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552A - 조작용 핸들 및 조작용 핸들의 핸들 본체 구조 - Google Patents

조작용 핸들 및 조작용 핸들의 핸들 본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552A
KR20170124552A KR1020177024614A KR20177024614A KR20170124552A KR 20170124552 A KR20170124552 A KR 20170124552A KR 1020177024614 A KR1020177024614 A KR 1020177024614A KR 20177024614 A KR20177024614 A KR 20177024614A KR 20170124552 A KR20170124552 A KR 2017012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air
shaft
handle
hol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토 이케노야
코지 소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ublication of KR2017012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 F16D1/116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the interengaging parts including a continuous or interrupted circumferential groove in the surface of one of the coupl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F16B21/18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조작용 핸들은, 핸들 본체와, 연결 클립을 구비한다. 연결 클립의 탄성 레그가, 핸들 본체의 축체 유지부에 마련된 클립 유지홈에 삽입된다. 클립 유지홈은 형상 변형부를 구비하고, 클립 유지홈에 삽입된 탄성 레그는 형상 변형부의 홈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한다.

Description

조작용 핸들 및 조작용 핸들의 핸들 본체 구조
본 개시는,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차량이 알려져 있다. 이 차량에 있어서, 도어 인너 패널의 필요한 위치에는, 조작용 핸들인 인사이드 핸들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용 핸들을 후방으로 당겨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다. 반대로, 조작용 핸들을 전방으로 밀어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다.
조작용 핸들은, 핸들 본체와, 거의 U자 형상의 연결용 클립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내측 표면의 트림재보다 실내측으로 노출된 축체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 본체에는, 축체에 외측에서 끼우는 통형상의 축체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축체 유지부의 외주면에는 한쌍의 클립 유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클립은, 클립 유지홈에 삽입되면 축체 유지부를 양측에서 협지하고, 이에 의해, 축체 유지부에 장착된다. 또한, 연결용 클립은, 축체 유지부의 내방으로 들어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축체 유지부에 삽입되는 축체의 체결부를 체결한다. 이에 의해, 축체로부터 핸들 본체가 빠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체결 구조에 있어서는, 클립 유지홈의 간격에 있어서 연결용 클립에 덜컹거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진동에 기인하여 축체가 움직이면, 연결용 클립도 이동하여, 연결용 클립과 클립 유지홈이 간섭하는 것에 의해 이상음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연결용 클립으로서의 스냅링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선단부에는, 샤프트의 측면에 홈부가 형성된다. 스냅링은, 이 홈부에 장착되어, 드라이브 샤프트의 차동(differential) 기구부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스냅링은, C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비틀기 방향의 변형이 가해져, 한쪽의 선단부와 다른 한쪽의 선단부가 해당 링의 축방향으로 벗어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틀기 변형을 수반하는 스냅링에 있어서는, 홈부의 측면을 샤프트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스프링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스냅링을 드라이브 샤프트의 지름 방향으로 약간 어긋나게 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드라이브 샤프트의 축 중심과 스냅링의 중심을 맞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스냅링은, 연결용 클립을 미리 변형시켜 있기 때문에, 클립 유지홈으로의 삽입시에는, 연결용 클립과 클립 유지홈이 간섭하지 않도록 능숙하게 위치 맞춤을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연결용 클립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는, 미묘한 조절이 요구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할 수 밖에 없고,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자동화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에 의해, 조립 비용이 들뿐만 아니라,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6-322518호 공보
