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651A -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하는 윈도우 쉐이드 - Google Patents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하는 윈도우 쉐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651A
KR20060049651A KR1020050053831A KR20050053831A KR20060049651A KR 20060049651 A KR20060049651 A KR 20060049651A KR 1020050053831 A KR1020050053831 A KR 1020050053831A KR 20050053831 A KR20050053831 A KR 20050053831A KR 20060049651 A KR20060049651 A KR 20060049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window shade
core
lapp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콘라트 빌헬름 간저
베르너 페. 슐레히트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4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Winding tubes, e.g. telescopic tubes or conically shap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차량용 윈도우 쉐이드는 윈도우 쉐이드 웨브를 가지고, 이는 사다리꼴로 나누어짐으로써, 해당 윈도우의 형상에 최적으로 매칭된다. 상기 윈도우 쉐이드 웨브용 와인딩 샤프트는 근사한 원추대형이고, 이것은 실린더형 코어에 의해 그리고 그 위에 제공된 랩핑에 의해 근사해진다.
윈도우 쉐이드, 윈도우 쉐이드 웨브, 와인딩 샤프트, 코어, 랩핑.

Description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하는 윈도우 쉐이드{Window shade with conical winding shaft}
도 1은 우측 후방 측면 도어의 방향으로 본 차량의 뒷좌석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 윈도우 쉐이드용 윈도우 쉐이드 웨브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서로 인접 배치된 랩핑을 사용하는, 도 1에 따른 측면 윈도우 쉐이드의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의 제 1 실시예이고,
도 4는 적층 배치된 랩핑을 사용하는, 도 1에 따른 측면 윈도우 쉐이드용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의 제 2 실시예이고,
도 5는 가변 피치를 가진 수개의 랩핑을 사용하는, 도 1에 따른 측면 윈도우 쉐이드용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용 제 3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11 : 윈도우 쉐이드 25 : 단부 에지
27 : 인출 프로파일 31 : 와인딩 샤프트
35 : 코어 37 : 밴드
승용차에서 일반적으로 차체의 후방 영역에 추가 측면 윈도우가 장착된다. 상기 측면 윈도우는 직접 차체에 설치되거나 또는 후방 측면 도어의 구성 부품일 수 있다. 윈도우가 측면 도어에 배치되면, 상기 윈도우는 한번 더 분할되고, 더 정확히 말하자면 거의 사다리꼴 부분과 삼각형 부분으로 분할된다. 사다리꼴 부분은, 윈도우를 개방할 수 있기 위해 측면 윈도우 패인(side window pane)이 상기 영역에 하강할 수 있는 상황으로부터 얻어진다. 삼각형 영역으로의 갑작스러운 전이를 방지하기 위해, 측면 윈도우의 상부 에지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직선 섹션 및 구부러진 섹션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사각형 부분의 상부 에지는 대략 직선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차체 형태로 인해 상기 섹션의 곡선은 하부 에지에 대해 평행하지 않다. 이로 인해, 측면 윈도우 패인이 하강될 경우, 윈도우 패인의 상부 에지가 윈도우 슬롯의 전방 에지에서 여전히 보일 수 있는 반면에, 뒷 부분에서는 훨씬 더 윈도우 슬롯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윈도우 패인에서 허용될 수 있다. 그러나 측면 윈도우가 윈도우 쉐이드에 의해 차폐되어야 한다면, 여기서는 측면 윈도우 쉐이드의 상부 에지가 윈도우의 하부 에지 위로 돌출하거나 또는 대상물이 그 안으로 떨어질 수 있는 큰 갭을 방치해두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특히 승용차의 후방 영역에 주로 아이들이 앉으므로 갭을 통해 어떤 물체가 도어의 내부로 떨어지는 위험이 크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측면 윈도우 쉐이드의 후방 영역에서, 윈도우 쉐이드 웨브의 상부 에지가 인출 슬롯을 완전히 폐쇄해야 할 필요가 커진다.
