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789A -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789A
KR20060049789A KR1020050059509A KR20050059509A KR20060049789A KR 20060049789 A KR20060049789 A KR 20060049789A KR 1020050059509 A KR1020050059509 A KR 1020050059509A KR 20050059509 A KR20050059509 A KR 20050059509A KR 20060049789 A KR20060049789 A KR 2006004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area
screen
display are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3501B1 (ko
Inventor
히데노부 쯔까다
가즈노리 나까무라
가즈히로 시바모리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구비되는 모니터에 있어서, 수온계 및 연료 잔량계를 고정적으로 표시하고, 다른 영역에 표시하는 영역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다.
건설 기계의 화면부(13A)는 수온계가 표시되는 영역 B 및 연료 잔량계가 표시되는 영역 C가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고정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되지만, 통상은 유온계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 A는 표시할 정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가변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된다. 또한, 영역 A, B 및 C의 상부에 설치되는 영역 D도 가변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되고, 이 영역 D는 표시할 정보의 수에 따라서 복수의 영역으로 다시 분할된다.
모니터, 화면부, 표시 제어 장치, 영역, 아이콘, 구획 형성부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OF CONSTRUCTION MACHINE}
도1은 건설 기계의 전체 구성도.
도2는 운전실 내부의 개략 구성도.
도3은 모니터의 구성도.
도4는 표시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5는 표시 제어 방법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6은 제1 설정 화면의 화면도.
도7은 제2 설정 화면의 화면도.
도8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설정 화면의 화면도.
도9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설정 화면의 화면도.
도10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설정 화면의 화면도.
도11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설정 후의 모니터의 화면도.
도12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설정 화면의 화면도.
도13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설정 화면의 화면도.
도14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설정 후의 모니터의 화면도.
도15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설정 후의 모니터의 화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모니터
13A : 화면부
20 : 표시 제어 장치
A, B, C, D, E : 영역
D1, D2, D3, D4, E1, E2, E3 : 분할 영역
IC1 내지 IC7 : 아이콘
IF1 내지 IF7 : 구획 형성부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121776호
본 발명은 유압 셔블(shovel) 등의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는 엔진에 의해 유압 펌프를 구동하여, 이 유압 펌프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유가 작동 각부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나 유압 모터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 각부는 운전실 내에 오퍼레이터가 탑승하여, 조작 레버 등의 조작 수단에 의해 조작되어 토사의 굴착 등의 작업이 행해진다.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는 오퍼레이터에게 건설 기계의 작동 상황을 확인시키 기 위해 각종 계기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계기류에 의해 표시되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냉각수의 수온계, 작동유의 유온계, 연료의 잔량계, 엔진의 회전수계 등이 있다. 또한 그 외에도, 건설 기계를 가동하고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아워미터(hourmeter), 게이트 로크 레버가 정규 위치에 있는지 여부의 정보 등도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건설 기계에 관한 각종 정보는 일괄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모니터에 의해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모니터는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그 형상은 가능한 한 콤팩트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한정된 표시 영역을 갖는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모든 정보를 보기 쉽게 표시할 수는 없으므로, 이 표시 영역 내에서 오퍼레이터가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의 건설 기계는 다기능화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에 수반하여 표시할 정보도 증가 경향을 따르고 있으므로, 한정된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할 정보를 적절하게 선택해야만 한다. 여기서, 통상 시에는 냉각수의 온도(이하, 수온계라 함), 작동유의 유온계(이하, 유온계라 함), 연료의 잔량계(이하, 연료 잔량계라 함)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계 상태 화면을 표시해 두고, 다른 정보를 표시할 때에는 이 화면을 절환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술한 수온계, 유온계 및 연료 잔량계는 그 값에 따라서 게이지의 경사각이 변화하는 아날로그 형식으로 표시되는 것이며, 비교적 큰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여기서, 수온계 및 연료 잔량계에 대해서는 표시의 필요도는 높지만, 유 온계는 이들 2종류의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의 필요도는 낮은 것이다.
