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504A - 구강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504A
KR20060069504A KR1020067006491A KR20067006491A KR20060069504A KR 20060069504 A KR20060069504 A KR 20060069504A KR 1020067006491 A KR1020067006491 A KR 1020067006491A KR 20067006491 A KR20067006491 A KR 20067006491A KR 20060069504 A KR20060069504 A KR 20060069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wearer
orthodontic wire
denture
or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075B1 (ko
Inventor
조셉 다 크루즈
Original Assignee
조셉 다 크루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3905455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3905455A0/en
Application filed by 조셉 다 크루즈 filed Critical 조셉 다 크루즈
Publication of KR20060069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가철식 구강장치(10)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가철식 구강장치(10)는 착용자의 치아들의 치궁 내부에 위치하도록 적용되는 의치상(12)과 상기 의치상에 결합되는 교정용 철사(14)를 가지며, 상기 의치상(20)의 외부 표면이 치아들(17)의 내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해 외형이 성형되고, 사용시, 상기 교정용 철사(14)와 상기 의치상 사이에 상호연결이 상기 치아 세트의 매개로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교정용 철사가 착용자의 치아 세트의 외부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된다.
가철식 구강장치, 의치상, 교정용 철사

Description

구강 장치{Dental appliance}
본 발명은 구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교정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철식 구강 장치, 측두하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의 교합장치 요법 그리고/또는 근육의 기능과 안면과 구강의 발달을 바꾸기 위한 근기능 요법적인 행위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들은 두개골들과 봉합부분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근육 이완과 코를 통한 호흡을 만들어 내거나/개선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가철식 구강 장치(removable dental appliance)들은 선택된 수의 치아들 주위에 견고하게 장착된 치아용 클래스프(clasp)들을 사용하므로써 착용자의 턱에 설치되어 보유된다. 클래스프의 한 형태가 아담 클래스프(Adams' clasp)로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치아 주위에 꼭 맞게 장착된다. 기존의 가철식 구강 장치는 그 장치가 제자리에 견고하게 붙어 있도록 몇 개의 그와 같은 클래스프들에 의해 착용자의 턱에 고정되는 것이 상례이다. 그러나, 착용자의 턱에 상기 구강 장치의 그러한 꼭 맞는 장착은, 설치시, 특히 착용자의 치아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 장착할 때 종종 어려움을 겪게 한다. 더욱이, 그와 같은 종래의 가철식 구강 장치들은 종종 착용자의 턱에 너무 꼭 맞게 장착되어서, 정신적으로 또한 육체적으로도(예를 들면, 착용자 안면의 이를 악물고 있음(clenching)에서), 불편함과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착용자의 두개골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정한 치아들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제자리에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래스프들은 치아들이 움직일 수 있는 자유성이 적거나 또는 없도록 만든다. 그런 것처럼, 그 치아들은 다른 치아들에 대한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없어서, 치아를 뽑는 것이 보통 필요하게 된다.
기존의 가철식 구강 장치들을 착용하고 있는 환자들에 의해 경험 되는 불편함은 종종 환자가 장치를 착용하기 꺼리도록 만들고, 그에 따라 전형적으로 장치를 종종 그리고 연장된 기간들 동안 착용하는 것이 필수적인 치료에 역효과를 가져오는 낮은 수준의 순응도를 발생시킨다. 나아가서, 환자가 심지어 단지 며칠 동안 장치를 착용하지 않는다면, 그 치아들은 움직여서 그 장치가 더 이상은 적절하게 맞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상황들에서, 그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목적이 되는 효과를 성취하기 위한 의미에서 가격이 높거나 비생산적일 수도 있지만, 환자들의 턱의 새로운 본(impression)이 떠지고 그 장치가 수정되거나 또는 대체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아담클래스프들와 같은 클래스프들은 또한 잘 파손되는 경향이 있고, 특히 그 장치가 설치하기 힘든 상황들에서 그러하며, 또한 클래스프들이 적절하게 위치하기 위하여 충분히 솟아 나오지 않았을 수 있는 소아 환자들에서의 사용을 위해서는 보통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예들은 기존의 가철식 구강 장치들의 상기 단점들을 극복하거나 또는 적어도 경감시키도록 노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용자의 치아들의 치궁(arch) 내부에 위치하도록 적용되는 의치상(base)과 상기 의치상에 결합되는 교정용 철사(arch wire)를 가지는 가철식 구강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의치상의 외부 표면이 치아들의 내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해 외형이 성형되고, 사용시, 상기 교정용 철사와 상기 의치상 사이에 상호연결이 상기 치아 세트의 매개로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교정용 철사가 착용자의 치아 세트의 외부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용 철사는 상기 의치상의 한 측면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치궁의 외면을 따라 치아 세트의 외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한 의치상의 그외 다른 측면의 후방 부분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 장치는 착용자의 상악을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 장치가 사용될 때, 상기 교정용 철사가 의치상의 좌측 후방 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치궁의 좌측면 상의 후방 치아 뒤에서 밖으로 향하도록 하고, 치궁의 좌측면 외부를 따라 앞을 향하도록 하며, 치궁의 외측의 앞쪽 측면을 따라 우측을 향하도록 하고, 치궁의 외측의 우측면을 따라 뒤쪽을 향하도록 하고, 그리고 치궁의 우측면 상에 후방 치아 뒤에서 안쪽으로 향하도록 의치상의 우측 전방 부분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용 철사는 다수의 U-고리(U-loop)들을 결합한다. 한 예에서, 상기 교정용 철사는 4개의 U-고리들을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 장치는 착용자의 상악골을 확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확장 스크류(expansion screw)들을 장착한다. 한 특정한 예에서, 구강 장치는 좌측, 우측 그리고 전방 방향들에서 착용자의 상악골을 확대하기 위하여 3-방향(3-way)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들을 장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용 철사가 하나 이상의 C-클래스프들을 장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C-클래스프들이 C-클래스프의 단 하나의 말단 부분에서 교정용 철사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용 철사는 하나 이상의 L-레스트(L-rest)들을 장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치상이 아크릴(acrylic)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치상이 교합 장치인 것이다. 한 예에서 상기 교합 장치는 전방 교합 장치이다. 