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845A - 도료용 전환밸브 - Google Patents

도료용 전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845A
KR20060053845A KR1020050064511A KR20050064511A KR20060053845A KR 20060053845 A KR20060053845 A KR 20060053845A KR 1020050064511 A KR1020050064511 A KR 1020050064511A KR 20050064511 A KR20050064511 A KR 20050064511A KR 20060053845 A KR20060053845 A KR 20060053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aint
valve plug
fluid passage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7538B1 (ko
Inventor
요시히로 후카노
쇼이치 마카도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6687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5384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05B12/149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characterised by colour change manifolds or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16K1/385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contacting in the closed position, over a substantial axial length, a seat surface having the same incl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1/00Spindle sealings
    • F16K41/10Spindle sealings with diaphragm, e.g. shaped as bellows or tube
    • F16K41/103Spindle sealings with diaphragm, e.g. shaped as bellows or tube the diaphragm and the closure member being integrated in one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571Multiple inlet with single outlet
    • Y10T137/87676With flow control
    • Y10T137/87684Valve in each in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829Biased valve
    • Y10T137/87837Spring bias
    • Y10T137/87861Spring coaxial with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Lift Valve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Nozzle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메인본체(12)의 내부에 파일롯에어에 의하여 변위하는 피스톤(62)이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62)에 연결된 회전축(64)의 단부에는 수지제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플러그(6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밸브플러그(66)는 상기 메인본체(12)에 연결되는 서브본체(18)의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도료의 유체통로(30)로의 유통이 차단된다. 상기 밸브자리부에 착좌되는 상기 밸브플러그의 착좌부는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자리부(52)의 표면은 상기 착좌부(98)에 대응하여 대략 구면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료용 전환밸브, 도료

Description

도료용 전환밸브{PAINT SELECTOR VALV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의 밸브닫힘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도료용 전환밸브의 밸브열림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밸브플러그의 착좌부 및 밸브자리부 근처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밸브플러그의 착좌부 및 밸브자리부 근처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밸브플러그의 축심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 밸브자리부에 착좌한 상태를 타나내는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밸브플러그의 착좌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밸브플러그의 착좌부 및 밸브자리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도 1의 도료용 전환밸브를 매니폴드로부터 이탈시킨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생략설치 사시도.
도 8은 복수의 도료용 전환밸브가 매니폴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생략 종단면도.
도 9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의 종단면도.
도 10은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50, 200 … 도료용 전환밸브 12, 202 … 메인본체
16, 208 … 공급포트 18, 206 … 서브본체
20 … 밸브기구부 22, 152 … 회전축
26 … 장착홀 28 … 매니폴드
30 … 유체통로 34, 34a, 34b … 밀폐부재
32, 204 … 파일롯포트 36 … 검출포트
46 … 링부재 50 … 공급챔버
52 … 밸브자리부 54 … 연통홀
62 … 피스톤 64 … 회전축
66, 66a … 밸브플러그 76 … 고정부재
80 … 실린더챔버 96 … 다이어프램부
98, 98a … 착좌부 104 … 선단면
154 … 패킹 160 … 유지부재
10 … 볼트
본 발명은 압력유체를 통하여 밸브플러그를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유체통로에로의 도료의 공급 및 차단의 전환을 실시할 수 있는 도료용 전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도전성 도료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자동차 몸체 등과 같은 피(被)도장물에 정전도장을 실시하는 도장시스템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장시스템에서는 도료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통로를 통하여 스프레이건 등의 도장장치로 공급하여 상기 도장장치로부터 상기 피도장물로 분사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 상기 도료공급원과 도장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통로에 도료용 전환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는 상기 도장장치로 공급되는 도료의 공급 및 차단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도료용 전환밸브에는, 케이싱의 하부측에 유출통로를 갖는 매니폴드가 접속된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이 파일롯에어에 의하여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한다.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밸브축이 일체적으로 변위한다. 상기 밸브축의 하단부에는 수지제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밸브부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부가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되어 매니폴드의 유출통로와 연통하는 밸브자리부에 착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의 측면에 형성된 유입로로부터 케이싱의 내부에 도료가 유입되었을 때에, 상기 밸브부가 상기 밸브자리부재 로부터 이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밸브자리부재의 유출구를 통하여 도료가 매니폴드의 유출통로로 유통한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243062호 공보참조).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도료용 전환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도료에 의하여 도장되는 자동차 등의 피도장물은, 여러가지의 다른 도색이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피도장물을 여러가지의 다른 도색으로 도장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다른 도색에 대응하는 복수의 도료공급부, 상기 도료공급부에 접속되는 유출통로, 도료용 전환밸브, 및 도장장치를 설정된 도색수 만큼 각각 설치한다. 상기 피도장물에 대한 소망하는 도색의 도료를, 도료공급부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도료용 전환밸브를 통하여 도장장치로 공급하여, 상기 피도장물을 소망하는 다른 도색으로 각각 도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도장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피도장물에 설정된 여러가지의 다른 도색에 대응한 수량만큼 도료용 전환밸브, 통로 및 도장장치 등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도장시스템에 있어서의 설비비용이 증대함과 동시에 광대한 설치공간을 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최근 이와 같은 도장시스템의 설비비용의 억제 및 구성의 간소화를 목적으로 하여, 다음의 도장시스템이 채택되고 있다. 즉, 도료가 유통하는 단일의 유출통로를 갖는 매니폴드에 복수의 도료용 전환밸브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출통로에 접속되는 단일의 도장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도장시스템의 경우에, 유출통로와 도장장치는 다른 도색의 도료를 유통 및 분사시킬 때에 공용하여 사용된다.
