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260A - 고압 장치용 신속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압 장치용 신속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260A
KR20060051260A KR1020050085321A KR20050085321A KR20060051260A KR 20060051260 A KR20060051260 A KR 20060051260A KR 1020050085321 A KR1020050085321 A KR 1020050085321A KR 20050085321 A KR20050085321 A KR 20050085321A KR 20060051260 A KR20060051260 A KR 20060051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coupling assembly
fluid coupling
sealing memb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996B1 (ko
Inventor
스티븐 에이치. 군더슨
Original Assignee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6005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3Split end with laterally movable opposed portions
    • Y10T403/535Split end with laterally movable opposed portions with separate force-apply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5Member ends joined by inserted section
    • Y10T403/559Fluted or splined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Discharge Heat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중공 본체 요소에 단단한 튜브를 연결시키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 리테이너는 본체의 보어 내에서 튜브를 분리할 수 있게 유지한다. 탄성 밀봉 부재는 튜브를 둘러싸고 튜브와 보어를 한정하는 본체에 대해 유체가 새지 않는 밀봉을 생성한다. 밀봉 부재와 본체 사이에 놓인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본체에 대한 압력 때문에 밀봉부에 축방향 하중을 전달한다. 한 실시예에서, 테프론 스페이서는 밀봉 부재와 밀봉 부재 리테이너 사이에 배치된다.
튜브, 보어, 리테이너, 밀봉 부재

Description

고압 장치용 신속 커넥터{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신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분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커넥터 본체의 측면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관통하는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6은 도4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7은 도6의 라인 7-7을 따라 취해진 도6의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8은 도1에 도시된 유체 신속 커플링의 실시예의 스페이서 또는 별개의 밀봉 부재의 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밀봉 부재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밀봉 부재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11은 도10의 라인 11-11을 따라 취해진 도8의 밀봉 부재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12는 도1 내지 도11의 신속 커넥터 유체 커플링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이 도면.
도13은 도12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에 이용되는 스페이서의 정면도.
도14는 도13의 라인 14-14를 따라 취해진 도13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단면도.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210: 신속 커넥터 유체 커플링 조립체
212: 수형 부재
214: 커넥터 본체
216: 리테이너
217: 밀봉 부재 리테이너
218: 밀봉 부재
220: 튜브
222: 단압부
본 출원은 미국특허법 35편 120조에 따라 2004년 9월 13일에 출원된 가출원 제60/609,399호의 이익을 청구하며, 그 내용은 여기에서 참고로 합체된다.
본 출원은 결합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튜브의 단부에 형성된 수형 부재를 고압장치에 사용되는 커넥터 본체내의 보어에 결합시키는 형태의 신속 커넥터(quick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분야 및 다른 분야에서, 두 개의 요소나 도관 사이에 유체접속을 제 공하도록 자주 이용되는 커플링 조립체의 한 형태는 신속 커넥터이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암형 커넥터 본체내에 수용되고 유지되는 수형 부재를 포함한다. 신속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은 밀봉되고 유체 라인이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수립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리테이너는 종종 수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 내에 단단히 잠그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리테이너의 한 형태는 수형 부재에 형성된 방사상으로 확대된 단압부(upset)와 커넥터 본체에서 한정된 환형 표면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일단부에서 수형 부재의 단압부와 그리고 타 단부에서 커넥터 본체의 환형 표면과의 리테이너의 접합으로 인해 수형 부재는 커넥터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형태의 리테이너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많은 유체 라인의 적용에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일반적으로 O-링 밀봉의 형태인 밀봉 부재는 수형 부재와 커넥터 본체 사이에 유체가 새지 않도록 하는 밀봉을 형성하도록 신속 커넥터 커플링과 함께 이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O-링은 리테이너의 내부를 향해 축상에 위치되고 수형 부재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된 환형 스페이서에 의해 분리된다. 이것은 종종 가압식으로 끼워지거나 혹은 수용되는 보어에 스냅식으로 끼워지는 관계에 있는 스페이서에 의해 유체 압력이 가하는 축상의 하중을 받게된다. 리테이너는 다소 가요성이고 O-링은 미끄러질 수 있게 리테이너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O-링은 수형 부재에 대하여 살짝 미끄러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속 커넥터 조립체는 종종 칸막이가 진동 뿐만 아니라 높은 압력과 열을 받는 장치와 주기적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장치에서 자주 이용된다. 이러한 상태는 유체가 새지 않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을 유지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과 같은 고압 장치에서, 구성요소에 전해지는 축방향 힘이 신뢰할 수 있게 수용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해 밀봉 부재에 전해지는 축방향 하중을 수용하도록 커넥터 본체와 결합된 별개의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와 슬리브 사이에 위치된 테프론 중합체로 제조된 스페이서가 진동과 주기적인 하중의 효과를 최소화하도록 추가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커플링 조립체의 실시예는 도1 내지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신속 커넥터 유체 커플링 조립체(210)는 수형 부재(212)와, 중공 암형 커넥터 본체(214)와, 수형 부재(212)를 커넥터 본체(214)내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리테이너(216)와, 밀봉 부재(218) 및, 외부 스페이서 또는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를 포함한다.
