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898A - 뽑이식 장대 - Google Patents

뽑이식 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898A
KR20060107898A KR1020050096733A KR20050096733A KR20060107898A KR 20060107898 A KR20060107898 A KR 20060107898A KR 1020050096733 A KR1020050096733 A KR 1020050096733A KR 20050096733 A KR20050096733 A KR 20050096733A KR 20060107898 A KR20060107898 A KR 20060107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state
contact surface
protrus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타로 타니가와
히토시 타케우치
타카후미 하라다
아키히코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10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과제] 이음매부에 간단한 구조를 채용에 의하여, 고착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해결 수단] 장대 선단 측 장대(1)를 장대 기단 측 장대(2)에 대하여 신장 상태로 유지하는 이음매부(B)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이음매부(B)를 장대 기단 측 장대(2)에 형성하고 접촉면이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는 스트레이트부(2B)와 장대 선단 측 장대(1)에 형성되어 스트레이트부(2B)의 접촉면에 접촉하는 돌기부(1a)로 구성되어 있다.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내주면(內周面)에 원추상(圓錐狀)의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외주면(外周面)에,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는 원추상의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고 있다.
장대, 이음매부, 스트레이트부, 돌기부, 경사 받침면

Description

뽑이식 장대{DRAWING TYPE ROD}
도 1의 (a)는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에 수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로부터 뽑아 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c)는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 개구부에 형성한 돌기와 노치 오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의 (a)는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에 돌기부만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a)에서의 배면도.
도 3은 표 1의 결과를 얻기 위한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 개구부에 형성한 돌기부와 노치 오목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장대 선단 측 장대와 장대 기단 측 장대의 고착 상태의 시험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원 발명품과 종래품과 도료 돌기품의 신장 상태로의 전환 시의 압인 저항력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스트레이트부와 돌기부의 설치 대상을 변경한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에 수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로부터 뽑아 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7은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에 형성하는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a)는 종단 측면도, (b)는 배면도.
도 8은 스트레이트부와 경사 접촉면을 바꾸어 넣어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며,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로부터 뽑아 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9는 도 8에서의 스트레이트부와 돌기부의 설치 대상을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로부터 뽑아 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장대 선단 측 장대 1A: 경사 접촉면
1C, 2B: 스트레이트부 1D: 플랜지상 돌출부
1a, 2E: 돌기부 1b: 노치 오목부
2: 장대 기단 측 장대 2A: 경사 받침면
B: 이음매부 a: 장대 기단 단 개구부
본 발명은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 내에 수납하는 상태와 그 수납 상태로부터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로 전환하는 것과 함께 그 뽑아낸 신장 상태를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설치하고 있는 뽑이 식 장대에 관한 것이다.
전기한 이음매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측 단부(端部)의 외주면(外周面)과 장대 기단 측 장대의 장대 선단 측 단부의 내주면(內周面)에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압접(壓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사면끼리의 압접 상태에 의하여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신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접 상태로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신장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압접면에 수분 등이 개재하면, 소위, 고착 상태가 출현한다. 즉,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신장 상태로부터 수축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여도, 압접 부위에서 양 경사면이 강력하게 접착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통상의 반환력을 가하여도 그 신장 상태를 해제할 수 없다고 하는 일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장대를 수납하지 못하고, 마무리에 고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부의 외주면에 장대 기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부에 형성한 경사면에 압접하는 소돌기를 형성하여, 경사면끼리의 사이에 수분이 개재하지 않도록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의 것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1>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실등 제2569413호(단락 번호〔0009〕, 도 1)
확실히, 이음매부에 수분이 개재하면 고착 현상이 촉진된다고는 말할 수 있 지만, 고착 현상은 그것만의 원인에 그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즉,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음매부는 장대 기단 측 장대의 장대 선단 측의 경사 내주면과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측에 형성한 경사 외주면이 압접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다. 양 경사면이 압접 상태로 되면, 장대 기단 측 장대의 장대 선단 개구는 넓어지는 방향의 힘을 받고,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측 단부는 수축하는 힘을 받아 서로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상태로 압접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적인 변형 상태로 압접하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접합 상태로 되고, 원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곤란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접 상태는 소돌기를 상대 측의 경사면에 압접시키는 상태로 달성하고 있는 종래 기술도 예외는 아니라고 생각되며, 이음 조작을 행하면 단시간으로 또한 짧은 스트로크로 소돌기가 상대측 경사면에 강하게 밀어붙여지는 것에 의하여, 소돌기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것과 비교하면 고착 현상에 빠지기 어려운 구성이어도, 이음 조작을 행하면 순간에 압접 상태로 되는 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한층 더 이음매부의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고, 제작상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고착 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구성〕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에 대하여 신장 상태로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 음매부를 장대 선단 측 장대와 장대 기단 측 장대의 일방에 형성되고 접촉면이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는 스트레이트부와, 장대 선단 측 장대와 장대 기단 측 장대의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트부의 접촉면에 접촉하는 돌출부로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어,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이음매부에 스트레이트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급격하게 뽑아 늘리는 조작을 행하여도, 돌출부와 그 스트레이트부가 접촉하는 상태가 출현되기 때문에, 조작력이 돌출부와 스트레이트부에서의 조작 저항에 의하여 완화되는 것과 동시에, 일정한 조작 저항력이 계속되기 때문에 그 상태가 낚시꾼에게도 인식되어, 갑자기 고착 상태에 빠지는 일이 적다.
