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508A - 액체 유로 형성 부재 유도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액체 유로 형성 부재 유도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508A
KR20060113508A KR1020060038151A KR20060038151A KR20060113508A KR 20060113508 A KR20060113508 A KR 20060113508A KR 1020060038151 A KR1020060038151 A KR 1020060038151A KR 20060038151 A KR20060038151 A KR 20060038151A KR 20060113508 A KR20060113508 A KR 2006011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forming member
flow path
induction device
path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4827B1 (ko
Inventor
아츠시 고바야시
신야 야마가타
기요시 무카이야마
스티븐 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33Storage or packaging of ink cartridges

Landscapes

  • Ink Jet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유도 디바이스는, 내부에 유로를 갖는 가요성의 유로 형성 부재를, 액체 분사 장치의 장치 본체내에 있어서 만곡시키면서 소정의 라우팅 방향으로 유도한다. 유도 디바이스는 유지부를 갖는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유로 형성 부재의 만곡부에 결합하고, 또한 상기 만곡부를 상기 장치 본체내에 있어서 변형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상기 유지부가 상기 유로 형성 부재를 상기 라우팅 방향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유도 디바이스는 액체 분사 장치의 장치 본체내에 있어서 유로 형성 부재를 만곡시키면서 효율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유로 형성 부재 유도 디바이스{LIQUID PASSAGE FORMING MEMBER GUIDING DEVICE}
도 1a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프린터의 캐리지 및 그 주변의 평면도,
도 2는 도 1a의 캐리지 및 그 주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튜브 유도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체 분사 장치(프린터) 11 : 장치 본체(프레임)
16 : 캐리지 21 : 액체 수용체(잉크 카트리지)
31 : 액체 저류부(잉크 탱크)
32, 32A, 32B : 유로 형성 부재(튜브 그룹)
32a, 32b : 만곡부 34 : 유도 디바이스
35 : 유로 36, 37 : 유지부
본 발명은 액체 유로 형성 부재를 유도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체를 타겟(target)에 대하여 분사시키는 액체 분사 장치로서, 잉크젯식 프린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프린터는, 왕복운동하는 캐리지에 기록 헤드를 탑재하고, 이 기록 헤드에 잉크 카트리지(액체 수용체)로부터 잉크(액체)를 공급한다. 기록 헤드는 노즐을 갖고, 이 노즐로부터 타겟으로서의 기록 매체에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인쇄를 실시한다. 이러한 프린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262092 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상에 장착하는 타입[소위 온-캐리지 타입(on-carriage type)]과,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320680 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가 아니라 프린터의 고정부에 장착하는 타입[소위 오프-캐리지 타입(off-carriage type)]의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온-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캐리지상의 탑재 공간과의 관계에서,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용량이 적다. 따라서, 비교적 대량의 인쇄를 실행하려고 할 경우에는, 잉크 카트리지를 빈번하게 교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대량 인쇄의 실행시에는, 잉크 카트리지의 교환 작업에 수작업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운전 비용도 증대해버린다. 여기에서, 온-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서는, 캐리지상의 잉크 카트리지에, 프린터에 외부 장착되는 대용량의 잉크 탱크를 접속하는 개조를 실시할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개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외부 장착 잉크 탱크로부터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튜브(액체 유로 형성 부재)는 프린터내에 있어서 만곡하면서 라우팅된다.
