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503B1 -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 Google Patents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503B1
KR102282503B1 KR1020150132017A KR20150132017A KR102282503B1 KR 102282503 B1 KR102282503 B1 KR 102282503B1 KR 1020150132017 A KR1020150132017 A KR 1020150132017A KR 20150132017 A KR20150132017 A KR 20150132017A KR 102282503 B1 KR102282503 B1 KR 10228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pyridinium
weight
shee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986A (ko
Inventor
강동준
박효열
안명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3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503B1/ko
Priority to PCT/KR2016/006784 priority patent/WO2017047916A2/ko
Publication of KR2017003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이브리드 코팅액을 코팅한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용매, 폴리 우레탄 수지,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항블로킹제, 내마모성증진제, 슬립개선제, 소포제 및 정전기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정전기 방지 기능뿐만 아니라 항블로킹성, 내마모성, 슬립성, 투명도, 인쇄성 및 코팅 외관이 개선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A sheet including hybrid coating layer exellent in antistatic function}
본 발명은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기 방지 기능뿐만 아니라 항블로킹성, 내마모성, 슬립성, 투명도, 인쇄성 및 코팅 외관이 개선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acrylate, 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m P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되는 비결정성 플라스틱 시트(Amorphous plastic sheet)는 탁월한 기계적 강도, 열적 특성, 내약품성, 전기적 특성, 내습성, 내수성, 투명성 등이 우수하여 각종 포장재, 광고인쇄물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로 제조되는 비결정성 플라스틱 시트들은 이들을 가공 권취하여 유통시키거나 유통 후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할 때 또는 이들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열과 압력에 노출된다. 이때 인접한 다른 시트와의 사이에 블로킹이 발생하거나 시트에 인쇄된 잉크의 부착력이 약화되어 인쇄된 잉크가 인접 시트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한다. 블로킹된 시트를 서로 분리시키면 잉크 또는 시트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들 간에 슬립성과 항블로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시트의 분리과정에서 시트가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마모성과 내스크래치성도 함께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시트의 손상은 시트 제품의 품질저하를 야기할 뿐 아니라 제품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재단, 운반 및 후공정을 위한 분리과정에서 마모 및 스크래치에 의한 시트 손상을 방지하는 기술은 시트 제품의 고사양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물성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항블로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 항블로킹제 함량에 따라 투명도(Haze)가 저하되고, 슬립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 슬립개선제의 함량에 따라 핫멜팅성(Hot melting)이 저하되므로 핫멜팅성과 투명도 제어도 동시에 중요하다. 이 뿐만 아니라 코팅 작업시 발생하는 기포의 제어를 위해 소포제의 사용을 통해 코팅막에 나타나는 기포자국 및 외관의 결함을 최소화하여 코팅 외관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시트의 특성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0660936호 슬립성, 인쇄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 그 성형품'에 기재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비결정 수지 시트로 된 코어층과, 코어층 상면에 배치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스킨층과, 스킨층의 적어도 한 면에 균일하게 형성된 코팅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348808호 안티블로킹성, 슬립성, 내스크랫치성과 인쇄성이 우수한 포장용 PET시트 및 그 제조방법'은, PET로 성형된 기재층; 기재층의 양측면에 구비된 코팅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2-0135486호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하드 코팅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은, 레벨링제와, 실리카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이며,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조성으로 하는 불소계 레벨링제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항블로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킨층에 무기입자를 추가하여 제조하고, 스킨층의 적어도 한 면에 슬립기능성 첨가제 및 핫멜트 접착 기능성을 갖는 코팅층을 적층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다양한 기능이 향상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각각 다른 기능을 하는 복수의 층을 적층시켜 시트를 제조한다. 