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098B1 -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 Google Patents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098B1
KR101461098B1 KR1020120033573A KR20120033573A KR101461098B1 KR 101461098 B1 KR101461098 B1 KR 101461098B1 KR 1020120033573 A KR1020120033573 A KR 1020120033573A KR 20120033573 A KR20120033573 A KR 20120033573A KR 101461098 B1 KR101461098 B1 KR 101461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xtraction
saururus chinensis
gugija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073A (ko
Inventor
김병우
권현주
김철호
손병일
윤희정
정현영
Original Assignee
김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호 filed Critical 김철호
Priority to KR102012003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09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 내에서 부작용이 없으며 비만관련 질환인, 구체적으로 비만,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 약학적으로 이용 가능할 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및 육류 조리용 소스로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od compositions and meat source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related disease comprising extract of Lycium chinense, Houttuynia cordata and Saururus chinensi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식생활과 생활수준의 향상 및 스트레스로 인해 비만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만은 당뇨병, 동맥경화 등 다른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약물요법, 식이요법, 수술요법 등이 강구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질병관리본부의 조사에 의하면 한국의 19세 이상 성인 비만율은 1998년 26.3%에서 해마다 증가하여 2010년 30.4%에 이르고, 이와 같은 추세로 미루어 볼 때 2025년에는 한국의 성인 2명 중 1명이 비만환자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최근 비만도 하나의 질병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비만으로 인한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대장암, 관상동맥질환, 심장질환 등의 질병유발 가능성 때문에 그 심각성이 높은 질병이다. 식이성 비만은 고열량식이 및 고지방식이의 섭취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며 특히 식물성 지방보다 동물성 지방을 많이 섭취할수록 내장지방 축적 및 대사질환을 더 효율적으로 유도시킨다.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은 대부분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형태인데,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가 생체 내에 들어오면 가장 먼저 지방분해효소(lipase)에 의해 지방산과 글리세롤이라는 분자로 분해된 후, 이 분자들이 다시 분해 대사되거나 저장된다. 따라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첨가하면 체내의 지방 흡수율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식이요법의 일환으로 육류에 지방 분해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첨가하면 체내의 지방 흡수율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부작용 유발 가능성이 적은 천연물에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탐색하는 연구를 하던 중,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경우에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및 생체 내 비만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비만,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구기자"는, 학명은 Lycium chinense이며 가지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의 열매이다. 구기자나무의 열매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장과이고 건조시켰을 때에 겉이 쭈글쭈글하고 속에는 많은 씨가 들어 있다. 구기자나무의 열매의 성분은 베타인(betaine), 제아잔틴(zeazantin), 카로틴(carotene), 티아민(thiamine), 비타민 A, B1, B2,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어성초"는 학명은 Houttuynia cordata Thunb .이며 삼백초과에 속하며 약모밀이라고도 한다. 국내에서는 제조도와 울릉도, 남부지역의 습지와 중부지방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한방에서는 임질 또는 요도염의 치료에 사용하며 식물전체를 차로 만들어 마시면 동맥경화의 예방 및 이뇨작용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삼백초"는 학명은 Saururus chinensis ( Lour .) Baill.이며 천성초 또는 수목통이라고도 한다.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주로 물가에서 자라며 한국에서는 제주도에서 자란다. 당뇨병, 간장병, 각종 암, 심장병, 신장병 등 갖가지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각각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를 액체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용매로는 물, C1 내지 C4의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은 구기자의 열매, 어성초의 줄기 및 잎, 삼백초의 줄기 및 잎을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방식으로는 상온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증기 추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만,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은 비만관련질환들로서 비만이란 체내에 과다하게 많은 양의 체지방이 쌓여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비만은 죽상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뇌졸증, 폐색전증, 수면 무호흡증 및 암과 같은 생명 위협의 가능성이 있는 많은 질병에 대해 공지된 위험요소이다. 또한, 비만은 호흡기 질병, 골관절염, 골다공증, 쓸개 담낭 질병 및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수많은 임상적 질환을 합병증화한다.
