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274A - 점착제품 및 전사구 - Google Patents

점착제품 및 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274A
KR20060086274A KR1020060005885A KR20060005885A KR20060086274A KR 20060086274 A KR20060086274 A KR 20060086274A KR 1020060005885 A KR1020060005885 A KR 1020060005885A KR 20060005885 A KR20060005885 A KR 20060005885A KR 20060086274 A KR20060086274 A KR 20060086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dhesive
sensitive adhesive
weight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140B1 (ko
Inventor
히로유키 카사하라
카즈시게 카와시타
토요아키 쿠리하라
테츠야 쿠니무네
켄이치 하마다
Original Assignee
고쿠요 에스앤티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요 에스앤티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고쿠요 에스앤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5/00Devices for closing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4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driven by hands or f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7Block-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성을 유효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착제품을 제공한다.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블록(M) 및 아크릴산 부틸 중합체 블록(A)으로 이루어진 디블록 공중합체(101) : 100 중량부 및 트리블록 공중합체(102) : 100 중량부와, 아크릴 올리고머계 점착부여제(103) : 40∼60 중량부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104) : 200 중량부를 혼합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점착제(100)로 채용하는 감압전사 테이프(1)이다.

Description

점착제품 및 전사구{Adhesive Product and Transfer To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구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감압전사 테이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점착제품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 박리시험의 평가 기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감압전사 점착테이프, 점착제품(감압전사 테이프)
10 ; 점착제층
100 ;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점착제)
12 ; 필름(기재)
2 ; 씰, 점착제품(씰)
20 ; 점착제층
200 ;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점착제)
22 ; 기재, 다른 부재(씰 본체)
3 ; 점착테이프, 점착제품(점착테이프)
30 ; 점착제층
300 ;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점착제)
32 ; 기재, 다른 부재(점착테이프 본체)
A ; 전사구
F ; 종이류, 다른 쪽의 부재(흰 봉투)
본 발명은 봉투 등의 종이류를 고정부착(止着)하기 위한 점착제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무 용도에 있어서 기재에 점착제(덧붙여, 「점착제」란 「감압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를 의미한다)를 주체로 하는 점착제층을 설치한 점착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품은 크게 두 가지 종류의 것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종류는 기재와 점착제층이 미리 고정부착된 상태로서, 기재를 지지체로 종이류 등에 붙이는 점착제품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의 구체적인 예로는 점착테이프나 씰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다른 종류는 기재가 점착제층에 대해 박리성(剝離性)을 갖도록 구성하고, 점착제층을 통하여 두 개의 피착체를 고정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의 구체적인 예로서, 이른바 「테이프 풀」로 시판되고 있는 감압전사 점착테이프(이하, '감압전사 테이프'라 기재함) 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압전사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롤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전사구에 장착되며, 원하는 길이만 매우 적합하게 전사할 수 있는 상태로 취급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한편, 점착제품의 고정부착력에 관해 요구되는 성능은 점착제품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점착제를 피착체에 전혀 남기지 않고, 또한 피사체를 손상하지 않고 박리시키는 성능을 충족하는 점착제품도 많이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1-271041호 공보(표 1 및 표 2 참조)
비특허 문헌 1 : 「고쿠요 2005 오피스사프라이즈편」, 고쿠요 주식회사, 평성16년 12월, p.674
그렇지만, 피착체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는 완전히 별개의 발상으로서, 예를 들면 피착체를 종이류로 했을 경우, 점착제품 혹은 점착제를 피착대로부터 벗기려고 하는 박리 동작을 행했을 때, 종이류의 표층을 확실하게 손상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개인정보에 관한 서류 등과 같이 중요한 서류를 봉투에 넣어 송부하는 경우, 개인정보의 보호나 기밀유지라고 하는 보안상의 관점에서, 송부처의 인물에게 해당 봉투가 제3자에 의해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봉함할 필요가 있다. 상세하게는, 점착제층을 벗기려고 하면 봉투를 구성하는 종이류의 표면이 손상되도록 봉투를 고정부착·봉함하는 것이 절대 조건으로 된다. 이에 더하여, 노트나 일기장, 혹은 출판물 등의 제본에 있어서도 점착제품을 사용하여 각 페이지를 철하고 있으나, 제본 후 페이지의 교체나 삽입 등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내용의 위조나 날조를 방지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중요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제본 후 페이지와 페이지가 분리되었다는 흔적을 페이지, 즉 종이에 남겨두면 위조나 날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와 같은 종이류의 표면을 손상시킨 상태를 '지파(紙破)'로 기재한다. 또, 점착제품의 점착제층을 박리시켰을 때, 종이류의 표층이 점착제에 부착하여 종이류가 두께 방향으로 파단하는 것을 '지파현상'이라고 기재하기로 한다.
