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893A -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893A
KR20220038893A KR1020200121257A KR20200121257A KR20220038893A KR 20220038893 A KR20220038893 A KR 20220038893A KR 1020200121257 A KR1020200121257 A KR 1020200121257A KR 20200121257 A KR20200121257 A KR 20200121257A KR 20220038893 A KR20220038893 A KR 20220038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mposition
obesity
extrac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756B1 (ko
Inventor
이현웅
Original Assignee
이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웅 filed Critical 이현웅
Priority to KR102020012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7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23V2250/21166Proanthocyanidins, grape seed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성분으로 방풍나물 추출물 성분, 팥 추출물 성분 및 국화 추출물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 중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팥 추출물과 국화 추출물의 특정 배합 비율을 통해 체중 조절 효과 및 비만 억제 효과가 뛰어난,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Composition for Adjusting Body Weight and Anti-Obesity Containing Natural Element and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 효과를 가지는, 천연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발전으로 생활양식이 편리해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어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가중과 운동 부족 등의 원인으로 인해 비만 인구 증대로 이어져 왔다.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동맥 경화증,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지방간 등의 성인병과 각종 대사 장애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도 비만으로 야기된 지방 조직에 의해 복부에 압박이 가해져 변비와 소화불량, 위장장애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최근 우리나라의 국민건강 통계를 보면, 비만 유병률은 2015년 31.3%에서 2016년 34.8%로 증가하였고, 소아 비만율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계보건기구에서도 비만을 단순히 증상이 아닌 질병으로 규정할 정도로, 비만은 해결해야할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비만은 성별이나 나이와 무관하게 나타나지만, 음식 섭취량을 충분히 줄이고 활동량을 충분히 늘린다면 비만을 억제하고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에게 이러한 능동적인 방법에 따른 표준적 치료 방법만으로는 비만을 해결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 여러가지 기능성 식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비만 치료 약물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합성 항비만 치료제들이 여러 부작용을 나타내며 한계를 보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한 비만 예방 및 치료 목적의 의약품 및 식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천연 성분으로 방풍나물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팥 추출물 중 2개 이상의 천연 성분을 혼합한 조성물의 경우, 체중 조절 효과와 함께 비만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중 조절 효과 및 비만 억제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 성분으로써 방풍나물 추출물, 팥 추출물 및 국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2개 이상의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연 성분으로써 방풍나물 추출물, 팥 추출물 및 국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2개 이상의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풍나물 추출물 성분, 팥 추출물 성분 및 국화 추출물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팥 추출물 성분, 국화 추출물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팥 추출물 성분 및 국화 추출물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천연 성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팥 추출물 성분은 약 5 내지 30중량%를 함유되고, 국화 추출물 성분은 약 70 내지 9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만 억제용 조성물 내 포함되어 있는 방풀나무 추출물 성분의 유효성분은 Vitexin(비텍신)이고, 팥 추출물 성분의 유효 성분은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이며, 상기 국화 추출물 성분의 유효 성분은 루테올린(Luteol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만 억제 효과는 혈액 내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만 억제 효과는 혈액 내 혈당(glucose) 및 렙틴(leptin)의 감소를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만 억제용 조성물은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비오틴, 엽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비타민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고, 셀레륨, 철, 요오드, 망간,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미네랄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과립, 정제, 파우더, 환, 또는 캡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의 다양한 형태들은 인공 색소가 아닌 천연 색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체 내 부작용이 없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중 조절 효과 및 비만 억제 효과가 뛰어난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VC)을 농도별로 실험 동물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체중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VC)을 농도별로 실험 동물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간 지방 조직의 질량 변화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부고환지방 조직의 질량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실험 동물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혈액 내 AST, ALT 농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실험 동물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혈액 내 콜레스테롤 농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실험 동물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혈중 혈당 농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실험 동물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혈중 렙틴(leptin)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실험 동물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부고환지방의 크기(면적)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만 억제용 조성물의 예시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은, 천연 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천연 성분은 방풍나물 추출물, 팥 추출물 및 국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천연 성분으로 사용되는 방풍 나물은 예로부터 약용 식물로 사용했으며, 그 중 뿌리는 한의학적으로 감기와 두통, 발한과 거담에 약으로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소두(小豆), 적소두(赤小豆)로 알려진 팥(red bean)은 당질과 단백질로 이루어지고, 라이신, 폴리페놀, 사포닌, 비타민, 미네랄 등 필수 아미노산이 균형있게 들어 있어 항암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해주고 장 기능을 강화하며, 인삼과 같이 사포닌 성분이 풍부하다고 보고되어 있다.
