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518A -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 Google Patents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518A
KR20060046518A KR1020050054711A KR20050054711A KR20060046518A KR 20060046518 A KR20060046518 A KR 20060046518A KR 1020050054711 A KR1020050054711 A KR 1020050054711A KR 20050054711 A KR20050054711 A KR 20050054711A KR 20060046518 A KR20060046518 A KR 20060046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o
mode selection
clutch
lev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977B1 (ko
Inventor
아끼후미 니시노
류지 기따가와
기요까즈 나까니시
쯔까사 와다
겐조 우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83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34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033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2078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6004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fluid gearing
    • B60K17/105Units comprising at least a part of the gearing and a torque-transmitting axle, e.g. trans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 F16H4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5Agricultural vehicles
    • B60W2300/152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리어 PTO축에만 출력하는 출력 상태와, 리어 PTO축 및 미드 PTO축으로부터 동시에 출력하는 출력 상태와, 미드 PTO축에만 출력하는 출력 상태를 선택하는 PTO 모드 선택 기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전동 상방에 PTO 클러치를 배치한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에 있어서, PTO 모드 선택 기구를 적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TO 클러치 레버(CL)가 클러치 연결 위치에 있으면 PTO 모드 선택 기구를 절환하는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조작을 견제 저지하고, PTO 클러치 레버(CL)가 클러치 해제 위치에 있으면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절환 조작을 허용하는 견제 기구(64)를 구비하고 있다.
Figure 112005033564943-PAT00001
PTO 클러치 레버, 견제 기구, 모드 선택 기구, PTO축, 모드 선택 레버

Description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PTO OPERATING STRUCTURE OF TRACTOR}
도1은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도2는 전륜 전동 구조의 종단 측면도.
도3은 전동 구조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4는 전동 구조의 기어 드레인을 도시한 개략도.
도5는 표준 4륜 구동 모드에 있는 전륜 변속 기구의 종단 측면도.
도6은 전륜 증속 구동 모드에 있는 전륜 변속 기구의 종단 측면도.
도7은 유압 회로도.
도8은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종단 측면도.
도9는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종단 측면도.
도10은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종단 측면도.
도11은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조작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12는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조작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13은 기체 후방부의 평면도.
도14는 레버 조작부의 평면도.
도15는 포지션 제어 레버의 베이스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16은 접시 스프링의 특성선도.
도17은 레버 조작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18은 PTO계의 레버 조작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19a 및 도19b는 PTO계의 레버 조작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20은 견제 기구의 구성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3 : PTO 클러치
CL : PTO 클러치 레버
7 : 리어 PTO축
25 : 운전 좌석
50 : 미드 PTO축
53 : PTO 모드 선택 기구
58 : PTO 모드 선택 레버
64 : 견제 기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162551호 공보
본 발명은 기체 후방부에 리어 PTO축을 구비하는 동시에, 기체 하부에 미드 PTO축을 구비한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체 후방부에 리어 PTO축을 구비하는 동시에, 기체 하부에 미드 PTO축을 구비하고, 상기 리어 PTO축으로부터만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상태와, 상기 리어 PTO축 및 상기 미드 PTO축의 양방으로부터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상태와, 상기 미드 PTO축으로부터만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상태로부터 1개를 선택하는 PTO 모드 선택 기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전동 상부에 PTO 클러치를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5-162551호 공보의 도7 참조).
상기 PTO 전동 구조는, 리어 PTO축과 미드 PTO축을 이용하여 광범위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실용상 우수한 것이지만, PTO 클러치를 클러치 연결 상태로 한 상태에서 PTO 모드 선택 기구를 부주의하게 선택 조작하여 정지하고 있던 PTO축을 갑자기 회전시키거나 혹은 회전하고 있는 PTO축을 갑자기 정지시켜 버려, PTO 전동계에 있어서의 기어 맞물림부나 스플라인 맞물림부 등에 무리를 가하여 손상시키거나, 이음(異音)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 없이 PTO 모드 선택 기구를 적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 발명에 따르면, 기체 후방부에 리어 PTO축을 구비하는 동시에 기체 하부에 미드 PTO축을 구비하고, 상기 리어 PTO축으로부터만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상태와, 상기 리어 PTO축 및 상기 미드 PTO축의 양방으로부터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상태와, 상기 미드 PTO축으로부터만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상태로부터 1개를 선택하 는 PTO 모드 선택 기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전동계의 상부측에 PTO 클러치를 배치한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이며,
상기 PTO 클러치가 클러치 연결 상태에서는 상기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절환 조작을 견제 저지하고, 상기 PTO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 상태에서 상기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절환 조작을 허용하는 견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전동계의 상부에 위치하는 PTO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 상태에 있을 때만 PTO 모드 선택 기구를 절환 조작할 수 있으므로, 정지하고 있던 PTO축을 갑자기 회전시키거나, 혹은 회전하고 있는 PTO축을 갑자기 정지시켜 버리는 일이 미연에 회피된다.
