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829A -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829A
KR20060071829A KR1020050034359A KR20050034359A KR20060071829A KR 20060071829 A KR20060071829 A KR 20060071829A KR 1020050034359 A KR1020050034359 A KR 1020050034359A KR 20050034359 A KR20050034359 A KR 20050034359A KR 20060071829 A KR20060071829 A KR 20060071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bstrate
housing
reces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리 쓰루유미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Abstract

하우징을 대형화하지 않고, 다수의 전극을 배치한 플렉시블 기판과 접속 가능한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록 레버(lock lever)의 캠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판수용 오목부에 표면 접촉부가 출몰(出沒)하는 표면측 콘택트의 대향 위치에 배면측 콘택트를 설치하고, 기판수용 오목부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측 전극과 배면측 전극을 접촉시킨다.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단위 길이 당, 표리 2배의 전극수의 플렉시블 기판이 접속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CONNECTOR FOR A FLEXIBLE BOARD CONNEC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의 록 레버3이 대피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2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의 록 레버3이 록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3은 하우징2에 배면측 콘택트5를 부착하는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4는 하우징2에 록 레버3과 표면측 콘택트4를 부착하는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5는 록 레버3이 대피위치에 있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에 플렉시블 기판50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록 레버3이 대피위치에 있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의 평면도이다.
도7은 록 레버3이 대피위치에 있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의 정면도이다.
도8은 하우징2의 일부 생략한 평면도이다.
도9는 도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10은 록 레버3의 일부 생략한 평면도이다.
도11은 록 레버3의 일부 생략한 정면도이다.
도12는 록 레버3의 측면도이다.
도13은 도10의 B-B선 단면도이다.
도14는 표면측 콘택트4의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15는 배면측 콘택트5의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16은 종래의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의 록 레버104가 록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17은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의 록 레버104가 대피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18은 종래의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의 하우징102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 2 : 하우징
3 : 록 레버 4 : 표면측 콘택트
4e : 이동부 4a : 고정부
4b : 다리부 4d : 표면 접촉부
5 : 배면측 콘택트 5b : 다리부
5d : 배면 접촉부 6 : 기판수용 오목부
6a : 기판수용 오목부의 일면(내정면)
6b : 기판수용 오목부의 다른 면(내저면)
8 : 오목홈 10 : 회전축
15 : 캠부 14 : 조작용 레버
50 : 플렉시블 기판 60 :회로기판
본 발명은 플렉시블 기판(flexible 基板)과의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flexible 基板 接續用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기판을 삽입할 때에, 콘택트로부터의 접촉압(接觸壓)을 받지 않는 ZIF(zero insertion force) 구조를 채용하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기판(FPC) 등의 플렉시블 기판 서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 거나, 이들과 다른 전자부품이 탑재된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플렉시블 기판은 가요성(可撓性)을 구비하기 때문에, 보통 이런 종류의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는 ZIF(zero insertion force)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즉 플렉시블 기판을 삽입할 때에, 가능한 한 커넥터의 콘택트로부터 접촉압을 받지 않게 낮은 삽입력으로 커넥터에 삽입하고, 삽입 후에는 안정한 전기적 접속을 얻기 위해서 소정의 접촉압에 의해서 커넥터의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ZIF구조를 구비한 종래의 커넥터로서, 도16 내지 도18에 나타내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문헌1참조).
[(일본) 특허문헌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17718호공보(제3-4쪽, 도3, 도4)
종래의 이러한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은, 플렉시블 기판200의 끝부분이 삽입되는 가늘고 긴 홈 모양의 기판수용 오목부101이 전방(도16에 있어서 좌측 방향)에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절연성의 하우징102와, 절연 하우징102의 후방에서부터 부착되고 하우징102의 길이방향(도16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103과, 하우징102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부착된 록 레버(rock lever)104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103은, 하우징102의 부착홈에 압입되어 콘택트103 전체를 하우 징102에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103a와, 고정부103a에 외팔보(cantilever)로 지지되는 두 갈래 중의 일방으로서 자유상태에서 기판수용 오목부101 내에 접하는 접촉부103b와, 두 갈래 중의 타방으로서 록 레버104의 회전축선 상에 형성된 캠부(cam部)104a에 접하는 이동부103c와, 하우징102의 후방으로 돌출하여 하우징102의 실장면(實裝面)으로 노출하고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導電 pattern)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솔더링하여 접속되는 다리부103d를 구비하고, 이들이 한 장의 도전성 금속판을 잘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록 레버104는, 회전축선 상의 양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회전축(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을 하우징102의 길이방향 양측의 외측벽102A에 형성된 회전 구멍105에 삽입시켜,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16에 나타내는 록 위치와 도17에 나타내는 대피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캠부104a는 이 한 쌍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형성되고, 이동부103c가 접촉하는 접촉면은, 록 위치에서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의 삽입방향을 따라 편평한 모양이고, 대피위치에서는 이 삽입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세우는 방향으로 세로로 긴 형상으로 각각 변화되는 캠면(cam面)으로 되어 있다.
