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040A -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040A
KR20060097040A KR1020067009927A KR20067009927A KR20060097040A KR 20060097040 A KR20060097040 A KR 20060097040A KR 1020067009927 A KR1020067009927 A KR 1020067009927A KR 20067009927 A KR20067009927 A KR 20067009927A KR 20060097040 A KR20060097040 A KR 2006009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composition
silica sol
acid
inorga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437B1 (ko
Inventor
피터 그린우드
한스 라그네모
매튜 리드
Original Assignee
악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악조 노벨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9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08Selection of materials as electrolytes
    • H01M10/10Immobilising of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46After-treatment of s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약 5 내지 50%의 S-값을 가진 혼합 실리카 졸과 무기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계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실리카 졸은 약 8 내지 약 47,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5,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43,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S-값을 갖는다.
실리카 졸은 바람직하게 약 5 내지 60, 더 바람직하게 약 7 내지 4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 중량%의 실리카 함량을 갖는다.
실리카 졸은 충분한 순도를 갖는 예를 들면 침전된 실리카, 마이크로 실리카(실리카 가스, silica fume), 발열 실리카(fumed silica) 또는 실리카 겔, 그리고 이것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를 포함한다.
어떤 배터리 응용(application )에 대하여, 전해질로 사용되는 무기산은 바람직하게는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황산이다.
실리카 졸과 무기산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95℃, 더욱 바람직하게 약 5 내지 약 50℃,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원발명은 또한 실리카 입자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관계 있으며, 조성물 내에서 네트워크를 만드는 (주된)실리카 입자의 크기, 즉 단독 실리카 입자 로서의 실리카 입자의 입자 크기는 약 2 내지 약 7,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6,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5nm 이다.
조성물은 또한 산세척 겔(pickling gel), 폐품 바인더, 표면(surfaces)이나 충치에 대한 세척용 겔, 그리고 겔화된 조성물이 요구되는 다른 응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성물 {COMPOSITION}
본원 발명은 배터리 전해질, 산세척 겔(pickling gel), 또는 폐품 바인더(binder of waste material)로서의 사용에 적합한 조성물, 그리고 상기 조성물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겔화제(gelling agent)와 황산의 혼합에 의하여 배터리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이다. 전해질은 요변성 겔(thixotropic gel) 형태이며, 이것은 본질적인 성분(constituent)으로 황산과 겔-형성제(gel-forming agent)를 포함하며, 겔-형성제는 예를 들면 US 5,663,321에서 제안된 실리카 졸(silica sol)일 수 있다. 겔화된 전해질(gelled electrolyte)의 이러한 형태는 비-겔화된 액상 전해질(non-gelled liquid electrolyte)보다 우수한 몇 가지 장점, 즉 누출 없이 독립적인 배치를 할 수 있는 가능성 및 보존과 같은 장점을 포함한다. 하지만, US 5,663,321에 개시된 전해질은 충분한 겔 강도가 부족하며, 겔화 시간이 너무 길다.
본원 발명은 겔화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 조성물은 배터리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며, 또한 다른 용도(application)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약 5 내지 50%의 S-값을 가진 혼합 실리카 졸과 무기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계한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이 예를 들면 납-산 배터리(lead-acid batteries)에서 겔화된 전해질로 적용될 때 더 긴 서비스 수명(service life), 더 짧은 겔화 시간, 그리고 개선된 겔 강도의 결과를 낳는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실리카 졸과 무기산이 혼합되면, 겔화가 일어난다. 이것은 실리카 졸에 존재하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colloidal silica particle)가 무기산의 존재하에서 상호간에 실록산(siloxane) 다리를 형성하며, 이것이 실리카 입자의 집성(aggregation) 및 겔화를 유도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실리카 졸은 약 8 내지 약 47,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5,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43,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S-값을 갖는다.
이러한 범위의 S-값은 전술한 장점을 최적화할 수 있다. S-값은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의 집성 정도, 즉 집성도 또는 마이크로겔 형성도의 특성을 나타낸다. S-값은 "수성 용액내의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의 수화도(Degree of hydration of particles of colloidal silica in aqueous solution)", J. Phys. Chem. 60 (1956), 955-957 by ller, R. K. & Dalton, R. L.에서 제공된 공식에 따라 측정되고 계산되었다.
