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650A -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650A
KR20060066650A KR1020050121629A KR20050121629A KR20060066650A KR 20060066650 A KR20060066650 A KR 20060066650A KR 1020050121629 A KR1020050121629 A KR 1020050121629A KR 20050121629 A KR20050121629 A KR 20050121629A KR 20060066650 A KR20060066650 A KR 20060066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ble
transparent
chip
artificial marble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696B1 (ko
Inventor
나도춘
박응서
전재욱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5880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6665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6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8Polyesters;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4Substitutes for natural stone, artistic materials or the like
    • C04B2111/542Artificial natural stone
    • C04B2111/545Artificial mar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80Optical properties, e.g. transparency or reflexibility
    • C04B2111/805Transpar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10T428/24884Translucent layer comprises natural oil, wax, resin, gum, glue, gelat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10T428/2490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including coloring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10T428/24909Free metal or mineral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26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ceramic, glass, porcelain or quartz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8305Miscellaneous [e.g., treated surfaces,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유색재료로 표면처리한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은 유색재료로 표면처리된 투명 마블칩을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형성하고;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경화된 조성물을 샌딩하여 마블칩의 투명한 면을 경화된 조성물 표면에 노출시키는 단계로 제조된다. 상기 샌딩 단계를 거친 인조대리석은 대리석 표면에 분포된 마블칩 표면의 유색재료 재료가 샌딩에 의해 벗겨짐으로써, 투명 마블칩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대리석 표면에 보석이 박힌 듯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투명 마블칩, 샌딩, 도료, 입체

