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029B1 -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029B1
KR101542029B1 KR1020150008930A KR20150008930A KR101542029B1 KR 101542029 B1 KR101542029 B1 KR 101542029B1 KR 1020150008930 A KR1020150008930 A KR 1020150008930A KR 20150008930 A KR20150008930 A KR 20150008930A KR 101542029 B1 KR101542029 B1 KR 101542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switching
elastic member
rod
switc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15000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설비 등에 적합한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를 갖는 체크밸브 케이스(101)와; 상기 체크밸브 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상기 체크밸브 케이스 내를 제1 측실(103)과 제2 측실(105)로 분리하거나, 제1 측실과 제2 측실이 서로 연통되게 하는 디스크(121)와, 상기 디스크의 선회축이 변동될 수 있도록 장공(127)이 뚫려있는 디스크 결합부(125)와, 상기 디스크 결합부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로 구성된 체크밸브(120)와; 상기 체크밸브 케이스의 개구부(107)를 폐쇄시키고 탄성부재 안착홈(139)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끝단에 관통홀(135)이 뚫려있는 한 쌍의 보스(133)로 구성된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와;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의 한쪽 보스에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상기 체크밸브의 디스크 결합부에 형성된 장공(127)을 지나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의 다른 쪽 보스에 형성된 관통홀로 끼워져 상기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로드(136)와; 스위칭 로드(141)가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 안착홈(139)에 장착된 탄성부재(143)와; 상기 스위칭 로드에 의해 ON, OFF되는 스위칭 소자(150)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은 상기 체크밸브의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연장부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끼워져 고정된 부분을 중심점으로 하여 피벗 선회가능하고, 다른쪽 끝단은 상기 스위칭 소자를 ON, OFF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130)를 지나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이 상기 체크밸브의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끝단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크(121)가 상기 제1 측실(103) 및 제2 측실(105)의 분리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A water flow detect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설비 등에 적합한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수감지장치는, 스프링클러 설비나 거품 소화 설비등의 소화 설비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유수를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유수감지장치의 내부는 체크밸브 구조로 되어 있는데, 체크밸브에 의해 내부는 소화수로 채워지는 1차 측실과 2차 측실로 나누어진다. 1차 측실은 배관을 거쳐 수원에 연결되고, 2차 측실은 배관을 거쳐 스프링클러 헤드에 접속된다.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으면, 소화수의 흐름이 없어 1차 측실과 2차 측실은 같은 압력이 되어 체크밸브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체크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면, 2차 측실의 소화수는 스프링클러 쪽으로 흘러나가게 되어 2차 측실의 압력이 1차 측실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어 체크밸브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체크밸브가 열림에 따라 소화수는 1차 측실로부터 2차 측실로 지속적으로 흘러들어가 스플링클러 헤드로 공급된다.
아파트와 같이 집합주택이나 빌딩과 건물에서는 각 층의 각 룸마다 스프링클러가 설치되고, 스프링클러는 스프링클러 배관을 통해 소화수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스프링클러 헤드의 노즐이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배관 내에 채워져 있는 소화수가 헤드로부터 방출되어 화재를 진화한다. 유수감지장치는 배관 내에 채워져 있는 소화수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화재 경보등을 발생한다. 따라서, 화재경보에 신뢰성을 가지고 동작하는 유수감지장치가 요구된다.
