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232B1 -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232B1
KR101565232B1 KR1020140004568A KR20140004568A KR101565232B1 KR 101565232 B1 KR101565232 B1 KR 101565232B1 KR 1020140004568 A KR1020140004568 A KR 1020140004568A KR 20140004568 A KR20140004568 A KR 20140004568A KR 101565232 B1 KR101565232 B1 KR 101565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ker
extract
present
liver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4488A (ko
Inventor
권정숙
손건호
이창호
김욱동
손재선
이정순
문종태
임지음
한명구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자원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자원개발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자원개발원)
Priority to KR1020140004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2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지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부지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ver diseases comprising extract of Aster glehni}
본 발명은 간 질환, 특히 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 경제성장으로 국민 생활수준이 향상됨으로 만성퇴행성 질환의 발병률이 증가되고 주요사망원인으로 대두되면서 병의 치료보다는 예방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특히 이들 질병의 발병 주요원인으로 식습관이 지적되면서 식물성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식물성 소재로부터 다양한 생리기능성 성분을 찾아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체의 중요한 장기인 간은 인체의 약 5%정도를 차지하는 비교적 큰 기관으로서, 물질대사의 해독 및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물질을 생성, 저장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생체 이물질들은 간의 대사를 통해 비활성화되어 배설되거나 혹은 활성이 강한 물질로 대사되어 독성을 유발하는데, 이는 간의 대사 능력에 따라 좌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 혈당조절, 단백질 합성 및 분해, 콜레스테롤 합성, 비타민 대사 및 저장, 호르몬 등의 대사를 조절한다. 간은 매우 큰 완충작용이 있어 간 질환이 있더라도 초기에는 잘 느끼지 못하나 상당히 진전된 후에야 진단이 되는 특징이 있다.
지방간은 의학적으로 지방이 전체 간 무게의 5% 이상을 초과하는 병적 상태를 의미하는데, 과음으로 인한 알콜성 지방간(alcoholic steatohepatitis, ASH)은 비알콜성 지방간과 함께 간염, 간경변 및 간암 등의 간질환으로 악화될 위험성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 현재 지방간을 약물학적으로 치료하는데 유용한 약제는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운동과 식이요법이 권장되고 있으나, 실제로 이러한 방법에 의한 지방간의 치료효율은 매우 낮아서 유효한 치료제 또는 건강 기능성 조성물 개발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요구를 반영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성 지방간의 억제효과를 갖는 부지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건강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지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또는 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부지깽이 나물의 기능성 성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놀랍게도 부지깽이 추출물이 우수한 간보호 활성, 간 조직내에서 중성지방 축적 억제효과 및 간암세포 성장 저해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또는 기능 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부지깽이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독특한 향기를 가지는 정유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뇨 및 천식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Do BS, Lim RJ (1988) Wild plants Ulleung islands. Science Publishing Company, Seoul, p 672).
