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251B1 - 급속 커넥터 - Google Patents

급속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251B1
KR101227251B1 KR1020060060932A KR20060060932A KR101227251B1 KR 101227251 B1 KR101227251 B1 KR 101227251B1 KR 1020060060932 A KR1020060060932 A KR 1020060060932A KR 20060060932 A KR20060060932 A KR 20060060932A KR 101227251 B1 KR101227251 B1 KR 101227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locking
face
protective cap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692A (ko
Inventor
스테픈 에이치. 군더슨
Original Assignee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174,262 external-priority patent/US7467813B2/en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0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원의 유동체 연결 조립체는, 유입부 구멍에서부터 축선방향 전방으로 연장된 구멍을 형성한 커넥터 몸체와, 전도부를 가진 관형상 수 부재와, 밀봉부재, 및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리테이너는 구멍 내부에 수용되고 그리고 록킹부재를 구비하여 관을 해제가능하게 유지한다. 리테이너는 전방 연장부를 구비하여 유체 압력에 대항하여 밀봉부를 지지한다. 리테이너와 밀봉부는 커넥터 몸체의 구멍 안으로 수 부재를 삽입하기 전에 수 부재에 적용된다. 2개의 록킹부재는 반경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부를 구비하여, 다른 록킹부재의 록킹 아암에 의한 접촉에 앞서 순차적으로 유입부 구멍을 형성한 몸체 부분과 접한다. 제거식 보호 캡은 리테이너와 부착하고 그리고 관에 밀봉되며 그리고 조립에 앞서 상기 성분들을 덮는다. 리테이너, 밀봉부재 및 보호 캡은, 상기 밀봉이 보호 캡 내부에 주어지지 않으면, 관의 단부에 조립되지 않는다.
리테이너, 록킹 아암, 보호 캡, 밀봉, 커넥터, 유동체 연결, 편향 면.

Description

급속 커넥터{QUICK CONNECTOR}
도1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실시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2-2선을 따라 절취된 암 커넥터 몸체의 측부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설명된 유동체 연결 조립체의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설명된 리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도5는 도4의 5-5선을 따라 절취된 리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의 6-6선을 따라 절취된 리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7은 부분 조립된 상태로, 도1의 연결 커넥터의 부분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8은 완전 조립된 상태로, 도1에 설명된 유동체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기본을 설명하는 보호 캡, 상관 밀봉, 리테이너 및 수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된 보호 캡의 측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 도시된 보호 캡의 정면도이다.
도12는 도10에 도시된 보호 캡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3은 도10의 13-13선을 따라 절취된 보호 캡의 단면도이다.
도14는 밀봉부와 리테이너가 사전-조립된 부-조립체를 형성하는 도9의 커넥터 캡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15는 커넥터 연결 조립체의 수 부재에 부분적으로 설치된 도14에 설명된 커넥터 캡 부-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16은 커넥터 연결 조립체의 수 부재에 완전 설치된 도14에 설명된 커넥터 캡 부-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17은 비정상 상태를 설명하는 도9의 커넥터 캡 부-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동체 연결 조립체 12: 수 부재 14: 암 커넥터 몸체
16: 리테이너 18: 밀봉부재(0-링) 20: 경성 관
22: 전도부(upset) 26: 구멍 54: 링
66, 68: 록킹부재 74: 칼럼 76: 연결 빔
80: 록킹 아암 132: 보호 캡 134: 슬리브
154: 고정 클립 158: 작동기 160: 후크
본원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공 암 커넥터 몸체 내부에 관의 단부에 형성된 수 부재를 탈착식으로 연결시키는 급속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및 그외 다른 분야에서, 급속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2개 성분 또는 도관 사이에 유동체 연결부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연결 조립체의 일 타입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암 커넥터 몸체에 수용 유지되는 수 부재를 포함한다. 급속 커넥터의 사용은, 유체 라인을 밀봉 고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로 하고 설치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리테이너는 커넥터 몸체 내부에 수 부재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일 타입의 리테이너는 복수개의 록킹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재는 커넥터 몸체에 형성된 환형상 면과 수 부재에 형성된 반경방향 확장 전도부 사이로 연장된 록킹 아암을 가진다. 일 단부에서의 수 부재의 전도부와의 록킹 아암의 접합부와, 타 단부에서의 커넥터 몸체의 환형상 면은, 커넥터 몸체로부터 수 부재가 퇴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타입의 리테이너가 당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많은 유체 라인의 적용에서 그 유효성이 입증되어져 있다. 상기 기술의 예로는 미국특허 5,161,832호, 5,324,082호, 5,626,371호, 및 5,628,531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상술된 타입의 리테이너는 일반적으로 록킹부재가 일체적으로 성형된 환형상 링 형태의 몸체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리테이너 조립체는 커넥터 몸체에 형성된 구멍 안으로 리테이너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삽입 단계를 이행하는 동안에, 록킹부재가 커넥터 몸체의 구멍 안으로의 유입구를 형성하는 구멍을 통해 끼워지도록, 록킹부재 및/또는 록킹 아암이 리테이너 몸체에 대해 반경 내부방향으로 굽혀져야 한다.
높은 압력를 가하여 결합되는 이러한 형태의 급속 커넥터의 발전은, 커넥터 몸체의 구멍 내부에 설치 위치를 만드는 일을 더욱 어렵게 하는 일층 튼튼한 리테이너 구조가 되게 하였다. 상기 곤란함은 리테이너가 커넥터 몸체의 구멍 안으로 삽입하기에 앞서 상관 수 부재 또는 관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더욱 복잡하게 되어, 현재, 일부 급속 커넥터를 적용하는 기술분야에서 이러한 문제를 심사 숙고하게 되었다. 커넥터 몸체 내부 구조가 파워 스티어링 펌프, 브레이크 실린더 또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성분과 같은 유동 시스템 성분에 속해 있는 적용물에 급속 커넥터를 활용하면서 상기 과정을 예상할 수 있다.
상기 적용물용으로 적합한 급속 커넥터의 발전으로, 몸체 구멍 안으로의 유입부와 관형부재와의 사이에 제한된 환형상 공간 때문에, 록킹부재의 반경방향 이동이 때때로 인접 록킹부재 간의 접촉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됨이 발견되어져 있다. 상기 상태에서의 과도한 힘의 적용은 록킹부재에 손상을 끼치며, 리테이너의 일체성과 생성된 유동체 연결을 위태롭게 한다. 따라서, 관련 관 또는 수 부재가 장착되면서 상관 커넥터 몸체에 신뢰성 있게 조립될 수 있는 리테이너 구조를 가진 급속 커넥터 연결 조립체를 제공할 필요가 인식되었다. 그러한 리테이너는 록킹부재 및/또는 록킹 아암이, 커넥터 몸체 안으로 리테이너와 수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동안에 반경 내부방향으로 충분히 굽어져, 록킹부재의 구조 일체성을 손상하지 않고 유입 구멍을 통해 지나가게 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1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유동체 연결장치는 수 부재(12), 암 커넥터 몸체(14), 커넥터 몸체(14) 내부에 수 부재(12)를 고정하는 리테이너(16), 및 밀봉부재(18)를 포함한다.
수 부재(12)는 자유 단부(21)를 가진 중공의 경성 관(20)이다. 수 부재(12)와 관련하여, '전방'용어는 자유단부(2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그리고 '후방'용어는 자유단부(2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수 부재(12)는 관(20)의 자유단부(21)로부터 임의 거리에 떨어져 형성된 후방 대향 면(23)을 가진 반경방향 확장 환형상 전도부(22)를 구비한다. 수 부재(12)는 또한, 자유단부(21)와 전도부(22)사이에 관(20)의 외부 면에 의해 형성된 원통부분(21)을 구비한다. 관(20)의 외부 면에 의해 형성된 원통부분(25)은 또한 전도부(22) 넘어로 이어진다. 원통부분은 나일론 또는 그외 다른 중합성 보호 피복작업으로 피복된다. 상기 코팅은 자유단부(21)에서 원통부분(24)으로부터 전도부(22)의 후방 면(23)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암 커넥터 몸체(14)는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성분이 될 수 있다. 그외 가능한 성분으로는 브레이크 시스템, 트랜스미션 오일 쿨러 시스템, 난방 및 냉방 시스템, 또는 방출식 유체 기밀한 연결이 필요한 곳에 있는 유체 시스템이 있다.
