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920A -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920A
KR20180042920A KR1020160135497A KR20160135497A KR20180042920A KR 20180042920 A KR20180042920 A KR 20180042920A KR 1020160135497 A KR1020160135497 A KR 1020160135497A KR 20160135497 A KR20160135497 A KR 20160135497A KR 20180042920 A KR20180042920 A KR 20180042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red bean
bea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764B1 (ko
Inventor
안택원
박정미
김승형
정찬호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혜화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혜화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혜화학원
Priority to KR102016013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7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Y10S514/9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팥 껍질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여과하여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 추출물 및 상기 팥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팥껍질을 에탄올로 추출함으로써 항비만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항비만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Extracts from red bean shell having anti obesity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팥 껍질을 용제인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팥(赤豆)은 쌍떡잎식물이며,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중국, 한국, 일본 등 극동아시아의 온대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어 동양이 원산지인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전파되어 재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팥에는 비타민 B1이 풍부하여 쌀에 혼반(混飯)할 경우 쌀밥에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을 공급하여 주며, 각기병(脚氣病)의 예방 뿐만 아니라 피로 회복에도 효과가 있으며, 단백질의 대부분이 글리신이고 발린을 제외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며, 특히 쌀의 제한(制限)아미노산인 라이신 함량이 높아 혼식하면 아미노산 보조 효과로 단백질의 질을 향상시켜 준다고 알려져 있다.
한의학적으로는 팥은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며, 이수소종(利水消腫), 이습퇴황(利濕退黃), 청열(靑熱) 해독 효능이 있어 수종(水腫), 각기(脚氣), 소변불리(小便不利), 창독(瘡毒) 등에 활용된다. 아울러 팥에 함유된 사포닌은 섬유질과 함께 통변(便通)을 돕는 효과가 있어, 독을 풀고 배변을 촉진하여 장을 깨끗이 하며, 신장병(腎臟病), 각기병, 숙취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팥의 색소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계의 시아니딘(cyanidin)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색소의 항산화 및 항종양효과는 이미 실험적으로 증명된 바가 있다. 특히, 팥에 풍부한 프로안토시아닌(proanthocyanidins),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quercetin glycoside)와 같은 폴리페놀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편, 최근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인종, 연령, 성별에 관계 없이 비만의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이란 지방이 체내에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비만도의 측정방법으로 BMI, 허리둘레, 허리 엉덩이 둘레비 등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비만은 다양한 내장기관에 지질의 축적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장기의 기능이상, 만성 염증 및 조직 손상이 유도되며, 인슐린 저항성, 고인슐 린혈증(hyperinsulinemia) 등이 발생될 수 있다.
팥이나 콩과 같은 잡곡의 항비만과 관련한 종래기술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검정콩 안토시아닌 추출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검정콩으로부터 추출된 항비만 활성 안토시아닌 추출물로서, 체중 증가로 인한 비만의 예방 및 진행의 지연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검정콩 껍질 유래의 안토시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각종 만성 질환의 공통 원인이 되는 지질대사와 관련한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물의 부작용을 감안한 약리활성이 뛰어난 것으로서, 이들은 모두 검정콩으로부터 유래된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하기 비특허문헌 1에는 “검은팥의 항비만 효과와 그 기전에 관한 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검은팥이 지방 전구세포의 증식과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및 그 조절 기전 등에 대해 기술한 것으로서, 검은팥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또한 하기 비특허문헌 2에는 “팥의 비만 예방, 혈행개선 효능 구명 및 가공기술 개발”에 관한 보고서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검은팥이나 팥(赤豆)의 비만 개선효과와 작용기전 규명 등에 대해 기술한 것으로서, 검은팥이나 팥(赤豆)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기술과 달리 검정콩이나 검은팥 또는 팥(赤豆)이 아닌 팥 껍질을 비교적 저온에서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우수한 항비만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3321호(2015. 5. 18.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4274호(2009. 12. 03. 공개)
검은팥의 항비만 효과와 그 기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김민아, 2016. 7. 팥의 비만 예방, 혈행개선 효능 구명 및 가공기술 개발, 전북대학교 동향/연구보고서, 2016. 2.
본 발명은 팥껍질로부터 유래한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의 제공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팥 껍질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여과하여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은 81~83℃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는 거름망으로 여과한 후에 솜으로 다시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농축은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 추출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팥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성 팥껍질 추출물은 팥껍질을 에탄올로 추출함으로써 항비만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항비만성이 장점이 있다.
도 1은 정상군에 따른 생쥐 부고환지방의 H&E Staining 사진이다.
도 2는 대조군에 따른 생쥐 부고환지방의 H&E Staining 사진이다.
