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813A - 덮개용 셔터 - Google Patents

덮개용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813A
KR20060059813A KR1020050110763A KR20050110763A KR20060059813A KR 20060059813 A KR20060059813 A KR 20060059813A KR 1020050110763 A KR1020050110763 A KR 1020050110763A KR 20050110763 A KR20050110763 A KR 20050110763A KR 20060059813 A KR20060059813 A KR 2006005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core
guide groove
core material
surfa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1403B1 (ko
Inventor
다카히데 이치마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05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표면재와 심재를 경연(硬軟)에 따라서 별체로 성형함과 아울러, 양자를 접합하는 데 있어서의 강도향상을 도모하였다.
(해결수단) 장치측 수용부의 개구(1a) 양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a)에 끼워맞춰지고, 가이드홈(3a)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개구(1a)를 개폐하는 덮개용 셔터(2)에 있어서, 상기 셔터(2)는 적어도 외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또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된 연질수지제의 표면재(4)와, 표면재(4)의 이면에 있어서 양측의 가이드홈(3a)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고 또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복수 병설된 경질수지제의 심재(5)와, 표면재(4)의 이면에 돌출형성되고 심재(5)의 대응부에 결합됨으로써 표면재(4)와 심재(5)를 조립하는 경질수지제의 부착부(8)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덮개용 셔터{SHUTTER FOR DOOR}
도 1은 본 발명을 장치측 수용부의 상면 개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덮는 셔터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편측) 단면도
도 2는 도 1과 동일한 개소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셔터에 있어서의 표면재 및 심재의 이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표면재 및 심재의 조립상태를 이면에서 본 모식 사시도
도 5는 (a)∼(c)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7은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1∼도 4의 걸어맞춤구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캐비닛(장치측 수용부에 상당, 1a : 개구)
2 - 셔터 3a - 가이드홈
4 - 표면재(6 : 뚜껑부, 6a : 힌지홈, 7 : 돌기부)
5 - 심재(9 : 지지보부, 10 : 축지지부)
9b - 구멍
8 - 클립(부착부에 상당, 8a : 기판, 8b : 걸어맞춤 돌조)
18 - 클립(부착부에 상당, 18a : 기판, 18b : 걸어맞춤 돌조)
20,30 - 포스트(부착부에 상당, 20a : 기판, 20b : 빠짐방지용 플랜지)
31 - E-링(리테이닝 링) 40 - 푸시 너트(리테이닝 링)
본 발명은 슬라이딩방향으로 굴곡 가능한 수지제의 덮개용 셔터에 관한 것이다.
덮개용 셔터 중, 금속제의 셔터에서는 복수의 가는 폭형상의 슬랫을 굴곡 가능하게 연결하고, 각 슬랫의 양단부를 장치측 수용부의 개구 폭방향 양가장자리부에 형성한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것에 비해, 수지제의 셔터에서는 이와 같은 슬랫의 연결방식을 취하지 않고, 연질수지의 수지탄성을 이용해서 수용부 개구측의 만곡형상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기 위해 1장의 표면재를 사용하고, 상기 표면재의 폭방향으로 적당히 간격을 두어서 복수의 힌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홈을 굴곡점으로 해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굴곡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후자의 구조에 있어서는 셔터의 메인부를 구성하고 있는 표면재가 연질이기 때문에, 폭방향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표면재의 이면에 경질수지제의 심재를 부설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경우, 표면재와 심재의 경연 일체화 구조로서는, 특허문헌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질수지제 표면재 및 경질수지제 심재를 개별로 성형함과 아울러, 표면재 및 심재에 각각 형성된 부착부와 피부착부 등의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과, 특허문헌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질수지제 표면재와 경질수지제 심재를 2색성형(double injection)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하는 구성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보 제3119602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90186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적어도 걸어맞춤수단의 일측이 연질수지이기 때문에, 결합력이 작고,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걸어맞춤이 부주의하게 빠지거나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또 경질수지제 심재가 셔터의 이동방향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질수지제 표면재의 굴곡성을 손상시킬 염려도 있었다. 