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711B1 -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 - Google Patents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711B1
KR100849711B1 KR1020070063845A KR20070063845A KR100849711B1 KR 100849711 B1 KR100849711 B1 KR 100849711B1 KR 1020070063845 A KR1020070063845 A KR 1020070063845A KR 20070063845 A KR20070063845 A KR 20070063845A KR 100849711 B1 KR100849711 B1 KR 100849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eel plate
concrete wall
coupled
struc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우
이종보
김종학
이웅권
문태엽
선원상
이진우
김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711B1/ko
Priority to HUE08778388A priority patent/HUE030423T2/en
Priority to CN200880021644.1A priority patent/CN101688395B/zh
Priority to PL08778388.2T priority patent/PL2167750T3/pl
Priority to EP08778388.2A priority patent/EP2167750B1/en
Priority to PCT/KR2008/003697 priority patent/WO2009002112A2/en
Priority to US12/452,300 priority patent/US2010013229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711B1/ko
Priority to US14/621,213 priority patent/US963136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4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all cavities in order to form a wal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6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fillings between the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가 개시된다. 하나의 단위모듈을 이루는 강판 구조체를 복수로 결합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에 있어서, 강판구조체는,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강판과, 소정의 공간 내에 위치하여 강판의 일면에 중력방향으로 구조적으로 강접(剛接)되며, 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저항하는 구조용 형강 및 한 쌍의 강판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스트럿(strut)을 포함하고, 상하로 배치되는 강판 구조체의 구조용 형강들은 길이방향으로 그 단면이 상응하도록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강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는, 강판 및 콘크리트와 더불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부재를 둠으로써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강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강판의 용접특성이 좋아지고 단위모듈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강판 콘크리트 벽체에 작용하는 축력 또는 횡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강판, 콘크리트, SC 구조, Steel Concrete, 강판 구조체, 벽체

Description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Steel plate structure and steel plate concrete wal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전 강판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부착된 강판 구조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부착된 강판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강판 구조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수평연결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수직연결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강판 구조체 12 : 강판
14 : 구조부재 16 : 스트럿
18 : 스터드 20 : 브라켓
22 : 볼트 24 : 수평연결재
26 : 수직연결재 28 : 콘크리트 공급부
30 : 콘크리트
본 발명은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구조물의 고층화, 대형화에 따라 보다 높은 강성과 더불어 시공성 향상 등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온 철근 콘크리트 구조 및 철골 구조, 철골 철근콘크리트구조는 현장에서 거푸집과 철근이나 철골 등을 직접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게 되어 공기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품질에 신뢰성이 떨어진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강판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강재가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강성, 내력, 변형성능, 시공 등의 측면에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이하 'SC구조'라 한다.)주목 받고 있다.
SC구조는 두 개의 강판 내측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콘크리트와 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스터드, 타이 바(Tie bar) 등을 배치하여 강재와 콘크리트가 복합적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SC구조는 원자력 발전소 등의 대형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모듈화를 통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전 강판 구조체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SC 구조 벽체에 있어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강판 등으로 이루어진 강재 구조물을 '강판 구조체'라 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강판 구조체를 사용하여 시공되는 SC 구조 벽체는 형성하고자 하는 벽체의 양쪽 표면에 강판(102)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강판(102)과 콘크리트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강판(102)의 내측 표면에 다수의 스터드(stud)(104)를 설치하고, 두 개의 강판(102)을 고정하기 위해 강봉 형태의 스트럿(106)를 사용하여 양 강판(102)을 연결한 후, 강판(102) 공간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SC 구조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SC 구조 벽체는 강판(102)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개재되면 하중에 의해 내부의 콘크리트가 파괴에 이르더라도 강판(102)이 콘크리트를 여전히 구속하여 보다 큰 내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가 강판(102)의 내부에 존재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강판 구조체를 사용하여 초고층 빌딩, 원자력 발 전소 등의 대형구조물의 SC 구조 벽체를 형성하는 경우 SC 구조의 벽체의 두께가 증가되어 공간적인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큰 하중을 지지하여야 함에 따라 강판 및 콘크리트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고, 강판의 두께가 증가되면 강판 간의 용접 접합 시 열변형이 증가되고, 후열처리를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초고층 빌딩이나 원자력 발전소에 시공되는 원전구조물의 경우 자체 중량에 의한 축력과 지진에 의한 횡력에 효과적으로 대항하여야 하는데 강재 내부의 콘크리트의 전단강도가 작아 콘크리트가 받고 남은 전단응력을 강판이 저항해야 한다. 