도 3은 양성대조군에 따른 생쥐 부고환지방의 H&E Staining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팥껍질 추출물 투여군에 따른 생쥐 부고환지방의 H&E Staining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포함하고,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은 팥 껍질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여과하여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팥 껍질은 잘 익은 국내산 팥(충주팥)을 구입한 후에 분쇄기로 두 쪽으로 분쇄하여 20℃의 물을 가한 후에 실온(25℃)에서 5-6시간 동안 방치하면, 팥의 껍질과 속이 분리되어 껍질은 물 위로 떠오르게 된다. 이어서 증류수를 제거한 후에 다시 물을 가하여 상층에 부유된 팥 껍질을 스테인레스체로 건져낸 다음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건조된 팥 껍질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얻어진 건조 팥 껍질을 환류추출기를 사용하여 81~83℃에서 팥 껍질의 10배의 에탄올로써 3시간 추출한 후에 팥 껍질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얻은 팥 껍질 100중량부에 70% 에탄올 1000중량부를 가하고 82℃에서 3시간 추출한 결과, 팥 껍질 추출액이 얻어진다.
이어서 상기 팥껍질 추출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농축시킨 후에 동결 건조시켜 팥껍질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추출액을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감압농축기에 연결하여 온도를 제어하면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감압하는 형태이다. 그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직접적으로 증류하는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냉매를 순환하게 하여 증류되는 물질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인 에탄올을 제거하는 농축과정을 거치고, 상기 추출액을 -70℃ 냉동고에서 24시간 냉동시켜 급속동결한 후에 동결된 추출물을 동결건조기에 넣고 챔버 온도 40℃, 진공압력 10Torr 이하에서 7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동결 건조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비만 조성물은 또한 비만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억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고지혈증, 지방간, 내장비만, 복부비만 등 부분적 비만 및 총체적 비만(즉, 일반적인 비만)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다.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 당 0.3mg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0mg 내지 1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하기에서는 팥껍질, 검정콩, 검은팥을 추출용매인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에서 얻은 팥껍질 1㎏을 채취한 다음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환류추출기(경서기계산업 제품 COSMOS-660)를 사용하여 82℃에서 상기 용매 10L 가하여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감압농축기(N-21NS, EYELA. CO. LTD, 일본)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여 농축시킴으로써 추출액을 얻고, 상기 추출액을 -70℃ 냉동고에서 24시간 냉동시켜 급속 동결한 후에 동결된 추출물을 동결건조기(CA-2600, 일본 EYELA)에 넣고 챔버 온도 40℃, 진공압력 10Torr 이하에서 72시간 동안 건조하여 팥껍질 추출물 52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와 대비하여 팥껍질 대신에 검정콩(청자3호)을 사용하는 점만 다를 뿐이고, 나머지는 그것과 동일하게 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와 대비하여 팥껍질 대신에 국내산 검은 팥(검구슬)을 사용하는 점만 다를 뿐이고, 나머지는 그것과 동일하게 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와 대비하여 팥껍질 대신에 국내산 붉은 팥(홍언)을 사용하는 점만 다를 뿐이고, 나머지는 그것과 동일하게 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1) 비만증 유발 동물모델
숫컷 C57bl/6J 마우스를 (주)대한바이오링크로부터 구입하여 실험동물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2주간 기본사료(AIN-76A diet)와 물을 자유롭게 공급하면서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건강상태가 양호한 10주령의 마우스를 동물 사육실의 환경, 항온(25±2℃), 항습(50±5%) 및 12시간 간격의 광주기(light on 07:00~19:00)로 명암이 조절되는 SPF 환경에서 유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12마리씩 정상군(ND), 대조군(고지방식이군, HFD-control), 비만치료제를 투여한 양성대조군(HFD-orlistat), 그리고 항비만 추출물로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은 추출물을 각각 분리하여 사육하였으며,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2) 비만개선 추출물의 시험물질 제조 및 검액 투여
실험군은 양성대조군 올리스타트(orlistat) 50㎎/㎏/day, 항비만 추출물로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은 추출물을 각각 100㎎/㎏/day 용량으로 생리식염수에 현탁시켜 마우스 존데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예 2> 비만개선 추출물 투여 및 혈액 생화학 검사
(1) 비만개선 추출물 투여
C57bl/6 마우스를 2주간 기본사료(AIN-76A diet)로 적응시킨 후 10주령부터 Diet Induced Obesity Diet Formulas(D12451 & D12492) 60kcal% HFD 식이섭취와 양성대조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항비만 추출물의 투여를 8주간 병행하였다.
