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181B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181B1
KR101172181B1 KR1020100083461A KR20100083461A KR101172181B1 KR 101172181 B1 KR101172181 B1 KR 101172181B1 KR 1020100083461 A KR1020100083461 A KR 1020100083461A KR 20100083461 A KR20100083461 A KR 20100083461A KR 101172181 B1 KR101172181 B1 KR 101172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eg
grommet
clip
movabl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809A (ko
Inventor
다쿠 히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02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단일한 클립에 의해, 두께가 다른 복수의 대상물에 대한, 요동이 없는 고정을 실현한다.
(해결수단) 머리부(1)와 복수의 다리부(2,2,…)를 구비한 그로밋(G)과, 이 그로밋(G) 내에 상기 머리부(1)측에서 압입되는 축체(P)로 이루어지고, 대상물(S)의 관통구멍(Sa)에 그로밋(G)의 다리부(2)를 삽입한 후, 축체(P)를 끝까지 압입하는 것에 의해, 다리부(2)를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고, 또한 다리부(2)가 다시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해서 대상물(S)에 고정되는 클립이다. 복수의 다리부(2,2,…) 중 적어도 하나를, 축체(P)의 상기 압입에 의해, 그 선단측이 관통구멍(Sa)의 삽입 전방측의 가장자리부(Sb)에서 돌출되는 위치까지, 연계해서 이동 가능한 가동 다리부(20)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그로밋과, 이 그로밋에 압입(壓入)되는 축체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클립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패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그로밋과, 이 그로밋에 압입되는 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관통구멍에 그로밋의 다리부를 삽입한 후, 이 그로밋에 대해서 핀을 압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외측으로 휘어지게 해서,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클립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한 클립은, 다리부를 확개(擴開) 다리편과 탄성 기둥부로 구성하고 있고, 핀의 압입에 의해, 그로밋의 플랜지부측에서 탄성 기둥부가 확개 다리편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특허문헌 1의 것에서는 두께가 다른 2종류의 패널에 대해서, 두꺼운 패널에 대해서는 주로 확개 다리편에 의해, 얇은 패널에 대해서는 탄성 기둥부에 의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의 것에서는 상기한 2종류의 패널에 대응할 수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421355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상기와 같은 종류의 단일한 클립에 의해 두께가 다른 복수의 대상물에 대한 요동이 없는 고정을 실현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클립을, 머리부와 복수의 다리부를 구비한 그로밋과, 이 그로밋 내에 상기 머리부측에서 압입되는 축체로 이루어지고, 대상물의 관통구멍에 그로밋의 다리부를 삽입한 후, 축체를 끝까지 압입하는 것에 의해, 다리부를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고, 또한 다리부가 다시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해서 상기 대상물에 고정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축체의 상기 압입에 의해, 그 선단측이 관통구멍의 삽입 전방측의 가장자리부에서 돌출되는 위치까지, 연계해서 이동 가능한 가동 다리부로 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관통구멍에 그로밋의 다리부를 삽입했을 때, 상기 대상물의 두께에 의해, 상기 가동 다리부의 선단측이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는 경우에는, 그로밋 내에 축체를 끝까지 압입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을 대상물에 요동 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한 가동 다리부는, 머리부에 있어서의 다리부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연접편부(連接片部)를 통해서 상기 머리부에 연접(連接)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또, 상기 축체는, 선단부와, 이 선단부보다도 굵은 중간부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그로밋에 대한 압입조작의 과정에 있어서, 양자 사이의 단차부에 가동 다리부의 후술하는 내측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져서, 상기 가동 다리부가 연계해서 이동되도록 해두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또, 상기 가동 다리부의 선단측에 있어서, 그 외측에는 관통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대한 외측 걸어맞춤부를 형성시켜둠과 아울러, 그 내측에는 축체가 끝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상기 축체의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는 내측 걸어맞춤부를 형성시켜두는 것도 있다. 이 경우에는 또한, 상기 축체에, 그 축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다단을 이루도록 상기 내측 걸어맞춤부에 대한 복수의 피걸어맞춤부를 형성시켜두는 것도 있다.