도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 몸체(14)는 몸체(12)의 평탄 벽(34)과 구멍(26)의 교차점에 유입구 구멍(26)으로부터 축선 내부방향으로 연장된 축선방향 구멍(26)을 형성한다. 구멍(26)은 중심선(27)을 중심으로 대칭인 것이다. 구멍(26)은 리테이너와 밀봉부재 수용부분(30)과 관 안내부분(32)으로 분할된다. 동축 통로(33)는 관 안내부분(32)으로부터 몸체(14)의 실내로 이어진다.
커넥터 몸체(14)에 대해서 설명하면, '전방'용어는 유입부 구멍(28)으로부터 통로(33)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그리고 '후방'용어는 통로(33)로부터 유입부 구멍(28)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내부' 또는 '내부방향'용어는 중앙선(26)을 향하는 반경방향을 의미하며 그리고 '외부' 또는 '외부방향'용어는 중앙선(27)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방향을 의미한다.
유입부 구멍(28)은 구멍(26) 내부에 배치된 수 부재(12)와 리테이너(16)가 통과하여야 하는 축선방향 원통면(36)에 의해 한정된다. 깎임 면(40)은 몸체(14)의 평탄 벽(34)과 축선방향 연장 원통 면(36)을 교차하여, 커넥터 몸체(14) 안으로 리테이너(16)가 용이하게 삽입되게 한다. 축선방향 연장 원통 면(36)의 전방에는, 구멍(26)의 밀봉부재 수용부분(30)과 리테이너 내의 반경방향 환형상 접합 면(38)이 있다. 상기 면(38)은, 차례로 수 부재(12)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멍(26) 내부에 리테이너를 유지하는 접합 록킹 면의 역활을 한다.
원통 면(36)의 축선방향 전방에는, 축선방향 원통 면(36)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진 원통 면(44)까지 깎임 면(43)을 따라 이어진 확장된 직경의 원통 면(42)이 있다. 원통 면(44)은, 환형 반경 면(50)에서 종결된 원통형 밀봉 면(48)에 연결된 깎임 면(46)을 따라 이어진 반경 내부방향 환형상 단차부(45)에서 끝난다. 환형 반경 면(38), 확장 직경의 원통 면(42), 깎임 면(46), 원통 면(44), 내부 반경방향 환형상 단차부(45), 깎임 면(46), 원통형 밀봉 면(48), 및 환형상 반경 면(50)은 축선방향 구멍(26)의 리테이너와 밀봉부재 수용부분(30)을 형성한다.
환형상 면(50)으로부터 축선 내부방향으로는, 축선방향 구멍(26)의 수 부재 안내부분(32)을 형성하는 원통 면(50)이 있다. 안내부분은, 구멍(26) 안으로 수 부재(12)를 동축으로 안내하도록 수 부재(12)의 외부 원통부분(24) 위에 긴밀하게 가로 놓여지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3 내지 도6은 리테이너 성분(16)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리테이너(16)는 리테이너 및 밀봉부재 수용부분(32)에 있는 구멍(26)에 동축선 상에 배치되게 있는 환형상 요소이다. 리테이너는 전방 대향 방사 면(56)과 후방 대향 방사 면(58)을 가진 환형상 링(54)을 형성한 몸체 부분을 구비한다. 리테이너(16)에 대해서, 전방과 후방 용어는 커넥터 몸체(14)에서 언급되어진 용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이다. 즉, 몸체(14)의 구멍(26)에 설치된 리테이너(16)에서, 전방 대향 면(56)은 통로(33) 쪽으로 대면하고 그리고 후방 대향 면(58)은 유입부 구멍(28) 쪽으로 대면한다. 유사하게, 내부 및 외부 용어는 상기 용어가 커넥터 몸체(14), 구멍(26), 및 중앙선(27)과 관련하여 사용된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리테이너(16)의 링(54)은 구멍(26)의 원통 면(44) 내부에 끼워지는 크기의 외부 원통 면(55)을 갖는다. 깎임 면(57)은 리테이너가 구멍(26)에 위치하게 되면 구멍(26)에 있는 깎임 면(46)과 대면하게 배열 된다.
환형상 연장부(62)는 링(54)으로부터 축선 전방으로 연장된다. 연장부(62)의 외부 원통 면(63)은 원통 밀봉 면(48)과 상관하여 긴밀하게 이격져 안내를 받아 끼워지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리테이너(16)가 커넥터 몸체(14)의 구멍(26)에 조립되면, 환형상 연장부(62)가 원통형 밀봉 면(48)에 의해 형성된 부분에 있으며, 밀봉부(18)와 서로 작용하여 유체 기밀한 밀봉부를 제공한다.
구멍(60)은 링(54)과 연장부(62)에 형성된다. 구멍은, 수 부재(12)를 한정하는 관(20)의 원통부분(24)을 에워싸는 크기이다.
상술된 리테이너(16)는 2개의 제1록킹부재(66)와 2개의 제2록킹부재(68)를 구비한다. 록킹부재(66)와 록킹부재(68)는 환형상 링(54)에서 멀어지는 축선 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록킹부재(66)와 록킹부재(68)는, 록킹부재(68)가 후술되는 경사면(116)에 형성된 편향(偏向) 면을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재(66)와 상기 부재(68)는 서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고 있으며, 교차식으로 록킹부재(66)와 록킹부재(68)를 배치하여 형성된다. 경사면(116)으로 록킹부재(66)와 록킹부재(68) 사이를 교차시킨 목적에 대해서는 후술 된다.
록킹부재(66, 68)는 링(54)으로부터 외팔보로 이루어져, 후방 대향 면(58)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된다. 축선방향 연장 신장 슬롯(72)은 각각 인접한 록킹부재(66, 68) 사이에 형성된다. 슬롯(72)은 요소가 몸체(14)의 구멍(26)에 조립되는 동안에 반경 내부방향으로 굽어져서 록킹부재(66, 68)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경사 외부 면(84)과 제2경사 외부 면(86)은, 전방 접합 면(82)에서 후방 접합 면(88)으로 갈라지는 록킹 아암(80)의 단속적인 대략 원추형의 외부 연장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록킹부재(66, 68)는 환형상 링(54)의 후방 대향 방사 면(58)에서 연장된 2개의 상당히 얇은 축선방향 신장 칼럼(74)을 구비한다. 상기 칼럼은 리테이너(16)가 수 부재(12)에 조립할 때에 반경 내부방향으로 록킹부재(66, 68)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굽어진다.
각각의 록킹부재(66, 68)의 칼럼(74)은 각각의 록킹부재의 후방 축선방향 단부(70)를 형성하는 후방 연결 빔(76)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빔(76)은 구멍(26)의 축선방향 원통 면(36)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외부 면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 빔은 내부 곡선 면(78)을 구비하고, 상기 곡선 면은 리테이너 구멍(6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관(20)의 원통부분(25)에 이격 상관 관계를 제공하여 조립을 하는 중에 면(25)을 향하는 반경 내부방향으로 연결 빔(76)이 이동하게 한다.
각각의 록킹부재(66, 68)의 후방 연결 빔(76), 링(54), 및 2개 칼럼(74)은 윈도우(79)를 형성한다. 각각의 록킹부재(66, 68)는 2개 칼럼(74) 사이에 연결 빔(76)에서 윈도우(79)에서 축선 전방으로 연장된 오리부리모양 록킹 아암(80)을 부가로 구비한다. 오리부리모양 록킹 아암(80)은 슬롯(77)에 의해 칼럼(74)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각 록킹 아암(80)은 연결 빔(76)에 있는 록킹부재(66 또는 68)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수 부재(12)에 장착될 때 유입부 구멍(28)을 통해 리테이너(14)를 삽입하는 동안에 후방 연결 빔(76)에 대한 연결부에서의 록킹 아암(80)이 굽어지게 하거나 상대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당히 길고 얇은 칼럼(74)은 필요한 유연성을 제공하여 유입부 구멍(28)을 통한 삽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각각의 록킹 아암(80)은 그 전방 단부에서 전방 접합 면(82)과, 후방 접합 면(88)으로 인도하는, 제1경사 외부 면(84)과, 제2경사 외부 면(86)을 구비한다. 후방 접합 면(88)은 각각의 록킹 아암(80)에서 후방 연결 빔(76)으로 반경 외부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록킹 아암(80)은, 몸체(14) 안에 리테이너(16)와 수 부재(12)를 설치한 상태에서, 각 록킹 아암(80)의 전방 접합 면(82)이 전도부(22)의 후방 대향 면(23)과 대면하거나 접하고 그리고 각 록킹 아암(80)의 후방 접합 면(88)이 몸체(14)의 구멍(26) 내부에 환형상 방사 면(38)과 대면하거나 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록킹 아암(80)은 커넥터 몸체(14) 내부에 수 부재(12)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한다. 각 록킹 아암(80)의 내부 원통 면(94)은 전방 접합 면(82)으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내부 원통 면은 관(20)의 원통부분(25)과 동일한 직경 주위에 형성되고 그리고 전도부(22)의 후방향으로 관(20)의 외부 원통부분(25)에 놓여진다.