그러나, 온-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서는, 원래 잉크 카트리지가 캐리지상에 장착되어 있어, 잉크 공급 튜브를 라우팅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10)의 프레임(11) 내부와, 캐리지(16)의 후방면(16d) 사이에는, 프린터의 소형화 요청도 있어서, 거의 간극이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령, 외부 장착 잉크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잉크 공급 튜브를 캐리지(16)의 전방면(16a)을 따르도록 라우팅하여도, 잉크 공급 튜브를 최종적으로는 잉크 카트리지의 상면(16c)을 향해서 만곡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이 만곡을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색의 종류가 많아, 잉크 공급 튜브의 개수도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잉크 공급 튜브를 만곡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공간이 한층 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분사 장치의 장치 본체내에 있어서, 유로 형성 부재를 만곡시키면서 효율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는 유로 형성 부재에 대한 유도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르면, 내부에 유로를 갖는 가요성의 유로 형성 부재를, 액체 분사 장치의 장치 본체내에 있어서 만곡시키면서 소정의 라우팅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유도 디바이스는 유지부를 갖는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유로 형성 부재의 만곡부에 결합하고, 또한 상기 만곡부를 상기 장치 본체내에 있어서 변형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상기 유지부가 상기 유로 형성 부재를 상기 라우팅 방향으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제 2 시점에 따르면, 내부에 유로를 갖는 복수의 가요성의 유로 형성 부재를, 액체 분사 장치의 장치 본체내에 있어서 만곡시키면서 소정의 라우팅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액체 분사 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내에서 왕복운동 가능한 캐리지를 갖는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왕복운동 방향에 평행한 전방면과, 상기 왕복운동 방향에 평행한 상면과, 상기 왕복운동 방향에 직교하는 측면을 갖는다. 상기 유도 디바이스는 상기 전방면상에서 상기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서 병렬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유로 형성 부재를 상기 측면에 있어서 만곡시켜서 상기 측면에 고정하고, 또한 상기 상면을 따라 평행한 열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것으로 생각되는 특징은 특히 첨부한 청구범위에 있어서 명확해진다. 목적 및 이익을 따르는 본 발명은 이하에 도시하는 현 시점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참조함으로써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온-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a 내지 도 3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분사 장치로서의 프린터(10)는 상자형상을 갖는 장치 본체로서의 프레임(11)을 갖고 있고, 이 프레임(11)내의 하부에는 그 길이방향[도 1에 도시하는 주 주사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플래튼(12)이 가설되어 있다. 플래튼(12)은 타겟으로서의 용지(P)를 지지하는 지지대이며, 용지 이송 기구(13)가 갖는 용지 이송 모터(14)의 구동력에 근거하여, 용지(P)를 주 주사방향(X)과 직교하는 부 주사방향(Y)을 따라 급송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은 도 1a에 있어서의 부 주사방향(Y)의 전방[용지(P)가 급송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했을 경우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프레임(11)내에 있어서 플래튼(12)의 상방에는, 플래튼(12)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축(15)이 가설되고, 이 가이드 축(15)에는 캐리지(16)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1)의 내면에 있어서 가이드 축(15)의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구동 풀리(pulley)(17) 및 종동 풀리(1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풀리(17)에는 캐리지 모터(19)가 연결되어 있고, 이들 한쌍의 구동 풀리(17) 및 종동 풀리(18) 사이에는 캐리지(16)를 고정 지지한 타이밍 벨트(20)가 걸려있다. 따라서, 캐리지(16)는 가이드 축(15)에 의해 안내되면서, 캐리지 모터(19)의 구동에 의해 타이밍 벨트(20)를 거쳐서 주 주사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캐리지(16)는 상기 캐리지(16)의 왕복운동 방향(X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 1 면으로서의 우측면(16b)과, 상기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면으로서의 상면(16c)과, 상기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3 면으로서의 전방면(16a)을 갖는다.
캐리지(16)의 하면에는, 액체 분사 헤드로서의 기록 헤드(도시 생략)가 탑재되어 있다. 기록 헤드의 하면에는, 복수의 노즐(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16)에는, 기록 헤드보다 상방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액체 수용체로서의 잉크 카트리지(2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잉크 카트리지(21)에는, 액체로서의 잉크[자홍색(magenta), 청록색(cyan), 노랑색(yellow), 검정색(black)의 4색이 각각 농담 2 종류, 즉 합계 8 종류의 잉크]가 도 1a에 도시하는 대용량 잉크 탱크(31)로부터 잉크 공급용의 튜브 그룹(32)을 거쳐서 공급된다. 그리고, 기록 헤드에 구비된 도시하지 않는 압전 소자에 의해 구동되어서, 각 잉크가 잉크 카트리지(21)로부터 기록 헤드에 공급되어, 각 노즐로부터 플래튼(12)상에 급송된 용지(P)에 각각 분사된다. 이렇게 하여, 용지(P)에 대한 인쇄가 실행된다.
또한,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1)내에 있어서 플래튼(12)의 하방에는, 플래튼(1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폐액 탱크(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폐액 탱크(22)에는, 예를 들어 다공질의 펄프재로 이루어지는 흡수 부재(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프린터(10)의 일단부(도 1a에 있어서는 우측 단부), 즉 용지(P)가 통과하지 않는 비분사 영역에는, 클리닝(cleaning) 기구(23)가 설치되어 있다. 클리닝 기구(23)는 상기 노즐내에 잔존한 잉크를 흡인하여, 노즐의 막힘을 해소한다. 클리닝 기구(23)는 상기 기록 헤드를 밀봉하는 캡(cap)(24)과, 흡인부로서의 흡인 펌프(2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저류부(貯留部)로서의 대용량 잉크 탱 크(31)가 프린터(10)의 프레임(11) 외부[프레임(11)의 좌측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대용량 잉크 탱크(31)내에는, 캐리지(16)상의 합계 8개의 잉크 카트리지(21)에 대응한 합계 8색의 잉크를 저류하는, 합계 8개의 대용량의 잉크 팩(pack)(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각 대용량 잉크 탱크(31)는 유로 형성 부재로서의 튜브 그룹(32)을 거쳐서 각 잉크 카트리지(21)에 접속되어 있다.
