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076A - 설치 부품이 설치된 장대체를 갖는 낚싯대, 관상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설치 부품이 설치된 장대체를 갖는 낚싯대, 관상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076A
KR20180105076A KR1020180027808A KR20180027808A KR20180105076A KR 20180105076 A KR20180105076 A KR 20180105076A KR 1020180027808 A KR1020180027808 A KR 1020180027808A KR 20180027808 A KR20180027808 A KR 20180027808A KR 20180105076 A KR20180105076 A KR 20180105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temperature
loss tangent
resin
t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638B1 (ko
Inventor
다쿠지 가와무라
노부히로 이자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6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86Incorporated in coherent impregnated reinforcing layers, e.g. by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2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as reinforcement
    • B29K2307/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79/00Use of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661/00 - B29K2677/00,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79/08PI, i.e. polyimides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2260/023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46Acrylic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7Parts immersed or impregnated in a matrix
    • B32B2305/076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18Fabrics, textiles
    • B32B2305/188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20Fibres of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non-woven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2Cured, e.g. vulcanised,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3/00Elements other than metals
    • B32B2313/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9/00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 B32B2379/08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장대체의 표면에 있어서의 설치 부품의 어긋남이나 기울기가 방지 또는 경감된 낚싯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는, 가늘고 긴 통상의 장대체와, 설치부를 갖고, 상기 장대체의 외주면에 상기 설치부를 통해 설치되는 설치 부품과, 상기 설치부와 상기 장대체를 모두 둘러싸도록 섬유 강화 수지제의, 또는 JIS K 713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제의 제1 시트를 권회하여 형성된 제1층과, 상기 제1 시트의 외측에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2 시트를 권회하여 형성된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와 상이하다.

Description

설치 부품이 설치된 장대체를 갖는 낚싯대, 관상체 및 그 제조 방법 {FISHING ROD HAVING ROD BODY TO WHICH ATTACHMENT COMPONENT IS ATTACHED, TUBULAR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설치 부품이 설치된 장대체를 갖는 낚싯대, 관상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대체에 낚싯줄 가이드나 릴 시트 등의 설치 부품이 설치된 낚싯대가 알려져 있다. 종래, 설치 부품은, 실이나 수지 시트에 의해 장대체에 설치되어 있다.
실에 의해 장대체에 설치된 설치 부품을 갖는 낚싯대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63841호 공보(특허문헌 1)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4563호 공보(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실에 의해 장대체에 설치된 설치 부품을 갖는 종래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당해 설치 부품에 낚싯줄이나 릴로부터 힘이 작용하면, 당해 실이 느슨해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수지 시트에 의해 장대체에 설치된 설치 부품을 갖는 낚싯대는,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0-156963호 공보(특허문헌 3) 및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2-26474호 공보(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에서는, 수지 시트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수지제의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6384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456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0-15696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2-026474호 공보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그러한 섬유 강화 수지제의 시트에 의해 설치 부품을 장대체에 설치할 때에는, 가열된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되기 시작하기 전에 일단 점도가 저하되어 유동되기 때문에, 당해 시트에 의해 설치 부품을 장대체에 고정하는 힘이 일시적으로 약해져 버리고, 그 결과, 설치 부품이 장대체의 표면에 있어서 위치가 어긋나거나 주위 방향으로 경사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을 이루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설치 부품이 장대체의 표면에서 어긋나거나 기울거나 하는 것을 방지 또는 완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이외의 목적은, 본 명세서 전체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는,
가늘고 긴 통상의 장대체와,
설치부를 갖고, 상기 장대체의 외주면에 상기 설치부를 통해 설치되는 설치 부품과,
상기 설치부와 상기 장대체를 모두 둘러싸도록 섬유 강화 수지제의, 또는 JIS K 713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제의 제1 시트를 권회하여 형성된 제1층과,
상기 제1 시트의 외측에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2 시트를 권회하여 형성된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와 상이한, 낚싯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낮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10℃ 이상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10℃ 이상 낮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80℃∼14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01㎫∼1000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시트, 수지 시트 단체, 또는 점착층을 갖는 수지 시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또는 수지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품이 낚싯줄 가이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품이 릴 시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관상체는,