수형 부재(212)는 중공의 단단한 튜브(220)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튜브(220)는 유체 라인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되거나, 그 자체로서 유체 라인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수형 부재(212)는 튜브의 자유 단부 또는 말단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진 방사상으로 확대된 환형 단압부(222)를 포함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방을 향하는 방사상 환형 표면(221)과 일반적으로 후방을 향하 는 방사상 환형 표면(223)을 갖는다. 수형 부재(212)는 단압부(222)와 튜브의 자유 단부 사이에 원통부(224)를 갖는다. 튜브의 원통부(225)는 단압부(222)를 넘어 후방으로 연장하며, 튜브(220)의 나머지 길이부분에 부식방지를 제공하도록 나일론으로 코팅될 수 있다. 코팅은 튜브의 자유 단부로부터 단압부(222)의 후방으로 향하는 표면(223)까지 표면(224)에서 제거된다.
커넥터 본체(214)는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214)는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과 같은 고압 유체 시스쳄의 구성요소이다. 이 구성요소는 마스터 실린더, 브레이크 실린더, 또는 브레이크 캘리퍼 또는 다른 시스템의 요소일 수 있다. 물론 커플링 조립체 구성요소와 수형 부재를 수용하도록 공동이 형성된 어떤 본체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시스템 요소를 부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시스템의 일부인 가요성 호스에 부착하기 위한 스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터 본체(214)는 중공이며, 축의 튜브와 밀봉부 및 본체(212)의 평면벽(229)에 형성된 출입 개구(232)로부터 전방으로 축상에서 연장하는 리테이너 수용 보어(230)를 한정한다. 보어(230)는 중앙선(231)에 대해 대칭이다. 보어(230)는 세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리테이너 수용부(249)와, 밀봉 수용부(250)와, 직경이 감소된 튜브 수용부(248)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나중 부분은 본체(214)의 내부와 연결되어 통하는 유체 통로(251)를 한정한다.
커넥터 본체(214)와 관련하여, 전방이라는 용어는 출입 개구(232)로부터 통 로(251)를 향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후방이라는 용어는 통로(251)로부터 출입 개구(232)를 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 또는 내부를 향한다는 용어는 방사상으로 중앙선(231)을 향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외부 또는 외부를 향한다는 용어는 중앙선(23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멀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입 개구(232)는 축상에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6)에 의해 한정되고, 보어(230)내에 위치되는 수형 부재(212)와 리테이너(216)는 이 원통형 표면을 통과하여야 한다. 모서리(234)는 본체(214)의 평면벽(229)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6)을 횡단한다. 이는 리테이너(216)가 커넥터 본체(214)에 수월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보어(230)의 리테이너 수용부(249)내에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접합 또는 고정 표면(238)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6)의 전방에 있다. 이 표면(238)은 보어(230)내에서 리테이너(249)를 유지시키도록 접합 또는 고정 표면으로서 역할을 하고, 따라서 본체(214)와 유체가 새지 않는 관계를 이루는 수형 부재(212)를 분리할 수 있게 유지시킨다. 평면벽(229)과, 모서리(234), 및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6) 및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고정 또는 접합 표면(238)은 보어(230)의 출입 개구(232)에서 테두리(240)를 한정한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8)은 테두리(240)의 방사상의 내부 표면을 한정한다.
전방의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표면(243)이 이어지는 확대된 직경의 원통형 표면(242)은 축방향으로 고정 표면(238)의 전방에 있다.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고정 표면(238)과, 전방의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표면(243), 및 확대된 직경의 원통형 표면(242)은 보어(230)의 리테이너 수용부(249)를 한정한다.
수형 부재(212)의 단압부(222)의 외부 직경부다 다소 더 큰 직경을 갖는 중간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7)은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표면(243)의 전방에 있다. 모서리(245)는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표면(243)과 중간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7)을 횡단한다. 모서리는 조립시에 밀봉 구성요소 및 유지 구성요소가 보어(230)에 삽입되는 것을 쉽게 한다.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환형 밀봉 부재 유지 표면(239)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7)의 내부를 향한다. 원뿔형 표면(243)은 밀봉 부재 고정 표면(239)으로부터 전방으로 수렴하고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밀봉 표면(244)과 합병된다.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표면(243)과, 모서리(245)와, 중간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7), 및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환형 밀봉 부재 유지 표면(239)은 테두리(241)를 한정하고, 테두리의 방사상 내부 원통형 표면은 원통형 표면(237)이다.
원통형 밀봉 표면(244)은 밀봉부재(218)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갖고, 원뿔형 표면(243)과 만나는 지점부터 전방으로 최전방의 방사상 환형 표면(246)까지 연장한다. 보어(230)의 밀봉 수용부(250)는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환형 밀봉부재 유지 표면(239)과, 원뿔형 표면(243)과,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밀봉 표면(244), 및 최전방의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표면(246)에 의해 한정된다.
축상의 보어(232)의 직경이 감소된 튜브 수용부(248)를 한정하는 원통형 통로(251)는 최전방의 방사상 환형 표면(246)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전방에 있다. 원 통형 통로는 수형 부재(212)의 외부 원통부(224) 위에 바짝 놓여져서 보어(230)내에서 수형 부재(212)가 동축으로 안내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원통형 통로(251)는 시스템 내의 유체를 본체 요소(214)의 내부로 전달한다.