본 개시는, 연결용 클립의 조립 작업성이 뛰어난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축체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해당 축체의 조작용의 손잡이가 되는 조작용 핸들을 제공한다. 이 조작용 핸들은, 축체에 외측에서 끼우는 통형상의 축체 유지부를 구비하는 핸들 본체와, 베이스부를 통해 대향하는 한쌍의 탄성 레그를, 축체 유지부에 형성된 한쌍의 클립 유지홈에 삽입하고, 해당 한쌍의 탄성 레그에 의해 축체 유지부를 양측에서 협지하는 것에 의해 축체 유지부에 장착되는 한편, 한쌍의 탄성 레그가 구비하는 체결부가 축체 유지부의 내주벽보다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연결용 클립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클립 유지홈은,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에 대해 홈 형상을 변형시켜, 해당 클립 유지홈에 삽입된 탄성 레그를 홈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 있어서, 클립 유지홈은,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레이트 영역과, 스트레이트 영역에 연속되고 해당 스트레이트 영역에 비해 경사지는 경사 영역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의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 있어서, 클립 유지홈은,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의 앞측에 스트레이트 영역이 구성되고,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의 안쪽에 경사 영역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의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 있어서, 형상 변형부는, 한쌍의 클립 유지홈 중의 한 클립 유지홈에 형성되고, 한쌍의 클립 유지홈 중의 다른 한 클립 유지홈은,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에 대해 홈 형상을 동일하게 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의하면, 베이스부를 통해 대향하는 한쌍의 탄성 레그를 구비하는 연결용 클립에 의해, 축체에 연결되는 조작용 핸들의 핸들 본체 구조를 제공한다. 이 핸들 본체 구조는, 축체의 조작용의 손잡이가 되는 본체부와, 축체에 외측에서 끼우는 통형상의 축체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축체 유지부는, 축체 유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클립 유지홈을 구비하고, 해당 한쌍의 클립 유지홈에 한쌍의 탄성 레그가 삽입되면, 해당 한쌍의 탄성 레그에 의해 축체 유지부가 양측에서 협지되어 연결용 클립이 장착되는 한편, 한쌍의 탄성 레그가 구비하는 체결부가 축체 유지부의 내주벽보다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또한, 클립 유지홈은,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에 대해 홈 형상을 변형시켜, 해당 클립 유지홈에 삽입된 탄성 레그를 홈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연결용 클립과 축체 유지부의 클립 유지홈의 당접력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결용 클립의 덜컹거림이 억제된다. 그 결과, 핸들 본체의 축방향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형상을 미리 변형시킨 연결용 클립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클립 유지홈에 대해 연결용 클립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연결용 클립의 조립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연결용 클립의 조립 작업성이 뛰어난 조작용 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조작용 핸들을 평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조작용 핸들을 저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축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핸들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4는 핸들 본체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핸들 본체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6(a)는 연결용 클립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연결용 클립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연결용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조작용 핸들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조작용 핸들의 A-A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첨부 도면 및 이하의 개시는 본 개시의 예시이며, 이들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용 핸들(1)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a)는 조작용 핸들(1)을 평면측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조작용 핸들(1)을 저면측에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조작용 핸들(1)은, 축체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해당 축체의 조작용의 손잡이가 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하기 위해 실내측에 배치되는 인사이드 핸들이다.
조작용 핸들(1)은, 핸들 본체(2)와, 연결용 클립(4)을 구비하고 있고, 조작용 핸들(1)은, 핸들 본체(2)에 연결용 클립(4)을 장착하여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축체(5)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슬라이딩 도어의 실내측 표면에는 유연한 트림재(미도시)가 배치되고, 도어 본체 내부에 마련된 축체(5)는, 그 선단부가 트림재보다 실내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조작용 핸들(1)은, 축체(5)에 연결되어, 승무원에 의해 조작된다.
축체(5)의 선단부에는, 외주면에 세레이션이 가공된 세레이션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축체(5)의 최선단에는, 테이퍼가 주어진 테이퍼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세레이션부(11)의 베이스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클립 감합홈(13)이 마련되어 있고, 세레이션부(11)의 베이스부에 있어서 축체(5)의 외경이 단차 모양으로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차 형상에 의해, 연결용 클립(4)이 체결되기 위한 클립 체결부(14)가 형성된다.
도 3은 핸들 본체(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핸들 본체(2)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5는 핸들 본체(2)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핸들 본체(2)는, 축체(5)에 외측에서 끼워져,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할 때 손잡이가 되는 것이다.