따라서, 제1 발명에 따르면 PTO 모드 선택 기구가 준비되지 않은 조작에 의해 PTO 전동계에 있어서의 기어 맞물림부나 스플라인 맞물림부 등에 무리를 가하여 손상시키거나, 이음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내구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견제 기구를, 상기 PTO 클러치를 조작하는 PTO 클러치 레버와 상기 PTO 모드 선택 기구를 조작하는 PTO 모드 선택 레버에 걸쳐 배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PTO 클러치 레버가 클러치 연결 상태에 있으면 PTO 모드 선택 레버를 조작할 수 없게 되어 PTO 모드 선택에 부적절한 상태에 있는 것을 조작 감각으로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견제 기구는 상기 PTO 클 러치 레버와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를 위한 레버 가이드의 하부에 배치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적어도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와 접촉하여,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견제 부재를 갖는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르면 상기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견제 부재는 상기 PTO 클러치 레버와 접촉 가능한 캠부를 갖고, 상기 PTO 클러치 레버가 클러치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PTO 클러치 레버가 상기 견제 부재의 캠부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상기 견제 부재가 상기 브래킷에 대해 요동하여,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이동 경로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이동을 규제하거나, 또는 허가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PTO 모드 선택 기구를 조작하는 PTO 모드 선택 레버와 PTO 클러치를 연결 해제 조작하는 PTO 클러치 레버를 각각 요동 조작 가능하게 트랙터의 운전 좌석의 횡측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또한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조작 경로와 PTO 클러치 레버의 조작 경로를 직선 형상 혹은 대략 직선 형상으로 종렬 배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PTO 출력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우선 PTO 클러치 레버를 클러치 해제 조작하고, 계속해서 선택 PTO 모드 선택 레버를 조작하여 원하는 PTO 출력 상태를 선택하고, 그 후 PTO 클러치 레버를 클러치 연결 조작하여 작업에 이행하게 되어, 양 레버의 조작 경로가 직선 형상 혹은 대략 직선 형상으로 종렬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손잡이를 보지 않고도 한 쪽 레버로부터 다른 쪽 레버로의 바 꿔 잡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PTO 구동 상태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그 취급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발명에 있어서 상기 PTO 클러치 레버를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보다 전방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PTO 모드 선택 레버는 작업 상태에 따라서 선택 조작한 후에 변경하는 일은 거의 없고, 이후에는 선택된 구동 모드로 작업하면서 PTO 클러치 레버를 조작하여 동력 전달의 연결 해제를 반복한다. 즉, 조작 빈도가 높은 PTO 클러치 레버를 조작 빈도가 낮은 PTO 모드 선택 레버보다 전방에 배치하는 쪽이 취급하기 쉬워진다.
제7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또는 제6 발명에 있어서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조작 경로에 있어서의 후방 단부에, 리어 PTO축으로부터만 동력을 출력하는 조작 위치, 조작 경로에 있어서의 전후 중간에 리어 PTO축 및 미드 PTO축으로부터 함께 동력을 출력하는 조작 위치, 또한 조작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 단부에 미드 PTO축으로부터만 동력을 출력하는 조작 위치를 배치하고 있다.
리어 PTO축은 기체 후방에, 또한 미드 PTO축은 그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위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하면 운전자는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조작 위치로부터 PTO 출력 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쉬워, 오조작의 우려가 없고 빠르게 원하는 PTO 출력 상태를 가져올 수 있다.
제8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PTO 모드 선택 기구가 2개의 인 접하는 출력 상태의 사이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PTO 클러치를 클러치 연결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상기 견제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도1에 본 발명에 관한 트랙터의 전체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트랙터는, 엔진(1)의 후방부에 직결된 클러치 하우징(2), 판금 구조의 하우징 프레임(4),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로 이루어지는 주변속 장치(12), 미션 케이스(3) 및 차동 케이스(5)가 종렬 형상으로 차례로 연결되어 기체 보디가 구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차동 케이스(5)에 좌우측 후륜(6)이 저어널되는 동시에 리어 PTO축(7)이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또한 좌우의 전륜(8)을 조향 가능하게 구비한 전방 차축 케이스(9)가, 엔진(1)에 연결된 전방 프레임(10)의 하부에 롤링 가능하게 장착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이 트랙터의 전동계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하우징(2)의 상부에는 단판 건식의 주클러치(C1)가 장비되는 동시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변속 장치(12)의 상하에는 축 방향 플런저식으로 구성된 가변 용량형 펌프(P)와 축 방향 플런저식으로 구성된 정용량형 모터(M)가 조립되어 있고, 클러치 하우징(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주출력축(14)과, 주변속 장치(12)의 상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된 입력축(13)이 주전동축(15)을 거쳐서 연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속 장치(12)는 펌프(P)의 