튜브 그룹(32)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등의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1)에 관통 형성된 관통 삽입 구멍(33)을 거쳐서 외부로부터 프레임(11)내에 관통 삽입된다. 튜브 그룹(32)은 유로 형성 부재 유도 디바이스로서의 튜브 유도 디바이스(34)에 의해 캐리지(16)[잉크 카트리지(21)]까지 라우팅되어 있다. 즉, 튜브 그룹(32)의 상류 단부는 대용량 잉크 탱크(31)에 접속되고, 튜브 그룹(32)의 하류 단부는 캐리지(16)상의 각 잉크 카트리지(2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튜브 그룹(32)을 유도하는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이기 때문에, 튜브 그룹(32)의 프레임(11)내에 있어서의 라우팅 형태와 더불어 상세하게 후술한다.
튜브 그룹(32)내에는, 대용량 잉크 탱크(31)의 잉크 팩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잉크 유로(35)(도 3 참조)가 구획되어 있다. 즉, 튜브 그룹(3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잉크 카트리지(21)와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하류 단부를 갖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튜브 부재(35a, 35b, 35c, 35d, 35e, 35f, 35g, 35h)를 갖는다. 이들 튜브 부재(35a 내지 35h)는 소정 개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씩, 병렬 형상을 하도록 일체화된 띠형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튜브 그룹(32)은 4개의 튜브 부재(35a, 35b, 35c, 35d)가 병렬 형상을 하도록 일체화된 띠형상체의 제 1 튜브 그룹(32A)과, 나머지 4개의 튜브 부재(35e, 35f, 35g, 35h)가 병렬 형상을 하도록 일체화된 띠형상체의 제 2 튜브 그룹(32B)을 포함한다(도 3 참조).
각 튜브 부재(35a 내지 35h)의 상류 단부는 대용량 잉크 탱크(31)가 대응하는 각 잉크 팩과 각각 연통되어 있다. 각 튜브 부재(35a 내지 35h)의 하류 단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지(16)상의 잉크 카트리지(21)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대용량 잉크 탱크(31)내의 잉크는 튜브 그룹(32)의 각 잉크 유로(35)로부터 각 잉크 카트리지(21)내에 유입한 후, 캐리지(16)의 기록 헤드가 대응하는 각 노즐(모두 도시 생략)에 각각 공급된다.
다음에, 프레임(11)내에 있어서의 튜브 그룹(32)의 라우팅 형태와, 상기 튜브 그룹(32)을 캐리지(16)상의 각 잉크 카트리지(21)까지 유도하는 튜브 유도 디바이스(3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는 제 1 유지부(36), 제 2 유지부(37) 및 장착 부재(38)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 부재(38)가 제 1 유지부(36)를 제 2 유지부(37)와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는 캐리지(16)에 지지 고정된다.
제 1 유지부(36)는 제 1 튜브 그룹(32A)의 제 1 만곡부(32a)를 캐리지(16)의 우측면(16b)에서 유지한다. 제 1 튜브 그룹(32A)은 대용량 잉크 탱크(31)로부터 프레임(11)의 관통 삽입 구멍(33)을 통과하여, 캐리지(16)의 전방면(16a)을 따라 연장된다. 제 1 튜브 그룹(32A)은 캐리지(16)의 전방면(16a)으로부터 우측면(16b) 으로 라우팅한 후, 캐리지(16)의 상면(16c)을 향하도록 우측면(16b)상에서 전후방향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90° 만곡한 후, 상면(16c)을 향해서 절곡된다. 우측면(16b)상에서 90° 만곡하는 제 1 튜브 그룹(32A)의 부분이 제 1 만곡부(32a)를 이룬다. 제 1 유지부(36)는 제 1 만곡부(32a)를 캐리지(16)에 대하여 변형 불가능하게(즉, 만곡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튜브 그룹(32A)은 제 1 유지부(36)에 의해 라우팅된다. 제 1 유지부(36)는 공중 블록 형상을 하여, 4분의 1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만곡한 제 1 내측 에지면(40)과, 이 제 1 내측 에지면(40)보다도 큰 곡률 반경으로 만곡한 제 1 외측 에지면(41)을 갖는다.