따라서 시트 제조에 있어 제조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 시간이 증가하며, 그에 따른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코팅된 시트에서의 정전기 및 시트 간에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해서 코팅 공정시의 스파크 등으로 인한 안전 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정전기로 인해 공정효율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트 간 정전기로 인해 시트끼리 서로 붙는 현상이 발생되고, 인쇄공정 및 성형공정과 같은 시트 한 장씩 연속 작업이 요구되는 공정에서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트를 제조할 때 정전기가 발생하는 현상도 고려하여 시트를 제조해야 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0660936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348808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2-013548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 방지 기능뿐만 아니라 항블로킹성, 내마모성, 슬립성, 투명도, 인쇄성 및 코팅 외관이 개선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상기 시트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이브리드 코팅액을 코팅한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용매, 폴리 우레탄 수지,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항블로킹제, 내마모성증진제, 슬립개선제, 소포제 및 정전기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용매 70 내지 97중량부, 폴리 우레탄 수지 3 내지 30중량부, 항블로킹제 0.01 내지 3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0.01 내지 8중량부, 슬립개선제 0.01 내지 1중량부, 소포제 0.05 내지 0.5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1 내지 1중량부로 이루어지며, 더욱 상세하게는, 용매 93.06중량부, 폴리 우레탄 수지 3.5중량부, 항블로킹제 0.07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3중량부, 슬립개선제 0.02중량부, 소포제 0.1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2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전기방지제는 정전기가 중화될 수 있도록 양이온 및 음이온의 이동이 자유로운 이온성 액체이며,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마그네슘옥사이드(MgO), 탄산칼슘(CaCO3)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본체는 폴리머 수지 또는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폴리머 수지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정전기 방지 기능뿐만 아니라 항블로킹성, 내마모성, 슬립성, 투명도, 인쇄성 및 코팅 외관이 개선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코팅층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코팅층(13)을 포함하는 시트(10)는 중앙영역에 배치된 시트본체(11)와, 시트본체(11)의 상부 및 하부에 코팅 형성되는 코팅층(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시트(10)의 전체 두께는 0.1 내지 0.5mm이며, 코팅층(13)의 두께는 0.5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나 용도에 따라서 두께는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코팅층(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트본체(11), 코팅층(13) 및 인쇄층은 반대편의 물질이 확인 가능할 정도의 투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불투명한 시트(10)로도 제작 가능하다.
시트본체(11)는 폴리머 수지 만으로 이루어진 시트 또는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폴리머 수지를 용융 압출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폴리머 수지 만으로 이루어진 시트는 일반적인 플라스틱(Plastic) 시트 제조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로 제조되며, 이 이외에도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acrylate, 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머 수지 외에는 다른 성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이 매끄러운 시트본체(11)를 얻을 수 있다.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폴리머 수지를 통해 시트본체(11)를 제조할 경우 무기입자를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형태로 폴리머 수지에 분산시키며 이를 용융 압출 공정을 통해 시트본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무기입자는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마그네슘옥사이드(MgO), 탄산칼슘(CaCO3)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입자는 50nm 내지 50㎛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무기입자가 50nm의 직경 미만일 경우 무기입자가 폴리머 수지 내에 묻혀 항블로킹성을 개선할 수 없으며, 50㎛ 직경을 초과할 경우 투과도가 떨어져 시트(10)의 투명성을 저해할 수 있다. 폴리머 수지를 통해 시트본체(11)를 제조하기 때문에 이러한 무기입자의 직경은 시트본체(11)의 두께에 가장 적합한 범위이다.
이와 같이 시트본체(11)에 무기입자를 포함할 경우 항블로킹성이 증가하여 시트끼리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본체(11)에 무기입자가 포함될 경우 코팅층(13)은 시트본체(11)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곳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층이 시트본체(11)의 상하부에 모두 형성될 경우 시트(10)의 전체적이 투과도가 감소할 수 있다.
