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384A - 공압출 적층 발포체 및 그 성형체 - Google Patents

공압출 적층 발포체 및 그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384A
KR20060111384A KR1020060035469A KR20060035469A KR20060111384A KR 20060111384 A KR20060111384 A KR 20060111384A KR 1020060035469 A KR1020060035469 A KR 1020060035469A KR 20060035469 A KR20060035469 A KR 20060035469A KR 20060111384 A KR20060111384 A KR 20060111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olyolefin resin
laminated foam
layer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981B1 (ko
Inventor
가즈히코 모리타
다카시 무로이
šœ스케 세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Publication of KR20060111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25Copolymer of an unspecified olefin with a monomer other than an 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6Antista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Abstract

지속성이 높은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를 가지며, 내충격성, 강성 등 기계적 물성, 완충성, 열성형성이 우수한 공압출 적층 발포체 및 그 성형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공압출 적층 발포체는 겉보기 밀도가 100g/L ∼ 450g/L, 연속 기포율이 40% 이하인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의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가지며, 그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을 구성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그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 함유량이 9 ∼ 30 중량% 이고, 상기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적층면의 에탄올 수용액 세정후의 표면 고유 저항률이 1×1013Ω 이하이다.
적층 발포체

Description

공압출 적층 발포체 및 그 성형체{A CO-EXTRUDED LAMINATED FOAM AND A MOLDED ARTICLE USING THE FOAM}
도 1 은 본 발명 적층 발포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 적층 발포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공압출 적층 발포체
2 :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발포층
3 :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4 : 폴리올레핀계 수지
5 :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6 : 휘발성 가소제
7 :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8 :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9 : 발포제
10 :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11 : 제 1 압출기
12 : 제 2 압출기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90609호
본 발명은 영구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충격성, 열성형성이 우수한 공압출 적층 발포체 및 그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나 전자 부품 등을 위한 포장 형태로는 인젝션 트레이, 솔리드 시트의 진공 성형 트레이 등의 포장·수납 용기 등의 성형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젝션 트레이, 솔리드 시트의 진공 성형 트레이 등은 완충성이 부족하고, 이들에 반도체 등을 피포장체로서 수납하여 수송할 때, 피포장체의 파손 우려가 크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 성형체에는 전자 부품의 정전 파괴를 방지하거나 먼지나 쓰레기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대전 방지 처리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대전 방지 처리 방법으로는 (1) 표면에 계면 활성제 타입의 대전 방지제를 도포하는 방법, (2) 시트에 계면 활성제 타입의 대전 방지제를 반죽하여 넣고 블리드 아웃시키는 방법, (3) 카본 블랙 등의 도전성 무기 필러를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1), (2) 의 방법에서는 대전 방지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대전 방지제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할 필요가 있고, 비교적 습도가 낮은 환경 하에서, 특히 겨울에는 대전 방지 효과가 발현되기 어렵다. 또한, 비교적 습도가 높은 환경 하에서 대전 방지 효과가 발현되었다고 해도, 많은 수분을 과잉으로 흡착한 대전 방지제가 피포장체의 표면에 부착하여 피포장체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들 방법에서는 성형체의 세정 등에 의해 대전 방지 효과가 없어지므로, 안정적인 대전 방지 효과는 기대할 수 없어 반복하여 사용하는 용도에 있어서는 채용하는 것이 어렵다. (3) 의 방법에서는 도전성 무기 필러가 탈락되기 쉬워, 피포장체를 오염시키는 문제나 피포장체가 전자 부품인 경우에는 탈락된 필러에 의해 단락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 문헌 1 에는 대전 방지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한 대전 방지성 수지 시트 및 그 시트로 성형된 성형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 의 대전 방지 수지 시트는 스티렌계 수지와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에 올레핀계 수지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로 구성된 표층이 적층된 것이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의 대전 방지 수지 시트에서는, 대전 방지 효과는 충분하지만 기재층의 발포 배율은 2.5배 미만에 불과하여 완충성이 불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특허 문헌 1 의 대전 방지 수지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내충격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지속성이 높은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를 가지며, 내충격성, 강성 등 기계적 물성, 완충성, 열성형성이 우수한 발포체 및 그 성형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 겉보기 밀도가 100g/L ∼ 450g/L, 연속 기포율이 40% 이하인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의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갖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로서, 그 발포층을 구성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고, 또한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 함유량이 9 ∼ 30 중량% 이고, 상기 적층 발포체의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적층면의 에탄올 수용액 세정후의 표면 고유 저항률이 1×1013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 (2)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坪量)이 3 ∼ 50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공압출 적층 발포체, (3)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융점 115℃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공압출 적층 발포체, (4)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공압출 적층 발포체, (5)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계 수지이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 (g/㎡) 과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 (kV) 의 곱이 12kV·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공압출 적층 발포체, (6)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고, 폴리올레 핀계 수지층의 평량 (g/㎡) 과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 (kV) 의 곱이 7kV·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공압출 적층 발포체, (7) 상기 대전 방지제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이고, 그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는 Tb〈 140℃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공압출 적층 발포체 (단, 식 중 Tb 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결정화 온도 (℃) 이다), (8) 상기 대전 방지제는 폴리올레핀과 체적 고유 저항률이 105 ∼ 1011Ω·㎝ 인 친수성 폴리머가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우레탄 결합, 이미드 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결합을 통해 결합한 구조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공압출 적층 발포체, 및 (9)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공압출 적층 발포체를 열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를 요지로 한다.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태양의 공압출 적층 발포체는 시트상 또는 판상의 공압출 적층 발포체 (이하, 적층 발포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1) 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발포층 (이하, 발포층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2) 의 표리 양면에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이하, 수지층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3, 3) 이 적층되고, 적층 발포체 (1) 의 최외층인 표면층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포층 (2) 은 겉보기 밀도가 100 ∼ 450g/L 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3) 은 각각 평량이 3 ∼ 50 g/㎥ 로 형성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표면에서의 에탄올 수용액 세정후의 표면 고유 저항률이 1×1013 (Ω)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 발포체 (1) 의 층 구성으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포층 (2) 의 표리 양면의 표면층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3) 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이 발포층 (2) 편면측의 표면층에만 적층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태양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 (1) 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이 발포층 (2) 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되고,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표면측에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중합체층이 적층된 것 (특별히 도시하지 않음) 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층 (2) 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은 양자간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층을 개재시켜 적층할 (특별히 도시하지 않음)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층 (2) 을 구성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 수지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조성물이다. 이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서는 스티렌계 수지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중량 비율은 40/60 ∼ 85/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비율이 너무 적은 경우, 적층 발포체 (1) 의 내충격성이 불충분해져 얻어지는 부품 트레이 등의 성형체가 부서지기 쉽고, 반복 사용에 견디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비율이 너무 많은 경우, 발포층의 연속 기포율, 즉 발포 플라스틱의 기포 구조에 있어서 인접 기포간의 막이 결여되어 있거나, 막에 구멍이 뚫려 있어 기체의 유통이 가능한 기포가 증대할 우려가 있어, 열성형했을 때 성형체가 두께 부족이 될 우려가 있다.
