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001B1 -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001B1
KR102523001B1 KR1020210041255A KR20210041255A KR102523001B1 KR 102523001 B1 KR102523001 B1 KR 102523001B1 KR 1020210041255 A KR1020210041255 A KR 1020210041255A KR 20210041255 A KR20210041255 A KR 20210041255A KR 102523001 B1 KR102523001 B1 KR 10252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inforcing bars
type vertical
walls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503A (ko
Inventor
박제영
김동현
옹정열
조경동
최석동
이상원
조종
김우재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동서(주)
(주)포스코이앤씨
(주)연우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동서(주), (주)포스코이앤씨, (주)연우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아이에스동서(주)
Priority to KR102021004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0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씨벽체간 이음시에 피씨벽체의 측면에 연결철근을 구성하고 연결철근이 겹치는 피씨벽체간 이음부에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과 연결철근이 결합하여 콘크리트 코어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일체거동하여 구조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피씨벽체간 이음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피씨벽체는 양측단부에 각각 전면과 후면에 돌출하도록 한 쌍의 마감턱이 구성되고, 한 쌍의 마감턱의 사이에서 높이방향 일정간격마다 마감턱보다 일정길이 더 돌출하도록 연결철근이 피씨벽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구성되며, 피씨벽체의 마감턱은 인접한 피씨벽체의 마감턱이 마주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의 내부에서는 양측 피씨벽체의 연결철근이 상호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피씨벽체와 피씨벽체의 마주하는 마감턱의 사이에 구성되는 실링용 백업재가 구성되고, n형으로 절곡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양측 피씨벽체의 교차된 연결철근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끼워 고정하고 공간부의 내부에 모르타르를 충전하도록 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PC WALL}
본 발명은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씨벽체간 이음시에 피씨벽체의 측면에 연결철근을 구성하고 연결철근이 겹치는 피씨벽체간 이음부에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과 연결철근이 결합하여 콘크리트 코어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일체거동하여 구조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씨벽체의 이음부는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고리형태인 수평의 와이어루프를 적용하거나 갈고리 모양으로 돌출된 구조를 적용하는 표준 후크 정착철근 이음 방식이 대표적이며, 이는 양측의 벽체의 측면에 와이어루프나 갈고리근이 돌출하도록 하고 이를 겹쳐지도록 한 후에 수직으로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와이어루프나 후크의 경우에는 두께가 좁은 벽체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며, 와이어루프 및 후크는 인접한 벽체간에 상호 겹치는 구간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벽체 조립중 부재간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는 벽체간 일체성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는 연결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벽체(10)의 측면에 와이어루프(50)가 구성되는 경우, 벽체가 시공될 위치에 미리 수직으로 벽체 설치용 철근(1)을 설치하고, 벽체의 하부면에는 슬리브(3)를 구성하여 벽체 설치용 철근(1)이 슬리브(3)에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벽체(10)를 세운 후에 슬리브(3)에 무수축 몰탈을 채우도록 한다. 또한,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60)의 연결용 철근(2)을 벽체(10)의 이음부에 미리 설치하고, 다시 연달아 인접한 벽체(10)를 시공하도록 하는데, 이때에는 슬리브(3)에 벽체 설치용 철근(1)이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벽체(10)를 시공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벽체(10) 간의 와이어루프(50)가 겹치는 구간(d)에서의 와이어루프(50) 간의 간섭이 발생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의 벽체(10)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체(10) 간 연결부에서 양측의 와이어루프(50)가 겹치는 중앙부에 수직으로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60)을 삽입하여야 하지만 이는 자립이 어려워 정확한 위치 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867300호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연결 철근이 노출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 철근을 가로지르며 배치된 정착 철근; 및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채워져서 상기 연결 철근과 상기 정착 철근을 감싸도록 현장에서 타설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 철근은 내부에 폐쇄 공간이 형성된 링형상으로서, 일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폐쇄 공간이 정면에서 보이도록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고,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서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연결 철근은 내부의 폐쇄 공간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정착 철근은 겹쳐진 폐쇄 공간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상기 연결 철근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높이를 달리하여 2곳 이상에 매립 설치되고, 높이를 달리한 연결 철근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정착 철근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기둥 철근에 결합되어 세트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부재간 간섭이 발생하며, 수직 보강철근의 자립이 어려워 정확한 위치 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867300호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씨벽체간 이음시에 피씨벽체의 측면에 연결철근을 구성하고, 피씨벽체를 수직으로 시공할 때에도 부재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의 설치가 용이하며,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과 연결철근이 결합하여 콘크리트 코어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일체거동하여 구조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피씨벽체간 이음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피씨벽체는 양측단부에 각각 전면과 후면에 