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991A - 슬립성,인쇄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성형품 - Google Patents

슬립성,인쇄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991A
KR20060105991A KR1020050028152A KR20050028152A KR20060105991A KR 20060105991 A KR20060105991 A KR 20060105991A KR 1020050028152 A KR1020050028152 A KR 1020050028152A KR 20050028152 A KR20050028152 A KR 20050028152A KR 20060105991 A KR20060105991 A KR 20060105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morphous polyester
functional
group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0936B1 (ko
Inventor
윤병섭
박종훈
김명길
김동옥
백운필
정상국
김영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 한
나노캠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 한, 나노캠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to KR102005002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936B1/ko
Priority to JP2005199744A priority patent/JP4351191B2/ja
Publication of KR2006010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상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재질에 의해 코어층과 스킨층으로 된 시트를 구성하고 상기 시트의 적어도 한 면에 아크릴-우레탄 공중합체 바인더, 기능성 슬립제, 핫멜트 접착력 향상 수지, 용매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균일하게 도포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슬립성과 이활성을 보유하는 것은 물론 또한 코팅에 의해 인쇄성, 잉크부착력, 핫멜트 접착력이 우수한 시트를 제공한다. 스킨층은 0.5 ~ 50미크론 범위의 실리카, 탈크,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등의 무기입자를 마스터배치(Master Batch)형태로 스킨 층 중량 기준으로 0.01 ~ 10중량% 투입하여 시트 스킨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0.01 ~ 10미크론 정도의 표면조도를 균일하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시트, 슬립성, 항 블로킹성, 코팅, 표면조도 인쇄성, 핫멜트 접착성, 잉크접착력

Description

슬립성,인쇄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 성형품{Improved Amorphous Polyester Sheet with Good Antiblocking Property And Prin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면 중 주요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코어층 2 ; 스킨층
3 ; 코팅층
본 발명은 다양한 포장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와 그로부터 만들어진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질상 비결정성 수지 시트를 코어층으로 하고 그 코어층의 양면에 일정크기 범위의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스킨층을 가지며, 그 스킨층의 적어도 한 면에, 기능성 고분자 수지와, 물 및 유기용매와, 고 슬립 기능성 첨가제와, 접착 기능성 수 지를 조성물로 된 코팅층을 구성함으로써 슬립성과 항 블로킹성이 우수하고, 잉크 접착력과 핫멜트 접착력, 투명성이 뛰어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와 그로 인해 제작되는 가공품을 제공한다.
통상 비결정성(Amorphous) 폴리에스테르 시트는 비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압출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는 탁월한 기계적 강도, 열적특성, 내약품성, 전기적 특성, 내습성, 내수성, 투명성 등이 우수하여 각종 포장재, 광고인쇄물, 식품포장재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높은 투명성은 포장된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인쇄시 인쇄잉크와의 적성이 우수하여 각종 인쇄물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저온 내충격 특성은 냉장 및 냉동 제품의 포장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연소시 유해가스를 발산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소재로서 근래에는 많은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시트 또는 필름은, 이들을 가공 권취하여 유통시킬때나, 최종 소비자가 사용시에, 또는 특히 이들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열과 압력에 노출되었을 때, 인접하고 있는 다른 시트나 필름과의 사이에 블록킹이 발생한다든지 혹은 시트나 필름의 한 면에 인쇄된 잉크의 부착력이 약화되어 상기 인쇄된 잉크가 인접 시트나 필름의 뒷면에 들러붙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경우 블록킹된 필름을 떼어내면, 잉크, 필름 및 기질 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인쇄가 필요한 필름 또는 시트에 인쇄 잉크가 더 잘 흡착되도록 인쇄성을 부여한다거나 또는 예컨대 시트의 정지 또는 운동마찰계수의 감소를 통한 슬립성 및 활성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같은 슬립성 및 활성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 기술들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일본 특허 공개 1988-312319호는 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 및 축합하여 생성한 실리콘 입자를 에틸렌글리콜에 분산한 슬러리 상태로 폴리에스테르 축중합 반응물에 첨가함으로써, 슬립성, 내마모성이 증가된 자기기록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5-239424는 0.01 ~ 5미크론 직경의 실리카, 알루미나 입자를 0.1 ~ 0.5중량%, 이소프탈 산이 5 ~ 20몰%차지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한 열 성형 시트 제조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5,863,647호, 5,316,714호, 5,304,324호 및 5,236,622호는 크기가 특정되어 있는, 예를 들어, 직경이 0.05 ~ 5미크론이고 입경 표준편차가 1.0 ~ 1.5 범위에 있고, 입자 그람 당 0.03 ~ 5몰의 글리콜이 표면에 결합된 비결정 무기 산화물 입자의 글리콜 현탄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적용하여 슬립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의 용도는 자기 기록 매체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3-95779호는 반응성 에틸 실리케이트와 열경화성 디메틸폴리실록산 2 ~ 40중량%를 함유한 코팅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코팅함으로써 실리콘 산화물의 슬립성 층이 형성된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7-85631호는 폴리실올산의 부분 가수 분해물, 실리콘 수지 및 계면 슬립제를 함유하는 코팅층으로 슬립성을 제공하는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5,370,930호는 폴리실록산-폴리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분산액을 적어도 한 면에 적용시켜 슬립성을 향상시킨 이축 연신층을 가진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코팅층을 유기 중합체 및 0.5 ~ 4.5미크론 크기의 다공성 입자, 예를 들어 하소된 폴리실록산 입자를 0.002 ~ 1.5중량% 포함한다.
