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827B1 -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함유하는 기능성식품 - Google Patents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함유하는 기능성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827B1
KR100596827B1 KR1020030100576A KR20030100576A KR100596827B1 KR 100596827 B1 KR100596827 B1 KR 100596827B1 KR 1020030100576 A KR1020030100576 A KR 1020030100576A KR 20030100576 A KR20030100576 A KR 20030100576A KR 100596827 B1 KR100596827 B1 KR 10059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llinus
red ginseng
functional food
food additive
myce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497A (ko
Inventor
홍남두
조수묵
유재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신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신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신약
Publication of KR20040086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및 펠리누스 속(Phellinus sp.)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은 면역력 증강, 항암, 항스트레스 및 혈장 콜레스테롤 감소 작용 등에 관여하는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치료 및 예방의 건강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함유하는 기능성식품{Functional food containing ginseng steamed red and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mycelium of Phellinus sp. strain}
본 발명은 홍삼 및 펠리누스 속(Phellinus sp.)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홍삼은 국내에서 제조되기 시작한 것이 1,000 년이 넘는 것으로 전해지며, 1123년 간행된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인삼지간 역유생숙이등(人蔘之幹 亦有生熟二等) 등"이라 하여 인삼을 증숙(蒸熟)한 것과 날것(백삼을 가리킴)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 홍삼은 "인삼을 증숙 또는 팽숙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인삼의 녹말을 호화한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되고 있다.
홍삼의 주요 성분으로는 배당체(glycosides), 인삼향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 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스와 피로 저향력 증진, 면역기능 증진, 항산화 및 노화억제, 뇌기능 증진, 간기능 증진, 심근과 혈관기능을 개선시키며, 암, 간질환, 당뇨, 혈관장애, 위장병, 갱년기 장애, 골다공증, 발기부전, 치매, 우울증, 신경불안증, 뇌졸중,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다.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소련 과학 아카데미의 약리학자인 Brekhman이 제창한 어댑토겐(adaptogen:適應素) 효과로서 '비정상의 신체적 조건을 비특이적으로 정상화시켜 준다'는 이론이다. 상기 이론은 홍삼이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각종 스트레스 및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病)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즉, 홍삼 등의 인삼은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각종 유해한 환경에 대한 신체적 적응 능력의 향상과 피로회복을 촉진하고, 더위 또는 추위 등의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인체실험을 통해서 운동 수행능력과 피로회복 촉진 효과가 제시되었으며, 스트레스에 의한 면역기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기능도 수행함을 제안하였다.
한편, 상황은 한방에서 오래 전부터 각종 질병, 특히 종양에 대한 치료효과 가 알려져 온 귀중한 약제중의 하나로, 펠리누스 린테우스라 불리우는 담자균류의 일종이다. 그러나, 상황이 종양의 치료에 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지 않는 희귀종이기 때문에 자실체의 입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균사체의 분리 및 배양도 용이하지가 않아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펠리누스 속 균주가 생산하는 다당류와 관련된 기존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 92-2658호(한만우, 다당류및 그 제조방법)와 제 95-29192호(유익동 등,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가 보고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에 의해 펠리누스 속 균주로부터 항암 면역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국내에서 수집 분리한 상황버섯 중 항암면역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학적 특성이 기존의 균주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펠리누스 린테우스 KCTC 0399BP 균주로부터 신규 면역증강활성 다당류를 분리하여 그 성분이 갈락토만노글루칸(galactomannoglucan)이라는 것을 밝힌 바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81593호).