또한, 제 1 유지부(36)의 내부에는, 제 1 내측 에지면(40) 및 제 1 외측 에지면(41)을 따르는 만곡 형상을 이루는 관통 삽입로(42)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관통 삽입로(42)의 단면 형상은, 제 1 튜브 그룹(32A)의 단면 외형과 동일한 형상이다. 상기 관통 삽입로(42)내에 제 1 튜브 그룹(32A)이 관통 삽입된 경우에, 제 1 만곡부(32a)는 관통 삽입로(42)의 내면과 결합하여, 만곡 상태를 변위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제 1 유지부(36)의 기단부(도 3에서는 하단부)(36a)에는, 제 2 유지부(37)와 일체로 조립되었을 때에 제 1 나사(43)가 삽입되는 구멍(44)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 2 유지부(37)는 제 2 튜브 그룹(32B)이 캐리지(16)의 전방면(16a)으로부터 우측면(16b)으로 라우팅된 후, 우측면(16b)으로부터 상면(16c)을 향하도록 제 2 튜브 그룹(32B)을 라우팅했을 때에, 제 2 만곡부(32b)를 프레임(11)내에서 변형 불가능하게(즉, 그 만곡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지한다. 제 2 유지부(37)는 측면에 보아 4분의 1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만곡한 제 2 내측 에지면(45)과, 이 제 2 내측 에지면(45)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만곡한 제 2 외측 에지면(46)을 갖는 공중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유지부(37)의 전체 형상은 제 1 유지부(36)보다도 큰 곡률 반경으로 만곡한 공중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측 에지면(45)은 제 1 유지부(36)의 제 1 외측 에지면(41)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지부(36)를 제 2 유지부(37)와 상하방향으로 중첩하여 조립했을 때에는, 제 2 유지부(37)의 제 2 내측 에지면(45)상에 제 1 유지부(36)의 제 1 외측 에지면(41)이 결합된다.
제 2 유지부(37)의 내부에는, 제 2 튜브 그룹(32B)의 단면 외형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통로 단면을 갖는 관통 삽입로(47)가 제 2 유지부(37)의 제 2 내측 에지면(45) 및 제 2 외측 에지면(46)을 따른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삽입로(47)내에 제 2 튜브 그룹(32B)이 관통 삽입된 경우에, 제 2 만곡부(32b)는 관통 삽입로(47)의 내면과 결합하여 만곡 상태를 변위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제 2 유지부(37)의 기단부(도 3에서는 하단부)(37a)에는, 제 1 유지부(36)와 일체로 조립되었을 때에 제 1 나사(43)가 삽입되는 구멍(49)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립시에 있어서 제 2 유지부(37)보다도 상방으로 배치되는 제 1 유지부(36)의 제 1 외측 에지면(41)의 곡률 반경(ρ1)은 제 2 유지부(37)의 제 2 외측 에지면(46)의 곡률 반경(ρ2)보다도 작다. 각 제 1, 제 2 유지부(36, 37)는 튜브 그룹(32)의 각 튜브 부재(35a 내지 35h)[잉크 유로(35)]의 만곡부의 곡률 반경을 서로 상이하게 한 상태에서, 제 1, 제 2 만곡부(32a, 32b)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제 1 유지부(36)는 튜브 부재(35a, 35b)의 만곡부(35i, 35j)의 곡률 반경(ρ3, ρ4)이 ρ3<ρ4로 되도록, 제 1 만곡부(32a)를 유지한다.
장착 부재(38)는 제 1 유지부(36) 및 제 2 유지부(37)를 캐리지(16)의 우측면(16b)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장착 부재(38)는 대략 L자형상의 박판 형상부재로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장착편(51)과, 상기 장착편(51)의 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지지편(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편(52)에는, 제 1 유지부(36)와 제 2 유지부(37)를 장착 부재(38)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나사(43)가 나사 체결되는 나사 구멍(5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장착편(51)에는, 장착 부재(38)를 캐리지(16)의 우측면(16b)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나사(48)가 나사 체결되는 나사 구멍(5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의 작용에 대하여, 특히 튜브 유도 디바이스(34)의 작용에 착안하여 이하 설명한다.