즉, 점착제품이 피착체에 고정부착된 후 박리 동작에 의해 벗겨졌다는 흔적을 피착체에 명확하게 남기기 위한 성능으로서 지파라는 발상을 새롭게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점착제품은 강도가 약한 종이류를 지파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통상 사용하는 종이류의 거의 모두를 지파할 수 있는 것으로는 되어 있지 않고, 특히 중요한 서류를 보관할 때 사용되는 것과 같은 상질지(上質紙), 구체적으로는 흰 봉투와 같은 두꺼운 상질지를 확실하게 지파할 수 있는 관점에 입각하여 고정부착력을 설정해 놓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술한 것과 같은 중요한 서류를 봉투에 넣어서 봉함하는 용도 등에는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없는 것이 현상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보안성을 유효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착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은 점착제층과 해당 점착제층을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기재를 가지고, 상기 점착제층을 통하여 적어도 종이류와 다른 부재를 고정부착시킬 수 있는 점착제품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를 주체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고, 해당 아크릴계 점착제가 5∼40 중량%인 메타크릴산메틸 중합체 블록(M) 및 60∼95 중량%인 아크릴산부틸 중합체 블록(A)으로 이루어진 하기 일반식(Ⅰ) 및 (Ⅱ)
M-A (Ⅰ)
M-A-M (Ⅱ)
로 표시되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인 디블록 공중합체 40∼60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인 트리블록 공중합체 60∼40 중량부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와, 중량평균분자량 800∼5,000인 아크릴 올리고머계 점착부여제 10∼35 중량부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및/또는 수첨(水添)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80∼13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는 실온에서 종이류를 지파하기에 충분한 고정부착력을 가짐과 동시에, 예를 들면 130℃ 이상의 온도영역에서는 유동성을 나타내는 액체상의 것으로 되기 때문에, 핫멜트형 점착제 로서의 취급성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해당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해 더욱 상술하면,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디블록 공중합체 및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점착제 배합성분으로 사용한 경우에 응집력과 핫멜트 도공성을 양립할 수 있는 관점에서 각각 10,000∼1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0∼1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000∼1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일반식(Ⅰ) 및 (Ⅱ)로 표시되는 디블록 공중합체 및 트리블록 공중합체 전체에서는, 중합체 블록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블록(M)의 총중량 비율이 너무 작으면 응집력이 작아지며, 점착제 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얻을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은 유지력(전단 크리프 강도) 등의 점착 특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블록(M)의 총중량 비율이 너무 크면 점착제 조성물로 사용한 경우 점착 특성(특히 점착력)이 부족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디블록 공중합체 및 트리블록 공중합체 중에 함유되는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블록(M)의 비율은 5∼40 중량%의 범위내인 것이 필요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의 범위내이다.
