션은 리테이너(338)에 의해 하우징(316)에 탑재된다. 리테이너(338)는 팽창 가능한 쿠션의 팽창 개구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스터드 또는 탑재 수단(341)을 포함하며, 탑재수단은 팽창 가능한 쿠션의 개구를 통과하고 하우징의 개구를 통과하여 하우징에 고정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340) 또는 전개 가능한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테 더(340)는 팽창 가능한 쿠션 또는 전개 및 배출 개구의 밀봉에 적합한 다른 어떤 소재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진다. 테더(340)는, 일단이 팽창 가능한 쿠션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에어백 모듈의 다른 부분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리테이너(338)는 테더가 에어백 모듈에 고정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테더(40)는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정면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다. 한 용례로서 테더는 패널 부재(도 23에 점선으로 도시됨, 321)에 의해 팽창 가능한 쿠션에 고정되고, 패널 부재는 테더의 단부 및 팽창 가능한 쿠션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테더는 팽창 가능한 쿠션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지 않는 지점에서 패널 부재의 일부분에 고정되고, 패널 부재의 2개의 반대쪽 단부(323)는 팽창 가능한 쿠션에 대한 테더의 고정위치와 관련된 보다 큰 표면 접촉 영역을 제공하여 팽창 가능한 쿠션에 고정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테이너(338)는 팽창기(318)를 둘러싸고 하우징(316)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에어백 모듈의 배면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6)은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342)를 가지며,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해서 팽창기(318)의 복수의 배출 개구(344)와 정렬되어 배치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배출 개구(344)는 개구(342)와 직접 정렬되어 배치될 뿐만이 아니라 개구(342)와 간접적으로 배치되기도 한다. 역으로 복수의 배출 개구(344)는 팽창 가능한 쿠션(320)의 개구로 팽창 기체를 배출하도록 배치된다.
개구(342)을 통과하는 2개의 다른 수준의 배출을 제공하기 위해서, 테더(340)가 제 1 팽창 형상/프로파일(346, 도 16) 또는 제 2 팽창 형상/프로파일(348, 도 17)에 따라 에어백 모듈 하우징의 배면을 통한 배출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팽창 가능한 쿠션이 초기에 팽창하나 완전히 팽창되지 아니할 때, 테더(340)는 모듈에 고정되어 하나 이상의 개구(342)는 테더에 의해 막히지 않는다. 그래서 팽창 가스는 에어백 모듈 하우징 바깥으로 직접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 이것은 팽창기의 개구(344)와 정렬되고 위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하우징의 개구(342)에 직접 정렬된 테더의 개구(341)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테더가 완전히 확장되지 않으면 개구(342)는 팽창 가스가 팽창 가능한 쿠션으로 배출되는 것과는 반대로 하우징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가능한 기체가 완전히 팽창된 상태에 이를 때 테더(340)가 당겨지고 개구(342)를 닫아서 더 많은 팽창 기체가 쿠션으로 들어가도록 인도한다. 이것은 테더(340)가 완전히 확장되어 개구(341)가 더이상 개구(342)와 정렬되지 않으며, 테더(340)가 하우징의 개구와 정렬된 팽창기의 개구에서 팽창 가스를 막는 특징을 갖는 소재로 제작되어 있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테더(340)가 완전히 확장되기 전에 개구(342)가 막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테더의 일부분은 해제가능한 실(releasable threads, 343)로 함께 조이거나 꿰매어 진다. (예를 들어 테더(340)이 당겨지면 실이 끊어지는 것으로 교시됨) 한 용례로서 하우징에 고정된 부분에 근접한 테더의 일부분은 쿠션이 완전히 전개되기까지 펼쳐지거나 전개되지 않도록 테더가 접혀진다. (예를 들어 해제가능한 실이 없음)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는 제 1 단계와 제 2 단계를 갖는 2 단계 팽창기(dual stage inflator)의 테더를 사용하는 것이며, 제 1 단계는 팽창기 하우징의 복수의 제 1 개구를 통하여 더 많은 팽창 출력을 제공하고, 제 2 단계는 팽창기 하우징의 복수의 제 2 개구를 통하여 더 적은 팽창 출력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단계와 제 2 단계는 같은 팽창 출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출구 노즐은 서로 독립적(어느 정도)이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4, 301, 312 및 3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노즐의 제 1 열은 팽창기 중앙의 왼쪽에 배치되고, 출구 노즐의 제 2 열은 팽창기 중앙의 오른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출구 노즐의 제 1 열은 제 1 출구 노즐을 포함할 수 있고, 출구 노즐의 제 2 열은 제 2 출구 노즐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 역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노즐은 팽창 가능한 쿠션의 팽창 개구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2 노즐은 팽창기의 배면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거나 그 역도 가능하다.