도3을 참고하면, 밀봉 부재(218)는 커넥터 본체(214)의 보어(230)의 원통형 표면(244)와 수형 부재(212)의 외부 원통형 표면(224) 사이에 밀봉을 제공한다. 이는 원통형 표면(244)에 의해 한정되는 보어(230)의 밀봉 수용부(250)내에 스페이서나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의 전방에 갖추어진다.
밀봉 부재(218)는 자유 단부와 단압부(222)사이에서 튜브(220)의 원통형 표면(224)을 둘러싸고 원통형 밀봉 표면(244)과 수형 부재(212)의 원통부(224)사이에서 유체가 새지 않는 접합부를 제공하는 환형의 탄성중합체 O-링 이다. O-링(218)의 외부 직경은 원통형 밀봉 표면(244)의 직경부다 약간 크다. O-링(218)의 내부 직경은 수형 부재(212)의 원통부(224)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유체 시스템이 압력을 받을 때,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O-링은 이러한 표면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에 대하여 유체가 새지 않는 밀봉을 생성한다.
리테이너(216)는 도4 내지 도7에 도시되어 있다. 리테이너(216)는 제1축 단부에 원통형 링(256)을 포함한다. 링(256)은 전방을 향하는 방사상 표면(258)과, 후방을 향하는 방사상 표면(260) 및, 외부 표면(262)과 내부 원통형 표면(263)을 한정하는 직경이 감소된 원통부(261)를 갖는다. 보어(264)는 링(256)에 의해 한정된다.
네 개의 오리너구리 모양의 가요성 고정 아암(276)은 축방향으로 전방으로 그리고 링(256)의 직경이 감소된 원통부(261)로부터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한다. 네 개의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인접한 아암(276) 사이에 있는 연장된 슬롯(266)은 아암을 분리하고, 링(256)의 직경이 감소된 원통부(261)내로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슬롯(266)은 아암(276)이 직경이 감소된 원통부(261)의 영역에서 링(256)에 대해 방사상으로 휘어지게 한다.
각 아암(276)은 자유 단부에 있는 전방 접합 표면(278)과, 정상 경사면(280) 및, 직경이 감소된 원통부(261)에 연결된 부분에 인접한 후방 접합 표면(284)을 갖는다. 각각의 아암(276)은 경사 내부 표면(288)과, 자유단부에 인접한 원통형 바닥 표면(290)을 갖는다. 링(256)의 전방을 향하는 표면(258)과, 링(256)의 직경이 감소된 원통부(261) 및, 아암(276)의 후방 접합 표면(284)은 채널(265)을 한정한다. 커넥터 본체(214)의 테두리(240)의 원통형 표면(236)이 채널(265)에 위치되어 유지되고, 또한 아암(276)의 후방 접합 표면(284)이 보어(230)내에서 방사상 환형 접합 표면(238)에 접하도록, 채널(265) 및 직경이 감소된 부분(261)의 구조 및 크기가 정해진다.
스페이서나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는 도8 내지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는 제1축 단부에서 환형 링(292)을 포함한다. 링(292)은 전방을 향하는 접합 표면(294)을 갖는다. 보어(298)는 링(292)에서 한정된다. 네 개의 다리(300)는 축방향으로 후방으로 그리고 링(292)의 후방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한다. 네 개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 슬롯(302)은 각각의 인접한 다리(300) 사이에서 한정되고 링(292)의 제2축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슬롯 (302)은 다리(300)가 링(292)에 대해 방사상으로 휘어지게 한다. 각 다리(300)는 경사 정상 표면(304)과, 후방 접합 표면(308) 및, 원뿔형 바닥 표면(310)을 갖는다.
도3에 도시된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O-링(218)은 커넥터 본체(214)의 밀봉 수용부(250)내에 위치된다. 밀봉 링은 최전방의 환형 표면(246)에 인접한 원통형 밀봉 표면(244)내에 배치된다.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는 밀봉 부재(218)를 지탱하도록 커넥터 본체(214)의 밀봉 수용부(250)내에 삽입된다. 밀봉 리테이너(217)가 커넥터 본체(214)내로 축방향 전방으로 삽입될 때, 각 다리(300)의 경사 정상 표면(304)은 모서리(234)와 커넥터 본체(214)의 출입 개구(232)에서 테두리(240)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6)과 접촉한다. 밀봉 리테이너(217)를 전방으로 삽입하면 다리(300)는 원통형 표면(236)에 대해 내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휘어진다. 다리(300)가 출입 개구에서 표면(236)을 넘어간 후에, 다리(300)는 커넥터 본체(214)의 리테이너 수용부(249)내에서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튀어 나오게 된다.
계속 밀봉 리테이너(217)를 전방으로 삽입하면 각 다리(300)의 경사 정상 표면(304)은 리브(241)에 있는 중간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237) 및 모서리(245)와 접촉하게 된다. 다리(300)는 환형 링(292)에 대해 내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휘어진다. 다리(300)가 중간의 원통형 표면(237)을 넘어간 후, 다리(300)는 밀봉 수용부(250)내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튀어나와 위치되고, 다리(300)의 경사 정상 표면(304)은 커넥터 본체(214)의 원뿔형 표면(243)에 밀접하게 바짝 붙어 접촉하면서 위치되고, 다리(300)의 후방 접합 표면(308)은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밀봉부재 유지표면(239)과 접촉한다.