그리고, 아크릴 올리고머계 점착부여제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상기 블록 공중합체와 함께 점착제 배합성분으로 사용한 경우에 응집력과 핫멜트 도공성을 양립할 수 있는 관점에서 800∼5,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4,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00∼3,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를 구성하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아크릴 올리고머계 점착 부여제 및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및/또는 수첨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의 배합비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이 매우 적합하게 지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아크릴 올리고머계 점착부여제 10∼35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및/또는 수첨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가 80∼1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아크릴 올리고머계 점착부여제가 15∼30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및/또는 수첨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는 85∼12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1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에 대하여 상기 다른 부재는 점착제에 고정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물론 상기 종이류와 동종의 것이라도, 상기 종이류와는 다른 종이라도, 종이 이외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기재와 점착제층은 고정부착되고 있는지 여부를 묻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기재가 점착제층에 대하여 예를 들면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상기 종이류 및 상기 다른 부재와는 별개의 다른 구성요소로 되어 있는 감압전사 테이프를 들 수 있다. 또, 씰이나 점착테이프라고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점착제품 중에서 기재인 테이프 본체가 점착제층에 박리불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에 해당한다. 또, 기재상에 설치되는 점착제는 기재상에 전면 도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기재상에 간헐적으로 도포한 것, 바꾸어 말하면 부분적으로 도포하지 않은 영역을 미리 설치한 것이라도 된다.
이와 같은 점착제품이면, 상술한 조성을 이루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함으 로써, 점착제층을 통하여 종이류와 다른 쪽의 부재를 고정부착시킨 후의 박리 동작에 의해 점착제가 종이류로부터 벗겨졌을 때에는 지파현상이 일어남으로써 종이류가 두께 방향으로 파단된 수복 불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해당 점착제품이 일단은 고정부착되었다고 하는 흔적을 필연적으로 종이류에 남길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점착제품을 예를 들면 봉투의 봉함 등에 사용하면, 봉투가 개봉된 흔적을 확실히 남길 수 있는 보안성이 높은 봉함을 행할 수 있다. 또, 해당 점착제품을 제본 용도로 사용하면, 제본 후의 위조나 날조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은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 치수를 5∼100 ㎛로 설정해 놓은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술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기재상에 도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을 채용하더라도, 지파현상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점착제를 기재에 보다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도공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층의 두께 치수를 5∼100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두께 치수가 5 ㎛ 이하이면 기재에 확실하게 도공하기 어렵게 되고, 두께 치수가 100 ㎛ 이상으로 되면 점착제의 도포량이 커지게 되어 비용도 비싸게 되고 마는 것과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함으로써 박리 동작시에 점착제가 응집 파괴를 일으켜 지파할 수 없게 되고 만다. 그리고, 상술한 도포의 용이성 및 제조 비용을 고려하면, 바람직한 두께 치수로는 10∼80 ㎛, 가장 바람직한 두께 치수로는 15∼60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은 씰이나 점착테이프 등으로 사용되는 점착제품으로서, 상기 기재인 씰 본체 혹은 점착테이프 본체에 상기 점착제층을 박리불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은 상기 기재를 씰 본체 혹은 점착테이프 본체로 하여 점착제층을 박리불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씰이나 점착테이프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은 감압전사 점착테이프 등으로 사용되는 점착제품으로서, 상기 기재에 상기 점착제층을 박리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기재에 대해 점착제층을 박리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감압전사 점착테이프 등으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점착제층을 박리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기재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플라스틱 필름, 그라신지 등의 종이, 금속박 등을 채용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박리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의 표면에 박리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실리콘 수지나 불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박리층을 설정한 기재를 채용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상에 기재한 점착제품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전사구에 관한 것이다.