S-값은 실리카 함량, 점성, 그리고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의 밀도에 의존한다. S-값은 실리카 졸의 분산 상(dispersed phase)에 존재하는 SiO2의 중량% 양을 나타낸다. US 5368833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S-값은 제조 공정 과정에서 제어될 수 있다.
실리카 졸은 바람직하게 약 5 내지 60, 더 바람직하게 약 7 내지 4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 중량%의 실리카 함량을 갖는다. 실리카 졸은 약 400 내지 약 1200,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1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0 내지 약900㎡/g의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을 갖는 실리카 입자를 포함한다. 실리카 입자는 약 2.5 내지 약 7,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6,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5㎚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적절하게는, 약 1:100 내지 25:100, 바람직하게는 약 2:100 내지 약 1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100 내지 약 8: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100 내지 약 6:100의 실리카 대 무기산(묽은 무기산으로 계산될 때)의 중량 비율로 실리카 졸과 무기산이 혼합된다. 구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균질하게 혼합되어 실리카 졸의 실리카 입자를 전해질 내에 균일하게 분배시킨다.
실리카 졸은 충분한 순도를 갖는, 예를 들면 침전된 실리카, 마이크로 실리카(실리카 가스(silica fume)), 발열 실리카(fumed silica) 또는 실리카 겔, 그리고 이것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를 포함한다.
조성물의 적용에 의존하는 본원 발명에 따르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와 실리카 졸은 변성될 수 있으며, 입자 내 및/또는 연속 상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아민, 알루미늄 및/또는 붕소와 같은 그 밖의 다른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붕소-변성된 실리카 졸(boron-modified silica sol)은 예를 들면 US 2,630,410에 기술되어 있다. 알루미늄 변성된 실리카 입자(aluminium modified silica particle)는 적절하게는 약 0.05 내지 3,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Al2O3 함량을 갖는다. 알루미늄 변성된 실리카 졸의 제조 과정은 "실리카 화학(The Chemistry of Silica)" by ller, K. Ralph, pages 407-409, John Wiley & Sons (1979) 와 미국특허 US 5 368 833 에 더 기술되어 있다.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좁은 입자 크기 분포, 즉 입자 크기의 낮은 상대 표준 편차를 갖는다. 입자 크기 분포의 상대 표준 편차는 평균 입자 크기에 대한 입자 크기 분포의 표준 편차의 개수(by numbers) 비율이다. 입자 크기 분포의 상대 표준 편차는 개수로 약 6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약 3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 약 15% 미만이다.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는 수용성 실리카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하게는 안정화 양이온(stabilising cations),즉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전해질 적용에 있어서는 K+, Na+, Li+ 의 존재하에서, 그 밖의 다른 적용에 있어서는 NH3, 유기 양이온, 일차, 이차, 삼차, 사차 아민, 또는 그것의 혼합의 존재하에서 수용성 용매에 분산된다. 하지만, 유기 용매, 즉 저급 알코올, 아세톤 또는 이것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제(dispersions)는 배터리 전해질 이외의 적용에 있어서 전체 용매의 약 1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 부피%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그 밖의 다른 용매 없이도 수용액상태의 실리카 졸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실리카 졸의 pH는 적절하게는 약 1 내지 약 13,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12,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11이다. 하지만, 알루미늄-변성된 실리카 졸(aluminium-modified silica sols)에 대하여, pH는 적절하게는 약 1 내지 약 12,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약 11이다. 바람직하게, 실리카 졸은 중량으로 약 100ppm 미만의 철 함량을 가지며, 이것은 철이 본원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의 방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바람직하게, 철 함량은 중량으로 약 50pp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량으로 약 30pp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 실리카 졸의 염화물의 함량은 중량으로 약 50pp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pp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ppm 미만이다. 낮은 염화물 함량은 형성된 조성물(배터리 용도에서)에서 필수적인데, 이것은 배터리 내에서 그리드 부식(grid corrosion), 즉 납 그리드의 부식이 감소(reduced)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불순물은 조성물에 존재하며 해를 끼칠 수 있으며, 그것의 허용가능 수준은 앞서 언급한 한계를 넘지 않는다.
