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934A -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934A
KR20060104934A KR1020060027960A KR20060027960A KR20060104934A KR 20060104934 A KR20060104934 A KR 20060104934A KR 1020060027960 A KR1020060027960 A KR 1020060027960A KR 20060027960 A KR20060027960 A KR 20060027960A KR 20060104934 A KR20060104934 A KR 20060104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
operated
mist
wiper
windshield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기무라
이사오 마에다
노리카즈 요시다
후미타카 하야세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10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MIST 위치가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를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할 때, 조작 레버가 다른 작동 모드 위치를 통하지 않고 하나의 스텝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조작 레버를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하여 그 위치에서 동작되게 유지함에 의해 와이퍼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조작 레버를 AUTO 위치로 조작하여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와이퍼를 비의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AUTOMOTIVE WINDSHIELD WIPER SWITCH}
도 1은 조작 레버가 OFF 위치가 되도록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조작 레버가 AUTO 위치가 되도록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조작 레버가 MIST 위치가 되도록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INT 위치를 가진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의 종래 기술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AUTO 위치를 가진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의 종래 기술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퍼 스위치 2 : 케이스
3 : 조작 레버 5 : 회전축
6 : 클릭 정지 부재 7 : 브래킷
8 : 클릭 정지편 9 : 압축 코일 스프링
10 : 클릭 정지 부재 수용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드쉴드에 달라 붙은 빗방울을 제거하기 위한 윈드쉴드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로서 미스트 기능을 가진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가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레버 타입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있어서, 이러한 미스트 기능은 조작 레버가 MIST 위치로 조작되어 그 위치에서 작동되도록 유지될 때, 와이퍼의 작동이 계속되게 하며, 한편 조작 레버를 그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이 해제될 때, 조작 레버는 원래의 작동 모드 위치로 되돌아오고 와이퍼의 작동은 정지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와이퍼의 작동이 필요할 때에만 와이퍼를 작동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JP-A-2003-276573
도 6은 상기한 타입의 미스트 기능을 가진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있어서, 조작 레버(101)는 OFF 위치가 베이스 위치로 작용하면서 회전 중심으로서의 회전축(102)에 대해 회전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될 때에는, 조작 레버(101)는 INT 위치, LO 위치 및 HI 위치로 스텝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한편 시계방향으로 조작될 때에는, 조작 레버(101)는 MIST 위치로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에 있어서, 윈드쉴드 와이퍼의 작동은 OFF 위치에서 정지된다. 와이퍼는 INT 위치에서 와이퍼가 스위프(sweeps) 사이에 소정의 지연시간을 가지고 간헐적으로 작동되며, LO위치에서는 저속으로 연속적으로 작동되며, HI 위치에서는 고속으로 연속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MIST 위치에서, 와이퍼는 조작 레버(101)가 이 위치에 유지되도록 조작될 때에만 작동된다.
한편, 근년에, 윈드쉴드 와이퍼의 조작 및 제어를 자동화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소정의 감도를 가지고 비의 양을 검출하는 레인 센서를 구비하여 일정양의 비의 양이 검출될 때, 와이퍼를 자동적으로 스위치온하는 기능(오토 기능)을 가진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가 제안되어 있다. 오토 기능을 가진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의하면, 비가 내리지 않는 상태일지라도 조작 레버를 AUTO 위치(와이퍼의 동작이 오토 기능으로 제어되는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일정량의 비의 양이 감지될 때) 와이퍼가 자동적으로 작동이 개시되도록 스위치온하게 할 수 있으며, 한편 비가 그치면(더 이상의 비의 양이 검출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비가 내리거나 그칠 때마다 스위치를 온 오프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와이퍼의 작동이 정지되게 할 수 있다.
도 7은 이러한 형식의 오토 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자동자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있어서, 조작 레버(201)는 각각의 작동 모드 위치로 스텝 방식이며 순차적으로 동작되도록 회전 중심으로서 회전축(20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오토 기능을 가진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있어서, AUTO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의 INT 위치에 위치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에서, AUTO 위치가 도 6에 도시된 INT 위치에 설정되는 이유는 INT 접점이 그대로 계속 사용될 수 있어, 즉 다른 위치에 대한 변경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에 의해 복잡하게 되지 않으며, 설계가 단순해진다.