록 레버104의 회전축 주위에는 조작용의 레버부104b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측면으로 돌출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위치결정 돌기는 록 위치에서 하우징102의 외측벽102A에 오목하게 형성된 위치결정 오목부 106에 결합하여, 록 위치에서의 회전의 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은, 플렉시블 기판200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에서 록 레버104를 플렉시블 기판200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세우는 대피위치로 회전시킨다. 록 레버104를 대피위치에 두면, 캠부104a는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긴 형상이 되고, 이 캠부104a에 접촉하는 이동부103c를 밀어 올리고, 외팔보로 지지되는 접촉부103b를 기판수용 오목부101로부터 대피시킨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200은, 콘택트103의 접촉부103b에 접촉하지 않고 기판수용 오목부10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200을 삽입한 후에, 록 레버104를 도16, 17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기판200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록 위치에 두면, 캠부104a는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평한 모양이 되고, 외팔보로 지지된 이동부103c와 접촉부103b는 외력을 받지 않는 자유상태로 복귀하여, 기판수용 오목부101 내를 향해 돌출한다. 따라서 기판수용 오목부101 내에 플렉시블 기판200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대응 부위로 노출하는 전극에 탄성적으로 접속하고, 콘택트103과 대응하는 플렉시블 기판200의 전극이 소정의 접촉압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을 실장(實裝)하는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콘택트103의 다리부103d를 솔더링하여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콘택트103을 통하여 플렉시블 기판200과 회로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에 의하면, 콘택트103으로부터의 접촉압을 받지 않고 플렉시블 기판200을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굴곡된 플렉시블 기판200이여도 작은 삽입력으로 기판수용 오목부101 내로 삽입시킬 수 있고, 또한 콘택트103 자체의 탄성으로 플렉시블 기판200에 탄성적으로 접속하고 캠부104a는 이 접속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록 레버104가 파손되거나 록 레버104가 하우징102로부터 빠져도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은, 적어도 접속하려고 하는 플렉시블 기판200의 전극수와 동수의 콘택트103을 하우징102에 부착하고, 플렉시블 기판200의 삽입 이전에는 캠부104a를 회전시켜서 그 모든 콘택트103의 접촉부103b를 기판수용 오목부101로부터 대피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수의 전극이 배선된 플렉시블 기판200과의 접속에서는, 대피시키는 콘택트수도 증가하여 록 레버104의 회전에 큰 조작력을 요하므로, 접속 가능한 플렉시블 기판200의 전극수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200의 전극수와 동수의 콘택트103을 하우징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하기 때문에 하우징102가 대형화됨으로써 회로기판에의 실장 면적이 확대되고, 고밀도 실장의 장애가 되어 왔다.
또한 록 레버104의 한 쌍의 회전축을, 하우징102의 외측벽102A에 형성하는 회전 구멍105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삽입시키기 위해서, 도18에 나 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측벽102A의 내측 기부에 슬릿107을 형성하고, 외측벽102A를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회전축을 회전 구멍105에 삽입시킨다.
