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579A - 콘크리트벽체용 고저항성 폼웍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벽체용 고저항성 폼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579A
KR20060070579A KR1020067008562A KR20067008562A KR20060070579A KR 20060070579 A KR20060070579 A KR 20060070579A KR 1020067008562 A KR1020067008562 A KR 1020067008562A KR 20067008562 A KR20067008562 A KR 20067008562A KR 20060070579 A KR20060070579 A KR 2006007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ars
walls
b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0882B1 (ko
Inventor
피에르 메시쿠아
레기스 메시쿠아
Original Assignee
폴리파이넌스 코퍼 홀딩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파이넌스 코퍼 홀딩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폴리파이넌스 코퍼 홀딩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6007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8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using wire netting, a lattice or the like as form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폼웍은, 수직 보강재(2, 2´)를 형성하는 성형 바들을 구비하며,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폼웍 벽체(Formwork wall)(1, 1´)들이 콘크리트와 같은 충전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소정 거리로 유지시키고, 또는 보관 및 운반을 위해 접혀지도록 허용해주는 적어도 한 개의 관절형 결합 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평행하는 폼웍 벽체(1, 1´)들을 포함하는 폼웍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의 결합 장치는 제 1 폼웍 벽체(1)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벽체의 보강재(2)들을 관통하는 제 1 직선형 수평바(3), 제 2 폼웍 벽체(1´)에 평행하며 상기 제 2 벽체(1´)의 보강재(2´)들을 관통하며 상기 제 1 바(3´)에 마주하게 위치하는 제 2 직선형 수평바(3´), 및 상기 2개의 수평바(3, 3´)들과 수직으로 접속하며 상기의 수평바(3, 3´)들 부근에서 관절형인 복수의 결합바(4)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폼웍, 고저항성, 프레임웍, 보강재, 결합장치

Description

콘크리트벽체용 고저항성 폼웍{HIGH-STRENGTH CONCRETE WALL FORMWORK}
본 발명은 콘크리트나 콘크리트-유사물질로 된 벽체(Wall)의 제조를 위한 폼웍(Formwork)에 관한 것이다. 본 폼웍은 수직 보강재(Vertical stiffener)들을 구비하며,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2개의 금속 폼웍 벽체로 구성된다. 이들 폼웍 벽체들은 벽체를 분리하는 결합 장치(Connection device)로 연결되고, 이로써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와 같은 물질이 충전된다.
건물 벽체 또는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견고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 내부에 부가적 수직 프레임웍(Framework)을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폼웍 시스템을 영구형 또는 통합형 폼웍으로 사용하는 것, 즉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벽체의 필수적 부품으로서 존속하는 폼웍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은 본 분야에서 상용기술이다.
EP0883719 및 WO02/38878에서는 폼웍 외부 벽체와 지지 벽체를 포함하는 폼웍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들 벽체는 폼웍 벽체라 지칭되며 일반적으로 U자 형태의 섹션바들로 되어 있는 수직 보강재들을 포함한다. 이들 폼웍 벽체들은 보강재의 레벨에서 관절을 형성한(Articulated) 약간 지그재그형의 구부러진 바로 되어 있는 결합 장치로 연결된다. 폼웍 벽체들 사이에서 이들 장치들은 콘크리트가 주입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유지한다.
WO03/010397은 상기 문서들에 기재된 폼웍에 프레임웍 부재(Element)들을, 각 벽체 상에서 상호 마주보며 위치한 2개의 보강재의 U자 형태 섹션들의 측면들 사이에 삽입시킨 폼웍을 개시하였다. 각 프레임웍 부재는 보강재 섹션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조정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바와 적어도 2개의 수평 바를 포함한다. 이 프레임웍 부재는, 마치 유도 레일처럼 기능하는 보강재들 안으로 슬라이딩 되어 폼웍 벽체가 개방된 후 추가된다. 보강재의 U자 형태는 프레임웍 부재의 유지와 안정성을 강화하고 프레임웍 부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폼웍 벽체, 결합 장치 및 보강재와 같은 폼웍의 부재들은 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후, 적절한 파스너(Fasteners)로 조립하여 폼웍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폼웍은 보강재 상의 결합 부재들의 관절형(Articulations) 덕분에 공장에서 접혀진 형태로 출하되고, 벽체를 조립하기 위하여 설치시에 건축 현장에서 개방되어 벽체를 조립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폼웍들은 특히 고강도 지진 충격으로 인한 고응력에 대하여 뛰어난 저항력을 가진다. 그러나 통상 사용되는 직선형 프레임웍과는 달리, 벽체들 사이의 지그재그형 결합부재는, 이들이 벽체 저항성에 얼마나 기여할지 토 목 기사들이 정밀하게 정량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합형 폼웍의 설치시 강도를 향상시키고, 수평 프레임웍의 기여 정도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토목 기사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함이다.
본 목적은 수직 보강재를 형성하는 성형 바들을 구비하며,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콘크리트와 같은 충전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소정 거리로 유지시키고, 또는 보관 및 운반을 위해 접혀지도록 허용해주는 적어도 한 개의 관절형 결합 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평행하는 폼웍 벽체들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폼웍으로서, 상기 결합 장치는, 제 1 폼웍 벽체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벽체의 보강재들을 관통하는 제 1 직선형 수평바, 제 2 폼웍 벽체에 평행하며 상기 제 2 벽체의 보강재들을 관통하며 상기 제 1 바에 마주하게 위치하는 제 2 직선형 수평바, 및 2개의 수평바들과 수직으로 접속하며 상기의 수평바들 부근에서(Around) 관절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결합바들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2개의 평행 폼웍 벽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폼웍에 의해서 달성된다.
