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671B1 - 뽑이식 장대 - Google Patents

뽑이식 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671B1
KR101265671B1 KR1020060026229A KR20060026229A KR101265671B1 KR 101265671 B1 KR101265671 B1 KR 101265671B1 KR 1020060026229 A KR1020060026229 A KR 1020060026229A KR 20060026229 A KR20060026229 A KR 20060026229A KR 101265671 B1 KR101265671 B1 KR 10126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diameter side
prepreg
state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080A (ko
Inventor
쇼타로 타니가와
히토시 타케우치
아키히코 마츠모토
타카후미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01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제작상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고착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해결 수단] 대경(大徑) 측 장대(2)의 장대 선단에 있어서의 내주면(內周面)에 3개의 경사면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소경(小徑) 측 장대(1)의 장대 기단의 외주면(外周面)에, 상기 접촉면(1A)과 돌면부(突面部, 1a)를 배치하고, 소경 측 장대(1)를 대경 측 장대(2)로부터 뽑아낸 상태를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형성한다. 대경 측 장대(2)에, 경사 접촉면(1A)을 면접촉 상태로 받치는 경사 받침면(2A), 돌면부(1a)와 접촉하는 것으로 확경도가 극히 작은 극소 경사면(2B), 돌면부(1a)를 극소 경사면(2B)으로 유도하는 경사 안내면(2C)을 구성한다. 극소 경사면(2B)의 확경도를 경사 안내면(2C) 및 경사 받침면(2A)의 확경도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뽑이식 장대, 돌면부, 극소 경사면, 경사 안내면, 경사 접촉면

Description

뽑이식 장대{DRAWING TYPE ROD}
도 1의 (a)는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에 수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c)는 돌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소경 측 장대와 대경 측 장대의 표면층의 강화 섬유의 배향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프리프레그를 맨드릴에 권회하여 소경 측 장대를 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프리프레그를 맨드릴에 권회하여 대경 측 장대를 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소경 측 장대와 대경 측 장대의 고착 상태의 시험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뽑아 늘릴 때의 저항력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뽑아 늘린 후의 되돌림력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의 (a)는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에 돌면부만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배면도.
도 9는 돌면부를 3개소 설치하고, 각 돌면부의 사이에 노치부를 형성한 상태 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극소 경사면과 돌면부의 장착 대상을 변경한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에 수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11은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에 형성하는 돌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a)는 종단 측면도, (b)는 배면도.
도 12는 극소 경사면과 경사 접촉면 부분을 바꾸어 넣어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며,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극소 경사면과 돌면부의 장착 대상을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경 측 장대 1A : 경사 접촉면
1B : 장대 기단부 1a, 2E : 돌면부
1C, 2B : 극소 경사면 2 : 대경 측 장대
2A : 경사 받침면 2C : 경사 안내면
2F : 본체부 8B : 협폭 보강 패턴
B : 이음매부 X : 장대 축선
θ : 소정 경사각 c : 강화 섬유
본 발명은, 소경(小徑) 측 장대를 대경(大徑) 측 장대 내에 수납하는 상태와, 그 수납 상태로부터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로 전환하는 것과 함께 그 뽑아낸 신장 상태를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설치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이음매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 측 단부의 외주면(外周面)과 대경 측 장대의 장대 선단 측 단부의 내주면(內周面)에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압접(壓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사면끼리의 압접 상태에 의하여 소경 측 장대의 신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압접 상태로 소경 측 장대의 신장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압접면에 수분 등이 들어가면, 소위, 고착 상태가 나타난다. 즉, 소경 측 장대를 신장 상태로부터 수축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여도, 압접 부위에서 양 경사면이 강력하게 접착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통상의 되돌림력을 가하여도, 그 신장 상태를 해제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장대를 수납하지 못하여, 마지막에 고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소경 측 장대로서의 소경 장대 관의 후단(後端)의 외주면에 대경 측 장대로서의 대경 장대 관의 선단의 내주면에 압접하는 소돌기를 형성하여, 내외주면끼리의 사이에 수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의 것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69413호 (단락 번호 〔0009〕〔0012〕, 도 1)