즉, 상술한 감압전사 점착테이프를 전사구로 채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있어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사구로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품인 감압전사 테이프(1)를 구비하는 전사구(A)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전사구(A)는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감압전사 테이프(1)를 수납하는 카트리지(C)와, 이 카트리지(C)를 장착하여 감압전사 테이프(1)를 매우 적합하게 송출할 수 있는 전사구 본체(A1)와, 후술하는 점착제(100)를 흰 봉투에 전사할 때, 전사구 본체(A1)와의 사이에 흰 봉투(F)를 잡을 수 있는 암(A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은 전사구 본체(A1)와 암(A2)에 의해 흰 봉투(F)의 되접기 편(片)(F1)을 잡으면서, 예를 들면 흰 봉투(F)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후술하는 기재인 필름(12)의 표면상에 도포된 후술하는 점착제(100)를 되접기 편(F1)의 끝변에 따라 전사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점착제(100)가 되접기 편(F1)에 가압 전사된 후에는 되접기 편(F1)을 흰 봉투(F)의 개구단을 통하여 되접고, 점착제(100)가 되접기 편(F1)과 파선으로 표시된 개구단 부근(F2)과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더욱 가압함으로써 되접기 편(F1)과 개구단 부근(F2)이 고정부착되어 흰 봉투(F)가 확실하게 봉함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품인 감압전사 테이프(1)는 점착제층(10)과 해당 점착제층(10)을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인 필름(12)을 가지며, 점착제층(10)을 통하여 적어도 종이류와 다른 부재인 흰 봉투(F)의 되접기 편(F1)과 개구부 근방(F2)을 고정부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점착제층(10)을 구성하는 점착제(100)가 이후 상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주체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감압전사 테이프(1)의 구체적인 구조 및 구성에 대해 전사구(A)의 구조를 근거로 하여 상술한다.
전사구(A)에 있어서는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사구 본체(A1)와 카트리지(C)는 대체로 반할(半割) 구조를 이루고 있고, 카트리지(C)의 일부가 노출됨으로써 카트리지(C)만을 매우 적합하게 바꿀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C)는 소모 부품인 감압전사 테이프(1)와, 송출 기구 부품의 일부인 감아내기(卷出) 스풀(SP1), 빼감기(卷取) 스풀(SP2), 전사 헤드(H) 등을 교환 부품으로 하고, 해당 갈아채우기 카트리지(C)에 부대(付帶)시킨 상태로 신품과 교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사구 본체(A1)는 송출 기구 부품의 일부인 비교환 부품을 보유하고 있다.
감압전사 테이프(1)는 도 3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 상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인 점착제(100)로 이루어진 점착제층(10)과, 점착제(10)를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인 필름(12)을 가지며, 상기 점착제층(10)을 필름(12)의 표면에 점착제(100)를 도포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점착제(100)가 필름(12)의 표면상에 도공되는 형태는 전면 도공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도포하지 않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필름(12)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점착제(100)에 대해 박리 가능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해당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아크릴계 점착제인 점착제(100)에 대해 박리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해 박리성을 가지는 것 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플라스틱 필름, 그라신지 등의 종이,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또, 박리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의 표면에 박리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실리콘 수지나 불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층을 설치한 것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점착제인 점착제(100)를 도공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12)의 표면상에 도포되는 점착제층(10)의 두께를 40 ㎛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필름(12)의 표면상에 점착제(100)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종래의 방법을 매우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어서, 점착제(100)로 채용하고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조성에 대해 설명한다.
점착제(100)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루는 디블록 공중합체(101)(도시하지 않음) : 100 중량부와,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루는 트리블록 공중합체(102)(도시하지 않음) : 100 중량부와, 제1 점착부여제(103)(도시하지 않음) : 40∼60 중량부 및 제2 점착부여제(104)(도시하지 않음) : 20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디블록 공중합체(101)는 구체적으로는 5∼40 중량%인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블록(M) 및 아크릴산 부틸 중합체 블록(A)으로 이루어진 식 M-A로 표시되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인 디블록 공중합체이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이상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라레사 제(製) LA폴리머 #1114를 디블록 공중합체(101)로 채용하고 있다.
트리블록 공중합체(102)는 구체적으로 5∼40 중량%인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블록(M) 및 아크릴산 부틸 중합체 블록(A)으로 이루어진 식 M-A-M으로 표시되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인 트리블록 공중합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라레사 제 LA폴리머 #2140을 채용하고 있다.
제1 점착부여제(103)는 중량평균분자량 800∼5,000인 아크릴 올리고머계 점착부여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아합성사 제 아르폰 UP-1000을 채용하고 있다.