시트본체(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코팅 형성되는 코팅층(13)은 하이브리드 코팅액을 제조한 후 이를 코팅 처리하여 형성된다.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폴리 우레탄 수지와 용매가 혼합된 용액에 성능향상제인 항블로킹제, 내마모성증진제, 슬립개선제, 소포제 및 정전기방지제를 추가하여 제조된다.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 우레탄 수지 3 내지 30중량부, 용매 70 내지 97중량부, 항블로킹제 0.01 내지 3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0.01 내지 8중량부, 슬립개선제 0.01 내지 1중량부, 소포제 0.05 내지 0.5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1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폴리 우레탄 수지는 시트본체(11)에 유기 수지 분산체가 용이하게 흡착되도록 바인딩 역할을 하며, 경우에 따라서 폴리 우레탄 수지뿐만 아니라, 폴리 우레탄-아크릴, 폴리 우레탄-에폭시, 폴리 우레탄-아미노, 폴리 우레탄-페놀, 폴리 우레탄-에틸렌, 폴리 우레탄-프로필렌과 같은 기능기(Functional group)를 갖는 유기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 우레탄 수지 및 폴리 우레탄 관련 공중합 수지는 폴리올(Polyol)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를 용매 하에서 반응시킴으로 얻어지며 추가적으로 사슬 연장제 및 중화제를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올로써는 분자 중에 하이드록시기(Hydroxy group)을 2개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폴리올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Polyester polyol), 폴리카보네이트다이올(Polycarbonatediol), 폴리에테르폴리올(Polyether polyol), 카프로락탐 폴리올(Caprolactam polyol), 아크릴 폴리올(Acrylic polyol), 에폭시 폴리올(Epoxy polyol), 아미노 폴리올(Amino polyol), 1,2-프로판디올(1,2-Propanediol), 1,3-프로판디올(1,3-Propanediol), 1,3-부탄디올(1,3-Butanediol), 1,4-부탄디올(1,4-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1,6-헥산디올(1,6-Hexanediol), 1,8-옥탄디올(1,8-Octanediol), 1,10-데칸디올(1,10-Decanediol),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1,4-Cyclohexanedimethanol), 1,4-사이클로헥산디올(1,4-Cyclohexanediol), 비스페놀 A(Bisphenol A), 비스페놀 F(Bisphenol F), 1,2,5-헥사트리올(1,2,5-Hexatriol),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글루코오스(Glucose), 수크로오스(Sucrose) 및 소르비톨(Sorbito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은 대표적으로 다염기산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다염기산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오쏘-프탈산(Ortho-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1,4-Naphthalenedicarboxylic acid),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2,5-Naphthalenedicarboxylic acid),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비페닐디카르복실산(Biphenyldicarboxylic acid),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Tetrahydrophthalic acid)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옥살산(Oxal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피멜산(Pimelic acid), 수베르산(Suberic acid), 아젤라인산(Azelaic acid), 세바스산(Sebacic acid), 리놀레산(Iinoleic acid), 말레산(Male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메사콘산(Mesaconic acid), 이타콘산(Itaconic acid)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헥사하이드로프탈산(Hexahydrophthalic acid),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Tetrahydrophthalic acid),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1,3-Cyclohexanedicarboxy acid),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1,4-Cyclohexanedicarboxy acid)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 알킬 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등의 반응성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다이올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다이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합성된 폴리우레탄 수지는 우수한 기계적 성직뿐만 아니라 내수성 및 내유성이 우수하고, 특히 장기 내후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다이올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폴리 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 글리콜 및 폴리 사이클로헥산카보네이트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대표적으로 다가 알코올에 알킬렌옥사이드를 개환 중합하여 부가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 이상의 NCO-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톨루엔이소시아네이트(T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NDI),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TO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자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 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있어 중화제를 이용할 수 있다. 중화제를 이용함으로써 수중에 있어서의 폴리 우레탄 수지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중화제로써는 암모니아, N-메틸모르폴린,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알킨, 모르폴린,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이 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사슬연장제로써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4-부탄디아민,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아민 등의 지환족 디아민, 자일릴렌디아민, 톨릴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로 폴리 우레탄 수지가 제조되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불활성이고 물과 사용하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로는 아세트산에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용제,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코팅액에 포함되는 용매는 폴리 우레탄 수지 및 성능향상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며, 시트본체(11)에 코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코팅액이 액상이 되도록 투입한다. 용매는 증류수 또는 알콜류를 사용하며, 알콜류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능향상제는 항블로킹제, 내마모성증진제, 슬립개선제 소포제 및 정전기방지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항블로킹제, 내마모성증진제, 슬립개선제, 소포제 및 정전기방지제는 수계 또는 알콜계에서 분산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항블로킹제는 복수의 시트(10)가 적층될 경우 시트 간의 달라붙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시트(10) 간 분리가 용이하도록 첨가하는 재료이다. 항블로킹제는 수 나노미터에서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를 가지는 무기입자인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마그네슘옥사이드(MgO), 탄산칼슘(CaCO3)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나 천연 고분자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입자는 10nm 내지 3.5㎛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무기입자가 10nm의 직경 미만일 경우 무기입자가 코팅층(13)의 두께에 비해 무기입자의 직경이 작아 코팅층(13)에 무기입자가 묻혀 항블로킹성을 개선할 수 없으며, 3.5㎛ 직경을 초과할 경우 투과도가 떨어져 시트(10)의 투명성을 저해할 수 있다.