상기 도장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도료용 전환밸브 중의 어느 하나만을 밸브 열림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도색을 갖는 도료만을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로부터 유출통로를 통하여 도장장치로 공급하며, 그러므로 도장장치로부터 분사되는 도료에 의하여, 피도장물을 소망하는 도색으로 도장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도색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료를, 단일의 유출통로 및 도장장치에 공급하기 때문에, 다른 도색의 도료를 새로 유출통로 및 도장장치에 공급하여 도장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도료가 유출통로 및 도장장치에 잔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도료를 세정 등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도장시스템에 일본국 특개2002-243062호에 있어서의 종래기술을 적용할 경우에는, 도료용 전환밸브에 있어서의 밸브부를 밸브자리부재에 착좌시켰을 때에, 상기 밸브자리부재에 착좌한 밸브부와 유출통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자리부재의 유출구의 내부에 도료가 잔존하기 쉽다. 그러므로, 상기 유출통로 및 도장장치의 내부의 세정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유출구의 내부에 잔존한 도료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다른 도료용 전환밸브를 통하여 유출통로에 별도의 다른 도색의 도료를 공급하였을 때에, 상기 도료와 잔존하고 있는 도료가 혼합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밸브플러그가 밸브자리부에 착좌하였을 때의 액 고임 및 액 누설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는 도료용 전환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해적인 예시로 보이는 첨부되는 도면과 연계되는 다음의 설명에서 더욱 명확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통로에 공급되는 도료의 공급상태를 전환시키는 도료용 전환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에 접속되며, 상기 도료가 공급되는 포트를 갖는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의 작용하에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변위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밸브본체에 의하여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밸브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통로와 연통하는 밸브자리부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밸브자리부에 착좌하는 착좌부가 대략 구면(球面)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자리부는 상기 밸브플러그의 상기 착좌부와 대향하는 측면을 가지고, 상기 측면은 상기 착좌부에 대응하여 대략 구면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축은 상기 밸브본체의 홀부에 삽통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상기 홀부와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클리어런스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자리부 가 상기 유체통로를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밸브플러그는 상기 밸브 플러그와 상기 밸브자리부 사이에 맞접하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홀부와 상기 회전축 사이의 상기 클리어런스에 의해 흔들림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밸브플러그에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밸브자리부에 의하여 상기 유체통로와 대향하고, 상기 밸브플러그의 축선과 대략 수직인 평면형상의 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밸브플러그의 상기 단면은 상기 밸브플러그가 상기 밸브자리부에 착좌될 때에 상기 유체통로에 대략 평항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단면은 상기 유체통로의 벽면과 대략 같은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밸브본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에 윤활제가 충전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밸브플러그는 반지름외측방향으로 확경한 얇은 벽의 스커트를 가지고, 상기 스커트의 외연부가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되는 다이어프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플러그가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다이어프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다이어프램부를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밸브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포트를 둘러싸는 한쌍의 밀폐부재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각각은 상기 포트와 대향하는 한쪽의 벽부가 개구(開口)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상기 회전축의 변위 작용 하에 상기 축선방향으로 상기 밸브본체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는 지시계가 설치되고, 상기 지시계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상기 밸브플러그의 밸브열림상태에서 상기 밸브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밸브본체는 복수의 장착홀을 가지는 매니폴드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장착홀 내에 상기 밸브본체를 삽통한 후에, 상기 장착홀에 상기 링부재를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장착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대략 구면형상인 상기 착좌부의 반경(R1)은 상기 밸브자리부의 반경(R2)과 대략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에 대하여 적절한 실시예를 들고,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를 나타낸다.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본체(밸브본체)(12)와, 상기 메인본체(12)의 개구한 일단부측에 연결되며, 도료 등의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공급포트(포트)(16)를 갖는 서브본체(밸브본체)(18)와, 상기 메인본체(12)와 서브본체(18)의 내부를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하는 밸브기구부(20)와, 상기 메인본체(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기구부(20)의 회전축(22)을 축선방향을 향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본체(밸브본체)(24)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료용 전환밸브(10)는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장착홀(26)을 통하여 매니폴드(28)에 장착되는 것과 동시에, 도료가 유통하는 유체통로(30)에 대하여 서브본체(18)가 대향하도록 접속된 상태이다 (도8 참조).
메인본체(12)의 일단부에는, 그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서브본체(18)의 일부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 메인본체(12)의 외주면 상의 환상홈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압력유체공급원에 접속되는 파일롯포트(32)가 형성된다. 상기 파일롯포트(32)로부터 파일롯에어로써 작동하는 압력유체(예를 들면, 압축공기)가 상기 메인본체(12)의 내부에 공급된다. 그리고, 메인본체(12)의 외주면에는, 파일롯포트(32)로부터 축선방향(화살표A, B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으로 이간하여 한쌍의 밀폐부재(34)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료용 전환밸브(10)가 매니폴드(28)에 장착되었을 때에, 환상(環狀)의 밀폐부재(34)가 상기 매니폴드(28)의 장착홀(26)의 내벽면에 맞접하여 상기 파일롯포트(32)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의 기밀이 유지된다.
또, 메인본체(12)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일롯포트(32)로부터 메인본체(12)의 축선방향(화살표B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으로 이간하여 상기 메인본체(12)의 내부와 연통하는 검출포트(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검출포트(36)에는, 배관 등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검출센서(예를 들면, 압력센서)가 접속된다. 상기 검출센서에 의해 압력변화가 검출되므로, 상기 메인본체(12)의 내부로부터의 압력유체의 누출을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파일롯포트(32) 및 검출포트(36)는, 메인본체(12)의 외주면을 따라서 각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메인본체(12)의 타단부에는 일단부측으로부터 반지름내측방향으로 축경한 축경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축경부(38)의 대략 중앙부에는 삽통홀(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경부(38)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 매니폴드(28)의 장착홀(26)에 도료용 전환밸브(10)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장착홀(26)의 개구부(26a)에 형성된 나사부(44)에 링부재(46)가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링부재(46)가 회전하여 서브본체(18)측(화살표B 방향)으로 변위함에 따라, 상기 링부재(46)에 의하여 메인본체(12)의 타단부가 압박되며, 상기 메인본체(12)를 포함하는 도료용 전환밸브(10)가 상기 매니폴드(28)의 상기 장착홀(26)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링부재(46)에는 축선방향을 따라서 관통한 복수의 지그홀(48)이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서브본체(18)의 공급포트(16)는 상기 서브본체(18)의 외주면을 따라서 환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급포트(16)는 서브본체(18)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급실(50)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본체(18)의 외주면에는 공급포트(16)의 축선방향(화살표A, B방향)을 따라 양측에 한쌍의 밀폐부재(34a, 34b)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10)가 매니폴드(28)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밀폐부재(34a, 34b)가 매니폴드(28)의 장착홀(26)의 내벽면에 맞접하여 공급포트(16)의 기밀이 유지된다.
즉, 매니폴드(28)의 내부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통로를 통하여 공급포트(16)에 상기 도료가 공급되었을 때에, 상기 도료가 상기 서브본체(18)와 상기 매니 폴드(28)의 상기 장착홀(26)과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
또, 상기 밀폐부재(34a, 34b)가 장착되는 한쌍의 장착홈(42a, 42b)은 서브본체(18)의 외주면을 따라 환상(環狀)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42a, 42b)은 상기 공급포트(16)과 대면하는 일측면 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공급포트(16)과 각각 연통되도록 개구되는 벽부(51a, 51b)를 가진다. 즉, 상기 장착홈(42a, 42b)의 일측면은 상기 서브본체(18)이 삽입되는 상기 장착홀(26)의 내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간된다. 한편, 그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밀폐부재(34a, 34b)를 가지는 상기 벽부(51a, 51b)에 반대되는 타측면은 상기 장착홀(26)의 내벽면과 맞접하여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10)에 공급되어 있는 도료를 다른 도색의 도료로 색 전환을 실시할 때에, 서브본체(18)의 공급포트(16) 및 공급실(50)의 내부를 세정한다.