그런데, 대용량 잉크 탱크(31)에 상류 단부가 접속된 튜브 그룹(32)은 그 하류 단부가 프레임(11)의 관통 삽입 구멍(33)으로부터 프린터(10)내에 삽입된다. 프린터(10)내에 있어서, 튜브 그룹(32)은 캐리지(16)의 전방면(16a)을 따르도록[캐리지(16)의 전방면(16a)에 대하여 평행하게), 캐리지(16)의 이동방향(도 1에 있어서의 우측방향)으로 유도되고, 제 1 튜브 그룹(32A) 및 제 2 튜브 그룹(32B)의 하류 단부는 제 1, 제 2 유지부(36, 37)의 각 관통 삽입로(42, 47)내에 삽입 관통된 다. 그러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튜브 그룹(32A), 제 2 튜브 그룹(32B)은 제 1, 제 2 만곡부(32a, 32b)가 관통 삽입로(42, 47)의 내면과 결합한 만곡 상태로 되어, 제 1, 제 2 만곡부(32a, 32b)는 변형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제 1 유지부(36)의 제 1 외측 에지면(41)이 제 2 유지부(37)의 제 2 내측 에지면(45)에 접촉하도록, 또한 각 기단부(36a, 37a)의 구멍(44, 49)이 장착 부재(38)의 나사 구멍(53)과 일치하도록, 제 1 유지부(36)와 제 2 유지부(37)는 상하로 중첩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나사(43)가 구멍(44, 49)을 관통 삽입하여 장착 부재(38)의 나사 구멍(53)에 나사 체결되면, 제 1 유지부(36) 및 제 2 유지부(37)가 장착 부재(38)에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장착 부재(38)의 장착편(51)을 캐리지(16)의 우측면(16b)에 접촉시켜, 장착편(51)의 나사 구멍(54)에 제 2 나사(48)를 나사 체결하면,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는 캐리지(16)의 우측면(16b)에 지지 고정된다. 그 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튜브 부재(35a 내지 35h)의 하류 단부를 각각 대응하는 잉크색의 잉크 카트리지(21)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튜브 그룹(32)을 캐리지(16)의 전방면(16a), 우측면(16b), 상면(16c)으로 순차로 라우팅하는 것이 완료한다.
상술한 프린터(10)에 따르면, 캐리지(16)가 왕복 운동하면, 그에 따라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보다도 상류측의 튜브 그룹(32)의 부분[캐리지(16)의 전방면(16a)을 따라 라우팅된 부분]이 휜다. 이에 대하여,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보다도 하류측의 튜브 그룹(32)의 부분, 즉 캐리지(16)의 상면(16c)에 배치되어 있는 튜브 그룹(32)의 부분은 캐리지(16)에 대하여 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① 튜브 그룹(32)의 제 1, 제 2 만곡부(32a, 32b)는 제 1, 제 2 유지부(36, 37)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프린터(10)의 프레임(11)내에서 변형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튜브 그룹(32)을 프레임(11)내에서 만곡시키면서 라우팅할 때에, 큰 공간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효율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② 제 1 유지부(36) 및 제 2 유지부(37)는 특히 자세가 불안정해지기 쉬운 튜브 그룹(32)의 제 1, 제 2 만곡부(32a, 32b)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캐리지(16)의 왕복운동시에, 튜브 그룹(32)에 필요없는 굽힘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잉크 유로(35)가 불필요하게 좁아져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③ 튜브 부재(35a 내지 35h)의 만곡부, 예를 들어 만곡부(35i, 35j)의 곡률 반경(ρ3, ρ4)이 서로 상이하도록, 제 1, 제 2 유지부(36, 37)는 제 1, 제 2 만곡부(32a, 32b)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튜브 부재(35a 내지 35h)의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하도록 만곡시키면서 튜브 그룹(32)을 프레임(11)내에서 라우팅하면, 제 1 만곡부(32a)의 제 1 내측 에지면(40)과 제 1 외측 에지면(41)에서는 곡률 반경이 상이하기 때문에, 굽힘 응력이 상이하다. 그 때문에, 제 1, 제 2 만곡부(32a, 32b)의 자세는 불안정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 1, 제 2 유지부(36, 37)는 튜브 그룹(32)의 제 1, 제 2 만곡부(32a, 32b)를 확실하게 변형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안 정한 상태에서 튜브 그룹(32)을 라우팅할 수 있다.
④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는 제 1 유지부(36)와 제 2 유지부(37)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는, 튜브 그룹(32)을, 튜브 부재(35a 내지 35d)로 이루어지는 제 1 튜브 그룹(32A)과, 튜브 부재(35e 내지 35h)로 이루어지는 제 2 튜브 그룹(32B)으로 분담해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튜브 부재(35a 내지 35h)를 일괄해서 유지할 경우, 튜브 그룹(32)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의 최소값은 가장 내측의 튜브 부재(35a)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이며, 굽힘 응력의 최대값은 가장 외측의 튜브 부재(35h)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이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튜브 부재(35a 내지 35h)를, 튜브 부재(35a 내지 35d)로 이루어지는 제 1 튜브 그룹(32A)과, 튜브 부재(35e 내지 35h)로 이루어지는 제 2 튜브 그룹(32B)으로 나누어서 유지하고 있다. 제 1 튜브 그룹(32A)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의 최소값은 튜브 부재(35a)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이며, 제 1 튜브 그룹(32A)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의 최대값은 튜브 부재(35d)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이다.