전체 폼웍은 90도 각도를 기초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수직과 수평의 개념은 상대적이다. 따라서 원래 수직 부재는 수평이 되고 반대도 성립한다. 실제로 벽체 시공시에 폼웍은 다소 수평인 표면(땅이나 판재 바닥) 상에서 보강재들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는 식으로 조립된다. 바람직한 실시례에 의하면, 보강재는 그 틈이 폼웍을 향하는 U자형 섹션바들로 되어있다. 이들 보강재는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폼웍 벽체들 상에 고정되고, 직선형 수평바의 자유로운 통과를 보장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측면 구멍들이 뚫려있다. 결합바들은 바람직하게는 보강재들에 의해 형성된 U자형의 측면들 사이에 배치하여, 수평바들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보강재와 동일한 일정 간격을 유지시킨다.
또한 수평바들은 폼웍 벽체들의 높이 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결합바들이 폼웍의 길이 방향뿐 아니라 높이 방향으로도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배치는 콘크리트 주입시 폼웍 벽체들 사이의 균등한 공간을 보장한다. 상기 수평바들 주변에 형성된 상기 결합 바들의 관절은 폼웍 벽체들을 보관하거나 공장에서 건축 현장으로 운반시 상호 접혀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결합 장치의 주된 장점은 종래 기술의 지그재그형 장치에 비하여 섹션바들을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실제로, 폼웍 벽체에 평행한 상기의 수평바들이 직선형인 경우, 지그재그형 바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 장치와 달리, 제조와 관련되어 중대한 결점이 없이 그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 많은 바의 섹션이 사용될수록, 바를 접고 세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이 더 많아져서 결과적으로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결합 장치 바들을 접는 조작을 줄임으로써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적절한 직경으로 미리 상기 보강재들에 낸 구멍들을 통하여 슬라이딩 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결합 장치의 바들은 그 세팅이 더욱 용이하다. 또한 결합바의 섹션은 상기 수평바의 섹션에 비례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더욱 큰 섹션을 갖는 바들을 사용할 수 있어, 결합 장치가 더욱 견고해지고, 따라서 현장에서의 폼웍 세팅이 더욱 용이해지며, 최적의 정렬(Alignment)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코팅층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코팅층은, 폼웍 내로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폼웍 벽체의 외부 표면상에 적용되는 모르타르 코팅으로 구성된다.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폼웍 벽체를 보다 평탄하게 하여 표면 상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코팅 적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변형에 대한 보정이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폼웍 구조물의 또 다른 장점은, 2개의 폼웍 벽체와, 결합바들이 이격된 간격 내로 부유형(Floating) 프레임웍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프레임웍은 크로스바들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수직바들로 구성되며, 상기 벽체가 부설될 위치에 그것이 세팅될 때,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전에 폼웍의 상부에서 상기 간격 내로 슬라이딩시킨다. 또는 상기 프레임웍은, 상기 폼웍의 콘크리트 충전시 상기 폼웍의 상부에 후킹(Hooking)시켜 그 위치를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더욱이, 충전 테스트는 본 발명의 폼웍이 콘크리트가 분리되는 위험을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콘크리트의 흐름은 장애물의 존재에 의해 느려질 수 있는데, 이 장애물은 필터처럼 작용하며, 콘크리트의 분리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그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폼웍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폼웍의 상면도이다.
도 2a는 도 2의 폼웍이 접혀졌을 때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3은 보강재들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폼웍의 상면도이다.
도 3a는 도 3의 폼웍이 접혀졌을 때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4는 폼웍 간격 안에 삽입된 수 개의 프레임웍 구현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프레임웍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 4의 폼웍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절연(Insulating) 벽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폼웍의 상면도이다.
도 7a는 폼웍 벽체의 보강재가 다른 벽체의 보강재를 마주보며, 결합바가 수평바들의 둘레를 감는 말단을 갖는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상기 보강재들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도 7a의 구현예 결합바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2개의 폼웍 판넬들 사이에 U자형 바들을 갖는 수직바를 사용하는 제 1 결합예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8b는 상기 폼웍 벽체들 사이의 섹션을 따라 나타낸 도 8a의 결합예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2개의 폼웍 판넬들 사이에 고리형 유연성 바 및 2개의 수직 프레임웍 바를 사용하는 제 2 결합예의 상면도이다.
도 9b는 상기 폼웍 벽체들 사이의 섹션을 따라 나타낸 도 9a의 결합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2개의 폼웍 판넬들 사이에 유연성 U자형 접힘 바 및 수직 프레임웍 바를 사용하는 제 3 결합예의 상면도이다.
도 1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한 2개의 평행 폼웍 벽체(1, 1´)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폼웍 부분을 나타낸다. 각 벽체(1, 1´)는 그 틈이 폼웍을 향한 U자형 수직바들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바는 벽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강재(2, 2´)라 지칭되는 이들 바는, 비교적 유연한(Flexible) 격자형 금속 판넬들로 제조되며, 폼웍 벽체들(1, 1´)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상기 보강재(2, 2´)들은 용접, 돌기 상에의 후킹, 또는 금속 와이어 수단으로 묶어 폼웍 벽체(1, 1´)들의 메쉬에 고정된다.