윈도우 쉐이드 샤프트가 하부 윈도우 에지 하부에 배치되어, 이것이 윈도우의 상부 에지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함으로써, 이러한 조건은 이론적으로 충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일반적으로 도어 내부의 공간 조건에 반한다. 디자인 엔지니어는 윈도우 쉐이드 샤프트를 억지로 하부 에지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차량의 전방 에지쪽으로 놓인 영역에서는 후미에 놓인 영역에서보다 더 긴 윈도우 쉐이드 웨브의 수직 치수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윈도우 쉐이드 웨브가 와인딩 업(wind-up)될 경우, 윈도우 쉐이드 웨브의 전방 에지의 영역에서 후방 에지의 영역에서보다 많은 재료가 와인딩 업 된다.
이와 관련하여 EP 0 111 270 에는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를 시뮬레이팅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와인딩 샤프트는 실제로 정확히 실린더형이고, 와인딩 샤프트에 고정된 윈도우 쉐이드 웨브가 삼각형의 연장부를 가짐으로써 소정의 원추율이 얻어진다. 삼각형의 연장부는 와인딩 샤프트로부터 와인딩이 풀리는 섹션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부는 분리선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분리선은 와인딩 샤프트에 대해 평행하며, 연장부를 와인딩이 풀릴 수 있는 부분과 경계짓는다. 또한 연장부는 각각 분리선으로부터 나온 2 개의 측면 에지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변 중 하나가 분리선인 직각 삼각형이 생긴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윈도우 쉐이드 웨브의 전방 측면 에지의 연장부에서 연장하여 삼각형의 다른 변을 형성하는 짧은 측면 에지의 길이가 와인딩 샤프트의 외주보다 작은 경우에만 사용되도록 제한된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제조하는 동안 와인딩 업 될 경우에는 정점이 통제될 수 없는 방식으로 폴드 오버된다.
또한 이러한 윈도우 쉐이드 웨브 블랭크는 재생 가능성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동안 취급이 어렵다.
와인딩 샤프트는 삼각형 보상 섹션의 와인딩 업시 결국 원호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 고려되고, 원호의 반경은 보강 섹션의 위치 및 상기 보상 섹션의 정점에 의해 결정된다. 윈도우 쉐이드 웨브용 재료의 낮은 강성은 추가로 상황들을 복잡하게 만든다.
FR 2 750 158는 또다른 해결책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는 실린더형 코어 부재로부터 삼각형의 패치가 와인딩 업됨으로써, 와인딩 샤프트의 원추형 형상이 형성된다. 와인딩 업은 블랭크의 긴 변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배치는 더우기 재생 가능성의 측면에서 약간 바람직하긴 하지만, 2 개의 별도의 블랭크가 취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제조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 쉐이드를 생산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2 또는 3의 특징을 포함하는 윈도우 쉐이드에 의해 달성된다.
전체 해결책은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의 사출 성형을 위한 공구 비용이 채산에 맞지 않는 소규모 제조에 적합하다.
전체 해결책에서 와인딩 샤프트의 코어는 실린더형 튜브, 바람직하게 강 튜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 튜브에는 밴드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랩핑이 제공된다. 하나의 해결책에서 튜브형 코어에 서로 인접하여 놓인 다수의 실린더형 랩핑이 놓이고, 그의 외경은 랩핑마다 와인딩 샤프트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증가하거나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보면 감소된다. 최대 직경을 가진 랩핑이 일 단부 바로 옆에 놓인다.
원추율이 얼마나 큰지 그리고 와인딩 샤프트의 길이가 얼마나 긴지에 따라, 개별 랩핑이 와인딩 샤프트 길이의 10% 내지 30%인 축방향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가상 원추부의 정점은 와인딩되지 않은 코어로 직접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스텝은, 와인딩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작게 형성된다.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 랩핑이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처음 언급된 해결책과 매우 유사한 해결책은, 실린더형 랩핑을 제공하는 것이고,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층방식 랩핑이다. 제 1 랩핑은 와인딩 샤프트 상에 직접 배치되고, 그의 축방향으로 최대 치수를 가진다. 바로 다음 랩핑은 이를 관통하는 제 1 랩핑에 제공되고, 축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가진다. 양 랩핑은 와 인딩 샤프트의 동일한 단부에서 함께 끝난다. 각각 그 아래 위치하는 랩핑으로 와인딩 업 되는 각 추가 랩핑은 약간 짧고, 이로 인해 결국 와인딩 샤프트의 한 단부에는 상응하는 개수의 랩핑이 중첩되어 놓이고, 랩핑의 개수는 와인딩 샤프트를 따라 발생된 스텝보다 1개 더 작다.