가늘고 긴 통상의 형상을 갖는 통상 부재와,
설치부를 갖고, 상기 통상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설치부를 통해 설치되는 설치 부품과,
상기 설치부와 상기 통상 부재를 모두 둘러싸도록 섬유 강화 수지제의, 또는 JIS K 713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제의 제1 시트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된 제1층과,
상기 제1 시트의 외주면에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2 시트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된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관상체의 제조 방법은,
가늘고 긴 통상의 형상을 갖는 통상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설치부를 갖는 설치 부품을 상기 통상 부재의 외주면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설치부와 상기 통상 부재를 모두 둘러싸도록 섬유 강화 수지제의, 또는 JIS K 713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제의 제1 시트를 권회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시트의 외주면에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2 시트를 권회하는 공정과,
이어서, 상기 공정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권회체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설치 부품을 상기 통상 부재에 고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와 상이하고,
상기 고착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은, 상기 제1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 및 상기 제2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 중, 더 높은 쪽의 온도보다 낮고, 더 낮은 쪽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제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관상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는,
가늘고 긴 통상의 장대체와,
설치부를 갖고, 상기 장대체의 외주면에 상기 설치부를 통해 설치되는 설치 부품과,
상기 설치부와 상기 장대체를 모두 둘러싸도록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1 시트를 권회하여 형성된 제1층과,
상기 제1 시트의 외측에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2 시트를 권회하여 형성된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는,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시트, 수지 시트 단체, 또는 점착층을 갖는 수지 시트이고,
상기 제2 시트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또는 수지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관상체는,
가늘고 긴 통상의 형상을 갖는 통상 부재와,
설치부를 갖고, 상기 통상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설치부를 통해 설치되는 설치 부품과,
상기 설치부와 상기 통상 부재를 모두 둘러싸도록 제1 시트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된 제1층과,
상기 제1 시트의 외주면에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2 시트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된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는,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시트, 또는 JIS K 713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제의 시트이고,
상기 제2 시트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또는 수지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것인 관상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관상체의 제조 방법은,
가늘고 긴 통상의 형상을 갖는 통상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설치부를 갖는 설치 부품을 상기 통상 부재의 외주면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설치부와 상기 통상 부재를 모두 둘러싸도록 제1 시트를 권회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시트의 외주면에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2 시트를 권회하는 공정과,
이어서, 상기 공정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권회체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설치 부품을 상기 통상 부재에 고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는,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시트, 수지 시트 단체, 또는 점착층을 갖는 수지 시트이고,
상기 제2 시트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또는 수지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것인 관상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는, 장대체의 표면에 있어서의 설치 부품의 어긋남이나 기울기가 방지 또는 경감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낚싯대의 낚싯줄 가이드의 다리부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고정 영역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부를 장대에 대해 고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낚싯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한 제1 시트(100S)와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관상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1)는, 원대(3), 중간대(5) 및 초릿대(7)(각 대를 장대라고도 칭함)를 구비하고 있고, 각 장대는, 병계식에 의해 이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1)에는, 원대(3)에 릴 시트(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대(3), 중간대(5) 및 초릿대(7)에는, 릴 시트(9)에 장착되는 릴(R)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가 적소에 부착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원대(3)에 설치되는 낚싯줄 가이드를 10A로 나타내고, 중간대(5)에 설치되는 낚싯줄 가이드를 10B로 나타내고, 초릿대(7)에 설치되는 낚싯줄 가이드를 10C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초릿대(7)의 선단에는, 톱 가이드(10D)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가이드(10A∼10C) 및 릴 시트(9)는 장대의 표면(외주면)에 고정되는 설치 부품(10)을 구성한다.