국화 또한 예로부터 약물로 많이 쓰여 왔다. 국화에 함유된 다양한 flavonoid는 함염, 항산화, 항염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나, 해열, 소염작용, 해독작용 목적으로 한방의 약재로서만 일부 사용되고, 국화차로의 음용 대부분을 차지해, 그 효능에 비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은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와 같이,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천연 성분들을 조합하여 체중 감소 효과를 발견한 것에 본 발명의 의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천연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팥 추출물 및 국화 추출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팥 추출물과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서, 팥 추출물은 천연 성분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3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2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팥 추출물과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서, 국화 추출물은 천연 성분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 중량 내지 95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75 내지 95 중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팥 추출물과 국화 추출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상기 함유량 범위를 만족할 경우 지방 세포 분화가 억제되는 효과가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은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 효과와 관련하여 다양한 효과를 수반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 혈액 내 혈당, 렙틴의 함량을 낮추는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만 억제용 조성물은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비오틴, 엽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비타민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셀레륨, 철, 요오드, 망간,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미네랄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타민 성분은 체내 대사의 활성에 관여하여,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의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미네랄 성분은 체내의 여러 생기 기능을 조절,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영양소로 신체 내 영양소의 균형을 맞춰주는 역할을 하며, 이 역시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의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비타민 및 미네랄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항비만 효과 뿐만 아니라 항스트레스, 항고지혈증과 같은 증상에 관해서도 추가적인 완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비타민 성분의 총함량은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약 10 ~ 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네랄 성분의 총함량은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은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A)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과 상기 추출물의 약 3배 내지 4배 되는 양의 증류수를 혼합하는 단계;
(B) 약 80도 내지 100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고온 가열하여 상기 천연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C)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B)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한 뒤, 저온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약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농축하고 약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동결 건조 후 회수하는 단계;
(D) 상기 동결 건조 시킨후 회수된 물질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E) 비타민 성분과 미네랄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과립, 정제, 파우더, 환, 캡슐 형태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천연 성분의 일례로써 팥 추출물 및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천연 성분의 추출]
팥 성분 및 국화 성분의 추출 및 유효 성분의 분석
공시료인 팥을 구매하여 열수 추출기를 통해 팥 성분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팥 시료 10g과 팥 시료의 3배 양인 증류수 30g과 혼합하고, 80℃에서 3시간 동 안 고온 가열하여 팥 성분을 추출하였다. 상기 팥 추출물을 0.45μm syriVC 필터로 여과한 뒤, 저온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5℃에서 농축하고 -70℃에서 동결 건조 후 회수하였다.
공시료인 국화를 구매하여 열수 추출기를 통해 국화 성분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국화 시료 10g과 국화 시료의 10배 양인 증류수 100g과 혼합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고온 가열하여 국화 성분을 추출하였다. 상기 국화 추출물을 0.45μm syriVC 필터로 여과한 뒤, 저온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5℃에서 농축하고 -70℃에서 동결건조 후 회수하였다.
팥 추출물 내의 유효 성분은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이며,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 1g의 팥 시료를 칭량하여 30mL의 메탄올을 가하고, 40분간 초음파 추출을 진행하였다. 이후 5분간 원심분리하여 시료를 농축시키고 2mL의 메탄올로 용해시킨 후, 0.22μm SyriVCs filter를 사용하여 여과 및 HPLC 분석하였다. 팥 추출물의 지표성분 분석은 한국품질시험원에 의뢰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공시료의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함량은 0.02%로 검출되었다.
Figure pat00001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
국화 추출물 내의 유효 성분은 루테올린(Luteolin)으로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 1g의 시료를 칭량하여 25 mL의 메탄올을 가하고, 30분간 초음파 추출을 진행하였다. 이후 5분간 원심분리하여 시료를 농축시키고 메탄올을 사용하여 10배 희석시킨 뒤 HPLC 분석하였다. 국화 추출물의 지표성분 분석도 한국품질시험원에 의뢰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공시료의 루테올린(Luteolin)의 함량은 0.42%로 검출되었다.