최근에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생활 양식의 변화로 영양분의 과잉섭취 및 운동부족으로 인한 면역력의 감소 및 당뇨병의 증가, 생활의 복잡화로 인한 스트레스, 대기오염에 따른 오존 생성의 급증 및 노인 인구의 급증 등에 따른 다양한 성인병 및 현대형 질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로 인한 각종 질병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로부터 추출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첨가물이 상기의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 효능이 있어 다양한 기능성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추출물에서 얻은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품첨가물을 함유하는 경구형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품첨가물을 함유하는 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을 제공한다. 이때, 총중량을 기준으로 홍삼 40-60 중량%와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 40-60 중량%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되는 식품의 종류나 섭취량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당류는 갈락토만노글루칸(galactomannoglucan)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펠리누스 속 균주는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 펠리누스 이그니아리우스(Phellinus igniarius), 펠리누스 바우미(Phellinus baumi), 펠리누스 피니(Phellinus pini), 펠리누스 길브우스(Phellinus gilvus) 및 펠리누스 니그리칸스(Phellinus nigrican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에는 상기 홍삼 및 갈락토만노글루칸의 주요성분 이외에 보조성분 이나 공지된 첨가제로 비타민 A, D, C, B, E 또는 K, Ca, Mg, Fe, Cu, Zn, Mn, Mo, Co, I, F, P 등의 미네랄 함유 화합물이나 레시틴 등의 인지질, β-시토스페롤 등의 스테롤 화합물,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사과산, 레시틴, 아미노산, 판감산(pangamic acid), 백설탕, 과당, 천연향료, 천연색소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비타민 C, E와 Ca, Zn, 레시틴, 구연산, 판감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4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천연향료로는 장미향, 레몬향, 바닐라향 또는 박하향 등과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천연색소로는 클로로필린(chlorophyll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과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백설탕 등 대신에 글루코오스, 벌꿀 등으로 감미성분을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 및 홍삼을 유효성 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본 발명자들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81593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이용하였다. 이때, 상기 다당류는 면역촉진제로서, 주된 기능은 자연킬러세포(Natural killer cell)를 활성화시키고, 대식세포(macrophage)를 자극하여 각종 사이토카인, 특히 인터루킨-1, 인터루킨-2를 분비하게 하며 이러한 사이토카인에 의하여 T 림파구와 B 림파구를 활성화시키고, 또는 보체(complement)를 활성화시켜서 결과적으로 암세포의 사멸을 가져오게 할 뿐만 아니라 홍삼과 함께 복용시에 항암 효과를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홍삼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삼을 증삼(蒸蔘)시키고 건조시켜 홍삼을 제조하고 이를 가열추출함으로써 홍삼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홍삼은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으며, 홍삼의 사포닌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혹은 종양세포를 파괴하는 자연킬러세포의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인터페론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으며,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항체 생성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 또, 홍삼에는 항암제 등에 의하여 저하된 면역기능을 촉진시키며, 림프구세포(lymphocyte)의 유사 분열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성분이 있어 면역조절 기능을 증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품첨가물을 함유하는 경구형 제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경구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은 여러 가지 경구형 제제로 제조될 수 있는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품첨가물을 함유하는 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은 기능성식품, 건강보조식품, 음료, 차 및 껌 등을 포함하는 각종 식품류 및 비타민 복합제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에서 "건강보조식품"이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기능성식품"이란 식품성분이 갖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도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을 기능성식품이나 건강보조식품에 사용할 경우, 상기 식품첨가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 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은 종래의 일반적인 식품첨가물과는 달리 상기의 주요 유효성분의 혼합조성으로 인하여 상승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단순한 자양강장 효과 이외에도 각종 성인병, 항암 효과 등에서 유수한 건강증진 효과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기의 식품첨가물에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조성된 기능성 음료의 경우에 관능 검사를 실행한 결과, 그 선호도가 매우 높아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식품이나 건강보조식품에 상기 식품첨가물이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의 수득
본 발명자들은 수삼(100 내지 200 g)을 물로 깨끗하게 씻은 뒤, 1ℓ 폐쇄 용기에 넣어 가열된 수증기(100℃)를 이용하여 크기에 따라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증삼(蒸蔘)하였다. 상기 증삼된 것을 1차 열풍건조 후, 태양열의 자연 건조 또는 데시케이터(desiccator) 내에서 수분이 12.5∼13.5% 정도 될 때까지 건조시켜 홍삼을 제조한 뒤에, 증류수 500 ㎖을 가하여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여 홍삼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펠리누스 속 균사체에서 다당류의 분리 및 갈락토만노글루칸의 추출
본 발명자들은 펠리누스 린테우스 KCTC 0399BP의 균사체를 분리, 정제하여 항암면역활성을 지니는 다당류를 분리하였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81593호).
구체적으로,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 0399BP의 균사체 1 ㎏에 20 ℓ의 물을 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4겹의 거즈로 여과한 다음, 와트만(Whatman) 여과지(NO. 2)를 이용하여 다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에 4배 부피의 에탄올을 부가해 혼합한 다음, 4℃에서 3시간 방치한 후 석출된 침전물을 원심분리로 분리하였다. 상기 에탄올 침전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침전물을 다시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4배 부피의 에탄올을 부가해 다시 침전시키고 원심분리함으로써 20.4 g의 다당류를 분리하였다. 상기 다당류의 구성당 및 구성비율은 표 1과 같다.