따라서 록 레버104를 하우징102에 설치하는 것은 외측벽102A를 휘어지게 하면서 한 쌍의 회전축을 한 쌍의 회전 구멍105에 삽입시켜야 하는 곤란한 조립 작업을 수반하고, 이에 더하여 슬릿107이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2의 강도가 약화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작은 조작력으로 록 레버를 회전시키고, 콘택트를 기판수용 오목부로부터 대피시키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을 대형화하지 않고, 다수의 전극을 배치한 플렉시블 기판과 접속 가능한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록 레버를 하우징에 설치하기가 용이한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기판을 삽입하는 기판수용 오목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하우징과, 기판수용 오목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 도록 하우징에 축으로 지지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선 상에 형성되어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인 캠부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작용의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록 레버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외팔보로 지지되어 자체의 탄성으로 록 레버의 캠부에 접촉하는 이동부와, 캠부에 접촉하는 이동부의 변위에 연동(連動)하여 기판수용 오목부의 일면에서부터 기판수용 오목부 내로 진퇴(進退)가 가능하도록 이동부와 일체로 고정부에 외팔보로 지지되어 이동부의 복귀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하여 기판수용 오목부 내로 돌출하는 표면 접촉부를 구비하고, 기판수용 오목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표면측 콘택트와, 상기 기판수용 오목부의 일면과 적어도 플렉시블 기판의 두께 이상의 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수용 오목부의 일면과 대향하는 다른 면으로부터 기판수용 오목부 내로 돌출하는 배면 접촉부를 구비하고, 기판수용 오목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하우징에 부착되는 복수의 배면측 콘택트를 구비하고,
록 레버가 록 위치로부터 대피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캠부에 접촉하는 각 표면측 콘택트의 이동부에 연동시켜서 표면 접촉부를 기판수용 오목부에서 대피시킴과 아울러, 록 레버가 대피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캠부에 접촉하는 각 표면측 콘택트의 이동부의 복귀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하여 표면 접촉부를 기판수용 오목부 내로 돌출시키고, 표면측 콘택트와 배면측 콘택트의 탄성에 의하여 기판수용 오목부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기판을 협지하고, 표면 접촉부와 배면 접촉부를, 각각 대응하는 플렉시 블 기판의 전극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는 록 레버를 대피위치로 회전시키면 캠부에 접촉하는 이동부에 연동하여 표면측 콘택트의 표면 접촉부는 기판수용 오목부로 대피하고, 배면측 콘택트의 배면 접촉부만 기판수용 오목부 내로 돌출한다. 배면 접촉부와 기판수용 오목부의 일면과는 적어도 플렉시블 기판의 두께 이상의 간격을 두고 있으므로, 플렉시블 기판은, 표면측 콘택트와 배면측 콘택트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접촉압을 받지 않고 기판수용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기판수용 오목부에 플렉시블 기판을 삽입한 후, 록 레버를 록 위치로 회전하면, 캠부에 접촉하는 각 표면측 콘택트의 이동부의 복귀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하여 표면 접촉부가 기판수용 오목부 내로 돌출한다. 플렉시블 기판은 표면 접촉부와 배면 접촉부와의 사이에서 협지되어, 각 표면측 콘택트와 배면측 접촉부의 탄성에 의하여 표면 접촉부와 배면 접촉부가 각각 대응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전극에 접촉하고,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청구항 2의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는, 하우징의 외측으로 통하는 개구에서 록 레버의 회전축을 수용하고, 내면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안내하는 오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표면측 콘택트의 이동부는 자체의 탄성으로 오목홈의 개구로부터 오목홈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캠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록 레버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있는 캠부에, 오목홈의 개구로부터 오목홈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이동부가 접촉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개구에서 오목홈 내로 수용되는 회전축은, 오목홈으로부터 부주의하여 떨어지지 않게 오목홈의 내면에 의하여 회전이 안내된다.
청구항 3의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는, 표면측 콘택트의 일단(一端)의 다리부와 배면측 콘택트의 일단의 다리부는 각각 플렉시블 기판의 삽입방향의 앞과 뒤인 하우징의 전면측과 후면측으로 나뉘어져, 회로기판의 대응 부위에 배선된 도전 패턴에 솔더링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렉시블 기판의 삽입방향의 앞과 뒤인 하우징의 전면측과 후면측에서 콘택트가 솔더링되므로, 플렉시블 기판을 삽입하거나 빼는 것에 의한 회전 모멘트가 하우징에 발생하여도, 솔더링 접속부에 박리방향의 큰 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록 레버가 변형, 파손, 떨어짐 등으로 고장나도, 플렉시블 기판에는 표면측 콘택트의 탄성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압은 변화되지 않고, 플렉시블 기판과의 접속도 유지된다.