경사판 각도를 변경 조작하여 압유 토출량 및 토출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모터(M)의 출력축(16)을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무단계로 변속 구동하는 주지의 구조가 채용되어 있고, 운전부 발밑의 우측에 배치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변속 페달에 의해 0속 발진이 가능한 무단 변속과 전후진의 절환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션 케이스(3)는 전후가 개방되는 동시에, 그 전후 중간 부위에 중간 구획벽(3a)이 구비되어 케이스 내가 전후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간 구획벽(3a)과 차동 케이스(5)의 전방벽(5a)에 걸쳐 지지된 주행계의 전동축(17)과 모터(M)의 출력축(16)이 동심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간 구획벽(3a)으로부터 후방의 구획에 있어서, 중간 구획벽(3a)과 차동 케이스(5)의 전방벽(5a)에 걸쳐 최종 변속축인 베벨 피니온축(18)이 지지되고, 이 베벨 피니온축(18)과 상기 전동축(17)과의 사이에 주행계의 부기어 변속 기구(19)가 장비되어 있다. 이 주행계의 부기어 변속 기구(19)는 전동축(17)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한 시프트 기어(G1)를 시프트하여 베벨 피니온축(18)을 3단으로 변속하고, 베벨 피니온 기어(Gp)에 끼워 맞추어진 차동 기구(D)를 거쳐서 좌우측 후륜(6)을 변속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전동축(17)의 전후에는 대경 헐겁게 끼움 기어(G2)와 소경 헐겁게 끼움 기어(G3)가 장착되는 동시에, 베벨 피니온축(18)에는 대경 헐겁게 끼움 기어(G2)에 항시 맞물리는 소경 기어(G4)와 소경 헐겁게 끼움 기어(G3)에 항시 맞물리는 대경 기어(G5)가 고정 부착되고, 또한 베벨 피니온축(18)에는 시프트 기어(G1)에 직접 맞물림 가능한 직경 기어(G6)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시프트 기어(G1)를 후방으로 시프트하여 그 보스부를 소경 헐겁게 끼움 기어(G3)의 보스부에 맞물림 연결함으로써, 소경 헐겁게 끼움 기어(G3)와 대경 기어(G5)와의 기어비에서의 전동에 의해「저속」이 초래되고, 시프트 기어(G1)를 전후 중간 위치에까지 시 프트하여 중간 직경 기어(G6)에 직접 맞물리게 함으로써 시프트 기어(G1)와 중간 직경 기어(G6)와의 기어비에서의 전동에 의해「중속」이 초래되고, 또한 시프트 기어(G1)를 전방으로 시프트하여 그 보스부를 대경 헐겁게 끼움 기어(G2)의 보스부에 맞물림 연결함으로써 대경 헐겁게 끼움 기어(G2)와 소경 기어(G4)와의 기어비에서의 전동에 의해「고속」이 초래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유압식에 정역으로 무단 변속되는 동시에, 부기어 변속 기구(19)에 의해 3단으로 변속되는 베벨 피니온(18)의 전방 단부에는 전륜(8)으로의 동력 전달용 출력 기어(G7)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한, 중간 구획벽(3a) 및 주변속 장치(12)에 걸쳐 전륜 구동용 전동축(20)이 관통 지지되어 있다. 이 전륜 구동용 전동축(20)의 후방 단부에는 시프트 기어(G8)가 스플라인 끼움 장착되어 있고, 이 시프트 기어(G8)를 전방으로 시프트하여 베벨 피니온축(18)의 출력 기어(G7)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후륜 구동 속도와 동조한 속도의 전륜 구동용 동력을 전륜 구동용 전동축(20)으로부터 취출하는 4륜 구동 상태가 초래되고, 또한 시프트 기어(G8)를 후방으로 시프트하여 출력 기어(G7)와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전륜 구동을 끊고 후륜(6)만에 의한 2륜 구동 상태가 초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2)에는 주클러치(C1)를 수용한 건식 클러치실(a)과, 이와 격절된 습식(오일 배스 윤활식) 변속실(b)이 구비되어 있고, 이 변속실(b)에 전륜 구동용 전동축(20)으로부터 전방으로 취출된 전륜 구동용 동력을 받는 전륜 변속 기구(21)가 장비되어 있다. 이 전륜 변속 기구(21)에는, 전륜 구동용 전동축(20)에 중간축(22)을 거쳐서 동심 형상으로 연결된 입력축(23)과 이와 평 행한 변속축(24)이 구비되어 있고, 변속축(24)에 구비한 변속 클러치(C2)를 연결 해제함으로써 변속축(24)을 고저 2단으로 변속하여 이 변속 동력을 케이스 하단부에 배치한 전륜 구동축(26)에 기어 전달하고, 전륜 구동축(26)으로부터 전방으로 취출한 고저 2단의 변속 동력을 전차축 케이스(9)에 축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축(23)에는 대경 기어(G9)와 소경 기어(G10)가 구비되는 동시에, 변속축(24)에는 이들 기어(G9, G10)에 항시 맞물린 소경 헐겁게 구름 기어(G11)와 대경 헐겁게 구름 기어(G12)가 구비되어 있다. 변속축(24)에 구비된 변속 클러치(C2)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축(24)에 고정 부착된 클러치 드럼(27)과 소경 헐겁게 구름 기어(G11)에 연속 설치된 스플라인 보스부(28)와의 사이에 다판식 마찰 전동부(29)를 개재하여, 클러치 드럼(27)에 내부 끼움 장착한 피스톤 부재(30)를 축내 유로를 경유하여 급배되는 압유 및 내장된 스프링(31)에 의해 진퇴 변위시킴으로써 마찰 전동부(29)를 압접 혹은 압접 해제하여 클러치 연결 해제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드럼(27)의 보스부에 시프트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시프트 부재(32)가, 클러치 드럼(27)을 관통하는 연결 핀(33)을 거쳐서 피스톤 부재(30)에 일체화되어 있고, 피스톤 부재(30)의 진퇴 이동에 수반하여 시프트 부재(32)가 일체적으로 시프트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유 공급이 끊겨 있는 상태에서는, 피스톤 부재(30)가 내장 스프링(31)에 의해 도면 중 좌측으로 후퇴 변위하여 변속 클러치(C2)가「해제」상태가 되는 동시에, 피스톤 부재(30)와 일체화된 시프트 부재(32)가 대경 헐겁게 구름 기어(G12)에 측면에서 맞물리고, 입력축(23)의 동력이 소경 기어(G10), 대경 헐겁게 구름 기어(G12), 시프트 부재(32) 및 클러치 드럼(27)을 경유하여 변속축(24)으로 감속 전달된 후, 변속축(24)의 전방 단부로부터 취출되어 전륜 구동축(26)을 거쳐서 전방 차축 케이스(9)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전륜(8)은 후륜 주속도와 동등(혹은, 약간 빠른 주속도)한 주속도로 구동되고, 또한 표준의 4륜 구동 모드가 현출된다.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유의 공급에 의해 피스톤 부재(30)가 내장 스프링(31)에 저항하여 도면 중 우측으로 이동하여 마찰 전동부(29)를 압접함으로써 변속 클러치(C2)가「연결」상태가 되는 동시에, 피스톤 부재(30)와 일체화된 시프트 부재(32)가 대경 헐겁게 구름 기어(G12)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입력축(23)의 동력이 대경 기어(G9), 소경 헐겁게 구름 기어(G11), 마찰 전동부(29) 및 클러치 드럼(27)을 경유하여 변속축(24)으로 증속 전달된 후, 전륜 구동축(26)을 거쳐서 전방 차축 케이스(9)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전륜(8)은 후륜 주속도의 약 2배 정도의 주속도로 구동되고, 또한 전륜 증속 구동 모드가 현출된다.
