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6845A - 웨빙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6845A
KR20060106845A KR1020067011205A KR20067011205A KR20060106845A KR 20060106845 A KR20060106845 A KR 20060106845A KR 1020067011205 A KR1020067011205 A KR 1020067011205A KR 20067011205 A KR20067011205 A KR 20067011205A KR 20060106845 A KR20060106845 A KR 20060106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lock
sleeve
tak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519B1 (ko
Inventor
히토시 다카마츠
토모노리 나가타
야수호 기타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106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4633Linear actuators, e.g. comprising a piston moving along reel axis and rotating along its ow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과제] 부품 개수를 제한함과 동시에 소형화할 수 있는 락 기구 및 프리텐셔너 기구를 갖춘 웨빙 권취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웨빙 권취 장치는, 락 기어(70)로서 다기능화 된 락 기어를 구비한다. 프리텐셔너 기구(50)를 구성하는 슬리브(72) 및 슬리브 연장부(73)가, 락 기구(130)를 구성하는 락 기어(70)의 축심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다. 락 기어(70)는, 락 기구(130)의 락 기어 본체(74) 및 래칫 이빨(76), 프리텐셔너 기구(50)의 슬리브(72) 및 슬리브 연장부(73)를 일체로 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웨빙 권취 장치{WEBBING TAKE-UP DEVICE}
본 발명은, 차량 급감속 등의 소정 조건이 채워졌을 경우에 승무원 구속용 웨빙 벨트를 층상으로 권취하는 권취 축의 회전을 규제하는 락 기구와 프리텐셔너 기구를 갖춘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장착된 웨빙 벨트의 권취 장치에는, 소정 조건이 채워지면, 웨빙 벨트의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에의 회전을 규제하는 락 기구를 마련한 것이 있다. 락(lock) 기구에는, 권취 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락 기어(lock gear)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락 기어가 권취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량 급감속 시에 웨빙 벨트를 소정 양만큼 강제적으로 권취하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마련한 권취 장치에 있어서, 그 일 예가 아래와 같이 특허 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프리텐셔너 기구가 부착되는 권취 장치에서, 프리텐셔너 기구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권취 축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하는 중간체(슬리브)가 필요하기 때문에, 슬리브가 권취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락 기구와 프리텐셔너 기구 모두를 권취 장치에 설치하면, 락 기구를 구성하는 락 기어 및 프리텐셔너 기구를 구성하는 슬리브가 각각 별개로 필요하며, 부품 개수가 많아져 버리는 결점이 있다. 게다가 권취 장치가 대형화 되는 결점이 있다.
특허 문헌1:특개평6-156884호 공보
상기 문제점을 보면, 부품 개수를 제한함과 동시에 소형화할 수 있는, 락 기구 및 프리텐셔너 기구를 갖춘 웨빙 권취 장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는, 승무원 구속용의 웨빙 벨트를 권취하는 권취 축을 포함한다. 게다가 외주면에 래칫 이빨이 형성된 락 기어와, 상기 락 기어의 래칫 이빨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된 락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락 기구를 구비한다. 락 기구는, 소정의 조건 하에서 락 플레이트가 락 기어에 계합하여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을 저지한다. 웨빙 권취 장치는, 일단부가 권취 축에 연결된 토션 바(torsion bar)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스 리미터 기구를 더 포함한다. 포스 리미터 기구는, 락 기구에 의해서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력을 흡수할 수 있다. 이 웨빙 권취 장치는, 토션 바의 타단부에 연결된 슬리브를 포함해 구성된 프리텐셔너 기구를 더 포함한다. 프리텐셔너 기구는, 소정의 조건 하에서 권취 축을 슬리브에 개입시켜 웨빙 권취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웨빙 권취 장치에서, 프리텐셔너 기구의 슬리브를 락 기구의 락 기어의 축심 부분에 일체로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에 의하면, 승무원 구속용의 웨빙 벨트를 권취하는 권취 축에는, 포스 리미터 기구를 구성하는 토션 바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토션 바의 타단부에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구성하는 슬리브가 연결된다.
이러한 본 웨빙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 급감속 등의 소정 조건이 채워지면, 프리텐셔너 기구 및 락 기구가 작동한다.
프리텐셔너 기구가 작동하면, 권취 축으로 토션 바의 타단부에 연결된 슬리브를 개입시켜 회전 구동력이 제공된다.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서 권취 축으로 회전 구동력이 제공되면, 권취 축은 웨빙 권취 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웨빙 벨트가 강제적으로 소정 양만큼 감겨 승무원의 신체에 밀착된다.
프리텐셔너 기구와 동시에 락 기구가 작동하면, 락 플레이트가 락 기어에 계합하고, 이것에 의해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웨빙 벨트의 인출이 저지되어 승무원은 웨빙 벨트에 의해서 밀착된 상태로 구속되어 보호된다.
