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615B1 - 고압용 신속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압용 신속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4615B1 KR101594615B1 KR1020090044527A KR20090044527A KR101594615B1 KR 101594615 B1 KR101594615 B1 KR 101594615B1 KR 1020090044527 A KR1020090044527 A KR 1020090044527A KR 20090044527 A KR20090044527 A KR 20090044527A KR 101594615 B1 KR101594615 B1 KR 1015946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er
- sealing member
- annular
- ring
- cylindr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01—Cap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기밀 밀봉부를 형성하는 탄성 밀봉부재를 갖는 중공 본체 부품 보어에 단단한 튜브를 해제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제공한다. 밀봉부재 리테이너는 본체 부품과 접촉하는 다리를 포함한다. 이것은 밀봉부재 리테이너를 보어에 삽입하는 축방향 삽입력을 수용하는 삽입 슬리브를 포함한다. 단단한 튜브상으로의 조립을 위하여 예비조립된 밀봉 및 리테이너 부품을 억제하기 위해 보호캡이 배치된다.
림, 리테이너, 밀봉부재, 링, 다리, 업셋, 보어, 튜브
Description
본 발명은 2005년 9월 2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1/218,866호의 장점과, 2005년 6월 30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1/174,262호의 장점을 청구하며; 상기 특허출원들의 내용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었다.
본 발명은 수용기 본체에 단단한 튜브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신속 커넥터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체 압력으로 인해 밀봉부재상의 축방향 힘을 수용기 본체에 직접 분배하는 분리된 외측 스페이서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액체 연료 또는 연료 증기 등과 같은 저압용으로는 통상적으로 신속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형적으로 호스를 단단한 튜브에 연결하며,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본체 및 내측 부품을 갖는다. 이러한 신속 커넥터는 미국특허 제5,161,832호와 제5,324,082호 및 제5,628,531호에 개시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또는 브레이크 시스템 등과 같이 고압용으로 설계된, 성형된 부품들을 사용하는 신속 커넥터는 계속 발전되어 왔다. 신속 커넥터는 단부 근처에 형성된 업셋(upset)을 갖는 금속 튜브를 금속으로 제조된 시스템 부품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시스템 부품은 시스템 부품에서 튜브를 보어에 유체밀봉 상태로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커넥터 부품과 협력하도록 형성된, 튜브 수용부 또는 보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넥터 장치는 2005년 9월 2일자 출원되어 2006년 4월 20일에 2006/0082149호로 공개된 미국 특허출원 제11/218,66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허의 내용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었다.
고압용 커넥터 부품(2,000 psi 이상-실제 시스템 압력)은 통상적으로 O링 밀봉부 형태의 밀봉부재와, 테프론 링과, 외측 스페이서와,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는 금속 튜브를 시스템 부품의 보어에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킹 아암이 구비된 다수의 로킹부재를 포함한다. 신속 커넥터 리테이너는 튜브 단부에서 유체 압력의 인가에 따른 힘으로부터 연결부를 지지한다. 리테이너 로킹부재는 이미 튜브에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 부품의 포트로의 설치를 허용하기 위해, 두개의 분리된 피봇 포인트를 갖도록 설계되었다. 제1피봇 포인트는 로킹 아암에서 튜브 업셋이 로킹 아암을 지나 리테이너에 로킹되게 한다. 제2피봇 포인트는 전방 링에 대한 컬럼 연결부에서 튜브 조립중 리테이너 로킹부재가 시스템 부품에서 수용 보어에 대해 방사방향 내측으로 굴곡되게 한다. 두개의 분리된 피봇 조인트는 조립력을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외측 스페이서는 "밀봉팩"의 일부로서; 이러한 밀봉팩은 O링 등과 같은 밀봉부재와, 상기 밀봉부재와 외측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된 결합 튜브의 외경을 둘러싸는 하나이상의 스페이서로 구성되어 있다. 튜브에 대해 O링을 압축하면, 외측 스페이서가 테프론 링이 배치되는 눌림쇠 영역의 숄더를 형성할 동안 밀봉이 형성된다. 상기 테프론 링은 유체 압력이 인가될 때 O링이 접촉하는 상당한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외측 스페이서는 밀봉부재상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의 축방향 부하를 수용한다. 디자인에 있어서, 고압용으로 설명된 신속 커넥터 외측 스페이서는 파 워 스티어링 및 브레이크 용도로서 평방인치당 5,000 파운드(psi)에 견뎌야만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상기 외측 스페이서는 4개의 압축성 부재 또는 다리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부재 또는 다리는 조립중 내측으로 굴곡되고, 외측으로 스냅되며, 시스템 부품 본체에 가공되는 숄더내에 안착된다. 외측 스페이서는 O링상에서 유체 압력의 축방향 부하로부터 조립체를 지지한다. 두개의 유체 압력 부하를 분리하여 지지하면 신속 커넥터를 높은 시스템 압력으로 취급할 수 있게 한다.
예비조립된 튜브, 밀봉팩, 외측 스페이서 및 리테이너를 시스템 부품의 보어에 설치하면 과도한 축방향 부하에 직면할 수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외측 스페이서의 압축성 부재 및 튜브 리테이너의 로킹부재를 전방으로 수용 보어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축방향 힘의 인가가 필요하다. 과도한 부하 특성은 외측 스페이서 다리의 후방 단부와 리테이너 링의 전방 표면과의 접촉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호관계를 제거하고, 외측 스페이서 다리와는 독립적으로 축방향 삽입력의 인가를 제공한다.
외측 스페이서의 4개의 압축성 부재 또는 다리는 대칭이며, 이에 따라 유체 압력에 의해 발생되어 폭발 성능을 최대로 하는 힘은 균일하게 분배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고압 맥동 또는 진동인 환경에서도, 삽입된 튜브에 대해 외측 스페이서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밀봉부재 리테이너의 신장된 원통형 특징부는 튜브를 둘러싸서 밀봉팩상에서 튜브의 진동 효과를 최소하는 보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새로운 장치는 온도 및 진동의 여러 사이클 이후라도 밀봉팩을 정위치에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도1 내지 도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커플링 조립체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신속 커넥터 유체 커플링 조립체(210)는 수형 부재(212), 중공 암형 커넥터 본체(214), 상기 수형 부재(212)를 커넥터 본체(214)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튜브 리테이너(216), 밀봉부재 조립체 또는 밀봉팩(218), 외측 스페이서 또는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를 포함한다.