또한 이 경우 유사 원추대의 최소 직경은 코어로 직접 형성된다.
제 3 변형예는 개별 연속 밴드의 사용을 제공한다. 와인딩 업된 밴드의 스레드 피치는, 개별 층이 중첩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중첩이 더 커지고 더 많아질수록, 발생된 직경도 더 커진다. 따라서 원추대형 형상을 얻기 위해, 가변 피치를 가진 밴드가 와인딩 업된다. 소정의 원추부의 최대 직경이 형성되어야 하는 곳에 개별 층들이 거의 일치하게 중첩된다. 이와는 달리, 최소 직경을 가진 단부에서는 개별 레이어들이 서로 인접하여 놓인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예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도면 설명 단계에서, 각 상황으로부터 발생하는 일련의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대상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은 승용차의 후미 영역을 잘라서 도시한다. 도면은 우측 내부에서 본 것이며, 이는 보이지 않는 좌측 내부와 반사 대칭이다. 예컨대 보강재와 같은 차체의 내부 구조물과 관련해서 고정 수단이 도시되지 않으면 도면은 간단해지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그 도면이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우측", "좌측", "전방", "후방"의 개념은 자동차 기술에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사용된다.
도시된 차체 섹션(1)은 루프(2)를 가지며, 상기 루프로부터 측면로 B-칼럼(3)이 보이지 않는 플로어 어셈블리로 안내된다. 상응하는 B-칼럼은 보이지 않는 차량의 좌측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루프(2)는 후방 에지에서 테일 게이트(tailgate)(4)로 이어지고, 상기 테일 게이트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루프(2)의 하부 에지에 힌지 연결된다. 테일 게이트(4) 내에 후방 윈도우(5)가 설치된다.
테일 게이트(4) 또는 이를 수용하는 개구가 C-칼럼(6)에 인접한다. C-칼럼(6)과 B-칼럼(3) 사이에 이미 상기한 바와 같은 우측 후방 측면 도어(7)가 위치하고, 다른 차량측에 반사 대칭 도어를 가진다.
도어(7)는 내측에 고정된 도어 핸들(8) 및 개방 레버(9)를 갖는다.
도어(7)에서 상부 영역에 측면 윈도우(11)가 놓이고, 상기 측면 윈도우에는 가동 윈도우 패인(12)이 배치되고, 상기 측면 윈도우 패인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컨대 전기로 상하 이동됨으로써, 윈도우(11)를 개방한다. 양 후방 측면 도어(7) 사이에는 분할된 시트면(13) 및 마찬가지로 분할될 해당 후방 등받이면(14)을 가진 후방 벤치 시트(12)가 놓인다. 시트면(13) 앞에 플로어 어셈블리의 레그룸(15 및 16)이 위치한다.
후방 등받이면(14)의 상부 에지와 테일 게이트(4)의 내부 윤곽 사이의 갭은 후방 윈도우 선반(17)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후방 윈도우 선반은 테일 게이트(4)의 개방시 알려진 방식으로 상부로 향해 선회된다. 후방 윈도우 선반(17)의 하부에서 후방 등받이면(14)의 뒤에 트렁크 룸이 존재한다.
측면 도어(7)에 있는 윈도우(11)는 하부 직선 에지(18) 및 대체로 직선인 상부 에지(19) 및 2 개의 측면 에지(20 및 21)에 의해 제한된다. 상부 에지(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에지(18)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하고, 즉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18) 사이의 간격은 후방 측면 에지(20)의 영역에서보다 전방 측면 에지(21)의 영역에서 더 크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1)의 상기 에지들(18,19,20,21) 사이에 윈도우 쉐이드 웨브(22)가 고정될 수 있다. 윈도우 쉐이드 웨브(22)는 하부 윈도우 프레임 내 슬롯을 통해 연장한다. 윈도우 쉐이드 웨브(22)는 측면 윈도우 쉐이드(23)의 부품이고,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중요한 상기 쉐이드의 부분이 도 2에 도시된다. 측면 윈도우 쉐이드(23)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윈도우 쉐이드로서 구현된다.