(2) 혈액 생화학 검사
식이섭취량 및 체중은 매주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여 기록하였으며, 최종 실험 종료 후 심장천자법으로 채혈하고,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채혈한 다음 30분 이내에 3,000rpm,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고, 혈장(plasma)을 분리하여 -70℃에 보관하였다가 분석하였다. 각 실험동물로부터 분리한 혈장에서 간 기능의 지표인 ALT, 신장기능 지표인 크레아틴(creatinine), 혈장 및 간의 지질함량의 지표인 총콜레스테롤, HDL(High-density lipoprotein), 중성지방(triglyceride)의 함량을 생화학자동분석기(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부검 및 detection 계획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희생 전 3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고, 각 실험동물의 장기조직(간, 지방조직)은 혈액 채취 한 다음 즉시 적출하여 칭량 후, RNA 실험용은 RNA 안정액 (RNAsol B )에 보관하여 1주일 안에 RNA를 뽑고, 나머지 부분은 액체질소로 급냉시켜 -7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4) 통계처리
각 실험군의 값은 unpaired student's T-test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p<0.05 이하의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1) 실험동물의 그룹별 식이효율
C57bl/6 비만증 유발 생쥐를 상기의 항비만 추출물을 8주간 투여한다. 식이섭취량 및 체중 증가를 매주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고, 비만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이효율을 계산하여 [표 1]에 기록하였다.
실험동물의 식이 군별 체중 증가 및 식이효율
구 분 체중 식이섭취량
(g/day)
식이효율
(FER, %)
최초 최종 증가량(g/day)
C57BL/6J 24.10 30.56 0.122 2.85 4.28
HFD-CTL 23.65 45.82 0.433 2.53 17.10
HFD-orlistat 23.47 31.60 0.156 2.85 5.49
실시예 22.47 37.28 0.286 2.08 13.75
비교예 1 23.10 37.91 0.291 1.86 15.67
비교예 2 22.67 37.98 0.300 2.01 14.93
비교예 3 23.32 38.38 0.295 1.95 15.13
[표 1]로부터 사육 초기의 각 군의 평균체중은 거의 차이가 없었고, 최종에는 모든 군의 체중이 증가하였다. 체중 증가(g/day)는 정상군(C57BL/6J)이 하루 0.122g인데 비하여, 대조군(HFD-CTL)이 0.433g으로 3.5배나 크게 증가하였다.
체중 증가는 팥껍질 추출물인 실시예의 경우 하루 0.286g으로 정상군이나 비만대조군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나, 검정콩 추출물인 비교예 1의 0.291g, 검은팥 추출물인 비교예 2의 0.300g, 붉은팥 추출물인 비교예 3보다 낮아 더 많은 체중 감소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식이효율을 보면, 팥껍질 추출물인 실시예는 정상군(C57BL/6J) 및 양성대조군(HFD-orlistat)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나, 비교예 1, 2, 3의 검정콩, 검은팥, 붉은팥 추출물보다 각각 낮게 나타나 팥껍질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군별 생쥐의 각 장기의 중량변화
각 군들의 장기(간, 비장, 신장) 및 지방조직(부고환, 신장 부위)의 무게 변화는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군별 생쥐의 장기 및 지방조직의 중량
구 분 비장 신장 부고환지방 신장부위지방
C57BL/6J 0.962 0.086 0.302 0.830 0.356
HFD-CTL 1.674 0.108 0.412 2.628 1.338
HFD-orlistat 1.230 0.087 0.332 1.248 0.628
실시예 0.942 0.092 0.354 2.448 1.164
비교예 1 1.022 0.097 0.368 2.557 1.205
비교예 2 1.007 0.089 0.358 2.459 1.189
비교예 3 1.101 0.091 0.361 2.449 1.181
그 결과를 분석하면, 장기 및 지방조직의 무게는 대조군(HFD-CTL)의 경우 정상군(C57BL/6J)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팥껍질 추출물인 실시예의 경우 간, 비장, 신장 모두 무게가 대조군보다 크게 감소하였으나, 비교예 1, 2, 3의 검정콩, 검은팥, 붉은팥 추출물의 경우 실시예보다 약간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조직의 무게는 팥껍질 추출물인 실시예의 경우 부고환지방과 신장주위지방 모두 대조군보다 크게 감소하였으나, 비교예 1, 2, 3의 검정콩, 검은팥, 붉은팥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보다 약간 감소하였다.
따라서 팥껍질 추출물 첨가군이 비교예 1 내지 3의 추출물의 식이군보다 더 큰 체중감소를 보여주는 것과 같이 장기 및 지방조직의 중량도 감소하여 서로 일치한다고 볼 수 있었다.