Figure pat00002
루테올린(Luteolin)
팥 추출물 및 국화 추출물의 세포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팥 및 국화 추출물을 지방전구세포인 OP9 세포에 농도별로 처리 후 24시간과 48시간동안 배양하여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국화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0.1~1mg/ml의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2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48시간에서 세포 독성을 보여 생존율이 감소함을 보였다. 팥 추출물의 경우, 0.1~2mg/ml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국화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1mg/ml의 농도로 이하의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만 억제용 조성물의 천연 성분으로 팥 추출물과 국화 추출물을 선택하고, 천연 성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팥 추출물 25 중량%, 국화 추출물 7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험 물질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험 물질로 이하의 실험들을 진행하였다.
이 때, 아래에서 “VC30”은 30mg/ml의 실험 물질 농도(저농도), “VC100”은 100mg/ml의 실험 물질 농도(중농도), “VC300”은 300mg/ml의 실험 물질 농도(고농도)를 투여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만 억제용 약물로 잘 알려진 garcinia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In-vitro 테스트]
세포배양 및 지방세포 분화 유도
실험에 사용한 OP9 세포주는 미국 세포주 은행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anassas, VA; catalogue no. CRL-2749)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에 필요한 시약은 Gibco(USA)에서 구입하며, 배지는 Minimum Essential Medium α (MEM-α) 배지에 20% fetal bovine serum (FBS)과 1% antibiotics-antimycotic을 첨가하여, 5% CO2가 존재하는 37℃ 세포 배양기에서 2~3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지방세포 분화에 필요한 인슐린,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DEXA), 3-이소부틸-1-메틸잔틴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은 시그마(미국 미조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구입하였으며, 1.5×105 cells/well의 OP9 세포를 2일 동안 20% FBS, 1% antibiotics-antimycotic이 포함된 MEM-α 배지에서 배양 후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 유도는 10% FBS, 175nM 인슐린, 0.25μM DEXA, 0.5mM IBMX, 1% antibiotics-antimycotic을 함유한 MEM-α 배지에서 2일 동안 배양한 후 10% FBS, 175nM 인슐린, 1% antibiotics-antimycotic을 함유한 MEM-α 배지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전지방세포 증식률 측정
분화된 또는 분화되지 않은 OP9 세포의 증식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5×104 cells/well의 농도로 96 well plate에 이식한 후 다양한 농도의 실험물질과 함께 처리한 후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여 세포 증식률을 평가하였다. 정해진 시간만큼 실험물질을 노출시키고, 10μl의 EZ-CyTox (Daeil Lab Service Co., Ltd, Seoul, Korea)을 각 well에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37℃, 5% CO2를 유지하는 세포 배양기에 배양하여 ELISA reader (Sunrise™, Tecan, Mannedorf, Switzerland)로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오일 레드 O 염색 (Oil red O staining)
4.5×105 cells/well의 OP9 세포를 6 well plate에 이식한 후 다양한 농도의 실험물질을 처리한 후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2일 또는 5일 동안 분화를 유도한 후 세포를 PBS (pH 7.4)로 1번 세척 후 4% 포르말린(formalin)으로 20분 동안 고정시킨 후, 60% 이소프로판올(ispropanol)로 2번 세척 후 건조시켰다. 1 ml의 오일 레드 O 용액 (oil red O solution, Sigma, O0625)을 첨가하여 20분 동안 염색시키고,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3번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 안의 염색된 지방 확인하였다. 그 후 이소프로판올로 지방을 염색한 오일 레드 O 용액을 추출하여 ELISA reader로 51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In-vivo 테스트]
실험동물은 샘타코 바이오코리아(한국 오산)에서 C57BL/6 mice male 5주령을 분양 받아 일주일 순화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순화기간 중 온도는 23±1℃, 습도 50±5%, 소음 60 phone 이하, 조명시간 07:00-19:00(1일 12시간), 조도 150-300 lux, 환기는 시간당 10-12회의 환경을 유지하였다. 동물 입수 시 모든 동물의 일반 건강상태에 대한 수의학적 검역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을 실시하는데 적합하도록 설치류용 일반사료(한국 샘타코사 제품)와 필터 및 자외선 살균기로 여과 살균된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순화기간이 끝난 후 고지방식이로 4~6주간 비만을 유도하여 일반 식이군(Normal diet group, Normal)과 고지방식이군(High fat diet group, Control)간의 체중차이가 20% 이상 확인된 시점에 각 개체별로 체중을 측정하여 Z열 방식으로 그룹을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비만유도군, Control group), 농도별 실험군 (고지방식이와 실험 물질을 저농도(VC30), 중농도(VC100), 고농도(VC300)로 투여한 실험군, Experimental group)으로 나누어 군당 10마리씩 설정하였다. 실험식이의 경우 정상군은 일반식이(한국 샘타코사 제품)를 급여하고 비만유도모델은 Rodent Diet with 60%Kcal Fat (한국 새론바이오사 제품)를 급여하였다.
