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798A -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798A
KR20060109798A KR1020050032130A KR20050032130A KR20060109798A KR 20060109798 A KR20060109798 A KR 20060109798A KR 1020050032130 A KR1020050032130 A KR 1020050032130A KR 20050032130 A KR20050032130 A KR 20050032130A KR 20060109798 A KR20060109798 A KR 20060109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erlipidemia
red ginseng
rgap
health functional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2321B1 (ko
Inventor
박종대
곽이성
경종수
위재준
송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05003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32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Red ginseng acid polysaccharide: 이하 ‘RGAP’라 한다) 함유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외인성 고지혈증에 대해서 중성지방의 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소하며, 내인성 고지혈증에 대해서는 중성지방의 농도 및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하는 기능을 갖는 RGAP 함유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고지혈증, 홍삼 산성다당체, RGAP,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Healthy food comprising Red ginseng acid polysaccharide for hyperlipidemia improvement}
본 발명은 홍삼 산성다당체(Red ginseng acid polysaccharide; 이하 ‘RGAP'라 한다)가 중성지방 또는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감소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서 이를 함유하는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서구화된 식사 및 운동 부족으로 비만인 사람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에게 고지혈증이 수반된다. 고지혈증이란 혈액 속의 지방 성분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즉 혈장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증가를 의미한다. 고지혈증은 그 자체로 어떤 증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증가로 인해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등의 위험요인이 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즉 고지혈증은 죽상동맥경화증을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고, 췌장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식이요법은 모든 고지혈증 증상 개선의 가장 기본이므로 1일 지방 섭취가 30%미만이 되어야 하고, 동물성 지방 대신 식물성 지 방을 섭취해야 하며, 버터, 치즈, 우유,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초코렛, 마가린 등 포화지방이 많은 식품은 적게 복용해야 하는 등 제한되거나 주의해야 하는 음식이 많아 식생활에 장애가 발생된다. 따라서 고지혈증 환자 또는 이를 예방하고자 하는 일반인들의 식생활을 개선하고자 기능성 식품소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콜레스테롤은 세포의 원형질막의 구성성분, 부신과 생식선에서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원료, 담즙의 원료, 혈중 지단백의 구성성분으로 필수적이다. 이는 약80%가 간에서 자체적으로 합성되며 나머지 20%가 음식으로부터 얻어져 내인성 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의 대사 이상일 경우가 많으며, 음식으로부터 고콜레스테롤 음식을 과잉섭취하게 되는 경우 외인성 고지혈증이 유발된다.
중성지방은 음식으로 섭취된 지방이 장에서 흡수되어 혈액으로 들어가거나 간에서 과잉 열량이 지방으로 전환된 후 혈액으로 들어감으로서 생성되므로 기름진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내인성 고지혈증이 유발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고지혈증을 위한 여러 천연 식품 소재들 중에서도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콜레스테롤은 유지하면서, 고지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예로부터 불로·장생·익기(益氣)·경신(輕身)의 명약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인삼은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혈류순환을 개선시키는 등 동맥경화증의 발생억제와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을 방어해주는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N.D. Kim. Vasorelaxant effect of ginseng and role of endothelium. J. Ginseng Res. 16(1). 78. 1992). 상세하게 고려인삼을 성인남녀에게 투여한 임상실험결과에서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의 증가, 동맥경화지수(atherogenic index)의 개선 및 베타-지단백(β-lipoprotein)의 저하 등 동맥경화의 예방에 유효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中西辛三. 1980. 臨床と 硏究, 57(9), 323, M. Yamamoto, T. Uemura, S. Nkama, M. Uemiya and A. Kumagai. 1983. Serum HDL-cholesterol increasing and fatty liver-improving actions of Panax ginseng in high cholesterol diet-fed rats with clinical effect on hyperlipidemia in man. A. J. of Chinese Medicine. 4. 96-101).