이에 따라 지진에 의한 횡력에 의한 전단응력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강판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강판 구조체를 모듈화하여 현장에서 이를 조립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경우, 단위모듈 간의 접합을 위해서 단위모듈의 강판을 서로 용접하거나 단위모듈 간의 접합강도를 향상하기 위해 강판 간의 용접 외에 추가로 덧판을 대거나 커플러(coupler)를 사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덧판 또는 커플러는 강판의 외부 표면에 노출되어 미관을 저해하고 2차 작업의 발생으로 공사기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위모듈의 현장이송 시 강판 구조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 가설 보강재를 별도로 부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SC 구조 벽체의 외부에 배관 등의 외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을 설치하는 경우 강판에 브라켓을 용접하거나 볼트 결합을 하게 되는데, 브라켓에 중량이 큰 대형의 외부 장치가 설치되면 강판에 국부변형이 발생하여 지지성능이 떨어져 대형의 외부기기를 벽체의 외부에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강판 구조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두 개의 강판이 강봉 형태의 스트럿에 의해서만 연결되므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측압으로 인해 강판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강판 및 콘크리트와 더불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부재를 두어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 및 강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벽체에 작용하는 축력 또는 횡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강판 구조체를 하나의 단위모듈로 제작하는 경우 강판 구조체 단위모듈 간의 접합이 용이한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강판 및 구조부재를 이용하여 중량이 큰 대형의 외부 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강판과, 소정의 공간 내에 위치하며 강판의 일면에 중력방향으로 구조적으로 강접(剛接)되는 구조부재 및 한 쌍의 강판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스트럿(strut)을 포함하는 강판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강판 구조체에는 강판의 일면에 돌출되는 스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조부재는 복수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조부재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의 일면의 단부에 중력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연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조부재는 용접에 의해 강판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조부재는 한 쌍의 강판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구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럿은 한 쌍의 구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부재와 스트럿은 H 형강일 수 있다.
구조부재는 H 형강이며, H 형강의 플랜지가 강판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강판 및 구조부재를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홀을 통하여 강판의 타면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연결재는 ㄷ 형강일 수 있으며, ㄷ 형강의 플랜지가 구조부재를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수직연결재는 ㄷ 형강일 수 있으며, ㄷ 형강의 플랜지가 구조부재를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강판과, 소정의 공간 내에 위치하며 강판의 일면에 중력방향으로 구조적으로 강접되는 구조부재와, 한 쌍의 강판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스트럿(strut) 및 소정의 공간 내에 개재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가 제공된다.
상기 강판 콘크리트 벽체에는 강판의 일면에 돌출되는 스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조부재는 복수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조부재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의 일면의 단부에 중력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연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조부재는 용접에 의해 강판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조부재는 한 쌍의 강판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구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럿은 한 쌍의 구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부재와 스트럿은 H 형강일 수 있다.
구조부재는 H 형강이며, H 형강의 플랜지가 강판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강판 및 구조부재를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홀을 통하여 강판의 타면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연결재는 ㄷ 형강일 수 있으며, ㄷ 형강의 플랜지가 구조부재를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수직연결재는 ㄷ 형강일 수 있으며, ㄷ 형강의 플랜지가 구조부재를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강판 구조체(10), 강판(12), 구조부재(14), 스트럿(16), 스터드(18)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강판(12)과, 공간 내에 위치하며 강판(12)의 일면에 중력방향으로 구조적으로 강접되는 구조부재(14)와, 한 쌍의 강판(12)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스트럿(strut)(16)를 구성요소로 하여,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강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용접 접합 시 열변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벽체에 작용하는 축력 또는 횡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한 쌍의 강판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강판(1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소정의 공간은 이후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곳으로 강판 콘크리트 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강판(12)의 이격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강판(12)은 강판 콘크리트 벽체 형성 후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하중에 저항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강판(12)은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하중에 의해 내부의 콘크리트가 파괴에 이르더라도 콘크리트의 이탈을 방지하여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내력을 증가시킨다.