확실히, 이음매부에 수분이 들어가면 고착 현상이 촉진된다고는 말할 수 있는 것이지만, 고착 현상은 그것만의 원인에 그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즉,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음매부는, 대경 측 장대의 장대 선단 측의 경사 내주면과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 측에 형성한 경사 외주면이 압접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다. 양 경사면이 압접 상태로 되면, 대경 측 장대의 장대 선단 개구(開口)는 넓혀지는 방향의 힘을 받고,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 측 단부는 수축하는 힘을 받아 서로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상태로 압접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적인 변형 상태로 압접하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접합 상태로 되어,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곤란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압접 상태는 소돌기를 상대 측의 경사면에 압접시키는 상태로 달성하고 있는 종래 기술도 예외는 아니라고 생각되며, 이음 조작을 행하면 단시간으로 또한 짧은 스트로크로 소돌기가 상대 측 경사면에 강하게 눌리는 것에 의하여, 소돌기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것에 비하면 고착 현상에 빠지기 어려운 구성이어도, 이음 조작을 행하면 순간에 압접 상태로 되는 점을 해소하지 못하여, 한층 더, 이음매부의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고, 제작상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고착 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구성〕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대경 측 장대의 장대 선단에 있어서의 내주면에, 상기 대경 측 장대의 본체부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내주면 직경이 장대 축심을 따라 확대하고 있는 확경도보다 온화한 확경도를 나타내는 3개의 경사면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의 외주면에, 경사 접촉면과 돌면부(突面部)를 형성하고, 상기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부에 상기 경사 접촉면과 돌면부를 압접시켜 상기 뽑아낸 신장 상태로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3개의 경사면부를, 상기 경사 접촉면을 면접촉 상태로 받치는 경사 받침면, 상기 돌면부와 접촉하는 것으로 확경도가 극히 작은 극소 경사면, 상기 돌면부를 상기 극소 경사면으로 유도하는 경사 안내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경사 안내면의 확경도를 상기 경사 받침면의 확경도보다 작게 하는 것과 함께 상기 극소 경사면의 확경도를 상기 경사 안내면의 확경도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이음매부의 일방(一方)에 스트레이트면에 가까운 매우 작은 확경도를 가지는 극소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급격히 뽑아 늘임 조작을 행하여도, 돌면부와 그 극소 경사면이 접촉하는 상태가 나타나기 때문에, 조작력이 돌면부와 극소 경사면에서의 조작 저항에 의하여 완화되는 것과 동시에, 극소 경사면의 존재에 의하여 일정한 조작 저항력이 계속되기 때문에 그 상태가 낚시꾼에게도 인식되어, 갑 자기 고착 상태에 빠진다고 하는 것이 적다.
나아가, 극소 경사면에 접촉하는 상대 측으로서 프리프레그(prepreg)로 이루어지는 돌면부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소돌기를 수지(樹脂) 등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마모 등에 대한 대항력이 강하다.
다만, 단순히 강화 섬유를 포함한 프리프레그로 돌면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강화 섬유의 혼합 방향을 장대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섬유를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경우에 비하여 휨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장대의 단면이 타원상으로 변형하려고 하는 경우에, 강화 섬유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하여 변형을 저지하려고 하는 점으로부터, 단면이 변형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장대 축선 방향으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는, 단면이 타원으로 변형하려고 하는 경우, 강화 섬유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변형 저지력은 크지는 않다. 이것은, 돌면부가 반경 방향으로 휨을 일으키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인 점으로부터, 돌면부가 극소 경사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돌면부가 다소 휨을 일으키기 때문에, 돌면부와 극소 경사면이 강하게 접촉하는 것이 회피된다. 이것에 의하여,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내는 경우에, 뽑아내기 저항이 안정한 것으로 된다.
또한, 극소 경사면의 내면층이,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축선 방향으로 경사하는 전단력 등을 작용시킨 경우에도, 서로 경사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하여, 수지의 박리나 이음매부의 소성 변형 등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극소 경사면의 내면층이, 강화 섬유의 방향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섬유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단면이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고, 돌면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강화 섬유를 장대 축심 방향을 따라 혼합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는 점과 더불어, 극소 경사면과 돌면부가 소정의 치수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대방이 거기에 추종하는 치수 흡수성이 양호하고, 극소 경사면과 돌면부의 접촉 상태는, 적어도 일방에 변형이 생겨도 안정한 접촉 저항을 부여하여, 뽑아내기 저항을 일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양자에 있어서는 변형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무리한 응력이 작용하는 일은 없고, 수지의 박리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극소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트레이트면을 채용한 경우와 같은 작용을 이루는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스트레이트면을 채용한 경우는, 다른 점을 이룰 수도 있다. 즉, 완전한 스트레이트면으로 설정하지 않고 매우 작은 확경도를 갖게 한 것은, 맨드릴을 탈심하기 위한 빼기 구배를 확보하기 위함이고, 또한 작지만 확경도를 갖게 하기 때문에, 뽑아내는 양이 많아지는 만큼 다소 뽑아내기 저항이 커지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고, 소경 측 장대의 경사 접촉면이 대경 측 장대의 경사 받침면에 접 촉하여 뽑아내는 위치가 종료하는 위치에 가깝게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효과〕
