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746A - 구동 트랜지스터 및 그것을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트랜지스터 및 그것을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746A
KR20060053746A KR1020040094182A KR20040094182A KR20060053746A KR 20060053746 A KR20060053746 A KR 20060053746A KR 1020040094182 A KR1020040094182 A KR 1020040094182A KR 20040094182 A KR20040094182 A KR 20040094182A KR 20060053746 A KR20060053746 A KR 20060053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ransistor
contact hole
drai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341B1 (ko
Inventor
천필근
최웅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341B1/ko
Priority to US11/280,958 priority patent/US7816687B2/en
Publication of KR20060053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8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7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01L27/1274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using crystallisation of amorphous semiconductor or recrystallisation of crystalline semiconductor
    • H01L27/1285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using crystallisation of amorphous semiconductor or recrystallisation of crystalline semiconductor using control of the annealing or irradiation parameters, e.g. using different scanning direction or intensity for differen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96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adapted to increase the uniformity of device parame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상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구동 전류를 비교적 균일하게 출력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와 이러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화질을 표시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제1 콘택홀 및 제2 콘택홀을 통해 소오스 전극에 접속되는 소오스, 제3 콘택홀 및 제4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는 드레인, 및 소오스와 드레인 사이에 형성되는 채널을 구비하는 반도체층과, 채널에 접하여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층, 그리고 게이트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채널과 마주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되, 제1 내지 제4 콘택홀은 레이저빔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서로 다른 직선 상에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발광 표시 장치, 콘택홀, 결정화

Description

구동 트랜지스터 및 그것을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Driver transist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the same}
도 1a는 종래의 일반적인 화소에 대한 레이아웃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화소의 레이아웃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를 채용한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에 대한 레이아웃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를 채용할 수 있는 화소 회로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트랜지스터 110: 반도체층
120: 채널 130: 소오스/드레인 전극
140: 드레인/소오스 전극 160: 게이트 전극
300: 화소 310: 주사선
320: 데이터선 330: 제1 전원선
340: 제1 트랜지스터 350: 캐패시터
360: 제2 트랜지스터 370: 발광 소자
500: 발광 표시 장치 710: 주사 구동부
720: 데이터 구동부 730: 화상표시부
740: 화소
본 발명은 제조 공정상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구동 전류를 비교적 균일도를 출력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와 이러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화질을 표시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형광성 또는 인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 고, 박형화가 용이하며, 광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등 액정 표시 장치에서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그 구동 방식에 따라 크게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이하 능동 구동 방식이라 한다)과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으로 구분된다. 그 가운데, 능동 구동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10)에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M1, M2)와 하나의 캐패시터(C)를 구비한다. 이들 두 박막 트랜지스터(M1, M2)는 각 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1) 및 발광 소자(EL)를 구동시키는 구동 트랜지스터(M2)로 기능한다.
구동 트랜지스터(M2)는 통상 기판 상에 고농도의 불순물로 도핑된 드레인 영역과 소오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소오스 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채널 영역을 갖는 반도체층과, 이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전극 상에서 층간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영역과 소오스 영역에 접속되는 드레인 전극 및 소오스 전극 등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경우, 구동 트랜지스터(M2)의 반도체층이 제1 방향으로 진행하는 레이저빔(20)에 의해 결정화되는 경우, 구동 트랜지스터(M2)의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상에 각각 형성되는 콘택홀이 거의 동일한 타이밍의 레이저 빔들 내에서 예기치 않게 발생되는 불균일한 에너지 분포에 의해 콘택홀이 접속되는 소오스 영 역 또는 드레인 영역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밀도의 결함부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소오스로부터 드레인측으로 전류가 제대로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구동 트랜지스터에서는 제조 공정의 편차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 전달 특성의 균일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동 트랜지스터를 채용한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는 화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화질의 균일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소 내에 여러 가지 보상 회로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화소를 복잡하게 만들고 개구율을 떨어뜨리며, 복잡한 화소 구조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수율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채널 영역으로 전류 이동 경로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트랜지스터를 채용하여 보다 우수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 상에 형 성되며, 제1 콘택홀 및 제2 콘택홀을 통해 소오스 전극에 접속되는 소오스, 제3 콘택홀 및 제4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는 드레인, 및 소오스와 상기 드레인 사이에 형성되는 채널을 구비하는 반도체층과, 상기 채널에 접하여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채널과 마주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 콘택홀은 레이저빔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서로 다른 직선 상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은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과 상기 제3 및 제4 콘택홀 사이에 연장되며 소정 부분에서 서로 중첩되는 다중 채널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콘택홀과 상기 제3 콘택홀 및 상기 제2 콘택홀과 상기 제4 콘택홀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의 콘택홀은 상기 레이저빔이 갖는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 및 상기 제3 및 제4 콘택홀 중 어느 한 쌍의 콘택홀 간의 간격은 나머지 한 쌍의 콘택홀 간의 간격보다 작다.
또한, 상기 소오스 및 상기 드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5 콘택홀을 통해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더 접속된다.