상기 원대(3), 중간대(5) 및 초릿대(7)는, 바람직하게는 섬유 강화 수지제의 관상체로 구성되어 있고, 강화 섬유(주로,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에,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의 합성 수지를 함침한 섬유 강화 수지 프리프레그(프리프레그 시트)를 코어에 권회하고, 가열 공정을 거친 후, 탈심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소정 치수의 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장대에 대해서는, 중실상으로 구성하거나, 중실상의 코어재(예를 들어, 초탄성 합금 선재나, 초탄성 수지 재료)에 관상체를 잇는 등, 다양한 양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대체(2)는, 원대(3), 중간대(5) 및 초릿대(7) 등을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장대는, 그 외표면이 도장 등 표면 처리되어 있고, 표면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한 설치 부품이 설치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설치 부품의 고정 방법 및 그 고정 구조에 대해, 상기 낚싯줄 가이드(10B)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낚싯줄 가이드(10B)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낚싯대의 낚싯줄 가이드(10B)의 고정부(다리부)(10a)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고정 영역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부를 장대에 대해 고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된 장대(중간대)(5)의 표면에, 설치 부품인 낚싯줄 가이드(10B)의 고정부(10a)를 적재한다. 이어서, 고정부(10a)와 장대(5)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부분에 제1 시트(100S)를 권회함으로써 제1층(100)에 상당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제1 시트(100S)의 외주면에 제2 시트(200S)를 권회함으로써 제2층(200)에 상당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그와 같이 하여 얻은 권회체를 가열함으로써, 제1층(100)과 제2층(200)이 형성되고, 낚싯줄 가이드(10B)가 장대(5)에 대해 고정된다. 고정부(10a)는, 장대(5)의 직경보다 협폭이며 축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하면(10b)은, 평탄면 또는 장대와 상이한 곡률을 갖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면(10b)과 장대의 표면 사이에는 간극이 생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10a)를 고정하는 데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장대(5)에 대해 제1 시트(100S)를 권회하고, 그 겹침 부분에 고정부(10a)를 개재시키도록 적재한다. 또한, 그 위로부터 상기 제2 시트(200S)를 권회하고, 이것을 긴체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하고, 그 상태에서 가열로에 넣어 가열 처리를 행한다. 단, 고정부(10a)를 장대(5)의 표면에 직접 접하도록 적재하고, 이어서 고정부(10a)와 장대(5)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제1 시트(100S)로 권회하고, 또한 그 위로부터 제2 시트(200S)를 권회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시트(100S)는, 강화 수지제의 시트, 또는 JIS K 713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제의 시트이다. 또한, 제1 시트(100S)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피크 온도)는, 제2 시트(200S)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피크 온도)와 상이하다. 이 동적 점탄성 측정은,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본 명세서에서는, TA Instruments사 제조의 ARES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 모드를 전단 모드 또는 인장 모드로 하고, 승온 속도를 5℃/분으로 하고, 측정 범위를 80 내지 100℃로 하고, 측정 주파수를 1㎐로 하여, 각 시트를 측정한 값으로부터 산출된다. 제1 시트(100S)가 과잉으로 열수축되는 일이 없고, 또한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와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가 상이함으로써, 가열 시에, 양자의 시트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 또는 탄성 저하가 동시에 최대로 되지 않으므로, 설치 부품(10)이 어긋나거나 기울거나 하는 것을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다.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와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가 상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수지와는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 또는 경화 개시 온도를 갖는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JIS K 713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제의 시트는,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은, 당해 시트의 편면의 전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제1 시트(100S)의 권회를 개시하는 위치와 권회를 종료하는 위치(즉, 양단부) 중 편면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높다. 즉, 가열 시에,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시트(200S)는,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시트(100S)보다 낮은 온도에 있어서 손실 탄젠트가 저하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열 시에, 외측에 배치된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의 저하가, 내측에 배치된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의 저하보다 먼저 발생함으로써, 먼저 제2층(200)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가 과잉으로 유동하는 것에 기인한 설치 부품(10)의 어긋남이나 기울기의 발생을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다.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를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보다 높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수지보다 유리 전이 온도 또는 경화 개시 온도가 높은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는,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보다 10℃ 이상 높다. 이 피크 온도의 차는, 1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4℃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한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를 갖는 제1 시트(100S) 및 제2 시트(200S)로부터 제작한 권회체를 가열하면, 먼저, 외측에 배치된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제2층(200)이 형성된다. 