본 발명의 약학적 및 기능 식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부지깽이 추출물은 물, C1-C10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CH2Cl2, 헥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공지의 추출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추출온도는 추출용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5 내지 100℃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선별하여 적절한 크기로 다듬어진 부지깽이를 중량 기준으로 약 1 내지 50배 분량의 물, 에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10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예컨대 5℃ 내지 100℃에서 약 1 내지 100시간 동안 교반추출, 열탕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농축 또는 건조하여 부지깽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추출물을 물 또는 C1-C10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CH2Cl2, 헥산 등의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더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지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화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부지깽이 추출물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보조 생약제,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및 기타 의약용-식품용 보조제(예컨대, 부형제, 증강제, 코팅제 등)등이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부지깽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다양한 간질환, 예컨대, 지방간, 간염, 간경변 및 간암, 특히 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부지깽이 추출물을 그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의약품 제조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가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오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한 부지깽이 추출물의 환자 투여량, 투여 횟수 및 투여시간 등은 환자의 성별, 나이, 상태, 체중, 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감하고 조절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1일 3회 식간에 투여하며, 1회 10 mg 내지 100 m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부지깽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지방간, 간염, 간경변 또는 간암과 같은 간질환 또는 숙취 증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이란 직접 섭취가능한 상태의 것뿐 아니라, 식료품, 식품첨가물, 식품재료 등을 포함하는 총괄적인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상기 부지깽이 추출물을 단독으로 직접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숙취나 간질환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되는 공지의 물질 또는 새로운 물질을 첨가하여 상승작용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식용색소, 식용향료, 생약초, 과일, 올리고당, 키토산, 구연산 등의 일반적인 첨가제를 사용하여, 좋은 맛과 향을 내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이 포함된 기능성 식품으로는 빵, 떡류, 건과류, 캔디류, 초콜릿류, 츄잉껌, 쨈류와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류, 빙과류, 아이스크림 분말류와 같은 아이스크림 제품류; 우유류, 저지방 우유류, 유당분해우유, 가공유류, 산양유, 발효유류, 버터유류, 농축유류, 유크림류, 버터유, 자연치즈, 가공치즈, 분유류, 유청류와 같은 유가공품류; 식육가공품, 알가공품, 햄버거와 같은 식육제품류; 어묵, 햄, 소세지, 베이컨 등의 어육가공품과 같은 어육제품류; 라면류, 건면류, 생면류, 유탕면류, 호화건먼류, 개량숙면류, 냉동면류, 파스타류와 같은 면류; 과실음료, 채소류음료, 탄산음료, 두유류, 요구르트 등의 유산균음료, 혼합음료와 같은 음료; 간장, 된장, 고추장, 춘장, 청국장, 혼합장, 식초, 소스류, 토마토케첩, 카레, 드레싱과 같은 조미식품; 마가린, 쇼트닝; 및 피자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은 간보호 활성, 간 조직내에서 중성지방 축적 억제효과 및 간암세포 억제활성을 나타내므로, 각종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은 알코올성 지방간 억제효과가 현저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지깽이 추출물의 제조
<1-1> 부지깽이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부지깽이 13.38 kg(울릉도, 울릉청정식품)을 잘 세절하고 에탄올 30L을 가하여 60℃에서 3회 환류 추출하고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 2134.64g을 수득하였다.
<1-2> 부지깽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부지깽이 에탄올 추출물에 12배 정도의 물을 가하여 녹인 후 동량의 헥산을 가하여 헥산 추출물 378.09g을 수득하였다. 수득 된 물층에 다시 CH2Cl2을 넣고 분별 추출하였다. 수득된 물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분별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89.22g을 수득하였다.
참고예 1: 실험동물 사육 및 실험식이