(3) 군별 생쥐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함량 및 간, 신장의 손상 정도
각 군들의 혈중 중성지방(TG),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함량의 변화 및 간 및 신장의 손상 정도는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군별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
구 분 TG(㎎/㎗) TC(㎎/㎗) HDL-C(㎎/㎗) ALT(U/L) Creatin(㎎/㎗)
C57BL/6J 103.0 145.8 70.6 22.6 0.34
HFD-CTL 168.6 245.0 94.0 71.8 0.41
HFD-orlistat 98.6 200.0 77.2 24.4 0.36
실시예 118.4 223.6 86.6 47.4 0.36
비교예 1 123.8 233.8 89.1 48.3 0.39
비교예 2 121.1 230.1 88.8 49.1 0.37
비교예 3 132.1 240.6 91.2 49.8 0.38
먼저,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보면,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33% 내지 60% 이상 크게 증가를 하였다. 팥껍질 추출물인 실시예의 경우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정상군에 비해 약 14% 내지 53%로 증가하였으나, 비교예 1, 2, 3의 검정콩, 검은팥, 붉은팥 추출물의 경우 양성대조군보다 약 15% 내지 33%나 증가하였고, 이는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간의 손상 정도, 즉 간세포 괴사와 조직의 파괴를 나타내는 결과로서,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보다 간 손상 정도에 더 민감한 ALT(alanine aminotransferase)와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혈청 내 크레아틴(creatin)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인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팥껍질 추출물의 실시예가 비교예 1, 2, 3의 검정콩, 검은팥, 붉은팥 추출물의 경우보다 ALT와 크레아틴의 수치가 약간 낮았고, 대조군보다 크게 감소하여 간 및 신장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부고환 지방의 H&E Staining
적출된 부고환 지방을 5㎛로 paraffin section하고 H&E staining을 하여 지방조직 크기를 비교한 결과는 대조군의 지방 크기보다 본 발명 팥껍질 추출물 식이군이 감소한 것을 [도 1] 내지 [도 4]로부터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팥 껍질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여과하여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 추출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 추출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81~83℃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는 거름망으로 여과한 후에 솜으로 다시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 추출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은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팥껍질 추출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팥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성 약학 조성물.
KR1020160135497A 2016-10-19 2016-10-19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88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497A KR101887764B1 (ko) 2016-10-19 2016-10-19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497A KR101887764B1 (ko) 2016-10-19 2016-10-19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20A true KR20180042920A (ko) 2018-04-27
KR101887764B1 KR101887764B1 (ko) 2018-08-10

Family

ID=6208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497A KR101887764B1 (ko) 2016-10-19 2016-10-19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93A (ko) * 2020-09-21 2022-03-29 이현웅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WO2022080802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케뎀 팥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564A (ja) * 1996-05-07 1997-11-18 Shiga Yoko 骨粗しょう症予防食品
KR20090124274A (ko) 2008-05-29 2009-12-03 박건영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검정콩 안토시아닌 추출물
KR20150053321A (ko) 2013-11-07 2015-05-18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검정콩 껍질 유래의 안토시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564A (ja) * 1996-05-07 1997-11-18 Shiga Yoko 骨粗しょう症予防食品
KR20090124274A (ko) 2008-05-29 2009-12-03 박건영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검정콩 안토시아닌 추출물
KR20150053321A (ko) 2013-11-07 2015-05-18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검정콩 껍질 유래의 안토시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검은팥의 항비만 효과와 그 기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김민아, 2016. 7.
최종보고서. 팥의 비만예방, 혈행개선 효능 구명 및 가공기술 개발. 전북대학교. (2016.02)* *
팥의 비만 예방, 혈행개선 효능 구명 및 가공기술 개발, 전북대학교 동향/연구보고서, 2016. 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93A (ko) * 2020-09-21 2022-03-29 이현웅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WO2022080802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케뎀 팥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764B1 (ko)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7670C9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силибин и экстракт корня пуэрарии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952644B1 (ko) 양춘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조성물
KR101461588B1 (ko) 동맥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87764B1 (ko)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516180B1 (ko)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130058434A (ko) 번데기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13284B1 (ko)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3321A (ko) 검정콩 껍질 유래의 안토시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086598B1 (ko) 흑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80055945A (ko) 간기능 개선용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93401A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KR20160108771A (ko) 능이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6729B1 (ko)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20115471A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6101888B2 (ja) 脂肪肝抑制剤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57214B1 (ko) 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umar et al. Effect of Punica granatum peel and Vitis vinifera seeds on Biochemical Indices in DEN 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Rats
KR100832321B1 (ko)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CN109876088A (zh) 一种通过调节肠道菌群平衡发挥降糖作用的天然降糖制剂
KR20190084732A (ko)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41338B1 (ko)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36484B1 (ko)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548936B2 (en) Method for reducing w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