도7의 유압 회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속 클러치(C2)의 압유 급배 유로에는, 전륜(8)의 조향에 연동하여 절환 조작되는 전륜 제어 밸브(V1)와, 전륜(8)의 자동 변속을 연결 해제 선택하는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와, 부기어 변속 기구(19)의 변속 조작에 연동하여 절환 조작되는 견제 밸브(V3)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고, 엔진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OP)로부터의 압유가 파워 스티어링 유닛(87) 및 오일 쿨러(88)를 경유한 후에, 전륜 변속용 유압 회로(f)에 공급되고, 또한 전륜 변속용 유압 회로(f)로부터의 복귀유가 유압식 무단 변속 케이스(12)의 차지 회로(g)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륜 제어 밸브(V1),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 및 견제 밸브(V3)는 각각 로터리 밸브로 구성되고, 이들 밸브(V1, V2, V3)가 클러치 하우징(2)의 후방부에 연결된 단일 밸브 케이싱(90)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륜 제어 밸브(V1)와 견제 밸브(V3)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데 반해, 이들의 중간에 위치하는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는 그 스풀 축심이 다른 밸브(V1, V2)의 스풀 축심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륜 제어 밸브(V1)가, 전륜(8)의 스티어링 기구(91)에 기계적으로 연동 연결되어 있고, 전륜(8)이 직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유로를 차단하여 전륜(8)이 직진 위치로부터 설정 각도(예를 들어 35 °) 이상으로 좌측 혹은 우측으로 조향되면 전륜 제어 밸브(V1)가 회전되어 유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는 절환 레버(92)에 링크 연계되어 있어 자동 변속「연결」 위치에서는 유로가 개방되고, 자동 변속「해제」위치에서는 유로가 차단된다. 또한, 견제 밸브(V3)는 주행 속도를 3단으로 변속하는 부기어 변속 기구(19)를 절환 조작하는 부변속 레버(93)에 링크 연계되어 있어, 부기어 변속 기구(19)가「저속」 혹은「중속」으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유로가 개방되고, 부기어 변속 기구(19)가「고속」으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유로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가 자동 변속「연결」위치로 선택되어 유로가 개방되는 동시에, 부기어 변속 기구(19)가「저속」혹은「중속」으로 조작되어 견제 밸브(V3)가 유로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전륜(8)의 설정 각도 이상의 조향에 연동하여 전륜 제어 밸브(V1)가 절환되고, 변속 클러치(25)에 압유가 공급되어 전륜(8)이 증속 구동되어 원활한 회전 반경이 작은 선회가 행해진다. 그리고,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가 자동 변속「연결」위치에 선택되어 있어도 부기어 변속 기구(19)가「고속」에 있는 경우에는, 전륜(8)의 설정 각도 이상의 조향에 관계없이 전륜 자동 증속이 실행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가 자동 변속「해제」위치에 선택되어 유로가 폐쇄되어 있으면, 당연히 전륜 조향에 의해서도 전륜 자동 증속이 행해지는 일은 없다.
다음에, PTO 전동계에 대해 설명한다.
주변속 장치(12)의 상부에 관통 지지된 입력축(13)의 후방 단부와, 중간 구획벽(3a)에 걸쳐 지지된 PTO계 전동축(35)이 동심에 맞댐 배치되는 동시에, 양자간에 유압 조작되는 다판식 PTO 클러치(C3)가 개재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PTO 클러치(C3)는 상기 입력축(13)의 후방 단부에 스플라인 연결된 클러치 드럼(37)과, PTO계 전동축(35)에 시프트 가능하게 스플라인 외부 끼움된 시프트 부재(38), 이 시프트 부재(38)에 상대 시프트 가능하게 스플라인 외부 끼움된 클러치 슬리브(39), 클러치 드럼(37)과 클러치 슬리브(39)의 사이에 개재된 다판식 마찰 전동부(40), 클러치 드럼(37)에 내부 끼움 장비된 클러치 조작용 피스톤 부재(41), 피스톤 부재(41)를 마찰 해제 방향으로 가압하는 내장 스프링(42)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축내 유로(c)를 거쳐서 압유를 공급하여 피스톤 부재(41)를 스프링(42)에 저항하여 도면 중 우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마찰 전동부(40)가 압접된「클러치 연결」상태가 초래되고, 압유 공급을 해제하여 피스톤 부재(41)를 스프링(42)으로 도면 중 좌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마찰 전동부(40)의 압접이 해제된「클러치 해제」상태가 초래되도록 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3)의 상면에는, 상기 축내 유로(c)로의 조작압의 전달 및 해제를 행하는 PTO 클러치 조작용 절환 밸브(V4)가 연결되어 있고, 이 절환 밸브(V4)를 조작하는 PTO 클러치 레버(CL)가 운전 좌석(61)의 좌측에 전후 요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PTO 클러치 레버(CL)는,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조작 경로의 후방에「클러치 연결」위치가, 또한 전방에「클러치 해제」위치가 설정되어 있고,「클러치 연결」상태가 선택되면 클러치 슬리브(39)에 전달된 동력이 시프트 부재(38)를 거쳐서 PTO계 전동축(35)에 전달되고, PTO계 전동축(35)의 후방 단부에 동심 형상으로 연결된 중간 전동축(43)을 거쳐서 차동 케이스(5)의 후방부에까지 전달되어, 차동 케이스 후방부에 장비된 기어(G13, G14)에 의해 크게 감속되어 상기 리어 PTO축(7)으로부터 취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PTO 클러치(C3)의 후방 부위에는「클러치 해제」작동에 연동하여 전동 하측의 관성 회전을 저지하는 PTO 제동 기구(45)가 배치되어 있다. 