가동 다리부에 상기한 외측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대상물의 관통구멍에 그로밋의 다리부가 삽입되면, 가동 다리부는, 외측 걸어맞춤부가 관통구멍에 접촉해서 내측으로 휘어져서, 상기 삽입을 허용한다. 대상물의 두께가, 머리부와 가동 다리부의 외측 걸어맞춤부 사이의 간격 이내인 경우, 그로밋을 관통구멍에 삽입하면, 일단 내측으로 휘어진 가동 다리부가 삽입 종료 위치에서 외측으로 휘어지고, 머리부와 상기 외측 걸어맞춤부의 사이에 대상물이 끼워져서, 그로밋이 상기 대상물에 임시 고정된다. 또한, 가동 다리부에 내측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축체에 복수의 피걸어맞춤부를 형성해 두면,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해서 가동 다리부가 어떠한 위치로 연계해서 이동되어도, 상기 가동 다리부가 축체에 걸어맞춰져서 고정상태를 요동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클립에는 또한, 축체를 압입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선단이 가동 다리부보다도 전방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축체를 끝까지 압입한 위치에서 외측으로 휘어지는 고정 다리부를 구비시켜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축체의 압입에 의해, 가동 다리부에 부가해서 고정 다리부에 의해서도 대상물에 고정되기 때문에, 클립의 대상물에 대한 고정상태는 한층 안정적인 것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클립에 있어서는, 그로밋을 구성하는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가동 다리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해서 상기 가동 다리부의 선단측을 이동시켜서, 각각의 대상물에 상기 가동 다리부를 걸어맞출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단일한 클립으로 두께가 다른 복수의 대상물에 대해서 각각 요동 없이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클립은, 고정 대상물의 치수 오차가 큰 경우이더라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클립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클립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3은 그로밋의 정면도
도 4는 그로밋의 우측면도
도 5는 그로밋의 평면도
도 6은 그로밋의 저면도
도 7은 축체의 정면도
도 8은 축체의 우측면도
도 9는 축체의 평면도
도 10은 축체의 저면도
도 11은 대상물의 관통구멍에 클립을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로서, 축체의 축중심선(각 도면에서 1점 쇄선으로 나타냄)의 좌측은 가동 다리부가 형성된 위치의 단면이고, 우측은 임시 조립용 돌기가 형성된 위치의 단면이며, (a)→(c)의 순서로 대상물에 대한 클립의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고, 이후, 축체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 (d)→(f)의 순서로 대상물에 대한 클립의 메인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12는 비교적 얇은 대상물에 클립을 메인 고정시켰을 때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보다 두꺼운 대상물에 클립을 메인 고정시켰을 때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보다 두꺼운 대상물에 클립을 메인 고정시켰을 때의 단면도
도 15는 대상물에 클립을 메인 고정시켰을 때의 고정 다리부가 형성된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며, 축체의 축중심선(1점 쇄선으로 나타냄)의 좌측에는 얇은 대상물을, 우측에는 두꺼운 대상물을, 2점 쇄선으로 편의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 도 15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은, 대상물(S)에 형성된 관통구멍(Sa)에 삽입되는 그로밋(G)과, 이 그로밋(G)에 압입(壓入)되는 축체(P)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구멍(Sa)에 그로밋(G)을 삽입한 후, 이 그로밋(G)에 축체(P)를 끝까지 압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그로밋(G)의 일부가 외측으로 휘어지게 해서, 또는 그로밋(G)의 일부가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해서 상기 대상물(S)에 고정되는 것이다.