〔효과〕
따라서, 스트레이트부를 형성하는 간단한 개조를 시행하는 것만으로, 고착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이음 조작 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장대 기단 측 장대의 내주면에 원추상(圓錐狀)의 경사 받침면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외주면에, 상기 경사 받침면에 접촉하는 원추상의 경사 접촉면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어,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은 작용 효과를 불러온다. 그리고 경사 받침 면과 경사 접촉면의 접촉에 의하여, 장대 선단 측 장대가 장대 기단 측 장대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신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급격한 신장 동작을 억제하는 스트레이트부와 최종적인 경사 받침면과의 협동 작용에 의하여, 경사 받침면과 경사 접촉면의 접촉에 이른 경우에도, 그 이상의 뽑아 내기 조작이 저지되어 고착 상태에 빠지는 것이 회피된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부에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 개구부(開口部)에, 장대 선단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는 노치(notch)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어,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장대 기단 단 개구부는 노치 오목부의 존재에 의하여, 돌출부가 스트레이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접촉 저항을 받으면, 돌출부는 반경 방향에 따른 압력을 받는다. 이 압력에 의하여 노치 오목부에서 노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의 변형이 생겨, 압력이 변동하여도 접촉 저항력이 크게 변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와 스트레이트부의 접촉 저항력을 그다지 변화가 없는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감이 향상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에 대하여 신장 상태로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음매부를 접촉면이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는 스트레이트부와 상기 스트레이트부의 접촉면에 접촉하는 돌기부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원추상의 경사 받침면과 상기 경 사 받침면에 접촉하는 원추상의 경사 접촉면으로 구성하며, 상기 경사 받침면과 상기 스트레이트부를 상기 경사 받침면이 장대 선단 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장대 기단 측 장대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경사 접촉면과 상기 돌기부를 상기 경사 접촉면이 장대 선단 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어,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로부터 뽑아 내어 이음매부에서 이음 작용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우선, 장대 기단 측에 위치하는 스트레이트부와 돌기부가 접촉을 시작한다. 뽑아 내기 조작에 따라 돌기부가 스트레이트부에 접촉하여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경사 접촉면이 경사 받침면에 접촉하여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신장 상태가 확정된다.
따라서, 경사 접촉면이 경사 받침면에 갑자기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돌기부와 스트레이트부의 접촉 상태가 선행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돌기부와 스트레이트부가 접촉하는 상태를 감지하면서 뽑아 내기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점으로부터, 고착 상태에 이르는 면을 미연에 회피하는 효과는 높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뽑이식 장대에서의 2번 장대로부터 원상대까지의 중간 장대에서, 특히 4번 장대 등으로부터 대경(大徑) 측 중간 장대에 주로 적용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경(小徑) 측의 장대를 장대 선단 측 장대(1)로 하고, 대경 측의 장대를 장 대 기단 측 장대(2)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장대는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즉,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일방향으로 혼합하고, 그 혼합 강화 섬유군에 엑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프리프레그(prepreg)를 형성한다. 이 프리프레그를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한 것을 맨드릴에 권회하고, 복수 층으로 형성한 것을 소성하며, 소성 후 소정 길이로 재단하고, 마무리 가공을 시행하여 장대로 한다.