몸체(14)에 있는 환형 방사 면(38)과 수 부재(20)상에 전도부(22)의 방사 연장부의 상대적인 크기로 인하여, 각 록킹 아암(80)이, 각 록킹 아암(80)의 내부 원통 면(94)의 내부 원통 면(94)의 후방 단부로부터 상관 연결 빔(76)의 내부 면(78)으로 갈라지는 단속적인 원추형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는 캠 동작 또는 경사 면(92)을 형성한다.
경사 또는 캠 동작 면(92)은 수 부재(12)에 리테이너(16)를 조립하는 중에 수 부재(12)의 전도부(22)에 의해 결합되어, 링(54)의 후방 대향 방사 면(58)의 후방과 전방 접합 면(82)의 전방 위치로 전도부(22)가 통과하게 록킹 아암(80)의 반경 외부방향 이동이 일어나게 한다.
각각의 록킹 아암(80)의 제1경사 외부 면(84)과 제2경사 외부 면은 편향 면으로서 역활을 하고, 커넥터 몸체(14)의 구멍(26) 안으로 리테이너(16)를 삽입할 때에 유입부 구멍(28)에 있는 유입부 깎임 면(40)과 축선방향 연장 원통 면(36)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은 부재(66, 68)의 기본적인 반경 내부방향 이동 또는 편향성질을 주어서 유입부 구멍(28)을 통한 통과를 허용한다. 후방 연결 빔(76)으로의 록킹 아암(80)의 연결과, 칼럼(74)의 축선방향 신장 구조는 기본적인 유연성을 제공하여, 리테이너(16)가 수 부재(12)에 장착될 때에도, 원통 면(36)에 의해 한정된 유입부 구멍(28)을 통해 지나가게 한다.
2개로 이루어진 록킹부재(68)는 각 칼럼(74)의 방사 외부 면에서 반경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부(116)를 추가적으로 갖는다. 경사부(116)는 전방단부(118)에서 후방단부(120)로 연장된 경사진 편향 면(117)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는 전방단부(118)에서 후방단부(120)로 반경 외부방향을 향하는 것이다. 전방단부(118)는 오리부리모양의 록킹 아암(80)의 전방 접합 면(82)의 축선방향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편향 면(117)은 록킹 아암(80)의 제1경사진 외부 면(84)의 축선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중앙선(27)과 같은 수평선에 대한 경사부(116)의 편향 면(117)의 각도는, 록킹 아암(80)의 제1경사진 외부 면(82)의 각도 만큼 경사가 급하지 않다. 예를 들어, 경사부(116)의 편향 면(117)의 각도는 수평선에 대해 15 내지 18도가 된다. 제1경사진 외부 면(82)의 각도는 35도 내지 40도이고 그리고 제2경사진 외부 면(84)의 각도는 18도 내지 20도이다.
유입부 구멍(28) 안으로 리테이너(16)를 삽입할 때, 경사부(116)상에 면(117)은 록킹 아암(80)상에 제1경사진 외부 면(84) 또는 제2경사진 외부 면(86) 의 임의 부분 앞에서 깎임 면(40)과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은 상기 록킹부재(68)가 록킹부재(66)의 반경 내부방향 이동에 앞서 반경 내부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삽입 과정에서, 록킹부재(66)의 록킹 아암(80)의 제1경사진 외부 면이 깎임 면(40)과 접촉하여, 록킹부재(66)의 내부방향 이동를 개시한다. 유입부 구멍(28)을 통한 리테이너(16)의 삽입 진행으로, 양쪽 록킹부재(66, 68)의 제1경사진 외부 면(82)이 축선방향 원통 면(36)과 접촉하게 된다. 다음, 모든 록킹부재가 내부방향으로 편향되어 록킹 아암(80)의 제2경사진 외부 면(84)과의 접촉이 이루어져, 삽입을 완료한다.
양호하게, 리테이너(16)는 기본 강도와 유연성을 가진 중합물질로 성형된다. 적절한 중합체로 PEEK로 알려진 폴리에테르케톤이 있다. 상기 물질에는 Victrex PEEKTM 450G(미국 사우쓰캐롤나이나주 그린빌에 소재하는 Victrex USA에서 제조)가 있다. 이러한 물질로 성형된 리테이너는 기본 강도를 가지어서 압력을 받았을 때에 유동체 연결장치의 일체성을 유지한다. 또한, 기본 유연성을 제공하여, 조립 과정 중에 리테이너에 손상을 주지 않고 커넥터 몸체(14)의 구멍(26)안으로 수 부재(12)에 장착된 리테이너(16)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한다.
밀봉부는 수 부재(12)의 원통부분(24)과 원통형 밀봉 면(48)과의 사이에 유체기밀한 조인트를 제공하는 환형의 엘라스토머제 0-링(18)이다. 0-링(18)의 외부직경은 원통형 밀봉 면(48)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고 그리고 0-링(18)의 내부직경은 수 부재(12)의 원통부분(24)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다. 유체 시스템이 조작 압 력을 받게되면, 0-링은 리테이너(16)의 전방 방사 환형 면(64)과 마찬가지로 상기 면에 대한 유체기밀한 밀봉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급속 커넥터는 유익하게, 사전-조립된 유닛으로 커넥터 몸체에 리테이너(16), 밀봉체(18) 및 수 부재(12)가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커넥터 몸체 형태가 유체 시스템의 성분으로 형성되는 적용에서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다발의 배관(tubing bundles)과 상관 커넥터 성분은 일 소스로부터 공급되고 그리고 상기 시스템 성분은 다른 소스로부터 공급된다. 시간과 비용의 상당한 절감은, 시스템 성분이 부품으로 이루어진 조립체로 이미 설치되고, 그리고 다발 배관의 관이 순차적으로 유체통로를 완성하도록 상기 성분에 연결될 때에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실은 예를 들어, 자동차 조립에서 바람직한 방식이 된다. 이러한 타입의 배열 배치로, 파워 스티어링 펌프 또는 그와 같은 유체 시스템 성분(16)과 상기 분리 커넥터 몸체 성분 사이에 추가 유체 조인트가 있어서, 분리된 커넥터 몸체 성분을 한정하는 구멍(26)의 필요가 없어졌다.
본 발명에 의거, 수 부재(12), 리테이너(16), 밀봉체(18)가 함께 연결되어 유체 성분을 형성하는 커넥터 몸체(14)의 구멍(26) 안에 후-삽입되는 부-조립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은 예를 들어 유체 시스템의 일 부분을 형성한 관(20)이 커넥터 몸체(14)를 형성하는 성분의 제조자 또는 공급자와는 다른 제공자에 의해 주어지는 상태에 적합한 것이고, 그리고 최종 조립은 아직은 다른 구역에서 발생한다. 물론, 본 발명의 리테이너(16)와 그 상관 0-링 밀봉체(18)는, 이들이 커넥터 몸체 성분의 구멍에 먼저 설치되는 곳에 적용할 때에 유익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에, 구멍(26) 내의 밀봉동작 0-링(18)과의 상호작용 및 리테이너(16)의 연장부(62)가 효율적으로 배열 배치하여, 이용된 조립 순서와 무관하게 수 부재(12)와 커넥터 몸체(14)와의 사이에 유체 기밀한 밀봉부를 형성한다.
리테이너(16)가 링(54)의 후방 대향 면(58)과 록킹 아암(80)의 접합 면(82)과의 사이에 위치한 관(20)의 전도부를 가지고 수 부재(12) 위에 위치시키어 부-조립체를 형성한다. 록킹부재(66, 68)의 록킹 아암(80)의 내부 캠동작 면(92)과의 수 부재(12)의 전도부(22)의 접촉은, 상기 아암이 반경 외부방향으로 펼쳐지게 한다. 그러한 수축 동작은 리테이너 물질의 탄성과 신장 칼럼(74)의 굽힘에 의해 받아 들여진다.