Sprague-Dawley계 흰 쥐(170±10g) 수컷을 대한바이오링크(주)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간 적응시킨 후 6마리씩 총5군으로 나누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식이로서 대조군은 Lieber De Carli Control diet를 급여하고, 에탄올 식이군은 알콜성 지방간 유발사료인 Lieber De Carli Ethanol diet를 급여하였다. 이들 사료로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에탄올 식이군은 에탄올(5%)을 식이에 더 첨가하여 4주간 투여하여 간독성을 유도하였다. 에탄올 식이군들이 에탄올로부터 공급받는 열량만큼, 대조군의 식이에는 말토스 덱스트린(maltose dextrin)으로 대체되었다. 에탄올 식이군 중 에탄올(5%)만을 첨가한 실험군을 에탄올 대조군으로 하고, 실시예 1-2의 부지깽이 추출물 500ppm 및 1000ppm을 에탄올에 녹여 식이에 섞고 총 첨가되어야 할 에탄올(5%) 양에서 추출물 양을 뺀 나머지 양만큼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농도를 맞추어 투여한 군들을 부지깽이 추출물 투여군으로 하였다. 비교군으로 간보호작용이 알려져 있는 실리마린 500ppm을 부지깽이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급여하였다. 이들 식이는 매일 공급 직전에 조제하고 4주간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일주일에 두 번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였으며, 식이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다. 사육실 환경은 24±2℃, 습도 55±5%로 유지하고 명암은 12시간 주기로 일정하게 조절하였다. 각 시료별 실험군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식이
대조군 Lieber De Carli Control diet
에탄올 대조군 Lieber De Carli Ethanol diet+ 에탄올(5%)
부지깽이 500 ppm 투여군 Lieber De Carli Ethanol diet+ 에탄올(5%)+부지깽이 추출물 500 ppm
부지깽이 1000 ppm 투여군 Lieber De Carli Ethanol diet+ 에탄올(5%)+부지깽이 추출물 1000 ppm
실리마린 500 ppm 투여군 Lieber De Carli Ethanol diet+ 에탄올(5%)+실리마린 500 ppm
참고예 2: 시료 채취
실험식이를 공급하고 4주 후에 동물을 12시간 절식시킨 후 CO2 가스로 마취시켜 개복한 후 복부대동맥을 통해 채혈하고, 원심분리(3,000 rpm, 20분)하여 혈장과 적혈구를 분리한 후 -70℃에 보관하였다. 간을 적출하여 생리식염수로 헹군 후 수분을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간조직을 일부 잘라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에 담궈 12-24 시간 고정한 후 간조직검사에 이용하였다.
참고예 3: 통계처리
자료 분석은 SPSS 21.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Chicago, IL, USA) PC package를 이용하였다.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각 변수에 대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정으로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적용하였으며 α=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실험예 1: 체중변화 및 체중당 간 무게의 변화 측정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 투여 4주 후, 실험동물들의 체중변화 및 간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증체량(g/day) 체중 100g 당간 무게 (g/100g bw)
대조군 4.16 ± 0.32a 2.67 ± 0.11a
에탄올 대조군 3.62 ± 0.19b 3.26 ± 0.22b
부지깽이 500 ppm 투여군 3.67 ± 0.23 b 3.47 ± 0.28b
부지깽이 1000 ppm 투여군 3.71 ± 0.21 b 3.31 ± 0.22b
실리마린 500 ppm 투여군 3.56 ± 0.32 b 3.35 ± 0.16b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체중증가량 및 간 무게에 있어서 본 발명의 부지깽이 투여군은 에탄올 대조군 및 비교군인 실리마린 투여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 투여 4주 후, 실험동물들의 간 조직 내 지방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간 조직 내 지방 함량은 실험동물의 동일부위에서 채취하여 수득한 간조직 시료로 슬라이드를 제작 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Image-Pro  Plus ver 4.5(Media Cybernetics inc., Georgia,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 지방(%)
에탄올 대조군 12.71 ± 4.21b
부지깽이 500 ppm 투여군 8.56 ± 3.41ab
부지깽이 1000 ppm 투여군 5.18 ± 5.12a
실리마린 500 ppm 투여군 8.77 ± 2.22ab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 1000ppm 투여군의 간 지방 함량은 5.18%로 에탄올 대조군 12.71%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비교군인 실리마린 투여군에 비해서도 낮은 수치의 간 지방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이 에탄올 유도 지방간 모델에서 간조직내 지방 함량을 감소시켜 지방간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혈장의 지질농도 변화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을 투여한 동물의 혈장 지질 농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TG는 총 중성지방, TC는 총 콜레스테롤, HDL은 고밀도 콜레스테롤, LDL은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나타내며 단위는 mg/dl로 나타내었다. 한편, TC/HDL는 심장병위험지수(CRF)지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값의 감소는 동맥경화,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예방효과를 의미한다.