각 도면에서는 대상물(S)을 단일한 판체(板體)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한 클립은 전형적으로, 상기 관통구멍(Sa)을 구비한 복수 매의 판형상 대상물(S)을 함께 고정하는데에 이용된다. 즉, 각각의 관통구멍(Sa)이 연이어 통하도록 대상물(S)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Sa)에 그로밋(G)을 삽입한 후, 축체(P)를 끝까지 압입하는 것에 의해 고정되는 클립을 통해서, 복수의 대상물(S)을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한 클립은 축체(P)를 구성요소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핀그로밋(G)이라고 불린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그로밋(G)이 머리부(1)와 복수의 다리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복수의 다리부(2,2,…) 중 일부가, 축체(P)의 상기 압입에 의해, 그 선단측이 관통구멍(Sa)의 삽입 전방측의 가장자리부(Sb)에서 돌출되는 위치까지, 연계해서 이동되는 가동 다리부(20)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그로밋(G)은, 복수의 다리부(2,2,…) 중, 상기 가동 다리부(20) 이외의 다리부(2)는, 그 선단이, 축체(P)가 압입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가동 다리부(20)보다 전방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축체(P)를 끝까지 압입한 위치에서 외측으로 휘어지는 고정 다리부(21)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그로밋(G)은, 머리부(1)와, 2개의 가동 다리부(20, 20)와, 4개의 고정 다리부(21,…,21)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부(1)는 상기 관통구멍(Sa)에 삽입되지 않는 크기의 원반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머리부(1)의 중앙에는 축체(P)를 삽입하는 대략 원형의 삽입구멍(1a)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다리부(2,2,…)는 전체적으로 대략 중공(中空)의 통형상체로 이루어져 있고, 이 통형상체의 일단이 상기 삽입구멍(1a)에 연이어 통하도록 해서, 상기 머리부(1) 일면의 대략 중앙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멍(1a)의 지름방향 양측에는 각각 가동 다리부(20)가 구비되어 있다. 가동 다리부(20)는, 상기한 머리부(1)에 있어서의 다리부(2)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연접편부(連接片部, 3)를 통해서, 상기 머리부(1)에 연접(連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에서는, 삽입구멍(1a)을 사이에 둔 머리부(1)의 양측에 분할홈(1b)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분할홈(1b)은, 그 내측 단부를 상기 삽입구멍(1a)에 연이어 통하게 해서, 머리부(1)의 가장자리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접편부(3)는, 상기 분할홈(1b) 내에 수납되는 폭을 가지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일측 단부(3a)가, 분할홈(1b)의 외측 단부에 있어서 머리부(1)의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또, 연접편부(3)는, 그 타측 단부(3b)를 삽입구멍(1a)측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일측 단부(3a)와 타측 단부(3b)의 중간 부분에서부터 타측 단부(3b)까지의 부분이, 다리부(2)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을 향해서 만곡(彎曲)해서 돌출되어 있다. 가동 다리부(20)는, 상기 연접편부(3)의 타측 단부(3b)에, 삽입구멍(1a)에 위치되는 기부(基部)를 일체로 연접시키고 있다. 연접편부(3)의 만곡된 부분이, 머리부(1)와 같은 면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수록, 가동 다리부(20)의 선단이 삽입구멍(1a)으로부터 멀어진다. 즉, 연접편부(3)는, 그 타측 단부(3b)가 다리부(2)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와 같이 가동 다리부(20)가 연계해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다리부(20)는, 연접편부(3)와 같은 폭을 가지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형상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가동 다리부(20)의 선단의 외측에는 관통구멍(Sa)의 가장자리부에 대한 외측 걸어맞춤부(201)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동 다리부(20)의 선단의 내측에는 상기와 같이 축체(P)가 끝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상기 축체(P)의 피걸어맞춤부(8a)에 걸어맞춰지는 내측 걸어맞춤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걸어맞춤부(202)는,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조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동 다리부(20)의 선단면은 상기 통형상체의 축선에 직교하는 면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 걸어맞춤부(202)의 외면은 상기 선단면에서 연속되며, 상기 통형상체의 축선에 직교하는 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내측 걸어맞춤부(202)의 내면은, 돌조 선단(202a)으로부터 그 기부를 향할수록 상기 통형상체의 축선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02b)으로 되어 있다.
