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343A - 촬상 시스템, 시스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시스템, 시스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343A
KR20060118343A KR1020060043282A KR20060043282A KR20060118343A KR 20060118343 A KR20060118343 A KR 20060118343A KR 1020060043282 A KR1020060043282 A KR 1020060043282A KR 20060043282 A KR20060043282 A KR 20060043282A KR 20060118343 A KR20060118343 A KR 20060118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호코 야마모토
쿠미코 세라
히로유키 토미나가
테츠히사 아라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8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2Gener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 G06F11/2005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using redundant communication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 G06F11/2007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using redundant communication med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06Q20/425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using two different networks, one for transaction and one for security confi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8Electronic negot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with predefined switching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Equal gain combining, only phase adjust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6Paralle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04L1/0068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04L1/0069Punctur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1Reseque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Remote access server, e.g. BRAS
    • H04L12/2874Processing of data for distribution to the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8Bus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H04L12/40176Flexible bus arrangements involving redundancy
    • H04L12/40195Flexible bus arrangements involving redundancy by using a plurality of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4Star or tre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2Traffic sha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1Individual queue per connection or flow, e.g. per V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2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intra-user or intra-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04L5/0083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symbol-by-symb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41Directories for service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group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ticket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41Countermeasures against malicious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3Media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43Gateway controllers, e.g.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8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specially adapted for link layer protocols, e.g.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 or point-to-point protocol [PP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7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s network provides a telephone service in addition or as an alternative, e.g. for backup purposes, to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the telephone service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66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 H04M7/0069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comprising a residential gateway, e.g. those which provide an adapter for POTS or ISDN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37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48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4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 radio frequency tag transmitter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23Monitoring of network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network load
    • H04N21/64738Moni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e.g. bandwidth,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84Data processing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1608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 G06F11/1625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in communications, e.g. transmission,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1Auditing as a secondary asp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1Access rights, e.g. capability lists, access control lists, access tables, access matr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9Restricted operating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30Fuel cell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H04B7/0894Space-time diversity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5Combining techniques, e.g. code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6Channel splitting in point-to-point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41Flex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45Admission control
    • H04L2012/6462Movable boundaries in packe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12Details relating to cryptographic hardware or logic circuitry
    • H04L2209/127Trusted platform modules [TP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6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transport layer [OSI layer 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04N2201/0017Notifying a communication resu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name or ID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5Calculation of statistics, e.g. average, var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10S707/99936Pattern matching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9Privilege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Bioeth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높은 오락성을 제공 가능한 촬상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서버(4)에서 복수의 휴대 단말장치(1)를 그룹 단위로 관리한다. 설비 카메라(2)와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장치(1-1)를 촬상한 것을, 그 촬상 대상의 휴대 단말장치(1)에 있어서 통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같은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장치(1-2, 1-3)에도 통지되도록 구성한다.
촬상 시스템, 시스템 제어 방법

Description

촬상 시스템, 시스템 제어 방법{IMAGING SYSTEM AND SYSTEM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의 촬상 시스템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휴대 단말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설비 카메라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서버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단말 관리 정보의 구조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화상 데이터 파일의 구조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설비 카메라의 촬상 동작에 관한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설비 카메라의 동작(정보 요구)에 응답한 휴대 단말장치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9는 설비 카메라의 동작(촬상 대기 모드의 통지)에 응답한 휴대 단말장치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0은 설비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파일의 수신에 응답한 서버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휴대 단말장치에서의 리스트 표시에 대한 화상 데이터 파일의 보존 등록/해제의 조작에 따른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2는 휴대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화상 등록/해제 요구에 응한 서버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의 촬상 시스템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1-2, 1-3) : 휴대 단말장치 2(2-1, 2-2, 203) : 설비 카메라
3 : 관리 센터 4 : 서버
5 : 등록 장치 6 : 화상 출력 장치
11 : 촬상부 12 : 화상 신호 처리부
13, 43 : 설비-단말간 대응 통신부
14·24 :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 15·25·44 : 제어부
16·41 : 기억부 17 : 표시부
18 : 음성 출력부 19 : 조작부
20 : 통지 기능부 20a : 바이브레이터
20b : LED 21 : 촬상부
22 : 화상 신호 처리부 23·42 : 설비간 대응 통신부
26 : 조명 구동부 27 : 조명 장치
41 : 기억부 45 : 인터페이스부
100(100-1, 100-2, 100-3) : 선수용 단말장치
200 : 고정 카메라 장치
300(300-1, 300-2) : 이동 카메라 장치
CN1 : 설비간 통신망 CN2 : 설비-단말간 통신망
CN3 · CN100 : 카메라-단말간 통신망 CN200 : 카메라간 통신망
Sar : 촬상 에어리어
기술분야
본 발명은, 촬상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촬상 시스템과, 이와 같은 촬상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테마 파크 등의 시설 내에서의 특정한 장소에 촬상장치를 설치하고 입장자를 촬상하고, 이 촬상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프린트 출력하여, 나중에 입장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촬상 시스템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2004-193819호 공보
본원 발명으로서도, 테마 파크 등의 시설에서 시설측이 설치 등을 한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을, 입장자에 대해 제공하는 촬상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지만, 본원 발명으로서는, 이와 같은 촬상 시스템으로서, 입장자에게 있어 서 더욱더 높은 오락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고려하여, 촬상 시스템으로서 다음과 같도록 구성한다. 우선, 본 발명의 촬상 시스템은, 적어도, 피사체가 되는 이동 가능한 대상인 피사체 대상마다 부수(付隨)되는 단말장치와, 촬상장치와, 관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관리장치에서, 특정한 복수의 단말장치를 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그룹 단위 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와 촬상장치의 사이에서, 지향성을 가지며, 또한, 근거리가 되는 물리적인 통신 가능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 수단과, 단말장치와 관리장치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 2의 통신 수단과, 촬상장치와 관리장치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 3의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촬상장치와의 제 1의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이 단말장치와 가능한 상태에서, 이 제 1의 통신 수단의 통신 가능 범위에 대응하는 촬상 시야에 의해, 촬상장치가 촬상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촬상 동작을 행하게 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촬상 수단이 이제부터 촬상 동작을 실행하는 것 및/또는 촬상 동작을 실행한 것의 통지를, 촬상장치와 제 1의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단말장치인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와, 이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와 같은 상기 그룹에 속하는,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 이외의 소정의 1 이상의 단말장치인 비(非)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의 양자에 의해 실행시키는, 또는, 소정의 상기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만에 의해 실행시키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에서는, 촬상장치가 단말장치(피사체 대응 단말장치)를, 이제부터 촬상 동작을 실행하는 것 및/또는 촬상 동작을 실행하는 것의 통지의 동작이, 같은 그룹에 속하는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에서 행하여지도록 된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에서 통지의 동작을 얻을 수 있음으로서, 예를 들면,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에 의해서만 통지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오락성, 편리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촬상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실시의 형태라고도 한다)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시스템으로서의 시스템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시스템은 테마 파크, 유원지 등의 오락 시설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크게는, 휴대 단말장치(1), 설비 카메라(2), 및 서버(4)를 포함하는 관리 센터(3)로 이루어진다. 본원 발명과의 대응에서는, 휴대 단말장치(1)가 단말장치에 대응하고, 설비 카메라(2)가 촬상장치에 대응하고, 관리 센터(3) 내의 서버(4)가 관리장치에 대응한다. 휴대 단말장치(1)는, 오락 시설의 입원자(入園者)(피사체 대상이 된다)가 개인마다 휴대하여 소지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오락 시설의 운영측에서 대여 등이 된다. 도 1에서는, 입원자(A, B, C)가 나타나 있고, 이들의 입원자(A, B, C)가, 각각 휴대 단말장치(1-1, 1-2, 1-3)를 휴대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난다. 이 휴대 단말장치(1)를 대출하는 것의 주된 목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입원자가, 설비 카메라(2)에 의해 촬상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설비 카메라(2)는, 오락 시설 내에서 입원자를 촬영하는데 바람직한 장소에 적절히 설치된 촬상장치로서, 예를 들면 설치 상태에 따른 촬상 에어리어(Sar)를 포함하는 촬상 시야 범위에 의해 촬상을 행하고, 사진 화상으로서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센터(3)는,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시스템을 통괄적으로 관리하는 설비로서,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서버(4), 등록 장치(5), 화상 출력 장치(6)를 구비한다. 등록 장치(5)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 등의 하드웨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휴대 단말장치(1)를 사용하는 입원자를 등록하기 위한 입력을 처리하고, 서버(4)에 대해 입력된 정보를 건네준다. 화상 출력 장치(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서버(4)에 축적된 촬상 화상 데이터를 인쇄 등에 의해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 등의 장치이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촬상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 단말장치(1), 설비 카메라(2), 및 관리 센터(3)의 서버(4)는, 하기한 3개의 통신망(설비간 통신망(CN1), 설비-단말간 통신망(CN2),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 통신망마다에 따른 소정의 상대방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된다.