이것에 비해, 특허문헌 2의 구조에서는, 미리 경연 일체로 성형했기 때문에 조립의 수고 등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이 구조를 수용부의 개구치수가 큰 장치에 적용하면, 셔터의 폭방향도 크기 때문에 경질수지부분의 강성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서 연질수지부분과 경질수지부분의 열수축률이나 선팽창계수의 차가 커지게 되 어, 성형시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셔터에 휘어짐이 발생하여 의장성을 손상시킬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연질수지제 표면재와 경질수지제 심재를 별체로 성형하는 것을 전제로 해서, 양자를 접합하는 데 있어서의 결합강도의 향상을 도모한 덮개용 셔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치측의 수용부의 개구 양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지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용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적어도 외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또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된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와, 상기 표면재의 이면에 있어서 상기 개구 양가장자리부의 가이드홈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고 또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복수 병설된 경질수지제의 심재와, 상기 표면재의 이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심재의 대응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표면재와 상기 심재를 조립하는 경질수지제의 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는, 수지제의 셔터로서 연질수지제 표면재와 경질수지제 심재를 따로따로 형성하는 점에서 특허문헌 1과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특히, 표면재와 심재의 결합력을 비교적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강화할 수 있는 것과, 설계상의 강성을 충족시키면서 만곡한 개구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할 때의 굴곡성 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또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재측의 부착부로서는 상기 표면재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구성, 상기 심재에 형성된 구멍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돌조인 구성, 상기 심재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서 통과시키고, 그 돌출단부를 심재측에 용착(溶着)고정하는 용착부인 구성, 상기 심재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서 통과시키고, 그 돌출단부를 코킹고정하는 코킹부인 구성의 어느 것이든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심재의 좌우측부는 상기 표면재의 측면에 돌출된 돌기부에 의해 덮여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에 대하여 보통 때는 비접촉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5는 제 2 실시형태, 도 6은 제 3 실시형태, 도 7은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해서 발명의 특징을 명백히 한 후, 제 2 실시형태∼제 4 실시형태에 의해서 변경례에 대하여 언급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캐비닛(장치측의 수용부)의 상면 개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덮는 셔터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1은 캐비닛, 부호 2는 캐비닛(1)의 개구(1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덮는 셔터이다. 이 캐비닛(1)은 수용부의 상면측이 개구(1a)되어 있다. 개구(1a)의 양측(도면에서는 편측만 나타냄)에는, 예를 들면, L자형의 가이드 커버(3)에 의해 덮여진 가이드홈(3a)이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3a)은 셔터(2)가 개구(1a)를 폐쇄한 폐 쇄위치에서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셔터(2)를 안내하는 단면 약 コ형의 홈이며, 상기 셔터(2)를 개방위치에 있게 하는 격납측과 연속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셔터(2)는 덮개용이면 되고, 예를 들면, 차량용의 각종 박스의 슬라이드식 뚜껑, 드럼식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의 개구부에 사용되는 슬라이드식 뚜껑, 주택설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드식 뚜껑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도 2의 가이드홈(3a)은 직선상으로 그리고 있지만, 만곡상이어도 된다. 셔터(2)의 격납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개구(1a)를 완전히 개방한 시점에서 캐비닛(1)의 개방 단부측에 연속되어 있는 만곡상 등의 격납부에 격납되는 태양(특허문헌 1이나 2를 참조)이나, 개방 단부측에 설치된 리트랙터(retractor) 등에 감기식으로 격납되는 태양 등도 채용가능하다.