그러나, 이미 상기한 바와 같이 AUTO 위치가 INT 위치에 설정되는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단점이 야기된다. 즉, 사용자가 비가 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와이퍼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예를 들면, 윈드쉴드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악화시키도록 윈드쉴드에 달라붙어 있는 먼지나 곤충과 같은 오물을 제거하기를 사용자가 시도할 때), 상기 시도는 순간적으로 와이퍼를 작동시켜 달성해야 하므로, 조작 레버(201)가 상기 위치에 작동되게 유지되도록 조작되는 동안에 와이퍼가 오직 작동될 수 있는 MIST 위치로 사용자가 조작 레버(201)를 조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일이 일어날 때, 조작 레버(201)는 미리 OFF 위치가 되도록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MIST 위치가 OFF 위치 다음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201)는 한 스텝으로 OFF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할 수 있고, 조작 레버(201)의 조작성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조작 레버(201)가 미리 AUTO 위치로 되도록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시도된 경우에 있어서, MIST 위치가 OFF 위치 다음에 위치되도록 설정, 즉 OFF 위치가 AUTO 위치와 MIST 위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 레버(201)를 한 스텝으로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할 수 없으나 조작 레버(201)를 두 스텝으로 AUTO 위치로부터 OFF 위치를 거처 MIST 위치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성가신 조작을 하여야만 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조작 레버(201)를 OFF 위치가 되도록 조작하는 것이 습관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습관으로는 어떤 경우에도 상기한 단점이 발생되지 않으나, 사용자는 비의 양에 따라 와이퍼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AUTO 기능의 이점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없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오토 기능의 잇점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될 때, 제어 요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로서,
적어도 MIST 위치와 MIST 위치 다음에 위치하는 AUTO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작동 모드 위치로 조작될 수 있는 제어 요소를 구비하고,
제어 요소가 AUTO 위치로 조작될 때, 와이퍼는 비의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되고,
제어 요소가 MIST 위치로 조작되어 그 위치에서 작동되도록 유지될 때, 와이퍼는 비의 양에 관계없이 작동되게 되며, 제어 요소가 MIST 위치에 유지되어 있던 것이 해제될 때, 제어 요소는 자동적으로 AUTO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양태로 개시된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로서, 복수의 작동 모드 위치는 OFF 위치를 더 포함하며, 제어 요소가 OFF 위치로 조작될 때, 와이퍼의 작동은 정지되고, OFF 위치는 사이에 AUTO 위치가 개재된 상태로 MIST 위치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2 양태로 개시된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로서, OFF 위치는,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며, 사이에 AUTO 위치가 개재된 상태로 MIST 위치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따르면, 종래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와 다르게 MIST 위치가 OFF 위치 다음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요소가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이 시도될 때, 제어 요소는 다른 작동 모드 위치를 통과하지 않고 한 스텝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제어 요소가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되어 그 위치에서 작동되도록 유지되어 와이퍼가 작동되게 한다. 또한, 제어 요소가 조작되어 AUTO 위치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와이퍼는 비의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스위치가 온 되거나 작동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오토 기능의 잇점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 요소가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따르면, OFF 위치는 AUTO 위치가 사이에서 중심이 된 상태로 MIST 위치에 대향하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요소가 OFF 위치로부터 AUTO 위치로 조작하고자 할 때, 제어 요소는 MIST 위치를 통과하지 않고 조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어 요소가 MIST 위치로 조작됨에 따라 와이퍼가 불필요하게 스위치 온 되거나 동작되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으며, 제어 요소가 OFF 위치로부터 AUTO 위치로 조작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따르면, OFF 위치는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며 AUTO 위치가 사이에서 중심이 된 상태로 MIST 위치에 대향하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요소를 OFF 위치로부터 AUTO 위치로 조작하고자 할 때, 제어 요소는 다른 작동 모드 위치를 통과하지 않고 한 스텝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다른 작동 모드 위치를 통과하여 와이퍼의 불필요한 작동을 개시할 위험을 회피할 뿐만 아니라 제어 요소가 OFF 위치로부터 AUTO 위치로 조작될 때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작 레버를 요동 또는 회전시켜 윈드쉴드 와이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버 타입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적용된다. 