우선, 설비간 통신망(CN1)은, 서버(4)와, 오락 시설 내에 설치된 모든 설비 카메라(2)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이 통신망은, 무선으로 되어도 좋고, 유선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무선과 유선을 병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은, 서버(4)와 휴대 단말장치(2) 사이에서 무선 통 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망으로서, 통신 거리(통신 가능 범위)로서는, 오락 시설 내라면 서버(4)와 휴대 단말장치(2)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은, 하나의 설비 카메라(2)와 휴대 단말장치(1)와의 무선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망이다. 이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대응하는 설비 카메라(2)측의 통신 가능 범위는, 자신에게 설정된 촬상 시야 범위에 대응하는 촬상 에어리어(Sar) 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휴대 단말장치(1)와 통신 가능하게 하여 지향성이 설정되고, 또한, 통신 거리에 관해서는, 근거리(예를 들면 수미터부터 십수미터 정도)가 되는 소정 거리가 되도록 설정된다. 즉,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은, 설비 카메라(2)의 촬상 시야 범위로 수습되어 있고, 또한, 일정한 근거리에 있다고 하는 휴대 단말장치(1)와, 상기 설비 카메라(2)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 통신망이다. 이것은, 휴대 단말장치(1)를 휴대하고 있는 입원자가, 설비 카메라(2)에 대해 일정 이내의 거리에 근접한 상태에서 촬상 시야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 그 휴대 단말장치(1)와 설비 카메라(2)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의 통신망을 실현하기 위한 실제의 통신 방식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현재의 상태에서는, 설비간 통신망(CN1)으로는, 케이블 LAN, 무선 LAN으로서의 각종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에는, 무선 LAN으로서의 각종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설비간 통신망(CN1) 및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에 같은 규격의 무선 LAN 규격을 채용하였다고 하여도, 멀티 캐스트, 유니캐스트에 의한 통신을 행함으로써, 설비간 통신망(CN1) 과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의 사이에서의 혼신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도, 무선 LAN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을 채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촬상 시스템이 어떻게 하여 이용되는 것인지에 관해, 같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의 휴대 단말장치(1)는, 오락 시설의 운영측이, 입원자에게 유료 또는 무료로 대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3인의 입원자(A, B, C)는, 예를 들면 동료끼리이고, 함께 오락 시설에 놀러와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의 입원자(A, B, C)는, 오락 시설에 입원하여, 각각이 휴대 단말장치(1)를 빌린 것으로 하였다. 입원자(A, B, C)가, 각각 휴대 단말장치(1-1, 1-2, 1-3)를 대출하여 받는 절차를 하면, 이들의 휴대 단말장치(1-1, 1-2, 1-3)를 입원자(A, B, C)에 대응시키도록 한 등록이 등록 장치(5)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이때에는, 입원자(A, B, C)가 동료끼리로 하나의 그룹을 이루고 있는 것에 따라, 입원자(A, B, C)에 대출된 3개의 휴대 단말장치(1-1, 1-2, 1-3)가 하나의 그룹 단위로서 관리되도록 하여 등록이 행하여지게 한다. 등록 장치(5)에 대한 휴대 단말장치(1)의 등록은,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에 대한 입력으로서 행하여지지만, 이 입력의 방법에 관해서는 각종 고려된다. 예를 들면, 오락 시설의 담당자가, 휴대 단말장치(1)에 할당되어 있는 번호(단말) 등을 위시하여 필요한 항목을 조작 입력하는 것으로 되어도 좋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1)에 부착한 IC 태그나, 입원자의 티켓에 마련한 IC 태그 등을 리더로 판독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받아들이도록 하여도 좋다.
등록을 마친 입원자(A, B, C)는, 이후는 각각이, 휴대 단말장치(1-1, 1-2, 1-3)를 휴대하고 오락 시설 내에서 놀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 설비 카메라(2)에 의해 촬영이 행하여지는 장소는, 예를 들면 오락 시설 내에서도 입원자가 흥미를 갖는 특징이 있는 장소로서, 기념사진 촬영을 행하는데 적합한 장소로 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장치(1)는, 이 설비 카메라(2)에 의해 촬영, 촬상이 행하여지는 장소(촬상 에어리어(Sar))를 안내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입원자에게 대출되는 것으로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1)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표시부에 대해 촬상 에어리어를 안내하기 위한 지도 등의 안내 화상을 소정의 표시 양태에 의해 표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입원자는, 이 안내 화상을 보고, 자신이 가고 싶다고 생각하는 촬상 에어리어를 찾도록 하여 시설 내를 이동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촬상 에어리어(Sar)에서 촬상한 화상의 사진은, 앨범으로서 작성, 편집되고 입원자에게 배포된다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의 촬상 에어리어(Sar)는, 대응하는 설비 카메라(2)의 촬상 화상으로서의 테두리 내에 거의 수습되는 시야 범위에서 주체인 피사체(입원자)에게 걸맞는 구도(構圖)에 의해 촬영되기 위해, 피사체가 위치하여야 할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생기는 물리적인 공간, 위치의 범위이다. 환언하면, 촬상 스폿은, 설비 카메라(2)에 의해 촬상, 촬영되기 위한 입원자가 서는 위치의 범위가 된다.
또한, 이 경우의 상황으로서, 입원자(A, B, C)중, 입원자(A)는, 입원자(B, C)와 별도 행동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입원자(A)가 별도 행동을 취하고 있는 것은, 자신만이, 설비 카메라(2-1)에 대응하는 촬상 에어리어(Sar)에서 사 진 촬영을 하고 싶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입원자(A)는, 휴대 단말장치(1-1)에 표시되는 안내 화상을 의지하여 시설 내를 이동하고 있는 중에, 설비 카메라(2-1)에 대응하는 촬상 에어리어(Sar)에 대해, 일정 거리 범위로 근접하여 왔다고 한다. 전술한 것에 의하면, 설비 카메라(2-1)는, 자신이 대응하는 촬상 에어리어(Sar)에 대응하여 통신의 지향성과 통신 거리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입원자(A)가 설비 카메라(2-1)에 대응하는 촬상 에어리어(Sar)에 근접하여 옴으로써, 입원자(A)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장치(1-1)는, 설비 카메라(2-1)의 통신 가능 범위로 들어오는 것으로 된다. 이로써,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 휴대 단말장치(1-1)와 설비 카메라(2-1)와의 통신이 신규로 확립되는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휴대 단말장치(1)와 설비 카메라(2)와의 통신이 신규 확립되면, 휴대 단말장치(1)를 휴대한 입원자를 올바르게 촬상 에어리어(Sar)까지 안내하기(촬상 에어리어로서의 장소를 통지한다) 위한 소정의 기기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이 안내를 위한 동작으로서는 몇가지가 고려되지만, 여기서는 아래와 같은 예를 들어 둔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예의 적어도 하나를 채용하는, 또는 복수를 조합시키도록 된다. 우선, 하나로는, 촬상 에어리어(Sar)가 암소(暗所)인 경우에, 촬상 에어리어(Sar)가 되는 서는 위치를 조명 장치에 의해 비추도록 하는 것이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로부터 출력시키는 음성에 의해 촬상 에어리어(Sar)를 알리는 것이다. 예를 들면, 피, 피, 피, 라고 하는 짧은 전자음을 간헐적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촬상 에어리어(Sar)까지의 거리에 따라, 전자음이 출력된 시간 간격을 가변한다. 예를 들면, 촬상 에어리어(Sar)에 근접하여 감에 따라, 전자음이 출력되는 시간 간격은 단축하여 간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가 구비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점멸시키고, 촬상 에어리어(Sar)까지의 거리에 따라, LED가 점멸하는 시간 간격을 가변시킨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가 구비하는 바이브레이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키고, 촬상 에어리어(Sar)까지의 거리에 따라, 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하는 시간 간격을 가변시킨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가 구비하는 표시부에서, 촬상 에어리어(Sar)까지의 거리가 나타나는 표시를 소정의 표시 양태에 의해 행하도록 한다. 또는, 그때에 설비 카메라(2)에 의해 촬상되는 동화적인 촬상 화상(모니터 화상)을,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 휴대 단말장치(1)에 송신하고, 휴대 단말장치(1)에서는, 수신한 모니터 화상을 표시 출력한다. 휴대 단말장치(1)를 휴대하는 입원자는, 표시되는 모니터 화상과, 주위의 양상을 비교하여 보고, 모니터 화상에 대응하는 시야 범위에 자신이 위치할 수 있는 장소를 찾는다.
예를 들면 입원자(A)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행하여지는 안내에 따름으로써, 이 입원자(A)는, 설비 카메라(2-1)의 촬상 에어리어(Sar) 내에 올바르게 위치할 수 있고, 설비 카메라(2-1)에 의해, 입원자(A)를 주(主)피사체로 하여, 미리 상정하고 있는 구도에 의해 촬상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된 것이 시스템측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판정되었다고 하면, 시스템으로서는, 이후에 촬상을 위한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촬상 동작 그 자체를 실행하는데 앞서서, 휴 대 단말장치(1-1)를 휴대하는 입원자(A)에 대해, 이제부터 촬상을 행하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동작을 행한다. 이 촬상 통지의 동작으로서는, 단지, 이제부터 촬상이 행하여지는 것을 통지하는 것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로서는, 실제로 촬상 동작이 실행되는 타이밍을 알리도록 된다. 이 촬상 타이밍의 통지도, 촬상 에어리어(Sar)의 안내와 같은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장치(1)로부터 출력시키는 음성에 의해 촬상 타이밍을 알린다. 예를 들면, 이 경우 피, 피, 피, 라는 짧은 전자음을 간헐적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촬상 타이밍이 근접함에 따라, 전자음이 출력된 시간 간격을 단축하도록 하여 가변하여 간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가 구비하는 LED를 점멸시켜서, 촬상 타이밍이 근접함에 따라, LED가 점멸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하여 가도록 하여 가변시킨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가 구비하는 바이브레이터를 간헐적으로 동작시켜서, 촬상 타이밍이 근접함에 따라, 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하는 시간 간격을 단축하여 가도록 하여 가변시킨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가 구비하는 표시부에서, 촬상 타이밍까지의 시간이 나타나는 표시를 소정의 표시 양태에 의해 행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표시를 행할 때에, 설비 카메라(2)에서 촬상되어 있는 모니터 화상도 표시하면, 자신들이 어떤 상태로 촬상되어 있는 것인지를 알기 쉬워진다. 또한, 이때에는, 「○○의 촬영 포인트입니다. ○○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읍시다」 등과 같이 하여, 촬상 타이밍과 함께, 가능한 한 좋은 구도의 사진이 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등을 문자 표시, 음성 등에 의해 출력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촬상 타이밍을 통지하고 있는 동안에, 예를 들면 설비 카메라(2-1)측에서 오토 포커스 기능을 동작시켜, 주피사체인 입원자에 저스트 포커스하도록 하여, 적절한 포커스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두는 것도 고려된다. 그리고, 오토 포커스를 실현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콘트라스트 방식 등을 위시하여,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기술이 채용되면 좋다. 또한, 촬상 타이밍의 통지에 있어서, 휴대 단말장치(1)의 LED, 바이브레이터, 음성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촬상 에어리어(Sar)의 안내일 때에 사용한 것과는 다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안내에서는, LED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면, 촬상 타이밍을 알릴 때에는, 바이브레이터 또는 음성을 사용한다. 안내와 촬상 타이밍의 통지에서 같은 것을 사용하면, 촬상 에어리어를 안내하고 있는 것인지, 촬상 타이밍을 통지하고 있는 것인지를 알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촬상 타이밍이 통지되고, 그래서 촬상 타이밍에 이르면, 설비 카메라(2-1)는 촬상을 실행한다. 이때, 입원자(A)는, 촬상 에어리어(Sar)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본래 상정되어 있는 구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촬상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촬상 타이밍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불의에 촬영되는 일 없이, 촬상 타이밍에 맞추어 포즈가 취해져 있는 등, 입원자에 있어서는 낭비 없이, 또한 의도에 맞는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기 쉬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설비 카메라(2-1)에 의해 촬상이 행하여짐으로써, 설비 카메라(2-1)에서는 촬상 화상을 근원으로 하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구조의 파일인 화상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이 화상 데이터 파일의 구조예에 관해서는 후술하지만, 촬상 화상으로부터 생성한 소정 형식에 의한 소정 해상도의 정지 화상 데이터와, 파일 ID나 촬상시에 있어서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 통 신하고 있던 휴대 단말장치(1)의 단말 ID 등의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등으로 이루어진다. 