이 위치에서, 밀봉 리테이너(217)는 커넥터 본체(214)의 밀봉 수용부(249)내에서 방사상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억압을 받는다. 리테이너(217)의 링(292)은 원통형 밀봉 표면(244)내에 바짝 붙어 안내하거나 둘러싸면서 배치된다. 다리(300)의 경사 정상 표면(304)은 축방향 전방 이동에 대해 스페이서(217)를 고정하도록 원뿔형 표면(243)과 접한다. 다리(300)의 후방 접합 표면(308)은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환형 밀봉부재 유지표면(239)과 접하고, 밀봉 리테이너(217)가 축방향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밀봉 리테이너(217)가 커넥터 본체(214)의 밀봉 수용부(249) 내로 삽입되고, O-링(218)은 커넥터 본체(214)의 밀봉 수용부(249) 내에서 억압된다. O-링(218)의 외부 직경은 커넥터 본체(214)의 원통형 밀봉 표면(244)과 접촉하고, 커넥터 본체(214)의 원통형 밀봉 표면(244)에 대해 약간 가압된다. O-링(218)은 밀봉 리테이너(217)의 최전방 방사상 환형표면(246)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후방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도록 전방을 향하는 표면(294)에 접하게 된다.
밀봉 리테이너가 그렇게 위치되고, 유압이 밀봉 부재(218)에 가하는 축 하중은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에 전달된다. O-링(218)은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의 전방을 향하는 표면(294)에 대해 힘을 받는다. 이러한 축방향 힘에 의해 레그(300)의 방사상 후방 접합표면(308)은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밀봉부재 유지표면(239)과 접한다.
리테이너(216)는 출입 개구(232)를 통해 아암(276)의 자유 단부를 삽입하여 커넥터 본체(214)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리테이너(216)가 커넥터 본체(214)에 삽입될 때, 각각의 아암(276)의 상부 경사표면(280)은 모서리(234)와 출입 개구(232)를 한정하는 테두리(240)의 원통형 표면(236)에 접촉한다. 리테이너(216)를 축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삽입함으로써 아암(276)은 직경이 줄어든 원통부(261)에서 링(256)에 대해 축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휘어진게된다. 리테이너(216)의 아암(276)이 컨테이너 본체(214)의 리테이너 수용부(249)내로 삽입된 후, 아암(276)은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튀어 나오게 된다.
적당히 삽입된 상태로, 리테이너(216)는 커넥터 본체(214)의 테두리(240)에서 구속된다. 원통형 표면(236) 및 림(240)의 모서리(242)는 리테이너(216)의 채널(265)에 갖추어진다. 링(256)은 보어(230)의 출입 개구(232)의 외부에 위치되고, 링(256)의 전방을 향하는 표면(258)은 추가로 축방향 전방이동으로부터 리테이너(216)를 제한하기 위해 본체(214)의 외부 평면 표면(229)에 접하여 배치된다. 고정 아암(276)은 보어(230)의 리테이너 수용부(249) 내에 배치되고, 고정 아암(276)의 후방 접합 표면(284)은 리테이너(216)가 축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테이너 수용부(249) 내에서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접합 또는 고정 표면(238)에 접한다. 따라서, 리테이너(216)는 테두리(240)에서 본체(214)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밀봉 링(218)과, 밀봉 리테이너(217) 및, 커넥터 본체(214) 내로 삽입되는 리테이너(216)를 가지고, 수형 부재(212)는 유체가 새지 않는 연결을 이루도록 삽입될 수 있다. 수형 부재(212)가 출입 개구(232)를 통과하여 축방향 내부로 삽입 될 때 수형 부재(212)의 자유 단부는 리테이너(216)의 보어(264)와,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의 내부 보어(298) 및, 환형 밀봉 부재(218)의 내부 보어 안으로 통과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튜브(220)의 원통형 표면(224)을 둘러싼다. 수형 부재(212)의 단압부(222)는 아암(276)의 바닥 경사 표면(288)과 접촉한다. 단압부(222)의 직경은 바닥 경사 표면(288) 부분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수형 부재(212)를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삽입하면 아암(276)은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서 펼쳐진다. 단압부(222)가 아암(276)을 넘어가도록 수형 부재(212)가 축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충분히 삽입되면, 아암(276)은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튄다. 튜브(220)의 자유 단부는 이때 본체(214)의 튜브 수용부(251)의 통로(252) 내부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안내된다.
이렇게 조립될 때, 완전한 유체 커플링은 튜브(220)와 요소 본체(216)의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은 고압 장치에서 적합하며, 심지어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과 같이 시스템 내에 높은 유체 압력이 있어도, 심지어는 시스템 내의 주기적인 압력 변동에 대항해서도 유체의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시스템 커플링 조립체는 적어도 화씨 257도에서 제공 인치당 5,000 파운드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제곱 인치당 11,000 파운드만큼의 유압을 억누를 수 있어야 한다.