프리프레그를 구성하는 강화 섬유로서는, 탄소 섬유 이외에 유리 섬유, 아라미드(aramid) 섬유, 알루미나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수지로서는 페놀 수지, 폴리에스텔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선단 측 장대(1)는, 그 장대 기단 단부의 외주면에 장대 기단 측 정도 대경화하는 원추상의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경사 접촉면(1A)의 장대 기단 측에 약간의 경사 상태 (또는 동일 직경을 유지한다)를 띠는 외주면(1B)에 돌출부로서의 돌기부(1a)를 입설하고 있다.
돌기부(1a)는 원주 방향의 3개소에 설치하고 있고,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로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세라믹스나 금속을 진공 증착법 등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1(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장대 기단 단 개구부(a)에, 장대 선단 측을 향하여 삼각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노치 오목부(1b)를 형성하고 있다. 돌기부(1a)와 노치 오목부(1b)는 원주 방향 3개소에 형성 하고 있고, 각각, 120°의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노치 오목부(1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노치 오목부(1b)를 형성한 부위가 노치 효과에 의한 강성의 연화를 가져오고, 이것에 의하여, 장대 기단 단 개구부(a)가 상하로 단축하여 좌우로 부푸는 타원상(楕圓狀)으로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선단 측의 내주면에 장대 기단 측 정도 대경화하는 경사 받침면(2A)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경사 받침면(2A)의 장대 기단 단 부위로부터 한층 장대 기단 측을 향하여 내면 직경이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는 스트레이트부(2B)를 형성하고, 스트레이트부(2B)의 장대 기단 단으로부터 장대로서의 일반적인 경사도(5/1000)를 가지는 부분(2C)에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경사 접촉면(1A)과 돌기부(1a) 및 경사 받침면(2A)과 스트레이트부(2B)로 이음매부(B)를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장대 기단 측 장대(2) 내에 장대 선단 측 장대(1)를 수납하고 신장 상태로 뽑아 내는 경우에는, 우선, 돌기부(1a)가 스트레이트부(2B)에 내접하고,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뽑아 내기 조작을 계속하는 동안은, 돌기부(1a)가 스트레이트부(2B)에 내접하고, 뽑아 내기 조작에 적당한 뽑아 내기 저항을 주어, 낚시꾼에게 이음매부(B)가 계합 개시한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뽑아 내기 조작을 더 행하여 가면,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는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그 이 상으로 장대 선단 측 장대(1)가 뽑아 내기 조작되는 것이 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대 기단 측 장대(2)로부터 장대 선단 측 장대(1)를 뽑아 내어 갈 때에, 낚시꾼의 손잡이에 작용하는 뽑아 내기 저항이 어느 정도가 될 것인가를 측정한 수치가 표 1에 도시하는 것이고, 노치 오목부(1b)의 노치 깊이(w)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a)의 외면 직경(D)은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스트레이트부(2B)의 내면 직경보다도 약간 (0.5mm이하) 크고, 여기에서는, D=21.98mm의 직경으로 설정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평가하면, 노치 깊이(w)와 돌기부(1a)의 축선 방향 길이(W)가 대략 동일(6mm)하면 적정한 인장 저항력 7.5Kg가 부여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Figure 112005057990784-PAT00001
상기한 바와 같은 이음매부(B)의 구조로서는, 전기한 고착 방지 효과도 높은 것으로, 그 효과를 증명한 테스트 데이터가 표 2에 도시하는 것이다. 표 2의 데이터를 얻은 테스트 장치가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장대 선단 측 장대(1)와 장대 기단 측 장대(2)에 감합시켜, 장대 선단 측 장대(1)를 매달아 지지한다. 장대 선단 측 장대(1)와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감합력은 당초 5kg으로 설정되어 있다.
장대 기단 측 장대(2)에 대하여 추(Wh)를 높이(H)로부터 낙하시켜, 장대 기단 측 장대(2)에 형성한 수지 플랜지(2D)로 지탱하게 한 상태에서의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이동량(L)을 측정한 것이 상기 데이터이다.