단, 본 발명의 개념하에서는, 화상 데이터 파일에서의 촬상 화상 데이터는, 동화상 데이터라도 상관없다, 또한, 후술하는 설비 카메라(2-1)의 구성에 의거하여, 동화상으로서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리고, 설비 카메라(2-1)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 파일을,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 휴대 단말장치(1-1)에 대해 송신한다. 또한, 설비간 통신망(CN1)에 의해 서버(4)에 대해 촬상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설비 카메라(2-1)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휴대 단말장치(1-1)에서는, 이 수신한 화상 데이터 파일을 내부에 기억 보존시킨다. 또한, 이와 함께, 휴대 단말장치(1-1)에서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 파일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 출력시킨다. 이 표시된 촬상 화상 데이터를 입원자(A)가 봄으로써, 입원자(A)는, 설비 카메라(2-1)의 촬상 에어리어(Sar)에서 촬상이 완료된 것을, 그 촬상 결과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같은 설비 카메라(2-1)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서버(4)에서는, 이 화상 데이터 파일을 내부에 기억시킨다. 또한, 이와 함께, 서버(4)는, 입원자(A)와 같은 그룹의 입원자(B, C)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 단말장치(1-2, 1-3)에 대해 설비 카메라(2-1)에 의해 입원자(A)(휴대 단말장치(1-1))가 촬상된 것의 통지 정보를 송신하도록 된다. 이 통지를 수신한 휴대 단말장치(1-2, 1-3)는, 자신을 휴대하고 있게 되는 유저(입원자(B, C))에 대해, 입원자(A)가 설비 카메라(2-1)에 의해 촬상된 것을 알도록 하여, 소정의 출력 양태에 의한 통지를 위 한 동작을 실행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한 통지의 동작, 양태로서, 휴대 단말장치(1-2, 1-3)에서, 설비 카메라(2-1)가 입원자(A)를 촬상하였다고 되는 촬상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 출력시키는 동작을 수반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이 촬상 화상을 표시시키면서, 「○○씨 (입원자(A))씨가 ××의 장소(설비 카메라(2-1)의 촬상 에어리어(Sar))에서 사진 촬영하였습니다」 등과 같이 하여, 문자 표시, 또는 음성 등에 의해 메시지도 출력시켜서 통지를 행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통지가 행하여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버(4)는, 휴대 단말장치(1-2, 1-3)에 대한 통지 정보의 송신에 있어서, 설비 카메라(2-1)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 파일을 통지 정보로서 포함하여 휴대 단말장치(1-2, 1-3)에 대해 송신한다. 휴대 단말장치(1-2, 1-3)는, 송신되어 온 화상 데이터 파일로부터 촬상 화상 데이터를 표시 출력시킨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1-2, 1-3)는, 이와 같이 하여 송신되어 온 화상 데이터 파일을 기억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문자, 음성 등에 의한 메시지의 출력은, 예를 들면 서버(4)가 기억 보존하는 단말 관리 정보 등으로부터 입원자(A)의 이름을 특정함과 함께, 화상 데이터 파일을 송신하여 온 설비 카메라(2)에 응한 장소를 특정하여, 이들의 특정한 정보에 의해, 메시지로서의 표시 문자 데이터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합성 음성 등을 생성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한, 통지의 양태로서, 단지,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만으로는, 휴대 단말장치(1)를 휴대하는 입원자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상황도 종종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음성, 바이브레이터의 구동, LED의 점등, 점멸 등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의 휴대 단말장치(1)중 하나가, 설비 카메라(2)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어 촬상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이 촬상이 행하여진 것을, 같은 그룹에 속하는 다른 휴대 단말장치(1)에도 통지하도록 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설비 카메라(2)에 의해 촬상이 행하여지는 휴대 단말장치(1)만에 대해 촬상한 것을 통지하는 경우보다도, 오락성이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오락 시설에 있어서,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복수의 입원자가, 몇사람씩 나누어서 별도 행동을 취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같은 그룹인 멤버가 자신들로부터 떨어진 촬상 에어리어(Sar)에서 촬상한 것이 통지되면, 그 멤버의 상황을 알게 되어, 재미가 나오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의 형태로서는, 촬상 에어리어(Sar)에서 촬상한 것의 통지가, 촬상 화상의 표시를 동반하기 때문에, 그 재미는 더욱 늘어나게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 의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휴대 단말장치(1)에는, 적어도, 자신을 휴대하는 입원자가 피사체가 되어 설비 카메라(2)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의 화상 데이터 파일, 또는, 자신과 같은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장치(1)를 휴대하는 입원자가 피사체가 되어 설비 카메라(2)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의 화상 데이터 파일이 기억되어 있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휴대 단말장치(1)에서는, 소정 조작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파일에 관한 리스트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 리스트 표시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촬상 화상 데이터의 내용이, 섬네일 화상의 리스트로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리스트 표시는, 예를 들면 섬네일 화상(화상 데이터 파일)마다, 자신에게 배포되는 앨범중 1장의 사진으로서 필요하다 고 지정하는 조작이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도, 소정의 표시 양태에 의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입원자는,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 단말장치(1)에 상기 리스트 표시를 실행시켜서, 표시된 화상을 보면서, 앨범에 포함하고 십다고 생각하는 사진을 지정하는(체크를 붙이는) 조작을 행하도록 된다. 이를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구성으로서는 다양하게 고려되지만, 섬네일 화상마다 체크 박스를 대응 표시시키고, 앨범에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 체크 박스에 체크를 붙이는 조작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리고, 앨범에 포함하는 것으로서 지정 조작이 행하여진 화상 데이터 파일에 대해서는, 휴대 단말장치(1)는, 이 지정된 화상 데이터 파일의 등록을 요구하는 커맨드를,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에 의해 서버(4)에 대해 송신한다.
서버(4)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비 카메라(2)가 촬상을 행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기억 보존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송신되어 온 등록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따라서는, 커맨드를 송신하여 온 휴대 단말장치(1)(입원자)와, 보존 요구된 화상 데이터 파일을 대응시켜서 관리한다.
그리고, 입원자는, 예를 들면 오락 시설로부터 퇴장함에 있어서, 유료 또는 무료로, 사진 앨범을 배포하여 받을 수 있다. 이 사진 앨범은, 그 입원자가, 상기한 리스트 표시로부터 등록한 화상 데이터 파일(촬상 화상 데이터)을 근원으로 하여 인쇄한 사진을 모아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앨범 작성을 위해 화상 데이터를 사진으로서 출력하는 인쇄 등을 위시한 작업은, 서버(4)와 화상 출력 장치(6)의 연 휴에 의한 동작을 동반한다. 즉, 예를 들면 입원자(A)를 위한 사진 앨범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화상 출력 장치(6)에 대해, 입원자(A)에 대응하는 ID(예를 들면 입원자(A)에 대출한 휴대 단말장치(1)의 ID)를 입력한다. 서버(4)는, 기억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 파일중에서, 입력된 ID에 대응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여 화상 출력 장치(6)에 송신한다. 화상 출력 장치(6)는, 예를 들면 서버(4)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상 데이터 파일의 촬상 화상에 대해, 사진 앨범 작성을 위한 인쇄 출력 등을 실행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작성된 사진 앨범을, 입원자(A)에 건네주게 된다. 또한, 사진 앨범 대신에, 화상 데이터 파일(촬상 화상 데이터)을 소정의 미디어에 기억시켜서 건네주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의 휴대 단말장치(1)에는, 디지털 카메라(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로서의 기능을 주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에는, 휴대 단말장치(1)에 의해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파일)도 내부에 기억 보존시킬 수 있게 된다. 입원자는, 오락 시설 내에 있을 때에는, 자신이 휴대하는 휴대 단말장치(1)를, 일반적인 카메라 장치 등과 마찬가지로 사용하여 사진 촬영, 동화 촬영 등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휴대 단말장치(1)에 의해 촬영(촬상)한 화상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앨범으로서 작성한 상태로, 또한, 미디어에 기억시킨 형태 등에 의해 입원자에 건네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휴대 단말장치(1)에 의해 촬상하여 기억 보존한 화상 데이터 파일(촬상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휴대 단말장치(1)끼리의 단말간 통신에 의해 서로 송수신하여 상대방의 휴대 단말장치(1)에도 기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 를 들면, 다른 그룹의 멤버에게 자신의 사진을 찍어 받을 때 등에, 일부러, 자신의 카메라를 건네지 않아도, 우선은, 그 다른 멤버가 갖고 있는 휴대 단말장치에 의해 사진을 촬영하여 두고, 나중에, 송신하여 받음으로써, 자신의 것이 촬영된 사진이 자신의 휴대 단말장치(1)에 보존되게 된다.
이하, 상기 도 1에 의해 설명한 시스템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 구성예에 관해 설명하여 간다. 도 2의 블록도는, 휴대 단말장치(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휴대 단말장치(1)는, 촬상부(11)를 구비한다. 촬상부(11)는, 예를 들면 촬상을 위한 광학계, 및 CCD나 CMOS 센서 등의 촬상 소자부를 구비하고, 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광을 촬상 소자부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신호 처리부(12)에 출력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12)에 있어서는, 입력된 촬상 화상광의 전기 신호에 관해 게인 보정 등의 소정이 처리를 시행하여 A/D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화하고 나서, 소정의 인코드 처리/디코드 처리 등을 위시한 디지털 화상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인코드 처리가 행하여짐으로써, 촬상 화상은, 소정 형식에 의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 파일로서 생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 파일은,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예를 들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전송하고, 기억부(16)에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억부(16)에 기억시킨 디지털 화상 데이터 파일을 표시부(17)에 표시 출력시키는 경우에는, 화상 신호 처리부(12)에 의해, 인코드 방식에 대응하는 필요한 디코드 처리를 시행하고,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7)에 전송한다. 그리고, 표시부(17)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설비-단말간 대응 통신부(13)는,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드웨어 디바이스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부위이다.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은, 오락 시설 내에 있는 휴대 단말장치(1)와, 서버(4)를 통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무선 통신이고, 설비-단말간 대응 통신부(13)로서도, 이와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14)는,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들의 통신부의 동작도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된다.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은, 전술한 바와도 같이, 1대의 설비 카메라(2)와, 이 설비 카메라(2)의 지향성 범위에 있는 휴대 단말장치(1)가 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고,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14)로서도, 이 통신에 대응한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된다.