Description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Artificial Marble Containing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Marble Chip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제1도(a)는 은분도료가 코팅된 마블칩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 대리석을 나타낸 사진이며, (b)는 알루미늄 증착한 마블칩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 대리석을 나타낸 사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명칩을 입체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대리석 표면에 보석이 박힌 듯한 느낌을 연출한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 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인조 대리석은 구성하는 수지(resin)에 따라 크게 아크릴계와 불포화 폴리에스터계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이중 아크릴계 수지와 수산화알루미늄 등과 같은 무기 충전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아크릴계 인조 대리석은 수지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외관, 부드러운 감촉, 우수한 내후성 등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인조 대리석은 씽크대 상판, 세면 화장대의 상판, 여러 매장의 접수대 등 여러 종류의 상판으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 외에도 내벽재, 욕조, 싱크 보울, 세면기 및 각종 인테리어 관련 소재로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인조 대리석은 아크릴계 수지와 무기 충전제, 색깔 및 패턴을 구현하는 마블칩, 그리고 여러 가지 첨가제를 혼합하고, 여기에 아크릴 단량체의 라디칼 중합용 개시제를 용해시킨 후, 슬러리 상태로 경화 공정으로 넘어간다. 경화가 완료된 인조대리석은 후가공 공정을 거쳐 최종 제품으로 완성된다.
이러한 인조대리석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마블칩을 투입하게 된다. 특히 인조대리석은 용도의 특성상 마블칩에 의해 구현되는 외관이 상품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마블칩은 아크릴계 인조대리석과 비슷한 방법에 의해 판상으로 경화한 다음, 파쇄하여 다양한 입도로 얻어진다.
마블칩은 조성에 따라 투명 혹은 불투명한 것이 제조되며, 이들을 적절히 인조대리석에 포함시켜 다양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어온 방법은 투명한 마블칩을 2차원적으로 밖에 표현하지 못하였다. 즉, 표면상에만 칩이 투명한 느낌만을 연출하였을 뿐, 투명칩이 인조대리석 베이스에 박힌 모양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색깔을 입힌 투명칩이 입체적으로 표현될 경우, 마치 대리석 표면에 보석이 박힌 듯한 외관을 주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일본특허 제3192955호에서는 투명 혹은 불투명 입자를 사용하여 인조대리석을 제조한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79575호에서는 투명한 입자를 분산시킨 인조 대리석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모두 투명한 마블칩을 사용하고 있으나, 표면에만 투명한 느낌이 났을 뿐, 입자 자체를 3차원적으로 표현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표면에 유색재료를 표면처리한 투명 마블칩을 첨가하여 인조대리석을 제조하고, 이를 샌딩할 때 표면에 분포된 마블칩의 도료가 샌딩에 의해 벗겨짐으로써, 투명 마블칩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보석이 박힌 듯한 느낌을 연출한 인조대리석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마블칩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에 보석이 박힌 듯한 느낌이 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인조대리석은 유색재료로 표면처리된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투명 마블칩은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유색재료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인조대리석 표면에 노출된 마블칩 표면은 투명한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에에서는 상기 표면처리는 코팅 또는 증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에에서는 상기 유색재료는 도료 및 금속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에에서는 상기 금속은 금, 은, 동, 알루미늄 및 니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유색재료로 표면처리된 투명 마블칩을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형성하고,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경화된 조성물을 샌딩하여 마블칩의 투명한 면을 경화된 조성물 표면에 노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마블칩은 투명수지 판을 분쇄하여 제조된 투명 마블칩을 도료로 표면처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마블칩은 투명수지 판의 표면에 금속 증착을 한 후 이를 분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불포화에스테르계 수지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은 최소한 하나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및 무기 충전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폴리머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은 표면처리되지 않은 마블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은 유색재료로 표면처리한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다. 상기 투명 마블칩은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유색재료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투명 마블칩은 통상의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아크릴 수지 시럽을 그대로 경화,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불포화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 시럽은 아크릴 단량체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이고, 폴리아크릴레이트 함량이 3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말레산, 무수말레산, 푸마릭산(fumaric acid)과 같은 불포화디카르본산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등의 2가 알콜; 글리세린 등의 3가 알콜;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4가 알콜 등과 같은 다가알코올을 통상적인 중축합반응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투명 칩의 크기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0.1 내지 5 mm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유색재료로 표면처리한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다.