앞에서 언급된 어떤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팽창기의 제 1 또는 제 2 출구 노즐 중 하나는 쿠션 운동학 뿐만이 아니라 압력을 변화시키는 하우징의 배면의 벤트 와 정렬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하우징의 배출 개구의 직접 정렬,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더 개구 및 팽창기의 제 1 및 제 2 노즐 또는 노즐 둘 모두에 의해 달성된다. 한 용례로서 모든 노즐은 제 1 및 제 2 노즐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단계를 착화(firing)할 가능성은 우선 활성화의 중대성(severity) 및 위에서 언급한 복수의 센서의 복수의 입력에 기초한 감지-진단 모듈(SDM)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그리고 테더를 센서로 사용하기 위해서, 쿠션은 하우징 내부에서 그 일부분은 계기판으로 먼저 팽창하고 그 부분이 상당부분 뒤쪽에 닿으면 쿠션의 나머지 부분이 방사상으로 또는 그러한 "X" 방향과는 대조되는 다른 방향으로 퍼지도록 접혀진다. 비한정적인 "X" 방향의 예는 도 25C에 도시된다. 그러한 쿠션의 접기의 예는 도 24A 내지 24G에 도시되어 있고, 다양한 실시예의 전개 순서의 예는 도 25A 내지 25F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테더는 처음에는 배출이 없는 구성, 그 다음에는 배출 구성, 그 다음에는 테더의 완전한 전개에서의 배출이 없는 구성을 갖도록 배열된다. 바꿔말하면 테더의 개구는 이러한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된다. 이는 테더의 개구는 초기에 팽창기 벤트 및 하우징 개구와 정렬되지 않고, 쿠션이 전개되기 시작하면서 테더가 도 16A에 도시된 구성으로 당겨지고, 쿠션이 완전히 전개되면 테더는 궁극적으로 도 17A의 구성을 향해 움직이는 것과 같은 테더의 접기 및 설치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이는 전개의 초기 파열 단계(break out phase)(예를 들면 계기판의 개구의 찢음) 동안에 하우징 내부에 추가적인 팽창 가스 또는 압력을 증가시킨다. 더구나 하나의 예상되는 실시예는 쿠션의 일부분이 계기판의 개구를 통과할 때까지 테더가 도 16의 구성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테더의 길이와 접기를 조정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된 어떠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테더(340)는 팽창 가능한 쿠션의 차량 내부로의 전개를 나타내며, 테더는 하우징의 배면을 통한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10 내지 도 15의 실시예의 조립 순서는 다음과 같다. 팽창 가능한 쿠션의 팽창 개구 내부에 리테이너를 배치한다. 테더의 부착 단부(attachment end)를 팽창 가능한 쿠션 밖으로 당기고 테더의 타단은 예를 들어 봉합 또는 스티칭(stitching)에 의해 팽창 가능한 쿠션의 내부에 고정한다. 팽창기를 쿠션 리테이너에 배치하고, 테더를 팽창기 주위로 싸고, 테더를 쿠션 리테이너의 고정 스터드(securement studs)에 부착한다. 그리고 쿠션 리테이너, 쿠션, 팽창기 어셈블리를 에어백 모듈 하우징에 배치하고, 너트와 같은 복수의 고정 부재(securement members)로 하우징에 고정한다.
그래서 테더는 쿠션의 후방 운동(rearward excursion, 예를 들어 좌석 구조(312)쪽으로의 움직임)에 기초한 배출을 조절하기 위해 구성된다. 한 용례로서 테더(340)는 반투과 소재(semipermeable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6A 또는 도 17A까지도 그 위치에 있는 동안에 개구(344)에서 배출되는 팽창기(318)의 연소 부산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와 같이 작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반투과 소재는 개구(341) 위쪽에 배치된다.
또 다른 용례로서, 테더(340)는 액츄에이터 또는 센서 또는 감지 장치(345)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며, 전개 이전의 위치에서 완전히 전개된 쿠션(도 16A, 도 17A) 상태까지의 테더의 운동은 테더가 감지 장치에서 멀어지도록 한다. 그래서 감지 장치는, 추가적인 팽창 가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 2 단계 팽창기나 기폭장치와 같은 다른 장치 또는 하우징의 배출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른 장치에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이러한 운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마이크로 콘트롤러 또는 다른 동등한 장치에 보낸다.