발포층을 구성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의 스티렌계 수지로는 스티렌의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포함되고, 그 중합체 중에 함유되는 스티렌계 모노머 단위는 적어도 2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이다. 이 스티렌계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페닐렌에테르 공중합체, 폴리스티렌과 폴리페닐렌에테르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또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BS) 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IS), 그들의 수소첨가물 (SEBS 나 SEPS) 등이 포함된다. 또, 이들 SBS, SIS, SEBS 및 SEPS 등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대해서는 「플라스틱 에지」, 101 페이지 ∼ 106 페이지 (June 1985) 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또,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스티렌 성분이 30 ∼ 6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스티렌 성분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스 티렌계 수지 중으로의 분산 상태가 악화되어 적층 발포체 (1) 의 성형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스티렌 성분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적층 발포체 (1) 의 성형성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충분한 내충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스티렌 성분은 35 ∼ 5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 55 중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발포층 (2) 을 구성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이외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의 고무 등을 추가로 혼합해도 된다.
발포층 (2) 을 구성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는 고무 성분이 9 ∼ 30 중량% 함유되어 있다. 고무 성분이 9 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더욱이, 그 경우, 얻어지는 성형체도 부서지기 쉬운 것이 되고, 반복 사용에 견디지 못하는 것이 된다. 또한, 발포층 (2) 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접착 강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무 성분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2 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중량% 이상이다. 또한, 고무 성분이 30 중량% 를 초과하면, 연속 기포율 40% 이하의 발포층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고, 또 열성형시에 성형체의 두께에 후박의 불균일이 생기는 등의 열성형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 점에서, 고무 성분으로는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중량% 이하이다.
발포층 (2) 에 있어서의 고무 성분의 함유량 (중량%) 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된 값이다.
먼저, 500mL 의 삼각 플라스크에 시료 0.2 ∼ 0.4g 을 칭량하고, 클로로포름 50mL 를 첨가하여 용해한다. 이어서, 1염화 요오드 4염화 탄소 용액 25mL 를 첨가하여 1시간 어두운 곳에서 방치한다. 방치후, 2.5 중량% 요오드화 칼륨 용액 75mL 를 첨가하고, 추가로 티오황산나트륨 20 중량% 에탄올 용액에 의해 플라스크 내용물의 색이 옅어질 때까지 적정한다. 그 후, 1 중량% 전분 지시약 약 0.5mL 를 첨가하고, 에탄올로 플라스크 내벽을 세정하고, 다시 무색이 될 때까지 티오황산나트륨 20 중량% 에탄올 용액으로 적정하고, 다음에 나타내는 식 (1) 에 의해 고무 성분의 함유량 (중량%) 을 산출한다.
고무 성분 함유량 (중량%) = {(c-d)×0.1×f×27/1000}/W×100 … (1)
단, 상기 식 중, c, d, f, W 는 다음에 나타내는 값이다.
c : 블랭크의 적정에 필요한 1/10 규정의 티오황산나트륨 20 중량% 알코올 용액량 (mL)
d : 시료의 적정에 필요한 1/10 규정의 티오황산나트륨 20 중량% 알코올 용액량 (mL)
f : 1/10 규정의 티오황산나트륨 20 중량% 알코올 용액의 팩터
W : 시료 중량 (g)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이 사용된다. 이들 수지에 원하는 목적에 따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추가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나 그 수소첨가물을 블렌드한 것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등의 고무 등의 중합체를 45 중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충격성이 개선되고, 특히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의 성형성, 특히 성형시의 금형 이형성(離型性)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융점 115℃ 이상 (또, 융점의 상한은 대략 170℃ 이다)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이형성, 성형 적성 온도 범위의 넓이의 관점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발포층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공압출 적층 발포체에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중합체층을 구성하는 중합체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그들에는 도전성, 항균성, 가스 배리어성, 보향성(保香性), 광반사성, 전자파 차폐성, 접착성 등의 기능 성을 갖는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에서는 대전 방지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연속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형성해야 하는 점에서, 이 대전 방지제를 일정량 이상의 농도로 첨가해야 한다. 한편, 일정량 이상의 농도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가 첨가된 수지층은 평량에 비례하여 고가의 상기 대전 방지제의 첨가량도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 (1) 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은 3 ∼ 50g/㎡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적층 발포체 (1) 에 충분한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없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이 너무 큰 경우에는 발포층의 연속 기포율이 증대할 우려가 있고, 적층 발포체 (1) 의 용도에 따라서는 경량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이 큰 분만큼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첨가량을 어쩔 수 없이 늘리게 되므로 적층 발포체 (1) 의 제조시의 원재료비도 비싸진다. 이 점을 고려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5 ∼ 30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5g/㎡,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20g/㎡ 이다.