윈도우 쉐이드 웨브(22)는 사다리꼴으로 잘린다. 이는 제 1 측면 에지(23), 이에 대해 평행한 측면 에지(24), 상부 또는 단부 에지(25) 및 베이스 에지(26)에 의해 제한된다. 상부 또는 단부 에지(25)에는 상기 에지를 보강하기 위해 인출 프로파일(27)이 제공되고, 상기 프로파일은 대략 중앙에 후크(28)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윈도우(11)의 윈도우 패인(12)의 상부 에지와 결합되거나 또는 측면 도어(7)의 내측에 있는 특수 아일렛에 걸린다. 인출 프로파일(27)은 직선이기 때문에,윈도우 쉐이드 웨브(22)가 인출될 때, 그것의 진행은 대략 측면 윈도우(11)의 상부 에지(19)의 진행에 상응한다. 따라서 윈도우 쉐이드 웨브(22)는 후방 측면 윈도우(11) 표면의 사다리꼴 근사부를 나타낸다.
인출 프로파일(27)의 단부(29)는 측면 에지(23 및 24)를 너머 약간 돌출함으 로써, 와인딩 업 상태에서 슬롯의 에지에 놓여지고, 상기 슬롯의 에지를 통해 윈도우 쉐이드 웨브(22)가 도어(7)의 내부로부터 인출된다.
도 2에서 윈도우 쉐이드 웨브(22)의 하부에 해당 와인딩 샤프트(31)가 도시되고, 상기 와인딩 샤프트에는 윈도우 쉐이드 웨브(22)가 그의 베이스 에지(26)를 따라, 예컨대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와인딩 샤프트(31)는 튜브형 와인딩 샤프트(31) 내에 위치하는 스프링 드라이브(32)를 포함하고, 거기에 하나의 단부가 고정된다. 예컨대 나선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드라이브(32)의 다른 단부는 핀(33)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핀은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도어의 내부, 즉 도어 내부 라이닝과 도어 외피 사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핀(33) 상에는 와인딩 샤프트(3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핀(33)과 동축으로 와인딩 샤프트(31)는 실린더형 핀(34)을 가지고, 상기 실린더형 핀에 의해 와인딩 샤프트(31)의 다른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와인딩 샤프트(31)의 구조는 도 3에 확대되어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와인딩 샤프트(31)는 실린더형 튜브(35)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내에 스프링 드라이브(32)가 설치된다.
공간적 이유로 인해 직선 와인딩 샤프트(31)의 축은 실질적으로 직선인 하부 에지(18)의 바로 아래 이것에 평행하게 연장되어야 한다. 윈도우 쉐이드 웨브(22)의 상부 에지(25)가 윈도우 상부 에지(19)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기 위해, 이미 언급된 사다리꼴 블랭크가 요구된다. 이러한 사다리꼴 블랭크에, 와인딩 과정의 종료시에 인출 프로파일(27)이 마찬가지로 윈도우 에지(18)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와인딩 업되기 위해, 와인딩 샤프트(31)는 적어도 거의 원추대형 형상을 가져야 한다. 디자인 규정에 따라, 회전수가 동일한 경우 짧은 에지(24) 뿐만 아니라 긴 측면 에지(23)도 와인딩 업 되어야 한다. 상관 관계는 선형이지만, 불가피하게 원추대형 형상을 야기한다. 근사한 원추대형 형상을 얻기 위해, 튜브형 코어(35) 상에는 인접하는 다수의 랩핑(36a ... 36g)이 설치된다. 랩핑(36c)의 주변의 절단된 영역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랩핑(36a ... 36g)은 와인딩 업된 상응하는 넓은 밴드(37)의 다수 층으로 이루어진다. 각 랩핑(36)은 사용된 밴드(37)의 폭에 상응하는 축방향 길이를 가진다. 밴드(37)는 핸들바 타입으로서 알려져 있기도 하는 예컨대 한 측면에 셀프 접착되도록 구현된 패브릭 스트립으로서 구현된다. 상응하는 위치에서 소정의 직경이 얻어질 때 까지 다수의 랩핑이 제공된다.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랩핑이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됨으로써, 상응하는 갭이 발생한다. 이러한 갭은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개별 랩핑(36)에 의해 필요한 이론적 원추형이 계단형으로 근사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밴드는 패브릭 또는 박막형 지지부(38) 및 접착층(39)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의 도면은 중요부를 알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다. 실제로 직경은 실제 실시예에서 큰 직경을 가진 단부로부터 작은 직경을 가진 단부까지 대략 50cm의 길이에서 최대 6mm 만큼 변한다. 이로 인해, 요구되는 원추형이 매우 평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시 윈도우 쉐이드 웨브(22)는 랩핑(36) 상에만 고정되고, 중간 공간 내 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은 추가 가능성은, 개별 랩핑(36)이 서로 직접 인접하도록 제공된다는 것이다.
