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423B1 -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423B1
KR100952423B1 KR1020080008300A KR20080008300A KR100952423B1 KR 100952423 B1 KR100952423 B1 KR 100952423B1 KR 1020080008300 A KR1020080008300 A KR 1020080008300A KR 20080008300 A KR20080008300 A KR 20080008300A KR 100952423 B1 KR100952423 B1 KR 100952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orthodontic
tooth
teet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046A (ko
Inventor
차봉근
최병학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42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6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using magnetic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입술과 교정될 치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자석(120); 및 제1 자석(120)과 대향되게 교정될 치아에 부착되는 제2 자석(130)을 포함하고, 제1 자석(120)과 제2 자석(130)간에 형성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치아가 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아 교정, 자석, 립 범퍼(lip bumper), 립 패드(lip pad)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DENTAL ARCH EXPANSION USING MAGNETIC}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술과 교정될 치아 사이에 배치되는 립 범퍼의 패드부에 매립 또는 부착되는 제1 자석 및 제1 자석과 대향되도록 치아에 부착되는 제2 자석간에 형성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치아가 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정 치료를 받고자 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치아를 고르게 정렬하기 위한 다양한 치아 교정 방법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치아 교정의 전반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치아 교정 장치는 치아 교정 과정 중 착탈 가능 여부에 따라 교정이 완료 될 때까지 장치가 치아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설계되는 고정형 장치와 일부 시간 동안 착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착탈형 장치로 구분 할 수 있다. 이때, 전자와 같은 경우는 개개의 치아에 접합되는 브라켓에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정렬을 이루려고 하는 최종의 위치로 치아를 조여가는 방법으로 교정이 이루어 지며, 후자와 같은 경우는 치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일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 틀을 치아에 끼우는 방법으로 교정이 이루어 지게 된다.
또한, 교정 장치가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치아의 바깥쪽으로 설치되는 일반 교정 방법과 교정 장치가 보이지 않도록 치아의 안쪽으로 설치되는 설측 교정(또는 내측 교정)방법으로 구분 될 수도 있다.
이때, 전자와 같은 경우는 치료 비용이 저렴하고 치료 기간이 짧으며 장치 관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불편함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는 한편, 장치가 바깥으로 설치되므로 음식물을 섭취하였을 때 치아 바깥면에 설치된 교정 장치 사이로 음식물과 같은 이물질이 끼어 보기에 안 좋은 단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후자와 같은 경우에는 음식물을 섭취하였을 때 교정 장치 사이로 음식물이 끼어도 보이지 않을뿐더러 평소에도 교정 장치가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심미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는 한편, 장치를 안쪽으로 설치하므로 교정 치료 초기에 불편함과 일시적인 발음 장애가 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교정 장치들은 보통으로 금속, 세라믹, 고무 등 여러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심미적인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치아의 색과 유사한 세라믹 재료나 투명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는 교정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교정 치료가 필요한 대표적인 예로 치아가 삐뚤 삐뚤하게 형성되거나 겹쳐서 나는 치열궁(dental arch)의 총생(crowding)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총생과 같은 경우는 치열궁이 협착되어 발생하게 되는데, 성장기 아동의 경우에는 악골 의 성장능을 이용하는 적절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악궁을 확장하여 어느 정도 손쉽게 교정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성장이 중지된 성인의 경우에는 성장기 아동과 같은 방법으로 확장이 불가능하므로, 발치(tooth extraction)에 의한 복잡한 교정 치료를 시행하거나, 어느 정도의 위험과 경제적 부담이 되는 수술에 의한 교정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따라서, 왕성한 성장이 이루어지는 아동 때의 협착된 악궁의 확장은 교정 치료학에서 매우 중요한 임상술식이라 할 수 있다