상기의 경우에, 종래의 도료용 전환밸브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밀폐부재가 장착되는 홈부의 벽부가 매니폴드의 내벽면에 맞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홈부의 벽부와 매니폴드와의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홈부의 내부에 들어간 도료를 세정에 의하여 확실히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결과, 케이싱 내에 있어서의 도료의 세정이 완료된 도료용 전환밸브에 다른 도색으로 이루어지는 도료를 공급하였을 때에, 다른 도색으로 이루어지는 도료끼리 혼합되는 것이 염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장착홈(42a, 42b)에 장착된 밀폐부재(34a, 34b)와 공급포트(16)와의 사이에 액 고임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공급포트(16)와 대향하 는 상기 장착홈(42a, 42b)의 벽부(51a,51b)가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세정을 실시하는 세정액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장착홈(42a, 42b)의 심부(深部)까지 들어간다. 따라서, 체류하고 있는 도료를 확실히 그리고 적절히 제거할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서브본체(18) 내의 도료의 세정이 완료된 후, 도료용 전환밸브(10)에 이전의 도료가 잔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도색으로 이루어지는 도료를 공급하였을 때, 다른 도색으로 이루어지는 도료끼리 혼합되지 않는다.
또한, 서브본체(18)의 내부에는, 공급실(5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화살표B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며, 밸브기구부(20)의 밸브플러그(66)가 착좌하는 밸브자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자리부(5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플러그(66)와 대향하여 그 표면이 오목형이 되는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본체(18)에 접속되며, 밸브자리부(52)에 면하는 유체통로(30)의 내벽면에는 상기 밸브자리부(52)와 연통하는 연통홀(5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플러그(66)가 밸브자리부(52)로부터 이간한 밸브열림상태(도4 참조)에서는 서브본체(18)에 있어서의 공급포트(16) 및 공급실(50)과 유체통로(30)가 연통한 상태가 된다(도2 및 도4 참조).
또한, 유체통로(30)에 대하여 서브본체(18)의 접속면(56) 상의 환상홈에 밀폐부재(34)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홀(54)을 통하여 서브본체(18)로부터 유체통로(30)로 유통하는 도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가이드본체(2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메인본체(12)의 내주면과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메인본체(12)의 일단부와 서브본체 (18)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본체(24)의 일부가 개재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본체(24)가 메인본체(12) 및 서브본체(18)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본체(24)의 외주면과 메인본체(12)의 내벽면과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주면의 환상홈을 통하여 밀폐부재(34)가 장착된다. 상기 밀폐부재(34)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본체(24)와 메인본체(12)와의 사이의 기밀이 유지된다. 또, 가이드본체(24)의 내주면에는 밸브기구부(20)의 회전축(22)이 삽통되는 회전축홀(홀부)(58)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회전축(22)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축홀(58)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한 클리어런스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본체(24)에는 그 축선과 대략 직교하여 서브본체(18)의 검출포트(36)와 대향하는 위치에 연통로(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로(60)는 가이드본체(24)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환상으로 형성된 환상부와, 상기 환상부와 상기 가이드본체(24)의 내부 사이를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부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기구부(20)는 메인본체(12)의 내부에 축선방향(화살표A, B방향)을 따라서 변위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피스톤(62)과, 상기 피스톤(62)에 연결되는 회전축(22)과, 상기 회전축(22)의 단부에 연결되는 밸브플러그(66)와, 상기 피스톤(62)과 메인본체(12)와의 사이에 개장되는 제1 및 제2스프링(68a, 68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스프링(68a, 68b)은 타단부측상의 메인본체(12)의 내벽면과 피스톤(62)의 오목부(62a)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68a, 68b)의 탄성력이 상기 피스톤(62)을 가이드본체(24)측(화살표B 방향)을 향하여 힘을 가 하고 있다.
상기 제1스프링(68a)은 회전축(22)에 근접한 상기 오목부(62a)의 반지름내방향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68a)에 대하여 반지름외방향에 제2스프링(68b)이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62)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70)을 통하여 회전축(22)이 삽통된다. 상기 피스톤(62)은 상기 회전축(22)의 계단부(step)(72)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62)이 삽통된 후에 회전축(22)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부(74)에 원주형상의 고정부재(76)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62)이 회전축(22)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76)의 외주경은 메인본체(12)의 삽통홀(4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밸브기구부(20)가 밸브자리부(52)로부터 이간한 밸브열림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76)의 단면이 삽통홀(40)에 삽통되어 메인본체(12)의 외벽면으로부터 화살표A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한편, 상기 밸브기구부(20)가 밸브닫힘상태의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삽통홀(40)에 삽통되어 상기 고정부재(76)의 단면이 메인본체(12)의 외벽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즉, 상기 고정부재(76)는 메인본체(12)의 외벽면에 대한 상기 고정부재(76)의 단면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밸브기구부(20)에 의한 밸브열림상태 및 밸브닫힘상태를 간편히 확인할 수 있는 전환표시기구(지시계)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피스톤(62)의 외주면 상의 환상홈에 단면이 대략 V자형상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피스톤패킹(78)이 장착된다. 상기 피스톤패킹(78)이 메인본체(12)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피스톤(62)이 축선방향(화살표 A 및 B 방향)을 따라서 변위한다. 그러므로, 상기 피스톤(62), 상기 가이드본체(24) 및 상기 메인본체(12)의 내주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실린더챔버(80)의 내부의 기밀이, 상기 피스톤패킹(78)에 의하여 확실히 유지된다. 즉, 파일롯포트(32)로부터 실린더챔버(80)에 공급되는 압력유체가 누출되지 않으며, 상기 압력유체는 상기 실린더챔버(80)의 내부에서 유지된다.
상기 가이드본체(24)에 유지되는 회전축(22)의 메인본체부(22a)의 외주면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충전되는 충전홈(82)이 소정의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홈(82)으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하여 환상의 회전축시일(84)이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축(22)이 회전축홀(58)을 따라서 축선방향으로 변위할 때에, 상기 충전홈(82)에 채워진 윤활제에 의하여 회전축(22)과 회전축홀(58)과의 사이의 미끄럼운동저항을 경감시켜 원활하게 변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2)이 변위할 때의 마모가 경감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2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전축시일(84)에 의하여 회전축(22)과 회전축홀(58)과의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가 있다.