한편, 외측 걸어맞춤부(201)는, 가동 다리부(20)의 선단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융기부(隆起部)로서 구성되어 있다. 외측 걸어맞춤부(201)는, 정상부(201a)를 사이에 두고, 가동 다리부(20)의 선단측에는 선단측 경사면(201b)을 구비함과 아울러, 머리부(1)를 향한 측에는 머리부측 경사면(201c)을 구비한 산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 관통구멍(Sa)은 원형이며, 1쌍의 외측 걸어맞춤부(201, 201)의 정상부(201a) 사이의 간격은, 상기 관통구멍(Sa)의 지름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 고정 다리부(21)는, 1쌍의 가동 다리부(20, 20)의 사이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 다리부(21)는 가동 다리부(20)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또, 각 고정 다리부(21)는 그 선단측의 내측에 걸어맞춤부(2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부(21a)도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조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21a)의 돌조는 하나의 가상의 원의 원호 상에 위치되게 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21a)에 있어서의 머리부(1)측을 향한 면은, 그 정상부에서 기부를 향할수록, 상기 통형상체의 축선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1b)으로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삽입구멍(1a)의 내측에 있어서, 1쌍의 가동 다리부(20, 20)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고정 다리부(21)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4)의 내측 단부에는 임시 조립용 돌기(1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체(P)는 상기 그로밋(G) 내에 그 머리부(1)측에서 압입된다. 그리고, 대상물(S)의 관통구멍(Sa)에 그로밋(G)의 다리부(2)를 삽입한 후, 상기 축체(P)를 끝까지 압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리부(2)가 외측으로 휘어져서 클립이 상기 대상물(S)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축체(P)는, 축 주체(5)와 조작 머리부(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작 머리부(6)는 축 주체(5)의 일단에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로밋(G)의 삽입구멍(1a)에 삽입되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축체(P)는, 상기 조작 머리부(6)가 그로밋(G)의 머리부(1)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그로밋(G) 내로 압입될 수 있으며, 도시한 예에서는 이 위치를 축체(P)가 끝까지 압입된 위치로 하고 있다.
축 주체(5)는, 첫째로, 그 축중심을 사이에 둔 지름방향 양측에, 조작 머리부(6)에서부터 축 주체(5)의 타단에 걸쳐서, 그 축중심선을 따라서 이어지는 1쌍의 홈부(5a)를 구비하고 있다. 또, 둘째로, 상기 1쌍의 홈부(5a, 5a)의 사이에는 각각, 조작 머리부(6)에서부터 축 주체(5)의 타단에 걸쳐서, 그 축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5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축 주체(5)는, 상기 그로밋(G)의 2개소의 슬릿(4)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리브(5b)를 삽입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그로밋(G)에 압입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리브(5b)에는, 축 주체(5)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보다 축 주체(5)의 타단측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상기 임시 조립용의 돌기(1c)가 삽입되어 걸어맞춰지는 오목부(5c)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오목부(5c)가 형성된 위치에는, 축 주체(5)의 심부(芯部, 5d)와 리브(5b) 사이에 변형용 중공부(5e)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그로밋(G)과 축체(P)는, 상기 돌기(1c)가 오목부(5c)에 걸어맞춰져서, 축 주체(5)의 타단측, 즉 축체(P)의 선단부측이 그로밋(G)의 삽입구멍(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시 조립되게 되어 있다(도 2). 이 임시 조립상태에서는, 축체(P)의 선단부가, 그로밋(G)의 가동 다리부(20)의 내측 걸어맞춤부(202)보다 머리부(1)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동 다리부(20) 또는 고정 다리부(21)가 축체(P)에 의해 외측으로 휘어져 있지 않다.