주간 체중변화는 주 1회 일정시간에 모든 실험군의 개체별 체중을 측정하고 식이 섭취량은 급여 후 익일 잔량을 측정하여 주 1회 측정하였다. 부검은 호흡 마취 후 채혈하여 혈당 측정기(오토첵, 다이아텍코리아㈜)로 혈당을 측정한 뒤 혈액 분석에 사용하고, 간(Liver)과 부고환지방(Epididymal fat)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동물 부검시 복대정맥에서 채혈하고 30분 동안 응고 과정을 거친 후 원심분리기로 10분 동안 3,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혈청은 TC(Total cholesterol),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aminase (ALT) 분석에 사용하며 녹십자 의료재단(GC Labs, 한국)에 분석을 의뢰하고 혈중 렙틴과 아디포넥틴(adiponectin)의 함량은 ELISA ki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출한 부고환지방 조직은 10% 포르말린액에서 고정시킨 검체를 절취하여(trimming) 다시 10% 포르말린액으로 후 고정시킨 후 각 조직을 파라핀에 포매 하여 4∼7μm의 두께로 절편하여 세절하였다. Hematoxylin-eosin 염색은 xylene에서 파리핀을 제거하고 탈수 과정을 거친 후 hematoxylin에 4분, eosin에 2분 동안 염색하였다. 이후 봉입하여 염색된 조직 프레파라트는 광학 현미경인 Olympus BX50 F4 (일본 올림푸스)를 이용하여 관찰 및 촬영하였다.
모든 실험결과는 통계 프로그램(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SPSS ver.12.0, SPSS Inc.)을 이용하여 평균±표준오차(Mean±S.E.)로 계산하였다. 각 실험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에 따른 통계분석은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를 실시한 후 유의성이 있는 경우, p<0.05 미만일 때 Ducan's multiple raVC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In vivo 연구]
주간 체중 변화
국화, 팥 추출 혼합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모델에서의 체중 증가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먼저 7주간 고지방 식이를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한 후 각 실험군 별 5주간 경구투여 후 체중을 조사하였다. 일반 식이군과 고지방 식이군의 체중 평균 차이가 20% 이상 확인된 7주차에 난괴법으로 각 시험군별 분리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 종료 시점인 12주차를 기준으로 각 시험군 별 체중은 정상군(Normal)이 31.47±0.53 g, 대조군(Control)이 44.13±0.90 g으로 나타나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저농도(VC30)로 투여한 경우는 40.76±0.64g, 중농도(VC100)로 투여한 경우는 41.85±0.74g, 고농도(VC300)로 투여한 경우는 41.96±0.52g로 나타났고, 양성 대조군(Garcinia)을 투여한 경우는 40.90±0.90g로 나타났다 (도 1).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미 비만 억제용으로 잘 알려진 약물인 Garcinia와 비슷한 수준의 체중 조절 또는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 중량
비만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농도별로 투여했을 때 간 지방 조직 중량과 부고환 지방 조직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간 조직의 중량을 측정한 실험에서 정상군은 1.121±0.02g, 대조군은 1.41±0.10g으로 측정되어 양자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VC30은 1.32±0.11g, VC100은 1.28±0.06g, VC300은 1.21±0.04g, Garcinia는 1.15±0.06g으로 측정되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간 조직 중량이 유의미하게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2 (a)).
