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089B1 -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089B1
KR100826089B1 KR1020060056353A KR20060056353A KR100826089B1 KR 100826089 B1 KR100826089 B1 KR 100826089B1 KR 1020060056353 A KR1020060056353 A KR 1020060056353A KR 20060056353 A KR20060056353 A KR 20060056353A KR 100826089 B1 KR100826089 B1 KR 100826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gravity
artificial marble
chip
layer
light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371A (ko
Inventor
조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5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089B1/ko
Priority to CN200680054953XA priority patent/CN101460422B/zh
Priority to US12/308,322 priority patent/US20100209695A1/en
Priority to PCT/KR2006/005455 priority patent/WO2007145408A1/en
Priority to TW096101153A priority patent/TWI354655B/zh
Publication of KR2007012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6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e.g. sanding of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6Comminuting, e.g. by grinding or breaking; Defibrillating fibres other than asbesto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4Substitutes for natural stone, artistic materials or the like
    • C04B2111/542Artificial natural stone
    • C04B2111/545Artificial mar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리석의 표면에 노출되는 투명층 및 그 하부에 적층되는 광반사층을 갖는 광반사 투명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을 제공한다.
고비중화, 광반사, 칩, 인조대리석

Description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Artificial marble containing chip with transparent and light reflecting material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화 광반사칩을 적용한 인조대리석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조대리석을 샌딩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인조대리석
1a: 바탕 영역
10: 고비중화 광반사칩
11: 고비중층
12: 투명층(저비중층)
13: 광반사층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한 저비중 소재를 칩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비중 소재를 적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칩을 인조대리석에 포함시켜 인조대리석 내에서 그 칩이 투명한 깊이감과 광반사 효과를 연출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수지로 제조된 인조대리석은 천연대리석에 비해 화려한 외관 및 우수한 가공성, 경량에 비해 우수한 강도 등의 장점으로, 싱크대 또는 카운터 상판, 테이블 및 각종 인테리어에 적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불투명한 칩들의 구성으로는 천연대리석 또는 화강석에 비하여 고급스러운 패턴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아크릴 및 불포화 폴리에스터계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모노머(단량체)로 사용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고분자량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불포화폴리에스터(UPE)를 혼합한 시럽(syrup)에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실리카, 규소 등과 같은 비중을 갖는 무기충진제를 혼합한 컴파운드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에 개시제 및 가교제, 연쇄이동제, 커플링제 등의 첨가제와 안료 등을 혼합한 후 성형틀 또는 연속 스틸벨트에서 주형, 경화시켜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외관을 표현하는 수단으로는 안료 및 칩이라는 재료가 사용되며, 칩의 주성분은 인조대리석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PMMA가 주로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 투명도를 갖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등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에폭시, 불포화폴리에스터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되기도 한다. 여기에 각종 첨 가제와 무안료 또는 한가지 이상의 안료를 투입하여 통상적으로 인조대리석 제조시와 유사 또는 동일 공정으로 평판을 제조한 후 이를 다양한 크기로 분쇄하여 칩을 제조한다.
현재까지 통상적으로 천연대리석 또는 실리카계 인조대리석(Engineered stone) 등의 제조시에 빛을 받으면 반사되는 반짝임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베이스 수지에 펄과 같은 소재를 직접 혼합하거나, 칩으로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금속류 또는 알루미늄 등이 전사된 소재를 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거울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약간의 깊이감과 반사효과를 내는 예가 있지만 그 효과는 미비하다 할 수 있다.
금속이나 거울과 같은 소재를 아크릴계 및 UPE계 인조대리석에 적용할 경우, 이러한 소재들의 경도가 높기 때문에 연마가 어렵고, 가공이 힘들기 때문에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반대로 저비중의 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칩이 무기충진제를 함유하고 있어 소재에 관계없이 그 투명도가 극히 저하되는 단점으로 인해 고투명도 효과 구현에 제약이 크다.