따라서, 극소 경사면을 형성하는 점, 극소 경사면에 접촉하는 상대방을 돌면부의 형상으로 하는 점, 돌면부를 프리프레그로 형성하는 점 및 그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를 장대 축심 방향을 따라 혼합하는 점, 극소 경사면을 프리프레그로 형성하는 점 및 그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를 장대 축심 방향으로 경사한 상태로 혼합하는 개조를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수지의 박리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고착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내어 이음 조작을 행하는 경우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맨드릴의 탈심의 용이함, 및 뽑아내기 종단 위치의 감지의 양호함을 갖춘 이음매부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극소 경사면에 있어서의 확경도를, 0.3mm/1000mm에서 0.6mm/1000mm로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즉, 맨드릴에 프리프레그를 귄회하여 통상의 장대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장대 본체 부분의 확경도는 대략 5mm/1000mm이다. 본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극소 경사면을 0.3mm/1000mm에서 0.6mm/1000mm의 확경도로 본체부에 비하여 10분의 1 정도의 경사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극소 경사면은 경사면이어도, 대략 스트레이트 부분과 같은 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경사면으로서의 기능도 발휘하 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경사 받침면, 상기 극소 경사면의 내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1 또는 2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그것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즉, 돌면부와 극소 경사면이 접촉을 하여 그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한층 더 소경 측 장대의 대경 측 장대로부터의 뽑아내기 조작이 계속되면, 경사 받침면과 경사 접촉면이 접촉하여, 그 뽑아내기 상태가 정지된다.
이 경우에, 경사 받침면의 내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섬유가 장대 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나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뿐만 아니라, 장대 축선이나 원주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을 따른 전단력에 대해서도 대항력을 발휘한다. 이것은, 극소 경사면, 경사 안내면에서도 같고, 대경 측 장대의 이음매부에 있어서의 수지의 박리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원주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배치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그 원주 방향으로도 경사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휘기 쉽고 치수 흡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경사 받침면과 상기 경사 접촉면이 접촉하여 받쳐져도, 강하게 조여지는 일이 없고, 고착 현상에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돌면부가, 상기 경사 접촉면보다 장대 기단 측에 형성된 장대 기단부에 세워 설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돌면부가 원주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내어 갈 때의 뽑아내기 저항이 너무 커지지 않고, 또한 돌면부가 반경 방향으로 휨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극소 경사면의 내면 직경에 다소의 변동이 있어도, 돌면부가 그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휨을 다소 변동시켜, 추종하는 것이고, 뽑아내기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장대 기단부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 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장대 기단부의 장대 기단에 형성하고 있는 돌면부에 작용하는 반력이 장대 기단부에 영향을 준다. 이 경우에, 장대 기단부의 표면층이,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장대 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나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항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서도 상기한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상태로 배치된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하고, 다방향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돌면부를 지지하게 되는 장대 기단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었기 때문에, 돌면부의 극소 경사면에 대한 접촉 상태가 안정한다.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극소 경사면과 그 극소 경사면보다 장대 기단 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경사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경사 안내부에 있어서의 경사 안내면의 장대 축선에 대한 확경도를,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의 장대 축선에 대한 확경도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본체부와 극소 경사면의 사이에, 양자의 중간의 확경도를 가지는 경사 안내 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내어 가는 과정에서, 돌면부는 본체부로부터 경사 안내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소경 측의 극소 경사면을 향하여 안내된다. 그리고 경사 안내면의 확경도는 본체부의 확경도와 극소 경사면의 확경도의 중간 확경도에 있기 때문에, 극소 경사면에 무리없이 안내할 수 있어, 이음매 조작이 용이하다.
청구항 7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경사 안내면의 내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즉, 돌면부가 경사 안내면으로 유도되어 이동할 때에, 그 돌면부가 경사 안내면에 미치는 하중의 방향은, 경사 안내면에 직교할 뿐만 아니라, 그 경사하는 상태로 작용하게 되어, 복잡한 하중 작용 형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이 경사 안내면의 내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섬유가 다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대항력을 발휘하여, 수지의 박리나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또한, 이와 같이 경사 상태로 강화 섬유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주 방향 으로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유연성이 높고, 고착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뽑이식 장대(A)에 있어서의 2번 장대로부터 원상대까지의 중간대에서, 특히 4번 장대 등에서부터 대경 측의 중간 장대에 주로 적용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대 선단 측에 위치하는 장대를 소경 측 장대(1)로 하고, 장대 기단 측에 위치하는 장대를 대경 측 장대(2)로 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장대는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즉,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한 방향으로 혼합하고, 그 혼합 강화 섬유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프리프레그를 형성한다. 이 프리프레그를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한 것을 맨드릴에 권회(卷回, 돌려 감음)하여, 복수층으로 형성한 것을 소성(燒成)하고 소성 후 소정 길이로 재단하여, 마무리 가공을 시행하여 장대로 한다.