또, 본 발명에서 특정되는 평량 범위 내에서 놀랍게도 상기 평량이 작을수록,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중의 동일 농도에 있어서의 표면 고유 저항률이 작아지는 효과도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에서 확인되고 있다. 또한, 대전 방지 기능에 있어서, 포화 전압이 작은 것도 중요하고,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은 0.5k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화 전압은 후술하 는 방법으로 측정되고,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가 함유되어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두께나 평량이 크면 포화 전압은 작아지고, 반대로 두께나 평량이 작으면 포화 전압은 커진다. 따라서, 포화 전압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두께나 평량을 크게 하면 된다. 그러나, 놀랍게도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포화 전압이 작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고리형 다이에 의한 공압출에 의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형성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중에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매우 양호한 도전 네트워크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상기 평량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포화 전압이 작은 값을 나타내는 것에 대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 (g/㎡) 과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 (kV) 의 곱을 지표로 할 수 있고, 상기 평량과 상기 포화 전압의 곱의 값이 작은 것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계 수지인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 (g/㎡) 과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 (kV) 의 곱이 12kV·g/㎡ 이하, 10kV·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 (g/㎡) 과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 (kV) 의 곱이 7kV·g/㎡ 이하, 6kV·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 (g/㎡) 과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 (kV) 의 곱의 하한은 작은 값일수록 바람직하지만 대략 0.1kV·g/㎡ 이다. 또,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에는 폴리에틸 렌계 수지를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다른 중합체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 중량% 초과하여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다른 중합체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식회사 시시도 상회 제조의 스타틱·오네스트미터 TYPE S-5109 등의 장치를 사용하고, JIS L 1094 (1988) 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먼저, 세로 45㎜, 가로 45㎜ 의 정방형 시험편을 측정면이 위가 되도록 측정 장치 상의 시험편 장착틀에 장착하고, 인가부의 바늘 전극의 선단으로부터 시험편 상면까지의 거리를 20㎜, 수전부의 전극으로부터 시험편까지의 거리를 15㎜ 로 각각 조정한다. 다음으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면서 (+)10kv 의 전압을 인가하고, 최대 대전압에 도달하여 안정적인 전압의 값을 당해 포화 전압값으로 한다. 또, 측정은 5회 이상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 (1) 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중합체층의 평량은 5 ∼ 100g/㎡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발포층 (2) 에 적층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과 중합체층의 평량의 합계는 상기 발포층 (2) 의 편면에서 110g/㎡ 미만, 특히 70g/㎡ 이하인 것이 경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두께나 중합체층의 두께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 효과가 달성되는 범위 내이면 약간의 두께 편차가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및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중합체층의 평량은 이하의 2가지의 방법 중 어느 하나로 구할 수 있다.
평량 측정의 제 1 방법으로는 적층 발포체 (1) 를 제조할 때, 압출 발포 조건 중,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또는 중합체층의 토출량 (X(㎏/시)) 과, 얻어지는 적층 발포체 (1) 의 폭 (W(m)), 얻어지는 적층 발포체 (1) 의 단위 시간당의 길이 (L(m/시)) 를 알 수 있는 경우에는 이하의 식 (2) 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또는 중합체층의 평량 (g/㎡) 을 구할 수 있다.
평량 (g/㎡) = 1000×(X/(L×W)) … (2)
평량 측정의 제 2 방법으로는 적층 발포체 (1) 의 압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즉 폭방향 수직 단면으로부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두께를 등(等)간격으로 폭방향으로 10점 측정하고, 얻어진 값의 산술 평균값을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균 두께로 하고, 그 평균 두께에 그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을 구성하고 있는 기재 수지의 밀도를 곱하고, 단위 환산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 (g/㎡) 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중합체층의 평량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 측정과 마찬가지로, 중합체층의 평균 두께를 측정하고, 얻어진 중합체층의 평균 두께에 그 중합체층을 구성하고 있는 기재 수지의 밀도를 곱하고, 단위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두께 또는 중합체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쉽도록 그들 층을 착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층 (2)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 10㎜ 이고, 적층 발포체 (1) 의 강성, 경량성, 생산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에 있어서는 가열 연화시킨 시트상 적층 발포체를 용기 등에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열성형성, 또한 단열성의 관점에서 발포층 (2) 의 두께는 0.5 ∼ 5㎜ 가 바람직하고, 1 ∼ 3㎜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발포층 (2) 의 두께는 상기 발포층 (2) 의 폭방향 수직 단면에 있어서, 두께를 폭방향으로 등간격으로 10점 측정하고, 측정한 각 점에서의 두께의 산술 평균값이다.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 (1) 의 두께는 강성, 경량성, 생산성 및 열성형성의 관점에서 0.5 ∼ 5㎜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는 복수장의 상기 발포체를 부착한 것으로 함으로써 두께를 두껍게 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두께의 상한은 적층 매수를 늘림으로써 임의로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적층 발포체 (1) 의 두께는 발포층 (2) 의 두께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두께, 또한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중합체층의 두께를 합한 적층 발포체 (1) 전체의 두께 (전체 두께) 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 발포체 (1) 의 두께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먼저, 적층 발포체 (1) 의 폭방향 수직 단면에 있어서, 적층 발포체 (1) 의 두께를 등간격으로 폭방향으로 10점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각 점에서의 적층 발포체 (1) 의 두께의 산술 평균값을 적층 발포체 (1) 의 두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 (1) 는 상기와 같이 발포층 (2) 의 겉보기 밀도가 100 ∼ 450g/L 인 것이다. 그 겉보기 밀도가 100g/L 미만이면, 적층 발포체 (1) 의 강성, 인장·굴곡 강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관점에서 발포층 (2) 의 겉보기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20g/L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130g/L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g/L 이상이다. 한편, 발포층 (2) 의 겉보기 밀도가 450g/L 를 초과하면 적층 발포체 (1) 의 경량성이 저하된다. 상기 관점에서 발포층 (2) 의 겉보기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420g/L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g/L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0g/L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층 (2) 의 겉보기 밀도는, 예를 들어 중합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발포층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적층체인 경우를 설명하면 이하의 조작으로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술한 방법에 의해 적층 발포체 (1) 의 두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두께를 미리 측정한다. 다음으로, 적층 발포체 (1) 의 평량,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을 측정한다. 적층 발포체 (1) 의 평량 (g/㎡) 은 세로 25㎜, 가로 25㎜ (두께는 적층 발포체 (1) 의 두께 그대로) 의 크기로 시험편을 절단하고, 이 시험편의 중량 (g) 을 측정한 후, 그 중량을 1600배 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은 상기 2가지의 측정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층 발포체 (1) 의 평량으로부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을 빼 발포층 (2) 의 평량 (g/㎡) 을 구한다. 또한, 적층 발포체 (1) 의 두께로부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두께를 빼 발포층 (2) 의 두께를 구한다. 그리고, 발포층 (2) 의 겉보기 밀도는 상기 발포층 (2) 의 평량 (g/㎡) 을 상기 발포층 (2) 의 두께 (㎜) 로 나눈 값을 단위 환산하고, 발포층 (2) 의 겉보기 밀도 (g/L) 로 한다. 또, 중합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층 발포체 (1) 의 평량으로부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평량과 중합체층의 평량을 빼 발포층 (2) 의 평량 (g/㎡) 을 구하고, 적층 발포체 (1) 의 두께로부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두께와 중합체층의 두께를 빼 발포층 (2) 의 두께를 구하고, 이하 동일한 조작으로 발포층 (2) 의 겉보기 밀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적층 발포체 (1) 에 있어서, 발포층 (2) 의 연속 기포율은 40% 이하이다. 발포층 (2) 이 이러한 연속 기포율이므로, 적층 발포체 (1) 는 강성이 우수한 것이 되고, 두께가 균일하고 강도, 완충성도 우수한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연속 기포율은 35% 가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발포층 (2) 의 연속 기포율 (S(%)) 은 ASTM (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 D2856-70 (1976 재인정) 에 기재되어 있는 순서 (C) 에 준거하여 도시바 벡만 주식회사 제조의 공기 비교식 비중계 930형 등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시험편의 실용적 (독립 기포의 용적과 수지 부분의 용적의 합) (Vx(㎤)) 으로부터 하기 식 (3) 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S(%) = (Va-Vx)×100/(Va-W/ρ) … (3)
단, 상기 식 중의 Va, W, ρ 는 이하와 같다.