락 기구에 의해서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승무원의 관성 이동 등에 기인해 웨빙 벨트에 장력이 걸리면, 권취 축으로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진다. 회전력은 포스 리미터 기구의 토션 바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승무원의 보호 성능을 더욱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프리텐셔너 기구의 슬리브가, 락 기구의 락 기어의 축심 부분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나의 부재에 2개의 기능을 겸비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웨빙 권취 장치의 부품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웨빙 권취 장치의 부품 개수를 제한하므로, 웨빙 권취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는, 승무원 구속용 웨빙 벨트를 권취하는 권취 축을 포함한다. 이 웨빙 권취 장치는, 외주면에 래칫 이빨이 형성된 락 기어 및 락 기어의 래칫 이빨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된 락 플레이트를 포함해 구성되는 락 기구를 더 포함한다. 이 락 기구는, 소정의 조건 하에서 락 플레이트가 락 기어에 계합하도록 하여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을 저지하게 되어 있다. 이 웨빙 권취 장치는, 일단부가 권취 축에 연결된 토션 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스 리미터 기구를 더 구비한다. 이 포스 리미터 기구는, 락 기구에 의해서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에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력을 흡수한다. 이 웨빙 권취 장치는, 토션 바의 타단부에 연결된 슬리브와, 가스압을 받아 실린더 내부를 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대응하여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복수의 이빨이 형성된 랙(rack)과, 권취 축과 같은 축상에 배치되어 피스톤의 이동에 수반해 랙의 이빨에 계합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과, 피니언의 회전력을 슬리브에 전달하는 클러치 플레이트를 포함해 구성되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더 구비한다. 이 프리텐셔너 기구는, 소정의 조건하에 있어 권취 축을 슬리브에 개입시켜 웨빙 권취 방향에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프리텐셔너 기구의 슬리브를, 락 기구의 락 기어의 축심 부분에 일체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에 의하면, 승무원 구속용의 웨빙 벨트를 권취하는 권취 축으로는, 포스 리미터 기구를 구성하는 토션 바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이 토션 바의 타단부에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구성하는 슬리브가 연결된다.
이러한 본 웨빙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 급감속등의 소정 조건이 채워지면, 프리텐셔너 기구 및 락 기구가 작동한다.
프리텐셔너 기구가 작동하면, 피스톤이 가스압을 받아 실린더 내부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 피스톤이 이동하면, 피니언은 피스톤에 대응하는 랙의 이빨에 계합되어 회전한다. 피니언이 회전하면, 클러치 플레이트가 피니언의 회전력을 토션 바의 타단부에 연결된 슬리브에 전달한다. 이 결과, 권취 축으로 슬리브를 개입시켜 회전 구동력이 제공된다.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서 권취 축으로 회전 구동력이 주어지면, 권취 축은 웨빙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웨빙 벨트가 강제적으로 소정 양만큼 감겨 승무원의 신체에 밀착된다.
프리텐셔너 기구와 동시에 락 기구가 작동하면, 락 플레이트가 락 기어에 계합해, 이것에 의해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에의 회전이 저지된다. 웨빙 벨트의 인출이 저지되어 승무원은 웨빙 벨트에 의해서 밀착된 상태로 구속되어 보호된다.
락 기구에 의해서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에의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승무원의 관성 이동 등에 기인해 웨빙 벨트에 장력이 발생하면, 권취 축으로는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주어진다. 이 회전력은 포스 리미터 기구의 토션 바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승무원의 보호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웨빙 권취 장치에서, 프리텐셔너 기구의 슬리브가, 락 기구의 락 기어의 축심 부분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나의 부재에 2개의 기능을 겸비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웨빙 권취 장치의 부품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웨빙 권취 장치의 부품 개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웨빙 권취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는, 부품 개수를 제한함과 동시에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웨빙 권취 장치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구성하는 클러치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클러치 기구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웨빙 권취 장치
20:스풀(권취 축)
28:웨빙 벨트
30:토션 바(포스 리미터 기구)
50:프리텐셔너 기구
58:피스톤
59:랙
66A:기초부(피니언)
66B:피니언이빨(피니언)
66C:캠
70:락 기어
72:슬리브
73:슬리브 연장부(슬리브)
76:래칫 이빨
82:로렛면(로렛 가공이 수행된 슬리브의 내주면)
84:클러치 플레이트
130:락 기구
136:락 플레이트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10)의 개략 구조가 분해 사시도에서 나타나고 있다.