이 PTO 제동 기구(45)는 상기 클러치 슬리브(39)에 스플라인 외부 끼움된 마찰판(46)과, 미션 케이스(3)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받침 부재(47)와, 미션 케이스(3)의 내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걸어 맞춤 지지된 제동판(48)으로 구성되어 있고, PTO 클러치(C3)가 해제 작동하여 피스톤 부재(41)가 내장 스프링(42)에 의해 도면 중 좌측으로 압박 이동되면, 피스톤 부재(41)와 일체적으로 클러치 슬리브(39)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 고, 마찰판(46)이 받침 부재(47)와 제동판(48)으로 협지되어 클러치 슬리브(39)에 제동이 걸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3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3)에 있어서의 중간 구획벽(3a)보다 전방측의 하면에는, 전방을 향해 미드 PTO축(50)을 돌출 설치 지지한 미드 PTO 케이스(51)가 연결되는 동시에, 미션 케이스(3)의 상기 중간 구획벽(3a)보다 전방의 구획 내에 PTO 전동계와 미드 PTO축(50)을 기어 연동하는 미드 PTO 전동 기구(52)와, 리어 PTO(7)와 미드 PTO축(50)으로부터의 동력 취출 상태를 절환 변경하는 PTO 모드 선택 기구(53)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드 PTO 전동 기구(52)는 상기 PTO계 전동축(35)의 후방부에 헐겁게 끼워진 동력 취출 기어(G15)와, 미드 PTO축(50)에 일체 형성된 기어(G16)가 중계 기어(G17, G18, G19)를 거쳐서 맞물림 연동된 구조로 되어 있고, 중계 기어(G17)는 전륜 구동용 전동축(20)에 헐겁게 끼워지는 동시에, 중계 기어(G18)는 주행계 전동축(17)에 헐겁게 끼움 지지되고, 또한 중계 기어(G19)는 미션 케이스(3)의 하벽부에 장착한 지지축(54)에 헐겁게 끼움 지지되어 있다.
상기 PTO 모드 선택 기구(53)는 상기 시프트 부재(38)를 전후로 시프트함으로써 리어 PTO축(7)에만 동력을 전달하는 모드와, 리어 PTO축(7) 및 미드 PTO축(50)의 양자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드와, 미드 PTO축(50)에만 동력을 전달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38)를 가장 전방 위치로 시프트 조작하면 시프트 부재(38)가 PTO계 전동축(35)의 스플라인부(35a)에만 맞물려진 상태가 되고, PTO 클러치(36)를 거쳐서 시프트 부재(38)에 전달된 동력은 중 간 전동축(43)을 경유하여 리어 PTO축(7)에만 전달된다.
또한, 시프트 부재(38)를 전후 중간 위치로 시프트 조작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38)가 PTO계 전동축(35)의 스플라인부(35a)와 동력 취출 기어(G15)의 보스부에 걸쳐 스플라인 맞물려진 상태가 되어, PTO 클러치(36)를 거쳐서 시프트 부재(38)에 전달된 동력이 중간 전동축(43)을 경유하여 리어 PTO축(7)에 전달되는 동시에, 미드 PTO 전동 기구(52)를 거쳐서 미드 PTO축(50)에도 전달된다.
또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38)를 가장 후방 위치에 시프트 조작하면 시프트 부재(38)가 동력 취출 기어(G15)의 보스부에만 스플라인 맞물려진 상태가 되어, PTO 클러치(36)를 거쳐서 시프트 부재(38)에 전달된 동력은 미드 PTO 전동 기구(52)를 거쳐서 미드 PTO축(50)에만 전달된다.
여기서, PTO계 전동축(35)과 중간 전동축(43)에 걸쳐 스플라인 외부 끼움된 축연결 슬리브(55)가, PTO 모드 선택 기구(53)에 의해 미드 PTO축(50)만 구동되는 전동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자유로워진 리어 PTO축(7)을 따라 주위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PTO 브레이크(B)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축연결 슬리브(55)는 전후 시프트 가능하게 스플라인 장착되는 동시에, 이 축연결 슬리브(55)가 PTO 모드 선택용 시프트 부재(38)와 동기하여 역방향으로 시프트되도록 그 조작계가 연계되어 있다. 즉,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38)에 걸어 맞추어지는 편심 조작 핀(56a)이 구비된 조작축(56)과, 축연결 슬리브(55)에 걸어 맞추어지는 조작 아암(57a)이 구비된 조작축(57)이 미션 케이스(3)의 측벽에 관통 지지되고, 조작축(56)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조작 핀 (56b)과, 지지점(p) 주위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PTO 모드 선택 레버(58)가 로드(59)를 거쳐서 연동 연결되는 동시에, 조작축(57)의 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연계 레버(57b)와 상기 조작 핀(56b)이 타원 연계되어 있고,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전후 요동 조작에 의해 시프트 부재(38)와 축연결 슬리브(55)가 서로 역방향으로 시프트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PTO 모드 선택 레버(58)가 최후방 위치로 조작되어 시프트 부재(38)가 최전방 위치로 시프트되고, 리어 PTO축(7)만이 구동되는 전동 모드가 선택된 상태 및 PTO 모드 선택 레버(58)가 전후 중간 위치로 조작되어 시프트 부재(38)가 전후 중간 위치로 시프트되고, 리어 PTO축(7)과 미드 PTO축(50)이 함께 구동되는 전동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는, 축연결 슬리브(55)는 그 시프트 범위의 최후방 위치 혹은 전후 중간 위치에 있고, 이 때의 축연결 슬리브(55)는 단순한 축 이음매로서 기능한다. PTO 모드 선택 레버(58)가 최전방 위치로 조작되어 시프트 부재(38)가 최후방 위치로 시프트되고, 미드 PTO축(50)만 구동되는 전동 모드가 선택되면, 시프트 부재(38)의 후방 시프트로 연동하여 축연결 슬리브(55)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미션 케이스(3)에 있어서의 중간 구획벽(3a)의 후방면에 형성된 리브(60)에 축연결 슬리브(55)의 전방 단부 걸어 맞춤 갈고리(55a)가 후방으로부터 걸어 맞추어지고, 또한 PTO 브레이크(B)가 기능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 PTO계 전동축(35)과 중간 전동축(43)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이다.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58)는 운전 좌석(61)의 좌측에 전후 요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조작 경로가 상기 PTO 클러치 레버(CL)의 조작 경로의 직후방 부위에 종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PTO 모드 선택 레버(58) 및 PTO 클러치 레버(CL)의 가로 외측으로 배열되어 상기 부변속 레버(93)가 전후 요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1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 클러치 레버(CL)의 파지부는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파지부(58a)보다 높아지도록 레버 길이가 설정되어 있고, PTO 클러치 레버(CL)를 조작할 때에 아암이 PTO 모드 선택 레버(58)에 닿기 어렵도록 고려되어 있다.