이상의 셔터(2)는 캐비닛(1)의 개구(1a)를 완전히 덮는 크기이고, 또한 폭방향 양측에 상기한 가이드홈(3a)에 끼워맞춤하는 돌기부(7)를 가진 연질수지제의 표면재(4)와 표면재(4)의 이면(하면)측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경질수지제의 심재(5)와 표면재(4)의 이면에 돌출형성되고 심재(5)의 대응부에 결합됨으로써 표면재(4)와 심재(5)를 조립하는 경질수지제의 클립(8)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표면재(4)는 예를 들면 TPE(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수지소재로 성형한 탄성이 있고 또한 단단하지 않으며 표면활성이 풍부한 수지성형체로서, 캐비닛(1)의 개구(1a)에 대응되는 1장의 평판상의 뚜껑부(6)와 상기 뚜껑부(6)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뚜껑부(6)에서 아래로 약 L형의 단차를 두고 돌출형성되어 있는 돌기부(7)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부(6)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면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슬라이딩방향의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힌지홈(6a)이 형성되고, 이들 힌지홈(6a)을 굴곡점으로 하여 가이드홈(3a)을 따라서 굴곡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뚜껑부(6)에는 도시생략하고 있으나, 개폐단부측에 당김부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7)는 뚜껑부(6)의 양측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고, 수평선단부가 상기 가이드홈(3a) 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클립(8)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의 경질수지성형체로 이루어지고, 도 3에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부(6)의 두께 내에 삽입되어 끼워 넣어지는 기판(8a)상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이 클립(8)은 선단부가 가늘게 형성되고, 또한 내측의 공간부에 돌출된 탄성변형 가능한 걸어맞춤 돌조(8b)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돌조(8b)는 후술하는 심재측의 걸어맞춤용 구멍(9b)에 대하여 압입에 의해서 걸림되는 구성이면 된다. 물론, 이상의 클립(8)은 뚜껑부(6)의 이면에 있어서, 뚜껑부 폭방향으로 복수 형성하거나, 심재(5)의 부착 간격에 따라서 슬라이딩방향으로 복수 형성된다.
심재(5)는 예를 들면,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GF(유리섬유)를 15∼40질량%를 배합하여 경질수지소재로 성형한 단단하고 강성이 풍부한 수지성형체로서, 다수의 리브(9a)에 의해서 보강된 단면 약 직사각형의 홈형상이고 또한 하면이 개구된 지지보부(9)와 지지보부(9)의 좌우측에 위치하고 지지보부(9)에서 아래로 약 L형의 단차를 두고 돌출형성되어 있는 축지지부(10)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보부(9)의 바닥면에는, 도 4에 일부 확대해서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8)의 배열 간격에 따른 개소에 걸어맞춤용의 긴구멍형상 구멍(9b)이 형성되어 있다. 축지지부(10)의 상면 및 선단부면은 표면재(4)의 돌기부(7)의 대응부에 의해 덮이고, 가이드홈(3a)에 대하여 통상은 비접촉상태로 끼워지고, 이것에 의해서 진동 등에 의한 접촉의 반복에 수반되는 저급 잡음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상의 구조에서는, 도 3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재(4)를 뒤집은 상태에서 심재(5)의 지지보부(9)를 뚜껑부(6)에 위치결정하고 뚜껑부(6)에 누름으로써, 각 클립(8)이 구멍(9b)에 걸어맞춤 돌조(8b)의 축경(縮徑)과 복원을 수반하여 탄발적으로 걸어맞춤한다. 이 걸어맞춤상태에서는 걸어맞춤 돌조(8b)가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하여 빠짐방지가 이루어지고, 이것에 의해 표면재(4)에 대한 심재(5)의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고정상태에서는 심재(5)의 축지지부(10)의 상면 및 선단부면이 돌기부(7)의 대응부에 의해서 포위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설계 개수의 지지보부(9)가 뚜껑부(6)상에 순서대로 위치결정되고, 누름작업이 반복됨으로써, 복수의 심재(5)가 표면재(4)에 일체적으로 접합되고, 셔터(2)로서 완성된다. 이 심재(5)는 표면재(4)와의 열수축차나 선팽창률차에 따라서 신축하게 되지만, 양자의 접합부분은 클립(8)과 구멍(9b)의 걸어맞춤이고, 이 걸어맞춤부분에서 신축의 차분이 흡수되기 때문에 뚜껑부(6)의 휘어짐이나 변형 등이 없이, 외관 의장성이 장기간 유지됨과 아울러, 경질수지끼리의 걸어맞춤이기 때문에 그 결합강도는 크고, 과대한 외력이 가해져도 탈락될 염려가 없어진다. 또, 뚜껑부(6)에 하향 하중이 가해지면, 축지지부(10)의 바닥면이 가이드홈(3a)의 바닥부에 직접 접촉해서 상기 하향 하중을 지지하고, 뚜껑부(6)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용도에 따라서 예를 들면, 심재(5)의 두께나 판폭을 조금 바꾸는 것만으로 설계상의 강성을 간단히 충족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도 우수하다.