랩핑이 셀프 접착 밴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랩핑이 실린더 튜브형 코어(35)의 외주면에 고정됨으로써, 스프링 드라이브(32)의 토크가 윈도우 쉐이드 웨브(22)로 전달된다. 개별 랩핑(36)의 랩핑 방향은 동일하며, 윈도우 쉐이드 웨브(22)에서의 인장력이 관련 랩핑(36)을 당기도록 선택된다. 달리 표현하면, 랩핑(36)의 랩핑 방향은, 윈도우 쉐이드 웨브가 와인딩 샤프트(31)로 와인딩 업 될 경우 윈도우 쉐이드 웨브(22)가 나타내는 랩핑 방향과 동일하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개별 랩핑(36)은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놓인다. 그러나 또한,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랩핑을 적층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인딩 샤프트(31)는 실린더 튜브형 코어(35)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상에는 제 1 랩핑(41a)이 제공된다. 랩핑(41a)은 밴드(37)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는 이제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나선형(spiral) 랩핑과는 달리 헬리컬(helical)형으로 제공된다. 랩핑(41a)은 핀(34)에 인접한 코어(35)의 단부로부터 코어(35)의 근처까지 도달하고, 상기 코어는 회전 불가능한 핀(33)에 인접한다. 랩핑(41a)은 코어(35) 길이의 대략 75 %를 덮는다. 밴드(37)로 이루어진 개별 랩핑 층는 서로 인접한다. 그러나 서로 중첩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실린더형인 추가 랩핑(41b)이 랩핑(41a)의 외주면 상에 위치한 다. 상기 추가 랩핑은 코어(35)의 우측 단부에서 랩핑(41a)과 동일한 위치에서 시작하지만, 축방향으로 더 짧은 길이, 예컨대 코어(35)의 전체 길이의 단 50% 의 길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추가 랩핑도 헬리컬형으로 와인딩된 밴드(37)로 이루어진다. 단지 랩핑을 잘 구분하기 위해 다른 랩핑 방향이 도시된다. 그러나 실제 실시예에서는, 랩핑(41b)의 랩핑 방향이 랩핑(41a)의 랩핑 방향과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코어(35)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여전히 제 3 랩핑(41c)을 가지며, 상기 제 3 랩핑도 마찬가지로 코어(35)의 우측 단부에서 시작하며 코어(35)의 길이의 대략 25%의 축방향 길이를 가진다. 3 개의 랩핑(41a ... 41c) 및 랩핑이 없는 코어(35)의 부분에 의해, 계단형으로 근사한 원추대가 형성된다. 근사한 원추대에 대한 디자인 규정은 이미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모든 랩핑(38)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5는 끝으로 수 개의 랩핑(42)에 의해 근사한 원추형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랩핑(42)은 다시 상기한 바와 같이 코어(35)를 향한 측면에 셀프 접착식으로 제공된 밴드(37)로 이루어진다. 랩핑(42)은 예컨대 좌측 단부 옆에서 코어(35)의 전체 길이의 대략 25% 만큼 이격되어 시작한다. 여기서부터 시작하여 밴드(37)는 헬리컬형으로 와인딩 업된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피치는 개별 랩핑이 축방향으로 정확하게 서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밴드(37)의 폭에 상응하게 선택되는 반면에, 랩핑에서는 밴드(37)의 후속하는 랩핑이 선행하는 랩핑을 약간 커버하는 피치가 사용된다. 피치의 변화에 의해 랩핑 직경이 점점 더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랩핑(42)의 처음 1/3 지점에서 개별 랩핑이 정확하 게 서로 인접하여 놓인다는 것이 가정된다. 코어(35)의 길이의 대략 1/2 지점에서 랩핑의 피치는 예컨대 1/2 만큼 변하고, 즉 후속하는 랩핑이 서로 밴드(37) 폭의 대략 50% 만큼 덮인다. 따라서 이렇게 형성된 랩핑의 각 영역에 이중 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랩핑은 전체 랩핑(39)의 길이의 대략 2/3 까지 발생된다. 2/3 다음에는 피치가 예컨대 밴드(37) 폭의 25 %로 줄어든다. 이것은 3 층을 형성한다. 즉 상기 영역부터 각각 밴드(37)의 3 개의 층이 중첩된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따른 구조와 유사한 구조가 발생한다.