제어부(15)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 RAM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되고, 휴대 단말장치(1)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실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CPU가 상기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15)로서의 제어 처리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1)는, 각각 고유(固有)가 되는 ID(단말 ID)가 주어진 것으로 되지만, 이 단말 ID는, 예를 들면 상기 ROM에 기억시키도록 함으로써, 제어부(15)가 보존하고 있는 것처럼 된다.
기억부(16)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파일 등을 기억 보존하기 위한 부위가 된다. 이 기억부(16)로서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히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재기록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현재 상태에서서는, 플래시 메모리 등 의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한,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억부(16)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장치(1) 내에서 고정적으로 마련되는 교환 불가의 것이라도 좋고, 소정의 리무버블의 기억 매체와, 이 기억 매체에 대응하는 드라이브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도 좋다.
표시부(17)는, 소정의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제어부(15)의 제어에 응하여 구동됨으로써 화상 표시를 행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표시부(17)로서는, 촬상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데 충분한 표시 능력을 갖는 표시 디바이스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현재의 상태라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음성 출력부(18)는, 예를 들면 제어부(15)에 의해 합성된 전자음, 또는 합성된 사람의 음성 등을 출력하기 위한 부위이다. 제어부(15)는, 예를 들면 음성 출력부(18)로부터 출력시켜야 할 음성의 데이터(음성 신호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음성 출력부(18)에 전송한다. 음성 출력부(18)에서는, 전송되어 온 음성 신호 데이터를 입력하여 D/A 변환 등을 행하여 증폭하고, 최종적으로 스피커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하도록 된다.
여기서의 조작부(19)는,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구비되는 조작자 전반과, 이들의 조작자에 대한 조작에 따라 조작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조작 정보 신호 출력 부위를 총괄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시부(17)의 표시 화면부가 터치 패널 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터치 패널의 구성도 조작부(19)에 포함된다. 조작부(19)를 이루게 되는 조작자 등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생성된 조작 정보 신 호는 제어부(15)에 입력된다. 제어부(15)는, 입력된 조작 정보 신호에 따라 필요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통지 기능부(20)는, 표시부(17)에 의한 표시 출력, 또는 음성 출력부(18)에 의한 음성 출력 이외에, 유저에게 무엇인가의 통지해야 할 사항을 통지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부위로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바이브레이터(20a), 또는, LED(20b) 등을 마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통지 기능부(20)에 의한 통지를 위한 동작은,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통지 기능부(20)로서 바이브레이터(20a)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15)는, 바이브레이터(20a)의 진동시키는 방향에 따라, 바이브레이터(20a)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 신호에 따라, 바이브레이터(20a)에 의해 바이브레이터용의 모터 등이 구동됨으로써, 바이브레이터(20a)가 진동하도록 하여 동작한다.
도 3의 블록도는, 설비 카메라(2)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설비 카메라(2)도, 촬상부(21)와 화상 신호 처리부(22)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도, 촬상부(21)는, 촬상을 위한 광학계, 및 CCD나 CMOS 센서 등의 촬상 소자부를 구비하고, 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광을 촬상 소자부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신호 처리부(22)에 출력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22)에서는, 입력된 촬상 화상광의 전기 신호에 대해 게인 보정 등의 소정이 처리를 시행하고 A/D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화하고 나서, 소정의 인코드 처리 등을 위시한 디지털 화상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이 인코드 처리에 의해, 촬상 화상은, 소정 형식에 의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 파일로서 생성된다.
설비간 대응 통신부(23)는, 설비간 통신망(CN1)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부위이다. 또한,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24)는,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부위이다.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서는, 촬상 에어리어(Sar)에 대응하는 지향성과 거리에 의한 설비 카메라(2)와 휴대 단말장치와의 무선 통신이 행여지도록 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설비간 대응 통신부(23)로서는, 촬상 에어리어(Sar)에 대응하는 지향성과, 촬상 에어리어(Sar)에 대응한 일정 범위 내의 거리로 한정된 무선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지향성, 전파 강도 등이 설정된다.
제어부(25)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되고, 설비 카메라(2)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설비 카메라(2)도, 각각 고유가 되는 ID(카메라 ID)가 주어져 있는 것으로 되지만, 이 카메라 ID는, 예를 들면 내부 ROM에 기억시키도록 함으로써, 제어부(25)가 보존하고 있는 것처럼 된다.
조명 구동부(26) 및 조명 장치(27)는, 도 1에 설명한, 촬상 에어리어(Sar)까지의 안내 통지로서, 조명을 비춤에 의해 촬상 에어리어(Sar)의 위치를 알리도록 한 경우에, 설비 카메라(2)가 구비하는 것으로 된다. 조명 구동부(26)는, 제어부(25)의 제어에 응하여 조명의 점등/비점등이 행하여지도록 조명 장치(27)를 구동한다.
도 4는, 서버(4)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경우의 기억부(41)는, 적어도, 오락 시설 내에서 설비 카메라에 의해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 파일 을 소정의 기간 동안 기억 보존하여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대용량을 갖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현재의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HDD 등의 기억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면 좋다. 또한, 여기서의 기억부(41)는, 하나의 블록으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복수의 기억 디바이스가 서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기억부(4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대출이 행하여진 휴대 단말장치(1)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인 단말 관리 정보도 기억된다.
설비간 대응 통신부(42)는, 설비간 통신망(CN1)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설비-단말간 대응 통신부(43)는,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44)는, CPU, ROM, RAM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컴퓨터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서버(4)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인터페이스부(45)는, 예를 들면 관리 센터(3)에서 서버(4)와 접속되는 등록 장치(5) 및 화상 출력 장치(6) 등과의 데이터의 수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드웨어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5(a)는, 서버(4)의 기억부(41)에 기억된 단말 관리 정보의 구조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단말 관리 정보는, 휴대 단말장치(1)의 단말 ID마다, 그룹 ID, 유저 정보, 및 파일 링크 정보를 대응시킨 정보(단말 정보)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단말 ID는, 휴대 단말장치(1)마다 고유가 되게 주어진 ID(식별자)이다. 그룹 ID는, 상기 단말 ID를 갖는 휴대 단말장치(1)가 속하게 되는 그룹마다 고유가 되게 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 주어진 ID이다. 도 1의 경우라면, 휴대 단말장치(1-1, 1-2, 1-3)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이 그룹에 대해 하나의 그룹 ID가 주어지게 된다. 유저 정보는, 대응하는 단말 ID의 휴대 단말장치(1)를 휴대하는 유저(입원자)에 관해 소요되는 정보를 소정의 구조에 의해 격납하여 형성된다. 유저 정보를 이루는 정보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저의 이름, 생년월일, 연령 등을 들 수 있다. 파일 링크 정보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대응하는 단말 ID의 휴대 단말장치(1)로부터의 보존의 등록 요구가 행하여진 화상 데이터 파일의 파일 ID를 격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말 ID, 그룹 ID, 유저 정보, 및 파일 링크 정보로 이루어지는 단말 정보는, 입원자가 휴대 단말장치(1)의 대출을 받고, 등록 장치(5)에 의해 등록을 위한 입력이 행하여짐에 응하여, 단말 관리 정보에 대해 신규 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 파일의 구조예를, 도 6에 도시한다. 또한, 확인을 위해 기술하여 두면, 여기서 화상 데이터 파일은, 설비 카메라(2)가 촬상을 행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화상 데이터 파일은,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헤더와, 이 헤더에 계속되는 실(實)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촬상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헤더에는, 파일 ID, 촬상 대상의 단말 ID, 및 각종의 부가 정보 등을 소정의 구조에 의해 격납하여 형성된다. 파일 ID는, 파일마다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자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경우에는, 파일 ID는, 설비 카메라(2)가 화상 데 이터 파일을 생성할 때에 발생시키게 되기 때문에, 복수의 설비 카메라(2)의 사이에서 발생시킨 파일 ID가 중복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파일 ID에 대해, 카메라 ID 등, 설비 카메라(2)마다 고유로 되는 값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촬상 대상의 단말 ID는, 현(現) 화상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촬상을 행한 때에, 설비 카메라(2)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던 휴대 단말장치(1)의 단말 ID이다. 또한, 부가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파일의 작성 일시, 화상 데이터의 형식, 파일 사이즈 등의 각종 필요한 정보가 격납된다. 화상 데이터는, 현 화상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촬상을 행한 때의 촬상 화상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촬상 화상 데이터이다.
도 7의 플로우 차트는, 설비 카메라(2)가 실행하는 것으로 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처리는, 예를 들면 설비 카메라(2)의 제어부(25)가 내부 ROM에 인스톨되도록 하여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된다. 설비 카메라(2)에서는, 우선, 스탭 S101의 처리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신의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 휴대 단말장치(1)와의 접속이 신규로 확립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입원자가 휴대 단말장치(1)를 휴대한 상태에서, 촬상 에어리어(Sar)에 대응하는 통신 가능 범위에 들어오면, 설비 카메라(2)의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24)와, 휴대 단말장치(1)측의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14)가 서로 통신을 확립시키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에 응하여, 스탭 S101에서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지게 되고, 스탭 S102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탭 S102에서는, 통신이 확립된 휴대 단말장치(1)의 단말 ID와, 필요한 설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설비 카메라(2)에서는,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24)로부터,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단말 ID와 설정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 커맨드의 송신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장치(1)의 처리는, 예를 들면 도 8의 플로우 차트에 도시한 것으로 된다. 이 도면에 도시한 처리도, 휴대 단말장치(1)의 제어부(15)가, 내부 ROM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8에서는, 우선, 스탭 S201에 의해, 설비 카메라(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단말 ID와 설정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커맨드가 수신될 것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이 커맨드가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14)에서 수신되고, 예를 들면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제어부(15)에 전송되면, 스탭 S202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로서,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14)로부터 단말 ID와 설정 정보를 송신 출력하기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송신된 단말 ID와 설정 정보를 설비 카메라(2)측에서 수신 취득함으로써, 도 7의 스탭 S102로서의 처리가 완료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탭 S102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설정 정보에는, 설비 카메라(2)에 의한 촬영(촬상)을 받아들이는, 또는 거부하는 것에 대해 설정된 촬영 허가/금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촬영 허가/금지에 관한 정보의 내용은,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입원자가 행한, 촬영 허가/금지에 관한 조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그래서, 계속되는 스탭 S103에서는, 스탭 S102에 의해 취득한 설정 정보중에서, 이 촬영 허가/금지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촬영 거부가 설 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한다. 여기서, 촬영 거부가 설정되어 있다고 하여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대해 촬영을 받아들이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다고 하여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것이면, 스탭 S104로 진행한다.