특허 등록번호 10-0747617에는 유수감지장치가 나타나 있다. 특허 등록번호 10-0747617에 개시된 유수감지장치는 체크 밸브 케이스에 양단에 조작부를 갖는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을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스 안으로 삽입하여, 양단 조작부가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회동 아암에 직교하는 수평 회전축에 의해 상기 회동 아암을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서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의 케이스 내부의 조작부는 체크 밸브에 접촉하도록 압박 수단에 의해 회동아암을 회동 압박하고, 또한 회동 아암의 케이스 외부의 조작부의 단부 근방에 회동 아암의 회동에 의해 온으로 되는 스위치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 물의 흐름에 의해 체크 밸브가 개방되면, 회동 아암은 압박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동하고, 회동 아암이 회전함에 따라 케이스 외부의 조작부는 스위치 수단을 온(ON)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 등록번호 10-0747617에 나타나 있는 구조는 체크밸브가 체크밸브 케이스에 설치되고, 이와는 별도로 스위칭 조작부를 갖는 스위치 조작용 회동 아암을 체크밸브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스 안으로 삽입하는 구조로, 회동 아암의 케이스 내부의 조작부가 체크 밸브에 접촉하도록 사이에 스페이서를 두고, 외부에 스프링으로 장력을 가하여 회동아암을 압박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조립성이 떨어진다.
이건 특허출원인은 구조적으로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한 구조의 소화설비용 유수감지장치를 발명하고 특허 10-1419099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등록된 특허 10-1419099에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소방수가 흘러가는 통로가 형성된 체크밸브 케이스와, 체크밸브 케이스 내의 통로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디스크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외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어 디스크와 일체로 구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디스크와 인접하는 연결부의 하부에는 힌지핀이 결합되어 그 힌지핀을 중심으로 디스크와 연결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체크밸브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체크밸브 디스크와, 일단이 체크밸브 디스크의 연결부의 단부 위에 걸치도록 위치하고, 타단이 체크밸브 케이스 외측으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촉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로드 어셈블리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등록된 특허 10-1419099에서는 체크밸브의 폐쇄나 개방 상태를 스위칭 로드가 리드 스위치를 ON, OFF하여 이를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위칭 로드와 체크밸브의 접촉위치가 주요 요소로 부각된다.
체크밸브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될 때, 유입되는 물에 의해 체크밸브가 흔들리게 되어 체크밸브와 접촉되는 스위칭 로드의 위치가 변동되기도 한다. 체크밸브와 접촉되는 스위칭 로드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스위칭 소자가 체크밸브의 개방과 폐쇄에 따라 리드 스위치를 정확히 ON, OFF시키지 못하여 체크밸브의 상태를 외부로 정확하게 알리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 체크밸브는 개방으로부터 폐쇄할 때, 제1 측실로부터 흘러들어오는 소화수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측실로부터 제2 측실로 소화수가 흘러들어오는 통로를 폐쇄시키는데, 체크밸브 디스크의 연결부와 접촉하는 스위칭 로드가 마이크로 스위치와의 접촉위치로부터 벗어나, 스위칭 로드가 스위칭 소자의 리드 스위치를 정확히 ON, OFF시킬 수 없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등록된 특허 10-1419099에서는 체크밸브가 폐쇄로부터 개방될 때, 스위칭 로드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는데, 폐쇄상태가 지속될 때,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저하하여 스위칭 로드가 신속히 복원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갖는 체크밸브 케이스(101)와;
상기 체크밸브 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상기 체크밸브 케이스 내를 제1 측실(103)과 제2 측실(105)로 분리하거나, 제1 측실과 제2 측실이 서로 연통되게 하는 디스크(121)와, 상기 디스크의 선회축이 변동될 수 있도록 장공(127)이 뚫려있는 디스크 결합부(125)와, 상기 디스크 결합부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로 구성된 체크밸브(120)와;
상기 체크밸브 케이스의 개구부(107)를 폐쇄시키고 탄성부재 안착홈(139)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끝단에 관통홀(135)이 뚫려있는 한 쌍의 보스(133)로 구성된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와;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의 한쪽 보스에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상기 체크밸브의 디스크 결합부에 형성된 장공(127)을 지나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의 다른 쪽 보스에 형성된 관통홀로 끼워져 상기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로드(136)와;
스위칭 로드(141)가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 안착홈(139)에 장착된 탄성부재(143)와;
상기 스위칭 로드에 의해 ON, OFF되는 스위칭 소자(150)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은 상기 체크밸브의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연장부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끼워져 고정된 부분을 중심점으로 하여 피벗 선회가능하고, 다른쪽 끝단은 상기 스위칭 소자를 ON, OFF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130)를 지나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이 상기 체크밸브의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끝단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크(121)가 상기 제1 측실(103) 및 제2 측실(105)의 분리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스위칭 로드(141)가 피벗 선회가능하도록 접촉되는 연장부는 상기 디스크 결합부를 감싸는 U자형의 캠부재로 이루어진다.