도7을 참고하면, 완성된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는 리테이너(216)를 커넥터 본체(214)에 연결함으로써 유지된다. 전방 접합 표면(278)은 수형 부재(212)의 단압부(222)의 후방 방사상 표면(223)과 접하고, 후방 접합 표면(284)은 본체(216)의 보어(232)의 리테이너 수용부(249) 내에서 방사상의 환형 고정 표면(238)과 접하도록, 리테이너 고정 아암(276)이 위치된다. 각 고정 아암(276)의 바닥 원통형 표면(290)은 수형 부재(212)의 원통형 표면(224)에 안착한다.
밀봉 수용부(250) 내의 O-링 밀봉(218)은 수형 부재(212)의 원통형 표면(224)을 둘러싼다. O-링(218)의 내부 직경은 수형 부재(212)의 원통형 표면(224)에 대해 밀봉하고, O-링(218)의 외부 직경은 본체(214)의 원통형 밀봉 표면(244)에 대항하여 밀봉한다.
유압 시스템 내의 초기 압력은 보어(230) 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출입 개구(232)를 향해 후방으로 힘을 가한다. O-링 밀봉 부재(218)에 가해지는 축방향 힘은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에 의해 커넥터 본체(214)에 전달된다. O-링(128)에서의 축방향 힘은 밀봉 부재 리테이너(217)의 링(292)의 전방을 향하는 접합 표면(294)에 전달된다. 이러한 하중은 다리(300)의 후방 접합 표면(308)에 의해 방사상으로 향하는 밀봉 부재 유지 표면(239)으로 전달된다.
또한 시스템의 가압은 튜브(220)에 축방향 힘을 전가하여 출입 개구(232) 밖으로 후방을 향해 힘을 가한다. 이러한 축방향 하중은 또한 튜브(220)의 단압부(222)에 의해 리테이너(216)의 고정 아암(278)에 전달된다.
잘 알려진 것처럼 튜브(220)의 분리는 튜브(220)의 원통형 표면(225)을 따라 삽입된 적절한 해제 도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도구는 튜브(220)의 단압부(22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외부 표면으로 된 환형 모양을 갖는다. 환형 부재를 튜브 표면(225)를 따라 리테이너(216)의 보어(264)에 삽입함 으로써 고정 아암(276)은 보어(230)의 리테이너 수용부(249) 내에서 외부를 향해 변형된다. 아암(276)이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충분히 변형되면, 튜브(220)는 물러날 수 있고, 단압부(222)는 리테이너(216)와의 연결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후방으로 지나간다.
리테이너(216)와 밀봉 리테이너(217)는 예를 들어 PEEK로 알려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과 같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PEEK는 빅트렉스 피크 450G (Victrex PEEKTM 450G)와 같은 상표로 시중에서 구할 수 있다.
이제 도12 내지 도14로 돌아가면,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유체 커플링 조립체(410)는 본질적으로 도1 내지 도1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는 유체 시스템의 요소인 중공 커넥터 본체(414)를 포함한다. 본체는 이전 실시예의 커넥터 본체(214)의 보어(230)와 동일한 중공 보어를 포함한다.
단압부(422)를 갖는 튜브에 의해 한정되는 수형 부재(412)는 이전 실시예의 리테이너(216)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리테이너(416)에 의해 본체(414)의 보어 내에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된다.
O-링(418)의 형태인 밀봉 부재는 본체(414)의 보어 내의 밀봉 표면과 수형 부재(412)의 외부 원통형 표면 사이에서 유체가 새지 않도록 한다.
밀봉 부재 리테이너(417)는 본체(414)의 보어 내에 O-링 밀봉을 유지시킨다. 이것은 O-링(418)을 유지시키도록 본체(414)의 보어 내에서 방사상 환형 표면과 접하는 후방 접합 표면을 한정하는 4개의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진 후방 및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는 다리와, 방사상으로 전방을 향하는 환형 접합 표면(494)을 갖는, 링(492)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페이서(415)는 밀봉 부재 리테이너(417)의 링(492)의 방사상으로 전방을 향하는 환형 접합 표면(494)와 밀봉 부재(418) 사이에 놓인다. 도13 및 도14에 가장 잘 나타난 것처럼, 스페이서(415)는 보통 직사각형의 단면인 환형 링이다. 이것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TE) 또는 테프론(Teflon, 듀퐁(DuPont)사의 등록상표임)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테프론 재료에 약 13퍼센트의 흑연이 채워질 수 있다. 이것은 전방을 향하는 환형 표면(453)과 후방을 향하는 환형 표면(454)을 갖는다. 표면(453)은 O-링(418)에 대해 방사상 시트 표면을 한정한다. 유압이 시스템 내에 존재할 때, O-링은 전방을 향하는 환형 표면(453)에 대해 힘을 받는다. 후방을 향하는 환형 표면(454)은 밀봉 부재 리테이너(417)의 링(492)의 전방을 향하는 접합 표면(494)에 대해 접하는 방사상 접합 표면이다. 이러한 축방향 하중은 밀봉 부재 리테이너(417)의 다리에 의해 본체(414)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기술되었다. 아래의 청구항에 의해 대표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예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47)

  1. 방사상으로 내부로 연장하는 테두리에 의해 한정되는 출입구 개구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어를 한정하고, 방사상으로 내부로 연장하는 환형 리브를 상기 테두리의 축방향 전방에 있는 상기 보어 내에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와 상기 리브 사이에서 리테이너 수용부를 한정하고, 원통형 표면은 상기 리브 앞에 있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되고, 복수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암은 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접합 표면은 상기 테두리와 접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보어내의 상기 원통형 밀봉 표면과 접촉하는 상기 보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환형 리브의 축방향 전방에 위치된,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리브 사이에서 상기 보어내에 배치된 별개의 밀봉 부재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복수의 축방향 연장 다리를 포함하고, 각각의 밀봉 부재 리테이너가 상기 환형 리브와 접촉하는 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다 리는 상기 링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그리고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링의 상기 전방 접합 표면과 접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리브는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밀봉부재 유지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리브는 상기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밀봉부재 유지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원통형 밀봉 표면과 만나는 원뿔형 표면을 추가로 한정하고,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의 상기 다리는 바짝 붙어 상기 원뿔형 표면 쪽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후방 접합 표면은 상기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밀봉부재 유지표면과 접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원통형 밀봉 표면은 바짝 붙어 안내하면서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의 상기 링을 둘러싸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리브는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밀봉부재 유지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리브는 상기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밀봉부재 유지표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하고 상기 원통형 밀봉 표면과 만나는 원뿔형 표면을 추가로 한정하고,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의 상기 다리는 바짝 붙어 상기 원뿔형 표면 쪽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후방 접합 표면은 상기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밀봉부재 유지표면과 접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원통형 밀봉 표면은 바짝 붙어 안내하면서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링을 둘러싸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O-링인, 유체 커플링 조립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O-링인, 유체 커플링 조립체.