제2 점착부여제(10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인 황천(荒川)화학사 제 슈퍼 에스테르 Al15를 제2 점착부여제(104)로 채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품인 감압전사 테이프(1)는 상술한 아크릴계 점착제인 점착제(100)를 채용함으로써, 흰 봉투(F)와 같은 표면 강도가 높은 종이류로 이루어진 것을 봉함한 경우에 있어서도 박리 동작에 의해 고정부착 개소를 박리시킬 때에는 확실하게 지파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구(A)는 감압전사 테이프(1)를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심하고 흰 봉투(F)의 봉함 등을 행할 수 있는 보안성의 유지에 공헌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점착제층(10)의 두께 치수를 5∼100 ㎛로 설정함으로써, 제조 과정에 있어서 필름(12)상에 매우 적합하게 도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제(100)를 보다 매우 적합하게 지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각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인 필름(12)은 점착제층(10)에 대해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제품을 감압전사 테이프(1)로 전사구(A)에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으나, 점착제층에 대해 기재를 박리불능하게 설치한 것이라도 된다.
즉, 기재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부재를 겸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제품을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하는 씰(2)이나 도 4(b)에 도시하는 점착테이프(3)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씰(2) 및 점착테이프(3)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는 기재인 씰 본체(22)의 이면에 상기 점착제(100)와 동일한 배합인 점착제(200)로 이루어진 점착제층(20)을 박리불능하게 설치한 씰(2)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씰(2)은 통상 점착제층(20)에 대해 박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씰 대지(台紙)(D)에 지지되어 있고, 사용할 때 씰 대지(D)로부터 씰(2)을 박리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은 종이류를 매우 적합하게 지파할 수 있는 씰(2)을 구성할 수 있다.
또, 점착테이프(3)는 예를 들면 사무 용도나 제본 용도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해당 점착테이프(3)에 대해서도 상기 점착제(100)와 동일한 배합을 하는 점착제(300)로 이루어진 점착제층(30)을 설치함으로써 종이류를 매우 적합하게 지파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3)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이면, 점착테이프(3)를 제본 용도로 채용한 경우, 제본 후 페이지 교체 등의 위조나 날조가 행해졌을 경우에, 페이지를 지파함으로써 그 흔적을 확실하게 남길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해당 위조나 날조를 유효하게 발견하거나 혹은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 각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계속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료 작성>
(a) 점착제 조성물
2 종류의 아크릴계 블록 폴리머와 3 종류의 점착부여제를 점착제 조성물로 사용하였다. 아크릴계 블록 폴리머로 아크릴계 트리블록 중합체인 쿠라레사 제 LA폴리머 #2140과, 아크릴계 디블록 공중합체인 쿠라레사 제 LA폴리머 #1114를 사용하였다. 또, 점착부여제로 아크릴계 점착부여제인 동아합성사 제 아르폰 UP-1000과,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인 황천화학사 제 슈퍼 에스테르 A115와, 탄화수소계 점착부여제인 황천화학사 제 알콘 P100을 사용하였다.
(b) 감압전사 테이프의 작성
상술한 블록 폴리머 및 점착부여제를 각각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배합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필름상에 30∼40 ㎛ 도포함으로써, 실시예 1∼3 및 비교예 1∼10에 따른 감압전사 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시험 방법>
실시예 1∼3 및 비교예 1∼10에 따른 감압전사 테이프에 대하여, 지파성능 즉 종이류에 대한 지파현상의 유무와, 점착제층의 초기 타크(점착력) 및 점착제층의 상용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a) 지파성능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감압전사 테이프에 대하여, 시판되는 흰 봉투를 폭 25 ㎜의 단책(短冊) 형상으로 재단한 종이쪽지에 대한 지파현상 유무를 조사하였다. 여기서, 본 지파성능 시험에 있어서, 흰 봉투는 오끼나 주식회사 제 화이트 봉투 WP2270(사각형 2호 A4판)을 채용하였다.