구조부재(14)는 한 쌍의 강판(12)이 형성하는 소정의 공간 내에 존재하며, 강판(12)의 일면에 중력방향으로 구조적으로 강접(剛接, rigid joint)된다. 이러한 구조부재(14)는 강판(12) 및 콘크리트와 더불어 강판 콘크리트 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저항하게 된다. 구조부재(14)는 중력방향으로 배치되어 강판 콘크리트 벽체에 작용하는 축력에 저항하고, 지진, 바람 등에 의한 횡방향 하중에 저항할 수 있다. 즉, 구조부재(14)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종방향으로 강판의 일면과 결합되어 강판 구조체(10) 내의 콘크리트 및 강판과 더불어 축방향 하중에 저항함과 아울러 강판 콘크리트 벽체가 기초에 강접되면 지진 등에 의한 횡방향에 의한 전단력에 저항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부재(14)는 후술한 스터드(18)와 더불어 강판(12)과 콘크리트의 일체화에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강판 및 콘크리트와 더불어 구조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대형구조물의 벽체 형성에 유용하며, 강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용접 접합 시 열변형을 줄일 수 있다.
구조부재(14)는 강판(12)과 일체적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강판(12)에 강접된다. 강판(12)과 구조부재(14)를 강접하는 방법으로는 고장력 볼트나 리벳을 이용하여 강판(12)과 구조부재(14)를 강접하거나, 강판(12)에 구조부재(14)를 용접하여 강판(12)과 일체적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조부재(14)로는 ㄱ 형강, H 형강, I 형강, T 형강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용 형강(形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부재(14)로서 H 형강을 사용하여 H 형강의 플랜지를 강판의 일면에 결합하여 강접하였다.
이러한 구조부재(14)는 강판(12)에 구조적으로 강접되어 있어 강판 구조 체(10)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 운반 시에 편심 또는 비틀림에 의한 강판 구조체(10)의 변형을 방지하고, 강판 구조체(10)에 콘크리트 타설 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한 강판 구조체(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구조부재(14)는 두 개의 강판(12) 중 하나의 강판(12)에만 강접될 수도 있고, 두 개의 강판(12)에 각각 강접되는 것도 가능하다. 두 개의 강판(12)에 구조부재(14)를 각각 강접시키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부재(14)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강판(12)의 일면에 결합되는 구조부재(14)의 개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적절한 개수를 정한다.
강판(12)에 구조부재(14)가 중력방향으로 구조적으로 강접되어 있어 강판(12), 콘크리트 및 구조부재(14)의 합성작용에 의해 하중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므로 강판(12)의 두께의 증가없이 초고층 구조물이나 원전 구조물 등의 두꺼운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강판(12)의 두께의 증가없이 보다 큰 하중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므로 강판(12) 두께를 최소화를 통해 강판 구조체(10)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강판 구조체(10)를 모듈화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경우 모듈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스트럿(strut)(16)은 한 쌍의 강판(12)이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강판(12)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스트럿(16)은 한 쌍의 강판(12)에 양단이 각각 결합될 수도 있고, 두 개의 강판에 구조부재(14)가 지그재그로 결합된 경우에는 강판(12)과 구조부재(14)에 스트럿의 양단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강판(12)에 구조부재(14)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서로 대향하는 구조부재(14)에 스트럿(16)을 결합할 수 있다.
스트럿(16)은 벽체의 두께를 고려하여 강판(12)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강판 구조체(10)의 운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대형 구조물의 벽체의 경우 벽체의 두께의 증가로 인해 두 개의 강판(12) 간의 이격거리가 커지므로 강성이 큰 형강을 스트럿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부재(14)와 스트럿(16)을 모두 H 형강으로 하여 강판 구조체(10)의 공장 제작이 있어 먼저 구조부재(14)에 스트럿(16)을 결합하여 틀을 형성한 후 구조부재(14)에 강판(12)을 접합하여 제작 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스트럿(16)으로는 강봉, ㄱ 형강, ㄷ 형강, H 형강, I 형강, T 형강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용 강재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럿(16)으로서 구조부재(14)와 동일한 H 형강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10)는 형성하고자 하는 벽체의 크기에 따라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거나, 하나의 단위모듈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다수의 단위모듈을 조립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강판 구조체(10)를 단위모듈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7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터드(18)(stud)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강판(12)과 콘크리트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도록 하여 강판(12)과 콘크리트의 합성작용에 의해 외부 하중에 저항한다. 스터드(18)는 콘크리트와 강판(12)이 전면적에 걸쳐 일체적으로 거동하도록 강판(12)의 일면에 균일하게 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부재(14)를 강판(12)의 일면에 강접하는 경우 구조부 재(14)가 콘크리트와 강판(12)의 일체화에 기여하게 된다. 구조부재(14)로 H 형강, I 형강, ㄷ 형강 등 콘크리트와 접하는 면적이 큰 형강을 사용하는 경우 구조부재(14)만으로 강판(12)과 콘크리트를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스터드(14)의 결합을 생략할 수 있다. 물론, 강판(12)과 콘크리트의 일체화에 대한 구조부재(14)의 기여정도를 고려하여 필요한 개수만큼 스터드(18)를 결합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강판 구조체(10)를 현장에서 제작하여 벽체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벽체를 형성하고자 하는 기초판 위에 강판 구조체(10)를 조립한 후 강판(12)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판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10)를 하나의 단위모듈로 하여 공장에서 제작한 후 이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현장에서 단위모듈을 서로 접합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단위모듈의 대응되는 구조부재(14)는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하중을 전달하여야 하므로 상부에 배치되는 단위모듈의 구조부재(14)의 하단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부재(14)의 상단부는 구조부재(14)의 단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 후 강접함으로써 구조부재(14)의 부재력이 효율적으로 지반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부착된 강판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부착된 강판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강판(12), 구조부재(14), 스트럿(16), 스터드(18), 브라켓(20), 볼트(22)가 도시되어 있다.