어떤 배터리 응용(application )에 대하여, 전해질로 사용되는 무기산은 바람직하게는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황산이다. 무기산, 특히 황산의 농도는 약 5 내지 약 99,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80,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60중량%이다. 너무 낮은 농도는 좋지 않은 전해질(낮은 전도도를 갖는) 및 긴 겔화 시간을 초래한다. 적절하게, 무기산의 pH는 약 -2 내지 약 2,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0.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0이다. 무기산의 적절한 농도는 진한 무기산을 물로 희석하여 얻을 수 있다. 적절하게, 황산(무기산으로 사용되는)은 약 1.04 내지 약 1.8, 바람직하게는 약 1.15 내지 약 1.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1.5,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3 내지 약 1.4 kg/dm3의 밀도를 갖는다.
실리카 졸과 무기산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95℃, 더욱 바람직하게 약 5 내지 약 50℃,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발열반응이 일어나므로 황산과 다른 무기산의 희석은 온도의 증가를 유발한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되기 위한 희석된 산은 상온 미만의 온도로 미리 냉각된다. 실리카 졸과 무기산의 혼합시간은 약 100밀리초(milliseconds) 내지 약 30분, 바람직하게는 약 100 밀리초 내지 약 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밀리초 내지 약 1분이다. 실리카 졸과 무기산은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전지에 넣기 직전 또는 다른 적용 직전에 인-라인 믹서(in-line mixer) 예를 들면 스태틱 믹서(static mixer) 내에서 혼합된다. 너무 긴 혼합시간은 겔 강도에 불이익하며, 반면에 너무 짧은 혼합시간은 불충분한 혼합을 유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는 또 다른 성분은 배터리의 순환성 및 방전 저항은 물론 전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생성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약 1.5 내지 약 5중량% 농도의 오르토황산(orthophosphoric acid)을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 전지 내의 황산납(lead sulphate)의 용해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성물(전해질) L당 약 1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2g의 황산나트륨(Sodium sulphate)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산화물에 기초하여 약 0.1 내지 약 0.5 중량%의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hydroxide)이 첨가될 수 있다. 배터리의 성능을 증강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첨가제는 미국 특허 6 218 052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성분은 실리카 졸과 무기산의 혼합물에 직접 첨가될 수 있으며, 또는 이것들이 혼합되기 전에 무기산 또는 실리카 졸에 직접 첨가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본원발명에서 정의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조성물에 관계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실리카 입자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관계 있으며, 조성물 내에서 네트워크를 만드는 (주된)실리카 입자의 크기, 즉 단독 실리카 입자로서의 실리카 입자의 입자 크기는 약 2 내지 약 7,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6,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5nm 이다. 제1 실리카 입자의 크기는 Sears (Journal of Analytical Chemistry, Volume 28, no. 12, December 1956)에 따른 적정에 의해 측정되는 비표면(specific surfac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Sears 에 언급된 기술에 의해 측정된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은 약간 저평가되는데 이는 네트워크 내의 실리카 입자와 이웃하기 위한 결합/다리가 실리카 입자의 표면 일부를 점유하기 때문이다. 주된 입자의 비표면적과 겔의 측정된 표면적 사이의 정정(correction)은 "The Chemistry of Silica" (1979), by Ralph K.ller.의 482쪽부터 487쪽에 더 자세히 논의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실리카 입자는 약 200 내지 약1100,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약 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0 내지 약 9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800㎡/g 의 비표면적을 갖는다. 실리카 네트워크 내에서, 무기산(묽은 무기산으로 계산된)에 대한 실리카의 중량비는 약 1:100 내지 약 25:100, 바람직하게는 약 2:100 내지 약 1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100 내지 약 8: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100 내지 약 6:100이다. 조성물의 실리카 함량은 약 1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7.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6중량%이다. 겔 내의 낮은 실리카 함량은 더낮은 내부 저항을 초래하며, 배터리 내에서 겔화된 전해질로서 더 높은 캐퍼시티(capacity)를 초래한다. 조성물내에 형성되는 실리카 입자의 평균 기공(pore) 직경은 약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nm이다. 조성물내 실리카 입자의 기공부피는 실리카 g당 바람직하게는 약 0.4 내지 약 5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0㎤이다.