미국특허 USH1982호는 인쇄성 향상을 주목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한 면에 물 분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프라이머 코팅한 비결정 플라스틱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코팅층은 5-설포이소프탈산 8 ~ 25몰%, 이소프탈상 75 ~ 92몰%로 구성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디에틸렌글리콜 25 ~ 100몰%, 1, 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0 ~ 30몰%, 에틸렌글리콜 0 ~ 30몰%로 구성되는 디올성분으로 제조된 수지를 도포한다.
일본 특허공개 평8-157619호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에 3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지는 다가알콜과 탄소수가 12개 이상의 지방족 모노카르본산과의 에스테르 생성물이 0.01 ~ 5중량% 배합되며, 높이가 0.1 ~ 5미크론의 표면돌기가 1 ~ 2,000개/ ㎟를 갖는 스킨층을 가지는 활성이 우수한 실질상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상의 특허들은 대부분 연신 또는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슬립성, 투명성, 잉크접착력 및 인쇄성, 핫멜트 접착력을 동시에 만족시키지는 못하고 있어 이들 특성을 통합하여 보다 진일보시킬 수 있는 기술이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분야에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투명성, 인쇄성, 슬립성(slip), 항 블로킹성 및 핫멜트(Hot melt)접착성을 동시에 갖는 코팅조성물을 제조한 후 다양한 코팅방식(in-line 혹은 off-line 코팅)에 의해 기재에 코팅함으로써 인쇄성과 잉크접착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다른 시트와 접촉시 우수한 슬립성이나 항 블록킹성을 보이며, 핫멜트 접착제와의 접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활성이 우수하고 투명성 및 인쇄성이 우수한 실질상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시트 성형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시트는 실질상 비결정성 다층 적층체이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적층체 시트는 코어층(1)과 그 양면에 스킨층(2)을 가지며 스킨층의 적어도 한 면에 코팅제를 도포한 코팅층(3)을 가지는 구조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실질상 비결정”은 낮은 결정화도를 가지는 필름기질 즉 서서히 결정화되는 필름 또는 시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질상 비결정 폴리에스테르는 15%, 바람직하기로는 1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이하의 결정화도를 가진다. 결정화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당해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코어층은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의 단독 중합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함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함유한 폴리(에틸렌 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중 어느 하나이다.
스킨층은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서 활성을 부여하며, 코팅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활성을 부여하기 위해 스킨층에는 0.5 ~ 50미크론 크기의 무기입자를 0.01 ~ 10중량% 함유한다. 바람직하기로는 1.0 ~ 10미크론 크기의 무기입자를 0.1 ~ 3.0중량% 함유시켜, 스킨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0.01 ~ 10미크론 정도의 표면조도를 형성 시킨다.
코팅층은 투명성, 인쇄성, 슬립성(slip), 항 블로킹성 및 핫멜트(Hot melt)접착성을 동시에 갖는 코팅조성물을 제조한 후 다양한 코팅방식(in-line 혹은 off-line 코팅)에 의해 기재에 도포한다.