따라서 이 유온계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면, 새롭게 정보를 표시할 영역이 생성되므로, 이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온계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 대신에 배터리 전압, 엔진 유압, 작동 유온 등이 이상치가 되었을 때에 주의 마크를 표시하는 것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는 각종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수온계, 유온계, 연료 잔량계 등의 계기류로서의 정보가 있지만, 계기류의 정보는, 그 밖에 냉각수의 잔량(이하, 냉각수 레벨이라 함), 엔진 오일의 잔량(이하, 엔진 오일 레벨이라 함), 배터리의 잔량(이하, 배터리 레벨)이나 엔진 회전수 등이 있다. 또한, 그 밖에도 백 모니터나 굴착 위치 화상 등의 화상 정보, 시계나 아워미터, 부속품의 사용 시간 등의 시간 정보, 시큐어러티 기능을 온(ON)으로 하고 있는지 여부의 정보나 부속품 종류의 정보 등의 부가 정보 등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통상은 굴착 작업에 사용되는 건설 기계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수하물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ML(Moment Limiter) 기능, 오프셋식 건설 기계를 사용할 때에 프론트 작업기가 운전실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 방지 기능, 건설 기계를 관리하는 관리 회사와 통신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메일 기능,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기능 등의 기능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에 표시를 행하는 건설 기계에 관한 정보는 여러 가지의 것이 있으므로, 이들 각종 정보 중에서 표시 영역이 한정된 모니터에 표시할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모니터에는 수온계나 연료 잔량계 등의 표시할 필요가 있는 정보를 고정적으로 표시하는 영역을 설치하고, 그 밖의 영역에 표시할 정보를 작업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다시 표시할 정보를 오퍼레이터의 기호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면, 오퍼레이터의 시인성이 높아져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유온계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지만, 이 정보로서는 미리 결정된 것밖에 표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발명에서는 이 정보로서는 건설 기계의 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표시하는 주의 마크와 같은 미리 정해진 정보밖에 표시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유온계 대신에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었다고 해도, 미리 결정된 정보밖에 표시할 수 없다는 것은 작업의 원활성, 효율성, 안전성 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구비되는 모니터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할 정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는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구비되어, 주로 상기 건설 기계의 계기류의 정보를 갖는 기계 상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부 와, 상기 화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설정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을 갖는 버튼부와, 상기 화면부의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한 표시 제어부를 갖고, 상기 화면부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1 내지 복수의 영역은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고정 표시 영역으로서, 그 밖의 영역은 상기 표시 제어부에 입력되는 정보 중에서 선택 가능한 정보가 표시되는 가변 표시 영역으로서 상기 화면부에 표시할 화면이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본 실시 형태의 건설 기계는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1)와 상부 선회체(2)와 굴착 작업 수단 등을 구비하는 프론트 작업기(3)로 개략 구성된다. 또한, 상부 선회체(2)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여 기계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운전실(캡)(4)이 설치되고, 이 운전실(4)의 내부에는 하부 주행체(1)에 의한 주행, 상부 선회체(2)에 의한 선회, 토사의 굴착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한 프론트 작업기(3)를 구성하는 붐(3a), 아암(3b), 버킷(3c)의 작동 등의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건설 기계의 상부 선회체(2)의 후방부 위치의 카운터 웨이트(5)에는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감시용 카메라(10)가 부착되어 있고, 프론트 작업기(3)에 있어서의 아암(3b)의 선단 근방부에는 굴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1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운전실(4)의 상부에는 외부와 통신을 하기 위한 안테나(12a)가 설치된다.
운전실(4)의 내부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13)가 설치되어 있 고, 이 모니터(13)에 각종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게 각종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통상은 굴착 작업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되는 건설 기계, 특히 유압 셔블은 굴착 작업을 하기 위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모니터(13)는 콤팩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모니터(13)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필러(7)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모니터(13)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니터(13)는 액정 화면 등으로 구성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부(13A)와 오퍼레이터나 관리자 등의 조작을 하는 사람(이하, 조작자)이 조작할 수 있는 버튼부(13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화면부(13A)는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되지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 있어서는 영역 A, B, C 및 D를 갖는 제1 표시 영역(FA)과 제2 표시 영역(SA)으로 분할되어, 제1 표시 영역(FA)은 화면부(13A)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제2 표시 영역(SA)은 화면부(13A)의 하부에 가는 띠 형상의 영역으로서 형성되고, 이 가는 띠 형상의 영역은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 영역(SA)은 7개의 구획으로 등분하여 분할되는 것으로 하고, 이들 등분으로 분할된 각 구획은 구획 형성부 IF1 내지 IF7로서 형성된다. 한편, 제1 표시 영역(FA)은 4개의 영역 A, B, C 및 D로 분할되고, 영역 A, B 및 C와 영역 D는 제1 표시 영역 FA 중에 있어서 상하로 2 분할되어, 제1 표시 영역 FA의 영역 D 이외의 영역을 3 등분으로 분할된 영역이 각각 영역 A, B 및 C로서 형성된다.
이들 영역 A, B 및 C는, 기본적으로는 유온계, 수온계 및 연료 잔량계를 표 시하기 위한 영역이며, 영역 D는 임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제1 표시 영역(FA)은 영역 A, B 및 C와 영역 D에 의해 상하로 2 분할되지만, 영역 A, B 및 C는 유온계, 수온계 및 연료 잔량계가, 그 값에 따라서 게이지의 경사각이 변화하는 아날로그 형식으로 표시되므로 오퍼레이터가 눈으로 확인하기 쉽게 영역 A, B 및 C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고 구성된다.
여기서, 표시 영역 A, B 및 C 중 영역 B 및 C에 대해서는, 수온계 및 연료 잔량계가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고정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 표시 영역이라 함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계 상태 화면에서 표시할 정보를 설정할 수 없는 영역의 것을 말한다. 즉, 기계 상태 화면에서의 고정 표시 영역에서는 항상 결정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자유롭게 표시할 정보를 선택할 수는 없다. 단, 기계 상태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1 및 제2 설정 화면에서는 이 고정 표시 영역에는 다른 정보가 표시된다. 이에 반해, 영역 A에는 기본적으로는 유온계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하지만, 이 영역 A에 대해서는 조작자가 표시할 정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가변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된다. 여기서, 가변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로서는 후술하는 표시 제어 장치(20)가 취득할 수 있는 정보인 것으로 한다. 또, 영역 D에 대해서도 통상은 시계 및 아워미터가 표시되지만, 이 영역 D에 대해서도 표시할 정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가변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된다.