Va : 측정에 사용한 시험편의 겉보기 용적 (㎤)
W : 시험편의 중량 (g)
ρ : 시험편을 구성하는 수지의 밀도 (g/㎤)
또, 연속 기포율을 측정하기 위한 수지의 밀도 (ρ(g/㎤) 는 시험편의 중량 (W(g)) 및 측정에 사용한 시험편을 가열 프레스에 의해 기포를 탈포시키고 나서 냉각시키는 조작을 하고, 얻어진 샘플의 체적 (㎤) 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시험편은 공기 비교식 비중계에 부속된 샘플 컵에 비압축 상태로 수납해야 하므로, 세로가 25㎜, 가로가 40㎜, 두께가 적층 발포체의 두께 (단, 적층 발포체 두께가 너무 두꺼워 샘플 컵에 수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슬라이스한다) 의 적층 발포체편을 복수장 준비하여 겉보기 체적이 대략 25㎤ 가 되도록 최소한의 매수를 겹쳐 시험편으로서 사용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에 있어서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5 ∼ 40 중량% 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의 첨가량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너무 적은 경우에는 대전 방지 성능이 불충분해지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형성 자체가 곤란해짐과 함께, 저렴한 적층 발포체 (1) 의 제조가 곤란해진다. 상기 관점에서 그 대전 방지제의 첨가량의 하한값은 7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3 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전 방지제의 첨가량의 상한값은 3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 적층 발포체 (1) 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표면의 에탄올 수용액 을 사용한 초음파 세정후의 표면 고유 저항률이 1.0×1013(Ω) 이하이다.
적층 발포체 (1)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표면 고유 저항률이 1.0×1013(Ω)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대전 방지 성능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적층 발포체 (1) 의 표면에는 정전하가 축적되어 먼지가 부착하기 쉬워진다. 이 점을 고려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표면 고유 저항률은 8.0×1012(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1012(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1012(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 발포체 (1)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표면 고유 저항률이 1.0×108(Ω)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 방지 성능으로서 품질 과잉이 되어 비용 상승에 연결되므로, 적층 발포체 (1)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표면 고유 저항률은 1.0×108(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은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므로, 에탄올 수용액에 의한 초음파 세정후에도 대전 방지 효과는 없어지지 않는다.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대전 방지제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경우에는 상기 대전 방지제가 성형체 표면에 블리드 아웃되고,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대전 방지 효과를 발휘하고 있어도, 에탄올 수용액에 의한 초음파 세정후에는 상기 대전 방지제가 수지 표면으로부터 씻겨져 대전 방지 효과는 없어진다. 따 라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에 함유되어 있는 대전 방지제가 고분자형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수단으로서 에탄올 수용액에 의한 초음파 세정후의 표면 고유 저항률의 측정은 유효하다.
본 발명 적층 발포체 (1) 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갖기 때문에,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초음파 세정 전후에 있어서 적절한 대전 방지 효과를 나타내고, 세정, 건조 직후에도 대전 방지 효과가 발휘되어 있고, 그 효과는 습도 조건에 거의 의존하지 않는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에탄올 수용액 세정후의 표면 고유 저항률은 시험편의 상태 조정 이후에는 JIS K 6911 (1995) 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대상물인 적층 발포체로부터 세로 100㎜ × 가로 100㎜ (두께는 적층 발포체의 두께 그대로) 의 크기로 절단한 시험편을 23℃ 의 에탄올 40 중량% 수용액 (에탄올 40 중량% 와 이온 교환수 60 중량% 의 혼합 용액) 중에 가라앉혀 초음파 세정을 24시간 행한 후, 그 시험편을 온도 30℃, 상대 습도 30% 의 분위기 하에서 36시간 방치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시험편의 상태 조정을 완료하고, 인가 전압 500V 의 조건으로 전압 인가를 개시하여 1분 경과한 후의 표면 고유 저항률을 구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에 포함되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로는 수평균 분자량 (Mn) 이 2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 ∼ 1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 6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0 ∼ 40000 의 대전 방지제이고,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대전 방지제와는 구별된다. 또, 상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Mn 의 상한은 대략 1000000 이다. 또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는 표면 고유 저항률이 1×1010(Ω) 미만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Mn 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대전 방지 성능이 환경에 좌우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발현되며, 피포장체로 대전 방지제가 이행하여 피포장체 표면을 오염시키는 일도 거의 없다.
또, 상기 Mn 은 고온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er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를 사용하여 구해진다. 예를 들어,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나 폴리에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친수성 수지인 경우에는 오르토디클로로벤젠을 용매로 하여 시료 농도 3㎎/㎖ 로 하고, 폴리스티렌을 기준 물질로 하여 칼럼 (column) 온도 135℃ 의 조건으로 측정되는 값이다. 또, 상기 용매의 종류, 칼럼 온도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변경한다.