본 발명은 비만 및 비만관련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예를 들어, 결장암, 직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담낭암), 월경 이상증, 불임증, 다낭성 난소증, 골관절염 및 수면 무호흡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식욕 및 음식 섭취조절, 이상지질혈증, 과중성지방혈증, 중상경화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의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 내에서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여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 복합물 투여에 의한 체중증가량, 식이효율, 혈중 비만관련지표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마우스의 체중이 감소하였고 식이효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의 무게 또한 체중 감소와 일치하게 적게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 복합물이 지질대사에 관련된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지질 대사의 개선으로 체중감량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3~1.5 : 1.5~0.5 : 1.5~0.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효성분이 증가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은 각각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 복합물의 비율을 다양화하여 지방분해 효소 저해 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서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에 지방분해효소 활성이 36 %로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각각의 지방분해효소 활성(47.1 %, 74 %, 68 %)보다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효과가 약 1.5 배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생체 내에서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한 마우스 실험 결과 생체 내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세 가지 유효성분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서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체중이 감소하였고 식이효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의 무게 또한 체중 감소와 일치하게 적게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는바, 체중증가 억제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복합 비율이 다른 경우와 비교하여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롤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송악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500 mg/kg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조성물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또한 상기 식품조성물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롤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이때,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품 100 중량%에 1 내지 15 중량% 포함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육류에 첨가하여 육류의 섭취시에 지방의 대사에 관여하는 지방분해효소(lip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을 육류에 첨가하여 함께 섭취하면 체내의 지방 흡수율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전체 소스를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육류 조리용 소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육류 조리용 소스는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3~1.5 : 1.5~0.5 : 1.5~0.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은 구기자 열매, 어성초 가지와 잎, 삼백초 가지와 잎을 사용하여,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배 내지 75배의 중량비로 물을 첨가하고, 70℃ 이상 10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열수 추출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육류 조리용 소스는 간장, 청주, 후추, 양파즙, 마늘, 생강분말 또는 생강즙, 참기름, 배즙, 설탕, 통깨, 토마토 페이스트, 식초, 정제염, 고추장, 고춧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양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육류는 쇠고기, 돼지고기, 오리, 닭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만,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에 효과적인 천연 추출물로서, 비만,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로 약학적으로 이용 가능할 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육류 조리용 소스로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각각의 지방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의 지방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체중 감소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식이효율의 감소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마우스에서의 혈중 GOT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마우스에서의 혈중 GPT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마우스에서의 혈중 TG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마우스에서의 혈중 전체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마우스에서의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마우스에서의 혈중 LDL-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마우스에서의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마우스에서의 지방조직의 무게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복합물 처리군, 고지방식이 섭취군, 정상식이군의 마우스에서의 장기 무게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제조
구기자 열매, 어성초의 가지와 잎, 삼백초의 가지와 잎으로 이하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각각에 대해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100 g에 물을 넣고, 75 ℃에서 3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추출물을 여과지(Advantec에서 구입, 110 mm)에 여과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복합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각각의 열수추출물을 -80 ℃에서 3 시간 동안 동결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분말화된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추출물 각각을 35 g/l의 농도로 물에 녹인 후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를 각각 1:1:1, 2:1:1, 1:2:1, 1:1:2로 혼합하여 복합물1, 복합물2, 복합물3, 복합물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돼지고기 양념 소스의 제조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가 2:1:1 혼합비로 혼합된 복합물 2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배합비로 필요한 다른 일반 양념 재료와 배합하여 돼지고기(삽겹살) 1000그램에 대한 조리용 양념 소스를 제조하였다.
추출 성분 나머지 성분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추출물 2:1:1 혼합물 200 ml 진간장 6큰술, 설탕 1큰술, 후추, 청주, 물엿 약간씩, 다진마늘 1큰술, 생강즙 1작은술, 양파즙 4~5큰술, 참기름 2큰술, 배즙 3큰술, 통깨 1작은술
실험예 1: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각각의 지방분해 효소 억제 ( lipase inhibitor) 효능 확인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각각이 지방분해 효소 활성 저해능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30 unit의 췌장 지방분해 효소 (Type , porcine pancreas, Sigma, L3126, 0.25 g/mL)와 5 mM 4-나이트로페닐 도데카노에이트 (4-Nitrophenyl dodecanoate) (Sigma-Aldrich Co., St. Louis, Missouri, USA)를 기질로하여 지방분해 효소 활성을 확인하였다.
에펜도르프 튜브(eppendorf tube)에 증류수 170 ㎕, 500 mM CaCl2 2 ㎕, 기질(5 mM 4-나이트로페닐 도데카노에이트) 10 ㎕, Tris-HCl (pH 7.5) 10 ㎕씩 넣고 균질화한 후 37 ℃에서 5 분간 반응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증류수 174 ㎕를 넣고 기질 대신 MeOH 10 ㎕를 첨가하였다. 이후 실험군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추출물 각각 4 ㎕와 췌장 지방분해 효소 8 ㎕(30 unit)를 넣고 10 분간 선반응하였다. 선반응물 12 ㎕를 반응용 튜브에 넣고 균질화한 후 37 ℃에서 10 분 반응 후 20% SDS 3 ㎕를 넣어 반응을 정지하였다.