또한 영역 D는 통상은 시계 및 아워미터의 두 가지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또한 분할 영역 D1 및 분할 영역 D2의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이 영역 D에 시계 및 아워미터 외에 또 다른 정보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영역 D는 표시할 정보의 수에 따라서 분할된다.
버튼부(13B)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려지는 버튼이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9개의 버튼 F1 내지 F9를 갖고 구성된다. 즉, 버튼 F1 내지 F7은 화면부(13A)의 바로 아래에 일렬로 배치되고, 버튼 F8 및 F9는 버튼부 F1 내지 F7의 바로 아래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중, 버튼 F8은 초기 설정을 하기 위한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이며, 버튼 F9는 건설 기계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영상을 비추기 위한 버튼이다.
한편 버튼 F1 내지 F7은 이들 버튼 F1 내지 F7의 바로 위에 있는 구획 형성부 IF1 내지 IF7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구획 형성부 IF1 내지 IF7에는 화면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3에 있어서 구획 형성부 IF7에 표시되어 있는「배치 설정」이라 하는 아이콘 IC7은, 화면부(13A)에 표시할 정보를 선택하여 배치를 결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호출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오퍼레이터는 구획 형성부 IF1 내지 IF7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1 내지 F7을 누름으로써, 아이콘을 기초로 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표시 영역(SA)은 7개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다른 7개의 아이콘(IC)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3에 있어서, 제2 표시 영역(SA)은 7개의 구획 형성부 IF1 내지 IF7로 분할되어, 이들 구획 형성부 IF1 내지 IF7의 바로 아래에 각각 대응하도록 버튼 F1 내지 F7을 설치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표시 영역(SA)은 임의의 수의 구획으 로 분할할 수 있다. 단, 분할된 구획의 수가 적은 경우, 조작을 하기 위한 아이콘의 종류가 적어져 버린다. 한편 많은 구획으로 분할되면,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의 수가 증가하므로 복잡한 조작도 가능해지지만, 구획의 수에 따라서 버튼의 수도 증가해 버려 조작자가 의도하지 않는 버튼을 눌러 버릴 가능성이 있다. 즉, 조작자가 오퍼레이터인 경우, 건설 기계의 오퍼레이터는 통상 장갑을 끼고 조작을 행하고 있으므로 소형의 모니터(13)에 많은 버튼을 설치하면, 실수로 인접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있으므로 많은 버튼을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2 표시 영역 SA를 7개의 구획 형성부 IF1 내지 IF7로 분할하여, 이들 구획 형성부 IF1 내지 IF7에 대응하도록 버튼 F1 내지 F7을 설치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모니터(13)에는, 화면부(13A)의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한 표시 제어 장치(20)가 설치된다. 이 표시 제어 장치(20)는 화면부(13A)의 각 표시 영역에 어떠한 정보를 표시할지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장치이지만, 화면부(13A)에 표시되는 정보로서는 가변 표시 영역이 있으므로, 이 가변 표시 영역에 표시할 정보는 표시 제어 장치(20)에 접속되는 센서나 검출기 등으로부터 취득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20)는, ROM(Read only Memory)(21)과 CPU(Central Processing Unit)(22)와 RAM(Random Access Memory)(23)과 버튼 입력 제어부(24)와 화면부 출력 제어부(25)와 차체 통신부(26)와 아이콘 표시 위치 기억부(27)와 표시 화면 작성부(27)와 항목 설정 정보 기억부(28)와 설정 화면 기억부(29)가 버스(30)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버스(30) 에는 냉각수 센서(41), 작동유 센서(42), 연료 잔량 센서(43), 엔진 오일 센서(44) 및 엔진 회전수 센서(45)가 접속되어 있고, 냉각수 센서(41)는 냉각수의 온도 및 양을, 작동유 센서(42)는 작동유의 온도 및 양을, 연료 잔량 센서는 연료 잔량을, 엔진 오일 센서(44)는 엔진 오일의 잔량을, 엔진 회전수 센서(45)는 엔진의 회전수를, 배터리 잔량 센서(46)는 배터리의 잔량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표시 제어 장치(20)로 항상 보내고 있다. 또, 건설 기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 외에도, 각종 센서나 검출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ROM(21)은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를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 장치이며, CPU(22)는 ROM(21)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하기 위한 처리 장치이며, RAM(23)은 프로그램의 실행 시에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기억 장치이다. 버튼 입력 제어부(24)는 버튼 F1 내지 F7이 눌렸을 때에는 그 취지를 CPU(22)에 출력하는 제어부이다. 화면부 출력 제어부(25)는 화면부(13A)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부이다. 차체 통신부(26)는 차체 네트워크(60)를 통해 엔진이나 유압 기구 등의 상태를 기억하는 정보 기록 장치(51), 엔진의 회전수 제어 등을 행하는 엔진 제어 장치(52), 예를 들어 전자 밸브의 제어 등을 행하기 위한 유압 제어 장치(53)와 표시 제어 장치(20) 사이에서 행해지는 정보의 수수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부이다. 표시 화면 작성부(27)는, 조작자가 설정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화면부(13A)에 표시하는 화면의 레이아웃(눈금, 바늘, 숫자, 문자 등의 표시를 포함함)을 작성하기 위한 작성부이다. 항목 설정 정보 기억부(28)는 항목마다 표시할지 여부의 정보와 어떤 영역에 표시할지의 설정 내용을 기억하기 위 한 기억부이다. 설정 화면 기억부(29)는 표시 설정을 하기 위한 제1 및 제2 설정 화면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이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에 대하여, 도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모니터(13A)의 제1 표시 영역에는 영역 A에 유온계가, 영역 B에 수온계가, 영역 C에 연료 잔량계가, 영역 D의 분할 영역 D1에 시계가, 분할 영역 D2에 아워미터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표시 영역 SA의 구획 형성부 IF7에는 화면의 설정을 하기 위한 아이콘 IC7이 표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표시가 되어 있는 모니터(13)에 있어서, 처음에 조작자가 아이콘 IC7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7을 누른다(스텝 S1). 버튼 F7을 누르면, 그 취지의 신호가 CPU(22)에 출력되어, CPU(22)는 설정 화면 기억부(29)로부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설정 화면을 판독하여, 화면부 출력 제어부(25)를 제어함으로써 화면부(13A)에 제1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2).
