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485B1 - 산성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성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485B1
KR0168485B1 KR1019950038831A KR19950038831A KR0168485B1 KR 0168485 B1 KR0168485 B1 KR 0168485B1 KR 1019950038831 A KR1019950038831 A KR 1019950038831A KR 19950038831 A KR19950038831 A KR 19950038831A KR 0168485 B1 KR0168485 B1 KR 0168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extract
extracted
ginseng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914A (ko
Inventor
도재호
이종원
이성계
이형옥
성현순
이광승
Original Assignee
박명규
재단법인한국인삼연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규, 재단법인한국인삼연초연구원 filed Critical 박명규
Priority to KR101995003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485B1/ko
Publication of KR97001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485B1/ko

Links

Abstract

이 발명은 산성다당체가 다량 함유된 홍삼엑기스를 얻기위한 것임. 산성다당체가 다량 함유된 홍삼엑기스는 홍미삼이나 미삼을 70% 알콜로 추출하여 낸 홍미삼 또는 미삼박에 알파-아밀레이스를 처리하고 물로 추출한 추출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홍미삼을 추출하고 여과하여 제조함. 이 발명에 의하면 산성다당체가 다량 추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료인 홍미삼에 알콜을 처리하는 공정과 알파-아밀레이스를 처리하는 공정이 생략되고 최종 엑기스의 농축에 필요한 열에너지가 절약됨.