또한 광반사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펄(pearl), 금속, 유리 플레이크(glass flake) 등이 재료를 사용하여 칩을 제조하여도 이들이 인조대리석 제품 표면에 나타나기 때문에 깊이감을 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59913호에는 칩인칩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인조대리석 또한 전체 조성물에서 무기충진제를 사용하여 투명도가 떨어짐은 물론, 반짝임 효과를 구성하는 재료도 제 품의 표면에 위치하고 있어 깊이감을 구현하지는 못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1-205750호에는 투명겔코트층과 인조대리석층과의 사이에 광택안료를 포함하는 중간층을 갖는 인조대리석 성형품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발명은 인조대리석 표면에 광택층과 투명층을 단순히 코팅한 것일 뿐, 본 발명과 같이 칩 형태로서 고비중화에 의한 저비중 소재의 활용과는 관련이 없다.
일본 특허공개 제1999-314942호에는 소성한 유리 파우더를 0.1 내지 20 중량% 결정화시키는 동시에 천이 금속,희토류 금속의 화합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여러 혼합물로 착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글래스 파우더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발명은 단순히 유리 파우더를 착색하여 인조대리석의 충전재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칩 형태로서 고비중화에 의한 저비중 소재의 활용과 깊이감 있는 광반사 효과와는 관련이 없다.
일본 특허공개 제1995-2556호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중합성 단량체로 구성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충전재가 첨가 혼합되는 인조 대리석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로서 산화 티탄 피복 운모 가루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휘성 충전재 30 내지 1 중량% 및 그 밖의 무기물 충전재 70 내지 99 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용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발명의 경우도 충전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칩 형태로서 고비중화에 의한 저비중 소재의 활용과 깊이감 있는 광반사 효과와는 관련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중 소재를 인조대리석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조대리석에 반짝임 효과를 부여하되 투명 깊이감이 있는 광반사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보다 천연대리석에 가까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 깊이감과 광반사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저비중 소재를 사용하기 위해 고비중층을 적용하여 그 저비중 소재와 일체형으로 제조한 후 인조대리석에 포함시켜 최종적으로는 그 칩으로 인해 투명한 깊이감과 광반사 효과를 연출하는 칩이 포함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리석의 표면에 노출되는 투명층 및 그 하부에 적층되는 광반사층을 갖는 광반사 투명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반사 투명칩은 투명 소재와 광반사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 투명성, 깊이감, 광반사에 의한 반짝임 효과 등을 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깊이감이라는 것은 투명 소재 층이 두께를 갖기 때문에 대리석의 표면만이 아니라 내부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 투명 소재에는 광반사 효과를 연출 가능한 소재가 코팅 또는 전사 등의 방법으로 그 밑바닥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로부터 이 칩이 적용될 인조대리석보다 큰 비중을 갖는 고비중층, 인조대리석보다 작은 비중을 갖는 투명층 및 광반사 소재를 포함하는 광반사층 으로 이루어진 고비중화 광반사칩을 적용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첫째 저비중의 투명층에 금속 재료를 전사 또는 증착하거나, 펄, 유리 플레이크 등을 투명 저비중 소재의 표면에 코팅하여 반짝이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고안된 칩을 제조한 후, 고비중의 무기물을 함유한 비중 조정층(고비중층)과 일체화함으로써 이 칩이 적용될 인조대리석과 비중 차이가 나는 단점을 해결하고, 둘째 샌딩으로 고비중층을 제거하여 투명층에 의한 깊이감 있는 광반사 효과를 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비중은 이 칩이 적용되는 인조대리석 원료 조성물의 비중과 같거나 그 비중차가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비중화 광반사칩과 이 칩이 적용되는 인조대리석 원료 조성물과의 비중차를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비중화 광반사칩과 원료 조성물 사이의 비중차가 없는 것, 즉 비중이 동일하거나, 그 비중차가 0.2 이하일 경우 칩 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자는 천연석에 포함된 석영 및 고순도의 실리카와 같은 투명성을 재현하여 무늬 및 색상에 있어서 천연석에 근접한 인조대리석을 제조하고자, 인조대리석 원료에 아크릴 수지와 같은 투명한 저비중 소재를 도입하였으나, 저비중 소재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진제를 첨가하지 않음에 따라, 저비중 소재를 칩 형태로 인조대리석에 적용할 때 비중 차에 의하여 칩의 분리현상이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고분자 수지는 비중 1.5 이하의 저비중 소 재이며,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투명한 아크릴 수지의 비중은 대략 1.17 내지 1.20 정도이다. 그러나, 인조대리석 원료 조성물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1.4 내지 1.8 정도이다.