프리프레그를 구성하는 강화 섬유로서는, 탄소 섬유 이외에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알루미나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수지로서는,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소경 측 장대(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 측 장대(1)는, 그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에, 장대 기단 측만큼 대경화하는 원추상의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경사 접촉면(1A)의 장대 기단 측에 약간 경사 상태 (또는 동일 직경을 유지한다)를 나타내는 장대 기단부(1B)를 설 치하고 있고, 장대 기단부(1B)의 장대 기단에 돌면부(1a)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돌면부(1a)는,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의 3개소에 설치하고 있고, 장대(1)와 마찬가지로, 프리프레그로 형성하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면부(1a)의 후기하는 극소 경사면(2B)에 접촉하는 표면층을, 소경 측 장대(1)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 배치한 강화 섬유(c)군에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로 구성하고 있다.
경사 접촉면(1A) 및 장대 기단부(1B)에 있어서의 표면층에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접촉면(1A) 및 장대 기단부(1B)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에서의 강화 섬유(c)의 혼합 방향은 장대의 원주 방향을 따른 상태로 배설(配設)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강화 섬유(c)의 배설 구성에 의하여, 장대의 단면이 가로로 넓은 타원상이 되는 것을 원주 방향을 따른 강화 섬유(c)가 대항력을 발휘하고, 타원상이 되어 장대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소경 측 장대(1)의 제조 공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맨드릴(6)에 대하여 프리프레그를 소경 측 장대(1)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메인 패턴(3)을 복수매 권회한다. 여기에서는, 내측 메인 패턴(3A), 중간 메인 패턴(3B), 외측 메인 패턴(3C)을 각각 강화 섬유의 방향을 장대의 축선(X)에 직교하는 원주 방향, 축선(X)을 따른 방향, 원주 방향으로 설정하여 권회하고 있다. 메인 패턴(3)을 권회하여 형성한 장대 소재(C)의 장대 기단부에 중간 보강 패턴(7)을 권회한다. 중간 보 강 패턴(7)은, 장대 축선(X)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θ)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7A)와, 프리프레그(7A)의 강화 섬유(c)군과 장대 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7B)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다.
중간 보강 패턴(7)의 외층 측에, 프리프레그 테이프(16)를 권회한다. 즉, 강화 섬유(c)군을 장대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하여 세폭(細幅)으로 형성한 프리프레그 테이프(16)를 테이프끼리가 겹치지 않는 상태로 또한 접하는 상태로 밀착 감기하여 중간층을 형성한다. 이 프리프레그 테이프(16)를 권회한 장대 소재(C)의 장대 기단부 위치의 외주면에 표면층으로서의 외측 보강 패턴(8)을 권회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외측 보강 패턴(8)은 광폭(廣幅) 보강 패턴(8A)과, 광폭 보강 패턴(8A)보다 단폭으로 강화 섬유(c)군을 장대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하고 있는 협폭(狹幅) 보강 패턴(8B)으로 구성한다. 광폭 보강 패턴(8A)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가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는 부분(8a)과 장대 기단부(1B)를 형성하는 부분(8b)으로 이루어진다. 광폭 보강 패턴(8A)에 있어서의 장대 기단부(1B)를 형성하는 부분(8b)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재단된 것이며, 복수 프라이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경사 접촉면(1A)보다 소경으로 되는 장대 기단부(1B)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장대 기단부(1B)를 형성하는데, 대략 삼각형상의 보강 프리프레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돌면부(1a)를 형성하고 있는 장대 기단 측만큼 소경화하여 휨 변형하기 쉬운 것으로 장대 기단부(1B)를 형성하고 있다.