이후 15,000 rpm, 4 ℃에서 15 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새로운 튜브에 옮겨 41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구기자 열수추출물 첨가군의 지방분해 효소 활성이 증류수를 첨가한 대조군에 비해 47.1 %로 지방분해 효소 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고, 어성초, 삼백초 첨가군도 각각 74 %, 68 % 로 지방분해 효소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실험예 2: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복합물의 지방분해 효소 억제 ( lipase inhibitor) 효능 확인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복합물의 지방분해 효소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복합물1, 복합물2, 복합물3, 복합물4를 사용하여 지방분해 효소 억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각 복합물의 지방분해 효소 활성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복합물1, 복합물2, 복합물3, 복합물4의 지방분해 효소 활성은 증류수를 첨가한 대조군에 비해 각각 64 %, 36 %, 42 %, 70 %로 지방분해 효소 활성을 보였고, 복합물 2의 경우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단독의 지방분해 효소 억제 효과보다 더 높은 억제효과를 보여 이들 물질의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실험예 3: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복합물 동물실험을 통한 항비만 활성 확인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복합물이 생체내에서도 비만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를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는 쥐에 투여하여 항비만 효능을 확인하였다.
1)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
실험동물은 5 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1 주일 동안 케이지에 넣어 사육실 온도 21±2 ℃, 상대습도 55±5 %를 유지시키고 12 시간 간격으로 light cycle을 유지하여 사육하였다. 처음 1 주는 정상식이를 제공하면서 적응 시킨 후, 3 개군으로 나누어 1 군은 정상식이, 2 군은 고지방식이 사료를 공급하였고, 3 군은 고지방식이를 공급하면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복합물2를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는 10 mg/ 250 ㎕/ mouse/ day의 농도로 일정시간에 실시하였다. 3 개군 모두 자유식으로 먹게 하며 식수도 자유로이 섭취시켰다. 각 군당 마리수는 4 마리씩 배정하였고 5 주동안 실험하였다.
2)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복합물의 체중 감소 효과
실험동물의 체중은 2일에 한 번씩 비슷한 시간에 측정하였다. 5 주 동안 체중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식이군이 정상식이군보다 체중이 높게 측정되어 비만이 유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실험 시작 후 20일의 체중은 정상식이군 23.6±0.4 g, 고지방 식이군 27.3±1.9 g, 복합물 투여군 25.8±0.5 g으로 복합물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이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체중이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32일째에 체중이 정상식이군 25.2±0.7 g, 고지방식이군 30.7±2.6 g, 복합물 투여군 28.1±0.9 g으로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복합물 투여군의 체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식이효율 측정
실험 기간동안 실험동물의 체중과 사료 섭취량을 2일에 한번씩 측정하여 식이효율을 계산하였다. 식이효율은 최종 체중 증가량을 총 사료 섭취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식이효율(feeding efficiency ratio, %) = (체중증가량(g)/ 사료섭취량(g)) × 100
식이효율의 공식에서와 같이 사료를 섭취하는 양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의 증가가 적다는 것은 비만조절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식이효율은 비만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 사용가능하고, 식이효율의 수치가 적을수록 비만 조절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2:1:1 복합물의 투여군의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4). 따라서, 구기자, 어성초, 삼백초 2:1:1 복합물은 비만 조절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채혈과 장기 및 지방조직 채취
혈액 채취는 실험 시작 5 주 후 12 시간 절식한 뒤 디에틸 에테르로 마취한 다음 개복하여 복부 내 정맥에서 혈액 1 ml를 채취하였으며, 1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여 -20 ℃에서 보관하고 혈액생화학분석기를 사용하여 혈장의 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트란스아미나제(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글루타민산-피부루산 트란스아미나제(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트리글리세라이드 (TG; triglyceride), 전체 콜레스테롤 (TC), 고비중지단백-콜레스테롤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저비중지단백-콜레스테롤 (L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글루코스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액을 채취한 후 즉시 부검하여 지방조직, 간장, 비장, 심장과 신장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들의 크기와 색깔을 관찰하였다.
(4-1) 혈중 GOT와 GPT 농도
실험 시작 5주 후 혈장 내 GOT와 GPT의 양을 측정한 결과(도 5 및 도 6), 복합물 처리군 값이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상식이 섭취군보다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합물에 의한 간독성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2) 혈중 TG 농도
실험시작 5주 후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도 7), 복합물 처리군에서 50.3±9.07 U/l로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3) 혈중 전체 콜레스테롤 농도
실험시작 5주 후 혈장 내 전체 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복합물 처리군에서는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8).