수 부재(12)의 전도부(22)가 리테이너(16)의 링(54)의 후방 대향 면(58)과 아암(80)의 전방 접합 면(82)과의 사이에 있는 공간에 배치되면, 록킹 아암(80)이 반경 내부방향으로 탄성(spring) 진다. 이러한 위치에서, 수 부재(12)의 전도부(22)는 아암(80)의 전방 접합 면(82)과 링(54)의 후방 대향 면(58)과의 사이에서, 상호 접합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원통 면(94)은 관(20)의 원통부분(25)에 대하여 긴밀하게 이격져 대면하여 있다.
다음, 0-링 형태의 밀봉체(18)를 관(20)의 원통부분(24)상에 리테이너(16)의 환형 연장부(62)의 방사 환형 면(64)에 바로 인접 위치시키어 부-조립을 완성한다.
수 부재(14), 리테이너(16), 및 0-링(18)의 결합 요소를 커넥터 몸체(14)에 연결시키어 유체 기밀한 고정 결합을 완성한다. 커넥터 몸체(14) 안에 수 부재(12), 0-링(18) 및 리테이너(18)를 삽입하는 행위는 필수적으로, 모든 요소가 원 통 면(36)에 의해 형성된 유입부 구멍(28)을 통해 지나갈 필요가 있게 한다. 상기 요소는 구멍(26)의 원통 면(36)과 관(20)의 원통부분(24)에 의해 형성된 환형 공간을 통해 끼워진다.
도7에 설명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68)의 경사부(116)의 편향 면(117)은 깎임 면(40)과 초기 접촉을 한다. 록킹부재(68)의 경사부(116)의 흐름 편향 면(117)은 록킹부재(66)의 록킹 아암(80)상에 제1경사진 외부 면(84)에 앞서 깎임 면(40)과 접촉한다. 록킹부재(68)는, 록킹부재(66)의 제1경사진 외부 면(84)이 깎임 면(40)과 접촉한 후에만 개시되는 록킹부재(66)의 반경 내부방향 이동에 앞서 링(54)과 상관하여 반경 내부방향으로 굽어진다. 상기 결과는 록킹 아암(66)이 그 후에 따르는 순차적인 록킹 아암(68)의 내부방향 수축을 하게 된다. 그러한 결과, 록킹 아암(68)상에 후방 연결 빔(76)이 록킹부재(66)의 후방 연결 빔(76)에 의해 유사한 이동을 하기에 앞서 반경 내부방향으로 이동한다.
삽입 전체 과정을 통해서, 록킹 아암(80)의 내부 원통 면(94)은 관(22)의 원통부분(25) 위에 놓여진다. 록킹 아암(80)의 경사진 외부 면(84, 86)과 경사부(116)의 면(117)의 접촉은 리테이너 요소가 관(20)을 향하는 내부방향으로 후방 연결 빔(76)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비틀거나 수축되게 하여, 록킹부재(66, 68)가 수 부재(12)의 관(20)의 원통부분(25)과 원통 면(36)에 의해 형성된 유입부 구멍을 통해 지나가게 한다. 리테이너(16) 내부에서는 복합 수축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록킹 아암(80)은 관(20)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후방 연결 빔(76)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후방 연결 빔(76)에 대하여 수축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실시에 서, 록킹 아암(80)은 관(20)의 원통부분(25) 위에 내부 원통 면(94)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선회운동(pivot) 한다. 수축은 칼럼(74)에서도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커넥터 몸체(14) 내로 완전하게 삽입된 수 부재(12), 리테이너(16), 및 0-링(18)을 가진 상태에서, 록킹부재(66, 68)는 후방 연결 빔(76)의 외부 면이 유입부 구멍(28)을 형성한 내부 원통 면(36)과 상관하여 긴밀하게 이격져 이동할 때까지 반경 외부방향으로 탄성 진다.
도8은 완전 삽입된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면에서 리테이너(16)는 커넥터 몸체(14) 내부에서 반경 축선방향으로 제약을 받게 된다. 리테이너(16)의 원통 연장부(62)는 밀봉작용 원통 면(48) 내부에 배치되어 커넥터 몸체(14) 내부 반경방향으로 리테이너(16)를 안내한다.
환형 링(54)의 원통 면(55)은 링(54)의 전방 대향 방사 면(56)과 접합관계로 반경 내부방향 환형 단차부(45)가 있는 구멍(26)의 원통 면(44)에 놓여진다. 이러한 접촉은 몸체(16)의 방사 면(38)과 접하는 록킹부재(66, 68)의 후방 접합 면(88)의 부가적인 전방 이동을 제약하고 그리고 리테이너(16)의 후방 이동을 제약한다.
커넥터 몸체(14)의 구멍(26)에 속박된 리테이너(16) 상태에서, 0-링(18)과 수 부재(12)는 유사하게 커넥터 몸체(14)의 구멍(26)에 속박된다. 수 부재(12)의 원통부분(24)은 연장부(62)와 링(54)의 내부 원통 면(60)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수 부재 안내부분(32)을 형성하는 구멍(26)의 원통 면(52)과 관(24)의 원통부분(24)과의 사이에 긴밀한 이격 안내동작 관계로, 구멍(26)과 상관하여 수 부재(12)를 안내한다.
전도부(22)의 전방 면과의 링(54)의 후방 대향 방사 면(58)의 접합은 수 부재(12)가 내부방향으로 부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록킹 아암(80)의 전방 접합 면(82)과의 전도부(22)의 후방 면(23)의 접합은 수 부재(12)가 후방으로 부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수 부재(12)는 리테이너(16) 내부에서 그리고 커넥터 몸체(14)의 구멍(26) 내부에서도 반경 축선방향으로 속박된다.
설치된 위치에서, 0-링(18)은, 환형 연장부(62)의 전방 방사 환형 면(64), 축선 구멍(26)의 환형 방사 면(50), 수 부재(12)의 원통부분(24), 및 축선 구멍(26)의 원통형 밀봉 면(48)으로 형성된 공간에 놓여진다. 이러한 구조에서, 0-링 밀봉체는 링(54)의 환형 연장부(62)의 방사 환형 면(64)과 맞닿게 놓여진다. 0-링(18)의 외부 직경은 원통 밀봉작용 면(48)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크기이고 그리고 내부 직경은 관(20)의 원통 면(24)보다 약간 더 작은 크기이다. 0-링(18)은 원통형 밀봉작용 면(48)과 수 부재(12)와의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압축된다. 유체 시스템이 압박을 받게 될 때에 조작 상태에서, 0-링은 리테이너를 후방향으로 가압하는 환형상 연장부(62)의 전방 방사 환형상 면(64)에 대항하여 맞닿도록 힘을 받게 된다. 유체 압력에 의해 0-링(18)에 부여된 축선방향 하중은, 구멍(26) 내부에 환형상 방사 면(38)에 작용하는 록킹 아암(80)의 후방 접합 면(88)에 의해 커넥터 몸체(14)로 전달된다. 이러한 힘은 리테이너(16)의 전방 방사 환형상 면(64)과, 관(16)의 원통부분(24)과, 원통형 밀봉작용 면(48)과의 밀봉작용 접촉부로 0-링을 가압한다.
록킹부재(66) 전에 내부 반경방향으로 록킹부재(68)가 수축하는 것을 보장하 기 위해 상술된 실시예가 편향 면(117)을 형성하는 록킹부재(68)의 칼럼(74)으로부터 반경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부(116)를 이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는 록킹부재의 순차적인 이동을 허용하는 다른 리테이너 설계를 이용한 것도 있다. 예를 들면, 경사부(116)를 오직 일 록킹부재(68)에 제공하는 것을 고려한다. 다른 가능한 변경은 각각의 록킹부재(68)에서 1개 만의 칼럼(74)에 경사부(116)를 위치시킨 것이 있다. 리테이너(16)의 변경 설계의 다른 예는 록킹부재(66)의 록킹 아암(80)의 제1경사진 외부 면(84)의 전방으로 록킹부재(68)의 제1경사진 외부 면(84)을 위치시킨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록킹부재(68)의 전방 위치한 제1경사진 면(84)이 초기 편향 면으로 작용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유사하게 록킹부재(66)의 연결 빔(76)의 반경 내부방향 이동에 앞서 록킹부재(68)의 후방 연결 빔(76)의 순차적인 반경 내부방향 이동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도9 내지 도17을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면을 설명한다. 0-링(18)과 리테이너(16)위에 위치한 보호 캡(132)의 설치는 조립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다른 구역에 적재하는 중에 상기 성분들을 보호한다. 도9는 0-링(18)과 리테이너(16)를 둘러싼 보호 캡(132)을 포함하는 커넥터 캡 부-조립체(13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관의 단부(12), 리테이너(16), 및 밀봉부재(18)는 도1 내지 도8과 관련하여 상술되어진 요소이다.