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O-링인, 유체 커플링 조립체.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O-링인, 유체 커플링 조립체.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O-링인, 유체 커플링 조립체.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O-링인, 유체 커플링 조립체.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O-링인, 유체 커플링 조립체.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O-링인, 유체 커플링 조립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링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하고, 상기 링의 일부는 상기 출입 개구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커플링 조립체는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 사이에 배치된 테프론으로 제조된 링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커플링 조립체는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의 상기 링의 전방 접합 표면 사이에 배치된 테프론으로 제조된 링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커플링 조립체는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과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방사상으로 향하는 단압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리테이너의 아암은 각각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상기 자유 단부와 상기 단압부의 중간에서 상기 튜브의 상기 원통형 표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된, 유체 커플링 조립체.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커플링 조립체는 상기 보어에 배치된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과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방사상으로 향하는 단압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리테이너의 아암은 각각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상기 자유 단부와 상기 단압부의 중간에서 상기 튜브의 상기 원통형 표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된, 유체 커플링 조립체.
  2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커플링 조립체는 상기 보어에 배치된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과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방사상으로 향하는 단압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리테이너의 아암은 각각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상기 자유 단부와 상기 단압부의 중간에서 상기 튜브의 상기 원통형 표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된, 유체 커플링 조립체.
  2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커플링 조립체는 상기 보어에 배치된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과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방사상으로 향하는 단압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리테이너의 아암은 각각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상기 자유 단부와 상기 단압부의 중간에서 상기 튜브의 상기 원통형 표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된, 유체 커플링 조립체.
  2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커플링 조립체는 상기 보어에 배치된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과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방사상으로 향하는 단압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리테이너의 아암은 각각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상기 자유 단부와 상기 단압부의 중간에서 상기 튜브의 상기 원통형 표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된, 유체 커플링 조립체.
  3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커플링 조립체는 상기 보어에 배치된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과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방사상으로 향하는 단압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리테이너의 아암은 각각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상기 자유 단부와 상기 단압부의 중간에서 상기 튜브의 상기 원통형 표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된, 유체 커플링 조립체.
  3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커플링 조립체는 상기 보어에 배치된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과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방사상으로 향하는 단압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리테이너의 아암은 각각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상기 자유 단부와 상기 단압부의 중간에서 상기 튜브의 상기 원통형 표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된, 유체 커플링 조립체.
  3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커플링 조립체는 상기 보어에 배치된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표면과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방사상으로 향하는 단압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리테이너의 아암은 각각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상기 자유 단부와 상기 단압부의 중간에서 상기 튜브의 상기 원통형 표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된, 유체 커플링 조립체.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형성된, 유체 커플링 조립체.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 리테이너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형성된, 유체 커플링 조립체.