특히, 인삼의 성분 중 사포닌 성분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지질대사와 관련된 효소활성을 촉진하고(C.N. Joo. 1980.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hypercholesterolemia induced by prolonged cholesterol feeding in rabbits. Korean Biochemical. J. 13(1), 51-59), 콜레스테롤의 전환(cholesterol turnover)을 촉진함으로써 동맥경화의 중요한 위험인자인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M. Yamamoto and T. Uemura. 1984. Long-term ginseng effects on hyperlipidaemia in man with further study of its action on atherogenesis and fatty liver in rats. Proc. 4th Int'l Ginseng Symp. 13-20), 인삼사포닌 성분 중 진세노사이드 알비투 (ginsenoside Rb2)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저하와 배설촉진, 고콜레스테롤혈증으로 야기되는 동맥경화의 개선효과를 나타낸다(T. Yokozawa et. al. 1985.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he hypoglycemic activity of ginsenoside-Rb2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Chem. Pharm. Bull. 33. 869-872)고 알려져 있다.
인산의 성분 중 비사포닌 성분인 다당류는 면역 조절효과, 항암 효과, 항당뇨 효과 및 항위궤양 작용 등이 보고 되어 있으며 중국에서는 암치료에 임상적으로 다당 분획을 사용하고 위암, 대장암에 대해서도 일정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비사포닌 수용성 물질은 백삼으로부터 글리칸 (glycan)인 파낙산 A - U (panaxan A - U) 등 21종이 분리 보고 되었다. 그 중 산성다당체는 8종이고 나머지는 중성다당체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산성다당체는 다당류에 갈락투론산 (galacturonic acid),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 및 만뉴론산 (mannuronic acid)이 결합된 다당체로서 분자량이 보통 15,000 이상이다. 특히, 산성다당체의 경우 암세포 분비 독소 (Toxohormone L) 길항 작용, 체지방 분해 억제 및 암환자 체중감소 억제효과가 알려져 있다. 또한, 백삼의 산성다당체 분획이 항암제 (cyclophosphamide) 면역독성 억제효과와 암세포(sarcoma-180) 이식 마우스의 암 발생 억제 및 망내계의 탐식활성 증대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보고 된 바 있다(Kim, Y. S. et al., Arch. Pharm. Res., 13:330, 1990). 아울러, 백삼으로부터 분리된 단백다당체인 진산은 글루코오스 및 갈락토오스가 40 내지 50%, 산성당인 갈락투론산이 41 내지 45% 함유되어 있으며 단백질이 3.7 내지 5.2% 함유 되어 있고 분자량이 50 내지 150 kD으로서 면역증강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130호). 또한, 진산은 벤조피렌(Bezopyrene, BP)으로 유도한 마우스 폐종양에 대한 면역조절 기능으로서 항암효과를 보여주고 내생 싸이토카인 유도체(cytokine inducer)로서 작용하여 암의 면역학적 예방효과를 보여준다고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삼의 성분에 관한 종래기술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당류에 대해서는 고지혈증과 관련된 효능은 알려진 바가 없으며, 특히 산성 다당체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기능은 밝혀진 바가 없다.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도 이용되고 있는 생약은 기원, 산지, 수치법 등에 따라 형태가 다르고 함유 성분과 약리 활성도 차이가 있다. 한방 처방에 사용되고 있는 생약 중에는 오랜 경험으로부터 단순히 신선한 재료를 그대로 혹은 건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특정한 가공처리를 한 후 사용하는 예가 많다. 인삼도 가공조제인 수치에 따라 백삼 및 홍삼으로 분류된다. 백삼은 수삼을 그대로 건조 가공하는 것으로, 홍삼은 수삼(약 70% 수분 함유)을 증숙하여 건조 가공한 것이다. 홍삼은 수삼을 증숙·건조하므로 전분질이 호화되고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외관은 담갈색 내지 적갈색을 띈다. 홍삼 제조시에 유효 성분에도 화학적 변화가 수반되는데, 인삼의 약효 성분으로 알려진 사포닌은 홍삼 제조시 일부가 수치에 의해 홍삼 특유의 사포닌으로 변환된다. 또한, 다당류도 이런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며, 이는 본 발명자에 의해 인삼의 단백 다당체와는 조성이 다른 RGAP가 생성됨이 밝혀진 바 있으며, 이런 RGAP는 항암 면역 조절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도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450061호).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식이요법만으로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고지혈증에 대한 기능식품의 소재를 연구하던 중, 인삼 및 인삼의 성분인 사포닌 또는 다당류와는 조성이 전혀 다른 RGAP가 외인성 고지혈증에서는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중성지방의 함량에 대해서 특이적으로 그 농도가 감소되며 내인성 고지혈증에서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가 함께 감소됨을 확인하고,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RGAP 함유 건강기능식품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이요법만으로도 고지혈증의 증상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천연 식품 소재를 개발하여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Red ginseng acid polysaccharide, 이하 ‘RGAP’라 한다) 함유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RGAP는 홍삼으로부터 분리되고,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 41.6 ~ 60.0몰%, 갈락투론산 (galacturonic acid) 2.5 ~ 7.5몰%, 글루코오스 (glucose) 18.8 ~ 33.4몰%, 아라비노오스 (arabinose) 1.1 ~ 2.1몰%를 포함하며, 분자량이 12,000 내지 450,000인 산성다당체이다.