핸들 본체(2)는, 핸들 본체(2)의 주요한 부위를 이루는 본체부(20)와, 축체(5)가 삽입되는 축체 유지부(30)로 구성되어 있다. 핸들 본체(2)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재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체 유지부(30)는, 본체부(20)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축체 유지부(30)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체 유지부(30)의 선단부가 본체부(20)보다 돌출하도록, 본체부(20)의 저면측에 세워서 마련되어 있다. 축체 유지부(30)의 내주벽(31)에는, 축체(5)의 세레이션부(11)와 대응하는 세레이션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체 유지부(30)에 축체(5)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축체(5)와 축체 유지부(30)가 감합된다. 이때, 축체(5)의 세레이션부(11)와, 내주벽(31)의 세레이션홈(32)이 치합되는 것에 의해, 회전축인 축체(5)에 장착했을 때의 핸들 본체(2)의 공전이 규제된다.
축체 유지부(30)의 외주면에는, 연결용 클립(4)을 삽입하여 장착하기 위한 제1클립 유지홈(33)과 제2클립 유지홈(34)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은, 축체 유지부(30)의 중심 위치를 끼고 대향하는 위치에, 핸들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 본체(2)는, 축체 유지부(30)가 위치되는 본체부(20)의 단부측에서, 핸들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용 클립(4)이 삽입된다.
제1클립 유지홈(33)은, 연결용 클립(4)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클립 유지홈(33)의 중앙부에는, 도면중의 해칭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벽(31)의 내방과 관통하는 관통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부(33a)의 양측은, 연결용 클립(4)이 체결되는 개구 체결부(33b, 33c)가 형성된다.
제2클립 유지홈(34)은, 굴곡점(Pa)을 경계로 굴곡되는 거의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클립 유지홈(34)은, 연결용 클립(4)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레이트 영역(A1)과, 스트레이트 영역(A1)에 연속되면서 해당 스트레이트 영역(A1)에 비해 경사지는 경사 영역(A2)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이트 영역(A1)은, 삽입 방향의 앞측에서 굴곡점(Pa)까지의 영역으로 정의되고, 경사 영역(A2)은, 굴곡점(Pa)에서 삽입 방향의 안쪽에 이르는 영역으로 정의되어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서는, 경사 영역(A2)은, 그 경사가 2단계로 변화되어 있다. 이는, 경사 영역(A2)의 경사를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축체 유지부(30)의 정상부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따라서, 축체 유지부(30)의 형상에 따라서는, 경사 영역(A2)의 경사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2클립 유지홈(34)의 중앙부에는, 제1클립 유지홈(33)과 동일하게, 내 주벽(31)의 내방과 관통하는 관통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부(34a)의 양측에는, 연결용 클립(4)이 체결되는 개구 체결부(34b, 34c)가 형성된다.
연결용 클립(4)은, 핸들 본체(2)(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에 장착되어, 축체(5)와 핸들 본체(2)를 고정하고, 축체(5)에 대한 핸들 본체(2)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 기구이다. 여기서, 도 6(a)는 연결용 클립(4)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연결용 클립(4)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연결용 클립(4)의 정면도이다.
연결용 클립(4)은, 거의 U자 형상을 구비하고, 선단끼리를 반대 방향으로 개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클립(4)은, 피아노선 등의 탄성을 구비하는 선재를 절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용 클립(4)은, 완만하게 만곡되어 형성된 베이스부(40)와, 해당 베이스부(4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한쌍의 탄성 레그(41)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레그(41) 중의 하나는, 탄성 레그(41)의 다른 하나를 향해 거의 L자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부(40)측에 위치되는 제1경사부(41a)와, 선단부측에 위치되는 제2경사부(41b)로 구성되어 있다. 제1경사부(41a)에서는, 베이스부(40)에서 멀어질수록 탄성 레그(41)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고, 또한, 제2경사부(41b)에서는, 베이스부(40)에서 멀어질수록 탄성 레그(41)끼리의 간격이 넓어진다.
탄성 레그(41)의 각각에 있어서, 각각의 경사부(41a)의 경계인 굴곡 위치는, 축체(5)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42)로서 기능한다. 즉, 탄성 레그(41)의 굴곡 형상에 의해, 체결부(42)는, 축체 유지부(30)의 내주벽(31)의 내측으로 튀어나와, 해당 축체 유지부(30)에 삽입되는 축체(5)의 클립 체결부(14)를 체결한다.