성장기 아동의 치열궁 확장을 위해서는 장치에 매식된 와이어 또는 스크류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발생된 교정력을 이용하는 액티브 플레이트(active plate)(10)를 구강 내 장착하는 방법(도1a 내지 도1b)과 근육력을 차단하거나 또는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치열궁의 확장을 도모하는 립 범퍼(lip bumper)(20)를 구강 내 장착하는 방법(도2a 내지 도2b) 또는 프랭켈 기능 조절 장치(frankel functional regulator)(30)를 구강 내 장착하는 방법(도3a) 등이 전통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프랭켈 기능 조절 장치(30)는 보통 혼합 치열기의 전치부 반대교합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며 도 3b 내지 도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액티브 플레이트(10)를 사용하는 방법은 치열궁 확장에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교정 방법으로 적절한 시기에 지속적으로 착용할 경우 바람직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설측 교정 방식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가 구강 내 설측에 위치함으로써 환자의 착용이 불편하고 발음에 장애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력이 단순한 스크류에 의해 인위적으로 교정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특히 하악 치열궁을 확장하는 경우 교정되는 아랫니가 주변 근육과 적절한 균형을 이루지 못해 다시 원래 상태로 재발되는 회기 현상(relapse)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교정 장치가 설측에 위치함으로써 혀의 위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하는데 특히 하악 치열궁이 상악 치열궁에 대해 정상보다 근심에 있는 3급 부정 교합 환자의 경우,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액티브 플레이트(10)에 의해 혀가 전 하방으로 변이되어 하악 성장을 야기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교정 치료의 효과를 반감시키는 등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반면, 립 범퍼(20)를 사용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부작용을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립 범퍼(20) 자체가 치아의 순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환자의 발음 장애나 혀의 위치 변화를 초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연적 확장이 발현되므로 치열궁의 확장 후에 회기 현상의 정도가 미약한 교정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립 범퍼(20)를 사용한 치아 교정 효과에 대한 많은 종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치의 전방 확장과 측방 치군의 측방 확장은 어느 정도 이루지나 구치부의 후방 이동은 발현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또한, 인위적인 교정력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 효과가 발현되기까지는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게 되므로 광범위한 이용에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치의 전방 확장과 측방 치군의 측방 확장은 물론이고 구치부까지의 후방 확장이 유용하게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육력 차단함으로써 치열궁을 확장시킬 수 있는 자연적인 교정력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교정력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치아의 교정시 신속한 치료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통적인 설측 치아 교정 장치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광범위한 부작용(예를 들어 착용의 불편함, 발음장애, 혀의 위치변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는 입술과 교정될 치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자석과 대향되게 교정될 치아에 부착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간에 형성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치아가 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자석이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자 석은 상기 패드부 내에 매립되거나 상기 패드부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가 교정될 치아 상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부와 대구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패드부를 관통하도록 와이어 형태로 설치되는 레그; 대구치를 감싸도록 링 형태로 설치되는 밴드; 및 상기 레그와 상기 밴드를 연결해 주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Nd-Fe-B계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제2 자석은 접착 가능한 자석, 점착성이 있는 자석 테이프, 점착성이 있는 자석 파우더, 자석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의 재질은 아크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의 재질은 스테인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와 상기 밴드간의 연결 방법은 납땜(soldering) 또는 용접(welding)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은 입술과 교정될 치아 사이에 제1 자석을 배치하는 단계; 및 교정될 치아에 상기 제1 자석과 대향되게 제2 자석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간에 형성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치아가 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사나 고무줄의 장력을 이용한 기존의 치아 교정 장치 및 립 범퍼 구조를 갖는 치아 교정 장치를 개선하여,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강 내부에서 자력에 의해 발생된 척력/인력의 하중을 이용함으로써 치아 교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위적인 교정력과 자연적인 근육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치아의 교정을 위하여 전치의 전방 확장과 측방 치군의 측방 확장은 물론이고, 구치부까지의 후방 확장이 발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 교정 치료가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교정 치료시 발생 가능한 광범위한 부작용(예를 들어 착용의 불편함, 발음장애, 혀의 위치변화, 회기 현상 등)을 크게 감소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교정 