도 1에 있어서,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1)는 케이스(2)와 조작 레버(3)(본 발명에서는 제어 요소라고 칭한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2)는 스티어링휠(도시 안됨) 아래의 스티어링 칼럼부(도시 안됨)에 구비된다. 레버 지지부(4)는 케이스(2)의 단부 부분(도 1 내지 도 3에서 볼 때, 오른쪽)에 형성되며, 이에 의해 조작 레버(3)의 단부 부분이, 조작 레버(3)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A1, A2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회전 중심으로서의 회전축(5)에 관하여 회전되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한편, 클릭 정지 부재(6)는 케이스(2)의 다른 단부 부분(도 1 내지 도 3에서 볼 때, 왼쪽)에 구비되고, HI 위치에 대응하는 경사부 또는 HI 위치 경사부(6a)와, LO 위치에 대응하는 홈부 또는 LO 위치 홈부(6b)와, OFF 위치에 대응하는 홈부 또는 OFF 위치 홈부(6c)와, AUTO 위치에 대응하는 홈부 또는 AUTO 위치 홈부(6d)와, MIST 위치에 대응하는 홈부 또는 MIST 위치 경사부(6e)는 회전 중심으로서 회전축(5)에 관한 조작 레버(3)의 회전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클릭 정지 부재(6)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7)은 회전 중심으로서의 회전축(5)에 관하여 조작 레버(3)와 함께 회전되는 방식으로 구비되고, 브래킷(7)의 내부에 있어서는, 클릭 정지편(8)이, 클릭 정지 부재(6) 측을 향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9)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클릭 정지 부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클릭 정지편(8)의 말단부 부분(8a)은 회전 중심으로서의 회전축(5)에 관한 제어 레버(3)의 회전에 반응하여 HI 위치 경사부(6a), LO 위치 홈부(6b), OFF 위치 홈부(6c), AUTO 위치 홈부(6d), MIST 위치 경사부(6e) 상에서 슬라이드되도록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설명한 구성에 있어서, 클릭 정지편(8)의 말단부 부분(8a)은 말단부(8a)가 OFF 위치 홈부(6c) 내에 로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도 1에서 화살표 A1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조작 레버(3)가 OFF 위치가 되도록 조작된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LO 위치로 조작될 때, 말단부 부분(8a)은 OFF 위치 홈부(6c)로부터 LO 위치 홈부(6b)로 이동되어 그 내부에 로크된다. 제어 레버(3)가 상기 상태로부터 HI 위치로 조작되도록 더욱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말단부 부분(8a)은 LO 위치 홈부(6b)로부터 HI 위치 경사부(6a)로 이동되고, 이러한 일이 발생함에 따라, 브래킷(7) 상에 형성된 융기부(7a)는 케이스(2)의 내부에 형성된 융기부(2a)와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말단부 부분(8a)이 그자리에 로크된다.
한편, 조작 레버(3)는, 조작 레버(3)가 OFF 위치가 되도록 조작된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도 1의 화살표 A2로 지시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AUTO 위치로 조작될 때, 클릭 정지편(8)의 말단부 부분(8a)은 OFF 위치 홈부(6c)로부터 AUTO 위치 홈부(6d)로 이동되어 그 내부에 로크된다. 조작 레버(3)(브래킷(7)에 형성되어 있는 융기부(7b)가 케이스(2)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융기부(2b)와 접촉하는 위치의 외주상의)가, MIST 위치로 조작되도록 상기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될 때, 클릭 정지편(8)의 말단부 부분(8a)은 AUTO 위치 홈부(6d)로부터 MIST 위치 경사부(6e)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MIST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제어 레버(3)가 해제될 때, 말단부 부분(8a)은 MIST 위치 경사부(6e)에 로크되지 않고 AUTO 위치 홈부(6d)로 이동하여 그 내부에 로크된다. 즉, 제어 레버(3)는 수행된 조작으로부터 해제될 때, AUTO 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아 온다.
융기부(7a, 7b)와 융기부(2a, 2b)는 또한 조작 레버(3)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이에 의해 조작 레버(3)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은 융기부(7a)와 융기부(2a)가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서 저지되며, 한편 조작 레버(3)의 시계 방향 회전은 융기부(7b)가 융기부(2b)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저지된다.