또한 록 레버의 대피위치로의 회전 조작은, 배면측 콘택트와 무관하게 표면측 콘택트의 탄성에만 저항해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에 접속하는 모든 콘택트를 기판수용 오목부에서 대피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조작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양면에 각각 별도의 콘택트를 접촉시키므로,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콘택트 수를 반감 시킬 수 있고 하우징을 소형화할 수 있고 회로기판에의 실장 면적이 감소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을 변형시키지 않고 록 레버의 회전축을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오목홈 내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록 레버를 억지로 변형시키지 않고 록 레버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을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슬릿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하우징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일이 없고 형상을 단순화하여 성형(成形)도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각 콘택트의 다리부와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과의 솔더링 접속부에 박리방향의 큰 힘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솔더링 박리에 의한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이하, 간단하게 커넥터라고 한다)1을, 도1 내지 도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5는 커넥터1에 플렉시블 기판50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커넥터1의 평면도, 도7은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은, 가로로 긴 하우징2와, 하우징2의 평면측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록 레버3과, 하우징2의 평면측 에 부착되는 복수의 표면측 콘택트4, 4 ··와, 하우징2의 전면(도7에 나타나는 정면)측에 부착되는 복수의 배면측 콘택트5, 5 ··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는, 도8과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직육면체 모양으로 성형(成形)되어 있고, 그 전면(도9에 있어서 좌측면)으로부터 장방형 슬릿 모양의 기판수용 오목부6이 후방(도9에 있어서 우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수용 오목부6에는 플렉시블 기판50이 삽입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의 폭은 플렉시블 기판50의 폭보다 조금 넓게, 높이(내정면(內頂面)6a와 내저면(內底面)6b사이의 간격)는 플렉시블 기판50의 두께보다 충분히 길게 되어 있다. 또 각 기판수용 오목부6은 내정면6a측의 개구 가장자리가 테이퍼(taper) 모양으로 확장하여 개구되어 있어, 이에 따라 플렉시블 기판5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기판수용 오목부6의 내저면6b에는, 기판수용 오목부6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하우징2의 전면에서부터 후방을 향해서 복수의 배면 콘택트 수용홈12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배면 콘택트 수용홈12는 배면측 콘택트5를 수용하는 것으로, 그 대향하는 내측면에 배면측 콘택트5의 위치를 결정하는 한 쌍의 결합홈12a, 12a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평면에서부터 후면(도9에 있어서 우측면)에 걸쳐서, 록 위치에 있는 록 레버3을 수용하는 레버 수용 오목부7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레버 수용 오목부7의 길이방향(도8에 있어서 좌우방향)의 폭 은 기판수용 오목부6의 길이방향의 폭과 대략 같고, 그 저면7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저면7a의 중앙에서부터 하우징2의 후방을 향해서 복수의 표면 콘택트 수용홈13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표면 콘택트 수용홈13의 전방은, 배면 콘택트 수용홈12에 대향하는 기판수용 오목부6의 내정면6a에서 기판수용 오목부6으로 통하고 있다. 즉 하우징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각 표면 콘택트 수용홈13과 배면 콘택트 수용홈12와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동일면 상에 형성된다.
표면 콘택트 수용홈13의 후방은, 하우징2의 후면을 따라 연직방향(도9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하우징2의 저면에 도달하고 있다. 표면 콘택트 수용홈13은 표면측 콘택트4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하우징2의 후면을 따라 표면 콘택트 수용홈12가 대향하는 내측면에, 표면측 콘택트4의 위치를 결정하는 한 쌍의 결합홈13a, 13a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레버 수용 오목부7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하우징2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측벽2A, 2B가 형성되고, 그 전방측에 한 쌍의 오목홈8, 8이, 후방측에 한 쌍의 위치결정 오목부9, 9가, 각각 레버 수용 오목부7에 대향하는 측벽2A, 2B의 각 내벽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8, 8은, 후술하는 록 레버3의 회전축10보다 약간 큰 폭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측벽의 2A, 2B의 평면으로부터 레버 수용 오목부7의 저면7a와 동일면이 되는 내저면까지 연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에 따라 한 쌍의 회전축10을, 하우징2를 휘어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외측으로부터 오목홈8의 내 저면까지 삽입하여 내저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위치결정 오목부9, 9는, 록 위치에 있는 후술하는 록 레버3의 위치결정 돌기11과 대응하는 부위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위치결정 돌기11이 결합함으로써 록 위치까지 회전시킨 록 레버3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10 내지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레버3은, 절연성 수지이고 가늘고 긴 판자 모양으로 형성된 조작용 레버14와, 조작용 레버14의 후단(도10에 있어서 하단) 양측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원기둥형의 회전축10, 10과, 양측면의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위치결정 돌기11, 11과, 한 쌍의 회전축10, 10 사이에서 회전축10에 의하여 회전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복수의 캠부15, 15 ··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각 캠부15는, 록 레버3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 콘택트 수용홈13의 설치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10, 10을 오목홈8, 8사이로 삽입하여서 록 레버3을 하우징2에 부착한 상태에서, 표면 콘택트 수용홈13과 길이방향이 직교하는 동일면상이 되는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부15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비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여기에서는 판자 모양의 조작용 레버14를 따라 편평한 타원 형상이 되어 있다. 회전축 주위에 캠부15가 형성됨으로써 조작용 레버14와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표면측 콘택트4의 이동부4e를 삽입시키는 삽입구멍16이 형성된다.