대경 측 장대(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장대 선단 측의 내주면에 장대 기단 측만큼 대경화하는 곳의, 통상의 확경도 (5/1000 정도)보다 작은 확경도 (3/1000 정도)를 나타내는 경사 받침면(2A)을 가지는 경사 받침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경사 받침면(2A)의 장대 기단부로부터 한층 더 장대 기단 측을 향하여 후기하는 확경도를 나타내는 극소 경사면(2B)을 가지는 극소 경사부를 형성하고, 극소 경사면(2B)의 장대 기단으로부터 장대의 장대 기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에 걸쳐 경사 받침면(2A)의 확경도보다 약간 작은 확경도 (2.55/1000 정도)의 경사 안내면(2C)을 가지는 경사 안내부를 설치하며, 나아가 경사 안내면(2C)보다 장대 기단 측에 장대로서의 일반적인 확경도 (5/1000 정도)를 가지는 본체부(2F)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 극소 경사면(2B)에 있어서의 확경도를 상세히 서술하면, 이 극소 경사면(2B)는 대략 스트레이트에 가까운 작은 확경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바람직한 수치로서는, 0.3mm/1000mm에서 0.6mm/1000mm 사이의 수치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트에 가까운 수치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돌면부(1a)가 이 극소 경사면(2B)에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소경 측 장대(1)를 대경 측 장대(2)로부터 뽑아내어 가는 상태로, 대략 일정한 뽑아내기 저항이 작용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덧붙여, 이와 같이, 완전한 스트레이트면으로 설정하지 않고, 매우 작은 확경도를 가지게 하는 것은 맨드릴(6)을 탈심하기 위한 확경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며, 또한 작지만 확경도를 가지게 하기 때문에, 뽑아내는 양이 많아지는 만큼 다소 뽑아내기 저항이 커지는 것이 감지되는 일도 있고, 소경 측 장대(1)의 경사 접촉면(1A)이 대경 측 장대(2)의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뽑아내는 위치가 종료하는 위치에 가 까워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한 것은 바람직한 수치이며, 극소 경사면(2B)과 경사 안내면(2C)의 합계 길이를 고려하여, 0.1mm/1000mm에서 1mm/1000mm 사이의 수치를 채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소경 측 장대(1)의 경사 접촉면(1A)과 돌면부(1a), 및 경사 받침면(2A)과 극소 경사면(2B)으로 이음매부(B)를 구성한다.
대경 측 장대(2)에 있어서의 경사 받침면(2A), 극소 경사면(2B), 경사 안내면(2C)에 걸치는 범위의 내면층을 구성하는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면층을 내측 보강 패턴(9)으로 구성한다. 내측 보강 패턴(9)을, 장대 축선(X)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θ)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9A)와, 프리프레그(9A)의 강화 섬유(c)군과 장대 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9B)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강화 섬유(c)군을 바이어스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부터 걸리는 하중에 대한 대항력을 높일 수 있어, 이음매부(B)로서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내측 보강 패턴(9)을 시행한 맨드릴(6)에 대하여, 3매의 메인 패턴(3A, 3B, 3C)을 순차로 권회하여, 장대 소재(C)로서의 골격을 형성한다. 메인 패턴(3)을 권회한 후의 공정에 대해서는 도시하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보강 패턴(7), 중간 보강 패턴(7)의 외층 측에 프리프레그 테이프(16), 및 프리프레그 테이프(16)를 권회하여 구성한 장대 소재(C)의 장대 기단 부 위치의 외주면에 표면층으로서의 외측 보강 패턴을 권회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외측 보강 패턴으로서는, 도 3에 도시하는 외측 보강 패턴(8)의 광폭 보강 패턴(8A)을 선택하며, 협폭 보강 패턴(8B)은 사용하지 않고, 강화 섬유(c)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의 1매의 것으로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히여, 대경 측 장대(2) 내에 소경 측 장대(1)를 수납하여 신장 상태로 뽑아내는 경우에는, 우선, 돌면부(1a)가 경사 안내면(2C)에 접촉하여 안내되는 것과 함께, 경사 안내면(2C)으로부터 극소 경사면(2B)으로 이행하여 그 극소 경사면(2B)에 내접(內接)한다. 소경 측 장대(1)의 뽑아내기 조작을 계속하는 동안은, 돌면부(1a)가 극소 경사면(2B)에 내접하고, 뽑아내기 조작에 적당한 뽑아내기 저항을 주어, 낚시꾼에게 이음매부(B)가 계합 개시한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뽑아내기 조작을 한층 더 행하여 가면,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는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소경 측 장대(1)에 돌연 큰 뽑아내기 저항이 작용하고, 이것이 소경 측 장대(1)를 뽑아내기 조작하는 낚시꾼에게 감지시켜, 그 이상으로 소경 측 장대(1)가 뽑아내지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장대 기단부(1B)는, 경사 접촉면(1A)의 장대 기단 측 직경이나 돌면부(1a)의 직경보다도 소경이기 때문에, 이 장대 기단부(1B)가 극소 경사면(2B)에 접촉하는 일은 없고, 뽑아내기 저항이 과도한 것으로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음매부(B)의 구조로서는, 상기한 고착 방지 효과도 높은 것이며, 그 효과를 증명한 테스트 데이터를 표 1에 나타내는 것이다. 표 1의 데이터를 얻는 테스트 장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소경 측 장대(1)를 대경 측 장대(2)에 감합(嵌合)시켜, 소경 측 장대(1)를 매달아 지지한다. 소경 측 장대(1)와 대경 측 장대(2)의 감합력은 당초 5kg으로 설정되어 있다.