축 주체(5)의 타단이며, 상기 리브(5b)와 홈부(5a)의 사이에 위치되는 4개소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조부(5f)가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돌조부(5f,5,…)의 선단은 하나의 가상의 원의 원호 상에 위치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그로밋(G)의 4개의 고정 다리부(21,21,…)의 걸어맞춤부(21a)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의 원의 지름은, 축 주체(5)의 4개의 돌조부(5f,5f,…)의 선단이 위치되는 가상의 원의 지름보다 작고, 또한 축 주체(5)의 타단측(축체(P)의 선단부)의 굵기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임시 조립상태에서 축체(P)를 압입조작하면, 우선, 상기 리브(5b)가 변형용 중공부(5e)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오목부(5c)에서 임시 조립용 돌기(1c)가 빠져나가서, 상기 임시 조립상태가 해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임시 조립위치에서의 축체(P)의 압입이 허용된다. 임시 조립위치에서 축체(P)가 압입되면, 고정 다리부(21)의 걸어맞춤부(21a)의 경사면(21b)에 축체(P)의 돌조부(5f)가 맞닿아서, 고정 다리부(21)가 외측으로 휘어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축체(P)가 그로밋(G) 내에 끝까지 압입되면, 돌조부(5f)가 걸어맞춤부(21a)를 타고 넘어서, 외측으로 최대로 휘어졌던 고정 다리부(21)가, 다시 약간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에 의해, 돌조부(5f)와 걸어맞춤부(21a)가 걸어맞춰지게 되어 있다(도 15). 이것에 의해, 도시한 예에서는, 그로밋(G) 내에 축체(P)가 끝까지 압입된 상태, 즉, 대상물(S)에 클립이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임시 조립상태에 있어서, 축체(P)의 축 주체(5)의 홈부(5a)에 그로밋(G)의 가동 다리부(20)가 삽입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축체(P)의 조작 머리부(6)에는, 상기 홈부(5a)가 형성된 위치에 노치부(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부(6a)에 의해, 축체(P)가 끝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가동 다리부(20)와 조작 머리부(6)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홈부(5a)의 저면은, 축 주체(5)의 타단측, 즉 축체(P)의 선단부(7)측에 있어서 깊고, 축 주체(5)의 중간부, 즉 축체(P)의 중간부(8)에 있어서 얕게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홈부(5a)에 의해, 축체(P)는, 선단부(7)와, 이 선단부(7)보다 굵은 중간부(8)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로밋(G)에 축체(P)를 압입하는 과정에 있어서, 선단부(7)와 중간부(8) 사이의 단차부(9)에 가동 다리부(20)의 내측 걸어맞춤부(202)가 걸어맞춰져서, 상기 가동 다리부(20)가 연계해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즉, 1쌍의 가동 다리부(20, 20)의 내측 걸어맞춤부(202) 사이의 간격은, 홈부(5a) 내에 있어서의 축체(P)의 선단부(7)의 굵기와 같거나 크고, 또한, 홈부(5a) 내에 있어서의 축체(P)의 중간부(8)의 굵기보다 작게 되어 있다.
가동 다리부(20)에는 상기와 같이 외측 걸어맞춤부(20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임시 조립상태에서 대상물(S)의 관통구멍(Sa)에 그로밋(G)의 다리부(2)가 삽입되면, 가동 다리부(20)의 외측 걸어맞춤부(201)가 관통구멍(Sa)에 접촉해서 내측으로 휘어져서 상기 삽입이 허용된다. 대상물(S)의 두께가 머리부(1)와 가동 다리부(20)의 외측 걸어맞춤부(201) 사이의 간격 이내일 때, 그로밋(G)을 관통구멍(Sa)에 삽입하면, 일단 내측으로 휘어진 가동 다리부(20)가 삽입 종료 위치에서 다시 외측으로 휘어져서, 머리부(1)와 상기 외측 걸어맞춤부(201)의 사이에 대상물(S)이 끼워짐으로써, 그로밋(G)이 대상물(S)에 임시 고정된다(도 11(a) ~ 11(c)). 이 상태에서 축체(P)를 끝까지 압입하면, 축체(P)의 중간부(8)에 의해 가동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이 저지되어, 그로밋(G)이 상기 가동 다리부(20)에 의해서도 대상물(S)에 메인 고정된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단차부(9)는, 중간부(8)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축체(P)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하는 경사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축체(P)를 압입하면, 내측 걸어맞춤부(202)의 경사면(202b)과 상기 단차부(9)가 접촉해서 가동 다리부(20)가 외측으로 휘어져서, 내측 걸어맞춤부(202)의 사이에 중간부(8)가 삽입되는 것이 허용된다(도 11(e) ~ 11(f)).
대상물(S)의 두께가, 머리부(1)와 가동 다리부(20)의 외측 걸어맞춤부(201) 사이의 간격 이상일 때, 상기 임시 조립상태에서 대상물(S)의 관통구멍(Sa)에 그로밋(G)의 다리부(2)를 삽입하면, 가동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관통구멍(Sa) 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축체(P)를 압입 조작하면, 상기 단차부(9)가 내측 걸어맞춤부(202)에 걸어맞춰져서, 가동 다리부(20)가 상기 압입방향으로 연계해서 이동된다. 연계해서 이동된 가동 다리부(20)의 선단측, 도시한 예에서는 외측 걸어맞춤부(201)가, 관통구멍(Sa)의 삽입 전방측의 가장자리부(Sb)에서 돌출되면, 가동 다리부(20)의 선단측이 외측으로 휘어지고, 이것에 의해 축체(P)가 더 압입되는 것이 허용되어, 내측 걸어맞춤부(202)의 사이에 중간부(8)가 위치되기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대상물(S)의 두께가 머리부(1)와 가동 다리부(20)의 외측 걸어맞춤부(201) 사이의 간격 이상일 때에도, 축체(P)를 끝까지 압입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G)을 상기 가동 다리부(20)에 의해서도 대상물(S)에 메인 고정할 수 있다(도 13, 도 14).