한편, 체결부(42)는, 2개의 탄성 레그(41)를 각각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2개의 탄성 레그(41)의 양쪽에 형성되어도 좋고, 한쪽의 탄성 레그(41)만을 굴곡시켜 한쪽의 탄성 레그(41)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조작용 핸들(1)은, 축체(5)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사용된다. 조작용 핸들(1)을 축체(5)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용 클립(4)을 핸들 본체(2)에 장착하고, 그 후, 해당 핸들 본체(2)를 축체(5)에 외측에서 끼운다.
첫번째로, 연결용 클립(4)의 핸들 본체(2)로의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조작용 핸들(1)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조작용 핸들(1)의 A-A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축체 유지부(30)의 한쌍 클립 유지홈(33, 34)을 양측에서 끼우도록, 연결용 클립(4)을 개방된 선단측으로부터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에 삽입한다. 한쌍의 탄성 레그(41)가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에 진입함에 따라, 제2경사부(41b)에는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으로부터의 저력이 작용하여, 한쌍의 탄성 레그(41)는 외방으로 탄성 변형된다. 제2경사부(41b)에 이어 체결부(42)가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에 진입하면, 체결부(42)에는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으로부터의 저력이 작용하여, 한쌍의 탄성 레그(41)는 일정한 변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삽입된다.
연결용 클립(4)의 삽입을 계속하면, 체결부(42)가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의 관통부(33a, 34a)에 도달한다. 체결부(42)가 관통부(33a, 34a)에 도달하면, 원형상으로 복귀하는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작용에 의해, 체결부(42)가 관통부(33a, 34a)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탄성 레그(41)의 제1경사부(41a)가,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의 베이스부측의 개구 체결부(33b, 34b)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한쌍의 탄성 레그(41)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한편, 제2클립 유지홈(34)에 있어서는, 탄성 레그(41)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2경사부(41b)가 굴곡점(Pa)을 통과하여 경사 영역(A2)에 진입하는 것에 의해, 탄성 레그(41)가 굴곡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한다. 탄성 변형한 탄성 레그(41)에는, 원형상으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2클립 유지홈(34)과 탄성 레그(41)의 당접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 당접력의 증가에 저항하여 연결용 클립(4)의 삽입을 계속하면, 한쌍의 탄성 레그(41)의 제2경사부(41b)가,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의 선단측의 개구 체결부(34c)에 당접한다. 이에 의해, 연결용 클립(4)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연결용 클립(4)의 삽입이 완료된다.
두번째로, 핸들 본체(2)를 축체(5)에 외측에서 끼우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핸들 본체(2)의 축체 유지부(30)를 축체(5)의 선단에 가압하면, 축체(5)의 테이퍼부(12)에 의해, 연결용 클립(4)의 체결부(42)가 외방으로 밀려나, 한쌍의 탄성 레그(41)가 외방을 향해 탄성 변형된다. 이 때문에 체결부(42)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축체(5)의 세레이션부(11)의 통과가 허용된다. 축체(5)가 진입하여, 축체(5)의 클립 감합홈(13)이 체결부(42)에 도달하면, 한쌍의 탄성 레그(41)는 원형상으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하여, 체결부(42)가 클립 감합홈(13)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체결부(42)가 클립 체결부(14)를 체결하여, 핸들 본체(2)는 축체(5)에 대해 빠짐이 방지되어 연결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연결용 클립(4)의 핸들 본체(2)로의 장착, 그리고, 해당 핸들 본체(2)의 축체(5)로의 외측에서 끼우기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축체(5)의 세레이션부(11)와, 축체 유지부(30)의 세레이션홈(32)의 감합에 의해, 축체(5)와 축체 유지부(30)의 지름 방향으로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한쌍의 탄성 레그(41)의 각 탄성 레그는,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의 베이스부측의 개구 체결부(33b, 34b) 및 선단측의 개구 체결부(33c, 34c)에 체결되어, 연결용 클립(4)과 축체 유지부(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한쌍의 탄성 레그(41)의 각 탄성 레그의 체결부(42)가 축체(5)의 클립 감합홈(13)에 끼워지고, 체결부(42)가 클립 체결부(14)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핸들 본체(2)와 축체(5)의 축방향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한편, 핸들 본체(2)와 축체(5)의 지름 방향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개시의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 의하면, 제2클립 유지홈(34)에 삽입된 탄성 레그(41)는, 스트레이트 영역(A1)에서 경사 영역(A2)에 이르는 굴곡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한다. 탄성 변형한 탄성 레그(41)에는, 원형상으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2클립 유지홈(34)과 탄성 레그(41)의 당접력이 증가한다. 즉, 연결용 클립(4)의 삽입 방향에 대해 홈 형상을 변형시킨 경사 영역(A2)은, 제2클립 유지홈(34)에 삽입된 탄성 레그(41)를 홈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부로서 기능한다.