상기 보호 캡(132)은 도10 내지 도13에서 설명된다. 보호 캡은 나일론,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기타 적절한 물질의 중합물질로 성형된다. 보호 캡(132)은 일반적으로 환형상 이며, 폐쇄된 전방 단부(135)를 가진 중공 슬리브(134)와 전방 원추부(138)와 슬리브(134)의 후방 이격진 후방 원통부분(140)이 있는 환형상 링(136)을 구비한다. 서로 직경방향으로 반대측에 위치한 2개 칼럼(152)은 링(136)의 원추부분(138)의 협폭 단부에 슬리브(134)의 후방 단부를 연결한다.
슬리브(134)와 환형상 링(136)은 축선 중앙선(137)과 동축으로 있다. 중공 슬리브(134)는 수 부재(12)의 관(20)의 원통부분(24)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진 내부 구멍(142)을 형성한다. 내부 구멍은, 부-조립체(130)를 수 부재(12)에 부착할 때에 관(20)의 원통부분(24)의 일부분과 관의 단부(21)를 수용하는 크기이다.
보호 캡(132)의 링(136)은 유입부 구멍(150)에서 연장된 관통 구멍(148)을 형성한다. 리테이너(16)와 0-링(18)이 보호 캡(132) 내부에 배치되면, 일반적으로 상기 링(136)은 록킹부재(66, 68)위에 놓여진다. 링(136)의 내부 원통 면(144)은 록킹부재(66, 68)의 반경 외부방향 이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하게 커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 부재(12)에 리테이너(16)와 0-링(18)과 보호 캡(132)을 부착하는 동안에 전도부(22)가 통과하게 된다. 형성된 원추부분(138)의 내부 원추면(146)은, 각각의 록킹 아암(80)의 제1경사진 외부 면(84)과 제2경사진 외부 면(86)에 의해 형성된, 록킹부재(66)의 록킹 아암(80)의 원추형 외부 연장부 위에 긴밀하게 놓여지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위치하게 되면, 내부 원추 면(146)은 리테이너 몸체 링(54)과 상관하여 록킹부재(66, 68)의 반경 외부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칼럼(152) 사이에서 서로 직경방향으로 반대측에 위치한 2개의 고정 클 립(154)은, 슬리브(134)의 축선방향 후방 단부로부터 반경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각각의 고정 클립(154)은, 보호 캡(132)의 나머지부분과 상관하여 고정 클립(154)이 굽어지게 하는 협폭 목 부분(156)에 의해 슬리브(134)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작동체(158)를 구비한다. 각각의 고정 클립(154)은 전방 면(162)과 후방 면(164)을 갖는다.
후크(160)는 각 작동체(158)의 후방 면(164)으로부터 축선 후방향으로 연장된다. 후크(160)는 후방 면(164)에 연결부에 있는 광폭 베이스로부터 그 자유 단부에 있는 방사 단부 면(165)으로 경사진다. 후크(160)는 보호 캡(132)에 리테이너(16)를 해제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각각의 후크(160)는 방사 단부 면(165)에서 내부방향 대향 축선 면(167)으로 연장된 경사진 접합 면(166)을 구비한다. 경사 면(166)은 칼럼(152)과 후크(160)의 내부방향 내부 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에 0-링(18)의 삽입을 부드럽게 하는 면(167)에서 원만한 반경부를 갖는다. 각 후크(160)의 경사 면(166)은 보호 캡에 리테이너(16)를 부착 할 때에 리테이너(16)의 링(54)의 깎임 면(57)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은 리테이너(16)의 링(54)이 후크 사이에 위치 할 수 있도록 후크(160)가 협폭 목 부분(156)에 대해 굽어지거나 선회하게 된다.
각 후크의 축선방향 면(167)은 리테이너(16)의 환형상 링(54)의 외부 원통 면(55)의 외부 직경보다 작은 거리로, 후크(160)의 내부방향 대향 축선방향 면(167)으로부터 이격진다. 면(167)의 전방으로, 각 후크(160)는 축선방향 연장 면(169)으로 연장된 방사 전방 대향 부착 면(168)을 갖는다. 각 후크(160)의 축선 방향 연장 면(169)은 리테이너(16)의 환형상 링(54)의 외부 원통 면(55)의 직경보다 큰 거리로 이격 분리된다. 상기 후크는, 외부 원통 면(55)위에 위치한 축선방향 연장 면(169)과 후방 대향 방사 면(58)위에 위치한 부착 면(168)이, 직경방향 대향 윈도우(79) 내의 리테이너(16)의 몸체 링(54)을 잡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축선방향 연장 면(169)은 전방 축선방향 연장 면(170)으로 집중된 전방 경사진 면과 연결된다. 후크(160)의 면(170)은 리테이너(16)의 전방 원통 연장부(6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거리로 이격 분리된다. 양호하게, 상기 면(170)은 0-링(18)을 마찰성으로 유지하도록 0-링(18)의 외부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거리로 이격 분리된다. 전방 축선방향 연장 면(170)은 협폭 목 부분(156)의 후방 연장부를 한정하는 방사 정지 면(171)과 만난다.
0-링(18)과 리테이너(16)가 보호 캡(132) 내부에 배치되면, 후크(160)가 1쌍의 록킹부재(66 또는 68)의 하나의 윈도우(79) 안으로 연장된다. 0-링(18)은 전방 축선 면(170) 사이에서, 방사 정지 면(171)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리테이너(16)의 링(54)과 환형상 연장부(62)는, 링(54)의 후방 대향 면(58)과 반경방향 대면 상태로 있는 후크(160)의 방사 전방 대향 면(168)과 0-링(18)과의 사이에 있다. 축선방향 연장 면(169)은 링(54)의 외부 원통 면(55)과 긴밀하게 이격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0-링(18)과 리테이너(16)는 보호 캡(132) 내부에 해제가능하게 포획된다.
협폭 목 부분(156)에 방사 정지 면(171)과 후크(160)의 방사 전방 대향 면(168)과의 사이에 축선 거리는, 리테이너(16)의 환형상 링(54)과 전방 환형상 연장부(62)의 축선방향 연장부와 0-링(18)의 합산된 축선방향 두께보다 약간 더 크다. 그런데, 상기 0-링(18)은 후크(160)의 전방 축선방향 연장 면(170)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약간 압력을 받게 된다. 탄성 0-링(18)에 의해 나타나는 복귀력은 수 부재(12)에 설치될 때까지 후크(160) 사이에서 0-링이 제위치에 해제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도와 준다.
칼럼(152)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60)에 포획된 리테이너(16)의 환형상 링(54)과 환형상 연장부(62)와 0-링(18) 상태에서, 환형상 링(136)의 내부 원추 면(146)이 록킹 아암(80)의 경사진 외부 면(84, 86)으로부터 충분하게 이격져서 이들이 내부 캠동작 면(92)을 가진 관 전도부(22)의 접촉부에서 반경 외부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축선방향 길이를 갖는다. 그런데, 0-링(18)이 없는 상황에서는, 보호 캡(132)이 리테이너(16)와 상관하여 축선방향으로 상승하여 록킹 아암(80)의 제2경사진 외부 면(86)에 대하여 그 위에 긴밀하게 이격져 내부 원추 면(146)이 충분히 위치하게 한다. 상기 위치에서는, 록킹 아암(80)의 반경 외부방향으로의 이동이 배제되어, 록킹 아암(80) 넘어로 전도부(22)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승동작은 0-링(18)이 없는 수 부재(12)에 보호 캡(132)과 리테이너(16)를 부착하려 할 때에 발생한다.(도17을 참고함) 이러한 작용은 시도된 조립 단계의 실현을 방지하고 그리고 0-링(18)이 있지 않음을 가리킨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0-링(18) 없이 잘못 조립되는 것이 방지된다.
보호 캡(132)은 부가로 약 180도 이격진 2개의 방사 정지부(173)를 구비한다. 정지부 각각은 1개 고정 클립(154)과 정렬을 이루고 배치된다. 상기 정지부는 상관 작동기(158)의 전방 면(162)의 축선방향 전방으로 일정 거리에 있는 슬리브(134)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각 작동기(158)와 상관 정지부(173) 사이에 거리는, 후크(160)가 리테이너(16)의 링 부분(54)의 외부 원통 면(55)의 반경 외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고정 클립(154)이 일 위치에서 선회동작하게 허용하는 거리이다. 그러한 이동은 0-링(18)과 리테이너(16)가 수 부재(12)에 조립되면 보호 캡(132)의 제거를 허용하게 한다. 상지 정지부(173)는 보호 캡(132)의 목 부분(156)을 부러뜨릴 수 있게 할 수 있는 과도하게 굽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 캡(132)의 제거는 즉시, 부착 단계가 수 부재(12)에 따르게 하거나 또는, 후에 발생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단계는 커넥터 몸체(14)에 수 부재(12)를 조립하기에 앞서 취해진다.