그러한 구조의 하나의 비한정적인 예는 테더에 배치된 자성 부재(347) 및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해 배치된 홀 효과 센서(Hall effect sensor, 도 16A에 도면부호 (345)로 계략적으로 도시됨)이다. 그래서 자석이 멀어질수록 자기장이 변화하고, 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다른 감지 장치로는 테더 또는 테더에 직접 배치된 센서에 의해 조절되는 액츄에이터가 가능하다. 그러한 센서는 도 22 및 도 23의 부분(347)과 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한 용례로서 센서는 일단이 테더에 고정되고 타단이 센서에 고정된 스티칭 또는 전기 리드(electrical lead, 343)를 포함하며, 전개됨에 따라 테더는 리드를 잡아당기고, 찢기거나 선택적으로는 테더의 움직임이 센서에 의해 탐지될 때 센서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래서 그러한 신호는 다른 장비가 작동(예를 들면 2 단계 팽창기의 제 2 착화)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알고리즘에 사용하기 위하여 감지-진단 모듈 또는 다른 마이크로 콘트롤러에게 보내진다.
그러한 센서의 한 예로 전기 리드(343)는, 리드(343)가 찢어질 때 신호를 보내거나 탐지가능하게 전류를 결여시키도록 구성된 센서(345) 내부의 전기회로 일부분을 포함한다. 한 용례로, 아이템(343)은 테더(340)가 펼쳐질 때 탐지 회로를 잡아당기는 와이어 또는 긴 소재이며, 예를 들어 와이어(343)은 탐지 회로의 도체 아이템을 잡아당기거나 파괴시켜서 콘트롤러나 감지-진단 모듈에 신호를 보내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26에 있어서 감지 장치 또는 요소(345)의 예가 도시된다. 여기서 테더(340)는 도체 부재에 고정되며, 테더가 완전히 전개된 길이로 당겨질 때 파괴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체 부재(380)는 파괴되거나 찢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러할 때 전기 커넥터(386)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저항기(382)와 제 2 저항기(384) 사이의 전기 경로를 더이상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도체 부재(380)가 제 1 저항기(382)와 제 2 저항기(384) 사이의 전기 경로를 제공할 때, 알려진 저항이 제공된다. 그러나 팽창 가능한 쿠션이 방해받지 않는 전개 구성에 이를 때, 힘이 도체 부재에 가해지고 제 1 저항기와 제 2 저항기 사이의 도체 경로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에 의해 마주하게 되는 저항은 제 2 저항기의 그것과 같다. 그러므로 감지-진단 모듈의 제어 로직(control logic)은 도체 부재가 쓰이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쉽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저항기가 같은 저항을 같는다면, 도체 부재를 쓰는 것은 저항이 2배가 되도록 한다. 게다가 신호를 받는 감지 장치 또는 요소(345)에 연결되는 감지-진단 모듈은 전원이 끊겼는지 또는 시스템 내부에 작은 회로가 있는지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감지-진단 모듈의 제어 로직은 적합한 출력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물론 앞에서 언급된 감지 요소(345)의 도면은 비한정적인 예로 제공되고, 테더에 의해 받는 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보내는 다른 어떤 수단은 본 발명의 범위 내라는 것이 예상된다. 더구나 감지 요소(345)의 위치는 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위치보다 다른 위치도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감지 요소는 하우징 내부, 쿠션 내부, 하우징 바깥 등을 포함하나 그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장소에 있을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테더의 전개하는 슬랙에 부착된 전기 리드는 감지 요소의 위치에 따른 하우징의 개구를 통과하게 되며, 한 용례로서 테더 그 자체는 감지 요소(도 26)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테더의 그 부분은 하우징의 또는 사용된 구조와 센서 위치와 관계없이 개구를 통과하게 되고, 또 다른 용례로서 미리 정해진 길이로 확장되고 신호를 감지 장치로 보낸 후 센서에 고정된 테더의 끝이 파괴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 용례로서 테더가 감지 장치(345)와 함께 또는 감지 장치 없이 쓰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테더의 팽창 가능한 쿠션에 고정된 지점과 반대쪽 끝은 에어백 모듈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팽창 가능한 쿠션이 전개됨에 따라 테더는 탑승자 구역으로 들어가는 팽창 가능한 쿠션의 배출의 양에 관계없이 배출을 하도록 구성된다.