대경 측 장대(2)에 대하여 추(Wh)를 높이 H로부터 낙하시켜, 대경 측 장대(2)에 형성한 받침 플랜지(2D)로 받치게 한 상태에서의 대경 측 장대(2)의 이동량(L)을 측정한 것이, 상기 데이터이다.
추(Wh)의 낙하량을 50mm ~ 150mm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이동량(L)을 측정하고, 그 이동 상태로부터 추(Wh) = 1Kg을 낙하시키기 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측정한 것이다. 즉, 대경 측 장대(2)의 이동한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 이를 테면 고착 상태에 빠져 있지 않은지 여부를 측정한 것으로, 모두,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데 곤란하지 않았고, 고착 상태에는 빠지는 것이 적은 이음매부(B)를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테스트에 사용한 낚싯대로서는, 본원 발명의 극소 경사면(2B)을 가지는 장대를 사용하고, 종래품의 장대로서는, 이음매부(B)로서, 소경 측 장대의 후단부 외주면에 수지제 도료를 분사하여 형성한 다수의 수지 돌기를 형성한 부분과 그 부분보다 장대 기단 측에 유연성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거북이 등상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가지는 장대를 사용하고 있다.
Figure 112006020074340-pat00001
◎ ‥‥ 고착은 없고, 용이하게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 ‥‥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 ‥‥ 고착하고 있기 때문에, 두 명이 겨우 되돌릴 수 있다
× ‥‥ 고착이 강렬하여 되돌릴 수 없다
상기한 낙하 테스트기를 이용하여, 낙하 거리 (50mm에서 150mm)에 있어서의 필요한 인장력, 또는 되돌림력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면, 본 발명품에 있어서는, 모든 낙하 거리 (50mm에서 150mm)에서, 되돌림력으로서 30kg이하이다. 한 명의 힘으로 되돌릴 수 있는 범위는 50kg 이하이기 때문에, 고착은 생기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품에 있어서는, 낙하 거리 130mm에서 이미 되돌림력으로서 52kg이 필요하고, 혼자서 되돌릴 수 있는 한계를 넘고 있어 고착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품과 종래품의 이음매부(B)에 있어서의 평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테스트를 행하여 보았다.
본 발명품과 종래품의 이음매부(B)의 이동 저항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장력 및 되돌림력을 가하여 그 이동 저항력을 측정하는 기계 (도시하고 있지 않다)를 사용한다. 측정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지만, 그 결과에 의하면, 인장력과 되돌림력의 차이는 현저하지 않지만, 본 발명품과 종래품의 차이는 현저하다.
즉, 본 발명품에 있어서는, 돌면부(1a)가 경사 안내면(2C)에 접촉하여 저항을 부여하는 상태가 된 후에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소경 측 장대(1)의 뽑아내기 상태가 정지할 때까지의 스트로크가 26 ~ 27mm정도이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종래품에서는 본 발명품에 있어서의 10mm 상당 위치로부터 접촉이 개시되고, 그리고 서서히 저항력이 높아져, 스트로크 종단의 26 ~ 27mm 정도에서는, 본 발명품에 비교하여 2 ~ 3배의 이동 저항력을 나타내어, 고착 상태에 빠진 것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품의 경우를 상세하게 검증하여 보면, 스트로크의 10mm 정도에서 22mm 정도까지에서는, 이동 저항력이 3킬로 정도의 일정 저항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 일정 저항력의 부분은, 돌면부(1a)가 경사 안내면(2C)으로부터 극소 경사면(2B)에 걸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나타내진 부분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본 발명품의 특징으로 하는 부분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품이 고착 대책에도 우수한 점이 인정된다.
〔제2 실시예〕
여기에서는, 소경 측 장대(1)의 장대 기단부에 있어서는, 돌면부(1a)의 설치 개수는 임의이지만, 도 8에서는 4개의 돌면부(1a)를 원주 방향 4개소에 배치한 구성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돌면부(1a)만을 형성한 경우에도, 이 돌면부(1a)가, 대경 측 장대(2)에 형성한 경사 안내면(2A)으로부터 극소 경사면(2B)에 걸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꾼에게 이음 조작 시의 양호한 조작감을 줄 수 있다.
〔제3 실시예〕
돌면부와 극소 경사면의 형성 대상을 바꾸어 넣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 측 장대(1)의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에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기단 측에 상기한 확경도를 구비한 극소 경사면(1C)을 설치하고 있다.