이어서, 내측에 배치된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이 상승하여 장대체(2)와 설치 부품(10)의 간극이 메워진다. 이어서,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제1층(100S)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장대체(2)와 설치 부품(10)의 간극을 메워 설치 부품(10)을 장대체(2)에 대해 강고하게 고정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트(100S)의 수지가 누출되어 설치 부품이 어긋나거나 기울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 또는 경감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낮다. 즉, 가열 시에,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시트(100S)는,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시트(200S)보다 낮은 온도에 있어서 손실 탄젠트가 저하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열 시에, 내측에 배치된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의 저하가, 외측에 배치된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의 저하보다 먼저 발생함으로써, 먼저 제1층(100)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가 누출되는 것에 기인한 설치 부품(10)의 어긋남이나 기울기의 발생을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다.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를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보다 낮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수지보다 유리 전이 온도 또는 경화 개시 온도가 낮은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는,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보다 10℃ 이상 낮다. 이 피크 온도의 차는, 1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4℃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한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를 갖는 제1 시트(100S) 및 제2 시트(200S)로부터 제작한 권회체를 가열하면, 먼저, 내측에 배치된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제1층(100)이 형성된다. 이어서, 외측에 배치된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이 상승한다. 이어서,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제2층(200S)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장대체(2)와 설치 부품(10)의 간극을 메워 설치 부품(10)을 장대체(2)에 대해 강고하게 고정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트(100S)의 수지가 누출되어 설치 부품이 어긋나거나 기울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 또는 경감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가,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높은 구체예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의 상측의 선이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의 하측의 선이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제1 시트(100S) 및 제2 시트(200S)가 권회된 권회체를 120℃로 가열하면, 먼저, 외측에 배치된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제2층(200)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그 때, 내측에 배치된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이 상승하기 시작하여, 장대체(2)와 설치 부품(10)의 간극이 메워지기 시작하지만, 제2층(200)의 존재에 의해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는 과잉으로 유동하지 않는다. 이어서, 120℃로 계속 유지하는 것, 또는 120℃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제1층(100S)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장대체(2)와 설치 부품(10)의 간극을 메워 견고하게 고정하는 작용 효과와, 설치 부품(10)의 어긋남이나 기울기를 방지 또는 경감하는 작용 효과의 양쪽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술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2층(200)이 제1층(100)의 외측에 존재하고 있으면 되고, 제2층(200)의 외측에 새로운 층(예를 들어, 도장층)이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제2층(200)과 제1층(100) 사이에 새로운 층(예를 들어,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앵커층)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는, 상술한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와의 상대 관계에 의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절댓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60∼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1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를 그러한 범위 내로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수지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는, 상술한 제1 시트(1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와의 상대 관계에 의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절댓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65∼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10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2 시트(200S)의 손실 탄젠트의 피크 온도를 그러한 범위 내로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수지의 성분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소정의 온도로 유지된 가열로에 장대(5)(장대체(2))를 넣음으로써 가열을 행할 수 있다. 그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70∼160℃여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5∼12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0∼110℃이다. 소정의 온도로 유지한 가열로에서 가열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분∼3시간으로 할 수 있고, 15분∼2.5시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분∼2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시트(100S)의 80℃∼14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01㎫∼10000㎫ 이하이다. 