또, 탄성부재 안착홈(139)에 장착되는 탄성부재(143)는 체크밸브 케이스(101) 내의 슬리브(109)가 체크밸브 디스크(121)에 의해 개방되었을 때 탄성 변형되고, 체크밸브 케이스 내의 슬리브가 폐쇄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원된다. 체크밸브의 디스크(121)가 체크밸브 케이스 내의 슬리브(109)를 개방하였을 때, 체크밸브의 제2 연장부(129)를 구성하는 U자형 캠부재가 스위칭 로드(141)를 밀어 선회시킴으로써 탄성부재(143)를 변형시킨다. 또, 체크밸브의 디스크(121)가 원상태로 선회하여 체크밸브 케이스(101) 내의 슬리브(109)가 폐쇄되었을 때, 체크밸브의 제2 연장부(129)를 구성하는 U자형 캠부재와 스위칭 로드(141)의 접촉(미는 힘)이 해제되어 탄성부재(143)가 원상태로 복원하면서 스위칭 로드(141)를 수직으로 세운다.
상기 구성에서 결합로드(136)는 장공(127)을 따라 이동하여 체크밸브 디스크의 선회축이 약간 변동되게 하는데, 디스크 결합부(125)의 구멍이 장공으로 됨으로써, 체크밸브(120)와 체크밸브 설치부재(130)를 결합시키는 결합로드(136)의 삽입이 용이 해지고, 체크밸브 디스크의 선회축이 약간 변동되더라도 스위칭 로드(141)는 체크밸브의 제2 연장부(129)를 구성하는 U자형 캠부재의 외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선회할 수 있다.
또, 체크밸브(120)가 닫혀 스위칭 로드(141)가 수직으로 세워진 후에는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이 체크밸브의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의 끝단 사이에 항상 위치하여 그 양 끝단의 가이드 작용으로 유동이 규제되므로 스위치의 ON 신뢰성이 개선됨과 동시에 탄성부재의 복원력 손상을 개선한다.
결합로드(136)가 디스크 결합부(125)의 장공(127)에 결합되고, 체크밸브(120)가 닫혀 스위칭 로드(141)가 수직으로 세워진 후에는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이 체크밸브의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의 끝단 사이에 항상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체크밸브에 다소의 유동이나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스위칭 소자의 ON, OFF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탄성부재의 복원력 손상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이다.
도 2는,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을 때, 도 1의 절단선 A-A로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를 절단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였을 때, 도 1의 절단선 A-A로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를 절단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체크밸브 설치 부재, 체크밸브 그리고 스위칭 소자(스위칭 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스위칭 로드와 탄성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00은 본 발명을 나타내고, 도면번호 130은 체크밸브 설치 부재를, 도면번호 150은 스위칭 소자 또는 스위칭 기구를 나타낸다.
도 2는,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을 때, 도 1의 절단선 A-A로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를 절단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였을 때, 도 1의 절단선 A-A로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를 절단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체크밸브 케이스(101)의 내부는 제1 측실(103)과 제2 측실(105)을 개폐하는 체크밸브(120)가 설치된다.
체크밸브(120)는 제1 측실과 제2 측실로 분리하거나, 제1 측실과 제2 측실이 서로 연통되게 하는 디스크(121)와, 상기 디스크의 일측에 구성되어 그 디스크의 선회축이 변동될 수 있도록 장공(127)이 뚫려있는 있는 디스크 결합부(125)와, 상기 디스크 결합부(125)로부터 디스크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되는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로 구성된다.