돌출하도록 한 쌍의 마감턱이 구성되고, 한 쌍의 마감턱의 사이에서 높이방향 일정간격마다 마감턱보다 일정길이 더 돌출하도록 연결철근이 피씨벽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구성되며, 피씨벽체의 마감턱은 인접한 피씨벽체의 마감턱이 마주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의 내부에서는 양측 피씨벽체의 연결철근이 상호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피씨벽체와 피씨벽체의 마주하는 마감턱의 사이에 구성되는 실링용 백업재가 구성되고, n형으로 절골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양측 피씨벽체의 교차된 연결철근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끼워 고정하고 공간부의 내부에 모르타르를 충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연결철근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너트공이 통공된 정착부재가 연결철근에 1개 또는 그 이상이 체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피씨벽체의 일측과 타측에 구성된 연결철근은 엇갈린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피씨벽체의 일측과 타측에 구성된 연결철근은 평면상 엇갈리도록 전면과 후면에 각각 치우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은 일정거리 평행하게 이격되어 한 쌍이 양측 피씨벽체의 교차된 연결철근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는 피씨벽체간 이음시에 피씨벽체의 측면에 연결철근을 구성하고 연결철근이 겹치는 피씨벽체간 이음부에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피씨벽체를 수직으로 시공할 때에도 부재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의 설치가 용이하며,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과 연결철근이 결합하여 콘크리트 코어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일체거동하여 구조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1c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의 시공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1c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피씨벽체(10)와 피씨벽체(10)간의 이음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피씨벽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씨벽체(10)는 양측단부에 각각 전면과 후면에 돌출하도록 한 쌍의 마감턱(11)이 구성되도록 하여, 피씨벽체(10)간의 이음시에 피씨벽체(10)와 피씨벽체(10)의 마감턱(11)이 마주보도록 하여 피씨벽체(10)와 피씨벽체(10)의 사이에 공간부(15)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재간 간섭을 방지하도록 와어어루프나 후크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연결철근(12)을 구성하도록 한다.
연결철근(12)은 피씨벽체(10)의 측면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피씨벽체(10)의 내부에 매립되어 구성된다.
이때, 연결철근(12)은 한 쌍의 마감턱(11)의 사이에서 높이방향 일정간격마다 마감턱(11)보다 일정길이 더 돌출하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양측의 연결철근(12)이 겹쳐지는 구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결철근(12)은 강봉, 철근 등의 선재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잇으며, 특히, 연결철근(12)은 전체 길이 또는 일부 길이에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씨벽체(10) 및 공간부(15)에 타설되는 무수축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을 늘리면서도 인발저항력을 높여 피씨벽체(10)간의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철근(12)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연결철근(12)에는 정착부재(13)를 체결하여 구성하도록 할 수 있는데, 정착부재(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너트공(131)이 통공되도록 하여 연결철근(12)에 나사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정착부재(13)는 평면상 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철근(12)에 1개만 체결할 수도 있으며, 피씨벽체(10)의 두께에 따라 도 1a 및 도 2a에서와 같이 2개가 체결되거나, 도 1b 및 도 2b에서와 같이 3개가 체결되도록 하는 등 정착부재(13)는 1개 이상 다양하게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연결철근(12)의 공간부(15)에 돌출되는 부분에만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고, 피씨벽체(10) 내부에도 선택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철근(12)에 정착부재(13)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정착부재(13)가 무수축 콘크리트의 내부에서 정착부재의 역할을 하면서도 피씨벽체(10)간의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20)가 일정거리 평행하게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되면 도 1c에서와 같이, 공간부(15)에 모르타르를 충전하면 양측의 교차된 연결철근(12) 및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20)이 결합하여 콘크리트 코어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20)의 양측에 위치한 정착부재(13)에 의해 구조성능이 추가로 향상되도록 하여, 피씨벽체(10) 간의 벌어짐이나 뒤틀림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결철근(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5)의 내부에서 양측 피씨벽체(10)의 연결철근(12)이 상호 교차하여 구성되도록, 피씨벽체(10)의 일측과 타측에 구성된 연결철근(12)은 평면상 엇갈리도록 전면과 후면에 각각 치우쳐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씨벽체(10)의 일측과 타측에 구성된 연결철근(12)은 엇갈린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평면에서도 엇갈리도록 할 수 있으며, 정면에서도 높이방향으로 엇갈리게 구성되도록 하여 부재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도 구조성능을 높일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연결철근(12)이 형성되지만 벽체 두께에 따라 1개 이상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피씨벽체(10)의 일측과 타측에 구성된 연결철근(12)은 평면상 엇갈리도록 전면과 후면에 각각 치우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양측의 피씨벽체(10)와 피씨벽체(10)의 마주하는 마감턱(11)의 사이에는 공지의 다양한 실링재로 이루어지는 실링용 백업재(30)를 삽입함으로써 공간부(15)를 기밀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n형으로 절곡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20)을 양측 피씨벽체(10)의 교차된 연결철근(12)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끼워 고정하도록 한다.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20)은 강봉, 철근 등의 선재(線材)를 n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며, 양측 피씨벽체(10)의 교차된 연결철근(12)의 상부에서부터 끼워 최상부의 연결철근(12)에 거치되도록 한다. 