작성한 감압전사 테이프를 상기 종이쪽지에 부착시켜 필름 위로부터 2 ㎏의 롤러를 사용하여 10 ㎜/s의 속도로 1 왕복함으로써 1회째의 압착 동작을 행하였다. 계속하여, 필름을 점착제층으로부터 벗긴 후, 동일한 종이쪽지를 점착제층에 부착시켜 2매의 종이쪽지 사이에 점착제층을 개재시킨 상태로 하고, 2 ㎏의 롤러를 사용하여 10 ㎜/s의 속도로 2 왕복함으로써 2회째의 압착 동작을 행하였다. 그리고, 2회째의 압착을 끝낸 2매의 종이쪽지 중 한 쪽의 종이쪽지를 1 ㎜/s의 속도로 15 ㎜의 거리를 두고 박리시켰다.
박리시킨 개소에 대해, 도 5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쪽지의 표층이 점착제층의 표면에 부착한 상태로 종이쪽지를 두께 방향으로 파단한 것을 지파성능 있음(도 5(a))으로 하여 ○를, 점착제층과 종이쪽지가 분리된 상태로 박리 한 것에 대해서는 계면박리(도 5(b))로서 ×1을, 양쪽의 종이쪽지에 점착제를 부착시킨 상태로 박리한 것에 대해서는 응집박리(도 5(c))로서 ×2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또, 상술한 압착 동작보다도 강하게 압착한 경우에 지파한 것에 대해서는 상기 표에 △를 기재하였다.
(b) 초기 타크
실온에서의 초기 타크 성능을 조사하였다. 점착제층의 표면이 점착력을 가진다고 판단한 것에 대해서는 초기 타크 있음으로 하여 ○를, 점착제층의 표면이 점착력에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에 대해서는 초기 타크 없음으로 하여 ×를 표 1에 기재하였다.
(c) 상용성
필름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육안으로 봄으로써 상용성을 판단하였다. 점착제층이 투명성을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상용성 있음으로 하여 ○를, 투명성을 갖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상용성 없음으로 하여 ×를 표 1에 기재하였다.
그리고, 상술한 각종 측정에 관련되는 평가를 표 1에 기재한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7 8 9 10
배합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크릴계 디블록 공중합체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크릴 올리고머계 점착부여제 40 50 60 50 75 60 50 50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200 200 200 200 200 150 300 500
탄화수소계 점착부여제 200
성능 지파성능 ×1 ×1 ×1 ×2 ×2 ×1 ×2 ×2
초기 타크 × × × × × ×
상용성 ×
상기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은 지파성능, 초기 타크, 상용성 모두 가지는 것이며, 감압전사 테이프나 다른 점착제품에 채용함에 있어서의 성능이 뛰어난 것인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에 대해서는 블록 폴리머만으로 구성된 비교예 1∼3에 대해서는 어느 것이라도 계면박리를 나타내었고, 비교예 1, 3의 경우에는 초기 타크를 갖지 않는 것이었다. 또, 비교예 4는 실시예 2의 배합에 비해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를 결핍시킨 것이지만, 상용성 및 초기 타크는 있음에도 지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응집박리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5는 이번에 시험한 배합 중에서 유일하게 탄화수소계 점착부여제를 배합한 것이지만, 지파성능은 △로 표시되는 것이며, 초기 타크 및 상용성은 갖지 않는 것이었다. 또, 비교예 6에 대해서도 상용성은 있기는 하나 지파성능은 △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7은 실시예에 비해 아크릴 올리고머계 점착부여제를 많이 배합한 것이나, 상용성 및 초기 타크는 있기는 하나 지파성능은 없고 응집박리를 나타내고 있었다. 비교예 8은 실시예 3에 비해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의 배합 비율을 낮게 설정한 것이나, 초기 타크, 상용성은 있기는 하나 계면박리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그리고, 비교예 9 및 비교예 10은 실시예 2에 비해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의 배합 비율을 높게 설정한 것이나, 어느 것이라도 초기 타크를 나타내지 않고 응집박리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품에 의하면, 상술한 조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통하여 종이류와 다른 쪽의 부재를 고정부착시킨 후의 박리 동작에 의해 점착제가 종이류로부터 벗겨졌을 때에는 지파현상이 일어남으로써 종이류가 두께 방향으로 파단된 수복 불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해당 점착제품이 일단은 고정부착되었다고 하는 흔적을 필연적으로 종이류에 남길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점착제품을 예를 들면 봉투의 봉함 등에 사용하면 봉투가 개봉된 흔적을 확실하게 남길 수 있는 보안성 높은 봉함을 행할 수 있다. 또 해당 점착제품을 제본 용도로 사용하면 제본 후 페이지와 페이지가 분리되어 있었다는 흔적을 페이지 즉 종이류에 필연적으로 남길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제본 후의 위조나 날조를 유효하게 발견할 수 있거나 혹은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해당 점착제품을 구비하는 전사구라면, 사용자에 있어서 신뢰성이 높은 점착성 물품 및 해당 점착제품을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5)