한 용례로서 자석과 홀 효과 장치가 쓰이는 경우, 테더에 고정된 자석의 위치는 움직임이 탐지되기 위하여 홀 효과 장치에 근접해야 한다. 앞에서 언급된 실시예의 어떠한 경우에도 센서는 감지-진단 모듈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로직을 포함하거나 테더가 완전히 전개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추가적인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현재 도 18 내지 도 22의 한 용례로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도 10 내지 도 15의 실시예의 팽창기와 비슷한 실린더 모양의 팽창기가 에어백 모듈 하우징(356)의 배면(354)에 배치된 연장된 채널(352)에 탑재되어 있다. 여기에는 팽창기(318)가 장착 플레이트(356)에 의해 하우징(316)에 고정된다. 장착 플레이트(356)는 팽창기의 곡선 부분과 만나게 하기 위해서 곡선의 수납 영역에 의 해 팽창기(318)의 한 부분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장착 플레이트(356)는 팽창기(318)의 배출 개구와 정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342)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318)는 팽창기의 중앙 부분의 주변에 배치된 2열의 배출 개구를 갖고, 2열의 배출 개구는 장착 플레이트(356)의 2개의 연장 개구에 정렬된다. 물론 이것은 백킹 플레이트(backing plate)를 통과하는 팽창기의 배출 계획의 한 구성에 불과하다.
또한 하우징(316)은 에어백 고정을 위해 복수의 일체화된 장착 훅(mounting hooks, 358)을 갖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현재 도 21에는 하우징(316)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여기에는 하우징(316)이 팽창기의 팽창 가스가 팽창 가능한 쿠션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 중앙의 개구(360)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10 내지 도 17의 실시예와 비슷하게, 적어도 하나의 테더는 팽창 가능한 쿠션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고, 당겨질수록 백킹 플레이트(356)의 개구(342)는 테더의 일부분에 의해서 하우징의 외부와 격리되어 봉쇄된다.
현재 도 22 및 도 23에 있어서 테더(340)의 가능한 구성이 도시된다. 물론 테더(340)의 다른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한 치수 뿐만이 아니라 접힌 테더의 양, 위치, 길이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일 뿐이고, 다른 구성 및 치수는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다고 간주 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태더의 길이는 4 내지 6인치 길이의 개구가 있는 전체 14 내지 22인치의 길이이며, 테더의 2 내지 8인치는 개구 뒤에 접혀있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앞에서 언급한 값보다 더 크거나 작은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테더가 팽창 가능한 쿠션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는 점을 도시하며, 테더의 개구(341)는 테더나 개구가 팽창기의 방출 벤트와 하우징의 배출 개구 사이에 위치하여 배출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더구나 도면은 테더가 모듈에 고정되는 점, 리테이너의 스터드용 개구 및 테더 또는 하우징의 배출구를 차단하는 봉인 부재로 작용하는 부분을 도시한다.
다양한 변형례나 선택적인 대표적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예를 들면 단일한 테더(340)가 사용되거나 선택적으로 부가적인 테더가 팽창 가능한 쿠션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고, 테더의 배출구는 단일한 연장 개구 또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개구는 배출용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배출용 및 테더의 다른 운용 단계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게다가 테더는 리테이너의 복수의 고정용 스터드 또는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한 복수의 맞춤용 고정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를 막는 테더의 부분은 팽창기의 확산기 개구와 하우징의 배출 개구 사이의 열 차폐를 제공하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5F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와 팽창 가능한 쿠션은 에어백 모듈 및 전개 가능한 문(예를 들어 계기판 등)을 통해 부분적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접혀지며, 배출은 하우징의 배출 개구를 통해 일어나고, 쿠션은 도 25C에 도시된 구조인 "X"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는 곳까지 전개되고, 벤트는 테더가 완전히 확장된 위치 즉, 테더의 배출 개구는 더이상 하우징 및 팽창기의 배출 개구와 정렬되지 않는 위치까지 잡아당김으로 인해 닫힌다. 이 지점에서는 쿠션의 매우 작은 부가적인 후방 운동이 있고, 쿠션은 방사상의 바깥쪽으로 또는 "X" 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고, 팽창 가스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팽창 가능한 쿠션 내부로 들어간다. (예를 들면 도 25C에서 도 25D로의 전환)
현재 도 25A 내지 25D에 있어서 전방 견인(forward pull) 테더의 전개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팽창기는 하우징의 윗부분에 탑재되며, 쿠션이 전개되지 않을 때 테더는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도록 배치되고, 전개된 테더의 부분이 팽창기의 뒷부분에서 접혀져서 후방향인 차량의 조수석 구역으로 미리 정해진 배출 정도에 상응하는 거리로 펼쳐짐에 따라 테더의 개구는 더이상 배출 개구와 정렬되지 않는다. 도 25C에서 이러한 상태가 도시되며, 이러한 점에서 배출 개구가 차단되고, 쿠션은 방사상으로 계속하여 전개된다.(도 25D) 도 25B는 하우징이 전방 견인 테더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선택적인 하우징 디자인을 도시한다.