표면측 콘택트4는, 동합금(銅合金) 등의 도전성 금속판을 가늘고 긴 띠 모양으로 뚫은 후,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굴곡 성형되어 있다. 즉 이 표면측 콘택트4는, 도14b에 있어서, 연직방향으로 세워지는 고정부4a와, 고정부4a의 하단으로부터 우측 방향(후방)을 향해서 직각으로 구부려진 다리부4b와, 고정부4a의 상단으로부터 좌측 방향(전방) 약간 하방을 향해서 경사지는 것 같이 구부려진 연결부4c와, 연결부4c의 좌단(전단)에서 하방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된 표면 접촉부4d와, 표면 접촉부4d로부터 세워져 연속하게 형성되어 하방을 향해 ㄷ자 모양으로 구부려진 이동부4e로 구성된다.
고정부4a는 다른 부위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어서, 이 고정부4a를 표면 콘택트 수용홈13의 한 쌍의 결합홈13a 사이로 압입함으로써 표면측 콘택트4가 하우징2에 고정된다. 하우징2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리부4b는, 하우징2의 후면으로부터 하우징2의 저면을 따라서 인출(引出)되고, 이동부4e와 표면 접촉부4d는 고정부4a에 외팔보로 지지된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유상태에서 외팔보로 지지된 표면 접촉부4d는, 기판수용 오목부6의 내정면6a로부터 기판수용 오목부6 내로 돌출하고, 후술하는 배면 접촉부5d와의 간격은 플렉시블 기판50의 두께보다 좁은 간격으로 되어 있다.
배면측 콘택트5는, 동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판을 가늘고 긴 띠 모양으로 뚫고,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굴곡 성형되어 있다. 즉 이 배면측 콘택트5는, 도15b에 있어서 수평한 고정부5a와, 고정부5a의 좌단(전단)으로부터 크랭크 모양으로 좌측 방향(전방)을 향해서 연속하도록 형성된 다리부5b와, 고정부5a의 우단으로부터 우측 방향(후방)으로 크랭크 모양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연결부5c와, 연결부5c의 우단(후단)에서 상방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된 배면 접촉부5d로 구성된다.
고정부5a는 다른 부위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어서, 이 고정부5a를 배면 콘택트 수용홈12의 한 쌍의 결합홈12a 사이로 압입함으로써 배면측 콘택트5가 하우징2에 고정된다. 하우징2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리부5b는 하우징2의 전면으로부터 하우징2의 저면을 따라서 인출되고, 배면 접촉부5d는 고정부5a에 외팔보로 지지된다. 고정부5a에 외팔보로 지지된 배면 접촉부5d는 기판수용 오목부6의 내저면6b로부터 표면 접촉부4d와 대향해서 기판수용 오목부6 내로 돌출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유상태에서, 배면 접촉부5d와 기판수용 오목부6의 내정면6a와의 간격은 플렉시블 기판50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되어 있다.