항블로킹제는 코팅액 전체 중량에 대해 0.01 내지 3중량부 만큼 포함될 수 있다. 항블로킹제가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블로킹 특성을 나타낼 수 없으며,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슬립성 및 투명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장 바람직한 항블로킹제의 양은 0.07중량부이다.
항블로킹제는 항블로킹 특성뿐만 아니라 투과도 증진을 위해서 수지와의 혼합 및 분산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항블로킹제로 사용되는 미세분말의 표면 처리와 더불어 초음파 분산, 균질혼합기 분산, 볼밀링 분산 및 분쇄공정, 어트리션 밀링 분쇄 및 분산 공정을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항블로킹 특성을 나타내도록 유도한다.
성능향상제 중 내마모성증진제는 시트(10)의 내마모성 증진과 내스크래치성 향상을 위해 첨가된다. 내마모성증진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계열 또는 펜탄(Pentane), 헥산(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과 같은 파라핀 계열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코팅액 전체 중량에 대해 0.01 내지 8중량부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내마모성증진제가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마모성과 내스크래치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8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마모성증진제가 다른 성능향상제에 비해 과도하게 함유되기 때문에 다른 효과들을 미미하게 하든지 또는 내마모증진제가 형성된 코팅층이 부분 박리가 일어날 수 있고 코팅층의 투과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내마모증진제의 함량 조절 및 각기 다른 분자량을 지니는 내마모증진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코팅층의 투과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내마모 증진 특성을 올릴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내마모성증진제의 함량은 3.0중량부이다.
슬립개선제는 코팅층(13)의 슬립특성 향상과 표면장력 저하를 통해 복수 개가 적층되는 시트(10)의 슬립성 및 표면장력 개선을 위해 첨가되는 실리콘계 또는 비실리콘계 첨가제를 말한다. 여기서 슬립개선제는 코팅액 전체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중량부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슬립개선제가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슬립개선제의 효과가 미미하며,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재료들에 비해 슬립개선제의 양이 많아 다른 성능향상제가 제대로 작용할 수 없다. 슬립개선제는 전체 중량부에 대해 0.02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슬립개선제는 비실리콘계인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inylidene fluorid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trafluoroethylen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exafluoropropylene), 비닐 플루오라이드(Vinyl fluoride),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tyl hexyl acrylate),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sooctyl 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및 실린콘계인 다이메틸메톡시실란(Dimethylmethoxysilane), 페닐트리메톡시실란(Diphenyl methoxysilane),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 trimethoxysilane), 페닐트리메톡시실란(Phenyl trimethoxysilna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메틸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톡시실란(Methyl 3-glycidoxylpropryl dimethoxysilane) 중 어느 하나이다.
소포제는 시트(10) 상에 코팅되는 코팅층(13)을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코팅액의 기포 제어를 통한 코팅층(13)의 외관 개선을 위해 첨가되는 실리콘계 또는 비실리콘계 첨가제를 말한다. 여기서 소포제는 코팅액 전체 중량에 대해 0.05 내지 0.5중량부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소포제가 0.05중량부 미만일 경우 소포제가 매우 소량 함유되는 것으로 소포제의 효과가 미미하며, 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재료들과의 상용성의 문제로 인해서 다른 성능향상제 및 코팅제의 기능이 제대로 작용할 수 없다. 소포제의 함유량은 0.1중량부가 함유량 대비 가장 효율적이다.
바람직한 소포제는 실리콘계 또는 비실리콘계이며, 비실리콘계로는 소수성 고분자계, 소수성 미네랄계 및 탄화수소 수식된 무기계 중 어느 하나이다.