환언하면, 상기 회전축(22)의 외주면과 회전축홀(58)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클리어런스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22)과 상기 회전축홀(58)은 기본적으로 회전축시일(84)에 의해서만 접촉하고 있는 것이 된다.
회전축(22)의 타단부는 서브본체(1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본체부(22a)로부터 반지름외측방향으로 확경한 환상의 플랜지부(8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플러그(66)와 대향하는 플랜지부(86)의 단면에는 환상홈을 통하여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88)가 장착되어 있다. 즉, 밸브플러그(66)의 다이어프램부(96)가 맞접하는 회전축(22)의 플랜지부(86)에 탄성부재(88)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부(96)에 대한 회전축(22)으로부터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상기 밸브플러그(66)의 다이어프램부(9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밸브플러그(66)는 수지제 재료로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플러그(66)의 일단부측에 형성되는 나사홀(90)에는 회전축(22)의 나사결합부(9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플러그(66)의 일단부에는 반지름외측방향으로 원주가장자리에 형성된 외연부(outer edge section)(94)를 가지고, 상기 서브본체(18)에 고정되는 다이어프램부(96)가 형성된다. 또한, 타단부측에는 서브본체(18)의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하는 착좌부(98)가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부(96)는 밸브플러그(66)의 일단부와 외연부(94)와의 사이에 박막형상의 스커트(100)를 가진다. 상기 스커트(100)가 회전축(22)에 장착된 탄성부재(88)에 맞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100)가 상기 밸브플러그(66)의 축선방향(화살표A, B방향)을 따른 변위작용하에 외연부(94)와의 접속부분을 지지점으로하여 휘어진다. 상기 외연부(94)는 서브본체(18)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압박부재(102)와 상기 서브본체(18)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즉, 다이어프램부(96)에 의하여 메인본체(12)의 내부와 서브본체(18)에 있어서의 공급챔버(50)의 내부와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포트(16)로부터 공급챔버(50)에 공급된 도료가 밸브플러그(66)의 다이어프램부(96)에 의하여 메인본체(12) 및 가이드본체(24)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환언하면, 어떠한 원인으로 다이어프램부(96)에 문제가 발생하여 서브본체(18)의 내부에 공급되어 있는 도료가 가이드본체(24)의 내부에 침입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본체(24)의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통로(60) 및 검출포트(36)를 통하여 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압력상승이 검지되어, 상기 도료의 누출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 밸브플러그(66)의 밸브자리부(98)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하여 맞접하는 선단부의 외주면이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착좌부(98)의 반지름 R1은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자리부(52)의 표면의 반지름 R2와 대략 동등(R1≒R2)해 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밸브플러그(66)의 착좌부(98)가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하였을 때에, 상기 착좌부(98)의 외주면과 밸브자리부(52)의 표면을 서로 밀착한 상태로 할 수가 있다(도3 참조).
또한, 착좌부(98)는 유체통로(30)의 연통홀(54)에 면하는 선단면(104)이 평평하고, 상기 밸브플러그(66)의 축선에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단면(104)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플러그(66)가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하여 밸브닫힘상태가 되었을 때에, 서브본체(18)에 있어서의 유체통로(30)와의 접속면(56)과 대략 동일평면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착좌부(9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면(104)이 대략 상기 접속면(56)에 대략 평행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그 외주면이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좌부(98a)의 전체를 대략 구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상기 밸브플러그(66)를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자리부(52)에 대하여 적절히 착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1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다음에 그 동작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매니폴드(28)에 대하여 도료용 전환밸브(10)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28)의 장착홀(26)로부터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10)와 상기 링부재(46)가 이탈된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10)를 밸브플러그(66)가 하방이 되도록 장착홀(26)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 후에, 상기 링부재(46)을 장착홀(26)의 개구부(26a)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장착홀(26)에 형성된 나사부(44)에 링부재(46)을 나사결합시킨다. 마지막에 상기 링부재(46)의 상면에 형성된 4개의 지그홀(48)에 도시하지 않은 지구를 삽입한다. 상기 지그에 의해 링부재(46)는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링부재(46)가 도료용 전환밸브(10)를 향하여(화살표B방향) 변위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링부재(46)를 상기 메인본체(12)의 상면에 맞접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도료용 전환밸브(10)를 매니폴드(28)에 일체적으로 장착한다.
한편, 상기 매니폴드(28)에 장착된 도료용 전환밸브(10)를 장착홀(26)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지그에 의하여 링부재(46)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링부재(46)를 메인본체(1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그리고, 상기 링부재(46)를 장착홀(26)로부터 이탈시킨 후에, 상기 장착홀(26)로부터 도료용 전환밸브(10)를 간편히 인출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도료용 전환밸브(10)를 매니폴드(28)의 장착홀(26)에 고정하고 있는 링부재(46)를 탈착하는 것에 의하여, 도료용 전환밸브(10)를 매니폴드(28)에 대하여 간편하게 장착·이탈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료용 전환밸브(10)를 매니폴드(28)에 대하여 교환하는 등의 유지보수 작업시에 있어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매니폴드(28)에 장착된 도료용 전환밸브(10)의 동작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공급포트(16)로부터 공급챔버(50)내에 공급된 도료가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한 밸브플러그(66)에 의하여 유체통로(30)로의 유통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를 초기상태로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압력유체공급원으로부터 파일롯포트(32)로 압력유체(예를 들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파일롯포트(32)에 공급된 압력유체가 실린더챔버(80)에 도입된다. 상기 피스톤(62)이 제1 및 제2스프링(68a, 68b)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가이드본체(24)로부터 이간하는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62)에 연결된 회전축(22)이 변위하여 밸브플러그(66)가 밸브자리부(52)로부터 이간한다. 도시하지 않은 도료공급원으로부터 공급포트(16)에 공급되어 있던 도료가, 공급챔버(50)로부터 밸브자리부(52)와 밸브플러그(66)와의 사이를 유통한다. 상기 도료는 연통홀(54)로부터 유체통로(30)로 공급된다. 상기 유체통로(30)로 공급된 도료가 상기 유체통로(30)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노즐로부터 분사되며,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차량의 본체의 도장이 실시된다.