고층 빌딩, 공장 건물, 원전구조물 등의 벽체에는 전기설비, 통신설비, 배관 등 외부 장치를 고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외부에 배관 등의 외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을 강판(12)에 용접하거나 볼트(22) 결합을 하게 된다. 그러나, 브라켓(20)에 중량이 큰 대형의 외부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외부 장치의 중량으로 인해 강판(12)에 국부변형이 발생하여 지지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강판(12) 및 구조부재(14)를 관통하는 체결홀을 마련하여 체결홀을 통하여 브라켓(20)을 강판(12)에 리벳이나 볼트(22) 결합함으로써 중량이 큰 외부장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부재(14)가 강접되는 강판(12) 부위에 브라켓(2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홀을 형성하고, 체결홀을 통하여 브라켓(20)을 결합함으로써 강판(12)과 구조부재(14)가 함께 외부 장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브라켓(20)은 벽체의 형성위치에 강판 구조체(1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브라켓(20)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후 브라켓(20)을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소형의 외부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구조부재(14)가 강접되지 않은 강판(12)부위에 체결홀을 형성하여 브라켓(2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강판 구조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수평연결재의 결합상태를 나타 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판 구조체의 수직연결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강판 구조체(10), 강판(12), 구조부재(14), 스트럿(16), 스터드(18), 수평연결재(24), 수직연결재(26), 볼트(2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강판 구조체(10)를 하나의 단위모듈로 하여 공장에서 제작한 후, 이를 현장에 운반하고, 단위모듈의 강판 구조체(10)를 서로 조립하여 하나의 큰 모듈로 제작한 후 이를 인양하여 최종위치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판 콘크리트 벽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단위모듈 간의 결합은 수평연결재(24)를 통해 결합하고, 좌우로 배치되는 단위모듈 간의 결합은 수직연결재(26)를 통해 결합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벽체의 크기에 맞게 단위모듈을 다수 결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강판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강판 구조체(10)의 구조부재(14)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로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구조부재(14)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재(24)를 설치하여 구조부재(14)의 부재력의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강판 구조체(10)의 단위모듈 간의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단위모듈을 이루는 강판 구조체(10) 간의 수평적 결합을 위해 강판(12)의 일면의 단부에 중력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연결재(26)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수직연결재(26)는 단위모듈 간 접합 시 수직연결재(26)가 서로 결합되면 결합단면의 단면적이 증대되고, 단위모듈 간의 접합이 완료되면 상술한 구조부재(14)와 같이 강판 콘크리트 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저항할 수 있다.
수평연결재(24)는 상하에 배치되는 단위모듈 간의 결합을 위한 것이고, 수직연결재(26)는 좌우에 배치되는 단위모듈 간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수평연결재(24) 간의 결합과 수직연결재(26) 간의 결합은 구조적으로 강접되어야 한다.
이러한 수평연결재(24) 및 수직연결재(26)는 단위모듈의 단부에 접합되어 있어, 단위모듈의 강판 간의 용접접합 시 용접에 의한 강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조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수평연결재(24)를 서로 결합하거나 수직연결재(26)를 서로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고장력 볼트(22)나 리벳을 이용하여 서로 강접하거나, 서로 용접하여 강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의 조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장력 볼트(22)에 의해 단위모듈을 결합하였다.