또한, 제 2 튜브 그룹(32B)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의 최소값은 튜브 부재(35e)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이며, 제 2 튜브 그룹(32B)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의 최대값은 튜브 부재(35h)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튜브 그룹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의 차이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잉크색의 종류가 많은 것에 의한 다수의 튜브 부재(35a 내 지 35h)를 병렬 형상을 해서 만곡하면서 라우팅하여도, 튜브 그룹(32)이 만곡부에서 손상하는 것을 억제한다.
⑤ 제 1 유지부(36) 및 제 2 유지부(37)는, 캐리지(16)의 이동방향(도 1에 있어서의 X 방향)과 직교하는 우측면(16b)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지(16)의 후방면(16d)과 프레임(11) 사이의 공간이 작은 경우에도, 캐리지(16)의 우측면(16b)에 대향하는 공간에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 그룹(32)을 만곡시키면서 안정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⑥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는 튜브 그룹(32)을 캐리지(16)에 유지한다. 따라서,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보다도 상류측의 튜브 그룹(32)의 부분, 즉 캐리지(16)의 전방면(16a)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 그룹(32)의 부분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즉, 캐리지(16)의 왕복운동을 따라, 튜브 그룹(32)을 원활하게 휘게 할 수 있다.
또한,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보다도 하류측의 튜브 그룹(32)의 부분, 즉 캐리지(16)의 상면(16c)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 그룹(32)의 부분을 캐리지(16)가 왕복운동하여도 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튜브 그룹(32)의 하류 단부와 각 잉크 카트리지(21)의 접속 부분에 불필요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아, 양자의 접속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하기와 같은 다른 실시형태(다른 예)로 변경하여도 좋다.
·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는 프레임(11)내에 배치되는 잉크 탱크로부터 잉 크 카트리지(21)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튜브를 유도하여도 좋다.
· 튜브 그룹(32)은, 프레임(11)내에서 캐리지(16)의 후방면(16d)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면, 캐리지(16)의 후방면(16d)을 따르도록 라우팅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튜브 그룹(32)은 캐리지(16)의 우측면(16b)에 유지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캐리지(16)의 좌측면이나, 캐리지(16)의 전방면(16a)에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특히, 튜브 그룹(32)을 캐리지(16)의 좌측면에 유지할 경우, 캐리지(16)의 전방면(16a)에 대향하는 공간의 크기가 튜브 그룹(32)을 휘게 하기에는 불충분할 경우에 바람직하다. 즉, 캐리지(16)의 좌측면에 대향하는 공간을 튜브 그룹(32)을 휘게 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를 캐리지(16) 이외의 프린터(10)내의 부위에 지지하여도 좋다.
· 제 1 유지부(36) 및 제 2 유지부(37)가 제 1, 제 2 튜브 그룹(32A, 32B)을 유지하는 형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제 1, 제 2 유지부(36, 37)에 관통 삽입로(42, 47)를 형성하지 않고, 각 제 1, 제 2 유지부(36, 37)를 각각 두께방향으로 2분할되는 구성으로 한다. 분할된 부재 사이에, 제 1, 제 2 만곡부(32a, 32b)를 끼워넣음으로써, 제 1, 제 2 튜브 그룹(32A, 32B)을 유지하여도 좋다.
또한, 각 제 1, 제 2 유지부(36, 37)에 관통 삽입로(42, 47)를 형성하지 않고, 캐리지(16)의 우측면(16b)에 대향하는 각 제 1, 제 2 유지부(36, 37)의 면에, 제 1, 제 2 튜브 그룹(32A, 32B)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와 캐리지(16)의 우측면(16b)에서, 각 제 1, 제 2 만곡부(32a, 32b)를 끼워넣도록 해서 가압 유지하여도 좋다.
·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보다도 상류측의 튜브 그룹(32)의 부분, 즉 캐리지(16)의 전방면(16a)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 그룹(32)의 부분과,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보다도 하류측의 튜브 그룹(32)의 부분, 즉 캐리지(16)의 상면(16c)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 그룹(32)의 부분을 별개의 잉크 공급 튜브 그룹으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1, 제 2 유지부(36, 37)에, 튜브 그룹(32)의 상류측 부분의 하단부와, 튜브 그룹(32)의 하류측 부분의 상단부를 접속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튜브 그룹(32)의 상류측 부분, 제 1, 제 2 유지부(36, 37), 튜브 그룹(32)의 하류측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대용량 잉크 탱크(31)로부터 잉크 카트리지(21)까지 잉크가 안정하게 공급된다.