코팅 조성물로는 기능성 고분자 수지 특히 아크릴-우레탄공중합 바인더 2.0 ~ 20중량%, 물 및 유기용매 20 ~ 90중량%, 고 슬립 기능성 수지 0.1 ~ 5.0중량%, 핫멜트 접착 기능성 수지 0.5 ~ 5.0중량%를 배합하여 제조 한다. 코팅시 코팅성과 투명성, 인쇄성을 갖기 위해서는 접착성이 우수한 기능성 바인더가 요구된다. 기능성 바인더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에스터 관능기와 상호 화학적 작용이 우수한 기능성 작용기를 갖는 바인더가 요구된다. 기능성 바인더로는 에폭시기, 우레탄기, 아크릴기, 에스터기, 에테르기, 스티렌기, 아미드기등을 갖는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스티렌-말레익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 스틸렌술폰산,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디메틸아미노 에틸아크릴에이트, 폴리아크릴 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알키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알킬셀룰로스, 아크릴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 중에서 선택된 1내지 2종이상의 것과 이들의 공중합체들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고 슬립성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코팅에 있어 코팅 조성물의 상기에 기술한 기능성 바인더-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상호작용성이 우수한 고 슬립 기능성 첨가제의 선택은 무엇 보다 중요하다. 기재 표면에서 고 슬립성의 표면 특성은 고분자 수지의 화학 구조 및 분자 배열과 기재 표면과의 상호작용에 관련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고 슬립성 기능을 갖기 위하여 실리콘 원소나 불소 원소를 도입하여 표면 특성을 변화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실리콘이 도입된 기능성 고분자의 경우는 실리콘과 고분자 사이의 비상용성으로 인하여 실리콘 원소가 표면 쪽으로 배열하여 표면에너지를 저하시키고 접착성 및 마찰저항 등의 특성이 향상되는 성질을 보이나 가공성과 기계적 성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해서 불소를 함유하는 기능성 고분자의 경우는 고분자 기질 물질과 불소사이의 비 상용성으로 인하여 불소 원소들의 높은 표면 배향성을 나타낸다. 또한, 불소 함유 수지들은 열적, 화학적 안정성 및 화학 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고 슬립성 부여제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의 고 슬립 수지로는 불소-우레탄 공중합 고분자 형태의 기능성 수지를 코팅조성물에 대하여 0.1 ~ 5.0중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 슬 립 수지는 불소-우레탄 공중합 고분자 형태로 과불소 알킬 알코올과 관능성 이소시아네니트 공단량체가 자유라디칼 중합 반응에 의해 수산기와 이소시아네니트기의 우레탄 반응으로 중합하여 제조된 과불소 우레탄 공중합체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불소-함유 말단기를 가진 화합물 또는 올리고머 및 이들의 연속 단위인 고분자를 포함하는 불소 조성물들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기능성 고 슬립 수지로는 불소-우레탄 공중합 고분자 형태가 바람직하다. 불소-우레탄 공중합 고분자에서 과불소기 [CF3(CF2)n 기능성 작용기]에서 n이 1 ~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불소-우레탄 공중합 고분자의 평균분자량은 1,000 ~ 1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포장용도 사용에 적합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함에 있어 인쇄공정과 같은 후 가공 공정에서의 인쇄적성을 높여주고, 잉크접착력 및 핫멜트 접착력을 부여하는 것은 제품의 상품성 및 작업성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접착력 향상 기능성 수지로는 분자 내에 아실옥시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로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 에틸렌-에틸렌 디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프로필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디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게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옥시에틸렌)과 그 유도체 등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핫멜트 접착 기능성 수지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산, 폴리(에틸렌 아크릴산), 폴리(에틸렌 비닐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내지 2종이상의 수지를 배합하여 제조한 후 코팅조성물에 대하여 0.5 ~ 5.0중량% 첨가하여 제조한다. 코팅 조성물의 용매로는 탄소가 5개 이하인 저급 알코올을 사용한다. 이의 예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t-부탄올, 펜탄올, 이소펜탄올, 등이 있고 경제성 및 분산성을 고려하면 이소프로판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또는 필름은 통상 용융 압출 방법으로 제조되며 이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용융 압출과정에서 열가소성 성분은 압출기 내에서 가소(용융 또는 혼합)되어 T-다이를 통해 용융압출한 후 냉각 고화 공정을 거쳐 기재인 시트를 제조하게 된다. 이 시트의 적어도 한 면에 상기에 기술한 코팅 액을 도포한 후 용도에 따라 롤 타입으로 감기거나 플랫(flat)타입으로 절단되어 제품으로 완성되어 나오게 된다.
코팅 방법으로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 기술의 예는 롤 코팅, 역롤 코팅, 그라비어 롤 코팅, 역 그라비어 롤 코팅, 브러쉬 코팅, 스프레이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등을 포함한다.
코팅층의 두께는 10미크론 미만이며, 시트로 형성된 후 상기 시트에는 어떠한 배향도 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인쇄성, 핫멜트 접착력, 잉크접착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다른 시트와 접촉시, 우수한 슬립성 및 항 블록킹성을 보이며 투명성이 우수한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특성치 및 제반물성 측정은 하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투명성(Haze)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코팅 시트를 헤이즈 측정기(Nippon Denshhoku사 제품 300A)를 사용하여 ASTM D1003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헤이즈 값은 전체 산란광/전체투과광 ×100으로 산출한 값이다.