본원발명은 또한 예를 들면 잠수함, 휠체어, 산업용 트럭, 그리고 골프장의 운송 수단(transport vehicles)내의 운송용 배터리(traction batteries); 예를 들면 태양 에너지 장치 및 원거리통신 기둥(telecommunication masts)내의 예비 배터리(stand-by batteries); 그리고 예를 들면 시동 베터리 및 자동차 전기장치용 배터리 내의 자동차용 배터리 내의 겔화된 전해질은 물론 본원발명에서 제시된 것과 같은 조성물의 용도에 관계한다. 이러한 응용의 세가지 그룹은 배터리 캐퍼시티의 필요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운송용 배터리는 꽤 오랜 기간 동안 매우 높은 캐퍼시티를 필요로 하며, 자동차용 배터리는 짧은 기간 동안 매우 높은 캐퍼시티를 요구하며, 예비 배터리는 오랜 시간 동안 상당히 낮은 캐퍼시티를 필요로 한다.
조성물은 또한 산세척 겔(pickling gel), 폐품 바인더, 표면이나 충치에 대한 세척용 겔, 그리고 겔화된 조성물이 요구되는 다른 응용(application)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시된 본원발명에 있어서, 균등물이 다른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자명 할것이다. 그러한 변화가 본원 발명의 요점이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모든 수정은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아래 제시된 실시예가 반응의 더욱 구체적인 세부항목을 제공하며, 그에 따른 일반적인 원칙이 여기에서 개시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모든 부(part)와 백분율은 중량부 또는 중량퍼센트이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실리카 졸은 아래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실리카 졸 1(본원 발명) 2(비교) 3(비교)
비표면적(㎡/g) 769 361 295
pH 10.5 10 10.5
밀도(㎏/d㎥) 20℃ 1.1 1.21 1.21
실리카 함량 (중량%) 14.9 30.3 30.1
점도(cP) 8.2 7.0 8.6
S-값, ller-Dalton(%) 33 96 52
[표 2]의 조성물은 [표 1]의 실리카 졸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을 얻기 위한 과정 및 참조사항은 다음과 같다([표 2]에 제시되어 있다):
a) 진한 황산은 250㎖ 비커 내에서 물로 희석되고, 상온으로 냉각되었다.
b) 실리카 졸은 희석된 황산과 혼합되었다.
c) 실리카 졸-황산 혼합물의 온도는 유리 온도계로 측정되었다.
d) 겔화 시간, 즉 실리카 졸과 무기산을 혼합한 시작 시점부터 비커를 90O 경사지게 할때 흘러내리지 않는 고체 겔이 얻어질 때까지의 시간.
조성물 번호 황산 농도 H2O 실리카 졸 번호 첨가된 실리카 졸 (g) SiO2 중량% 겔 시간 (분) 온도 (발열반응) (℃) 겔 시간 (20 ℃에서 등온 반응) (분) 조성물내 실리카 입자의 전체 표면적 (㎡/g)
1 100g 112g 2 53 6 62 27 101 21.6
2 100g 94.3g 2 70.7 8 32 29 60 28.8
3 100g 112g 3 53 6 48 27 78 17.7
4 100g 94.3g 3 70.7 8 17 30 34 23.6
5 100g 112g 1 53 3 17 28 30 22.5
6 100g 94.3g 1 70.7 4 8 30 16 30
20℃에서의 겔화 시간은 겔화반응이 일어나는 온도인 온도T에서의 겔화 시간의 표준화(normalization)이다. 20℃에서의 겔화 시간은 다음 공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겔화시간(T=20℃)=겔화시간(T℃에서)×2(T-20)/10),여기서 T는 섭씨온도(℃)이다.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제 온도 및 20℃로 계산된 온도에서의 반응에서 겔화 시간은 비교 대상 샘플 1-4보다 본원 발명에 따르는 샘플 5와 6에 대하여 훨씬 짧다.
겔 강도는 겔화된 전해질이 형성되고 24시간 이후에 측정되었다. 겔 강도는 0.5g 직경 4.4㎜의 납 구(lead bullet)를 23㎝ 높이에서 떨어뜨려 측정하였다. 충격량은 겔의 침투 깊이(㎜)로 [표 3]에 제시되었으며, 이것은 겔 강도를 측정하는 좋은 방법이다.