환자의 착용감과 심미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총생 및 악궁협착이 예상되는 성장기 아동에서 적기에 부작용 없이 치료 가능하므로 성인에서 발생 가능한 총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치아 교정 장치는 다양한 기존의 치아 교정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치아 교정 장치 중 근육력을 이용함으로써 치열궁의 자연적인 확장을 유도하여 치아를 교정이 이루어 지는 기존의 립 범퍼에 상기 제1 자석을 매립 또는 부착하고, 상기 제1 자석과 대향되게 교정될 치아에 제2 자석을 부착하는 예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존의 립 범퍼는 치아의 순측(바깥측)에 위치하게 되는 립 패드, 립 패드 양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 다리, 대구치(제1 대구치 또는 제2 대구치)에 고정되는 한쌍의 밴드, 및 연결 다리와 밴드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립 범퍼(100)를 치아(200)의 순측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비록, 도 5a 내지 도 5b에는 하악 상의 치아(아랫니)에 립 범퍼(100)가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립 범퍼는 아랫니 와 윗니에 모두 설치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치아 교정 장치는 립 패드(110), 립 패드(110)의 치아를 향하는 일측에 부착되거나 매식되는 일개 이상의 제1 자석(120) 및 립 패드(110)가 교정될 치아 상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립 패드(110)와 대구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로서 연결 다리(140), 한쌍의 밴드(미도시됨), 및 한쌍의 튜브(미도시됨)를 포함하는 립 범퍼(100) 및, 단일 치아 혹은 다수 치아의 외측에 직접 부착 또는 매립되는 제2 자석(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립 패드(110)는 치아의 순측(바깥측)에 위치함으로써 입술의 근육력을 차단하여 전치를 전방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송곳니에서 우측 송곳니 까지를 포함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으며, 교정 환자의 구강구조 및 치열 상태에 따라 적합한 두께 및 길이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립 패드(110)의 치아를 향하는 일측에 부착되거나 매식되는 제1 자석(120)은 구강 내부에서 자력을 발생 시킴으로써 단일 치아(200) 혹은 다수 치아(200)의 외측에 직접 부착 또는 매립되는 제2 자석(130)과의 척력/인력을 형성하여 근육력과 자석에 의한 교정력을 동시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치아(200)의 교정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자석(120)은 Nd-Fe-B계 자석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자석(130)은 치아의 외측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 가능한(bonding) 자석, 점착성이 있는 자석 테이프(adhesive magnetic tape), 점착성이 있는 자석 파우더(adhesive magnetic powder), 자석 브라켓(magnetic bracket)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자성 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자석(130)을 치아의 순측에 부착할 때, 치아에 부착되는 제2 자석(130)의 수 및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서 자력의 방향과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2 자석(130)의 종류나 크기 선택에 따라서도 자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1 자석(120)과 제2 자석(130) 사이의 척력과 인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연결 다리(140)는 립 패드(110)를 관통하여 양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 형태로서, 양측 단부는 튜브에 의하여 밴드와 연결되어 입술에서 전해진 근육력이 대구치(제1 대구치 또는 제2 대구치)로 전달 될 수 있도록 하며, 협근의 근육력을 차단함으로써 측방 치열궁의 자연적인 확장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다리(140)는 치아 교정 환자의 치열 상태를 반영하여 제작되는 립 패드(110)의 길이에 따라 적합한 형태 및 길이로 다양하게 제작 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다리(140) 역시 치료가 완료 될 때까지 구강 내에 설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며,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고, 구강 내 상처 발생을 유발하지 않는 형태 및 재질의 스테인레스, 티타늄 합금 등 등의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다리(140)의 재료 또는 설계되는 형태(구조학적 모양 등)의 선택에 따라 제1 자석(120)과 제2 자석(130) 사이의 척력과 인력을 적절히 조정할 수도 있다.
튜브 및 밴드 역시 한쌍으로 구성되며, 튜브는 연결 다리(140)와 밴드를 연결하는 부품으로, 밴드는 대구치(제1 대구치 또는 제2 대구치) 둘레를 감싸는 구조물로서 사용된다. 이때, 튜브는 연결 다리(140)가 전달하는 근육력을 밴드에 전달함으로써 대구치가 후방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한쌍의 밴드는 왼측 대구치와 오른측 대구치에 각각 일개씩 설치 됨으로써 근육력을 전달 받을 뿐 만 아니라 립 범퍼(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튜브와 밴드간의 연결은 납땜(soldering) 또는 용접(welding) 등에 의한 방법이 사용 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티타늄 합금 등 기존의 립 범퍼(100)에서의 밴드 및 튜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구성 및 각 구성의 역할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에 의해 치아의 교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교정 환자 진료 후 의사의 판단에 따라 립 패드(110)에 적절한 크기 및 형태의 제1 자석(120)이 부착 또는 삽입되는 립 범퍼(100)를 설계 제작한 후, 일개 이상의 치아 외측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자석(130)을 부착하고 립 범퍼(100)를 구강 내 치아의 순측에 설치한다.