또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70 ∼ 27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23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 200℃ 인 것이 본 발명 적층 발포체와 같은 평량이 작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성 및 양호한 대전 방지 기능 발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융점은 이하의 JIS K 7121 (1987) 에 준거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즉, JIS K 7121 (1987) 에 있어서의 시험편의 상태 조절 (2) 의 조건 (단, 냉각 속도는 10℃/분) 에 의해 전처리하고, 10℃/분으로 승온함으로써 융해 피크를 얻는다. 그리고 얻어진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를 융점 으로 한다. 또, 융해 피크가 2개 이상 나타나는 경우에는 가장 면적이 큰 융해 피크의 정점의 온도를 융점으로 한다. 단, 가장 면적이 큰 융해 피크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들 융해 피크 중, 가장 고온측의 융해 피크의 정점의 온도를 융점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로는 금속 이온으로서 칼륨, 루비듐 및 세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나 폴리에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친수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기재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대전 방지 효과를 부여함과 함께, 대전 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한 물성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의 기재 수지와 동종 또는 상용성이 높은 수지를 블록 공중합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칼륨, 루비듐 및 세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알칼리 금속으로 중화되어 있는 아이오노머나 WO 00/47652 (대응 아메리카 합중국 특허 No.6,552,131)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WO 00/47652 (대응 아메리카 합중국 특허 No.6,552,131) 공보에 기재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a) 의 블록과, 체적 고유 저항률이 105 ∼ 1011Ω·㎝ 인 친수성 폴리머 (b) 의 블록이 결합한 구조를 갖는 Mn 이 2000 ∼ 60000 인 블록 공중합체 이다. 상기 (a) 의 블록과 (b) 의 블록은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우레탄 결합, 이미드 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결합을 통해 결합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와 같은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산요화성공업주식회사 제조의 「페레스타트 300」, 「페레스타트 NC7530」이라는 것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 (1) 는 종래의 계면 활성제 타입의 대전 방지제가 발포층 (2) 및/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에 함유되는 것을 권리 범위로부터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계면 활성제 타입의 대전 방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대전 방지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피포장체 등의 접촉면을 거의 오염시키지 않게 되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중에는 계면 활성제 타입의 대전 방지제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 또한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대전 방지제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피포장체의 접촉면의 오염이 용도에 따른 허용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면 계면 활성제 타입의 대전 방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는 본 발명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제조 방법의 일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 에 나타내는 적층 발포체의 제조예를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발포체 (1) 의 제조 방법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4)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81933호 (대응 아메리카 합중 국 특허 출원 공개 No.2004-0262802)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휘발성 가소제 (6) 등을 첨가하여 제 1 압출기 (11) 로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7) 과,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8), 기포 조정제 및 발포제 (9) 를 제 2 압출기 (12) 로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10) 을 고리형 다이로부터 공압출함으로써 통형상 적층 발포체를 얻는다.
다음으로, 상기 통형상 적층 발포체는 내면을 원주상 냉각 장치의 측면 위를 통과시켜 냉각하고 나서 일단을 절개함으로써, 시트상 적층 발포체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통형상 적층 발포체를 내면이 연화 상태에 있는 동안에 핀치롤로 압착하여 통형상 적층 발포체의 내면을 팽팽하게 하는 것이나, 상기와 같이 통형상 적층 발포체를 절개함으로써 얻어진 시트상 적층 발포체를 가열로에서 가열하고 2차 발포시켜 롤 사이에 넣음으로써 판상의 적층 발포체가 얻어진다.
도 2 에 나타내는 태양은 공압출 발포법에 의해 얻어진 통형상 적층 발포체의 일단을 절개하는 방법에 의한, 발포층 (2) 의 표리 양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이 적층 형성된 시트상 적층 발포체의 제조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압출 적층 발포체는 압출 발포시의 정전기에 의한 부탄 등의 가연성 발포제로의 착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적층 발포체 제조시의 안전성이 매우 높은 것이다. 또한 고리형 다이에 의한 공압출 발포법에 의해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를 제조함으로써,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대전 방지제 성능에 있어서 특히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도 2 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이하, 수지층 형성용 용융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7) 과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이하, 발포층 형성용 용융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10) 은 각 압출기 (11, 12) 내에서 적정 온도로 조정하고 나서 다이 (13) 로부터 공압출함으로써 발포층 형성용 용융물을 발포시킨다.
또,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 (1) 의 제조는 상기와 같이 고리형 다이를 사용하는 공압출 발포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한 것, 폭이 넓은 것, 겉보기 밀도가 낮은 것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물 (10) 의 적정 온도란, 발포층 형성용 용융물 (10) 이 발포층을 형성하는데 최적인 점탄성을 나타내는 온도를 말한다. 또한 상기 용융물 (7) 의 적정 온도란, 수지층 형성용 용융물 (7) 이 수지층을 형성하는데 양호한 신장성을 나타내고 또한 발포층의 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온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발포층 형성용 용융물 (10) 및 수지층 형성용 용융물 (7) 의 온도를 140 ∼ 185℃ 의 범위로 조정한다. 또한, 용융물 (10) 의 적정 온도는 주원료의 용융 점도와 발포제의 주입량에 따라 적정 범위가 엄밀하게는 다르지만, 150 ∼ 18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고리형 다이를 사용하여 공압출 발포하여 적층 발포체 (1) 를 얻는 방법을 예로 하여 적층 발포체 (1) 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폴리올레핀계 수지 (4)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등을 제 1 압출기 (11) 에 공급하고, 가열 용융하여 혼련한 후, 필 요에 따라 휘발성 가소제 (6) 를 첨가하고 용융 혼련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7) 로 한다. 동시에,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8) 과 기포 조정제를 제 2 압출기 (12) 에 공급하고, 가열 용융하여 혼련하고 나서 발포제 (9) 를 압입하고, 추가로 혼련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10) 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10) 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7) 을 각각 적정 온도로 조정하고 나서, 하나의 고리형 다이 (13) 에 도입하고, 그 고리형 다이 (13) 로부터 통형상 적층 발포체로서 공압출한다. 또, 상기 공압출 방법에서는 고리형 다이의 출구나, 다이의 출구 밖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과 발포층 (2) 을 적층해도 된다. 이하, 상기 기술한 방법에 의해 시트상 또는 판상의 적층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이 충분한 대전 방지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을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분산 상태가 중요하다. 