상기 RGAP는 바람직하게 대한민국 특허 제450061호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고지혈증은 중성지방(Triglyceride: TG)과 콜레스테롤(Cholesterol) 등의 지방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혈액 중에 지방량이 많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고지혈증의 원인은 크게 음식 등의 외부적인 요인과, 유전, 지질대사의 이상 등 내부적인 요인으로 나뉜다.
콜레스테롤은 약80%가 간에서 자체적으로 합성되며 나머지 20%가 음식으로부터 얻어져 내인성 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의 대사 이상일 경우가 많으며, 음식으로부터 고콜레스테롤 음식을 과잉섭취하게 되는 경우 외인성 고지혈증이 유발된다. 중성지방은 음식으로 섭취된 지방이 장에서 흡수되어 혈액으로 들어가거나 간에서 과잉 열량이 지방으로 전환된 후 혈액으로 들어감으로서 생성되므로 기름진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내인성 고지혈증이 유발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 등으로 인한 고지혈증을 개선하기 위해 거의 전적으로 외부요인에 의존적인 중성지방의 대사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내부요인에 따라 80% 이상 발생되는 콜레스테롤의 대사 이상으로 인한 고지혈증에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대사 이상을 모두 원활히 할 수 있어 고지혈증에 효과적으 로 이용될 수 있는 기능식품의 소재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RGAP는 외인성 고지혈증에서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반면 중성지방의 함량에 대해서 특이적으로 그 농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인성 고지혈증에서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가 같이 감소됨을 확인함으로서 상기 RGAP가 고지혈증 개선을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홍삼산성다당체를 통상적인 기호성 식품에 첨가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각종 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상기한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은 제형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하게 선택하여 배합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RGAP의 제조
RGAP는 대한민국 특허 제450061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홍삼 1kg에 85% 에탄올 10L를 첨가하여 70℃에서 3회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잔사를 회수하고. 회수된 잔사를 통풍 건조시킨 후 80℃에서 10L의 물로 4회 추 출하여 수용성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수용성 추출물을 분자량 컷오프(cut-off) 값이 12kD 이상인 투석막을 이용하여 냉장실에서 4일간 증류수로 투석하여 12kD 이상의 고분자 투석내액을 얻고 이를 8,000 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상기 상등액에 상등액 5배 중량의 85%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이로부터 원심분리(8,000 rpm, 30분)하여 얻은 침전물을 냉동, 건조하여 RGAP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RGAP를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GAP 5.0 중량%, 전분 65.0 중량%, 유당 17.5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5.0 중량%, 비타민 C 2.5 중량%, 만니톨 5.0 중량%, 배합비로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으로 RGAP를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RGAP를 함유하는 캅셀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GAP 5.0 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스 90.0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5.0 중량% 배합비로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으로 캅셀에 충전하여 RGAP를 함유하는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RGAP를 함유하는 국수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GAP 분말 7 중량%, 소맥분 48 중량%, 전분 37 중량%, 검정 콩가루 8 중량% 배합비로 통상의 국수 제조방법으로 RGAP를 함유하는 국 수를 제조 하였다.