또한, 상기 소오스 및 상기 드레인은 적어도 하나의 제5 콘택홀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콘택홀을 통해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각각 더 접속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5 콘택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6 콘택홀은 상기 레이저빔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서로 다른 직선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층을 결정화하는 결정화 공정에 의해 폴리실리콘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정화 공정은 엑시머 레이저 어닐링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상기 복수의 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사선에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가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하는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100)는 제조 공정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균일하게 전체적인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랜지스터(100)는 대략 X자 모양의 네 개의 연장부(114a, 114b, 114c, 114d)를 가진 채널(120)과, 이 채널(120)의 각 연장부(114a, 114b, 114c, 114d)의 말단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소오스(116a, 116b)와 제1 및 제2 드레인(118a, 118b)을 구비한 반도체층(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략 X자 모양은 소오스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콘택홀(132a, 132b)과 제3 및 제4 콘택홀(142a, 142b) 사이에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이 소정 부분에서 서로 중첩되며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X자 모양의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중 채널 구조 또는 방사형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트랜지스터(100)는 게이트 절연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채널(120)과 마주하는 게이트 전극(160)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10)의 제1 소오스(116a) 및 제2 소오스(116b)는 제1 콘택홀(132a) 및 제2 콘택홀(132b)을 통해 소오스 전극(130)에 접속된다. 반도체층(110)의 제1 드레인(118a) 및 제2 드레인(118b)은 제3 콘택홀(142a) 및 제4 콘택홀(142b)을 통해 드레인 전극(140)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층(110)은 X자 모양의 채널(120) 양단에 접속되는 소오스(116a, 116b)의 제1 및 제2 콘택홀(132a, 132b)과 드레인(118a, 118b)의 제3 및 제4 콘택홀(142a, 142b)이 대략 동일평면상에서 반도체층(110)의 결정화를 위한 레이저빔의 진행 방향(제1 방향)과 직교하는 서로 다른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소오스(116a)의 제1 콘택홀(132a)은 제1 드레인(118a)의 제3 콘택홀(142a)과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레이저 빔(미도시)의 진행 방향(제1 방향) 또는 레이저 빔의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1 소오스(116a)의 제1 콘택홀(132a)은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제1 드레인(118a)의 제3 콘택홀(142a)과 어긋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소오스(116b)의 제2 콘택홀(132b)은 제2 드레인(118b)의 제4 콘택홀(142b)과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반도체층(110)은 소오스(116a, 116b) 및 드레인(118a, 118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 제3 및 제4 채널 영역(114a, 114b, 114c, 114d)을 통해, 제1 전류 이동 경로(120a), 제2 전류 이동 경로(120b), 제3 전류 이동 경로(120c), 제4 전류 이동 경로(120d)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전류 이동 경로를 포함한다. 제1 전류 이동 경로(120a)는 도 2에서 볼 때 제1 소오스(116a)에서 채널(120)의 중심부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내며, 제2 전류 이동 경로(120b)는 제2 소오스(116b)에서 채널(120)의 중심부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내며, 제3 전류 이동 경로(120c)는 채널(120)의 중심부에서 제1 드레인(118a)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제4 전류 이동 경로(120d)는 채널(120)의 중심부에서 제2 드레인(118b)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반도체층(110)은 게이트 전극(160)에 소정 전압이 인가될 때 소오스(116a, 116b)와 드레인(118a, 118b) 사이에 복수의 전류 이동 경로(120a, 120b, 120c, 120d)를 형성한다.
한편, 반도체층(110)의 제1 및 제2 드레인(118a, 118b)의 각 콘택홀(142a, 142b)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층(110)의 결정화 공정의 레이저 빔의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 방향(제2 방향)에 대하여 제1 및 제2 소오스(116a, 116b)의 각 콘택홀(132a, 132b)과 어긋나게 배치되며, 이와 함께 제1 및 제2 소오스(116a, 116b)의 콘택홀들(132a, 132b) 간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소오스(116a, 116b)와 소오스 전극(130) 및 드레인(118a, 118b)과 드레인 전극(140)은 트랜지스터의 타입에 따라 그 위치가 서로 반대로 형 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게이트 전극(160)은 반도체층(110)에서 채널(120)로 형성할 영역과 유사한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채널(120)로 형성할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반도체층(110)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을 폴리 실리콘(poly silicon, 이하 다결정 실리콘이라 한다)으로 결정화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 반도체층(110)은 트랜지스터의 전기적인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생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지스터(100)는 박막 트랜지스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100)는 다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반도체층(110)을 구비한다. 그것은 다결정 실리콘이 비정질 실리콘에 비해 표면 결함이 매무 작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동작 속도가 약 100~200배 정도 빠르기 때문이다.
상술한 반도체층(110)은 엑시머 레이저 어닐링(eximer laser anneling, ELA) 공정을 통해 결정화된다. 이때, ELA 공정에서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은 반도체층의 좌우 방향으로 향하는 가로 방향 이외에 상하 방향으로 향하는 세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반도체층(110)의 결정성은 ELA의 레이저 빔(200)의 펄스투펄스 안정성(pulse to pulse stability)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다시 말해서, 레이저 어닐링 공정을 통해 다결정 실리콘을 결정화하는 공정에서는 기본적으로 레이저 빔(200)의 진행 방향(제1 방향) 및 라인 형태의 레이저 빔(200) 내의 불균일한 에너지 분포로 인하여 패널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다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poly-TFT)의 특성에 불균일도가 발생된다.
또한, 다중 모드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시머 레이저 어닐링(ELA) 공정에서, 결정화 공정의 중간에 예기치 않은 빔 에너지 밀도의 변동이 발생하면, 트랜지스터(100)는 빔 에너지 밀도의 변동이 발생된 부위에서 반도체층(120)의 결정성에 손상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용 트랜지스터(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poly-TFT와 유사하게, 다결정 실리콘을 결정화하는 공정상의 변동에 의해 결정성에 손상을 입은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100)의 반도체층을 결정화하는 공정에서, 채널(120) 내의 특정 부위에 고밀도 결함부(210)가 발생되면, 고밀도 결함부(210)는 채널(120) 내의 전류 흐름을 방해한다.