마지막에 언급된 실시예는, 밴드(37)를 코어(35)에 와인딩 업하기 위한 기계에서는 단 하나의 밴드만이 처리되면 되는 중요한 장점을 가지고, 랩핑 피치를 변경시키기에 충분하다. 도 3 및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밴드(37)의 새로운 부착은 요구되지 않는다.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급변하는 피치를 가지는 실시예로 설명됨으로써 중요한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랩핑 피치가 계속적으로 변함으로써 원추형이 매우 세밀하게 매칭될 수 있다.
매우 큰 원추율이 요구되는 경우, 도 5에 따른 랩핑 기술도 도 4에 따른 랩핑 기술과 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4에 따른 각 랩핑(38)은 더 이상 실린더형이 아닌 이미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와인딩 샤프트가 발생된다.
차량용 윈도우 쉐이드는 사다리꼴으로 잘려진 윈도우 쉐이드 웨브를 포함함으로써, 해당 윈도우의 형상에 최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쉐이드 웨브용 와인딩 샤프트는 근사한 원추대인데, 실린더형 코어 및 그 위에 제공된 랩핑 에 의해 상기 근사한 원추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쉽게 제조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 쉐이드가 생산된다.

Claims (14)

  1. 실린더형 외주면을 가진 코어(35)를 가지는 와인딩 샤프트(31),
    상기 와인딩 샤프트(31) 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 제 1 랩핑(36)으로서, 상기 제 1 랩핑은 밴드(37)로 형성되며, 상기 밴드는 제 1 실린더형 랩핑(37)을 형성하기 위해 나선형으로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의 코어(35)로 와인딩 업되며, 상기 제 1 랩핑은 상기 코어(35)의 단부 옆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랩핑(36),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랩핑(38)으로서, 상기 추가 랩핑은 밴드(37)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는 실린더형 추가 랩핑(38)을 형성하기 위해 나선형으로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의 코어(35)로 와인딩 업되며, 상기 추가 랩핑은 제 1 랩핑(38)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 1 랩핑(38)과 상기 코어(35)의 다른 단부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양 랩핑들(38)과 상기 랩핑(38)이 없는 코어(35)의 부분에 의해 계단형으로 근사한 원추형이 형성되는, 상기 추가 랩핑(38),
    직사각형이 아닌 형상을 가지며 에지에 의해 적어도 2 개의 랩핑의 외주면 및 코어의 자유부에 고정되는 윈도우 쉐이드 웨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윈도우 쉐이드.