제1 연장부(123)는 디스크 면과 대략 평행하게 그리고, 제2 연장부(129)는 장공(127)이 형성된 디스크 결합부(125)를 감싸 제1 연장부의 하측에 U자형의 캠 형태로 구성되고, 제1 연장부(123) 및 의 제2 연장부(129)의 끝단 사이에 소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체크밸브(120)의 디스크는 체크밸브 케이스(101) 내의 슬리브(109)를 폐쇄하여 소화수가 좌측 유입구(IN)로 들어오지 못하여, 공급되는 소화수가 없도록 한다. 따라서 좌측 유입구(IN)로 들어오는 소화수가 없으므로 우측 유출구(OUT)로 빠져나가는 소화수도 없어 스프링클러의 헤드에는 제2 측실(105)과 배관에 들어있는 수압만이 작용을 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이 체크밸브의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스위칭 로드의 유동이 규제된다.
반대로 도 4 및 도 5와 같이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였을 때는, 제2 측실(105)의 소화수가 스프링클러로 빠져나가게 되고, 체크밸브(120)는 우측으로 회동하여, 체크밸브 케이스(101)의 내부에 형성된 회동규제부(102)에 닿으면서, 슬리브(109)를 개방한다. 슬리브(109)가 개방되면, 체크밸브 케이스(101) 내부의 제1 측실(103)과 제2 측실(105)은 연통되고, 좌측 유입구(IN)를 통해 제1 측실(103)로 들어오는 소화수는 슬리브(109)를 통과하여 제2 측실(105)를 거쳐 우측 유출구(OUT)로 빠져나가 스프링클러로 공급된다.
도 4 및 도 5과 같이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였을 때는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이 U자형 캠부재로 구성된 제2 연장부(129)에 접촉되어 스위칭 로드(141)가 선회하게 된다.
또, 체크밸브 케이스(101)에는 체크밸브 설치부재(130)를 결합하기 위한 개구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체크밸브 설치부재(130), 체크밸브(120) 그리고 스위칭 기구(150)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스위칭 로드와 탄성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체크밸브(13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크밸브 케이스의 개구부(107)를 폐쇄시키고 탄성부재(143)의 안착홈(139)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31)와, 몸체부(131)로부터 연장되고 그 끝단에 관통홀(135)이 뚫려있는 한 쌍의 보스(133)로 구성된다.
결합로드(136)는 체크밸브 설치부재의 한쪽 보스에 형성된 관통홀(135)로부터 상기 체크밸브의 디스크 결합부에 형성된 장공(127)을 지나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의 다른 쪽 보스(133)에 형성된 관통홀(135)로 끼워져 상기 체크밸브(120)와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130)를 결합시킨다.
도 4,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체크밸브(120)는 디스크(121)와 디스크(121)의 일측에 돌출되게 구성되는 디스크 결합부(125)와, 디스크 결합부로부터 디스크의 반대 방향 쪽으로 상하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3)와, 제2 연장부(129)를 구성한다.
제2 연장부(129)는 디스크 결합부를 감싸도록 U자형의 캠 형태로 구성된다. 체크밸브의 디스크 결합부(125)에는 체크밸브 결합로드(136)가 통과하는 장공(127)이 형성되어 있는데, 디스크 결합부(125)에 형성되는 장공(127)은 체크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체크밸브(120)가 소화수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 쪽으로 결합로드(136)를 따라 약간 유동하도록 하고, 체크밸브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체크밸브(120)가 유수가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 쪽으로 결합로드(136)를 따라 약간 유동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장공(127)은 체크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소화수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장공의 폭은 결합로드(136)의 지름보다 0.1-0.3mm 크고, 길이는 결합로드(136) 지름의 약 1.2-1.5배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 연장부(129)를 구성하는 U자형의 캠부재는 장공(127)을 내부에 두고 그 장공의 길이 방향으로 디스크 결합부(125)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체크밸브 설치부재(130)는 몸체부(131)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보스(133)를 갖는데, 보스(133)의 위쪽에는 결합로드를 삽입하는 관통홀(135)이 뚫려있다. 체크밸브 케이스(101)의 개구부(107)는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에 의하여 폐쇄된다.
