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127A - 차량용 공기 배출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 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127A
KR20060051127A KR1020050083856A KR20050083856A KR20060051127A KR 20060051127 A KR20060051127 A KR 20060051127A KR 1020050083856 A KR1020050083856 A KR 1020050083856A KR 20050083856 A KR20050083856 A KR 20050083856A KR 20060051127 A KR20060051127 A KR 20060051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sliding element
vanes
vehicle
vehic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인하르트 크라우제
사비네 스타인바스
Original Assignee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51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유출 채널과 수 개의 작동 요소를 포함하고, 이 작동 요소는 공기 흐름의 체적 유량과 유출 방향을 조절하고, 수평 베인(16)을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딩 요소(14)와, 수직 베인(20)을 이동시키는 제2 슬라이딩 요소(18)와, 차단 플랩(24)을 이동시키는 제3 슬라이딩 요소(22)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요소(14, 18, 2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특히, 차량용 공기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 배출구{AIR VENT, IN PARTICULAR FOR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출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이 없는 상태의 도 1의 공기 배출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배출구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공기 배출구
12 : 블라인드
14, 18, 22 : 슬라이딩 요소
16 : 수평 베인
20 : 수직 베인
24 : 차단 플랩
26 : 하우징
30 : 포크
34 : 중간 로드
38 : 커플링 로드
52 : 레버
58 : 파스너 요소
본 발명은 공기 배출구 특히, 차량용 공기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 배출구는 다양한 구조로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공기 배출구는 공기 조화 목적으로 차량 내부에 공급된 공기 흐름의 방향과 체적을 원하는 방식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인 구성 요소로는 먼저, 공기 흐름의 체적을 조절하는 차단 플랩(shutoff flap)과, 공기 흐름의 방향을 결정하는 복수 개의 베인(vane)이 있다.
이러한 공기 배출구를 시각적으로 매력이 있는 방식으로 구성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공지되어 있는 작동 휠과, 조절 링과, 그리고 베인과 차단 플랩이 연결되어 있는 내측 레버 또는 베인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버튼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적으로 매력이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 공기 배출구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공기 유출 채널과 수 개의 작동 요소를 포함하고, 이 작동 요소는 공기 흐름의 체적 유량과 유출 방향을 조절하고, 수평 베인(16)을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딩 요소(14)와, 수직 베인(20)을 이동시키는 제2 슬 라이딩 요소(18)와, 차단 플랩(24)을 이동시키는 제3 슬라이딩 요소(22)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요소(14, 18, 2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특히, 차량용 공기 배출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잇점은 특히, 공기 배출구가 컴팩트하고 작동이 용이하게 구성되고, 베인 상에 어떠한 작동 요소도 배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배출구는 라운드형의 블라인드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시각적인 효과가 달성된다. 물론, 블라인드에는 코너부도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이 슬라이딩 요소의 가이드의 한 쪽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포크와 중간 로드를 매개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평 베인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효과적인 결합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크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가이드에서 중간 로드가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가이드 때문에, 간단한 조립이 가능하다.
수평 베인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로드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통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슬라이딩 요소에서 개별적인 베인의 직접 결합을 덜어주고, 이에 따라 컴팩트한 구조가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한 위치에서는 수평 베인이 공기 유출 채널을 완전히 덮는다. 이것은 베인 자체에 어떠한 작동 요소도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공기 배출구의 매력적이고 균일한 시각적 효과가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팅 로드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베인과 연결되고, 이 베인은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로드를 매개로 하여 나머지 수직 베인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슬라이딩 요소에 대한 모든 수직 베인의 직접 결합이 제거되고, 컴팩트한 구성이 보장된다.
수직 베인은 하우징의 적소에 로킹되는 래치 요소를 포함하는 레일을 캐개로 하여 하우징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래치 연결은 신속하고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해 준다.
바람직하게는, 차단 플랩은 하우징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공기 유입 채널을 기밀식으로 폐쇄한다. 따라서, 차량 탑승자가 원한다면, 차량 내부로의 공기 흐름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종속항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겠다.
도 1에는 차량용 배기 시스템의 공기 배출구(10)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 흐름의 방향과 체적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 배출구(10)는 몇 개의 수평 베인(16)과, 수직 베인(20)과, 차단 플랩(24; 도 2 및 도 3 참조)을 포함하고 있다.
공기 배출구(10)는 하우징(26)도 포함하고 있다. 이 하우징(26)은 공기 배출구(10)를 둘러싸고 있다. 하부에서는, 하우징(26)은 직사각형 베이스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에서는 확장되어 있다.
공기 배출구(10)는 공기 유입 채널과 공기 유출 채널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공기 유입 채널은 수직 베인(20)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 수직 베인(20)으로부터 공기 유출 채널이 블라인드(12)까지 연장되어 있다.