또한, 스위칭부(도시안됨)의 접점은, 윈드쉴드 와이퍼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작 레버(3)를 OFF 위치, LO 위치, HI 위치, AUTO 위치, MIST 위치로 조작하는 데에 따라 스위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OFF 위치에 있어서, 접점은 와이퍼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위치로 스위치된다. 또한, 베이스 위치로서 기능을 하는 OFF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된 작동 모드 위치 중, LO 위치에 있어서는, 접점이 와이퍼가 저속으로 작동되는 위치로 스위치되고, HI 위치에 있어서, 접점은 와이퍼가 고속으로 작동되는 위치로 스위치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베이스 위치로서 기능을 하는 OFF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된 작동 모드 위치에서, AUTO 위치에 있어서는, 접점이 소정의 감도로 비의 양을 검출하는 레인 센서(도시안됨)에 의해 와이퍼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위치로 스위치되고, MIST 위치에 있어서, 접점은 제어 레버(3)가 이 위치로 조작되는 동안에만 와이퍼가 작동하게 하거나 스위치 온되는 위치로 스위치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의 기능을 설명한다. 조작 레버(3)가 OFF 위치(도 1 참조)가 되도록 조작될 때, 사용자는 비가 내리기 시작하거나 그칠 때마다 와이퍼를 스위치 온 및 오프되도록 조작 레버(3)를 조작해야만 되며, 이는 매우 성가시다.
그리고, 비록 비가 오지 않을지라도, 사용자가 미리 와이퍼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AUTO 위치(도 1에서 화살표 A2로 지시된 방향으로)로 조작 레버(3) 를 조작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는 조작 레버(3)가 AUTO 위치로 조작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AUTO 위치에 있어서, 소정 양의 비가 검출될 때, 와이퍼가 자동적으로 스위치 온되기 때문에, 와이퍼는 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 자동적으로 스위치 온되고, 한편 비가 그치면, 와이퍼의 작동은 자동적으로 정지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와 그칠 때마다 조작 레버(3)를 조작하지 않아도 된다.
결국, 비록 비가 내리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시인성은 윈드쉴드에 곤충과 먼지와 같은 오물이 달라붙어 더러워질 때 악화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원드쉴드로부터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윈드쉴드를 스위프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AUTO 위치에 있어서는, 와이퍼가 비의 양이 소정의 감도로 검출될 때까지 작동되지 않는다. 한편, LO 위치와 HI 위치에 있어서는, 와이퍼가 연속적으로 작동되어 이에 의해 불필요한 정도까지 작동될 뿐만 아니라 조작 레버(3)는 두세 스텝을 거쳐 LO 위치와 HI 위치로 조작되어야 하므로, 이는 매우 성가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 레버(3)(도 2에서 화살표 A2로 지시한 방향으로)를 MIST 위치로 조작하여 그 위치에서 작동되게 유지되도록 하고, 여기에서 와이퍼는 조작 레버(3)가 작동 중으로 유지되는 동안에만 작동될 수 있다. 도 3은 조작 레버(3)가 MIST 위치로 조작되어 그 위치에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3)가 이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조작되는 동안에 와이퍼가 작동이 허용된다. 즉, 이 상태에서 비의 양에 관계없이 작동이 허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윈드쉴드 상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와이퍼가 작동되도록 조작 레버(3)를 MIST 위치로 조작하여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윈드쉴드 상의 오물이 제거되어 충분한 시인성을 다시 확보했음을 확인할 때, 사용자는 제어 레버(3)를 이 위치로부터 해제한다. 목표한 작동이 완수되어 그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된 조작 레버(3)는 자동적(도 3에서 화살표 A1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으로 AUTO 위치로 되돌아오며, 그 결과, 이 상태에서 다시 와이퍼의 작동은 비의 양(도 2 참조)에 따라 제어된다.
클릭 정지 부재(6)는 도 1에서 화살표 A1, A2에 의해 지시된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도시안함, 이하에서 풀업 방향이라 한다)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HI 위치 경사부(6a), LO 위치 홈부(6b), OFF 위치 홈부(6c), AUTO 위치 홈부(6d), MIST 위치 경사부(6e)는 각각 만곡된 클릭 정지 부재(6)의 만곡된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대응하여, 조작 레버(3)는 또한 풀업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즉, 조작 레버(3)는 레버가 풀업 방향으로 조작되는 상태일지라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과 유사하게 도 1에서 화살표 A1, A2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정렬된 각각의 작동 모드 위치로 조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윈드쉴드 와이퍼의 작동은 조작 레버(3)를 회전시켜 제어되는 레버 타입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와 다르게, MIST 위치가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3)를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될 때, 조작 레버(3)는 다른 작동 모드 위치를 통과하지 않고 한 스텝으로 조작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3)를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하여 그 위치에서 작동되도록 유지되게 함으로써, 와이퍼가 작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3)를 AUTO 위치에 머무르도록 조작함에 의해, 와이퍼는 비의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오토 기능의 잇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게다가 조작 레버(3)를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할 때의 조작성도 향상된다.