  38. 출입 개구를 한정하는 테두리를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튜브 수용 보어를 한정하고, 상기 보어는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내에서 상기 출입 개구의 전방에 있는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고정 표면을 포함하는 테두리와 리테이너 수용부를 추가로 한정하는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출입 개구에서 상기 보어 외부에 일부를 갖고 상기 보어의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 내에 일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에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되고, 상기 보어의 상기 리테이너 수용부 내에서 상기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고정 표면에 접하면서 후방 접합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복수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각각 상기 방사상으로 향하는 환형 고정 표면에 접하는 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전방을 향하는 방사상 표면을 한정하는 원통형 링과 직경이 감소된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아암은 슬롯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직경이 감소된 원통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아암 사이의 상기 슬롯은 상기 직경이 감소된 원통부 내로 연장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을 향하는 방사상 표면과, 상기 링의 상기 직경이 감소된 원통부 및, 상기 고정 아암의 상기 후방 접합 표면은 채널을 한정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테두리는 상기 채널 내에 배치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43. 제38항에 있어서, 중공 튜브가 상기 본체의 상기 보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방사상 단압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고정 아암은 상기 튜브의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44. 제39항에 있어서, 중공 튜브가 상기 본체의 상기 보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방사상 단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아암은 각각 상기 튜브의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45. 제40항에 있어서, 중공 튜브가 상기 본체의 상기 보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방사상 단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 정 아암은 각각 상기 튜브의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46. 제41항에 있어서, 중공 튜브가 상기 본체의 상기 보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방사상 단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아암은 각각 상기 튜브의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47. 제42항에 있어서, 중공 튜브가 상기 본체의 상기 보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는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방사상 단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아암은 각각 상기 튜브의 상기 단압부와 접하는 전방 접합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KR1020050085321A 2004-09-13 2005-09-13 고압 장치용 신속 커넥터 KR101289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939904P 2004-09-13 2004-09-13
US60/609,399 2004-09-13
US11/218,666 2005-09-02
US11/218,666 US7488005B2 (en) 2004-09-13 2005-09-02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260A true KR20060051260A (ko) 2006-05-19
KR101289996B1 KR101289996B1 (ko) 2013-07-30

Family

ID=3544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321A KR101289996B1 (ko) 2004-09-13 2005-09-13 고압 장치용 신속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88005B2 (ko)
EP (1) EP1635104B1 (ko)
JP (1) JP4746388B2 (ko)
KR (1) KR101289996B1 (ko)
AT (1) ATE378545T1 (ko)
BR (1) BRPI0503822A (ko)
DE (1) DE602005003285T2 (ko)
ES (1) ES2297608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2140A (ko) * 2008-05-23 2009-11-26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고압용 신속 커넥터
KR101462680B1 (ko) * 2006-10-06 2014-11-17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급속 커넥터 커플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2931B2 (en) * 2004-09-13 2009-01-06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Coupling assembly for tubing and hose connections
US7971912B2 (en) * 2005-04-07 2011-07-05 Sanoh Kogyo Kabushiki Kaisha Quick connector
US7581760B2 (en) * 2006-05-31 2009-09-01 Yh America, Inc. Hose coupling endform for fluid transfer assemblies
US8939470B2 (en) * 2007-03-20 2015-01-27 Stephen H. Gunderson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US20090278347A1 (en) * 2008-05-08 2009-11-12 Jim Kerin Quick connector, release tool, and method therefor
US8282139B2 (en) * 2009-03-02 2012-10-09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with seal assembly retainer
US8870923B2 (en) * 2009-11-06 2014-10-28 Marc E. Richelsoph Rod to rod connector with load sharing
KR102636742B1 (ko) * 2016-12-27 2024-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유압튜브 커넥터
KR101839476B1 (ko) 2017-10-19 2018-03-16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엔진과 토크 컨버터의 연결장치
WO2023249656A1 (en) 2022-06-22 2023-12-28 Oetiker Ny, Inc. Retainer assembly for engaging a tube endform within a quick connec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2811A (en) * 1937-09-14 1942-02-10 Goodrich Co B F Sealing structure
US5067754A (en) * 1980-10-29 1991-11-26 Prop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4948175A (en) * 1980-10-29 1990-08-14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4681351A (en) * 1982-03-22 1987-07-21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JPS6057092A (ja) * 1983-09-05 1985-04-02 豊田合成株式会社 ホ−ス継手
US4926217A (en) * 1986-08-11 1990-05-15 Xerox Corporation Particle transport
US4846506A (en) * 1987-09-04 1989-07-11 U.S. Plastic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4948176A (en) * 1987-09-14 1990-08-14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5044675A (en) * 1988-05-04 1991-09-03 Rasmussen Gmbh Hose coupling
US4925217A (en) * 1988-10-24 1990-05-15 Huron Products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visual checking method
JP2767619B2 (ja) * 1989-08-23 1998-06-18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端部相互のコネクター
DE3933589A1 (de) * 1989-10-07 1991-04-18 Rasmussen Gmbh Schlauchkupplung
JP2530220Y2 (ja) 1990-01-10 1997-03-26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195787A (en) * 1990-01-16 1993-03-23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with heavy-duty retainer
US5626371A (en) * 1990-01-16 1997-05-06 Bartholomew; Donald D. Quick connector with one-piece retainer
JP3059184B2 (ja) 1990-01-20 2000-07-0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219188A (en) * 1991-01-09 1993-06-15 Sanoh Kogyo Kabushiki Kaish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incomplete connection of pipes
US5423577A (en) * 1992-01-17 1995-06-13 Bundy Corporation Tubing connector
JP2769763B2 (ja) * 1993-01-28 1998-06-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2777767B2 (ja) * 1992-03-25 1998-07-2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EP0566889B1 (en) 1992-03-25 1997-07-09 Tokai Rubber Industries, Ltd. Quick connector
US5542717A (en) * 1994-01-03 1996-08-06 Form Rite,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5573279A (en) * 1994-01-03 1996-11-12 Form Rite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DE19516096C1 (de) * 1995-05-03 1996-11-14 Trinova Aeroquip Gmbh Schnellkupplung, insbesondere für Kältemittelleitungen
US5730475A (en) * 1995-10-13 1998-03-24 Form Rite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with collet retainer
DE19540784A1 (de) * 1995-11-02 1997-05-07 Raymond A Gmbh & Co Kg Lösbare Steckverbindung zur Aufnahme eines rohrförmigen Einsteckteils
JPH09217878A (ja) * 1996-02-13 1997-08-19 Usui Internatl Ind Co Ltd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MX9701887A (es) * 1996-03-13 1998-04-30 Hitachi Cable Inc Empalme de manguera, material de preforma intermedio para elaborar el mismo empalme, y montaje de manguera que lo utiliza.