수평연결재(24) 또는 수직연결재(26)로는 벽체 구조의 종류에 따라 ㄱ 형강, H 형강, ㄷ 형강, I 형강, T 형강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용 형강(形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부재(14)로서 H 형강을 이용하고, 수평연결재(24)로서 ㄷ 형강을 사용하여 ㄷ 형강의 플랜지가 구조부재(14)를 향하도록 H 형강의 단부의 웨브(web)를 ㄷ 형강의 채널부위에 삽입되도록 하여 구조부재(14)와 수평연결재(24)와의 접합면적을 늘리고, 상하에 배치되는 ㄷ 형강의 웨브가 서로 면접하도록 하여 부재력이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였다. 공장에서 단위모듈을 이루는 강판 구조체(10)를 제작할 때 수평연결재(24) 간의 볼트(22)나 리 벳 결합을 위한 체결공을 미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연결재(26)로서 ㄷ 형강을 사용하고, ㄷ 형강의 플랜지를 구조부재(14)를 향하도록 하여 ㄷ 형강의 플랜지와 강판의 일면의 접합면적을 넓히고, 좌우에 배치되는 ㄷ 형강의 웨브가 서로 면접하도록 하여 부재력이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였다. 즉, 단위모듈 간 접합 시 수직연결재(26)가 서로 결합되면 결합단면이 H 형강의 형태로 단면적이 증대되고, 단위모듈 간의 접합이 완료되면 상술한 구조부재(14)와 같이 강판 콘크리트 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저항할 수 있다.
공장에서 단위모듈을 이루는 강판 구조체(10)를 제작할 때 수평연결재(24) 간의 볼트(22)나 리벳 결합을 위한 체결공을 미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강판(12) 및 구조부재(14)를 관통하는 체결홀을 마련하여 체결홀을 통하여 브라켓을 강판(12)에 리벳이나 볼트 결합하여 강판(12) 및 강판(12)에 강접되는 구조부재(14)가 함께 외부 장치를 지지함으로써 큰 중량의 외부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강판 구조체(10), 콘크리트(30), 콘크리트 공급부(28)가 도시되어 있다.
강판 구조체(10)를 하나의 단위모듈로 하고, 여러 개의 단위모듈을 조립하여 소정 크기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공장에서 단위모듈을 이루는 강판 구조 체(10)를 제작하여 필요한 개수만큼 제작한 후, 이를 현장에 운반하고 단위모듈의 강판 구조체(10)를 서로 조립하여 하나의 큰 모듈로 제작한 후 이를 인양하여 최종위치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 공급부(28)를 통해 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 강판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강판 구조체(10)를 공장에서 제작하는 경우에는 품질관리가 용이하여 고품질의 강판 구조체(10)를 확보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작업이 최소화됨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판 및 콘크리트와 더불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부재를 두어 강판 콘크리트 벽체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강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강판의 용접특성이 좋아지고 단위모듈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강판 콘크리트 벽체에 작용하는 축력 또는 횡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또한, 강판 구조체를 하나의 단위모듈로 하는 경우 수평연결재 또는 수직연결재를 강판의 단부에 배치하여 단위모듈 간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구조부재의 부재력이 단위모듈 간에 직접 전달하게 되어 벽체의 강성이 증대된다.
또한, 강판 및 구조부재의 강성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설치하므로 중량이 큰 배관이나 전기설비 등의 외부장치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하나의 단위모듈을 이루는 강판 구조체를 복수로 결합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에 있어서,
    상기 강판구조체는,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강판과;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강판의 일면에 중력방향으로 구조적으로 강접(剛接)되며, 상기 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저항하는 구조용 형강; 및
    상기 한 쌍의 강판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스트럿(strut)을 포함하고,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강판 구조체의 상기 구조용 형강들은 길이방향으로 그 단면이 상응하도록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강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일면에 돌출되는 스터드를 더 포함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형강은 복수로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구조용 형강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재를 더 포함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일면의 단부에 중력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연결재를 더 포함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형강은 용접에 의해 상기 강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형강은,
    상기 한 쌍의 강판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구조용 형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은 상기 한 쌍의 구조용 형강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형강과 상기 스트럿은 H 형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형강은 H 형강이며,
    상기 H 형강의 플랜지가 상기 강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및 상기 구조용 형강을 관통하는 체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강판 콘크리트 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강판의 타면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재는 ㄷ 형강이며,
    상기 ㄷ 형강의 플랜지가 상기 구조용 형강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재는 ㄷ 형강이며,
    상기 ㄷ 형강의 플랜지가 상기 구조용 형강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벽체.