부고환지방 조직의 경우 정상군은 0.75±0.08g으로 대조군의 2.69±0.08g으로 측정되어양자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군 별로는 VC30은 2.42±0.07g, VC100 2.38±0.12g, VC300 2.31±0.04g, Garcinia 2.09±0.18g으로 측정되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부고환지방 조직 중량이 유의미하게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2(b)).
일반 혈액학적 분석(ALT, AST)
비만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ALT(alanine aminotransfer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ALT의 경우, 대조군은 200.03±7.68U/L로 측정되었고, 정상군은 110.23±4.06U/L로 측정되어 비만 식이에 따라 ALT의 수치가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의 경우 VC30은 181.47±6.30U/L, VC100은 176.54±U/L, VC300은 162.70±4.40U/L, Garcinia는 1163.60±3.54U/L으로 측정되어 농도 의존적으로 ALT 수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a)). AST의 경우에도 대조군은 139.44±7.68U/L, 정상군은 37.33±1.20U/L으로 측정되었으며, VC30은 101.16±13.95U/L, VC100은 90.86±10.87U/L, VC300은 77.73±7.40U/L, Garcinia는 71.73±7.40U/L으로 나타나 농도의존적으로 AST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b)).
일반 혈액학적 분석(TC, HDL-C, LDL-C)
비만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혈중 TC(Total cholesterol), HDL(High-density lipoprotein), LDL(Low-density lipoprotein)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먼저 혈중 TC의 함량은 정상군의 경우 116.00±2.91mg/dL로, 대조군은 214.29±4.13mg/dL로 측정되어 정상군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 별로는 VC30은 197.43±3.21mg/dL, VC100은 191.57±6.41mg/dL, VC300은 182.43±4.85mg/dL, Garcinia100은 177.86±10.36mg/dL로 나타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TC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a)).
혈중 HDL은 정상군의 경우 98.16±3.18mg/dL로 대조군은 158.76±4.81mg/dL로 측정되어 정상군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 별로는 VC30은 148.84±2.08mg/dL, VC100은 145.61±5.06mg/dL, VC300은 136.29±2.41mg/dL, Garcinia는 132.46±5.37mg/dL로 나타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 HDL 수치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b)).
혈중 LDL은 정상군의 경우 8.56±0.37mg/dL로, 대조군은 30.80±2.30mg/dL로 측정되어 정상군이 유의마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 별로는 VC30은 30.73±1.98mg/dL, VC100은 31.30±3.01mg/dL, VC300은 29.54±1.49mg/dL, Garcinia는 32.91±2.09mg/dL로 나타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 LDL 수치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c)).
혈중 혈당 분석
본 발명의 조성물이 혈중 혈당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각 실험군 별 혈당을 비교해보면 정상군은 136.29±6.61mg/dL로, 대조군은 254.14±9.22mg/dL로 측정되어 정상군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 별로는 VC30은 237.43±9.05mg/dL, VC100은 223.57±9.54mg/dL, VC300은 220.29±6.85mg/dL, Garcinia100은 213.43±17.96mg/dL으로 나타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약간의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5).
혈중 렙틴 분석
본 발명의 조성물이 혈중 렙틴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 경우, 정상군은 3.10±0.21ng/mL로, 대조군은 22.8±0.26ng/mL로 측정되어 정상군이 위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 별로는 VC30은 21.6±0.23ng/mL, VC100은 21.2±0.31ng/mL, VC300은 20.0±0.55ng/mL, Garcinia100 실험군은 19.55±1.57ng/mL으로 나타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 렙틴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
부고환 지방 크기(면적) 분석
각 실험군별 고지방식이에 의한 부고환지방세포의 크기를 비교하여 보면, 대조군은 6745.36±173.15μm2로 정상군의 2311.38.16±μm2에 비해 지방세포의 크기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에서는 VC30은 5877.53±319.24μm2, VC100은 4937.45±148.41μm2, VC300은 4379.46±253.20μm2, Garcinia100은 4367.58±141.32μm2으로 나타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 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천연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성분은 방풍나물 추출물 성분, 팥 추출물 성분, 국화 추출물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 중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성분은 팥 추출물 성분, 국화 추출물 성분에서 추출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성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팥 추출물 성분은 5 내지 30중량%를 함유하고, 국화 추출물 성분은 70 내지 9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팥 추출물 성분의 유효 성분은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이고, 상기 국화 추출물 성분의 유효 성분은 루테올린(Luteol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억제용 조성물로 인한 비만 억제 효과는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수반하는 것인, 비만 억제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억제 효과는 혈액 내 혈당(glucose) 및 렙틴(leptin)의 감소를 수반하는 것인, 비만 억제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비오틴, 엽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비타민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고, 셀레륨, 철, 요오드, 망간,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미네랄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8. (A)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과 상기 추출물의 3배 내지 4배되는 양의 증류수를 혼합하는 단계;
    (B) 80도 내지 100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상기 추출물을 고온 가열하여 천연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C)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B)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한 뒤, 저온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농축하고,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동결 건조 후 회수하는 단계;
    (D) 상기 동결 건조 후 회수된 물질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E) 비타민 성분 및 미네랄 성분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성분은 방풀나무 추출물 성분, 팥 추출물 성분 및 국화 추출물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건강 기능 식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과립, 정제, 파우더, 환, 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건강 기능 식품.