웨빙 권취 장치(10)는, 프레임(12)을 포함한다. 프레임(12)은, 판 모양에 형성된 배부(背部)(14)를 갖추고 있다. 배부(14)는, 그 하단부가 차체에 볼트 고정된다. 베이스(14)의 양단부에는, 서로 병행한 한 벌의 각부(16, 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12)은, 상면에서 봤을 때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게다가 프레임(12)의 각부(16, 18)의 상단부에는, 연결편(19)이 걸려 제공된다. 연결편(19)에는, 웨빙 벨트(28)가 삽통(揷通)하는 삽통공(19A)과 프레임(12) 을 차체에 볼트 고정에서 고정하기 위한 부착부(19B)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프레임(12)의 각부(16, 18)의 베이스(14)와는 반대측에서는, 그러한 상하 방향의 2개소에 바 서포트(132, 134)가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12)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각부(16, 18)의 사이에는, 스풀(20)이 권취 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풀(20)의 중앙부(22)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스풀(20)의 중앙부(22)에는, 웨빙 벨트(28)가 스풀(20)의 축심부를 피해 삽통된다. 웨빙 벨트(28)의 단부는, 긴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벨트의 단부를 돌려 겹치게 하고 그 근방을 꿰매어 형성된 환상부(28A)로 되어 있다. 이 환상부(28A)에는 원기둥 형상의 샤프트(29)가 삽통되고, 스풀(20)의 중앙부(22)에 감합된다. 즉, 웨빙 벨트(28)의 단부는, 스풀(20)의 중앙부(22)에 결속된다.
따라서, 웨빙 벨트(28)의 인출에 수반해 스풀(20)도 그 축 주위에 대해 한방향(이하, "웨빙 인출 방향"이라고 한다)에 회전하고, 인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하, "웨빙 권취 방향"이라고 한다)으로 스풀(2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웨빙 벨트(28)는 층상으로 감기도록 되어 있다.
이 스풀(20)의 축방향 양단부에는, 대략 원판 형상에 형성된 한 벌의 플랜지부(24, 26)(각각 각부(16, 18)의 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풀(20)은 전체적으로 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스풀(20)의 축심부에는, 감합구멍(20A)과 각부(18)측에서 이 감합구멍(20A)에 연통된 슬리브 수입부(20B)가 형성되어 있다(도 3을 참조). 감합구멍(20A)에 는, 각부(16, 18) 측에 육각 볼트의 머리 형상에 형성된 꼬리 부분(30B) 및 머리 부분(30A)을 일체로 마련한 토션 바(30)가 삽입되어 있다. 토션 바(30)의 꼬리 부분(30B)은, 감합구멍(20A)의 각부(16)측 단부에 설치된 거의 육각구멍 형상의 감합부(도시 생략)에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토션 바(30)는 스풀(20)과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덧붙여 토션 바(30)는, 미도시된 계합 부재에 의해 발지(?止)된 상태로 스풀(20)에 연결되어 있다.
토션 바(30)의 각부(16) 측에는, 프레임(12)의 각부(16)의 외측에서 스프링 시트(32)가 같은 축적으로 배치되어 각부(16)에 장착되어 있다. 게다가 스프링 시트(32)의 각부(16)측과는 반대측에서는, 이 스프링 시트(32)를 가리도록 스프링 커버(34)가 각부(16)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커버(34)의 각부(16) 측에는, 밑이 막힌(有底)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요철부(34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요철부(34A)에는, 거의 플랜지 원통체로 형성된 어댑터(34)가 배치되어 있다. 어댑터(34)에서 칼날 형상의 부위는 프레임(12)의 각부(16)과 대향하고 있고, 어댑터(34)의 축심부에는 상술한 토션 바(30)의 일단부(각부(16)측의 단부)가 상대 회전하지 못하도록 일체로 결속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커버(34)의 요철부(34A)에는, 태엽 스프링(38)이 설치되어 있다. 태엽 스프링(38)의 일단은, 어댑터(34)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태엽 스프링(38)의 타단은, 스프링 커버(34)의 요철부(34A)의 내주벽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웨빙 인출 방향으로 스풀(20)이 회전하면, 스풀(20)에 연결된 토션 바(30)의 회전에 수반해 태엽 스프링(38)이 감겨져 이 태엽 스프링(38)에 의해서 토션 바(30)는 웨빙 권취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토션 바(30)의 각부(18) 측에는, 프리텐셔너 기구(50)가 설치되어 있다. 프리텐셔너 기구(50)는, 파이프 모양에 형성된 실린더(52)를 갖추고 있다. 실린더(52)의 일단부에는, 제네레이터 캡(54)이 가스 발생기(56)를 사이에 개재시켜 밀착하고 있고, 실린더(52)의 일단부가 폐지 되어 있다. 가스 발생기(56)의 내부에는, 화약을 채울 수 있다. 가스 발생기(56)는, 미도시된 제어 수단을 개입시켜 미도시된 가속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고, 이 가속도 센서에 의한 가속도(감속도) 검지 결과에 따라 제어 수단이 작동해 화약이 점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린더(52)의 타단부에는, 피스톤(58)이 O링(64)을 그 사이에 개재시켜 신장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58)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52)의 내부에 삽입되는 축부(58A)와 이 축부(58A)의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랙 이빨(60)을 가지는 랙(59)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축부(58A)와 랙(59)과의 경계 부위에는, 대략 원반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62)가 형성되고 있고, O링(64)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통상 시에는, 이 플랜지부(62)에 의해서 실린더(52)의 타단부가 밀폐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의 가스 발생기(56)에 의해서 가스가 발생하면, 피스톤(58)은 이 가스의 압력(가스압)을 받아 축부(58A)의 축방향에 따라서 실린더(52)로부터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랙(59)은, 축부(58A)의 축방향을 긴 방향으로 대략 막대 모양에 형성되어 있다. 랙(59)에는, 상술한 랙 이빨(60)이, 피스톤(58)의 신장 방향(즉, 랙(59)의 긴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랙(59)의 랙 이빨(60)은, 상술한 토션 바(30)와 같은 축상에 배치된 피니언(66)의 피니언이빨(66B)과 서로 맞물려 가능으로 되어 있다.