특히, 종래에는 고밀도 결함부(210)가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및/또는 드레인 영역에 발생되는 경우, 트랜지스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100)는 소오스(116a, 116b)와 드레인(118a, 118b)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소오스와 드레인 영역에 동시에 고밀도 결함부(210)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오스와 드레인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고밀도 결합부(210)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소오스 또는 드레인 영역을 통해 전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와 같이, 반도체층(110)의 제2 소오스(116b)에 고밀도 결함부(210)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트랜지스터(100)는 제1 전류 이동 경로(120a), 제2 전류 이동 경로(120b), 제5 전류 이동 경로(120e)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전류 이동 경로를 통해 전체적인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100)는 제조 공정의 불균일성에 의해 채널 내의 특정 부위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다른 채널 부위로 전류 이동 경로를 형성하여 트랜지스터의 전체적인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것에 의해 패널 내의 트랜지스터의 균일성을 높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지스터를 발광 표시 장치에 채용하면, 발광 표시 장치의 화질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트랜지스터(100)의 제조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 기판 또는 절연성 투명 기판 위에 버퍼층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버퍼층은 3000Å 정도의 두께로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된다. 다음, 버퍼층 위에 비정질 실리콘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비정질 실리콘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으로 증착되고 탈수소 처리된다. 또한 비정질 실리콘은 레이저 스캐닝 공정을 통해 다결정화된다. 레이저 스캐닝에서 적용되는 레이저 빔(beam)은 예를 들어 장방향 200~250㎜, 단방향 0.25~1.5㎜ 내외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대면적의 패널인 경우, 레이저 빔은 비정질 실리콘의 다결정 화를 위해 겹쳐서 조사된다. 그것은 대면적 비정질 실리콘을 다결정화하는 과정에서 레이저 빔 조사 영역 간에 에너지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비정질 실리콘을 이용하여 다결정 실리콘을 형성하는 방법은 PEDVD 방식 외에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을 통해 순수 비정질 실리콘(intrinsic amorphous silicon)을 5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한 다음 결정화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소정 패턴의 감광막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 공정을 통해 반도체층을 대략 X자 모양(도 2 참조)으로 패터닝한다.
다음, 패터닝된 반도체층의 상부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의 상부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게이트 전극은 반도체층의 채널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다음, 게이트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패터닝된 반도체층의 소정 영역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다. 여기서, 불순물 이온이 주입된 소정 영역은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주입되는 불순물 이온은 트랜지스터의 타입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에는 인(P)를 주입하고,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에는 붕소(B)가 주입된다.
한편, 상술한 소오스 및 드레인은 게이트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불순물 이온을 저농도로 1차 주입하고, 그것에 의해 저농도의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한 후, 게이트와 게이트로부터 저농도의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일정한 거리까지를 감광막(photoresist)으로 덮고 불순물 이온을 고농도로 2차 주입하고, 그것에 의해 고농도의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 상기 구조의 상부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소오스 및 드레인과 마주하는 층간 절연막의 소정 영역에 제1 및 제2 콘택홀 및 제3 및 제4 콘택홀을 형성한다. 제1 내지 제4 콘택홀은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게이트 전극을 덮지 않고 게이트 전극과 소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층간 절연막 위에 금속층을 형성한 다음 패터닝하여,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소오스 전극은 제1 및 제2 콘택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콘택홀 및 제2 콘택홀을 통해 제1 및 제2 소오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3 및 제4 콘택홀에 의해 형성되는 제3 콘택홀 및 제4 콘택홀을 통해 제1 및 제2 드레인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상술한 구조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트랜지스터(100)를 보호하기 위한 패시베이션막 또는 보호막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100a)는 다섯 개의 연장부(114a, 114b, 114c, 114d, 114e)를 가진 채널(120)과, 이 채널(120)의 각 연장부(114a, 114b, 114c, 114d, 114e)의 말단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소오스(116a, 116b)와 제1, 제2 및 제3 드레인(118a, 118b, 118c)을 구비한 반도체층(110)을 포함한다. 또한, 트랜지스터(100a)는 절연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채널(120)과 마주하는 게이트 전극(160)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10)의 제1 소오스(116a) 및 제2 소오스(116b)는 제1 콘택홀(132a) 및 제2 콘택홀(132b)을 통해 소오스 전극(130)에 접속된다. 