<실시예 4> RGAP를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GAP 7.0 중량%, 농축사과과즙 13.0 중량%, 비타민 C 2.0 중량%, 구연산 15.0 중량%, 구연산삼나트륨 2.5 중량%, 드링크후레바, 안식향산나트륨 2.5 중량% 및 잔부는 정제수를 배합하여 90℃이상에서 20초간 살균하여 충전한 후 85℃에서 30분간 살균하여 RGAP를 함유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외인성 고지혈증-유발 실험동물에 대한 항고지혈 효과실험
가. 실험방법
흰쥐(SP.D rat, 약 200g)를 24 시간 절식시킨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RGAP를 100mg/kg, 200mg/kg, 300mg/kg, 500mg/kg의 용량별로 1회 경구투여하고 2 시간 후 콘오일(corn oil)을 흰쥐에 경구투여(용량 2.0g/kg)하였다. 2 시간 후 흰쥐의 심장으로부터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생화학분석기(Automatic Analyzer, Hitachi 7020, Tokyo, Japan)를 이용하여 혈청으로부터 고지혈 관련 임상생화학 지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정상군은 고지혈증을 유발하지 않은 군이고, 대조군은 상기 시료군과 동일하게 콘오일을 투여하고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군이다. 시료 투여군에서 생화학지수의 정상군 대비 저해율은 「저해율 (%) = 100 - (시료투여시 혈중농도 -정상군의 혈중농도)/(대조군의 혈중농도 - 정상군의 혈중농도) x 100」의 계산방법으로 나타내었다.
나. 실험결과
시험군 1회 투여용량(mg/kg) Total 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콘오일 RGAP
정상군 - - 105.3±16.6 160.2±58.2
대조군 2,000 - 92.1±10.6 313.2±122.6*
RGAP 100 2,000 100 104.0±9.2 271.7±163.0*,#
RGAP 200 2,000 200 97.4±17.4 256.3±129.4*,#
RGAP 300 2,000 300 104.6±17.5 194.9±59.9*,#
RGAP 500 2,000 500 97.1±7.8 165.6±40.1
*: p < 0.05 대조군 vs 시료 투여군, #: 정상군 vs 시료투여군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콘오일만을 투여한 경우 중성지방의 함량은 정상군의 160.2 mg/dl에서 대조군은 313.2 mg/dl으로 약 2배 중성지방의 농도증가를 유도하였다. 반면 시료 RGAP 100mg/kg 투여군은 271.7 mg/dl 으로 정상대조군 대비 27.2%의 저해, 시료 RGAP 200mg/kg 투여군은 256.3 mg/dl으로 37.2% 저해, 시료 RGAP 300 mg/kg 투여군은 194.9 mg/dl으로 77.3% 저해, 시료 RGAP 500mg/kg 투여군은 165.6 mg/dl으로 96.5%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RGAP는 체내 혈중 중성지방함량을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에 있어서는 대조군과 시료 투여군간 농도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홍삼 산성다당체는 외부요인에 의해 함량 변화가 거의 없는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외인성에 의해 전적인 영향이 미치는 중성지방의 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소함으로서 외인성 고지혈증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실험예 2> 내인성 고지혈-유발 동물모델을 이용한 항고지혈효과 실험
가. 실험방법
내인성 고지혈증은 트리톤 (Triton WR-1339)을 투여하여 유발한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RGAP 시료를 투여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였다. 흰쥐(SP.D rat, 약 200g)에 1회/일, 3일 동안 RGAP 시료를 100mg/kg, 200mg/kg, 500mg/kg, 1000mg/kg 경구투여 한 후 24시간 절식시켰다. RGAP 시료를 다시 1회 투여한 후 1 시간 후 트리톤(Triton WR-1339)을 흰쥐의 꼬리정맥에 투여(200mg/kg)하여 내인성 고지혈증을 유발하였다. 2 시간 후 혈액을 채취하여 생화학분석기(Automatic Analyzer, Hitachi 7020, Tokyo, Japan)로 고지혈관련 지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정상군은 고지혈증을 유발하지 않은 군이고, 대조군은 상기 시료군과 동일하게 트리톤을 투여하고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군이다. 시료 투여군에서 생화학지수의 정상군 대비 저해율은 「저해율 (%) = 100 - (시료투여시 혈중농도 -정상군의 혈중농도)/(대조군의 혈중농도 - 정상군의 혈중농도) x 100」의 계산방법으로 나타내었다.