스탭 S104에서는, 필요에 따라, 촬상 에어리어(Sar)에의 안내를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앞서의 도 1의 설명에서, 입원자가 촬상 에어리어(Sar)에 적절하게 들어가도록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동작에 관해, 몇가지를 예시하였는데, 이 스탭 S104의 처리는, 상기한 안내의 동작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촬상 에어리어(Sar)가 되는 서는 위치를 조명 장치에 의해 비추도록 한 경우에는, 제어부(15)에 의해 조명 구동부(26)를 제어하여 조명 장치(27)가 점등하도록 구동한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1)측에서, 음성, LED, 바이브레이터 등에 의해 안내시키는 경우에는, 스탭 S104의 처리로서, 휴대 단말장치(1)측에서 안내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설비 카메라(2)가 휴대 단말장치(1)를 컨트롤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설비 카메라(2)에서는,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24)에 검출되는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한다. 이 수신 전계 강도에 의해, 현재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휴대 단말장치(1)가, 촬상 에어리어(Sar)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대응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검출된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음이 출력되는 시간 간격, LED의 점멸하는 시간 간격, 바이브레이터가 진동하는 시간 간격 등을 설정하고, 설정한 시간 간격에 의해 전자음 출력, LED(20b)의 구동, 바이브레이터(20a)의 구동 등을 행하도록, 카메라-단말간 대응 통신부(24)로부터 커맨드를 송신 출력한다. 이 커맨드에 응하여 휴대 단말장치(1)가, 음성 출력부(18), 통지 기능부(20)(바이브레이터(20a), LED(20b)) 등을 제어함으로써, 휴대 단말장치(1)에 의해 안내를 위한 소정 동작이 실행되게 된다. 또는, 설비 카메라(2)에서 검출된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 촬상 에어리어(Sar)까지의 거리를 추정하고, 추정한 거리를 휴대 단말장치(1)에 통지하여 표시를 지시한다. 휴대 단말장치(1)는, 통지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표시 양태에 의해, 촬상 에어리어(Sar)까지의 거리를 표시한다. 또는, 설비 카메라(2)에 현재 촬상하고 있는 촬상 화상(모니터 화상)의 데이터를,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송신한다. 휴대 단말장치(1)는, 송신되어 온 모니터 화상의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안내 화상으로서 표시부(17)에 표시 출력시키도록 한다.
설비 카메라(2)는, 상기 스탭 S104의 처리를 실행하면서, 휴대 단말장치(1)가 촬상 에어리어(Sar)에 대응하는 통신 범위 내에 들어가서, 그 휴대 단말장치(1)를 소지한 입원자를 피사체로 하는 촬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스탭 S105에서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장치(1)가 촬상 에어리어(Sar)에 대응하는 통신 범위 내에 들어갔다고 하여 스탭 S105에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졌다고 되면, 스탭 S106 이후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탭 S106에서는 촬상 대기 모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이 촬상 대기 모드가 설정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때에, 이 설비 카메라(2)에 의한 촬상이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스탭 S106에 의해 촬상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것에 수반하여, 다음의 스탭 S107의 처리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촬상 대기 모드가 시작 된 것을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한 통신으로서 통지한다.
상기 스탭 S107로서의 통지에 대응한 휴대 단말장치(1)의 처리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것으로 된다. 도 9에서는, 우선, 스탭 S301에 의해, 촬상 대기 모드의 통지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고, 수신한 것이 판별되면 스탭 S302로 진행한다. 스탭 S302에서는, 휴대 단말장치(1)에 의해 유저(입원자)에 대해 촬상 타이밍을 통지하기 위한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 스탭 S302의 처리도, 이전의 스탭 S104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하여, 앞서 예시한 촬상 타이밍 통지의 동작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여기서는, 촬상 대기 모드의 통지를 수신한 타이밍을, 설비 카메라(2)측에서 촬상 대기 모드를 설정한 시간인 것으로서 생각하는 것으로 하여, 촬상 타이밍의 통지에 LED를 점멸시키는 것이면, 촬상 타이밍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에 있어서, LED를 점멸시키는 타이밍에 관해,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소정의 시간 간격만큼 단축하어 간다. 그리고, 촬상 타이밍에 이르면, LED의 점멸을 정지시킨다.
설명을 도 7로 되돌린다. 스탭 S107에 의해,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촬상 대기 모드인 것을 통지한 후는, 스탭 S108에 의해 촬상 타이밍에 이르기까지의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대기한다. 단, 실제에서 있어서는, 이 대기 시간 동안에, 촬상부(21)를 제어하여 오토 포커스 제어나 자동 노출 제어 등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스탭 S108에서 대기 시간이 경과하여 촬상 타이밍에 이르렀다고 되면, 스탭 S109로 진행하여, 촬상부(21) 및 화상 신호 처리부(22)를 제어 하고, 촬상부(21)에 의해 촬상 동작을 실행시켜, 이 촬상부(21)로부터 얻어진 촬상 화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화상 신호 처리부(22)에서 처리하여 촬상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촬상 화상 데이터에 헤더를 부가하도록 하여 화상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다음의 스탭 S110에서는, 상기 스탭 S109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 파일을,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송신한다. 또한, 이와 함께, 계속되는 스탭 S111의 처리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탭 S109에 의해 생성한 화상 데이터 파일을, 설비간 통신망(CN1)에 의해, 서버(4)에 대해서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스탭 S110의 처리에 의해 설비 카메라(2)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상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휴대 단말장치(1)에서는,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이 수신한 화상 데이터 파일을, 소정의 관리 형식에 의한 파일 관리가 행하여지도록 하여, 기억부(16)에 대해 기억시킨다.
또한, 상기 스탭 S111의 처리에 의한 설비 카메라(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파일의 송신에 따른 서버(4)의 처리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에서는, 우선, 스탭 S401에 의해, 상기 스탭 S111의 처리에 의해 설비 카메라(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 파일이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고, 화상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였다고 하여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졌다고 되면, 스탭 S402 이후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탭 S402에서는, 상기 스탭 S401에 대응하여 수신한 화상 데이터 파일을, 소정의 관리 형태에 의한 파일 관리가 행하여지도록 하여, 기억부(44)에 대해 기억시킨다.
계속되는 스탭 S403에서는, 상기 스탭 S402에 의해 신규로 기억부(44)에 기억시킨 화상 데이터 파일의 헤더(도 6 참조)를 참조하여, 이 헤더가 나타내는 촬상 대상의 단말 ID를 인식하도록 된다.
계속해서는, 스탭 S404로서의 처리에 의해, 기억부(44)에 기억 보존하고 있는 단말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스탭 S403에 의해 인식한 단말 ID와 같은 그룹에 속한다고 되는 단말 ID를 취득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구조의 단말 관리 정보에 있어서, 스탭 S403에 의해 인식한 단말 ID를 격납한 단말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이 같은 단말 정보에 격납된 그룹 ID와 같은 그룹 ID를 격납하는 다른 단말 정보를 검색하고, 이 검색한 단말 정보가 격납하는 단말 ID를 취득하도록 된다.
다음의 스탭 S405에서는, 설비-단말간 대응 통신부(43)를 제어하여,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에 의해, 상기 스탭 S404에 의해 취득한 단말 ID에 대해 통신의 호출 처리를 실행한다. 이 스탭 S405로서의 호출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스탭 S404에 의해 취득한 단말 ID의 휴대 단말장치(1)가 응답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응답하는 휴대 단말장치(1)는, 도 1에서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장치(1-2, 1-3)라는 것이 된다. 휴대 단말장치(1)측이 호출에 응답하여 필요한 트랜잭션이 서버(4)와의 사이에서 적정하게 실행되면, 이들의 휴대 단말장치(1)와 서버(4) 사이의 설비-단말 통신망(CN2)에 의한 통신의 접속이 확립되게 된다.
서버(4)에서는, 스탭 S406에 의해, 상기한 통신의 접속이 확립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고, 접속이 확립된 것을 판별하면, 스탭 S407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탭 S407에서는, 다른 단말 촬영 통지 정보를, 상기 스탭 S506에 대응하여 통신의 접속이 확립된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송신한다. 여기서의 다른 단말 촬영 통지 정보란, 어느 그룹에 있어서의 어느 입원자(휴대 단말장치(1))에 관해 설비 카메라(2)에 의한 촬상이 행하여진 것을, 같은 그룹의 다른 입원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장치(1)에 통지하기 위한 정보이다. 도 1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장치(1-1)를 대상으로 하여 설비 카메라(2)에 의한 촬영(촬상)이 행하여진 것을, 휴대 단말장치(1-2, 1-3)에 통지하기 위한 정보로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의 설명으로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어느 휴대 단말장치(1)를 대상으로 하여 설비 카메라(2)에 의해 촬상된 것을, 이 촬상 화상의 표시와 함께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스탭 S407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통지의 양태가 실현되도록 하여 다른 단말 촬영 통지 정보 송신을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그래서, 이 경우는, 스탭 S401, S402에 수신 취득하고, 기억부(41)에 기억 보존시킨 화상 데이터 파일을 판독하고, 이 화상 데이터 파일을 다른 단말 촬영 통지 정보의 구조에 포함하도록 된다. 또한, 이때에는 필요에 따라, 다른 단말 촬영 통지 정보에 포함하여야 할 화상 데이터 파일의 형식, 구조 등에 대해 변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예를 들면 휴대 단말장치(1)가 촬상 대상으로서 촬상된 것의 취지를 통지하는 내용의 커맨드를, 이 촬상 대상이 된 휴대 단말장치(1)의 단말 ID(스탭 S403에서 인식하고 있다), 및 상기 화상 데이터 파일 등을 오퍼랜드로 하여 격납하여 그 구조에 포함하고, 다른 단말 촬영 통지 정보로서 생성하도록 된다.
또한, 도 11의 플로우 차트는 휴대 단말장치(1)에서 실행되는, 리스트 표시에 대한 화상 데이터 파일의 지정 조작, 또는 지정 해제의 조작에 따른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유저(입원자)가, 조작부(19)에 대해 리스트 표시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정 조작을 행하였다고 하면, 제어부(15)는, 스탭 S501으로서의 리스트 표시를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 시작한다. 이 스탭 S501의 처리의 실제로서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장치(1)의 제어부(15)는, 기억부(16)로부터 리스트 표시에 필요한 화상 데이터 파일의 판독을 실행하고, 필요에 따라 화상 신호 처리부(12)의 소정의 신호 처리 기능을 이용하면서, 화상 데이터 파일의 (촬상) 화상 데이터에 관한 섬네일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섬네일 화상을 이용하여 리스트 표시로서의 표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표시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도록 하여 표시부(17)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표시되는 리스트 표시에서는, 전술한 바와도 같이, 예를 들면 섬네일 화상마다 대응한 체크 박스 등이 표시됨으로써, 앨범에 포함하고 싶다고 하는 사진을 지정한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래서, 스탭 S502에서는, 이와 같은 지정 조작(예를 들면 체크 박스에 체크를 붙이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한다. 또한, 지정을 해제하는 조작(예를 들면 체크 박스로부터 체크를 제외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판별한다. 즉, 스탭 S502에서는, 앨범에 포함하여야 할 사진에 관한 지정, 해제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한다.
