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149A -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 Google Patents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149A
KR20060043149A KR1020050015043A KR20050015043A KR20060043149A KR 20060043149 A KR20060043149 A KR 20060043149A KR 1020050015043 A KR1020050015043 A KR 1020050015043A KR 20050015043 A KR20050015043 A KR 20050015043A KR 20060043149 A KR20060043149 A KR 20060043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case
water flow
arm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7617B1 (ko
Inventor
김재호
세이시로 시마자키
Original Assignee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이타치보리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1033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4314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이타치보리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eciprocating knives
    • B02C18/0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 Check Valv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이며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한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체크 밸브 케이스에서의 이차측에 개구를 형성하여,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을 상기 개구로부터 케이스 안으로 삽입하고, 그 양단 조작부가 상기 케이스 안팎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그 아암에 직교하는 수평 회전축에 의해 상기 회동 아암을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고,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케이스 내측의 조작부가 체크 밸브에 접촉하도록 압박 수단으로 상기 회동 아암을 회동 압박하며, 회동 아암의 케이스 외측의 조작부의 단부 근방에 상기 회동 아암의 회동에 의해 온으로 되는 스위치 수단을 배치하고, 수류에 의한 체크 밸브의 개방 방향으로의 개방 동작에 기초하여 체크 밸브에 의해 회동 아암을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에 따라 회동 아암의 외측의 조작부에 의해 스위치 수단을 온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WATER FLOW DETECT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의 화재 경계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유수 검지 장치의 화재 발생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유수 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유수 검지 장치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유수 검지 장치에 제어 밸브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유수 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유수 검지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a는 동 장치의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평면도, 도 6b는 동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6c는 동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유수 검지 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7a는 동 장치의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평면도, 도 7b는 동 장치의 체크 밸브 근방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동 검지 장치에 제어 밸브를 접속하고, 또한 압력계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기 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모두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측면도로, 도 9a는 제1 실시형태, 도 9b는 제2 실시형태, 도 9c는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0은 동 장치의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유수 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유수 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집합 주택에 있어서의 스프링클러 설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40, 50 : 유수 검지 장치
21 : 체크 밸브 케이스
21" : 관통 구멍
21c' : 개구부
22 : 체크 밸브
31, 41, 51 :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
31a : 막대 형상 기초부
31b : 패들부
31c : 스위치 캠부
32 : 회전축
34 : 코일 스프링
35 : 리드 스위치
41a : 코일 스프링
51a : 판 스프링
본 발명은 예컨대 집합 주택용의 스프링클러 설비 등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소형이며 유지 및 보수하기가 편리한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집합 주택용의 스프링클러 설비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합 주택의 각 층의 각 호마다 여러 개의 스프링클러 헤드(1)가 설치되어, 각 호에서 상기 각 헤드(1)가 스프링클러 배관(1')을 통해 유수 검지 장치(3)의 이차측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유수 검지 장치(3)의 일차측에 소화수 배관(2)이 접속되며, 각 배관(2)은 집합 주택의 지층에 배치되어, 그 지층에서 가압 송수 펌프(4), 압력 유지 펌프(5)를 통해 저수조(6)에 접속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배관(2)에는 압력 탱크(7) 및 상기 배관(2) 내의 압력 저하를 압력 탱크(7)를 통해 검출할 수 있는 압력 스위치(8)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서 도면 부호 9는 옥상에 배치된 소화수의 보조 수조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클러 설비는 경계 동작 중에 있어서 전체 배관 속이 물로 채워져 상기 압력 유지 펌프(5)에 의해 정압[가압 펌프(4)에서 가장 먼 곳에서 0.1 ㎫ 이상]이 인가되고 있고, 어느 집(P)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스프링클러 헤드 (1″)의 노즐이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발포하여, 배관(1') 안에 가득 차 있는 소화수가 그 헤드(1″)로부터 방출되며, 이러한 유수 압력에 의해, 상기 어느 집(P)에서 상기 유수 검지 장치(3)의 리드 스위치가 온으로 되고 이에 따라 화재 경보 등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헤드(1")의 발포에 기초한 관내 압력의 저하를 압력 스위치(8)가 검지하여 온으로 하고, 이 온에 기초하여 가압 송수 펌프(4)가 기동되어, 배관(2) 내로 저수조(6) 내의 소화수가 가압 송수되며, 이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로부터 소화수가 방수되어 소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설비에 있어서, 상기 유수 검지 장치(3)는 통상,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해 리미트 스위치를 지닌 수동 개폐 밸브인 제어 밸브(10), 체크 밸브(11), 패들 및 리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유수 검지 밸브(12)에 의해 구성되고 있으며, 이들 각 밸브가 하나의 유수 검지 장치(3)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면 부호 10'은 상기 제어 밸브(10)의 밸브 개폐용 핸들이다.