추(Wh)의 낙하량을 50mm ~ 150mm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이동량(L)을 측정하고, 그 이동 상태로부터 추(Wh)=1Kg를 낙하시키기 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한 것이다. 즉,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이동한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지 여부, 이른바 고착 상태에 빠지지 않는지 여부를 측정한 것으로, 모두,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데 곤란은 없고, 고착 상태에는 빠지는 것이 적은 이음매부(B)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05057990784-PAT00002
〔제2 실시예〕
여기에서는,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장대 기단 단부에는, 제1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노치 오목부(1b)는 설치하지 않고, 돌기부(1a)만을 설치한다. 이 경우에, 돌기부(1a)의 설치 개수는 임의이지만, 도 2에서는, 4개의 돌기부(1a)를 원주 방향 4개소에 배치한 구성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돌기부(1a)만을 형성한 경우에도, 이 돌기부(1a)와 장대 기단 측 장대(2)에 형성한 스트레이트부(2B)의 접촉에 의하여, 낚시꾼에게 이음 조작 시의 양호한 조작감을 줄 수 있다.
상기한 돌기부(1a)만을 설치한 구성에 대하여, 제1실시예에서도 서술한 스트레이트부(2B)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돌기부(1a)에 걸리는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돌기부(1a)를 원주 방향 4개소에 설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8개소에 설치한 것에 대해서도 아울러 테스트를 행하였다. 8개소에 설치한 것에 임해서 5개의 데이터, 4개소 설치한 것에 3개의 데이터가 있는 것은, 장대의 개체 차이, 즉, 특히, 돌기부 간의 간격(D)의 치수의 불균형을 고려하여 행한 것이다.
테스트 결과로부터 개체 차이는 없고, 돌기부(1a)의 설치 개수의 다름에 따라, 인장 저항력에 차이가 나오고 있다. 돌기부(1a)가 8개인 경우에는 5Kg의 인장 저항력이 있고, 4개의 돌기부(1a)에서는 3Kg의 인장 저항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5057990784-PAT00003
이상과 같이, 제1, 제2실시예에서 도시한, 장대 기단 측 장대(2)에 스트레이트부(2B)와 경사 받침면(2A)를 형성하고, 장대 선단 측 장대(1)에 경사 접촉면(1A)과 돌기부(1a)를 설치한 이번 본 발명품과, 경사도가 상기 경사 접촉면(1A)보다 온화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끼리를 압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빠짐 방지를 도모하고 있는 종래품과,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부에 팽출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팽출부에 경질 도료를 내뿜어 다수의 도료제 돌기를 형성한 도료 돌기품과의 고착도를 비교한 그래프를 도 5에 도시한다.
본 발명품, 종래품, 도료 돌기품의 이음 조작 시의 스트로크에 대한 인장 저항력을 측정한 것으로, 데이터로서는, 대략 평행한 변화를 나타내는 두개의 선분으로 측정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하방 측의 선분이 소경 측 장대(1)를 뽑아 내 가는 경우의 압인 저항력을 도시하고, 상방 측의 선분이 소경 측 장대(1)를 뽑아 낸 상태로부터 밀어 넣어 원 상태로 되돌려 가는 조작 시의 밀어넣는 힘의 변동을 도시하고 있다. 압인 저항력이 작은 만큼, 고착력이 적다고 말할 수 있다.
도 5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품 (실선)의 경우에는, 스트레이트부(2B)와 돌기부(1a)의 접촉에 의하여 일정한 압인 저항력(5kg)에서 6mm에서 22mm까지의 충분한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는 점을 읽어낼 수 있다.
도료 돌기품 (일점 쇄선)의 경우에는, 스트로크 16mm에서 최대 압인 저항력을 나타내고, 최대 압인 저항력은 고착을 일으키는 만큼 크게 되는 것은 (대략 30kg정도)아니지만, 압인 저항력은 스트로크에 따라 서서히 커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품 (이점 쇄선)의 경우에는, 최대 압인 저항력은 본원 발명의 반분 스트로크 (14mm정도)로 60kg 근처까지 상승하고 있다. 여기에, 반환력으로서 60kg 근처의 조작력이 필요하다라고 하면, 낚시꾼 1명의 최대 조작력으로서 대략 40kg로부터 60kg의 사이는 아닌지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인장 저항력이 60kg라고 하는 수치는, 뽑아 낸 상태로부터 혼자서 원래 상태까지 되돌리는데 대략 불가능한 영역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품이 고착 대책에도 우수한 점이 인정된다.