도6의 제1 설정 화면에서, 제1 표시 영역 FA에는 표시 설정을 하는 대상이 되는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표시 항목은 조작자가 표시의 설정을 하는 대상이 되는 항목이며, 표시의 유무는 각 항목에 대하여 표시할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표시 위치는 각 항목을 화면부(13A)의 어떤 영역에 표시할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온계, 시계 및 아워미터의 3개의 항목 외에 추가 항목이 2개 설치된다. 즉, 영역 B는 수온계를, 영역 C는 연료 잔량계를 고정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고정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되고, 영역 A 및 영역 D는 조 작자가 표시하는 정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가변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6에 있어서 설정이 가능한 항목으로서는, 기본적으로는 영역 A에 표시되어 있는 유온계, 영역 D에 표시되어 있는 시계나 아워미터 등이며, 수온계 및 연료 잔량계는 고정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것이므로, 설정 항목의 대상 밖이다. 또, 특히 설정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영역 A에는 유온계가 표시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즉, 기본적으로는 계기류로서 수온계, 유온계 및 연료 잔량계의 3종류의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초기의 설정에서는 유온계가 영역 A에 표시되도록 설정이 되어 있다. 또한 유온계는 설정의 중요도가 높으므로 제1 설정 화면에서 영역 A의 항목은 가장 선두에 설치된다.
여기서, 추가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어 냉각수 센서(41)가 검출하는 냉각수의 양, 작동유 센서(42)가 검출하는 작동유의 양, 엔진 오일 센서(44)가 검출하는 엔진 오일의 양, 엔진 회전수 센서(45)가 검출하는 엔진의 회전수, 배터리 잔량 센서(46)가 검출하는 배터리의 잔량 등이 있다. 또한 그 외에도 연비를 검출하는 센서나 브레이크의 유압을 검출하는 센서 등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들 센서가 검출하는 값을 추가 항목으로서 설치할 수도 있다. 즉, 표시 제어 장치(2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것을 추가 항목의 후보로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자는 제1 설정 화면에서 설정을 행하는 항목을 선택한다. 이 항목의 선택은 커서(도6에 있어서 배경이 사선인 부위)에 의해 행한다. 여기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 영역 SA의 구획 형성부 IF4에는「상」이라 하는 아이콘 IC4가, IF5에는「하」라고 하는 아이콘 IC5가, IF6에는「변경」이라 하는 아 이콘 IC6이, IF7에는「확정」이라 하는 아이콘 IC7이 새롭게 표시되어 있다. 이들 중「상」이라 하는 아이콘 IC4는 커서를 1개 위로 이동시키는 것이며,「하」라 하는 아이콘 IC5는 커서를 1개 밑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며,「변경」이라 하는 아이콘 IC6은 화면의 표시 설정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확정」이라 하는 아이콘 IC7은 모든 설정을 확정하여 설정 내용을 반영시킨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것이다.
조작자는 아이콘 IC4 또는 IC5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4 또는 F5를 누름으로써, 설정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항목의 위치까지 커서를 이동하고(스텝 S3), 그 항목의 위치에서 버튼 F6을 누름으로써 설정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항목을 결정한다(스텝 S4).
버튼 F6이 눌려진 취지의 신호가 CPU(22)에 입력되면, CPU(22)는 설정 화면 기억부(29)로부터 제2 설정 화면을 판독하고, 화면부 출력 제어부(25)를 제어하여 화면부(13A)에 제2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5). 제2 설정 화면에서 표시의 유무라 함은 설정을 하는 대상이 되는 항목을 표시할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표시 위치라 함은 영역 A 또는 영역 D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할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제2 설정 화면에서, 조작자는 선택된 항목의 표시의 유무와 표시할 영역을 결정한다. 이 때, 제2 설정 화면에서는 제2 표시 영역 SA의 구획 형성부 IF2에는「좌」라 하는 아이콘 IC2가, IF3에는「우」라 하는 아이콘 IC3이, IF4에는「상」이라 하는 아이콘 IC4가, IF5에는「하」라 하는 아이콘 IC5가, IF6에는「변경」이라 하는 아이콘 IC6이, IF7에는「복귀」라 하는 아이콘 IC7이 새롭게 표시되어 있다. 이들 아이콘 중, 아이콘 IC2 내지 IC5는 커서를 좌우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며, 아이콘 IC6은 제2 설정 화면에서의 설정 내용을 확정시키는 것이며, 아이콘 IC7은 제2 설정 화면에서의 설정 내용을 확정시키지 않고 제1 설정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것이다.