혹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해서, 일차측 압력 측정용의 압력계(13)를 장착하기 위한 일차측 단관(14), 상기 제어 밸브(10), 상기 체크 밸브(11), 상기 유수 검지 밸브(12), 또 이차측 압력계 측정용의 압력계(15)를 장착하기 위한 이차측 단관(16)에 의해 구성되는 것도 있으며, 이들 각 밸브가 하나의 유수 검지 장치(3)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유수 검지 밸브(12)로서 종래부터 각종 구성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유수 검지 밸브(12) 케이스 내에 수류 검지용 패들을 단독으로 배 치하여, 이 패들의 회동에 의해 마그네트 스위치를 온으로 하도록 구성한 것(특허문헌 1), 체크 밸브의 일차측에 수류 검지용 패들을 배치한 것(특허문헌 2),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체크 밸브의 상부에 패들을 배치하고, 그 체크 밸브의 상측으로의 슬라이드에 기초하여 마그네트 스위치를 온으로 하도록 구성한 것(특허문헌 3)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유수 검지 밸브로서, 체크 밸브의 밸브 시트에 소수로를 설치하여 그 소수로의 압력 변동을 압력 스위치로 검출할 수 있게 구성하고, 체크 밸브의 개방에 기초한 상기 소수로 내의 압력 변동을 상기 압력 스위치에 의해 검출하는 구성으로 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8-19665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3-149021호 공보(도 1, 도 2)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2002-159585호 공보(도 3)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2003-102862호 공보(도 1)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은 도 11 혹은 도 12의 유수 검지 밸브(12)로서 이용되는 것이므로, 유수 검지 장치(3)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체크 밸브(11) 등이 필요하게 되어 유수 검지 장치(3) 전체의 상하 길이가 커져, 그 장치(3) 자체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은 유수 검지 밸브와 체크 밸브를 일체로 한 것인데, 체크 밸브의 아래쪽 위치에 수류 검지 패들용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유수 검지 장치 전체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것은 체크 밸브의 상하 이동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것으로, 유수 검지 밸브 전용의 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은 있지만, 마그네트 스위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체크 밸브의 이동 스트로크를 크게 잡을 수 없어, 체크 밸브 개방시에 있어서의 유수 저항이 커진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개시된 것은 압력 검지 방식이기 때문에, 밸브체와 밸브 시트 사이에 이물 등이 혼입된 경우에 오동작의 가능성이 크고,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분해할 필요가 있어, 유지 및 보수하기가 좋지 않다.
더욱이, 상기 각 문헌 1∼4에 기재한 유수 검지 밸브는 외부로부터 유수 검지용의 체크 밸브 혹은 패들 등이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눈으로 보아서 확인할 수 없고, 또한 경보용 리드 스위치 테스트를 할 때는, 실제로 스프링클러 설비 배관 내에 소화수를 흘려 수류를 형성할 필요가 있어, 준비가 대규모가 되어, 용이하게 동작 시험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각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수 검지 장치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동작 테스트를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유지 및 보수하기가 편리한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체크 밸브 케이스에서의 이차측에 수류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개구부를 형 성하고, 양단에 조작부를 갖는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을 상기 개구부에서 케이스 내로 삽입하여, 그 양단 조작부가 상기 케이스 안팎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하며, 또한 상기 아암에 직교하는 수평 회전축에 의해 상기 회동 아암을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고,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상기 조작부가 체크 밸브에 접촉하도록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회동 아암을 회동 압박하고, 또한 상기 회동 아암의 케이스 외측의 조작부의 단부 근방에 상기 회동 아암의 회동에 의해 온으로 되는 스위치 수단을 배치하고, 수류에 의한 상기 체크 밸브의 개방 방향으로의 개방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체크 밸브에 의해 상기 회동 아암을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 아암의 케이스 외측의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을 온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는 예컨대 리드 스위치 장착용 슬리브(29)의 개구부(29a)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압박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스위치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리드 스위치(35)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측의 조작부는 예컨대 패들부(31b), 케이스 외측의 조작부는 예컨대 스위치 캠부(31c)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수류에 의해 체크 밸브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면,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이 압박 수단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동되고, 그 회동 아암의 케이스 밖의 