탄수화물(%) 단백질(%) 구성당(몰비 %)
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82.7 17.3 78.6 18.0 3.4
이후, 상기 다당류를 5 m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pH 7.2)에 용해한 후, DEAE-셀룰로오스 컬럼에 적정하고 동일 버퍼로 세척한 다음, 동일 버퍼에 0에서부터 1 M의 NaCl을 용해시킨 농도기울기로 분당 5 ㎖의 유속으로 용출시켰다. 상기 용출액을 Toyopear I HW 65F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갈락토만노글루칸을 추출하였다.
<실시예 3> 식품첨가물의 제조 및 활성조사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된 홍삼 40 중량% 및 실시예 2에서 추출된 갈락토만노글루칸 6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을 제조한 후, 항암 면역 활성 및 혈장 콜레스테롤 감소기능을 살펴보았다.
<3-1> 항암 기능
본 발명자들은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갈락토만노글루칸을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의 생체내 및 시험관 내에서의 항암 면역 활성을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B16F10 흑색종(melanoma) 암세포주를 HBSS(Hank's balaced salt solution)으로 세척하고, 0.1 ㎖(1X105 세포)을 특정 병원체 부재(specific pathogen free) BDF1 마우스(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컷, 23-28 g)의 복강 내에 주사하여 1 주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였다. 복강에서 채취한 B16F10 흑색종 암세포를 원심분리한 후 HBSS 용액으로 세척하여 암발생에 사용하였다.
1 주일 동안 안정화시킨 5 주령의 BDF1 마우스에 상기 B16F10 세포 0.1 ㎖(1X107 세포)을 복강 내 주사하였다. 복강 주사 후 24시간이 경과한 뒤에 10일 동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식품첨가물을 각각 25, 50, 100 ㎎/㎏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시료의 항암 효과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평균 생존일수와 평균 생존일수 연장율을 계산하여 결정하였다. 즉,
Figure 112003050866653-pat00001
실험값은 평균 ± 표준편차(P)로 표시하였으며, 실험성적은 t-검정(non-paired Student's test)으로 분석하였으며, P 값이 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하였다.
하기 표 2는 B16F10 세포로 발생시킨 마우스 암에 대한 상기 식품첨가물의 영향을 생존일수 연장율 등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투여량(㎎/㎏) 실험동물 수 생존일수 생존일수 연장율(%)
대조군 - 6 21.8 ±2.3 100
실험군 25 6 23.9 ±1.8 118
50 6 27.8 ±2.1 130
100 6 32.2 ±2.0 155
그 결과, BDF1 마우스에 B16F10 세포 1X105 개를 복강 주사한 결과, 대조군은 평균 수명은 21.8 ±2.3 일, 생존 기간은 19일 내지 24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첨가물을 처리한 군은 25 ㎎/㎏의 투여의 경우에는 평균 24일 경에 사망하여 생존율이 약 111 내지 123% 정도 증가하였고, 50 ㎎/㎏의 투여의 경우에는 평균 28일 경에 사망하여 생존율이 약 126 내지 134% 정도 증가하였으며, 100 ㎎/㎏의 투여의 경우에는 평균 32일 경에 사망하여 생존율이 약 148 내지 160%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상기 마우스에 대한 생존일수 연장율을 증진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은 암세포의 증식 등을 막는 항암 면역 활성을 갖고 있어 각종 암의 예방을 위한 식품첨가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가리킨다.
<3-2> 혈장 콜레스테롤의 감소 기능
2주령의 스프래그 다우리(Sprague-Dawlery) 흰쥐를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사육하고, 3주령(90-110 g)이 되었을 때,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에 의해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쥐들에게 1%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정상식이(대조군) 및 1% 콜레스테롤 및 1% 상기 식품첨가물이 함유된 식이(실험군)를 섭취시켰다.
모든 식이들은 고콜레스테롤 식이(1%, w/w)에 해당하며, 모든 식이군의 쥐들에게 6주 동안 해당 식이를 물과 함께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식이 섭취량을 매일 기록하고, 7일 마다 체중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쥐들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하고, 이로부터 덱스트란-설페이트를 포함한 HDL-콜레스테롤 시약(Sigma)을 이용하여 혈장 HDL 분획을 분리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Sigma사의 총 콜레스테롤 키트를 사용한 효소발색법(Allain, et al., Clin Chem., 20, 474-475, 1974)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중성 지질 농도는 Sigma사의 진단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Bucolo, G. and David, H., Clin Chem., 19, 476-482, 1973).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지질함량 실시예 총 콜레스테롤 (㎎/㎗) H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
대조군 145 38 26.2 96
실험군 100 31 31 68
그 결과,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30% 정도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은 과다한 지방섭취로 등 비만으로 증가하는 콜레스테롤로 유발되는 동맥 경화 등의 질병에 효과적인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1> 상기 식품첨가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된 홍삼 및 실시예 2에서 추출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1-1> 제조예
홍삼 4 중량%, 펠리누스 속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 6 중량%, 비타민 C 0.1%, 과당 5.8%, 백설탕 3.87%, 구연산 0.12%, 사과산 0.03%, 구연산나트륨 0.04% 및 치자청색소 0.02%를 배합하여 계량된 물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된 음료를 총량이 100%(w/w)가 되도록 계량된 정제수로 조정하였다.