도 25E 내지 25F는 후방 견인(rearward pull)을 도시하며, 테더는 쿠션이 전개되지 않을 때 하우징을 통해 배출하도록 배치되며, 전개된 테더의 부분은 팽창기의 전방 부분에서 말거나 접혀서 테더가 조수석 구역으로 미리 정해진 배출 정도에 상응하는 거리로 전개됨에 따라 테더가 배출 개구를 막게 된다. 전방 견인 또는 후방 견인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팽창기의 팽창기 가스는 테더가 펼쳐짐에 따라 테더가 공기 쿠션 위의 팽창기 하우징 위로 미끄러지도록 한다. 달리 말하면 테더가 팽창기 위로 미끄러짐에 따라 공기 쿠션이 테더, 팽창기 하우징, 팽창기 개구 사이에 배치된다.
게다가 도 25A 내지 25F의 에어백 모듈 실시예의 테더는 또한, 2 단계 팽창기의 제 2 단계에 활성화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제어 모듈 또는 감지-진단 모듈로 신호를 보내기 위해 작동하는 장비 또는 센서(도 16A 및 도 26)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용례로서 테더는 움직임이 홀 효과 장비에 의해 탐지될 수 있는 자석을 포함한다.
팽창기, 테더의 배출 부분 및 하우징의 배출 개구는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의 어느 벽에도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6은 팽창기가 하우징의 아래쪽 표면에 고정된 것을 도시하며, 도 25A 내지 도 25F는 팽창기가 하우징의 위쪽 표면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다. 물론 팽창기는 또한 하우징의 바닥과 천장 사이의 하우징 부분에도 탑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는, 팽창 가능한 쿠션이 제 1 팽창 압력 및 배출 계획에 따라 전개 가능한 문을 통해 전개되고, 그 후 쿠션이 팽창 압력과 센서 입력이 단계적인 팽창 및 테더 또는 테더 센서의 모두 또는 이들 중 어떤 것들에 의해 결정되는 배출 계획에 따라 후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는 어셈블리를 가리킨다. 물론 다른 아이템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해서 바람직한 배출 계획을 결정하고 제공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이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고, 그 요소들도 동등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필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한 상황이나 소재를 본 발명의 교시 내용에 따라 채택하여 다수의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예견되는 최적 방식을 포함하는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섭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32)

  1.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342)를 포함하는 하우징(316);
    상기 하우징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고, 상기 하우징 밖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된 팽창 가능한 쿠션(320);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320)을 팽창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과 유체의 유통을 하고, 팽창 가스가 통과하도록 하는 복수의 팽창 개구(344)를 포함하는 팽창기(318); 및
    일단은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에어백 모듈의 일부분에 고정된 전개 가능한 부재(340);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접혀진 상태일 때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통해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로 팽창할 때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가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실린더 모양이고, 상기 복수의 팽창 개구는 상기 팽창기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팽창기의 상기 주변에서 전개되는 일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가 완전히 확장되지 않았을 때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으로 제 1 팽창 출력을 보내고,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가 완전히 확장되었을 때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으로 제 2 팽창 출력을 보내고,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접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완전히 전개되지 않은 때 상기 제 1 팽창 출력이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이 운전자측 또는 조수석측 에어백 모듈 중의 하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복수의 배출구(venting apertures)를 덮는 한 쌍의 전개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팽창기의 상기 복수의 팽창 개구 중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가 정렬되도록 하는 연장 개구(3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찢어져야 하는 파열 봉합부(break away stitching, 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가 당겨져서 완전히 확장된 길이일 때,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가 완전히 확장된 길이로 확장되는 움직임으로 인하여 센서(345)가 신호 를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의 상기 주변에서 전개되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접혀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일부분과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에 고정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벤트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연장 개구에 배치된 필터 소재(filter material)로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길이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팽창하는 미리 정해진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팽창 개구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와 직접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실린더 모양이고, 상기 복수의 팽창 개구는 상기 팽창기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팽창기 주위에서 전개하는 부분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가 완전히 확장되지 않을 때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에 제 1 팽창 출력을 보내고,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가 완전히 확장되었을 때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에 제 2 팽창 출력을 보내며,
    상기 제 1 팽창 출력은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완전히 전개되지 않을 때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의 상기 주변에서 전개하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접혀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일부분과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에 고정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팽창기의 상기 복수의 팽창 개구의 적어도 상당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와 정렬되도록 하는 연장 개구(3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의 상기 주변에서 전개하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접혀있고,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팽창기의 상기 주변의 1/2 이상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가 완전히 확장된 길이까지 당겨지면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완전히 확장된 길이까지의 움직임에 의해 센서(345)가 신호를 보내고,
    상기 완전히 확장된 길이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상기 하우징에서 제 1 방향으로 팽창하는 미리 정해진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는 컨트롤러로 보내져서 상기 팽창기의 제 2 단계가 발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1.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342)를 포함하는 하우징(316);