반도체층(110)의 제1 드레인(118a), 제2 드레인(118b) 및 제3 드레인(118c)은 제3 콘택홀(142a), 제4 콘택홀(142b) 및 제5 콘택홀(142c)을 통해 드레인 전극(140)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층(110)은 제1 및 제2 소오스(116a, 116b)의 제1 및 제2 콘택홀(132a, 132b)이 반도체층(110)의 결정화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드레인(118a, 118b, 118c)의 제3 내지 제5 콘택홀(142a, 142b, 142c)과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소오스(116a)의 제1 콘택홀(132a)은 제1 드레인(118a)의 제3 콘택홀(142a)과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레이저 빔(미도시)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소오스(116a)의 제1 콘택홀(132a)은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제2 및 제3 드레인(118b, 118c)의 제4 및 제5 콘택홀(142b, 142c)과도 어긋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소오스(116b)의 제2 콘택홀(132b)은 제2 드레인(118b)의 제4 콘택홀(142b)과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소오스(116b)의 제2 콘택홀(132b)은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제1 및 제3 드레인(118a, 118c)의 제3 및 제5 콘택홀(142a, 142c)과도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반도체층(110)은 소오스(116a, 116b) 및 드레인(118a, 118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연장부(114a, 114b, 114c, 114d, 114e)를 통해, 제1 전류 이동 경로(120a), 제2 전류 이동 경로(120b), 제3 전류 이동 경로(120c), 제4 전류 이동 경로(120d), 제5 전류 이동 경로(120e)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전류 이동 경로를 포함한다. 제1 전류 이동 경로(120a)는 도 4a에서 볼 때 제1 소오스(116a)에서 채널(120)의 중심부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내며, 제2 전류 이동 경로(120b)는 제2 소오스(116b)에서 채널(120)의 중심부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내며, 제3 전류 이동 경로(120c)는 채널(120)의 중심부에서 제1 드레인(118a)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내며, 제4 전류 이동 경로(120d)는 채널(120)의 중심부에서 제2 드레인(118b)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제5 전류 이동 경로(120e)는 채널(120)의 중심부에서 제3 드레인(118c)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반도체층(110)은 게이트 전극(160)에 전압이 인가될 때 소오스(116a, 116b)와 드레인(118a, 118b, 118c) 사이에 복수의 전류 이동 경로(120a, 120b, 120c, 120d, 120e)를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트랜지스터(100a)는 제1 내지 제5 전류 이동 경로(120a, 120b, 120c, 120d, 120e) 중 어느 하나의 전류 이동 경로 및/또는 소오스(116a, 116b) 및 드레인(118a, 118b, 118c) 영역의 특정 부위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다른 부위를 통해 전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트래지스터(100a)는 반도체층(110)의 소오스 및 드레인의 위치 가 서로 바뀐 경우와 같이 제1 소오스(118a), 제2 소오스(118b) 및 제3 소오스(118c)가 제1 콘택홀(142a), 제2 콘택홀(142b) 및 제3 콘택홀(142c)을 통해 소오스 전극(140)에 접속되고, 제1 드레인(116a) 및 제2 드레인(116b)이 제4 콘택홀(132a) 및 제5 콘택홀(132b)을 통해 드레인 전극(130)에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트랜지스터(100a)의 변형예로써, 세 개의 소오스가 각각의 콘택홀을 통해 소오스 전극에 접속되고, 세 개의 드레인이 각각의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100b)는 세 개의 연장부(114a, 114b, 114c)를 가진 채널(120)과, 이 채널(120)의 제1 및 제2 연장부(114a, 114b)의 말단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소오스(116a, 116b)와, 채널(120)의 제3 연장부(114c)의 말단에 접속되는 드레인(118)을 구비한 반도체층(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연장부(114c)는 제1 및 제2 연장부(114a, 114b)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진다. 또한, 트랜지스터(100b)는 절연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채널(120)과 마주하는 게이트 전극(160)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10)의 제1 소오스(116a) 및 제2 소오스(116b)는 제1 콘택홀(132a) 및 제2 콘택홀(132b)을 통해 소오스 전극(130)에 접속된다. 반도체층(110)의 드레인(118)은 제3 콘택홀(142a) 및 제4 콘택홀(142b)을 통해 드레인 전극(140)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층(110)은 제1 및 제2 소오스(116a, 116b)의 제1 및 제2 콘택홀(132a, 132b)이 반도체층(110)의 결정화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드레인(118)의 제3 및 제4 콘택홀(142a, 142b)과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3 및 제4 콘택홀(142a, 142b)은 하나의 드레인(118)에 접속되는 두 개의 콘택홀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소오스(116a)의 제1 콘택홀(132a)은 드레인(118)의 제3 콘택홀(142a)과 직사각형 모양의 레이저 빔(미도시)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소오스(116a)의 제1 콘택홀(132a)은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드레인(118)의 제4 콘택홀(142b)과도 어긋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소오스(116b)의 제2 콘택홀(132b)은 드레인(118)의 제4 콘택홀(142b)과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소오스(116b)의 제2 콘택홀(132b)은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드레인(118)의 제3 콘택홀(142a)과도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반도체층(110)은 제1 및 제2 소오스(116a, 116b)와 드레인(118)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 및 제3 연장부(114a, 114b, 114c)를 통해, 제1 전류 이동 경로(120a), 제2 전류 이동 경로(120b) 및 제3 전류 이동 경로(120c)를 포함한다. 제1 전류 이동 경로(120a)는 도 4b에서 볼 때 제1 소오스(116a)에서 채널(120)의 중심부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내며, 제2 전류 이동 경로(120b)는 제2 소오스(116b)에서 채널(120)의 중심부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제3 전류 이동 경로(120c)는 채널(120)의 중심부에서 드레인(118)까지의 전류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반도체층(110)은 게이트 전극(160)에 전압이 인가될 때 제1 및 제2 소오스(116a, 116b)와 드레인(118) 사이에 복수의 전류 이동 경로(120a, 120b, 120c)를 형성한다.
한편, 상술한 트랜지스터(100b)의 변형예로써, 반도체층(110)의 두 소오스(116a, 116b)는 드레인(118)과 하나의 소오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트랜지스터는 두 개의 연장부를 가지며, 소오스(116a, 116b)의 두 콘택홀(132a, 132b)은 하나의 소오스에 형성되며, 레이저빔의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드레인의 두 콘택홀(142a, 142b)과 어긋나게 배치된다.