이 실시형태에서 축체(P)의 중간부(8)에는, 이 축체(P)의 축중심선 방향으로 다단을 이루도록, 가동 다리부(20)의 내측 걸어맞춤부(202)에 대한 복수의 피걸어맞춤부(8a,8a,…)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홈부(5a)의 중간부를 구성하는 저면에, 이 홈부(5a)의 폭방향을 따르는 홈이, 상기와 같이 다단을 이루도록 각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형성되는 홈에 의해, 축체(P)의 중간부(8)에 복수의 피걸어맞춤부(8a,8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상물(S)의 두께에 따라 어느 위치로 가동 다리부(20)가 연계해서 이동해도, 이 가동 다리부(20)를 축체(P)측에 걸어맞춰서 상기 메인 고정상태를 요동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축체(P)의 압입에 의해, 가동 다리부(20)에 부가해서 고정 다리부(21)에 의해서도 대상물(S)에 고정되기 때문에, 클립의 대상물(S)에 대한 고정상태는 한층 안정적인 것이 된다.
클립을 통해서 2매의 대상물(S)을 함께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 2매의 대상물(S)을 잡아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된 경우, 외측 걸어맞춤부(201)가 관통구멍(Sa)에 걸어맞춰져 있는 가동 다리부(20)에는, 도 11(f)의 화살표(x)로 나타낸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기 때문에, 축체(P)의 피걸어맞춤부(8a)와 내측 걸어맞춤부(202)는 한층 강하게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때, 그로밋(G)과 축체(P)는, 조작용 머리부(6)가 머리부(1)에 접촉되고, 또한 고정 다리부(21)의 걸어맞춤부(21a)가 축체(P)의 돌조부(5f)에 걸어맞춰져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접편부(3)에 응력이 집중되어 이 연접편부(3)가 파단되는 일은 없다.
이상에 설명한 클립에서는, 그로밋(G)의 다리부(2)를 고정 다리부(21)와 가동 다리부(20)로 구성시켰지만, 가동 다리부(20)만으로 그로밋(G)의 다리부(2)를 구성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한 클립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 특성을 구비한 부분은, 전형적으로는 상기한 클립을 합성수지제로 함으로써 탄성 변형 특성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1 - 머리부 2 - 다리부
20 - 가동 다리부 G - 그로밋
P - 축체

Claims (9)

  1. 머리부(1)와 복수의 다리부(2)를 구비한 그로밋(G)과, 이 그로밋(G) 내에 상기 머리부(1)측에서 압입(壓入)되는 축체(P)로 이루어지고, 대상물(S)의 관통구멍(Sa)에 그로밋(G)의 다리부(2)를 삽입시킨 후, 축체(P)를 끝까지 압입하는 것에 의해, 다리부(2)를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고, 또한 다리부(2)가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해서 상기 대상물(S)에 고정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2) 중 적어도 하나가, 축체(P)의 상기 압입에 의해, 그 선단측이 관통구멍(Sa)의 삽입 전방측의 가장자리부(Sb)에서 돌출되는 위치까지, 연계해서 이동 가능한 가동 다리부(20)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동 다리부(20)는, 머리부(1)에 있어서의 다리부(2)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연접편부(連接片部, 3)를 통해서 상기 머리부(1)에 연접(連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동 다리부(20)의 선단측에 있어서, 그 외측에는 관통구멍(Sa)의 가장자리부(Sb)에 대한 외측 걸어맞춤부(201)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내측에는 축체(P)가 끝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상기 축체(P)의 피걸어맞춤부(8a)에 걸어맞춰지는 내측 걸어맞춤부(2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청구항 2에 있어서,
    가동 다리부(20)의 선단측에 있어서, 그 외측에는 관통구멍(Sa)의 가장자리부(Sb)에 대한 외측 걸어맞춤부(201)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내측에는 축체(P)가 끝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상기 축체(P)의 피걸어맞춤부(8a)에 걸어맞춰지는 내측 걸어맞춤부(2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청구항 3에 있어서,
    축체(P)에는, 그 축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다단을 이루도록 가동 다리부(20)의 내측 걸어맞춤부(202)에 대한 복수의 피걸어맞춤부(8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청구항 4에 있어서,
    축체(P)에는, 그 축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다단을 이루도록 가동 다리부(20)의 내측 걸어맞춤부(202)에 대한 복수의 피걸어맞춤부(8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체(P)를 압입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선단이 가동 다리부(20)보다도 전방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축체(P)를 끝까지 압입한 위치에서 외측으로 휘어지는 고정 다리부(2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청구항 3에 있어서,