KR1020200121257A 2020-09-21 2020-09-21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KR10258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57A KR102582756B1 (ko) 2020-09-21 2020-09-21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57A KR102582756B1 (ko) 2020-09-21 2020-09-21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93A true KR20220038893A (ko) 2022-03-29
KR102582756B1 KR102582756B1 (ko) 2023-09-25

Family

ID=8099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257A KR102582756B1 (ko) 2020-09-21 2020-09-21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7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839A (ja) * 2003-07-31 2005-02-24 Toyo Shinyaku:Kk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KR101209889B1 (ko) 2010-05-14 2012-12-10 한국화학연구원 당귀의 주성분인 데쿠르신으로부터 합성된 유도체인 데쿠시놀 벤조에이트를 이용한 비만예방용 또는 비만치료용 조성물
KR20180042920A (ko) * 2016-10-19 2018-04-27 학교법인혜화학원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919980B1 (ko) 2017-03-16 2018-11-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치료제로서의 신규한 셀레노플라본 화합물
KR20200094435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비티씨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된 감국 효소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839A (ja) * 2003-07-31 2005-02-24 Toyo Shinyaku:Kk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KR101209889B1 (ko) 2010-05-14 2012-12-10 한국화학연구원 당귀의 주성분인 데쿠르신으로부터 합성된 유도체인 데쿠시놀 벤조에이트를 이용한 비만예방용 또는 비만치료용 조성물
KR20180042920A (ko) * 2016-10-19 2018-04-27 학교법인혜화학원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919980B1 (ko) 2017-03-16 2018-11-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치료제로서의 신규한 셀레노플라본 화합물
KR20200094435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비티씨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된 감국 효소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만 억제하고 지구력 향상시키는 선복화, 전주매일신문(2019.10.23), 인터넷(http://www.jjmaeil.com/news/view.asp?idx=105793&msection=3&ssection=90)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756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517B2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CN105920476B (zh) 防治阿尔茨海默病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amri The Influence of Two Types of Chia Seed on Some Physiological Parameters in Diabetic Rats.
KR101734979B1 (ko) 상백피, 차가버섯 및 고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치료 또는 전이 억제용 및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CN105770420A (zh) 一种具有抗癌作用的中草药剂及其制备方法
Salih et al. Antidiabetic action of alfalfa (Medicago sativa) leaves powder on type II diabetic patients
KR102483300B1 (ko)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f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개선용 조성물
CN105998652A (zh) 一种中药组合物、其应用与一种制剂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1532355B1 (ko) 배를 활용한 한약재 배합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7173B1 (ko) 인삼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5535267B (zh) 玫瑰茄-绿茶组合物在改善饮食诱导的代谢紊乱中的应用
KR20020092082A (ko) 자양강장제 조성물
EP1369123A1 (en) A health-care product comprising lotus rhizom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102136886B1 (ko) 굴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82756B1 (ko)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US20180193401A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CN109198635A (zh) 一种具有增强免疫力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20230064024A (ko)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 및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CN104585469B (zh) 一种对酒精性肝损伤具有保护作用的口香糖及其制备方法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5709210A (zh) 一种具有保护肝脏功能的保健食品
KR101908850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항비만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108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88212B1 (ko) 혈당을 개선할 수 있는 와송·여주 복합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