KR1020070063845A 2007-06-27 2007-06-27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 KR100849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845A KR100849711B1 (ko) 2007-06-27 2007-06-27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
HUE08778388A HUE030423T2 (en) 2007-06-27 2008-06-26 Steel sheet structure and steel sheet concrete wall
CN200880021644.1A CN101688395B (zh) 2007-06-27 2008-06-26 钢板结构和钢板混凝土墙
PL08778388.2T PL2167750T3 (pl) 2007-06-27 2008-06-26 Konstrukcja z płytą stalową i ściana betonowa z płytą stalową
EP08778388.2A EP2167750B1 (en) 2007-06-27 2008-06-26 Steel plate structure and steel plate concrete wall
PCT/KR2008/003697 WO2009002112A2 (en) 2007-06-27 2008-06-26 Steel plate structure and steel plate concrete wall
US12/452,300 US20100132291A1 (en) 2007-06-27 2008-06-26 Steel plate structure and steel plate concrete wall
US14/621,213 US9631363B2 (en) 2007-06-27 2015-02-12 Steel plate structure and steel plate concrete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845A KR100849711B1 (ko) 2007-06-27 2007-06-27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711B1 true KR100849711B1 (ko) 2008-08-01

Family

ID=3988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845A KR100849711B1 (ko) 2007-06-27 2007-06-27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00132291A1 (ko)
EP (1) EP2167750B1 (ko)
KR (1) KR100849711B1 (ko)
CN (1) CN101688395B (ko)
HU (1) HUE030423T2 (ko)
PL (1) PL2167750T3 (ko)
WO (1) WO2009002112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3859A1 (en) * 2008-07-30 2010-02-04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Steel plate structure
KR101367424B1 (ko) * 2011-12-30 2014-02-27 롯데건설 주식회사 박스형 단면을 갖는 철골 부재와 rc 벽체의 접합 구조
CN104358333A (zh) * 2014-10-28 2015-02-18 四川华铁钢结构有限公司 一种具有高稳定性的钢结构复合墙体
CN107489212A (zh) * 2017-09-27 2017-12-19 杭州铁木辛柯建筑结构设计事务所有限公司 免承重力防剪切屈曲钢板剪力墙
KR20200027329A (ko) * 2018-09-04 2020-03-12 백두산업 주식회사 내진성 벽체 일체형 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CN111042385A (zh) * 2019-12-29 2020-04-21 北京工业大学 一种拼装式双层钢板组合剪力墙
CN111636574A (zh) * 2020-06-10 2020-09-08 北京建谊投资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钢板墙与钢框架梁组合施工方法
CN113107108A (zh) * 2021-03-20 2021-07-13 北京工业大学 带t型加劲肋与u型拉杆的双钢板混凝土组合墙
CN113107109A (zh) * 2021-03-20 2021-07-13 北京工业大学 U形拉杆交错布置的双钢板混凝土组合剪力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8561B2 (en) * 2009-07-15 2016-07-12 Frank Johnso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WO2012039295A1 (ja) * 2010-09-24 2012-03-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付帯物の取付構造、sc構造の設計システム及び設計方法、sc構造の施工方法、及びsc構造
CN104358310B (zh) * 2014-10-28 2017-01-11 四川华铁钢结构有限公司 一种h型钢结构架高强度房屋单元
CN104358462B (zh) * 2014-10-28 2016-11-30 四川华铁钢结构有限公司 一种聚酯乙烯墙板阻燃复合房屋结构
JP6315277B2 (ja) * 2014-11-26 2018-04-25 清水建設株式会社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
CN104594645B (zh) * 2015-01-15 2017-07-28 庄学阳 墙体面板固定架的施工方法
CN104775578A (zh) * 2015-02-10 2015-07-15 湖北弘毅建设有限公司 一种预制金属饰面混凝土外墙板
CN105401693A (zh) * 2015-12-01 2016-03-16 苏州天地彩钢制造有限公司 对称钢结构
CN105780969A (zh) * 2016-03-31 2016-07-20 初明进 一字形钢构件
CN106088412A (zh) * 2016-06-02 2016-11-09 初明进 L型钢构件
CN105971165A (zh) * 2016-06-02 2016-09-28 初明进 L型钢构件
FR3060622B1 (fr) 2016-12-21 2020-10-02 Electricite De France Coffrage permanent a bet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composite metal-beton utilisant un tel coffrage
CN107217737A (zh) * 2017-06-28 2017-09-29 浙江绿筑集成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墙钢梁结构
US10538907B2 (en) * 2017-08-01 2020-01-21 SkyStone Group LLC Modular assemblie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thereof