또한, 차동 케이스(5)의 후방부 상측에는 작업 장치 승강용 리프트 아암(95)과 이를 구동하는 리프트 실린더(96)가 배치되는 동시에, 리프트 실린더(96)를 작동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포지션 제어 밸브에 연계된 포지션 레버(97)가 운전 좌석(61) 우측의 횡측으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포지션 레버(97)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지지점에 개재된 접시 스프링(98)에 의한 마찰력에 의한 임의의 조작 위치에 보유 지지 가능하고, 보유 지지된 조작 위치에 대응한 높이까지 리프트 아암(95)이 승강 제어되어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시 스프링(98)은 그 압축 변형량에 대한 스프링 하중의 특성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 범위의 중간부에 스프링 하중 안정역을 갖는 것이고, 이 안정된 스프링 하중을 부착 하중으로 함으로써 부착시에 체결 오차에 따라 압축 변형량이 다소 달라도 마찰 유지 기능에 큰 차이가 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18과 도19a와 도19b에, 상기 PTO 클러치 조작용 상기 밸브를 절환하는 PTO 클러치 레버(CL)와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조작부가 도시되어 있다.
PTO 클러치 레버(CL)와 PTO 모드 선택 레버(58)는 운전 좌석(61)의 좌측에 있어서, 펜더(62)에 부착된 레버 가이드(63)에 전후 직렬 형상으로 근접하여 관통 배치되어 있고, PTO 클러치 레버(CL)의 전방 조작으로「클러치 연결」 상태가, 또한 후방 조작으로「클러치 해제」상태가 초래되도록 PTO 클러치 레버(CL)가 상기 밸브(V4)에 도시하지 않는 링크 기구를 거쳐서 기계적으로 연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조작에 견제를 부여하는 견제 기구(64)가 PTO 클러치 레버(CL)와 PTO 모드 선택 레버(58)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견제 기구(64)는,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가이드(63)의 내부에 하방으로부터 나사 고정된 브래킷(65)에, 전후로 길게 견제 부재의 예인 견제 부재(66)를 종방향의 지지점(m)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핀 피봇 지지하여 구성되어 있고, 레버 가이드(63)의 하면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점(m)은 PTO 클러치 레버(CL)의 안내 홈(67)과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안내 홈(68)과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견제 부재(66)에는 지지점(m)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조작부(66a)와 지지점(m)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견제 작용부(66b)가 구비되고, 또한 견제 부재(66)는 지지점(m)에 장착된 비틀림 스프링(69)에 의해 일정 방향(도19a 및 도19b에 있어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압되어 있다.