또한, OFF 위치가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는 한편, MIST 위치와 대면하고 는 AUTO 위치의 측면에 대향하는 AUTO 위치 측면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3)를 OFF 위치로부터 AUTO 위치로 조작될 때, 조작 레버(3)는 MIST 위치 또는 다른 작동 모드 위치를 거치지 않고 한 스텝으로 조작되며, 이에 의해 조작 레버(3)가 MIST 위치 또는 다른 작동 모드 위치로 조작되어 와이퍼의 불필요한 작동이 개시되는 위험성을 회피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조작 레버(3)가 OFF 위치로부터 AUTO 위치로 조작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6 및 7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구성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은 홈부와 경사부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고종래 기술의 기계적 구성을 그대로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는 다른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다른 부분을 설명하며, 제 1 실시에와 같은 부분에 대한 설명 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는 윈드쉴드 와이퍼의 동작이 조작 레버(3)를 요동 또는 회전시켜 제어되는 레버 타입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관한 것이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은 제어 레버의 말단부 부분에 부착된 조작 놉(Knob)을 회전시켜 윈드쉴드 와이퍼의 작동이 제어되는 로터리 타입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적용된다.
즉, 도 4에 있어서, 로터리 타입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21)는, 조작 놉(23)(본 발명에서, 제어 요소라고 한다)이 도 4에서 화살표 B1, B2로 지시한 방향으로 조작 레버(22)에 대하여 회전되는 방식으로 조작 레버(22)의 말단부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역시, OFF 위치가 베이스 작동 모드 위치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상태에서, 조작 놉(23)은 화살표 B1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스텝 방식으로 HI 위치 및 LO 위치로 순차적으로 조작되도록 설계되고, 한편 화살표 B2로 지시된 방향으로, 조작 놉(23)은 스텝 방식으로 AUTO 위치와 MIST 위치로 순차적으로 회전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MIST 위치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MIST 위치와 같이, 조작 놉(23)이 이 위치로 조작되고 그 다음에 그 위치에서 동작되도록 유지될 때, 윈드쉴드 와이퍼는 비의 양에 관계없이 작동되게 되며, 한편 그 위치에서 조작 놉(23)의 작동을 유지하는 것이 해제될 때, 조작 놉(23)은 그 원래의 작동 모드, 즉 AUTO 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아 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조작 놉(23)이 미리 AUTO 위치가 되도록 조작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와이퍼를 의도적으로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사용자 는 조작 놉(23)을 MIST 위치로 조작하여 그 위치에서 작동이 유지되도록 한다. 조작 놉(23)이 MIST 위치에서 작동이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와이퍼는 작동이 허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MIST 위치에서 조작 놉(23)을 작동 중으로 계속 유지하며, 사용자가 목적이 달성됨을 확인할 때, 사용자는 제 위치에서 조작 놉(23)의 작동을 유지하는 것을 해제하며, 이에 의해 이렇게 해제된 조작 놉(23)은 AUTO 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아오며, 비의 양에 따른 와이퍼의 작동의 제어가 다시 계속된다.
그러므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조작 레버(22)의 말단부 부분에 부착된 조작 놉(23)을 회전시켜 와이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로터리 타입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있어서, MIST 위치가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상에서 제 1 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오토 기능의 잇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조작 놉(23)이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OFF 위치는,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어 있는 한편 MIST 위치와 대면하는 AUTO 위치의 측면에 대향하는 AUTO 위치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놉(23)이 제 1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OFF 위치로부터 AUTO 위치로 조작되는 경우에, 조작 놉(23)이 MIST 위치 또는 다른 작동 모드 위치로 조작되어 와이퍼의 불필요한 작동을 개시하는 위험성을 회피하게 해줄 뿐만아니라 조작 놉(23)이 OFF 위치로부터 AUTO 위치로 조작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 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같은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된 조작 놉을 회전시켜 윈드쉴드 와이퍼의 작동이 제어되는 로터리 타입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적용된다.