커넥터 캡 부-조립체(130)를 형성하기 위해, 0-링(18)을 링(136)의 구멍(148)의 개방단부(150)를 통해 삽입한다. 협폭 목 부분(156)에서의 방사 정지 면(171)과 접합관계로 후크(160)와 칼럼(152)으로 한정된 공간에 있는 후크(166)의 전방 축선 면(170)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리테이너(16)는, 리테이너(16)의 깎임 면(57)이 각 후크(160)의 경사진 접합 면(166)과 접할 때까지 링(136)의 구멍(148)을 통해 삽입된다. 보호 캡(132)과 리테이너(16)는, 리테이너(16)와 캡(132)의 축선방향 이동이 후크(160)의 자유단부가 록킹부재(66) 또는 록킹부재(68)의 직경방 향으로 대향된 윈도우(79)에 들어가도록 원주 둘레에 정렬 배치된다.
보호 캡(132)에 대한 축선방향으로의 리테이너(16)의 연속적인 삽입은, 리테이너(16)의 몸체 링(54)의 깎임 면(57)이, 상관 작동기(158)가 협폭 목 부분(156)에서 굽어지게 하는 각 후크(60)의 경사 면(166)에 대항하여 가압하게 한다. 후크(160)는 자유단부에서 이격져 펼쳐지며, 링(54)이 축선방향 면(167)을 통과하게 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54)의 후방 대향 방사 면(58)이 축선방향 면(167)을 지나가면, 보호 캡(132)을 이루는 중합물질의 탄성 성질이 정상의 굽혀지지 않은 위치로 작동기(158)와 후크(160)가 돌아가게 한다. 후크(160)의 반경 전방 대향 부착 면(168)은 링(54)의 후방 대향 방사 면(58)을 포획하여 커넥터 캡 부-조립체(130)를 완전하게 이룬다.
조립된 상태에서, 각 후크(160)의 자유 단부는 리테이너(16)상에 록킹부재(66 또는 68)의 상관 윈도우(79)에 위치하게 된다. 방사 접합 면(168)은 링(54)의 후방 대향 방사 면(54)과 접하여 보호 캡(132)과 상관하여 리테이너(16)가 축선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0-링(18)은 원통 연장부(62)의 전방 방사 환형 면(64)의 축선방향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0-링(18)은 전방 환형상 면(64)과 방사 정지 면(171)과의 사이와 직경 대향된 전방 축선방향 연장 면(170)과의 사이에 보호 캡(132)에서 유지된다.
커넥터 캡 부-조립체(130)는, 그 안에 삽입된 리테이너(16)와 0-링(18)을 가진 보호 캡(132)을 구비한다. 상기 부-조립체는 수 부재(12)에 조립을 위해 다른 구역으로 전달된다. 또한, 수 부재(12)에 조립된 커넥터 캡 부-조립체(130)를 가 진 관은, 몸체 성분(14)에 유체 기밀한 연결을 후에 완성하기 위해 생성된다. 각 경우에서, 커넥터 몸체(14)에 수 부재(12)를 부착하기에 앞서 부-조립체(130)로 부터 보호 캡(132)은 제거되어야 한다. 상기 제거는 리테이너 링(54)으로부터 캡(132)을 방출하기에 충분하게 후크(160)를 분리하여 펼쳐지게 방사 정지부(173) 쪽으로 작동기(158)를 굽히어 이루어진다.
도15 및 도16을 참고로 설명하면, 커넥터 캡 부-조립체(130)는, 리테이너(16)의 록킹부재(66, 68)의 록킹 아암(80)의 내부 캠동작 면(92)이 수 부재(12)의 전도부(22)와 접촉할 때까지 관(20)의 자유 단부(21)위에 캡의 축선방향 이동과 상관하여 수 부재(12)에 부착된다.(도15를 참고함) 전도부(22)의 직경은 록킹 아암(80)의 내부 원통 면(94)에 의해 형성된 직경보다 더 크다. 관(20)으로의 캡(130)의 상대적인 축선 이동으로부터 나오는 축선방향 힘은, 리테이너(16)의 록킹 아암(80)이 반경 외부방향으로 펼쳐지게 한다. 아암(80)이 수 부재(12)의 전도부(22)를 초과하게 되면, 아암(80)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 상태로 반경 내부방향으로 탄성지게 된다. 이러한 조립 상태에서는, 수 부재(12)의 전도부(12)가 록킹 아암(80)의 전방 접합 면(82)과 링(54)의 후방 대향 면(58)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접합 상관관계로 있어, 수 부재(12)를 따라 리테이너(16)가 축선방향으로 활주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0-링(18)은 링(54)의 환형상 연장부(62)의 전방에 관(24)의 원통 면(24)에 위치하게 된다. 0-링(18)의 내부직경의 크기는 0-링이 면(24)을 붙들게 하여, 제위치에 유지시키는 크기이다.
본 발명에 의거, 보호 캡(132)은 0-링(18)이 부-조립체(130) 내부에 리테이 너(16)의 전방에 제공되게 배열된다. 커넥터 부-조립체(130)는 수 부재(12)에 부-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해 0-링(18)을 구비하여야 한다. 만일 0-링(18)이 리테이너(16)의 축선방향 전방에 위치하지 않게 되면, 수 부재(12)에 축선방향에 대한 커넥터 캡 부-조립체(130)의 이동은, 링(136)의 내부 원추 면(146)이 록킹 아암(80)의 제2경사진 외부 면(86) 위에 긴밀하게 위치할 때까지 리테이너(16)와 축선방향으로 상관하여 캡(132)을 이동하게 한다. 또한, 각각의 후크(160)의 경사진 접합 면(166)은 상관 록킹 아암(80)의 제1경사진 외부 면(84)과 긴밀하게 이격진 접합동작 관계로 이동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록킹부재(66 또는 68)와 보호 캡(132) 사이에 이러한 관계가 관(20)에 리테이너(16)와 보호 캡(132)의 조립을 완성하는 것을 막는다. 도17은 부-조립체(130)에서 나온 0-링(18)의 부재로 초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커넥터 몸체(14)의 구멍(26)에 수 부재(12)를 삽입하여, 보호 캡(132)이 첫번째로 제거되어야 한다. 보호 캡(132)의 제거로, 양쪽 작동기(158)는 정지부(173) 쪽으로 견인된다. 고정 클립(154)이 리테이너(16)의 링(54)의 외부 원통 면(55)의 반경 외부방향으로 배치되면, 보호 캡은 수 부재(12)와 상관하여 축선방향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거 된다. 보호 캡(132)이 제거된 상태에서, 부착된 리테이너(16)와 0-링(18)을 가진 수 부재(12)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커넥터 몸체(14)의 구멍(26) 안으로 삽입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이 상술된 실시예를 참고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변경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54)

  1. 유동체 연결 조립체는:
    유입부 구멍을 한정한 면을 구비한 축선방향 연장 관 수용 구멍을 형성한 커넥터 몸체와;
    유입부 구멍을 통한 커넥터 몸체의 구멍 안으로 축선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구멍 내부에 배치된 몸체 부분을 가진 리테이너 및;
    상기 유입부 구멍을 향하는 쪽으로 몸체 부분으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한 적어도 2개의 록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 록킹부재는 유입부 구멍을 통해 리테이너가 삽입할 때에 방사방향에서 내부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 각각은 구멍 안으로 리테이너를 삽입하는 중에 유입부 구멍을 형성한 면과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편향 면을 형성하고;
    적어도 2개 록킹부재의 하나에 적어도 1개 편향 면은, 리테이너 몸체 부분을 향하는 쪽으로 적어도 2개 록킹부재 중의 일 록킹부재에 적어도 1개 편향 면의 축선방향 전방에 배치되어, 적어도 2개 록킹부재 중의 일 록킹부재에 적어도 1개 편향 면에 의한 유입부 형성 구멍 면과의 결합에 앞서 유입부 구멍 형성 면과 결합 가능하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록킹부재의 하나에 적어도 1개 편향 면의 축선 방향 전방에 배치된 적어도 1개 편향 면을 가진 1개 이상의 록킹부재는, 적어도 1개 편향 면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몸체 부분은 환형상 링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재는 환형상 링으로부터 축선 후방향으로 이격져 연장된 적어도 2개 칼럼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1개 록킹부재에 1개 이상의 경사부는 적어도 1개 칼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 경사부를 가진 1개 이상의 록킹부재는 각각의 상기 칼럼에 경사부를 가진 2개 칼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각각의 상기 칼럼상에 경사부를 가진 2개 록킹부재와 2개의 다른 록킹부재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칼럼상에 