도 2에는, 피니언(66)을 포함해 구성된 프리텐셔너 기구(50)를 구성하는 클러치 기구(100)가 분해 사시도로 나타나고 있다. 도 3 에는, 이 클러치 기구(100)의 부착 상태가 단면도로 나타나고 있다. 덧붙여 설명의 형편상, 도 2에 대해서는 기어 케이스(83)의 도시를 생략 한다. 클러치 기구(100)는 피니언(66), 클러치 플레이트(84) 및 락 기어(70)로 구성되어 있다.
락 기어(70)는, 스풀(20)의 축심부에 형성된 슬리브 수입부(20B)로 토션 바(30)의 머리 부분(30A)에 감합된 원통형의 슬리브(72)와 슬리브(72)로부터 같은 축상에 연장되며 지름 방향 치수가 일주 크게 설정된 슬리브 연장부(73)와 슬리브 연장부(73)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 락 기어 본체(74)와 락 기어 본체(74)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래칫 이빨(76)로 구성되어 있다.
슬리브(72)는, 스풀(20)의 슬리브 수입부(20B)에 발지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72)의 축심부에는, 육각구멍 형상의 감합구멍(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리브(72)의 감합구멍(80)에는, 상술한 토션 바(30)의 머리 부분(30A)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슬리브(72)는 기본적으로는 토션 바(30)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슬리브 연장부(73)의 내주면에는 전면적으로 로렛 가공이 수행되어 있다(이하, 로렛면(82)이라고 한다). 이러한 슬리브(72) 및 슬리브 연장부(73)는, 「슬리브」에 상당한다.
락 기어 본체(74)는, 두꺼운 평판 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슬리브 연장부(73)와 같은 축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락 기어 본체(74)의 외주면에는, 래칫 이빨(7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락 기어 본체(74)는, 토션 바(30)에 연결된 슬리브(72) 및 슬리브 연장부(73)과 상대 회전 불능으로 되어 있어 슬리브(72) 및 슬리브 연장부(73)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피니언(66)은, 비교적 얇은 기초부(66A)을 포함한다. 기초부(66A)의 바깥 둘레에는, 복수의 절결(6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초부(66A)의 한쪽 편(프리텐셔너 기구(50)측)에는, 랙(59)의 랙 이빨(60)과 서로 맞물려 가능하는 피니언이빨(66B)이 기초부(66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기초부(66A)에 대해서 피니언이빨(66B)과는 반대 측에는, 피니언이빨(66B)과 같은 축상에 풍차 형상의 캠(66C)이 기초부(66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캠(66C)은, 락 기어(70)의 슬리브 연장부(73)내에 삽입 가능한 지름 방향 치수 및 높이 방향 치수(축방향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프리텐셔너 기구(50)의 부착 상태에서는, 캠(66C)이 슬리브 연장부(73)에 삽입된 상태로 있어 로렛면(82)과 대향하고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84)는, 상술한 피니언(66)과 락 기어(70)과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84)는, 평판 링 형상으로 형성된 기판부(84A)와 이 기판부(84A)의 내주로부터 소정 간격마다 시작할 수 있는 복수의 시작부(84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기판부(84A)의 외주부에는, 소정간격을 두어 피니언(66)의 절결(68)과 대응하는 절결(8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결(68, 86)의 위치를 클러치 플레이트(84) 및 피니언(66)의 축방향에 대해 대향시킨 상태 로 절결(68, 86)에 각부(18)측으로부터 미도시된 쉐어 핀을 삽입되어, 클러치 플레이트(84)에 대한 피니언(66)의 원주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이 된 상태로 클러치 플레이트(84)가 보관 유지된다.