한편, 대경 측 장대(2)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에, 상기 경사 접촉면(1A)이 접촉하는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경사 받침면(2A)의 장대 기단 측에 내향(內向)으로 돌출하는 돌면부(2E)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 되는 소경 측 장대(1)를 대경 측 장대(2) 내에 수납하면, 우선, 소경 측 장대(1)의 극소 경사면(1C)이 대경 측 장대(2)의 돌면부(2E)에 접촉한다. 극소 경사면(1C)과 돌면부(2E)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뽑아내기 조작을 계속하면,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뽑아내기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제4 실시예〕
상대 측의 극소 경사면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돌면부(1a, 2E)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도 11(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면부로서의 구성으로서, 소경 측 장대(1)의 장대 기단에 플랜지상 돌면부(1D)를 설치해도 무방하다. 즉, 플랜지상 돌면부(1D)를 형성하고, 플랜지상 돌면부(1D)의 외주면을 대경 측 장대(2)의 극소 경사면(2B)에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플랜지상 돌면부(1D)의 극소 경사면(2B)에 접촉하는 것을 탄성적으로 하기 위하여, 그 플랜지상 돌면부(1D)에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에 걸쳐 깊숙이 들어가는 분할 홈(1d)을 원주 방향 복수 개소에 걸쳐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플랜지상 돌면부(1D)의 극소 경사면(2B)에 접촉하는 압력을 경감하여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여기에서는, 극소 경사면과 경사 접촉면의 형성 위치를 장대 축선 방향에 있어서 바꾸어 넣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 측 장대(1)에 극소 경사면(1C)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기단 측에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대경 측 장대(2)에 장대 선단 측 단부의 내주면에 돌면부(2E)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돌면부(2E)의 장대 기단 측에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여, 이음매부(B)를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소경 측 장대(1)를 대경 측 장대(2)로부터 뽑아내는 경우에, 소경 측 장대(1)의 극소 경사면(1C)이 돌면부(2E)에 접촉하는 것과 함께 최종적으로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소경 측 장대(1)의 대경 측 장대(2)로부터의 신장 상태가 설정된다.
〔제6 실시예〕
여기에서는, 극소 경사면과 경사 접촉면의 형성 위치를 장대 축선 방향에 있어서 바꾸어 넣은 구성을 제시한 제5 실시예의 것에 있어서, 돌면부와 극소 경사면의 형성 대상을 바꾸어 넣은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 측 장대(2)의 내주면에 극소 경사면(2B)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기단 측에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소경 측 장대(1)에 장대 선단 측 단부의 외주면에 돌면부(1a)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돌면부(1a)의 장대 기단 측에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여, 이음매부(B)를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소경 측 장대(1)를 대경 측 장대(2)로부터 뽑아내는 경우에, 대경 측 장대(2)의 극소 경사면(2B)이 돌면부(1a)에 접촉하는 것과 함께 최종적으로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소경 측 장대(1)의 대경 측 장대(2)로부터의 신장 상태가 설정된다.
〔다른 실시예〕
(1) 상기한 구성으로서는, 낚싯줄을 장대 내에 삽입하여 통하게 하는 중통 낚싯대에 적용해도 무방하다.
(2)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서는, 뽑이식 장대의 손잡이 측 장대를 신축 가능한 제1 손잡이 측 장대와 그것보다 대경의 제2 손잡이 측 장대로 구성하고, 제1 손잡이 측 장대를 제2 손잡이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로 압접하는 상기한 이음매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제1 손잡이 측 장대를 제2 손잡이 측 장대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신축식의 뽑이식 장대에 적용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제1 손잡이 측 장대를 제2 손잡이 측 장대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는, 상기한 이음매부(B)를 적용할 필요는 없고, 제1 손잡이 측 장대의 장대 기단을 내감합(內嵌合)하는 유지 고무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3)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 측 장대(1)의 장대 기단 개구부에, 장대 선단 측을 향하여 삼각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노치(notch) 오목부(1b)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돌면부(1a)와 노치 오목부(1b)는 원주 방향 3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각각, 120°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치 오목부(1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노치 오목부(1b)를 형성한 부위가 노치 효과에 의한 강성의 연화(軟化)를 초래하고, 이것에 의하여, 장대 기단 개구부가 상하로 단축하고 좌우로 불룩해지는 타원상으로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장대 기단 개구부는 노치 오목부(1b)의 존재에 의하여, 돌면부(1a)가 극소 경사면(2B)의 접촉에 의하여 접촉 저항을 받으면, 돌면부(1a)는 반경 방향을 따른 압력을 받는다. 이 압력에 의하여 노치 오목부(1b)에서 노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의 변형이 생겨, 압력이 변동해도 접촉 저항력이 크게 변화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면부(1a)와 극소 경사면(2B)의 접촉 저항력을 그다지 변화가 없는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감이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점을 해소하고, 제작상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고착 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Claims (7)