도 4c에 도시한 트랜지스터(100c)는 드레인(140)의 제3 및 제4 콘택홀(118a, 118b)의 간격이 소오스(130)의 제1 및 제2 콘택홀(116a, 116b)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제외하고, 도 1에 도시한 트랜지스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따라서, 설명을 중복을 피하기 위해 트랜지스터(100c)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트랜지스터(110c)는 채널 내의 특정 부위 특히, 소오스나 드레인 영역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채널 내의 다른 부위를 통해 전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코플래너 구조 또는 상부 게이트 구조의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스태거드 구조나 하부 게이트 구조 등의 다른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결정화 공정상의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소오스와 소오스 전극 을 연결하는 콘택홀과 드레인 및 드레인 전극을 연결하는 콘택홀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형성하면서 복수의 전류 이동 경로를 갖는 채널을 구비한 다양한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를 채용한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에 대한 레이아웃 도면이다. 참고로, 본 레이아웃에 대한 회로도는 도 1b와 동일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소(300)는 발광 표시 장치에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발광 소자(electroluminescent device, 370)와 이 발광 소자(370)를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390)를 포함한다. 또한 화소(300)는 제1 화소전압을 전달하는 제1 전원선(330) 및 제2 화소전압을 전달하는 전원선(미도시)에 접속되며, 주사선(310)을 통해 전달되는 주사 신호와 데이터선(320)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소정 색 및 소정 레벨로 빛을 낸다. 이를 위해, 화소(300)는 제1 트랜지스터(340), 캐패시터(350), 제2 트랜지스터(360) 및 발광 소자(38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340, 360)는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게이트, 소오스 및 드레인을 가진다. 캐패시터(350)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진다.
제1 트랜지스터(340)는 주사선(310)에 접속되는 게이트, 제1 콘택홀(342)을 통해 데이터선(320)에 접속되는 소오스, 그리고 제2 콘택홀(344)을 통해 캐패시터 (350)의 제1 전극(352)에 접속되는 드레인을 구비한다. 제1 트랜지스터(340)는 주사선(310)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데이터선(320)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한다.
캐패시터(350)는 제1 트랜지스터(340)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360)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 전극(352)과, 제3 콘택홀(356)를 통해 제1 전원선(330)에 연결되며 제2 트랜지스터(360)의 반도체층(미도시)과 함께 패터닝되는 제2 전극(354)을 구비한다.
또한, 캐패시터(350)는 제1 트랜지스터(340)의 온 기간 동안에 데이터선(320)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여 소정의 전압을 저장하고, 제1 트랜지스터(340)의 오프 기간 동안에 제2 트랜지스터(360)의 게이트 및 소오스 간의 전압을 저장된 전압으로 유지한다.
제2 트랜지스터(3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제2 트랜지스터(360)는 반도체층의 결정화 공정에서 채널 내의 특정 부위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생성되는 경우에도 채널 내의 다른 부위를 통해 전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화소 내의 트랜지스터가 높은 균일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2 트랜지스터(360)는 대략 X자 모양의 네 개의 연장부를 가진 채널(366)과, 이 채널(366)의 각 연장부의 말단에 접속되는 제1 및 제2 소오스(362a, 362b)와 제1 및 제2 드레인(364a, 364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소오스(362a, 362b)는 제4 및 제5 콘택홀(372a, 372b)을 통해 제1 전원선(330)에 연결되 고, 제1 및 제2 드레인(364a, 364b)은 제6 및 제7 콘택홀(374a, 374b)을 통해 드레인 전극(376)에 연결된다.
또한, 제2 트랜지스터(360)는 채널(366)과 소정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게이트(378)를 구비한다. 게이트(378)는 캐패시터(350)의 제1 전극(352)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트랜지스터(360)는 캐패시터(350)의 제1 전극(352)과 제2 전극(354)에 각각 연결된 게이트(378) 및 소오스(362a, 362b) 간의 전압에 의해 소정의 전류를 발광 소자(380)에 공급한다.
발광 소자(380)는 유기 박막(386)과, 이 유기 박막(386)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382) 및 제2 전극(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극(382)은 애노드 전극을 나타내고, 제2 전극은 캐소드 전극을 나타낸다. 제1 전극(382)은 제6 콘택홀(384)을 통해 제2 트랜지스터(360)의 드레인 전극(374)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등으로 이루어진 전극으로 통해 다른 발광 소자의 캐소드 전극과 공통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유기 박막(386)은 애노드 전극(382)과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전자와 전공의 주입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발광층(emitting layer)의 양측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박막(386)은 발광 소자의 발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정공 저지층(hole blocking layer)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는, 결정화 공정상에서 제1 방향으로 진행하는 레이저 빔에 의해 트랜지스터의 채널 상의 특정 부위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채널의 다른 부위로 전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소를 이용하면, 패널 내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균일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소 내의 트랜지스터를 P형 트랜지스터로 형성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화소 내의 트랜지스터가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소 내에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제1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화소는 적어도 두 개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또는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소는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소는 두 개의 발광 소자가 한 수평 주기 동안에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순차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화소는 앞서 설명한 기본적인 전압 프로그래밍 구조의 화소 회로뿐만 아니라 다른 전압 프로그래밍 구조의 화소 회로나 전류 프로그래밍 구조의 화소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프로그래밍 구조의 화소 회로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화소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판(502) 상에 질화막 또는 산화막으로 형성된 버퍼층(504)을 형성한다. 버퍼층(504)은 금속 이온 등의 불순물이 반도체층, 특히 채널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버퍼층(504)은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502)은 절연성 또는 투명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버퍼층(504)이 형성된 기판(502) 상에 비정질 실리콘층을 도포하고, 약 430℃ 정도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비정질 실리콘층 내부에 함유된 수소 성분을 제거하는 탈수소 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탈수소 처리된 비정질 실리콘 층을 소정의 방법으로 결정화하여 반도체층(506)을 형성한다. 반도체층(506)은 채널과 채널 양단에 접속되는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가진 제1 반도체층(506a)과, 캐패시터(350)의 일전극으로 형성되는 제2 반도체층(506b)을 포함한다.