체크밸브 설치부재(130)가 체크밸브 케이스(100)의 개구부(107)를 폐쇄시키면서 체크밸브 케이스(101)에 결합될 때,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의 보스(133)는 개구부(107)를 지나 체크밸브 케이스(101) 내부에 위치한다. 또,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의 몸체부(131)의 중앙은 관통홈(138)으로 뚫려 있고, 관통홈(138)의 아래 쪽으로 좀더 확대되어 스위칭 로드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43)를 안착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 안착홈(139)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로드(136)는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의 관통홀(135)과 체크밸브의 장공(127)에 끼워져 체크밸브(120)를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에 결합시킨다. E형 와셔(137)는 체크밸브(120)가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에 결합되었을 때, 결합로드(136)가 분리되지 않게 한다. 체크밸브 케이스(101)의 개구부(107)는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에 의해 폐쇄된다. 체크밸브 케이스(101)의 개구부(107)가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에 결합된 체크밸브(120)는 체크밸브 케이스(101) 내부에 위치한다. 결합로드(136)에 의해 결합된 체크밸브(120)는 체크밸브 케이스(101) 내부에서 결합로드(136)를 선회축으로 하여 선회운동을 하여 슬리브(109)를 폐쇄하거나 개방한다.
스위칭 로드(141)는 탄성부재 안착홈(139)에 안착되는 탄성부재(143)를 관통하여 한쪽 끝단은 체크밸브(120)의 제2 연장부(129)에 접촉되어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반대쪽 끝단은 스위치(153)의 리드단자(155) 근처에 위치한다. 체크밸브(120)가 유로를 폐쇄하였을 때, 스위칭 로드(141)는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일직선을 유지하므로 탄성부재의 탄성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스위치(153)를 ON 상태로 유지한다.
반대로 체크밸브(120)가 열려 유로를 개방하였을 때,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은 체크밸브(120)의 회동에 따라 U자형 캠부재로 이루어진 제2 연장부(129)와 접촉되어 탄성부재(143)을 중심으로 선회하므로 스위칭 로드(141)는 탄성부재 안착홈(139)에 안착된 탄성부재(143)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기울어져 리드단자(155)의 스위치 접촉이 해제되어 스위치(153)를 OFF로 한다.
스위칭 로드는 탄성부재 안착홈(139)에 안착되는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한쪽 끝단은 제2 연장부(129) 즉, U자형 캠부재에 접촉하고, 반대쪽 끝단은 스위치의 리드단자 근처에 위치한다. 체크밸브(120)가 슬리브(109)를 개방하였을 때, 스위칭 로드(141)는 탄성부재 안착홈(139)에 안착된 탄성부재(143)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기울어져 스위치의 리드단자(155) 근처의 스위칭 로드(141)의 끝단이 스위치의 리드단자(155)와 접촉 해제되어 OFF로 된다. 스위치(153)가 ON 또는 OFF됨에 따라 슬리브의 폐쇄 및 개방 상태를 알 수 있다.
도면부호 151은 스위치(153)가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이고, 도면부호 161은 보호 커버이다.
스위칭 로드(141)에 끼워지는 탄성부재(143)는 탄성 복원력이 커지도록 외부 링(143A)과 내부 링(143B) 사이에는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된 그루부(143C)로 되어 있다. 탄성부재(143)는 고무를 포함하고 스위칭 로드(141)가 끼워졌을 때 탄성부재(143)와 스위칭 로드(141)가 고정된 부분은 탄성부재(143)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더라도 항상 같은 중심점 위치에서 피벗 선회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9와 도 10은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을 때, 소화수는 스프링클러 헤드로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소화수의 흐름이 정지되어 체크밸브 케이스 내의 제1 측실과 제2 측실은 압력의 차이가 없어지게 된다. 제1 측실과 제2 측실의 압력차이가 없어짐에 따라, 도 9과 같이 체크밸브의 디스크(121)는 제1 측실의 슬리브(109) 통로를 폐쇄하여 소화수 공급펌프의 압력이 직접 스프링클러 헤드에 미치지 못하게 한다.