폼웍 벽체(1, 1´)들은 높이 방향으로 다소간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수평 리 브(Rib)들을 포함한다. 이들 리브는, 콘크리트 투하로 인한 변형을 피하도록 상기 벽체(1, 1´)들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특히 수직 보강재(2, 2´)들의 간격이 클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폼웍 벽체(1, 1´)들의 메쉬는 충전재 콘크리트의 가장 고운 입자들이 통과하기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다. 폼웍으로부터 나오는 이 고운 콘크리트는, 모르타르 코팅(외부) 또는 플라스터(건물의 내부) 적용을 용이하게 하므로, 상기 벽체의 최종 코팅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폼웍 벽체(1, 1´)들은 벽체 전체 길이 상에 배치된 결합 장치들로 인하여 소정의 거리로 평행하게 유지된다. 각 장치는, 상호 마주보게 위치하는 한 쌍의 평행한 직선형 수평바(3, 3´)와 상기 수평바를 연결하는 상기 벽체(1, 1´)들의 이격 거리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결합 수직바(4)들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바(3, 3´)들은, 상기 폼웍 벽체(1, 1´)들이 상기 보강재(2, 2´)들에 의해 유지되는 폼웍 벽체(1, 1´)들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보강재들은, 상기 U자형 섹션의 측면에 수평바(3, 3´)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멍이 뚫려있다. 이 구멍들은, 상기 수평바가 상기 폼웍 벽체(1, 1´)의 각 보강재(2, 2´)를 통과할 때 자유롭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각 측면 상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근접한 보강재의 측면의 구멍을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결합바(4)들은 그 말단이 천공되어, 수평바(3, 3´)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 결합바들 체결(4)로 인해 수평바(3, 3´) 주변에서 관절로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폼웍 벽체(1, 1´)들이 보관이나 운반시 상호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이 결합바(4)들은, 상기 폼웍의 세팅시 또는 콘크리트의 주입시에 상기 보강재들이 상기 수평바(3, 3´)들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재(2, 2´)들에 의해 형성된 U자 형의 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도 1의 상기 폼웍의 상면도인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마주보는 상기 폼웍 벽체(1, 1´)의 상기 보강재(2, 2´)는 상호 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 결합바(4)들은 2개의 상호 마주보는 보강재(2, 2´)들의 U자 형의 측면들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 측면 사이에 있는 수평바 부분(3, 3´)과 관절을 형성한다.
도 3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폼웍 벽체(1, 1´)의 보강재(2, 2´)들은 마주보는 벽체의 보강재에 대하여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본 배열에서는, 결합바(4)의 한 말단만이 보강재(2, 2´)의 U자 형의 측면 사이에서 관절을 형성하고, 또한 다른 한 말단은 2개의 보강재(4)들 사이에 위치한 반대편 수평바(3, 3´)의 부분에서 관절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폼웍이 접혀질 때 L1으로 폭을 저감시킨다. 실제로 상기 폼웍이 접혀질 때, 제 1 대안에서와 같이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포개어 지는 대신(도 2a 참고)에, 2개의 마주보는 보강재(2, 2´)들은 수평바(3, 3´)들 상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도 3a). 접혀진 폼웍의 폭의 차(L1-L2)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재(2, 2´) 측면 가장자리의 수 평바(3, 3´)이격 거리 D와 동일하다. 이 거리 D는, 상기 보강재(2, 2´)의 크기, 수평바(3, 3´) 섹션 및 보강재(2, 2´)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바들이 통과하는 구멍의 위치에 의존한다. 이 폭이 증가할 수록 폼웍의 부피가 감소되므로, 다량의 적재 폼웍들을 보다 유리하게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다.
도 4는, 결합바(4)들 및 상기 폼웍 벽체(1, 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 상기 폼웍의 상부 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금속 프레임웍(5)들의 몇가지의 가능예(a, b, c, d)들을 나타낸다. 이 프레임웍(5)들은 건축 현장에서 건조될 벽체 위치에 폼웍을 개방하고, 폼웍 벽체(1, 1´)들 사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이전에 설치된다. 그것들은 콘크리트 속에 완전히 매몰되어 벽체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폼웍의 상부에서 하부까지의 연속적 공간은, 폼웍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는 서로 다른 프레임웍 형태(5)들이 용이하게 도입되도록 한다. 프레임웍 형태는 도 4에 도시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크기가 폼웍 벽체(1, 1´)간 공간에 적합한 길이를 가지는 한, 다양한 수직바(7) 및/또는 수평바(6)들을 상이한 수조합으로 포함하는 다른 프레임 형태가 또한 사용 가능하다.
도 4의 프레임웍(5)의 한 구체예(a)는 복수의 수평바(6)들로 연결된 2개의 수직바(7)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유형 프레임웍(5)은 폼웍 벽체(1,1´) 간 공간 의 중앙 지점 내에 배치된다. 이 프레임웍은 콘크리트 주입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후킹 장치로 일시적으로 고정시킨다. 수평바(6)들로 연결된 4개의 수직바(7)들을 포함하는 구체예(b)는 보다 높은 안정성을 제공한다.
상기의 대안들에 비하여, 구체예(c) 및 (d)는 임시 후킹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의 주입 시 그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후크(8) 형태의 조임 장치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후킹은 폼워크의 상부 및 접근가능한 부분 또는 최종 결합 장치의 결합바(4)(구체예c), 또는 수평바(3, 3´)(구체예d)에서 실시된다. 상기 후크(8)들은 파스너 또는 와이어 매듭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폼웍의 A-A 축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며, 가장 높은 수평바(3, 3´)들에 후킹되어 전체 폼웍 높이까지 연속된 상기 프레임웍(5)의 일 구체예(d)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폼웍 벽체(1, 1´)들의 하나 및 대응하는 보강재(2, 2´)들 사이에, 예를 들면 발포 폴리스티렌과 같은 절연 판넬(9)을 포함하는 또 다른 폼웍을 도시한 것이다. 본 형태의 폼웍을 사용함으로써, 벽체가 완성되었을 때, 절연 판넬은 추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것은 건축 비용의 절감에 기여한다.