즉, 도 5에 있어서, 로터리 타입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31)는 도 5에서 화살표 C1, C2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조작 놉(33)(본 발명에서, 제어 요소라고 한다)의 인스트루먼트 패널(32)에 장착된 구성이다. 또한, 이 경우에, OFF 위치가 베이스 작동 모드 위치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 상태로, 조작 놉(33)은 화살표 C1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스텝 방식으로 LO 위치와 HI 위치로 순차적으로 조작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한편 조작 놉(33)이 화살표 C2로 지시된 방향으로 스텝 방식으로 AUTO 위치와 MIST 위치로 순차적으로 회전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MIST 위치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 설명한 MIST 위치와 같이, 조작 놉(33)은 이 위치로 조작되어 그 위치에서 동작을 유지할 때, 윈드쉴드 와이퍼는 비의 양에 관계없이 작동하게 되며, 한편 그 위치에서 조작 놉(33)의 작동을 유지하는 것을 해제하면, 조작 놉(33)은 원래의 작동 모드 위치, 즉 AUTO 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아 온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먼저 조작 놉(33)이 AUTO 위치에서 작동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와이퍼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사용자는 조작 놉(33)을 MIST 위치로 조작하여 그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조작 놉(33)이 MIST 위치에서 작동되도록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와이퍼는 작동되기 때문에, 사 용자는 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MIST 위치에서 조작 놉(33)을 작동 중으로 계속 유지하며, 사용자가 목적이 달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을 때, 사용자는 조작 놉(33)이 그 위치에서 작동되는 것을 해제하며, 이렇게 해제된 조작 놉(33)은 AUTO 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아 가며, 비의 양에 따른 와이퍼 작동의 제어가 다시 게속된다.
그러므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32)에 장착된 조작 놉(33)을 회전시켜 와이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로터리 타입의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에 있어서, MIST 위치가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상에서 제 1 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오토 기능의 잇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조작 놉(33)이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OFF 위치는,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어 있는 한편 MIST 위치와 대면하는 AUTO 위치의 측면에 대향하는 AUTO 위치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놉(33)이 제 1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OFF 위치로부터 AUTO 위치로 조작되는 경우에, 조작 놉(33)이 MIST 위치 또는 다른 작동 모드 위치로 조작되어 와이퍼의 불필요한 작동을 개시하는 위험성을 회피하게 해줄 뿐만아니라 조작 놉(33)이 OFF 위치로부터 AUTO 위치로 조작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되게 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나 아래에 설명한 것과 같이 변경 또는 확장할 수도 있다.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 자체에 OFF 스위치를 제공하여, 이러한 스위 치로 원드쉴드 와이퍼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와이퍼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OFF 위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MIST 위치가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한, 다른 작동 모드 위치의 배열을 변경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작동 모드 위치 또는 위치들은 생략하거나 부가적인 작동 모드 위치 또는 위치들을 새로이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오토 기능의 잇점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를 제공하는 효과와, AUTO 위치로부터 MIST 위치로 조작될 때, 제어 요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로서,
    적어도 MIST 위치와 MIST 위치 다음에 위치되는 AUTO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작동 모드 위치로 조작될 수 있는 제어 요소를 구비하고,
    제어 요소가 AUTO 위치로 조작될 때, 와이퍼는 비의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되고,
    제어 요소를 MIST 위치로 조작하여 그 위치에서 작동되도록 유지되어 있을 때, 와이퍼는 비의 양에 관계없이 작동되고, 제어 요소가 MIST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해제될 때, 제어 요소는 자동적으로 AUTO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작동 모드 위치는 OFF 위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 요소가 OFF 위치로 조작될 때, 와이퍼의 작동을 정지하게 하고,
    OFF 위치는, 사이에 AUTO 위치가 개재된 상태로 MIST 위치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OFF 위치는 AUTO 위치 다음에 위치되어 있으면서 사이에 AUTO 위치가 개재된 상태로 MIST 위치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
KR1020060027960A 2005-03-28 2006-03-28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 KR20060104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1576 2005-03-28
JP2005091576A JP4537241B2 (ja) 2005-03-28 2005-03-28 車両用ワイパスイッ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934A true KR20060104934A (ko) 2006-10-09

Family

ID=3660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960A KR20060104934A (ko) 2005-03-28 2006-03-28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27093B2 (ko)
EP (1) EP1707458B1 (ko)
JP (1) JP4537241B2 (ko)
KR (1) KR20060104934A (ko)
CN (2) CN200967461Y (ko)