조작부에 의해 스위치 수단이 온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수단의 온에 기초하여 화재 경보 등을 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조작부는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체크 밸브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시에 조작부를 휘게 함으로써, 체크 밸브의 개방도를 크게 잡을 수 있어, 유수 저항이 적은 밸브 개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조작부는 패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패들은 예컨대 패들부(31b)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조작부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코일 스프링은 예컨대 코일 스프링(41a)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조작부는 판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판 스프링은 예컨대 판 스프링(51a)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 밸브를 피벗 지지하는 회전축의 일단을 상기 체크 밸브 케이스 밖으로 돌출시켜, 그 일단을 케이스 외부에서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회전축(23)에 의해 수동으로 체크 밸브(22)를 개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체크 밸브를 수동으로 개폐하여 이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스위치 수단의 동작 테스트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에 그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침을 설치하고, 이 지침을 상기 체크 밸브와 평행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체크 밸브의 개폐에 따라서 동일한 각도로 지침이 회동하기 때문에 체크 밸브 케이스(21) 외부로부터 체크 밸브의 개방도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 밸브 케이스의 이차측의 케이스 벽면에 압력 측정용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통 구멍은 예컨대 관통 구멍(21")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압력계 접속용의 전용 단관이 필요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 대응하여 실시형태 중의 부호를 괄호쓰기로 나타냈지만, 이것은 대응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편의상 표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이 실시형태 중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유수 검지 장치(20)의 제1 실시형태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 부호 21은 체크 밸브 케이스이며, 상하 방향으로 일차측의 개구부(21a)와 이차측의 개구부(21b)가 형성되어 있고, 양 개구부(21a, 21b)의 내측에는 접속용의 암 나사부(21a', 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21c는 상기 양 개구부(21a, 21b)를 연결하는 직선(유수 방향 F)과 직교하는 후방 위치에 설치된 슬리브형의 리드 스위치 장착부이며, 이 장착부(21c)에는 상기 직선(유수 방향 F)과 직교하는 방향의 개구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1c') 내면에는 암 나사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22는 체크 밸브이며, 원반형의 본체(22a)와 이 본체(22a)에서 후 방으로 뻗어 나온 1쌍의 아암부(22b)로 이루어지고(도 4 참조), 상기 본체(22a)를 상기 일차측 개구(21a)에 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1)에 피벗 지지된 회전축(23)을 상기 아암부(22b)에 설치된 투공(透孔)(22b')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회전축(23)을 지지축으로 하여 화살표 A, B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2 참조). 상기 회전축(23)은 상기 투공(22b')에 밀착 끼움 상태로 삽입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23)을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상기 체크 밸브(22)도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24는 상기 일차측 개구부(21a) 내측에 설치된 밸브 시트이며, 상기 체크 밸브(22)의 폐쇄시에는 상기 밸브 본체(22a) 하면을 받아 상기 일차측 개구(21a)를 폐지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25, 25'는 각각 상기 케이스(21)의 내측면에 설치된 베어링으로(도 4 참조), 상기 회전축(23)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한 쪽의 베어링(25)은 그 베어링 구멍(25a)이 상기 체크 밸브 케이스(21) 외부에 관통하고 있고, 상기 회전축(23)의 일단(23')은 상기 베어링 구멍(25a)을 통해 케이스(21) 외부로 돌출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25)의 내측부 및 외측부와 상기 회전축(23) 사이, 상기 베어링(25') 내측부와 상기 회전축(23) 사이에는 각각 지수(止水)용 패킹(26)이 장착되어 있어, 체크 밸브 케이스(21) 내의 소화수가 상기 베어링 구멍(25a)에서 외부로 새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 부호 27은 대략 반원형의 눈금판으로, 상기 회전축(23)이 돌출된 측의 상기 케이스(21) 측면에 장착 앵글(27a)로 고정되어 있다. 이 눈금판(27)은 그 대 략 반원형의 눈금부(27')가 상기 체크 밸브 케이스(21)의 전면측[리드 스위치 케이스(30)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눈금판(27)의 중앙부에는 투공(27b)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눈금판(27)의 고정 상태에 있어서 상기 투공(27b)에 상기 회전축(23)이 관통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눈금판(27)의 표면 측에는 원호를 따라서 상기 체크 밸브(22)의 개방도(개방 각도)를 나타내는 눈금(27')이 표시되어 있다(도 3 참조).