Description

산성다당체를 다량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산성다당체를 다량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알코올 추출 인삼박을 알파-아밀레이스로 처리한 후 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며 홍미삼을 추출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내에는 각기 다른 활성을 갖고 있는 여러가지 성분이 함유되고 있어서 한약재와 건강 식품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간암 또는 난소암환자의 복수나 악성 임파선 종양 환자의 늑막액에는 지방세포에서의 지방분해를 촉진하는 독소 호르몬(Toxohormone-L)이 조제하고 이 독소 호르몬은 지방분해 촉진 활성외에 환자의 식용부진을 일으켜 병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또한 이러한 독소 호르몬의 활성은 인삼내에 함유된 산성다당체(α-폴리 갈락튜론산이 주된 물질이고 그외 글루코오스, 램노우스, 아라비노우스등이 소량 결합된 펙틴과 유사한 분자량 34,600정도의 고분자 다당류)에 의하여 억제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러한 인삼내의 산성다당체를 추출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공업화 될 정도로 알려지지 않았고 따라서 전술한 질환의 치료에는 인삼을 직접 복용하거나 또는 인삼의 온수 추출액을 복용하여 왔다.
또한 인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온수 추출방법과 알콜 추출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알콜 추출방법은 특히 홍삼차 제조용 추출액을 얻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홍삼의 알콜 추출은 70%이상의 농도를 갖는 알콜을 이용하고 있다. 산성다당체는 알콜불용성이므로 50% 이하의 알콜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다량 추출되지만 50% 이상의 알콜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소량만이 추출되어 추출잔사인 인삼박에 다량의 산성다당체가 잔류하게 된다. 이와같이 산성다당체가 다량 함유된 알콜 추출 인삼박은 현재까지 거의 폐기되거나 퇴비등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 제93-23385호에는 인삼 또는 알콜 추출박으로부터 산성다당체를 분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70% 알콜로 추출한 인삼 또는 홍삼박을 온수로 추출하여 산성다당체를 고수율로 분리하도록 되었다. 전술한 방법에서는 원료로서 인삼이나 홍삼에서 알콜 가용성 활성성분을 추출하여 낸 잔사인 인삼박이나 홍삼박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산성다당체의 용도가 개발되면서 알콜가용성 유효성분보다는 산성 다당체만을 분리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홍삼 제조시의 부산물인 홍미삼은 거의 인삼차등 저 부가가치의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어서 홍미삼을 고부가 가치의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활용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인삼박에 함유된 산성다당체의 함량은 다음의 표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인삼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데 사용된 추출용매인 알콜의 농도에 의하여 큰 차이가 있다.
주 : 산성다당체 함량은 카바졸-황산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건조 인삼박 중량기준임.
전술한 표 1의 알콜추출 인삼박중의 산성다당체 함량 대비표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인삼추출에 사용된 알콜의 농도가 50% 이하인 경우에는 인삼박중의 산성 다당체함량이 작게 나타나고, 알콜 농도가 60% 이상인 경우 인삼박중의 산성다당체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다음의 표 2와 3에서 확인되는 바와같이 전술한 알콜 추출 인삼박을 물로 추출할 때 알파-아밀레이스로 처리한후 물로 추출하면 알파-아밀레이스 처리하지 않고 물로 추출한 경우나 다른 효소로 처리하고 물로 추출한 경우보다 산성다당체의 추출량이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전술한 표 1 내지 3에 따르면 홍미삼으로부터 직접 다량의 산성다당체를 함유하는 엑기스를 얻기 위하여는 모든 원료 홍미삼을 50% 이상의 알콜로 추출하여 알콜 추출 흥미삼박을 얻고 여기에 알파-아밀레이스를 처리한 다음 물로 추출하여야 함을 알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홍미삼으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성분이 알콜가용성 성분인 경우에는 유용하게 이용되지만 알콜가용성 활성성분을 추출할 필요없이 산성다당체만을 추출하고져 할때는 불필요한 알콜추출 공정과 알파-아밀레이스 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다량의 산성다당체를 추출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홍미삼을 원료로하여 다량의 산성다당체가 함유된 홍삼엑기스를 제조할 때 알파-아밀레이스로 처리된 알콜 추출 인삼박을 온수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홍미삼을 추출하면 홍미삼을 물만으로 추출한 경우 보다 다량의 산성다당체가 추출됨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미삼으로부터 다량의 산성다당체가 함유된 홍삼 엑기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콜 추출 인삼박을 알파-아밀레이스의 존재하에 물로 추출한 추출액을 사용하여 홍미삼을 추출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홍미삼으로부터 다량의 산성다당체가 함유된 엑기스를 추출하는 방법에서, 홍미삼의 추출 용매로서 홍미삼으로부터 추출한 알콜 추출 홍미삼박을 아파-아밀레이스의 존재하에 물로 추출한 추출액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다당체를 다량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홍미삼을 추출하는데 사용하는 추출용매는 인삼이나 홍삼을 60% 이상의 알콜로 추출하여 얻은 알콜추출 인삼박에 알파-아밀레이스를 처리한 다음 40-100℃의 온수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다. 전술한 홍미삼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추출액도 다량의 산성다당체를 함유하고 있는바, 이 추출액을 용매로하여 홍미삼을 추출하면 홍미삼을 온수만으로 추출한 경우보다 다량의 산성다당체가 추출되게 된다.
특히 홍미삼의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알콜 추출액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홍미삼박은 그 입도에 따라 산성다당체의 함량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게 되었다. 홍미삼박의 입도가 작은 것이 입도가 큰 것 보다 다량의 산성다당체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입도가 큰 홍미삼박을 작은 입도로 분쇄하면 오히려 분쇄하지 아니한 동일한 입도의 홍미삼박 보다도 다량의 산성다당체를 함유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홍미삼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추출액 제조에 사용되는 홍미삼박은 입도가 큰 경우에는 압착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홍미삼을 추출할 때 알콜로 추출하고 알파-아밀레이스를 처리하는 전단계 공정이 생략되고 최종 홍미삼 엑기스에는 용매로 사용한 추출액에 함유된 산성다당체에 홍미삼에서 추출된 산성다당체가 첨가되므로 최종 생성물인 엑기스의 산성다당체 농도가 현저하게 높아져서 고농도의 산성다당체 엑기스가 얻어지게 되므로 홍미삼 엑기스의 농축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홍미삼 추출 용매의 제조)
홍미삼을 70% 알콜로 추출한 1-8mm 직경의 홍미삼박 100g을 압착 분쇄하여 증류수 1500ml사 들어있는 반응조에 투입하고 80℃에서 1시간 동안 팽윤시킨다. 반응물의 온도를 40℃로 내리고 알파-아밀레이스 200mg을 가하여 10분동안 반응시킨 다음, 80℃로 온도를 상승시켜 1시간동안 추출하여 여과하고 추출액을 얻는다. 이 추출액은 27.22%의 산성다당체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성된 추출액은 다음공정의 홍미삼의 추출용매로 사용한다.
(홍미삼 추출)
앞에서 제조한 추출액 1000ml에 100g의 홍미삼을 가하고 80℃에서 3회추출하였다. 시험결과는 표 5에 기재한다.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홍미삼을 추출하였다. 시험결과는 표 5에 기재한다.
전술한 표에서 물로 추출한 엑시스는 홍미삼을 물로 3회 추출하여 농축한 엑기스이며, 본 발명에 따라 홍미삼박 추출물로 추출한 엑기스는 홍미삼을 홍미삼박 추출물로 3회 추출하여 농축한 엑기스이다.
흡광도는 0.1% 용액(건물비)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기한 표 5의 시험결과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엑기스의 양은 홍미삼박 물로 추출하였을 때 건물비로 약 38g이었으나, 박추출물을 이용하였을때는 120g이었다. 그리고 총 산성다당체의 량은 물로 추출한 엑기스에서 6.77g인데 반하여 홍미삼 추출물로 추출한 엑기스에서는 34.92g으로서, 홍미삼 추출물로 추출한 경우 총산성다당체의 양이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2)