이때,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은 체크밸브(120)의 제1 연장부(123)의 끝단과 제2 연장부(129)를 구성하는 U자형 캠부재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그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규제됨으로써 스위칭 소자를 ON 상태로 유지한다. 물론 도 10과 같이 체크밸브(120)가 장공(127) 영역에서 결합로드(136)를 기준으로 약간 유동하더라도 탄성부재(143)의 탄성변형은 발생하지 않고 스위치의 ON 상태룰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가 작동하게 되면 체크밸브 케이스 내의 제2 측실의 소화수는 스프링클러 헤드로 빠져나가고, 제2 측실의 압력이 낮아져 체크밸브는 도 11, 도 12와 같이 개방된다. 이때, 체크밸브의 디스크(121)는 소화수의 흐름 때문에 옆으로 눕게 되고, 체크밸브(120)의 제2 연장부(129)를 구성하는 U자형 캠부재는 선회한다. 체크밸브(120)의 U자형 캠부재로 이루어진 제2 연장부(129)가 장공(127)을 기준으로 선회하면 U자형 캠부재가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의 탄성부재 안착홈(139)에 안착된 탄성부재(143)를 기준으로 스위칭 로드(141)의 상단부를 좌측으로 밀어낸다. 체크밸브(120)의 캠부재(129)에 의해 스위칭 로드(141)의 상단부가 좌측으로 밀리게 되면, 탄성부재 안착홈(139)에 장착된 탄성부재(143)를 기준으로 스위칭 로드(141)의 하단부는 우측으로 선회하여 스위칭 로드(141) 하단부 근처에 있는 스위치의 리드단자와 접촉 해제되어 스위치를 OFF로 한다.
즉, 도 12와 같이 스위치가 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체크밸브(120)가 장공(127) 영역에서 결합로드(136)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약간 유동하더라도 스위칭 로드(141)의 단부와 접촉되는 제2 연장부(129)의 U자형 캠부재 외면이 스위칭 로드(141)와 대략 평행 상태를 유지하므로 스위칭 로드(141)의 선회 유동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고 스위치의 OFF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체크밸브 결합로드(136)는 양쪽으로 돌출되게 디스크 결합부(125)에 형성된 장공(127)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체크밸브 결합로드(136)가 디스크 결합부(125)에 형성된 장공(127)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체크밸브의 디스크(121)가 제1 측실의 슬리브(107) 통로를 확실히 폐쇄하기 위한 것이고, 또, 체크밸브 결합로드(136)가 끼워져 통과하는 장공(127)과,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는 스위치의 ON/OFF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이 체크밸브(120)의 제1 연장부(123)와 제2 연장부(129)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였을 때 스위칭 소자가 ON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칭 소자를 반대쪽에 배치하여 스위칭 소자가 OFF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구성하여도 된다.