이러한 반도체층(506)은 고상결정화(solid phase crystallization: SPC)법, 엑시머 레이저 결정화(excimer laser crystallization: ELC/excimer laser anneal: ELA)법, 연속측면 고상화(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 SLS)법, 금속 유도 결정화(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MIC)법, 금속 유도 측면 결정화(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ization: MILC)법 등의 결정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결정화된다.
또한, 반도체층(506)은 물리적, 화학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반도체층(506) 상에 형성된 감광막(미도시)을 통해 소정 패턴대로 패터닝된다. 이때, 제1 반도체층(506a)은 예를 들어 X자 모양(도 2 또는 도 5 참조)으로 패터닝되며, 이와 함께 캐패시터(350)의 일전극을 형성하는 제2 반도체층(506b)도 패터닝된다.
이어서, 반도체층(506)이 형성된 기판(502) 상에 게이트 절연막(508)을 형성하고, 게이트 절연막(508) 위에 알루미늄 등의 게이트 전극 물질(510)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510a)을 형성한다. 이때, 커패시터(350)의 제1 전극(510b)도 게이트 전극(510a)과 함께 패터닝된다. 그 후, 게이트 전극(510a)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반도체층(506a)의 소정 영역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다. 이때, 제1 반도체층(506a)의 소정 영역은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으로 형성된다.
다음, 상기 구조 상에 층간 절연막(512)을 형성하고, 층간 절연막(512)에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콘택홀(512a, 512b)을 형성한다. 그 후, 금속층(514)을 전면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소오스/드레인 전극(514a) 및 드레인/소오스 전극(514b)을 형성한다. 소오스/드레인 전극(514a)과 드레인/소오스 전극(514b)은 제1 콘택홀(512a)과 제2 콘택홀(512b)을 통해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에 접속된다. 소오스/드레인 전극(514a)은 전원선에 연결된다.
다음, 상기 구조 상에 아크릴, 폴리이미드, BCB 등의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평탄화막(516)을 형성한다. 평탄화막(516)은 드레인/소오스 전극(514b)을 노출시키 는 제3 콘택홀(518a)을 포함한다. 한편, 평탄화막(516)은 상기 구조 상에 SiO2, SiNx 등으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미도시)을 형성한 후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 평탄화막(516) 상부에 애노드 전극(520)을 증착하고 패터닝한다. 애노드 전극(520)은 제3 콘택홀(518a)을 통해 드레인/소오스 전극(514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 상기 구조의 상부에 화소 정의막(522)을 형성한다. 화소 정의막(522)은 애노드 전극(52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522a)를 포함한다. 그 후, 개구부(522a)에 유기 발광 물질(524)을 도포한다. 그리고, 유기 발광 물질(524)이 도포된 상기 구조 상에 캐소드 전극(526)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다중 전류 이동 경로를 갖는 채널 구조의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오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캐패시터와, 이들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에 의해 제어되는 발광 소자(EL)가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PMOS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화소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NMOS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화소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을 반도체층과 게이트 전극의 형성시에 함께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패시터는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과 소오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를 채용할 수 있는 화소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소(300a)는 발광 소자(EL)과 이 발광 소자(EL)를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390a)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390a)는 제1 내지 제4 트랜지스터(M1, M2, M3, M4)와 제1 및 제2 캐패시터(C1, C2)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트랜지스터(M1, M2, M3, M4)는 각각 소오스, 드레인 및 게이트를 가진다. 여기서, 소오스 및 드레인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캐패시터(C1, C2)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진다.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는 제1 노드(N1)에 접속되며, 소오스는 제1 화소전압(VDD)을 전달하는 전원선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제2 노드(N2)에 접속된다. 제1 트랜지스터(M1)는 제4 트랜지스터(M4)의 온 기간 동안에 제1 캐패시터(C1)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걸린 전압에 상응하는 전류를 발광 소자(EL)에 공급한다.
또한, 제1 트랜지스터(M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다시 말해서, 제1 트랜지스터(M1)는 반도체층의 결정화를 위한 레이저빔의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소오스 콘택홀 및 드레인 콘택홀을 구비한 반도체층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 트랜지스터(M1)는 제조 공정상에서 발생되는 고밀도의 결함부가 반도체층의 특정 부위에 생성되는 경우, 특히 어느 하나의 소오스 및/또는 드레인이 형성되는 영역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생 성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소오스 및 드레인을 통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는 주사선(Sn)에 접속되며, 소오스는 데이터선(Dm)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제1 노드(N1)에 접속된다. 제2 트랜지스터(M2)는 주사선(Sn)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Dm)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제1 노드(N1)에 전달한다.
제3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는 주사선(Sn)에 접속되며, 소오스는 데이터선(Dm)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제2 노드(N2)에 접속된다. 제3 트랜지스터(M3)는 주사선(Sn)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제1 트랜지스터(M1)를 다이오드 연결시킨다.