상기 수형 부재(212)는 중공의 단단한 튜브(220)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튜브(220)는 유체 라인 시스템의 부품에 연결되거나, 또는 그 자체가 유체 라인 시스템 부품의 일부일 수도 있다. 수형 부재(212)는 튜브의 자유단부로부터 이격된, 방사방향으로 확장되는 환형 업셋(222)을 포함한다. 상기 업셋은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21)과,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23)을 갖는다. 수형 부재(212)는 튜브의 자유단부와 상기 업셋(222) 사이에 외측의 원통형 밀봉면(224)을 갖는다. 튜브의 원통부(225)는 업셋(222)을 지나 후방으로 신장되며, 가요성 호스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단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는 전형적인 자동차 공조시스템에 적용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1 및 도2에는 시스템 부품 또는 커넥터 본체(214)가 단면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214)는 차량 공조시스템 등과 같은 고압 유체 시스템의 부품이다. 상기 부품은 압축기, 콘덴서, 증발기, 또는 기타 다른 시스템 부품이다. 물론, 커플링 조립체 부품 및 수형 부재를 수용하는 공동이 구비된 형태를 취하는 그 어떠한 본체일 수도 있다. 다른 시스템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나선이 구비된 형태의 본체일 수도 있으며, 또는 가요성 호스에 연결되는 스템 단부가 구비된 본체일 수도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14)는 중공이며; 본체의 평탄벽(229)에 형성된 입구 개구(232)로부터 축방향 전방으로 신장되는 리테이너 수용 보어(230)와, 밀봉팩, 및 축방향 튜브를 형성한다. 상기 보어(230)는 중앙 축선(231)에 대해 대칭이다. 보어(230)는 여러개의 부분, 즉 튜브 리테이너 로킹부재 수용부(249)와, 리테이너 링 및 업셋 수용부(235)와, 밀봉부재 리테이너 수용부(247)와, 밀봉부재 수용부(250)와, 튜브 단부 수용부(248)와, 본체(214)의 내측과 연통되고 직경이 감소된 유체 통로(255) 등으로 구분된다.
커넥터 본체(214)에 있어서, 전방 이라는 용어는 입구 개구(232)로부터 통로(255)를 향하는 것을 의미하며, 후방 이라는 용어는 통로(255)로부터 입구 개구(232)를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내측 또는 내향 이라는 용어는 축선(231)을 향한 방사방향을 의미하며, 외측 또는 외향 이라는 용어는 축선(231)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멀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입구 개구(232)는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6)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원통면을 통해 밀봉 및 리테이너 부품이 구비된 수형 부재(212)가 통과되어 보어(2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모따기(234)는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6)과 본체(214)의 평탄벽(229)을 교차한다. 이러한 모따기는 커넥터 본체(214)로의 튜브 리테이너(216) 삽입을 촉진시킨다.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6)의 전방부는 보어(230)의 리테이너 수용 부(249)의 내부에 있는 방사방향 환형 접촉부 또는 로킹 표면(238)이다. 상기 표면(238)은 튜브 리테이너(216)를 보어(230)의 내부에 지지하고 수형 부재(212)를 본체(214)와 유체 기밀상태로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촉부 또는 로킹 표면으로서 작용한다.
평탄벽(229)과, 모따기(234)와,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6)과, 방사방향 환형 로킹 표면(238) 또는 접촉면은 보어(230)의 입구 개구(232)에서 림(240)을 형성한다.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6)은 림(240)의 방사방향 내측면을 형성한다.
로킹 표면(238)의 축방향 전방부는 방사방향 환형 면(228)에 이어지는 직경확장된 원통면(242) 이다. 방사방향 환형 로킹 표면(238)과, 전방의 방사방향 환형 면(228)과, 직경확장된 원통면(242)은 보어(230)의 튜브 리테이너 로킹부재 수용부(249)를 형성한다.
방사방향 환형 면(243)의 전방부는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중간 원통면(233) 이다. 이러한 원통면은 튜브 리테이너(216)의 전방 링을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원통면은 본체 부품(214)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튜브의 업셋(222)을 둘러싼다.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중간 원통면(233)은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7)에 이어지는 방사방향 환형 면(243)에서 종료된다. 방사방향 환형 면(243) 및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7)은 모따기(245)에 의해 교차된다. 상기 모따기는 조립시 보어내로의 밀봉부재 및 밀봉부재 지지 부품의 삽입을 도와준다.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7)의 전방부는 축방향 후방 이동에 대항하여 외측 스페이서 또는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를 지지하는 접촉면으로서 작용하는, 방사방향 환형 밀봉부재 리테이너 로킹 표면(239) 이다.
방사방향 환형 면(243)과, 모따기(245)와,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7)과, 방사방향으로 신장되는 환형 밀봉부재 지지면(239)은 리브(241)를 형성하며, 이러한 리브의 방사방향 내측 원통면은 원통면(237)이 된다.
방사방향 환형 밀봉부재 리테이너 로킹 표면(239)의 전방부는 원추면(246)에 이어지는 원통형 릴리프(relief)(251)로서, 상기 원추면은 전방으로 수렴되고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형 밀봉면(244)에 합병된다. 방사방향 환형 밀봉부재 지지면(239)과 원통형 릴리프(251) 및 원추면(246)은 보어(230)의 밀봉부재 리테이너 수용부(247)를 형성한다.
원통형 밀봉면(244)은 밀봉부재(219)의 외경 보다 미세하게 작은 직경을 가지며, 원추면(246)과의 합병된 곳(merger)으로부터 전방으로 최전방 방사방향 환형 면(252)으로 신장된다. 보어(230)의 밀봉 수용부(250)는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형 밀봉면(244) 및 최전방 방사방향 환형 면(252)에 의해 형성된다.
최전방 방사방향 환형 면(252)으로부터의 축방향 전방부는 축방향 보어(232)의 튜브 수용부(248)를 형성하는 원통형 튜브 수용면(254) 이다. 이러한 수용면은 수형 부재(212)를 보어(230)의 내부에 동축으로 안내하기 위해 수형 부재(212)의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 위에 밀착되어 놓이는 크기를 갖는다. 원통면(254)에 의해 형성된 통로는 시스템내의 유체를 원통형 통로(255)를 통해 본체 부품(214)의 내부와 연통시킨다. 전방의 방사방향 환형 면(252)은 원통형 밀봉면(244)과 통 로(255)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환형 면은 밀봉부재 조립체(218)를 위한 전방 방사방향 접촉부를 형성한다.
도3에 있어서, 밀봉부재 조립체(218)는 커넥터 본체(214)의 보어(230)의 원통면(244)과 수형 부재(212)의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 사이에 유체기밀을 제공한다. 이것은 원통면(244)에 의해 형성된 보어(230)의 밀봉 수용부(250)의 내부에서 외측 스페이서 또는 밀봉부재 리테이너의 전방부에 배치된다.
밀봉부재 조립체(218)는 밀봉부재, 여기에서는 환형의 엘라스토머 O링(219)을 포함하며; 이러한 O링은 그 자유 단부와 업셋(222) 사이에서 튜브(220)의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을 둘러싸며, 본체(214)의 원통형 밀봉면(244)과 수형 부재(212)의 원통형 밀봉면(224) 사이에 유체 기밀 조인트를 제공한다. O링(219)의 외경은 원통형 밀봉면(244)의 직경 보다 미세하게 크다. O링(218)의 내경은 수형 부재(212)의 원통형 밀봉면(224)의 직경 보다 미세하게 작다. 유체 시스템이 압력하에 있을 때, O링은 이러한 표면들에 대해 유체 기밀을 형성한다.
밀봉팩(218)은 환형 스페이서(215)를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환형 스페이서는 전방의 방사방향 환형 면(226)과 후방의 방사방향 환형 면(227)을 갖는다. 환형 스페이서(215)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사각형인 링 이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우레탄(PFTE) 또는 테프론(테프론은 듀퐁의 등록상표이다)으로 제조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13% 그라파이트로 충진된다.