도면 부호 28은 상기 회전축(23)의 일단(23')에 고착된 다이얼 손잡이이며, 이 손잡이(28)는 상기 회전축(23)과 고정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8)의 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화살표 형상의 지침(28a)이 돌출 형성되고(도 3 참조), 이 지침(28a)이 상기 눈금판(27)의 외면 측에, 상기 눈금판(27)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침(28a)에 의해 상기 눈금부(27')의 눈금을 가리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지침(28a)은 상기 회전축(23)에 그 반경 방향으로 직접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지침(28a)은 상기 손잡이(28)의 외주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3)에 고착된 상기 체크 밸브(22)와 평행하게 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상기 지침(28a)의 상기 눈금판(27) 상의 위치에 의해, 상기 체크 밸브(22)의 개방도를 가리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다이얼 손잡이(28)를 손으로 쥐고 회전축(23)을 화살표 A, B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체크 밸브(22)를 상기 케이스(21) 내에서 화살표 A, B 방향으로 회동시켜 그 밸브(22)의 개폐 동작을 수동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 밸브(22)의 개방도는 상기 케이스(21) 밖에서 상기 지침(28a)의 눈금판(27) 상의 위치에 의해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부호 29는 중앙에 회동 아암 삽입 관통용의 개구부(29a)가 형성된 리드 스위치 장착용 슬리브이며, 상기 암 나사부(21c″)에 접속용 수 나사부(29b)에 의해 나사 결합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29)의 후면에는 리드 스위치 케이스(30)가 고정 접속되어 있다.
도면 부호 31은 상기 체크 밸브 케이스(21) 내에서 상기 체크 밸브(22)의 이차측에 위치하는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이며, 상기 슬리브(29)의 개구부(29a)에 있어서,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32)[회동 아암(31)에 직교하는 수평 회전축]에 피벗 지지된 막대 형상 기초부(31a)와, 이 기초부(31a)의 선단부에 기초부(31a)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평면에서 보아 타원 형상(패들형)의 패들부(31b)와, 상기 기초부(31a)의 타단부에 기초부(31a)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스위치 캠부(31c)로 구성되고 있다. 이들 막대 형상 기초부(31a), 패들부(31b) 및 스위치 캠부(31c)는 합성 수지제이며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도 9a 참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들부(31c)는 가요성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예컨대 ABS 수지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막대 형상 기초부(31a) 부분은 SUS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하더라도 좋다.
도면 부호 33은 원통형의 스페이서이며, 상기 체크 밸브(22)의 상면에 그 하면이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33)는 상기 패들부(31b)와 상기 체크 밸브(22) 상면과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도 10 참조).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31)은 상기 막대 형상 기초부(31a)가 상기 슬리브(29)에 피벗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패들부(31b)가 상기 체크 밸브(22)의 상면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위치에 있어서 상기 패들부(31b)의 하면이 상기 스페이서(33)의 상면에 적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면 부호 34는 코일 스프링이며, 그 일단(34a)이 상기 스위치 캠부(31c)의 상부에 접속되고, 타단(34b)은 상기 스프링(33)의 축소 상태로 상기 리드 스위치 케이스(30) 내면 상부 적소에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34)은 상기 스위치 캠부(31c)에 대하여 항상 화살표 C 방향의 압박력을 부여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 아암(31)에는 상기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D 방향의 압박력(회전력)이 주어져,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 아암(3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평으로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패들부(31b)의 하면이 상기 스페이서(33)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들부(31b)는 상기 막대 형상 기초부(31a)나 상기 스위치 캠부(31c)에 비해서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패들부(31b)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있다.
도면 부호 35는 상기 리드 스위치 케이스(30) 내에 설치된 리드 스위치이며, 항상 비접촉 상태의 1쌍의 단자편(35a, 35b)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 리드 스위치(35)는 상기 체크 밸브(22)가 열려 상기 회동 아암(31)이 상기 회전축(32)에 의해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캠부(31c)에 의해 압박되어 온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상기 단자편(35a, 35b)에 접속된 출력 단자(a, b)에는 예컨대 화재 경보기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체크 밸브(22)의 개방(화살표 A 방향)에 기초한 상기 회동 아암(31)의 회동(화살표 E 방향)에 의해 상기 리드 스위치(35)가 온으로 되고,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했다는 취지의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35)의 온에 기인하여 상기 화재 경보기의 동작과 함께, 가압 송수 펌프(4)를 기동하여 소화조(6) 내의 소화수를 배관(2) 내로 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도면 부호 36은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된 고무 패킹이며, 상기 회동 아암(31)의 기초부(31a)에 밀착 상태로 장착된 통 형상 본체부(36a)와, 이 본체부(36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 장착부(21c) 내면에 밀착 상태로 접착된 플랜지부(36b)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고무 패킹(36)은 상기 체크 밸브 케이스(21) 내의 물이 상기 리드 스위치 케이스(30)로 들어가지 않도록 지수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 아암(31)이 회동하더라도 플렉시블하게 변형하여 이러한 지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도 2 참조).
도 5에 도시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 검지 장치(20)를 집합 주택에 스프링클러 설비로서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것으로, 그 유수 검지 장치(20)의 상기 일차측 개구(21a)에 리미트 스위치를 지닌 수동 개폐 밸브(제어 밸브)(10)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유수 검지 장치(20)의 이차측에는 스프링클러 헤드(1)가 접속된 배관(1')이 접속되고, 상기 제어 밸브(10)의 일차측에는 저수조(6)로부터의 배관(2)이 접속된다.