차량 탑승자가 볼 수 있는 공기 배출구(10)의 블라인드(12)는 라운드형이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구조를 얻기 위해 측방으로 평탄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홈을 포함하고 있다. 블라인드(12)의 홈에는 슬라이딩 요소(14, 18, 2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슬라이딩 요소는 수평 베인(16)과, 수직 베인(20)과, 그리고 차단 플랩(24; 도 2 및 도 3 참조)과 연관되어 있다.
제1 슬라이딩 요소(14)는 수평 베인(16; 도 2)을 이동시킨다. 이 슬라이딩 요소는 가이드(28)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가이드에서 포크(30)의 하단부 특히, 포크의 핀이 이동할 수 있다. 포크(30)는 가이드(36)를 형성하는 2 이상의 웹(32)을 포함하고 있다. 가이드(36)에는 적어도 하나의 웹(32)에 의해 측방으로 유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평 베인과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로드(34)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수평 베인(16)은 커플링 로드(38)를 매개로 하여 중간 로드(34)에 의해 슬라이딩 요소(14)에 직접 커플링되어 있는 수평 베인(16)에 연결되어 있다.
5 개의 수평 베인(16)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베인들은 그 기하학적 형상이 다르게 구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간 로드(34)와 함께 슬라이딩 요소(14)에 직접 커플링되어 있는 중간부의 수평 베인(16)은 블라인드(12)의 내측 홈의 직경과 공기 유출 채널의 직경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개의 최외측 수평 베인(16)은 최소 길이를 가지고 있고, 사다리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 베인(16)의 구조 때문에, 공기 유출 채널과 라운드형 블라인드(12)의 내측 개구는 완전히 덮혀진다.
제2 슬라이딩 요소(18)는 수직 베인(20)을 이동시키고, 가이드(40)를 포함하고 있다. 이 가이드(40)에 커넥팅 로드(42)의 핀이 맞물린다. 커넥팅 로드(42)는 내측 수직 베인(20)에 커플링되고, 수직 베인(20)의 상부와 맞물려 있다. 외측 수직 베인(20)은 커플링 로드(46)를 매개로 하여 내측 수직 베인(20)에 연결되어 있다. 커플링 로드(46)는 관절부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2 개 이상의 바아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바아 중 하나는 내측 수직 베인(20)에 커플링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외측 수직 베인(20)에 커플링되어 있다. 커플링 로드(46)는 서로를 향해 경사져 있어서, 수직 베인(20)이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커플링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수직 베인(20)의 중간부에는 레일(44)이 배치되어 있고, 수직 베인(20)을 서로에게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레일은 래치 요소(48)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래치 요소에 의해 레일이 하우징(26)에 고정될 수 있다(도 1). 이렇게 함으로써, 래치 요소(48)는 하우징(26)의 홈과 맞물리게 된다.
4 개의 수직 베인(20)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수평 베인(16)에 대체로 직각으로 배치된 채 설치되어 있다. 외측 수직 베인(20)은 폐쇄 위치에서도 하우징(26) 내에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모따기부를 포함하고 있다. 모따기부와 함께 수직 베인(20)은 공기 흐름을 편향시킨다.
제3 슬라이딩 요소(22)는 차단 플랩(24)을 이동시키고, 레버(52)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핀이 맞물려 있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레버(52)는 그 하단부에 반원형 가이드(54)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반원형 가이드(54)에는 차단 플랩(24)의 핀이 맞물려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 플랩(24)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 사각형에 의해, 하우징(26)이 직사각형 구역에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 플랩(24)이 공기 유입 채널을 기밀식으로 폐쇄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차단 플랩(24)은 공기 채널 방향으로 밀봉하는 둘레부를 포함하고 있다.
차단 플랩(24)은 하우징(26)과 맞물려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원통형 돌출부(56)를 더 포함하고, 차단 플랩(24)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도 2 및 도 3에는 블라인드(12)를 하우징(26)에 고정시킬 수 있는 파스너 요소(58)가 도시되어 있다. 이 파스너 요소(58)는 블라인드(12)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슬라이딩 요소(14, 18, 22)의 작동 방식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쉽고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나사식 파스너와 같은 연결 수단이 연결부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슬라이딩 요소(14, 18, 2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위 중앙 위치에 있고, 수평 베인(16)과 수직 베인(20)은 완전히 개방되며, 차단 플랩(24)은 공기 유입 채널을 부분적으로 폐쇄시킨다.