본체 부품(214)의 보어(230)에 있는 전방 방사방향 표면(252)은 밀봉부재 조립체(218)를 위한 방사방향 시트면을 형성한다. 유체 시스템이 가압될 때, 밀봉부 재 조립체(218)의 O링 밀봉부재(219)는 원통형 밀봉면(244) 및 튜브(220)의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을 따라 입구 개구(232)를 향해 후방으로 가압된다. 이것은 스페이서(215)의 전방 방사방향 환형 면(226)과 접촉한다. 상기 스페이서(215)는 후방으로 가압되고, 후방 방사방향 환형 면(227)은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링(293)의 전방 접촉면(294)과 접촉한다.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에 부여된 축방향 부하는 커넥터 본체(214)의 보어(230)에서 다리(300)의 후방 접촉면(308)으로부터 리브(241)의 방사방향 환형 밀봉부재 리테이너 로킹 표면(239)으로 전달된다.
도3 내지 도7에는 튜브 리테이너(216)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튜브 리테이너는 커넥터 본체(214)의 보어(230)의 업셋 수용부(235)와 리테이너 링과 튜브 리테이너 로킹부재 수용부(249)에 배치된다. 이것은 수형 부재(212)를 커넥터 본체(214)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입구 개구(232)에서 림(240)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된다. 리테이너(216)는 나일론 6-12 등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 리테이너(216)는 원통형 링(256)을 포함한다. 이러한 링은 수형 부재(212)의 튜브(220)의 원통형 밀봉면(224)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링(256)은 수형 부재(212)의 업셋(222)의 직경 보다는 작지만 수형 부재 원통형 밀봉면(224)의 외경 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을 갖는 내측 원통면(263)을 형성한다.
링(256)은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58)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면은 도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16)의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한 평면으로부터 다소 각도를 이루고 있다. 이것은 내측 원통면(263)으로부터 약 10 °의 각도로 전방외측으로 분기되는 원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링(256)은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60)을 포함한다.
상기 링(256)은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외측 원통부(253)와, 직경감소된 전방 원통부(257)와, 전방의 방사방향 환형벽(259)을 포함한다. 외측 원통부(253)는 튜브 리테이너(216)의 축방향 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환형 리브(241)의 방사방향 환형 면(243)과 접촉하고 있는 방사방향 환형벽(259)이 구비된,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중간 원통면(233)에 수용되는 크기를 갖는다. 직경감소된 원통부(257)는 리브(241)에서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7)에 수용되는 크기를 갖는다.
리테이너(216)는 링(256)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신장되는 두개의 로킹부재(286)를 포함한다. 로킹부재(286)는 일체로 연결되며, 링(256)의 후방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60)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신장된다. 각각의 로킹부재(286)는 링(256)의 면(260)으로부터 신장되는 두개의 평행한 지지 다리(261)를 포함한다. 다리(261)는 횡단 비임(262)에 의해 그 말단부에서 연결된다. 상기 횡단 비임(262)은 커넥터 본체(214)의 입구 림(240)을 수용하는 홈(265)과 핑거 해제태브(264)를 포함한다. 두개의 횡단 비임(262) 사이의 내측 방사방향 이격거리는 업셋(222)의 외경 보다 길다. 따라서, 수형 부재(212)의 업셋(222)은 저항없이 횡단 비임(26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거리는 림(240)에서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6)을 통해 리테이너가 부착된 튜브 삽입시 로킹 부재(286)가 튜브(220)의 후방 외측 원통면(225)을 향해 방사방향 내측으로 굴곡될 수 있게 한다.
로킹 아암(266)은 로킹부재의 지지 비임(261) 사이에서 각각의 횡단 비 임(262)에서 중앙에 장착된다. 각각의 로킹 아암(266)은 횡단 비임(262)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내향인 각도로 전방으로 신장되므로, 아암은 업셋에서 종료되어 전방으로 수렴하거나 전방의 방사방향 접촉면(278)에 수렴한다. 상기 접촉면(278)은 수형 부재 업셋(222)의 후방의 방사방향 환형 면(223)과 접촉된 상태로 배치된다.
각각의 로킹 아암(266)은 커넥터 본체(214)의 림(240)의 방사방향 환형 로킹 표면(238)과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는 후방 접촉면(284)을 포함한다.
각각의 로킹 아암(266)은 방사방향 접촉면(278)과 후방 접촉면(284) 사이에 상부 램프형 표면(280)을 갖는다. 각각의 아암(266)은 원통면(290)에서 종료되는 전방으로 각진 내측면(288)을 갖는다. 상기 전방으로 각진 내측면(288)은 튜브에 리테이너(216)의 설치시 단단한 수형 부재(212)의 업셋(222)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접촉은 링(256)의 후방면(260)과 로킹 아암(266)의 전방 또는 후방 접촉면(278) 사이의 공간으로 업셋(222)의 통로를 허용하기 위해, 로킹 아암을 펼친다.
링(256)의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60)과 방사방향 접촉면(278) 사이의 축방향 이격거리는 업셋(222)의 축방향 거리 보다 미세하게 길다. 즉, 커넥터가 조립되었을 때, 업셋(222)은 로킹 아암(266)의 방사방향 전방 접촉면(278)과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6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외측 스페이서 또는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도8 내지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전방의 축방향 단부에 환형 링(292)을 포함한다. 상기 링(292)은 보어(230)의 밀봉부재 수용부(250)의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44)에 파일럿 상태로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는 크기를 갖는다. 내측의 원통형 보어면(298)은 튜브(220)의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에 파일럿 상태로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는 크기를 갖는다. 링(292)은 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접촉면(294)을 갖는다.
4개의 다리(300)는 링(292)의 후방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또한 방사방향 외측으로 신장된다. 각각의 다리(300)는 램프형 상부면(304)과, 후방 접촉면(308)과, 원추형 바닥면(310)을 갖는다.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4개의 신장된 슬롯(302)은 인접한 각각의 다리(300) 사이에 형성되어, 링(292)으로 신장된다. 상기 슬롯(302)은 다리(300)가 링(292)에 대해 방사방향 내측으로 굴곡될 수 있게 한다.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환형의 삽입 원통부(315)는 환형 링(292)으로부터 다리(3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후방으로 신장된다. 이것은 내측 원통형 보어면(298)의 신장부인 내측 원통면을 포함한다. 또한, 원통부(315)는 후방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을 포함한다.