한편, 반대로 상기 유체통로(30)로의 도료의 공급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력유체공급원으로부터 파일롯포트(32)로 공급되어 있는 압력유체의 공급을 정지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62)이 제1 및 제2스프링(68a, 68b)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이드본체(24)측(화살표B 방향)을 향하여 압압된다. 상기 피스톤(62)의 변위에 따라서 회전축(22)이 일체적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22)에 연결된 밸브플러그(66)가 서브본체(18)의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하여 도료용 전환밸브(10)에 있어서의 공급포트(16)와 유체통로(30)와의 연통상태가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포트(16)에 공급되어 있는 도료가 밸브플러그(66)에 의하여 유체통로(30)로 유통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유체통로(30)로의 도료의 유통이 정지한 초기상태로 된다.
이 때에, 서브본체(18)의 밸브자리부(52)의 표면이 오목형상으로 움푹패인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플러그(66)의 착좌부(98)의 외주면이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되다. 그러므로, 상기 밸브플러그(66)와 밸브자리부(52)가 서로 대략 구면끼리 밀착하여 착좌하고 있다. 그 결과, 상기 밸브플러그(66)와 밸브자리부(52)가 항상 적합하게 서로 밀착한 상태이다. 상기 밸브플러그(66)에 의하여 밸브자리부(52)가 확실히 밀폐할 수 있다. 그 결과, 밸브플러그(66)에 의한 밸브자리부(52)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료의 연통상태를 확실히 차단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밸브플러그(66)의 착좌부(98)의 외주면이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플러그(66)와 밸브자리부(52)와의 사이에서 그 접촉작용하에 발생하는 편마모를 억제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밸브플러그(66) 및 밸브자리부(5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밸브플러그(66)를 포함하는 밸브기구부(20)에 있어서의 구성부품의 치수의 불규칙 등의 이유에 의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2) 및 밸브플러그(66)의 축선 D1이 밸브자리부(52)를 포함하는 서브본체(18)의 축선 D2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진 축심이탈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종래의 도료용 전환밸브에서는 밸브부를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시켜 밸브자리부재에 착좌시켰을 때에, 상기 밸브부의 축심의 이탈에 기인하여 상기 밸브부와 밸브자리부재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겨버린다. 이런 이유로, 상기 밸브부에 의한 밸브자리부재로의 밀폐성이 불안정해지며, 상기 간극을 통하여 도료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도료용 전환밸브(10)에 있어서는, 밸브플러그(66)가 연결되는 회전축(22)이 가이드본체(24)의 회전축홀(58)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으로 클리어런스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22)이 반지름방향으로 약간 요동변위할 수 있다. 또, 동시에 상기 회전축(22)의 단부에 연결된 피스톤(62)과 메인본체(12)의 내벽면과의 사이에도 반지름방향으로 클리어런스가 설치되며, 피스톤패킹(78)이 메인본체(12)의 내벽면에 맞접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밸브자리부(52)가 연통홀(54)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반지름방향으로 축심이탈이 발생한 밸브플러그(66)를 포함하는 회전축(22)이 상기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하려고 한 경우에는, 상기 밸브플러그(66) 및 회전축(22)이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된 착좌부(98)의 중심E(도3 및 도4 참조)를 지점으로하여 요동하며, 또한, 테이퍼형상의 밸브자리부(52)를 따라서 서서히 연통홀(54)과 대향하는 상기 밸브자리부(52)의 대략 중앙을 향하여 미끄러지면서 변위한다. 환언하면, 밸브자리부(52)를 포함하는 서브본체(18)의 축선에 대한 회전축(22)의 축선의 상대적인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회전축(22)이 테이퍼형상의 밸브자리부(52)에 의하여 반강제적으로 요동변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할 때의 회전축(22)의 요동변위가 상기 회전축(22)과, 가이드본체(24)와의 사이에 형성된 클리어런스, 피스톤(62)과 메인본체(12)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클리어런스, 상기 밸브플러그(66)의 단부에 형성된 얇은형상의 다이어프램부(96) 및 탄성부재(88)에 의하여 적절히 흡수된다. 그 결과, 메인본체(12) 및 서브본체(18)의 축선에 대하여 회전축(22) 및 밸브플러그(66)의 축심의 이탈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축심이탈이 발생한 밸브플러그(66)를 요동변위시키는 것에 의하여, 확실히 그리고 적절히 상기 밸 브플러그(66)를 밸브자리부(52)에 착좌시킬 수가 있다.
또, 상술한 경우에, 밸브플러그(66)의 착좌부(98) 및 밸브자리부(52)가 각각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밸브플러그(66)가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할 때에 그 축심이 반지름방향으로 약간 벗어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착좌부(98)의 외주면을 밸브자리부(52)의 표면에 대하여 항상 밀착한 상태로 착좌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밸브플러그(66)에 의하여 항상 안정된 밀폐성이 얻어진다.
또한, 밸브플러그(66)의 착좌부(98)의 선단면(104)을 대략 수평형상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밸브플러그(66)가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하였을 때에, 상기 선단면(104)이 서브본체(18)의 접속면(56)과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본체(18)의 밸브자리부(52)로부터 연통홀(54)로 유통하는 도료가 상기 연통홀(54)과 선단면(104)과의 사이에 액 고임으로서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10)가 설치된 유체통로(30)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유체통로(30)를 유통해온 도료가 상기 연통홀(54)과 밸브플러그(66)의 선단면(104)과의 사이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유체통로(30)를 유통하는 도료가 닿는 밸브플러그(66)의 선단면(104)을 평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밸브플러그(66)가 도료가 유통할 때의 유로저항이 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도료용 전환밸브(10)에 있어서의 밸브플러그(66)의 착좌부(98)와 유체통로(30)의 연통홀(54)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도료의 액 고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내는 매니폴드(28)에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제1~제3도료용 전환밸브(10a~10c)가 대략 병렬로 장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매니폴드(28)에 3개 설치된 제1~제3도료용 전환밸브(10a~10c)는 그 중에서 가장 좌측이되는 장착홀(26)에 설치된 제1도료용 전환밸브(10a)가 밸브열림상태이며, 나머지제2 및 제3도료용 전환밸브(10b, 10c)가 밸브닫힘상태이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도료공급원으로부터 도료가 제1도료용 전환밸브(10a)를 통하여 유체통로(30)에 공급된다. 이 때, 제2 및 제3도료용 전환밸브(10b, 10c)는 각각 밸브닫힘상태이다. 그러므로, 상기 유체통로(30)를 유통하는 도료가 상기 제2 및 제3도료전환밸브(10b, 10c)의 내부에 침입하지 않는다. 도료가 유통하는
또, 상기 유체통로(30)의 내벽면과 제2 및 제3도료용 전환밸브(10b, 10c) 각각의 밸브플러그(66)의 선단면(104)과의 사이의 단차이가 적기 때문에, 상기 도료가 유통할 때의 유로저항이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체통로(30)에 형성된 연통홀(54)과 선단면(104)과의 사이에 도료의 액고임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제1도료용 전환밸브(10a)로부터 유체통로(30)로 공급된 도료가 상기 유체통로(30)에 접속된 노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분사되며, 피도장물이 되는 차량의 본체가 소망하는 도색에 의하여 도장된다.