제1 슬라이딩 요소(14) 또는 제2 슬라이딩 요소(18)가 중앙 위치로부터 이동한다면, 수평 베인(16)과 수직 베인(20)은 각각 공기 흐름을 소정의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중앙 위치로부터 제3 슬라이딩 요소(22)가 이동하면, 반원형 가이드(54)의 핀은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공기 유입 채널을 기밀식으로 폐쇄시키거나, 완전히 개방시켜 공기 흐름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공기 배출구에 의하면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컴 팩트하고 작동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간단하고 효과적인 결합을 보장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Claims (14)

  1. 공기 유출 채널과 복수 개의 작동 요소를 포함하고, 이 작동 요소는 공기 흐름의 체적 유량과 유출 방향을 조절하고, 수평 베인(16)을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딩 요소(14)와, 수직 베인(20)을 이동시키는 제2 슬라이딩 요소(18)와, 차단 플랩(24)을 이동시키는 제3 슬라이딩 요소(22)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요소(14, 18, 2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특히, 차량용 공기 배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10)는 라운드형의 블라인드(12)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요소(14)는 이 제1 슬라이딩 요소(14)의 가이드(28) 한 쪽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포크(30)와 중간 로드(34)를 매개로 하여 하나 이상의 수평 베인(16)과 연결되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30)는 중간 로드(34)를 측방으로 유지시키는 2 개의 웹(32)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30)는 가이드(36)를 포함하고, 이 가이드에서 중간 로드(34)가 이동가능한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베인(16)은 하나 이상의 커플링 로드(38)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7. 제3항에 있어서, 수평 베인(16)은 하나의 위치에서 공기 유출 채널을 완전히 덮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딩 요소(18)는 커넥팅 로드(42)의 핀이 맞물려 있는 가이드(40)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42)는 하나 이상의 수직 베인(20)과 연결되고, 수직 베인은 하나 이상의 커플링 로드(46)를 매개로 하여 나머지 수직 베인(20)과 연결되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베인(20)은 레일(44)을 매개로 하여 하우징(26)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은 하우징의 적소에 로킹되는 래치 요소(48)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슬라이딩 요소(22)는 레버(52)를 매개로 하여 차단 플랩(24)과 연결되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12. 제11항에 있어서, 레버(52)는 그 상단부에 슬라이딩 요소(22)의 가이드(50)에서 이동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13. 제11항에 있어서, 레버(52)는 그 하단부에 반원형 가이드(54)를 포함하고, 이 반원형 가이드에서 차단 플랩(24)의 핀이 이동하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랩(24)은 하우징(26)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공기 유입 채널을 기밀식으로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차량용 공기 배출구.
KR1020050083856A 2004-09-09 2005-09-08 차량용 공기 배출구 KR200600511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3696.7 2004-09-09
DE102004043696A DE102004043696A1 (de) 2004-09-09 2004-09-09 Luftausströmer,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127A true KR20060051127A (ko) 2006-05-19

Family

ID=3546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856A KR20060051127A (ko) 2004-09-09 2005-09-08 차량용 공기 배출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44123B2 (ko)
EP (1) EP1634739B1 (ko)
JP (1) JP2006076563A (ko)
KR (1) KR20060051127A (ko)
DE (2) DE102004043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0388A1 (de) * 2006-03-03 2007-09-06 Aurora Konrad G. Schulz Gmbh & Co. Kg Belüftungsvorrichtung
CN101522450A (zh) * 2006-07-27 2009-09-02 国际汽车配件集团北美公司 提供扩散的通风口
DE102008017211A1 (de) * 2008-04-04 2009-10-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Personenanströmer
KR20110081531A (ko) * 2010-01-08 2011-07-1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에어벤트
DE102010014575B3 (de) * 2010-04-12 2011-11-17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Luftausströmer
US9574788B2 (en) * 2011-06-02 2017-02-21 Cary Products Co., Inc. Headliner vent housing
US10113765B1 (en) * 2011-10-03 2018-10-30 Matthew Ryan May Remote controlled vent register
JP6008733B2 (ja) * 2012-12-19 2016-10-19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DE202014100881U1 (de) 2014-02-26 2014-04-07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Luftstroms aus einem Luftausströmer
US9718329B2 (en) 2015-06-15 2017-08-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flow outlet assembly and a passenger compartment for a vehicle
KR101714258B1 (ko) * 2015-11-18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 이동형 스위치 모듈
USD836048S1 (en) 2016-10-26 2018-12-18 Cary Products Co., Inc. Three vane louver
US11034214B2 (en) * 2017-10-04 2021-06-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isplay and ventilation assembly
USD869376S1 (en) * 2018-04-13 2019-12-10 Protective Enclosures Company, Llc Venting device
KR102598528B1 (ko) * 2018-05-16 2023-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USD919076S1 (en) * 2018-12-11 2021-05-11 Doosan Infracore Co., Ltd. Air vent cap
DE102020101914A1 (de) 2020-01-28 2021-07-29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Luftausströmer und Belüftungssystem
CN111452596B (zh) * 2020-04-16 2023-05-05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调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5504A (en) * 1959-09-25 1962-05-22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FR209M (fr) 1960-08-18 1961-02-20 Rhone Poulenc Sa Nouveaux dérivés de la dibenzazépine.