이 커넥터1에 접속하는 플렉시블 기판50은, 띠 모양의 가요성 절연필름의 표리(表裏) 양면에 수지필름으로 피복된 복수의 도전선(導電線)을 병렬로 배선하고, 각 도전선의 단말(端末)이 표면측 전극50a와 배면측 전극으로서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5참조). 표면측 전극50a와 배면측 전극의 각 배선 피치는 상기 표면측 콘택트4 및 배면측 콘택트5가 하우징2에 설치된 피치와 같고,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50을 기판수용 오목부6에 삽 입하면 각 표면측 전극50a가 표면 접촉부4d에, 각 배면측 전극이 배면 접촉부5d에 각각 대향하도록 된다.
이하에서 이렇게 구성되는 커넥터1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1, 도3 및 도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의 조립은, 처음에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배면측 콘택트5의 고정부5a를 하우징2의 전방에서부터 배면 콘택트 수용홈12의 한 쌍의 결합홈12a 사이로 압입하여, 모든 배면측 콘택트5를 하우징2에 부착한다.
계속하여 록 레버3의 조작용 레버14를 상방으로 세워서, 회전축10, 10을 상방으로부터 오목홈8, 8 사이의 오목홈8, 8의 저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삽입한 상태에서, 조작용 레버14가 레버 수용 오목부7의 전단에 접촉하고 록 레버3은 약간 전방으로 기울어져 세워진 상태에서 가유지(假維持)된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레버3을 가유지한 상태에서, 각 표면측 콘택트4의 선단(先端)을 삽입구멍16에 삽입시키면서, 하방을 향해 ㄷ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이동부4e를 록 레버3의 캠부15에 걸치고, 하우징2의 상방으로부터 고정부4a를 한 쌍의 결합홈13a 사이로 압입하여, 모든 표면측 콘택트4를 하우징2에 부착한다.
고정부4a에 의하여 외팔보로 지지되는 표면 접촉부4d는 자유상태에서 기판수용 오목부6 내로 돌출 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피위치에서 단면이 세로로 긴 캠부15에 이동부4e가 접촉하는 표면측 콘택트4에는 외팔 보 지지편 전체를 도1, 도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변위시키려고 하는 조립응력(組立應力)이 발생하고, 이동부4e는 그 탄성으로 도면 중의 상방에서 캠부15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캠부15와 동축 상에 있는 회전축10, 10은, 오목홈8, 8의 개구에서 빠지는 일이 없고, 표면측 콘택트4의 설치에 의하여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레버3도 아울러 하우징2에 회전하도록 부착된다.
한편, 배면측 콘택트5의 설치는, 록 레버3과 표면측 콘택트4의 하우징2에의 설치 전후 어느 때라도 좋다.
하우징2에 부착된 표면측 콘택트4와 배면측 콘택트5의 각 다리부4b, 다리부5b는, 각각 하우징2의 저면을 따라 후방과 전방으로 나누어져서 인출되어 있어, 회로기판60의 대응 부위에 배선된 도전 패턴에 솔더링하여 접속함으로써 커넥터1을 회로기판60에 실장한다. 이렇게 플렉시블 기판50의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로 나뉘어서 회로기판60의 도전 패턴과 솔더링하여 접속하기 때문에 도전 패턴간에 충분한 절연 간격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50의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로 솔더링하여 접속되고, 게다가 플렉시블 기판50의 삽입력, 제거력이 대폭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50을 삽입하거나 빼는 것에 의하여 하우징2에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도, 솔더링 접속부에 증가하는 박리방향의 힘은 극히 얼마 안 되어, 패턴 박리 등의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커넥터1의 동작을, 도1과 도2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1은, 플렉시블 기판50을 삽입하기 전의 록 레버3이 세워지는 대피위치의 커넥터1을 나타내고 있다. 플렉시블 기판50을 기판수용 오목부6에 삽입하는 때는, 조작용 레버14를 세우는 방향으로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 시키고, 록 레버3을 대피위치에 둔다. 이 때, 회전축10과 동축 상에 있는 캠부15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세로로 길게 되고, 캠부에 접촉하는 이동부4e와 일체로 외팔보로 지지되는 표면 접촉부4d를 기판수용 오목부6으로부터 후퇴시킨다. 