나. 실험결과
시험군 투여용량(mg/kg) 총콜레스테롤 (total chlolesterol) (mg/dl) 중성지방 (triglyceride) (mg/dl)
트리톤 RGAP
정상군대조군 - - 99.9±10.0 156.3±55.8
대조군 200 - 132.9±13.9** 560.7±82.2**
RGAP 100 200 100 130.4±27.6 517.5±238.2*
RGAP 200 200 200 132.2±39.7 498.8±163.7**
RGAP 500 200 500 118.8±24.3 464.7±153.89**
RGAP 1000 200 1000 112.8±33.1 390.2±128.79*,#
** p<0.05, p < 0.01 정상대조군 vs 대조군, # p<0.05 대조군 vs 투여군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인성 고지혈증-유발 흰쥐에 RGAP 100mg/kg, 200mg/kg, 500mg/kg, 1000 mg/kg 을 투여한 결과 투여군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트리톤 단독투여군(대조군)의 함량이 정상군의 99.9mg/dl에서 132.9mg/dl으로 약 1.3 배 증가하였고, RGAP를 500mg/kg 및 1000mg/kg 투여한 군에서 118.8mg/dl 및 112.8mg/dl으로 정상대조군 대비 42.7%, 60.9%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감소 효과를 보였다.
중성지방 함량은 정상군 156.3 mg/dl에서 대조군 560.7 mg/dl으로 약 3.6배 증가하였으나 RGAP 100mg/kg 투여군은 517.5 mg/dl으로 정상대조군 대비 10.7%, RGAP 200 mg/kg 투여군은 498.8 mg/dl으로 15.1%, RGAP 500 mg/kg 투여군은 464.7 mg/dl으로 23.7%, RGAP 1000 mg/kg 투여군은 390.2 mg/dl으로 42.2% 감소효과를 보이므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RGAP는 내인성 유발 고지혈증에 대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함으로서 가족내의 유전 등 내부적인 요인에 의한 고지혈증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지혈증에서 식이요법이 가장 큰 위험인자로 작용하여 식생활의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항고지혈 기능을 갖는 홍삼 산성다당체(Red ginseng acid polysaccharide: RGAP) 함유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지방 섭취량이 늘어난 현대 식생활로 인해 중성지방의 농도가 증가하여 발생되는 외인성 고지혈증 개선을 위해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중성지방의 농도만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키고, 유전 등의 내적인 요인에 의한 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모두 감소하는 기능식품 소재인 홍삼 산성다당체를 함유함으로서 고지혈증 개선을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Red ginseng acid polysaccharide: RGAP) 함유 건강기능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산성다당체는 홍삼으로부터 분리되고,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 41.6 ~ 60.0몰%, 갈락투론산 (galacturonic acid) 2.5 ~ 7.5몰%, 글루코오스 (glucose) 18.8 ~ 33.4몰%, 아라비노오스 (arabinose) 1.1 ~ 2.1몰%를 포함하며, 분자량이 12,000 내지 450,000를 갖는 산성다당체인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고상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음료 또는 다류 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투여형태가 정제, 과립제, 캅셀제 및 액제 제형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6. 외인성에 의해 유발되는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7. 제 6 항에 있어서, 고지혈증 개선은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8. 내인성에 의해 유발되는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9. 제 8 항에 있어서, 고지혈증 개선은 콜레스테롤의 농도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KR1020050032130A 2005-04-18 2005-04-18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KR100832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130A KR100832321B1 (ko) 2005-04-18 2005-04-18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130A KR100832321B1 (ko) 2005-04-18 2005-04-18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798A true KR20060109798A (ko) 2006-10-23
KR100832321B1 KR100832321B1 (ko) 2008-05-26

Family

ID=3761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130A KR100832321B1 (ko) 2005-04-18 2005-04-18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804B1 (ko) * 2007-06-12 2009-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홍삼 산성다당체 및 구기자추출물을 함유하며 고지혈증개선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WO2011065719A2 (ko) * 2009-11-30 2011-06-03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홍삼 다당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3323A (ja) 1983-03-08 1984-09-14 Showa Sangyo Kk 動脈硬化性疾患防止剤