스탭 S502에서, 지정, 해제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탭 S503의 처리를 스킵하고 스탭 S504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에 대해, 지정, 해제의 조작이 행하여졌다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탭 S503으로 진행하고, 상기 스탭 S502에 대응하여 행하여졌다고 되는 지정, 해제의 조작에 의해 변경된 설정 내용이 반영되도록, 리스트 표시에서의 지시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스탭 S502에서, 리스트 표시에 있어서의 어느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에 체크를 붙이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되면, 스탭 S503에서는, 이 체크 박스에 체크가 부착되도록 하여 표시를 행한다. 이 스탭 S503의 처리가 종료되었다고 되면 스탭 S504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탭 S504에서는, 지금까지의 지정, 해제의 조작 설정 내용이 결정되기 위한, 조작부(19)에 대한 소정의 결정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별하고 있다. 여기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것이면, 스탭 S501의 처리로 되돌아오도록 되지만,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것이면, 스탭 S505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탭 S505에서는, 금회의 상기 스탭 S504에 대응하는 결정 조작이 행하여진 때의 설정 내용과, 이것보다 하나 앞의 결정 조작이 행하여진 때의 설정 내용을 비교하고, 설정 내용의 차분(差分) 정보를 인식한다. 그리고, 이 차분 정보에 따라 화상 등록/해제를 요구하는 정보(커맨드)를 생성하고,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에 의해, 서버(4)에 대해 송신한다. 예를 들면, 하나 앞의 결정 조작이 행하여진 때의 설정 내용으로서는, 화상 데이터 파일(A, B, C)의 3개가 앨범에 포함하여야 할 사 진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고 하고, 금회의 설정 내용에서는, 화상 데이터 파일(A, C, D)이 앨범에 포함하여야 할 사진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차분 정보로서는, 「화상 데이터 파일(B)을 등록 해제, 화상 데이터 파일(D)을 신규 등록」이라는 내용의 것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이 차분 정보에 따라, 화상 등록/해제를 요구하는 정보로서는, 화상 데이터 파일(B)의 등록 해제를 요구하는 커맨드와, 화상 데이터 파일(D)의 신규 등록을 요구하는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으로 된다. 이들의 커맨드에게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신규 등록 또는 해제를 지시하는 취지의 정보와, 송신원이 되는 휴대 단말장치(1)의 단말 ID를 포함한다. 또한, 신규 등록 또는 해제의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파일 ID를 포함하도록 된다. 그리고, 이들의 커맨드를 설비-단말간 대응 통신부(13)에 전송하여,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에 의해 서버(4)에 송신시킨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조작부(19)에 대해 리스트 표시를 종료시키기 위한 소정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되면, 표시부(17)에 대한 리스트 표시는 정지되고, 이 도면에 도시한 처리가 종료되게 된다.
도 12의 플로우 차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송신되는 화상 등록/해제 요구 정보에 따른 서버(4)의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서는, 우선, 스탭 S601에서, 설비-단말간 통신망(CN2) 경유로 화상 등록/해제 요구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고, 화상 등록/해제 요구 정보가 수신되면, 스탭 S602로 진행한다.
스탭 S602에서는, 수신한 화상 등록/해제 요구 정보의 구조에 포함되는 송신원의 휴대 단말장치(1)의 단말 ID와, 화상 등록/해제의 지정 대상이 되는 파일 ID 를 취득한다.
계속되는 스탭 S603에서는, 기억부(41)에 기억하고 있는 단말 관리 정보로부터, 상기 스탭 S602에 의해 취득한 단말 ID에 대응하는 단말 정보를 검색하고, 이 검색한 단말 정보가 격납하는 파일 링크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스탭 S604에서는, 스탭 S602에서 취득한 파일 ID에 의거하여, 파일 링크 정보의 갱신을 행한다. 즉, 스탭 S601에서 수신하였다고 되는 요구 정보가 등록을 지시하는 것인 경우에는, 스탭 S602에서 취득한 파일 ID를, 파일 링크 정보에 대해 추가하도록 하여 편집한다. 또한, 스탭 S601에서 수신하였다고 되는 요구 정보가 등록 해제를 지시하는 것인 경우에는, 스탭 S602에서 취득한 파일 ID를, 파일 링크 정보로부터 삭제하도록 하여 편집한다.
설비 카메라(2)에 의해 촬상된 사진을 모은 앨범을 작성할 때에는, 예를 들면, 앨범을 의뢰한 입원자가 휴대하고 있던 휴대 단말장치의 ID, 또는 이름 등의 유저 정보를 검색 조건으로 하여, 그 입장자에게 대응하는 단말 정보를 단말 관리 정보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한 단말 정보가 격납하는 파일 링크 정보를 취득하고, 이 파일 링크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파일 ID가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파일을 서버(4)의 기억부(41)로부터 판독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이 화상 데이터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앨범을 작성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설명한 촬상 시스템의 구성, 및 그 동작은 본 발명의 개념하에서 그 구성을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다. 우선, 예를 들면 도 1에 의해 설명한 시스템 동작에서는, 휴대 단말장치(1-2, 1-3)에 대해, 같은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 말장치(1-1)를 촬상 대상으로 하여 설비 카메라(2)가 「촬상을 행한」것을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으로서는, 이것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휴대 단말장치(1-2, 1-3)에 대해, 같은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장치(1-1)를 촬상 대상으로 하여 설비 카메라(2)가 「이제부터 촬상을 행하는」것을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설비 카메라(2)가 실행하는 도 7의 스탭 S107의 처리로서,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는 (촬상 대상의)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촬상 대기 모드인 것을 통지함과 함께, 서버(4)에 대해서도, 촬상 대기 모드인 것을, 촬상 대상의 휴대 단말장치(1)의 단말 ID와 함께 송신한다. 이 통지를 받고, 서버(4)는, 통지와 함께 수신한 단말 ID와 같은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에 의해, 상기 촬상 대상의 휴대 단말장치(1)가 「이제부터 촬상이 행하여지는」것을 통지하도록 된다. 이때에는, 예를 들면, 설비 카메라(2)로부터 서버(4)에 대해 모니터 화상을 송신하여 주고, 또한 서버(4)로부터, 모니터 화상을 촬상 대상 이외의 휴대 단말장치(1)에 대해 송신하면 좋다. 그러면, 통지를 받은 휴대 단말장치(1)측에서는, 이제부터 촬상이 행하여지는 입원자의 모습을 모니터 화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오락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의 휴대 단말장치(1)는 촬상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휴대 단말장치(1)에 의해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 파일에 대해서도 서버(4)에 송신하고 기억 관리시키도록 하여, 예를 들면 앨범 사진에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역으로, 본 실시의 형태의 휴대 단말장치(1) 는, 본원 발명과의 대응에서는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것이고, 따라서 반드시 촬상 기능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즉, 휴대 단말장치(1)는, 촬상 기능을 생략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개념에 의거하여 구축되는 다른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시스템 구성은, 예를 들면 운동회, 육상경기회 등으로 트랙 경기를 행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고, 크게는, 선수용 단말장치(100)(100-1, 100-2, 100-3), 고정 카메라 장치(200), 이동 카메라 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선수용 단말장치(100)는, 선수의 의복 등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른바 IC 태그 등과 같이 하여 가능한 한 소형 경량인 것이, 선수의 움직임 등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도면에서는, 선수(A, B, C)가, 트랙을 주회(周回)하여 달리도록 하여 트랙 경기를 행하고 있고, 선수(A, B, C)마다, 선수용 단말장치(100-1, 100-2, 100-3)를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고정 카메라 장치(200)는, 경기장 내에서 고정적으로 배치되는(또는, 예를 들면 레일 등에 장착되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도 좋다) 촬상장치이고, 이 경우에는, 촬상 시야에 관해, 골 라인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가 촬상 에어리어(Sar)가 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동 카메라 장치(300)는, 예를 들면 관객이 소지하는 촬상장치이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본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이 기본동작에서는, 본원 발명의 단말장치는, 선수용 단말장치(100)와, 이동 카메라 장치(300)가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촬상장치는 고정 카메라 장치(200)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관리장치로서도 고정 카메라 장치(200)가 된다. 즉, 도 13에서는, 촬상장치의 기능과 관리장치의 기능이 같은 장치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촬상장치와 상기 관리장치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 3의 통신 수단(도 1의 설비간 통신망(CN1))으로서는 실질적으로는 생략하여 좋은 것이 되지만, 여기서는, 고정 카메라 장치(200)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기능과, 관리장치의 기능이 연휴하는 때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의 내부 인터페이스인 것으로서 파악한다.
게다가, 도 13의 경우에는, 선수용 단말장치(100-1)와 이동 카메라 장치(300-1)에 의해 1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선수용 단말장치(100-2)와 이동 카메라 장치(300-2)에 의해 1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그룹 단위로 단말장치(선수용 단말장치(100), 고정 카메라 장치(200))를 관리하는 것이, 이 경우에는 고정 카메라 장치(200)가 된다. 고정 카메라 장치(200)에 대해, 그룹 관리를 위한 소정 구조의 정보가 격납된다. 이 정보는, 도 1의 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단말 관리 정보가 대응한다.
또한, 이 기본동작에서는, 고정 카메라 장치(200)와 선수용 단말장치(100)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100), 및 고정 카메라 장치(200)와 이동 카메라 장치(300)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간 통신망(CN200)이 기능한다.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100)은, 본원 발명의 제 1의 통신 수단에 대응하는 통신망이고, 도 1의 예에서의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3)에 상당한다. 카메라간 통신망(CN200)은, 본원 발명의 제 2의 통신 수단에 대응하는 통신망이고, 도 1의 예에서의 설비-단말간 통신망(CN2)에 상당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 3의 통신 수단에 대응하는 통신망(도 1의 설비간 통신 망(CN1))은, 고정 카메라 장치(200)가, 촬상장치와 관리장치를 겸하는 구성으로 됨으로써, 고정 카메라 장치(200) 내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파악된다.