또 다른 한 예에서 상기 교합 장치는 후방 교합 장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착용자의 치아들의 치궁 내부에 위치하도록 적용되는 의치상과 상기 의치상에 결합되는 교정용 철사를 가지는 가철식 구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의치상의 외부 표면이 착용자의 턱의 일 측면 상의 치아 세트의 내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해 외형이 성형되고, 사용시, 상기 교정용 철사와 상기 의치상 사이에 상호연결이 상기 치아 세트의 매개로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교정용 철사가 착용자의 치아 세트의 외부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용 철사는 상기 의치상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치아 세트의 후방 치아 뒤에서 밖으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치아 세트의 외부 표면들과 접촉한 상태로 앞을 향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치아 세트의 앞쪽에서 안쪽으로 향하도록 상기 의치상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철식 구강 장치는 착용자의 상악을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치상은 제1 혀 부분과, 상기 제1 혀 부분과 반대되는 제2 혀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제2 혀 부분들은 탄성 부재에 의해 떨어져서 유지되고, 상기 제1 혀 부분은 상기 착용자의 턱의 한 측면 상에 제1 치아 세트의 내부 표면들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외형이 성형되고 상기 제2 혀 부분은 상기 착용자의 턱의 반대편 측면 상에 제2 치아 세트의 내부 표면들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외형이 성형되고, 사용시, 제1 교정용 철사는 상기 제1 혀 부분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제1 치아 세트의 전방 치아 뒤에서 밖을 향하고 있고, 상기 제1 치아 세트의 외부 표면들과 접촉한 상태로 전방을 향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치아 세트의 앞쪽 치아의 전방에서 안쪽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혀 부분까지 연장하고, 그리고 제2 교정용 철사는 상기 제2 혀 부분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제2 치아 세트의 전방 치아 뒤에서 밖을 향하고 있고, 상기 제2 치아 세트의 외부 표면들과 접촉한 상태로 전방을 향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치아 세트의 앞쪽 치아의 전방에서 안쪽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2 혀 부분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교정용 철사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C-클래스프들을 장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클래스프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C-클래스프의 단지 하나의 말단 부분에서 교정용 철사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 장치는 착용자의 전방 치아들을 앞쪽으로 몰아 주기 위해 전방 철사들 또는 스프링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단지 예를 통해서만,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하부 쪽(다시 말해, 상악의 조직으로부터 방향이 원위치에서 빗나가도록 향한 표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강 장치의 상부 표면(다시 말해, 상악의 조직으로부터 방향이 원위치에서 빗나가도록 향한 표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구강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강 장치의 하부 쪽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하부 쪽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강 장치의 하부 쪽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하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강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구강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하부 쪽의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구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a)는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하부 쪽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하부 쪽의 사시도이고, 그 장치는 어떤 전방 교합 장치를 가지지 않는다
도 13(c)는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하부 쪽의 사시도이고, 그 장치는 순측 치궁(labial bow) 부분으로 교정용 철사를 가지지만 어떤 전방 교합 장치를 가지지 않는 장치이다;
도 14는 착용자의 턱들 상에 위치에 도시된,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와 하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상악에 맞추어진 것으로 보여지는 구강 장치의 하부 쪽의 모식도이다;
도 16은 상악에 맞추어진 것으로 보여지는 구강 장치의 하부 쪽의 모식도로서, 그 장치는 어떤 전방 교합 장치도 가지지 않는다;
도 17 두 개의 C-클래스프들과 구강 장치의 교정용 철사 부분의 도식적 측면도이다;
도 18은 하악에 맞추어진 것으로 보여지는 구강 장치의 도식적 상면도이다;
도 19는 상악에 맞추어진 것으로 보여지는 구강 장치의 하부 쪽의 모식도이다;
도 20은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도식적 횡단면의 측면도이고, 그 장치는 구부러진 교합 장치를 가지고 있다;
도 21은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도식적 횡단면의 측면도이고, 그 장치는 평면적 교합 장치를 가지고 있다;
도 22은 상악을 위한 구강 장치의 도식적 횡단면의 측면도이고, 그 장치는 상악에 관련되어 하악 앞쪽으로 잠겨지기 위한 교합 장치를 가지고 있다 ;
도 23은 상악에 맞추어진 것으로 보여지는 하부 쪽의 모식도이고, 그 장치는 Z-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도 24는 하악에 맞추어진 것으로 보여지는 구강 장치의 도식적 상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구강 장치의 부분의 도식적인 우측의 측면도이고, 그 장치의 두개의 C-클래스프들과 교정용 철사의 부분을 보여지고 있다;
도 26는 착용자의 턱에 맞추어진 것으로 보여지는 구강 장치의 도식적 측면 횡단도이다;
도 27은 치아들 중 한 치아 상에 Z-스프링의 시술을 보여지는 세 개의 치아들의 도식적 정면도이다;
도 28은 구강 장치의 교정용 철사에서 U-고리들의 시술을 보여지는 세 개의 치아들의 도식적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9는 구강 장치의 교정용 철사에서 L-레스트들의 시술을 보여지는 세 개의 치아들의 도식적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가철식 구강 장치(10)는 착용자의 상악을 위한 것 이고 의치상(12)에 결합되어 있는 입술측 교정용 철사(14)로 아크릴 의치상(12)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모델 상악에 맞추어진 구강 장치를 보여준다. 구강 장치의 의치상(12)은 치궁(16)의 내부에 위치하기 위해서 모양이 만들어지고, 의치상(12)은 착용자의 입 천장에 대항하여 고정되도록 구부러진 위쪽 부분(18)에 형성된다. 의치상(12)의 외부 표면(20)은 착용자의 치아들(17)의 내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하여 외형이 성형된다. 교정용 철사(14)는 치궁(16)의 외측을 따라서 치아들(17)의 내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하여 의치상(12)의 한 측면 후방 부분(22)으로부터 의치상(12)의 또 다른 측면 후방 부분(24)까지 연장된다.
의치상(12)은 냉간 경화된(cold cured) 또는 열경화된(heat cured) 보철물(denture) 아크릴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정돈되거나 또는 다른 경우에 치아들에 적용되기 위해 요구되는 압력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구강 장치(10)가 사용될 때, 교정용 철사(14)는 의치상(12)의 좌측 후방 부분(24)로부터 연속적으로, 치궁의 좌측면 상의 후방 치아(26) 뒤에서 밖으로 향하도록 하고(참조 번호 25를 보라), 치궁(16)의 좌측면 외부를 따라 앞을 향하도록 하며(참조 번호 28을 보라), 치궁(16)의 외측의 앞쪽 측면을 따라 우측을 향하도록 하고(참조 번호 30을 보라), 치궁(16)의 외측의 우측면을 따라 뒤쪽을 향하도록 하고(참조 번호 32를 보라), 그리고 치궁(16)의 우측면 상에 후방 치아(36) 뒤에서 안쪽으로 향하도록(참조 번호 34를 보라) 의치상(12)의 우측 전방 부분(22)까지 연장된다. 또한 교정용 철사(14)는 4개의 U-고리들(38)을 결합하고, 그 고리들은 구강 장치(10)의 사용에 의해서 제공되는 효과들을 알맞게 하기 위해 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4개보다 많거나 작은 U-고리들이 교정용 철사(14)에 형성될 수 있지만, 출원인은 4개의 U-고리들이 좋은 보정 속성들을 유지하면서 적당한 정도의 유연성을 상기 교정용 철사(14)에 제공한다는 것을 판단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강 장치(10)는, 또한, 좌측, 우측 그리고 전방 방향들에서 착용자의 상악골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3개의 확장 스크류들(42, 44, 46)을 포함하는 3-방향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40)을 장착하고 있다. 확장 스크류들(42, 44, 46) 각각은 착용자의 상악골에서 목적하는 형태에 따라 의치상(12)의 효과적인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교정 치과 의사 또는 환자에 의해 사용되는 연장(보이지는 않는다)을 수령하기 위한 구멍(aperture)들을 갖고서 제공된다. 의치상(12)은 3개의 분리된 패널들(48, 50, 52) 속으로 분할되는 의치상(12)에서 형성된 브레이크들(47)의 덕택으로 확장 스크류들(42, 44, 46)의 조절에 응답하여 확장할 수 있다. 이런 장치에서 확장 스크류들(42, 44, 46)에 의해 제공되는 효과는 교정용 철사(14)가 치궁(16) 주위에 있고 기존의 이전에 제안되었던 구강 장치들을 사용하는 경우에서 흔히 있는 것처럼 치아들(17)을 붙잡거나 또는 해를 가함이 없는 것과 같이 유익하다. 그와 같이, 본 장치는 착용자의 신경계와 근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들을 제공한다.