연결철근(12)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피씨벽체(10) 전체 높이에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여러 개를 연속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20)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특히,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20)은 하나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 평행하게 이격되어 한 쌍이 양측 피씨벽체(10)의 교차된 연결철근(12)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끼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공간부(15)의 내부에 모르타르(30)를 충전하여 완성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는 피씨벽체간 이음시에 피씨벽체의 측면에 연결철근을 구성하고 연결철근이 겹치는 피씨벽체간 이음부에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피씨벽체를 수직으로 시공할 때에도 부재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의 설치가 용이하며,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과 연결철근이 결합하여 콘크리트 코어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일체거동하여 구조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피씨벽체
11 : 마감턱
12 : 연결철근
13 : 정착부재
15 : 공간부
20 :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
30 : 실링용 백업재(30)가 구성되고,

Claims (5)

  1. 피씨벽체(10)간 이음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피씨벽체(10)는 양측단부에 각각 전면과 후면에 돌출하도록 한 쌍의 마감턱(11)이 구성되고, 한 쌍의 마감턱(11)의 사이에서 높이방향 일정간격마다 마감턱(11)보다 일정길이 더 돌출하도록 연결철근(12)이 피씨벽체(10)의 내부에 매립되어 구성되며, 피씨벽체(10)의 마감턱(11)은 인접한 피씨벽체(10)의 마감턱(11)이 마주하여 내부에 공간부(15)를 형성하고, 공간부(15)의 내부에서는 양측 피씨벽체(10)의 연결철근(12)가 상호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피씨벽체(10)와 피씨벽체(10)의 마주하는 마감턱(11)의 사이에 구성되는 실링용 백업재(30)가 구성되고,
    n형으로 절곡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20)을 양측 피씨벽체(10)의 교차된 연결철근(12)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끼워 고정하고 공간부(15)의 내부에 모르타르(30)를 충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철근(12)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너트공(131)이 통공된 정착부재(13)가 연결철근(12)에 1개 또는 그 이상이 체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피씨벽체(10)의 일측과 타측에 구성된 연결철근(12)은 엇갈린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피씨벽체(10)의 일측과 타측에 구성된 연결철근(12)은 평면상 엇갈리도록 전면과 후면에 각각 치우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20)은 일정거리 평행하게 이격되어 한 쌍이 양측 피씨벽체(10)의 교차된 연결철근(12)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KR1020210041255A 2021-03-30 2021-03-30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KR10252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55A KR102523001B1 (ko) 2021-03-30 2021-03-30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55A KR102523001B1 (ko) 2021-03-30 2021-03-30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503A KR20220135503A (ko) 2022-10-07
KR102523001B1 true KR102523001B1 (ko) 2023-04-19

Family

ID=8359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255A KR102523001B1 (ko) 2021-03-30 2021-03-30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0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535A (ja) 2004-10-21 2006-06-08 Shimizu Corp 柱と梁の接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697A (ko) * 2000-03-17 2001-10-23 배종렬 루프바를 이용한 피씨 벽체의 이음부위 연결방법
KR20020028561A (ko) * 2000-10-10 2002-04-17 유승룡 보-기둥 접합부 헤드철근
KR101867300B1 (ko) 2017-08-30 2018-06-14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535A (ja) 2004-10-21 2006-06-08 Shimizu Corp 柱と梁の接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503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538B1 (ko) 더블 벽체 및 더블 벽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더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US10465374B2 (en)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frame structure
KR102004419B1 (ko)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US10125468B2 (en) Stay-in-place footing 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1519086B1 (ko) 프리캐스트 t형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교량 시공방법
KR101183785B1 (ko) 기둥 주각부 고정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기둥-기초판 접합구조
KR102523001B1 (ko)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20100066691A (ko) 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
KR101994089B1 (ko) 인발전단메쉬부재가 구성되며 넓은 폭을 갖는 현장 타설용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JP2017223047A (ja) カルバートの壁構造およびカルバートの壁構築方法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JP5509380B1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及び耐震補強構造
US3230683A (en) Overlapped precast panels and fastening means connecting the same
KR20160055330A (ko) 횡력저항 보강용 프리캐스트 벽체 및 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비내진 구조물의 내진 보강방법
JP748258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板状構造の構築方法
JP2787806B2 (ja) 土留め擁壁
KR10135763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평 전단 연결재
JP6684088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KR20230142117A (ko) 수직배치된 루프근 및 이음용 바를 이용한 피씨벽체의 연결구조
KR20200065965A (ko) 전단벽체 구조
JPH06185111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及び柱並びにこれらを使用した耐震壁の構築工法
JP36438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の連結構造
KR102453791B1 (ko) 보강 돌출부 및 연결 플레이트를 이용한 피씨 더블월
KR200273547Y1 (ko) 보강토옹벽 축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