이 경우, 고정 카메라 장치(200)에 의한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100)의 통신 범위는, 골 라인 부근에 대응하는 지향성과, 거리 범위인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트랙 경기의 선수들이 골 라인 부근까지 달려 왔다고 하면, 이 선수들의 선수용 단말장치(100)와, 고정 카메라(200)와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3에서는, 선수(A, B, C)중, 선수(A, B)가 골 라인 부근까지 달려온 것으로, 선수(A, B)의 각 선수용 단말장치(100-1, 100-2)와 고정 카메라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도 13의 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100)에 의해 선수용 단말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한 것이 고정 카메라 장치(200)측에서 판정되면, 고정 카메라 장치(200)는, 그 후의 소정 타이밍에서 촬상을 행하도록 된다. 이로써, 이 경우에는, 골 라인을 통과하는 선수가 촬상되게 된다. 도 13의 경우에는, 선수(A, B)가 골 라인 부근을 달리고 있는 화상이 촬상되게 된다. 뒤이어, 고정 카메라 장치(200)는, 이 촬상시에 대응하여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100)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던 선수용 단말장치(100)와 같은 그룹에 속하는 이동 카메라 장치(300)를 특정하도록 된다. 이를 위해서는, 고정 카메라 장치(200)가, 촬상시에 대응하여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100)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던 선수용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 ID를 취득한다. 그리고, 자신이 기억 보존하는 그룹의 관리 정보로부터, 취득한 단말 ID와 같은 그룹에 속하는 이동 카 메라 장치(300)의 ID(이동 카메라 ID)를 특정하도록 된다. 그리고, 고정 카메라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특정한 이동 카메라 ID를 송신처로 하여, 카메라간 통신망(CN200)에 의해, 촬상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파일)를 송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송신된 촬상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 카메라 장치(300)에서는, 이 수신한 촬상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표시 출력시킴과 함께, 내부에 기억 보존한다. 도 1의 경우라면, 고정 카메라 장치(200)에 의해 촬상하여 얻은 촬상 화상 데이터는, 선수용 단말장치(100-1)와 같은 그룹의 이동 카메라 장치(300-1)와, 선수용 단말장치(100-2)와 같은 그룹의 이동 카메라 장치(300-2)에 송신되게 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 동작은, 다음과 같은 메리트가 있다. 이 경우, 고정 카메라 장치(200)는, 트랙 내에서 골 라인 부근을 촬영하도록 되어 있다. 트랙의 그 밖에 있던 이동 카메라 장치(300)를 소지하는 촬영자에는, 이와 같은 구도에 의해 촬영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 동작이라면, 고정 카메라 장치(200)에 의해 촬상한 화상이 이동 카메라 장치(300)에서 얻어지게 된다. 게다가, 고정 카메라 장치(20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촬상 화상 데이터는 무차별적이지 않다, 이동 카메라 장치(300)와 같은 그룹의 선수용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하여 촬상한 촬상 화상 데이터만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같은 그룹에서의 선수용 단말장치(100)를 갖는 선수가 아동이고, 이동 카메라(300)를 갖는 촬영자는 그 어버이인 경우, 이 어버이인 촬영자의 이동 카메라(300)에는, 자신의 아동이 이동 카메라 장치(300)에 의해 촬상될 때만, 촬상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도록 되 어 있고, 타인의 아동을 촬상한 여분의 촬상 화상 데이터까지가 송신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시스템 동작에서도, 고정 카메라 장치(200)와 선수용 단말장치(100)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들어간 것으로 되고 나서 촬상이 실행되기 까지의 타이밍에서, 이제부터, 고정 카메라 장치(200)에 의해 촬상이 행하여지는 것을, 예를 들면 고정 카메라 장치(200)의 모니터 화상을 송신하도록 하여 통지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도 13의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스템 동작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여기서의 시스템 동작의 구체 설명에서는, 본원 발명의 단말장치로서, 선수용 단말장치가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가 될 수 있는 것에 대응하는, 또한, 촬영자(A)가 소지하는 이동 카메라 장치(300-1)가 본원 발명의 촬상장치에 대응한다. 또한, 촬영자(B)가 소지하는 이동 카메라(300-2)는, 본원 발명에서의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에 대응한다. 즉, 이 경우에는, 이동 카메라 장치(300)는, 상황에 따라, 본원 발명의 촬상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와,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있다. 고정 카메라 장치(200)는, 이 경우에는 본원 발명의 관리장치에 대응하고, 촬상 기능은 특히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 카메라 장치(200)에 대신하여, 전용의 서버 장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의 이동 카메라 장치(300)는, 본원의 촬상장치로서의 기능을 갖음으로써, 선수용 단말장치(100)와,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100)에 의한 지향성을 가지고 근거리의 무선 통신이 행하여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의 이동 카메라 장치(300)에서의 카메라-단말간 통신 망(CN100)에 의한 통신의 지향성은, 자신의 촬상 시야에 대응시킨 것으로 된다.
여기서, 촬영자(A)는 골 라인 부근에 있고, 골 라인에 들어오는 선수를 양호한 구도로 촬영할 수 있는 상황에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촬영자(A)의 아동이 선수(A)이고, 촬영자(A)가 소지하는 이동 카메라 장치(300-1)와, 선수(A)의 선수용 단말장치(100-1)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하고, 고정 카메라(200)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촬영자(B)의 아동이 선수(B)이고, 촬영자(B)가 소지하는 이동 카메라 장치(300-2)와, 선수(B)의 선수용 단말장치(100-2)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하고, 고정 카메라(200)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촬영자(A)는, 자신의 아동인 선수(A)가 1번으로 골 라인에 접근하여 왔기 때문에, 촬영의 준비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이때, 이동 카메라(300-1)는, 골 라인 부근을 촬상 시야로 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선수(A)가 정확하게 골 라인을 통과하는 타이밍에 촬영을 행하였다고 한다. 또한, 이때에는, 2번의 선수(B)는, 선수(A)에 약간 지연되는 정도의 타이밍으로 달리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촬영자(A)가 촬영을 행한 타이밍에서는, 이동 카메라(300-1)는, 선수(A)의 선수용 단말장치(100-1)만이 아니라, 선수(B)의 선수용 단말장치(100-2)와도, 카메라-단말간 통신망(CN100)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된다. 이것은, 이동 카메라 장치(300-1)의 촬상 시야에 있어서, 선수(A)(선수용 단말장치(100-1))만이 아니라, 선수(B)(선수용 단말장치(100-2))도 들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때의 이동 카메라(300-1)는, 선수용 단말장치(100-1)의 단말 ID 외에, 선수용 단말장치(100-2)의 단말 ID도 취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촬상을 실행한 이동 카메라(300-1)는, 도 1의 설비 카메라(2)와 마찬가지로 하여, 촬상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구조의 화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고, 이 화상 데이터 파일을, 자신의 기억부에 기억시킴과 함께, 서버 기능의 고정 카메라 장치(200)에 대해, 카메라간 통신망(CN200)에 의해 송신 출력한다. 이 화상 데이터 파일의 헤더에는 촬상 대상의 단말 ID로서, 선수용 단말장치(100-1, 100-2)의 2개의 단말 ID가 격납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화상 데이터 파일에는, 이 파일을 작성한 이동 카메라(300)의 ID(이동 카메라 ID)도 격납한다.
이 화상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고정 카메라 장치(200)에서는, 자신이 보존하고 있는 그룹의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한 화상 데이터 파일의 헤더가 격납한 촬상 대상의 단말 ID와 같은 그룹에 속하는 이동 카메라(300)의 이동 카메라 ID를 특정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특정되는 이동 카메라 ID중에는, 화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한 이동 카메라 장치(300)의 이동 카메라 ID도 포함되어 있지만, 이것에 관해서는 제외한다. 그리고, 고정 카메라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특정된 이동 카메라 ID를 송신처로 하고, 이동 카메라(300-1)에 의해 촬상이 행하여진 것의 통지를 한다. 이 통지의 양태로서는, 이동 카메라(300-1)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상 데이터 파일을, 예를 들면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송신처에 송신한다. 이와 같은 동작의 결과로서, 도 13의 경우에는, 선수용 단말장치(100-2)와 동일 그룹인 것으로서 관리되어 있는, 이동 카메라 장치(300-2)에 대해 화상 데이터 파일이 송신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촬영자(B)의 입장에서 보면, 촬영자(A)가 이동 카메라 장치(300-1)에 의해 촬상한 화상이, 송신되어 오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송신된 화상 데이터 파일의 화상을 표시시켜 보면, 촬영자(B)의 아동인 선수(B)도 찍혀 있는 것으로 된다. 즉, 이 시스템 동작에서는, 촬영자 자신이 같은 그룹의 선수를 촬영하고 있지 않더라도, 타인이 촬영한 때에는, 그 화상이 전송되어 오고, 자신의 것으로서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황에서는, 촬영자(B)는, 골 라인 부근부터는 멀리 떨어져 있고, 골 라인 부근의 아동(선수 B)은 스스로 촬영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촬영자(A)가 촬영한 화상을 취득할 수 있음으로서, 촬영자(B)로서는, 골 라인 부근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으면서도, 아동이 골인하는 장면을 촬영한 화상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3의 예에서도, 「같은 그룹에 있어서,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 이외의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에서,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가 이제부터 촬영되는 것 또는 촬영된 것을 통지시킨다는 기술 개념을 적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시스템 동작을 실행시킴응로써, 촬영자가 지금까지는 자신이 얻는 것이 어려웠던 촬상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13에 의해 설명한 시스템 동작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시스템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 구성에 의거하여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으로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시스템 구성, 및 알고리즘 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의 적용에 따라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에서 통지의 동작을 얻을 수 있음으로서, 예를 들면,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에 의해서만 통지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오락성, 편리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촬상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적어도, 피사체가 되는 이동 가능한 대상인 피사체 대상마다 부수되는 단말장치와, 촬상장치와, 관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리장치에서, 특정한 복수의 상기 단말장치를 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수단과, 상기 그룹 단위 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촬상장치의 사이에서, 지향성을 가지며, 또한, 근거리가 되는 물리적인 통신 가능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 수단과,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관리장치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 2의 통신 수단과, 상기 촬상장치와 상기 관리장치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 3의 통신 수단과, 상기 촬상장치와의 상기 제 1의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이 상기 단말장치와 가능한 상태에서, 이 제 1의 통신 수단의 통신 가능 범위에 대응하는 촬상 시야에 의해,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촬상 동작을 행하게 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이제부터 촬상 동작을 실행하는 것 및/또는 촬상 동작을 실행하는 것의 통지를, 상기 촬상장치와 상기 제 1의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장치인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와, 해당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와 같은 상기 그룹에 속하는, 해당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 이외의 소정의 1 이상의 상기 단말장치인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의 양자에 의해 실행시키는, 또는, 소정의 상기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만에 의해 실행시키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촬상장치에서 촬상 수단이 촬상하여 얻어지는 상기 촬상 화상 데이터를, 통지를 위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제 1의 통신 수단, 상기 제 2의 통신 수단, 및 상기 제 3의 통신 수단중에서 필요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 및/또는 상기 비피사체 단말장치에 대해 송신시키는 화상 송신 수단과, 상기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 및/또는 상기 비피사체 단말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촬상 화상 데이터를 표시 출력하는 표시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이제부터 촬상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통지시키는데 있어서는, 촬상 동작이 실행되는 타이밍을 통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에 의해 통지를 하게 하기 위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관리장치에 대해, 상기 제 3의 통신 수단에 의해, 통지를 위한 정보가 수수되도록 하는 제 1의 통지 정보 통신 수단과, 상기 제 1의 정보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에 상당하는 정보를 수신한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비피사체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 2의 통신 수단에 의해, 통지를 위한 정보가 수 수되도록 하는 제 2의 통지 정보 통신 수단과, 상기 제 1의 정보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를 위한 정보를 수신한 상기 비피사체 단말장치에서, 소정의 양태에 의한 통지를 위한 출력 동작을 실행하게 된 통지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시스템.