〔제3 실시예〕
돌기부와 스트레이트부의 형성 대상을 바꿔 넣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장대 기단 단부의 외주면에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기단 측에 외면 직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부(1C)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에, 상기 경사 접촉면(1A)이 접촉하는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경사 받침면(2A)의 장대 기단 측에 내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E)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 되는 장대 선단 측 장대(1)를 장대 기단 측 장대(2) 내에 수납하면, 우선,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스트레이트부(1C)가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돌기부(2E)에 접촉한다. 스트레이트부(1C)와 돌기부(2E)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뽑아 내기 조작을 계속하면,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뽑아 내기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제4 실시예〕
상대 측의 스트레이트부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돌기부(1a, 2E)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도 7(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로서의 구성으로서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장대 기단 단에 플랜지상 돌출부(1D)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즉, 플랜지상 돌출부(1D)를 형성하고, 플랜지상 돌출부(1D)의 외주면을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스트레이트부(2B)에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플랜지상 돌출부(1D)의 스트레이트부(2B)에 접촉하는 것을 탄성적으로 하기 위하여, 그 플랜지상 돌출부(1D)에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서 일정 길이에 걸쳐 비집고 들어가는 분할 홈(1d)을 원주 방향 복수 개소에 걸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플랜지상 돌출부(1D)의 스트레이트부(2B)에 접촉하는 압력을 경감할 수 있어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여기에서는, 스트레이트부와 경사면의 형성 위치를 장대 축선 방향에서 바꿔 넣은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선단 측 장대(1)에 스트레이트부(1C)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기단 측에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장대 기단 측 장대(2)에 장대 선단 측 단부의 내주면에 돌기부(2E)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돌기부(2E)의 장대 기단 단 측에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고, 이음매부(B)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장대 선단 측 장대(1)를 장대 기단 측 장대(2)로부터 뽑아 내는 경우에,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스트레이트부(1C)가 돌기부(2E)에 접촉하는 것과 함께 최종적으로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장대 기단 측 장대(2)로부터의 신장 상태가 설정된다.
〔제6 실시예〕
여기에서는, 스트레이트부와 경사면의 형성 위치를 장대 축선 방향에서 바꿔 넣은 구성을 제시한 제4 실시예의 것에 있어서, 돌기부와 스트레이트부의 형성 대상을 바꿔 넣은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내주면에 스트레이트부(2B)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기단 측에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장대 선단 측 장대(1)에 장대 선단 측 단부의 외주면에 돌기부(1a)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돌기부(1a)의 장대 기단 단 측에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고, 이음매부(B)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장대 선단 측 장대(1)를 장대 기단 측 장대(2)로부터 뽑아 내는 경우에, 장대 기단 측 장대(2)의 스트레이트부(2B)가 돌기부(1a)에 접촉하는 것과 함께 최종적으로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장대 선단 측 장대(1)의 장대 기단 측 장대(2)로부터의 신장 상태가 설정된다.
〔다른 실시예〕
(1) 상기한 구성으로서는, 낚싯줄을 장대 내에 관통하는 중통 장대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2)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서는, 뽑이식 장대의 손잡이측 장대를 신축 가능한 장대 기단 측 장대로서의 제1 손잡이 측 장대와 그것보다 대경인 장대 기단 측 장대로서의 제2 손잡이 측 장대(2)로 구성하고, 제1 손잡이 측 장대를 제2 손잡이 측 장대로부터 뽑아 낸 상태로 압접하는 전기한 이음매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제1 손잡이 측 장대를 제2 손잡이 측 장대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신축식의 뽑이식 장대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제1 손잡이 측 장대를 제2 손잡이 측 장대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는, 전기한 이음매부(B)를 적용할 필요는 없고, 제1 손잡이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을 내감합하는 유지 고무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상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고착 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에 대하여 신장 상태로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음매부를 장대 선단 측 장대와 장대 기단 측 장대의 일방에 형성되고 접촉면이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는 스트레이트부와, 장대 선단 측 장대와 장대 기단 측 장대의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트부의 접촉면에 접촉하는 돌출부로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 기단 측 장대의 내주면(內周面)에 원추상(圓錐狀)의 경사 받침면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상기 경사 받침면에 접촉하는 원추상의 경사 접촉면을 형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부(端部)에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장대 기단 단 개구부(開口部)에, 장대 선단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는 노치(notch)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4. 