조성물 번호 깊이(㎜)
1 8
2 1
3 8
4 1
5 1
6 0(바닥)
본원 발명의 조성물, 즉 5번 및 6번은 비교 대상인 1-4번 조성물보다 증가된 겔 강도를 보여준다. 5번 및 6번 조성물은 조성물 1-4번보다 낮은 실리카 함량을 포함함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비교대상보다 낮은 실리카 함량으로 전술된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은 겔화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 조성물은 배터리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며, 또한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비교대상보다 낮은 실리카 함량으로 전술된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5 내지 50%의 S-값을 갖는 실리카 졸 및 무기산의 혼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값은 8 내지 40%인 조성물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값은 12 내지 35%인 조성물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카 졸은 400 내지 1200 ㎡/g의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을 갖는 조성물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카 졸은 500 내지 1000 ㎡/g의 비표면적을 갖는 조성물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카 졸은 600 내지 900 ㎡/g의 비표면적을 갖는 조성물 제조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산은 황산인 조성물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산은 염산, 질산, 인산,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르토인산(orthophosphoric acid) 또는 황산나트륨(sodium sulphate)이 더욱 첨가되는 조성물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카 대 무기산의 중량비가 1:100 내지 25:100인 조성물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공을 포함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조성물.
  13. 2 내지 7 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와 무기산의 네트워크(network)를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실리카 대 무기산의 중량비가 1:100 내지 25:100인 조성물.
  15. 배터리 내의 겔화된 전해질로 사용되는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의 용도.
KR1020067009927A 2003-11-21 2004-11-09 조성물 KR100936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445134 2003-11-21
EP03445134.4 2003-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040A true KR20060097040A (ko) 2006-09-13
KR100936437B1 KR100936437B1 (ko) 2010-01-12

Family

ID=3461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927A KR100936437B1 (ko) 2003-11-21 2004-11-09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674833B2 (ko)
EP (1) EP1685619B1 (ko)
JP (2) JP2007534116A (ko)
KR (1) KR100936437B1 (ko)
CN (1) CN100448089C (ko)
AU (1) AU2004311022B2 (ko)
CA (1) CA2545957C (ko)
ES (1) ES2641564T3 (ko)
MY (1) MY145151A (ko)
TW (1) TWI294407B (ko)
WO (1) WO20050507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4374B2 (en) * 2005-11-01 2010-03-09 Robles Antonio T Method for preparing acidic solutions of activated silica and polyvalent metal salt for water treatment
JP2007250495A (ja) * 2006-03-20 2007-09-27 Furukawa Battery Co Ltd:The 制御弁式鉛蓄電池
KR100832375B1 (ko) 2006-11-22 2008-05-28 세방하이테크 주식회사 태양광/풍력 발전용 장수명 밀폐형 연축전지의 겔 전해질
CN102231443B (zh) * 2011-05-17 2013-11-06 汪训国 动力铅酸蓄电池用胶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
BR112014001141A2 (pt) * 2011-07-18 2017-02-21 Indian Inst Scient ultracapacitor, unidade de armazenamento de energia,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a ultracapacitor, método para utilização do ultracapacitor, e, eletrólito de polímero geleificado tixotrópico inorgânico
CN102593530A (zh) * 2012-02-27 2012-07-18 超威电源有限公司 动力型电池用胶体电解质
CN102593531A (zh) * 2012-02-29 2012-07-18 随州市飞普电瓶有限公司 一种电瓶用胶体电解质及其制作方法
CN108130801B (zh) * 2013-12-18 2020-11-24 艺康美国股份有限公司 生产用于造纸的活化胶态二氧化硅的方法
CN103969157B (zh) * 2014-05-29 2016-03-30 福州大学 一种测定胶体电解液胶凝时间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0410A (en) 1949-04-19 1953-03-03 Union Carbide & Carbon Corp Nongelling aqueous silica sols stabilized with boron compounds
DE3041953C2 (de) * 1980-11-06 1983-12-08 Accumulatorenfabrik Sonnenschein GmbH, 6470 Büdinge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leiakkumulators sowie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Bleiakkumulator
JPS57148882A (en) * 1981-03-11 1982-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aled lead storage cell
JPS5913620A (ja) * 1982-07-09 1984-01-24 Central Glass Co Ltd シリカゲルの製造法
SE500387C2 (sv) 1989-11-09 1994-06-13 Eka Nobel Ab Silikasoler,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silikasoler samt användning av solerna i pappersframställning
CN1021787C (zh) 1990-04-26 1993-08-11 王莲香 高电容量胶体电解质及制法
JPH0547410A (ja) 1991-08-08 1993-02-2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鉛蓄電池
DE69108396T2 (de) * 1991-10-12 1995-09-21 Lianji Wang Hohe kolloidale Kapazitätsekundärbatterie, Kolloidelektrolyt und dessen Verwendung, sowie deren Herstellungsverfahren.