  5. 적어도, 이동 가능한 대상인 피사체 대상마다 부수되는 단말장치와, 촬상장치와, 관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촬상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에 있어서, 특정한 복수의 상기 단말장치를 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순서와, 그룹 단위 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촬상장치의 사이에서, 지향성을 가지며, 또한, 근거리가 되는 물리적인 통신 가능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 순서와,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관리장치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 2의 통신 순서와, 상기 촬상장치와 상기 관리장치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 3의 통신 순서와, 상기 촬상장치와의 상기 제 1의 통신 순서에 의한 통신이 상기 단말장치와 가능한 상태에서, 이 제 1의 통신 순서의 통신 가능 범위에 대응하는 촬상 시야에 의해,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촬상 동작을 행하게 되는 촬상 순서와, 상기 촬상 순서에 의해, 이제부터 촬상 동작이 실행되는 것 및/또는 촬상 동작이 실행된 것을, 상기 촬상장치와 상기 제 1의 통신 순서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장치인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와, 해당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와 같은 상기 그룹에 속하는, 해당 피사체 대응 단말장치 이외의 소정의 1 이상의 상기 단말장치 인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에 의해, 또는, 소정의 상기 비피사체 대응 단말장치만에 의해, 소정의 양태로 통지시키는 통지 순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060043282A 2005-05-16 2006-05-15 촬상 시스템, 시스템 제어 방법 KR200601183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42753 2005-05-16
JP2005142753A JP4483695B2 (ja) 2005-05-16 2005-05-16 撮像システム、システム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343A true KR20060118343A (ko) 2006-11-23

Family

ID=3684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282A KR20060118343A (ko) 2005-05-16 2006-05-15 촬상 시스템, 시스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91645B2 (ko)
EP (1) EP1725010B1 (ko)
JP (1) JP4483695B2 (ko)
KR (1) KR20060118343A (ko)
CN (1) CN100466678C (ko)
TW (1) TW2007072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5989A (zh) * 2017-08-31 2017-11-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拼接方法、用于图像拼接的移动终端和系统
JP2019061445A (ja) * 2017-09-26 2019-04-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提供システ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1819B2 (ja) 2007-04-02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画像データ処理装置、視聴情報生成装置、視聴情報生成システム、撮像画像データ処理方法、視聴情報生成方法
US20090013091A1 (en) * 2007-07-03 2009-01-08 Microsoft Corporation Customer based message routing
JP4416017B2 (ja) * 2007-07-18 2010-02-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
JP4966135B2 (ja) * 2007-08-31 2012-07-04 株式会社東芝 サーバ装置、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9071738A (ja) * 2007-09-14 2009-04-02 Panasonic Corp 撮影制御装置、無線通信端末、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制御方法
US9178957B2 (en) * 2007-09-27 2015-11-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Application and data agnostic collaboration services
TR200707353A2 (tr) * 2007-10-26 2009-05-21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Ş. Bir elektronik cihazın kullanıcısının konumunun tespiti ve tanınması
US9420014B2 (en) 2007-11-15 2016-08-16 Adobe Systems Incorporated Saving state of a collaborative session in an editable format
US9294291B2 (en) 2008-11-12 2016-03-22 Adobe Systems Incorporated Adaptive connectivity in network-based collaboration
JP2010123062A (ja) * 2008-11-21 2010-06-03 Yahoo Japan Corp 情報管理装置及び方法
JP5727692B2 (ja) * 2008-12-04 2015-06-03 任天堂株式会社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181247B2 (ja) * 2008-12-04 2013-04-10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5493201B2 (ja) * 2008-12-04 2014-05-14 任天堂株式会社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9948872B2 (en) 2009-03-02 2018-04-17 Flir Systems, Inc. Monitor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ccupant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of structures
US9674458B2 (en) 2009-06-03 2017-06-06 Flir Systems, Inc. Smart surveillance camera systems and methods
US10091439B2 (en) 2009-06-03 2018-10-02 Flir Systems, Inc. Imager with array of multiple infrared imaging modules
CA2955632A1 (en) 2010-11-10 2012-05-18 Nike Innovate C.V. Systems and methods for time-based athletic activity measurement and display
US8665345B2 (en) * 2011-05-18 2014-03-04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Video summary including a feature of interest
JP2012249147A (ja) * 2011-05-30 2012-12-13 Japan Radio Co Ltd 画像提供装置
US9143703B2 (en) 2011-06-10 2015-09-22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calibration techniques
KR101778353B1 (ko) 2011-06-10 2017-09-13 플리어 시스템즈, 인크. 적외선 이미징 장치용 불균일성 교정 기술
CA2851259C (en) * 2011-10-07 2018-06-12 Flir Systems, Inc. Smart surveillance camera systems and methods
EP2618566A1 (en) * 2012-01-23 2013-07-24 FilmMe Group Oy Controlling controllable device during performance
JP2014120927A (ja) * 2012-12-17 2014-06-30 Nikon Systems Inc 撮像装置、撮像装置のプログラム、及びリモート撮影システム
JP6252967B2 (ja) * 2013-05-17 2017-12-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機器、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93771B2 (ja) * 2014-03-21 2018-09-19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記録された画像データの識別
WO2016019976A1 (en) * 2014-08-04 2016-02-11 Quividi Process for monitoring the audience in a targeted region
WO2016160091A1 (en) * 2015-03-31 2016-10-06 Kolen Paul T Camera-biometric motion timer and method
JP6144738B2 (ja) * 2015-09-18 2017-06-07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ビデオゲーム処理システム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
EP3410692A4 (en) * 2016-03-31 2019-02-20 Ninebot (Beijing) Tech Co., Ltd. ON THE FLOOR MOVING DEVICE, STABILIZER, BRACKET AND ROBOT HEAD
JP6910887B2 (ja) * 2016-09-26 2021-07-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撮影制御方法、撮影制御システム及び撮影制御サーバ
CN106341559A (zh) * 2016-09-27 2017-01-18 深圳震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通话的视频获取方法及系统
DE102016125514A1 (de) * 2016-12-22 2018-06-28 KAGRIMA Technologi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Messung von Zeiten
JP2018113106A (ja) * 2017-01-06 2018-07-19 株式会社ゲート・オブ・ライティング&ビジョン Led照明システム
US10152830B2 (en) * 2017-02-06 2018-12-11 Jawku L.L.C. A Delaware Co. Camera-biometric motion sensor and method of synchronization
US10785406B2 (en) * 2019-02-01 2020-09-22 Qualcomm Incorporated Photography assistance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284A (ja) * 2000-04-20 2001-11-02 Fuji Photo Film Co Ltd 施設写真提供システム
JP2002015215A (ja) * 2000-06-30 2002-01-18 Hitachi Ltd マルチメデア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JP3992909B2 (ja) * 2000-07-03 2007-10-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本人画像提供システム
US6937154B2 (en) * 2001-08-21 2005-08-30 Tabula Ra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ersonal attention via wireless links
US20040201738A1 (en) * 2001-11-13 2004-10-14 Tabula Ra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ic access to images captured at diverse recreational venues
JP3772768B2 (ja) 2002-03-14 2006-05-1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撮像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4209645B2 (ja) 2002-08-06 2009-01-14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892357B1 (ko) 2002-12-09 2009-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4080316B2 (ja) * 2002-12-10 2008-04-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端末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04356683A (ja) * 2003-05-27 2004-12-1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管理システム
JP4447860B2 (ja) * 2003-06-30 2010-04-07 ソニ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カメラ
JP2005107886A (ja) 2003-09-30 2005-04-21 Fuji Photo Film Co Ltd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06174195A (ja) * 2004-12-17 2006-06-29 Hitachi Ltd 映像サービス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5989A (zh) * 2017-08-31 2017-11-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拼接方法、用于图像拼接的移动终端和系统
JP2019061445A (ja) * 2017-09-26 2019-04-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7236A (en) 2007-02-16
EP1725010A2 (en) 2006-11-22
EP1725010A3 (en) 2008-03-05
CN100466678C (zh) 2009-03-04
EP1725010B1 (en) 2013-10-23
TWI332160B (ko) 2010-10-21
US7791645B2 (en) 2010-09-07
JP2006319876A (ja) 2006-11-24
JP4483695B2 (ja) 2010-06-16
US20060279627A1 (en) 2006-12-14
CN1925536A (zh)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8343A (ko) 촬상 시스템, 시스템 제어 방법
US11882249B2 (en) Electronic device, imaging device, image reproduction method, image reproduc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with image reproduction program recorded thereupon, and image reproduction device
US9467610B2 (en)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captur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7460781B2 (en) Photographing system
KR100540636B1 (ko) 촬영지원시스템 및 촬영지원서버
JP4080316B2 (ja) 撮像装置、端末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07166420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10135983A (ja) 撮影装置、通信端末、サーバ、撮影方法及び通信方法
JP2018166282A (ja) 自動撮影システム及び発信機
JP2009267663A (ja) 撮像装置、撮像方法、撮像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2015015570A (ja)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装置およ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JP2005167504A (ja) 撮影管理システムおよび撮影管理方法
JP4382846B2 (ja) 撮像装置、端末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389530B2 (ja) 情報取得システム、情報要求・提供装置、情報提供側装置、情報要求側装置および情報取得方法
JP2005192160A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撮影管理システム
JP5440240B2 (ja) 電子機器
JP2005192015A (ja) 撮影システム
JP2018125890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プログラム
JP2006101449A (ja) デジタルカメラ貸出システム
JP2006096014A (ja) 情報記録式入場券
JP2004064424A (ja) 撮像装置、画像受信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