이 저장 탄성률은,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본 명세서에서는, TA Instruments사 제조의 ARES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 모드를 전단 모드 또는 인장 모드로 하고, 승온 속도를 5℃/분으로 하고, 측정 범위를 50 내지 140℃로 하고, 측정 주파수를 1㎐로 하여, 각 시트를 변형시켰을 때에 얻어지는 동적 복소 탄성률의 위상각 δ의 코사인 성분을 가리킨다. 제1 시트(100S)의 저장 탄성률은 0.02㎫∼8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6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시트(100S)의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제2 시트(200S)를 경화시키기 위해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저장 탄성률이 소정 이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설치 부품(10)을 압박하는 텐션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설치 부품(10)의 어긋남이나 기울기를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다. 제1 시트(100S)가 그러한 저장 탄성률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섬유 및 수지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시트(100S)의 80℃∼140℃의 범위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의 최솟값에 대한 최댓값의 배율이 5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배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배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7배 이하이다. 상기 배율이 상기한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제2 시트(200S)를 경화시키기 위한 가열 시에 제1 시트(100S)의 저장 탄성률의 변화가 소정 범위 내로 되어, 제1 시트(100S)에 의해 설치 부품(10)이 압박되는 텐션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설치 부품(10)의 어긋남이나 기울기를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다. 제1 시트(100S)가 그러한 저장 탄성률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1 시트(100S)에 포함되는 섬유 및 수지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 제2 시트(200S)의 80∼14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1㎫∼100㎫이다. 이 저장 탄성률은, 제1 시트(100S)와 마찬가지로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는 값이다. 제2 시트(200S) 저장 탄성률은 0.02㎫∼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6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시트(200S)가 그러한 저장 탄성률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섬유 및 수지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시트(100S)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 또는 수지 시트이다. 프리프레그 시트의 섬유라 함은, 탄소 섬유 혹은 유리 섬유 등의 섬유 강화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이다. 이들 중에서도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는, 가열하면 화학 반응에 의해 불가역적으로 경화되는 수지를 말한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제1 시트(100S)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300㎛여도 된다. 제1 시트(100S)로서, 적절한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시트(100S)는 수지 시트 단체여도 된다. 수지 시트 단체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불소 수지(PTFE, PFA, FEP 등) 등의 열수축률이 2.5% 이하의 것이다. 이 열수축률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시트(100S)는 점착층을 갖는 수지 시트여도 된다. 점착층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등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시트(100S)는 부직포의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부직포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PET), 아크릴 섬유, 아라미드 섬유, 유리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시트(200S)는, 강화 재료로 이루어지는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이다. 강화 섬유는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 섬유이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가 바람직하다. 제2 시트(200S)에 함침되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키드수지 및 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시트(200S)에 함침되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는, 제1 시트(100S)에 함침시키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보다 경화 온도가 낮다. 예를 들어, 제1 시트(100S)에 120℃ 경화 타입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경우에는, 제2 시트(200S)에 80℃ 경화 타입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킬 수 있다. 제2 시트(200S)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300㎛여도 된다. 제2 시트(200S)로서, 적절한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시트(100S) 또는 제2 시트(200S)에 함침시키는 조성물은,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공지의 첨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것이다. 당해 조성물이 열경화성 수지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100%로 하였을 때에 열경화성 수지의 질량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경화성 수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또는 90%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시트(100S)의 프리프레그 시트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양은, 제1 시트(100S) 중의 강화 섬유의 질량과 열경화성 수지의 질량 합계를 100질량%로 하였을 때,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질량%이다.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양은, 제2 시트(200S) 중의 강화 섬유의 질량과 열경화성 수지의 질량 합계를 100질량%로 하였을 때, 20질량%∼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40질량%이다.