  1. 대경(大徑) 측 장대의 장대 선단에 있어서의 내주면(內周面)에, 상기 대경 측 장대의 본체부에 있어서의 내주면 직경이 장대 축심을 따라 확대하고 있는 확경도보다 온화한 확경도를 나타내는 3개의 경사면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소경(小徑) 측 장대의 장대 기단의 외주면(外周面)에, 경사 접촉면과 돌면부(突面部)를 형성하고, 상기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부에 상기 경사 접촉면과 돌면부를 압접(壓接)시켜 상기 뽑아낸 신장 상태로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3개의 경사면부를, 상기 경사 접촉면을 면접촉 상태로 받치는 경사 받침면, 상기 돌면부와 접촉하는 것으로 확경도가 극히 작은 극소 경사면, 상기 돌면부를 상기 극소 경사면으로 유도하는 경사 안내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경사 안내면의 확경도를 상기 경사 받침면의 확경도보다 작게 하는 것과 함께 상기 극소 경사면의 확경도를 상기 경사 안내면의 확경도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소 경사면에 있어서의 확경도를, 0.3mm/1000mm에서 0.6mm/1000mm로 설정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받침면, 상기 극소 경사면의 내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prepreg)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면부가, 상기 경사 접촉면보다 장대 기단 측에 형성된 장대 기단부에 세워 설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뽑이식 장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 기단부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극소 경사면과 상기 극소 경사면보다 장대 기단 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경사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경사 안내부에 있어서의 경사 안내면의 확경도를,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의 확경도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안내면의 내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KR1020060026229A 2005-07-19 2006-03-22 뽑이식 장대 KR101265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8809A JP4641887B2 (ja) 2005-07-19 2005-07-19 振出竿
JPJP-P-2005-00208809 2005-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80A KR20070011080A (ko) 2007-01-24
KR101265671B1 true KR101265671B1 (ko) 2013-05-22

Family

ID=3765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229A KR101265671B1 (ko) 2005-07-19 2006-03-22 뽑이식 장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41887B2 (ko)
KR (1) KR101265671B1 (ko)
CN (1) CN18990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22975B (zh) * 2009-05-31 2012-02-29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一种具有长度调控功能的钓竿
CN101595859B (zh) * 2009-07-09 2011-11-09 吴小富 收缩式纤维补强钓鱼杆及其生产工艺
KR101625263B1 (ko) * 2013-01-11 2016-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 부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JP6814564B2 (ja) * 2016-08-03 2021-01-20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本体及びリールシート並びに釣竿
JP7355595B2 (ja) * 2019-10-21 2023-10-03 株式会社シマノ 並継釣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411A (ja) 2000-02-25 2001-08-28 Daiwa Seiko Inc 振出釣竿
JP2001238573A (ja) 2000-02-29 2001-09-04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5006638A (ja) 2003-05-27 2005-01-13 Shimano Inc 釣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576Y2 (ja) * 1989-08-18 1996-07-31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釣り竿
CN2123174U (zh) * 1992-04-09 1992-12-02 威海渔竿厂 伸出长度可调式渔竿
JP2002335818A (ja) * 2001-05-16 2002-11-26 Shimano Inc 中通し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411A (ja) 2000-02-25 2001-08-28 Daiwa Seiko Inc 振出釣竿
JP2001238573A (ja) 2000-02-29 2001-09-04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5006638A (ja) 2003-05-27 2005-01-13 Shimano Inc 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9034A (zh) 2007-01-24
KR20070011080A (ko) 2007-01-24
JP2007020497A (ja) 2007-02-01
JP4641887B2 (ja) 2011-03-02
CN1899034B (zh)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671B1 (ko) 뽑이식 장대
EP2354006B1 (en) Extendible structure
TWI331897B (ko)
KR102436772B1 (ko) 낚싯대
KR20060107898A (ko) 뽑이식 장대
KR100879904B1 (ko) 장대의 제조 방법
KR101232812B1 (ko) 뽑이식 장대
KR101198119B1 (ko) 초릿대
KR101265670B1 (ko) 뽑이식 장대
JP2007020497A5 (ko)
CN105994205A (zh) 卷线器脚固定装置
KR20070011072A (ko) 뽑이식 장대
JP5923363B2 (ja) 釣竿及び物品取付構造
US5338604A (en) Fishing rod st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142259B2 (ja)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
KR20180105076A (ko) 설치 부품이 설치된 장대체를 갖는 낚싯대, 관상체 및 그 제조 방법
JP3865285B2 (ja) 釣竿
JP4947611B2 (ja) 釣り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88343A (ja) 釣り竿用の竿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95303A (ja)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
JP2007151441A (ja) 振出竿
JP6402073B2 (ja) 釣竿
JP2000139277A (ja) 中通し竿
JP4418767B2 (ja) 釣竿の穂先
JP4493544B2 (ja) 釣り竿用の竿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