다음에 제1도료용 전환밸브(10)에 공급되어 있는 도료는 다른 별도의 도색으로 이루어지는 도료를 본체에 도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제1도료용 전환밸브(10a)를 밸브닫힘상태로 하며, 상기 제1도료용 전환밸브(10a)를 통하여 유체통로(30)에 공급되어 있던 도료의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통 로(30)에는 제1도료용 전환밸브(10a)로부터 공급되어 있던 도료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체통로(30)의 내부의 세정을 실시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1~제3도료용 전환밸브(10a~10c)는 전부 밸브닫힘상태이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제3도료용 전환밸브(10a~10c) 각각의 밸브플러그(66)의 전단면(104)이 대략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며, 또, 상기 선단면(104)과 유체통로(30)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이간거리가 작아진다. 그러므로, 상기 밸브플러그(66)의 선단면(104)과 유체통로(30)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도료의 액고임이 억제된다. 따라서, 유체통로(30)의 내부가 세정될 때에, 상기 밸브플러그(66)와 유체통로(30)와의 사이의 도료의 액 고임을, 예를 들면, 세정액에 의하여 간편하고 적절하게 제거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제1도료용 전환밸브(10a)로부터 공급되어 있던 도료가 유체통로(30)의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2 또는 제3도료용 전환밸브(10b, 10c)로부터 상기 도료와 다른 별도의 도색의 도료를 유체통로(30)로 공급하였을 때에 도색이 다른 도료끼리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통로(30)의 내부의 도료가 세정된 후, 예를 들면, 제2도료용 전환밸브(10b)를 압력유체의 공급작용하에 밸브열림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료용 전환밸브(10b)의 밸브플러그(66)가 밸브자리부(52)로부터 이간하며, 공급포트(16)로부터 연통홀(54)을 통하여 유체통로(30)에 상기와는 다른 도색의 도료가 공급된다. 또한, 이 경우, 제1 및 제3도료용 전환밸브(10a, 10c)는 각각 밸브닫힘상태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제3도료용 전환밸브(10a~10c)를 매니폴드(28)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설치하며, 각각 다른 별도의 도색의 도료가 비축된 도료공급부에 접속된 제1~제3도료용 전환밸브(10a~10c)가 임의로 전환된다. 따라서, 복수의 도색으로 이루어지는 도료를 별개로 독립하여 단일의 유체통로(30)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노즐에 각각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른 도색으로 이루어지는 도료 각각에 설치되어 있던 복수의 유체통로 및 노즐 등의 복수의 도장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해진다. 그리하여, 설비비용을 절감하고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가 있다.
또, 제1~제3도료용 전환밸브(10a~10c)에 있어서의 밸브플러그(66)와 유체통로(30)의 연통홀(54)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액 고임을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통로(30)의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도료를 확실하고 간편하게 세정하여 제거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도색이 다른 도료끼리 유체통로(30) 내에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통로(30)내에 잔존하고 있는 도료를 확실히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통로(30)의 세정 작용의 회수를 증대시킨다는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다음에,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150)를 도 9에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150)에서는 착좌부(98)를 회전축(152)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152)의 외주면을 서브본체(18)의 내부에 설치된 패킹(154)에 의해 둘러싸서 공급챔버(50)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는 점에서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10)와 상이하다.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150)는 회전축(152)이 스텐레스 강철 등의 금속제재료로 형성된다. 그 외주면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충전되는 한 쌍의 충전홈(156a, 156b)이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하여 한쌍 형성된다. 상기 충전홈(156a, 156b)으로부터 각각 소정 간격으로 이간하여 한 쌍의 회전축시일(158a, 158b)이 장착되어있다.
일측의 충전홈(156a) 및 회전축시일(158a)은 가이드본체(24)에 있어서의 회전축홀(58)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타측의 충전홈(156b) 및 회전축시일(158b)이 상기 서브본체(18)의 내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유지부재(160)의 유지홀(162)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지부재(160)의 단면과 서브본체(18)와의 사이에, 회전축(15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패킹(154)이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패킹(154)의 외주면에는 환상의 밀폐부재(155)가 배설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150)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피스톤(62)의 축선방향을 따른 변위작용하에 회전축(152)이 일체적으로 변위한다. 상기 회전축(152)의 단부에 형성된 착좌부(98)가 서브본체(18)의 밸브자리부(52)에 착좌·이간하는 것에 의하여, 도료가 유통하는 유체통로(30)와의 연통상태를 전환하고 있다. 이 경우에, 도료가 공급되는 서브본체(18)의 공급챔버(50)의 기밀이 상기 서브본체(18)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회전축(15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패킹(154)에 의하여 확실히 유지되고 있다.
또한, 회전축(152)이 반지름방향으로 약간 변위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회전축(15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패킹(154) 및 상기 패킹(154)을 둘러싸는 밀폐부재(155)에 의하여 흡수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료용 전환밸브(150)에서는 착좌부(98)를 갖는 회전축(152)을 금속제 재료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즉, 비용 절감의 이점이 있다.
또한, 착좌부(98)를 갖는 밸브플러그(66)를 수지제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도료용 전환밸브(10)와 비교하여, 서브본체(18)의 밸브자리부(52)에 착좌하는 착좌부(98)가 금속제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200)를 도 10에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10, 15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200)에서는 메인본체(202)에 형성되는 파일롯포트(204) 및 서브본체(206)에 형성되는 공급포트(208)가, 각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메인본체(202)와 서브본체(206)가 길이가 긴 볼트(210)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본체(202) 및 서브본체(206)를 포함하는 도료용 전환밸브(200)가 매니폴드(28)에 장착되지 않는 점에서, 제1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10, 150)와 상이하다.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200)에서는 메인본체(202)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관통한 관통홀(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본체(202)의 일단부측에는 서브본체 (206)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본체(206) 상에서 메인본체(12)의 관통홀(212)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나사가 설치된 나사홀(21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12)에 삽통된 볼트(21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본체(12)와 서브본체(206)가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피스톤(62)과 대향하는 단면에 환상홈에 의해 회전축(22)을 유지하는 가이드본체(216)에는 완충부재(21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재(218)는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재(218)는 상기 가이드본체(24)의 단면으로부터 피스톤(62)측(화살표A 방향)에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파일롯포트(204)에 공급되어 있는 압력유체가 정지하며, 상기 피스톤(62)이 제1 및 제2스프링(68a, 68b)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이드본체(216)측(화살표B 방향)을 향하여 변위하였을 때에, 상기 피스톤(62)이 완충부재(218)에 맞접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피스톤(62)이 직접 가이드본체(216)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피스톤(62)과 가이드본체(216)가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 완충된다.