조작자는 아이콘 IC2 내지 IC5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2 내지 F5를 누름으로써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의 유무 및 표시 위치의 각각에 대하여 설정을 행하고, 버튼 F6을 누름으로써 설정 내용을 확정시킨다(스텝 S6).
이 때, 버튼 F6이 눌려진 취지의 신호가 CPU(22)에 입력되면, CPU(22)는 설정된 각 항목의 표시의 유무 및 표시할 영역에 대한 설정 내용을 항목 설정 정보 기억부(29)에 기억한다.
그 후, CPU(22)는 설정 화면 기억부(29)로부터 제1 설정 화면을 판독하고, 화면부 출력 제어부(26)를 제어하여 제1 설정 화면을 화면부(13A)에 표시한다(스텝 S7). 조작자는 또 다른 항목에 대하여 표시의 유무 및 표시할 영역의 설정을 행할 때에는 스텝 S3 이후의 작업을 속행시킨다. 한편 다른 항목에 대한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버튼 F7을 누른다(스텝 S9). 이 버튼 F7이 눌려지면 CPU(22)는 표시 화면 작성부(27)에 화면부(13A)에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작성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표시 화면 작성부(27)는 항목 설정 정보 기억부(28)에 기억된 각 항목의 설정 내용을 기초로 하여 화면부(13A)에 표시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작성하여, 화면부(13A)와 같은 레이아웃이 표시되도록 화면부 출력 제어부(27)를 제어한다. 이 때, 유온계를 영역 A가 아닌 영역 D에 표시할 때는 표시 영역이 작아지므로 축소하여 표시하거나, 예를 들어 디지털 형식이나 바(bar) 형식 등으로 변환한 화면 을 작성한다. 또한, 시계나 아워미터 등을 영역 D가 아닌 영역 A에 표시할 때는 표시 영역이 커지므로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시계이면 아날로그 형식 등으로 변환한 화면을 작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은 유온계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 A에 그대로 유온계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온계 대신에 다른 항목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온계, 수온계 또는 연료 잔량계 등의 계기류가 표시되는 영역 A, B 또는 C 이외의 영역 D에 대해서도 표시할 항목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 항목은 시계나 아워미터 등의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제어 장치(20)를 얻을 수 있는 정보이면 되므로 현재 건설 기계에 구비되어 있는 기구는 물론, 새롭게 추가된 기구에 대해서도 그 기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 제어 장치(20)에 출력함으로써, 유온계 대신에 영역 A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계 상태 화면에서 제1 설정 화면으로 천이할 때에 버튼 F7을 사용했지만, 예를 들어 메뉴 버튼인 버튼 F8이 눌렸을 때에 기계 상태 화면에서 제1 설정 화면으로 천이하도록 하면, 기계 상태 화면에서 제2 표시 영역 SA도 영역 A, B, C에 할당할 수 있고,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새로운 영역으로서 설치할 수도 있다. 즉, 기계 상태 화면에서 제2 표시 영역 SA의 구획 형성부 D7에 표시되어 있는「배치 설정」이라 하는 아이콘 IC7에 대응하는 버튼 F7을 누름으로써, 기계 상태 화면에서 제1 설정 화면으로 천이하도록 했지만, 예를 들어 메뉴 버튼인 버튼 F8을 기계 상태 화면에서 제1 설정 화면으로 천이하도록 할당하면, 제2 표시 영역 SA에는 아이콘을 표시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제2 표시 영역 SA를 영 역 A, B, C에 할당할 수도 있고,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할 수 있는 항목으로서, 유온계, 시계, 아워미터 및 추가된 2개의 추가 항목을 설치했지만, 더욱 많은 항목을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많은 항목을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영역 A에 표시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또한 영역 B 및 영역 C를 각각 수온계 및 연료 잔량계가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고정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했지만, 수온계 또는 연료 잔량계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영역 B 또는 영역 C를 오퍼레이터가 임의로 표시의 설정을 행할 수 있는 가변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영역 A를 가변 표시 영역으로 하고, 영역 B 및 영역 C를 고정 표시 영역으로 했지만, 영역 A, B 또는 C 중 어느 하나나 2개의 영역을 수온계 및 연료 잔량계가 표시되는 고정 표시 영역으로 하고, 나머지 1개의 영역을 가변 표시 영역으로 해도 좋다.
또한 화면부(13A)를 영역 A, B, C 및 D의 4개의 영역으로 분할했지만, 이들 4개의 영역의 형상은 반드시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신축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한 구획 형성부 IF1 내지 IF7에 표시되는 아이콘 IC1 내지 IC7과 버튼 F1 내지 F7이 대응하도록 버튼 F1 내지 F7은 구획 형성부 IF1 내지 IF7의 바로 아래에 설치했지만, 아이콘 IC1 내지 IC7과 버튼 F1 내지 F7이 대응하고 있는 것을 오퍼레이터가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면, 예를 들어 화면부(13A)의 바로 위 위치나 근접한 좌우 위치 등과 같이 모니터(13)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제1 실시예>
다음에,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온계, 엔진의 회전수계, 연비 및 부속품 아워미터의 4개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 중, 연비라 함은 현재의 건설 기계의 연비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부속품 아워미터라 함은 부속품의 사용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연비 및 부속품 아워미터를 표시하기 위해, 차체 네트워크(60)에 새롭게 연비를 취득하는 기구와, 부속품의 장착 시간을 취득하는 기구를 추가한다.