KR0168485B1 (ko) * 1995-10-31 1998-12-01 박명규 산성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KR100304430B1 (ko) * 1998-06-03 2001-09-24 박호군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조성물
JP4588132B2 (ja) 1998-11-13 2010-11-24 心範 謝 食品添加剤及び健康食品
KR100450061B1 (ko) 2001-06-13 2004-09-2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으로부터 분리된 항암 면역 조절효과를 갖는 신규산성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 면역 조절용 조성물
KR100596827B1 (ko) * 2003-04-02 2006-07-03 주식회사한국신약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함유하는 기능성식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804B1 (ko) * 2007-06-12 2009-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홍삼 산성다당체 및 구기자추출물을 함유하며 고지혈증개선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WO2011065719A2 (ko) * 2009-11-30 2011-06-03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홍삼 다당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1065719A3 (ko) * 2009-11-30 2011-11-10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홍삼 다당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8691794B2 (en) 2009-11-30 2014-04-08 Amorepacific Corporation Topical composition for skin containing polysaccharide extract of red ginseng
KR101382114B1 (ko) * 2009-11-30 2014-04-08 (주)아모레퍼시픽 홍삼 다당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321B1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580B1 (ko) 다물린 에이 및 다물린 비 함량이 증가된 신규 돌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281988B1 (ko)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1588B1 (ko) 동맥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060083797A1 (en) Alcohol-fermented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obesity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461098B1 (ko)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KR100516180B1 (ko)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130035530A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KR101908772B1 (ko) 상지 열수추출물과 oxyresveratr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32321B1 (ko)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KR100815277B1 (ko) 홍삼 산성다당체 및 구기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고지혈증제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315000B1 (ko) 장생도라지추출물을포함하는고지혈증치료용한방제제
TWI678211B (zh) 管花肉蓯蓉萃取物及異類葉升麻苷於保護肌肉之用途
KR101887764B1 (ko)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315001B1 (ko) 장생도라지추출물을포함하는당뇨병치료용한방제제
KR101692604B1 (ko) 저속으로 추출한 석류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293890B1 (ko) 동아녹즙및그잔사를사용하여제조된체중및혈당조절용식품조성물및그제조방법
KR100733333B1 (ko) 홍삼 산성다당체를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JP2009024027A (ja) 生理活性組成物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200098982A (ko)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62887B1 (ko) 다래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8561B1 (ko) 귀리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880804B1 (ko) 홍삼 산성다당체 및 구기자추출물을 함유하며 고지혈증개선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409

Effective date: 200804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