본 발명의 유수 검지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므로, 다음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유수 검지 장치(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차측에 제어 밸브(10)가 접속된 상태로 집합 주택의 각 호에 배치되고, 또한 이차측에 스프링클러 배관(1')이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밸브(10)의 일차측에 저수조(6)로부터의 배관(2)이 접속되어, 전체적으로 도 13에 도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3에서는 상기 유수 검지 장치(20)와 제어 밸브(10)에 의해 도 13의 유수 검지 장치(3)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2), 배관(1'), 제어 밸브(10) 및 유수 검지 장치(20) 안은 소화수로 가득 차 있으며, 압력 유지 펌프(5)에 의해 정압(말단에서 0.1 ㎫ 이상)이 인가된 화재 경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화재 경계 상태에서, 예컨대 도 13의 영역(P)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그 화재에 의해 특정한 스프링클러 헤드[예컨대 스프링클러 헤드(1")]가 발포하면, 배관(1') 안에 가득 차 있는 소화수가 상기 헤드(1")로부터 방출되고, 이에 따라 유수 검지 장치(20)의 이차측의 압력이 저하하며, 이에 따라 유수 검지 장치(20)에 있어서 일차측에서 이차측으로의 수류(화살표 F 방향)가 생긴다.
그러면, 그 수류에 의해 상기 체크 밸브 케이스(21) 내의 체크 밸브(22)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스페이서(33)를 통해 패들부(31b)도 같은 방향에 눌리기 때문에, 결국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31)이 코일 스프링(34)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한다(도 1에서 도 2 참조).
이 회동 동작에 의해 스위치 캠부(31c)는 도 1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캠부(31c) 후단이 리드 스위치(35)에 접촉하여 그 스위치(35)를 온으로 하고, 이에 따라 경보기가 동작하여 화재가 발생했다는 취지를 거주자에게 알린다.
또한, 상기 헤드(1")의 발포에 기초한 배관(1', 2)의 압력 저하는 압력 탱크(7)를 통해 압력 스위치(8)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에 기초하여 가압 송수 펌프(4)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계속해서 배관(2) 내로 저수조(6) 내의 소화수가 압력 송수되며, 이 송수된 소화수가 이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 등으로부터 방수되어 소화 작업이 속행된다.
상기 회동 아암(31)의 화살표 E 방향으로의 회동에 기초한 상기 스위치 캠부(31c)에 의한 상기 리드 스위치(35)의 온은 도 2에 있어서의 패들부(31b)의 이점 쇄선의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그 후, 상기 유수 압력에 의해 계속해서 상기 체크 밸브(22)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개방도를 늘려 나가, 패들부(31b)에 대하여 더욱 화살표 E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체크 밸브(22)는 상기 패들부(31b)를 휘게 하면서 더욱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도를 증가시켜, 도 2의 실선 위치까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때 패들부(31b)는 상기 이점 쇄선 위치보다 휜 도 2의 실선의 위치가 된다. 따라서, 상기 패들부(31b)의 가요성에 의해 체크 밸브(22)의 개방도가 증가되어, 보다 유수 저항이 낮은 밸브 개방 상태를 실현하고 있다. 따라서, 소화수를 효율적으로 송수할 수 있다.
상기 유수에 의한 상기 체크 밸브(22)의 회동은 상기 체크 밸브(22)의 회전 축(23)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침(28a)이 상기 체크 밸브(22)와 동일한 개방 각도까지 회동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1) 밖에서 상기 지침(28a)의 각도에 의해 상기 체크 밸브(22)의 개방 각도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원인으로 상기 체크 밸브(22)와 밸브 시트(24) 사이에 이물(공사중에 파이프 절삭 부스러기나 그 밖의 쓰레기 등)이 사이에 낀 경우, 다이얼 손잡이(28)를 쥐고 화살표 A 또는 B 방향으로 2-3회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체크 밸브(22)를 화살표 A 또는 B 방향으로 수동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손잡이(28)를 손가락으로 쥐고 화살표 A, B 방향으로 소정 각도까지 회전시킴으로써, 리드 스위치(35)를 온-오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관 내에 소화수를 가득 차게 하지 않고서 리드 스위치(35)의 온/오프 시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수 검지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도 6에 도시한다. 한편, 이하 설명하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편의상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도면 부호 40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수 검지 장치, 도면 부호 41은 이 유수 검지 장치(40)의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이다. 이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41)은 막대 형상 기초부(31a), 스위치 캠부(31c)의 구성이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동 아암(31)과 마찬가지지만, 상기 회동 아암(31)의 패들부 (31b) 대신에 코일 스프링(41a)을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41a)의 일단을 상기 기초부(31a)의 선단부에 접속 고정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41a)의 타단부를 상기 체크 밸브(22)의 상측(이차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도면 부호 42는 상기 체크 밸브(22)의 상면 중앙부에 고착된 횡단면이 「コ」자형의 가이드 레일이며,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가이드 판(42a, 42a')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41a)의 좌우 양측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43은 상기 가이드 레일(42) 내에 설치된 스페이서이며,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스페이서(33)와 같은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도 10 참조). 이 스페이서(43)는 그 하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42)의 저면에 고착되어 있고, 그 상면에 상기 코일 스프링(41a)이 적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41a)은 상기 스페이서(43)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그 양측에 상기 가이드 판(42a, 42a')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c 참조).