연결용 클립(4)과 축체 유지부(30)의 클립 유지홈(33, 34)과의 당접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클립 유지홈(33, 34)에 있어서의 연결용 클립(4)의 덜컹거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핸들 본체(2)의 축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축체(5)의 진동 등에 의해 이상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 의하면, 형상을 미리 변형시킨 연결용 클립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결용 클립(4)을 클립 유지홈(33, 34)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결용 클립(4)의 조립 작업을,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가장, 탄성 레그(41)의 선단측(제2경사부41b)이 경사 영역(A2)에 진입할 때는, 제2클립 유지홈(34)과 탄성 레그(41)의 당접력이 증가하지만, 제조 장치에는, 당접력에 이기는 정도의 가압력이 요구될 뿐이며, 고정밀도의 위치 맞춤과 같은 번잡한 작업이 없어, 조립 작업의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절곡 가공으로 연결용 클립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경우에는, 클립 유지홈으로의 삽입을 고려하여, 연결용 클립의 가공 정밀도를 엄격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용 클립(4)의 형상 관리가 불필요해져, 제조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클립 유지홈(33, 34)의 형상을 관리할 필요가 있지만, 성형 수법에 의해 클립 유지홈(34)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용 클립은, 다른 많은 부품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이기 때문에, 이에 고유한 형상을 채용하면 범용성을 잃어버린다. 이에 의해, 연결용 클립을 전용품으로서 설계해야만 하여, 부품의 공용화의 방해가 되고, 비용 증대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용 클립(4)에 비틀기를 가하는 바와 같은 고유의 형상을 채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 의하면, 제2클립 유지홈(34)은, 연결용 클립(4)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레이트 영역(A1)과, 스트레이트 영역(A1)에 연속되고 해당 스트레이트 영역(A1)에 비해 경사지는 경사 영역(A2)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클립 유지홈(34)이 스트레이트 영역(A1)에서 경사 영역(A2)으로 굴곡된 형상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스트레이트 영역(A1)에서 굴곡된 경사 영역(A2)을 형상 변형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 의하면, 제2클립 유지홈(34)은, 연결용 클립(4)의 삽입 방향의 앞측에 스트레이트 영역(A1)이 구성되고, 연결용 클립(4)의 삽입 방향의 안쪽에 경사 영역(A2)이 구성되어도 좋다.
연결용 클립(4)의 삽입 방향의 앞측에 경사가 구성된 경우에는, 연결용 클립(4)의 삽입의 방해가 되어, 연결용 클립(4)의 조립 작업의 자동화가 곤란해진다. 그 점에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용 클립(4)의 삽입 방향의 앞측에 스트레이트 영역(A1)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용 클립(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용 클립(4)의 조립 작업을,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개시의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에 의하면, 형상 변형부는,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 중의 제2클립 유지홈(34)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클립 유지홈(33)은, 연결용 클립(4)의 삽입 방향에 대해 홈 형상이 동일해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도 좋다.