경사부를 가진 2개 록킹부재는 서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고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2개의 다른 록킹부재는 각각의 상기 칼럼상에 경사부를 가진 록킹부재 사이에서 서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각각 적어도 1개 칼럼에 의해 지지된 록킹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아암은 전방 접합 면, 후방 접합 면, 및 상기 록킹부재의 편향 면을 형성하는 그 사이로 연장된 경사진 외부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편향 면은 상기 록킹 아암의 편향 면의 축선방향 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는 유입부 구멍의 내부방향으로 환형상 방사 면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조립체는 반경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상 전도부와 외부 원통부분을 가진 관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커넥터 몸체의 환형상 방사 면과 접합 관계로 록킹 아암의 후방 접합 면과 전도부와 상관하여 있는 록킹 아암의 전방 접합 면을 가진 상기 커넥터 몸체의 구멍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관의 외부 원통부분을 둘러싸는 상기 커넥터 몸체의 구멍에 배치된 0-링 밀봉체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링의 전방으로 연장된 환형상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상 연장부는 상기 0-링 밀봉체와 접합 관계로 배치된 전방 방사 환형상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10. 유동체 연결 조립체는: 관 수용 구멍을 형성하는 커넥터 몸체와;
    상기 구멍 내에 배치된 외부 원통 부분을 가진 관형 수 부재와;
    관형 수 부재의 외부 원통 면을 갖고, 상기 구멍 내에 커넥터 몸체와 밀봉 관계로 상기 구멍에 배치된 0-링 밀봉체와;
    몸체를 가진 상기 구멍에 배치된 리테이너 및;
    상기 구멍 내에 관형 수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보유하는 적어도 1개의 록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0-링과 접합 관계로 배치된 전방 방사 환형 면을 가진 리테이너 몸체 부분의 전방에 환형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11. 관 수용 구멍을 형성하고, 그리고 유입부 구멍을 한정하며 상기 구멍 내부에 환형 방사 면을 한정시킨 면을 구비한 커넥터 몸체와;
    반경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환형 전도부와 외부 원통 부분을 가진 관형부재와;
    상기 유입부 구멍 형성 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1개 편향 면을 각각 형성하는 적어도 2개 록킹부재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부재는 전방 접합 면과 후방 접합 면을 가진 록킹 아암을 갖는, 몸체 부분을 가진 리테이너와;
    상기 구멍 내부에 커넥터 몸체와의 사이에 유체 기밀한 밀봉부를 제공하는 밀봉부재 및;
    관형부재의 원통 면을 포함하며, 적어도 2개 록킹부재 중의 적어도 1개의 편향 면은 적어도 2개 록킹부재의 다른 1개의 편향 면의 축선방향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도부와 접합 관계로 전방 접합 면을 가진 관형부재에 상기 리테이너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리테이너의 전방에 관형부재에 상기 밀봉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관형부재, 상기 밀봉부재 및 상기 리테이너를 유입부 구멍을 통해 상기 커넥터 몸체의 구멍 안으로 삽입하여, 상기 구멍 내에 환형 방사 면과 접합 관계로 상기 후방 접합 면을 위치시키어, 상기 적어도 2개 록킹부재의 다른 1개의 편향 면과 유입부 구멍 한정 면이 결합하기에 앞서 적어도 2개 록킹부재의 다른 1개의 적어도 1개 편향 면의 축선방향으로 전방에 배치된 1개 이상의 편향 면을 가진 적어도 2개 록킹부재 중의 1개 이상의 편향 면과 상기 유입부 구멍 한정 면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형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적어도 2개 록킹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의 몸체에서 연장된 1쌍의 칼럼과 상기 1쌍의 칼럼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 빔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각각의 록킹부재의 상기 록킹 아암은 후방 연결 빔에 연결되고;상기 관형부재, 상기 밀봉부재 및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커넥터 몸체의 구멍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록킹부재의 칼럼을 구브리는 단계와 후방 연결 빔 사이의 상기 커넥터 몸체를 구브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형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4개 록킹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재의 2개는 2개 록킹부재의 칼럼 중의 적어도 1개에서 반경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부를 갖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유입부 구멍 한정 면과 결합할 수 있는 편향 면을 한정하고;
    상기 리테이너상에 다른 편형 면에 의한 결합에 앞서 각각의 경사부의 편향 면에 의한 유입부 편향 면과 결합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형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개 록킹부재의 칼럼 중의 적어도 1개에서 반경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부를 가진 록킹부재는 2개 록킹부재의 칼럼 각각에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를 가진 2개 록킹부재는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2개 다른 록킹부재는 상기 경사부를 가진 록킹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리테이너에 편향기 면과 커넥터 몸체의 유입부 구멍 한정 면이 결합하기에 앞서, 경사부에 의해 형성된 편향 면과 커넥터 몸체의 유입부 구멍 한정 면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른 2개 록킹부재의 칼럼을 구브리기에 앞서 상기 경사부를 구비한 2개 록킹부재의 상기 칼럼을 구브리도록 상기 리테이너상에 다른 편향 면과의 커넥터 몸체의 유입부 구멍 한정 면의 결합에 앞서 상기 경사부에서의 편향 면과 상기 커넥터 몸체의 유입부 구멍 한정 면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형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보호 캡을 제공하여, 상기 밀봉부재와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보호 캡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밀봉부재, 상기 리테이너, 및 상기 보호 캡을 상기 관형부재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부재, 상기 리테이너 및, 상기 관형부재를 상기 유입부 구멍을 통해 커넥터 몸체 안에 삽입하기에 앞서, 상기 관형부재, 상기 밀봉부재, 및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상기 보호 캡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형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가 관형부재에 부착 시에 상기 보호 캡에 주어지게 보장하는 동작을 제공하고;
    상기 부착 단계 중에 관형부재에 보호 캡과 리테이너의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밀봉부재가 없을 때에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보호 캡과의 사이에 상관 축선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연결 조립체 형성 방법.