(2) 무기입자 평균입경
사용된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은 메탄올에 분산시킨 상태에서 입도분포 측정기(Granulometer HR-850)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3) 슬립성
시트의 상면과 하면의 슬립성을 HEIDON사 STATIC FRICTION TESTER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시트가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각도를 측정 하였다.
(4) 항 블로킹성
제조된 시트원단을 파레트에 적재한 상태에서 1톤의 하중으로 10일간 방치한 후 블로킹 현상을 ASTM D1893 기준에 근거하여 ◎: 아주좋음, ○: 좋음, △: 보통, ×: 나쁨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5) 잉크접착력
슬립 코팅면에 인쇄잉크를 도포한 후테이프를 이용하여 ASTM D3359 기준에 근거하여 ◎: 아주좋음, ○: 좋음, △: 보통, ×: 나쁨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6) 마찰계수
시트의 상면과 하면의 마찰계수를 HEIDON사 STATIC FRICTION TESTER 측정 장비로 시트가 미끄러지기 시작할 때의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7) 표면조도
시트의 표면을 일본 KOSAKA사 3차원 표면조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중심선 평균조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실시예는 아래와 같고 각 실시예에 따른 물성결과는 <표1>과 같다.
실시 예 1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코어층으로 하고 스킨층에 평균입경 4미크론 정도의 Si계 무기입자를 0.3중량% 투입하여 공압출한 시트에 기능성 고분자 수지인 아크릴-우레탄공중합 바인더 10중량%, 물 71.5중량%, 이소프로필알코올 15중량%, 고 슬립 기능성 첨가제인 불소-우레탄 공중합 첨가제 0.5중량%, 핫멜트 접착 기능성 수지인 폴리(에틸렌 비닐공중합체)첨가제 3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코팅조성물을 200메쉬 그라비어 롤 코팅기(Coater)를 사용하여 시트에 도포한 후 열풍 건조를 통해 건조하여 무연신 코팅 시트를 제조 하였다. 코팅되어진 시트는 두께 0.3mm, 가로 1,100mm, 세로 800mm가 되도록 인라인(In-Line)상에서 절단 후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실시 예 1에서 스킨층에 투입한 Si계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을 10미크론으로 변경하여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제조 하였다.
실시 예 3
실시 예 1에서 스킨층에 투입한 Si계 무기입자의 투입량을 0.1중량%로 변경하여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제조 하였다.
실시 예 4
실시 예 1에서 고 슬립 기능성 첨가제인 불소-우레탄 공중합 첨가제를 3.0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제조 하였다.
실시 예 5
실시 예 1에서 핫멜트 접착 기능성 수지인 폴리(에틸렌 비닐공중합체)첨가제를 1.0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제조 하였다.
비교 실시 예 1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코어층으로 하고 스킨층에 평균입경 4미크론 정도의 Si계 무기입자를 0.3중량% 투입하여 공압출 한 후 두께 0.3mm, 가로 1,100mm, 세로 800mm가 되도록 인라인(In-Line)상에서 절단 후 제품을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 예 2
실시 예 1에서 스킨층에 Si계 무기입자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제조 하였다.
Figure 112005017752483-PAT00001
◎ : 아주 좋음 ○ : 좋음 △: 보통 × : 나쁨
이상 설명한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에 의하면, 투명성, 코팅성, 슬립성(slip) 및 핫멜트(Hot melt)접착성을 동시에 갖는 코팅 조성물을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적어도 한 면에 코팅하여 구성함으로써 후 가공 공정에서의 인쇄성과 잉크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른 시트와 접촉시 우수한 슬립성 및 항 블록킹성을 보이며, 우수한 핫멜트 접착력을 갖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는 항 블로킹성과 활성이 요구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성형물 및 가공물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실질상 비결정성 수지 시트로 된 코어층과 ;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0.01 ~ 10미크론 범위의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스킨층과 ;
    상기 스킨층의 적어도 한면에 기능성 고분자 수지 2 ~ 20중량%, 물 및 유기용매 20 ~ 90중량%, 고 슬립 기능성 첨가제 0.1 ~ 5중량%, 핫멜트 접착 기능성 수지 0.5 ~ 5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한 코팅층을 포함하는데 특징이 있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시트,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 폴리스틸렌계 수지 시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트,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시트, 아크릴계 수지 시트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에 사용된 무기입자의 크기는 0.01내지 10미크론이고 입자의 투입량은 스킨층에 대하여 0.01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조성물 중 기능성 고분자 수지는 에폭시기, 우레탄기, 아크릴기, 에스터기, 에테르기, 스틸렌기, 아미드기 중 작용기를 갖는 적어도 1종 내지 2종 이상을 포함한 이들의 공중합체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조성물 중 고 슬립 기능성 첨가제는 과불소기 [CF3(CF2)n 기능성 작용기]에서 n이 1 ~ 20인 불소-우레탄 공중합 고분자 중 적어도 1종 내지 2종 이상을 포함한 이들의 공중합체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조성물 중 핫멜트 접착 기능성수지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산, 폴리(에틸렌 아크릴산), 폴리(에틸렌 비닐공중합체) 중 적어도 1종 내지 2종 이상을 포함한 이들의 공중합체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의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로 제조한 성형품.