전방으로 대면하는 접촉면(294)과 후방 방사방향 삽입면(317) 사이에서 외측 스페이서(217)의 전체 길이는 전방으로 대면하는 접촉면(294)과 다리(300)의 후방 접촉면(308) 사이의 축방향 이격거리 보다 길다. 이러한 전체 길이는 보어(230)의 밀봉부재 수용부(250)의 원추면(246)과 접촉하고 있는 다리(300)의 램프형 상부면(304)에 의해 후방 방사방향 삽입면(317)이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표면(258)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호관계로 인해, 방사방향 밀봉부재 지지면(239)의 전방으로 밀봉부재 리테이너의 삽입은 튜브 리테이너(216)를 통해 이에 부여된 축방향 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상호관계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지향된 다리에 그 어떤 축방향 힘이 부여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밀봉부재 지지면(239)의 전방으로의 삽입시 다리가 튜브(220)를 향해 방사방향 내측으로 굴곡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원통형 밀봉면(244)과 외측 원통면(293)의 파일럿 상태와, 수형 부재(212)의 튜브(220)의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과 내측 원통면(298)의 파일럿 상태와, 전방으로 대면하는 접촉면(294)으로부터 후방의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까지 내측 원통형 보어(298)의 축방향 정도는 커넥터 본체(214)의 보어(230)의 내부에서 튜브(220)를 안정하게 한다.
유체 커플링을 완료하기 전에, 밀봉 및 리테이너 부품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부재(212)에 배치된다. 커플링을 완료하기 위해, 정위치에 리테이너(216)와 밀봉부재 리테이너(217) 및 밀봉부재 조립체(218)를 갖는 튜브(220)는 시스템 부품(214)의 보어(230)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수형 부재(212)의 축방향 전방 이동은 필요한 축방향 힘을 관련의 부품에 부여하는데 효과적이다. 조립을 완료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7)을 통과시켜 원통형 릴리프(251)에 인입된 후 후방 접촉면(308)을 방사방향 밀봉부재 리테이너 로킹 표면(239)과 접촉 상태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다리가 방사방향 내측으로 굴곡되어야만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림(240)에서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6)을 통과시켜 로킹 아암(266)의 후방 접촉면(284)을 림(240)의 방사방향 환형 접촉면 또는 로킹 표면(238)과 접촉 상태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튜브 리테이너(216)의 로킹 아암(266) 이 튜브(220)의 원통면(225)을 향해 방사방향 내측으로 굴곡되어야만 한다.
업셋(222)은 튜브 리테이너(216)의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60)과 전방의 방사방향 접촉면(278) 사이에 배치된다. 링(256)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각진 환형 면(258)은 외측 스페이서(217)의 삽입 원통부(315)의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과 접촉하고 있다. 튜브(220)에 부여된 축방향 힘은 이러한 접촉상태를 통해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에 분배된다. 특히, 분기형 원추면(258)은 부품들이 튜브(220)의 밀봉면(224)과 동축으로 존재하도록, 삽입 원통부(315)의 삽입면(317)을 통과한 축방향 힘을 집중시킨다. 더구나, 튜브 리테이너(216)는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다리(300)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다리가 리브(241)를 초월할 때 다리(300)의 방사방향 내향 굴곡을 저지하거나 저항하는 힘을 피할 수 있다.
수형 부재(212)는 본체 부품(214)의 보어(230)의 내부로 축방향으로 가압된다. 튜브(220)의 자유단부는 원통형 튜브 수용면(254)에 인입된다. O링(219) 및 스페이서(215)를 갖는 밀봉부재 조립체(218)는 보어(230)의 원통형 밀봉면(244) 및 튜브(220)의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과 밀봉 접촉하고 있는 O링을 갖는 밀봉 수용부(250)에 인입된다. 외측 스페이서 또는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외측 원통면(293)은 보어(230)의 원통형 밀봉면(244)에 인입된다. 이것은 다리(300)의 램프형 상부면(304)이 원추면(246)과 접촉할 때 완전히 삽입된다. 이렇게 위치되었을 때, O링(219)은 보어(230)에서 최전방 방사방향 환형 면(252)에 인접하여 있으며, 후방 접촉면(308) 또한 방사방향 밀봉부재 리테이너 로킹 표면(239)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튜브 리테이너(216)의 로킹 아암(266)은 림(240)을 클리어하 고, 보어(230)의 리테이너 수용부(249)의 내부에서 방사방향 외측으로 펼쳐진다. 로킹 아암(266)의 후방 접촉면(284)은 유체 커플링을 고정하기 위해 로킹 표면(238)에 대해 접촉된 상태로 이동된다.
본 발명은 유체 경로를 완성하기 위해 시스템 부품(214)에 차후 삽입될 수 있도록 수형 부재(212)에 지지 및 밀봉 조립체 부품의 예비조립을 시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호캡(300)이 제공된다.
도12 및 도13은 튜브(220)의 단부상에서의 예비조립을 위해 부품들을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 캡(332)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캡은 나일론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폴리머 물질 또는 또는 기타 다른 적절한 물질로 성형된다. 상기 보호캡(332)은 일반적으로 환형이며, 폐쇄된 전방 단부(335)를 갖는 중공 슬리브(334)를 포함한다. 캡(332)은 전방 원추부(338) 및 후방 원통부(340)를 갖는 슬리브(334)의 후방으로 이격된 환형 링(336)을 포함한다. 서로 대향하여 대각선으로 배치된 두개의 컬럼(352)은 슬리브(334)의 환형 후방 단부(335)를 링(336)의 원추부(338)에 연결한다.
슬리브(334) 및 환형 링(336)은 축방향 중심선에 대해 동축이다. 중공 슬리브(334)는 수형 부재(212)의 튜브(220)의 원통형 밀봉면(224)의 직경 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을 갖는 내측 보어(342)를 형성한다. 이것은 서브조립체가 수형 부재(212)에 부착될 때, 튜브(220)의 원통형 밀봉면(224)의 일부와 튜브 단부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보호캡(332)의 링(336)의 후방 원통부(340)는 입구 개구(350)로부터 신장되는 보어를 형성한다. 리테이너(216) 및 밀봉부재 조립체(218)가 보호캡(332)의 내 부에 배치될 때, 링(336)은 일반적으로 리테이너(216)의 로킹 아암(266) 위에 놓인다. 링(336)의 일부(340)의 내측 원통형 보어는 일반적으로 튜브 리테이너(216)의 로킹 부재(286)의 횡단 비임(262) 위에 놓인다. 전방 원추부(338)의 내측 원추면은 로킹 아암(266)의 상부 램프형 표면(280) 바로 위에 놓이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원추부(338)는 리테이너(216)를 튜브(220) 위에 축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원추부는 그 방사방향 외측 단부 근처에서 상부 램프형 표면(280)에 축방향 힘을 부여한다. 리테이너의 굴곡성은 전방 접촉면(278)과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60) 사이의 위치로 업셋(220)을 통과시키기 위해, 로킹 아암(266)이 방사방향 외측으로 굴곡될 수 있게 한다.
컬럼(352)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여 대각선으로 배치된 두개의 고정 클립(354)은 슬리브(334)의 축방향 후방 단부로부터 방사방향 외측으로 신장된다. 각각의 고정 클립(352)은 협소한 방사방향 목부(356)에 의해 슬리브(334)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기(358)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에 의해 고정 클립(354)은 보호캡(332)의 나머지에 대해 굴곡될 수 있다. 클립은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표면(367)을 형성한다.