<1-2 내지 1-6> 제조예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성성분의 함량을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예 <1-2> 내지 <1-6>의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조성 제조예 <1-2>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제조예 <1-6>
홍삼 4 5 5 5 6
다당류 6 5 5 5 4
비타민 C 0.1 0.2 0.3 0.4 0.5
과당 5 5.5 5.6 5.7 6
백설탕 3.5 3.65 3.75 3.8 4
구연산 0.1 0.12 0.15 0.18 0.2
구연산나트륨 0.04 0.04 0.04 0.04 0.04
사과산 0.03 0.035 0.04 0.045 0.05
천연색소 0.01 0.015 0.015 0.015 0.02
정제수 81.22 80.44 80.105 79.82 79.19
총량 100 100 100 100 100
<1-7> 기능성 음료의 관능 검사
상기 제조예 <1-1> 내지 <1-6>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에 대하여 관능검사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2회 반복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이때, 관능검사는 5점 척도법을 기준으로 하였다(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
검사항목 <1-1> <1-2> <1-3> <1-4> <1-5> <1-6>
색상 4.2 4.2 4.3 4.5 4.5 4.5
4.2 4.0 4.0 4.1 4.2 4.4
4.0 3.8 4.1 3.9 4.0 4.0
촉감 4.2 4.1 4.3 4.3 4.4 4.4
전체적인 기호도 4.2 4.1 4.3 4.3 4.4 4.5
상기 표 5의 시험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음료가 관능측면에서 선호할 수 있는 기능성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포함 하는 식품첨가물은 암세포 및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식품은 관능면에서도 선호할 수 있어서, 기능성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2> 상기 식품첨가물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된 홍삼 40 중량% 및 실시예 2에서 추출된 다당류 6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을 이용하여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2-1>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
설탕 76.36 ∼ 76.76 %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 0.24 ∼ 0.64 %
후르츠향 1 %
물 2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2-2> 캔디의 제조
설탕 50 ∼ 60 %
물엿 39.26 ∼ 49.66 %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 0.24 ∼ 0.64 %
오렌지향 0.1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2-3> 비스켓의 제조
박력1급 88 ㎏
중력1급 76.4 ㎏
정백당 16.5 ㎏
식염 2.5 ㎏
포도당 2.7 ㎏
팜쇼트닝 40.5 ㎏
암모 5.3 ㎏
중조 0.6 ㎏
중아황산나트륨 0.55 ㎏
쌀가루 5.0 ㎏
비타민 B1 0.003 ㎏
비타민 B2 0.003 ㎏
밀크향 0.16 ㎏
물 71.1 ㎏
전지분유 4 ㎏
대용분유 1 ㎏
제일인산칼슘 0.1 ㎏
살포염 1 ㎏
분무유 25 ㎏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 0.2 ∼ 0.5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2-4> 아이스크림의 제조
유지방 10.0 %
무지유고형분 10.8 %
설탕 12.0 %
물엿 3.0 %
유화안정제(스팬,span) 0.5 %
향료(스트로베리) 0.15 %
물 63.31 ∼ 62.91 %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 0.24 ∼ 0.64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2-5> 쵸코렛의 제조
설탕 34.36 ∼ 34.76 %
코코아 버터 34 %
코코아 매스 15 %
코코아 파우다 15 %
레시틴 0.5 %
바닐라향 0.5 %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 0.24 ∼ 0.64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초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건강식품의 제조에 응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함유하는 식품첨가물은 면역력 증강, 항암, 항스트레스 및 혈장 콜레스테롤 감소 작용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치료 및 예방의 기능성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홍삼 추출물 40-60 중량% 및 갈락토만노글루칸 40-60 중량%로 구성되는 암 예방용 기능성 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갈락토만노글루칸은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용 기능성 식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펠리누스 속 균주는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 펠리누스 이그니아리우스(Phellinus igniarius), 펠리누스 바우미(Phellinus baumi), 펠리누스 피니(Phellinus pini), 펠리누스 길브우스(Phellinus gilvus) 및 펠리누스 니그리칸스(Phellinus nigrican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용 기능성 식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펠리누스 속 균주는 펠리누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용 기능성 식품.