즉,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료용 전환밸브(200)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도료용 전환밸브(200)가 매니폴드(28)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메인본체(202)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일롯포트(204)에 대하여 직접 배관 등을 접속하여 도시하지 않은 압력유체공급원으로부터 압력유체를 공급할 수가 있다. 또, 유사하게 서브본체(206)의 외주면에 형성된 공급포트(208)에 대하여 직접 배관 등을 접속하여 도료공급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도료를 공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노즐 등의 도장장치 및 유체통로(30)에 단 일한 도료용 전환밸브(200)를 접속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세히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밸브플러그의 착좌부를 대략 구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밸브플러그가 착좌하는 밸브자리부의 측면을 상기 착좌부에 대응시켜서 대략 구면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시키는 것에 의하여, 밸브플러그가 밸브자리부에 착좌하였을 때에, 상기 착좌부와 밸브자리부를 서로 대략 구면끼리 밀착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밸브플러그와 밸브자리부가 항상 적절히 밀착한 상태가 되며, 상기 밸브플러그에 의하여 밸브자리부를 확실히 밀폐하는 것에 의하여, 밸브플러그에 의한 밸브자리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1)

  1. 유체통로에 공급되는 도료의 공급상태를 전환시키는 도료용 전환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에 접속되며, 상기 도료가 공급되는 포트를 갖는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의 작용하에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변위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밸브본체에 의하여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밸브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통로와 연통하는 밸브자리부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밸브자리부에 착좌하는 착좌부가 대략 구면(球面)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자리부는 상기 밸브플러그의 상기 착좌부와 대향하는 측면을 가지고, 상기 측면은 상기 착좌부에 대응하여 대략 구면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밸브본체의 홀부에 삽통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상기 홀부와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클리어런스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자리부가 상기 유체통로를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밸브플러그는 상기 밸브 플러그와 상기 밸브자리부 사이에 맞접하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홀부와 상기 회전축 사이의 상기 클리어런스에 의해 흔들림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러그에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밸브자리부에 의하여 상기 유체통로와 대향하고, 상기 밸브플러그의 축선과 대략 수직인 평면형상의 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러그의 상기 단면은 상기 밸브플러그가 상기 밸브자리부에 착좌될 때에 상기 유체통로에 대략 평항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단면은 상기 유체통로의 벽면과 대략 같은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밸브본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에 윤활제가 충전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러그는 반지름외측방향으로 확경한 얇은 벽의 스커트를 가지고, 상기 스커트의 외연부가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되는 다이어프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플러그가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다이어프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다이어프램부를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포트를 둘러싸는 한쌍의 밀폐부재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각각은 상기 포트와 대향하는 한쪽의 벽부가 개구(開口)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상기 회전축의 변위 작용 하에 상기 축선방향으로 상기 밸브본체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는 지시계가 설치되고, 상기 지시계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상기 밸브플러그의 밸브열림상태에서 상기 밸브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복수의 장착홀을 가지는 매니폴드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장착홀 내에 상기 밸브본체를 삽통한 후에, 상기 장착홀에 상기 링부재를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장착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대략 구면형상인 상기 착좌부의 반경(R1)은 상기 밸브자리부의 반경(R2)과 대략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전환밸브.
KR1020050064511A 2004-07-16 2005-07-15 도료용 전환밸브 KR100687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9573A JP4600808B2 (ja) 2004-07-16 2004-07-16 塗料用切換弁
JPJP-P-2004-00209573 2004-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845A true KR20060053845A (ko) 2006-05-22
KR100687538B1 KR100687538B1 (ko) 2007-03-02

Family

ID=3566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511A KR100687538B1 (ko) 2004-07-16 2005-07-15 도료용 전환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12484B2 (ko)
JP (1) JP4600808B2 (ko)
KR (1) KR100687538B1 (ko)
CN (1) CN100368714C (ko)
DE (1) DE102005033191C5 (ko)
SE (1) SE529488C2 (ko)
TW (1) TWI2774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3852A (ja) * 2006-11-27 2008-06-12 Aisin Seiki Co Ltd バルブ装置
DE102007037663A1 (de) * 2007-08-09 2009-02-19 Dürr Systems GmbH Nadelventilanordnung
CH699240B1 (de) * 2008-07-25 2011-12-15 Dopag Dosiertechnik Und Pneumatik Ag Dosierventil.