방사방향 내측으로 대면하는 후크(360)는 각각의 작동기(358)의 목부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신장된다. 상기 후크(360)는 보호캡(332)을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에 해제가능하게 연결한다. 후크(360)는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의 후방 방사방향 환형 면(260)을 파지하는 방사방향 엣지(362)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는 엣지(362)로부터 목부(356)의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표 면(367)으로 신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은 후방 방사방향 표면(367)과 리테이너(216)의 링(256)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표면(258) 사이의 외측 스페이서 또는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와 함께, O링(219) 및 스페이서(215)를 포함하는 밀봉부재 조립체(218)를 축방향으로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링(256)의 방사방향 표면(258)은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삽입면(317)과 접촉상태에 있다. O링 밀봉부재(219)는 목부(356)를 축방향으로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압축된다. 이러한 관계는 후크(360)의 엣지(362)가 튜브 리테이너(216)에서 표면(260)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축방향 편의력을 캡(332)에 배치시킨다.
밀봉부재 조립체(218)와 외측 스페이서(217) 및 리테이너(216)를 튜브(220)에 설치한 후, 상기 캡은 슬리브(334)를 향해 작동기(358)의 방사방향 내측 편향에 의해 조립체로부터 해제된다. 이러한 동작은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으로부터 후크(360)의 엣지(362)를 분리시킨다. 그후, 상기 캡은 본체 부품(214)의 보어(230)로의 삽입 준비를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의 서브조립체와 밀봉 및 지지 요소를 남기면서 수형 부재(212)로부터 재이동될 수 있다.
수형 부재(212)에 삽입되는 밀봉부재 조립체(218)와 밀봉 리테이너(217)와 리테이너(216)에 의해, 상기 서브조립체는 부품 본체(214)의 보어(230)에 삽입되어, 유체 기밀연결을 형성한다. 튜브(220)는 보어(230)내로 축방향 전방으로 가압된다. 밀봉부재 조립체 또는 밀봉팩(218)은 본체 부품(214)의 원통형 밀봉면(244)에 인입되고,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은 리테이너 부재 수용부(249)내로 입 구 개구(232)를 통과한다.
축방향 전방 기동력은 업셋(222)에 의해 링(256)에 분배된다. 순서에 따라,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표면(258)은 밀봉부재 리테이너 또는 외측 스페이서(217)의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삽입 원통부(315)의 후방 방사방향 환형 면(317)과 접촉한다. 모든 축방향 전방 삽입력은 로킹 다리(300)를 포함하지 않고 삽입 원통부(315)를 통해 링(292)에 분배된다. 상기 다리(300)는 리브(241)에서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7)을 통과하는 방사방향 내측 편향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그 결과, 다리(300)를 방사방향 밀봉부재 로킹 표면(239)과 접촉된 접촉면(308)에 배치하는데 필요한 힘이 최소화되며, 모든 삽입력은 설정의 한계치 아래로 유지된다.
O링 밀봉부(219)를 갖는 밀봉부재 조립체(218)는 최전방 방사방향 환형 면(246)에 인접한 원통형 밀봉면(244)의 내부에 배치된다. 환형 스페이서(215)는 O링(219)의 후방에 배치된다. 밀봉부재 리테이너(217)가 축방향 전방으로 커넥터 본체(214)의 내부로 가압될 때, 각각의 다리(300)의 램프형 상부면(304)은 리브(241)에서 중간의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7)과 모따기(245)에 접촉한다. 다리(300)는 환형 링(292)에 대해 방사방향 내측으로 굴곡된다. 다리(300)가 중간의 원통면(237)을 초월한 후, 상기 다리(300)는 방사방향 환형 밀봉부재 지지 로킹 표면(239)과 접촉대면하는 상태인 다리(300)의 후방 접촉면(308)을 갖는 위치로, 밀봉부재 리테이너 수용부(247)의 내부에서 방사방향 외측으로 튕겨진다. 다리는 원통형 릴리프(251)에 배치되며, 다리(300)의 램프형 상부면(304)의 일부는 커넥터 본체(214)의 원추면(243)에 대해 대면하는 상태로 미세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링(292)은 커넥터 본체(214)의 밀봉 수용부(250)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밀봉부재 리테이너 수용부(247) 및 커넥터 본체(214)의 밀봉부재 수용부(250)의 내부에서 방사방향 및 축방향으로 억제된다. 리테이너(217)의 링(292)은 원통형 밀봉면(244)의 내부에서 미세하게 이격된 파일럿 상태로 배치된다. 다리(300)의 램프형 상부면(304)의 전방부는 축방향 전방 이동에 대응하여 스페이서(217)를 지지하기 위해 원추면(246)과 접촉한다. 다리(300)의 후방 접촉면(308)은 방사방향 환형 밀봉부재 지지면(239)과 접촉하며, 축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으로부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를 지지한다.
O링(219)은 커넥터 본체(214)의 밀봉 수용부내에 억제된다. O링(219)의 외경 표면은 커넥터 본체(214)의 원통형 밀봉면(244)과 접촉하며, 커넥터 본체(214)의 원통형 밀봉면(244)에 대해 미세하게 압축된다. O링(219)은 최전방 방사방향 환형 면(252)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스페이서(215)의 전방 대향면(226)에 대해 접촉대면한다. 스페이서(215)의 후방 방사방향 환형 면(227)은 축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으로부터 밀봉팩(218)을 억제하기 위해, 전방으로 대면하는 접촉면(294)과 접촉되어 있다.
밀봉 리테이너가 이렇게 배치되므로써, 유체 압력에 의해 밀봉부재 조립체(218)에 부여된 축방향 부하는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에 전달된다. O링상의 후방 축방향 힘은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전방 대향면(294)으로 지향된다. 이러 한 축방향 힘은 다리(300)의 방사방향 후방 접촉면(308)이 방사방향 환형 부재 지지면(239)과 접촉되게 한다.