즉,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혼련에 의해 대전 방지제의 분산이 줄무늬상, 망상, 층상 등 연속층을 형성한 상태로 분산됨으로써,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가 수지 중에서 도전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혼련이 부적절하면,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고, 흩어져 존재하게 되어 충분한 도전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없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은 내부에 도전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표면 고유 저항률이 1.0×1013(Ω)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표면 고유 저항률의 하한은 대략 1.0×108(Ω) 이다. 따라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는 단순히 폴리올레핀계 수지 (4) 에 배합하면 대전 방지 성능을 발휘한다는 것이 아니라, 그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중에 도전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또, 도전 네트워크 구조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7) 을 공압출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3) 을 형성할 때, 적절한 배향을 실시함으로써 고성능의 도전 네트워크 구조가 형성된다. 이 관점에서, 고리형 다이에 의한 공압출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7) 에 있어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가 분산되어 도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7) 의 혼련 중의 점성을 고려하고, 또한 압출 발포 성형시에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결정화 온도가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7) 의 구성 성분의 하나인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를 선택하는 경우, 하기의 결정화 온도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화 온도에 대해서는 하기 식 (4)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b〈 140℃ … (4)
(단, 식 중 Tb 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의 결정화 온도 (℃) 이다)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의 결정화 온도의 관계가 상기 식 (4) 를 만족함으로써 외관이 양호한 적층 발포체 (1) 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의 결정화 온도가 140℃ 보다 높은 경우, 적층 발포체를 제조할 때,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가 결정화되고, 덩어리가 되어 적층 발포체의 표면이 요철 형상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의 용융 온도로 충분히 용융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5) 의 결정화 온도는 JIS K 7122 (1987) 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료를 2 ∼ 4㎎ 채취하고, 열유속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10℃/분으로 실온 (약 23℃) 으로부터 200℃ 까지 승온시킨 후, 40℃ 까지 10℃/분의 속도로 강온시킬 때 얻어진 발열 피크에 기초하여 피크의 정점 온도를 결정화 온도로 한다. 또, 발열 피크가 2개 이상 나타나는 경우에는 가장 면적이 큰 발열 피크의 정점의 온도를 결정화 온도로 한다. 단, 가장 면적이 큰 발열 피크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들 중에서 가장 고온측의 발열 피크의 정점의 온도를 결정화 온도로 한다.
발포층 형성용 용융물 (10) 에 첨가되는 발포제 (9) 로는, 예를 들어 프로판, 노르말부탄, 이소부탄, 노르말펜탄, 이소펜탄, 노르말헥산, 이소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염화 메틸, 염화 에틸 등의 염화 탄화수소, 1,1,1,2-테트라플로로에탄, 1,1-디플로로에탄 등의 불화 탄화수소 등의 유기계 물리 발포제, 이산화탄소 등의 무기계 물리 발포제,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등의 분해형 발포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중, 특히 스티렌계 수지와의 상용성, 발포 효율의 관점에서 물리 발포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노르말부탄, 이소부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성의 관점에서 이산화탄소 등의 무기계 물리 발포제가 바람직하다.
발포층 형성용 용융물 (10) 에는 통상 기포 조정제가 첨가된다. 그 기포 조정제로는 유기계의 것, 무기계의 것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기포 조정제로는 붕산 아연, 붕산 마그네슘, 붕사 등의 붕산 금속염, 염화 나트륨, 수산화 알루미늄, 탈크, 제올라이트, 실리카, 탄산 칼슘, 중탄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계 기포 조정제로는 인산-2,2-메틸렌비스(4,6-tert-부틸페닐)나트륨, 벤조산 나트륨, 벤조산 칼슘, 벤조산 알루미늄, 스테아르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트르산과 중탄산 나트륨, 시트르산의 알칼리염과 중탄산 나트륨 등을 조합한 것 등도 기포 조정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기포 조정제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10) 에 있어서의 발포제의 첨가량은 발포제의 종류, 목적으로 하는 겉보기 밀도에 따라 조절한다. 또한 기포 조정제의 첨가량은 목적으로 하는 기포 직경에 따라 조절한다. 발포제로서 통상 사용되는 이소부탄 30 중량% 와 노르말부탄 70 중량% 의 부탄 혼합물 등의 유기계 물리 발포제를 사용한 경우, 유기계 물리 발포제의 첨가량은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당 0.3 ∼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4 ∼ 4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부이다. 또한, 기포 조정제의 첨가량은 폴리스티렌 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5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적층 발포체 (1) 를 구성하는 각 층에는 상기 수지에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각종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조핵제,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내후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무기 충전제, 항균제, 수축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경우의 첨가량은 첨가제의 첨가 목적이 달성되는 범위에서 적당히 배합하면 되고,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의 첨가량으로 대략 1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중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은 대략 0.01 중량% 이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에 사용한 수지는 다음과 같다.
(1) HD1 : 고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 964g/L, MFR = 8.0g/10min, 닛폰 폴리에틸렌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HJ566W」)
(2) LL1 :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 924g/L, MFR = 8.0g/10min, 닛폰 폴리에틸렌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AM630A」)
(3) PP1 : 폴리프로필렌 (밀도 = 900g/L, MFR = 14.0g/10min,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 제조 상품명 「J750HP」)
(4) LD1 :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 917g/L, MFR = 4.7g/10min, 닛폰 유니카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NUC-8008」)
(5) P300 : 폴리에테르-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밀도 = 990g/L, MFR = 20g/10min, Mn 14000, 융점 136℃, 결정화 온도 90℃, 용융 점도 751Pa·s, 산요화성공업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페레스타트 300」(PELESTAT is the trademark of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실시예 1, 2, 5 ∼ 9, 비교예 3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을 얻기 위한 압출기로서 내경 (D) 90㎜, L/D = 32 의 압출기와 내경 (D) 120㎜, L/D = 34 의 압출기의 2대의 압출기로 이루어지는 탠덤 압출기를 사용하고,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을 얻기 위한 압출기로서 내경 (D) 40㎜, L/D = 42 의 압출기를 사용하였다.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의 발포층 형성을 위해, 스티렌 수지 : PS (밀도 = 1050g/L, MFR = 1.5g/10min, PS 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HH32」) 65 중량% 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 SBS (밀도 = 980g/L, MFR = 4.0g/10min, JSR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R2250」) 35 중량% 를 블렌드한 주원료 (PS/SBS 블렌드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포 조정제 탈크 마스터 배치를 5.5 중량부 배합하여 내경 90㎜ 의 압출기의 원료 투입구에 공급, 가열 혼련한 후, 약 200℃ 로 조정하여 용융 수지 혼합물로 하였다. 그 용융 수지 혼합물에 물리 발포제로서 노르말부탄 70 중량% 와 이소부탄 30 중량% 의 부탄 혼합 발포제를 사용하고, 목적으로 하는 겉보기 밀도에 따라 PS/SBS 블렌드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6 ∼ 3.0 중량부 압입한 후, 이어서 상기 내경 90㎜ 의 압출기의 하류측에 연결된 내경 120㎜ 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을 얻었다.