의치상(12)은, 착용자의 하악이 교합 장치를 교합하고 있을 때, 하악을 앞으로 당겨주고 착용자의 턱과 목이 근육들을 이완시켜주기 위하여 평면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경사가 져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전방 교합 장치(53)를 포함한다. 아크릴 의치상(12)은 착용자의 턱에 제공되기 위한 목적하는 형태에 따라서 형성된다. 전방 교합 장치는 착용자의 치아를 잘 정리하는데 도움을 주어 수직피개 교합(deep bite)이 없고 바닥 치아의 정당한 양이 보여지도록 한다. 시간이 경과하면, 클렌칭 저해제(clenching inhibitor)로서 작동하는 전방 교합 장치의 사용을 통하여 수직피개 교합은 교정될 수 있고 이를 악무는 것도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서, 교합 장치의 효과와 상악골의 확장(widening)은 TMJ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이전에 턱을 벌리는데 제약이 있어서 고통을 받았던 착용자들이 입을 벌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후방 교합 장치들도 또한 전방 교합 장치를 대신해서 사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Ⅲ 분류군의 부정교합들(Class Ⅲ malocclusions)의 경우인데, 특별히 소아들에서의 경우이다.
C-클래스프(54)는 착용자의 치아들(17)에 대해 구강 장치(10)의 치열 보정(retention)을 보조해주기 위하여 교정용 철사(14)의 각 측면 상에 납땜이 된다. 또한 교정용 철사(14)의 각 측면은 교정용 철사(14)가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L-레스트(56)를 장착한다.
도 4, 5 그리고 6, 7에 도시된 구강 장치(1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구강 장치(10)에 대해 여러 관점들에서 유사하고, 유사한 특징들이 유사한 참조 번호들에 의해 지시되고 있다. 그러나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구강 장치는 그 장치가 변화하고, 보다 비대칭적이며, 특정한 경우의 환자에게 적합한 기하학적 성질, 1-방향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58)(그리고 상응하여 의치상(12)의 크기 조정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의치상(12)에서의 단 하나의 브레이크(47)), 그리고 교정용 철 사(14)가 단 2개의 U-고리들(38)을 가지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구강 장치(10)는 두드러지게 비대칭적인 기하학적 성질, 그리고 1-방향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58)을 가지고 있지만, 교정용 철사(14) 속으로 결합된 여섯 개의 U-고리들(38)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예들에 따라서 만들어진 구강 장치들은, 특히 교정용 철사의 치아 배열 덕택으로, 장치의 무난한 부착이 가능하고 반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치아들에 적절한 압력을 여전히 제공한다.
도 8, 9 그리고 10에 도시된 가철식 구강 장치(60)는 착용자의 하악을 위한 것이고, 하악의 모델에게 부착되어서 도 8 와 9에서 보여지고 있다. 구강 장치(60)는 제1 혀 부분(64), 제2 혀 부분(66) 그리고 W-유형의 코핀 스프링(W-type coffin spring)의 한 종류의 형태로서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의치상(62)를 포함한다. 제1, 제2 혀 부분들(64, 66)은 착용자의 하악골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특히 착용자가 또한 그의 또는 그녀의 상악 상에 구강 장치를 부착시키고 상악골의 확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악골을 확장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조정될 수도 있는 탄성 부재 68에 의해 분리되어 부착된다. 제1 혀 부분(64)는 착용자의 하악의 한 측면 상에 치아들의 첫째 세트(70)의 내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하여 외형이 성형되고, 제2 혀 부분(66)은 착용자의 하악의 또 다른 측면 상에 치아들의 제2 세트(72)의 내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하여 외형이 성형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할 때, 제1 교정용 철사(74)는 제1 혀 부분(64)의 후방 부분(76)으로부터, 상기한 치아들의 첫째 세트(70)의 후장 치아(80)의 뒤에서 밖으로 향하도록 하고 (참조 번호 78를 보라), 상기한 치아들의 첫째 세트(70)의 외부 표면들과의 접촉 상태에서는 앞을 향하도록 하며(참조 번호 82를 보라), 상기한 치아들의 첫째 세트(70)의 앞쪽 치아(86)의 전방에서는 안으로 향하도록 하여(참조 번호 84를 보라) 제1 혀 부분(64)까지 연장한다. 유사하게, 제2 교정용 철사(88)는 제2 혀 부분(66)의 후방 부분(90)으로부터, 상기한 치아들의 제2 세트(72)의 후장 치아(94)의 뒤에서 밖으로 향하도록 하고 (참조 번호 92를 보라), 상기한 치아들의 제2 세트(72)의 외부 표면들과의 접촉 상태에서는 앞을 향하도록 하며(참조 번호 96을 보라), 상기한 치아들의 제2 세트(72)의 앞쪽 치아(100)의 전방에서는 안으로 향하도록 하여(참조 번호 98를 보라) 제2 혀 부분(66)까지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치아들의 제1, 제2 세트들(70, 72)의 각각은 소구치들에서 구치들까지의 치아들을 포함한다.
제1, 제2 교정용 철사들(74, 88)의 각각은 착용자의 하악에 구강 장치(60)의 보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각 교정용 철사(74, 88)에 납땜을 하여 두 개의 C-클래스프들(102)을 장착한다. 또한, 구강 장치(60)는 착용자의 전방 치아들(106)을 앞으로 몰아 주기 위하여 전방 철사들 또는 스프링들(104)을 장착한다.
의치상(62)는 정돈되거나 또는 다른 경우에 치아들에 적용되기 위하여 요구되는 압력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도 11과 12는 모델 상악에 부착되는 가철식 구강 장치(10)를 보여준다.
상기 장치는 3-방향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40)을 제공받고, 전방 교합 장치(53)를 가지고 있다. 교정용 철사는 C-클래스프들(54)을 장착한다. 도 12에서 보여지는 대로, 이러한 경우에는 C-클래스프들이, 교정용 철사에 그들의 중심 부분에 서 부착된 C-클래스프에 비교할 때에 보다 긴 캔틸레버(cantilever) 부분을 가지는 "긴(long)" C-클래스프에 통하여 개선된 치열 보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직 그들의 하나의 말단 부분에서만 교정용 철사(14)에 부착된다. 캔틸레버는 그리하여 보다 큰 정도로 교정용 철사(14)에 상대적으로 유연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정용 철사(14)는 교정용 철사(14)가 환자의 치아들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L-레스트들(56)을 갖고서 제공된다.