립 범퍼(100)는 근육력을 제어하여 이하와 같이 자연적인 치아(200) 교정이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립 범퍼(100)를 구강 내 치아(200)의 순측에 설치하면, 전치 외측에 위치한 립 패드(110)에 의해 입술의 근육력을 차단함으로써 전치의 전방(근심 mesial) 확장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어서 입술에서 전해진 근육력을 대구치(제 1대구치 또는 제2대구치)로 전달함으로써 대구치의 후방(원심 distal) 확장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립 패드(110)와 연결된 연결 다리(140)에 의하여 협근의 근육력을 차단함으로써 측방 치열궁의 자연적 확장이 도모될 수 있다.
립 범퍼(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근육력에 의한 치열궁의 확장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자석(120,130)의 자성에 의하여 인위적인 교정력을 발생함으로써 신속한 치아 교정이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립 범퍼(100)는 환자의 치아 상태를 진료한 의사의 판단에 따라 여러 치아(200) 혹은 단일 치아(200)의 특정 위치에 제2 자석(130)이 부착되도록 결정되고 자력의 방향과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치아(200)의 외측에 부착된 제2 자석(130)과 립 패드(110)에 부착 또는 매설된 제2 자석(120) 사이의 척력과 인력이 적절히 작용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인위적인 교정력을 유용하게 발생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방 치군의 확장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 측방 치군까지 립 패드(110)를 연장하고, 적절한 연결 다리(140)의 형태를 적용하여 립 범퍼(100)를 설계하여 자력에 의한 측방 치군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치아(200) 및 립 패드(110)에 부착 또는 매설된 제1 및 제2 자석(120,130)의 종류, 크기 및 설치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자력을 조절함으로써 전치 의 설측 이동과 구치의 근심 이동 등이 필요한 경우에도 인력 및 척력이 적절하게 작용하도록 조정하여 발생된 교정력에 의해 치군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는 기존의 치열궁 확장에 의한 여러 교정 방법을 응용하여 그 기능을 개선한 장치로서 자석에서 발현되는 교정력에 의한 치료의 신속함과 립 범퍼(100)등에 의해 발현되는 안정적 치료 효과를 모두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총생 및 악궁 협착이 예상되는 성장기 아동에서 적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 성인에서 발생 가능한 총생을 예방하여, 발치나 수술 등에 의한 성인교정을 가능성을 감소시켜 광범위한 교정 치료 시 발생되는 치근 흡수, 치주질환 등의 발생가능성을 줄이고 치료의 장기화, 치료비에 의한 경제적 부담 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a 내지 1b는 종래의 치아 교정 장치 중 액티브 플레이트가 구강 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a는 종래의 립 범퍼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종래의 치아 교정 장치 중 립 범퍼 장치가 구강 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a는 종래의 치아 교정 장치 중 프랭켈 기능 조절 장치가 구강 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b 내지 도 3b는 종래의 치아 교정 장치 중 프랭켈 기능 조절 장치에 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일반적인 혀의 위치 및 구강 내에 액티브 플레이트를 장착하였을 때 혀가 하방위되는 것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용 립범퍼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00: 립 범퍼
110: 립 패드
120: 제1 자석
130: 제2 자석
140: 연결 다리
200: 치아

Claims (10)

  1.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로서,
    입술과 교정될 치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자석과 대향되게 교정될 치아에 부착되는 제2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간에 형성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치아가 교정되며,
    상기 제1 자석이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패드부 내에 매립되거나 상기 패드부 상에 부착되며,
    상기 패드부가 교정될 치아 상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부와 대구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패드부를 관통하도록 와이어 형태로 설치되는 레그, 대구치를 감싸도록 링 형태로 설치되는 밴드 및 상기 레그와 상기 밴드를 연결해 주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Nd-Fe-B계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석은 접착 가능한 자석, 점착성이 있는 자석 테이프, 점착성이 있는 자석 파우더, 자석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재질은 아크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재질은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와 상기 밴드간의 연결 방법은 납땜(soldering) 또는 용접(weld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10. 삭제