클러치 플레이트(84)의 기판부(84A)에서는, 그 지름 방향 중간부에 기판부(84A)의 원주방향에 따라서 형성되는 절개부(88)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절개부(88)는, 대략 L자 모양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서, 기판부(84A)의 바깥 둘레의 안쪽에는, 원주방향에 따라서 형성되는 암부(9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arm)부(90)의 기단부는 기판부(84A)의 바깥 둘레로 일체로 형성된 고정단이 있고, 암부(90)의 첨단부는 상술한 시작부(84B)에 일체로 형성된 자유단이 있다. 각 시작부(84B)의 외주측의 면에는, 슬리브 연장부(73)의 로렛면(82)에 계합하는 복수조의 돌기(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시작부(84B)와 암부(90)의 접속된 부위(시작부(84B)의 기단부)에는, 그 양측에서 노치로 인해 잘룩한 부분(92)이 형성되어 있다.이것에 의해, 잘룩한 부분(92)이 형성된 부위의 강성은, 다른 부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치 플레이트(84)는, 피니언(66)의 캠(66C)에 의해서 원주방향에 대한 위치가 결정된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서, 캠(66C)의 입면(立面)이 일측 시작부(84B)의 측면으로 대향하고 있다. 캠(66C)의 경사면이 상기 시작부(84B)에 서로 이웃이 되고, 타측 시작부(84B)의 측면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84)의 시작부(84B)는, 락 기어(70)의 슬리브 연장부(73)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84)의 부착 상태에서는, 시작부(84B)의 돌기는, 슬리브 연장부(73)의 로렛면(82)에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 시에는 락 기어(70)가 회전해도 클러치 플레이트(84)에는 그 회전력이 전해지지 않고, 클러치 플레이트(84)가 회전할 것은 없다.
클러치 플레이트(84)과 락 기어(70)과의 사이에는, 기어 케이스(83)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 케이스(83)에는, 락 기어(70)의 플랜지 연장부(73)가 삽통하는 삽통공(8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어 케이스(83)는, 락 기어(70)를 가린 상태로 프레임(12)의 각부(18)의 외측(프리텐셔너 기구(50)측)에 장착되어 있다. 게다가 이러한 클러치 기구(100)의 각부(18)와는 반대 측에, 커버 플레이트(102)가 설치되고 있어 프리텐셔너 기구(50)를 보관 유지한 상태로 스크류 나사(104)에 의해서 각부(18)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커버 플레이트(102)의 각부(18)와는 반대 측에는, 락 기구(130)가 설치되어 있다. 락 기구(130)는, 각부(18)에 보관 유지되는 센서 홀더(106)와 센서 홀더(106)보다 더 각부(18)와는 반대측으로부터 각부(18)에 장착된 센서 커버(108)를 갖추고 있다. 센서 홀더(106)와 센서 커버(108) 각각에는,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부에 의해 형성된 틈새에는 V기어(116), W파울(114), W매스(112), 기어 센서(110) 및 가속도 센서(124)가 제공된다.
센서 홀더(106)의 각부(18)과는 반대측의 하부에는, 가속도 센서(124)가 배치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124)는 구체(122), 구체(122)를 재치하는 재치부(126) 및 구체(122)의 상부를 덮는 가동조(128)를 포함한다. 재치부(126)의 중앙부에는 구체(122)의 구면에 대응한 요철부가 형성되고 있어 통상 시에는 이 요철부에 의해 서 구체(122)가 보관 유지되어 있다. 가동조(128)는, 재치부(126)로부터 윗쪽에 연장된 입벽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체(122)를 위쪽에서 눌러 보관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 급감속 시에는, 구체(122)가 재치부(126)의 요철부로부터 전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가동조(128)를 위로 밀어 올릴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124)의 윗쪽에는, 기본적으로는 접시 모양에 형성된 기어 센서(110)가 피니언(66)과 같은 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기어 센서(110)의 하부에는, 상술한 가속도 센서(124)의 가동조(128)에 대향하여 밖에서 서로 맞물리는 계합조(110A)가 장착되어 있다. 이 계합조(110A)는, 기어 센서(110)의 축심부로부터 편심 한 위치에서 기어 센서(110)의 축과 평행한 1축선 회전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 되어 있다. 덧붙여 기어 센서(110)에는, 스프링(118)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스프링(118)의 타단은, 센서 커버(108)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기어 센서(110)의 계합조(110A)의 회동 방향 상에는, V기어(116)의 래칫 이빨(117)이 위치하고 있다. V기어(116)는, 피니언(66)과 같은 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기어 센서(110)의 계합조(110A)와 서로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기어 센서(110)와 V기어(116)와의 사이에는, 기어 센서(110)로부터 V기어(116)로 향하는 순서로 W매스(112), W파울(114)이 개재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W파울(114)에는, 센서스프링(12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센서스프링(120)의 타단은, 센서 커버(108)의 내벽에 고정되고 있어, W파울(114)이 V기어(116) 및 기어 센서(110)과 함께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면, W파울(114)은 센서 스프링(120)에 의해 이 회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의 기어 센서(110)의 각부(18)측 하부에는, 각판(18) 측에 돌출된 압압편(1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편(110B)의 회동 방향(웨빙 인출 방향으로 준하는 방향) 상에는, 락 플레이트(136)가 배치되어 있다. 락 플레이트(136)에는, 락 이빨(138)이 형성되어 있다. 락 플레이트(136)는, 상술한 락 기어(70)의 축심으로부터 편심 한 위치에서 락 기어(70)의 축선에 평행한 1축선회전에 회동 가능하게 각부(16, 18)에 축지 되어 있다. 이 락 플레이트(136)의 회동 방향(웨빙 인출 방향으로 준할 방향)에는, 상술한 락 기어(70)의 래칫 이빨(76)이 배치되어 있다. 락 플레이트(136)가 기어 센서(110)의 압압편(110B)에 의해서 압압되는 것으로 래칫 이빨(76)은 회동해, 락 플레이트(136)의 락 이빨(138)이 락 기어(70)의 래칫 이빨(76)에 치합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승무원이 웨빙 벨트(28)에 삽통된 미도시된 텅스텐플레이트를 가져 태엽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저항해 웨빙 벨트(28)를 스풀(20)로부터 꺼낸다. 그리고, 승무원이 텅스텐플레이트를 도시하지 않는 버클 장치에 계합시키면, 승무원은 시트 벨트 장치(도시 생략)의 벨트(28)를 장착한 상태가 된다.