상기 폼웍 벽체(1, 1´)의 전체 표면 상에 확장되어 있는 이 절연 판넬(9) 은, 판넬(9)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재(2, 2´)들을 상기 폼웍 벽체(1, 1´)에 유지시키는 나사들 또는 파스너들의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보강재(2, 2´)의 뒤에 고정된다. 이렇게 절연 판넬(9)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폼웍 벽체(1, 1´)는 절연 판넬(9)과 제 2 폼웍 벽체(1, 1´)의 사이의 공간이 채워진 후 고운 콘크리트로 코팅된다. 프레임웍(5)들은,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절연 판넬이 없는 폼웍에서와 같이, 결합바(4)들 사이의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a는 예를 들면, 말단(12, 12´)이 수평바(3, 3´)들의 둘레를 감을 수 있는 방식으로 구부러진, 강철바로 만들어진 결합바(4)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는 수평바들이 통과하도록 각 말단에 구멍이 나있으며, 수평바의 주변에 관절을 구성하는 상기 바(4)들의 예로서, 이 실행은 앞에서 기술되고 도 1 내지 6에서 나타낸 폼웍들의 예들에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수평바들을 따라 결합바(4)가 움직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말단(12, 12´) 중 적어도 하나는, 폼웍 벽체(1, 1´)들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상기 보강재(4, 4´)들에 의해 형성되는 U자 형의 측면들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 부분(3, 3´)의 둘레에 감겨 있다. 폼웍 영역을 위한 프레임웍들 내에서, 강철바들의 만곡 또는 벤딩은 천공보다 바람직하다. 실제로, 말단들이 도 7a 및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된 말단을 가진 바는 유사한 천공 바에 비하여, 더 높고 그 섹션에 직접 비례하는 저항성을 가질 것이다.
도 7b에 나타낸 바람직한 배열은, 각 말단(12, 12´)을 가진 결합바(4)들이 상응하는 보강재 섹션(2, 2´) 내에서 수평바(3, 3´)들에 대해 수직 배치되게 하는 방식으로, 폼웍 벽체(1, 1´)의 상기 보강재(2, 2´)들이 마주하는 벽체의 보강재에 대해 상호 엇갈리게 위치한다는 사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의 장점은, 도 3 및 3a에 나타낸 구체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혀졌을 때 폼웍의 폭이 축소되며, 또한 건축 현장에서 개방되었을 때 폼웍의 양호한 안정성을 보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콘크리트 벽체는 일반적으로 몇개의 폼웍 판넬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폼웍으로 부설된다. 도 8a(폼웍 상면도) 및 도 8b(A-A축에 따른 폼웍 벽체들 사이의 섹션)는 2개의 폼웍 판넬 a와 b 사이의 제 1 결합예를 나타낸다. 두 인접하는 판넬들(a, b) 사이의 수평바(3, 3´)의 연속성은, 현장에서 판넬(a, b)의 연결부(Junction)에 하나의 수직바(14) 및 이에 용접된 역 U형태의 바(13)로 된 세트를 상기 판넬(a, b)의 수평바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시켜 세팅함으로써 확보된다. 이 세트(13, 14)는 상기 판넬들(a, b)의 연결부의 레벨에서 상부로부터 삽입된 후 자체적으로 90도 회전되어, 각 판넬(a, b)의 연결부에서 단단히 상호 부착되도록 유지되면서, U자형 바(13)가 최종 결합바(4)들에 의해 지지된다.
도 9a(폼웍의 상면도) 및 9b(폼웍 벽체들의 B-B축에 따른 단면도)는 인접 판넬(a, b)들을 연결하는 제 2 결합예를 나타낸다. 이는 수평바(3, 3´) 레벨에서 폼웍 벽체들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판넬들(a, b)의 연결부에서 가장 나중의 결합 바(4)들 상에 세팅되는 고리형의 유연한 강철바(15)들을 사용한다. 이 고리형 바(15)들을 적소에 유지하도록, 수직 프레임웍바(16, 16´)를 연결부에 이웃하는 결합바(4) 및 두 판넬들(a, b) 상의 바(15)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고리의 만곡부(15´)의 사이의 공간 내로 상부로부터 삽입한다. 이 프레임웍바(16, 16´)들은,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폼웍 판넬(a, b)의 연결부 부근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위치하는 각 결합바(4)의 레벨에서 상기 고리(15)의 만곡부(15´)를 통과한다.
상기 고리형 바(15)들은 건축 현장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1 폼웍 판넬(a)을 개방한 후에 상기 결합바(4)들의 레벨에서 하나의 수직면들 상에 폼웍 벽체(1, 1´)들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판넬(a)에서 돌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어서, 제 2 판넬(b)을 개방하고, 상기 결합바(4)들의 레벨에서 제 2 판넬의 상기 폼웍 벽체(1, 1´)들의 사이에 제 1 판넬(a)로부터 돌출하는 고리형 바(15)들의 부분들을 삽입하여 제 1 판넬에 연장하여 세팅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웍바(16, 16´)들을 상기 판넬(a, b)들의 상부로부터 세팅하여 상기 2개의 판넬(a, b)들의 결합 작업을 종결한다.