또한, 이상의 구조에 있어서, 도 3과 도 4에서는 뚜껑부(6)의 폭방향 길이와 지지보부(9)의 길이 및 지지보부(9)의 뚜껑부(6)에 대한 배열 간격을 간략화해서 그렸지만, 실제로는 용도에 따른 필요 치수나, 요구강도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이것은 이하의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이상의 클립(8)과 구멍(9b)의 걸어맞춤구조로서는, 도 8(a),(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변형가능하다. 동도면의 각 클립(18)은 경질수지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바와 같이 뚜껑부(6)의 두께 내에 삽입되어 끼워 넣어지는 기판(18a)상에 돌출형성되어 있고, 양면에 걸어맞춤 돌조(18b)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돌조(18b)는 상기의 걸어맞춤 돌조(8b)에 비해서 거의 탄성변형하지 않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8(a)의 경우에는 지지보부(9)측에 대하여 클립(18)이 관통가능한 크기의 관통용 구멍(9c)과, 상기 구멍(9c)에 연속하고 또한 구멍(9c)보다 폭치수가 작은 걸어맞춤용 구멍(9d)을 형성한 구성이다. 이 때문에, 클립(18)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9c)에 끼워 통과시킨 후, 수평이동함으로써 구멍(9d)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한편, 도 8(b)의 경우에는 지지보부(9)측에 대하여 걸어맞춤용 구멍(9e)과 함께, 상기 구멍(9e)을 확개(擴開)변형되기 쉽게 하기 위한 가는 관통구멍(9f)을 구멍(9e)의 양측에 형성한 구성이다. 이 때문에, 클립(18)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9f)의 존재에 의해서 구멍(9e)의 확개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구멍(9e)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5(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재(4)에 대하여 상기 걸어맞춤용 클립(8)을 대신해서, 용착용의 원기둥형상 포스트(20)를 부설한 예이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개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개소 또는 새로이 부가된 개소에만 다른 부호를 사용해서 변경점만을 설명한다.
포스트(20)는 예를 들면, ABS수지 등의 열가소성이고, 일체로 형성된 가는 평판상의 기판(20a)상에 세워 형성되어 있다. 이 포스트(20)는 표면재(4)를 성형할 때,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20a)이 뚜껑부(6)의 두께 내에 삽입되어 일체화된다. 이것에 따라서, 심재(5)에는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포스트 관통용의 구멍(9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부(6)에 지지보부(9)를 위치결정하여 설치함으로써 포스트(20)가 구멍(9b)을 통과하여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된다. 그 후에는,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용 펀치(21)를 포스트(20)의 두부에 맞닿게 하고, 가열 가압함으로써 포스트(20)의 두부를 열용융하고, 펀치(21)의 선단부형상에 따른 면형상의 빠짐방지용 플랜지(20b)로서 형성하여, 지지보부(9)의 내부 바닥면에 빠짐방지상태로 고정된다. 이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포스트(20)의 원기둥형상에 따라서 표면재(4)와 포스트(20)의 일체 성형시에 있어서의 성형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6에 요부를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재(4)에 대하여 상기 용착용 포스트(20) 대신에, 코킹고정용 포스트(30)를 부설한 예이다. 또한, 포스트(30)는 세부를 생략했지만, 경질수지제이고, 포스트(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시생략된 기판이 뚜껑부(6)의 두께 내에 삽입되어서 일체화되어 있다. 단, 포스트(30)는 포스트(20)와 다르게 선단부 주위에 형성된 홈(30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뚜껑부(6)에 지지보부(9)를 위치결정하여 설치함으로써 포스트(30)가 구멍(9b)을 통과해서 지지보부(9)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된다. 그 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스트(30)의 홈(30a)에 대하여 리테이닝 링인 E-링(31)을 축경(軸徑)방향에서 걸어맞춤함으로써 포스트(30)를 빠짐방지하여 고정한다. 이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포스트(30)의 원기둥형상에 따라서 표면재(4)와 포스트(20)의 일체 성형시에 있어서의 성형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7에 요부를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재(4)에 대하여 상기 포스트(30)를 대신해서, 코킹고정용 포스트(20)를 부설한 예이다. 또한, 포스트(20)는 형상적으로 제 2 실시형태의 포스트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단순한 원기둥형상이다. 또 포스트(20)는 세부를 생략했지만, 제 3 실시형태의 포스트(30)와 마찬가지로 경질수지제이고, 도시생략된 기판이 뚜껑부(6)의 두께 내에 삽입되어서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뚜껑부(6)에 지지보부(9)를 위치결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코킹고정용 포스트(20)가 구멍(9b)을 통과해서 지지보부(9)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된다. 