또한 영역 D는 분할 영역 D1, D2, D3 및 D4의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중, 분할 영역 D1 및 D2에 대해서는 시계 및 아워미터가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하고,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는 영역 A, 분할 영역 D3 및 D4의 3개의 영역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영역 A에는 유온계가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분할 영역 D3 및 D4에 대해서는 모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설정이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자는 유온계를 비표시 상태로 하고, 영역 A에 엔진의 회전 수계를 표시하고, 분할 영역 D3에 부속품 아워미터를, 분할 영역 D4에 연비를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처음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배치 설정」이라 하는 아이콘 IC7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7을 누르면 도8과 같은 제1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유온계를 비표시 상태로 하기 위해,「상」이라 하는 아이콘 IC4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4 또는「하」라 하는 아이콘 IC5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5를 누름으로써 유온계의 항목으로 커서를 이동하고,「변경」이라 하는 아이콘 IC6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6을 누름으로써 항목을 결정한다.
버튼 F6이 눌리면, 도9와 같은 제2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스텝 S5). 그리고 조작자는 유온계를 비표시 상태로 하기 위해「좌」라 하는 아이콘 IC2에 대응하는 버튼 F2 또는「우」라 하는 아이콘 IC3에 대응하는 버튼 F3을 누름으로써, 표시의 유무를「표시하지 않음」으로 커서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유온계는 비표시 상태가 되므로 표시 위치에 대해서는 커서를 나타내는 배경인 사선을 없애고, 표시 위치에 대해서는 커서를 이동할 수 없게 하도록 해도 좋다. 이 상태에서,「변경」이라 하는 아이콘 IC6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6을 누르면 유온계의 항목에 대해서는 표시하지 않는다고 하는 정보가 항목 설정 정보 기억부(28)에 기억된다.
그리고 화면은 제2 설정 화면에서 제1 설정 화면으로 천이하므로 조작자는 마찬가지의 조작을 하여 엔진의 회전수계에 대해서는 영역 A에 표시시키도록, 부속품 아워미터에 대해서는 분할 영역 D3에, 연비에 대해서는 분할 영역 D4에 표시시키도록 설정을 한다. 이러한 각 항목의 설정 시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수계는 영역 A에 표시하고, 부속품 아워미터에 대해서는 분할 영역 D3에 표시하고, 연비에 대해서는 분할 영역 D4에 표시할 정보를 항목 설정 정보 기억부(28)가 기억한다.
모든 항목이 종료된 후에, 제1 설정 화면에서「확정」이라 하는 아이콘 IC7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7을 누르면 표시 화면 작성부(27)는 항목 설정 정보 기억부(28)로부터 각 항목의 표시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여, 영역 A에는 엔진의 회전수계가, 분할 영역 D3에는 부속품 아워미터가, 분할 영역 D4에는 연비가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작성한다. 이 때, 영역 B에는 수온계가, 영역 C에는 연료 잔량계가, 분할 영역 D1에는 시계가, 분할 영역 D2에는 아워미터가 고정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고정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고정 표시 영역을 합쳐서 화면부(13A)의 제1 표시 영역 MS에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작성하여,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의 레이아웃을 따라서 표시하도록 화면부 출력 제어부(25)를 제어하여 표시를 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B에는 수온계가, 영역 C에는 연료 잔량계가, 분할 영역 D1에는 시계가, 분할 영역 D2에는 아워미터가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고정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되어 있지만, 영역 A, 분할 영역 D3 및 분할 영역 D4는 오퍼레이터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가변 표시 영역으로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영역에 표시할 항목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엔진의 회전수가 중요한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는 영역 A에 엔진의 회전수계를 표시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영역 D에 부속품 아워미터와 연비를 표시함으로써 부속품의 사용 시간 및 현재의 건설 기계의 연비를 파악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D의 분할 영역 D1에 시계가, 분할 영역 D2에 아워미터가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시계 및 아워미터에 대해서도 오퍼레이터가 자유롭게 표시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상, 영역 D에서 디지털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는 시계가, 영 역 A에 표시될 때에는 아날로그 형식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통상, 영역 A에서 작동 유온계(42)가 계측하는 값에 따라서 게이지의 경사각이 변화하는 아날로그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는 유온계가, 영역 D에 표시될 때에는 바 형식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자는 영역 A에 시계를, 분할 영역 D1에 부속품 아워미터를, 분할 영역 D2에 아워미터를, 분할 영역 D3에 굴착 아워미터를, 분할 영역 D4에 유온계를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굴착 아워미터라 함은 건설 기계가 굴착 작업에 제공된 시간을 말하며, 부속품으로서 버킷이 부착되어 있는 시간을 계측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조작자가「배치 설정」이라 하는 아이콘 IC7의 바로 아래에 있는 버튼 F7을 누름으로써, 제1 설정 화면으로 천이한다. 제1 설정 화면에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온계를 분할 영역 D4에, 시계를 영역 A에, 부속품을 분할 영역 D2에, 부속품 아워미터 분할 영역 D1에, 굴착 아워미터를 분할 영역 D3에 표시되도록 설정을 행한다.