정전기방지제는 정전기가 중화될 수 있도록 양이온 및 음이온의 이동이 자유로운 이온성 액체를 의미하며, 시트(10) 상에 코팅되는 코팅층(13)을 포함하는 시트(10)의 정전기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여기서 정전기방지제는 코팅액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1중량부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정전기방지제가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대전방지를 통한 정전기 방지 효과가 미미하며,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재료들에 비해 필요 이상으로 양이 많아 코팅제의 가격 상승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다른 성능향상제가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여기서 정전기방지제는 0.25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정전기방지제인 이온성 액체는 피리딘 물질로서 1-에틸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부틸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헥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옥틸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데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도데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테트라데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헥사데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옥타데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계열과, 1-에틸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부틸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설포닐) 이미드, 1-헥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옥틸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데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도데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테트라데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헥사데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옥타데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설포닐) 이미드로 이루어진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계열과, 1-에틸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부틸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헥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옥틸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데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도데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테트라데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헥사데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옥타데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클로로 옥사이드 계열과, 1-메틸 이미다졸 물질로서 1-에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부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헥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옥틸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도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테트라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헥사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옥타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계열과, 1-에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부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헥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옥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도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테트라데실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헥사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옥타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로이루어진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계열과, 1-에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부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옥사이드, 1-헥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옥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도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테트라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헥사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옥타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클로로 옥사이드 계열과, 1-메틸 이미다졸린과 같은 계열로 1-에틸 이미다졸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이하 실시예들에서는 바인더 수지, 용매, 항블로킹제, 내마모성증진제, 슬립개선제, 소포제 및 정전기방지제의 종류 및 양에 따른 배합비를 나타내었다.
<폴리 우레탄 수지 제조>
일정량의 폴리올(Polyol),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피오닉 산(2,2-bis(hydroxymethyl)propionic acid, DMPA), 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IPDI)를 반응시키고 중화시킨 다음 분산시켜 NCO-프리폴리머 폴리 우레탄 분산체(NCO-PUD)를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기, 환류 냉각기, 분액깔때기가 장착된 반응기에 폴리올과 DMPA를 용매인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 NMP)에 넣고 오일 배스(Oil bath)의 온도를 80℃로 유지시킨 후 1시간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혼합물이 투명해지면 온도를 낮추고 IPDI를 투입한 다음 8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카르복실기를 가진 NCO-말단 프리폴리머를 얻는다. 그 후 반응기의 온도를 50℃로 낮추고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MEK)로 점도를 떨어트린 다음 1,4-부탄디올(1,4-Butanediol, 1,4-BD)를 투입하고 30분간 중화시켜 NCO-말단이 블로킹된 프리폴리머를 얻는다. 블로킹된 프리폴리머를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을 투입하여 이혼화된 폴리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얻은 후 이온교환수에 수분산시킨다. 그 이후에 용매를 이용하여 폴리 우레탄 수지와 용매의 비율을 맞춘다.
<실시예 1>
바인더 수지인 폴리 우레탄 수지 3.5중량부, 용매인 증류수 및 에탄올의 혼합액 93.03중량부, 평균 30nm 크기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진 항블로킹제 0.05중량부, 슬립개선제 0.02중량부, 수분산 폴리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내마모성증진제 3.0중량부, 소포제 0.1중량부, 암모늄-불소계열로 이루어진 정전기방지제 0.1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내마모성증진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매 93.23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1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내마모성증진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매 93.33중량부, 정전기방지제를 적용하지 않은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매 95.78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0.3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25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매 94.58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1.5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25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바인더 수지인 폴리 우레탄 수지 3.5중량부, 용매인 증류수 및 에탄올의 혼합액 93.06중량부, 평균 15nm 크기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진 항블로킹제 0.07중량부, 슬립개선제 0.02중량부, 수분산 폴리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내마모성증진제 3.0중량부, 소포제 0.1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25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2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내마모성증진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매 93.21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1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2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내마모성증진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매 93.31중량부, 정전기방지제를 적용하지 