  2. 실린더형 외주면을 가진 코어(35)를 가지는 와인딩 샤프트(31),
    상기 와인딩 샤프트(31) 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 제 1 랩핑(41)으로서, 상기 제 1 랩핑은 밴드(37)로 형성되며, 상기 밴드는 제 1 실린더형 랩핑(41)을 형성하기 위해 헬리컬형으로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의 코어(35)로 와인딩 업되며, 상기 제 1 랩핑은 상기 코어(35)의 단부 옆에서 시작하며 다른 단부의 방향으로 약간 연장되는, 상기 제 1 랩핑(41),
    적어도 하나의 추가 랩핑(41)으로서, 상기 추가 랩핑은 밴드(37)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는 실린더형 추가 랩핑(41)을 형성하기 위해 헬리컬형으로 상기 제 1 랩핑(41)으로 와인딩 업되며, 상기 추가 랩핑의 길이는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의 종방향으로 제 1 랩핑(38)의 길이보다 짧음으로써, 양 랩핑들(41)과 상기 랩핑(41)이 없는 코어(35)의 부분에 의해 계단형으로 근사한 원추형이 형성되는, 상기 추가 랩핑(41),
    직사각형이 아닌 형상을 가지며 에지에 의해 적어도 2 개의 랩핑의 외주면 및 코어의 자유부에 고정되는 윈도우 쉐이드 웨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윈도우 쉐이드.
  3. 실린더형 외주면을 가지는 코어(35)를 포함하는 와인딩 샤프트(31),
    상기 와인딩 샤프트(31) 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 랩핑(42)으로서, 상기 랩핑은 밴드(37)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는 랩핑(42)을 형성하기 위해 헬리컬형으로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의 코어(35)로 와인딩 업되며, 상기 랩핑(42)의 피치는 상기 코어(35)의 단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갑자기 감소됨으로써, 상기 랩핑(42)에 의해 근사한 원추형이 형성되는, 상기 랩핑(42),
    직사각형이 아닌 형상을 가지며 에지에 의해 적어도 2 개의 랩핑의 외주면 및 코어의 자유부에 고정되는 윈도우 쉐이드 웨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윈도우 쉐이드.
  4. 제 1,2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 에지(25)에 인출 프로파일(27)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5. 제 1,2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지(23, 24)가 직선 에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에지(25)가 직선이거나 또는 직선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쉐이드 웨브(22)가 실질적으로 연신 불가능하게 짜여진 패브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8. 제 1,2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에 구동 장치(32)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38)이 실린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42)이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36)이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12. 제 1,2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밴드(37)의 폭이 5mm 내지 50mm이고, 각 중간값은 새로운 영역의 한계값으로서 간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37)는 셀프 접착식 밴드이고, 상기 밴드의 표면측에 접착성 코팅 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37)는 직물 또는 박막으로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서로 평행한 에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KR1020050053831A 2004-06-23 2005-06-22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하는 윈도우 쉐이드 KR20060049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0262A DE102004030262B3 (de) 2004-06-23 2004-06-23 Rollo mit konischer Wickelwelle
DE102004030262.6 2004-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651A true KR20060049651A (ko) 2006-05-19

Family

ID=3498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831A KR20060049651A (ko) 2004-06-23 2005-06-22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하는 윈도우 쉐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43699B2 (ko)
EP (1) EP1609646A3 (ko)
JP (1) JP2006008122A (ko)
KR (1) KR20060049651A (ko)
CN (1) CN1712665A (ko)
DE (1) DE102004030262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3370A1 (de) * 2006-05-16 2007-11-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Rollo für Fenster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2007016154A1 (de) * 2007-03-21 2008-09-25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anscharniertem Zugstab und rechteckigem Tragstab
WO2009009435A2 (en) * 2007-07-06 2009-01-15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afety barrier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TW201036841A (en) * 2009-04-13 2010-10-16 Macauto Ind Co Ltd Sunshade for side windows
DE102010008766C5 (de) 2010-02-22 2014-04-17 Webasto SE Rollo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20120018105A1 (en) * 2010-07-23 2012-01-26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e