이상과 같은 설정을 행하기 위해, 제1 및 제2 설정 화면에서 버튼 F2 내지 F7을 조작하여 각 항목의 설정을 행한다. 그리고 1개의 항목의 설정이 종료되면, 그 설정 내용이 항목 설정 정보 기억부(28)에 기억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D의 분할 영역 D1, D2, D3 및 D4의 4개의 영역을 모두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의 위치는 5개의 영역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이미 다른 항목에서 선택이 완료된 영역에 대해서는 선택할 수 없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영역 A에 이미 시계가 표시되어 있다고 선택되어 있을 때는, 다른 항목을 제2 설정 화면에서 설정을 행할 때는 영역 A로는 커서가 이동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 커서는 이동할 수 있지만, 설정 내용을 확정시키는 버튼 F6을 눌렀을 때에 에러 메세지를 표시하여 조작자에게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모든 항목에 대하여 표시의 설정이 종료되어 조작자가 제1 설정 화면에서 버튼 F7을 누르고 확정하면, 각 항목의 설정 내용이 기억되어 있는 항목 설정 정보 기억부(28)를 판독하여, 표시 화면 작성부(27)는 화면부(13A)에 표시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작성하고, 화면부 출력 제어부(25)를 작성된 레이아웃에 따라서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화면부(13A)에 표시한다. 이 때, 표시 화면 작성부(27)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는 영역 A에는 시계를 디지털 형식이 아닌 오퍼레이터가 확인하기 쉬운 아날로그 형식으로 표시하고, 비교적 작은 영역인 분할 영역 D4에 표시되는 유온계는 게이지의 경사각이 변화하는 아날로그 형식이 아닌, 예를 들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 형식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작성한다. 이 때, 유온계는 바 형식이 아닌 디지털 형식으로 표시되어도 좋다. 요컨대, 작은 영역인 분할 영역 D4에 표시할 수 있는 형식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또, 제1 실시예 및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 항목으로서 엔진의 회전수계, 연비, 부속품 아워미터 및 굴착 아워미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부속품으로서 브레이커가 부착되어 있는 시간인 브레이커 아워미터 등을 설치해도 좋다. 그 밖에도 연료 잔량계(43)와 연비를 검출하는 기구로부터 건설 기계의 남은 작동 가능한 시간을 산출하여, 이 시간을 추가 항목으로 해도 좋다.
또한 추가 항목으로서, 건설 기계에 구비되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기능으로서는 ML 기능이라 하는 기능이 있다. 건설 기계는 통상은 굴착 작업에 사용되지만, 부속품을 훅이 달린 버킷으로 교환함으로써 크레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크레인 작업을 행할 때에, 건설 기계가 전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하물의 제한치인 정격 하중과 실제의 하중인 실 하중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격 하중과 실 하중의 정보를 추가 항목으로서 설치하여, 가변 표시 영역인 영역 A 또는 영역 D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기능으로서는 간섭 방지 기능이라는 기능이 있다. 오프셋식의 건설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 프론트 작업기가 운전실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프론트 작업기의 동작 범위를 설정해야 한다. 이 때 설정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가변 표시 영역인 영역 A 또는 영역 D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건설 기계를 관리하는 관리 회사와 통신을 하기 위한 메일 기능이나 각종 설정을 하기 위한 설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 항목으로서 설치하여, 가변 표시 영역인 영역 A 또는 영역 D에 표시해도 된다.
<제3 실시예>
다음에,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감시용 카메라(10) 또는 굴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11)를 화면부(13A)에 표시하도록 제어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A에 카메라(10 또는 11)의 영상을, 분할 영역 D1에 시계를, 분할 영역 D2에 아워미터를, 분할 영역 D3에 굴착 아워미터를, 분할 영역 D4에 유온계를 표시하도록 선택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모든 항목의 선택이 종료되면, 제1 설정 화면에서 조작자는 버튼 F7을 눌러 설정을 확정시키면, 표시 화면 작성부(27)는 항목 설정 정보 기억부(28)로부터 각 항목의 설정 내용을 판독하여 화면부(13A)에 표시할 화면의 레이아웃을 작성한다.