형상 변형부는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에 대해 각각 설정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각각의 클립 유지홈(33, 34)에 있어서 큰 당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연결용 클립(4)을 한쌍의 클립 유지홈(33, 34)에 삽입할 때, 큰 가압력이 필요하여, 작업성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클립 유지홈(34)에만 형상 변형부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과도한 가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연결용 클립(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조작용 핸들 및 그 핸들 본체 구조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조작용 핸들을 구성하는 핸들 본체 구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작용 핸들은, 슬라이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이외에도, 레귤레이터 핸들과 같이, 축체의 조작용의 손잡이가 되는 조작용 핸들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더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15년 3월 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5-041211호를 기초로 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 조작용 핸들
2: 핸들 본체
20: 본체부
30: 축체 유지부
31: 내주벽
32: 세레이션홈
33: 제1클립 유지홈
34: 제2클립 유지홈
A1: 스트레이트 영역
A2: 경사 영역
4: 연결용 클립
40: 베이스부
41: 탄성 레그
41a: 제1경사부
41b: 제2경사부
42: 체결부
5: 축체
11: 세레이션부
12: 테이퍼부
13: 클립 감합홈
14: 클립 체결부

Claims (5)

  1. 축체에 연결되어, 해당 축체를 조작하도록 구성된 조작용 핸들이고,
    핸들 본체와,
    연결용 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 본체는, 상기 축체에 외측에서 끼우는 통형상의 축체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체 유지부는, 한쌍의 클립 유지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용 클립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대향하는 한쌍의 탄성 레그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탄성 레그의 각각은,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클립 유지홈에 상기 한쌍의 탄성 레그를 삽입하고, 해당 한쌍의 탄성 레그에 의해 상기 축체 유지부를 양측에서 협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용 클립이 상기 축체 유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체결부의 각각이, 상기 축체 유지부의 내주벽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한쌍 중의 적어도 하나의 클립 유지홈은, 상기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에 대해 홈 형상이 변형하여 해당 클립 유지홈에 삽입된 상기 탄성 레그를 홈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부를 구비하는 조작용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클립 유지홈의 각각은, 상기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레이트 영역과, 상기 스트레이트 영역에 연속되고 해당 스트레이트 영역에 비해 경사지는 경사 영역을 구비하는 조작용 핸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클립 유지홈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의 앞측에 상기 스트레이트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의 안쪽에 상기 경사 영역이 마련되는 조작용 핸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변형부는, 상기 한쌍의 클립 유지홈 중의 한 클립 유지홈에 마련되고,
    상기 한쌍의 클립 유지홈 중의 다른 한 클립 유지홈은, 상기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에 대해 홈 형상을 동일하게 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용 핸들.
  5. 베이스부를 통해 대향하는 한쌍의 탄성 레그를 구비하는 연결용 클립에 의해 축체에 연결되는 조작용 핸들의 핸들 본체 구조이고,
    본체부와,
    상기 축체에 외측에서 끼우는 통형상의 축체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체 유지부는, 상기 축체 유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클립 유지홈을 구비하고,
    해당 한쌍의 클립 유지홈에 상기 한쌍의 탄성 레그가 삽입되면, 해당 한쌍의 탄성 레그에 의해 상기 축체 유지부가 양측에서 협지되어 상기 연결용 클립이 장착되도록, 상기 축체 유지부가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탄성 레그가 구비하는 체결부가 상기 축체 유지부의 내주벽보다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상기 축체 유지부가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클립 유지홈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용 클립의 삽입 방향에 대해 홈 형상이 변형하여 해당 클립 유지홈에 삽입된 상기 탄성 레그를 홈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부를 구비하는 조작용 핸들의 핸들 본체 구조.