그 후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닝 링인 푸시 너트(40)가 지지보부(9)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한 포스트(20)의 상부측에서 걸어맞춰지고, 또한, 그 내주에 형성된 내측 톱니(40a)가 코킹고정용 포스트(20)의 외주에 죄어들면서 지지보부(9)의 내부 바닥면에 눌림으로써, 코킹고정용 포스트(20)를 빠짐방지하여 고정한다. 이 형태에서는 제 2,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이점에 더하여, 제 3 실시형태에 비해서 푸시 너트(40)가 코킹고정용 포스트(20)의 축방향으로의 압입작업을 이루기 때문에,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하등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서 특정하는 요건을 제외하고, 예를 들면, 장치측 수용부측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이나 2 등을 참조해서 여러 가지로 변형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의 발명에서는, 특허문헌 1의 구조에 비하여 연질수지제 표면재와 경질수지제 심재를 성형 후에 확실하게 또한 강고한 결합력에 의해 조립할 수 있고, 동시에 슬라이딩방향으로 복수 병설된 심재에 의해서 설계상의 강성을 충족하기 쉽고, 복수 구성의 심재와 외면(표면과 동일)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재에 의해서 수용부측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할 때의 굴곡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쉽다. 또, 특허문헌 2의 구조에 비하여 2색성형에 수반되는 팽창수축 및 이것에 수반되는 휘어짐 등의 발생이 없어 의장성을 손상시킬 염려가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제 2의 발명에서는, 표면재 성형과 동시에 경질수지제 부착부를 표면재에 일체화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수를 없애고 제조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3의 발명에서는, 표면재의 이면에 심재를 위치결정하여 설치하고, 누름으로써 결합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4의 발명에서는, 경질수지제 부착부가 포스트형상이기 때 문에, 표면재와의 일체성형이 간단하고, 또한 열코킹 등의 작업에 의해서 심재에 간단하게 용융 일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5의 발명에서는, 제 4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표면재와의 일체성형이 간단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제 6의 발명에서는, 상기 심재의 좌우측부가 가이드홈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 등에 수반되는 저급 잡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슬라이딩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9)

  1. 장치측의 수용부의 개구 양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지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용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적어도 외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또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된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와, 상기 표면재의 이면에 있어서 상기 개구 양가장자리부의 가이드홈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고 또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복수 병설된 경질수지제의 심재와, 상기 표면재의 이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심재의 대응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표면재와 상기 심재를 조립하는 경질수지제의 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표면재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심재에 형성된 구멍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돌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심재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서 통과시키고, 그 돌출단부를 심재측에 용착(溶着)고정하는 용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심재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서 통과시키고, 그 돌출단부를 코킹고정하는 코킹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좌우측부는 상기 표면재의 측면에 돌출된 돌기부에 의해 덮여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에 대하여 보통 때는 비접촉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좌우측부는 상기 표면재의 측면에 돌출된 돌기부에 의해 덮여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에 대하여 보통 때는 비접촉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좌우측부는 상기 표면재의 측면에 돌출된 돌기부에 의해 덮여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에 대하여 보통 때는 비접촉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좌우측부는 상기 표면재의 측면에 돌출된 돌기부에 의해 덮여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에 대하여 보통 때는 비접촉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KR1020050110763A 2004-11-29 2005-11-18 덮개용 셔터 KR100701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43974A JP4498110B2 (ja) 2004-11-29 2004-11-29 扉用シャッター