상기 표면처리는 코팅, 증착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표면처리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처리에 사용되는 유색재료는 도료 또는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은 금, 은, 동, 알루미늄, 니켈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투명 마블칩의 표면은 유색재료로 표면처리하거나, 도료를 코팅한다. 유색재료 표면처리나 도료를 코팅하지 않으면 미감상 바람직하지 않으며, 보석이 박힌 듯한 느낌을 연출할 수 없다.
상기 도료는 유기 혹은 무기질 재료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표면처리 및 도료를 입히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투명 수지 판을 제조한 후, 제조된 수지판 표면에 금속 증착을 하고, 이를 칩 크기로 파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파쇄전 금속증착을 거칠 경우, 별도의 코팅 공정이 불요하다.
상기 유색도료 표면처리나 도료가 코팅된 마블칩 또는 금속 증착후 파쇄된 마블칩은 통상의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에 첨가되어 경화된다.
상기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은 통상의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은 최소한 하나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및 무기 충전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머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불포화폴리에스터계 수지이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수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에 표면처리되지 않은 마블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상의 마블칩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 마블칩의 첨가량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제품의 미감을 고려하여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유색재료로 표면처리된 투명 마블칩을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형성한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경화되며, 예컨대, 이송 벨트에서 이송시키면서 서서히 경화시키거나, 열풍 건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경화된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샌딩하여 마블칩의 투명한 면을 경화된 조성물 표면에 노출시킨다. 일반적으로 샌딩은 인조대리석 표면을 고르게 하기 위해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샌딩 단계를 거침으로써, 인조대리석은 표면에 분포된 마블칩의 도료가 샌딩에 의해 벗겨져 표면에는 투명한 칩이 형성되고, 투명 칩 내부에는 인조대리석 베이스에 박힌 칩 형상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마치 대리석에 보석이 박힌 듯한 느낌이 연출되는 것이다.
상기 샌딩 두께는 코팅된 도료의 두께를 고려하여 0.1 내지 2 mm 정도로 샌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한정 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투명 마블칩의 제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럽을 경화하여 투명 수지판을 제조한 후, 5 mm로 분쇄하여 투명 마블칩을 제조하였다.
인조대리석 제조: 상기 분쇄된 투명 마블칩 표면을 은분으로 코팅하고, 이를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수산화 알루미늄 170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2 중량부를 혼합한 인조대리석 베이스용 슬러리에 50 중량부 첨가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300 ×600 ×15 ㎜의 유리 성형 셀에 뿌린 후 45 ℃ 열풍오븐에 넣고, 단계적으로 오븐의 온도를 100 ℃까지 올려 경화시켜 인조대리석 판을 얻었다. 제조된 인조 대리석 판의 표면을 1 mm로 샌딩하였으며, 표면에 입체적인 투명 마블칩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 인조대리석판의 사진을 도 1(a)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투명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트의 표면에 알루미늄 증착을 하였다. 알루미늄 증착후 5 mm로 분쇄하여 투명 칩을 제조한 후, 이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조성의 인조대리석 베이스용 슬러리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최종 인조대리석판의 사진을 도 1(b)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투명 마블칩을 입체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보석이 박힌 듯한 느낌이 나는 인조대리석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유색재료로 표면처리된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마블칩은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유색재료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대리석 표면에 노출된 마블칩 표면은 투명한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는 코팅 또는 증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재료는 도료 및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금, 은, 동, 알루미늄 및 니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7. 유색재료로 표면처리된 투명 마블칩을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형성하고;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그리고
    상기 경화된 조성물을 샌딩하여 마블칩의 투명한 면을 경화된 조성물 표면에 노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블칩은 투명수지 판을 분쇄하여 제조된 투명 마블칩을 도료로 표면처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블칩은 투명수지 판의 표면에 금속 증착을 한 후 이 를 분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은 최소한 하나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및 무기 충전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대리석용 조성물은 표면처리되지 않은 마블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불포화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KR1020050121629A 2004-12-13 2005-12-12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33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4771 2004-12-13
KR1020040104771 2004-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650A true KR20060066650A (ko) 2006-06-16
KR100633696B1 KR100633696B1 (ko) 2006-10-12