이 대피위치에서는, 배면 접촉부5d와 기판수용 오목부6의 내정면6a와의 간격이 플렉시블 기판50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 기판50을, 표면측 콘택트4 및 배면측 콘택트5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접촉압을 받지 않고, 제로 또는 매우 낮은 삽입력으로 기판수용 오목부6에 삽입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50을 삽입한 후, 록 레버3의 조작용 레버14를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록 레버3을 대피위치로부터 도2에 나타내는 록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록 위치에서 캠부15는 편평한 타원 형상이 되고, 표면측 콘택트4의 표면 접촉부4d는 콘택트4 스스로의 탄성으로 기판수용 오목부6 내로 돌출하고 대향하는 플렉시블 기판50의 표면측 전극50a에 탄성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표면측 콘택트4의 탄성으로 하방으로 꽉 누를 수 있는 플렉시블 기판50은 배면측 콘택트5를 하방으로 휘어지게 하여, 배면측 콘택트5의 탄성에 의하여 플렉시블 기판50의 배면측 전극과 대향하는 배면 접촉부5d 사이가 탄성적으로 접속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기판50의 각 전극은, 표면측 콘택트4와 배면측 콘택트5를 통하여 회로기판60의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여기에서 각 표면측 콘택트4의 표면 접촉부4d와 배면측 콘택트5의 배면 접촉부5d는, 플렉시블 기판50을 사이에 두고 대향 위치로 돌출 하기 때문에 일방의 콘택트4, 5가 진동 등에 의하여 플렉시블 기판5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후퇴하려고 하더라도, 대향하는 타방의 콘택트5, 4의 탄성에 의하여 플렉시블 기판50이 신속하게 일방의 콘택트와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접속이 해제되는 소위 순단현상(瞬斷現象)이 발생하지 않는다.
록 레버3을 록 위치까지 회전시킨 상태에서, 록 레버3은 레버 수용 오목부7에 수평하게 수용되어, 위치결정 돌기11이 위치결정 오목부9에 결합하고 록 위치가 위치 결정되므로, 뜻하지 않게 록 위치로부터 회전하는 일이 없이 상기의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50을 기판수용 오목부6으로부터 빼낼 때는, 위치결정 돌기11과 위치결정 오목부9와의 결합이 빠지는 정도의 조작력으로 조작용 레버14를 세우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록 레버3을 록 위치로부터 대피위치까지 회전시킨다. 대피위치에서 표면 접촉부4d는 기판수용 오목부6으로부터 후퇴하기 때문에, 자유상태의 배면 접촉부5d와 기판수용 오목부6의 내정면6a와의 간격이 플렉시블 기판50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이 되어, 플렉시블 기판50은 표면측 콘택트4와 배면측 콘택트5로부터 접촉압을 받지 않고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 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표면측 콘택트4와 배면측 콘택트5를 금속판을 뚫은 펀칭가공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것이었지만, 금속판의 평면방향, 즉 펀칭가공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콘택트이어도 좋다.
또한 배면측 콘택트5는 배면 접촉부5d를 외팔보로 지지해서 가동시키는 것이었지만, 배면 접촉부5d를 기판수용 오목부6의 내저면6a에 노출하도록 하우징2에 고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록 레버3의 캠부15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비원형이면 좋아, 타원형, 다각형 기타의 형상으로 한 것이면 가능하다. 또한 캠부15는 표면측 콘택트4에 대응시켜서 회전축 위에 개별로 형성했지만,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하는 캠부에 복수의 표면측 콘택트4의 이동부4e를 접촉시키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회전축10은 록 레버3의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것이지만, 캠부15, 15 사이의 회전축 위로 회전축10을 형성하고 하우징2측에 오목하게 형성한 안내홈에서 회전이 안내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플렉시블 기판간 서로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적합하다.