한편,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형성을 위해, 표 1 에 나타내는 배합의 수지를 내경 40㎜ 의 압출기의 원료 투입구에 공급하고, 가열 용융하여 약 175℃ 로 조정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 및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을 합류 다이 중으로 공급하고, 적층 합류시켜 직경 90㎜ 의 고리형 슬릿을 갖는 고리형 다이로부터,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의 토출량을 70㎏/hr,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형성용 수지 용융물의 토출량을 목적으로 하는 평량에 따라 2 ∼ 23㎏/hr 로 하여 공압출하고, 외측으로부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층/폴리스티렌 발포층/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층의 순서로 3 층 구성으로 적층된 통형상의 적층 발포체를 얻고, 그 후 통형상 적층 발포체를 직경 200㎜ 의 원주상 냉각 장치의 측면을 통과시켜 냉각시키고, 절개하여 시트상 적층 발포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발포체에 대하여 겉보기 밀도, 연속 기포율, 평량, 표면 고유 저항률, 포화 전압을 각각 상기 기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얻어진 적층 발포체에 대하여 내충격성, 접착 강도, 성형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내충격성에 대해서는 충격 개공 강도에 의해 평가하였다.
충격 개공 강도는 JIS P8134 (1976) 에 기초하는 시험으로 측정되고, 시험에는 두께가 0.9㎜, 횡폭 150㎜, 깊이 150㎜ 인 것을 시험편으로서 사용하였다. 또, 시험편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제거한 발포층을 사용하고, 발포층을 가열 프레스 및 냉각 프레스를 사용하여 탈포하고, 두께를 0.9㎜ 로 조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충격 개공 강도 (kgf·㎝) 에 따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 : 120kgf·㎝ 이상
○ : 40kgf·㎝ 이상 120kgf·㎝ 미만
× : 40kgf·㎝ 미만
접착 강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적층 발포체에 대하여 JIS Z0237 (1991) 에 준한 90°박리법에 의해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주식회사 오리엔텍 제조의 텐시론 만능 시험기에 의해 폭 25㎜, 길이 250㎜ 의 시험편을 사용하고, 시험 속도 300㎜/min 의 조건으로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5회 이상 실시하고, 얻어진 측정값의 데이터로부터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하고, 남은 측정값의 평균값을 접착 강도의 평가에 사용하였다. 또, 폴리올레핀 수지층이 얇아 측정시에 파단되는 경우에는 이것에 점착 테이프 등을 붙여 보강하고, 보강한 것을 사용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접착 강도 (gf) 에 따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 : 400gf 이상
○ : 250gf 이상 400gf 미만
× : 250gf 미만
성형성에 대해서는 적층 발포체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의 외관을 평가함과 함께, 외관이 양호한 성형체가 얻어지는 표면 온도의 범위를 측정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먼저, 단발 진공 성형기 (주식회사 아사노연구소 제조 : FSK 형) 와, 외부 치수가 340㎜ × 240㎜, 깊이 43㎜ 의 부품 트레이 금형을 사용하고, 금형 표면 온도를 80℃ 로 온도 조절하면서 (단,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LD 인 경우 (실시예 9) 에는 이형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40℃ 로 온도 조절), 적층 발포체의 표면 온도를 변화시켜 성형하여 트레이 형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이 때, 성형체에 외관상 갈라짐, 디라미네이션 ("Delamination" 층간 박리, 즉 적층품의 층간이 박리되는 현상), 두께의 편차, 표면이 탔는지 등을 평가하고, 또한 이들이 발생하지 않은 양호한 성형체가 얻어지는 적층 발포체의 표면 온도 범위의 폭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표면 온도의 폭에 따라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가하였다.
◎ : 양호한 성형체가 얻어지는 표면 온도 폭이 10℃ 이상
○ : 양호한 성형체가 얻어지는 표면 온도 폭이 6℃ 이상 10℃ 미만
△ : 양호한 성형체가 얻어지는 표면 온도 폭이 3℃ 이상 6℃ 미만
× : 양호한 성형체가 얻어지는 표면 온도 폭이 3℃ 미만
실시예 3, 4, 비교예 1, 2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의 발포층 형성을 위해, PS 와 SBS 를 표 1 에 나타내는 배합량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발포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 발포체에 대하여 겉보기 밀도, 연속 기포율, 평량, 표면 고유 저항률, 포화 전압을 각각 상기 기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또한 내충격성, 접착 강도, 성형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27287961-PAT00001
Figure 112006027287961-PAT00002
표 2 에 있어서, S 면은 통형상 적층 발포체 외측 표면에 대응하는 적층 발포체 표면을, 또한 M 면은 통형상 적층 발포체의 내측 표면에 대응하는 적층 발포체 표면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27287961-PAT00003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수지의 MFR (Melt Flow Rate) 의 측정 조건 (온도 및 하중) 은 이하와 같다.
PS, SBS : 200℃, 49.03N
HD, LL,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 190℃, 21.18N
PP : 230℃, 21.18N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기포 조정제 탈크 마스터 배치 (Master Batch) 의 조성은 스티렌 수지 70 중량% 와 탈크 30 중량% 인 것이다.
본 발명의 공압출 적층 발포체는 안정적인 대전 방지 성능을 가지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발포체이다. 또한, 열성형성이 우수하고, 얻어지는 성형체에 우수한 완충성을 부여할 수 있고,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과 완충성의 균형이 잡힌 성형체가 얻어진다. 또한, 얻어진 성형체는 이러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므로, 반복하여 사용 가능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압출 적층 발포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이 3 ∼ 50g/㎡ 이도록 구성함으로써, 경량의 공압출 적층 발포체로 할 수 있다. 또, 이 공압출 적층 발포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을 상기한 범위의 값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이 열성형될 때, 열에 의해 연화되기 쉬워 용이하게 연신된다. 그리고,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연신시, 상기 적층 발포체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에 함유되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가 배향되기 때문에, 연신된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대전 방지 성능은 더욱 향상된 것이 된다. 이렇게 하여, 이 공압출 적층 발포체에 의하면, 그 적층 발포체를 열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에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압출 적층 발포체는 그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융점이 115℃ 이상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하고 있음으로써, 열성형시에 있어서의 발포층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가열 밸런스가 좋은 것이 되어 열성형성이 우수하고, 이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열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체에 균일한 두께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압출 적층 발포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이므로 내충격성과 열성형성에 있어서 특히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압출 적층 발포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 (g/㎡) 과 공 압출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 (kV) 의 곱이 특정한 값 이하인 것은 특히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상기한 공압출 적층 발포체를 열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지속성이 높은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를 가지며, 피포장체의 표면을 오염시키지 않고, 내충격성, 강성 등 기계적 물성, 완충성이 우수한 것이다.