제4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는 발광제어선(En)에 접속되며, 소오스는 제2 노드(N2)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발광 소자(EL)에 접속된다. 제4 트랜지스터(M4)는 발광제어선(En)에 인가되는 발광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트랜지스터(M1)으로부터의 전류를 발광 소자(EL)에 선택적으로 또는 제한적으로 공급한다.
제1 캐패시터(C1)의 제1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제1 화소전압(VDD)을 전달하는 전원선에 접속된다. 또한, 제1 캐패시터(C1)의 제1 전극은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제1 트랜지스터(M1)의 소오스에 접속된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2 및 제3 트랜지스터(M2, M3)의 온 기간에서 제1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에 상응하는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캐패시터(C1)는 제2 트랜지스터(M2)의 온 기간에서 데이터선(Dm)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1 캐패시터(C1)는 제2 및 제3 트랜지스터(M2, M3)의 오프 기간에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소오스 간의 전압을 저장된 전압으로 유지한다.
제2 캐패시터(C2)의 제1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부스트(boost) 전압을 전달하는 부스트선에 접속된다. 제2 캐패시터(C2)는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을 부스트하여 전류를 다운 스케일링한다. 다시 말해서, 제2 캐패시터(C2)는 큰 전류의 기입에 의해 제1 노드(N1)에 형성된 낮은 전압을 부스트선의 전압 상승에 따라 제1 노드(N1)의 전압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화소를 이용하면, 액티브 매트릭스형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채널 내의 특정 부위에 고밀도 결함부가 생성되는 경우 및/또는 소오스나 드레인 영역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트랜지스터의 전체적인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패널 내의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균일도를 높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를 채용한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발광 표시 장치(500)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한다. 이 구동법은 각 화소를 쉽게 제어할 수 있어 우수한 화질로 천연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광 표시 장치(500)는 주사 구동부(510), 데이터 구동부(520) 및 화상표시부(530)를 포함한다. 화상표시부(530)는 복수의 화소(540) 를 포함한다. 각 화소(540)는 발광 소자(EL)와 이 발광 소자(EL)를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542)를 포함한다. 그리고, 화소 회로(5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도 9에서, 구동용 트랜지스터(543)는 확대되어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 표시 장치(500)는 주사 구동부(510)으로부터 화상표시부(530)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n개의 주사선(S1, S2,..., Sn)과, 데이터 구동부(520)로부터 화상표시부(53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m개의 데이터선(D1, D2, D3,..., Dm)과, 각 주사선과 각 데이터선에 접속되는 n×m개의 화소(540)를 구비한 화상표시부(530)을 포함한다.
주사 구동부(510)는 주사선(S1, S2,..., Sn)에 주사 신호를 공급한다. 주사 신호는 단일 주사(single scan) 방식, 순차 주사(progressive scan) 방식, 이중 주사(dual scan) 방식, 비월 주사(interlaced scan) 방식이나 또 다른 방식의 주사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각 화소(540)에 전달된다.
데이터 구동부(520)는 데이터선(D1, D2, D3,..., Dm)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전압을 포함한다. 한편, 데이터 신호는 화소 회로의 구성에 따라 데이터 전류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표시부(530)는 제1 전원전압(VDD)을 전달하는 전원선(미도시), 복수의 주사선(S1, S2,..., Sn), 복수의 데이터선(D1, D2, D3,..., Dm) 및 복수의 화소(540)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상표시부(530)는 절연성 투명 기판 등의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된다.
한편, 주사 구동부(51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520)는 화상표시부(530)가 형성되는 기판 위에 직접 장착될 수 있으며, 화상표시부(530)가 형성되는 기판에 주사선, 데이터선 및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층들로 형성되는 구동 회로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주사 구동부(51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520)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or chip on film)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주사 구동부(51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520)는 기판에 접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 또는 필름(film) 등에 칩 등의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화소(540)는 데이터선(D1, D2, D3,..., Dm)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소정의 색 및 휘도를 표시한다. 또한, 화소(540)는 적어도 스위치용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구동용 트랜지스터 및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용 트랜지스터(543)는, 도 8에 확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각 화소(540)는 ELA 등의 결정화 공정을 통해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이 형성될 때,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의 소오스나 드레인 영역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발생되는 경우 및/또는 채널 내의 특정 부위에 고밀도의 결함부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이들 사이의 다른 채널 부위로 전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500)는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균일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전류 흐름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발광 표시 장치(500)의 화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트랜지스터가 소오스, 드레인 및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제3 전극을 구비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간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제2 전극에서 제3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능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공정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 비해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달 특성에 대한 균일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개구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경우보다 더욱 균일한 전달 특성을 가진 구동 트랜지스터를 이용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질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2)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제1 콘택홀 및 제2 콘택홀을 통해 소오스 전극에 접속되는 소오스와, 제3 콘택홀 및 제4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는 드레인, 및 상기 소오스와 상기 드레인 사이에 형성되는 채널을 구비하는 반도체층;
    상기 채널에 접하여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채널과 마주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 콘택홀은 레이저빔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서로 다른 직선 상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과 상기 제3 및 제4 콘택홀 사이에 연장되며 소정 부분에서 서로 중첩되는 트랜지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홀과 상기 제3 콘택홀 및 상기 제2 콘택홀과 상기 제4 콘택홀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의 콘택홀은 상기 레이저빔이 갖는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트랜지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 및 상기 제3 및 제4 콘택홀 중 어느 한 쌍의 콘택홀 간의 간격은 나머지 한 쌍의 콘택홀 간의 간격보다 작은 트랜지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및 상기 드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5 콘택홀을 통해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더 접속되는 트랜지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및 상기 드레인은 적어도 하나의 제5 콘택홀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콘택홀을 통해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각각 더 접속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5 콘택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6 콘택홀은 상기 레이저빔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서로 다른 직선 상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층을 결정화하는 결정화 공정에 의해 폴리실리콘층으로 형성되는 트랜지스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공정은 엑시머 레이저 어닐링 공정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상기 복수의 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사선에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가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구비하는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압을 저장하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에 상응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전류에 상응하여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데이터선 