이와 같이 투명수지와 인조대리석 원료 조성물의 비중차가 존재함에 따라, 이러한 수지로 투명칩을 제조하여 인조대리석에 적용할 때 투명칩의 분리현상이 발생한다. 현재 고비중(1.5 이상)의 투명 고분자가 없어서 투명칩을 적용한 인조대리석 제품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한 저비중 소재를 상대적으로 고비중화시켜 저비중 소재를 포함하는 칩과 인조대리석 원료 조성물 사이의 비중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투명한 저비중 소재의 분리현상 없이 천연 석영과 같은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전체 비중은 인조대리석 원료 조성물의 비중과 유사한 1.3 내지 2.0, 특히 1.4 내지 1.8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비중이 상기 범위에 이르도록 고비중층의 비중은 1.5 내지 10, 특히 2.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비중층의 비중은 0.2 내지 2.0이며, 통상 1.5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저비중층은 광투과율이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인 투명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칩들은 수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충진제를 함유하여 광투과율이 60% 이하인 반투명칩이었다.
본 발명에서 고비중층 및 저비중층에 사용되는 베이스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터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 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이며, 아크릴 수지(PMMA),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투명한 고분자 수지가 바람직하며, 특히 저비중층은 아크릴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투명 아크릴 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비중층을 도입함에 의해 광투과율 및 전반적인 물성이 우수한 투명 아크릴 칩을 직접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천연 석영칩 효과의 연출을 통한 천연 리얼리티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중차로 인하여 적용이 불가능하였던 캐스팅 공법 및 연마와 같은 후공정 등 통상적으로 인조대리석 제조에 응용되는 모든 공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고비중층은 저비중층의 비중 조절을 위하여 충진제를 포함하며, 적절한 충진제로서 바륨, 경탄, 석분, 실리카,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금속분말, 금속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충진제의 비중은 적어도 2.0 이상이어야 하며, 바람직한 충진제의 비중 범위는 4.0 내지 10이다. 사용량 대비 비중 조절효과를 높이려면 고비중 충진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광반사층에 사용되는 광반사 소재는 금속, 펄, 유리 플레이크 등이며, 금속의 경우 전사 또는 증착에 의해 도입하고, 펄이나 유리 플레이크의 경우 수지를 매개로 하여 첨가물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라 투명한 저비중층의 하부에 금속, 펄안료, 유리 플레이크 등을 적용할 경우, 투명한 저비중층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감이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층에만 표현되었던 기존의 광반사 효과보다 현저히 우수한 광반사 효과를 연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조대리석 최종 제품의 경우 고비중층이 샌딩에 의해 제거되어 투명한 저비중층이 표면에 노출됨에 따라, 투명층에 의한 독특한 외관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통형 또는 사면체, 육면체 등의 다면체일 수 있으며, 육면체 형태가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 외관효과 및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고비중화 칩의 크기는 2 내지 20 ㎜, 고비중화 칩의 투입량은 인조대리석 원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조대리석은 아크릴계 인조대리석, 불포화폴리에스터계 인조대리석, 또는 천연석, 석영, 유리, 거울, 무기충전물 등을 주원료로 하고 베이스 수지 시럽을 인조대리석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로 사용하여 제작하는 실리카계(Engineered) 인조대리석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보다 작은 비중을 갖는 투명층용 평판을 제조하는 단계; 투명층용 평판의 상부에 인조대리석보다 큰 비중을 갖는 고비중층용 평판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층용 평판의 하부에 광반사층용 평판을 형성하는 단계; 적층된 평판을 분쇄하여 고비중화 광반사칩을 제조하는 단계; 고비중화 광반사칩을 적용하여 인조대리석 평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평판을 샌딩하여 고비중층을 제거함으로써 투명층을 표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고비중층용 평판에 첨가되는 충진제의 비중 및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인조대리석 원료 조성물의 비중과 동일하거나 근접하도록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 평판의 경화방법은 캐스팅법, 프레스법, 진동 바이브레이터(vibrator)법, UV경화법 등이 적용 가능하며, 광반사층용 평판의 경우 금속 소재를 전사 또는 증착시켜 형성하거나, 베이스 수지에 펄 안료, 유리 플레이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한 