실험군 TG TC HDL LDL TC/HDL
(CRF)
대조군 67.25± 1.70a 75.51± 7.30a 18.74± 1.48a 47.41± 7.16a 4.04 ± 0.33ns
에탄올 대조군 98.37±11.70b 105.82±18.54b 22.66± 2.99ab 75.58±11.90c 4.88 ± 0.52ns
부지깽이 500ppm 투여군 125.00±32.12b 92.03±18.48ab 21.19± 3.95ab 49.02±17.69a 4.37 ± 0.67ns
부지깽이 1000ppm 투여군 97.14±12.20b 93.34±17.49ab 23.28± 4.20b 56.19 18.84ab 4.32 ± 1.31ns
실리마린 500ppm 투여군 92.89±11.34b 107.54±6.15b 23.91± 2.62b 68.23±4.34bc 4.53 ± 0.39ns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혈장 총콜레스테롤은 에탄올 대조군 및 실리마린 비교군에 비해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 각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LDL 콜레스테롤의 경우, 에탄올 대조군 및 실리마린 비교군에 비해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의 투여가 혈액의 지질 대사 개선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혈장 트랜스아미나제 활성 확인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을 투여한 동물의 혈장내 트랜스아미나제 즉, GOT·GPT·감마-GT 활성을 혈청 Transaminase 측정용 시약(AM101-K, 아산제약, 한국)으로 측정 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GOT(Karmen U) GPT(Karmen U) 감마-GT (mU/ml)
대조군 78.00 ± 0.00a 41.75 ± 2.36a 28.93 ± 1.08b
에탄올 대조군 107.00 ± 7.10b 89.17 ± 13.23b 26.88 ± 2.08b
부지깽이 500ppm 투여군 111.20 ± 8.67b 83.20 ± 13.86b 25.90 ± 3.19ab
부지깽이 1000ppm 투여군 84.70 ± 23.42a 83.20 ± 13.86b 23.03 ± 1.79a
실리마린 500ppm 투여군 108.67 ± 7.15b 85.25 ± 12.47b 26.09 ± 3.23ab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GOT활성 및 감마-GT 활성은 부지깽이 1000 ppm 투여군이 에탄올 대조군 및 실리마린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GPT활성은 모든 식이첨가로 인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은 에탄올에 의한 간손상을 감소시키며, 또한 부지깽이의 섭취로 인한 간 조직 손상도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5: 항산화활성효과 확인
5-1) DPPH 라디칼 소거능 확인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200 uM의 DPPH 용액 200 ㎕와 다양한 농도(10∼500 ㎍/ml)의 실시예 1-2의 부지깽이 추출물 50 ㎕를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용액과 용매(DMSO)만 사용한 대조군에 대한 시료의 DPPH 라디칼 소거율(%)을 아래 식으로 계산하고, 50%의 소거율을 나타내는 농도(IC50)를 산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이 알려져 있는 비타민 C와 비타민 E를 비교군으로 사용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식 1]
Figure 112014003769497-pat00001
IC50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 10.6 ㎍/ml
비타민 C 10.0 ㎍/ml
비타민E 20.6 ㎍/ml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물질로 알려진 비타민 C와 유사하며, 비타민 E보다 더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5-2)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능
시험관에서 H2O2(1 μM)와 FeSO4(50 mM)의 반응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생성시키고 형광성 프로브인 디클로로플루오로신 디아세테이트(DCF-DA, 20 μM)와 실시예 1-2의 부지깽이 추출물 시료(50 ug/ml)를 첨가한 후, 하이드록실 라디칼에 의해 DCF-DA가 디클로로플루오로신(DCF)으로 전환되는 정도를 15분 동안 형광광도계 (ex 365 nm/em 435 nm)(F-4500, Hitachi, Tokyo, Japan)로 측정하였다. 시료의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능이 클수록 DCF 생성량이 감소한다. 시료 용매(DMSO)만 사용한 대조군에 대한 시료의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율(%)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비타민 C를 비교군으로 사용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식 2]
Figure 112014003769497-pat00002

소거율(%)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 81.1
비타민 C 89.6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은 비타민 C 와 비슷한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5-3)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형광성 프로브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의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크산틴(400 uM)과 크산틴 옥시다제(0.03 U)의 반응으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을 생성시키고 형광성 프로브인 디하이드로에티디움(DHE, 100 uM)와 실시예 1-2의 부지깽이 추출물 시료(50 ug/ml)를 첨가한 후, 슈퍼옥사이드에 의해 DHE가 에티디움 플루오레센스으로 전환되는 정도를 15분 동안 형광광도계 (ex 488 nm/em 605 nm)(F-4500, Hitachi, Tokyo, Japan)로 측정하였다. 시료 용매(DMSO)만 사용한 대조군에 대한 시료의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율(%)을 아래 식으로 계산하였다. 비교군으로 비타민 C(50 ug/ml)를 사용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식 3]
Figure 112014003769497-pat00003
소거율(%)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 30.5
비타민 C 79.7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은 비타민 C보다는 낮지만 우수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6: 암세포 성장 저해능 확인