· 제 1 유지부(36) 및 제 2 유지부(37)는 각각 별개로 캐리지(16)에 지지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21)가 캐리지(16)에 탑재된 온-캐리지 타입의 잉크젯식 프린터에 구체화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오프-캐리지 타입의 잉크젯식 프린터에 구체화하여도 좋다. 즉, 튜브 유도 디바이스(34)는 온-캐리지 타입 및 오프-캐리지 타입중 어느 하나의 타입의 잉크젯식 프린터에 있어서도, 가요성을 갖는 튜브 그룹(32)을 프린터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만곡시키면서 라우팅하는 데에도 바람직하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잉크를 토출하는 프린터(10)를 액체 분사 장치로서 설명했지만, 그 밖의 액체 분사 장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팩시밀리 또는 복사기 등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나, 액정 모니터, EL 디스플레이 및 면 발광 디스플레이의 제조 등에 사용되는, 전극재나 색재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바이오 칩 제조에 사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정밀 피펫(pipette)으로서의 시료 분사 장치여도 좋다. 또한, 액체도 잉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액체에 응용하여도 좋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실시형태만을 기재했지만, 본 발명이 그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유의 형태로 구체화되어도 좋다라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확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한 청구범위내에서 개량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유도 디바이스에 따르면, 액체 분사 장치의 장치 본체내에 있어서 유로 형성 부재를 만곡시키면서 효율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Claims (9)

  1. 내부에 유로(35)를 갖는 가요성의 유로 형성 부재(32)를 액체 분사 장치(10)의 장치 본체(11)내에서 만곡시키면서 소정의 라우팅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 디바이스(34)에 있어서,
    상기 유도 디바이스(34)는 상기 유로 형성 부재(32)의 만곡부(32a, 32b)에 결합하고 또한 상기 만곡부(32a, 32b)를 상기 장치 본체(11)내에서 변형 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36, 37)를 갖고, 상기 유지부(36, 37)가 상기 유로 형성 부재(32)를 상기 라우팅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사 장치(10)는 상기 장치 본체(11)내에서 왕복운동하는 캐리지(16)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36, 37)는 상기 캐리지(16)에 지지되는
    유도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6)는 상기 캐리지(16)의 왕복운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1 면(16b)과, 상기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면(16c)을 갖고, 상기 유지부(36, 37)는 상기 제 1 면(16b)에 설치되고, 상기 라우팅 방향은 상기 제 1 면(16b)으로부터 상기 제 2 면(16c)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유도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6)는, 상기 제 1 면(16b)이고 상기 캐리지(16)의 왕복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측면(16b)과, 상기 제 2 면인 상면(16c)을 갖는
    유도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6)는 상기 캐리지(16)의 상기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서 넓어지는 전방면(16a)을 더 갖고,
    상기 유로 형성 부재(32)는 상기 전방면(16a)상에서 상기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서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로 형성 부재(32A, 32B)중 하나이며,
    상기 유도 디바이스(34)는 상기 전방면(16a)상의 상기 복수의 유로 형성 부재(32A, 32B)를 상기 측면(16b)을 경유하여 상기 상면(16c)을 따르도록 병렬로 유도하는
    유도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35)는 상기 유로 형성 부재(32)의 내부에 병설된 복수의 유로(35) 중 하나이며, 상기 유로 형성 부재(32)는 그들 유로(35)의 곡률 반경(ρ3, ρ4)이 상기 만곡부(32a, 32b)에서 서로 상이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유도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 부재(32)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로(35)를 갖는 제 1 유로 형성 부재(32A)와, 상기 제 1 유로 형성 부재(32)와는 별개체 구성으로 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로(35)를 갖는 제 2 유로 형성 부재(32B)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32a, 32b)는 상기 제 1 유로 형성 부재(32A)의 제 1 만곡부(32a)와, 상기 제 2 유로 형성 부재(32B)의 제 2 만곡부(32a)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36,37)는 상기 제 1 만곡부(32a)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36)와, 상기 제 2 만곡부(32b)를 유지하는 제 2 유지부(37)를 포함하는
    유도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 부재(32)의 일단부는 상기 장치 본체(11) 외부에 배치된 액체 저류부(31)에 접속되고, 상기 유로 형성 부재(32)의 타단부는 상기 캐리지(16)상에 배치되는 액체 수용체(21)에 접속되는
    유도 디바이스.
  9. 내부에 유로(35)를 갖는 복수의 가요성의 유로 형성 부재(32A, 32B)를 액체 분사 장치(10)의 장치 본체(11)내에서 만곡시키면서 소정의 라우팅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 디바이스(34)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사 장치(10)는 상기 장치 본체(11)내에서 왕복운동 가능한 캐리지(16)를 갖고, 상기 캐리지(16)는 상기 왕복운동 방향에 평행한 전방면(16a)과, 상기 왕복운동 방향에 평행한 상면(16c)과, 상기 왕복운동 방향에 직교하는 측면(16b)을 갖고,
    상기 유도 디바이스(34)는 상기 전방면(16a)상에서 상기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서 병렬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유로 형성 부재(32A, 32B)를 상기 측면(16b)에서 만곡시켜서 상기 측면(16b)에 고정하고, 또한 상기 상면(16c)을 따라서 평행한 열로 유도하는
    유도 디바이스.