DE102009020077A1 (de) * 2009-05-06 2010-11-11 Dürr Systems GmbH Beschichtungsmittelvorrichtung und Beschichtungsvorrichtung
JP5511339B2 (ja) * 2009-12-02 2014-06-04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バルブ装置
DE102010011064A1 (de) * 2010-03-11 2011-09-15 Dürr Systems GmbH Ventileinheit für eine Beschichtungsanlage
JP5486995B2 (ja) * 2010-04-08 2014-05-07 株式会社コガネイ 開閉弁
JP5489119B2 (ja) * 2010-08-17 2014-05-14 リンナイ株式会社 流量制御弁
EP2425899B1 (de) * 2010-09-06 2013-08-21 LacTec GmbH Farbwechsler
JP2012207743A (ja) 2011-03-30 2012-10-25 Honda Motor Co Ltd 高圧ガス用開閉バルブ
KR101261878B1 (ko) 2011-04-04 2013-05-07 박주호 삼방향 도장용 드레인 밸브
EP2554274B1 (de) * 2011-08-03 2015-06-17 ABB Technology AG Lackmaterialschaltstrecke und Farbwechsler
US9803763B2 (en) * 2011-09-02 2017-10-31 Aurotec Gmbh Pipe comprising a pressure relief valve
FR3012863B1 (fr) * 2013-11-04 2017-04-07 Sames Tech Dispositif d'alimentation d'un projecteur en produit de revetement liquide
FR3012864B1 (fr) * 2013-11-04 2017-03-31 Sames Tech Dispositif d'alimentation d'un projecteur en produit de revetement liquide et outil de montage/demontage d'un tel dispositif
EP2876340B1 (de) * 2013-11-22 2017-01-11 LacTec GmbH Absperrventil, insbesondere für eine Lackieranlage
PL2905520T3 (pl) * 2014-02-07 2017-10-3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Zawór regulacji płynu
DE102014012705A1 (de) * 2014-08-27 2016-03-17 Eisenmann Se Ventil
DE102015008661A1 (de) 2015-07-03 2017-01-05 Dürr Systems Ag Nadelventil
DE102015008659B4 (de) 2015-07-03 2019-06-19 Dürr Systems Ag Beschichtungsmittelventil und Rotationszerstäuber
JP6719960B2 (ja) * 2016-04-27 2020-07-08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量調整装置
JP6914159B2 (ja) * 2017-09-26 2021-08-04 株式会社キッツエスシーティー ダイヤフラムバルブの組立方法とその組立構造並びにダイヤフラムバルブ
DE102020112308A1 (de) * 2020-05-06 2021-11-11 Hammelmann GmbH Druckregelventil
DE102022203156A1 (de) 2022-03-31 2023-10-05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Ventilanordnung für einen Gasgenerator sowie Aufprallschutz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2911A (en) * 1928-05-23 1933-08-15 Westinghouse Air Brake Co Compressor governor
US3572366A (en) * 1967-10-20 1971-03-23 Gyromat Corp Control valves for supplying paint in paint spray installations
US3599038A (en) * 1969-07-28 1971-08-10 Hipotronics Apparatus and systems for high-voltage electrostatic charging of particles
US3672570A (en) * 1970-09-04 1972-06-27 Nordson Corp Sequence control of color change
US3811470A (en) * 1971-06-01 1974-05-21 J Schaefer Fluid control device
US4180239A (en) * 1977-06-13 1979-12-25 Electron Fusion Devices Inc. Metering valves
DE3410017A1 (de) 1984-03-19 1985-09-26 DeVilbiss GmbH, 6057 Dietzenbach Farbwechselventil
JPH0446280A (ja) 1990-06-08 1992-02-17 Kubota Corp 空気弁
US5146950A (en) * 1990-07-11 1992-09-15 Ransburg Corporation Modular plastic color changer
US5221194A (en) 1990-07-18 1993-06-22 Nord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ally isolating and pumping conductive coating materials
JPH06117549A (ja) 1992-10-01 1994-04-26 Mitsuba Electric Mfg Co Ltd 圧力制御弁の製造方法
US5326031A (en) 1992-10-15 1994-07-05 Nord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pensing conductive coating materials including color changing capability
US5409162A (en) * 1993-08-09 1995-04-25 Sickles; James E. Induction spray charging apparatus
DE29507639U1 (de) * 1995-05-09 1995-07-06 Arca Regler Gmbh Ventil
JP3360992B2 (ja) 1995-09-29 2003-01-07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色替バルブ装置
US5623962A (en) * 1995-11-03 1997-04-29 Dresser Industries Pressure relief valve
WO1998008615A1 (en) 1996-08-27 1998-03-05 Abb Flexible Automation Inc. Improved color changer manifold and valve
JPH10153268A (ja) 1996-11-20 1998-06-09 Benkan Corp ダイヤフラム式流量調整弁
JP3825517B2 (ja) 1996-12-17 2006-09-2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薄膜製造装置用噴霧ノズル弁
JP3408722B2 (ja) 1997-07-03 2003-05-19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弁装置
US5934520A (en) * 1997-11-03 1999-08-10 Nordson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device
DE19836304A1 (de) 1998-08-11 1999-04-29 Rohner Peter Sicherung für Passagier auf Zweirad
DE19836604A1 (de) 1998-08-12 2000-03-09 Duerr Systems Gmbh Ventilanordnung zur Steuerung des Materialflusses in einer Beschichtungsanlage
JP3502597B2 (ja) * 2000-07-07 2004-03-02 Smc株式会社 二方弁
JP2002243062A (ja) 2000-12-13 2002-08-28 Abb Kk 塗料用開閉弁
FR2819875B1 (fr) * 2001-01-19 2003-12-05 Eisenmann France Sarl Vanne pneumatique a pointeau
US20030111118A1 (en) * 2001-12-17 2003-06-19 Diana Michael J. Color changers
DE10228277A1 (de) 2002-06-25 2004-01-22 Dürr Systems GmbH Ventilanordnung
CN2602222Y (zh) * 2003-03-06 2004-02-04 李文建 一种气动活塞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38154A1 (en) 2006-02-23
KR100687538B1 (ko) 2007-03-02
DE102005033191B4 (de) 2016-07-28
SE529488C2 (sv) 2007-08-21
JP2006029457A (ja) 2006-02-02
DE102005033191A1 (de) 2006-02-16
JP4600808B2 (ja) 2010-12-22
TWI277453B (en) 2007-04-01
CN1734140A (zh) 2006-02-15
TW200605959A (en) 2006-02-16
CN100368714C (zh) 2008-02-13
DE102005033191C5 (de) 2018-09-27
US7712484B2 (en) 2010-05-11
SE0501574L (sv) 200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538B1 (ko) 도료용 전환밸브
RU2696167C1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ом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KR101052195B1 (ko) 유체압기기의 시일구조
US10859172B2 (en) Switching valve
JP4478684B2 (ja) 球面滑り軸受システム
US8448919B2 (en) Flow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rebuilding a flow control valve
KR19980042500A (ko) 밸브장치의 시트 이격장치
CN112439641B (zh) 阀、包括这种阀的用于涂覆覆盖产品的系统以及专用安装和拆卸工具
KR101930393B1 (ko) 플러그 밸브
KR20210058555A (ko) 자동차용 복합노즐
US20120180880A1 (en) Dual plate wafer check valve
RU2508488C2 (ru) Клапан для распыления материала покрытия и пульверизатор, включающий такой клапан
US20210095772A1 (en) Check Valve
US20130092080A1 (en) Valve Assemblies Including Valve Seat Assemblies
JP2018076947A (ja) ノズル切替バルブ装置
CN218118818U (zh) 一种阀盖密封结构及阀装置
JP7328705B2 (ja) 噴霧ノズルユニット
US7201379B2 (en) Seal assembly, cartridge, and method
CN219841081U (zh) 一种阀结构
US20230028518A1 (en) Valve bod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25886A (ko) 볼밸브
KR100476749B1 (ko) 차량의 인터미드 샤프트의 오일 주입구
KR20100099863A (ko) 굴삭기 어태치먼트용 스톱밸브
KR0137601Y1 (ko) 산업기계용 트랙롤러 베어링
CN117028605A (zh) 角形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