KR1020050028152A 2005-04-04 2005-04-04 슬립성,인쇄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성형품 KR100660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152A KR100660936B1 (ko) 2005-04-04 2005-04-04 슬립성,인쇄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성형품
JP2005199744A JP4351191B2 (ja) 2005-04-04 2005-07-08 スリップ性、印刷性に優れた非結晶性ポリエステルシート及び成型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152A KR100660936B1 (ko) 2005-04-04 2005-04-04 슬립성,인쇄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991A true KR20060105991A (ko) 2006-10-12
KR100660936B1 KR100660936B1 (ko) 2006-12-26

Family

ID=3740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152A KR100660936B1 (ko) 2005-04-04 2005-04-04 슬립성,인쇄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351191B2 (ko)
KR (1) KR1006609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47B1 (ko) * 2006-11-27 2008-01-21 나노캠텍주식회사 피착면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점착 보호필름
KR101348808B1 (ko) * 2013-07-30 2014-01-10 주식회사진영케미칼 안티블로킹성, 슬립성, 내스크랫치성과 인쇄성이 우수한 포장용 pet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59165B1 (ko) * 2009-06-30 2014-11-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5150073A1 (en) * 2014-03-31 2015-10-08 Tata Steel Ijmuiden B.V. Polyester film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for laminating to a metal substrate, metal substrate having such a polyester film and container having a component manufactured from this metal substr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331B1 (ko) * 2007-12-28 2010-08-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슬립성이 향상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및 그제조방법
KR101120642B1 (ko) * 2009-04-30 2012-03-16 한국과학기술원 투명한 밀봉 플라스틱 필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기판
KR102282503B1 (ko) 2015-09-18 2021-07-26 한국전기연구원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JP7070422B2 (ja) * 2016-10-05 2022-05-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7196B2 (ja) * 1996-06-17 2006-01-1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住宅の水平ブレース配置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47B1 (ko) * 2006-11-27 2008-01-21 나노캠텍주식회사 피착면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점착 보호필름
KR101459165B1 (ko) * 2009-06-30 2014-11-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48808B1 (ko) * 2013-07-30 2014-01-10 주식회사진영케미칼 안티블로킹성, 슬립성, 내스크랫치성과 인쇄성이 우수한 포장용 pet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5150073A1 (en) * 2014-03-31 2015-10-08 Tata Steel Ijmuiden B.V. Polyester film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for laminating to a metal substrate, metal substrate having such a polyester film and container having a component manufactured from this metal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1191B2 (ja) 2009-10-28
JP2006281761A (ja) 2006-10-19
KR100660936B1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936B1 (ko) 슬립성,인쇄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성형품
WO2004085524A1 (ja)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63176B2 (ja) 離型フィルム
JP2011131410A (ja) 保護フィルム付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1673550B1 (ko) 슬립성이 향상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72814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540428B1 (ko) 무광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89882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091324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42899B2 (ja) 導電層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022533B2 (ja) 非結晶性ポリエステル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品
JP2000141572A (ja) ポリエステルシート状成形物およびその用途
JP5536398B2 (ja) 離型フィルム
JPS62179535A (ja) 包装材の製造法
KR20090116419A (ko) 슬립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KR20150092981A (ko) 슬립성이 향상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737549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24176A (ja) 滑り性に優れるポリエステルシート及びその容器
KR101229030B1 (ko) 무광택 성형품에 적용 가능한 인몰드 장식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210799A (ja) 転写箔
KR102036377B1 (ko) 열수축성 적층필름 및 이를 기재로 이용한 열수축성 라벨
KR101612053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805229B2 (ja) フィルム
JP5489768B2 (ja) 貼合せ化粧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4162550A (ja) 光学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の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