KR1020060038151A 2005-04-28 2006-04-27 액체 유로 형성 부재 유도 디바이스 KR100724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3445 2005-04-28
JP2005133445A JP2006305940A (ja) 2005-04-28 2005-04-28 液体流路形成体誘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508A true KR20060113508A (ko) 2006-11-02
KR100724827B1 KR100724827B1 (ko) 2007-06-04

Family

ID=3696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151A KR100724827B1 (ko) 2005-04-28 2006-04-27 액체 유로 형성 부재 유도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40587B2 (ko)
EP (1) EP1719624A3 (ko)
JP (1) JP2006305940A (ko)
KR (1) KR100724827B1 (ko)
CN (1) CN100503255C (ko)
TW (1) TWI3141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380B1 (ko) * 2008-03-25 2013-11-2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기록 장치
JP5223750B2 (ja) * 2009-03-24 2013-06-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024105B2 (ja) * 2011-12-26 2016-1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供給装置
US9315031B2 (en) * 2012-01-30 2016-04-19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013166302A (ja) * 2012-02-15 2013-08-2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TWI535574B (zh) 2012-02-28 2016-06-01 Seiko Epson Corp Ink jet recording device
JP6057058B2 (ja) * 2012-08-10 2017-0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WO2014024392A1 (ja) * 2012-08-10 2014-0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6379482B2 (ja) * 2013-12-19 2018-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2017113917A (ja) * 2015-12-22 2017-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2964A (ja) 1984-05-04 1985-11-19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US6188417B1 (en) 1994-10-31 2001-02-13 Hewlett-Packard Company Fluidic adapter for use with an inkjet print cartridge having an internal pressure regulator
JPH11165447A (ja) 1997-10-02 1999-06-2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
DE10105352C1 (de) 2001-02-05 2002-08-08 Tally Computerdrucker Gmbh Tintendrucker mit einer Absaugstation
US7744202B2 (en) 2002-01-30 2010-06-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JP3573151B2 (ja) 2002-02-28 2004-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用液体供給チューブおよび液体噴射装置
US6719414B2 (en) 2002-07-31 2004-04-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tube carrier for a printer, and method
CN2573231Y (zh) 2002-09-24 2003-09-17 缪则夫 喷墨打印机可持续供墨装置
JP2004122633A (ja) * 2002-10-03 2004-04-2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供給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4262092A (ja) * 2003-02-28 2004-09-24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035033A (ja) * 2003-07-16 2005-02-10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3255C (zh) 2009-06-24
JP2006305940A (ja) 2006-11-09
EP1719624A3 (en) 2008-04-09
CN1853938A (zh) 2006-11-01
US7540587B2 (en) 2009-06-02
US20060284945A1 (en) 2006-12-21
TWI314104B (en) 2009-09-01
EP1719624A2 (en) 2006-11-08
KR100724827B1 (ko) 2007-06-04
TW200702203A (en)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827B1 (ko) 액체 유로 형성 부재 유도 디바이스
US9981478B2 (en) Liquid ejecting device and head with flexible member for supplying liquid from a main tank
JP618343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033656B2 (en) Liquid feeding devic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20030218660A1 (en) Liquid supplying tube in use for liquid jet device and liquid je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20060113498A (ko) 액체 공급 시스템의 제조방법 및 액체분사장치
US8567916B2 (en) Liquid supplying mechanism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5220137B2 (ja) 液体噴射装置
JP2008149647A (ja) 流体供給装置
US9994039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JP4207217B2 (ja) 印刷装置
JP2017209948A (ja) 液体噴射装置
WO2013128924A1 (ja) 液体噴射装置
JP2006256230A (ja) 液体噴射装置
JP2006239900A (ja) 液体流路集合体及び液体噴射装置
JP6056880B2 (ja) 液体噴射装置
JP5867378B2 (ja) 液体噴射装置
JP7223255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インク供給ユニット
JP2015098177A (ja) 液体噴射装置
JP5842604B2 (ja) インク供給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4784084B2 (ja) 液体噴射装置
JP2018103491A (ja) 廃液タンク及び液体吐出装置
JP5609178B2 (ja) 液体噴射装置
JP2006102985A (ja) 液体噴射装置
JP2006095813A (ja) 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の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