    상기 하우징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고, 상기 하우징 밖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된 팽창 가능한 쿠션(320);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을 팽창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과 유체의 유통을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와 직접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개구(344)를 포함하는 팽창기(318);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덮도록 구성된 전개 가능한 부재(340);를 포함하며,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억제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개구가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의 내부와 유체 유동을 하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10).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테더(tether, 54)이고,
    상기 테더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전개 초기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막고, 그 후에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완전히 전개된 구성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막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와 상기 팽창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개구를 정렬하기 위한 연장 개구(3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고,
    상기 테더의 길이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상기 하우징에서 제 1 방향으로 팽창하는 미리 정해진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테더이며,
    상기 테더는, 상기 테더의 전개되지 않은 길이의 일부분이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전개 초기 단계에서 확장된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벤트를 막고, 그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막으며, 상기 테더의 전개되지 않은 길이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에서 제 1 방향으로 팽창하는 미리 정해진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실린더 모양이고,
    상기 팽창기는 상기 팽창기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팽창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팽창기의 상기 주변에서 전개하는 일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팽창기의 상기 주변에서 전개되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일부 분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접혀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는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일부분과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에 고정된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6. 팽창기(318), 팽창 가능한 쿠션(320) 및 하우징(316)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10)에 사용하기 위한 배출 어셈블리로서,
    일단이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테더(340)를 포함하며,
    상기 테더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의 일부분이 제 1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로 전개되기에 앞서, 상기 팽창기의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개구(344)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342) 사이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고,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의 상기 일부분이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에 도달할 때, 상기 팽창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개구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 사이의 유체 유동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어셈블리.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막지 않을 때 상기 적어도 하 나의 배출 개구 위에 필터 소재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어셈블리.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팽창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개구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정렬하기 위한 연장 개구(3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어셈블리.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가 완전히 확장된 길이일 때, 상기 테더의 완전히 확장된 길이로의 움직임에 의해 센서(345)가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테더의 상기 완전히 확장된 길이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상기 하우징에서 제 1 방향으로 팽창하는 미리 정해진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어셈블리.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실린더 모양이고,
    상기 팽창기는 상기 팽창기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팽창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테더는 상기 팽창기의 상기 주변에서 전개되는 일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기의 상기 주변에서 전개하는 상기 테더의 상기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접혀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는 상기 테더의 상기 일부분과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에 고정된 상기 테더의 제 1 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테더가 당겨져 완전히 확장된 길이가 되고 상기 완전히 확장된 길이는 팽창 가능한 쿠션이 상기 하우징에서 제 1 방향으로 팽창하는 미리 정해진 길이일 때, 상기 테더의 완전히 확장된 길이로의 움직임에 의해 센서(345)가 신호를 보내게 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테더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는 콘트롤러로 보내져, 상기 팽창기의 제 2 단계 발화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어셈블리.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340)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완전히 전개되기에 앞서, 상기 팽창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개구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가 직접 정렬하도록 하고,
    상기 테더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이 완전히 전개한 때, 상기 팽창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개구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가 직접 정렬하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어셈블리.
  32. 에어백 모듈(10) 내부의 팽창기(318)의 팽창 출력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개 가능한 부재(340)의 일단을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342)를 포함하는 하우징(316)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타단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전개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되는 팽창 가능한 쿠션(320)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는 상기 팽창 가능한 쿠션 내부에서 제 1 방향으로 전개하기 위하여 전개 가능한 길이를 갖기 위한 구성, 치수 및 위치를 갖고,