KR1020177024614A 2015-03-03 2016-03-03 조작용 핸들 및 조작용 핸들의 핸들 본체 구조 KR20170124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1211 2015-03-03
JP2015041211A JP6418981B2 (ja) 2015-03-03 2015-03-03 操作用ハンドル及び当該操作用ハンドルのハンドル本体構造
PCT/JP2016/056644 WO2016140319A1 (ja) 2015-03-03 2016-03-03 操作用ハンドル及び操作用ハンドルのハンドル本体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552A true KR20170124552A (ko) 2017-11-10

Family

ID=5684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614A KR20170124552A (ko) 2015-03-03 2016-03-03 조작용 핸들 및 조작용 핸들의 핸들 본체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97206B2 (ko)
EP (1) EP3266965B1 (ko)
JP (1) JP6418981B2 (ko)
KR (1) KR20170124552A (ko)
CN (1) CN107407109B (ko)
WO (1) WO2016140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2354B1 (fr) * 2019-02-04 2021-01-22 Opendoors Dispositif électromécanique d’actionnement de serrure à découplage vibratoire
CN113266220B (zh) * 2021-06-18 2022-06-07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车门把手结构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A (en) * 1836-07-13 John Ruggles Locomotive steam-engine for rail and other roads
US3471186A (en) * 1967-10-16 1969-10-07 American Drill Bushing Co Pin and bushing assembly
US3477309A (en) * 1968-05-10 1969-11-11 Gen Motors Corp Window regulator handle assembly
USH10H (en) * 1985-07-03 1986-01-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Can-out hatch assembly with magnetic retention means
JPH0420135Y2 (ko) * 1985-07-24 1992-05-08
US5131785A (en) * 1990-12-28 1992-07-21 Tachi-S Co. Ltd. Handle securing arrangement
JPH07151132A (ja) * 1993-11-30 1995-06-13 Nippon Cable Syst Inc クリップ付き軸端座金およびそれを用いた連結構造
JP3532727B2 (ja) * 1997-03-28 2004-05-31 株式会社アルファ 軸体操作用ハンドル
DE19912729A1 (de) * 1999-03-20 2000-09-21 Volkswagen Ag Einbaumodul für eine innere Türseitenverkleidung eines Kraftfahrzeugs
JP4352742B2 (ja) * 2003-03-31 2009-10-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位置保持機構
JP2006322518A (ja) 2005-05-18 2006-11-30 Toyota Motor Corp スナップリングおよびスナップリングの取付構造ならびにトルク伝達装置
CN202948652U (zh) * 2012-11-20 2013-05-22 庆云县昆仑锁业暨电子有限公司 一种电表表封
ES2552602B1 (es) * 2014-05-28 2016-09-14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Disposición de mando de aparato doméstico, válvula de gas, y cocina
CN104988702A (zh) * 2015-07-02 2015-10-21 岳文智 一种衣服夹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7109B (zh) 2020-09-22
JP2016160677A (ja) 2016-09-05
CN107407109A (zh) 2017-11-28
EP3266965A4 (en) 2018-10-31
EP3266965A1 (en) 2018-01-10
US20170362859A1 (en) 2017-12-21
US10697206B2 (en) 2020-06-30
JP6418981B2 (ja) 2018-11-07
EP3266965B1 (en) 2019-10-30
WO2016140319A1 (ja)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5981B2 (ja) 固定構造
JP2017059361A (ja) ソケット
JP4626661B2 (ja) 固定部材
KR20170124552A (ko) 조작용 핸들 및 조작용 핸들의 핸들 본체 구조
KR101172181B1 (ko) 클립
JP4725588B2 (ja) 固定部材
KR200409621Y1 (ko) 오링
JP3965671B2 (ja) 装飾部品の取付構造
JP2018138816A (ja) 直線運動装置
JP2008068748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4868291B2 (ja) 車両用入力操作装置
KR101731137B1 (ko) 패스너를 이용한 몰드물 고정구조
KR101383412B1 (ko) 자동차용 동력 연결 유닛
CN109642440B (zh) 把手装置及其制造方法
JP4668741B2 (ja) グロメット
JP5892044B2 (ja) 部品の取付構造
JP6358174B2 (ja) 複合型クリップ
JP4219861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長さ調整装置
US20160145916A1 (en) Fastening device integrated with alignment feature
JP2023130918A (ja) ラッチ受け
JP2014214826A (ja) キャップ
JP2021195095A (ja) 車両用モール及び車両用モールの組み立て方法
JPH05164114A (ja) クリップの取付構造
JP5280612B2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を有する筆記具
JP2020044899A (ja) ノブ固定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