도 13 (a)은 상악을 위한 3-방향 적합성(3-way adjustable) 가철식 구강 장치(lOa), 전방 교합 장치(53)를 가지는 장치(10a)의 의치상(12)을 보여주고 있다. 장치(10a)는 상악의 앞쪽 치아들의 입술측 표면들에 대항하여 지대(abutment)를 위한 전방의 입술측 치궁 부분(108)과 함께 교정용 철사(14)를 가지고 있다. 도 13(b)는 또 다른 가철식 구강 장치(10)를 동일한 환자에 대해 보여주고 있는데, 이 도면에서 전방 교합 장치 또는 교정용 철사(14)에 대한 입술측 치궁이 없어서 그 장치가 환자가 보다 더 쉽게 말할 수 있게 하고, 환자의 위쪽 치아들의 앞쪽을 가로질러 아무 철사도 보이지 않는다. 도 13(b)는, 상악의 앞쪽 치아들의 혀측 표면들에 대항하여 지대를 위한 의치상(12)의 전방 부분은 없어서, 앞쪽 방향에서 의치상(12)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은 없고 2-웨이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40)이 충분하다.
도 13(c) 상악을 위한 또 다른 하나의 가철식 구강 장치(10)를 보여주는데, 도 13(b)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하고, 어떤 전방 교합 장치도 가지지 않으며, 반면에 그 장치는 교정용 철사(14)에 대하여 전방의 입술측 치궁 부분(108)을 가지고 있다. 이런 치아 배열은 입술측 치궁 부분(108)을 통하여 상부의 앞쪽 치아들을 안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반면에 환자가 전방 교합 장치를 없앰으로 인하여 말할 수 있는 보다 큰 자유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3(b)의 장치에서와 같이, 도 13(c)의 장치는 2-웨이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40)을 가지고 있다.
도 14는 환자의 상악과 하악들 상에서 제자리에 부착되는 상악과 하악들을 위한 구강 장치들(10, 60)을 보여주고 있다. 환자의 위쪽 견치들(110)의 각각은 교정용 철사(14)가 환자의 치아들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예방하고, 또한 제 위치로 견치들(11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교정용 철사(14)의 부분들(114)에 대항하여 지대할 수 있는 복합 버튼들(112)을 장착한다.
도 15는 환자의 상악에 부착되는 구강 장치(10)를 나타내 주는 다이아그램을 보여주고 있다. 장치(10)의 의치상(12)은 3-방향 이동이 3-방향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40)을 통해서 효력이 있도록 갈라진다. 일반적으로, 의치상(12)의 절단은 그 위에서 이동되는 치아들에 의존적이다. 예를 들면, 이 도면에서 묘사된 장치에서, 절단될 때의 앞쪽 갈라짐들(116)은 전방 패널(52)이 위쪽 견치들(110)을 포함하도록 하여, 도 11의 장치(10)에 반대되어서 위치가 정해지는데, 그 장치에서 의치상(12)은 절단되어 전방 패널(52)이 견치들(110)을 제외시킨다.
도 16은 또 다른 가철식 구강 장치(10)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 13(b)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하게, 전방 교합 장치 또는 교정용 철사(14)에 대한 입술측 치궁이 없다. 그 장치의 의치상(12)은 2-웨이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40)을 통하여 조정 가 능한 2-웨이 갈라짐을 가지고 있다. 도 17은 C-클래스프들(54)가 교정용 철사(14)에 그들의 중심 부분들에서 납땜이 되는 것으로 보여지는 도 16의 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9는 상악 상에서 제자리에 있는 가철식 구강 장치(10)를 보여주고 있다. 그 장치는 3-방향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40)을 가지고 있고 의치상(12)의 전방 패널(52)가 견치들(110)을 포함하기 위하여 절단된다. 그러나, 도 15의 장치(10)에는 대조적으로, 의치상(12)의 절단은 달라서, 의치상(12)가 기전(40)의 스크류들을 조이는 것에 의해서 서로 수축되고, 의치상(12)의 측면 패널(48, 50)은 라인(118)을 따라서 지대 속으로 유도된다.
도 20 내지 22는 상악들을 위한 가철식 구강 장치들의 교합 장치들(53)의 다른 배열들을 보여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0이 하악을 앞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만곡된 교합 장치들을 보여주고 있고, 도 21은 평면적 교합 장치(53b)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리고 도 22는 상악에 상대적으로 하악을 적극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쑥 들어간 교합 장치(53c)를 보여주고 있다. 교합 장치는 혀의 의치상에서 그리고 인후 주위에서 목의 근육들과 연조직들의 즉각적인 느슨해짐이 가능하게 하고, 보다 나은 호흡과 근육의 이완을 만들어 가면서, 턱을 앞쪽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한다. 교합 장치는 환자의 상부의 앞쪽 치아들의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선택사양으로 특정한 경우의 요구들에 의존적으로 견치들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23은 상악에 부착된 가철식 구강 장치(10)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 장 치(10)는 견치들(110)이 교합에 이를 수 있도록 첫째 스프링(120)을 장착하고 있고, 반대 교합(crossbite)을 수정하기 위하여 Z-스프링(122)의 형태로서 둘째 스프링을 장착한다. 상악 아니면 하악을 위한 구강 장치들이 착용자의 치아들의 이동을 맞추기 위하여 스프링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스프링들은 교정용 철사에 납땜시킴에 의하여, 또는 아크릴 의치상에 삽입됨으로 해서 부착될 수 있다.
Z 스프링들은 장치를 안정하고 구강 밖으로 이탈되는 것으로부터 예방하기 위하여 스프링 바로 위에 치아에 결합된 복합 충진 물질의 소량을 채택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프링 등이 납땜을 하지 않고 금속 본딩과 레진(resin)을 사용하여 교정용 철사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구강 장치(10)는 한 쌍의 "긴" C-클래스프들(54)을 포함하고 있고, 그 클래스프들의 각각은 C-클래스프(54)의 오직 하나의 말단 부분에서만 교정용 철사(14)에 납땜된다.
도 24는 네 개의 "긴" C-클래스프들(54)을 포함하고 있는 하악을 위한 가철식 구강 장치(10)를 보여주고 있고, 그 클래스프들의 각각은 클래스프(54)의 캔틸레버 부분에 보다 긴 길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C-클래스프(54)의 오직 하나의 말단 부분에서만 교정용 철사(14)에 납땜된다. 도 25 는 도 24의 구강 장치(10)의 우측 측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C-클래스프들(54)가 교정용 철사(14)에 납땜되는 방법을 뚜렷하게 묘사해주고 있다. 앞에서 논의된 대로, 교정용 철사(14)로부터 매달려진 보다 긴 캔틸레버 부분에 의하여, "긴" C-클래스프들은 교정용 철사에 중심 부분에서 부착된 C-클래스프에 비교할 때 개선된 치열 보정을 제공한다. 캔틸레버 부분은 보다 큰 정도로 교정용 철사(14) 에 상대적으로 유연할 수 있고, 그에 의하여 개선된 봉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26은 환자의 상악에 부착될 때 구강 장치(10)의 측면 횡단면도를 보여준다. 복합 충진 물질은 보정의 목적들을 위한 보다 큰 언더컷(undercut)을 제공하기 위하여 참조 번호 124에 의해 지시되는 것처럼 치아들 상에 추가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아기들의 치아들에 구강 장치를 보유시킬 때 어려움들이 있는 경우에서 유용하다. 복합물(composite)은 또한 교정용 철사의 위치를 잡을 때와 또한 견치를 입술측으로 또는 혀측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치아들을 이동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치아들에 적용될 수 있다(도 28과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예들에 의하면 구강 장치들은 착용자의 턱 또는 턱들에 손쉬운 설치를 가능하도록 해주고, 치아들이 이동할 수 있는 보다 큰 자유를 허용함으로써, 기존의 이전에 제안되었던 구강 장치들에 비교할 때 더욱 편안하다. 나아가서, 치궁들이 본 발명의 장치의 사용에 의해 확장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발치가 필수적인 경우가 감소된다. 클래스프와 교정용 철사의 치아 배열은 이전에 제안되었던 장치들에 비교할 때보다 다양성 있는 상황들에서 사용될 수 있고, 심지어는 낮은 치열 보정을 가진 이전의 경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치열 보정은 확장 스크류를 조정하고 아크릴을 정돈함에 의해서 개선될 수 있고, 그러므로 압력이 밖으로 향하여 이동할 필요가 있는 치아들에게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압력은 온화하게 천천히 가해져야 하고, 확장은 치아들이 보다 큰 자유를 가지고 재배열되는 것이 가능하게 해준다. 그러한 재배열은 교정용 철사와 보조적인 철사들 또는 교정용 철사에 납땜 되었거나 아니면 아크릴 속으로 고정된 스프링들에 의해서 지시될 수 있다. 소구치들과 구치들의 약간의 측면으로의 확장은 올바르게 실행된다면 두개 봉합 상에 압력이 턱의 제한을 변화하는 정도들로 편안하게 해주면서 자유롭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고, 그에 의하여 신경계에도 이로운 효과를 가지게 된다. 입이 크게 벌어질수록 전체적 몸체가 더욱 이완된다.