도 10은 유연성 강철의 U자형 접힘바(17)들로 2개의 폼웍 판넬들 a 및 b가 연결되는 제 3의 결합예를 나타낸다. U자형 접힘바의 만곡부(17´)는 상기 결합바(4) 레벨에서 제 1 판넬(a)의 2개의 폼웍 벽체(1, 1´)들의 사이를 관통하며, U 자형 접힘바의 스틱(17″)들은 제 2 판넬(b)의 폼웍 벽체(1, 1´)들의 사이를 관통한다.
이 U자형 바(17)들은 바람직하게는, 공장에서 보관과 운반을 위하여 판넬을 접을 때 유지될 수 있도록, 판넬들의 수직면 상의 폼웍 벽체들(1, 1´) 사이에 삽입되며, 예를 들면 와이어 등의 수단(18)으로 결합바(4)들에 단단히 고정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보강재(18)들은 상기 판넬의 최종 결합바(4)들의 위에서가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연결부 안정성을 위하여 최종의 결합바에 이웃하는 내부 결합바들 상에 수행된다.
건축 현장에서, 제 1 판넬(a)은 개방되며, U자형 바(17)들은 결합바(4)들에 의해 지지되고, U자형 바의 스틱(17″)들은 판넬(a)의 수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식으로 방출된다. 제 2 판넬(b)는, 제 1 판넬(a)로부터 튀어나온 U자형 바의 스틱(17″)들이 이 제 2 판넬(b)의 폼웍 벽체(1, 1´)들 사이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제 2의 연장으로 배치된다. 이 스틱(17″)들은 제 2 판넬(b)의 수직면에 인접하는 최종 결합바(4)들 상에 위치한다. 이전의 구체예에서와 같이, 제 1 판넬(a)의 상부로부터 수직 프레임웍바(16)는 유연성 바(17)들의 U자형 만곡부(17´) 및 결합바(4)들 사이의 공간 내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결합 장치의 주된 장점은 종래 기술의 지그재그형 장치 에 비하여 섹션바들을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실제로, 폼웍 벽체에 평행한 상기의 수평바들이 직선형인 경우, 지그재그형 바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 장치와 달리, 제조와 관련되어 중대한 결점이 없이 그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 많은 바의 섹션이 사용될수록, 바를 접고 세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이 더 많아져서 결과적으로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결합 장치 바들을 접는 조작을 줄임으로써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5)

  1. 수직 보강재(2, 2´)를 형성하는 성형 바들을 구비하며,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콘크리트와 같은 충전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폼웍 벽체(Formwork wall)(1, 1´)들을 소정 거리로 유지시키고 또는 보관 및 운반을 위해 접혀지도록 허용해주는 적어도 한 개의 관절형 결합 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평행하는 폼웍 벽체(1, 1´)들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폼웍으로서:
    상기 결합 장치는,
    제 1 폼웍 벽체(1)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벽체의 보강재(2)들을 관통하는 제 1 직선형 수평바(3), 제 2 폼웍 벽체(1´)에 평행하고 상기 제 2 벽체(1´)의 보강재(2´)들을 관통하며 상기 제 1 바(3)에 마주하게 위치하는 제 2 직선형 수평바(3´), 및 상기 2개의 수평바(3, 3´)들과 수직으로 접속하며 상기의 수평바(3, 3´) 부근에서 관절형인 복수의 결합바(4)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폼웍.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호 마주보는 상기 폼웍 벽체(1, 1´)들의 상기 보강재(2, 2´)들은
    일반적으로 U자 형태이며 상호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바(4)들은, 상호 마주하는 2개의 보강재(2, 2´)들의 U자형 섹션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이 면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 부분(3, 3´) 부근에서 관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웍.
  3. 제 1 항에 있어서,
    폼웍 벽체(1, 1´)들의 상기 보강재(2, 2´)들은,
    앞면 벽체의 보강재들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으며, 결합바(4)의 일 말단이 보강재(2, 2´)의 U자 형태 섹션의 측면 사이에서 관절형이고, 다른 일 말단이 2개의 보강재(4) 사이에 위치하는 마주보는 수평바(3, 3´)의 일 부분 부근에서 관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웍 벽체(1, 1´)의 상기 보강재(2, 2´)들은,
    폼웍 벽체(1, 1´)들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3, 3´)들은,
    상기 폼웍 벽체(1, 1´)들의 높이 방향으로 대략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 2´)들은,
    U자형 섹션의 각 측면에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들은 각 측면 상의 다른 구멍 및 인접 보강재 측면의 구멍과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구멍들은 수평바가 상기 폼웍 벽체의 각 보강재를 통과할 때 자유롭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4)들은,
    각 말단에 구멍을 가지며, 상기 수평바(3, 3´) 부근에서 관절 형태를 취함으로써 상기 수평바(3, 3´)가 자유롭게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4)들은,
    상기 수평바(3, 3´)들의 둘레를 감는 만곡 말단(12, 12´)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4)들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은,
    상기 폼웍 벽체(1, 1´)들 중 하나의 상기 보강재(4, 4´)에 의해 형성된 U형태의 측면 사이에 있는 수평바 부분(3, 3´)의 둘레를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4)는,
    상기 폼웍 벽체(1, 1´)들의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 2´)의 크기, 수평바 섹션(3, 3´)의 크기 및/또는 결합바 섹션(4)의 크기는,
    상기 폼웍으로 부설되는 벽체가 충족해야 하는 응력 저항 요구조건에 따라 적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4)들과 상기 폼웍 벽체(1, 1´)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며, 폼웍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수직바(7)들 및 2개의 수직바(7)들과 접속하는 복수의 수평바(6)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웍(5)은,
    부유형이며, 상기 폼웍 벽체(1, 1´)들과 상기 결합바(4)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중앙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웍(5)은,
    수평바(3, 3´) 상, 또는 폼웍의 상부 부분의 최종 결합 장치의 결합바(4) 상에서, 후크(8) 또는 파스너와 같은 조임 장치에 의하여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 2´)들 및 상기 폼웍 벽체(1, 1´)들의 하나 사이에 위치하고, 표면 전체에 확장하여 위치하는 절연 판넬(9)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판넬(9)은, 상기 판넬(9)을 통과하며, 상기 보강재(2, 2´)를 상기 폼웍 벽체(1, 1´)에 유지하는 나사 또는 파스너(10)의 조임 장치로 상기 보강재(2, 2´)들의 뒷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웍.