JPJP-P-2004-00343974 2004-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813A true KR20060059813A (ko) 2006-06-02
KR100701403B1 KR100701403B1 (ko) 2007-03-28

Family

ID=3663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763A KR100701403B1 (ko) 2004-11-29 2005-11-18 덮개용 셔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98110B2 (ko)
KR (1) KR100701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8971B2 (ja) * 2006-09-12 2011-09-2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及びシャッタ装置用金物
JP5031331B2 (ja) * 2006-11-15 2012-09-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収納装置
JP5967123B2 (ja) * 2010-07-30 2016-08-10 豊田合成株式会社 シャッタ式物入れ
JP5706124B2 (ja) * 2010-09-29 2015-04-2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蓋装置及び収納装置
JP5800623B2 (ja) * 2011-07-27 2015-10-2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蓋装置及び収納装置
CN104743235B (zh) * 2013-12-31 2017-01-25 张煜爽 滑轨结构
KR102052925B1 (ko) * 2017-11-09 2019-12-1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커버
FR3118742B1 (fr) * 2021-01-14 2023-11-10 Faurecia Interieur Ind Rideau de fermeture d’un réceptac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800U (ja) * 1981-07-22 1983-01-31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シヤツタ−
JPH0623677Y2 (ja) * 1986-10-13 1994-06-22 三和シヤツタ−工業株式会社 耐火シヤツタ−パネル
JPH072955Y2 (ja) * 1988-08-25 1995-01-30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明り取り窓の構造
JP2551324Y2 (ja) * 1990-12-27 1997-10-2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軽量シャッターのスラット構造
JPH0586777A (ja) * 1991-09-27 1993-04-06 Kentosu:Kk シヤツター基材、シヤツター基材の製造方法及びシヤツター付収納庫
JPH05280266A (ja) * 1992-03-31 1993-10-26 Sanwa Shutter Corp 建物用シヤツターカーテンのずれ止め構造
JP2587007Y2 (ja) * 1992-12-28 1998-12-14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ャッターの明かり取り構造
JP3281440B2 (ja) * 1993-02-23 2002-05-13 東海興業株式会社 シャッター用スラット
JP2911759B2 (ja) * 1994-09-13 1999-06-23 レーアウ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成形部材
JPH08243038A (ja) * 1995-03-07 1996-09-24 Sakama Toshiaki リサイクル可能なプラスチック製シャッター式浴槽蓋
JP4680452B2 (ja) * 2001-09-19 2011-05-11 株式会社ニフコ 扉用シャッ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98110B2 (ja) 2010-07-07
KR100701403B1 (ko) 2007-03-28
JP2006152654A (ja)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9813A (ko) 덮개용 셔터
US20060160385A1 (en) Grommet assembly
JP4212005B2 (ja) 留めクリップ
KR100439159B1 (ko) 몰딩 부착용 클립 및 몰딩 부착구조
JP5922527B2 (ja) グロメット
JP2021515148A (ja) 2構成要素u字形ベースのファスナ
US20090007498A1 (en) Weather strip
US20200251849A1 (en) Holding frame for a plug connector and methods of populating same
JP2011017350A (ja) 外装部材の取付構造及びクリップ
JP6002327B2 (ja) 樹脂クリップ用補強板ばね
JP4450325B2 (ja) 建具
US6870104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a harness protector used in supplying electricity
JP6082599B2 (ja) 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20230416972A1 (en) Lid structure, electrical device, assembling method, and disassembling method
JP3901481B2 (ja) シフトレバーブーツの取付構造
JP2745855B2 (ja) 冷蔵庫の扉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70124552A (ko) 조작용 핸들 및 조작용 핸들의 핸들 본체 구조
US6070930A (en) Structure for positioning window shield panel for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window shield panel
JP4419196B2 (ja) 計器装置における組付構造
KR200493096Y1 (ko) 클립 조립 구조
KR100440050B1 (ko) 표장부재의 부착구조 및 표장부재의 제조방법
KR100941504B1 (ko) 자동차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JP2007038721A (ja) ドアトリム
JP4493244B2 (ja) 箱体にパネルを取り付ける方法及び取付具
JP6016545B2 (ja) ルーフモールの取付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