  17. 급속 커넥터 접속용 보호 캡 부-조립체는:
    중공 슬리브, 상기 슬리브와 이격져 있는 환형상 링, 상기 슬리브를 상기 링에 연결하는 적어도 1개 칼럼, 및 상기 슬리브에서 연장된 적어도 1개 고정 클립을 가진 보호 캡;
    1개 이상의 고정 클립과 1개 이상의 칼럼의 반경 내부방향으로 배치된 밀봉부재 및;
    환형상 링 부분을 가진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링 부분은 상기 적어도 1개 고정 클립에 의해 상기 보호 캡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1개 고정 클립은 상기 보호 캡으로부터 상기 리테이너가 연결 해제되도록 구브려지게 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접속용 보호 캡 부-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은 상기 슬리브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2개 고정 클립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링을 향하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후크를 가지고, 상기 후크는 상기 리테이너의 링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이고, 상기 고정 클립은 부가로 리테이너 링 부분에서 상기 후크가 해제되게 구브려지는 협폭 목 부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접속용 보호 캡 부-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밀봉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전방 환형상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클립은 방사 정지 면을 한정하고,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는 리테이너의 환형 연장부와 방사 정지 면과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접속용 보호 캡 부-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각각 상기 리테이너의 링 부분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방사 접합 면을 구비하고; 후크의 방사 접합 면과 고정 클립의 방사 정지 면과의 사이에 축선방향 거리는, 상기 밀봉부재의 합성된 축선방향 두께보다 더 크고; 상기 리테이너의 링 부분과 전방 환형상 연장부, 상기 밀봉부재, 상기 리테이너의 방사 축선방향 연장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링 부분은, 상기 후크의 방사 접합 면과 상기 고정 클립의 방사 정지 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접속용 보호 캡 부-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각각은 상기 밀봉부재의 외부 둘레보다 적은 거리로 이격 분리된 전방 축선방향 연장 면을 형성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후크의 축선방향 연장 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접속용 보호 캡 부-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링 부분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2개 록킹부재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록킹부재는 일 록킹 아암을 갖고, 상기 록킹부재와 록킹 아암은 록킹 아암과 전도부의 상관 축선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관련 관형부재에서 전도부와 결합 시에 반경 외부방향으로 구브러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호 캡의 링은, 상기 구브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관 관형부재의 전도부의 상관 축선방향 이동을 배제하게, 록킹부재의 록킹 아암과 긴밀하게 이격져 위에 놓여지는 관계로 위치설정 할 수 있는 내부 원추형 면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보호 캡의 링의 내부 원추면은 상기 부-조립체에서 상기 밀봉부재의 부재 시에 록킹부재와 긴밀하게 이격져 위에 놓여지는 관계로 위치설정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접속용 보호 캡 부-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의 고정 클립의 후크 중의 적어도 1개는, 상기 부-조립체로부터의 밀봉부재가 없을 때에 록킹 아암과 전도부의 상관 축선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록킹부재가 반경 외부방향으로 충분하게 구브려지는 동작을 막게 일 록킹부재와 접합하는 경사진 접합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접속용 보호 캡 부-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은 각각의 상기 고정 클립에 인접하여 있는 슬리브로부터 반경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방사 정지부재를 부가로 구비하고, 상기 고정 클립은 고정 클립의 굽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방사 정지부재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접속용 보호 캡 부-조립체.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KR1020060060932A 2005-06-30 2006-06-30 급속 커넥터 KR101227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74,262 2005-06-30
US11/174,262 US7467813B2 (en) 2004-02-05 2005-06-30 Quick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692A KR20070003692A (ko) 2007-01-05
KR101227251B1 true KR101227251B1 (ko) 2013-01-28

Family

ID=3756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932A KR101227251B1 (ko) 2005-06-30 2006-06-30 급속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837458B2 (ko)
KR (1) KR101227251B1 (ko)
CN (2) CN1940372B (ko)
BR (1) BRPI0602459A (ko)
DE (2) DE102006030428B4 (ko)
FR (1) FR2889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3548B2 (en) * 2005-06-30 2012-02-1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EP2022995B1 (en) 2006-06-08 2013-02-20 NSK Ltd. Shell needle bearing with seal r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8939470B2 (en) * 2007-03-20 2015-01-27 Stephen H. Gunderson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DE102008019979B3 (de) * 2008-04-21 2009-10-01 Futuree Fuel Cell Solutions Gmbh Energieversorgungsmodul und Stromschrank
US8664938B2 (en) * 2010-05-05 2014-03-04 Ysi Incorporated Replaceable probe head
US9283344B2 (en) 2012-01-03 2016-03-15 Carefusion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fluid delivery connection
DE102013200620A1 (de) * 2012-02-09 2013-08-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bindung für eine Niederdruckleitung
FR2991432B1 (fr) * 2012-06-04 2015-02-06 Air Liquide Bouchon pour raccord fluidique, robinet, bouteille et procede de remplissage correspondants
CN102734583B (zh) * 2012-07-10 2013-12-18 浙江亿日气动科技有限公司 快速接头
DE102012107463A1 (de) * 2012-08-15 2014-06-12 Contitech Schlauch Gmbh Schnellverbindungsanordn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r Medienleitung mit einem Stutzen
FR3004780B1 (fr) * 2013-04-17 2015-05-01 Raymond A & Cie Verrou pour raccordement tubulaire et raccord tubulaire obtenu
CN104622536B (zh) * 2013-11-15 2017-01-25 上海理工大学 用于将深静脉血栓取除器与动力装置相连的快换连接头
US10648601B2 (en) 2014-06-10 2020-05-12 Kohler Co. Quick connect system for a fluid coupling
CN104295833A (zh) * 2014-07-26 2015-01-21 黄子颀 一种带弹簧的自扣式管接头
CN105443888A (zh) * 2015-12-16 2016-03-30 廊坊舒畅汽车零部件有限公司 曲轴箱通风管接头
DE102016208558A1 (de) * 2016-05-19 2017-11-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schlusskappe für Fluidleitungen, Fluidleitung mit solch einer Verschlusskappe und Kraftfahrzeug mit solch einer Fluidleitung
US10502353B2 (en) * 2016-05-27 2019-12-10 Kohler Co. Quick connect release system for a fluid coupling
EP3581275B1 (en) * 2016-06-15 2022-08-10 Hamilton Company Pipette tip coupling device and pipette tip assembly
DE102017126459B4 (de) * 2017-11-10 2021-07-08 U.M. Gewerbeimmobilien Gmbh & Co. Kg Kupplungselement für eine Hydraulikkupplung
CN115355380B (zh) * 2018-08-14 2023-06-27 诚信全球公司 管状连接器
WO2021069048A1 (en) * 2019-10-10 2021-04-15 Oetiker Schweiz Ag Quick connector made of plastics
CN113833921B (zh) * 2020-06-08 2023-04-1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流体连接器组件、水冷系统及流体循环系统
CN112963434A (zh) * 2021-01-28 2021-06-15 合肥诺和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快换软轴联轴器
KR20240012531A (ko) * 2021-06-15 2024-01-29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유체 라인의 연결 배치 디바이스 및 방법
CN218480295U (zh) * 2022-09-27 2023-02-14 无锡市金华屹圆科技有限公司 一种管件连接器
CN116293360B (zh) * 2023-01-31 2023-09-08 江苏蒙哥马利电梯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新型曳引电梯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657A (ko) * 2004-02-05 2006-05-12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고압력 적용가능 급속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371A (en) * 1990-01-16 1997-05-06 Bartholomew; Donald D. Quick connector with one-piece retainer
US5324082A (en) * 1991-08-29 1994-06-28 Bundy Corporation Positive transi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5161832A (en) * 1991-10-16 1992-11-10 Huron Products Industries, Inc. Plastic retainer for fluid coupling
US5429395A (en) * 1994-05-20 1995-07-04 Bundy Corporation Retainer arrangement for extreme load applications
US5628531A (en) * 1995-04-26 1997-05-13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DE19619026A1 (de) * 1996-05-10 1997-11-13 Trinova Gmbh Schnellkupplung
DE19822574C1 (de) * 1998-05-20 1999-10-14 Raymond A & Cie Lösbare Schnellkupplung mit automatischer Montageanzeige
US6173994B1 (en) * 1999-08-20 2001-01-16 Ti Group Automotive Systems Corp. Coupling assemblies for providing fluid connection
IT1311355B1 (it) * 1999-11-12 2002-03-12 Dayco Europe Srl Tubo con raccordo integrale ad innesto rapido.
US6612622B2 (en) * 2000-04-06 2003-09-0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Rotatable quick connector
JP2002267074A (ja) * 2001-03-09 2002-09-18 Toyoda Gosei Co Ltd コネクタ
JP4229685B2 (ja) * 2002-11-29 2009-02-25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657A (ko) * 2004-02-05 2006-05-12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고압력 적용가능 급속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10153A (ja) 2007-01-18
CN1940372A (zh) 2007-04-04
DE102006062894B4 (de) 2011-12-15
DE102006030428A1 (de) 2007-01-18
CN101699122B (zh) 2012-10-03
FR2889287A1 (fr) 2007-02-02
DE102006030428B4 (de) 2010-10-28
CN101699122A (zh) 2010-04-28
JP4837458B2 (ja) 2011-12-14
CN1940372B (zh) 2012-09-05
BRPI0602459A (pt) 2007-02-21
KR20070003692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251B1 (ko) 급속 커넥터
US7467813B2 (en) Quick connector
US7891380B2 (en) Protective cap for quick connector
KR101594615B1 (ko) 고압용 신속 커넥터
KR101328375B1 (ko)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JP2616743B2 (ja) 2つの流体管を連結するための押し込みはめ連結器
CN102124261A (zh) 包括两个由卡口连接而连接的部件的联接件、该联接件的本体部件及加强该联接件的本体部件间连接的方法
US7341286B2 (en) Fluid coupling with dual function retention ring
US4697832A (en) Snap lock connector
CN108139000B (zh) 流体连接器组件
KR101493523B1 (ko) 고압력용 급속 커넥터
KR20060051260A (ko) 고압 장치용 신속 커넥터
KR101793301B1 (ko) 확인 핀
EP1637791A2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slidable retainer
US11603952B2 (en) In-line quick connector
EP1653143A1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adapter
GB2227064A (en) Snap-fit pipe connector
CN113090840B (zh) 套接组件、分体式阳接头和快速连接器
US20240019054A1 (en) Fixing cap assembly and pipe fitting including the same
US20230392732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CA2272867A1 (en) Quick connector with visual indicator
WO2020165625A1 (en) Quick connector with verifier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