KR1020067008562A 2003-11-03 2003-11-26 콘크리트벽체용 고저항성 폼웍 KR100730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0031875/03 2003-11-03
CH18752003 2003-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579A true KR20060070579A (ko) 2006-06-23
KR100730882B1 KR100730882B1 (ko) 2007-06-20

Family

ID=3452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562A KR100730882B1 (ko) 2003-11-03 2003-11-26 콘크리트벽체용 고저항성 폼웍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7516589B2 (ko)
EP (1) EP1644592B1 (ko)
KR (1) KR100730882B1 (ko)
CN (1) CN100572711C (ko)
AP (1) AP2192A (ko)
AR (1) AR047234A1 (ko)
AT (1) ATE383475T1 (ko)
AU (1) AU2003283655B2 (ko)
BR (1) BR0318566A (ko)
CA (1) CA2544521C (ko)
CY (1) CY1107356T1 (ko)
DE (1) DE60318634T2 (ko)
DK (1) DK1644592T3 (ko)
EA (1) EA009235B1 (ko)
EG (1) EG24410A (ko)
ES (1) ES2299737T3 (ko)
IL (1) IL175208A (ko)
MA (1) MA28148A1 (ko)
MY (1) MY140687A (ko)
OA (1) OA13320A (ko)
PL (1) PL208862B1 (ko)
PT (1) PT1644592E (ko)
SI (1) SI1644592T1 (ko)
TN (1) TNSN06125A1 (ko)
UA (1) UA82128C2 (ko)
WO (1) WO2005042864A1 (ko)
ZA (1) ZA2006035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3319A1 (en) * 2001-03-20 2003-12-18 David Lawrence Electronic fund transfer participant risk management clearing
US20080168734A1 (en) * 2006-09-20 2008-07-17 Ronald Jean Degen Load bearing wall formwork system and method
US20080155924A1 (en) 2006-10-23 2008-07-03 Ronald Jean Degen Flooring System
KR100849711B1 (ko) * 2007-06-27 2008-08-0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
CN101970770B (zh) 2007-11-09 2012-10-03 Cfs混凝土模板系统公司 用于模板系统的枢转活动连接器部件以及使用该枢转活动连接器部件的方法
EP2344703B1 (en) * 2008-10-10 2019-10-30 Daniel Philip Sharpe Stud frame
US8943774B2 (en) 2009-04-27 2015-02-03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toring, repairing, reinforcing and/or protecting structures using concrete
EP2206847A1 (fr) 2009-01-07 2010-07-14 Polyfinance Coffor Holding S.A. Panneau pour coffrage avec sertissage sécurisé
NO333023B1 (no) * 2010-03-03 2013-02-18 Reforcetech Ltd Armeringssystem og fremgangsmate for bygging av betongkonstruksjoner.
EP2591186B1 (en) 2010-07-06 2019-05-01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Push on system for repairing structures
FR2974586B1 (fr) * 2011-04-26 2016-10-28 Lafarge Sa Coffrage perdu pour mur en beton
FR2976005B1 (fr) * 2011-06-06 2016-02-19 Vicat Coffrage perdu pour mur en beton, notamment de batiment
US8720160B1 (en) * 2011-09-14 2014-05-13 Alan Brian Cooper Process for forming concrete walls and other vertically positioned shapes
US20150211230A1 (en) * 2011-12-20 2015-07-30 Margarita Jimenez Horwitz Module for building facades and method of use in construction
EP2800852B1 (en) 2012-01-05 2017-01-04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Panel-to-panel connections for stay-in-place liners used to repair structures
CA2988025C (en) 2012-01-05 2018-08-14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Systems for restoring, repairing, reinforcing, protecting, insulating and/or cladding structures with locatable stand-off components
US10151119B2 (en) 2012-01-05 2018-12-11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Tool for making panel-to-panel connections for stay-in-place liners used to repair structur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8752349B2 (en) * 2012-06-19 2014-06-17 Jesse Westaby Form system with lath covering
DE102013107363A1 (de) 2013-07-11 2015-01-15 Martin Reuter Verfahren zum Aufbau eines Raumes und Raumbauteil
WO2015081445A1 (en) 2013-12-06 2015-06-11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Structure cladding trim components and methods for fabrication and use of same
BE1022177B1 (nl) * 2014-02-06 2016-02-24 Etib Nv Verloren bekisting
WO2015149187A1 (en) 2014-04-04 2015-10-08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Liquid and gas-impermeable connections for panels of stay- in-place form-work systems
WO2017113016A1 (en) 2015-12-31 2017-07-06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Structure-lin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width and tool for same
CN105780969A (zh) * 2016-03-31 2016-07-20 初明进 一字形钢构件
CN106088412A (zh) * 2016-06-02 2016-11-09 初明进 L型钢构件
CN105971165A (zh) * 2016-06-02 2016-09-28 初明进 L型钢构件
EP3263794A1 (fr) 2016-07-01 2018-01-03 Coffor Holding S.A. Panneau pour coffrage
RU170169U1 (ru) * 2016-10-11 2017-04-18 Владимир Андреевич Бахмисов Бетонная панель с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м армированием
WO2018107230A1 (en) * 2016-12-14 2018-06-21 Lifting Point Pre-Form Pty Limited Support module for a structure
US9903111B1 (en) * 2017-02-14 2018-02-27 Orial Nir Construction assembly and method for laying blocks
RU182756U1 (ru) * 2017-02-28 2018-08-30 Владимир Андреевич Бахмисов Бетонная панель с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м армированием
WO2018184103A1 (en) 2017-04-03 2018-10-11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Longspan stay-in-place liners
AU2018386751A1 (en) 2017-12-22 2020-08-06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Snap-together standoffs for restoring, repairing, reinforcing, protecting, insulating and/or cladding structures
CA3056094A1 (en) 2018-09-21 2020-03-21 Cooper E. Stewart Insulating concrete form apparatus
CN109577524B (zh) * 2019-01-02 2024-02-13 常州市米尼特机械有限公司 一种现浇泡沫混凝土墙体
CA3128405A1 (en) 2019-02-08 2020-08-13 Cfs Concrete Forming Systems Inc. Retainers for restoring, repairing, reinforcing, protecting, insulating and/or cladding structures
EP4001530B1 (de) * 2020-11-24 2023-05-24 Pakon AG Wand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991A (en) * 1912-06-05 1914-07-07 Joseph H Mckennee Concrete construction.