않은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2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매 95.76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0.3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25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2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매 94.56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1.5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25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바인더 수지인 폴리 우레탄 수지 3.5중량부, 용매인 증류수 및 에탄올의 혼합액 93.08중량부, 평균 3.5 마이크로 미터 크기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진 항블로킹제 0.05중량부, 슬립개선제 0.02중량부, 수분산 폴리에틸렌-파라핀 왁스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내마모성증진제 3.0중량부, 소포제 0.1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25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3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내마모성증진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액 93.23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1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한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2>
실시예 3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내마모성증진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액 93.33중량부, 정전기방지제를 적용하지 않은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3>
실시예 3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매 95.78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0.3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25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3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 항블로킹제, 슬립개선제 및 소포제의 배합비는 동일하며, 용매 94.58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1.5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25중량부를 포함한 코팅액을 제조 및 배합한 후 표 1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배합에 따라 시트 보호용, 항블로킹 개선, 내마모성 증진, 시트 간 마찰로 인한 블루밍 현상 개선, 슬립 개선, 투명도 개선, 외관 개선, 정전기 방지 및 인쇄 증진 등을 위한 기능성 하이브리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하이브리드 코팅액을 가로 1750mm의 폭을 가지는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0.3T 시트본체 위에 코팅하였고, 코팅된 시트를 가로 1250mm, 세로 750mm의 크기로 재단하였다. 재단된 시트를 1000mm 높이로 적재하여 권취한 후 일주일 뒤 포장을 풀고 요구되는 물성들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달리 배합된 코팅액을 적용한 시트의 요구 물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정전기 항블로킹성 투과성 슬립성 인쇄물
접착성
핫멜트
접착성
내스크래치
(블루밍)
외관
1
1-1
1-2
1-3
1-4
2
2-1
2-2
2-3
2-4
3
3-1
3-2
3-3
3-4
(◎ : 매우 우수, ○ : 좋음, △ : 보통, × : 불량)
상기 표 1에 표시된 것처럼 제조된 하이브리드 코팅층(13)의 물성은 전반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시트(10) 간 정전기의 경우 정전기방지제의 함량에 따라 정전기 발생 정도의 차이가 많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전기의 정도에 따라서 항블로킹성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스크래치 및 슬립 특성도 적용된 내마모 왁스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항블로킹제의 입자 크기에 따라서 투과성 및 슬립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고, 내마모증진제의 함량 또한 투과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의 중요 물성들인 인쇄물 접착성, 핫멜팅 접착성, 내스크래치성 및 코팅롤 자국을 포함한 코팅층(13) 외관에 대한 물성들은 전체적으로 매우 우수한 물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특히 실시예 2가 전체적으로 가장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2가 가장 바람직한 혼합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시트
11: 시트본체
13: 코팅층

Claims (13)

  1.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이브리드 코팅액을 코팅한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용매, 폴리 우레탄 수지,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항블로킹제, 내마모성증진제, 슬립개선제, 소포제 및 정전기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용매 70 내지 97중량부, 폴리 우레탄 수지 3 내지 30중량부, 항블로킹제 0.01 내지 3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0.01 내지 8중량부, 슬립개선제 0.01 내지 1중량부, 소포제 0.05 내지 0.5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1 내지 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용매 93.06중량부, 폴리 우레탄 수지 3.5중량부, 항블로킹제 0.07중량부, 내마모성증진제 3중량부, 슬립개선제 0.02중량부, 소포제 0.1중량부, 정전기방지제 0.2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방지제는 정전기가 중화될 수 있도록 양이온 및 음이온의 이동이 자유로운 이온성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1-에틸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부틸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헥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옥틸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데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도데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테트라데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헥사데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옥타데실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피리디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계열과, 1-에틸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부틸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설포닐) 이미드, 1-헥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옥틸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데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도데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테트라데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헥사데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옥타데실 피리디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설포닐) 이미드로 이루어진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계열과, 1-에틸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부틸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헥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옥틸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데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도데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테트라데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헥사데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옥타데실 피리디니윰 클로로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클로로 옥사이드 계열과, 1-메틸 이미다졸 물질로서 1-에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부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헥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옥틸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도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테트라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헥사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옥타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계열과, 1-에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부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헥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옥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네이트, 