CN108756020A (zh) * 2018-06-01 2018-11-06 湖南飞扬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发泡混凝土保温复合墙体
CN108620796B (zh) * 2018-07-13 2020-12-15 中国核工业二三建设有限公司 屏蔽厂房sc结构纵缝焊接辅助工装
US11352786B2 (en) * 2019-08-19 2022-06-07 WSP USA, Inc. Constructing buildings with modular wall structure
CN112064784A (zh) * 2020-09-26 2020-12-11 深圳千里马装饰集团有限公司 装配式轻钢结构住宅建筑系统
CN112726880A (zh) * 2020-12-28 2021-04-30 同济大学 一种矩形钢管-波折钢板组合墙钢连梁联肢墙
FI130581B (fi) * 2021-02-01 2023-11-23 Mika Rautiainen Reaktori biokaasun valmistamiseksi anaerobisella hajotuksella bioraaka-aineesta
CN113914504B (zh) * 2021-11-22 2022-05-17 广东思哲设计院有限公司 一种旧城改造用装配式墙体
CN114150795A (zh) * 2021-12-14 2022-03-08 秦长城新型建材(天津)有限公司 一种轻质现浇高强模板免拆墙体以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729A (en) 1978-05-15 1979-12-18 Economy Forms Corporation Wall structure for a nuclear reactor containment housing
JPS5770495A (en) * 1980-10-21 1982-04-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Method of constructing atomic power plant building
JPS59116090A (ja) 1982-12-23 1984-07-04 清水建設株式会社 原子炉建屋における格納容器
JPS59233075A (ja) * 1983-06-15 1984-12-27 株式会社東芝 ライニングを備えた遮蔽壁体の建設方法
JPH10160881A (ja) * 1996-11-29 1998-06-19 Toshiba Corp 原子力発電所の建屋構造および建屋建築工法
KR20000006938A (ko) * 1999-11-13 2000-02-07 김태한 철판 트러스 콘크리트 구조 시공방법
KR20030036380A (ko) * 2003-03-20 2003-05-09 김태한 철판골조 구조물시공방법
US6570950B1 (en) 2002-03-11 2003-05-27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Nuclear plant containment with prefabricated component support structure
KR20030052872A (ko) *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교각기초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강재하우징
JP2005094931A (ja) * 2003-09-17 2005-04-07 Toshiba Plant Systems & Services Corp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埋設電路、ケーブル埋設方法および埋設電路の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99381B (ko) * 1991-08-13 1997-03-01 Mitsubishi Heavy Ind Ltd
ATE195988T1 (de) 1994-03-31 2000-09-15 Corus Uk Ltd Verbesserungen an zweischaligen verbundpaneelen
US6041561A (en) * 1997-08-22 2000-03-28 Wayne Leblang Self-contained molded pre-fabricated building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0170285A (ja) * 1998-12-08 2000-06-20 Kajima Corp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壁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部構造
CN1156633C (zh) * 2000-01-24 2004-07-07 许琦 钢骨建筑结构
US20040255535A1 (en) * 2003-06-19 2004-12-23 Herren Thomas R. Multi-purpose construction assembly and method
WO2005042864A1 (fr) * 2003-11-03 2005-05-12 Polyfinance Coffor Holding S.A. Coffrage à résistance élevée pour mur en béton
US20070044392A1 (en) * 2004-11-12 2007-03-01 Leblang Dennis W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employing concrete mold assembly
KR100686468B1 (ko) * 2004-12-17 2007-02-27 이창남 익스팬드 채널과 y형강판을 사용한 강콘크리트벽
JP2007063954A (ja) * 2005-09-02 2007-03-15 Takenaka Komuten Co Ltd 鋼板コンクリート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729A (en) 1978-05-15 1979-12-18 Economy Forms Corporation Wall structure for a nuclear reactor containment housing
JPS5770495A (en) * 1980-10-21 1982-04-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Method of constructing atomic power plant building
JPS59116090A (ja) 1982-12-23 1984-07-04 清水建設株式会社 原子炉建屋における格納容器
JPS59233075A (ja) * 1983-06-15 1984-12-27 株式会社東芝 ライニングを備えた遮蔽壁体の建設方法
JPH10160881A (ja) * 1996-11-29 1998-06-19 Toshiba Corp 原子力発電所の建屋構造および建屋建築工法
KR20000006938A (ko) * 1999-11-13 2000-02-07 김태한 철판 트러스 콘크리트 구조 시공방법