    상기 팽창 출력의 일부분의 배출은 상기 쿠션이 제 1 방향으로 전개함에 따라 상기 전개 가능한 부재의 상기 전개 가능한 길이의 일부분이 움직이게 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통해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15841A 2004-02-04 2005-02-01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60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179304P 2004-02-04 2004-02-04
US60/541,793 2004-02-04
US10/905,959 US7566074B2 (en) 2002-02-20 2005-01-2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10/905,959 2005-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910A true KR20060122910A (ko) 2006-11-30
KR100760407B1 KR100760407B1 (ko) 2007-09-19

Family

ID=3486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841A KR100760407B1 (ko) 2004-02-04 2005-02-01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66074B2 (ko)
EP (1) EP1802492B1 (ko)
JP (1) JP2007517733A (ko)
KR (1) KR100760407B1 (ko)
WO (1) WO20050768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3848B2 (en) 2002-02-20 2009-06-09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7377546B2 (en) * 2002-09-16 2008-05-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7083191B2 (en) * 2002-09-16 2006-08-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20060157959A1 (en) * 2005-01-14 2006-07-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tether-integrated electric switch
US7494151B2 (en) * 2005-02-17 2009-02-24 Tk Holdings Inc. Airbag apparatus with adaptive inflation
US7552942B2 (en) * 2005-06-23 2009-06-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having vent member that is controlled by a releasable tether
US7681913B2 (en) * 2006-04-26 2010-03-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ir bag system
US7735860B2 (en) * 2007-02-26 2010-06-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with vent
JP2008213519A (ja) * 2007-02-28 2008-09-18 Toyota Motor Corp エアバッグ装置
US7690683B2 (en) * 2007-03-26 2010-04-06 Autoliv Asp, Inc. Airbag with automatic vent closer
JP4885035B2 (ja) * 2007-03-30 2012-02-2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N101652274B (zh) * 2007-04-03 2012-01-04 德尔菲技术公司 用于控制可充气垫的设备和方法
DE102008005272A1 (de) * 2008-01-19 2009-07-23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US7938444B2 (en) * 2008-10-14 2011-05-10 Autoliv Asp, Inc. Mounting bracket for tether release mechanism
US8777262B2 (en) 2009-04-27 2014-07-15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abilizer straps
US8500157B2 (en) 2009-04-27 2013-08-06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8118325B2 (en) * 2009-04-27 2012-02-21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s and internal tethers produced from single panels of material
US8083254B2 (en) 2009-04-27 2011-12-27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configured for inflator insertion and inflator-mediated coupling to an airbag housing
US20100270782A1 (en) * 2009-04-27 2010-10-28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bag straps for wrapping the airbags and optimizing deployment
KR101071735B1 (ko) * 2009-04-28 2011-10-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DE102009024142B4 (de) * 2009-06-04 2016-05-12 TAKATA Aktiengesellschaft Airbag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S8297649B2 (en) 2009-07-16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having two chambers separated by an internal tether
US8186714B2 (en) * 2009-10-29 2012-05-29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airbag housing vent panel
US8272667B2 (en) * 2009-11-03 2012-09-25 Autoliv Asp, Inc. Low-mount inflatable knee airbags having serial chambers
US8500155B2 (en) * 2009-12-22 2013-08-06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integral cover
DE102010023370A1 (de) * 2010-06-10 2011-12-15 Daimler Ag Rückhaltesystem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US8297650B2 (en) 2010-08-31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articulating housings
US8360464B2 (en) 2010-08-31 2013-01-29 Autoliv Asp, Inc. Covers for inflatable knee airbag housings
US8353525B2 (en) 2011-03-23 2013-01-15 Autoliv Asp, Inc. Pyrotechnic tether release assembly with a break-away piston for inflatable airbags
US8408584B2 (en) 2011-03-23 2013-04-02 Autoliv Asp, Inc. Pyrotechnic tether release assembly for inflatable airbags
US8408585B2 (en) 2011-03-23 2013-04-02 Autoliv Asp, Inc. Pyrotechnic tether release assembly for inflatable airbags
US8491007B2 (en) 2011-10-20 2013-07-23 Ford Global Technologies Variable lateral thickness airbag, system comprising same, and method of deploying same
US8540276B2 (en) 2011-11-07 2013-09-24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cushion fold pattern
US8505963B1 (en) 2012-02-24 2013-08-13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rap clamps
US9010804B2 (en) 2013-03-15 2015-04-21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constrained stabilizer straps
KR101460725B1 (ko) * 2013-07-03 2014-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DE102017123193A1 (de) * 2017-10-06 2019-04-11 Trw Automotive Gmbh Kniegassackeinheit eines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s eines Kraftfahrzeugs
US10717450B2 (en) * 2017-10-20 2020-07-21 Saeid Sirous Passenger safe wagon
US10696266B2 (en) 2017-11-10 2020-06-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US11912221B2 (en) 2019-12-05 2024-02-27 Autoliv Asp, Inc. Actuator devices and assemblies for automotive safety devices
US11180107B2 (en) 2019-12-05 2021-11-23 Autoliv Asp, Inc. Tether release for an automotive safet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8060A1 (de) 1986-05-28 1987-12-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Gaskissen zum schutz der insassen von fahrzeugen
MX9304559A (es) 1992-09-01 1994-03-31 Morton Int Inc Cuerdas con costuras rascables para cojin de bolsa inflable.