아크릴이 내부에 있는 방식과 교정용 철사가 외부에 있는 방식 때문에, 치아들은 조화로움을 성취하기 위하여 6 방향들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 방향은 앞쪽으로 뒤쪽로, 나란히 그리고 위쪽으로 아래쪽으로의 방향이다.
장치의 생산
환자를 위해 위에서 기술된 대로 구강 장치를 생산하기 위하여 환자의 턱들의 본들이 떠지고, 턱의 모델들이 이들 본들로부터 만들어진다. 본들과 모델들은 높은 정도의 정확성을 가져서 장치가 잘 맞고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하는 바이다.
디테일(detail)은 바로 맨 뒤의 치아들에 넘어가야 하고, 맨 뒤의 치아들을 포함한다. 아래 쪽의 본들은 가능한 설판(lingual plate)의 많은 부분을 요구한다. 본들이 알기네이트(alginate)를 사용하여 떠질 때, 그 본들은 건조가 다 되기 전에 부어져야 한다. 모델들은 습기가 있도록 유지되었다면 그 다음날 다 부어질 수 있다. 고무 본들도 또한 좋을 수 있다. 그 고무 본들은 연구 모델들을 포함하여 여러번 붓는 선택 사양을 제공한다.
알기네이트의 새로운 유형, 컴 고무(cum rubber)는 문제점의 해결사가 될 수 있다; 실험실들에 우송할 때에 보다 가볍고 또한 스태프들에게도 보다 적은 노동이 필요하다. 본들을 뜰 때에, 본의 물질을 지지하기 위한 적절한 트레이를 선택한 후에, 적재되는 본은 거꾸로 초회에 압착되어야 한다. 이로서 환자의 입을 막아버릴 수 있음을 피하게 될 것이고, 또한 목의 뒤 편으로 물질을 밀어버리는 것을 예방하게 될 것이다. 스태프는 양호한 혼합물을 보증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혼합물이 너무 흐르는 상태가 아니어야 한다.
실험실에 대한 지시 사항들
a) 장치에 대한 두 가지의 기초적 다자인들과 몇 가지의 변형들이 있다. 주로 실험실은 기초적 디자인인 표준 상악 또는 표준 하악 장치를 요청받는다. 그 ㅍ표준 상악 장치는 두 가지의 주된 변형들을 가지고 있다; 입술측 치궁을 가지는 것 또는 입술측 치궁을 가지지 않는 것. 가지지 않는 장치는 말을 해야할 필요가 있는, 또는, 심미적 이유들로, 정면에서 보여지는 어떤 철사도 원하지 않는 환자들을 위한 것이다.
TMJ 문제가 있을 때마다. 상악 장치는 보다 잘 제어할 수 있도록 3-방향들에서 확장 가능한 TMJ 표준 3-방향 유형이어야 한다. 만약 어떤 교합 장치로 되지 않을 것이고, 팔렛트(palate)는 정면에서 자유롭다면, 그 후 20-방향 유형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b) 외부의 입술측 치궁은 디자인에서 표준적인 것이지만 수정될 수 있고 제 자리로 견치들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핑거 스프링(finger spring)들을 추가하는 것, 또는 어떤 치아들 상에 선택된 압력을 가하는 것과 같은 추가들도 이루어 질 수 있다. C-클래스프들을 통한 치열 보정은 치아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철사에 납땜을 하거나 또는 레이저 처리를 받는다.
또한 U-고리들을 조정함에 의해서 조여지거나 또는 느슨하게 될 수 있는 교정용 철사로부터의 마찰적 치열 보정도 있다. 적절한 치열 보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아들 상에 복합물 버튼들을 입술측으로 또는 혀측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치열 보정이 양호할 때, 환자 순응도가 더욱 좋을 것이다. 만약 어떤 문제점이 있으면, 그 결과들에 길항하려고 하기보다는 차라리 본을 다시 떠서 다시 맞추거나 또는 다시 만드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기쁜 뉴스는 비록 환자가 오랜 시간 동안 이 장치들을 착용하지 않았더라도, 일정한 중압(strain)이 철사를 닳게 ㅎ하고 파손시키는 원인이 되는 아담스 유형의 장치들을 사용할 때에는 그 장치는 상당히 쉽게-이와 달리 다시 맞추어질 수 있을 것이다.
c) Ⅲ 분류군의 경우들은 약간 다르고 대부분은 오직 후방 교합 장치들을 가지는 상부 장치만을 요구한다. 3-방향 확장은 가능한한 많은 상악골의 성장을 만들어내도록 요구된다. 때로는 교합을 열어서 하부의 구치들에 복합물들을 첨가하여 중심부들과 측면들이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적어도 가장자리 을 가능하게 하고 절치 대 절치 교합(edge-to-edge bite)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가치가 있다.
치료법을 개시하기 전 취해야 할 기초적 기록들
1. 결손된 치아들 또는 비정상적으로 위치한 치아들, 또는 파절(fracture)들과 같이, 어떤 비정상성을 찾기 위한 오르토 판토모 그램(Ortho Pantomo Gram (OPG)) .
2. 어려운 경우들에서 그리고 표준치 기록으로서 유용할 수 있는 두부 방사선사진(Cephalogram).
3. 연구 모델들-이는 현재로부터 미래의 변화들을 예측해보기 위한 시작점이다.
4. 보증할 수 있는 관리가 이루어 지고 위생적 제어이 이루어진다.
5. 완전한 영양적 약력.
6. 편도선들과 호흡에 대한 양호한 시각적 검사. 편도선의 크기을 확인하시오(호두, 플럼, 올리브 또는 완두콩). 개그 반사(Gag reflex)는 목의 염증과 또는 민감성을 알려준다.
7. 환자에게 유제품, 글루텐(gluten), 휘트밀, 호밀, 등과 같은 곡물들, 그리고 설탕을 피하도록 권고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또한, 쵸콜렛, 커피와 같은 갑상선을 과잉 자극하는 식품들은 피하여야 한다.