    축체(P)는, 선단부(7)와, 이 선단부(7)보다도 굵은 중간부(8)를 구비하고 있고, 그로밋(G)에 대한 압입조작의 과정에 있어서, 양자 사이의 단차부(9)에 가동 다리부(20)의 내측 걸어맞춤부(202)가 걸어맞춰져서, 상기 가동 다리부(20)가 연계해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9. 청구항 4에 있어서,
    축체(P)는, 선단부(7)와, 이 선단부(7)보다도 굵은 중간부(8)를 구비하고 있고, 그로밋(G)에 대한 압입조작의 과정에 있어서, 양자 사이의 단차부(9)에 가동 다리부(20)의 내측 걸어맞춤부(202)가 걸어맞춰져서, 상기 가동 다리부(20)가 연계해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100083461A 2009-08-28 2010-08-27 클립 KR101172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98018A JP2011047492A (ja) 2009-08-28 2009-08-28 クリップ
JPJP-P-2009-198018 2009-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809A KR20110023809A (ko) 2011-03-08
KR101172181B1 true KR101172181B1 (ko) 2012-08-07

Family

ID=4383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461A KR101172181B1 (ko) 2009-08-28 2010-08-27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047492A (ko)
KR (1) KR101172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15040U (zh) * 2015-07-06 2016-01-01 Fivetech Technology Inc 回彈扣件
KR101950770B1 (ko) 2018-09-27 2019-02-21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1959773B1 (ko) 2018-09-27 2019-07-15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2046481B1 (ko) 2019-03-25 2019-12-02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2046480B1 (ko) 2019-03-25 2019-12-02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2046482B1 (ko) 2019-03-25 2019-11-19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073A (ja) 2004-03-04 2005-09-15 Nifco Inc クリップ
JP2006046537A (ja) 2004-08-05 2006-02-16 Nifco Inc 留め具
JP2006329311A (ja) 2005-05-26 2006-12-07 Nifco Inc 締結具
JP2009030707A (ja) 2007-07-26 2009-02-12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114U (ko) * 1989-12-04 1991-08-07
JP2008118803A (ja) * 2006-11-07 2008-05-22 Zen Kenchiku Sekkei Jim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ファスナ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073A (ja) 2004-03-04 2005-09-15 Nifco Inc クリップ
JP2006046537A (ja) 2004-08-05 2006-02-16 Nifco Inc 留め具
JP2006329311A (ja) 2005-05-26 2006-12-07 Nifco Inc 締結具
JP2009030707A (ja) 2007-07-26 2009-02-12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47492A (ja) 2011-03-10
KR20110023809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181B1 (ko) 클립
KR20130028944A (ko) 그로밋
US8297137B2 (en) Hollow plastic body which is used, in particular, to line steering wheel columns in motor vehicles
US20100303539A1 (en) Clip
JP4482591B2 (ja) 光コネクタ
JP2007315517A (ja) 2ピースクリップ
JP533915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4616152B2 (ja) コネクタ
US20060172618A1 (en) Female terminal fitting
US10131291B2 (en) Assembly-type vehicle component
JP2009283308A (ja) 雌型端子
CN111200218B (zh) 连接器
JP2007234335A (ja) 固定部材、及び、固定部材の組付構造
US20150017823A1 (en) Connector
CN106050855B (zh) 固定件
JP6546699B2 (ja) クリップ
EP0558947A2 (en) Lever type connector
JP5186289B2 (ja) ワイヤハーネス保持クリップ
JP6617187B1 (ja) 可動コネクタ
US20220399654A1 (en) Terminal
JP2020193644A (ja) 部材取付構造
JP5147792B2 (ja) 留め具
JP2007287611A (ja) コネクタ
JP5138450B2 (ja) 二部材組み付け構造
WO2016140319A1 (ja) 操作用ハンドル及び操作用ハンドルのハンドル本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