US1111131A (en) * 1913-04-23 1914-09-22 Walter C Broughton Knockdown concrete building.
US1836398A (en) * 1927-05-04 1931-12-15 Anthony Paul Miller Building construction
US2042438A (en) * 1934-05-23 1936-05-26 Wells Don William Building construction
US2298989A (en) * 1940-05-20 1942-10-13 Ernest J Underwood Building construction
US2470917A (en) * 1946-04-26 1949-05-24 Christensen Aage Building wall of plastic filled sectional blocks
US2969619A (en) * 1958-09-15 1961-01-31 Didrick Edward John Reinforced hollow concrete building panel
US3204382A (en) * 1963-01-10 1965-09-07 Inland Steel Products Company Fabricated channel metal lath panel assembly
US3474576A (en) * 1965-06-25 1969-10-28 Carborundum Co Process of conditioning metal
US3474579A (en) * 1967-11-30 1969-10-28 Gen Electric Reelable structure
US3971180A (en) * 1974-10-25 1976-07-27 Frederick Charles V Wall structure
US4454702A (en) * 1981-03-24 1984-06-19 Bonilla Lugo Juan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DE3485525D1 (de) * 1984-11-08 1992-04-02 Sismo Int Vorgefertigte baueinheiten und gebrauch im hochbau.
NL8501343A (nl) * 1985-05-10 1986-12-01 Reko Bv Betonbekisting en hiermede verkregen betonconstructies.
US4970841A (en) * 1985-06-10 1990-11-20 Nomadic Structures, Inc. Universal building system
FR2608196A1 (fr) * 1986-12-16 1988-06-17 Louise Gerard Coffrages perdus en elements metalliques pliables
US5140794A (en) * 1988-03-14 1992-08-25 Foam Form Systems, Inc. Forming system for hardening material
CA2032640C (en) * 1990-12-19 1994-07-26 Claude Chagnon Prefabricated formwork
AT396274B (de) * 1991-04-23 1993-07-26 Avi Alpenlaendische Vered Bewehrungskoerper fuer eine deckenplatte
CA2104175C (en) * 1992-09-29 2003-11-04 Geoffrey W. Blaney Building block;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using same
US5459970A (en) * 1993-11-05 1995-10-24 Kim; Chin T.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5487248A (en) * 1993-11-22 1996-01-30 Artzer; Richard F. Structural panel
US5528876A (en) * 1994-05-09 1996-06-25 Lu; Sin-Yuan Wall structure for buildings
US5535565A (en) * 1994-09-28 1996-07-16 Majnaric Technologies, Inc. Containment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FR2745315B1 (fr) 1996-02-26 1998-05-15 Dauron Francoise Procede de realisation d'un mur en beton coule entre deux parois collaborantes et moyens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IT1297654B1 (it) * 1997-09-02 1999-12-20 Salvatore Trovato Sistema per la costruzione di muri portanti e non, a spessore variabile,isolati e con paramenti finiti, mediante l'assemblaggio a
US6609340B2 (en) * 1998-01-16 2003-08-26 Eco-Block, Llc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ing extenders
US6170220B1 (en) * 1998-01-16 2001-01-09 James Daniel Moore, Jr. Insulated concrete form
US6481178B2 (en) * 1998-01-16 2002-11-19 Eco-Block, Llc Tilt-up wall
JP3090909B2 (ja) * 1998-10-19 2000-09-25 株式会社クギン 型枠形成ユニットおよび型枠形成方法
US6314697B1 (en) * 1998-10-26 2001-11-13 James D. Moore, Jr. Concrete form system connector link and method
US6336301B1 (en) * 1998-11-05 2002-01-08 James D. Moore, Jr. Concrete form system ledge assembly and method
US6314694B1 (en) * 1998-12-17 2001-11-13 Arxx Building Products Inc. One-sided insulated formwork
US6167671B1 (en) * 1998-12-21 2001-01-02 Steven D. Wilson Prefabricated concrete wall form system
US6070380A (en) * 1999-01-28 2000-06-06 Meilleur; Serge Concrete wall formwork module
US6226942B1 (en) * 1999-02-09 2001-05-08 Pete J. Bonin Building construction panels and method thereof
WO2000066848A1 (en) * 1999-04-30 2000-11-09 The Dow Chemical Company Extruded polystyrene foam insulation laminates for pour-in-place concrete walls
US6231498B1 (en) * 1999-06-23 2001-05-15 Pulsion Medical Systems Ag Combined catheter system for IABP and determination of thermodilution cardiac output
FR2800112B1 (fr) * 1999-10-22 2002-05-24 Philippe Durand Armature pour paroi en beton