예비조립된 부품에 수형 부재(212)의 계속적인 축방향 삽입은 입구 개구(232)를 통해 로킹 부재(266)의 자유단부를 가압한다. 리테이너(216)의 아암(266)이 커넥터 본체(214)의 입구 개구(232)에 삽입됨에 따라, 각각의 아암(266)의 상부 램프형 표면(280)은 림(240)의 원통면(236) 및 모따기(234)와 접촉한다. 축방향 내측으로의 리테이너(216)의 삽입은 아암(266)이 튜브 표면(225)을 향해 방사방향 내측으로 굴곡되게 한다. 리테이너(216)의 아암(266)이 커넥터 본체(214)의 리테이너 수용부(249)에 삽입된 후, 아암(266)은 방사방향 외측으로 튕겨지고, 리테이너(216)는 커넥터 본체(214)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적절히 삽입된 위치에서, 리테이너(216)는 커넥터 본체(214)의 림(240)에 억제된다. 림(240)의 모따기(242) 및 원통면(236)은 리테이너(216)의 채널(265)에 배치된다. 링(256)은 리브(241)의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면(237)에서 직경감소된 원통부(257)에 배치되며, 링(256)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면(259)은 계속적인 축방향 전방 이동으로부터 리테이너(216)를 제한하기 위해 본체(214)의 방사방향 환형 면(243)에 대해 대면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로킹 아암(266)은 보어(230)의 리테이너 수용부(249)의 내부에 배치되며, 로킹 아암(266)의 후방 접촉면(284)은 리테이너(216)가 축방향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테이너 수용부(249)의 내부에서 방사방향 환형 접촉면 또는 로킹 표면(238)과 접촉한다. 따라서, 리테이너(216)는 림(240)에서 본체(214)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렇게 조립되었을 때, 튜브(220)와 부품 본체 사이에는 완벽한 유체 커플링이 달성된다. 이러한 유체 커플링은 고압용으로 적합하며,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 등과 같은 시스템에서 고압 유체인 경우라도 또한 시스템내에서의 빈번한 압력 요동인 경우라도 유체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튜브(220)의 분리는 튜브(220)의 원통면(225)을 따라 삽입된 적절한 해제 공구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구는 튜브(220)의 업셋(22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외측면이 구비된 환형 형태를 취한다. 튜브면(225)을 따라 리테이너(216)에 환형 부재를 삽입하면 로킹 아암(266)은 보어(230)의 리테이너 수용부(249)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아암(266)이 방사방향 외측으로 충분히 변형되었을 때, 튜브(220)는 후퇴되고, 업셋(222)은 리테이너(216)와의 결합을 벗어나 후방으로 자유롭게 통과된다.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재조립하기 위해, 수형 부재(212)가 입구 개구(232)를 통해 축방향 내측으로 삽입된다. 수형 부재(212)의 자유단부는 리테이너(216)의 링(256)과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내측 보어(298)와 환형 밀봉부재 조립체(218)를 통과한다. 이러한 부품들은 튜브(220)의 원통형 밀봉면(224)을 둘러싼다. 수형 부재(212)의 업셋(222)은 아암(266)의 전방으로 각진 내측면(288)과 접촉된다. 업셋(222)의 직경이 내측면(288) 부분의 직경 보다 크기 때문에, 수형 부재(212)의 축방향 전방으로의 삽입은 아암(266)이 방사방향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한다. 일단 수형 부재(212)가 축방향 내측으로 충분히 삽입되어 업셋(222)이 아암(266)을 초월하였다면, 아암(266)은 방사방향 내측으로 튕겨진다. 이때 튜브(220)의 자유단부는 본체(214)의 튜브 수용부(248)의 표면(254)에 배치되고, 이러한 표면내에서 파일럿된다.
튜브 리테이너(216) 및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PEEK 로 알려진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처럼 충분한 강도의 폴리머 물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테이너 및/또는 밀봉부재 리테이너를 성형하는데 적적한 PEEK 는 Victrex PEEK TM 450G 가 유용하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1은 부품 보어에 설치하기 전에, 커넥터 요소를 갖는 튜브와 연료 시스템 부품의 단면도.
도2는 부품 보어에 조립된 커넥터와 튜브를 갖는 연료 시스템 부품의 측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신속 커넥터의 튜브 리테이너에 대한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튜브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튜브 리테이너의 평면도.
도6은 도5의 선6-6을 따른, 도3의 튜브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7은 도6의 선7-7을 따른, 도3의 튜브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8은 도1에 도시된 신속 커넥터 실시예의 밀봉부재 리테이너 또는 외측 스페이서의 측면도.
도9는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45°회전한, 도8에 도시된 밀봉부재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10은 도8에 도시된 밀봉부재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11은 도10의 선11-11을 따른, 도8의 밀봉부재 리테이너의 측단면도.
도12는 시스템 부품에 설치하기 전, 도1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리테이너, 밀봉부재 리테이너, 밀봉부재 조립체, 수형 부재를 둘러싸는 보호캡의 측면도.
도13은 도12의 선13-13을 따른, 도12의 보호캡의 단면도.
Claims (15)
- 유체 커플링 조립체(210)에 있어서,방사방향 내측으로 신장되는 림(240)에 의해 형성되는 입구 개구(232)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보어(230)를 형성하는 커넥터 본체(214)와,상기 커넥터 본체(214)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커넥터 본체(214)의 리테이너 수용부(249)내의 튜브 리테이너(216)와,상기 커넥터 본체(214)의 밀봉부재 수용부(250)에서 원통형 밀봉면(224)에 밀봉되는 보어(230)내에 배치된 밀봉부재(219)와,상기 밀봉부재(219)와 리브(241) 사이에서 상기 보어(23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된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를 포함하며,상기 커넥터 본체(214)는 림(240)의 축방향 전방으로 상기 보어(230)내에서 방사방향 내측으로 신장되는 환형 리브(241)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본체(214)는 림(240)과 리브(241) 사이에 리테이너 수용부(249)와, 상기 리브(241)의 전방에 원통형 밀봉면(224)을 갖는 밀봉부재 수용부(250)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216)는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58)을 갖는 링(256)을 포함하며;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밀봉부재 수용부(250)에 밀봉부재(219)를 지지하며;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환형 링(292)과, 적어도 하나의 후방 접촉면(308)과, 상기 후방 접촉면(308)의 후방에 후방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을 갖는 삽입 원통부(3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241)는 방사방향 환형 밀봉부재 리테이너 로킹 표면(239)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링(292)으로부터 후방으로 또한 방사방향 외측으로 신장되는 다수의 다리(300)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다리는 리브(241)의 밀봉부재 리테이너 로킹 표면(239)과 접촉되는 후방 접촉면(308)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링(292)은 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접촉면(294)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접촉면(294)으로부터 후방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 까지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길이는 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접촉면(294)과 상기 다리(300)의 후방 접촉면(308) 사이의 축방향 이격거리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을 갖는 단단한 수형 부재(212)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삽입 원통부(315)와 링(292)은 상기 링(292)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접촉면(294)과 후방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 사이에서 신장되는 내측 원통형 보어(298)를 형성하며,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수형 부재(212)의 원통형 밀봉면(224)과 미세하게 이격된 파일럿 상태로 내측 원통형 보어(298)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212)는 그 단부로부터 이격된 방사방향 환형 업셋(222)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 리테이너(216)는 업셋(222)과 접촉 상태인 전방 방사방향 접촉면(278)을 갖는 다수의 아암(266)과, 상기 림(240)과 접촉 상태인 후방 접촉면(2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환형 스페이서(215)를 갖는 밀봉부재 조립체(218)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219)는 본체(214)의 보어(230)의 원통형 밀봉면(224)과 수형 부재(212)의 원통형 밀봉면(224)과 밀봉 상태인 O링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 스페이서(215)는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링(292)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접촉면(294)과 O링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58)은 전방으로 또한 방사방향 외측으로 분기되는 원추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4)는 원추면(243)에 이어지는 방사방향 환형 밀봉부재 리테이너 로킹 표면(239)의 전방에 원통형 릴리프(251)를 포함하며, 상기 원추면은 전방으로 수렴되어 상기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형 밀봉면(244)에 합병되고,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다리(300)의 후방 접촉면(308)은 원통형 릴리프(251)에 배치되고, 상기 다리(300)의 일부는 원추면(243)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 방사방향 내측으로 신장되는 림(240)에 의해 형성되는 입구 