통상의 차량 주행시에는, 토션 바(30)는, 스풀(20)과 일체로 웨빙 인출 방향 및 웨빙 권취 방향에 회전한다.
벨트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로, 차량이 주행하고 있을 때 차량이 갑자기 감속하면, 프리텐셔너 기구(50) 및 락 기구(130)가 작동한다.
프리텐셔너 기구(50)가 작동하면, 가스 발생기(56)으로부터 가스가 발생해, 이 가스에 의해서 피스톤(58)이 압압되어 실린더(52)로부터 신장 한다(즉, 장치 상방을 밀어 올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니언(66)과 클러치 플레이트(84)와의 위치 결정에 사용되고 있던 도시하지 않는 쉐어 핀이 전단한다. 이 전단과 함께, 피스톤(58)에 대비할 수 있었던 랙(59)의 랙 이빨(60)과 피니언(66)의 피니언이빨(66B)이 서로 맞물리고, 피스톤(58)의 이동 스트로크만큼 피니언(66)이 웨빙 권취 방향에 회전한다. 이 결과, 클러치 플레이트(84)의 시작부(84B)는, 피니언(66)의 기초부(66A)에 일체로 형성된 캠(66C)에 의해서 압압되어 슬리브 연장부(73)의 로렛면(82)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시작부(84B)에 형성된 돌기가 로렛면(82)에 계합해(클러치 플레이트(84)이 작동 당해), 클러치가 작동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피니언(66)의 회전력이 클러치 플레이트(84)를 개입시켜 락 기어(70)(더 말하면, 락 기어(70)의 슬리브 연장부(73))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피니언(66)이 웨빙 권취 방향에 회전하는 것으로써, 락 기어(70)도 웨빙 권취 방향에 회전한다. 이 결과, 스풀(20)은 순간에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웨빙 벨트(28)가 강제적으로 소정 양만큼 감겨 승무원의 신체에 밀착된다.
이 프리텐셔너 기구(50)과 동시에 락 기구(130)가 작동하면, 이 락 기구(130)에서는, 가속도 센서(124)의 구체(122)가 재치부(126)의 요철부로부터 전동한다. 구체(122)가 재치부(126)의 요철부로부터 전동하면, 구체(122)에 의해서 가동조(128)을 밀어 올릴 수 있어 기어 센서(110)에 장착되고 있는 계합조(110A)을 압압해 회동시킨다.
기어 센서(110)의 계합조(110A)가 회동하면, 이 계합조(110A)가 V기어(116)의 래칫 이빨(117)에 치합된다. 기어 센서(110)의 계합조(110A)가 V기어(116)의 래칫 이빨(117)에 치합된 상태가 되면, V기어(116)와 기어 센서(110)가 연결된 상태가 되기 위해, 차량 급감속 시의 승무원의 신체의 관성에 의한 웨빙 벨트(28)의 끌림에 수반해 V기어(116)와 함께 기어 센서(110)가 약간 회전한다. 덧붙여 이 경우에 대해서는, W매스(112)의 관성에 의해서 V기어(116) 및 기어 센서(110)의 회전력이 소정량 억제된다.
기어 센서(110)가 회전하면, 기어 센서(110)의 압압편(110B)에 의해서 락 플레이트(136)가 올라간다. 락 플레이트(136)가 올라가면, 그 락 이빨(138)이 락 기어(70)의 래칫 이빨(76)에 치합된다. 락 플레이트(136)의 락 이빨(138)이 락 기어(70)의 래칫 이빨(76)에 치합되면, 락 기어(70)의 웨빙 인출 방향에의 회전이 저지되고, 이 락 기어(70)에 연결된 토션 바(30)의 머리 부분(30A)의 회전도 저지된다. 토션 바(30)의 머리 부분(30A)의 회전이 저지되면, 토션 바(30)의 꼬리 부분(30B)에 계합한 스풀(20)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도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웨빙 벨트(28)의 인출도 저지되어 승무원은 웨빙 벨트(28)에 의해서 밀착된 상태로 구속되어 보호된다.