  1.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기재를 가지고, 상기 점착제층을 통하여 적어도 종이류와 다른 부재를 고정부착시킬 수 있는 점착제품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를 주체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고,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5∼40 중량%인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블록(M) 및 아크릴산 부틸 중합체 블록(A)으로 이루어진 하기 일반식 (Ⅰ) 및 (Ⅱ)
    M-A (Ⅰ)
    M-A-M (Ⅱ)
    로 표시되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인 디블록 공중합체 40∼60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인 트리블록 공중합체 60∼40 중량부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와,
    중량평균분자량 800∼5,000인 아크릴 올리고머계 점착부여제 10∼35 중량부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및/또는 수첨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80∼13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 치수를 5∼100 ㎛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제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씰이나 점착테이프 등으로 사용되는 점착제품으로서, 상기 기재인 씰 본체 혹은 점착테이프 본체에 상기 점착제층을 박리불능하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전사 점착테이프 등으로 사용되는 점착제품으로서, 상기 기재에 상기 점착제층을 박리가능하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품.
  5. 제 4항에 기재된 점착제품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전사구.
KR1020060005885A 2005-01-25 2006-01-19 점착제품 및 전사구 KR101184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6525A JP4679165B2 (ja) 2005-01-25 2005-01-25 粘着製品及び転写具
JPJP-P-2005-00016525 2005-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274A true KR20060086274A (ko) 2006-07-31
KR101184140B1 KR101184140B1 (ko) 2012-09-18

Family

ID=3674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885A KR101184140B1 (ko) 2005-01-25 2006-01-19 점착제품 및 전사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02818A1 (ko)
EP (1) EP1842888B1 (ko)
JP (1) JP4679165B2 (ko)
KR (1) KR101184140B1 (ko)
CN (1) CN100390246C (ko)
CA (1) CA2593757C (ko)
WO (1) WO2006080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8592A (ja) * 2005-09-29 2007-05-17 Kokuyo S&T Co Ltd 製本用感圧性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る製本方法
JP2007119758A (ja) * 2005-09-29 2007-05-17 Kokuyo S&T Co Ltd 貼り付け方法、貼り付け用感圧性接着剤及びその感圧性接着剤の層を有する接着製品
JP2008106176A (ja) * 2006-10-26 2008-05-08 Nippon Nsc Ltd 粘着組成物
JP5186142B2 (ja) * 2007-07-04 2013-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弾性組成物、及び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176571B2 (ja) * 2008-02-05 2013-04-03 東亞合成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
WO2009146227A1 (en) * 2008-05-30 2009-1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with multiple tackifiers
US9200186B2 (en) * 2008-09-17 2015-12-01 Avery Dennison Corporation Activatable adhesive, labels, and related methods