개구(232)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보어(230)를 형성하는 커넥터 본체(214)와, 상기 커넥터 본체(214)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 커넥터 본체(214)의 리테이너 수용부(249)내의 튜브 리테이너(216)와, 상기 커넥터 본체(214)의 보어(230)의 밀봉부재 수용부(250)에서 원통형 밀봉면(224)과 밀봉 상태인 보어(230)내에 배치된 밀봉부재(219)와, 상기 밀봉부재(219)와 리브(241) 사이에서 상기 보어(23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된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214)는 림(240)의 축방향 전방으로 상기 보어(230)내에서 방사방향 내측으로 신장되는 환형 리브(241)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본체(214)는 림(240)과 리브(241) 사이에 리테이너 수용부(249)와, 상기 리브(241)의 전방에 원통형 밀봉면(224)을 갖는 밀봉부재 수용부(250)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216)는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58)을 갖는 링(256)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밀봉부재 수용부(250)에 밀봉부재(219)를 지지하며;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환형 링(292)과, 적어도 하나의 후방 접촉면(308)과, 상기 후방 접촉면(308)의 후방에 후방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을 갖는 삽입 원통부(315)를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210)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상기 본체(214)의 보어(230)의 축방향 전방에서 튜브 리테이너(216)를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58)을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삽입 슬리브(315)의 후방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과 접촉시키므로써,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를 본체(214)의 보어(230)의 위치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형성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241)는 방사방향 환형 밀봉부재 리테이너 로킹 표면(239)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링(292)으로부터 후방으로 또한 방사방향 외측으로 신장되는 다수의 다리(300)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다리는 리브(241)의 밀봉부재(219) 로킹 표면(238)과 접촉 상태로 되기 위해 후방 접촉면(308)을 포함하며,상기 다리(300)의 후방 접촉면(308)이 환형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본체(214)의 로킹 표면(239)과 접촉될 때까지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를 축방향 전방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형성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밀봉면(224)을 둘러싸는 업셋(222)의 전방에 상기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을 갖는 수형 부재(212)상에 튜브 리테이너(216)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58)과 접촉 상태인 상기 삽입 원통부(315)의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을 갖는 튜브의 원통형 밀봉면(224)상에 상기 밀봉부재(219) 및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형 부재(212)를 본체(214)의 보어(230)에 전방으로 축방향으로 가압하므로써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다리(300)의 후방 접촉면(308)을 상기 리브(241)의 밀봉부재(219) 로킹 표면(238)과 접촉 상태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커플링은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과 그 단부로부터 이격된 환형 업셋(222)을 갖는 단단한 수형 부재(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 조립체 형성 방법.
- 신속 커넥터 유체 커플링을 위한 예비조립된 서브조립체에 있어서,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58)과 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면(260)이 구비된 링(256)을 포함하는 튜브 리테이너(216)와,밀봉부재 조립체(218)와,후방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을 포함하며 환형 링(292)과 삽입 원통부(315)가 구비된 분리된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와,중공의 슬리브(334)와, 상기 슬리브(334)로부터 이격된 환형 링(336)과, 상기 슬리브(334)와 링(336)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컬럼과, 협소한 목부(356)에 의해 상기 슬리브(334)에 각각 고정되는 이격된 고정 클립(354)을 갖는 보호캡(332)을 포함하며,상기 클립 각각은 작동기(358)와, 상기 목부(356)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되는 방사방향 내측으로 대면하는 후크(360)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356)는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표면(367)을 형성하고; 상기 후크(360)는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표면(367)으로 신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방사방향 엣지(362)를 포함하며; 상 기 밀봉부재 조립체(218)와,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삽입 원통부(315) 및 환형 링(292)과, 상기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은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환형 면(258)과 접촉 상태인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삽입 원통부(315)의 후방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을 갖는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유체 커플링을 위한 예비조립된 서브조립체.
- 제11항에 있어서, 밀봉부재 리테이너(217)의 링(256)은 밀봉부재 조립체(218)와 접촉 상태인 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접촉면(294)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360)의 방사방향 엣지(362)는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의 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면(260)과 접촉 상태이며, 상기 밀봉부재 조립체(218)는 목부(356)의 후방으로 대면하는 방사방향 표면(367)과 상기 링(292)의 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접촉면(29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유체 커플링을 위한 예비조립된 서브조립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 리테이너(217)는 링(292)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되는 다수의 다리(261)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각각은 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접촉면(294)과 상기 후방 방사방향 환형 삽입면(317) 중간에 배치되는 후방 접촉면(3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유체 커플링을 위한 예비조립된 서브조립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리테이너(216)는 상부 램프형 표면(280)을 형성하는 튜브 리테이너(216)의 링(256)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또한 후방으로 신장되는 다수의 로킹 아암(266)을 포함하며, 캡(332)의 환형 링(336)은 튜브 리테이너(216)의 로킹 아암(266) 위에 놓이며, 상기 환형 링(336)은 상부 램프형 표면(280) 위에 놓이는 전방 원추부(3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유체 커플링을 위한 예비조립된 서브조립체.
- 제11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과 그 단부로부터 이격된 방사방향 환형 업셋(222)을 갖는 단단한 튜브를 부가로 포함하며, 보호캡(332)의 중공 슬리브(334)는 외측 원통형 밀봉면(228)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며, 환형 링(292) 및 환형 삽입 원통부(315)는 수형 부재(212)의 외측 원통형 밀봉면(224)을 둘러싸며, 상기 튜브 리테이너의 링(256)의 후방으로 대면하는 환형 면(260)은 업셋(222)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유체 커플링을 위한 예비조립된 서브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126,360 US8113548B2 (en) | 2005-06-30 | 2008-05-23 |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
US12/126,360 | 2008-05-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2140A KR20090122140A (ko) | 2009-11-26 |
KR101594615B1 true KR101594615B1 (ko) | 2016-02-26 |
Family
ID=4121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4527A KR101594615B1 (ko) | 2008-05-23 | 2009-05-21 | 고압용 신속 커넥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8113548B2 (ko) |
JP (1) | JP5345446B2 (ko) |
KR (1) | KR101594615B1 (ko) |
CN (1) | CN101586725B (ko) |
BR (1) | BRPI0901739B1 (ko) |
DE (1) | DE102009022098B4 (ko) |
FR (1) | FR29315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361032B1 (en) | 2008-10-13 | 2013-04-17 | Ethicon, Inc | Quick disconnect fluid connector |
US9592373B2 (en) * | 2008-10-13 | 2017-03-14 | Ethicon, Inc. | Fluid connector for endoscope reprocessing system |
AU2009303649B2 (en) | 2008-10-13 | 2015-10-29 | Ethicon, Inc. | Endoscope channel separator |
DE102010019673A1 (de) * | 2010-05-07 | 2011-11-10 | Wabco Gmbh | Fluidgehäuse mit einem Leitungsanschluss |