8. 턱의 운동들과 측정치들, 그리고 편차들의 범위. 턱을 벌리는 것을 측정하는 것은 반드시 해야 할 사항이다. 그것은 근육 이완의 가장 좋은 지시자들 중 하나이다. 입을 크게 벌릴 수록, 호흡과 머리의 자세가 더 편안해지는데, 몸의 고통이 경감되고, 특별히 두통도 경감된다.
9. 사진에 의한 기록들이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안면과 전체 몸의 사진의 구조에서, 진행되는 변화들을 그려내는 데 매우 유용하다.
10. 혈액 검사들이 내분비적 문제점들을 보이는 몇 환자들에게 필요할 수 ㅇ있다.
11. 전체적인 건강 설문이 고령 환자들에서 유용하다.
12. TMJ의 경우들에서, 전체적인 터프트(Tufts) 설문이 귀의 통증; 목의 경직; TMJ 통증; TMJ 관절의 소리(joint click); 두통; 안면 통증; 팔의 통증/자통/마비감; 목의 통증/경직; 등 상부의 통증/경직; 하체의 통증/경직, 그리고 악관절의 운동의 범위와 같은 병적 상태들을 명시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13. 근육 수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올바른 대칭적 자세에서 하악과 상악을 선을 정돈하기 위한 모델들의 기하학적 분석.
장치 조정에 관한 조언들
치열 보정은 전방의 치아들 상에 언더컷 또는 Z 스프링들을 위한 버튼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설 측 또는 볼 측의 표면에 복합물들을 추가함에 의해서 증가될 수 있다. 복합물은 견치들을 들어 올리거나 또는 견치들을 제자리로 끌어 당기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철사들은 납땜이 되거나 또는 아크릴 상에 붙여질 수 있다.
스프링들은 빈번하게, 적어도 주마다 가볍게 조정되어야 하며, 그래야 그 다음 그 결과들이 매우 신속하다. 복합물들의 버튼은 스프링들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예방하고 또한 그 장치의 치열 보정에서 도움을 준다.
금기 사항들
통증 또는 너무 과도한 압력을 만들지 마시오. 버팀 장치는 만약 완벽함이 목적하는 것이라면, 정련되고 완성된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사용에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들에서 버팀 장치들은 필요하지 않다. 아직 솟지않은 견치들의 위치는 측면의 전치(incisor)를 하기에 앞서 결정되어야 하는데, 치근들에 상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이다. TMJ와 교합의 균형 맞추기는 보다 어려운 경우들에 대해서는 필수적일 수 있다. TMJ 경우들은 본 방법으로 매우 쉽게 교정될 수 있다. 그들을 이동시키기 전에 치아들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 또한 권고 된다.
치열 교정학적인 변화들은 낮이나 밤에도 착용되는 장치들을 요구하고 있지만, 반면에 몇 경우들은 단지 밤 시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구강 장치들은 예들을 통해서만 기술되어 왔고 수정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능하다. 또한, 그외 다른 특징들이 필수적으로 치아들을 이동하는 것이 요구되는 교정용 철사 또는 의치상에 추가될 수도 있다. 입술 보호대(Lip bumper)들이 또한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예들에 의한 구강 장치들은 다음에 오는 장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 버팀 장치들을 사용하기 전에 단순한 그리고 몇 가지의 복잡한 치열 교정 경우들의 치료에서, 특히 어린 소아들에 대한 치료에서. 몇 가지 경우들에서 버팀 장치들은 완전히 배제될 수 있다.
- 두통과 긴장성 통증을 경감시키고, 턱을 벌릴 때 보다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TMJ의 치료에서.
- 안면의 형태에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안면을 클렌칭(clenching)하고 스퀴징(squeezing)하는 치료에서, 그리고 가능한한 초기에 상악골을 확장시킴에 의해 구강 호흡의 패턴들을 변화시키는 몇 가지의 경우들에서.
- 클렌칭 패턴들에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부목으로서.
- 위쪽 입술을 조여주고 턱과 목의 근육들은 느슨하게 만들기 위하여.
- 수면 무호흡과 야뇨증 또는 수면 곤란증의 치료를 위해서 .
- 개선되는 호흡을 위한 천식의 치료에서.
- 성장을 바꾸어 주고 치아의 발달과 근육의 기능을 잘 인도해주고 그리고 나쁜 습관들은 교정해주기 위한 능동적 또는 수동적 TMJ 장치
- 버팀 장치들이 제거된 후에 치열 교정 치료를 정련시키고 유지하도록 하며 심지어 완성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열 보정 장치로서.
- 안면의 고르지 못한 근육의 수축 때문에 생긴, 어느 정도의 비대칭적 턱들과 미소 주름(cant)의 각이 난 모양을 교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 편도선들과 선증식 비대들을 축소시키고, 그리고 호흡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경우에서.
- 편두통들, 두통들, 목의 문제점들, 반복사용증후군(RSI), 허리 통증과 다리 통증, 이명증 그리고 코골이의 치료에서.
본 시스템은 또한 버팀 장치들로 좋은 결과를 보지 못했거나 또는 버팀 장치가 너무 비싼 경우의 사람들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단순하고 쉬운 방식으로 부정교합과 TMJ 문제점들을 고치기 위해서 또 다른 대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선행하는 기술에 대한 참조는 그 선행하는 기술이 호주에서 보통 일반적 지식의 한 부분을 형성한다는 것에 대한 확인 또는 제안의 어떤 형태로서 간주되지 않으며, 그리고 간주되지 말아야 한다.