이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41)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D 방향의 회전력이 주어지고 있고, 그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41a)은 상기 스페이서(43)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되고 있다. 이 코일 스프링(41a)은 비교적 굵은 철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화살표 D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상태를 유지한 채로, 그 선단부를 상기 스페이서(43) 상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화재에 의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가 발포하여, 배관(1') 안의 소화수가 상기 헤드(1")로부터 방출되고, 이에 따라 유수 검지 장치(40)의 이차측의 압력이 저하되어, 유수 검지 장치(40)의 일차측에서 이차측으로의 수류가 생긴다. 그러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 수류에 의해 상기 체크 밸브(22)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스페이서(43)를 통해 코일 스프링(41a)도 같은 방향으로 눌리기 때문에, 결국 회동 아암(41)이 코일 스프링(34)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 동작에 기초한 스위치 캠부(31c)의 회동에 의해 리드 스위치(35)가 온으로 되고, 이에 따라 경보기가 동작하여 화재가 발생했다는 취지를 거주자에게 알린다. 그 후의 가압 송수 펌프(4)의 구동 동작 및 소화 동작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또한,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회동 아암(41)의 회동에 의한 리드 스위치(35)가 온으로 된 후, 상기 유수에 의해 계속해서 코일 스프링(41a)에 화살표 E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체크 밸브(22)는 상기 코일 스프링(41a)을 휘게 하면서(도 9b 참조), 또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도를 증가시키고, 도 2의 실선 위치와 대략 동일한 위치까지 개방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41a)의 가요성에 의해 체크 밸브(21)의 개방도가 증가하여, 보다 유수 저항이 낮은 밸브 개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침(28a)에 의한 지표 기능 및 다이얼 손잡이(28)의 회동에 의한 이물 제거 기능, 리드 스위치(35)의 온/오프 시험 기능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수 검지 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도 7에 도시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편의상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도면 부호 50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수 검지 장치, 도면 부호 51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이며, 상기 회동 아암(51)은 막대 형상 기초부(31a), 스위치 캠부(31c)의 구성이 상기 회동 아암(31)과 마찬가지지만,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들부(31b) 혹은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코일 스프링(41a) 대신에 판 스프링(51a)을 사용하고 있다. 즉, 이 판 스프링(51a)의 일단을 상기 기초부(31a)의 선단부에 접속 고정하고, 상기 판 스프링(51a)의 타단부를 아래 방향으로 루프형으로 만곡시켜 만곡부(51a')를 형성하며, 이 만곡부(51a')의 하면이 가이드 레일(42)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체크 밸브(22)의 상면에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42)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만곡부(51a')는 상기 가이드 레일(42)의 좌우의 가이드 판(42a, 42a')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판 스프링(51a)의 선단에 스페이서로서의 만곡부(51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게 되고, 따라서 단독 부품으로서의 스페이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51)의 기초부(31a) 및 스위치 캠부(31c)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회동 아암(51)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D 방향의 회전력이 주어지고 있고, 그 상태에서 상기 판 스프링(51a)의 만곡부(51a') 하 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42)의 저면에 접촉한 상태로 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화재에 의해 소정의 스프링클러 헤드(1")가 발포하여, 유수 검지 장치(50)의 이차측의 압력이 저하되어, 유수 검지 장치(50)의 일차측에서 이차측으로의 수류가 생기면,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류에 의해 상기 체크 밸브(22)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판 스프링(51a)을 통해 회동 아암(51)이 코일 스프링(34)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 동작에 의한 스위치 캠부(31c)의 접촉에 의해 리드 스위치(35)가 온으로 되고, 이에 따라 경보기가 동작하여 화재가 발생했다는 취지를 거주자에게 알린다. 그 후의 가압 송수 펌프(4)의 구동 동작 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또한,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회동 아암(50)의 회동에 의해 리드 스위치(35)가 온으로 된 후, 상기 유수에 의해 이어서 체크 밸브(22)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해 나가고, 이에 따라 판 스프링(51a)에 화살표 A 방향의 힘이 가해져, 그 결과 상기 체크 밸브(22)는 상기 판 스프링(51a)을 회동 방향(화살표 E 방향)으로 휘게 하면서(도 9c), 더욱 회동(화살표 A 방향)하여 개방도를 증가시켜, 도 2의 실선 위치와 대략 동일한 각도까지 개방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판 스프링(51a)의 가요성에 의해 체크 밸브(22)의 개방도가 증가되어, 보다 유수 저항이 낮은 밸브 개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침(28a)에 의한 지표 기능 및 다이얼 손잡이(28)의 회동에 의한 이물 제거 기능, 리드 스위치(35)의 온/오프 시험 기능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 가지이다.