Claims (9)

  1. 겉보기 밀도가 100g/L ∼ 450g/L, 연속 기포율이 40% 이하인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층의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갖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로서, 그 발포층을 구성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고, 또한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 함유량이 9 ∼ 30 중량% 이고, 상기 적층 발포체의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적층면의 에탄올 수용액 세정후의 표면 고유 저항률이 1×1013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이 3 ∼ 50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융점 115℃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계 수지이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 (g/㎡) 과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 (kV) 의 곱이 12kV·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
  6.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평량 (g/㎡) 과 공압출 적층 발포체의 포화 전압 (kV) 의 곱이 7kV·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이고, 그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는 Tb〈 140℃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단, 식 중 Tb 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결정화 온도 (℃) 이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는 폴리올레핀과 체적 고유 저항률이 105 ∼ 1011Ω·㎝ 인 친수성 폴리머가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우레탄 결합, 이미드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결합을 통해 결합한 구조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적층 발포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압출 적층 발포체를 열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
KR1020060035469A 2005-04-22 2006-04-19 공압출 적층 발포체 및 그 성형체 KR101259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5731A JP4919371B2 (ja) 2005-04-22 2005-04-22 共押出積層発泡体及びその成形体
JPJP-P-2005-00125731 2005-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384A true KR20060111384A (ko) 2006-10-27
KR101259981B1 KR101259981B1 (ko) 2013-05-06

Family

ID=3713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469A KR101259981B1 (ko) 2005-04-22 2006-04-19 공압출 적층 발포체 및 그 성형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19371B2 (ko)
KR (1) KR101259981B1 (ko)
CN (1) CN1850888B (ko)
TW (1) TWI29562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586A2 (ko) * 2008-05-30 2009-12-03 율촌화학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2748B1 (ko) * 2011-02-23 2012-05-04 율촌화학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2331B2 (ja) * 2010-03-03 2014-06-0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シート及び発泡樹脂容器
JP5622432B2 (ja) * 2010-04-23 2014-11-12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66901B2 (ja) * 2013-06-07 2018-01-24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エチレン系樹脂多層発泡シート
JP6292939B2 (ja) * 2014-03-27 2018-03-1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熱成形用積層発泡シート
JP6865647B2 (ja) * 2017-07-03 2021-04-28 デンカ株式会社 積層シート
FR3078070B1 (fr) * 2018-02-20 2020-01-24 Urgo Recherche Innovation Et Developpement Composition presentant une excellente permeabilite a la vapeur d'eau
KR102667549B1 (ko) * 2018-03-29 2024-05-22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발포 복합 시트, 점착 테이프, 전자 부품용 쿠션재 및 전자 부품용 점착 테이프
JP7090534B2 (ja) * 2018-12-05 2022-06-24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スチレン系樹脂多層発泡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間紙
CN113277197A (zh) * 2020-12-02 2021-08-20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用于液体空投的包装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3603A (en) * 1992-03-04 1995-02-28 Oji Yuki Goseishi Co., Ltd. Laminated resin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140890B2 (ja) * 2001-12-12 2008-08-27 ダイセルパックシステムズ株式会社 帯電防止性樹脂積層シート
JP4148463B2 (ja) * 2002-04-03 2008-09-10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エチレン系樹脂積層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ポリエチレン系樹脂積層発泡体
JP4189275B2 (ja) * 2002-10-08 2008-12-03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ES2259784T3 (es) * 2003-06-27 2006-10-16 Jsp Corporation Metodo para producir una hoja de material compuesto que tiene una capa de espuma de poliolefina.
JP4360609B2 (ja) * 2003-07-10 2009-11-11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熱成形用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熱成形用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586A2 (ko) * 2008-05-30 2009-12-03 율촌화학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WO2009145586A3 (ko) * 2008-05-30 2010-03-04 율촌화학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2748B1 (ko) * 2011-02-23 2012-05-04 율촌화학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39053A (en) 2006-11-16
KR101259981B1 (ko) 2013-05-06
JP2006297838A (ja) 2006-11-02
TWI295628B (en) 2008-04-11
JP4919371B2 (ja) 2012-04-18
CN1850888B (zh) 2010-09-29
CN1850888A (zh)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981B1 (ko) 공압출 적층 발포체 및 그 성형체
KR101546544B1 (ko) 적층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 시트
KR102095078B1 (ko) 폴리에틸렌계 수지 발포 시트
JP4878154B2 (ja) 共押出積層発泡体及びその成形体
JP5425318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
JP4803721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積層発泡体
JP6832260B2 (ja) 間紙
JP5723698B2 (ja) 積層発泡シート
JP6292928B2 (ja) 積層発泡シート、積層発泡シート製造方法、及び、容器
TWI829818B (zh) 聚苯乙烯系樹脂多層發泡片及使用該發泡片的間隔紙
JP7065471B2 (ja) 積層発泡シート、及びその成形体
JP2012196874A (ja) 吸水性積層樹脂発泡体、吸水蓋及び結露防止材
JP4845168B2 (ja) 多層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体
JP4493000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
JP2010214625A (ja) 導電性発泡シート及び導電性発泡樹脂容器
JP6026843B2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
JP6280718B2 (ja) 積層発泡シート、及び、容器
JP5336745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034129B2 (ja) 熱成形用多層シート及び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JP4133452B2 (ja) 多層構造体及び包装体
JP5220058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成形体
JP200812097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体
JP2014111339A (ja) 積層発泡シート、及び、発泡成形品
JP3432139B2 (ja) 積層発泡体とそれを用いた発泡成形体
JP6292939B2 (ja) 熱成形用積層発泡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