DE202011052505U1 (de) * 2011-12-28 2013-04-09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Wickelmechanismus einer Sonnenblende, Sonnenblendenanordnung und Dachanordnung
FR3001414A1 (fr) * 2013-01-30 2014-08-01 Renault Sa Dispositif d'enroulement d'un volet occultant sur un vehicule
EP3332998B1 (en) 2016-12-08 2020-04-29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Winding mechanism for a sunscreen
DE102019106826B4 (de) * 2019-03-18 2022-04-28 Hbpo Gmbh Vorrichtung zum Steuern und Führen eines Verschlusselementes
WO2021079490A1 (ja) * 2019-10-25 2021-04-29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208A (en) * 1891-09-29 lugein
US1385131A (en) * 1920-09-15 1921-07-19 Albert R Gwynn Glare-shade for automobiles
US2322934A (en) * 1941-06-20 1943-06-29 Hicks William Morse Tackless roller shade assembly
US4114756A (en) * 1976-12-13 1978-09-19 W. R. Grace & Co. Winding core for heat shrinkable film material
DE2841218C3 (de) * 1978-09-22 1982-02-04 Justin Hüppe GmbH, 2900 Oldenburg Rollvorhang
DE3244880A1 (de) * 1982-12-03 1984-06-07 Hüppe GmbH, 2900 Oldenburg Rollovorhang
US5462105A (en) * 1992-08-07 1995-10-31 Supernak; Janusz Adjustments for window shades
US5551744A (en) * 1995-01-12 1996-09-03 Energy Conservation Partnership, Ltd. Motor vehicle windshield curtain structure
FR2750158B1 (fr) * 1996-06-20 1998-11-27 Farnier Et Penin Snc Store a enrouleur a rattrapage conique
US6047762A (en) * 1998-03-20 2000-04-11 Prince Corporation Shade control for a vehicle window
DE19925226C2 (de) * 1999-06-01 2002-10-10 Eva Fahrzeugtechnik Gmbh Verdunklungsvorrichtung
DE10020212B4 (de) * 2000-04-25 2004-02-19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Schlitzabdeckung
US6488069B1 (en) * 2000-07-20 2002-12-03 Dometic Corporation Rain dump structure for awning
FR2816983B1 (fr) * 2000-11-22 2003-01-10 Wagon Automotive Snc Store a enrouleur a support d'enroulement tronconique a degres
DE10151872B4 (de) * 2001-10-24 2007-10-04 Bos Gmbh & Co. Kg Geteiltes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DE10204331B4 (de) * 2002-02-01 2005-10-27 Bos Gmbh & Co. Kg Rolloartige Anordnung mit längsgeteilter Wickelwelle
US6681832B1 (en) * 2002-07-01 2004-01-27 Carla Procida Window screen assembly for vehicle
DE10354233A1 (de) * 2003-11-19 2005-06-30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Konturteil
US7013946B2 (en) * 2004-01-08 2006-03-21 Reum Protec Gmbh Roller blind, particularly window roller blind, for mot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2665A (zh) 2005-12-28
DE102004030262B3 (de) 2006-04-27
US7243699B2 (en) 2007-07-17
EP1609646A3 (de) 2007-07-25
EP1609646A2 (de) 2005-12-28
JP2006008122A (ja) 2006-01-12
US20060000566A1 (en)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9651A (ko)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하는 윈도우 쉐이드
US5404926A (en) Roller shade for non-rectangular openings
US7051781B2 (en) Sunshade assembly for a vehicle roof
CN101186178A (zh) 卷起式天窗遮阳板
CN102029877B (zh) 车辆的卷起式遮阳装置
US7114766B2 (en) Window blind for a sliding roof system
US5201810A (en) Roller shade for an opening having a curved frame
US20030094249A1 (en) Divided window shade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JP2008260516A (ja) パーフォレーションを有するバンド駆動を用いたローラブラインド
US20160009165A1 (en) Roll shade apparatus for vehicle
EP2664473A1 (en) Side track for a vehicular sun roof
KR20180019222A (ko) 차량의 2 부분 측면 윈도우 구성을 위한 차양 장치
CN1766275A (zh) 无阶梯的卷帘装置
CN111032392B (zh) 具有卷轴空心管的卷帘装置
JP2001347837A (ja) ルーフ開口と2個のリッドを備えた車両ルーフ
CN213676337U (zh) 遮阳帘安装结构及具有其的车辆
CN110733317B (zh) 卷帘组件
US20210146758A1 (en) Vehicle sunshade device and vehicle door structure
US7597132B2 (en) Window shade
TW202237430A (zh) 遮光裝置和車輛
JP4304660B2 (ja) サイドサンシェード
KR102634400B1 (ko)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JP4775099B2 (ja) 自動車ウィンドウガラス用サンシェード
CN107000557A (zh) 卷帘遮阳装置
JP5407339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