JP2880453B2 (ja) * 1996-06-07 1999-04-12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装置のリテーナ
US6079750A (en) * 1996-09-18 2000-06-27 Dana Corporation Integrated hose body quick connects
US5897145A (en) * 1996-12-05 1999-04-2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onnector
US5931510A (en) * 1997-06-17 1999-08-03 Teleflex Incorporated Hose end fitting assembly
FR2766253B1 (fr) * 1997-07-21 1999-10-08 Caillau Ets Dispositif de connexion entre un tube et un tuyau souple procede pour fabriquer un tel dispositif
JP3319712B2 (ja) * 1997-11-14 2002-09-03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の雌部材
DE19822574C1 (de) * 1998-05-20 1999-10-14 Raymond A & Cie Lösbare Schnellkupplung mit automatischer Montageanzeige
JP4233148B2 (ja) * 1998-06-05 2009-03-0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樹脂製の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JP3674390B2 (ja) * 1998-07-09 2005-07-2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ィックコネクターカップリング及び雌ハウジング
DE19831897C2 (de) * 1998-07-16 2000-07-0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JP3422722B2 (ja) * 1999-04-27 2003-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配管用クイックコネクタ
JP2001050456A (ja) * 1999-08-02 2001-02-23 Usui Internatl Ind Co Ltd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6550815B2 (en) * 2001-08-14 2003-04-2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oaxial quick connector
JP3990558B2 (ja) * 2001-10-31 2007-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配管ジョイント構造
DE20201574U1 (de) * 2002-02-02 2003-06-18 Voss Automotive Gmbh Aufnahmeteil einer Fluid-Steckkupplung
US6880587B1 (en) * 2002-02-23 2005-04-19 Precision Thermoplastic Components, Inc. Refrigerant material transfer device and method
JP4000884B2 (ja) * 2002-03-29 2007-10-31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6857667B2 (en) * 2002-06-25 2005-02-2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igh pressure fluid quick connect
DE20213961U1 (de) * 2002-09-09 2004-02-12 Voss Automotive Gmbh Aufnahmeteil einer Fluid-Steckkupplung
JP2004239412A (ja) 2003-02-07 2004-08-26 Tokai Rubber Ind Ltd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及び樹脂チューブの接続方法
JP2005282835A (ja) * 2004-03-31 2005-10-13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680B1 (ko) * 2006-10-06 2014-11-17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급속 커넥터 커플링
KR20090122140A (ko) * 2008-05-23 2009-11-26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고압용 신속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82149A1 (en) 2006-04-20
US7488005B2 (en) 2009-02-10
DE602005003285D1 (de) 2007-12-27
DE602005003285T2 (de) 2008-02-28
ES2297608T3 (es) 2008-05-01
KR101289996B1 (ko) 2013-07-30
JP4746388B2 (ja) 2011-08-10
EP1635104B1 (en) 2007-11-14
JP2006084026A (ja) 2006-03-30
ATE378545T1 (de) 2007-11-15
EP1635104A1 (en) 2006-03-15
BRPI0503822A (pt) 200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996B1 (ko) 고압 장치용 신속 커넥터
JP5345446B2 (ja) 高圧用途用クイックコネクタ
US8282139B2 (en) Quick connector with seal assembly retainer
KR101088199B1 (ko) 고압력 적용가능 급속 커넥터
KR101227251B1 (ko) 급속 커넥터
US20080100062A1 (en) Coupling Device
JP3410443B2 (ja) パイプの端部を部材に接続するための接続装置
CA2169153C (e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JP5289804B2 (ja) 高圧用のクイックコネクタ
JP5025091B2 (ja) 急速継手用の補助ラッチ/確認機構
EP1099895B1 (en) Connector
US4697832A (en) Snap lock connector
EP1098127A1 (en) Insertion verifier dust cap
US7472931B2 (en) Coupling assembly for tubing and hose connections
CZ20022034A3 (cs) Hydraulická spojka
US20070052232A1 (en)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assembly tool and method
CN100588866C (zh) 用于高压应用场合的快速连接器
EP1865245A1 (en)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EP1653143A1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adapter
GB2360073A (en) A tube coupling with ultrasonically welded plastics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