간암세포인 HepG2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5×103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이 지나 세포가 정착한 후, 최종 농도 200 및 1000의 실시예 1-2의 부지깽이 추출물 시료를 배지(DMEM, Gibco)와 함께 투여하여 48 내지 72 시간 배양였다. 그 후 MTT 스톡솔루션을 PBS로 5배 희석하여 각 웰당 50 μl씩 투여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4 내지 6시간 경과 후,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에 150 μl씩 DMSO를 첨가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5 내지 1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96-웰 플레이트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del 550, BIO-RAD, USA)로, 540 내지 580 nm의 범위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TT시약은 세포내에서 미토콘드리아 데하이드로게나제에 의해 노란색의 수용성 MTT가 보라색의 MTT 포마잔 염료를 형성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을 평가한다. 암세포의 성장 저해 정도는 시료용매만 투여한 대조군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었다(Mosmann, 1983). 비교군으로 실리마린을 사용하였다. 간암세포의 성장저해율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200㎍/ml 1000㎍/ml
실리마린 48hr 4.3% 33.2%
72hr -6.4% 32.7%
부지깽이 추출물 48hr 4.7% 28.3%
72hr 7.4% 81.3%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은 200 ug/ml 농도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4.7%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실리마린은 동일 조건에서 4.3%의 저해를 보였다. 특히 본 발명의 부지깽이 추출물은 1000 ㎍/ml의 농도로 72시간 배양한 경우에는 실리마린 보다 훨씬 높은 간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5)

  1. 부지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지깽이 추출물은 물, C1-C10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CH2Cl2, 헥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부지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140004568A 2014-01-14 2014-01-14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65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568A KR101565232B1 (ko) 2014-01-14 2014-01-14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568A KR101565232B1 (ko) 2014-01-14 2014-01-14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488A KR20150084488A (ko) 2015-07-22
KR101565232B1 true KR101565232B1 (ko) 2015-11-02

Family

ID=5387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568A KR101565232B1 (ko) 2014-01-14 2014-01-14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82B1 (ko) * 2016-09-23 2020-03-0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KR20210091450A (ko) * 2020-01-14 2021-07-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약학회지. 1990. 21(3), pp.255. PB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5. 34(1), pp.8-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488A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4281C (en) A muscle atrophy inhibitor
KR101651907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2524522A (ja) 高血中脂質濃度に因る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ルチンおよびケルセチンを含む組成物
KR20060022668A (ko) 고급지방산 유도체 함유 조성물 및 음식물
JP5261808B2 (ja) 脂肪蓄積抑制剤、医薬品及び脂肪蓄積抑制作用を新たに付与する方法
KR101621447B1 (ko) 삼백초, 강황 및 원지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0507275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2233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1098B1 (ko)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KR102041852B1 (ko) 벼메뚜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027361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2018070570A (ja) クロモジ抽出物
KR101565232B1 (ko)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04351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2019005310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21176B1 (ko) 삼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98883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101692604B1 (ko) 저속으로 추출한 석류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2524478A (ja) 高脂血および高血糖値に因る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ネオヘスペリジンジヒドロカルコンを含む組成物
KR101629642B1 (ko)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JP2021061789A (ja) 食品組成物および飼料組成物
JP7224008B1 (ja) 経口組成物
KR101533910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