제1 시트(100S) 및 제2 시트(200S)는, 단순히 열경화성 수지를 기재로 한 수지 시트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제1 시트(100S)는 단순히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여도 된다. 그러나, 장대체(2)에 대한 설치 부품(10)의 고정 강도, 수지 플로우의 안정성, 내구성의 향상 및 작업성의 향상(수지 시트는 작업 중에 변형, 파손이 발생하기 쉬움)을 고려하면, 설치 부품을 고정하는 소재로서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시트(100S) 및 제2 시트(200S) 중 어느 한쪽만이 프리프레그 시트여도 되지만, 이들 양자가 프리프레그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시트(200S)로서는, 강도나 흠집이 발생하기 어려움 등을 고려하여, 장대체(2)의 연장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섬유가 정렬된 것(예를 들어, 축 길이 방향 X에 대해 45°기울여 정렬된 것 ; 도 4 참조, 혹은 더 권취가 용이하도록, 평직 형상으로 편성된 것을 소정 각도(예를 들어 45°) 기울이는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시트(100S)로서는, 권취의 용이성 및 섬유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도록, 섬유가 평직 형상으로 편성된 것(예를 들어, 축 길이 방향 X에 대해 0°와 90°를 향한 것; 도 4 참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제1 시트(100S) 및 제2 시트(200S)에 포함되는 섬유의 배향 방향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시트(100S)는, 1 플라이 이하로 재단되어 장대체(2)의 표면에 적재되는 것, 혹은 1 플라이 이상으로 재단되어 장대에 권회되는 것이어도 된다. 제1 시트(100S)의 권회 수가 장대에 대해 2 플라이 이상으로 되면, 중량화되거나 권회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회 수를 2 플라이 이하로 하고, 상기 낚싯줄 가이드(10B)의 고정부(10a)는 1 플라이한 후의 겹침 부분에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부를 겹침 부분에 개재시킴으로써, 낚싯줄 가이드(10B)를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로 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단, 제1 시트(100S)의 권회 수는 상기한 플라이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낚싯대(1)는, 병계식으로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각 장대의 이음 구조는, 진출 방식, 역병계 방식, 스피곳 이음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중간대에 대해서는 복수 개(2개 이상)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또한, 전체적으로 1개 장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설치 부품에 대해서는, 낚싯줄 가이드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도시한 릴 시트(9)를 고정할 때에도, 상기한 고정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의 표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에 있어서의 제1층(100) 및 제2층(200)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제1 시트(100) 및 제2 시트(200)의 예를 나타낸다. 표 1 중의 「가이드 위치 어긋남」의 항목에서는, 가열 전에 설치 부품(10)을 설치한 위치로부터 낚싯대의 원주에 있어서 원주의 1°이상에 상당하는 각도로 가열 후에 설치 부품(10)의 위치가 이동한 설치 부품(10)이 1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로 평가하고, 존재하지 않는 것을 ○로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은, 통상 부재를 갖는 관상체(2')에도 관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상체(2')는 가늘고 긴 통상의 형상을 갖는다. 관상체(2')에는, 제2층(200') 및 제1층(제2층(200')의 내측에 존재하고,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설치 부품(10')이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관상체는, 예를 들어 원대(3), 중간대(5) 또는 초릿대(7) 등과 같은 낚싯대(1)의 일부분으로서 사용되는 부재(장대)여도 된다. 낚싯대의 일부분인 관상체(2')는, 1개의 낚싯대로서 완전한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도 2∼도 5와 그 설명에 나타나 있는 낚싯대(1)의 구체적인 양태와 마찬가지인 양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관상체(2')는, 유연성을 갖는 관상체를 필요로 하는 모든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관상체(2')는, 그 용도에 관계없이, 설치 부품을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구성 요소의 치수, 재료 및 배치는, 실시 형태 중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각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치수, 재료 및 배치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를, 설명한 실시 형태에 부가할 수도 있고,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 요소의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1 : 낚싯대
2' : 관상체
2 : 장대체
3 : 원대
5 : 중간대
7 : 초릿대
9 : 릴 시트(설치 부품)
10, 10' : 설치 부품
10A, 10B, 10C : 낚싯줄 가이드(설치 부품)
100 : 제1층(제1 시트(100S)에 의해 형성되는 층)
200 : 제2층(제2 시트(200S)에 의해 형성되는 층)
200' : 제2층(제2 시트(200S)에 의해 형성되는 층)
100S : 제1 시트
200S : 제2 시트

Claims (12)

  1. 가늘고 긴 통상의 장대체와,
    설치부를 갖고, 상기 장대체의 외주면에 상기 설치부를 통해 설치되는 설치 부품과,
    상기 설치부와 상기 장대체를 모두 둘러싸도록 섬유 강화 수지제의, 또는 JIS K 713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제의 제1 시트를 권회하여 형성된 제1층과,
    상기 제1 시트의 외측에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2 시트를 권회하여 형성된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와 상이한,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높은, 낚싯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낮은, 낚싯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10℃ 이상 높은, 낚싯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10℃ 이상 낮은, 낚싯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80℃∼14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01㎫∼10000㎫인, 낚싯대.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시트, 수지 시트 단체, 또는 점착층을 갖는 수지 시트인, 낚싯대.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또는 수지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침시킨 것인, 낚싯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품이 낚싯줄 가이드인, 낚싯대.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품이 릴 시트인, 낚싯대.