Claims (23)

  1. 착용자의 치아들의 치궁 내부에 위치하도록 적용되는 의치상과 상기 의치상에 결합되는 교정용 철사를 가지며,
    상기 의치상의 외부 표면이 치아들의 내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해 외형이 성형되고, 사용시, 상기 교정용 철사와 상기 의치상 사이에 상호연결이 상기 치아 세트의 매개로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교정용 철사가 착용자의 치아 세트의 외부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철사는 상기 의치상의 한 측면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궁의 외면을 따라 상기 치아 세트의 외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한 의치상의 그외 다른 측면의 후방 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장치는 착용자의 상악을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장치가 사용될 때, 상기 교정용 철사가 상기 의치상의 좌측 후방 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치궁의 좌측면 상의 후방 치아 뒤에서 밖으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치궁의 좌측면 외부를 따라 앞을 향하도록 하며, 상기 치궁의 외측의 앞쪽 측면을 따라 우측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치궁의 외측의 우측면을 따라 뒤쪽을 향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치궁의 우측면 상에 후방 치아 뒤에서 안쪽으로 향하도록 의치상의 우측 전방 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철사는 다수의 U-고리들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철사는 4개의 U-고리들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장치는 착용자의 상악골을 확장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확장 스크류들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장치는 좌측, 우측 그리고 전방 방향들에서 착용자의 상악골을 확대하기 위하여 3-방향 확장 스크류 메커니즘들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철사가 하나 이상의 C-클래스프들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C-클래스프들이 상기 C-클래스프의 단지 하나의 말단 부분에서 교정용 철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철사는 하나 이상의 L-레스트들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치상이 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치상이 교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 장치는 전방 교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 장치는 후방 교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16. 착용자의 치아들의 치궁 내부에 위치하도록 적용되는 의치상과 상기 의치상에 결합되는 교정용 철사를 가지며,
    상기 의치상의 외부 표면이 착용자의 턱의 일 측면 상의 치아 세트의 내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위해 외형이 성형되고, 사용시, 상기 교정용 철사와 상기 의치상 사이에 상호연결이 상기 치아 세트의 매개로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교정용 철사가 착용자의 치아 세트의 외부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철사는 상기 의치상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치아 세트의 후방 치아 뒤에서 밖으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치아 세트의 외부 표면들과 접촉한 상태로 앞을 향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치아 세트의 앞쪽에서 안쪽으 로 향하도록 의치상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18.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철식 구강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하악(lower jaw)을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19. 제16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치상은 제1 혀 부분과, 상기 제1 혀 부분과 반대되는 제2 혀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제2 혀 부분들은 탄성 부재에 의해 떨어져서 유지되고, 상기 제1 혀 부분은 상기 착용자의 턱의 한 측면 상에 제1 치아 세트의 내부 표면들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외형이 성형되고 상기 제2 혀 부분은 상기 착용자의 턱의 반대편 측면 상에 제2 치아 세트의 내부 표면들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외형이 성형되고, 사용시, 제1 교정용 철사는 상기 제1 혀 부분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제1 치아 세트의 전방 치아 뒤에서 밖을 향하고 있고, 상기 제1 치아 세트의 외부 표면들과 접촉한 상태로 전방을 향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치아 세트의 앞쪽 치아의 전방에서 안쪽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혀 부분까지 연장하고, 그리고 제2 교정용 철사는 상기 제2 혀 부분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제2 치아 세트의 전방 치아 뒤에서 밖을 향하고 있고, 상기 제2 치아 세트의 외부 표면들과 접촉한 상태로 전방을 향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치아 세트의 앞쪽 치아의 전방에서 안쪽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2 혀 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 강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교정용 철사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C-클래스프들을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C-클래스프들이 적어도 하나는 상기 C-클래스프의 단지 하나의 말단 부분에서 상기 교정용 철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22. 제16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장치는 착용자의 전방 치아들을 앞쪽으로 몰아 주기 위해 전방 철사들 또는 스프링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구강장치.
  23.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앞서 실질적으로 설명된 구강장치.
KR1020067006491A 2003-10-03 2004-09-22 구강 장치 KR101129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3905455 2003-10-03
AU2003905455A AU2003905455A0 (en) 2003-10-03 Dental Appliance
PCT/AU2004/001296 WO2005032396A1 (en) 2003-10-03 2004-09-22 Dental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504A true KR20060069504A (ko) 2006-06-21
KR101129075B1 KR101129075B1 (ko) 2012-03-26

Family

ID=3439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491A KR101129075B1 (ko) 2003-10-03 2004-09-22 구강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661955B2 (ko)
EP (1) EP1675524B1 (ko)
JP (1) JP4996921B2 (ko)
KR (1) KR101129075B1 (ko)
CN (2) CN1863491A (ko)
AP (1) AP2151A (ko)
AU (1) AU2004277278B2 (ko)
CA (1) CA2540116C (ko)
HK (1) HK1086468A1 (ko)
NZ (1) NZ545973A (ko)
WO (1) WO20050323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6143A (zh) * 2016-04-29 2016-07-06 浙江大学医学院附属口腔医院 一种用于矫正ii类错合的扩弓型肌激动器及其矫正方法
KR20190108975A (ko) * 2018-03-16 2019-09-25 김유완 2in1 타입의 치열 교정장치
KR20210022346A (ko) * 2019-08-20 2021-03-03 정수창 치아 교합력 전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9897A1 (en) * 2004-05-28 2010-08-19 David Scott Utley Intraoral behavior monitoring and aversion devices and methods
DE102006024856B4 (de) * 2006-05-24 2011-05-05 Scheu-Dental Gmbh Kieferorthopädische Regulierungsvorrichtung
US20100015565A1 (en) * 2008-06-13 2010-01-21 Roberto J. Carrillo Gonzalez Orthodontic Devices
CN101297771B (zh) * 2008-06-16 2011-08-24 武汉大学 麻花丝在口腔正畸排齐阶段中的用途
CN101357078B (zh) * 2008-09-11 2010-06-16 佛山市第一人民医院 一种治疗露龈笑的矫治辅弓
US20100104998A1 (en) * 2008-10-25 2010-04-29 Stanley Edward Farrell Dental Splint
US9675275B2 (en) 2009-10-24 2017-06-13 Carrot Sense, Inc. Extracorporeal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essation of undesired behaviors
US9420971B2 (en) 2009-10-24 2016-08-23 Carrot Sense, Inc. Extracorporeal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essation of undesired behaviors
US9011145B2 (en) * 2010-03-25 2015-04-21 William M. Hang Maxillary expansion and advancement orthodontic applicance
US8435031B2 (en) * 2010-05-20 2013-05-07 William M. Hang Orthodontic clasp
USD731659S1 (en) * 2013-03-19 2015-06-09 Gurdev Dave Singh Sleep appliance
CN104921831B (zh) * 2014-03-21 2019-08-02 李世俊 用于测试笑容的牙科器械系统和指示器
CH709687B1 (de) * 2014-05-23 2018-03-29 Digital Smile Gmbh Kieferorthopädische Apparatu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ieferorthopädischen Apparatur.