KR20030052872A (ko) *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교각기초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강재하우징
US6570950B1 (en) 2002-03-11 2003-05-27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Nuclear plant containment with prefabricated component support structure
KR20030036380A (ko) * 2003-03-20 2003-05-09 김태한 철판골조 구조물시공방법
JP2005094931A (ja) * 2003-09-17 2005-04-07 Toshiba Plant Systems & Services Corp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埋設電路、ケーブル埋設方法および埋設電路の形成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3859A1 (en) * 2008-07-30 2010-02-04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Steel plate structure
KR101024262B1 (ko) * 2008-07-30 2011-03-2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강판 구조체
KR101367424B1 (ko) * 2011-12-30 2014-02-27 롯데건설 주식회사 박스형 단면을 갖는 철골 부재와 rc 벽체의 접합 구조
CN104358333A (zh) * 2014-10-28 2015-02-18 四川华铁钢结构有限公司 一种具有高稳定性的钢结构复合墙体
CN107489212A (zh) * 2017-09-27 2017-12-19 杭州铁木辛柯建筑结构设计事务所有限公司 免承重力防剪切屈曲钢板剪力墙
CN107489212B (zh) * 2017-09-27 2023-01-03 杭州铁木辛柯建筑结构设计事务所有限公司 免承重力防剪切屈曲钢板剪力墙
KR20200027329A (ko) * 2018-09-04 2020-03-12 백두산업 주식회사 내진성 벽체 일체형 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2198165B1 (ko) 2018-09-04 2021-01-04 백두산업 주식회사 내진성 벽체 일체형 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CN111042385A (zh) * 2019-12-29 2020-04-21 北京工业大学 一种拼装式双层钢板组合剪力墙
CN111636574A (zh) * 2020-06-10 2020-09-08 北京建谊投资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钢板墙与钢框架梁组合施工方法
CN113107108A (zh) * 2021-03-20 2021-07-13 北京工业大学 带t型加劲肋与u型拉杆的双钢板混凝土组合墙
CN113107109A (zh) * 2021-03-20 2021-07-13 北京工业大学 U形拉杆交错布置的双钢板混凝土组合剪力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167750T3 (pl) 2016-12-30
CN101688395B (zh) 2014-12-31
WO2009002112A3 (en) 2009-02-26
EP2167750B1 (en) 2016-06-15
EP2167750A2 (en) 2010-03-31
CN101688395A (zh) 2010-03-31
HUE030423T2 (en) 2017-05-29
US20100132291A1 (en) 2010-06-03
US9631363B2 (en) 2017-04-25
EP2167750A4 (en) 2013-11-13
US20150159372A1 (en) 2015-06-11
WO2009002112A2 (en)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711B1 (ko)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
KR20100013104A (ko)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
KR20100013113A (ko) 강판 구조체 및 강판 콘크리트 벽체
JP2013238104A (ja) 面外変形が拘束された継手構造
KR101868677B1 (ko)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JP2001254436A (ja) 鋼製柱と鋼製梁の接合構造
KR100882341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빔의 제작방법 및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빔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200186312Y1 (ko) 트러스 구조체
KR20100023089A (ko) 에이치빔 연결구조체
KR101031299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일체 거동을 위한 단위유닛모듈의 접합구조 및 그 방법
KR101049963B1 (ko) 강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슬래브 접합구조 시공 방법
KR10152003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복합 트러스 거더
KR100939970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공법 및 그 구조
JP5428382B2 (ja) 柱梁接合構造、柱梁接合方法
JP5767782B2 (ja) 橋梁の主桁連結構造
CN116084559A (zh) 全预制装配式混凝土框架干式拼接节点及其施工方法
KR102461223B1 (ko) 중공 합성벽체용 선조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 합성벽체
KR101953016B1 (ko) 좌굴 방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셋 플레이트의 무용접/조립형 보강방법
KR101024262B1 (ko) 강판 구조체
CN201050139Y (zh) 一种矩形钢管柱的钢框架梁柱节点
JP4277209B2 (ja) 建物の構造
KR20020060429A (ko)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구조물제조 방법
KR102158942B1 (ko) 가설교량용 브라켓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 방법
KR101017791B1 (ko) 냉간성형 각형강관 기둥의 강재보 접합부 구조
KR101083062B1 (ko) 복합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