  11. 가늘고 긴 통상의 형상을 갖는 통상 부재와,
    설치부를 갖고, 상기 통상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설치부를 통해 설치되는 설치 부품과,
    상기 설치부와 상기 통상 부재를 모두 둘러싸도록 섬유 강화 수지제의, 또는 JIS K 713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제의 제1 시트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된 제1층과,
    상기 제1 시트의 외주면에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2 시트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된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와 상이한, 관상체.
  12. 가늘고 긴 통상의 형상을 갖는 통상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설치부를 갖는 설치 부품을 상기 통상 부재의 외주면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설치부와 상기 통상 부재를 모두 둘러싸도록 섬유 강화 수지제의, 또는 JIS K 713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수지제의 제1 시트를 권회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시트의 외주면에 섬유 강화 수지제의 제2 시트를 권회하는 공정과,
    이어서, 상기 공정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권회체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설치 부품을 상기 통상 부재에 고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는, 상기 제2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와 상이하고,
    상기 고착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은, 상기 제1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 및 상기 제2 시트의 주파수 1㎐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산출되는 손실 탄젠트(tanδ)가 최댓값으로 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 중, 더 높은 쪽의 온도보다 낮고, 더 낮은 쪽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제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관상체의 제조 방법.
KR1020180027808A 2017-03-14 2018-03-09 설치 부품이 설치된 장대체를 갖는 낚싯대, 관상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548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49054A JP6715791B2 (ja) 2017-03-14 2017-03-14 取付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竿体を有する釣竿、管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7-049054 2017-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76A true KR20180105076A (ko) 2018-09-27
KR102548638B1 KR102548638B1 (ko) 2023-06-28

Family

ID=6352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808A KR102548638B1 (ko) 2017-03-14 2018-03-09 설치 부품이 설치된 장대체를 갖는 낚싯대, 관상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12289B2 (ko)
JP (1) JP6715791B2 (ko)
KR (1) KR102548638B1 (ko)
CN (1) CN108566928B (ko)
TW (1) TWI6628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2930B2 (ja) * 2019-10-28 2023-05-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及び釣糸ガイド
EP4175469A1 (en) * 2020-07-02 2023-05-10 Penicka, Robert Fishing rod and method for attaching line guides, tip tops and accessories to a rod blan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78A (ja) * 1983-07-04 1985-01-25 Taiheiyo Kogyo Kk 電磁弁
JPH0226474A (ja) 1988-07-15 1990-01-29 Nec Corp 中間調画像処理方式
JP2004194563A (ja) 2002-12-18 2004-07-15 Daiwa Seiko Inc 釣竿
JP2006006230A (ja) * 2004-06-28 2006-01-12 Daiwa Seiko Inc 釣竿
JP2008263841A (ja) 2007-04-19 2008-11-06 Shimano Inc 釣り具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449317A1 (ru) * 1971-07-20 1974-11-0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1614 Емкостный датчик
JPS60156963U (ja) 1984-03-29 1985-10-18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H0226474U (ko) * 1988-08-06 1990-02-21
JP3114826B2 (ja) * 1992-07-01 2000-12-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とその製造方法
TWI266607B (en) * 2002-05-01 2006-11-21 Shimano Kk Fishing rod
JP3978095B2 (ja) * 2002-07-26 2007-09-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