US6665992B2 (en) * 2000-05-03 2003-12-23 Anthony Alexander Hew Concrete construction block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DE20016264U1 (de) * 2000-09-20 2000-12-14 Bruehl Guenther Zug- und Lageranker
EP1207240A1 (fr) * 2000-11-13 2002-05-22 Pumila-Consultadoria e Servicios Ltda. Mur en beton avec coffrage servant aussi d'armature
KR20030000981A (ko) * 2001-06-27 2003-01-06 한국수자원공사 초음파 하천 유속계
WO2003010397A1 (fr) 2001-07-24 2003-02-06 Coffor Internacional Exploração De Patentes Lda Mur en beton arme realise par coffrage perdu
DE20116264U1 (de) * 2001-10-04 2002-01-31 Gruendler Hermes Hans Sicherungskörper für ein Gurtschloss
US6705583B2 (en) * 2001-10-05 2004-03-16 Robert Daniels Apparatus for building foundation stem wall forms
US7337591B2 (en) * 2001-11-28 2008-03-04 Inteplast Group, Ltd.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6625947B1 (en) * 2001-11-30 2003-09-30 Ferrall Burgett Insulated concrete wall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898908B2 (en) * 2002-03-06 2005-05-31 Oldcastle Precast, Inc. Insulative concrete building panel with carbon fiber and steel reinforcement
US6701683B2 (en) * 2002-03-06 2004-03-09 Oldcastle Preca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posite concrete panel with transversely oriented carbon fiber reinforcement
US6817156B2 (en) * 2002-09-03 2004-11-16 Chiu Pang Mok Device for positioning cast-in U-channels in concrete structure
US7320201B2 (en) * 2005-05-31 2008-01-22 Snap Block Corp. Wall construction
US20080104911A1 (en) * 2006-11-08 2008-05-08 Jarvie Shawn P Insulated concrete 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83655B2 (en) 2009-08-27
EA200600653A1 (ru) 2006-10-27
DE60318634T2 (de) 2009-01-15
AP2192A (en) 2011-01-07
WO2005042864A1 (fr) 2005-05-12
US7516589B2 (en) 2009-04-14
EP1644592B1 (fr) 2008-01-09
OA13320A (fr) 2007-04-13
MY140687A (en) 2010-01-15
EA009235B1 (ru) 2007-12-28
BR0318566A (pt) 2006-10-10
CY1107356T1 (el) 2012-12-19
ES2299737T3 (es) 2008-06-01
AP2006003598A0 (en) 2006-04-30
AU2003283655A1 (en) 2005-05-19
US20070028544A1 (en) 2007-02-08
WO2005042864A8 (fr) 2005-12-15
MA28148A1 (fr) 2006-09-01
PL379737A1 (pl) 2006-11-13
IL175208A (en) 2010-04-29
CA2544521A1 (en) 2005-05-12
CA2544521C (en) 2011-04-12
EP1644592A1 (fr) 2006-04-12
UA82128C2 (uk) 2008-03-11
PT1644592E (pt) 2008-04-07
KR100730882B1 (ko) 2007-06-20
PL208862B1 (pl) 2011-06-30
DK1644592T3 (da) 2008-05-13
CN1878921A (zh) 2006-12-13
ZA200603516B (en) 2007-09-26
CN100572711C (zh) 2009-12-23
IL175208A0 (en) 2006-09-05
AR047234A1 (es) 2006-01-11
TNSN06125A1 (fr) 2007-11-15
DE60318634D1 (de) 2008-02-21
SI1644592T1 (sl) 2008-06-30
EG24410A (en) 2009-05-20
ATE383475T1 (de)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882B1 (ko) 콘크리트벽체용 고저항성 폼웍
US10125468B2 (en) Stay-in-place footing 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JP5842006B2 (ja) 補強土構造物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A2756268C (en)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US20170107715A1 (en) Prefabricated module for casting a concrete wall
JP5404480B2 (ja) アンカー部用補強筋、コンクリート基礎及びユニット建物
US8850773B2 (en) Pool liner retaining system
TW200307078A (en) A support member system
KR100557335B1 (ko)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JP2009046829A (ja) 耐震補強壁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JP3362019B2 (ja) 土留め壁・rc合成構造物
JP6638885B2 (ja) コンクリート組立構造体
JP36438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の連結構造
KR102523001B1 (ko)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KR102568888B1 (ko) 합성데크형 조인트필라스터가 구비된 내진 지하연속벽
KR101842473B1 (ko) 무형틀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MXPA06004972A (es) Encofrado de gran resistencia para muro de hormigon
JP3115887U (ja) 残存型枠パネル
JP2743003B2 (ja) コンクリート法枠施工用の埋込式型枠装置及びその施工法
JP4652926B2 (ja) 建枠及び枠組足場
KR20230142117A (ko) 수직배치된 루프근 및 이음용 바를 이용한 피씨벽체의 연결구조
JPH0626195A (ja) 構築物施工用結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