견제 부재(66)의 조작부(66a)는 PTO 클러치 레버(CL)의 안내 홈(67)에 있어서의 클러치 해제역에 중복되고, 그 측모서리에는「클러치 해제」위치로 조작된 PTO 클러치 레버(CL)에 접촉 조작되는 경사 캠부(7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견제 부재(66)의 견제 작용부(66b)는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안내 홈(68)에 있어 서의「미드 PTO 구동」위치와「미드/리어 PTO 구동」위치와 중복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그 측모서리에「미드 PTO 구동」위치의 PTO 모드 선택 레버(58)를 걸어 넣어 보유 지지하는 오목부(71)와「미드/리어 PTO 구동」위치에 있는 PTO 모드 선택 레버(58)를 걸어 넣어 보유 지지하는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견제 기구(64)에 따르면, 도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 클러치 레버(CL)가 전방의「클러치 연결」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면, 견제 부재(66)가 자유 회전 가능해져 가압 회전되고, 브래킷(65)에 절곡 형성된 스톱퍼(65a)에 받아내어져 전후 방향에 따른 자세로 보유 지지된다. 이 때, 견제 부재(66)의 견제 작용부(66b)가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안내 홈(68)에 중복되고,「미드 PTO 구동」위치 혹은「미드/리어 PTO 구동」위치에 있는 PTO 모드 선택 레버(58)는 오목부(71) 혹은 오목부(7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다른 위치로의 조작이 불가능해지고, 또한「리어 PTO 구동」위치에 있는 PTO 모드 선택 레버(58)는 견제 부재(66)의 후방 단부에 의해 전방으로의 조작이 저지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 클러치 레버(CL)가 후방의「클러치 해제」위치로 조작되면, 견제 부재(66)에 있어서의 조작부(66a)의 경사 캠부(70)가 PTO 클러치 레버(CL)에 의해 접촉 압박됨으로써 견제 부재가 비틀림 스프링(69)에 저항하여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강제 회전되고, 견제 작용부(66b)가 안내 홈(68)으로부터 좌측으로 퇴피되어, PTO 모드 선택 레버(58)를 임의로 전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견제 기구(64)에 있어서의 견제 부재(66)는 광택이 있는 금속 판재( 예를 들어, 도금 강판이나 스테인레스 강판)로 형성되어, 안내 홈(67, 68)으로부터 용이하게 전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견제 기구(64)의 기능 상태를 견제 부재(66)의 자세, 혹은 견제 작동할 때의 금속음으로 시각적, 청각적으로 인식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선택 조작을 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힘껏 무리한 레버 조작을 행하여 견제 기구(64)를 손상시키거나 PTO 모드 선택 레버(58)를 구부리거나 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상기 브래킷(65)에 있어서의 지지점(m)의 전후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안내 부재(65b, 65c)가 굴절 형성되어 있고, 이들 안내 부재(65b, 65c)의 하단부에서 견제 부재(66)를 상면으로부터 미끄럼 접촉 안내함으로써, 견제 부재(66)의 자세가 안정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1) 운전 좌석(61)의 횡측에 공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 클러치 레버(CL)와 PTO 모드 선택 레버(58)와의 조작 경로를 약간 좌우 방향으로 옮긴 대략 종렬 형상으로 배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운전 좌석(61)의 우측에, PTO 클러치 레버(CL)와 PTO 모드 선택 레버(58)를 배치해도 좋다.
(2) PTO 클러치(C3)는 유압 조작식 다판 클러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위 조작식 다판 클러치나 맞물림식 클러치로 실시할 수도 있다.
(3) 견제 기구(64)를, PTO 클러치 레버(CL)와 밸브(V4)를 연동 연결하는 링크 기구와 PTO 모드 선택 레버(58)의 절환 조작용 링크 기구에 걸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4) 견제 기구(64)를 전기 작동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TO 클러치 레버(CL)의 조작 위치를 스위치 등으로 전기적으로 검지하는 동시에, PTO 모드 선택 레버(58) 혹은 그 조작용 링크 기구의 적소에 작용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여, PTO 클러치 레버(CL)가「클러치 연결」위치에 있는 것이 검지되면 로크 부재를 스프링 등으로 레버 로크 위치로 보유 지지하고, PTO 클러치 레버(CL)가「클러치 해제」위치에 있는 것이 검지되면 전위 솔레노이드로 로크 부재를 로크 해제 위치로 절환 조작하는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PTO 모드 선택 기구가 준비되지 않은 조작에 의해 PTO 전동계에 있어서의 기어 맞물림부나 스플라인 맞물림부 등에 무리를 가하여 손상시키거나, 이음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내구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TO 클러치 레버가 클러치 연결 상태에 있으면 PTO 모드 선택 레버를 조작할 수 없게 되어 PTO 모드 선택에 부적절한 상태에 있는 것을 조작 감각으로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이동을 규제하거나, 또는 허가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PTO 구동 상태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그 취급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TO 모드 선택 레버는 작업 상태에 따라서 선택 조작한 후에 변경하는 일은 거의 없고, 이후에는 선택된 구동 모드로 작업하면서 PTO 클러치 레버를 조작하여 동력 전달의 연결 해제를 반복한다. 즉, 조작 빈도가 높은 PTO 클러치 레버를 조작 빈도가 낮은 PTO 모드 선택 레버보다 전방에 배치하는 쪽이 취급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 PTO축은 기체 후방에, 또한 미드 PTO축은 그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위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하면 운전자는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조작 위치로부터 PTO 출력 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쉬워, 오조작의 우려가 없고 빠르게 원하는 PTO 출력 상태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8)

  1. 기체 후방부에 리어 PTO축을 구비하는 동시에 기체 하부에 미드 PTO축을 구비하고, 상기 리어 PTO축으로부터만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상태와, 상기 리어 PTO축 및 상기 미드 PTO축의 양방으로부터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상태와, 상기 미드 PTO축으로부터만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상태로부터 1개를 선택하는 PTO 모드 선택 기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전동계의 상부측에 PTO 클러치를 구비한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이며,
    상기 PTO 클러치가 클러치 연결 상태에서는 상기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절환 조작을 견제 저지하고, 상기 PTO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 상태에서 상기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절환 조작을 허용하는 견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제 기구를, 상기 PTO 클러치를 조작하는 PTO 클러치 레버와 상기 PTO 모드 선택 기구를 조작하는 PTO 모드 선택 레버에 걸쳐 배치하고 있는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제 기구는 상기 PTO 클러치 레버와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를 위한 레버 가이드의 하부에 배치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적어도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와 접촉하여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견제 부재를 갖는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제 부재는 상기 PTO 클러치 레버와 접촉 가능한 캠부를 갖고, 상기 PTO 클러치 레버가 클러치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PTO 클러치 레버가 상기 견제 부재의 캠부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상기 견제 부재가 상기 브래킷에 대해 요동하여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이동 경로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하는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O 모드 선택 기구를 조작하는 PTO 모드 선택 레버와 PTO 클러치를, 연결 해제 조작하는 PTO 클러치 레버를 각각 요동 조작 가능하게 트랙터의 운전 좌석의 횡측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또한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조작 경로와 PTO 클러치 레버의 조작 경로를 직선 형상 혹은 대략 직선 형상으로 종렬 배치하고 있는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TO 클러치 레버를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보다 전방에 배치하고 있는 트랙터의 조작 구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TO 모드 선택 레버의 조작 경로에 있어서의 후방 단부에 리어 PTO축으로부터만 동력을 출력하는 조작 위치, 조작 경로에 있어서의 전후 중간에 리어 PTO축 및 미드 PTO축으로부터 함께 동력을 출력하는 조작 위치, 또한 조작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 단부에 미드 PTO축으로부터만 동력을 출력하는 조작 위치를 배치하고 있는 트랙터의 조작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PTO 모드 선택 기구가 2개의 인접하는 출력 상태의 사이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PTO 클러치를 클러치 연결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상기 견제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트랙터의 조작 구조.