이 때, 카메라(10 또는 11)의 영상은 큰 영역에 표시되어야만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A, B 및 C를 1개의 영역 E로 한다. 이 때, 영역 E는 영역 A, B 및 C가 1개가 된 것이므로, 영역 E에는 반드시 수온계와 연료 잔량계가 표시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카메라(10 또는 11)의 영상 영역은 최대한 크게 잡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수온계를 표시하는 영역 E2 및 연료 잔량계를 표시하는 영역 E3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확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고, 영역 E2 및 E3 이외를 영역 E1로서 카메라(10 또는 11)의 영상 영역으로서 할당된 화면을 표시 화면 작성부(27)는 작성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E2에 수온계를, 영역 E3에 연료 잔량계를 표시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역 E2에 연료 잔량계를, 영역 E3에 수온계를 표시해도 된다. 요컨대, 영역 E 중 대부분을 카메라(10 또는 11)로부터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수온계 및 연료 잔량계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제어하면 좋다.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구비되는 모니터 화면부의 가변 표시 영역에 작업 목적이나 오퍼레이터의 기호 등에 따라서 임의의 정보를 표시시킴으로써, 작업성의 향상과 작업의 원활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구비되어, 주로 상기 건설 기계의 계기류의 정보를 갖는 기계 상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설정의 조작을 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을 갖는 버튼부와, 상기 화면부의 표시 제어를 하기 위한 표시 제어부를 갖고,
    상기 화면부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1 내지 복수의 영역은 미리 결정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고정 표시 영역으로서, 그 밖의 영역은 상기 표시 제어부에 입력되는 정보 중에서 선택 가능한 정보가 표시되는 가변 표시 영역으로서 상기 화면부에 표시할 화면이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표시 영역에는 적어도 엔진 냉각수의 온도인 수온계 또는 연료 잔량계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수온계 및 상기 연료 잔량계의 2개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표시 영역에는 상기 표시 제어부에 입력되는 정보 중 1 내지 복수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제1 고정 표시 영역과 제2 고정 표시 영역과 제1 가변 표시 영역과 제2 가변 표시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가변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고정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고정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가변 표시 영역은 상하로 분할되고, 상기 제1 가변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고정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고정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가변 표시 영역의 하부에서 3등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고정 표시 영역에는 수온계가, 상기 제2 고정 표시 영역에는 연료 잔량계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 표시 영역은 다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이들 분할된 복수의 영역은 각각 임의로 표시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가변 표시 영역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1020050059509A 2004-07-05 2005-07-04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100673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7843 2004-07-05
JP2004197843A JP4817620B2 (ja) 2004-07-05 2004-07-05 建設機械の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789A true KR20060049789A (ko) 2006-05-19
KR100673501B1 KR100673501B1 (ko) 2007-01-24

Family

ID=3579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509A KR100673501B1 (ko) 2004-07-05 2005-07-04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17620B2 (ko)
KR (1) KR100673501B1 (ko)
CN (1) CN10051638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67B1 (ko) * 2007-12-14 2013-02-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고장진단 장치의 작동 방법
KR20140083152A (ko) * 2012-12-24 2014-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화면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8302B2 (ja) * 2006-04-05 2010-07-07 日立建機株式会社 ホイール式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4812613B2 (ja) * 2006-12-27 2011-11-09 日立建機株式会社 ホイール式作業機械
JP4885833B2 (ja) * 2007-12-10 2012-02-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271300B2 (ja) * 2010-03-19 2013-08-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5669520B2 (ja) * 2010-10-27 2015-02-1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5562285B2 (ja) * 2011-04-15 2014-07-30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5586568B2 (ja) 2011-11-15 2014-09-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情報表示装置、建設機械の情報表示方法及び建設機械の情報表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56783B1 (ko) * 2011-12-28 2018-05-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화면표시방법
JP5512761B2 (ja) 2012-08-10 2014-06-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JP5465345B1 (ja) * 2013-01-18 2014-04-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JP6284302B2 (ja) * 2013-04-02 2018-02-28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の伸縮パターン選択装置
JP6224540B2 (ja) * 2014-07-24 2017-11-0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輌
CN105109421A (zh) * 2015-07-16 2015-12-02 柳州六品科技有限公司 一种容易操作收音机开关及空调开关的动力机械
CN113047371A (zh) * 2021-04-06 2021-06-29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纯电动装载机
WO2024106563A1 (ko) * 2022-11-16 2024-05-2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WO2024135606A1 (ja) * 2022-12-23 2024-06-27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2782B2 (ja) * 2000-08-07 2013-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3104688A (ja) * 2001-09-28 2003-04-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及びその表示装置
DE10155006B4 (de) * 2001-11-06 2004-12-16 Terex-Demag Gmbh & Co. Kg Fahrzeugkran mit Superlifteinrichtung
JP2004010281A (ja) * 2002-06-07 2004-01-15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67B1 (ko) * 2007-12-14 2013-02-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고장진단 장치의 작동 방법
KR20140083152A (ko) * 2012-12-24 2014-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화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6387C (zh) 2009-07-22
JP2006016915A (ja) 2006-01-19
CN1721629A (zh) 2006-01-18
JP4817620B2 (ja) 2011-11-16
KR100673501B1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501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100522374B1 (ko)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US20130035824A1 (en) Display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1134253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100678532B1 (ko) 건설 기계의 진단 정보 제공 장치, 진단 정보 표시 시스템및 진단 정보 제공 방법
CN103492646B (zh) 作业车辆、作业车辆用显示装置、作业车辆用显示装置的控制方法、反铲式挖掘装载机、反铲式挖掘装载机用显示装置、以及反铲式挖掘装载机用显示装置的控制方法
KR101378653B1 (ko) 작업 차량의 모니터 장치
KR101508079B1 (ko) 건설 기계의 정보 표시 장치, 건설 기계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건설 기계의 정보 표시용 컴퓨터 프로그램
CN108026715B (zh) 挖土机
JP5031978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KR20140083152A (ko) 건설기계의 화면 표시 방법
JP2024045756A (ja)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4075206A (ja) 建設機械の情報表示装置
JP5622227B2 (ja) 入力装置
EP4316888A1 (en) Display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CN117328529A (zh) 工程机械的显示控制装置
JP2003027531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CN116075614A (zh) 显示装置、以及具备其的作业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