락 기구(130)에 의해서 스풀(20)의 웨빙 인출 방향에의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승무원이 차량 전방측에 관성 이동해 웨빙 벨트(28)에 장력(웨빙 장력)이 발생하면, 스풀(20)에는 웨빙 인출 방향에의 회전력이 주어진다. 이 때문에, 웨빙 인출 방향에 회전하려고 하는 스풀(20)과 웨빙 인출 방향에의 회전이 저지된 락 기 어(70)과의 사이에 상대 회전이 생긴다. 이 경우에 대하여 토션 바(30)가 뒤틀려 상기의 웨빙 장력에 의한 웨빙 인출 방향에의 회전력을 소정량 흡수한다. 따라서, 승무원의 보호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프리텐셔너 기구(50)를 구성하는 슬리브(72) 및 슬리브 연장부(73)가, 락 기구(130)의 락 기어(70)의 축심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종래에서 별개의 부재인 클러치 기구의 락 기어(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락 기어 본체(74) 및 래칫 이빨(76)에 상당한다)와 프리텐셔너 기구의 슬리브(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리브(72) 및 슬리브 연장부(73)에 상당한다)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부재에 2개의 기능을 겸비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웨빙 권취 장치(10)의 부품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빙 권취 장치(10)의 부품 개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웨빙 권취 장치(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슬리브 연장부(73)가 로렛면(82)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슬리브 연장부(73)에 클러치 플레이트(84)를 계합시키는 계합 부재를 별도 이용하지 않아도, 슬리브 연장부(73)만으로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웨빙 권취 장치(10)의 부품 개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웨빙 권취 장치(10)을 소형화할 수 있어 매우 적합하다.
본 웨빙 장치(10)는, 상술한 것처럼, 피니언(66)(더 말하면, 피니언(66)의 피니언이빨(66B))의 회전에 근거해 클러치 플레이트(84)를 작동시키는 캠(66C)과 피니언(66)(더 말하면, 피니언이빨 66과 도대체에 형성된 기초부(66A))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니언(66)의 회전력을 클러치 플레이트(84)에 전달하는 부재를 별도 이용하지 않아도, 피니언(66)의 회전력을 클러치 플레이트(84)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점에 대해도 웨빙 권취 장치(10)의 부품 개수를 제한하므로, 웨빙 권취 장치(10)를 소형화할 수 있어 유리하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상기 슬리브는 상기 락 기어와 같은 축상에 원통형에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로렛 가공이 수행되어도 좋다.
그러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슬리브의 내주면에 로렛 가공이 수행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슬리브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 부재를 슬리브에 계합시키는 경우, 이 슬리브에 회전력 전달 부재를 계합시키는 계합 부재를 별도 이용하지 않아도, 슬리브만으로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웨빙 권취 장치의 부품 개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웨빙 권취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어보다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이 다른 모양과 관련되는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상기 피니언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근거해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캠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웨빙 권취 장치에 의하면, 피니언의 회전에 근거해 클러치 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캠을, 피니언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니언의 회전력을 클러치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부재를 별도 이용하지 않아도, 피니언의 회전력을 클러치 플레이트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웨빙 권취 장치의 부 품 개수를 제한하는 결과, 웨빙 권취 장치를 소형화로 연결되어 유익하다.

Claims (4)

  1. 승무원 구속용의 웨빙 벨트를 권취하는 권취 축과,
    외주면에 래칫 이빨이 형성된 락 기어와, 상기 락 기어의 래칫 이빨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된 락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락 플레이트가 상기 락 기어에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을 저지 가능하게 구성되는 락 기구와,
    일단부가 상기 권취 축에 연결된 토션 바를 포함하여 상기 락 기구에 의해서 상기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에 상기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력을 흡수 가능하게 구성되는 포스 리미터 기구와,
    상기 토션 바의 타단부에 연결된 슬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권취 축을 상기 슬리브를 개입시켜 웨빙 권취 방향에 강제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상기 슬리브를, 상기 락 기구의 상기 락 기어의 축심 부분에 일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락 기어와 같은 축상에 원통형에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로렛 가공이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3. 승무원 구속용의 웨빙 벨트를 권취하는 권취 축과,
    외주면에 래칫 이빨이 형성된 락 기어와 상기 락 기어의 래칫 이빨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된 락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락 플레이트가 상기 락 기어에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을 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락 기구와,
    일단부가 상기 권취 축으로 연결된 토션 바를 포함하여 상기 락 기구에 의해서 상기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에 상기 권취 축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력을 흡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포스 리미터 기구와,
    상기 토션 바의 타단부에 연결된 슬리브와, 가스압을 받아 상기 실린더 내부를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대응하여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복수의 이빨이 형성된 랙과, 상기 권취 축과 같은 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수반해 상기 랙의 이빨에 계합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을 상기 슬리브에 전달하는 클러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권취 축을 상기 슬리브에 개입시켜 웨빙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상기 슬리브를, 상기 락 기구의 상기 락 기어의 축심 부분에 일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근거해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 장치.