  5. 제 1항에 있어서, 홍삼 추출물은 홍삼을 열수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용 기능성 식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30100576A 2003-04-02 2003-12-30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함유하는 기능성식품 KR100596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849 2003-04-02
KR20030020849 2003-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497A KR20040086497A (ko) 2004-10-11
KR100596827B1 true KR100596827B1 (ko) 2006-07-03

Family

ID=3736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576A KR100596827B1 (ko) 2003-04-02 2003-12-30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함유하는 기능성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999B1 (ko) * 2004-10-22 2006-06-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홍삼 산성다당체 및 표고버섯 함유 항종양 약학조성물
KR100832321B1 (ko) * 2005-04-18 2008-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594A (ko) * 1998-04-30 1999-11-15 한만우 펠리누스 린테우스로부터 분리한 다당류 물질의신규한 용도
KR19990081593A (ko) * 1998-04-30 1999-11-15 한만우 신규한 면역증강활성 다당류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9628A (ko) * 1999-08-28 2001-03-15 김용진 홍삼엑스 제조방법
KR20010046517A (ko) * 1999-11-12 2001-06-15 임상규 상황버섯류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20010100733A (ko) * 2000-05-06 2001-11-14 박태웅 홍삼동충 기력보 제조방법
JP2002145796A (ja) * 2000-11-09 2002-05-22 Nikken Sohonsha Corp 抗癌性物質
KR20030034604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한국신약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를 추출 정제하여 얻은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30072417A (ko) * 2002-03-04 2003-09-15 박홍제 버섯 균사체와 균사배양액 유래의 기능성 다당류의 추출법및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 또는/및 식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594A (ko) * 1998-04-30 1999-11-15 한만우 펠리누스 린테우스로부터 분리한 다당류 물질의신규한 용도
KR19990081593A (ko) * 1998-04-30 1999-11-15 한만우 신규한 면역증강활성 다당류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9628A (ko) * 1999-08-28 2001-03-15 김용진 홍삼엑스 제조방법
KR20010046517A (ko) * 1999-11-12 2001-06-15 임상규 상황버섯류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100380287B1 (ko) * 1999-11-12 2003-05-01 주식회사 경인제약 상황버섯류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20010100733A (ko) * 2000-05-06 2001-11-14 박태웅 홍삼동충 기력보 제조방법
JP2002145796A (ja) * 2000-11-09 2002-05-22 Nikken Sohonsha Corp 抗癌性物質
KR20030034604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한국신약 펠리누스 린테우스의 균사체를 추출 정제하여 얻은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30072417A (ko) * 2002-03-04 2003-09-15 박홍제 버섯 균사체와 균사배양액 유래의 기능성 다당류의 추출법및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 또는/및 식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497A (ko) 2004-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28483A (zh) 一种均衡营养的功能代餐粉及其制备方法
Amnah Nutritional, sensory and biological study of biscuits fortified with red beet roots
KR102127911B1 (ko)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766274B (zh) 含竹叶黄酮的抗氧化功能食品组合物
KR20180040534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621447B1 (ko) 삼백초, 강황 및 원지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4091464A (ja) 肥満抑制剤
EP1656943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05524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該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を配合した皮膚化粧料及び飲食物
JPH10265397A (ja) 肥満予防剤
KR20040024774A (ko) 혈액형별 체질에 적합하도록 제조한 생약 조성물
KR100874778B1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596827B1 (ko)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를함유하는 기능성식품
KR100727396B1 (ko) 수박 껍질 추출물 및 옥사코사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조성물
KR100596824B1 (ko) 아스타잔틴,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추출한 다당류를 함유하는 기능성식품
JP7296611B2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210133354A (ko) 해조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JP6981641B2 (ja) Pde5活性阻害剤
KR100540498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RU2358562C1 (ru) Концентрат растительный дл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питка &#34;казан-бионан-3&#34;
KR100596823B1 (ko) 아스타잔틴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 추출한다당류를 함유하는 기능성식품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324480B1 (ko) 신선초를 함유하는 건강식품
JP2019073476A (ja) Atp産生促進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