DE2153743C3 (de) * 1971-10-28 1979-08-16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Luftdüse für eine Belüftungsanlage
GB1594215A (en) * 1977-02-09 1981-07-30 Gen Motors Ltd Motor vehicle accessory actuator assemblies
JPS6065113A (ja) * 1983-09-21 1985-04-13 Nippon Ester Co Ltd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法
JPS6075113A (ja) * 1983-09-30 1985-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負荷レベル調整回路
IT1182552B (it) * 1985-08-01 1987-10-05 Foggini Progetti Bocchetta di distribuzione del l aria di climatizzazione negli autoveicoli con mezzi di orientamento del flusso deformabili elasticamnte
JPS62178838A (ja) * 1986-02-03 1987-08-05 Nissan Motor Co Ltd 吹出口装置
JPS63101744A (ja) * 1986-10-18 1988-05-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液中成分定量装置
JPH0313516A (ja) * 1989-06-13 1991-01-22 Kawasaki Steel Corp ベルレス装入装置用垂直シュート
DE4433698C1 (de) * 1994-09-21 1995-12-14 Siemens Ag Luftverteilungsvorrichtung
JP3465989B2 (ja) * 1995-04-24 2003-11-1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両用空調吹出装置のバルブシャッター開閉操作ユニット及び同吹出装置
DE19616965C1 (de) * 1996-04-27 1997-05-07 Mc Micro Compact Car Ag Bedieneinheit für eine Heiz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DE19654416C1 (de) * 1996-12-24 1998-05-07 Mannesmann Vdo Ag Blende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es
DE19850989C1 (de) * 1998-11-05 2000-05-25 Schneider Franz Kunststoffwerk Frischluftdüsen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JP4150462B2 (ja) * 1999-05-14 2008-09-17 豊和化成株式会社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DE10104428C2 (de) * 2001-02-01 2003-09-11 Schneider Franz Kunststoffwerk Frischluftdüsen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118435A1 (de) * 2001-04-12 2002-10-17 Volkswagen Ag Luftströmungsbeeinflussungseinrichtung,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der Instrumententafel von Fahrzeugen
JP2003011658A (ja) * 2001-06-29 2003-01-15 Honda Motor Co Ltd 車両におけるベンチレータ
JP2003226133A (ja) * 2002-02-01 2003-08-12 Toyoda Gosei Co Ltd 送風装置
US6780098B2 (en) * 2002-02-15 2004-08-24 Nifco Inc. Regulator for air out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4739B1 (de) 2009-10-28
DE102004043696A1 (de) 2006-03-16
EP1634739A2 (de) 2006-03-15
JP2006076563A (ja) 2006-03-23
EP1634739A3 (de) 2006-11-08
US20060052046A1 (en) 2006-03-09
US7544123B2 (en) 2009-06-09
DE502005008400D1 (de)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1127A (ko) 차량용 공기 배출구
US20210072775A1 (en) Mixing valve
KR102112278B1 (ko) 차량의 열펌프 시스템용 밸브
EP1752717B1 (en) Air diffuser for an air conditioner
US11207950B2 (en) Air vent
CN105917175A (zh) 通风风闸系统和方法
JP2009511332A (ja) 自動車の換気システム用のエアフィルタ
RU2234631C2 (ru) Впускной воздушный клапан для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CN109572355A (zh) 具有嵌套轴的旋转轴组件
US9925861B2 (en) Radiator system for a vehicle
EP1188993A1 (en) Air conditioner
CN211195781U (zh) 用于将不同方向的气流引导到车辆内部的通气孔
CN109764171B (zh) 压力控制阀
CN104093950A (zh) 恒温装置
US5244184A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having an obturating membrane deformable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CN105008159A (zh) 压力释放阀
CN102039795B (zh) 通风设备
US20220080804A1 (en) Bearing arrangement and air vent having such a bearing arrangement
JPH06505943A (ja) 乗物用換気設備の分配ユニット
US6868864B2 (en) Water flow control valve
US4485730A (en) Ventilation unit
EP2716945A1 (en) Flow trim for a valve
JP2010084859A (ja) 湯水混合バルブユニット
JP6229631B2 (ja) 空調用レジスタ
JP4546597B2 (ja) 板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