Claims (3)

  1. 플렉시블 기판(flexible 基板)을 삽입하는 기판수용 오목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하우징과,
    기판수용 오목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축(軸)으로 지지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선 상에 형성되어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인 캠부(cam部)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작용의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록 레버(rock lever)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외팔보(cantilever)로 지지되어 자체의 탄성으로 록 레버의 캠부에 접촉하는 이동부와, 캠부에 접촉하는 이동부의 변위에 연동(連動)하여 기판수용 오목부의 일면에서 기판수용 오목부 내로 진퇴(進退) 가능하도록 이동부와 일체로 고정부에 외팔보로 지지되어 이동부의 복귀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하여 기판수용 오목부 내로 돌출하는 표면 접촉부를 구비하고, 기판수용 오목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표면측 콘택트와,
    상기 기판수용 오목부의 일면과 적어도 플렉시블 기판의 두께 이상의 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수용 오목부의 일면과 대향하는 다른 면으로부터 기판수용 오목부 내로 돌출하는 배면 접촉부를 구비하고, 기판수용 오목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하우징에 부착되는 복수의 배면측 콘택트
    를 구비하고,
    록 레버가 록 위치로부터 대피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캠부에 접촉하는 각 표면측 콘택트의 이동부에 연동시켜서 표면 접촉부를 기판수용 오목부에서 대피시킴과 아울러,
    록 레버가 대피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캠부에 접촉하는 각 표면측 콘택트의 이동부의 복귀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하여 표면 접촉부를 기판수용 오목부 내로 돌출시키고, 표면측 콘택트와 배면측 콘택트의 탄성에 의하여 기판수용 오목부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기판을 협지하고, 표면 접촉부와 배면 접촉부를, 각각 대응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전극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flexible 基板 接續用 connector).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측으로 통하는 개구에서 록 레버의 회전축을 수용하고, 내면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안내하는 오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표면측 콘택트의 이동부는 자체의 탄성으로 오목홈의 개구로부터 오목홈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캠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측 콘택트의 일단(一端)의 다리부와 배면측 콘택트의 일단의 다리부는, 각각 플렉시블 기판의 삽입방향의 앞과 뒤인 하우징의 전면측과 후면측으로 나뉘어져, 회로기판의 대응 부위에 배선된 도전 패턴에 솔더링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1020050034359A 2004-12-22 2005-04-26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200600718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0555 2004-12-22
JP2004370555A JP4915759B2 (ja) 2004-12-22 2004-12-22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829A true KR20060071829A (ko) 2006-06-27

Family

ID=3673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359A KR20060071829A (ko) 2004-12-22 2005-04-26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15759B2 (ko)
KR (1) KR20060071829A (ko)
CN (1) CN100423374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455B1 (ko) * 2009-11-04 2012-01-1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양면 연성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1235237B1 (ko) * 2010-08-18 2013-02-2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WO2014021784A1 (en) * 2012-08-03 2014-02-06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Ltd Shielded flexible circuit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0361B2 (ja) 2006-02-07 2012-10-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5016635B2 (ja) 2009-06-02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46953B2 (ja) * 2011-11-01 2015-07-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70387B2 (ja) * 2015-09-18 2019-09-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0082501B (zh) * 2019-04-29 2021-05-28 中南大学 地质岩芯空间姿态复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600B2 (ja) * 1995-12-19 2000-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075707B2 (ja) * 1997-12-24 2000-08-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02110273A (ja) * 2000-10-03 2002-04-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Fpc用コネクタ
JP4607348B2 (ja) * 2001-02-07 2011-01-0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329536A (ja) * 2001-04-27 2002-11-15 Kyocera Elco Corp Fpc/ffc用コネクタ
JP2003045526A (ja) * 2001-07-27 2003-02-1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3217718A (ja) * 2002-01-18 2003-07-31 Smk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455B1 (ko) * 2009-11-04 2012-01-1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양면 연성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1235237B1 (ko) * 2010-08-18 2013-02-2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WO2014021784A1 (en) * 2012-08-03 2014-02-06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Ltd Shielded flexible circui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8781A (zh) 2006-07-26
JP2006179267A (ja) 2006-07-06
CN100423374C (zh) 2008-10-01
JP4915759B2 (ja)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5819A (en) Connector for printed board connection
US7140896B2 (en) Connector
US7452227B2 (en) Connector
KR20060071829A (ko)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 커넥터
JP3041672B2 (ja) プリント回路板用の電気コネクタ
US8840411B2 (en) Connector
US861363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KR20010098483A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US7341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US7448893B2 (en) Connector
US20060128228A1 (en) Modular jack connector
JP3232240B2 (ja) 電気コネクタ
JP3354866B2 (ja) ドッキングコネクタ
CN101447624B (zh) 接触部件、接触部件的保持构造及电连接器
JPH09266035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2050423A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20090298345A1 (en) Connector
JP2008288004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125286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1357900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4498890B2 (ja) 一対のヘッダー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ダーコネクタ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606482B1 (ko) 단자부재와 그 단자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단자부재의제조방법
JPH09283240A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