US5246250A (en) 1992-11-25 1993-09-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valve assembly
US5405166A (en) 1993-07-30 1995-04-11 Alliedsignal Inc. Air bag with inflation limiter
GB2299550B (en) 1995-04-03 1998-06-2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JPH09142241A (ja) 1995-11-24 1997-06-03 Honda Motor Co Ltd 乗員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5957490A (en) 1996-08-22 1999-09-28 Volkswagen Ag Arrangement for protection of a vehicle occupant
SE510534C2 (sv) 1996-12-17 1999-05-31 Aga Ab Förfarande för att fylla en tom, flexibel behållare samt en behållaranordning
US6039346A (en) 1997-01-17 2000-03-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variable inflation
US5746447A (en) 1997-01-21 1998-05-05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US5762367A (en) 1997-04-10 1998-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inflation control device
DE19813832C2 (de) 1998-03-20 2003-10-23 Takata Petri Ag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DE19816075A1 (de) 1998-04-09 1999-10-14 Volkswagen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Mehrkammer-Airbag
US6123358A (en) 1998-05-11 2000-09-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variable inflation
GB2338214B (en) 1998-06-09 2002-02-1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US6170871B1 (en) 1998-06-24 2001-01-09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nflatable trim panel assembly for safety restraint systems
US6213502B1 (en) 1998-11-24 2001-04-10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module with variable inflation
JP2000233704A (ja) 1999-02-12 2000-08-29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DE19912369A1 (de) 1999-03-19 2000-10-05 Bsrs Restraint Syst Gmbh Eigendynamisch gesteuertes Airbagmodul
JP3463598B2 (ja) 1999-04-13 2003-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29907618U1 (de) 1999-04-29 1999-09-16 Trw Repa Gmbh Gassack-Rückhaltesystem
JP2001001497A (ja) * 1999-06-24 2001-01-09 Toppan Printing Co Ltd パウダ飛散防止カバー及びそのカバーを備えた印刷装置
US6203061B1 (en) 1999-10-07 2001-03-20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output air bag module with PAV heat sink
US6439603B2 (en) 1999-10-13 2002-08-27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module with variable inflation
US6422597B1 (en) 1999-11-12 2002-07-23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US6390501B1 (en) 1999-11-12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US6371517B1 (en) 1999-12-28 2002-04-16 Delphi Technologies, Inc. Adaptive inflation mechanism
DE20004076U1 (de) 2000-01-21 2000-06-21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KR100356907B1 (ko) * 2000-02-01 2002-10-31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일체형 디퓨저를 구비한 에어백 조립체
US6511094B2 (en) 2000-03-27 2003-01-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vehicle air bag system
JP4560881B2 (ja) 2000-04-21 2010-10-1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20018091U1 (de) 2000-10-23 2001-03-08 Trw Repa Gmbh Fahrzeuginsassen-Schutzsystem
US6499765B2 (en) 2000-10-31 2002-12-31 Delphi Technologies, Inc. Bias deployment inflatable air bag
US6454300B1 (en) 2001-02-27 2002-09-24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tether release assembly
US6431583B1 (en) 2001-02-28 2002-08-13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bolster with external tethering
US6616184B2 (en) 2001-04-25 2003-09-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with inflation volume and shape control
US6991258B2 (en) 2002-02-20 2006-01-31 Delphi Technologies, Inc. Frontal air bag system
US6832778B2 (en) 2002-07-19 2004-12-21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restraint including selectively operable venting elements
US6959945B2 (en) 2002-09-16 2005-11-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7083191B2 (en) 2002-09-16 2006-08-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6932384B2 (en) 2002-11-15 2005-08-23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407B1 (ko) 2007-09-19
US20050104347A1 (en) 2005-05-19
US7566074B2 (en) 2009-07-28
EP1802492A4 (en) 2009-11-04
JP2007517733A (ja) 2007-07-05
WO2005076849A2 (en) 2005-08-25
WO2005076849A3 (en) 2009-03-26
EP1802492B1 (en) 2011-06-15
EP1802492A2 (en)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407B1 (ko)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7770921B2 (en) Airbag for protection of a vehicle occupant
US9475450B2 (en) Side airbag apparatus
US7093854B2 (en) Air bag with active tear stitch tethers
US9120457B2 (en) Side airbag apparatus
US68838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JP5036401B2 (ja)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891551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irbag
JP2003246252A (ja) 正面エアーバッグシステム
JP2004538208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9274516A (ja) エアバッグ装置
EP2132063B1 (en) Airbag for protection of a vehicle occupant
US7770922B2 (en) Cushion and housing vents for inflatable cushion airbags
US20080082236A1 (en) Airbag apparatus
JP2006188220A (ja) 膨張式クッション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1186247B2 (en) Vehicle curtain airbag device
CN110603174A (zh) 侧面安全气囊装置
JP6885324B2 (ja) 乗員保護装置
US78194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KR101940724B1 (ko) 에어백 장치
KR101875919B1 (ko) 에어백 장치
US11938883B2 (en) Side airbag deployment ramp
JP7435544B2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21002433A1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012995A (ja)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