JP5563778B2 (ja) * 2008-09-30 2014-07-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2011231319A (ja) * 2010-04-09 2011-11-17 Nitto Denko Corp 粘着性組成物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WO2011132187A1 (en) * 2010-04-18 2011-10-27 Gevaram Quality Envelopes Ltd. Tamper-resistant envelope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EP2646240A4 (en) * 2010-12-03 2017-08-23 UPM Raflatac Oy Removable label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JP5863425B2 (ja) * 2011-12-02 2016-02-16 株式会社クラレ 粘着剤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CN103059212B (zh) * 2012-12-25 2014-11-05 中科院广州化学有限公司 一种氢化松香改性丙烯酸酯杂化乳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6431854B2 (ja) * 2014-01-24 2018-11-28 ニチバン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WO2015143649A1 (en) 2014-03-26 2015-10-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ltraviolet cured (meth)acryl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KR20170057347A (ko) * 2014-09-19 2017-05-2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아크릴 블록 공중합체 접착제
JP6771715B2 (ja) * 2015-09-29 2020-10-21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相溶組成物、接着剤組成物、複合構造物並びに複合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解体方法
WO2017160785A1 (en) 2016-03-18 2017-09-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with (meth) acrylic-based block copolymers
WO2018009683A1 (en) 2016-07-06 2018-01-11 Eastman Chemical Company (meth)acrylic oligome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203499L (sv) * 1992-11-20 1994-05-21 Eka Nobel Ab Kolofoniumderivat som ytaktivt medel
JP4021054B2 (ja) * 1998-05-18 2007-12-12 株式会社クラレ 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粘着剤用途
JP3837649B2 (ja) 2000-03-28 2006-10-2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感圧転写粘着テープ
DE10129608A1 (de) * 2001-06-20 2003-05-28 Tesa Ag Stripfähige Systeme auf Basis von Acrylatblockcopolymeren
DE10156088A1 (de) * 2001-11-16 2003-06-05 Tesa Ag Orientierte Acrylatblockcopolymere
AU2003211925A1 (en) * 2002-02-13 2003-09-04 Kaneka Corporation Block co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02818A1 (en) 2009-08-13
EP1842888B1 (en) 2011-10-12
CA2593757C (en) 2011-04-19
CN1824719A (zh) 2006-08-30
EP1842888A1 (en) 2007-10-10
JP2006206624A (ja) 2006-08-10
WO2006080181A1 (ja) 2006-08-03
EP1842888A4 (en) 2010-05-19
KR101184140B1 (ko) 2012-09-18
CN100390246C (zh) 2008-05-28
JP4679165B2 (ja) 2011-04-27
CA2593757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140B1 (ko) 점착제품 및 전사구
KR101304039B1 (ko) 점착 제품 및 전사 도구
US6740379B1 (en) Adhesive tape for adhering inserts to a page of a magazine
JP2003261846A (ja) フライングスプライス用の接着テープ
JP2008162141A (ja) 擬似接着用紙
JP5696739B2 (ja) 感圧転写式粘着テープ及び転写具
EP1387872A1 (en) Repositionable adhesive label for optical recording media
AU752184B2 (en) Adhesive tape for adhering inserts to a page of a magazine
CN1743400A (zh) 用于生成方便贴的双面胶带
JP2008024865A (ja) 粘着フィルム、粘着シール及びシール絵本
JP2003119443A (ja) 後糊用コールドシール接着剤組成物
JP4215527B2 (ja) 柔軟性ポリマーを積層した自己粘着性フィルム
JP3604345B2 (ja) コールドシール接着剤
JPH09286964A (ja) ホットメルト型粘着剤組成物
JP2728295B2 (ja) 自着性粘着剤及びその粘着部材
JP2002146301A (ja) 粘着シート
JP5339475B2 (ja) 感圧転写式粘着テープ及び転写具
JP5467352B2 (ja) 感熱ラベル
TW575649B (en) Easily separable double coated tape having extension resistance
JP2007055208A (ja) 隠蔽用紙および隠蔽式葉書
JP2021195497A (ja) ホットメルト組成物およ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封筒
JPH04324487A (ja) 貼着材
JP3785832B2 (ja) 感熱性接着剤
JP2003105291A (ja) 送付印刷物用粘着シート、該テープ送付印刷物小口への貼付方法、及び、その装置
JP2021091776A (ja) 転写式感圧接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