100 -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101- 체크밸브 케이스
102 -회동규제부
103 - 제1 측실
105 - 제2 측실
107 - 개구부
109 - 슬리브
120 - 체크밸브
121 - 디스크
123 - 제1 연장부
125 - 디스크 결합부
127 - 장공
129 - 제2 연장부
130 - 체크밸브 설치부재
133 - 보스
131 - 몸체부
135 - 관통홀
136 - 결합로드
137 - E형 와셔
138 - 관통홈
139 - 탄성부재 안착홈
141 - 스위칭 로드
143 - 탄성부재
143A - 외부링
143B - 내부링
134C - 그루부
150 - 스위칭 소자
151 - 인쇄회로기판
153 - 스위치
161 - 보호 커버

Claims (2)

  1. 개구부를 갖는 체크밸브 케이스(101)와;
    상기 체크밸브 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상기 체크밸브 케이스 내를 제1 측실(103)과 제2 측실(105)로 분리하거나, 제1 측실과 제2 측실이 서로 연통되게 하는 디스크(121)와, 상기 디스크의 선회축이 변동될 수 있도록 장공(127)이 뚫려있는 디스크 결합부(125)와, 상기 디스크 결합부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로 구성된 체크밸브(120)와;
    상기 체크밸브 케이스의 개구부(107)를 폐쇄시키고 탄성부재 안착홈(139)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끝단에 관통홀(135)이 뚫려있는 한 쌍의 보스(133)로 구성된 체크밸브 설치부재(130)와;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의 한쪽 보스에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상기 체크밸브의 디스크 결합부에 형성된 장공(127)을 지나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의 다른 쪽 보스에 형성된 관통홀로 끼워져 상기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로드(136)와;
    스위칭 로드(141)가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 안착홈(139)에 장착된 탄성부재(143)와;
    상기 스위칭 로드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칭 소자(150)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은 상기 체크밸브의 제1 연장부(123) 및 제2 연장부(129)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연장부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끼워져 고정된 부분을 중심점으로 하여 피벗 선회가능하고, 다른쪽 끝단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체크밸브 설치부재(130)를 지나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칭 로드(141)의 한쪽 끝단이 상기 체크밸브의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끝단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크(121)가 상기 제1 측실(103) 및 제2 측실(105)의 분리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로드(141)가 피벗 선회가능하도록 접촉되는 제2 연장부(129)는 상기 디스크 결합부를 감싸는 U자형의 캠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KR1020150008930A 2015-01-19 2015-01-19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KR101542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30A KR101542029B1 (ko) 2015-01-19 2015-01-19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30A KR101542029B1 (ko) 2015-01-19 2015-01-19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029B1 true KR101542029B1 (ko) 2015-08-04

Family

ID=5388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930A KR101542029B1 (ko) 2015-01-19 2015-01-19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11Y1 (ko) * 2015-11-04 2016-05-10 주식회사 효신 알람스위치의 작동성능을 개선한 알람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17B1 (ko) 2004-08-20 2007-08-09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KR101419099B1 (ko) 2010-10-25 2014-07-11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알람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17B1 (ko) 2004-08-20 2007-08-09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KR101419099B1 (ko) 2010-10-25 2014-07-11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알람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11Y1 (ko) * 2015-11-04 2016-05-10 주식회사 효신 알람스위치의 작동성능을 개선한 알람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2027B2 (ja) 組立式弁アセンブリ
KR101604551B1 (ko) 소화 설비용 유수 감지 장치
US6099264A (en) Pump controller
JP4106372B2 (ja) 消火設備用流水検知装置
TWI590851B (zh) Water testing equipment
WO2009147860A1 (ja) 流水検知装置
KR101542029B1 (ko)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KR101810214B1 (ko) 알람밸브
KR20110056848A (ko)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JP2009136432A (ja) 流水検知装置
JP2008099871A (ja) 消火設備用自動警報弁
JP5437837B2 (ja) 流水検知装置
KR20170110846A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알람 스위치를 가지는 알람밸브
JP3137276U (ja) 消火システム用フロースイッチ
KR100359624B1 (ko) 전자식 타이머에 의한 개방시간이 조절가능한 밸브 조립체
KR101822911B1 (ko)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KR101592157B1 (ko) 알람밸브
WO2021174897A1 (zh) 一种预作用报警阀阀座内置的阀门结构
JP6924986B2 (ja) 流水検知装置
JP2012011041A (ja) 流水検知装置
JP4616418B1 (ja) 流水検知装置
JP2903234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004275647A (ja) 緊急遮断機能付き湿式流水検知装置
KR20090003008U (ko) 알람밸브의 시트링 실링 구조
KR100363229B1 (ko) 복합 기능 안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