도 8에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 검지 장치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유수 검지 장치에 압력계를 접속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수 검지 장치(20)의 일차측에 접속된 제어 밸브(10)의 일차측에 압력계 접속용의 단관(60)을 접속하고, 상기 단관(60)에 일차측 압력계(61)를 배관(61')에 의해 접속한다. 한편, 상기 유수 검지 장치(20)의 체크 밸브 케이스(21)의 이차측 공간 내의 케이스 벽면에 관통 구멍(21")을 관통 형성하여, 이 관통 구멍(21")에 이차측 압력계(62)를 배관(62')에 의해 접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12에 도시하는 종래 기술과 같이, 유수 검지 밸브(12)의 이차측에 이차측 압력계(15) 전용의 단관(16)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유수 검지 장치(20)의 이차측에 스프링클러 배관(1')을 직접 접속할 수 있어, 장치 전체를 매우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수 검지 장치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수 검지 장치(20),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수 검지 장치(40) 혹은 상기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수 검지 장치(50)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체크 밸브 케이스(21)에 유수 검지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어, 유수 검지 장치를 매우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31)의 조작부[패들부(31b), 코일 스프링(41a), 판 스프링(51a) 등]에 가요성을 갖게 함으로써, 체크 밸브(22)의 개방도를 넓게 잡을 수 있어, 유수 검지 기능을 부가하더라도 밸브 개방시의 유수 저항을 낮 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소화수를 송수할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체크 밸브(22)의 개폐를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이물 등의 제거 혹은 리드 스위치(35)의 온/오프 테스트 등을 배관 내에 송수하지 않고서, 수동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의 편리성, 안정성이 높은 유수 검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침(28a)에 의해 체크 밸브 케이스(21) 외부로부터 체크 밸브(22)의 개방도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의 이상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고, 유지 및 보수하기가 편리한 유수 검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면 부호 63은 배출 밸브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크 밸브에 유수 검지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유수 검지 장치를 매우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조작부에 가요성을 갖게 함으로써, 체크 밸브의 개방도를 크게 잡을 수 있어, 유수 검지 기능을 부가하더라도 밸브 개방시의 유수 저항을 낮게 하여 효과적인 송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체크 밸브를 개폐할 수 있게 했기 때문에, 이물의 제거 혹은 스위치 수단의 온/오프 테스트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안전성, 유지 및 보수의 편의성이 높은 유수 검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침에 의해 체크 밸브 케이스 외부에서 체크 밸브의 개방도(개폐 상태)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어, 보수 및 유지하기가 용이하고, 장치의 이상 등 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안정성이 높은 유수 검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8)

  1. 체크 밸브 케이스에서의 이차측에 수류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양단에 조작부를 갖는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을 상기 개구부에서 케이스 안으로 삽입하여, 그 양단 조작부가 상기 케이스 안팎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하며, 또한 상기 아암에 직교하는 수평 회전축에 의해 상기 회동 아암을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고,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상기 조작부가 체크 밸브에 접촉하도록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회동 아암을 회동 압박하고,
    또한 상기 회동 아암의 케이스 외측의 조작부의 단부 근방에 상기 회동 아암의 회동에 의해 온으로 되는 스위치 수단을 배치하고,
    수류에 의한 상기 체크 밸브의 개방 방향으로의 개방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체크 밸브에 의해 상기 회동 아암을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 아암의 케이스 외측의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을 온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조작부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조작부는 패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조작부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조작부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를 피벗 지지하는 회전축의 일단을 상기 체크 밸브 케이스 밖으로 돌출시켜, 그 일단을 케이스 외부에서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체크 밸브의 상기 회전축에 그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침을 설치하고, 이 지침을 상기 체크 밸브와 평행한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 케이스의 이차측의 케이스 벽면에 압력 측정용의 관통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KR1020050015043A 2004-08-20 2005-02-23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KR100747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0786 2004-08-20
JP2004240786A JP3865745B2 (ja) 2004-08-20 2004-08-20 消火設備用流水検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149A true KR20060043149A (ko) 2006-05-15
KR100747617B1 KR100747617B1 (ko) 2007-08-09