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명한 저비중층의 내면에 반사 효과를 갖는 칩을 제공하며, 이 칩을 인조대리석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자연석에 가까운 외관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타 제품들보다 더 투명 깊이감을 연출하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칩 제조를 위해 투명도를 떨어뜨리는 무기충진제를 배제하고 저비중의 고투명성 소재를 활용함과 동시에, 반짝임 효과를 발현하는 펄, 유리 플레이크, 금속 등 반사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모든 재료를 사용 가능함으로써 유리와 거의 동일한 투명도와 깊이감, 반짝임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고급 인조대리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칩을 제조하므로, 이 칩이 각종 대리석에 포함될 경우 투명층 내부를 그대로 보일 수 있으므로 깊이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투명층의 밑면에는 광반사 효과를 보이는 소재를 코팅 또는 전사 등의 방법으로 위치시켜 내부에서 반짝임 효과를 연출하므로 기존의 대리석에서는 볼 수 없었던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는 고급스러운 외관 패턴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러한 칩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대리석 제조를 위한 캐스팅, 프레싱 등의 기존 공법을 그대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설비를 요하지 않는다. 또한, 인조대리석을 제조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인 제품 컴파운드와 칩의 비중차를 해결할 수 있다. 보통 순수 아크릴계 또는 UPE계 수지와 같은 저비중 소재는 인조대리석 제품을 위한 컴파운드의 비중보다 낮기 때문에 원하는 패턴을 얻을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방법으로는 칩의 비중을 제품 컴파운드의 그것과 비슷한 값으로 맞출 수 있어서 원하는 외관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구조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화 광반사칩(10)은 위로부터 고비중층(11), 투명층(12) 및 광반사층(13)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비중화 광반사칩(1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육면체 형태가 적절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통형, 사면체 또는 그 이상의 다면체도 가능하며, 또한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일 수 있다.
고비중화 광반사칩(10)의 적층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부터 고비중층(11), 투명층(12) 및 광반사층(13)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광반사층(13)이 고비중층(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인조대리석에 적용될 경우 광반사층(13)이 대리석 제품 표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투명한 저비중층(12)에 의한 깊이감의 부여가 불가능하고 광반사 소재의 안정성과 오염 측면에서도 부적절하다. 광반사층(13)이 중간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불투명한 고비중층(11)에 의해 광반사 효과가 떨어지고 샌딩에 의해 고비중층(11)을 제거할 경우 역시 광반사층(13)이 대리석 제품 표면에 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화 광반사칩(10)의 제조공정은 고비중층(11)용 평판의 제조공정, 투명층(12)용 평판의 제조공정, 광반사층(13)용 평판의 제조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각 평판의 제조 및 적층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고비중층용 평판부터이든 광반사층용 평판부터이든 상관없이 한 층씩 경화시켜 세 층을 구성한다.
칩 제조용 인조대리석 평판은 중합 가능한 수지 및 무기물 등을 혼합한 컴파운드를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지며, 투명층(12)용 평판의 경우 무기충진제가 배제된다.
투명층(12)용 평판은 저비중 소재(비중 0.2 내지 2.0)를 사용하여 평판 형태로 경화시켜 제조한다. 저비중 소재로는 일반적인 투명 수지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물성 및 효과를 고려하여 고투명성 수지인 PMMA, PC, UPE 등의 고분자 수지가 적당하다. 아울러 투명 평판은 그 제조방식에 구애 받지 아니한다.
투명수지를 저비중층(12)으로 사용할 경우 비중이 인조대리석의 베이스와 차이가 커서 경화 시 제품 이면(스틸벨트를 기준으로 이와 접촉하는 면이 제품 표면이 되고, 그 반대쪽으로 공기와 접촉하는 면이 이면이 됨)으로 부상하여 실제 제품면에서는 그 효과가 크게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투명층(12)용 평판을 고비중 필러를 사용한 고비중층(11)과 일체화시킨다.
고비중층(11)용 평판은 베이스 수지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충진제 50 내지 1000 중량부, 가교제 0.1 내지 10 중량부, 중합개시제 0.1 내지 10 중량부, 안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평판 형태로 경화시켜 제조한다.
고비중층(11)에 사용되는 무기충진제는 바륨, 경탄, 석분, 실리카 분말 등의 고비중(비중 2.0 이상)을 가진 소재이다.
고비중층(11) 및 투명층(12)은 2층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 평판의 경화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캐스팅법, 프레스법, 진동 바이브레이터법, UV경화법 등 통상적으로 인조대리석 제조시 이용되는 모든 공법이 적용 가능하다.