KR1020067011205A 2003-12-16 2004-12-14 웨빙 권취 장치 KR100847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7916A JP4163608B2 (ja) 2003-12-16 2003-12-16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JP-P-2003-00417916 2003-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845A true KR20060106845A (ko) 2006-10-12
KR100847519B1 KR100847519B1 (ko) 2008-07-22

Family

ID=3469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205A KR100847519B1 (ko) 2003-12-16 2004-12-14 웨빙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145174A1 (ko)
EP (1) EP1698527A4 (ko)
JP (1) JP4163608B2 (ko)
KR (1) KR100847519B1 (ko)
CN (1) CN100439161C (ko)
AU (1) AU2004299378A1 (ko)
CA (1) CA2549740C (ko)
TW (1) TWI272202B (ko)
WO (1) WO2005058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1186B2 (ja) * 2005-11-30 2011-01-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8068820A (ja) * 2006-09-15 2008-03-2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WO2008149746A1 (ja) * 2007-05-31 2008-12-11 Autoliv Development Ab シートベルト装置
WO2009118088A1 (de) * 2008-03-25 2009-10-01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KR100893507B1 (ko) * 2008-06-05 2009-04-16 주식회사 삼송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US7946519B2 (en) * 2008-11-12 2011-05-24 Tk Holdings Inc. Pretensioned retractor
DE102008059387B4 (de) * 2008-11-27 2018-06-28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und einer Straffeinrichtung
DE102008059386B3 (de) * 2008-11-27 2010-07-01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JP5456423B2 (ja) 2009-09-16 2014-03-26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3184605A (ja) * 2012-03-08 2013-09-19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819331B2 (ja) * 2013-01-15 2015-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4554133B (zh) * 2013-10-09 2017-09-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织带卷收器及具有其的安全带装置
CN104760566B (zh) * 2014-01-06 2017-05-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卷绕装置
CN104890614B (zh) * 2014-03-03 2017-11-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卷收器及汽车安全带装置
JP6509634B2 (ja) * 2015-05-22 2019-05-0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07378A1 (de) * 1984-02-29 1985-11-14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strammvorrichtung
DE3906693A1 (de) * 1988-06-30 1990-01-04 Autoflug Gmbh Strammvorrichtung fuer einen sicherheitsgurtaufroller
DE19706108C2 (de) * 1996-02-16 2002-01-10 Nsk Ltd Sicherheitsgurtaufroller
DE29605200U1 (de) * 1996-03-20 1996-07-18 Trw Repa Gmbh Gurtaufroller mit an der Gurtspule angreifendem Gurtstraffer
JPH1095309A (ja) * 1996-09-24 1998-04-14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GB2330334A (en) * 1997-06-02 1999-04-21 Alliedsignal Ltd Buckle pretensioner for a vehicle
JP2000229555A (ja) * 1999-02-09 2000-08-22 Nsk Ltd シートベルト装置
CA2361712C (en) * 1999-02-16 2007-10-23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take-up device
DE19907962B4 (de) * 1999-02-24 2010-11-18 Takata-Petri Ag Sicherheitsgurtvorrichtung mit Gurtstraffer
JP3490630B2 (ja) * 1999-04-16 2004-01-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ー
KR100348163B1 (ko) * 2000-06-22 2002-08-09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동력전달장치 일체형 프리텐셔너
JP3745201B2 (ja) * 2000-07-11 2006-02-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3727514B2 (ja) * 2000-07-11 2005-1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3733007B2 (ja) * 2000-07-11 2006-01-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113408B2 (ja) * 2001-11-13 2008-07-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2202B (en) 2007-02-01
CN1894123A (zh) 2007-01-10
KR100847519B1 (ko) 2008-07-22
CN100439161C (zh) 2008-12-03
EP1698527A4 (en) 2007-06-20
JP2005178415A (ja) 2005-07-07
JP4163608B2 (ja) 2008-10-08
WO2005058658A1 (ja) 2005-06-30
AU2004299378A1 (en) 2005-06-30
CA2549740A1 (en) 2005-06-30
US20070145174A1 (en) 2007-06-28
CA2549740C (en) 2009-05-19
EP1698527A1 (en) 2006-09-06
TW200528320A (en)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519B1 (ko) 웨빙 권취 장치
JP4295552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5529258A (en) Secondary locking mechanism for retractor with pretensioner
EP0962365B1 (en) Seat belt retractor
EP1733936B1 (en) Webbing take-up device
EP1688325B1 (en) Pretensioner device with clutch plate for a vehicle
EP0321960B1 (en) Safety belt arrangement with pretensioning mechanism
JP4611186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0302013A (ja) プリテンショナー
US20050211816A1 (en) Webbing take-up device
JP454493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819189B2 (ja) プリテンショナ
JP2006159986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4528536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0456572B1 (ko) 차량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셔너
JP451889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EP2316698B9 (en) Webbing take-up device
JP2006256513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1213274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