DE102010040218B4 (de) | 2010-09-03 | 2021-07-22 | Robert Bosch Gmbh | Dämpfungselement einer Kolbenpumpe |
EP2650586B1 (de) * | 2012-04-11 | 2015-02-25 |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 Druckspeicher mit einer Verbindungsvorrichtung |
US10537347B2 (en) | 2013-04-16 | 2020-01-21 |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 Needlescopic instrument with reusable handle and detachable needle assembly |
US10856901B2 (en) | 2013-09-18 | 2020-12-08 |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 Exchanger surgical access por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
EP3071131B1 (en) | 2014-07-15 | 2019-02-27 |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 Exchanger surgical access port assembly |
CN107002927A (zh) * | 2014-11-20 | 2017-08-01 |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 快速连接器 |
KR102636742B1 (ko) * | 2016-12-27 | 2024-02-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유압튜브 커넥터 |
US10816121B2 (en) | 2017-05-09 | 2020-10-27 |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
DE102019129542A1 (de) | 2019-10-31 | 2021-05-06 | Norma Germany Gmbh | Schnellverbinder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verbesserter Dichtringarretierung |
EP3978777B1 (en) * | 2020-09-30 | 2023-11-29 | ZF CV Systems Europe BV | Brake pad of a vehicle brake, vehicle brak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vehicle brake |
CN112555539A (zh) * | 2020-12-25 | 2021-03-26 | 常州同敏机械科技有限公司 | 分体快插式软管接头 |
WO2023249656A1 (en) | 2022-06-22 | 2023-12-28 | Oetiker Ny, Inc. | Retainer assembly for engaging a tube endform within a quick connect assembly |
CN218480295U (zh) * | 2022-09-27 | 2023-02-14 | 无锡市金华屹圆科技有限公司 | 一种管件连接器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37190U (ko) * | 1980-08-13 | 1982-02-26 | ||
US5626371A (en) * | 1990-01-16 | 1997-05-06 | Bartholomew; Donald D. | Quick connector with one-piece retainer |
US5324082A (en) * | 1991-08-29 | 1994-06-28 | Bundy Corporation | Positive transition quick connect coupling |
US5161833A (en) * | 1991-08-29 | 1992-11-10 | Huron Products Industries, Inc. | Positive transition quick connect coupling |
US5257833A (en) * | 1991-09-25 | 1993-11-02 | Bundy Corporation | Metal retainer for quick connect tubing connector |
US5161832A (en) * | 1991-10-16 | 1992-11-10 | Huron Products Industries, Inc. | Plastic retainer for fluid coupling |
US5779279A (en) * | 1994-05-24 | 1998-07-14 | Proprietary Technology, Inc. | Connection verification and secondary latch device |
US5628531A (en) * | 1995-04-26 | 1997-05-13 | Bundy Corporation |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
DE19540784A1 (de) * | 1995-11-02 | 1997-05-07 | Raymond A Gmbh & Co Kg | Lösbare Steckverbindung zur Aufnahme eines rohrförmigen Einsteckteils |
JP2880453B2 (ja) * | 1996-06-07 | 1999-04-12 | 三桜工業株式会社 | 配管用継手装置のリテーナ |
US5931509A (en) * | 1996-11-19 | 1999-08-03 | Proprietary Technology, Inc. | Connection verification and secondary latch device |
DE19822574C1 (de) * | 1998-05-20 | 1999-10-14 | Raymond A & Cie | Lösbare Schnellkupplung mit automatischer Montageanzeige |
JP3674390B2 (ja) * | 1998-07-09 | 2005-07-20 |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 クィックコネクターカップリング及び雌ハウジング |
JP2001050457A (ja) * | 1999-08-03 | 2001-02-23 | Smc Corp | 管継手 |
JP2001165377A (ja) * | 1999-12-09 | 2001-06-22 | Koyo Seiko Co Ltd | チューブ用継手 |
DE10126205C1 (de) * | 2001-05-30 | 2002-04-04 | Raymond A & Cie | Lösbare Steckkupplung mit Schutzhülse |
DE20201574U1 (de) * | 2002-02-02 | 2003-06-18 | Voss Automotive GmbH, 51688 Wipperfürth | Aufnahmeteil einer Fluid-Steckkupplung |
US7029036B2 (en) * | 2004-03-09 | 2006-04-18 |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 Rotatable two part quick connection |
DE20213961U1 (de) * | 2002-09-09 | 2004-02-12 | Voss Automotive Gmbh | Aufnahmeteil einer Fluid-Steckkupplung |
EP1561990B1 (en) * | 2004-02-05 | 2008-08-20 |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
US7344166B2 (en) * | 2004-02-05 | 2008-03-18 |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
CN100588866C (zh) * | 2004-09-13 | 2010-02-10 | Ti集团车辆系统有限责任公司 | 用于高压应用场合的快速连接器 |
US7472931B2 (en) * | 2004-09-13 | 2009-01-06 |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 Coupling assembly for tubing and hose connections |
US7488005B2 (en) * | 2004-09-13 | 2009-02-10 |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
DE102006062894B4 (de) * | 2005-06-30 | 2011-12-15 |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 Schutzkappe |
US7695022B2 (en) * | 2005-06-30 | 2010-04-13 | Eaton Corporation | Fluid coupling cap |
JP4886535B2 (ja) * | 2007-01-30 | 2012-02-29 |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 コネクター用キャップ |
-
2008
- 2008-05-23 US US12/126,360 patent/US8113548B2/en active Active
-
2009
- 2009-05-20 DE DE102009022098.4A patent/DE102009022098B4/de active Active
- 2009-05-20 FR FR0953357A patent/FR2931534B1/fr active Active
- 2009-05-21 KR KR1020090044527A patent/KR10159461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5-22 JP JP2009123841A patent/JP5345446B2/ja active Active
- 2009-05-22 CN CN2009101437062A patent/CN101586725B/zh active Active
- 2009-05-25 BR BRPI0901739-9A patent/BRPI0901739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113548B2 (en) | 2012-02-14 |
KR20090122140A (ko) | 2009-11-26 |
BRPI0901739A2 (pt) | 2010-01-26 |
BRPI0901739B1 (pt) | 2020-06-02 |
CN101586725A (zh) | 2009-11-25 |
DE102009022098B4 (de) | 2020-12-24 |
JP2009281591A (ja) | 2009-12-03 |
US20080224467A1 (en) | 2008-09-18 |
JP5345446B2 (ja) | 2013-11-20 |
DE102009022098A1 (de) | 2009-11-26 |
CN101586725B (zh) | 2013-10-30 |
FR2931534A1 (fr) | 2009-11-27 |
FR2931534B1 (fr) | 2016-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4615B1 (ko) | 고압용 신속 커넥터 | |
KR101227251B1 (ko) | 급속 커넥터 | |
KR101289996B1 (ko) | 고압 장치용 신속 커넥터 | |
US20100052315A1 (en) |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lateral stabilization | |
EP1561990B1 (en) |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 |
KR101505678B1 (ko) | 서비스불가능한 유체 커플링 | |
JP5289804B2 (ja) | 高圧用のクイックコネクタ | |
US7344166B2 (en) |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 |
JP3715532B2 (ja) | 管と剛性要素との間の迅速結合装置 | |
CA2157429C (en) | Quick connector with tube activated check valve | |
US8555480B2 (en) | Two part coupling connected by a clip | |
US7481465B2 (en) |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assembly tool and method | |
US7089645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 pressure fluid quick connect | |
US7249787B1 (en) | Reinforcement for a hose coupling | |
WO2011063211A1 (en) | Verification pin | |
EP1653143A1 (en) | Fluid quick connector with adapter | |
EP1865245A1 (en) |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 |
WO2020165625A1 (en) | Quick connector with verifier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