DE (1) DE60200601854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7241B2 (ja) * 2005-03-28 2010-09-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ワイパスイッチ
EP2219309B1 (en) 2007-12-05 2016-01-06 Fujitsu Limited Transmitter,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device
JP4613970B2 (ja) * 2008-03-12 2011-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JP5058944B2 (ja) * 2008-10-31 2012-10-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ワイパースイッチ
SE535234C2 (sv) * 2010-10-21 2012-06-05 Scania Cv Ab Vindrutetorkarreglage
CN102815282A (zh) * 2012-08-07 2012-12-1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后风窗刮水器
JP7269758B2 (ja) * 2019-03-07 2023-05-09 東洋電装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JP7100078B2 (ja) * 2020-03-04 2022-07-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8431A (en) * 1978-12-09 1982-05-04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Lever switch
US4859919A (en) * 1988-08-29 1989-08-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ndow wiper control for vehicle
US5457443A (en) * 1992-03-30 1995-10-10 Yazaki Corporation Multifunctional combination switch
JPH0685158U (ja) * 1993-03-29 1994-12-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ワイパ制御装置
JPH06321058A (ja) * 1993-05-13 1994-11-22 Honda Motor Co Ltd ワイパ自動制御装置
US6492744B1 (en) * 1996-10-01 2002-12-10 Delphi Technologies, Inc. Steering column switch for a motor vehicle
US5760355A (en) * 1997-03-11 1998-06-0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Electric switch for operating a windshield wiper and washer apparatus of a motor vehicle
JPH11165612A (ja) * 1997-12-01 1999-06-22 Nissan Motor Co Ltd ワイパ装置
US5981886A (en) * 1997-12-18 1999-11-09 Ut Automotive Dearborn, Inc.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US6069461A (en) * 1998-11-16 2000-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igital or resistorless interval wiper switch and system
US6614127B1 (en) * 2000-04-11 2003-09-02 A. Barron Daniels Combined headlight/wiper switch
US6548772B2 (en) * 2000-05-04 2003-04-15 Lear Corporation Multifunction switch pod
US6534732B2 (en) * 2001-04-19 2003-03-18 Methode Electronics, Inc. Multifunctional windshield wiper stalk switch
CN2480247Y (zh) * 2001-05-28 2002-03-06 傅德通 一种汽车雨刮水器控制开关
JP2003276573A (ja) 2002-03-20 2003-10-02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リヤワイパスイッチ
KR20050006757A (ko) * 2003-07-10 2005-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우적 감응형 윈드 시일드 와이퍼 시스템
JP4411113B2 (ja) 2004-03-24 2010-02-10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感光性導電ペースト及びそれを用いて形成した導電体パターン
JP4537241B2 (ja) * 2005-03-28 2010-09-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ワイパ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73018A (ja) 2006-10-12
JP4537241B2 (ja) 2010-09-01
US7227093B2 (en) 2007-06-05
CN1847064A (zh) 2006-10-18
EP1707458B1 (en) 2010-12-01
EP1707458A3 (en) 2009-06-24
CN1847064B (zh) 2010-09-15
DE602006018549D1 (de) 2011-01-13
CN200967461Y (zh) 2007-10-31
EP1707458A2 (en) 2006-10-04
US20060214617A1 (en)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4934A (ko) 자동차 윈드쉴드 와이퍼 스위치
US10065572B2 (en)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force sens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US8208023B2 (en) Door mirror an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apparatus
KR101603463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시스템을 위한 리세팅 장치 및 자동차
KR950002504B1 (ko) 레버장치
US8510896B2 (en) Wiper device for vehicle
JP5058944B2 (ja) ワイパースイッチ
KR20170118512A (ko) 와이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3933107B2 (ja) 車輌用入力装置
KR100428128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틸트장치
JP4575388B2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5172608B2 (ja) ワイパースイッチ
KR102540929B1 (ko) 차량의 와이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289452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及びその組み付け装置
KR100680392B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와 스티어링휠 조절용 통합 스위치
JP3686277B2 (ja) 走行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H11321570A (ja) 車両用4リンク式ワイパのカバー
JP2010202035A (ja) ワイパスイッチ装置
KR940001902Y1 (ko) 자동차용 백밀러의 안전장치
KR200351216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장치
JP2601220Y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JP2021017105A (ja) スイッチ装置
KR200447254Y1 (ko)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캔슬 크로 조립구조
JP2011152822A (ja) ワイパースイッチ
JPH02103827A (ja) 2重スイッチノ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