US7204951B2 (en) * 2002-07-30 2007-04-17 Rocky Mountain Composites, Inc. Method of assembling a single piece co-cured structure
KR100512798B1 (ko) * 2002-10-04 2005-09-09 일 훈 이 카본낚싯대의 라인가이드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DE10315338A1 (de) * 2003-04-03 2004-10-14 Mettler-Toledo Gmbh Sicherungsvorrichtung für eine Einbauelektrodenvorrichtung
JP2005229955A (ja) * 2004-02-23 2005-09-02 Shimano Inc 竿体への部品の装着方法
US20090077857A1 (en) * 2007-09-26 2009-03-26 Wen-Hsiang Lee Fishing ro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2380735A4 (en) * 2009-01-20 2013-07-17 Mitsubishi Plastics Inc MULTILAYER FOIL
JP2012029606A (ja) * 2010-07-29 2012-02-16 Globeride Inc 釣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5777326B2 (ja) * 2010-11-12 2015-09-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糸用ガイド及び釣り竿
WO2012081561A1 (ja) * 2010-12-13 2012-06-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材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ル材
JP5944273B2 (ja) * 2012-08-31 2016-07-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WO2015068610A1 (ja) * 2013-11-11 2015-05-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イヤ用粘着シートおよびタイヤ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6253472B2 (ja) * 2014-03-26 2017-12-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脚固定装置
BR112017004167B1 (pt) 2014-09-12 2022-03-29 Sekisui Chemical Co., Ltd Camada de intercalação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JP6483159B2 (ja) * 2015-01-19 2019-03-13 株式会社巴川製紙所 熱硬化性接着剤組成物、熱硬化性接着フィルム、および複合フィルム
JP6839197B2 (ja) * 2016-08-31 2021-03-0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EP3593635B1 (en) * 2017-03-10 2023-10-18 Globeride, Inc. Fishing rod having rod body having attachments attached thereto, tubular bod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78A (ja) * 1983-07-04 1985-01-25 Taiheiyo Kogyo Kk 電磁弁
JPH0226474A (ja) 1988-07-15 1990-01-29 Nec Corp 中間調画像処理方式
JP2004194563A (ja) 2002-12-18 2004-07-15 Daiwa Seiko Inc 釣竿
JP2006006230A (ja) * 2004-06-28 2006-01-12 Daiwa Seiko Inc 釣竿
JP2008263841A (ja) 2007-04-19 2008-11-06 Shimano Inc 釣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566928A (zh) 2018-09-25
TW201832658A (zh) 2018-09-16
JP2018148861A (ja) 2018-09-27
CN108566928B (zh) 2021-11-02
US20180263229A1 (en) 2018-09-20
JP6715791B2 (ja) 2020-07-01
TWI662891B (zh) 2019-06-21
US10912289B2 (en) 2021-02-09
KR102548638B1 (ko)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7700B1 (en) 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coil sp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888938A1 (en) Reel seat having fiber-reinforced resin sheet in fixed ho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reel seat
KR102436855B1 (ko) 낚싯대
KR20180105076A (ko) 설치 부품이 설치된 장대체를 갖는 낚싯대, 관상체 및 그 제조 방법
EP3520610A1 (en) Fishing rod
US11758890B2 (en) Fishing rod including rod body having fitting mounted thereon
JP7105758B2 (ja) 取付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竿体を有する釣竿、管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366617A1 (en) Strand profile and process for producing a strand profile
GB2248729A (en) Flexible reinforced tubes for cable bend strain relief
JP7408742B2 (ja) 釣糸ガイド、該ガイドを備える釣竿及び釣糸ガイドの成型方法
KR102441782B1 (ko) 설치 부품이 설치된 로드체를 갖는 낚싯대
JP2021065190A (ja) 釣竿及び釣糸ガイド
JP2022154512A (ja) 釣糸ガイド、該釣糸ガイドを備える釣竿
JP2020000185A (ja) 取付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竿体を有する釣竿
JP2020000129A (ja) 取付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竿体を有する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