JP2851729B2 (ja) * 1991-10-25 1999-01-27 ワン リアンキサン 大容量コロイド蓄電池、これに用いるコロイド電解液及び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CN1080435A (zh) * 1992-06-18 1994-01-05 李即明 胶体电解质及其配制工艺
SE501214C2 (sv) 1992-08-31 1994-12-12 Eka Nobel Ab Silikasol sam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papper under användande av solen
NO177137B1 (no) * 1993-09-06 1995-08-14 Svein Olerud Fremgangsmate til fremstilling av sfaerisk silika fra olivin
US5457187A (en) 1993-12-08 1995-10-10 Board Of Regents University Of Nebraska Oligonucleotides containing 5-fluorouracil
DE19513343C1 (de) 1995-04-08 1996-10-10 Europ Accumulateur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leiakkumulators
SE9502184D0 (sv) * 1995-06-15 1995-06-15 Eka Nobel Ab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aper
CO5070714A1 (es) * 1998-03-06 2001-08-28 Nalco Chemical Co Proceso para la preparacion de silice coloidal estable
DE60029778T2 (de) * 1999-05-04 2007-10-18 Akzo Nobel N.V. Sole auf der basis von kieselsäure
US6893538B2 (en) * 1999-12-20 2005-05-17 Akzo Nobel N.V.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aper using silica-based s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311022B2 (en) 2007-11-01
JP2007534116A (ja) 2007-11-22
CN100448089C (zh) 2008-12-31
US20060263694A1 (en) 2006-11-23
JP5315313B2 (ja) 2013-10-16
ES2641564T3 (es) 2017-11-10
CA2545957C (en) 2011-08-02
TW200524827A (en) 2005-08-01
US7674833B2 (en) 2010-03-09
CA2545957A1 (en) 2005-06-02
JP2011057546A (ja) 2011-03-24
CN1871737A (zh) 2006-11-29
EP1685619A1 (en) 2006-08-02
TWI294407B (en) 2008-03-11
KR100936437B1 (ko) 2010-01-12
WO2005050770A1 (en) 2005-06-02
MY145151A (en) 2011-12-30
EP1685619B1 (en) 2017-08-30
AU2004311022A1 (en)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5313B2 (ja) 組成物
US20090261309A1 (en) Silicon dioxide dispersion comprising polyol
JP2690540B2 (ja) アルカリ金属ポリシリカをゲル化した電解液を有する鉛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962287A (zh) 一种钠离子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JP3362793B2 (ja) シリカゾルの製造方法
CN111640577A (zh) 一种超高压电解液
Onori et al. Viscosity studies of water-containing reversed AOT micelles
Ghosh et al. Mixed mobile ion effect in fluoride glasses
CN105938759A (zh) 电解电容中高压电解液及其制备方法
CN105367101A (zh) 一种纳米金刚石增强的氮化铝-碳化硅复合电路板基板材料及其制备方法
RU2774128C1 (ru) Покрывающий агент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покрытия листа анизотропно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стали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листа анизотропно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стали
CN100595966C (zh) 用于胶体电池凝胶剂的纳米胶体硅及其制备方法
KR100433470B1 (ko) 결합제를 첨가한 납축전지용 무기 젤 전해질의 제조방법및 그 전해질
EP3951008A1 (en) Grain-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coating-film-formation coating agent and production method for grain-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JPH06196367A (ja) 電解コンデンサ用電解液
JP3478394B2 (ja) シリカゾル及びシリカ粉末
KR100477616B1 (ko) 납축전지용 무기 젤 전해질의 저온 제조 방법 및 그 전해질
WO2015119034A1 (ja) シリカ系微粒子ゾ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231055A (zh) 钠锆硅磷氧固态电解质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TR2021018619A2 (tr) Jel ti̇pi̇ aküler i̇çi̇n yeni̇ bi̇r katki maddesi̇
CN113444498A (zh) 一种充电线冷却液及其制备方法
JP2004352757A (ja) イオン伝導性高分子組成物及びイオン伝導性高分子用フィラー
KR20180035555A (ko) 온도 특성 개선을 위해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해액, 전해액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CN107946076A (zh) 一种具有高闪火电压、耐高温能力的铝电解电容器电解液
Fukuda et al. Effect of surfactant addition on the synthesis of spherical carbon particles by sol-ge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110

Effective date: 200904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