KR1020050054711A 2004-06-25 2005-06-24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KR100693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8316A JP4233498B2 (ja) 2004-06-25 2004-06-25 トラクタの操作構造
JPJP-P-2004-00188316 2004-06-25
JPJP-P-2004-00300336 2004-10-14
JP2004300336A JP4420786B2 (ja) 2004-10-14 2004-10-14 トラクタのpto操作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518A true KR20060046518A (ko) 2006-05-17
KR100693977B1 KR100693977B1 (ko) 2007-03-12

Family

ID=3665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711A KR100693977B1 (ko) 2004-06-25 2005-06-24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21917B2 (ko)
KR (1) KR100693977B1 (ko)
FR (1) FR2872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26B1 (ko) * 2009-03-30 2011-05-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전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61258A1 (de) * 2006-12-22 2008-06-26 Zf Friedrichshafen Ag Lageranordnung für eine Nebenabtriebswelle
US20090114045A1 (en) * 2007-11-01 2009-05-07 Brian Wilson Power Take-Off Unit Having Scissor Gears
KR101063120B1 (ko) * 2008-02-22 2011-09-0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to 제어 시스템
DE102009002808A1 (de) * 2009-05-05 2010-11-11 Zf Friedrichshafen Ag Antriebsstrang eines Nutzfahrzeugs umfassend ein Stufenlos-Getriebe
KR200456120Y1 (ko) 2009-05-08 2011-10-13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차속 비례형 전방 pto장치
KR200452284Y1 (ko) 2009-05-08 2011-02-21 대동공업주식회사 Pto 변속장치
US9079491B2 (en) * 2013-03-28 2015-07-14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ITBO20130451A1 (it) * 2013-08-07 2015-02-08 Gb S R L Societa Unipersonale Dispositivo di manovra per l'innesto di una presa di forza
US9783049B2 (en) * 2015-10-09 2017-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having power take-off
US10821828B2 (en) * 2017-09-28 2020-11-03 DirectDrive Plus, LLC Power takeoff assembly with gear transfer and PTO brake
JP7246264B2 (ja) * 2019-06-24 2023-03-27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US11267336B2 (en) * 2019-12-02 2022-03-08 Eaton Cummins Automated Transmission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integrated power take off for commercial vehicle transmission
JP7206182B2 (ja) * 2019-12-26 2023-01-17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JP2023071548A (ja) * 2021-11-11 2023-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潤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3976A (en) * 1972-01-27 1973-10-09 Int Harvester Co Clutch controlled transmission shift lock
GB2053384B (en) * 1979-07-05 1983-02-02 Deere & Co Shift lever assembly
JPS56153151A (en) * 1980-04-26 1981-11-27 Iseki & Co Ltd Misoperation preventing device for pto speed change gear
JPS6021889B2 (ja) * 1980-05-16 1985-05-30 井関農機株式会社 Pto変速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DE3175835D1 (en) * 1981-08-03 1987-02-19 Deere & Co Pto lever arrangement for a tractor
JPS6131742A (ja) * 1984-07-24 1986-02-14 Kubota Ltd 農用トラクタのミツシヨン構造
GB2226373B (en) * 1988-12-24 1992-12-09 Massey Ferguson Services Nv Gearbox selector mechanism
GB9005817D0 (en) * 1990-03-15 1990-05-09 Massey Ferguson Services Nv Transmission selector mechanism
JPH05162551A (ja) 1991-12-16 1993-06-29 Kubota Corp トラクタのpto伝動構造
JPH05246258A (ja) * 1992-03-06 1993-09-24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pto変速操作装置
JPH07205673A (ja) * 1994-01-17 1995-08-08 Kubota Corp 作業機のpto操作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826B1 (ko) * 2009-03-30 2011-05-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전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50757A1 (en) 2006-07-13
KR100693977B1 (ko) 2007-03-12
US7421917B2 (en) 2008-09-09
FR2872100B1 (fr) 2007-05-25
FR2872100A1 (fr) 200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977B1 (ko) 트랙터의 pto 조작 구조
JP3936854B2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3541159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KR100814522B1 (ko) 트랙터의 pto 전동 구조
JP4233498B2 (ja) トラクタの操作構造
JP3708389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2001193835A (ja) 農作業機のギヤ変速機構
GB2358049A (en) Tractor transmission with super-reduction and overdrive operated by a single switching device
JP4104149B2 (ja) トラクタのpto伝動構造
JP4420786B2 (ja) トラクタのpto操作構造
JP3940223B2 (ja) 作業車両の変速操作機構
JP4174206B2 (ja) 変速装置
JP3672474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3590313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5167224B2 (ja) ギヤ切換装置
JP4176265B2 (ja) 動力耕耘機の運転操作装置
JP3583063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4528006B2 (ja) 四輪駆動型トラクタの走行装置
JP3662157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4070737B2 (ja) コンバインの操向装置
JP2005324791A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3131120B2 (ja) 乗用移植機
JP5670824B2 (ja) トラクタ
JP2823740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007083907A (ja) 作業車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