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제1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가 상기 주사선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제1 화소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선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제1 전원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제2 화소전압을 공급하는 제2 전원선에 연결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제1 화소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제1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가 상기 주사선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제2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가 상기 주사선에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제1 전원선에 연결되는 제1 캐패시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이 부스트선에 연결되는 제2 캐패시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가 발광제어선에 연결되는 제4 트랜지스터; 및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제4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제2 화소전압을 공급하는 제2 전원선에 연결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KR1020040094182A 2004-11-17 2004-11-17 구동 트랜지스터 및 그것을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600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182A KR100600341B1 (ko) 2004-11-17 2004-11-17 구동 트랜지스터 및 그것을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280,958 US7816687B2 (en) 2004-11-17 2005-11-15 Driving transist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182A KR100600341B1 (ko) 2004-11-17 2004-11-17 구동 트랜지스터 및 그것을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746A true KR20060053746A (ko) 2006-05-22
KR100600341B1 KR100600341B1 (ko) 2006-07-18

Family

ID=3665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182A KR100600341B1 (ko) 2004-11-17 2004-11-17 구동 트랜지스터 및 그것을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16687B2 (ko)
KR (1) KR1006003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13B1 (ko) * 2006-12-18 2008-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다결정 실리콘 결정화 방법 및 그를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US9530348B2 (en) 2013-07-09 2016-12-2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6265B2 (ja) * 2007-08-15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GB2460018B (en) * 2008-05-07 2013-01-30 Cambridge Display Tech Ltd Active matrix displays
JP2010249935A (ja) 2009-04-13 2010-11-04 Sony Corp 表示装置
JP5832399B2 (ja) 2011-09-16 2015-12-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KR20130128148A (ko) * 2012-05-16 2013-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를 구비하는 화소회로
CN102916051B (zh) * 2012-10-11 2015-09-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和显示装置
US9263477B1 (en) * 2014-10-20 2016-02-1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ri-gate display panel
KR102464283B1 (ko) * 2015-06-29 202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US9406872B1 (en) * 2015-11-16 2016-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bricating two-dimensional array of four-terminal thin film devices with surface-sensitive conductor layer
KR20170074618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서브-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5339A (ja) 1992-02-24 1993-09-10 Matsushita Electron Corp Misトランジスタ
US7195960B2 (en) * 1996-06-28 2007-03-27 Seiko Epson Corporation Thin film transis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thin film transistor
KR19990019498A (ko) 1997-08-29 1999-03-15 구본준 반도체 소자
JPH11251444A (ja) 1998-02-27 1999-09-17 Rohm Co Ltd 半導体素子
JP2001051292A (ja) * 1998-06-12 2001-02-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表示装置
JP4675467B2 (ja) * 1999-09-24 2011-04-20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半導体回路の製造方法
JP2001320038A (ja) 2000-05-09 2001-11-16 Canon Inc 光電変換装置
US6828587B2 (en) * 2000-06-19 2004-12-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4925528B2 (ja) * 2000-09-29 2012-04-25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6649935B2 (en) * 2001-02-28 2003-1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ligned, planarized thin-film transistors, devices employing the same
KR100660691B1 (ko) * 2002-03-25 2006-12-21 가부시끼가이샤 에키쇼 센탄 기쥬츠 가이하쯔 센터 박막 트랜지스터, 회로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3332578A (ja) * 2002-05-09 2003-11-21 Sharp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195337B2 (ja) * 2002-06-11 2008-12-1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パネルと駆動方法
US20040119101A1 (en) * 2002-12-23 2004-06-24 Gerhard Schrom Contact layout for MOSFETs under tensile strain
JP3812566B2 (ja) 2003-11-17 2006-08-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回路
KR100658288B1 (ko) * 2004-06-25 2006-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개량된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화소 회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611886B1 (ko) * 2004-06-25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개량된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화소 회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622227B1 (ko) * 2004-10-13 2006-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중 전류 이동경로를 갖는 트랜지스터와 그것을 이용한화소 및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13B1 (ko) * 2006-12-18 2008-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다결정 실리콘 결정화 방법 및 그를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US9530348B2 (en) 2013-07-09 2016-12-2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54422A1 (en) 2006-07-13
US7816687B2 (en) 2010-10-19
KR100600341B1 (ko) 200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6687B2 (en) Driving transist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107252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패널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및 그 제조 방법
US769652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capacitors disposed on a substrate wherein the first capacitor comprises an undoped semiconductor layer electrode.
US7785942B2 (en) Active matrix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60028408A1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ircuit with voltage drop compensation
US20050285108A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transistor structure
US9171956B2 (en) Thin film transist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1737046A1 (en) Light emitting display and thin film transistor
US2008015708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068272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7834397B2 (en) 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hin film transistor
KR100622227B1 (ko) 다중 전류 이동경로를 갖는 트랜지스터와 그것을 이용한화소 및 발광 표시 장치
US8426863B2 (en) 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thin film transistor
JP2006330719A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99727B1 (ko) 유기 el 발광셀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362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58288B1 (ko) 개량된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화소 회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05005153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3023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20040098756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KR100685850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