장대 선단 측 장대를 장대 기단 측 장대에 대하여 신장 상태로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음매부를 접촉면이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는 스트레이트부와 상기 스트레이트부의 접촉면에 접촉하는 돌기부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원추상의 경사 받침면과 상기 경사 받침면에 접촉하는 원추상의 경사 접촉면으로 구성하며, 상기 경사 받침면과 상기 스트레이트부를 상기 경사 받침면이 장대 선단 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장대 기단 측 장대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경사 접촉면과 상기 돌기부를 상기 경사 접촉면이 장대 선단 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장대 선단 측 장대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KR1020050096733A 2005-04-11 2005-10-13 뽑이식 장대 KR20060107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13751A JP2006288288A (ja) 2005-04-11 2005-04-11 振出竿
JPJP-P-2005-00113751 2005-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898A true KR20060107898A (ko) 2006-10-16

Family

ID=3707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733A KR20060107898A (ko) 2005-04-11 2005-10-13 뽑이식 장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288288A (ko)
KR (1) KR20060107898A (ko)
CN (1) CN1846484B (ko)
TW (1) TW2006355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30841A1 (en) * 2018-10-29 2022-02-03 Globeride, Inc. Fishing rod comprising multiple jointed rod bod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75680B (zh) * 2008-10-11 2011-12-21 山东环球渔具股份有限公司 一种钓鱼竿及加工工艺
JP2015043728A (ja) * 2013-08-28 2015-03-12 株式会社シマノ コイルドウェーブスプリング、及びドラグつまみ
JP6462623B2 (ja) * 2016-03-31 2019-01-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竿体の継合構造の改善
JP6568014B2 (ja) * 2016-05-13 2019-08-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竿体の継合構造の改善
JP6815224B2 (ja) * 2017-02-23 2021-01-20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FR3089752B1 (fr) * 2018-12-18 2021-03-05 Ctfi Canne a peche telescopique fil interieur
JP7355595B2 (ja) * 2019-10-21 2023-10-03 株式会社シマノ 並継釣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0362U (ko) * 1979-03-30 1980-10-07
JPS5652968U (ko) * 1979-09-29 1981-05-09
JPS59124476U (ja) * 1983-02-09 1984-08-22 田中 正美 固着防止型釣竿
CN2123174U (zh) * 1992-04-09 1992-12-02 威海渔竿厂 伸出长度可调式渔竿
JP2569413Y2 (ja) * 1993-07-30 1998-04-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振出釣竿
JP2001231411A (ja) * 2000-02-25 2001-08-28 Daiwa Seiko Inc 振出釣竿
JP4022409B2 (ja) * 2001-08-01 2007-12-19 株式会社シマノ 中通し竿
JP4125654B2 (ja) * 2003-05-27 2008-07-30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30841A1 (en) * 2018-10-29 2022-02-03 Globeride, Inc. Fishing rod comprising multiple jointed rod bodies
US11930798B2 (en) * 2018-10-29 2024-03-19 Globeride, Inc. Fishing rod comprising multiple jointed rod bod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6484A (zh) 2006-10-18
JP2006288288A (ja) 2006-10-26
CN1846484B (zh) 2010-12-01
TW200635504A (en)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7898A (ko) 뽑이식 장대
US8393058B2 (en) Clip
US8341798B2 (en) Expandable supports for paint roller covers
US10111786B2 (en) Tampon applicator including beveled portion
CA2622806A1 (en) Improved cable bolt
CA2774190C (en) A draw-in wire tip with a base part
JP2627582B2 (ja) 部材の結合装置及びこれを使用するタビング環
CA2595207A1 (en) An injector for injecting a flexible intraocular implant
EP0481484A1 (en) Tampon applicator
JP5374789B2 (ja) プラスチック製ブラインドリベット
KR101265671B1 (ko) 뽑이식 장대
KR100879904B1 (ko) 장대의 제조 방법
JP2018112199A (ja) 雌型連結部材
WO2012134430A1 (en) Pharmaceutical syringe piston rod
KR101265670B1 (ko) 뽑이식 장대
JP4641885B2 (ja) 振出竿
KR100807327B1 (ko) 콜랩시블 코어를 이용한 사출 금형용 장치
JP6462623B2 (ja) 竿体の継合構造の改善
JP6568014B2 (ja) 竿体の継合構造の改善
CN1846485B (zh) 钓竿及其制造方法
KR20030084679A (ko) 낚싯대
JP2006288343A (ja) 釣り竿用の竿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79843A (ja) ホースの繊維補強層の引張試験方法及び治具
JPH07239231A (ja) 箱尺用ストッパピン
JP6372260B2 (ja) 光ファイバの巻き取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