Family

ID=3610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043A KR100747617B1 (ko) 2004-08-20 2005-02-23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865745B2 (ko)
KR (1) KR100747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41Y1 (ko) * 2009-04-17 2011-02-10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KR101035287B1 (ko) * 2009-05-12 2011-05-18 송의식 알람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6897B2 (ja) * 2006-06-08 2011-10-19 東洋バルヴ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JP4796898B2 (ja) * 2006-06-15 2011-10-19 東洋バルヴ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US8511338B2 (en) 2008-06-04 2013-08-20 Senju Sprinkler Co., Ltd. Water flow detection device
WO2010146679A1 (ja) 2009-06-17 2010-12-23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AT514927B1 (de) * 2013-12-09 2015-05-15 Rosenbauer Int Ag Durchflussmengenmesseinrichtung für eine Feuerlöschvorrichtung
KR101542029B1 (ko) 2015-01-19 2015-08-04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CN104806793B (zh) * 2015-04-01 2017-04-26 上海阀门厂股份有限公司 一种低压差开启止回阀
KR101836848B1 (ko) * 2016-11-02 2018-03-09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
JP2019215022A (ja) 2018-06-11 2019-12-19 アズビル株式会社 回動制御装置および流量制御装置
CN110848453B (zh) * 2019-10-11 2021-05-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止回阀的状态监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097A (en) 1976-10-18 1978-02-14 Hutchinson Harold D Fluid responsive sealed pivot arm means
JPS55168863U (ko) * 1979-05-22 1980-12-04
JPS56141261U (ko) * 1980-03-25 1981-10-24
JPS61123277U (ko) * 1985-01-23 1986-08-02
US5183983A (en) 1992-03-20 1993-02-02 Dwyer Instruments, Inc. Flow switch assembly for fluid flow monitoring
JPH07113425B2 (ja) * 1993-07-16 1995-12-06 株式会社大洋バルブ製作所 竪型チェッキ弁
JP3451495B2 (ja) * 1994-03-30 2003-09-29 能美防災株式会社 消火設備用流水検知装置
JPH08117357A (ja) * 1994-10-20 1996-05-14 Senju Sprinkler Kk 流水検知装置
JP3655978B2 (ja) * 1996-11-12 2005-06-02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JPH11190445A (ja) * 1997-12-25 1999-07-13 Kubota Corp 逆止弁
KR200199733Y1 (ko) * 2000-05-23 2000-10-02 이병순 완폐식 역지 밸브
JP4041651B2 (ja) * 2000-11-28 2008-01-30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流水検知装置
JP2002224238A (ja) * 2001-02-06 2002-08-13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2003102862A (ja) * 2001-09-28 2003-04-08 Senju Sprinkler Kk 流水検知装置
JP3560948B2 (ja) * 2001-11-14 2004-09-02 勝広 宮本 消火設備用のパドル型流水検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41Y1 (ko) * 2009-04-17 2011-02-10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KR101035287B1 (ko) * 2009-05-12 2011-05-18 송의식 알람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617B1 (ko) 2007-08-09
JP2006055400A (ja) 2006-03-02
JP3865745B2 (ja)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617B1 (ko)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JP2007003377A (ja) 消火設備用流水検知装置
KR101753809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 밸브 감지 스위치
US94356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testing of a flow switch
KR101430433B1 (ko) 볼 플로트 트랩
WO2011011836A1 (en) Drilling apparatus
KR101701454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밸브 감지 스위치
JP5042734B2 (ja) 制水体設置装置
JPH07265454A (ja) 消火設備用流水検知装置
US4961068A (en) Domestic sewer alarm
KR200452141Y1 (ko)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KR200363612Y1 (ko)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의 알람밸브
KR20070002229A (ko)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KR100619541B1 (ko)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JP2012040275A (ja) 自動警報弁
JP6270464B2 (ja) 流水検知装置
CN219191435U (zh) 用于压片机的检针出料装置
KR100685456B1 (ko) 소화용 셀렉션 밸브 장치
KR20090010276U (ko) 소화설비용 유수감지장치
KR101542029B1 (ko)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KR20230155824A (ko) 스프링클러설비용 유수검지 밸브장치
KR20240070828A (ko) 충압기능이 불필요하며, 완충 기능이 있는 알람체크밸브를 갖는 옥내소화전 소화설비
JP3205712U (ja) 流水検知装置
KR200192307Y1 (ko) 밸브 누수 감지장치
JP6924987B2 (ja) 流水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820

Effective date: 201401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626

Effective date: 2014022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305

Effective date: 201409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