1-도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테트라데실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헥사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1-옥타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로이루어진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 이미드 계열과, 1-에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부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헥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옥틸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도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테트라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헥사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옥타데실 3-메틸 이미다졸리니윰 클로로 옥사이드, 1-메틸 이미다졸린, 1-에틸 이미다졸린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마그네슘옥사이드(MgO), 탄산칼슘(CaCO3)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10nm 내지 3.5㎛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증진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계열 또는 펜탄(Pentane), 헥산(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과 같은 파라핀 계열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개선제는,
    비실리콘계인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inylidene fluorid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trafluoroethylen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exafluoropropylene), 비닐플루오라이드(Vinyl fluoride),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tyl hexyl acrylate),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sooctyl 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및 실린콘계인 다이메틸메톡시실란(Dimethylmethoxysilane), 페닐트리메톡시실란(Diphenyl methoxysilane),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 trimethoxysilane), 페닐트리메톡시실란(Phenyltrimethoxysilna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메틸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톡시실란(Methyl 3-glycidoxylpropryl dimethoxysil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는 폴리머 수지 또는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폴리머 수지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마그네슘옥사이드(MgO), 탄산칼슘(CaCO3)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형태로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50nm 내지 50㎛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13. 제 1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KR1020150132017A 2015-09-18 2015-09-18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KR10228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017A KR102282503B1 (ko) 2015-09-18 2015-09-18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PCT/KR2016/006784 WO2017047916A2 (ko) 2015-09-18 2016-06-24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017A KR102282503B1 (ko) 2015-09-18 2015-09-18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986A KR20170033986A (ko) 2017-03-28
KR102282503B1 true KR102282503B1 (ko) 2021-07-26

Family

ID=5828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017A KR102282503B1 (ko) 2015-09-18 2015-09-18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2503B1 (ko)
WO (1) WO20170479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777B1 (ko) * 2017-08-25 2019-03-05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전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름 및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148974B1 (ko) 2019-11-27 2020-08-28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미끄럼방지용 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47559B1 (ko) 2020-04-28 2022-01-05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점착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CN113201183A (zh) * 2021-04-13 2021-08-03 安徽国风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抗静电作用的抗粘连功能母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1390A (ja) 2007-10-04 2009-04-30 Kyoeisha Chem Co Ltd 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用組成物及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層が形成された成形品
JP2012000993A (ja) 2011-07-26 2012-01-05 Mitsubishi Plastics Inc 帯電防止性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80752A1 (en) * 2002-11-13 2004-06-03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Ultraviolet-curable antistatic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KR100660936B1 (ko) 2005-04-04 2006-12-26 주식회사 새 한 슬립성,인쇄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성형품
KR101151243B1 (ko) * 2009-10-13 2012-06-14 나노캠텍주식회사 음료 및 식품 용기 적층용 대전방지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JP5271293B2 (ja) * 2010-02-07 2013-08-21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99663B2 (ja) 2011-06-06 2016-04-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層用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348808B1 (ko) 2013-07-30 2014-01-10 주식회사진영케미칼 안티블로킹성, 슬립성, 내스크랫치성과 인쇄성이 우수한 포장용 pet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1390A (ja) 2007-10-04 2009-04-30 Kyoeisha Chem Co Ltd 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用組成物及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層が形成された成形品
JP2012000993A (ja) 2011-07-26 2012-01-05 Mitsubishi Plastics Inc 帯電防止性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7916A2 (ko) 2017-03-23
WO2017047916A3 (ko) 2017-05-26
KR20170033986A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503B1 (ko)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KR101562930B1 (ko)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2036818B (zh) 用于光学应用的聚酯膜
KR101665427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TW201714998A (zh) 黏著薄膜
KR20110138422A (ko) 적층 필름
CN105916686B (zh) 涂布膜
TWI664081B (zh) Laminated polyester film with voids
JP2019509517A (ja) 接着力に優れた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偏光板
CN105829104A (zh) 层叠聚酯膜
KR20150102928A (ko) 도포 필름
JP5434605B2 (ja) 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53750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6750598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556961B1 (ko)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
JP6628937B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80007402A (ko) 스킨층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코팅 시트
KR101508276B1 (ko)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용 코팅 조성물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JP7383903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21497A (ja) 帯電防止転写箔及び成型品の製造方法
JP2021102487A (ja) 包装用材料及び包装容器
JP7167463B2 (ja)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用保護フィルム
JP7451954B2 (ja) 積層体及びプレス成形法
JP2011152783A (ja) 易接着性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CN116438078A (zh) 易粘接性聚酯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