광반사층(13)은 경화된 투명층(12)용 평판에 반짝임 또는 반사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소재를 적용하여 형성한다. 코팅할 경우 펄, 유리 플레이크 등을 수지 성분과 함께 섞어 얇게 코팅한 후 경화시키며, 금속 성분의 전사 또는 증착 등 이와 유사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모든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각 평판의 제조 및 적층이 완료되면 적층된 평판을 분쇄하여 고비중화 광반사칩(10)을 제조하며,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적용 크기에 따라 분쇄시 고비중층(11)과 투명층(12)이 박리되지 않도록 투명층(12)의 두께와 고비중층(11)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층이 혼합 작용을 하여 인조대리석 제품 내에서 깊이감, 반짝임, 비중 해결 등의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고비중화 광반사칩은 투명한 저비중 소재를 활용한 것으로, 무기 충진제를 포함하지 않고 고투명성을 갖는 저비중 소재로만 구성되어 저비중층 자체가 고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그 내부에 광반사 효과를 발현하는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고투명성, 깊이감, 반짝임 효과 등이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고급스러운 외관 효과를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화 광반사칩을 적용한 인조대리석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인조대리석을 샌딩한 후의 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제조한 고비중화 광반사칩(10)을 적용하여 인조대리석 평판을 제조한 후, 샌딩에 의해 고비중층(11)을 제거함으로써 투명층(12)을 제품 표면에 노출시킨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비중층(11)이 제거됨으로써 최종 제품에는 투명층(12)과 광반사층(13)으로 구성되는 광반사 투명칩의 형태로 존재한다.
[실시예]
아크릴 수지(비중: 1.19, 광투과율: 95%)를 사용하여 투명한 저비중층용 평판을 제조한 후, 이 투명 평판 위에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 고비중의 충진제인 황산 바륨(비중 4.499)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고비중층용 평판(비중 3.175)을 형성한 다음, 투명 평판 아래에 펄안료를 사용하여 광반사층용 평판을 형성한 후, 적층물을 분쇄하여 고비중화 광반사칩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비중은 1.6이었으며, 인조대리석 제조시 투입하여(투입량 20 중량%) 비중 차(±0.2)에 의한 층분리가 없이 양호한 제품을 얻었으며, 최종적으로 인조 대리석 평판을 샌딩하여 고비중층을 제거함으로써 투명층을 표면에 노출시켜 반짝임 효과를 연출하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였 다.
본 발명은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칩을 제조하므로, 이 칩이 각종 대리석에 포함될 경우 투명층 내부를 그대로 보일 수 있으므로 깊이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투명층의 밑면에는 광반사 효과를 보이는 소재를 코팅 또는 전사 등의 방법으로 위치시켜 내부에서 반짝임 효과를 연출하므로 기존의 대리석에서는 볼 수 없었던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는 고급스러운 외관 패턴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칩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대리석 제조를 위한 캐스팅, 프레싱 등의 기존 공법을 그대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설비를 요하지 않는다. 또한, 인조대리석을 제조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인 제품 컴파운드와 칩의 비중차를 해결할 수 있다. 보통 순수 아크릴계 또는 UPE계 수지와 같은 저비중 소재는 인조대리석 제품을 위한 컴파운드의 비중보다 낮기 때문에 원하는 패턴을 얻을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방법으로는 칩의 비중을 제품 컴파운드의 그것과 비슷한 값으로 맞출 수 있어서 원하는 외관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비중 0.2 내지 1.5의 투명층용 평판을 제조하는 단계;
    투명층용 평판의 상부에 비중 2.0 내지 10의 고비중층용 평판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층용 평판의 하부에 광반사층용 평판을 형성하는 단계;
    적층된 평판을 분쇄하여 고비중화 광반사칩을 제조하는 단계;
    고비중화 광반사칩을 적용하여 인조대리석 평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평판을 샌딩하여 고비중층을 제거함으로써 투명층을 표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비중이 베이스수지시럽, 무기충진제, 가교제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원료 조성물의 비중과 같거나 그 비중차가 ±0.2 이하이고,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전체 비중이 1.3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고비중층이 비중 2.0 내지 10의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충진제가 바륨, 경탄, 석분, 실리카,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금속분말, 금속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고비중층용 평판에 첨가되는 충진제의 비중을 2.0 내지 10의 범위에서 그리고 충진제의 첨가량을 베이스 수지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0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조절함으로써,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비중이 베이스수지시럽, 무기충진제, 가교제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원료 조성물의 비중과 같거나 그 비중차가 ±0.2 이하가 되도록 고비중화 광반사칩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각 평판의 경화방법이 캐스팅법, 프레스법, 진동 바이브레이터(vibrator)법 또는 UV경화법 등 인조대리석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광반사층용 평판을 금속 소재를 전사 또는 증착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광반사층용 평판을 베이스 수지에 펄, 유리 플레이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한 후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KR1020060056353A 2006-06-13 2006-06-22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6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353A KR100826089B1 (ko) 2006-06-22 2006-06-22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CN200680054953XA CN101460422B (zh) 2006-06-13 2006-12-14 包含含有透明和反光材料的碎片的人造大理石及其制备方法