(4-4)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
실험시작 5주 후 혈장 내 HDL-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복합물 처리군에서는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9).
(4-5) 혈중 LDL-콜레스테롤 농도
실험시작 5주 후 혈장 내 LDL-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복합물 처리군에서는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0).
(4-6) 혈중 글루코스 농도
실험시작 5주 후 혈장 내 글루코스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 값이 복합물 처리군에서는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매우 낮아 정상식이 섭취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도 11).
(4-7) 지방 무게
5주 동안 복합물을 투여한 후 부검하여 복부지방조직과 후복벽 주변 백색지방조직을 적출하여 지방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복합물 처리군에서 지방조직의 무게가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2). 따라서 복합물에 의한 체중감소 효과와 일치하게 지방조직무게의 감소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8) 장기의 무게
실험 종료 후 부검시 간장(Liver), 심장(Heart), 비장(Spleen), 신장(Kidney)의 무게를 확인한 결과 장기의 무게는 정상식이군과 큰 차이가 없었고 따라서 복합물을 처리하여도 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8)

  1.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3~1.5 : 1.5~0.5 : 1.5~0.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은 각각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를 물, C1 내지 C4의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는 각각 구기자의 열매, 어성초의 줄기 및 잎, 삼백초의 줄기 및 잎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상온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증기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3~1.5 : 1.5~0.5 : 1.5~0.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은 각각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를 물, C1 내지 C4의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는 각각 구기자의 열매, 어성초의 줄기 및 잎, 삼백초의 줄기 및 잎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상온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증기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육류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조성물.
  16.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3~1.5 : 1.5~0.5 : 1.5~0.5 중량비로 전체 소스를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육류 조리용 소스.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어성초 및 삼백초 추출물을 2 :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조리용 소스.
KR1020120033573A 2012-03-30 2012-03-30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KR101461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573A KR101461098B1 (ko) 2012-03-30 2012-03-30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573A KR101461098B1 (ko) 2012-03-30 2012-03-30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073A KR20130111073A (ko) 2013-10-10
KR101461098B1 true KR101461098B1 (ko) 2014-11-12

Family

ID=4963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573A KR101461098B1 (ko) 2012-03-30 2012-03-30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0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85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웰파인 항비만용 복합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5192A (ko)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웰파인 삼백초추출물과 녹차추출물이 포함된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8029A (zh) * 2014-11-28 2016-06-22 韩国韩医学研究院 含有三白草、姜黄及远志的复合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肥胖的药学组合物
CN107961288A (zh) * 2017-12-14 2018-04-27 西安交通大学 鱼腥草水提取物在制备改善主动脉内皮细胞功能的药物中的应用
KR102273428B1 (ko) * 2019-06-14 2021-07-07 마루온 주식회사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450A (ko) * 2000-09-21 2002-03-29 이명석 기능성이 부여된 소-스의 조성물 및 그 제법
KR20100004328A (ko) * 2008-07-03 2010-01-13 성숙경 항당뇨 활성을 갖는 어성초 혼합 추출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450A (ko) * 2000-09-21 2002-03-29 이명석 기능성이 부여된 소-스의 조성물 및 그 제법
KR20100004328A (ko) * 2008-07-03 2010-01-13 성숙경 항당뇨 활성을 갖는 어성초 혼합 추출액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황은영 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8권, 제11호, pp.1528-1534 (2009년 11월) *
황은영 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8권, 제11호, pp.1528-1534 (2009년 11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85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웰파인 항비만용 복합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5192A (ko)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웰파인 삼백초추출물과 녹차추출물이 포함된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073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sar‐Abbas et al. Carob kibble: A bioactive‐rich food ingredient
KR101651907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1098B1 (ko)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KR102110040B1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3812B1 (ko)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6804B1 (ko)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4432069B2 (ja) 肥満抑制剤
KR20090025638A (ko)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21447B1 (ko) 삼백초, 강황 및 원지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7519715A (ja) ケンボナシ抽出物、ダンコウバイ抽出物、またはその混合生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組成物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7770B1 (ko)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05310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65232B1 (ko)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1341B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6299B1 (ko) 도화 및 하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5452A (ko) 도화 및 하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4217B1 (ko) 모로오렌지주스 및 와일드망고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590726B1 (ko) 목질진흙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린신 에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40064067A (ko) 초피 및 흑호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