  1. 홍미삼을 용매로 추출하여 산성다당체를 함유하는 홍삼 엑기스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홍미삼의 추출용매로서 약 60% 이상의 농도를 갖는 알콜로 홍미삼을 추출한 알콜추출 홍미삼박에 알파-아밀레이스를 홍미삼박의 양을 기준으로 0.05-20mg/g 처리하고 40-100℃의 물로 추출한 홍미삼박 추출액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산성다당체를 함유하고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2. 청구범위 1항에서, 홍미삼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추출액이 1-5mm 크기로 압착 분쇄된 홍미삼박을 물로 측정하여 여과한 추출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038831A 1995-10-31 1995-10-31 산성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KR016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831A KR0168485B1 (ko) 1995-10-31 1995-10-31 산성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831A KR0168485B1 (ko) 1995-10-31 1995-10-31 산성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914A KR970019914A (ko) 1997-05-28
KR0168485B1 true KR0168485B1 (ko) 1998-12-01

Family

ID=1943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831A KR0168485B1 (ko) 1995-10-31 1995-10-31 산성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4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54A (ko) * 2001-06-05 2002-12-12 (주)승우홍삼산업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e-홍삼
KR100415782B1 (ko) * 2002-01-30 2004-01-24 주식회사 일화 홍삼 농축액 제조 방법
KR100832321B1 (ko) * 2005-04-18 2008-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CN103893731A (zh) * 2014-04-15 2014-07-02 齐春发 治疗食管癌、胃癌、肝癌及脑肿瘤的中药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283B1 (ko) * 2000-01-05 2004-03-02 김형극 홍삼 엑기스 제조방법
KR20000030545A (ko) * 2000-03-02 2000-06-05 김형극 홍삼 엑기스 제조방법
CN114874352B (zh) * 2022-05-31 2023-01-24 天津中医药大学 一种红参hg型果胶的制备方法和结构表征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54A (ko) * 2001-06-05 2002-12-12 (주)승우홍삼산업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e-홍삼
KR100415782B1 (ko) * 2002-01-30 2004-01-24 주식회사 일화 홍삼 농축액 제조 방법
KR100832321B1 (ko) * 2005-04-18 2008-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CN103893731A (zh) * 2014-04-15 2014-07-02 齐春发 治疗食管癌、胃癌、肝癌及脑肿瘤的中药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914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Enzymolysis-ultrasonic assisted extraction,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corn silk
Tian et al. Ultrasonic-assisted extrac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lysaccharides recovered from whit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SU730277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азотсодержащих полисахаридов, обладающих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ым действием
US10835552B2 (en) Method for preparing linseed polysaccharide having antiviral activity and immunological activity, and use of the linseed polysaccharide
CN109833377B (zh) 一种油茶蒲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333222B (zh) 一种具有美白功效的珍珠天然活性肽及其提取方法和应用
Xia Preparation of the 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Flammulina velutip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CN110538112A (zh) 一种具有增强皮肤免疫屏障功能的光果甘草提取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haouch et al. Effect of pH during extraction on the antioxidant and antiglycated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Opuntia ficus indica
CN113024685A (zh) 一种低分子量竹荪菌托多糖及其制备方法与应用
Babamoradi et al. Optimization of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functional polysaccharides from common mullein (Verbascum thapsus L.) flowers
KR20110053235A (ko) 사포게닌 고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7119096B (zh) 一种滑菇活性肽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9400741A (zh) 一种灵芝孢子多糖的分离纯化方法
KR0168485B1 (ko) 산성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Jing et al.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between Kunlun Chrysanthemum flowers polysaccharides (KCCP) and fraction PII separ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CN113855599B (zh) 一种美白抗炎的牡丹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在化妆品中的应用
CN109160954B (zh) 一种香瓜茄酸性多糖及其提纯方法和用途
KR101963046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가공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727018B (zh) 一种人参提取物的提取方法
CN111944165A (zh) 一种多酚类酪氨酸酶抑制剂及其提取方法和应用
CN109744540A (zh) 一种黑蒜中类黑精的提取方法
CN110551777A (zh) 一种芦荟多糖的制备方法
CN114588184B (zh) 瓶尔小草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80842B1 (ko)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해조류로부터 다당류를 추출하는 방법, 동 방법에 의해 추출된 다당류 및 동 방법에 의해 추출된 다당류의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