US12/308,322 US20100209695A1 (en) 2006-06-13 2006-12-14 Artificial marble containing chip with transparent and light reflecting material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PCT/KR2006/005455 WO2007145408A1 (en) 2006-06-13 2006-12-14 Artificial marble containing chip with transparent and light reflecting material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TW096101153A TWI354655B (en) 2006-06-13 2007-01-11 Artificial marble containing chip with transpar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353A KR100826089B1 (ko) 2006-06-22 2006-06-22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833A Division KR100855177B1 (ko) 2008-03-10 2008-03-10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371A KR20070121371A (ko) 2007-12-27
KR100826089B1 true KR100826089B1 (ko) 2008-04-29

Family

ID=3913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353A KR100826089B1 (ko) 2006-06-13 2006-06-22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304B1 (ko) * 2007-01-08 2013-10-08 (주)엘지하우시스 바인더층을 갖는 투명칩, 이를 포함한 인조대리석 및이들의 제조 방법
KR100977885B1 (ko) * 2008-05-27 2010-08-24 김경수 진공증착 코팅층을 갖는 실내외 장식용 칼라 대리석 및 그제조방법
KR102302680B1 (ko) * 2018-12-27 2021-09-15 롯데첨단소재(주) 인조 대리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7373A (ja) * 1989-12-25 1991-08-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8387A (ja) * 1992-06-24 1994-01-18 Nikko Co 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4657A (ja) * 1994-07-26 1996-02-06 Yamaha Corp 人工石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7373A (ja) * 1989-12-25 1991-08-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8387A (ja) * 1992-06-24 1994-01-18 Nikko Co 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4657A (ja) * 1994-07-26 1996-02-06 Yamaha Corp 人工石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371A (ko)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003B1 (ko) 공압출 공법을 활용한 투명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JP4602415B2 (ja) 透明チップを用いて石英効果を具現した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US7638189B2 (en) Artificial marble containing transparent chip using co-extrus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633696B1 (ko) 입체적 투명 마블칩을 함유한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432125A (zh) 使用磁颗粒的新型表面艺术
US20100209695A1 (en) Artificial marble containing chip with transparent and light reflecting material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349559B1 (ko) 깊이감과 반짝임 효과를 연출하는 투명칩, 이를 포함하는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0805636B1 (ko) 깊이감과 반짝이는 효과를 연출하는 고비중화 광반사칩,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KR100826089B1 (ko)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EP1888485B1 (en) Artificial marble using low specific gravity material as chip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5636101B2 (ja) 板状廃ガラスチップを含む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05634B1 (ko) 층화에 의해 저비중 소재를 칩으로 이용하여 천연석 질감을구현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5177B1 (ko) 투명소재와 광반사효과를 연출하는 소재로 구성된 칩을포함하는 인조대리석
US6936643B1 (en) Plastic molded body
KR101242277B1 (ko) 광반사 소재를 포함하는 투명칩, 상기를 포함하는인조대리석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780235B1 (ko) 크런치 기술에 의해 저비중 소재를 칩으로 이용하여 천연석질감을 구현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9444B1 (ko) 고비중 소재를 칩으로 이용하여 천연석 질감을 구현한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148811A1 (en) Artificial ston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228170B1 (ko) 반사효과를 갖는 칩, 이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제조방법
KR100786531B1 (ko) 잉크칩을 활용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