US20150374274A1 (en) * 2014-06-30 2015-12-31 Ace Jovanovski Oral Detection Apparatus
CN105266907B (zh) * 2014-09-28 2018-01-26 汪虹虹 融合平导的铸造式上颌扩弓器
EP3240496B1 (en) 2014-12-30 2020-09-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ntal appliance providing exposed occlusal surfaces
CN107708548B (zh) 2015-04-07 2021-06-04 凯洛特公司 用于吸烟行为的量化和预测的系统和方法
US10206572B1 (en) 2017-10-10 2019-02-19 Carro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quantification of, and prediction of smoking behavior
KR101741025B1 (ko) 2015-07-24 2017-05-29 김성하 치아 교정 장치
CN107137149A (zh) * 2017-03-17 2017-09-08 西安增材制造国家研究院有限公司 基于dlp工艺的3d打印齿科正畸隐形牙套的快速制造方法
AU2018286641B2 (en) * 2017-06-20 2023-05-25 Betaline Orthodontics Pty Ltd Orthodontic appliance
US11504060B2 (en) * 2017-06-23 2022-11-22 Martha Ann Keels Dental retainer with pH sensor
US10485635B2 (en) 2018-01-31 2019-11-26 Won Moon Orthodontic appliance
US10413386B2 (en) * 2018-01-31 2019-09-17 Won Moon Hybrid orthodontic appliance
CN108371561B (zh) * 2018-05-23 2023-11-03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扩弓式咬合垫
KR102081691B1 (ko) * 2018-06-01 2020-02-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갈이교정 유지장치
DE102018005769A1 (de) * 2018-07-21 2020-01-23 Uta Denzel Verankerungsapparatur zur Einstelllung palatinal verlagerter oberer Eckzähne
KR20220122729A (ko) 2019-12-30 2022-09-02 시락 게엠베하 인터내셔날 행동-변화 프로그램에서 개인을 돕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67721A1 (en) * 2020-02-28 2021-09-02 Advanced Facialdontics, Llc Orthodontic appliance utilizing unilateral bite block and expansion screw assembly
US20220142741A1 (en) * 2020-11-06 2022-05-12 Felix LIAO Orthopedic appliance
RU2760294C1 (ru) * 2021-03-26 2021-11-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Ярослава Мудрог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ов с незавершенным ростом лица, мезиальным соотношением зубных рядов, вызванным верхней микро-, ретрогнатией и вынужденным положением нижней челюсти
US11793666B1 (en) 2021-04-16 2023-10-24 Joseph Yousefian Intra-oral snore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47324C (de) 1950-02-17 1952-08-21 Hans-Peter Dr Med Bimler Gebissformer
US3454001A (en) * 1965-06-03 1969-07-08 Hugo Stockfisch Orthopedic treatment apparatus for the jaw bones
US3967379A (en) * 1974-12-18 1976-07-06 Bergersen Earl Olaf Preformed anterior labial retainer
US3977082A (en) * 1975-09-23 1976-08-31 Siatkowski Raymond E Palatal expander
US3994068A (en) * 1975-11-19 1976-11-30 Goshgarian Robert A Orthodontic retainer
US4026023A (en) * 1975-11-26 1977-05-31 Robert Leon Fisher Closed flap spring for orthodontic appliances
US4224021A (en) * 1978-08-04 1980-09-23 David Foxman Adjustable attachment for a labial arch retainer
US4253828A (en) * 1979-04-09 1981-03-03 Coles Donna C Orthodontic appliance
US4299568A (en) * 1980-06-13 1981-11-10 Crowley John A Orthodontic appliance
US4431411A (en) * 1981-11-30 1984-02-14 Witzig John W Segmented labial bow with lip pads for aid in the correction of Class III malocclusions and malocclusions with underdeveloped maxillas
US4413978A (en) * 1982-05-17 1983-11-08 Kurz Craven H Orthodontic retainer
JPS60114249A (ja) * 1983-11-21 1985-06-20 ジヨン・ダブリユー・ウイチツグ 整形器具および方法
JPH0718982Y2 (ja) * 1989-06-12 1995-05-01 小糸工業株式会社 光環境測定用棒状センサ
US5002485A (en) * 1989-10-02 1991-03-26 Aagesen Larry K Orthopedic appliance
US5096416A (en) * 1990-05-01 1992-03-17 Tp Orthodontics, Inc. Orthodontic retainer
US5064370A (en) * 1991-04-15 1991-11-12 Jones Richard D Molar distalizing appliance
US5376001A (en) * 1993-05-10 1994-12-27 Tepper; Harry W.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JP2863100B2 (ja) * 1993-12-07 1999-03-03 チカミミルテック株式会社 歯列保定装置およびその製法
JP3008730U (ja) * 1994-09-08 1995-03-20 有限会社エイ・ジェイ・エス 頭蓋骨の位置および形状矯整具
US5607300A (en) * 1995-11-14 1997-03-04 Tepper; Harry W. Removable resilient orthodontic retainer
JPH09173355A (ja) * 1995-12-21 1997-07-08 Tatsu Omura 歯科用リテーナー
DE19609828C1 (de) 1996-03-13 1997-07-17 Berthold Schmitz Kieferorthopädische Regulierungsvorrichtung
US5785520A (en) * 1996-05-07 1998-07-28 Micerium S.R.L. Orthodontic distalizing apparatus
JP3062290U (ja) * 1999-03-18 1999-09-28 チカミミルテック株式会社 リテ―ナ―ワイヤ―および該リテ―ナ―ワイヤ―を用いた歯列保定装置
US6334771B1 (en) * 2000-09-15 2002-01-01 Eric Jein-Wein Liou Rapid palatal expander
JP3470800B2 (ja) * 2000-12-27 2003-11-25 株式会社 アソインターナショナル 歯科用リテーナー
US6604943B2 (en) * 2001-07-16 2003-08-12 Velton C. White Orthodontic appliance
US6908306B2 (en) * 2001-11-15 2005-06-21 American Orthodontics Corp. Orthodontic distalizing apparatus
JP4403489B2 (ja) * 2003-06-20 2010-01-27 株式会社 アソインターナショナル 歯列保定装置
US20050186524A1 (en) * 2004-02-24 2005-08-25 Align Technology, Inc. Arch expander
AU2005305194A1 (en) * 2004-11-10 2006-05-18 Ortho-Tain, Inc. Upper and lower single preformed and/or customized appli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6143A (zh) * 2016-04-29 2016-07-06 浙江大学医学院附属口腔医院 一种用于矫正ii类错合的扩弓型肌激动器及其矫正方法
KR20190108975A (ko) * 2018-03-16 2019-09-25 김유완 2in1 타입의 치열 교정장치
KR20210022346A (ko) * 2019-08-20 2021-03-03 정수창 치아 교합력 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33355A (ja) 2007-11-22
KR101129075B1 (ko) 2012-03-26
CA2540116A1 (en) 2005-04-14
EP1675524A1 (en) 2006-07-05
NZ545973A (en) 2010-04-30
AU2004277278A1 (en) 2005-04-14
CN104665941A (zh) 2015-06-03
AP2151A (en) 2010-09-08
HK1086468A1 (en) 2006-09-22
US20070059659A1 (en) 2007-03-15
US7661955B2 (en) 2010-02-16
JP4996921B2 (ja) 2012-08-08
AP2006003583A0 (en) 2006-04-30
WO2005032396A1 (en) 2005-04-14
AU2004277278B2 (en) 2010-03-25
EP1675524A4 (en) 2009-08-26
EP1675524B1 (en) 2015-01-14
CA2540116C (en) 2012-06-19
CN1863491A (zh)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075B1 (ko) 구강 장치
US5415542A (en) Orthodontic finishing appliance
KR102162586B1 (ko)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CA2688688C (en) Osteogenetic-pneumoped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US20090032030A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McNamara et al. Clinical management of the acrylic splint Herbst appliance
US20090036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US9314320B2 (en) Device for mitig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JP2002102255A (ja) 歯科矯正用マウスピー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歯科矯正用装置
WO2010087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US20120040301A1 (en) Mandibular advancement
Gorman Treatment of adults with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s
Widmalm Use and abuse of bite splints
JP7182792B2 (ja) 睡眠時無呼吸、いびき、ならびに舌および口腔の再構築のための歯科用器具
KR100952423B1 (ko)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US6976838B1 (en) Newly developed face bow and protraction headgear in correction of anterior openbite class III patients
KR101720640B1 (ko) 교합 측정용 게이지
Achmad et al. Increased overjet in growing child, problem solving in pediatric dentistry
Parenti et al. Periodontal side effect during orthopedic face mask therapy
Vora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for correction of pseudo class III malocclusion with the use of “Planas direct tracks”
Bouletreau et al. Incorporating the maxillary transverse dimension in the treatment plan
Vora et al. Efficacy of Planas Direct Tracks for Early Treatment of Pseudo Class III Malocclusion: A Clinical and Cephalometric Study
Tindlund Protraction facial mask for the correction of midfacial retrusion: the Bergen Rationale
Rondeau Herbst Appliance
Takı Cephalometric Evaluation of the Modified Maxillary Protraction Fac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