Family

ID=3658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629A KR100633696B1 (ko) 2004-12-13 2005-12-12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33575B2 (ko)
EP (1) EP1836142A4 (ko)
JP (1) JP4885875B2 (ko)
KR (1) KR100633696B1 (ko)
CN (1) CN100528789C (ko)
RU (1) RU2371410C2 (ko)
WO (1) WO2006065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280B1 (ko) * 2005-05-30 2006-09-06 제일모직주식회사 천연석의 질감을 갖는 인조대리석 조성물
KR100879444B1 (ko) 2006-06-23 2009-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비중 소재를 칩으로 이용하여 천연석 질감을 구현한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RU2418756C2 (ru) * 2006-07-24 2011-05-20 Чейл Индастриз Инк. Мраморная крошка,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искусственный мрамор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KR101316304B1 (ko) * 2007-01-08 2013-10-08 (주)엘지하우시스 바인더층을 갖는 투명칩, 이를 포함한 인조대리석 및이들의 제조 방법
ES2320839B1 (es) * 2007-11-27 2010-03-11 Cosentino S.A.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 articulo antiestatico de piedra aglomerada y articulo obtenido mediante dicho procedimiento.
KR100951925B1 (ko) 2008-03-11 2010-04-09 (주) 이레종합소재 유리칩을 이용한 유색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US20090274909A1 (en) * 2008-05-02 2009-11-05 Kevin Bergevin Coated particle with shimmering appearance and engineered stone containing coated particles
WO2010106196A1 (es) * 2009-03-18 2010-09-23 Cosentino, S.A. Tabla o losa formada por aglomerado pétreo que contiene un ligante orgánico de origen vegetal
CN102020446B (zh) * 2009-09-15 2013-10-23 肇庆富盛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人造大理石的制作方法
RU2523421C2 (ru) * 2009-09-25 2014-07-20 Эл Джи ХОСИС, ЛТД. Проводящий материал для покрытия пол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AU2010214758B2 (en) * 2009-11-10 2012-05-24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Colored Material Coated Transparent Chip for Artificial Stone,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Artificial Stone including Same
KR101332177B1 (ko) * 2009-12-23 2013-11-22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한 무정형 무늬가 있는 인조대리석
RU2460702C2 (ru) * 2010-04-14 2012-09-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ронтон плюс"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камня
WO2014066693A1 (en) 2012-10-25 2014-05-01 Kohler Co. Engineered composite material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TWI743490B (zh) * 2019-06-11 2021-10-21 高雄塑酯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光學結構晶體及其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861B2 (ja) * 1989-09-05 1997-04-30 大協 株式会社 人造大理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78592B2 (ja) * 1991-05-10 1999-11-15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滑りやすさが減少された表面を有する人工大理石
JPH05279575A (ja) 1992-04-03 1993-10-26 M R C Du Pont Kk 透明な粒子を分散させた人工大理石
DE4316416A1 (de) * 1993-05-17 1994-11-24 Roehm Gmbh Kunststoff-Formkörper mit Metall-Glanzeffekt
JP2813527B2 (ja) * 1993-07-23 1998-10-22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強度の向上した大理石状物品及びその製法
US6077575A (en) * 1993-11-26 2000-06-20 Aristech Acrylics Llc Suspending accent particles in an acrylic matrix
JP3192955B2 (ja) 1996-01-09 2001-07-30 エムアールシー・デュポン株式会社 人工花崗岩用組成物及び人工花崗岩
JPH09302009A (ja) * 1996-05-09 1997-11-25 Takeda Chem Ind Ltd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0446356B1 (ko) * 1996-11-18 2004-10-14 고려화학 주식회사 자갈모양 칩과 이러한 자갈모양 칩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DE69730445T2 (de) * 1997-02-17 2005-09-15 Doppel Co. Ltd. Nachtlumineszierender oder fluoreszierender Naturstein
EP1029835A4 (en) * 1997-10-07 2003-03-19 Mitsubishi Rayon Co ARTIFICIAL MARBLE, HARDENED RESIN CONTAINING Mica and / or Glass Flakes, and Polymerisable Composition Containing Mica and / or Glass Flakes
US6309562B1 (en) * 1998-01-16 2001-10-30 Doppel Co., Ltd. Artificial stone
DE29816625U1 (de) * 1998-09-16 1998-12-10 Amberger Kaolinwerke Eduard Ki Bauelemente zum Belegen von Flächen
CN1256256A (zh) * 1998-12-07 2000-06-14 厦门华玉石实业有限公司 一种人造大理石及其制造工艺
JP2002053360A (ja) * 2000-08-08 2002-02-19 Doperu:Kk 夜光・発光性人造石とその構成体
JP2002068811A (ja) * 2000-08-25 2002-03-08 Nakamura Kenzai Kogyosho:Kk 人造建材とその製造法
JP2002285006A (ja) * 2001-03-27 2002-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造大理石製造用の樹脂組成物
KR20030001325A (ko) * 2001-06-27 2003-01-06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보행로용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DE10141687A1 (de) * 2001-08-25 2003-03-06 Degussa Siliciumverbindungen enthaltendes Mittel zur Beschichtung von Oberflächen
JP2003063882A (ja) * 2001-08-28 2003-03-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造大理石の製造方法
GB2384781B (en) * 2001-11-06 2005-11-30 Castle Colours Ltd Coating compositions
KR100642835B1 (ko) * 2005-07-15 2006-11-03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짝이 입자를 함유한 인조 대리석 조성물
EP1917224A4 (en) * 2005-08-24 2010-01-20 Lg Chemical Ltd TRANSPARENT CHIPS INCLUDING ART MARGIN USING COEXTRUS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65042A1 (en) 2006-06-22
RU2371410C2 (ru) 2009-10-27
US8133575B2 (en) 2012-03-13
CN101080370A (zh) 2007-11-28
EP1836142A1 (en) 2007-09-26
CN100528789C (zh) 2009-08-19
JP4885875B2 (ja) 2012-02-29
KR100633696B1 (ko) 2006-10-12
RU2007120614A (ru) 2009-01-20
EP1836142A4 (en) 2013-04-24
US20070281114A1 (en) 2007-12-06
JP2008522948A (ja)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696B1 (ko)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
RU2418756C2 (ru) Мраморная крошка,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искусственный мрамор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JPH03504488A (ja) 人工石およびその製造法と用途
JP2009500289A (ja) アクリル系人造大理石用組成物
JP2011102233A (ja) 着色物質透明チップで表面処理された人造石用着色物質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人造石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5636101B2 (ja) 板状廃ガラスチップを含む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49559B1 (ko) 깊이감과 반짝임 효과를 연출하는 투명칩, 이를 포함하는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US20100209695A1 (en) Artificial marble containing chip with transparent and light reflecting material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805636B1 (ko) 깊이감과 반짝이는 효과를 연출하는 고비중화 광반사칩,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KR101251098B1 (ko) 천연소재 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Bera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synthetic marble processing
KR101242277B1 (ko) 광반사 소재를 포함하는 투명칩, 상기를 포함하는인조대리석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826089B1 (ko)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148811A1 (en) Artificial ston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337119B1 (ko) 인조대리석용 칩,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KR20090059901A (ko) 다양한 색상으로 코팅된 유리칩과 거울칩을 활용한 인조석
KR200400814Y1 (ko) 인조 대리석
KR101267653B1 (ko) 재활용 아크릴칩을 포함한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5177B1 (ko)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KR100786531B1 (ko) 잉크칩을 활용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4383B1 (ko) 메탈 무늬를 포함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3376B1 (ko) 칼라 무늬를 갖는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JPH08119704A (ja) あこや貝を使用した装飾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570032C (ko)
JPH059998A (ja) 人造石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500011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1102

Effective date: 200801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1102

Effective date: 200801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5002879;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312

Effective date: 20090107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312

Effective date: 2009010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35000001;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90204

Effective date: 2009082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90204

Effective date: 2009082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205007086;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090930

Effective date: 20100617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090930

Effective date: 20100617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35000001;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00805

Effective date: 201008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00805

Effective date: 201008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300019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921

Effective date: 201008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921

Effective date: 2010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