KR1020080008300A 2008-01-25 2008-01-25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KR100952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300A KR100952423B1 (ko) 2008-01-25 2008-01-25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300A KR100952423B1 (ko) 2008-01-25 2008-01-25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046A KR20090082046A (ko) 2009-07-29
KR100952423B1 true KR100952423B1 (ko) 2010-04-14

Family

ID=4129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300A KR100952423B1 (ko) 2008-01-25 2008-01-25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996Y1 (ko) * 2009-01-22 2011-06-10 박숙규 자력을 이용한 투명 치아교정장치
KR101218388B1 (ko) * 2011-11-25 2013-01-03 김태원 투명 교정기 제조용 교정 치아 데이터 생성 장치
KR101593304B1 (ko) 2014-05-20 2016-02-12 김대성 치열 교정용 미니튜브 형성방법 및 기구
KR102053983B1 (ko) * 2017-11-20 2019-12-12 장영진 치아교정용 악궁 확장장치 및 교정방법
CN110680524B (zh) * 2019-11-05 2021-05-04 南方医科大学口腔医院 一种带有磁铁的隐形矫正器
US20230293266A1 (en) * 2022-03-15 2023-09-21 Inventagon Llc Orthodontic aligning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153A (en) * 1984-12-13 1985-10-15 Taylor Robert F Orthodontic appliance
US4764110A (en) * 1987-07-01 1988-08-16 Dougherty Harry L Orthodontic face bow
JP2005237658A (ja) 2004-02-26 2005-09-08 Toshitsugu Kawada 歯列矯正力付与部材及びそれを利用した歯列矯正機構
JP2007260159A (ja) 2006-03-28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歯列矯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153A (en) * 1984-12-13 1985-10-15 Taylor Robert F Orthodontic appliance
US4764110A (en) * 1987-07-01 1988-08-16 Dougherty Harry L Orthodontic face bow
JP2005237658A (ja) 2004-02-26 2005-09-08 Toshitsugu Kawada 歯列矯正力付与部材及びそれを利用した歯列矯正機構
JP2007260159A (ja) 2006-03-28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歯列矯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046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5542A (en) Orthodontic finishing appliance
KR101129075B1 (ko) 구강 장치
CN111588490B (zh) 壳状牙齿矫治器、牙科矫治系统的设计方法及制作方法
CN110063802B (zh) 下颌前导隐形矫治器
CN110013332B (zh) 一种猫形辅弓隐形矫治器
KR100952423B1 (ko)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US5697781A (en) Functional regulating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
US5092768A (en) Wire lip bumper
JP7182792B2 (ja) 睡眠時無呼吸、いびき、ならびに舌および口腔の再構築のための歯科用器具
US102998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ow palate expansion
CN215019356U (zh) 壳状牙科器械及壳状牙科矫治器套组
US6244862B1 (en) Orthodontic appliance
CN210931950U (zh) 一种牙齿矫治器、矫治器套组以及壳状牙科矫治系统
TWM618026U (zh) 牙齒矯治器、牙科器械、牙齒矯治套組和牙齒矯治系統
US4439148A (en) Orthodontic appliances and method of treatment
Jacques Upper arch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s in treatment of class II malocclusion: a critical analysis
CN210095952U (zh) 一种猫形辅弓隐形矫治器
CN110547885A (zh) 一种牙齿矫治器
CN211381875U (zh) 一种治疗早期反牙合的定制式lr型矫治器
Jaai et al. Space regainers–a review
CN219846879U (zh) 一种舌侧推杆整体远移后牙列的装置
CN218922824U (zh) 一种无托槽隐形矫治器
US20240050199A1 (en) Shell-shaped dental instrument and shell-shaped dental appliance set
CN217611480U (zh) 一种高位阻生尖牙的矫治装置
CN210903430U (zh) 一种悬臂式矫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